KR101603933B1 -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이를 사용한 적층체 및 2차 전지 - Google Patents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이를 사용한 적층체 및 2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933B1
KR101603933B1 KR1020157007254A KR20157007254A KR101603933B1 KR 101603933 B1 KR101603933 B1 KR 101603933B1 KR 1020157007254 A KR1020157007254 A KR 1020157007254A KR 20157007254 A KR20157007254 A KR 20157007254A KR 101603933 B1 KR101603933 B1 KR 101603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
acid
epoxy resin
modified
polyolefi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290A (ko
Inventor
다카토시 마츠오
마코토 기무라
다츠야 고우야마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2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9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63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62 with 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26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과제] 금속층과 플라스틱층의 접착성이 뛰어나고, 방습성, 내열성, 절연성, 내구성 등을 만족하고, 또한, 내전해질성을 겸비하며, 경시(經時)로 층간 박리를 발생시키지 않는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사용한 적층체, 및 2차 전지를 얻는 것.
[해결 수단]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A), 인산 변성 화합물(B), 바람직하게는, 또한, 에폭시 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사용한 적층체, 2차 전지.

Description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이를 사용한 적층체 및 2차 전지{LAMINATE ADHESIVE, AND LAMINATE AND RECHARGEABLE BATTERY USING SAME}
본 발명은,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이를 사용한 적층체 및 2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이온 전지로 대표되는 2차 전지는, 양극, 음극 사이에, 전해액 등을 봉입(封入)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한, 양극과 음극의 전기를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리드선을 봉입하기 위한 봉입대(封入袋)로서,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 박이나 금속증착층과 플라스틱을 첩합(貼合)시킨 적층체가 사용된다.
이 적층체에는, 2차 전지로서 요구되는 물성, 방습성, 밀봉성, 내돌자성(耐突刺性), 절연성, 내열·내한성, 내부식성이 요구되지만, 특히, 전해질에 용해하지 않는 내전해질성이 필수이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적층체의 최내층에 말레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고, 히트씰(heat-seal)부를 같은 말레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구성함으로써, 밀봉 신뢰성을 향상시킨 봉입대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참조). 일반적으로, 말레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금속과의 접착성 및 히트씰성이 뛰어나므로, 접착성 수지로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지용 봉지(封止) 필름으로서 사용할 경우, 적층 직후에는 뛰어난 접착력을 나타내지만, 내전해질성이 낮아, 경시(經時)로 층간 박리를 일으켜, 봉지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없다.
일본국 특개평9-283101호 공보
국제공개WO01/017043
일본국 특개평8-193148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0-277959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금속층과 플라스틱층의 접착성이 뛰어나며, 방습성, 내열성, 절연성, 내구성 등을 만족하며, 또한, 내전해질성을 겸비하고, 경시로 층간 박리를 일으키지 않는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및 2차 전지를 얻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올레핀 수지와 후술하는 인산 변성 화합물을 조합함으로써, 접착성 및 내전해질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음을 찾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A), 인산 변성 화합물(B)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층과 플라스틱층의 사이에 사용함으로써, 뛰어난 접착성을 발현한다. 그 결과, 본 접착제를 사용한 적층체는, 양호한 내습성, 내열성, 내용제성, 내구성 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그 적층체를 2차 전지용 적층체로서 사용한 경우, 프로필렌카보네이트나 에틸렌카보네이트라고 하는 전해질에 대해서, 뛰어난 내성을 가지므로, 경시로 층간 박리를 일으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수지(A), 인산 변성 화합물(B)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올레핀 수지(A)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수 2∼8의 올레핀의 단독 중합체나 공중합체, 탄소수 2∼8의 올레핀과 다른 모노머와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1-부텐), 폴리4-메틸펜텐, 폴리비닐시클로헥산, 폴리스티렌, 폴리(p-메틸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에틸렌·4-메틸-1-펜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등의 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폴리올레핀을 염소화한 염소화 폴리올레핀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올레핀 수지(A)는, 상기와 같이, 여러가지 타입이 사용 가능하지만, 특히, 폴리올레핀 수지에 각종 관능기(예를 들면, 카르복실기, 수산기 등)을 도입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의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중, 금속층의 밀착성이 더욱 향상되고, 내전해질성이 뛰어나므로, 1∼200mgKOH/g의 산가를 갖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이하,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라고 기재한다) 및/또는 1∼200mgKOH/g의 수산기가를 갖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이하, 수산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라고 기재한다)가 보다 바람직하다.