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670B1 -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670B1
KR101558670B1 KR1020130134057A KR20130134057A KR101558670B1 KR 101558670 B1 KR101558670 B1 KR 101558670B1 KR 1020130134057 A KR1020130134057 A KR 1020130134057A KR 20130134057 A KR20130134057 A KR 20130134057A KR 101558670 B1 KR101558670 B1 KR 101558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seedling box
helical
gear
seedl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4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4729A (ko
Inventor
히로카즈 이시카와
치앙 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즈텍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즈텍
Publication of KR20140114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과제) 육묘 상자 이송 장치에 공급한 육묘 상자에, 상하로 중첩된 육묘 상자의 전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이송이 원활하지 않다는 과제가 있다.
(해결 수단) 육묘 상자 공급 장치(10)는 상부 프레임(11)에, 육묘 상자(A)군을 수취하여 육묘 상자 이송 장치(1)에 1장씩 공급하는 수취 공급부(20)를 형성한다. 상기 수취 공급부(20)는, 상기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군을 수취하여 하강시키는 나선익(23)을 갖는 나선체(21)를, 상기 육묘 상자 이송 장치(1)의 육묘 상자(A)의 이송 방향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11)에 전후 한 쌍 설치하여 구성하고, 상기 나선체(21)의 최상단부의 나선익(23)에는, 중첩한 육묘 상자(A)군을 수취하기 위한 대략 수평의 평면부(24)를 형성한 것인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

Description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RAISING SEEDING BOX AUTOMATIC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육묘 상자를 시단부로부터 종단부로 이송하는 이송 수단을 갖는 육묘 상자 이송 장치의 시단부 상방 위치에, 육묘 상자를 1개씩 공급하는 수취 공급부를 형성한 육묘 상자 공급 장치를 설치한 구성은, 공지되어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소60-199404호 공보
상기 공지예는, 육묘 상자의 후측을 코일에 의해 지지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하로 중첩한 육묘 상자의 중량이,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중인 육묘 상자의 전측 부분에 가해지기 때문에, 걸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공지예에서는, 코일에 의해 육묘 상자를 하강시키는데, 코일의 피치를 육묘 상자의 상하 높이에 맞추어야 해서, 고도의 제작 정밀도 및 조립 정밀도가 요구되어, 제조 및 조립 비용이 앙등한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공지예에서는, 코일의 피치를 육묘 상자의 상하 높이에 맞추고 있기 때문에, 높이가 상이한 육묘 상자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다.
본원은, 나선체를 사용한 구성이면서, 단으로 쌓아 공급된 육묘 상자군을 1장씩 이송 장치에 원활·확실하게 공급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하고, 높이를 포함한 크기가 상이한 육묘 상자의 이송 장치에의 공급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육묘 상자(A)를 시단부로부터 종단부로 이송하는 이송 수단을 갖는 육묘 상자 이송 장치(1)의 시단부 상방 위치에 설치되며, 육묘 상자(A)를 1장씩 공급하는 수취 공급부(20)를 설치한 육묘 상자 공급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육묘 상자 공급 장치(10)는, 바닥이 없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지 레그(16)에 의해 플로어 상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11)에, 상기 상부 프레임(11)의 상방에 형성된 수용 공간(63)에 수용된, 복수단으로 쌓은 빈 육묘 상자(A)군을 수취하여, 상기 이송 장치(1)에 1장씩 공급하는 상기 수취 공급부(20)를 형성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취 공급부(20)는, 상기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군을 수취하여 하강시키는 나선익(23)을 갖는 나선체(21)를, 상기 육묘 상자 이송 장치(1)의 육묘 상자(A)의 이송 방향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11)에 전후 한 쌍 설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나선체(21)의 최상단부의 나선익(23)에는, 중첩된 육묘 상자(A)군을 수취하기 위한 대략 수평의 평면부(24)를 형성한 것인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로 한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나선체(21)는, 보스(22)의 외주에 나선익(23)이 설치되고, 보스(22)가 상부 프레임(11)에 설치한 안내축(27)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지지대(26)의 이경축(異徑軸)(25)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나선체(21)는, 나선익(23)의 피치가 상기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의 사이드 리브(9)의 상하 피치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의 사이드 리브(9)의 상하 피치에 대응한 피치로 형성된 나선익(23)을 갖는 나선체(21)를 복수 준비하고, 선택하여 장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각 나선체(21)의 이경축(25)에는 구동축(29)의 구동 베벨 기어(30)에 맞물리는 종동 베벨 기어(28)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구동 베벨 기어(30)는 상기 지지대(26)와 구동축(29)의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각 구동축(29)에 설치된 구동 전달 기어(35)와 구동 모터(36)의 출력 기어(37)에 체인(38)을 걸어 감고, 상기 구동 모터(36)의 출력 기어(37)의 상방에 구동 전달 기어(35)를 설치하고, 상기 출력 기어(37)의 상방에 텐션 기어(39)를 설치하고, 상기 텐션 기어(39)는, 상기 텐션 기어(39)의 상면측에 상기 체인(38)을 걸어 감고, 이에 의해, 텐션 아암(40)의 타단을 조절구(43)에 의해 내림으로써 스프링을 생략하여 체인(38)을 긴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 모터(36)는, 상기 구동 모터(36)의 메인 스위치(45)를 설치한 부착 부재(41)에 의해 상부 프레임(11)의 후방 프레임(13)의 전면측에 부착되며, 상기 나선체(21)는 상부 프레임(11)에 설치한 이경축(25)에 부착되고, 상기 이경축(25)에는 상부가 외측으로 경사진 상부 경사부(47)를 갖는 가이드체(46)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11)에는, 상기 구동 모터(36)의 구동을 온오프시키는 센서(65)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11)의 후방 프레임(13)에는, 상기 이송 장치(1)의 후단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수취 공급부(20)로부터 강하하는 육묘 상자(A)의 후부를 지지하는 지지 롤러(75)가 설치된 것인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로 한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나선체(21)는, 보스(22)의 외주에 나선익(23)이 설치되고, 보스(22)가 상부 프레임(11)에 설치한 안내축(27)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지지대(26)의 이경축(25)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것인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로 한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나선체(21)는, 나선익(23)의 피치를 상기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의 사이드 리브(9)의 상하 피치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의 사이드 리브(9)의 상하 피치에 대응한 피치로 형성된 나선익(23)을 갖는 나선체(21)를 복수 준비하고, 선택하여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인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로 한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각 나선체(21)의 이경축(25)에는 구동축(29)의 구동 베벨 기어(30)에 맞물리는 종동 베벨 기어(28)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구동 베벨 기어(30)는 상기 