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686B1 - 1열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 - Google Patents

1열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686B1
KR101031686B1 KR1020090040572A KR20090040572A KR101031686B1 KR 101031686 B1 KR101031686 B1 KR 101031686B1 KR 1020090040572 A KR1020090040572 A KR 1020090040572A KR 20090040572 A KR20090040572 A KR 20090040572A KR 101031686 B1 KR101031686 B1 KR 101031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gear
feed
air cylind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1733A (ko
Inventor
김현화
Original Assignee
김현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화 filed Critical 김현화
Priority to KR1020090040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686B1/ko
Publication of KR20100121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06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winding-up or winding-off several parallel metal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16Unwinding or uncoiling
    • B21C47/22Unwinding coils without reel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코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소재를 프레스 측에 일정한 피치로 공급시키기 위한 1열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는, 전후면에 소재유입구 및 소재배출구가 각각 2열로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각 소재유입구 및 소재배출구측에 2열로 설치되며, 에어실린더의 길이가변에 따라 승하강을 이루는 4개의 상부이송롤; 및 이와 대향 회전됨과 동시에 전동수단을 통해 서보모터와 연결되는 2개의 하부이송롤과; 상기 소재유입구 및 소재배출구측에 2열로 설치되는 각 상하부이송롤 사이에 설치되며, 각 소재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소재를 평평하게 교정하는 레벨링롤과; 상기 각 소재배출구측에 설치된 상하부이송롤의 각 일단에 각각 형성되는 이송롤상부기어 및 이송롤하부기어와; 상기 이송롤상하부기어 측에 각기 대응되도록 상하 위치됨과 동시에 서로 치합된 상태로 상기 이송롤상하부기어와 각기 치합 연결되며, 레벨링롤에 의해 평평하게 교정된 상태로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누적 오차를 방지하여 일정한 길이로 배출되도록 하는 아이들상부기어 및 아이들하부기어와; 상기 이송롤상부기어와 아이들상부기어 및 아이들하부기어를 하나의 구조체로 연결하며, 상기 이송롤상부기어의 상승 분리 후 하강 시 각 기어 간 발생되는 백래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백래시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벨링롤 중 각 상부이송롤 사이에 위치된 상측레벨링롤에는 각 소재유입구측의 상하부이송롤을 통해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누적 오차를 방지하도록 상기 상측레벨링롤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강링크수단이 더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의 각 소재유입구 및 소재배출구측에 2열로 설치된 각 에어실린더의 좌우 양측에는 에어실린더의 길이가변에 따라 승하강을 이루는 상부이송롤에 대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부이송롤밸런스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언코일러, 레벨러 및 롤 피더로 이루어진 통상의 소재공급장치에 비해 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구조 및 크기, 설치면적의 간소화를 이룸과 아울러, 별도의 롤 피더 없이 장치적 간소화를 이룬 상태로 언코일러로부터 하나 이상으로 동시 공급되는 각 소재들을 프레스 등의 가공기계에 일정한 피치로 보다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소재공급장치, 언코일러, 크래들 방식,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 1열 2라인 제어, 1개의 하부이송롤, 2개의 상부이송롤, 승강링크수단, 상부이송롤밸런스수단, 백래시방지수단

Description

1열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The Double NC Roll Feeder for possible single file two line control}
본 발명은 언코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소재를 일정한 피치로 프레스 등에 공급시키기 위한 엔씨 레벨러 피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언코일러(Uncoiler)로부터 공급되는 소재를 별도의 롤 피더(Roll Feeder) 없이 엔씨 레벨러 피더(NC Leveller Feeder)를 통해 프레스 등의 가공기계에 일정한 피치로 공급시킴과 동시에, 상기 엔씨 레벨러 피더의 하우징 전후면에 구비된 소재유입구 및 소재배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하부이송롤 및 상부이송롤 구조를 1축 2라인(Line) 제어 즉, 전동수단인 타임벨트를 이용해 서보모터와 연결된 1개의 하부이송롤 및 이와 대향 회전하되 각기 독립회전을 이루는 2개의 상부이송롤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언코일러, 레벨러 및 롤 피더로 이루어진 통상의 소재공급장치에 비해 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구조 및 크기, 설치면적의 간소화를 이룸과 아울러, 별도의 롤 피더 없이 장치적 간소화를 이룬 상태로 언코일러로부터 하나 이상으로 동시 공급되는 각 소재들을 프레스 등의 가공기계에 일정한 피치로 보다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1열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 등 가공기계에 소재를 일정한 피치로 공급시키기 위하여 소재공급장치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상기 소재공급장치로서 소재가 권취된 소재코일이 안착되며, 모터의 회전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권취된 소재를 레벨러 측에 공급하는 언코일러(Uncoiler)와; 상기 언코일러의 전방(前方)에 위치되며, 상기 언코일러로부터 공급되는 권취 소재를 평평하게 교정하는 레벨러(Leveller)와; 상기 레벨러와 프레스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레벨러를 통해 평평한 상태로 교정된 소재를 프레스 측에 동일 피치로 이송 공급하는 롤 피더(Roll Feeder)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소재공급장치의 경우 1열의 언코일러, 레벨러 및 롤 피더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소재를 2열로 공급시에는 상기와 같이 1열의 소재 공급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소재공급장치를 각기 별도로 이웃하게 설치해야 하는 등 상기와 같이 언코일러, 레벨러 및 롤 피더로 이루어진 통상의 소재공급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복잡해짐과 동시에, 상기 장치의 크기 및 설치면적 역시 커질 수밖에 