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란,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나 무수 카르복시 산기를 갖는 폴리올레핀 수지이며, 폴리올레핀을 불포화 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로 변성하여, 합성된다. 이 변성 방법으로서는, 그래프트 변성이나 공중합화를 사용할 수 있다.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를, 변성 전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그래프트 변성 혹은 공중합화한 그래프트 변성 폴리올레핀이다. 변성 전의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상술한 폴리올레핀 수지를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 및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변성 전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그래프트 변성 혹은 공중합화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메사콘산, 무수말레산, 4-메틸시클로헥세-4-엔-1,2-디카르복시산무수물, 비시클로[2.2.2]옥토-5-엔-2,3-디카르복시산무수물, 1,2,3,4,5,8,9,10-옥타히드로나프탈렌-2,3-디카르복시산무수물, 2-옥타-1,3-디케토스피로[4.4]논-7-엔, 비시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산무수물, 말레오피말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무수물, 메틸-비시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산무수물, 메틸-노르보르넨-5-엔-2,3-디카르복시산무수물, 노르보른-5-엔-2,3-디카르복시산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수말레산이 사용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병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그래프트 모노머를 변성 전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그래프트시키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수지를 용융하고, 거기에 그래프트 모노머를 첨가해서 그래프트 반응시키는 방법, 폴리올레핀 수지를 용매에 용해해서 용액으로 해서, 거기에 그래프트 모노머를 첨가해서 그래프트 반응시키는 방법, 유기 용제에 용해한 폴리올레핀 수지와, 상기 불포화 카르복시산 등을 혼합하며,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연화 온도 또는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하고 용융 상태로 라디칼 중합과 수소 인발(引拔) 반응을 동시에 행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상기 그래프트 모노머를 효율적으로 그래프트 공중합시키기 위해서는,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하에 그래프트 반응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프트 반응은, 통상 60∼350℃의 조건에서 행하여진다. 라디칼 개시제의 사용 비율은 변성 전의 폴리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001∼1중량부의 범위이다.
라디칼 개시제로서는, 유기 퍼옥사이드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벤조일퍼옥사이드, 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디쿠밀퍼옥사이드, 디-tert-부틸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퍼옥사이드벤조에이트)헥신-3, 1,4-비스(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라우로일퍼옥사이드, tert-부틸퍼아세테이트,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신-3,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산, tert-부틸퍼벤조에이트, tert-부틸퍼페닐아세테이트, tert-부틸퍼이소부티레이트, tert-부틸퍼-sec-옥토에이트, tert-부틸퍼피발레이트, 쿠밀퍼피발레이트 및 tert-부틸퍼디에틸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이외 아조 화합물, 예를 들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디메틸아조이소부티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라디칼 개시제는, 그래프트 반응의 프로세스에 보다 최적한 것이 선정되어야 하지만, 통상 디쿠밀퍼옥사이드, 디-tert-부틸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신-3,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산, 1,4-비스(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등의 디알킬퍼옥사이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무수 말레산 삼원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메타크릴산에스테르-무수 말레산 삼원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쯔비시가가쿠(주)제 「모딕」, 미쯔이가가쿠(주)제 「아도머」, 「유니스톨」, 도요가세이(주)제 「도요텍」, 산요가세이(주)제 「유멕스」, 니혼폴리에틸렌(주)제 「렉스펄 EAA」 「렉스펄 ET」, 다우·케미칼(주)제 「프리마콜」, 미쯔이·듀퐁 폴리케미칼제 「뉴크렐」, 아케마제 「본다인」으로서 시판되고 있다.
