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062B1 - 분석장치 및 시약용기 - Google Patents

분석장치 및 시약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062B1
KR101543062B1 KR1020127022077A KR20127022077A KR101543062B1 KR 101543062 B1 KR101543062 B1 KR 101543062B1 KR 1020127022077 A KR1020127022077 A KR 1020127022077A KR 20127022077 A KR20127022077 A KR 20127022077A KR 101543062 B1 KR101543062 B1 KR 101543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gent
reagent container
vessel
reagent vesse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7524A (ko
Inventor
다카아키 나가이
유이치 하마다
노부히로 기타가와
Original Assignee
시스멕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50666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4306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시스멕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스멕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7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09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spiration or dispense of liq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9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comprising robots or similar manipul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2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dispensing a reag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Electro-optical investigation, e.g. flow cy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594Quality control, including calibration or testing of components of the analyser
    • G01N35/00613Quality control
    • G01N35/00663Quality control of consum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02Reagent dispen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79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with means for piercing stoppers or sept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2Identification, exchange or storage of information
    • B01L2300/021Identification, e.g. bar c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4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pierceable, e.g. films, membra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Electro-optical investigation, e.g. flow cytometers
    • G01N2015/1486Counting the 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594Quality control, including calibration or testing of components of the analyser
    • G01N35/00613Quality control
    • G01N35/00663Quality control of consumables
    • G01N2035/00673Quality control of consumables of reag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01Sample carriers, cuvettes or reaction vessels
    • G01N2035/0412Block or rack elements with a single row of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26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having blocks or racks of reaction cells or cuvettes

Abstract

본 분석장치는 흡인관이 진입 가능한 흡인관 진입부를 선단 근방에 가지는 시약용기를 장치의 측면에서 장치의 내부로 향하여 삽입함으로써 시약용기를 세팅하는 입자분석용의 분석장치로서, 흡인관 진입부 측으로부터 삽입된 시약용기를 유지하는 시약용기 유지부와, 시약용기 유지부에 유지된 시약용기의 흡인관 진입부에 위쪽으로부터 진입하여 시약용기 내의 시약을 흡인하기 위한 흡인관을 구비하고, 시약용기 유지부는 흡인관 진입부 측으로부터 삽입된 시약용기의 시약용기 유지부로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석장치 및 시약용기 {ANALYSIS DEVICE AND REAGENT CONTAINER}
본 발명은 시약용기로부터 시약을 흡인(吸引)하여 검체(檢體)를 분석하는 분석장치 및 분석장치에 이용하는 시약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혈액, 뇨(尿) 등의 검체를 분석하는 분석장치로서, 예를 들면, 생화학 분석장치, 혈구계수(血球計數)장치 및 뇨 중 유형성분 분석장치 등의 분석장치가 알려져 있다.
생화학 분석장치는 검체의 분석에 이용하는 시약의 종류가 매우 많다. 이 경우에, 시약의 설치장소가 시약의 종류마다 정해져 있으면, 유저가 일일이 시약의 종류와 설치장소와의 대응을 확인하고 나서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약의 설치작업이 번잡하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한 생화학 분석장치와 같이, 유저가 시약고(庫)가 비어 있는 위치에 임의로 시약을 세팅할 수 있는 생화학 분석장치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한 생화학 분석장치는 시약고를 회전시켜, 유저가 임의의 위치에 세팅한 소정의 종류의 시약용기를 흡인관이 시약을 분주(分注) 가능한 분주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흡인관이 소정의 종류의 시약용기로부터 시약을 분주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혈구계수장치나 뇨 중 유형성분 분석장치라고 하는 입자분석장치에서는, 생화학 분석장치만큼 측정항목수가 많지 않고, 사용하는 시약의 종류도 적다. 또, 시약으로서, 특정의 종류의 입자(세포)를 특이적으로 염색하기 위한 염색액이 이용되지만, 이와 같은 염색액이 복수 종류 있는 경우, 공통의 흡인관을 이용하여 분주를 행하면 캐리-오버(carry-over)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시약의 종류에 따라 시약용기의 설치장소가 미리 결정되어 있고, 각각의 시약용기가 분석장치의 소정의 개소와 유체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분석장치에서 사용되는 시약을 수용하는 시약용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편평(扁平)한 주머니 모양의 시약용기가 있다. 이와 같은 시약용기는, 예를 들면 가요성의 튜브에 의해서 분석장치의 소정의 개소와 유체적으로 접속되어서 이용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2000-321283호 공보 특허문헌 2 : 국제 공개 제2009/104598호 팜플렛
그렇지만, 유저가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한 바와 같은 시약용기를 분석장치에 세팅하려고 하면, 주머니 모양의 시약용기의 뚜껑을 떼고, 분석장치에 접속된 튜브를 시약용기의 내부로 삽입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번잡한 수작업을 수반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시약용기의 설치작업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입자분석용의 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국면에서의 분석장치는, 흡인관이 진입 가능한 흡인관 진입부를 선단 근방에 가지는 시약용기를, 장치의 측면으로부터 장치의 내부로 향하여 삽입함으로써 시약용기를 세팅하는 입자분석용의 분석장치로서, 흡인관 진입부 측으로부터 삽입된 시약용기를 유지하는 시약용기 유지부와, 시약용기 유지부에 유지된 시약용기의 흡인관 진입부에 위쪽으로부터 진입하여 시약용기 내의 시약을 흡인하기 위한 흡인관을 구비하고, 시약용기 유지부는 흡인관 진입부 측으로부터 삽입된 시약용기의 시약용기 유지부로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의한 분석장치에서는, 상기와 같이, 선단 근방의 흡인관 진입부 측으로부터 삽입된 시약용기를 유지하는 시약용기 유지부와, 시약용기 유지부에 유지된 시약용기의 흡인관 진입부에 위쪽으로부터 진입하는 흡인관을 마련함과 아울러, 시약용기 유지부에 흡인관 진입부 측으로부터 삽입된 시약용기의 시약용기 유지부로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는 시약용기를 파지하여 선단 근방의 흡인관 진입부 측으로부터 시약용기 유지부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시약용기를 세팅할 수 있으므로, 시약용기의 설치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흡인관의 시약용기로의 진입 및 시약용기로부터의 퇴피를 흡인관 진입부가 삽입된 시약용기 유지부의 안쪽에서 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시약용기를 세팅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흡인관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제1 국면에 의한 분석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시약용기는 염색액을 수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흡인관에는 염색액이 부착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으므로, 염색액을 수용한 시약용기를 세팅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흡인관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음과 아울러, 흡인관에 부착한 염색액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착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국면에 의한 분석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시약용기 유지부를 복수 구비하고, 시약용기 유지부마다 각각 대응하는 흡인관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1개의 흡인관이 다수의 시약용기로부터 시약을 흡인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각 흡인관이 각 시약용기에 각각 대응하고 있으므로 시약의 캐리-오버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시약이 염색액인 경우에는, 세정하여도 흡인관의 더러움이 빠지기 어렵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국면에 의한 분석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분석장치는 플로우 사이토메터(flow cytometer)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플로우 사이토메트리(flow cytometry)법에 의한 입자분석에 이용하는 시약을 수용한 시약용기의 설치작업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시약용기를 세팅할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흡인관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제1 국면에 의한 분석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분석장치는 혈구계수장치 혹은 뇨 중 유형성분 분석장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시약용기의 설치작업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시약용기를 세팅할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흡인관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한 혈구계수장치 혹은 뇨 중 유형성분 분석장치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 국면에 의한 분석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흡인관이 흡인관 진입부와 맞닿은 상태에서 흡인관 진입부를 폐색하는 덮개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흡인관을 시약용기 내부로 진입시키는 것만으로 덮개부에 의해 흡인관 진입부가 폐색되기 때문에, 시약용기의 설치작업을 간소화하면서, 간단한 구성으로 시약의 건조나 이물의 혼입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제1 국면에 의한 분석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안내부재는 적어도 시약용기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높이치수를 가지고, 시약용기의 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를 각각 가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안내부재가 넓은 범위에서 시약용기를 가이드하므로, 사용자가 시약용기의 흡인관 진입부 측으로부터 시약용기 유지부에 삽입할 때에, 보다 용이하고 확실하게, 시약용기를 세팅할 수 있다. 