없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소재공급장치 중 레벨러 및 롤 피더의 경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하부롤 및 상기 하부롤과 대향 회전하는 상부롤이 각기 1개의 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소재코일에 권취되는 소재의 양측면에 톱날의 슬리팅 회전방향에 따라 버어(burr)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각각의 소재를 2열로 상기 상,하부롤을 통해 프레스 측에 이송 공급할 시 상기 버어(burr)의 길이 및 그 형성방향에 따라 상기 하부롤 및 상부롤의 대응 회전에 악영향을 미쳐 상기 상,하 부롤을 통한 소재의 원활한 이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1열의 소재 양측면에 형성된 버어의 길이와 또 다른 1열의 소재 양측면에 형성된 버어의 길이가 서로 다르거나 또는 서로 반대로 형성될 경우 각기 1개의 롤로 이루어진 상부롤과 하부롤에 버어의 길이가 긴 1열의 소재는 대응 접촉이 이루어지지만 이와 반대로 버어의 길이가 짧은 또 다른 1열의 소재는 상대적으로 상부롤과 하부롤에 대응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결과적으로 2열의 소재 공급이 필요한 프레스 측으로 2열의 소재 이송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1열의 소재만 이송 공급되게 되는 등의 문제점 역시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통해 1열의 소재만 프레스 측에 이송 공급되도록 할 경우 프레스 작동을 통한 전체적인 작업시간이 장시간 소요됨과 물론 제품의 생산성 역시 크게 저하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언코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소재를 별도의 롤 피더 없이 엔씨 레벨러 피더를 통해 프레스 등의 가공기계에 일정한 피치로 공급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언코일러, 레벨러 및 롤 피더로 이루어진 통상의 소재공급장치에 비해 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구조 및 크기, 설치면적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하우징의 전후면에 구비된 소재유입구 및 소재배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하부이송롤 및 상부이송롤의 구조를 1축 2라인(Line) 제어 즉, 타임벨트에 의해 서보모터와 연결된 1개의 하부이송롤 및 이와 대향 회전하되 각기 독립회전을 이루는 2개의 상부이송롤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롤 피더 없이 장치적 간소화를 이룬 상태로 언코일러로부터 하나 이상으로 동시 공급되는 각 소재들을 동일한 피치로 프레스 등의 가공기계에 일정한 피치로 보다 원활하게 이송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우 서보모터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1개의 하부이송롤 및 이와 대향 회전하되 각기 독립회전을 이루는 2개의 상부이송롤을 통해 언코일러로부터 하나 이상으로 동시 공급되는 각 소재들을 동일 피치로 프레스 측에 이송 공급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재코일에 권취되는 소재의 양측면에 톱날의 슬리팅 회전방향에 따라 버어(burr)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버어(burr)의 길이 및 형성방향과 관계없이 1개의 하부이송롤 및 이와 대응되어 각기 독립회전을 이루는 2개의 상부이송롤을 통해 각 소재들을 프레스 측에 동일 피치로 원활하게 이송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1열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는, 언코일러를 통해 공급되는 소재를 별도의 롤 피더 없이 프레스 등의 가공기계에 일정한 피치로 공급시키는 엔씨 레벨러 피더에 있어서,
상기 엔씨 레벨러 피더는, 전후면에 소재유입구 및 소재배출구가 각각 2열로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각 소재유입구 및 소재배출구측에 2열로 설치되 며, 에어실린더의 길이가변에 따라 승하강을 이루는 4개의 상부이송롤; 및 이와 대향 회전됨과 동시에 전동수단을 통해 서보모터와 연결되는 2개의 하부이송롤과; 상기 소재유입구 및 소재배출구측에 2열로 설치되는 각 상하부이송롤 사이에 설치되며, 각 소재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소재를 평평하게 교정하는 레벨링롤과; 상기 각 소재배출구측에 설치된 상하부이송롤의 각 일단에 각각 형성되는 이송롤상부기어 및 이송롤하부기어와; 상기 이송롤상하부기어 측에 각기 대응되도록 상하 위치됨과 동시에 서로 치합된 상태로 상기 이송롤상하부기어와 각기 치합 연결되며, 레벨링롤에 의해 평평하게 교정된 상태로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누적 오차를 방지하여 일정한 길이로 배출되도록 하는 아이들상부기어 및 아이들하부기어와; 상기 이송롤상부기어와 아이들상부기어 및 아이들하부기어를 하나의 구조체로 연결하며, 상기 이송롤상부기어의 상승 분리 후 하강 시 각 기어 간 발생되는 백래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백래시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벨링롤 중 각 상부이송롤 사이에 위치된 상측레벨링롤에는 각 소재유입구측의 상하부이송롤을 통해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누적 오차를 방지하도록 상기 상측레벨링롤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강링크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각 소재유입구 및 소재배출구측에 2열로 설치된 각 에어실린더의 좌우 양측에는 에어실린더의 길이가변에 따라 승하강을 이루는 상부이송롤에 대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부이송롤밸런스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경우 언코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소재를 별도의 롤 피더 없이 엔씨 레벨러 피더를 통해 프레스 등의 가공기계에 일정한 피치로 공급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언코일러, 레벨러 및 롤 피더로 이루어진 통상의 소재공급장치에 비해 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구조 및 크기, 설치면적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하우징의 전후면에 구비된 소재유입구 및 소재배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하부이송롤 및 상부이송롤의 구조를 1축 2라인(Line) 제어 즉, 타임벨트에 의해 서보모터와 연결된 1개의 하부이송롤 및 이와 대향 회전하되 각기 독립회전을 이루는 2개의 상부이송롤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롤 피더 없이 장치적 간소화를 이룬 상태로 언코일러로부터 하나 이상으로 동시 공급되는 각 소재들을 동일한 피치로 프레스 등의 가공기계에 일정한 피치로 보다 원활하게 이송 공급할 수 있는 등의 효과 역시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우 서보모터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1개의 하부이송롤 및 이와 대향 회전하되 각기 독립회전을 이루는 2개의 상부이송롤을 통해 언코일러로부터 하나 이상으로 동시 공급되는 각 소재들을 동일 피치로 프레스 측에 이송 공급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재코일에 권취되는 소재의 양측면에 톱날의 슬리팅 회전방향에 따라 버어(burr)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버어(burr)의 길이 및 형성방향과 관계없이 1개의 하부이송롤 및 이와 대응되어 각기 독립회전을 이루는 2개의 상부이송롤을 통해 각 소재들을 프레스 측에 동일 피치로 원활하게 이송 공급시킬 수 있는 효과 등도 있다.