구동축(29)의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각 구동축(29)에 설치한 구동 전달 기어(35)와 구동 모터(36)의 출력 기어(37)에 체인(38)을 걸어 감은 것인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로 한 것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상기 구동 모터(36)의 출력 기어(37)의 상방에 구동 전달 기어(35)를 설치하고, 상기 출력 기어(37)의 상방에 텐션 기어(39)를 설치하고, 상기 텐션 기어(39)는 텐션 아암(40)의 일단에 부착되고, 텐션 아암(40)의 중간부를 상부 프레임(11)측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텐션 기어(39)는, 상기 텐션 기어(39)의 상면측에 상기 체인(38)을 걸어 감고, 이에 의해, 텐션 아암(40)의 타단을 조절구(43)에 의해 내림으로써 스프링을 생략하고 체인(38)을 긴장시키도록 구성한 것인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로 한 것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상기 구동 모터(36)는, 상부 프레임(11)의 후방 프레임(13)에 부착된 스테이 부착 부재(41)의 전면측에 부착되고, 부착 부재(41)에는 상기 구동 모터(36)의 메인 스위치(45)를 설치한 것인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로 한 것이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상기 나선체(21)는 상부 프레임(11)에 육묘 상자(A)의 이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지지대(26)에 부착되고, 상기 지지대(26)에는 상부가 외측으로 경사진 상부 경사부(47)를 갖는 가이드체(46)를 설치한 것인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로 한 것이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상기 상부 프레임(11)의 좌우 어느 일측에는, 전후 한쌍의 세로 막대(61)를 가로 막대(62)에 의해 연결하여 상방으로 기립하는 기립 가이드(60)를 설치한 것인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로 한 것이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상기 상부 프레임(11)의 후방 프레임(13)에는, 나선체(21)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36)의 구동을 온오프시키는 센서(65)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65)는 정해진 길이를 갖고 항상 상방 회동하도록 압박되며, 스토퍼(69)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 대기하며, 센서(65)와 육묘 상자(A)가 비접촉 상태일 때 구동 모터(36)를 「온」으로 하고, 육묘 상자(A)와 센서(65)가 접촉 상태일 때 「오프」로 하도록 구성한 것인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로 한 것이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상기 상부 프레임(11)의 후방 프레임(13)은, 상기 이송 장치(1)의 후단의 후방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이송 장치(1)의 후단과 후방 프레임(13) 사이에 수취 공급부(20)로부터 강하하는 육묘 상자(A)의 후부를 지지하는 지지 롤러(75)를 설치한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로 한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나선체(21)를 나선익(23)에 의해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육묘 상자(A)와 나선익(23)은 면 접촉하여, 육묘 상자(A)를 확실하게 지지하여 하강시킬 수 있으며, 육묘 상자(A)는 좌우 양측에서 전후 한 쌍의 4개의 나선익(23)에 의해 지지 하강되기 때문에, 상하로 중첩하여 단으로 쌓여 있는 육묘 상자(A)군 중 최하단의 1장의 육묘 상자(A)를 이송 장치(1)에 공급할 수 있고, 최상단부의 나선익(23)은 대략 수평의 평면부(24)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중첩한 육묘 상자(A)군을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나선익(23)을 이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사이드 리브(9)의 형상이나 크기가 상이한 육묘 상자(A)에 대응할 수 있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나선익(23)에 의해 위치 조절할 수 없을 때에도 교환 대응시킬 수 있어,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나선익(23)의 피치를 육묘 상자(A)의 상하 높이보다 크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높이가 상이한 육묘 상자(A)에도 대응할 수 있고, 또한, 나선체(21)를 지지대(26)에 의해 육묘 상자(A)에 대응시켜 위치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나선체(21)의 회전 전달 기구를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고, 텐션 기어(39)의 구성을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구동 모터(36)와 메인 스위치(45)의 지지 구성을 겸용할 수 있고, 또한, 가이드체(46)에 의해 육묘 상자(A)를 확실하게 하방의 이송 장치(1)에 유도할 수 있고, 기립 가이드(60)에 의해 육묘 상자(A)를 확실하게 하방의 가이드체(46)에 유도할 수 있고, 센서(65)에 의해 육묘 상자(A)의 이송 장치(1)에의 공급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고, 지지 롤러(75)에 의해 육묘 상자(A)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고, 이송 장치(1)에의 공급 작업의 원활화 및 확실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나선체(21)는, 나선익(23)이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리브(9)의 형상이나 크기가 상이한 육묘 상자(A)에도 대응하여, 이송 장치(1)에 대한 공급 작업을 행할 수 있고, 또한, 나선익(23)은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위치 조절할 수 없을 때에는 교환하여 대응시킬 수 있어,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나선체(21)가, 나선익(23)의 피치를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의 사이드 리브(9)의 상하 피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높이가 상이한 육묘 상자(A)에도 대응하여, 이송 장치(1)에의 공급 작업을 행할 수 있고, 또한,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의 사이드 리브(9)에 대응한 나선체(21)를 복수 준비하고 있기 때문에, 피치가 맞지 않을 때에는 다른 나선체(21)로 대응시킬 수 있어,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나선체(21)를 설치한 지지대(26)가 상부 프레임(1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육묘 상자(A)에 대응하여 위치 조절할 수 있어, 육묘 상자(A)를 이송 장치(1)에 원활·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고, 또한, 나선체(21)의 회전 전달 기구를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나선체(21)의 회전 전달 기구를 구성하는 체인(38)의 당김 정도를 조절하는 텐션 기어(39)의 구성을, 스프링을 생략하고 구성할 수 있어, 한층 더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구동 모터(36)의 지지 구성을, 메인 스위치(45)의 지지 구성과 겸용할 수 있고, 육묘 상자(A)의 이송 방향 후측에 메인 스위치(45)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육묘 상자(A)의 공급 작업에 방해되지 않고 조작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서는, 나선체(21)를 설치한 지지대(26)에 가이드체(46)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가이드체(46)는 나선체(21)와의 위치 관계를 바꾸지 않고 지지대(26)와 함께 이동하므로, 가이드체(46)는 육묘 상자(A)를 확실하게 하방의 이송 장치(1)에 유도하여, 이송 장치(1)에의 공급 작업의 원활화 및 확실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에서는, 수용 공간(63)에 공급 수용한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군에 있어서, 육묘 상자(A)를 확실하게 하방의 나선체(21)에 유도하여, 이송 장치(1)에의 공급 작업의 원활화 및 확실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서는, 정해진 길이를 갖는 센서(65)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선행 육묘 상자(A)가 하강하면, 선행 육묘 상자(A)가 정해진 위치에 이송될 때까지, 후속 육묘 상자(A)의 하강을 정지시키고, 선행 육묘 상자(A)가 정해진 위치에 이송되면, 후속 육묘 상자(A)를 하강시키기 때문에, 이송 장치(1)에의 공급 작업의 원활화 및 확실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서는, 하강한 육묘 상자(A)의 후부를 지지 롤러(75)에 의해 지지하기 때문에, 육묘 상자(A)의 낙하를 방지하여, 이송 장치(1)에의 공급 작업의 원활화 및 확실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동사시도이다.