수산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분자 중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올레핀 수지이며, 폴리올레핀을 후술하는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혹은, 수산기 함유 비닐에테르에서 그래프트 변성 혹은 공중합화해서 합성된다. 변성 전의 폴리올레핀 수지나 변성 방법은,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경우와 같다.
상기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글리세롤; 락톤 변성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수산기 함유 비닐에테르로서는, 2-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비닐에테르,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인산 변성 화합물(B)로서는, 하기 일반식(1), (2), (3), (4) 및 (5)로 이루어지는 군으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5027987317-pct00001
(식 중의 R1, R2, R3, R4, R5,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 평균 분자량 350∼3000의 에폭시 수지의 잔기 및/또는 변성 에폭시 수지의 잔기이며, R7, R10 및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8 이하의 알킬렌기, R8, R9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폭시기, 이소프로페닐기, 또는 비닐기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1), (2) 및 (3)로 나타나는 화합물은, 인원자에 결합한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을 에폭시 수지로 변성한 인산 변성 에폭시 수지(B-Ep)이다.
상기 인산 변성 에폭시 수지(B-Ep)는, 에폭시 수지(B1)와 인원자에 결합한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B2), 필요에 따라 탄소수가 3∼5인 모노카르복시산(B3)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에폭시 수지(B1)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소르비톨, 스피로글리콜 또는 수첨 비스페놀A 등의 지방족 폴리올 디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비스페놀A, 비스페놀F, 비스페놀S, 비스페놀AD 등의 디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나 페놀노볼락 수지나 크레졸노볼락 수지의 글리시딜에테르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등의 방향족 에폭시 수지; 방향족계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의 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체 등의 폴리올류의 디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실카복실레이트 등의 환상 지방족형 폴리에폭시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프로판트리카르복시산, 부탄테트라카르복시산, 아디프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또는 트리멜리트산 등의 폴리카르복시산의 폴리글리시딜에스테르형 에폭시 수지; 부타디엔, 헥사디엔, 옥타디엔, 도데카디엔, 시클로옥타디엔, α-피넨 또는 비닐시클로헥센 등의 탄화수소계 디엔의 비스에폭시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폴리부타디엔 또는 폴리이소프렌 등의 디엔 폴리머의 에폭시 수지; 혹은, 테트라글리시딜디아미노디페닐메탄, 테트라글리시딜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디글리시딜아닐린 또는 테트라글리시딜메타자일릴렌디아민 등의 글리시딜아민형 에폭시 수지, 또는, 트리아진 혹은 히단토인과 같이, 각종의 복소환을 함유하는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등의 방향족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면, 밀착성 및 내식성이 양호하므로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로서는, DIC(주)제 「EPICLON 850, 860, 1050, 1055, 2055」, 미쯔비시가가쿠(주)제 「jER 828, 834, 1001, 1002, 1004, 1007」등을 들 수 있다.
인원자에 결합한 수산기를 가진 화합물(B2)으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인원자상에 적어도 1개의 수산기를 갖는 것이면 되지만,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6)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5027987317-pct00002
(일반식(6) 중, R13, R14는, 각각 동일 또는 별개로 탄소 원자 1∼12의 알킬기, 알케닐기, 벤질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냄) 일반식(6)으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중에서, 특히, 밀착성 및 작업성이 뛰어나므로 인산이 바람직하다.