또, 시약용기의 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를 안내부재가 가이드하므로, 시약용기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걸쳐 사용자의 손가락이 시약용기 유지부의 안쪽으로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용자의 손가락이 흡인관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제1 국면에 의한 분석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안내부재는 시약용기의 형상을 반영한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시약용기의 형상을 반영한 형상을 가지는 안내부재를 따라서 시약용기가 가이드되므로, 보다 확실하게, 시약용기를 세팅할 수 있다. 또, 시약용기를 세팅할 때에 시약용기와 안내부재와의 사이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이 시약용기 유지부의 안쪽으로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국면에 의한 분석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시약용기 유지부에 유지된 시약용기로 흡인관이 진입하는 흡인관의 하강 및 시약용기 유지부에 유지된 시약용기로부터 흡인관이 퇴피하는 흡인관의 상승을 행하는 흡인관 이동기구와, 시약용기 유지부로부터의 시약용기의 취출을 허용하는 취출위치와 시약용기 유지부로부터의 시약용기의 취출을 방지하는 취출방지위치로 이동 가능한 취출방지부재를 더 구비하며, 흡인관 이동기구는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흡인관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취출방지부재가 취출위치로 이동했을 때, 흡인관이 시약용기 밖으로 퇴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시약용기의 세팅을 위해서 취출방지부재를 취출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흡인관이 시약용기 밖으로 퇴피하므로, 시약용기의 설치작업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사용자의 손가락이 흡인관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취출방지부재는 시약용기 유지부를 취출위치에서 개방하고, 취출방지위치에서 폐쇄하는 커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흡인관 이동기구에 의한 흡인관의 이동을, 시약용기 유지부를 개방 및 폐쇄하는 커버에 연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커버를 개방시키면 그대로 시약용기를 세팅할 수 있다. 또, 시약용기의 세팅을 위해서 커버를 개방했을 때에는 흡인관이 시약용기 밖으로 퇴피하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흡인관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제1 국면에 의한 분석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시약용기 유지부를 개방 및 폐쇄하는 커버를 더 구비하고, 커버는 시약용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표지를 포함하며, 시약용기 유지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시약용기 유지부에 유지된 시약용기에 마련된 식별표지를 시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커버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커버의 식별표지와 시약용기에 마련된 식별표지로부터 시약용기 유지부에 올바른 시약용기가 세팅되어 있는지(잘못된 종류의 시약(용기)이 세팅되어 있지 않은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 시약의 확인을 위해서 시약용기를 시약용기 유지부로부터 떼어내어, 재차 다시 세팅할 필요가 없어진다.
상기 제1 국면에 의한 분석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시약용기 유지부는 시약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시약용기를 지지부에 얹어 놓는 제1 위치 및 흡인관이 진입 가능한 위치에 지지부상의 시약용기를 배치하는 제2 위치에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지지부 이동기구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자는 지지부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시약용기를 설치하면, 지지부 이동기구에 의해 지지부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시약용기를 시약용기 유지부에 세팅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시약용기 유지부에 시약용기를 세팅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시약용기 유지부의 안쪽에 손가락(손)을 진입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시약용기 유지부로부터의 시약용기의 취출을 허용하는 취출위치와 시약용기 유지부로부터의 시약용기의 취출을 방지하는 취출방지위치로 이동 가능한 취출방지부재를 더 구비하고, 지지부 이동기구는 취출방지부재가 취출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는 지지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하며, 취출방지부재가 취출방지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는 지지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하도록,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부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취출방지부재의 이동과 지지부의 이동이 연동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시약용기를 지지부에 설치한 후, 취출방지부재를 취출방지위치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흡인관이 진입 가능한 제2 위치에 시약용기를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흡인관이 진입 가능한 제2 위치에 시약용기를 배치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시약용기에 접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흡인관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또, 시약용기의 설치 또는 취출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지지부 이동기구는 지지부가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제1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지지부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부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이동을 제한 및 허용하는 제한부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를 들어 취출방지부재가 취출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의 지지부의 제2 위치로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잘못해 지지부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흡인관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제한부는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롤러와, 지지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맞닿음부재를 포함하고,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롤러와 맞닿음부재가 맞닿아 맞닿음부재의 이동이 제한 및 허용되는 것으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지지부의 이동이 제한 및 허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롤러와 맞닿음부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지지부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이동의 제한 및 허용을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시킬 수 있다.
상기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취출방지부재는 취출방지부재의 전면(前面) 측에 배치된 파지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자는 취출방지부재의 전면 측에 배치된 파지부를 가지고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흡인관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또,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취출방지부재는 시약용기 유지부를 취출위치에서 개방하고, 취출방지위치에서 폐쇄하는 커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지지부 이동기구에 의한 지지부의 이동을, 시약용기 유지부를 개방 및 폐쇄하는 커버에 연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커버가 시약용기 유지부를 폐쇄했을 때에만, 흡인관이 진입 가능한 제2 위치에 시약용기가 세팅되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흡인관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시약용기 유지부에 유지된 시약용기로 흡인관이 진입하는 흡인관의 하강 및 시약용기 유지부에 유지된 시약용기로부터 흡인관이 퇴피하는 흡인관의 상승을 행하는 흡인관 이동기구를 구비하고, 흡인관 이동기구는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흡인관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흡인관 이동기구에 의한 흡인관의 이동과 지지부 이동기구에 의한 지지부의 이동의 양쪽이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병행하여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자는 취출방지부재를 취출위치로 이동하여 지지부에 시약용기를 설치한 후, 취출방지부재를 취출방지위치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지지부의 이동과, 시약용기 내로의 흡인관의 진입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부를 이동시킨 후에 흡인관을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취출방지부재의 취출위치로부터 취출방지위치까지의 이동거리를 크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장치가 대형화해 버린다. 이것에 대해서, 흡인관의 이동과 지지부의 이동과의 양쪽이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병행하여 행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취출방지부재의 취출위치로부터 취출방지위치까지의 이동거리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장치가 대형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1 국면에 의한 분석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흡인관을 유지하고,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흡인관 유지부를 더 구비하며, 흡인관 유지부는 흡인관이 시약용기에 진입할 때에, 흡인관 진입부와 맞닿음으로써 흡인관의 진입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흡인관 진입부와 맞닿은 후에는 시약용기 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흡인관 유지부에 대해서 흡인관을 시약용기로부터 퇴피시키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흡인관 유지부가 시약용기의 상면과 맞닿은 후, 흡인관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흡인관 이동기구가 더 이동했을 경우에도, 흡인관 유지부가 시약용기의 상면과 맞닿은 상태인 채로 흡인관 유지부가 흡인관 이동기구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흡인관이 시약용기 내부로 더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흡인관 이동기구의 위치결정을 행하기 위해서 센서 등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흡인관의 선단을 항상 시약용기 내의 일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흡인관 유지부에 대해서 흡인관을 시약용기에 진입시키는 방향으로 흡인관 유지부를 가압하는 제2 가압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2 가압부재가 흡인관을 진입시키는 방향으로 흡인관 유지부를 가압하므로, 흡인관 유지부를 시약용기의 상면과 맞닿게 한 후, 흡인관을 진입시키는 방향으로 흡인관 이동기구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제2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서 흡인관 유지부와 시약용기의 상면과의 맞닿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가압부재에 의해서 흡인관의 선단을 시약용기 내의 일정한 위치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국면에서의 시약용기는, 시약용기를 장치의 측면에서 장치의 내부로 향하여 삽입되는 것으로 분석장치에 세팅되는 시약용기로서, 분석장치에 삽입되는 방향에서의 선단 근방에, 분석장치의 흡인관이 위쪽으로부터 진입 가능한 흡인관 진입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2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분석장치에 삽입되는 방향에서의 선단 근방에, 분석장치의 흡인관이 위쪽으로부터 진입 가능한 흡인관 진입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분석장치의 안쪽에 삽입된 흡인관 진입부를 통하여 분석장치의 흡인관을 위쪽으로부터 시약용기의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시약용기를 파지하여 선단의 흡인관 진입부 측으로부터 분석장치 내부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시약용기를 세팅할 수 있으므로, 시약용기의 설치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흡인관의 시약용기로의 진입 및 시약용기로부터의 퇴피를 분석장치 내의 시약용기 삽입방향의 안쪽에서 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시약용기를 세팅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흡인관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제2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분석장치는 흡인관 진입부 측으로부터 삽입된 시약용기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시약용기는 안내부재에 안내되는 측면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시약용기의 측면이 안내부재를 따라서 분석장치 내부로 가이드되므로, 사용자가 시약용기의 흡인관 진입부 측으로부터 분석장치 내부로 삽입할 때에, 용이하게, 시약용기를 세팅할 수 있다. 