본 발명의 1열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이하,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라 함)을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소재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소재공급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소재공급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재공급장치 중 본 발명에 대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의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 중 승강링크수단의 결합 상태도 및 상부레벨링롤캡의 저면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3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이 적용된 소재공급장치(1)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대한 상기 소재공급장치(1)는, 소재코일(C)에 권취된 띠형태의 판재 소재를 프레스 등의 가공기계에 일정한 피치로 연속 공급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이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재코일(C) 자체가 레벨러(30)의 소재 이송작용과 연동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권취된 소재를 공급하는 언코일러(Uncoiler)(10)와; 상기 언코일러(10)와 프레스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언코일러(10)로부터 공급되는 권취 소재를 평평하게 교정함과 동시에 상기 교정된 소재를 프레스 측에 동일한 피치로 이송 공급하는 레벨러 피더(Leveller Feeder)(30)로 구 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소재공급장치(1)의 경우 언코일러(Uncoiler), 레벨러(Leveller) 및 롤 피더(Roll Feeder)로 이루어진 통상의 소재공급장치에 비해 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구조 및 크기, 설치면적의 간소화를 이룸과 아울러, 별도의 롤 피더 없이 장치적 간소화를 이룬 상태로 언코일러(10)를 통해 공급되는 소재를 프레스 등의 가공기계에 일정한 피치로 보다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레벨러 피더(30)의 경우 하우징(31)의 전후면에 각각 2열로 구비된 소재유입구(32) 및 소재배출구(33)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하부이송롤(35a,35b) 측과 타임벨트(37)에 의해 상호 연결된 서보모터(36)의 제어를 통해 프레스 측에 동일 피치로 이송 공급하는 엔씨 레벨러 피더(NC Leveller Feeder)(30) 즉, 서보모터(36)와 연결되는 1개의 하부이송롤(35a,35b)을 통해 2개의 상부이송롤(34a,34b,34c,34d) 회전을 제어하는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Double NC Leveller Feeder)(30)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30)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소재공급장치(1) 중 상기 언코일러(10)의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씨 레벨러 피더와 동조(同調)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나의 베이스판(5) 상단에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되, 상기 베이스판(5)의 상단 일측에 고정되는 코일안착프레임(11)의 하부에 위치된 2개의 코일안착롤(12a,12b) 중 하나의 코일안착롤(12a)과 서보모터(20)가 직결된 상태로 설치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2개의 코일안착롤(12a,12b)에 평판 소재가 권취된 소재코일(C)을 안착시켜 서보모터(20) 의 회전에 따라 상기 소재코일(C)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권취된 소재를 풀어 이웃한 엔씨 레벨러 피더(30)에 공급하는 크래들 방식(Cradle Type)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베이스판(5) 상단에 서로 이웃하게 설치된 언코일러(10)와 엔씨 레벨러 피더 사이에는 수직바(13)의 상단에 지지됨과 동시에 에어실린더(14)의 길이가변을 통해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일단에 푸셔롤(16)이 구비된 코일푸셔(Coil Pusher)(15)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코일푸셔(15)의 경우 권취된 소재코일(C)의 상부를 가압함에 따라 이를 통해 후판(厚板)으로 이루어진 소재의 일부분이 후판(厚板)의 탄성작용에 의해 복원되면서 상방(上方)으로 튀어오르는 상태를 1차적으로 잡아줌과 동시에 상기 권취상태의 소재코일(C)로부터 소재의 풀림을 2차적으로 방지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언코일러(10)와 엔씨 레벨러 피더 사이에 설치된 수직바(13)의 하단에는 코일푸셔(15)와 마찬가지로 상하 회동과 함께 에어실린더(18)의 길이신축이 가능한 코일인서트(19)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코일인서트(19)의 경우 코일푸셔(15)의 일측면 중앙에 설치된 보조롤(17)과 대응되는 가압작용을 통해 호형태로 밴딩되어진 소재코일(C)의 끝단부분을 평평하게 형성시킴과 동시에 상기 평평하게 형성된 소재코일(C)의 끝단부분을 엔씨 레벨러 피더의 소재유입구(32) 측으로 공급되도록 가이드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크래들 방식 구조로 이루어진 언코일러(10)의 경우 프레스 측의 생산방식 및 생산속도, 생산량에 따라 1열이나 2열 또는 2열 이상으로 소재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1개 이상으로 설치되게 되는데, 이때 바람직하게 는 상기 프레스 측에 소재 공급이 2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2단 크래들 방식의 구조로서 사용된다.
한편, 상기 소재공급장치(1) 중 본 발명의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Double NC Leveller Feeder)(30)의 경우 하우징(31)의 전후면에 각각 2열로 구비된 소재유입구(32) 및 소재배출구(33)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하부이송롤(35a,35b) 및 상부이송롤(34a,34b,34c,34d) 구조를 1축 2라인(Line) 제어 즉, 전동수단인 타임벨트(37)를 이용해 서보모터(36)와 연결된 1개의 하부이송롤(35a,35b) 및 이와 대향 회전하되 각기 독립회전을 이루는 2개의 상부이송롤(34a,34b,34c,34d)로 구성하여 언코일러(10)로부터 하나 이상으로 동시 공급되는 각 소재들을 동일 피치로 프레스 측에 이송 공급시키는 장치로서, 도 4에 도시한 같이 전후면에 소재유입구(32) 및 소재배출구(33)가 각각 2열로 구비된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의 각 소재유입구(32) 및 소재배출구(33) 측에 각각 2열로 설치되며, 에어실린더(38)의 길이가변에 따라 승하강을 이루는 4개의 상부이송롤(34a,34b,34c,34d); 및 이와 연접되어 대향 회전됨과 동시에 전동수단을 