탄소수가 3∼5인 모노카르복시산(B3)으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피온산, 젖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등의 포화 카르복시산류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비닐아세트산, 크로톤산, 티글산, 3,3-디메틸아크릴산 또는 펜텐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시산류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얻어지는 인산 변성 에폭시 수지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시산이 바람직하며,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에폭시 수지(B1)와 인원자에 결합한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B2)의 반응은, 특히 조건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양자를 무촉매 하에 상온에서 완만하게 반응시켜서 목적물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용매 및 촉매의 존재하 또는 부존재하에서 50∼200℃, 바람직하게는, 80∼140℃에서 반응시켜, 인산 변성 에폭시 수지(B-Ep)를 얻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때, 에폭시 수지(B1) 중에 존재하는 에폭시기의 1.0mol에 대하여, 인원자에 결합한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B2) 중의 수산기의 mol수의 합계가, 0.9∼1.0mol이 되게 하는 비율인 것이, 얻어지는 인 변성 에폭시 수지(B-Ep)의 안정성이 양호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모노카르복시산을 병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에폭시 수지(B1) 중에 존재하는 에폭시기의 1.0mol에 대하여, 카르복시산 중의 카르복실기의 mol수와 인원자에 결합한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중의 인원자에 결합한 수산기의 mol수의 합계가, 0.9∼1.0mol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카르복시산을 병용하는 경우, 인산 변성 에폭시 수지(B-Ep)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1)∼(3)의 방법을 들 수 있다.
하기의 방법에서는, 필요에 따라, 유기용매, 촉매 등을 사용하여도 된다.
(1) 에폭시 수지(B1)와 탄소수가 3∼5의 모노카르복시산(B3)과 인원자에 결합한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B2)을 일괄로 투입해서 반응시키는 방법.
(2) 상기 에폭시 수지와 상기 카르복시산을 반응시키고, 이어서, 상기 인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방법
(3)상기 에폭시 수지와 상기 인 화합물을 반응시키고, 이어서, 상기 카르복시산을 반응시키는 방법
이들 중에서도, 상기 (2)의 방법이, 반응 효율의 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촉매로서는, 트리페닐포스핀이나 아민 화합물 등의 에폭시기와 산의 반응에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4), (5)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인원자에 결합한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을 2가의 수산기 함유 화합물로 변성한 인산 변성 에스테르 화합물(B-Es)이다.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조성물에서는, 금속층 및 플라스틱층의 밀착성이 양립함으로써 접착성에 보다 뛰어나며, 또한, 접착제의 저장 안정성 및 작업성의 관점에서, 폴리올레핀 수지(A)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산 변성 화합물(B)을 0.1∼30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에폭시 수지(C)로서는, 상기의 인산 변성 에폭시 수지(B-Ep)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에폭시 수지(B1)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에폭시 수지(C)는, 접착성 및 내전해질성이 향상하므로,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조합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가교밀도가 높아져서, 전해질의 침투를 억제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조성물에서는, 접착성 및 내전해질성과 내블로킹성을 양립할 수 있으므로, 폴리올레핀 수지(A)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폭시 수지(C)를 0.1∼30중량부의 비율로 배합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D)으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분자 내에 적어도 2개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들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어덕트체, 뷰렛체,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등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D)은, 접착성 및 내전해질성이 뛰어나므로, 수산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조합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조성물에 사용하는 유기용제로서는, 상기의 폴리올레핀 수지(A), 인산 변성 화합물(B)이 용해 또는 분산할 수 있으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아세톤, 메틸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산온 등의 케톤계 용제;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건조성, 작업성이 뛰어나므로, 에스테르계 용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다른 첨가제 등을 함유시켜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필름이나 코팅막 등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첨가제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레벨링제; 콜로이드상 실리카, 알루미나 졸 등의 무기 미립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의 유기 미립자; 소포제; 늘어짐성 방지제; 실란커플링제; 점도 조정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 불활성화제; 과산화물 분해제; 난연제; 보강제; 가소제; 윤활제; 방청제; 형광성 증백제; 무기계 열선 흡수제; 방염제; 대전 방지제; 탈수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조성물을,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층과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시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등의 1종 또는 수종의 플라스틱층을 맞붙여서 얻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조성물은, 예를 들면, 에스테르계 용제, 케톤계 용제, 방향족계 탄화수소, 지방족 탄화수소, 지환족 탄화수소등의 적당한 용제 또는 분산제에 임의의 비율로 용해/분산시켜서, 롤 코팅법, 그라비어 코팅법, 바 코팅법 등의 주지의 도포 방법을 사용하여 금속박에 도포, 건조함으로써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조성물의 건조 도포 중량은 0.5∼20.0g/㎡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0.5g/㎡를 하회하면 연속 균일 도포성에 어려움이 생겨,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데다가 잔류 용제의 문제가 생긴다.