또, 시약용기의 측면이 안내부재에 의해 가이드되므로, 시약용기를 세팅할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시약용기와 안내부재와의 사이로부터 시약용기 유지부의 안쪽으로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흡인관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제2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분석장치는 입자분석장치이며, 시약용기는 입자분석장치용 시약을 수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입자분석장치에 이용하는 시약을 수용한 시약용기의 설치작업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시약용기를 세팅할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흡인관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제2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입자분석장치는 혈구계수장치 혹은 뇨 중 유형성분 분석장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시약용기의 설치작업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혈구계수장치 혹은 뇨 중 유형성분 분석장치에 세팅할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흡인관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한 시약용기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2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시약용기는 염색액을 수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흡인관에는 염색액이 부착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으므로, 염색액을 수용한 시약용기를 세팅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흡인관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음과 아울러, 흡인관에 부착한 염색액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착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시약용기는 외부의 광을 투과시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시약용기 내의 시약이 외부로부터의 광에 의해 열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것은 시약이 염색액인 경우, 광에 의한 열화가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시약용기는 흑색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외부로부터의 광을 투과시키지 않는 시약용기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제2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시약용기의 내부 저면(底面)은 시약용기의 외부 상면과 비평행이며, 내부 저면과 외부 상면과의 거리는 흡인관 진입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외부 상면이 수평이 되도록 시약용기를 세팅하면, 흡인관 진입부의 바로 아래의 내부 저면의 위치가 시약용기 내에서 가장 낮아진다. 이것에 의해, 흡인관에서 흡인하지 못하고 시약용기 내에 남아 버리는 시약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흡인관 진입부는 시약용기의 상부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시약을 수용한 시약용기의 흡인관 진입부를 용이하게 봉지(封止)할 수 있다.
상기 제2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흡인관 진입부를 봉지함과 아울러 천자(穿刺) 가능한 씰재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흡인관에 의해 흡인관 진입부의 씰재를 천자함으로써 시약용기를 개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씰재를 유지하여 시약용기를 개봉하는 동작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시약용기의 설치작업을 더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2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분석장치에 삽입되는 방향과 역방향에서의 선단 근방에 마련되고, 시약용기의 외부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시약용기 유지부로부터 시약용기를 취출할 때에, 삽입방향과는 역방향의 외부 상면의 돌출부에 손가락을 걸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분석장치로부터의 시약용기의 취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국면에 의한 시약용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흡인관 진입부를 가지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에 연속하고, 제1 수용부의 폭보다도 폭이 큰 제2 수용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수용부의 폭을 크게 하지 않고, 용이하게, 수용하는 시약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국면에서의 분석장치는, 시약용기를 유지하기 위한 시약용기 유지부와, 시약용기 유지부에 유지된 시약용기로부터 시약을 흡인하기 위한 흡인관과, 시약용기 유지부에 유지된 시약용기 내로의 흡인관의 진입 및 시약용기 밖으로의 흡인관의 퇴피를 행하는 흡인관 이동기구와, 시약용기 유지부로부터의 시약용기의 취출을 허용하는 취출위치와 시약용기 유지부로부터의 시약용기의 취출을 방지하는 취출방지위치로 이동 가능한 취출방지부재를 구비하고, 흡인관 이동기구는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흡인관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취출방지부재가 취출방지위치로 이동했을 때, 흡인관이 시약용기 유지부에 유지된 시약용기 내로 진입함과 아울러, 취출방지부재가 취출위치로 이동했을 때, 흡인관이 시약용기 밖으로 퇴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국면에 의한 분석장치에서는, 상기와 같이, 시약용기 유지부로부터의 시약용기의 취출을 허용하는 취출위치와 시약용기 유지부로부터의 시약용기의 취출을 방지하는 취출방지위치로 이동 가능한 취출방지부재를 마련함과 아울러, 흡인관 이동기구를,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흡인관을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며, 또한, 취출방지부재가 취출방지위치로 이동했을 때, 흡인관이 시약용기 유지부에 유지된 시약용기 내로 진입함과 아울러, 취출방지부재가 취출위치로 이동했을 때, 흡인관이 시약용기 밖으로 퇴피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취출방지부재를 취출위치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흡인관을 시약용기 밖으로 퇴피시킴과 아울러 시약용기 유지부로부터 시약용기를 출입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시약용기를 시약용기 유지부에 설치한 후, 사용자는 취출방지부재를 취출방지위치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시약용기 유지부로부터의 시약용기의 출입을 금지함과 아울러 흡인관을 시약용기 내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사용자는 취출방지부재의 취출위치로의 이동과, 시약용기의 설치와, 취출방지부재의 취출방지위치로의 이동의 작업을 행함으로써 시약용기 내로부터 시약을 흡인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시약용기의 설치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3 국면에 의한 분석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시약용기 유지부는 시약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시약용기를 지지부에 얹어 놓는 제1 위치 및 흡인관이 진입 가능한 위치에 지지부상의 시약용기를 배치하는 제2 위치에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지지부 이동기구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자는 지지부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시약용기를 설치하면, 지지부 이동기구에 의해 지지부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시약용기를 시약용기 유지부에 세팅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시약용기 유지부에 시약용기를 세팅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지지부 이동기구는 취출방지부재가 취출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는 지지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취출방지부재가 취출방지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는 지지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하도록,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부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취출방지부재의 이동과 지지부의 이동이 연동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시약용기를 지지부에 설치한 후, 취출방지부재를 취출방지위치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흡인관이 진입 가능한 제2 위치에 시약용기를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흡인관이 진입 가능한 제2 위치에 시약용기를 배치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시약용기에 접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약용기의 설치 또는 취출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지지부 이동기구는 지지부가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제1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지지부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부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이동을 제한 및 허용하는 제한부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를 들어 취출방지부재가 취출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의 지지부의 제2 위치로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잘못해 지지부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제한부는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롤러와, 지지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맞닿음부재를 포함하고,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롤러와 맞닿음부재가 맞닿아 맞닿음부재의 이동이 제한 및 허용됨으로써,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지지부의 이동이 제한 및 허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롤러와 맞닿음부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지지부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이동의 제한 및 허용을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시킬 수 있다.