도 3은 동정면도이다.
도 4는 동배면도이다.
도 5는 동평면도이다.
도 6은 동측면도이다.
도 7은 동저면도이다.
도 8은 수취 공급부에 의한 육묘 상자의 지지 상태도이다.
도 9는 수취 공급부에 의한 육묘 상자의 지지 상태도이다.
도 10은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의 일부 종단 측면도이다.
도 11은 센서의 작용 상태 측면도이다.
도 12는 수취 공급부에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를 공급한 지지 상태 측면도이다.
도 13은 육묘 상자가 이송 장치로 하강한 상태 측면도이다.
도 14는 이송 장치로 하강한 육묘 상자의 이송 개시 상태 측면도이다.
도 15는 후속 육묘 상자의 하강 상태 측면도이다.
도 16은 후속 육묘 상자의 하강 상태 측면도이다.
도 17은 후속 육묘 상자가 이송 장치로 하강한 상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1은 육묘 상자(A)를 시단부로부터 종단부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이고, 지지 레그(도시 생략)를 갖는 이송대(도시 생략), 즉 육묘 상자(A)를 이송하는 이송 롤 혹은 이송 벨트에 의해 구성되는 이송 수단(2)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육묘 상자(A)는, 상면이 개방되고 정해진 깊이를 갖는 소위 인출 형상 이고, 바닥판(5)과 좌우 측벽(6)과 전후벽(7)을 갖는다. 8은 바닥판(5)의 하면의 바닥 리브, 9는 측벽(6) 및 전후벽(7)에 설치한 사이드 리브이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상기 육묘 상자(A)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좌우의 방향 혹은 위치를 설명하지만, 이들에 의해 구성이 한정되는 경우는 없다.
상기 이송 장치(1)의 시단부에는, 상기 육묘 상자(A)를 1개씩 공급하는 육묘 상자 공급 장치(10)를 설치한다. 육묘 상자 공급 장치(10)는 상기 이송 장치(1)의 이송 수단(이송대)(2)의 시단부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 프레임(11)을 갖는다. 상부 프레임(11)은, 전후방 프레임(12, 13)과, 좌우 프레임(14, 15)을 갖고 상기 육묘 상자(A)가 하방으로 강하할 수 있게 바닥이 없는 상태로 형성한다.
상부 프레임(11)에는 지지 레그(16)를 설치하고, 플로어 상에 올려놓는다. 지지 레그(16)는 상하로 신축 가능한 구성이며, 상기 이송 장치(1)의 이송 수단(2)의 높이에 따라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11)에는, 복수단으로 중첩한 육묘 상자(A)군을 수취하여, 1개씩 상기 이송 장치(1)에 공급하는 수취 공급부(20)를 형성한다. 수취 공급부(20)는, 좌우 한쌍의 나선체(21)를 전후 한 쌍 설치하여 구성된다. 나선체(21)는 보스(22)의 외주에 나선익(23)이 설치된다. 나선익(23)의 피치는 상기 육묘 상자(A)의 상하 높이(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나선익(23)의 최상단부의 부분은, 중첩한 육묘 상자(A)군을 수취하기 위한 대략 수평의 평면부(24)로 형성된다.
나선체(21)는, 보스(22)에 이경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고, 보스(22)의 이경 구멍이 이경축(각축·타원축)(25)에 상방으로부터 감합되어 부착된다. 이경축(25)은 지지대(26)에 회전 가능하게 축 장착된다. 지지대(26)는 상하 한 쌍의 전후 방향의 안내축(27)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경축(25)의 하부는 지지대(26)에 축 장착되어 하방으로 돌출하고, 지지대(26) 내의 이경축(25)에는 종동 베벨 기어(28)가 각각 부착된다. 종동 베벨 기어(28)에는 구동축(29)에 설치된 구동 베벨 기어(30)가 맞물린다. 구동 베벨 기어(30)는, 지지대(26)에 설치된 수용 부재(3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구동축(29)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다(도 7).
이 때문에, 구동 베벨 기어(30)는 구동축(29)의 축방향으로 지지대(26)와 함께 이동 가능하여, 어떤 위치에서도, 종동 베벨 기어(28)에 맞물려 나선체(21)에 회전을 전달한다.
상기 안내축(27)의 전후 양단은, 상부 프레임(11)의 전방 프레임(12)과 후방 프레임(13)에 부착한다.
상기 구동축(29)의 전후 양단은, 상부 프레임(11)의 전방 프레임(12)과 후방 프레임(13)에 축 장착된다. 구동축(29)의 후단은 후방 프레임(13)보다 후방으로 돌출하고, 구동축(29)에 구동 전달 기어(35)가 각각 설치된다. 좌우의 구동축(29) 중 어느 일방의 구동축(29)의 하방에는 구동 모터(36)를 설치하고, 구동 모터(36)의 출력 기어(37)와 상기 각 구동 전달 기어(35)에 체인(38)을 걸어 감는다.
구동 모터(36)는, 후방 프레임(13)에 고정된 부착 부재(41)에, 상부 프레임(1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부착된다.
39는 텐션 기어이고, 텐션 기어(39)는 텐션 아암(40)의 일단에 설치되고, 텐션 아암(40)의 중간부가 부착 부재(41)에 축(4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텐션 아암(40)의 타단에는 조절구(볼트)(43)가 부착된다.
이와 같이, 텐션 기어(39)를 구동 전달 기어(35)의 상방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텐션 기어(39)에는 체인(38)의 자중이 가해져 항상 하강하도록 압박되게 되고, 조절구(43)에 의해 텐션 아암(40)을 눌러 내림으로써 체인(38)의 당김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부착 부재(41)에는, 상기 구동 모터(36)의 메인 스위치(45)를 설치한다. 육묘 상자(A)의 강하를 개시시키는 스타트 스위치와, 긴급 정지용의 스위치를 겸용한다.
상기 각 지지대(26)에는, 가이드체(46)를 설치한다. 가이드체(46)는, 선단이 상방을 이를수록 외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상부 경사부(47)로 형성되고, 상부 경사부(47)의 하방은 대략 수직의 안내부(48)로 형성되고, 안내부(48)의 하부는 안내부(48)의 내연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하부 안내부(49)로 형성된다. 49A는 안내부(48)와 하부 안내부(49) 사이에 설치한 단차부이다.
