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810B1 - 자동 와인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와인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810B1
KR101869810B1 KR1020170047929A KR20170047929A KR101869810B1 KR 101869810 B1 KR101869810 B1 KR 101869810B1 KR 1020170047929 A KR1020170047929 A KR 1020170047929A KR 20170047929 A KR20170047929 A KR 20170047929A KR 101869810 B1 KR101869810 B1 KR 101869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ake
winding
lifting
gea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주)서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풍 filed Critical (주)서풍
Priority to KR1020170047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10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for making packages of specified shapes or on specified types of bobbins, tubes, cores, or formers
    • B65H54/20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for making packages of specified shapes or on specified types of bobbins, tubes, cores, or formers forming multiple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2Translation screw-thread mechanisms

Landscapes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자동 와인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권취유니트와 좌우이송유니트, 승강유니트를 지지하는 프레임;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어 다수의 권취릴을 동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권취유니트;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어 각 권취릴에 감기는 소재를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킴으로써 권취릴의 좌우방향으로 고르게 소재가 권취되도록 하는 좌우이송유니트; 좌우이송유니트와 접속되어 좌우이송유니트를 승강시킴으로써 소재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권취릴에 감길 수 있도록 하는 승강유니트;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다수의 권취릴에 동시에 소재를 안정적으로 권취할 수 있게 되므로 소재 권취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와인딩장치 { AUTO WINDING APPARATUS }
본 발명은 자동 와인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모터코어용 동선, 샤시용 모헤어, 로프, 섬유 등의 가늘고 긴 소재를 전기동력을 이용하여 보관릴에 자동으로 감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코어용 동선이나 샤시용 모헤어, 로프, 섬유 등의 가늘고 긴 소재는 원통형 몸체의 양단에 원통형 몸체보다 큰 직경의 이탈방지원판이 마련된 형태의 권취릴에 감아서 보관하거나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이 관계하는 자동 와인딩장치는 상기 가늘고 긴 소재를 권취릴에 자동으로 감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자동 와인딩장치는 대부분 권취모터와 접속되는 권취축에 권취릴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형태를 가지며, 권취릴의 고르게 소재가 감길 수 있도록 소재를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형태의 것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베벨기어와 워엄기어에 의해 모터의 구동력이 로우프를 감게되는 기어축에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게 되며, 또한 모터를 측면판의 일측에 형성하므로써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차량부착판에 의해 본 장치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화물차량용 로우프 와인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를 이용해 유압호스를 자동으로 감고, 바인딩홈을 통해 감긴 유압호스를 묶어 유압호스 정리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근골격계 부상이나 안전사고를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압모스 자동 와인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3107호(2004년 01월 13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1615호(2015년 10월 06일 공개)
그러나 특허문헌 1, 2를 포함한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는 하나의 권취모터를 통해 하나의 권취릴을 회전시키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소재 권취에 필요한 시간 및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등 권취 생산성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는 권취릴의 전체 부위에 소재가 권취되지 않거나 일정한 장력으로 소재가 권취되지 않아 권취 품질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하나의 권취모터를 통해 다수의 권취릴에 소재를 동시에 권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소재의 권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와인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다른 목적이 권취릴의 외주 전체부위에 고르게 소재를 권취할 수 있도록 하고, 일정한 장력으로 소재를 권취할 수 있도록 하여 권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와인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는 권취유니트와 좌우이송유니트, 승강유니트를 지지하는 프레임;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어 다수의 권취릴을 동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권취유니트;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어 각 권취릴에 감기는 소재를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킴으로써 권취릴의 좌우방향으로 고르게 소재가 권취되도록 하는 좌우이송유니트; 좌우이송유니트와 접속되어 좌우이송유니트를 승강시킴으로써 소재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권취릴에 감길 수 있도록 하는 승강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는 프레임이 베이스의 상부 중앙에 한 쌍의 수직지지판이 이격 설치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의 권취유니트는 베이스의 상단 중앙 후방에 설치되는 권취모터; 한 쌍의 수직지지판의 사이의 공간에 상하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는 다수의 제1회전절환 기어박스; 각 제1회전절환 기어박스의 양측에 마련되는 권취축; 각 권취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릴; 권취모터와 그 상부의 제1회전절환 기어박스, 그리고 각 제1회전절환 기어박스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의 좌우이송유니트는 최하부의 수평지지대에 설치되는 이송모터; 베이스의 상부 전방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는 제2회전절환 기어박스; 베이스의 상부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는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지그받침판; 이송모터와 그 상부의 제2회전절환 기어박스, 그리고 각 제2회전절환 기어박스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축; 제2회전절환 기어박스의 양측에 설치되어 지그받침대를 좌우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의 승강유니트는 베이스의 상단 중앙에 설치되는 승강모터; 승강모터에 접속되는 승강스크류; 승강스크류와 나사체결되는 승강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에 의하면, 단 하나의 권취모터를 사용하여 다수의 권취릴에 소재를 동시에 자동으로 권취할 수 있게 되므로 소재의 권취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에 의하면, 각 권취릴에 소재를 권취하는 과정에서 소재를 좌우방향으로 이송시켜 권취릴의 전체 부위에 소재를 골고루 권취할 수 있게 되므로 각 권취릴에 보다 많은 양의 소재를 안정적으로 권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에 의하면, 삭 권취릴에 소재를 권취하는 과정에서 권취직경에 따라 권취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일정한 장력으로 소재를 권취할 수 있게 되어 권취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의 우측면도,
도 5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의 종단면도,
도 6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의 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100)는 프레임(110), 권취유니트(120), 좌우이송유니트(130), 승강유니트(140)를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권취유니트(120)와 좌우이송유니트(130), 승강유니트(140)를 지지하는 것으로, 베이스(111)의 상부 중앙에 한 쌍의 수직지지판(112)이 이격 설치된 형태이다.