상기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취출방지부재는 취출방지부재의 전면 측에 배치된 파지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자는 취출방지부재의 전면 측에 배치된 파지부를 가지고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흡인관 이동기구는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흡인관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흡인관 이동기구에 의한 흡인관의 이동과 지지부 이동기구에 의한 지지부의 이동과의 양쪽이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병행하여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자는 취출방지부재를 취출위치로 이동하여 지지부에 시약용기를 설치한 후, 취출방지부재를 취출방지위치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지지부의 이동과, 시약용기 내로의 흡인관의 진입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부를 이동시킨 후에 흡인관을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취출방지부재의 취출위치로부터 취출방지위치까지의 이동거리를 크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장치가 대형화해 버린다. 이것에 대해서, 흡인관의 이동과 지지부의 이동과 양쪽이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병행하여 행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취출방지부재의 취출위치로부터 취출방지위치까지의 이동거리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장치가 대형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3 국면에 의한 분석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흡인관을 유지함과 아울러 흡인관 이동기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흡인관 유지부를 더 구비하고, 흡인관 이동기구는 흡인관 유지부를 통하여 흡인관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흡인관 유지부는 흡인관이 시약용기 내로 진입할 때에, 시약용기의 상면과 맞닿음으로써 흡인관의 시약용기 내로의 진입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시약용기의 상면과 맞닿은 후에는, 흡인관 이동기구의 시약용기 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흡인관 이동기구에 대해서 흡인관을 시약용기 밖으로 퇴피시키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흡인관 유지부가 시약용기의 상면과 맞닿은 후, 흡인관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흡인관 이동기구가 더 이동했을 경우에도, 흡인관 유지부가 시약용기의 상면과 맞닿은 상태인 채로 흡인관 유지부가 흡인관 이동기구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흡인관이 시약용기 내부로 더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흡인관 이동기구의 위치결정을 행하기 위해서 센서 등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흡인관의 선단을 항상 시약용기 내의 일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흡인관 이동기구에 대해서 흡인관을 시약용기 내로 진입시키는 방향으로 흡인관 유지부를 가압하는 제2 가압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2 가압부재가 흡인관을 진입시키는 방향으로 흡인관 유지부를 가압하므로, 흡인관 유지부를 시약용기의 상면과 맞닿게 한 후, 흡인관을 진입시키는 방향으로 흡인관 이동기구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제2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서 흡인관 유지부와 시약용기의 상면과의 맞닿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가압부재에 의해서 흡인관의 선단을 시약용기 내의 일정한 위치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3 국면에 의한 분석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취출방지부재는 시약용기 유지부를 취출위치에서 개방하고, 취출방지위치에서 폐쇄하는 커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흡인관 이동기구에 의한 흡인관의 이동을, 시약용기 유지부를 개방 및 폐쇄하는 커버에 연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시약용기의 세팅을 위해서 커버를 개방했을 때에는 흡인관이 시약용기 밖으로 퇴피시켜 시약을 세팅(또는 교환) 가능하게 하며, 시약용기세팅 후에는, 커버를 폐쇄하는 것만으로 흡인관을 시약용기 내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사용자는 커버를 열어 시약용기를 설치한 후, 커버를 닫는 것만으로 시약용기 내로부터 시약을 흡인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시약용기의 설치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약용기의 설치작업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입자분석용의 분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제1 측정유니트 및 제2 측정유니트를 구비한 혈액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제1 측정유니트 및 제2 측정유니트를 구비한 혈액분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제2 측정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제2 측정유니트의 시약용기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시약용기홀더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시약용기홀더의 시약용기 유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시약용기 유지부에 시약용기가 얹어 놓인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시약용기 유지부에 시약용기가 얹어 놓인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4에 나타낸 시약용기홀더의 내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시약용기홀더의 종단면도에서 시약용기 세팅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시약용기홀더의 종단면도에서 커버를 하강시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대형의 시약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대형의 시약용기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대형의 시약용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소형의 시약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소형의 시약용기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소형의 시약용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소형의 시약용기에서의 도 17의 400-400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제2 측정유니트의 시약용기홀더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제2 측정유니트의 시약용기홀더의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제2 측정유니트의 시약용기홀더의 피어서(piercer) 승강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피어서 승강기구를 위쪽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19의 단면도에서 시약용기홀더의 지지부가 세팅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19의 단면도에서 시약용기홀더의 커버의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19의 단면도에서 시약용기홀더의 피어서가 하강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제2 측정유니트의 시약용기홀더의 시약용기 유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나타낸 시약용기홀더의 대형의 시약용기용의 시약용기 유지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8은 도 26에 나타낸 시약용기홀더의 소형의 시약용기용의 시약용기 유지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우선, 도 1 ~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혈액분석 시스템(1)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분석장치의 일례인 혈액분석 시스템(혈구계수장치)의 측정유니트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시약용기의 일례로서, 측정유니트에 이용되는 시약용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 의한 혈액분석 시스템(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X2방향 측에 배치된 제1 측정유니트(3) 및 화살표 X1방향 측에 배치된 제2 측정유니트(2)의 2개의 측정유니트와, 제1 측정유니트(3) 및 제2 측정유니트(2)의 전면 측(화살표 Y1방향 측)에 배치된 검체반송장치(샘플러)(4)와, 제1 측정유니트(3), 제2 측정유니트(2) 및 검체반송장치(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PC(퍼스널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제어장치(5)를 구비하고 있다. 또, 혈액분석 시스템(1)은 제어장치(5)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6)(도 2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측정유니트(3) 및 제2 측정유니트(2)는 실질적으로 같은 종류의 측정유니트이며, 서로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2 측정유니트(2)는 제1 측정유니트(3)와 같은 측정원리를 사용하여, 동일한 측정항목에 대해서 검체를 측정한다. 또한, 제2 측정유니트(2)는 제1 측정유니트(3)가 분석하지 않는 측정항목에 대해서도 측정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측정유니트(2) 및 제1 측정유니트(3)는, 각각, 검체인 혈액을 샘플용기(시험관)(100)로부터 흡인하는 검체흡인부(21 및 31)와, 검체흡인부(21 및 31)에 의해 흡인한 혈액으로부터 검출용 시료를 조제하는 시료조제부(22 및 32)와, 시료조제부(22 및 32)에 의해 조제된 검출용 시료로부터 혈액의 혈구를 검출하는 검출부(23 및 33)를 포함하고 있다.