하부 안내부(49)는 상기 나선체(21)의 나선익(23)의 하단보다 하방 부분의 가이드체(46)에 형성된다.
가이드체(46)는 나선체(21)가 하강시키는 육묘 상자(A)를 유도하는 것이고, 나선체(21)에 의한 하강이 종료된 육묘 상자(A)의 낙하에 가이드체(46)가 간섭하지 않도록, 안내부(48)의 하방에 하부 안내부(49)를 형성하고 있다.
가이드체(46)는 부착판(50)에 고정되고, 부착판(50)은 상기 지지대(26)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51은 볼트이다.
상기 구동 모터(36)를 설치하지 않은 측(좌측)의 안내축(27) 및 구동축(29)은 부착판(53)에 축 장착되고, 부착판(53)은 상부 프레임(11)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볼트(54)에 의해 부착된다. 좌우 폭이 상이한 육묘 상자(A)를 공급할 때에, 나선체(21)와 가이드체(46)의 좌우의 위치 맞춤을 행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11)의 좌우 어느 일측에는 상방으로 기립하는 기립 가이드(60)를 설치한다. 실시예에서는 반구동 모터(36)측의 상부 프레임(11)에 기립 가이드를 설치하고 있다. 기립 가이드(60)는 전후 한 쌍의 세로 막대(61)를 가로 막대(62)에 의해 연결하여 형성한다. 기립 가이드(60)는, 수취 공급부(20)의 상방에 단으로 쌓은 빈 육묘 상자(A)군의 수용 공간(63)이 형성되고, 수용 공간(63)의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군을 수취 공급부(20)의 가이드체(46)까지 유도한다.
상기 세로 막대(61)는 단면 L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전후의 세로 막대(61) 중 전측의 세로 막대(61)의 내면은 단으로 쌓은 공급 육묘 상자(A)군의 전면에 접촉하여 전진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64)가 된다.
이 때문에, 기립 가이드(60)는, 전후의 세로 막대(61)의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가로 막대(62)에 부착되고, 전후의 세로 막대(61) 중 전측의 세로 막대(61)를, 상부 프레임(11)의 전방 프레임(12)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64A는 세로 막대(61) 부착용 볼트, 64B는 세로 막대(61) 이동용 긴 구멍이다.
상부 프레임(11)의 후방 프레임(13)에는, 구동 모터(36)의 구동을 온오프시키는 센서(65)를 설치한다. 센서(65)는 기부가 스테이(66)에 축(6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68은 센서(65)를 항상 상방으로 압박하는 스프링, 69는 스토퍼, 70은 스위치를 나타낸다.
센서(65)는, 육묘 상자(A)가 비접촉 상태일 때 「온」이 되고, 육묘 상자(A)가 접촉 상태일 때 「오프」가 된다.
센서(65)는 정해진 길이를 가지며, 또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도 11), 수취 공급부(20)로부터 1장의 육묘 상자(A)가 정해진 위치까지 강하하면, 육묘 상자(A)에 접촉하여, 이 선행 육묘 상자(A)가 이송 장치(1)에 의해 정해진 위치까지 이송되고, 다음의 후속 육묘 상자(A)를 이송 장치(1)가 수용 가능한 상태로 될 때까지, 선행 육묘 상자(A)에 접촉하도록 구성한다(도 12∼도 14).
도 12∼도 17에서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육묘 상자(A)에 사선을 그었지만, 이것에 의해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상부 프레임(11)의 후방 프레임(13)에는, 지지 롤러(75)를 설치한다. 수취 공급부(20)로부터 강하하는 육묘 상자(A)의 후부를 지지한다.
수취 공급부(20)에 의해 강하 공급되는 육묘 상자(A)는, 1장째에서는 수평으로 강하하지만, 2장째는 수평으로 강하한 후에, 선행 육묘 상자(A)가 이송됨에 따라, 후속 육묘 상자(A)의 전측이 선행 육묘 상자(A)에 얹힌 상태가 되어, 전측 상방으로 경사져 낙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지지 롤러(75)에 의해 육묘 상자(A)의 후부를 지지한다.
또한, 2장째 육묘 상자(A)가 강하되어 기울어진 상태의 정지 중에, 3장째의 육묘 상자(A)를 수용할 때까지, 구동 모터(36)를 정지시키기 위해, 기울어진 2장째 육묘 상자(A)와 센서(65)의 접촉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어, 지지 롤러(75)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서 육묘 상자(A)의 후부를 지지함으로써, 센서(65)에 대한 육묘 상자(A)의 위치 결정 작용을 한다.
이 때문에, 이송 장치(1)측에 이송 수단을 설치하고 있는데, 육묘 상자 공급 장치(10)의 상부 프레임(11)에 지지 롤러(75)를 부착하여, 센서(65)와 지지 롤러(75)의 위치 관계가 변화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후방 프레임(13)에 부착 부재(76)의 기부를 부착하고, 부착 부재(76)의 선단에 지지 롤러(75)의 부착축(77)을 회전 가능하게 축 장착하여 부착한다.
80은 이송 장치(1)의 이송대의 프레임에 상방으로부터 감합되어 육묘 상자 공급 장치(10)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부재이다.
(실시예의 작용)
육묘 상자(A)를 시단부로부터 종단부로 이송하는 이송 수단을 갖는 육묘 상자 이송 장치(1)의 시단부 상방 위치에, 육묘 상자(A)를 1개씩 공급하는 수취 공급부(20)가 형성된 상부 프레임(11)을 갖는 육묘 상자 공급 장치(10)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11)은, 지지 레그(16)에 의해 플로어 상에 설치되고, 바닥이 없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11)의 상방에 상기 수취 공급부(20)가 상기 이송 장치(1)에 육묘 상자(A)를 1개씩 공급하는 복수 단으로 쌓은 빈 육묘 상자(A)군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63)을 형성하고, 상기 수취 공급부(20)는, 최상단부의 부분이 중첩된 육묘 상자(A)군을 수취하기 위한 대략 수평의 평면부(24)로 형성된 나선익(23)을 갖는 나선체(21)를, 전후 한 쌍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단으로 쌓은 빈 육묘 상자(A)군을 수취 공급부(20)의 4개의 나선체(21)의 나선익(23)의 평면부(24) 상에 올려놓는다.
이 경우, 수취 공급부(20)는 좌우 양측에 나선체(21)를 전후 한 쌍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육묘 상자(A)군은 전후 좌우의 4개소가 지지되어 대기한다.