상기 금속박의 한쪽에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조성물을 도공 후, 플라스틱층을 겹쳐 드라이 라미네이션(건식 적층법)에 의해 첩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라미네이트롤의 온도는 실온∼60℃ 정도, 압력은, 10∼300kg/㎠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체는, 작성 후 에이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이징 조건은, 실온∼100℃에서, 12∼240시간 사이이며, 이 사이에 접착 강도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1차 또는 2차 전지의 전해액 봉지 필름 또는 전극부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이 경우 플라스틱층 측에 극성 유기 용매 및/또는 염류 등과 접촉시켜서 사용한다. 특히 극성 유기 용매 및 염을 포함하는 비수전해질과 접촉시키는 상태로 사용함으로써, 특히 비수전해질 전지, 고체 전지 등의 2차 전지 전해액 봉지 필름 또는 2차 전지 전극부 보호 필름으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라스틱층이 대향하도록 접어 겹쳐 히트씰함으로써, 전지용 봉지대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접착제는 히트씰성이 뛰어나므로, 비수전해질의 누설을 방지하고, 전지로서 장기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극성 유기 용매로서는, 비프로톤성의 극성 용매, 예를 들면, 알킬카보네이트, 에스테르, 케톤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부틸렌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γ-부티로락톤, 1,2-디메톡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1,3-디옥솔란, 4-메틸-1,3-디옥솔란, 메틸포르메이트, 4-메틸-1,3-디옥소메틸포르메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메틸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염으로서는, 리튬염,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금속염을 들 수 있다. 전지용으로서는 LiPF6, LiBF4, Li-이미드 등의 리튬염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비수전해질은 환상 탄산에스테르, 쇄상 탄산에스테르, 그들의 혼합물 등의 비프로톤성 극성 유기 용매에 상기 알칼리금속염이 0.5∼3mmol 용해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상기 극성 용매 및/또는 염류, 특히 그들의 혼합물인 비수전해질과 접촉하는 상태로 사용해도 금속층, 접착층, 플라스틱층의 층간 박리를 생기지 않고, 장기에 걸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지는 상기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전지 전해액 봉지 필름 또는 전지 전극부 보호 필름을 갖는 전지이다. 본 발명의 전지는, 상기 필름이 층간 박리를 발생시키지 않고, 게다가 비수전해질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지로서 장기간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와 같이, 본 발명의 적층체는, 금속층과 플라스틱층과의 접착력이 뛰어남과 함께 극성 유기 용매 또는 염에 대한 내구력이 뛰어나며, 비수전해질등과 접촉해도 층간 박리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러한 적층체를 전지 전해액 봉지 필름 또는 전지 전극부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한 전지, 및 2차 전지 전해액 봉지 필름 또는 2차 전지 전극부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한 2차 전지는, 장기간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합성예 1(인산 변성 에폭시 수지(B)의 합성예)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비스페놀A로부터 제조된 「EPICLON850」(DIC(주)제, 에폭시 당량 185) 600부, 비스페놀A 250부로부터 수산화나트륨을 촉매로 하고 통상의 방법에 의해 에폭시 당량 900의 에폭시 수지를 얻었다. 자일렌/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1-부틸알코올을 각각 400/200/200부에 용해 후 80℃에서 89% 인산 24부를 소량씩 적하하고, 10시간 반응시켜, 점도의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한 후,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로 불휘발분이 50%이 되도록 조정한 후, 점도(25℃)가 W의 인산 변성 에폭시 수지(b-1)을 얻었다.