또, 제2 측정유니트(2) 및 제1 측정유니트(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검체흡인부(21 및 31)나 시료조제부(22 및 32) 등을 내부에 수용하는 유니트 커버(24 및 34)와, 샘플용기(100)를 유니트 커버(24 및 34)의 내부에 취입하고, 검체흡인부(21 및 31)에 의한 흡인위치(600 및 700)까지 샘플용기(100)를 반송하는 샘플용기 반송부(25 및 35)와, 흡인위치(600 및 700)에서 샘플용기(100)를 고정 유지하는 고정유지부(26 및 36)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 측정유니트(3) 및 제2 측정유니트(2)는 실질적으로 같은 종류의 측정유니트이므로, 이하에서는 제2 측정유니트(2)에 대해서 설명하고, 제1 측정유니트(3)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검체흡인부(2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를 시약이 통과하는 흡인관인 피어서(21a) 및 정량부(定量部)(21b)를 포함하고 있다. 피어서(21a)는 선단이 샘플용기(100)의 후술하는 밀폐덮개(100a)를 관통(천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피어서(21a)는 도시하지 않은 피어서 구동부에 의해 연직방향(Z방향)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후술하는 반응챔버(22a)까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정량부(21b)는 시린지 펌프(syringe pump) 등으로 이루어지며, 피어서(21a)를 통하여 샘플용기(100)로부터 소정량의 검체를 흡인함과 아울러, 토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것에 의해, 샘플용기(100)로부터 검체측정에 필요한 소정량의 검체가 흡인되고, 흡인된 검체가 반응챔버(22a)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부(23)는 RBC 검출(적혈구의 검출) 및 PLT 검출(혈소판의 검출)을 시쓰 플로우(sheath flow) DC 검출법에 의해 행함과 아울러, HGB 검출(혈액 중의 혈색소의 검출)을 SLS-헤모글로빈법에 의해 행하는 측정부(도시생략)를 포함하고 있다. 또, 검출부(2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WBC 검출(백혈구의 검출)을 반도체 레이저를 사용한 플로우 사이토메트리법에 의해 행하는 FCM 측정부(23a)를 포함하고 있다. 또, 검출부(23)에서 얻어진 검출결과는 검체의 측정데이터(측정결과)로서 제어장치(5)에 송신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측정유니트(2)의 시료조제부(22)는 반응챔버(22a)와, 반응챔버(22a)에 접속된 시약공급부(22b)를 포함하고 있다. 반응챔버(22a)는 검체흡인부(21)에 의해 흡인된 검체(혈액)와, 시약공급부(22b)로부터 공급되는 시약을 혼합 및 반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응챔버(22a)는 측정 종별에 따라서 복수 마련되어 있다. 각 반응챔버(22a)에는 측정항목에 따른 복수 종류의 시약(염색액 등)이 공급되며, 검체와 시약과의 혼합 및 반응과정을 거쳐 각종 측정항목에 따른 검사용 시료가 조제된다. 그리고, 조제된 검사용 시료는 FCM 측정부(23a)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시약공급부(22b)는 유니트 커버(24)의 내부에 마련되고, 소정량의 시약을 수용한 복수의 시약용기(200(도 7 참조) 또는 300(도 8 참조))를 유지한다. 시약공급부(22b)는 시약용기(200(또는 300)) 내의 시약을 흡인하는 피어서(64)를 가지는 시약용기홀더(60)와, 시린지 펌프 및 다이어프램 펌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정량부(22c)와, 흡인된 시약을 정량부(22c) 및 반응챔버(22a)로 이송할 때의 유로의 개폐를 행하는 전자밸브(22d 및 22e)를 포함하고 있다. 또, 시약공급부(22b)는 시약용기홀더(60)에 유지된 시약용기(200(또는 300)) 외에, 측정유니트의 외부에 배치된 대용량 시약용기(110)로부터 시약(용혈제(溶血劑) 등)을 이송하기 위한 정량부(22f)와 전자밸브(22g 및 22h)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시약용기(200 및 300)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니트 커버(24)의 전면 측에는 개폐 가능한 전면커버(24a)가 마련되어 있다. 시약용기홀더(60)는 제2 측정유니트(2)의 전면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전면커버(24a)를 개방함으로써, 외부로 노출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시약용기(200 및 300)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제1 측정유니트(3)의 유니트 커버(34)의 전면 측에도 개폐 가능한 전면커버(34a)가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시약용기홀더(60)는 제1 측정유니트(3)의 전면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면커버(34a)를 개방함으로써, 외부로 노출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약용기홀더(60)는 5개의 홀더부(60a, 60b, 60c, 60d 및 60e)를 포함하고, 합계 5개(5종류)의 시약용기(200(또는 300))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시약용기홀더(60)에 유지되는 시약용기(200(또는 300))는 FCM 측정부(23a)에 의해 복수의 측정항목을 측정하기 위한, 각각 다른 종류의 시약(염색액)을 수용하고 있다. 시약용기의 색은 흑이다. 시약용기는 시약의 종류에 따라 대형(약 100mL)의 시약용기(200)(도 12 참조)와, 소형(약 20mL)의 시약용기(300)(도 15 참조)가 이용되지만, 각 홀더부(60a ~ 60e)는 시약용기(200 또는 300) 중 어느 하나라도 유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5개의 홀더부(60a ~ 60e)는 각각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3개의 홀더부(60a ~ 60c)에는 대형의 시약용기(200)가 세팅됨과 아울러, 2개의 홀더부(60d 및 60e)에는 소형의 시약용기(300)(도 4 및 도 5에서는 도시생략)가 세팅된다. 홀더부(60a ~ 60e)는, 각각, 섀시(61)와, 시약용기 유지부(62)와, 시약용기 유지부(62)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63)와, 상술한 피어서(64)와, 피어서 승강기구(65)를 포함하고 있다.
시약용기 유지부(62)는 섀시(61)의 하부(도 5 참조)에 마련되어 있다. 시약용기 유지부(6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가 H(도 5 참조)이며, 폭(W11)을 가지는 제1 수입부(受入部)(621)와, 제1 수입부(621)와 연속하여, 제1 수입부(621)로부터 소정 각도 θ2로 넓어지는 중간 수입부(622)와, 중간 수입부(622)와 연속하는 제2 수입부(623)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수입부(621)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약용기(200(300))의 후술하는 제1 수용부(210(310))를 수입 가능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손가락의 진입을 금지하는 폭(폭(W11))을 가진다. 또한, 손가락은 평균적인 굵기를 가지는 성인의 손가락을 의미하며, 제1 실시형태에서 폭(W11)은 10㎜이다. 또, 제2 수입부(623)는 폭(W11)보다도 큰 폭(W12)을 가진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수입부(621)는 시약용기 유지부(62)의 가장 안쪽(화살표 Y2방향 측)에 배치되어 있다. 시약용기(200(300))는 제1 수용부(210(310))의 후술하는 진입부(212(312)) 측으로부터 시약용기 유지부(62)의 안쪽을 향하여 삽입된다. 따라서, 시약용기 유지부(62)는 시약용기(200(300))의 진입부(212(312))가 가장 안쪽(화살표 Y2방향 측)이 되도록 삽입된 상태에서 시약용기(200(300))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6 ~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약용기 유지부(62)는 시약용기(200(300))의 제1 수용부(210(310))의 양 측면(214(314))을 가이드하여 제1 수입부(621)로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부재(627)를 포함하고 있다. 안내부재(627)는 제1 수입부(621)에 시약용기(200(300))의 제1 수용부(210(310))를 안내하는 제1 안내부(627a)와, 중간 수입부(622)에 대응하는 중간 안내부(627b)와, 제2 수입부(623)에 시약용기(200(300))의 후술하는 제2 수용부(220(320))를 안내하는 제2 안내부(627c)를 가진다. 또한, 안내부재(627)는 섀시(61)의 일부(양 내측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제1 수입부(621), 중간 수입부(622) 및 제2 수입부(623)는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제1 안내부(627a)의 사이의 공간, 한 쌍의 중간 안내부(627b)의 사이의 공간 및 한 쌍의 제2 안내부(627c)의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수입부(621)의 폭(W11)은 한 쌍의 제1 안내부(627a)의 사이의 폭과 동일하고, 제2 수입부(623)의 폭(W12)는 한 쌍의 제2 안내부(627c)의 사이의 폭과 동일하다.