다음으로, 구동 모터(36)를 구동하면, 나선체(21)가 회전하여, 각 단의 나선익(23)이 육묘 상자(A)를 각각 지지하면서 하강시키고(도 12), 최하단의 나선익(23)으로부터 육묘 상자(A)의 하면이 이탈하면, 최하단의 육묘 상자(A)는 이송 장치(1)의 시단부에 낙하 공급된다(도 13).
이것을 반복하여, 각 단의 나선익(23)이 지지하는 육묘 상자(A)를 1장(1개)씩 공급한다.
수취 공급부(20)는, 나선체(21)가 보스(22)의 외주에 나선익(23)이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나선체(21)는 나선익(23)의 상면이 육묘 상자(A)의 사이드 리브(9)의 바닥면을 지지하여, 지지 면적을 넓게 할 수 있어, 육묘 상자(A)를 안정된 상태로 확실하게 지지한다.
나선익(23)의 피치가, 복수 중첩된 1장째의 육묘 상자(A)의 사이드 리브(9)의 상하 피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최하단의 나선익(23)이 지지하는 육묘 상자(A)와 아래로부터 2단째의 육묘 상자(A)의 하면 사이에 간극(L)이 형성된다(도 9).
이 때문에, 복수단으로 중첩한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군 중, 최하단의 육묘 상자(A)를 이송 장치(1)에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나선익(23)의 피치를 상하의 육묘 상자(A)의 사이드 리브(9)의 상하 피치보다 크게 형성하면, 나선체(21)의 최상단부의 나선익(23)이 사이드 리브(9)의 측면에 접촉하는 경우가 있는데, 본원에서는, 나선체(21)의 최상단부의 나선익(23) 부분은, 대략 수평의 평면부(24)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최상단부의 평면부(24)와 위로부터 2단째의 나선익(23)의 피치는 중간 부분의 피치보다 좁아져, 평면부(24)가 확실하게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군의 상하 간극(T)에 들어간다(도 8).
이와 같이, 나선체(21)는, 나선익(23)의 피치를 상하의 육묘 상자(A)의 사이드 리브(9)의 상하 피치보다 크게 형성하고 있는 점과, 나선체(21)의 최상단부의 나선익(23) 부분이, 대략 수평의 평면부(24)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어느 정도 상하 높이가 상이한 육묘 상자(A)의 이송 장치(1)에 대한 공급이 가능해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나선체(21)는, 보스(22)에 형성된 이경 구멍을 이경축(25)에 상방으로부터 감합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나선익(23)의 피치보다 상하로 중첩한 육묘 상자(A)의 사이드 리브(9)의 상하 피치 쪽이 클 때에는, 적절한 나선체(21)로 교환하여 작업을 행한다.
그 때문에, 작업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나선체(21)는, 상하 한 쌍의 안내축(27)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지지대(26)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수취 공급부(20)를 지지대(26)마다 안내축(27)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나선체(21)의 나선익(23)의 평면부(24)가 육묘 상자(A)의 사이드 리브(9)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위치 맞춤을 행한다.
이 때문에, 사이드 리브(9)의 형상이 상이한 육묘 상자(A)를 이송 장치(1)에 공급할 수 있다.
나선체(21)의 이경축(25)은 지지대(26)에 축 장착되고, 이경축(25)의 종동 베벨 기어(28)에 구동축(29)의 구동 베벨 기어(30)가 맞물리고, 구동축(29)의 구동 전달 기어(35)와 구동 모터(36)의 출력 기어(37)에 체인(38)을 걸어 감고 있기 때문에, 구동 모터(36)를 구동하면, 나선체(21)가 회전하여 육묘 상자(A)를 강하시킨다.
육묘 상자(A)를 1단 강하시켜 이송 장치(1)에 공급하면, 센서(65)가 이것을 검지하여 구동 모터(36)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센서(65)가 육묘 상자(A)를 감지하지 않는 비감지 상태가 되면, 다시 구동 모터(36)를 구동하여, 육묘 상자(A)를 이송 장치(1)에 공급하며, 이것을 반복한다.
구동 모터(36)는, 후방 프레임(13)에 고정된 부착 부재(41)에, 상부 프레임(1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구동 모터(36)는 상부 프레임(11)의 투영 내에 위치하여, 육묘 상자 공급 장치(10)에의,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의 공급 작업을 방해하지 않아, 작업이 원활하게 된다.
부착 부재(41)에는 구동 모터(36)의 메인 스위치(45)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구동 모터(36)와의 배선이 짧게 되며, 육묘 상자(A)의 이송 방향의 후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메인 스위치(45)의 조작 중에 이송 장치(1)에 의한 육묘 상자(A)의 이송을 시인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동 모터(36)의 출력 기어(37)의 상방에 구동 전달 기어(35)를 설치하고, 구동 전달 기어(35)의 상방에 텐션 기어(39)를 설치하고, 텐션 기어(39)의 상방에 체인(38)을 걸어 감고 있기 때문에, 텐션 기어(39)에는 항상 체인(38)의 이완 방향의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텐션 기어(39)가 텐션 아암(40)의 일단에 설치되고, 텐션 아암(40)의 중간부가 부착 부재(41)에 축(4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텐션 아암(40)의 타단에는 상방으로부터 조절구(43)의 하단이 접촉한다.
이 때문에, 텐션 기어(39)에는 체인(38)의 이완 방향의 하중이 가해져 항상 하강하도록 압박되고, 조절구(43)에 의해 텐션 아암(40)을 눌러 내림으로써 체인(38)의 당김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텐션 기어(39)에 압박용 스프링을 생략할 수 있어, 간소한 구성이 된다.
또한, 부착 부재(41)에, 우측의 구동 전달 기어(35)와 출력 기어(37)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부착 부재(41)가 구동 모터(36) 및 우측의 전동 기구의 부착 부재를 겸용하여,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다.
각 지지대(26)의 나선체(21)의 근방에는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의 일부를 나선체(21)에 유도하는 가이드체(46)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는 가이드체(46)에 의해 유도되면서 강하하여, 이송 장치(1)에 확실하게 육묘 상자(A)가 공급된다.
가이드체(46)는, 선단이 상방에 이를수록 외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상부 경사부(47)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를 가이드체(46)에 의해 나선체(21)의 나선익(23)에 확실하게 유도하여, 나선익(23)에 의한 육묘 상자(A)의 강하를 안정시킬 수 있다.
가이드체(46)의 상부 경사부(47)의 하방은 대략 수직의 안내부(48)에 형성하고, 안내부(48)의 하부에는 안내부(48)의 내연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하부 안내부(49)에 형성하고 있고, 하부 안내부(49)는 나선익(23) 중 최하단부의 하방에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나선익(23)으로부터 이탈한 육묘 상자(A)는, 원활하게 이송 장치(1) 상에 낙하 공급된다.