통해 서보모터(36)와 연결되는 2개의 하부이송롤(35a,35b)과; 상기 소재유입구(32) 및 소재배출구(33) 측에 2열로 설치되는 각 상하부이송롤(34a,34b,34c,34d,35a,35b) 사이에 설치되며, 각 소재유입구(32)를 통해 유입된 소재를 평평하게 교정하는 레벨링롤(43)과; 상기 각 소재배출구(33) 측에 설치된 상하부이송롤(34b,34d,35b)의 각 일단에 각각 형성되는 이송롤상부기어(60) 및 이송롤하부기어(61)와; 상기 이송롤상부기어(60) 및 이송롤하부기어(61) 측에 각기 대응되도록 상하 위치됨과 동시에 서로 치합된 상태로 상기 이송롤상부 기어(60) 및 이송롤하부기어(61)와 각기 치합 연결되며, 레벨링롤(43)에 의해 평평하게 교정된 상태에서 각 소재배출구(33) 측의 상하부이송롤(34b,34d,35b)을 통해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누적 오차를 방지함과 함께 일정한 길이로 프레스 측에 배출되도록 하는 아이들상부기어(62) 및 아이들하부기어(63)와; 상기 이송롤상부기어(60)와 아이들상부기어(62) 및 아이들하부기어(63)를 하나의 구조체로 연결하며, 소재의 이송 누적 오차 방지를 위해 이송롤상부기어(60)의 상승 분리 후 하강 시 각 기어 간 발생되는 백래시 현상을 방지하여 소재이송작용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백래시방지수단(6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30) 중 상기 하우징(31)의 전후면에 각각 2열로 구비된 소재유입구(32) 및 소재배출구(33)에 각각 설치되는 하부이송롤(35a,35b) 및 상부이송롤(34a,34b,34c,34d)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타임벨트(37)를 통해 서보모터(36)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1개의 하부이송롤(35a,35b) 및 상기 하부롤(35a,35b)과 각각 연접되어 대향 회전하되 각기 독립회전을 이루는 2개의 상부이송롤(34a,34b,34c,34d)을 통해 언코일러(10)로부터 하나 이상으로 동시 공급되는 각 소재들을 동일 피치로 프레스 측에 이송 공급시키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상하부이송롤(34a,34b,34c,34d,35a,35b)을 통해 프레스 측으로 이송 공급되는 각 소재의 경우 미도시된 슬리팅기계를 통해 띠 형태의 사각판넬로 슬리팅되어 소재코일(C)에 권취되되, 상기와 같이 소재코일(C)에 권취되는 소재의 양측면엔 톱날의 슬리팅 회전방향에 따라 깔죽깔죽한 형태의 버어(burr)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형성되게 되며, 상기와 같이 양측면에 버 어(burr)가 형성된 소재를 2열 형태로 상하부이송롤(34a,34b,34c,34d,35a,35b) 사이에 공급할 경우 소재의 양측면에 형성된 버어의 길이 및 형성방향과 관계없이 1개의 하부이송롤(35a,35b) 및 이와 대응되어 각기 독립회전이 이루어지는 2개의 상부이송롤(34a,34b,34c,34d)이 2열로 공급되는 각 소재와 각기 대응되면서 상기 각 소재들을 프레스 측에 동일 피치로 원활하게 이송 공급시킬 수 있는 등의 특징적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30)에 있어, 상기 레벨링롤(43) 중 각 상부이송롤(34a,34b,34c,34d) 사이에 위치된 상부레벨링롤(43a)에는 각 소재유입구(32) 측의 상하부이송롤(34a,34c,35a)을 통해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누적 오차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레벨링롤(43a)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강링크수단(44)이 더 포함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승강링크수단(44)의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31)의 소재배출구(33) 측 상단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에어실린더(45)와; 상기 각 에어실린더(45)의 로드(45a) 일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에어실린더(45)의 작동에 의한 로드(45a)의 길이가변에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는 이송바(46)와; 각 일단은 이송바(46)의 양단을 관통하여 설치된 중앙측 연결봉(47)에 결합되고, 각 타단은 하우징(31)의 양측벽 상하측에 설치 고정된 상하측 연결봉(48a,48b)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에어실린더(45)의 작동에 의해 로드(45a)와 함께 직선운동하는 이송바(46)의 이송작용에 따라 상기 상하측 연결봉(48a,48b)을 지점으로 중앙측 연결봉(47)에 결합된 각 일단이 반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 각기 회동되는 링크작용이 이루어지는 링크바(49)와; 상기 상부레벨링 롤(43a)의 하부가 돌출되도록 감싼 상태로 하측 연결봉(48b)에 결합되며, 각 소재유입구(32) 측의 상하부이송롤(34a,34c,35a)을 통해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누적 오차 방지를 위해 에어실린더(45)의 작동에 따른 이송바(46)의 이송작용에 의해 중앙측 연결봉(47)에 결합된 각 일단이 회동되는 링크바(49)의 링크작용을 통해 상부레벨링롤(43a)을 승하강시키는 상부레벨링롤캡(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레벨링롤캡(50)의 경우 전체형상이 상부레벨링롤(43a)이 내삽되도록 사각함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그 상단 양측에는 하측 연결봉과 결합을 위한 연결봉결합부(5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내삽된 상부레벨링롤(43a)의 하부가 하방(下方)으로 돌출되도록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상부레벨링롤(43a)과 연접되어 대향 회전되는 하부레벨링롤(43b) 역시 전술한 상부레벨링롤캡(50)과 동일구조의 사각함체로 형성된 하부레벨링롤캡(52) 내에 상부가 돌출되도록 내삽 고정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하부레벨링롤캡(52)의 경우 상기와 같이 하부레벨링롤(43b)의 상부가 돌출되도록 감싼 상태로 하우징(31) 내부 하단에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게 되며, 더욱이 상기 하우징(31) 내부 하단으로부터 하부레벨링롤(43b) 및 상기 하부레벨링롤(43b)이 내삽된 하부레벨링롤캡(52)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장치적 요소로서 압하조절수단(53)이 사용되는데, 이때 상기 압하조절수단(53)의 경우 하부레벨링롤캡(52) 저면(底面)과 하우징(31) 내부 하단 사이에 설치되어 수동핸들(54)을 이용한 수동방식이나 또는 모터(미도시)를 이용한 자동방식에 의해 서로 치합되어 대향 회전하는 워엄기어(55) 및 워엄(56)을 회전 작동시켜 상기 워엄(56) 내에 수직되게 결합된 나사 봉(57)이 상기 워엄(56)의 회전작용과 대응되어 나사선 이송작용에 의해 승하강되면서 상기 하우징(31) 내부 하단으로부터 하부레벨링롤(43b) 및 상기 하부레벨링롤(43b)이 내삽된 하부레벨링롤캡(52)을 승하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30)에 있어, 상기 하우징(31)의 각 소재유입구(32) 및 소재배출구(33) 측에 2열로 설치된 각 에어실린더(38)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에어실린더(38)의 길이가변에 따라 승하강을 이루는 상부이송롤(34a,34b,34c,34d)에 