한 쌍의 안내부재(627)는 시약용기(200(300))의 제1 수용부(210(310))의 양 측면(214(314))의 높이(H1)(도 14 및 도 17 참조)와 대략 동일한 높이(H)(도 5 참조)를 가지며, 시약용기(200(300))의 제1 수용부(210(310))의 양 측면(214(314))의 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 걸쳐 각각 가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안내부재(627)는 제1 수용부(210(310))의 외형 형상을 반영한 형상을 가지고, 시약용기(200(300))의 제1 수용부(210(310))의 양 측면(214(314)) 전체를 가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중간 안내부(627b)와 제2 안내부(627c)는 대형의 시약용기(200)의 외형 형상을 반영한 형상을 가지며, 제2 수용부(220)의 선단 측(제1 수용부(210) 측) 반의 양 측면을 가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대형의 시약용기(200)의 제2 수용부(220)는 제1 수용부(210)의 폭(W21)보다 큰 폭(W22)을 가지고, 제1 안내부(627a)는 제2 수용부(220)의 폭(W22)보다 작은 폭(W11)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약용기 유지부(62)는 시약용기(200(300))를 지지하는 지지부(624)와, 지지부(624)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기구(625)를 포함하고 있다. 지지부(624)는 시약용기(200(300))의 전면(제1 수용부(210(310))의 선단면, 도 7 및 도 8 참조)과 맞닿는 전측부(前側部)(624a)와, 시약용기(200(300))의 하면과 맞닿는 하측부(624b)를 일체적으로 가지는 판상부재이다. 즉, 지지부(624)는 시약용기(200(30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회동기구(625)는 섀시(61)의 내측면에 마련된 환상의 베어링(625a)에, 지지부(624)에 마련된 돌기부(624c)가 삽입됨으로써, 돌기부(624c)(베어링(625a))의 위치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지지부(624)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섀시(61)의 내부에는 지지부(624)의 전측부(624a)와 맞닿음으로써, 회동하는 지지부(624)를 거는 계지부(係止部)(626)가 마련되어 있다. 계지부(626)에는 자석이 마련되어 있으며, 지지부(624)의 전측부(624a)와 맞닿은 상태에서 계지부(626)가 전측부(624a)(지지부(624))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지지부(624)는 하측부(624b)가 수평(시약용기(200(300))의 하면이 수평)이 되는 재치(載置)위치(P1)(도 9 참조)와, 전측부(624a)가 수직이 되는 세팅위치(Q1)(도 10 참조)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세팅위치(Q1)에 배치된 상태에서, 시약용기(200(300))의 후술하는 진입부(212(312))(도 7 및 도 8 참조)가 수평이 되도록(피어서(64)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버(63)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부(60a ~ 60e)(섀시(61))의 각각으로부터 앞쪽(화살표 Y1방향 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피어서 승강기구(65)에 장착되어 있다. 이 피어서 승강기구(65)에 의해, 커버(63)는 시약용기 유지부(62)를 개방하는 상승위치(P2)(도 10 참조)와, 시약용기 유지부(62)를 덮는(폐쇄하는) 하강위치(Q2)(도 11 참조)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63)는 상승위치(P2)에서 시약용기(200(300))의 출입을 허용함과 아울러, 하강위치(Q2)에서 시약용기(200(300))의 출입을 금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63)의 소정 위치에는, 개구로 이루어지는 창부(631)가 마련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63)가 시약용기 유지부(62)를 덮는(폐쇄하는) 하강위치(Q2)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 창부(631)를 통하여, 시약용기(200(300))에 부착된 라벨(250(350, 도 15 참조))을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라벨(250(350))의 창부(631)를 통하여 시인 가능한 위치에는, 시약용기(200(300))의 종류(시약의 종류)를 식별하는 표지가 인쇄되어 있다. 또, 커버(63)에는 시약용기 유지부(62)에 세팅되는 시약용기(200(300))의 종류(시약의 종류)를 식별하는 표지가 인쇄된 라벨(632)이 부착된다. 즉, 5개의 홀더부(60a ~ 60e)에는 각각 정해진 종류의 시약을 수용하는 시약용기(200(300))가 세팅되므로, 이것에 대응하여, 각 홀더부(60a ~ 60e)의 커버(63)에는 세팅되어야 할 시약의 종류를 식별하는 라벨(632)이 부착된다. 이것에 의해, 시약용기 유지부(62)에 시약용기(200(300))를 세팅한 상태(커버(63)를 하강위치(Q2)로 내린 상태)에서, 커버(63)에 부착된 라벨(632)과, 창부(631)를 통하여 시인되는 라벨(250(350))로부터, 올바른 시약이 각 홀더부(60a ~ 60e)에 세팅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어서(64)는 시약용기 유지부(62)의 제1 수입부(621)의 가장 안쪽 부분(화살표 Y2방향 측)의 위쪽 위치에 배치되고, 피어서(64)를 유지하는 피어서 승강기구(65)에 의해 연직방향(Z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피어서(64)는 시약용기 유지부(62)의 안쪽에 삽입된 시약용기(200(300))의 진입부(212(312))를 통하여 제1 수용부(210(310))에 진입하고, 시약용기(200(300)) 내부의 시약을 흡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피어서(64)는 선단이 시약용기(200(300))의 진입부(212(312))에 형성된 개구부(212a(312a))(도 7 및 도 8 참조)를 봉지하기 위한 씰재(213(313))를 관통(천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어서(64)의 상단은 정량부(22c) 및 반응챔버(22a)에 이르는 유로(도 9 ~ 11에서는 도시를 생략)와 접속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어서 승강기구(65)는 피어서(64)와 커버(63)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피어서 승강기구(65)는 섀시(61)에 마련된 홈부(611 및 612)에 연직방향(Z방향) 이동 가능하게 맞물려 있다. 이것에 의해, 피어서 승강기구(65)는 커버(63)의 개폐(승강이동)에 연동하여 피어서(64)를 연직방향(Z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63)가 상승위치(P2)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피어서(64)는 시약용기 유지부(62)의 위쪽(시약용기(200(300)) 및 제1 수입부(621)의 외부)의 상승위치(P3)에 배치된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63)가 하강위치(Q2)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피어서(64)는 시약용기(200(300))의 진입부(212(312)) 바로 아래의 안쪽 저부(底部)에 근접하는 하강위치(Q3)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량부(22c)는 피어서(64)를 시약용기(200(300)) 내부에서 하강위치(Q3)에 배치한 상태(도 11 참조)에서, 전자밸브(22d)를 개방함과 아울러 전자밸브(22e)를 폐쇄함으로써, 피어서(64)를 통하여 시약용기(200(300)) 내의 소정량의 시약을 정량부(22c) 내부로 흡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검사용 시료의 조제에 필요한 소정량의 시약이 정량된다. 또, 정량부(22c)는 전자밸브(22d)를 폐쇄함과 아울러 전자밸브(22e)를 개방함으로써, 반응챔버(22a)에 정량부(22c) 내부에서 정량한 시약을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에 배치된 대용량 시약용기(110)와 접속된 정량부(22f), 전자밸브(22g 및 22h)도 마찬가지이며, 이들 각 부의 동작이 제어되는 것에 의해서, 반응챔버(22a) 내에 각종 시약이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2 측정유니트(2) 내부에는 측정이 끝난(조제가 끝난 상태) 시료를 폐기하기 위한 폐액챔버(27)가 마련되고 있으며, 전자밸브(27a)의 개폐에 의해서, 측정이 끝난(조제가 끝난) 시료의 폐기가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용기 반송부(25)는 연직방향(화살표 Z1 및 Z2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샘플용기 반송부(25)는 샘플용기(100)를 파지하는 것이 가능한 핸드부(25a)와, 샘플용기(100)를 화살표 Y1 및 Y2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샘플용기 이송부(25b)와, 바코드 독해부(25c)를 가지고 있다.
핸드부(25a)는 검체반송장치(4)가 반송하는 랙(rack)(101)의 반송로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핸드부(25a)는 검체반송장치(4)에 의해 소정의 취입위치(43b)에 샘플용기(100)가 반송되면, 아래쪽(화살표 Z2방향)으로 이동한 후, 랙(101)에 수용된 샘플용기(100)를 파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핸드부(25a)는 파지하는 샘플용기(100) 내의 혈액을 교반(攪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핸드부(25a)는, 교반 종료 후, 샘플용기 이송부(25b)에 의해 검체세팅위치(610)로 이동된 검체세팅부(25d)에 샘플용기(100)를 세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적으로 보아, 제2 취입위치(43b)와 검체세팅위치(610)는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샘플용기 이송부(25b)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체세팅부(25d)를 가지고, 검체세팅부(25d)를 측정처리의 동작에 따른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샘플용기 이송부(25b)는 검체세팅부(25d)를 도 2에 나타내는 흡인위치(600)와, 검체세팅위치(610)에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샘플용기 이송부(25b)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급 검체의 측정을 행하는 경우나, 검체반송장치(4)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샘플용기(100)를 세팅하도록, 유니트 커버(24)의 외부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코드 독해부(25c)는 각 샘플용기(100)에 부착된 바코드(도시생략)를 읽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각 샘플용기(100)의 바코드(도시생략)는 각 검체에 고유하게 부착된 것으로, 각 검체의 분석결과의 관리 등에 사용된다.