즉, 최하단부의 나선익(23)으로부터 이탈한 육묘 상자(A)는, 비스듬히 떨어지는 경우가 있지만, 안내부(48)보다 하부 안내부(49)를 외측에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이송 장치(1)에 대한 육묘 상자(A)의 낙하 공급이 원활하게 된다.
가이드체(46)는 부착판(50)에 고정되고, 부착판(50)이 지지대(26)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육묘 상자(A)의 좌우 폭에 따라 가이드체(46)를 이동시켜, 나선체(21)에 대한 육묘 상자(A)의 유도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 좌우 폭이 상이한 육묘 상자(A)의 공급에 대응할 수 있다.
구동 모터(36)를 설치하지 않은 측의 안내축(27) 및 구동축(29)은 부착판(53)에 축 장착되고, 부착판(53)은 상부 프레임(11)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볼트(54)에 의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폭이 상이한 육묘 상자(A)를 공급할 때에, 부착판(53)을 상부 프레임(11)에 대하여 이동시켜, 나선체(21)와 가이드체(46)의 좌우의 위치 맞춤을 행한다.
상부 프레임(11)의 좌우 어느 일측에는, 전후 한 쌍의 세로 막대(61)를 가로 막대(62)에 의해 연결하여 상방으로 기립하는 기립 가이드(60)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수취 공급부(20)의 나선체(21)의 근방에 설치한 가이드체(46)보다 상방의 수용 공간(63)에 단으로 쌓은 빈 육묘 상자(A)군을 공급하면, 이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군을 수취 공급부(20)의 가이드체(46)까지 유도한다.
세로 막대(61)는 단면 L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후의 세로 막대(61) 중 전측의 세로 막대(61)의 내면의 스토퍼(64)가 단으로 쌓은 공급 육묘 상자(A)군의 전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이송 장치(1)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육묘 상자(A)가 단으로 쌓은 공급 육묘 상자(A)군의 하면에 접촉하더라도, 스토퍼(64)에 의해 육묘 상자(A)군의 전진 이동이 저지된다.
기립 가이드(60)는, 전후의 세로 막대(61)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게 가로 막대(62)에 부착되고, 전후의 세로 막대(61) 중 전측의 세로 막대(61)를, 상부 프레임(11)의 전방 프레임(12)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전후 길이가 상이한 육묘 상자(A)에도 대응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의 후방 프레임(13)에는, 구동 모터(36)의 구동을 온오프시키는 센서(65)를 설치하고, 센서(65)는 항상 상방 회동하도록 압박되고, 스토퍼(69)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 대기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 개시 전에는 육묘 상자(A)와 센서(65)의 비접촉 상태에서, 센서(65)는 「온」 상태이지만, 메인 스위치(45)가 「오프」이기 때문에, 수취 공급부(20)의 나선체(21)는 회전 정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수용 공간(63)에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군을 공급한다.
다음으로, 메인 스위치(45)를 「온」으로 하면, 나선체(21)가 회전하여,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군 전체를 하강시키고, 수취 공급부(20)로부터 최하단의 육묘 상자(A)가 이송 장치(1) 상의 정해진 위치까지 강하하면, 육묘 상자(A)는 센서(65)에 접촉하여(도 15의 아래로부터 2단째의 육묘 상자(A)가 이 상태를 나타냄), 구동 모터(36)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즉, 최하단의 나선익(23)으로부터 육묘 상자(A)가 강하하면, 센서(65)가 감지하여, 이송 장치(1)가 최하단의 선행 육묘 상자(A)가 정해진 위치까지 이송될 때까지, 구동 모터(36)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도 13이 선행 육묘 상자(A)가 이송 장치(1)로 강하한 상태이고, 도 14에서 선행 육묘 상자(A)가 약간 전진하면, 센서(65)가 육묘 상자(A)를 감지하지 않는 비감지 상태가 되어, 다시 구동 모터(36)를 구동하여, 육묘 상자(A)를 강하시켜 도 15의 상태가 된다.
센서(65)는 정해진 길이를 가지며, 또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선행 육묘 상자(A)가 이송 장치(1)에 의해 정해진 위치까지 이송되고, 다음의 후속 육묘 상자(A)를 이송 장치(1)가 수용할 수 있는 상태로 될 때까지, 선행 육묘 상자(A)의 후단에 센서(65)가 접촉하고 있다(도 13∼도 15).
다음으로, 최하단의 선행 육묘 상자(A)가 정해진 위치까지 이송되어, 선행 육묘 상자(A)의 후단으로부터 센서(65)가 분리되면, 구동 모터(36)에 대한 통전을 「온」으로 하여,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군 전체를 하강시켜, 후속 육묘 상자(A)를 이송 장치(1)에 공급하고, 이 작업을 반복하여,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군을 1장씩 이송 장치(1)에 공급한다.
수취 공급부(20)에 의해 강하 공급되는 육묘 상자(A)는, 수평으로 강하하여 상하로 중첩되기 때문에, 강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하로 중첩된 2장의 육묘 상자(A)는, 선행 육묘 상자(A)의 이송 개시에 의해, 후속 육묘 상자(A)가 전측 상방으로 경사지지만, 상부 프레임(11)의 후방 프레임(13)에는, 지지 롤러(75)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취 공급부(20)로부터 강하하는 육묘 상자(A)의 후부를 지지 롤러(75)가 지지한다.
이 때문에, 수취 공급부(20)로부터 강하하는 육묘 상자(A)의 이송 장치(1)에의 공급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선행 육묘 상자(A)에는 1장분의 빈 후속 육묘 상자(A)의 중량밖에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이송 장치(1)는 원활하고 확실하게 육묘 상자(A)를 이송한다.
또한, 3장째의 육묘 상자(A)를 수용할 때까지, 강하중인 경사 자세의 2장째 육묘 상자(A)를 구동 모터(36)를 정지시켜, 경사 자세로 센서(65)의 접촉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지만, 지지 롤러(75)에 의해 육묘 상자(A)의 후부를 지지함으로써, 경사 자세에서의 센서(65)와의 접촉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지지 롤러(75)는 센서(65)에 대한 육묘 상자(A)의 위치 결정 작용을 한다.
이 때문에, 이송 장치(1)의 후단은, 상부 프레임(11)의 후방 프레임(13)로부터 정해진 간격을 둔 전방에 위치되게 되고, 이송 장치(1)의 후단과 후방 프레임(13) 사이에 지지 롤러(75)를 설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송 장치(1)측에 이송 수단이 존재하지만, 육묘 상자 공급 장치(10)의 상부 프레임(11)에 지지 롤러(75)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센서(65)와 지지 롤러(75)의 위치 관계가 변화되지 않고, 이송 장치(1)에의 육묘 상자(A)의 공급을 확실하게 하고 있다.