대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부이송롤밸런스수단(40) 역시 더 포함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상부이송롤밸런스수단(40)의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가 돌출되도록 각 상부이송롤(34a,34b,34c,34d)이 내삽되면서 에어실린더(38)와 연결되는 이송롤하우징(39)의 상단 양측에 상기 하우징(31)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에어실린더(38)의 길이가변에 따라 승하강하는 각 상부이송롤(34a,34b,34c,34d)을 안내하는 가이드바(41)와; 상기 가이드바(41)의 상단에 삽착된 상태로 각 에어실린더(38)가 설치된 하우징(31) 상단 좌우 양측에 설치되며, 에어실린더(38)의 길이가변에 따른 각 상부이송롤(34a,34b,34c,34d)의 승하강 시 수평이 유지되도록 탄성작용을 통해 밸런스를 잡아주는 스프링(4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다음, 본 발명의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30) 중 상기 백래시방지수단(64)의 경우 하우징(31)의 소재배출구(33) 측에 상호 대향 회전되게 설치된 상부이송롤(34b,34d) 및 하부이송롤(35b)의 각 일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이송롤상부기어(60)와 이송롤하부기어(61) 측에 각기 대응되도록 상하 위치됨과 동시에 서로 치 합된 상태의 아이들상부기어(62) 및 아이들하부기어(63)가 상기 이송롤상부기어(60) 및 이송롤하부기어(61)와 각기 치합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롤상부기어(60)와 아이들상부기어(62) 및 아이들하부기어(63) 측에 상기 기어들(60,62,63)을 하나의 구조체로 연결함과 동시에 소재의 이송 누적 오차 방지를 위해 이송롤상부기어(60)의 상승 분리 후 하강 시 각 기어 간 발생되는 백래시 현상을 방지하여 소재이송작용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적 요소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이송롤(34b,34d)의 상승시 이의 일단에 형성된 이송롤상부기어(60)와 아이들상부기어(62)가 상호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이송롤(34b,34d)을 하우징(31) 내에 고정하는 고정축(66)을 지점으로 상기 아이들상부기어(62)가 대각선방향으로 하향이송되는 이송작용을 갖도록 상기 이송롤상부기어(60)에 치합된 상태로 아이들상부기어(62)를 구속시키기 위하여 상호 치합된 이송롤상부기어(60)와 아이들상부기어(62)를 1개조(65a)로 연결하고, 또한 상기 상부이송롤(34b,34d)의 상승시 상기 이송롤하부기어(61)와 치합되는 아이들하부기어(63)와 아이들상부기어(62)가 상호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들하부기어(63)를 하우징(31) 내에 고정하는 고정축(66)을 지점으로 상기 아이들상부기어(62)가 대각선방향으로 하향이송되는 이송작용을 갖도록 상기 아이들상부기어(62)에 치합된 상태로 아이들하부기어(63)를 구속시키기 위하여 상호 치합된 아이들상부기어(62)와 아이들하부기어(63)를 1개조(65b)로 연결하는 등 복수개의 요소로서 상기 이송롤상부기어(60)와 아이들상부기어(62) 및 아이들하부기어(63)를 하나의 구조체로 각각 연결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송롤상부기어(60)와 아이들상부기어(62) 및 아이들하부 기어(63)를 하나의 구조체로 연결하는 백래시방지수단(64)의 경우 상부이송롤(34b,34d) 및 아이들상하부기어를 각각 고정시기키 위한 고정축(66)과 축결합시킬 있도록 양단에 축결합홀(67)이 관통된 장방형태의 고정링크(65a,65b)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30)의 작동과정을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그 실시예를 바람직하게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대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의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하나의 베이스판(5) 상단에 본 발명의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30)와 동조(同調) 사용이 가능하도록 서로 이웃하게 설치된 언코일러(10)의 작동과정으로서 이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5)의 상단 일측에 고정되는 코일안착프레임(11)의 하부에 2개의 코일안착롤(12a,12b) 중 하나의 코일안착롤(12a)과 서보모터(20)가 직결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언코일러(10)와 엔씨 레벨러 피더 사이에 수직바(13)의 상단에 지지됨과 동시에 에어실린더(14)의 길이가변을 통해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일단에 푸셔롤(16)이 구비된 코일푸셔(15)가 설치되며, 상기 언코일러(10)와 엔씨 레벨러 피더 사이에 설치된 수직바(13)의 하단에 코일푸셔(15)와 마찬가지로 상하 회동과 함께 에어실린더(18)의 길이신축이 가능하도록 코일인서트(19)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언코일러(10) 중 상기 코일안착프레임(11) 하부에 위치된 2개의 코일안착롤(12a,12b) 상에 평판 소재가 권취된 소재코일(C)을 안착시킨 다음 상기 2개의 코일안착롤(12a,12b) 중 하 나의 코일안착롤(12a)과 직결된 서보모터(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소재코일(C)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권취된 소재를 풀어 이웃한 엔씨 레벨러 피더에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코일푸셔(15)의 경우 권취된 소재코일(C)을 가압함에 따라 이를 통해 후판(厚板)으로 이루어진 소재의 일부분이 후판(厚板)의 탄성작용에 의해 복원되면서 상방(上方)으로 튀어오르는 상태를 1차적으로 잡아줌과 아울러 상기 권취상태의 소재코일(C)로부터 소재의 풀림을 2차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또한 상기 코일인서트(19)의 경우 코일푸셔(15)의 일측면 중앙에 설치된 보조롤(17)과 대응되는 가압작용을 통해 호형태로 밴딩되어진 소재코일(C)의 끝단부분을 평평하게 형성시킴과 동시에 상기 평평하게 형성된 소재코일(C)의 끝단부분을 엔씨 레벨러 피더의 소재유입구(32) 측으로 공급되도록 가이드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언코일러(10)를 통해 본 발명의 더블 엔씨 레벨레 피더의 소재유입구(32) 측으로 공급된 소재를 프레스 측에 일정한 피치로 원활히 공급시키기 위한 상기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30)의 작동과정으로서, 상기 언코일러(10)로부터 공급되는 소재가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30)의 소재유입구(32) 측으로 유입되게 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소재유입구(32) 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타임벨트(37)를 통해 서보모터(36)와 연결된 1개의 하부이송롤(35a)과 이와 연접되는 2개의 상부이송롤(34a,34c) 간의 대향 회전작용을 통해 소재가 전방(前方)의 레벨링롤(43) 측으로 이송되게 되고, 상기 소재유입구(32) 측에 위치된 하부이송롤(35a)과 