베이스(111)의 상단 중앙에는 승강유니트(130)의 승강모터(131), 권취유니트(120)의 권취모터(121)가 설치된다.
권취유니트(120)는 다수의 권취릴(124)을 동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권취모터(121), 제1회전절환 기어박스(122), 권취축(123), 권취릴(124)을 포함한다.
권취모터(121)는 권취릴(124)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111)의 상단 중앙 후방에 고정 설치된다.
제1회전절환 기어박스(122)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권취모터(121)의 회전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권취축(123)의 전후방향 회전으로 절환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수직지지판(112)의 사이의 공간에 상하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열 설치된다.
제1회전절환 기어박스(122)는 베벨기어를 이용하여 회전방향을 절환하는 것으로,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쓰이는 구성요소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권취모터(121)와 그 상부의 제1회전절환 기어박스(122), 그리고 각 제1회전절환 기어박스(122) 사이는 제1연결축(125)을 통해 연결된다.
권취축(123)은 권취릴(124)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각 제1회전절환 기어박스(122)의 양측에 마련된다.
권취축(123)의 일단은 제1회전절환 기어박스(122)에 접속되고, 권취축(123)의 타단은 수직지지판(112)을 관통하여 수직지지판(122)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권취릴(124)은 소재를 감는 것으로, 수직지지판(112)의 외측으로 돌출된 권취축(12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좌우이송유니트(130)는 권취릴(124)에 감기는 소재를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킴으로써 권취릴(124)의 좌우방향으로 고르게 소재가 권취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송모터(131), 제2회전절환 기어박스(132), 수평지지대(133), 지그받침판(134), 이송스크류(136)를 포함한다.
이송모터(131)는 지그받침판(134)을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최하부의 수평지지대(133)에 고정 설치된다.
제2회전절환 기어박스(132)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이송모터(131)의 회전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이송스크류(136)의 전후방향 회전으로 절환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111)의 상부 전방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열 설치된다.
제2회전절환 기어박스(132)는 전술한 제1회전절환 기어박스(122)와 마찬가지로 베벨기어를 이용하여 회전방향을 절환하는 것으로,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쓰이는 구성요소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송모터(131)와 그 상부의 제2회전절환 기어박스(132), 그리고 각 제2회전절환 기어박스(132) 사이는 제2연결축(135)을 통해 연결된다.
수평지지대(133)는 지그받침판(134)의 좌우이송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111)의 상부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열 설치된다.
수평지지대(133)의 상단 전방에는 이송가이드레일(137)이 마련된다.
지그받침판(134)은 권취릴(124)쪽으로 공급되는 소재를 잡아주는 지그(미도시)가 고정되는 것으로, 수평지지대(133)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된다.
지그받침판(134)의 하단 전방은 수평지지대(133)의 이송가이드레일(137)에 좌우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접속된다.
지그받침판(134)의 하단 중앙에는 이송스크류(136)와 접속되는 이송접속블록(138)이 마련된다.
이송스크류(136)는 지그받침판(134)을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제2회전절환 기어박스(132)의 양측에 설치된다.
이송스크류(136)는 지그받침판(134)의 이송접속블록(138)과 나사체결된다.
승강유니트(140)는 이송모터(131)를 포함한 좌우이송유니트(130) 전체를 승강시킴으로써 소재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권취릴(124)에 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승강모터(141), 승강판(142), 승강스크류(143)를 포함한다.