1 : 이송 장치, 2 : 이송 수단, 5 : 바닥판, 6 : 측벽, 7 : 전후벽, 8 : 바닥 리브, 9 : 사이드 리브, 10 : 육묘 상자 공급 장치, 11 : 상부 프레임, 12 : 전방 프레임, 13 : 후방 프레임, 14 : 좌측 프레임, 15 : 우측 프레임, 16 : 지지 레그, 20 : 수취 공급부, 21 : 나선체, 22 : 보스, 23 : 나선익, 25 : 이경축, 26 : 지지대, 27 : 안내축, 28 : 종동 베벨 기어, 29 : 구동축, 30 : 구동 베벨 기어, 31 : 수용 부재, 35 : 구동 전달 기어, 36 : 구동 모터, 37 : 출력 기어, 38 : 체인, 39 : 텐션 기어, 40 : 텐션 아암, 41 : 부착 부재, 42 : 축, 43 : 조절구, 45 : 메인 스위치, 46 : 가이드체, 47 : 상부 경사부, 48 : 안내부, 49 : 하부 안내부, 50 : 부착판, 51 : 볼트, 53 : 부착판, 54 : 볼트, 60 : 기립 가이드, 61 : 세로 막대, 62 : 가로 막대, 63 : 수용 공간, 64 : 스토퍼, 65 : 센서, 66 : 스테이, 67 : 축, 68 : 스프링, 69 : 스토퍼, 75 : 지지 롤러.

Claims (11)

  1. 육묘 상자(A)를 시단부로부터 종단부로 이송하는 이송 수단을 갖는 육묘 상자 이송 장치(1)의 시단부 상방 위치에 설치되며, 육묘 상자(A)를 1장씩 공급하는 수취 공급부(20)를 설치한 육묘 상자 공급 장치(10)로서,
    상기 육묘 상자 공급 장치(10)는, 바닥이 없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지 레그(16)에 의해 플로어 상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11)에, 상기 상부 프레임(11)의 상방에 형성된 수용 공간(63)에 수용된, 복수단으로 쌓은 빈 육묘 상자(A)군을 수취하여, 상기 이송 장치(1)에 1장씩 공급하는 상기 수취 공급부(20)를 형성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취 공급부(20)는, 상기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군을 수취하여 하강시키는 나선익(23)을 갖는 나선체(21)를, 상기 육묘 상자 이송 장치(1)의 육묘 상자(A)의 이송 방향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11)에 전후 한쌍 설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나선체(21)의 최상단부의 나선익(23)에는, 중첩된 육묘 상자(A)군을 수취하기 위한 수평의 평면부(24)를 형성한 것인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체(21)는, 보스(22)의 외주에 나선익(23)이 설치되고, 보스(22)가 상부 프레임(11)에 설치한 안내축(27)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지지대(26)의 이경축(異徑軸)(25)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나선체(21)는, 나선익(23)의 피치가 상기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의 사이드 리브(9)의 상하 피치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의 사이드 리브(9)의 상하 피치에 대응한 피치로 형성된 나선익(23)을 갖는 나선체(21)를 복수 준비하고, 선택하여 장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각 나선체(21)의 이경축(25)에는 구동축(29)의 구동 베벨 기어(30)에 맞물리는 종동 베벨 기어(28)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구동 베벨 기어(30)는 상기 지지대(26)와 구동축(29)의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각 구동축(29)에 설치된 구동 전달 기어(35)와 구동 모터(36)의 출력 기어(37)에 체인(38)을 걸어 감고, 상기 구동 모터(36)의 출력 기어(37)의 상방에 구동 전달 기어(35)를 설치하고, 상기 출력 기어(37)의 상방에 텐션 기어(39)를 설치하고, 상기 텐션 기어(39)는, 상기 텐션 기어(39)의 상면측에 상기 체인(38)을 걸어 감고, 이에 의해 텐션 아암(40)의 타단을 조절구(43)에 의해 내림으로써 스프링을 생략하여 체인(38)을 긴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 모터(36)는, 상기 구동 모터(36)의 메인 스위치(45)를 설치한 부착 부재(41)에 의해 상부 프레임(11)의 후방 프레임(13)의 전면측에 부착되며, 상기 나선체(21)는 상부 프레임(11)에 설치한 이경축(25)에 부착되고, 상기 이경축(25)에는 상부가 외측으로 경사진 상부 경사부(47)를 갖는 가이드체(46)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11)에는, 상기 구동 모터(36)의 구동을 온오프시키는 센서(65)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11)의 후방 프레임(13)에는, 상기 이송 장치(1)의 후단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수취 공급부(20)로부터 강하하는 육묘 상자(A)의 후부를 지지하는 지지 롤러(75)가 설치된 것인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체(21)는, 보스(22)의 외주에 나선익(23)이 설치되고, 보스(22)가 상부 프레임(11)에 설치한 안내축(27)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지지대(26)의 이경축(25)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것인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체(21)는, 나선익(23)의 피치를 상기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의 사이드 리브(9)의 상하 피치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 단으로 쌓은 육묘 상자(A)의 사이드 리브(9)의 상하 피치에 대응한 피치로 형성된 나선익(23)을 갖는 나선체(21)를 복수 준비하고, 선택하여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인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나선체(21)의 이경축(25)에는 구동축(29)의 구동 베벨 기어(30)에 맞물리는 종동 베벨 기어(28)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구동 베벨 기어(30)는 상기 구동축(29)의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각 구동축(29)에 설치한 구동 전달 기어(35)와 구동 모터(36)의 출력 기어(37)에 체인(38)을 걸어 감은 것인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36)의 출력 기어(37)의 상방에 구동 전달 기어(35)를 설치하고, 상기 출력 기어(37)의 상방에 텐션 기어(39)를 설치하고, 상기 텐션 기어(39)는 텐션 아암(40)의 일단에 부착되고, 텐션 아암(40)의 중간부를 상부 프레임(11)측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텐션 기어(39)는, 상기 텐션 기어(39)의 상면측에 상기 체인(38)을 걸어 감고, 이에 의해, 텐션 아암(40)의 타단을 조절구(43)에 의해 내림으로써 스프링을 생략하고 체인(38)을 긴장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체(21)는 상부 프레임(11)에 육묘 상자(A)의 이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지지대(26)에 부착되고, 상기 지지대(26)에는, 상부가 외측으로 경사진 상부 경사부(47)를 갖는 가이드체(46)를 설치한 것인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11)의 좌우 어느 일측에는, 전후 한쌍의 세로 막대(61)를 가로 막대(62)에 의해 연결하여 상방으로 기립하는 기립 가이드(60)를 설치한 것인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11)의 후방 프레임(13)에는, 나선체(21)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36)의 구동을 온오프시키는 센서(65)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65)는 정해진 길이를 갖고 항상 상방 회동하도록 압박되며, 스토퍼(69)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 대기하며, 센서(65)와 육묘 상자(A)가 비접촉 상태일 때 구동 모터(36)를 「온」으로 하고, 육묘 상자(A)와 센서(65)가 접촉 상태일 때 구동 모터를 「오프」로 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11)의 후방 프레임(13)은, 상기 이송 장치(1)의 후단의 후방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이송 장치(1)의 후단과 후방 프레임(13) 사이에 수취 공급부(20)로부터 강하하는 육묘 상자(A)의 후부를 지지하는 지지 롤러(75)를 설치한 것인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