상부이송롤(34a,34c) 간의 대향 회전작용을 통해 레벨링롤(43) 측으로 이송된 소재는 상기 레벨링롤(43) 즉, 상부레벨링롤(43a)과 하부레벨링롤(43b) 이 연접되어 서로 대향 회전되는 레벨링작업을 통해 평평하게 교정된 상태로 전방(前方)의 소재배출구(33) 측에 서로 연접되게 설치된 1개의 하부이송롤(35b)과 2개의 상부이송롤(34b,34d) 측으로 이송되게 되고, 상기 레벨링롤(43)의 교정 및 이송작용을 통해 소재배출구(33)에 위치된 하부이송롤(35b)과 상부이송롤(34b,34d) 측으로 이송되어진 교정된 소재는 상기 소재배출구(33) 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타임벨트(37)를 이용해 서보모터(36)와 연결된 1개의 하부이송롤(35b)과 이와 연접되는 2개의 상부이송롤(34b,34d) 간의 대향 회전작용을 통해 상기 소재배출구(33)를 거쳐 일정한 피치로 전방의 프레스 측에 이송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30)의 작동과정 중에서 각 소재유입구(32) 측에 위치된 상하부이송롤(34a,34c,35a)의 대향 회전작용을 통해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누적 오차 방지를 위해 상기 레벨링롤(43) 중 각 상부이송롤(34a,34b,34c,34d) 사이에 위치된 상부레벨링롤(43a)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강링크수단(44)의 작동과정 및 상기 레벨링롤(43)의 대향 회전작용을 통해 이송되는 교정된 소재 역시 이송 누적 오차 방지를 위해 상승 분리 후 하강 시 하나의 구조체로 연결된 이송롤상부기어(60)와 아이들상부기어(62) 및 아이들하부기어(63) 간에 발생되는 백래시 현상을 방지하여 소재이송작용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백래시방지수단(64)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소재유입구(32) 측에 위치된 상하부이송롤(34a,34c,35a)의 대향 회전작용을 통해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누적 오차 방지를 위해 상기 레벨링롤(43) 중 각 상부이송롤(34a,34b,34c,34d) 사이에 위치된 상부레벨링롤(43a)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강링크수단(44)의 작동과정으로서, 도 8에 도시한 "A" 상세도와 같이 하우징(31)의 소재배출구(33) 측 상단 양측에 각각 설치된 에어실린더(45)의 작동에 따라 로드(45a)의 길이가 단축되면서 상기 로드(45a)의 일단에 각각 연결된 이송바(46)가 전방(前方)인 우측방향으로 이송되게 되면, 상기 이송바(46)의 양단에 결합된 링크바(49) 즉, 각 일단은 이송바(46)의 양단을 관통하여 설치된 중앙측 연결봉(47)에 결합되고, 각 타단은 하우징(31)의 양측벽 상하측에 설치 고정된 상하측 연결봉(48a,48b)에 각각 결합된 링크바(49)가 상기 에어실린더(45)의 작동에 의해 로드(45a)와 함께 직선운동하는 이송바(46)의 이송작용에 따라 상기 링크바(49)의 각 타단이 결합된 상하측 연결봉(48a,48b)을 지점으로 중앙측 연결봉(47)에 결합된 상기 링크바(49)의 각 일단이 반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 각기 회동되는 링크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상부레벨링롤(43a)의 하부가 돌출되도록 감싼 상태로 하측 연결봉에 결합된 상부레벨링롤캡(50)의 상승과 함께 상기 상부레벨링롤캡(50) 내부에 삽입 고정된 상부레벨링롤(43a) 역시 연접된 하부레벨링롤(43b)로부터 상승되었다가 에어실린더(45)의 작동에 따른 로드(45a), 이송바(46), 링크바(49)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연동작용을 통해 상기 상승되었던 상부레벨링롤캡(50) 및 상부레벨링롤(43a)이 하강하여 상기 상부레벨링롤(43a)이 하부레벨링롤(43b)과 상호 대향 회전되도록 연접되는 등 각 소재유입구(32) 측의 상하부이송롤(34a,34c,35a)을 통해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누적 오차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승강링크수단(44)과 함께 하우징(31)의 소재배출구(33) 측에 상호 대향 회전되게 설치된 상부이송롤(34b,34d) 및 하부이송 롤(35b)의 각 일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이송롤상부기어(60)와 이송롤하부기어(61) 측에 각기 대응되도록 상하 위치됨과 동시에 서로 치합된 상태의 아이들상부기어(62) 및 아이들하부기어(63)가 상기 이송롤상부기어(60) 및 이송롤하부기어(61)와 각기 치합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롤상부기어(60)와 아이들상부기어(62) 및 아이들하부기어(63) 측에 상기 기어들(60,62,63)을 하나의 구조체로 연결하는 백래시방지수단(64) 역시 작동하게 되는데, 이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8에 도시한 "B" 상세도와 같이 에어실린더(38)의 길이단축을 통해 상부이송롤(34b,34d)을 상승시키게 되면, 상기 백래시방지수단(64)인 고정링크(65a,65b)를 통해 상부이송롤(34b,34d)의 일단에 형성된 이송롤상부기어(60)와 하나의 구조체로 치합된 아이들상부기어(62) 및 아이들하부기어(63) 중 하우징(31) 내에 상기 상부이송롤(34b,34d)과 아이들하부기어(63)를 고정시키는 각각의 고정축(66)을 상하 지점으로 상기 아이들상부기어(62)의 고정축(66)에 상호 겹쳐 결합된 2개의 고정링크(65a,65b) 각 일단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회동되는 링크작용을 통해 상기 고정축(66) 및 아이들상부기어(62)를 대각선 내측으로 잡아당겨 상기 고정축(66) 및 아이들상부기어(62)가 대각선 내측방향으로 하향 이송되면서 상호 치합된 이송롤상부기어(60)와 아이들하부기어(63) 측에 더욱 더 밀착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밀착상태는 이송롤상부기어(60)와 아이들상부기어(62) 및 아이들하부기어(63) 간에 치합된 기어잇빨과 기어잇빨 사이에 형성되는 클리어런스 즉, 사이공간이 전혀 없는 등 상기 치합된 기어잇빨 간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를 말하며, 상기와 같이 이송롤상부기어(60)와 아이들상부기어(62) 및 아이들하부기 어(63) 간에 치합된 기어잇빨 간에 완전 밀착상태를 이룸에 따라 상기 상부이송롤(34b,34d)에 대한 상승 분리 전(前) 상태의 기준점(S) 즉, 소재의 상하단에 상하부이송롤(34b,34d,35b)이 각각 접촉되는 상태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종래 에어실린더(38)의 길이가변을 통한 상부이송롤(34b,34d)의 승하강 시 이와 연동되어 기어 간 상호 치합된 상태에서 회동 분리되었다 다시 치합상태를 이루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백래시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를 통한 소재 이송의 정밀도 역시 종래에 비해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상기 에어실린더(38)의 길이신장을 통해 상승된 상부이송롤(34b,34d)을 원위치로 하강시키게 되면, 상기 하우징(31) 내에 상부이송롤(34b,34d)과 아이들하부기어(63)를 고정시키는 각각의 고정축(66)을 상하 지점으로 상기 아이들상부기어(62)의 고정축(66)에 상호 겹쳐 결합된 2개의 고정링크(65a,65b) 각 일단이 상기 상부이송롤(34b,34d)의 상승시와는 반대로 반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 각각 회동되는 링크작용을 통해 상기 고정축(66) 및 아이들상부기어(62)를 대각선 외측으로 