고정유지부(26)는 흡인위치(600)에 이송된 샘플용기(100)를 고정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유지부(26)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척(chuck)부(26a)를 가지고, 한 쌍의 척부(26a)가 서로 근접 이동하여 샘플용기(100)를 끼워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제2 측정유니트(2) 및 제1 측정유니트(3)에 이용되고, 시약용기홀더(60)에 세팅되는 시약용기(200 및 3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도 12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형(용량 약 100mL)의 시약용기(200)와, 소형(용량 약 20mL)의 시약용기(300)가 수용되는 시약의 종류에 대응하여 이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시약용기(200 및 300)는, 각각, 상부에 피어서(64)가 진입 가능한 진입부(212(312))가 마련된 제1 수용부(210(310))와, 제1 수용부(210(310))에 연속하는 제2 수용부(220(320))를 일체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제1 수용부(210(31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약용기(200(300))가 시약용기 유지부(62)에 세팅된 상태에서 제1 수입부(621)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수용부(220(32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약용기(200(300))가 시약용기 유지부(62)에 세팅된 상태에서 제1 수입부(621)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4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수용부(210(310)) 내부에는 제1 시약수용공간(211(311))이 마련되고, 각각의 제2 수용부(220(320)) 내부에는 제1 시약수용공간(211(311))에 연속하는 제2 시약수용공간(221(321))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수용부(210(310))는 길이(L11)를 가지는 부분이며, 이들 형상은 시약용기(200 및 300)에서 대략 공통한다. 시약용기(200 및 300)는 제1 수용부(210 및 310)의 형상이 대략 공통하기 때문에, 동일 형상을 가지는 홀더부(60a ~ 60e)의 시약용기 유지부(62)(제1 수입부(621))에 대해서 각각 세팅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수용부(210(310))는 제1 수입부(621)의 폭(W11)보다도 약간 작은 일정한 폭(W21)을 가진다. 또, 제1 수용부(210(310))에는, 각각, 전측(시약용기 유지부(62)에 제1 수용부(210(310))가 삽입되는 방향, 도 7 및 도 8의 화살표 Y2방향)의 단부에 진입부(212(312))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시약용기(200(300))는 제1 수용부(210(310))의 진입부(212(312)) 측으로부터 시약용기 유지부(62)의 안쪽을 향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진입부(212(312))는, 도 14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상면(200b(300b))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돌출한 진입부(212(312))에는, 도 12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수용부(210(310)) 내부에 연통하는 개구부(212a(31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진입부(212(312))에는 알루미늄박 등으로 이루어지는 씰재(213(313))가 개구부(212a(312a))를 폐색하도록 마련되며, 시약용기(200(300))가 봉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진입부(212(312))의 외경은 제1 수용부(210(310))의 폭(W21)과 동일하며, 진입부(212(312))는 제1 수용부(210(310))의 전측 표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동일면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4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약용기(200(300))는 각각 내부 저면(200a(300a))이 외부 상면(200b(300b))과 비평행이며, 또한, 내부 저면(200a(300a))과 외부 상면(200b(300b))과의 거리가 진입부(212(312))에 가까워짐에 따라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저면(200a(300a))이 외부 상면(200b(300b))에 대해서 각도 θ1(약 10도) 기울어진 경사면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약용기(200(300))의 진입부(212(312))의 바로 아래의 저면부에는 외부 상면(200b(300b))과 대략 평행한 저부(200c(300c))가 존재하며, 경사면(200d(300d))은 저부(200c(300c))의 단부로부터 개시(開始)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시약용기(200(300))는 도 10에 나타내는 세팅위치(Q1)에 세팅된 상태에서, 진입부(212(312))가 가장 위쪽에 위치함과 아울러, 진입부(212(312))의 바로 아래의 저부(200c(300c))가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시약용기(200(300))의 외부 상면(200b(300b))에는, 각각, 위쪽(외부 상면(200b(300b))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30(330))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230(330))는, 각각, 시약용기(200(3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길이(L1)의 판 모양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진입부(212(312))와 대략 동일한 돌출량(돌출 높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30(330))는 각각의 제2 수용부(220(320))의 뒤쪽(도 7 및 도 8의 화살표 Y1방향 측) 단부 근방의 위치에 마련되고, 사용자에 의한 시약용기(200(300))의 세팅작업 또는 떼냄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손잡이부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한편, 제2 수용부(220(320))의 형상은 시약용기(200)와 시약용기(300)에서 다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형의 시약용기(200)의 제2 수용부(220)는 제1 수용부(210)에 연속하고, 제1 수용부(210)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폭이 커지는 제1 부(222)와, 폭(W21)보다도 큰 일정한 폭(W22)을 가지는 제2 부(223)를 일체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약용기(200)에 있어서, 제2 수용부(220) 내부의 제2 시약수용공간(221)은 제1 부(222)와 제2 부(223)의 양쪽에 걸쳐서 연속해서 마련된 시약수용공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부(222)는 제1 수용부(210)의 폭을 각도 θ2(약 60도)로 넓어지도록 하여 제2 부(223)와 연속하고 있으며, 제1 수용부(210)와 제2 부(223)를 접속하고 있다. 또, 제2 부(223)가 폭(W21)보다도 큰 폭(W22)을 가짐으로써, 제2 시약수용공간(221)의 용량을 약 100mL만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약용기 유지부(62)의 중간 수입부(622)와, 중간 수입부(622)와 연속해 폭(W12)을 가지는 제2 수입부(623)는, 각각, 이 제1 부(222) 및 폭(W22)을 가지는 제2 부(223)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형의 시약용기(300)의 제2 수용부(320)는, 일정하고, 또한, 제1 수용부(310)의 폭(W21)과 동일한 폭(W21)을 가진다. 즉, 소형의 시약용기(300)에서는 제1 수용부(310) 및 제2 수용부(320)가 연속하여 직선 모양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수용부(320)의 길이(L22)는 대형의 시약용기(200)의 제2 수용부(220)의 길이(L21)보다도 작다. 소형의 시약용기(300)는 대형의 시약용기(200)의 제2 수용부(220)보다도 작은 폭(W21) 및 길이(L22)를 가지는 제2 수용부(320)를 포함함으로써, 전체에서 약 20mL의 시약 용량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310)의 길이(L11)는 제1 수입부(621)에 세팅되기 위해서, 시약용기(200 및 300)에서 공통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수용부(310) 및 제2 수용부(320)가 동일한 폭(W21)으로 연속하는 소형의 시약용기(300)에 대해서는, 이 제1 수입부(621)에 수용되는 영역이 제1 수용부(310)이고, 제1 수입부(621) 밖에 배치되는 영역이 제2 수용부(320)이다.