승강모터(141)는 좌우이송유니트(130)를 승강시키는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베이스(111)의 상단 중앙에 설치된다.
승강판(142)은 승강모터(141)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것으로, 수평지지대(134)의 후단 중앙 하부에 설치된다.
승강판(142)은 후면 양측 부위가 수직지지판(112)의 전면에 마련된 승강가이드레일(144)과 접속되어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게 된다.
승강스크류(143)는 승강모터(141)의 전방에 설치되고, 벨트를 통해 승강모터(141)와 접속된다.
승강스크류(143)는 최하부 승강판(142)의 후면에 마련된 숭강접속블록(145)과 나사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100)는 한 쌍의 수직지지판(112)의 외측에 3개의 권취축(123)이 마련되어 모두 6개의 권취릴(124)을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100)에서 권취유니트(120)의 권취모터(121)가 작동되면 총 6개의 권취축(123) 및 그에 장착된 권취릴(124)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소재를 권취하게 된다.
즉, 권취모터(121)의 회전구동력은 3개의 제1회전절환 기어박스(122)에 의해 방향절환되어 6개의 권취축(123)으로 전달되고, 6개의 권취릴(124)을 동시 회전시킨다.
권취릴(124)에 권취되는 소재는 좌우이송유니트(130)의 지그받침판(134)에 설치된 지그(미도시)를 통해 공급된다.
이송유니트(130)는 권취릴(124)에 공급되는 소재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권취릴(124)의 외주에 좌우방향으로 고르게 소재가 권취되도록 한다.
즉, 좌우이송유니트(130)의 이송모터(131)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송모터(131)의 회전구동력이 3개의 제2회전절환 기어박스(122)를 통해 방향절환되어 6개의 이송스크류(136)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각 이송스크류(136)에 접속된 지그받침판(134) 및 지그, 그리고 소재가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소재가 권취릴(124)의 최좌측 또는 최우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이송모터(131)의 회전방향이 반대방향으로 절환되면, 6개의 이송스크류(136)의 회전방향이 반대방향으로 바뀌게 되어 소재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감기게 된다.
한편, 승강유니트(140)는 소재를 권취릴(124)에 감는 과정에서 권취높이를 조절하여 항상 일정한 높이에서 소재가 권취릴(124)에 감길 수 있도록 한다.
즉, 승강유니트(140)의 승강모터(141)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승강모터(141)에 접속된 승강스크류(143)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승강스크류(143)에 접속된 승강판(142) 및 좌우이송유니트(130)가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100에서 승강유니트(140)의 승강모터(141)의 작동은 권취릴(124)의 소재 권취직경에 따라 제어되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권취릴(124)에 소재가 설정된 권취직경으로 권취되면 권취축(123)에서 권취릴(124)를 분리하고 권취릴(134)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한 다음 승강유니트(140)의 승강모터(141)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상승되었던 승강판(142) 및 좌우이송유니트(130)를 최초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100)는 모터코어의 동선, 샤시용 모헤어, 로프, 섬유 그밖의 가늘고 긴 소재를 하나의 권취모터(121)만을 사용하여 동시에 다수의 권취릴(124)에 자동으로 권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100)는 각 권취릴(124)을 통해 소재를 권취하는 과정에서 좌우이송유니트(130)를 통해 소재를 좌우방향으로 이송시켜 가면서 권취릴(124)의 전체 부위에 골고루 소재를 권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와인딩장치(100)는 각 권취릴(124)을 통해 소재를 권취하는 과정에서 승강유니트(140)를 통해 좌우이송유니트(130) 및 소재를 상승시켜 소재 권취직경에 따라 권취높이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소재를 일정한 장력으로 권취릴(124)에 권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자동 와인딩장치
110 : 프레임
111 : 베이스
112 : 수직지지판
120 : 권취유니트
130 : 좌우이송유니트
140 : 승강유니트

Claims (5)

  1. 권취유니트(120)와 좌우이송유니트(130), 승강유니트(140)를 지지하는 프레임(110);
    프레임(110)의 후방에 설치되어 다수의 권취릴(124)을 동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권취유니트(120);
    프레임(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각 권취릴(124)에 감기는 소재를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킴으로써 권취릴(124)의 좌우방향으로 고르게 소재가 권취되도록 하는 좌우이송유니트(130);
    좌우이송유니트(130)와 접속되어 좌우이송유니트(130)를 승강시킴으로써 소재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권취릴(124)에 감길 수 있도록 하는 승강유니트(140);를 포함하되;
    프레임(110)은 베이스(111)의 상부 중앙에 한 쌍의 수직지지판(112)이 이격 설치된 형태이고,
    권취유니트(120)는
    베이스(111)의 상단 중앙 후방에 설치되는 권취모터(121);