합성예 2(인산 변성 에폭시 수지(B)의 합성예)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jER 1001」(미쯔비시가가쿠(주)제 BPA형 에폭시 수지 에폭시 당량 475) 545.5부와,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259.0부를 투입하고, 가열 용해시키면서, 80℃까지 승온했다. 용해 후, 80℃에서 아크릴산 59.7부를 투입하고, 이어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0.6부, 트리페닐포스핀 2.4부를 투입하고, 110℃까지 1시간 걸쳐서 승온하면서 교반했다. 110℃에서 3시간 유지하고 반응을 속행시켜, 산가가 1.0mgKOH/g이하가 된 시점에서, 80℃에까지 내려, 85% 인산 12.1부 및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70.2부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1시간 걸쳐서 연속 적하했다. 적하 종료 후도 계속해서, 80℃에서 4시간 반응시키고, 이어서,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50.5부를 투입함으로써, 불휘발분이 64.0%로, 또한, 산가가 9.0으로 되는, 인산 변성 에폭시 수지(b-2)의 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1)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유니스톨 P-401」(고형 분산가 55mgKOH/g 가열 잔분 8%, 미쯔이가가쿠(주)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산 변성 에폭시 수지(b-1)를 2.0중량부, 에폭시 수지 「데나콜 EX-321」(에폭시 당량 140 불휘발분 100% 나가세켐텍(주)제)을 1.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 분산시켜, 접착제로 했다.
상기 접착제를, 바코터를 사용하여 도포량 5.0g/㎡(고형분)가 되도록 두께 50㎛의 알루미늄박에 도포하고, 그 후 희석 용제를 휘발시켜 건조했다. 접착제가 도포된 알루미늄박의 접착제면과, 두께 70㎛의 CPP 필름(토레(주)제 「ZK93KM」)을, 라미네이트롤 온도는 실온, 압력 30kg/㎠, 속도 20m/분의 조건하에서 라미네이트하여, 알루미늄박/접착층/CPP 필름(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층 구성을 갖는 적층체를 작성했다. 다음으로, 이 복합 필름을 60℃/3일간의 에이징을 행하고, 접착제의 경화를 행하여, 본 발명의 적층체 1을 얻었다.
그 외의 접착제를 표 1와 같이 배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접착제를 작성했다. 또한 적층체 1과 같은 작성 방법에 의해 각 적층체를 작성했다.
각 예로 얻어진 적층체에 있어서, 접착 성능 및 내전해질성을 평가하고, 표1에 그 결과를 나타냈다. 또, 각 성능 시험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접착 강도: (주) 에이앤드디제 텐시론 시험에 있어서, 시료를 15mm 폭으로 자르고, 180°박리 강도를 측정했다.
내전해질성A: 적층체를 에틸렌카보네이트에 40℃ 30일간 침지시켜, 침지 전후의 접착 강도의 유지율로부터 이하와 같이 평가를 실시했다.
○: 90% 이상, △: 90∼70%, ×: 70% 이하
내전해질성B: 적층체를 프로필카보네이트에 40℃ 30일간 침지시켜, 침지 전후의 접착 강도의 유지율로부터 이하와 같이 평가를 실시했다.
○: 90% 이상, △: 90∼70%, ×: 70% 이하
비교예로서, 표 2와 같이 배합하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체를 작성했다. 또한, 그 적층체를 사용하여, 접착 강도, 내전해질성을 평가했다.