밀어 상기 고정축(66) 및 아이들상부기어(62)가 대각선 외측방향으로 상향 이송되면서 상호 치합된 상태로 완전 밀착된 이송롤상부기어(60)와 아이들하부기어(63) 측으로부터 완전 밀착상태가 해제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밀착상태의 해제는 이송롤상부기어(60)와 아이들상부기어(62) 및 아이들하부기어(63) 간에 상호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기어 간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상기 치합된 기어잇빨과 기어잇빨 사이에 클리어런스를 갖는 상태를 말하며, 상기와 같이 상부이송롤(34b,34d)에 대한 상승 분리 전(前) 상태의 기준점(S) 즉, 소재의 상하단에 상하부이송롤(34b,34d,35b)이 각각 접촉되는 상태 그대로 유지된 상태 에서 상기 상부이송롤(34b,34d)의 상승 분리 전(前)과 동일하게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30)로부터 프레스 측으로 균일하면서 일정한 길이로 원활하게 공급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소재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소재공급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소재공급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재공급장치 중 본 발명에 대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의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 중 승강링크수단의 결합 상태도 및 상부레벨링롤캡의 저면 상세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대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소재공급장치 5. 베이스판
10. 언코일러 11. 코일안착프레임
12a, 12b. 코일안착롤 13. 수직바
14, 18, 38, 45. 에어실린더 15. 코일푸셔
16. 푸셔롤 17. 보조롤
19. 코일인서트 20, 36. 서보모터
30.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 31. 하우징
32. 소재유입구 33. 소재배출구
34a, 34b, 34c, 34d. 상부이송롤 35a, 35b. 하부이송롤
37. 타임벨트 39. 이송롤하우징
40. 상부이송롤밸런스수단 41. 가이드바
42. 스프링 43. 레벨링롤
44. 승강링크수단 46. 이송바
47. 중앙측 연결봉 48a, 48b. 상하측 연결봉
49. 링크바 50. 상부레벨링롤캡
52. 하부레벨링롤캡 53. 압하조절수단
54. 수동핸들 55. 워엄기어
56. 워엄 57. 나사봉
60. 이송롤상부기어 61. 이송롤하부기어
62. 아이들상부기어 63. 아이들하부기어
64. 백래시방지수단 65a, 65b. 고정링크
66. 고정축 C. 소재코일
S. 기준점

Claims (6)

  1. 언코일러를 통해 공급되는 소재를 별도의 롤 피더 없이 프레스 등의 가공기계에 일정한 피치로 공급시키는 엔씨 레벨러 피더에 있어서,
    상기 엔씨 레벨러 피더는, 전후면에 소재유입구 및 소재배출구가 각각 2열로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각 소재유입구 및 소재배출구측에 2열로 설치되며, 에어실린더의 길이가변에 따라 승하강을 이루는 4개의 상부이송롤; 및 이와 대향 회전됨과 동시에 전동수단을 통해 서보모터와 연결되는 2개의 하부이송롤과;
    상기 소재유입구 및 소재배출구측에 2열로 설치되는 각 상하부이송롤 사이에 설치되며, 각 소재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소재를 평평하게 교정하는 레벨링롤과;
    상기 각 소재배출구측에 설치된 상하부이송롤의 각 일단에 각각 형성되는 이송롤상부기어 및 이송롤하부기어와;
    상기 이송롤상하부기어 측에 각기 대응되도록 상하 위치됨과 동시에 서로 치합된 상태로 상기 이송롤상하부기어와 각기 치합 연결되며, 레벨링롤에 의해 평평하게 교정된 상태로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누적 오차를 방지하여 일정한 길이로 배출되도록 하는 아이들상부기어 및 아이들하부기어와;
    상기 이송롤상부기어와 아이들상부기어 및 아이들하부기어를 하나의 구조체로 연결하며, 소재의 이송 누적 오차 방지를 위해 이송롤상부기어의 상승 분리 후 하강 시 각 기어간 발생되는 백래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백래시방지수단을 포함 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열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롤 중 각 상부이송롤 사이에 위치된 상부레벨링롤에는 각 소재유입구측의 상하부이송롤을 통해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누적 오차를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레벨링롤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강링크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열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각 소재유입구 및 소재배출구측에 2열로 설치된 각 에어실린더의 좌우 양측에는 에어실린더의 길이가변에 따라 승하강을 이루는 상부이송롤에 대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부이송롤밸런스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열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링크수단은 하우징의 소재배출구측 상단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에어실린더와;
    상기 각 에어실린더의 로드 일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에어실린더의 작동에 의한 로드의 길이가변에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는 이송바와;
    각 일단은 이송바의 양단을 관통하여 설치된 중앙측 연결봉에 결합되고, 각 타단은 하우징의 양측벽 상하측에 설치 고정된 상하측 연결봉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에어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로드와 함께 직선운동하는 이송바의 이송작용에 따라 상기 상하측 연결봉을 지점으로 중앙측 연결봉에 결합된 각 일단이 반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 각기 회동되는 링크작용이 이루어지는 링크바와;
    상기 상부레벨링롤의 하부가 돌출되도록 감싼 상태로 하측 연결봉에 결합되며, 각 소재유입구측의 상하부이송롤을 통해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누적 오차 방지를 위해 에어실린더의 작동에 따른 이송바의 이송작용에 의해 중앙측 연결봉에 결합된 각 일단이 회동되는 링크바의 링크작용을 통해 상부레벨링롤을 승하강시키는 상부레벨링롤캡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열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벨링롤캡은 전체형상이 상부레벨링롤이 내삽되도록 사각함체 형태로 형성되되, 그 상단 양측엔 하측 연결봉과 결합을 위한 연결봉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그 하단엔 내삽된 상부레벨링롤의 하부가 돌출되도록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열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이송롤밸런스수단은 하부가 돌출되도록 각 상부이송롤이 내삽되면서 에어실린더와 연결되는 이송롤하우징의 상단 양측에 상기 하우징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에어실린더의 길이가변에 따라 승하강하는 각 상부이송롤을 안내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상단에 삽착된 상태로 각 에어실린더가 설치된 하우징 상단 좌우 양측에 설치되며, 에어실린더의 길이가변에 따른 각 상부이송롤의 승하강 시 수평이 유지되도록 탄성작용을 통해 밸런스를 잡아주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열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