KR1020130134057A 2013-03-19 2013-11-06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 KR1015586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56857 2013-03-19
JP2013056857A JP6166918B2 (ja) 2013-03-19 2013-03-19 育苗箱自動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729A KR20140114729A (ko) 2014-09-29
KR101558670B1 true KR101558670B1 (ko) 2015-10-07

Family

ID=5154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057A KR101558670B1 (ko) 2013-03-19 2013-11-06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166918B2 (ko)
KR (1) KR101558670B1 (ko)
CN (1) CN1040582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1050B (zh) * 2014-11-20 2016-08-31 刘丙炎 营养钵自动分离装土联动装置
JP6550248B2 (ja) * 2015-03-27 2019-07-24 株式会社スズテック 育苗箱自動供給装置
JP6552103B2 (ja) * 2015-10-16 2019-07-31 株式会社スズテック 育苗箱補給装置および育苗箱補給方法
CN105668253A (zh) * 2016-03-31 2016-06-15 佛山市必硕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层叠物分离机构
CN107027399A (zh) * 2016-12-23 2017-08-11 广西澜光科技有限公司 一种双行秧盘摆盘机构
CN107306556B (zh) * 2017-07-11 2023-12-05 成都宇亨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种植机种盘交替输送结构
CN107278451B (zh) * 2017-07-11 2023-12-05 成都宇亨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种植机种盘输送结构
KR102019562B1 (ko) * 2017-11-13 2019-09-06 (주)신풍 육묘판 공급장치
CN108657791B (zh) * 2018-05-07 2020-08-18 安徽企路石工程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复合板生产的芯板供料机构
JP7107761B2 (ja) * 2018-06-15 2022-07-27 新明和工業株式会社 塵芥収集車
JP7257033B2 (ja) * 2019-04-10 2023-04-13 株式会社スズテック 育苗容器積み上げ取出方法および育苗容器積み上げ取出装置
JP7294740B2 (ja) * 2019-04-10 2023-06-20 株式会社スズテック 育苗容器積み上げ取出方法および育苗容器積み上げ取出装置
CN112938504A (zh) * 2019-11-26 2021-06-11 苏福生 一种叠加容器自动分离机
CN111332761B (zh) * 2020-05-15 2021-03-09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一种地板分料组件、地板出料装置和地板铺料设备
CN112849956B (zh) * 2020-12-24 2022-09-02 广西财经学院 林业育苗床上料下料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5201A (ja) 2003-12-26 2005-07-14 Koichiro Ueki 育苗箱自動送出し装置
KR200422866Y1 (ko) 2006-05-20 2006-08-02 구진섭 파종기용 육묘상자의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9304A (ja) * 1984-03-21 1985-10-08 井関農機株式会社 播種機用育苗箱自動供給装置
JPS60213629A (ja) * 1984-04-06 1985-10-25 Iseki & Co Ltd 播種機における苗箱供給装置
JPS6328308U (ko) * 1986-08-08 1988-02-24
JPS63139235U (ko) * 1987-02-27 1988-09-13
JPH0427870Y2 (ko) * 1987-06-22 1992-07-06
JP2560783B2 (ja) * 1988-05-19 1996-12-04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箱等の棚積装置
JP3093357B2 (ja) * 1991-09-02 2000-10-03 株式会社スズテック 育苗箱段積供給装置
JP3637614B2 (ja) * 1994-11-21 2005-04-13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箱供給装置
JP3630525B2 (ja) * 1997-05-30 2005-03-16 株式会社クボタ 育苗箱分離装置
JP3864623B2 (ja) * 1999-07-07 2007-01-10 井関農機株式会社 播種プラント
CN1533971B (zh) * 2003-03-31 2010-09-29 株式会社久保田 育苗箱堆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5201A (ja) 2003-12-26 2005-07-14 Koichiro Ueki 育苗箱自動送出し装置
KR200422866Y1 (ko) 2006-05-20 2006-08-02 구진섭 파종기용 육묘상자의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58258B (zh) 2016-05-04
KR20140114729A (ko) 2014-09-29
JP2014180244A (ja) 2014-09-29
CN104058258A (zh) 2014-09-24
JP6166918B2 (ja) 201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670B1 (ko)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
JP2014180244A5 (ko)
ES2739389B2 (es) Maquina formadora de cajas por doblado y encolado con alimentador de planchas de material laminar, y metodo de formacion de cajas de material laminar
JP2007276102A (ja) 棒材供給機および棒材加工システム
CN108637776B (zh) 一种旋转式上下料机
EP3909888B1 (en) Load handling device
EA023225B1 (ru) Машина для сборки картонных коробок
KR101472874B1 (ko) 부품 공급 장치, 부품 실장 장치 및 부품 공급 방법
CN115339849A (zh) 一种管材自动上料装置及激光切管机
KR101929399B1 (ko) 트랜스퍼 로봇
KR101031686B1 (ko) 1열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
CN114055120A (zh) 一种镜片高速旋转组装机构及镜头组装模组
JP7257033B2 (ja) 育苗容器積み上げ取出方法および育苗容器積み上げ取出装置
CN211277034U (zh) 一种能自动下料的激光切割装置
CN115535604B (zh) 料盒下料装置及下料方法
CN111573132A (zh) 供卸料装置
CN208214022U (zh) 一种工件转运料斗、工件转运系统与旋压机
KR100467540B1 (ko) 환봉 자동공급장치
JP6550248B2 (ja) 育苗箱自動供給装置
CN115108083A (zh) 一种自动化铁罐收盖生产线
JP2009298540A (ja) 長尺材の集積装置
JP6196146B2 (ja) 田植機
CN215796911U (zh) 一种切管机自动分料装置及激光切管机设备
JPH05238553A (ja) 育苗箱段積取出装置
KR101869810B1 (ko) 자동 와인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