[표 1]
Figure 112015027987317-pct00003
[표 2]
Figure 112015027987317-pct00004
유니스톨 P-401(미쯔이가가쿠(주)제)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고형분 산가 55mgKOH/g 가열 잔분 8%
유니스톨 P-902(미쯔이가가쿠(주)제)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고형분 산가 55mgKOH/g 가열 잔분 22%
유니스톨 P-901(미쯔이가가쿠(주)제) 수산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고형분 수산기가 50mgKOH/g 가열 잔분 22%
데나콜 EX-321(나가세켐텍스(주)제) 에폭시 수지 에폭시 당량 140 불휘발분 100%
EPICLON 860(DIC(주)제)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에폭시 당량 240 불휘발분 100%
타케네이트 D-101(미쯔이다케다케미칼(주)제) HDI 어덕트체 NCO%13 불휘발분 75%

Claims (9)

  1. 수지 성분으로서, 산기를 갖는 폴리올레핀 수지(A), 인산 변성 수지(B), 및 에폭시 수지(C)로 이루어지며, 각 성분의 배합 비율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A)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산 변성 수지(B)를 0.1∼30중량부의 비율, 에폭시 수지(C)를 0.1∼30중량부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차 또는 2차 전지의 전해액 봉지(封止) 필름에 사용하는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를 갖는 폴리올레핀 수지(A)가, 1∼200mgKOH/g의 산가를 갖는 것인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 변성 수지(B)가, 하기 일반식(1), (2), 및 (3)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조성물.
    (식 중의 R1, R2, R3, R4, R5,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 평균 분자량 350∼3000의 에폭시 수지의 잔기 및/또는 변성 에폭시 수지의 잔기이다)
    Figure 112015028199571-pct00006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조성물을, 금속층과 폴리올레핀 수지층의 사이에 사용한 적층체.
  5. 제4항에 기재된 적층체를 포함하는 2차 전지.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7007254A 2012-09-25 2013-09-19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이를 사용한 적층체 및 2차 전지 KR101603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10867 2012-09-25
JPJP-P-2012-210867 2012-09-25
PCT/JP2013/075263 WO2014050686A1 (ja) 2012-09-25 2013-09-19 ラミネート用接着剤、こ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二次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290A KR20150042290A (ko) 2015-04-20
KR101603933B1 true KR101603933B1 (ko) 2016-03-16

Family

ID=50388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254A KR101603933B1 (ko) 2012-09-25 2013-09-19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이를 사용한 적층체 및 2차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664836B2 (ko)
KR (1) KR101603933B1 (ko)
CN (1) CN104662114B (ko)
TW (1) TWI579358B (ko)
WO (1) WO20140506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0166B1 (ja) 2014-08-01 2015-04-15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積層体、蓄電デバイス用包装材、蓄電デバイス用容器および蓄電デバイス
KR20160047468A (ko) * 2014-09-17 2016-05-02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및 이차 전지
US10568154B2 (en) 2015-03-06 2020-02-18 Nec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based service communication
JP5900680B1 (ja) * 2015-03-25 2016-04-06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積層体、蓄電デバイス用包装材、蓄電デバイス用容器および蓄電デバイス
KR20180017014A (ko) * 2015-06-10 2018-02-20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축전 장치용 외장재
JP6660688B2 (ja) * 2015-08-06 2020-03-11 藤森工業株式会社 接着性積層体、接着性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積層体
EP3342838A4 (en) * 2015-08-28 2019-03-13 DIC Corporation STRATIFICATION ADHESIVE, MULTILAYER FILM,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JP6768362B2 (ja) * 2015-09-17 2020-10-14 藤森工業株式会社 電池外装用積層体、電池外装用積層体の製造方法、電池外装体及び電池
CN110281612B (zh) * 2015-09-17 2023-03-24 藤森工业株式会社 电池外装用层叠体、电池外装体以及电池
CN106549118B (zh) * 2015-09-17 2020-04-28 藤森工业株式会社 电池外装用层叠体、电池外装用层叠体的制造方法、电池外装体以及电池
CN108140837A (zh) * 2015-10-16 2018-06-08 三菱化学株式会社 二次电池电极用粘合剂树脂、使用其的二次电池电极用粘合剂树脂组合物、二次电池电极用浆料、二次电池用电极以及二次电池