    상기 하우징의 각 소재유입구 및 소재배출구측에 2열로 설치된 각 에어실린더의 좌우 양측에는 에어실린더의 길이가변에 따라 승하강을 이루는 상부이송롤에 대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부이송롤밸런스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열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
KR1020090040572A 2009-05-11 2009-05-11 1열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 KR101031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572A KR101031686B1 (ko) 2009-05-11 2009-05-11 1열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572A KR101031686B1 (ko) 2009-05-11 2009-05-11 1열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733A KR20100121733A (ko) 2010-11-19
KR101031686B1 true KR101031686B1 (ko) 2011-04-29

Family

ID=43406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572A KR101031686B1 (ko) 2009-05-11 2009-05-11 1열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6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682B1 (ko) 2019-08-12 2020-02-12 김찬재 코일 무게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레벨러 피더
US11446723B2 (en) 2020-02-28 2022-09-20 Honda Motor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operational parameters of one or more leveling machin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91959B (zh) * 2013-04-28 2015-08-12 江苏澳洋顺昌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板材收卷设备的压板装置
US9757781B2 (en) * 2015-04-22 2017-09-12 Ching Chung Lai Metal strips straightening machine
CN104985072B (zh) * 2015-05-28 2016-09-28 成都宏明双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同时对双带料进行加工的方法
CN106825114A (zh) * 2017-04-11 2017-06-13 泰州市万鑫钨钼制品有限公司 一种双层钼杆缠绕器导线装置
CN113579005A (zh) * 2021-08-25 2021-11-02 广州市顺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高精度的矫平机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910U (ko) * 1998-06-19 1998-10-07 김정섭 프레스용 단동이송장치
KR100869512B1 (ko) 2007-07-24 2008-11-19 신스틸 주식회사 레벨러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874597B1 (ko) 2007-08-20 2008-12-19 김현화 1축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롤 피더
KR100946122B1 (ko) 2003-04-09 2010-03-10 주식회사 포스코 레벨러의 수평유지 및 안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910U (ko) * 1998-06-19 1998-10-07 김정섭 프레스용 단동이송장치
KR100946122B1 (ko) 2003-04-09 2010-03-10 주식회사 포스코 레벨러의 수평유지 및 안전 장치
KR100869512B1 (ko) 2007-07-24 2008-11-19 신스틸 주식회사 레벨러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874597B1 (ko) 2007-08-20 2008-12-19 김현화 1축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롤 피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682B1 (ko) 2019-08-12 2020-02-12 김찬재 코일 무게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레벨러 피더
US11446723B2 (en) 2020-02-28 2022-09-20 Honda Motor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operational parameters of one or more leveling mach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733A (ko) 201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686B1 (ko) 1열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레벨러 피더
KR101071515B1 (ko) 2축 다열 제어가 가능한 엔씨 롤 피더 및 슬리터를 구비한 소재공급장치
CN103189197B (zh) 计数排出器和制箱机
KR101558670B1 (ko) 육묘 상자 자동 공급 장치
CN110526020B (zh) 一种纸箱包装用自动翻转错位堆叠装置
CN106734573A (zh) 一种新型全自动辊压成型设备
KR102151090B1 (ko) 철근 밴딩기
CN103209826A (zh) 计数排出器和制箱机
CN113455853A (zh) 一种弹簧床垫生产线
CN106695331A (zh) 一种新型全自动辊压成型生产线
CN206415489U (zh) 一种新型全自动辊压成型设备
CN206702587U (zh) 一种新型全自动辊压成型生产线
CN210547195U (zh) 一种瓦楞板桩帽的自动化弯折生产线
CN108817208A (zh) 抱箍自动生产设备
KR101121770B1 (ko) 철근 받침대용 절곡장치
KR100874597B1 (ko) 1축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롤 피더
KR20170081905A (ko) 복합프레스장치
CN102099131B (zh) 用于矫平金属原料的装置
KR100467540B1 (ko) 환봉 자동공급장치
KR20100079373A (ko) 소재이송 정밀도 증가를 위한 엔씨 레벨러 피더의 피드롤 백래시 방지장치
KR101462217B1 (ko) 절곡판재 반자동 공급장치
KR101967743B1 (ko) 앵글 가공장치
EP2138439A2 (de) Vorrichtung zum Stapeln von flächigen Produkten, insbesondere Druckereiprodukten
JP4468879B2 (ja) 矯正機
CN200977532Y (zh) 多模座钢板矫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