    한 쌍의 수직지지판(112)의 사이의 공간에 상하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는 다수의 제1회전절환 기어박스(122);
    각 제1회전절환 기어박스(122)의 양측에 마련되는 권취축(123);
    각 권취축(12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릴(124);
    권취모터(121)와 그 상부의 제1회전절환 기어박스(122), 그리고 각 제1회전절환 기어박스(122)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축(125);을 포함하며,
    좌우이송유니트(130)는
    최하부의 수평지지대(133)에 설치되는 이송모터(131);
    베이스(111)의 상부 전방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는 제2회전절환 기어박스(132);
    베이스(111)의 상부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는 수평지지대(133);
    수평지지대(133)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지그받침판(134);
    이송모터(131)와 그 상부의 제2회전절환 기어박스(132), 그리고 각 제2회전절환 기어박스(132)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축(135);
    제2회전절환 기어박스(132)의 양측에 설치되어 지그받침판(134)을 좌우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136);를 포함하고,
    승강유니트(140)는
    베이스(111)의 상단 중앙에 설치되는 승강모터(141);
    승강모터(141)에 접속되는 승강스크류(143);
    승강스크류(143)와 나사체결되는 승강판(142);를 포함하되;
    지그받침판(134)의 하단 중앙에는 이송스크류(136)와 접속되는 이송접속블록(138)이 마련되고,
    승강판(142)은 수직지지판(112)의 전면에 마련된 승강가이드레일(144)과 접속되며,
    승강스크류(143)는 승강판(142)의 후면에 마련된 숭강접속블록(145)과 나사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와인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47929A 2017-04-13 2017-04-13 자동 와인딩장치 KR101869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929A KR101869810B1 (ko) 2017-04-13 2017-04-13 자동 와인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929A KR101869810B1 (ko) 2017-04-13 2017-04-13 자동 와인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810B1 true KR101869810B1 (ko) 2018-06-21

Family

ID=62806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929A KR101869810B1 (ko) 2017-04-13 2017-04-13 자동 와인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7054A (zh) * 2019-01-23 2019-04-05 上海海事大学 自动绕丝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214A (ko) * 1999-05-19 2000-12-15 정생규 와이어 연속 권취장치
KR20040003107A (ko) 2002-06-25 2004-01-13 이장환 화물차량용 로우프 와인딩장치
KR20150111615A (ko) 2014-03-26 2015-10-06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유압호스 자동 와인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214A (ko) * 1999-05-19 2000-12-15 정생규 와이어 연속 권취장치
KR20040003107A (ko) 2002-06-25 2004-01-13 이장환 화물차량용 로우프 와인딩장치
KR20150111615A (ko) 2014-03-26 2015-10-06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유압호스 자동 와인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7054A (zh) * 2019-01-23 2019-04-05 上海海事大学 自动绕丝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145B1 (ko) 압축선스프링 연마장치 및 연마방법
CN105966953B (zh) 多卷板料同时上料和自动快速转换设备及其快速转换方法
KR101387004B1 (ko) 대형 프레스 자동화 생산라인의 고효율 소재 이송장치
CN105398804A (zh) 一种供料机构
JP2000061562A (ja) トランスファプレス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フィーダの3次元駆動装置
CN105799214A (zh) 一种用于纸板加工自动裁边设备
JP6203133B2 (ja) ロール搬送装置及びロール搬送システム
KR101869810B1 (ko) 자동 와인딩장치
JP2014014903A (ja) ワイヤソー及びそのワイヤソーにおけるワーク加工方法
CN1898045A (zh) 压力机中用于运输工件的传送机
KR101031229B1 (ko) 잉곳용 스퀘어 컷팅장치
CN215944998U (zh) 多功能玻璃铺纸装置
KR20190124958A (ko) 모터 코일 와인딩장치
CN215047239U (zh) 一种切纸机用卷筒放卷架
KR102460439B1 (ko) 타발 장비
CN215092690U (zh) 一种用于磨削设备的上料机构及磨削设备
CN214217617U (zh) 一种放料纠偏装置
KR100868743B1 (ko) 신선기용 권취기의 보빈 자동교체 및 권취장치
JP2004006469A (ja) 電子部品実装装置
KR102015418B1 (ko) 천공기용 본체에 적재한 로드 자동이동장치
CN105058769A (zh) 一种圆筒卷边机
KR101629759B1 (ko) 보빈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제조설비
CN216967117U (zh) 一种切管机用可调节的运输系统
KR101638780B1 (ko) 이동식 nc 레벨 피더 장치
CN107934516A (zh) 升降装置及其翻转式转移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