EP3406668B1 (en) 2016-01-21 2022-08-17 Mitsui Chemicals, Inc. Composition, laminate, packaging material, packaging material for battery cases, and battery
JP6902827B2 (ja) * 2016-02-08 2021-07-14 藤森工業株式会社 接着性樹脂組成物、被着体接着方法、及び接着性樹脂フィルム
JP6850539B2 (ja) * 2016-02-25 2021-03-31 藤森工業株式会社 電池外装用積層体、電池外装体及び電池
JP6826370B2 (ja) * 2016-03-18 2021-02-03 藤森工業株式会社 樹脂被覆金属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電池外装体の製造方法
KR102340015B1 (ko) * 2016-08-10 2021-12-16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조성물
CN109563385B (zh) * 2016-08-10 2021-06-11 东洋纺株式会社 聚烯烃系粘合剂组合物
TWI747950B (zh) * 2016-09-07 2021-12-01 日商琳得科股份有限公司 黏著劑組合物、密封片及密封體
JP6911635B2 (ja) * 2017-08-24 2021-07-28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および積層体
WO2019069896A1 (ja) * 2017-10-04 2019-04-11 Dic株式会社 接着剤、積層体、電池用部材及び電池
TWI785173B (zh) * 2017-12-26 2022-12-01 日商迪愛生股份有限公司 接著劑、積層體、電池用包裝材料及電池
KR101996883B1 (ko) * 2018-03-14 2019-07-08 (주)이지켐 무봉제형 보호복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450827B (zh) * 2019-09-26 2023-12-01 东洋纺株式会社 燃料电池用接合体、和层叠体
JP7488715B2 (ja) 2020-08-04 2024-05-22 マクセル株式会社 金属-ゴム複合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22216B1 (ko) * 2020-09-04 2023-04-18 율촌화학 주식회사 프라이머층 조성물,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파우치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N113583596B (zh) * 2021-07-29 2022-03-25 四川大学 一种阻燃型聚烯烃系粘合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262579B (zh) * 2021-12-30 2023-11-24 江苏睿捷新材料科技有限公司 金属复合膜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8121A (ja) * 2000-07-24 2002-02-06 Sumitomo Metal Steel Products Inc 金属材へのポリオレフィン樹脂シートラミネート用接着剤及びポリオレフィン樹脂シートラミネート金属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6609B2 (ja) * 1997-12-03 2007-11-14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ラミネート鋼板用接着剤組成物
JP2004269679A (ja) * 2003-03-07 2004-09-30 Toyo Ink Mfg Co Ltd 接着剤及び前記接着剤の製造方法並びに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ラミネート鋼板
JP4529378B2 (ja) * 2003-05-16 2010-08-25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接着剤及び該接着剤を用いてなる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ラミネート鋼板
JP4508199B2 (ja) * 2007-02-05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リード用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非水電解質電池
JP2011256339A (ja) * 2010-06-11 2011-12-22 Sanyo Chem Ind Ltd 金属ラミネート用接着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8121A (ja) * 2000-07-24 2002-02-06 Sumitomo Metal Steel Products Inc 金属材へのポリオレフィン樹脂シートラミネート用接着剤及びポリオレフィン樹脂シートラミネート金属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62114B (zh) 2016-08-10
JP5664836B2 (ja) 2015-02-04
TW201425512A (zh) 2014-07-01
CN104662114A (zh) 2015-05-27
TWI579358B (zh) 2017-04-21
KR20150042290A (ko) 2015-04-20
JPWO2014050686A1 (ja) 2016-08-22
WO2014050686A1 (ja)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933B1 (ko)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이를 사용한 적층체 및 2차 전지
KR101925264B1 (ko)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및 이차 전지
JP6143147B1 (ja) ラミネート用接着剤、多層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
JP6288539B1 (ja) ラミネート用接着剤組成物、積層体、及び二次電池
CN108368402B (zh) 层压用粘接剂组合物、层叠体和二次电池
WO2016075975A1 (ja) ラミネート用接着剤、そ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二次電池
KR102400950B1 (ko) 래미네이트용 접착제, 그것을 이용한 적층체, 및 이차 전지
EP3778819B1 (en) Polyolefin-based adhesive composition
TWI701862B (zh) 積層用接著劑、使用其之積層體與其製造方法、及二次電池與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