또, 소형의 시약용기(300)는, 대형의 시약용기(200)와 달리, 외부 저면의 경사면(300d)에 시약용기(3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직선 모양으로 연장하는 오목부(340)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오목부(340)에 의해서, 경사면(300d)을 수평면상에 설치한 경우에, 오목부(340)의 외주 부분이 수평면과 접하는 접점이 되기 때문에, 작은 폭(W21)을 가지는 시약용기(300)에서도 안정하여 직립(直立)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12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시약용기(200(300))에는, 각각, 수용하는 시약의 명칭, 시약의 로트(lot) 번호, 사용기한 및 식별용 바코드 등이 인쇄된 라벨(250(350))이 부착되어 있다. 이 라벨(250(350))은 각 시약용기(200(300))의 뒤쪽 표면과, 적어도 한쪽의 횡측면에 걸쳐서 부착된다. 또 라벨(250(350))의 일부(각 시약용기(200(300))의 뒤쪽 표면에 상당하는 부분) 또는 전부에는, 수용하는 시약의 종류를 나타내는 색채가 붙어, 라벨(250(350))에 표시된 색에 의해서 시약의 종류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라벨(250(350))과, 시약용기홀더(60)의 커버(63)에 부착되는 라벨(632)(도 5 참조)의 각각의 색이 일치하는지 여부에 의해서, 시약용기(200(300))가 올바른 홀더부(60a ~ 60e)에 세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체반송장치(4)는 분석이 행해지기 전의 검체를 수용하는 샘플용기(100)가 수용된 복수의 랙(101)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분석 전 랙유지부(41)와, 분석이 행해진 후의 검체를 수용하는 샘플용기(100)가 수용된 복수의 랙(101)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분석 후 랙유지부(42)와, 랙(101)을 화살표 X1 및 X2방향으로 수평으로 직선이동하는 랙반송부(43)와, 바코드 독해부(44)와, 샘플용기(100)의 유무를 검지하는 유무검지센서(45)와, 분석 후 랙유지부(42) 내에 랙(101)을 이동하는 랙송출부(46)를 포함하고 있다.
분석 전 랙유지부(41)는 랙송입부(411)를 가지고, 랙송입부(411)가 화살표 Y2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분석 전 랙유지부(41)에 유지된 랙(101)을 1개씩 랙반송부(43)상으로 압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랙반송부(4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랙(101)을 반송함으로써, 랙에 유지된 소정의 샘플용기(100)를, 제1 측정유니트(3)가 검체를 취입하는 취입위치(43a) 및 제2 측정유니트(2)가 검체를 취입하는 취입위치(43b)에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랙반송부(43)는 유무검지센서(45)가 샘플용기(100)의 유무를 확인하는 검체유무 검지위치(43c)와, 바코드 독해부(44)가 샘플용기(100)의 바코드(도시생략)(도 4 참조)를 읽어내는 독해위치(43d)로 샘플용기(100)를 반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랙송출부(46)는 랙반송부(43)를 끼워 분석 후 랙유지부(42)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화살표 Y1방향으로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랙송출부(46)는 화살표 Y1방향으로 수평이동함으로써, 랙반송부(43)의 분석 후 랙유지부(42)와 랙송출부(46)에 끼워진 위치에 배치된 랙(101)을 분석 후 랙유지부(42) 측으로 압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장치(5)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PC) 등으로 이루어지고, CPU, ROM, RAM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부(51)(도 2 참조)와, 표시부(52)와, 입력 디바이스(53)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 표시부(52)는 제1 측정유니트(3) 및 제2 측정유니트(2)로부터 송신된 디지털 신호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얻어진 분석결과 등을 표시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또, 제어부(51)는 CPU, ROM, RAM, 하드 디스크,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하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CPU가 실행함으로써, 컴퓨터가 제어장치(5)로서 기능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51)에 의해서, 제1 측정유니트(3), 제2 측정유니트(2) 및 검체반송장치(4)의 각 부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어부(51)의 하드 디스크에는 측정결과 데이터베이스도 인스톨되어 있다.
제어부(51)는 제1 측정유니트(3) 및 제2 측정유니트(2)로부터 송신된 측정결과를 이용하여 분석 대상의 성분을 해석함과 아울러, 분석결과(적혈구수, 혈소판수, 헤모글로빈량, 백혈구수 등)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7, 도 9 ~ 도 11 및 도 14를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제1 측정유니트(3) 및 제2 측정유니트(2)의 시약용기홀더(60)(홀더부(60a))로의 시약용기(200)의 세팅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세팅동작은 시약용기(200 및 300)에서 동일하므로, 시약용기(200)의 세팅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시약용기(300)의 세팅동작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여기에서는 홀더부(60a)로의 시약용기(200)의 세팅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다른 홀더부(60b ~ 60e)로의 세팅동작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우선, 사용자는 전면커버(24a)(도 1 참조)를 개방하고, 커버(63)를 상승위치(P2)(도 9 참조)에 배치하여, 시약용기 유지부(62)를 개방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홀더부(60a)의 지지부(624)를 하측부(624b)가 수평이 되는 재치위치(P1)(도 9 참조)에 배치한다. 또한, 피어서(64)는 커버(63)가 상승위치(P2)에 배치됨에 수반하여, 시약용기 유지부(62)의 외부(위쪽)의 상승위치(P3)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시약용기(200)를 지지부(624)에 얹어 놓는다. 시약용기(200)의 경사부(경사면(200d)의 부분)가 수평이 되도록 하측부(624b)상에 얹어 놓인다. 이 때, 진입부(212)(개구부(212a))가 시약용기(200) 가운데에서 가장 위쪽(화살표 Z1방향)의 위치(도 9 참조)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 수용부(210)의 전측(화살표 Y2방향 측) 표면이 지지부(624)의 전측부(624a)와 맞닿을 때까지 제1 수용부(210)를 제1 수입부(621)로 진입시킨다. 이 때, 제1 수용부(210)의 형상을 반영하는 한 쌍의 제1 안내부(627a)를 따라서 제1 수용부(210)의 양 측면(214) 전체가 가이드되면서, 제1 수용부(210)가 제1 수입부(621)에 삽입된다. 또, 제2 수용부(220)가 제2 안내부(627c)에 의해서 가이드된다. 이 때문에, 시약용기(200)의 삽입시에 시약용기(200)(제1 수용부(210) 및 제2 수용부(220)의 각 측면)와 안내부재(627)(제1 안내부(627a) 및 제2 안내부(627c))와의 사이로부터 시약용기 유지부(62)의 안쪽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진입하는 것이 저지된다. 이것에 의해, 시약용기 유지부(62)의 외부(위쪽)의 상승위치(P3)에 배치된 피어서(64)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닿아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지지부(624)의 하측부(624b)를 위쪽으로 밀어올리고, 전측부(624a)가 계지부(626)와 맞닿을 때까지 지지부(624)를 회동시킨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부(624a)가 계지부(626)와 맞닿으면, 계지부(626)의 자석에 의해서, 전측부(624a)가 수직이 되는 세팅위치(Q1)에 지지부(624)가 유지된다. 이 때, 도 7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약용기 유지부(62) 내의 시약용기(200)는 진입부(212)(개구부(212a)) 및 외부 상면(200b)이 수평이 되는 상태에서 유지된다.
그 후,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홀더부(60a)의 커버(63)를 상승위치(P2)로부터 하강위치(Q2)로 이동(하강)시킨다. 이것에 수반하여 피어서(64)도 하강하기 때문에, 피어서(64)는 시약용기(200)의 개구부(212a)(진입부(212))를 봉지하는 씰재(213)를 관통함과 아울러 개구부(212a)(진입부(212))를 통하여 시약용기(200) 내부로 진입한다. 사용자에 의해 커버(63)가 하강위치(Q2)에 배치되면, 피어서(64)가 시약용기(200) 내의 저부(200c)(도 14 참조) 근방의 하강위치(Q3)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피어서(64)를 통하여 시약용기(200) 내의 시약을 흡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커버(63)의 창부(631)로부터 시약용기(200)의 라벨(250)을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커버(63)에 부착되는 라벨(632)과 시약용기(200)의 라벨(250)로부터, 올바른 시약용기(200)가 세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 의해, 시약용기홀더(60)(홀더부(60a))로의 시약용기(200)의 세팅동작이 종료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에 의한 혈액분석 시스템(1)의 측정처리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제1 측정유니트(3) 및 제2 측정유니트(2)에서는, 각각 동일하게 분석 대상의 성분이 측정되므로, 이하에서는 제2 측정유니트(2)에 의해 분석 대상의 성분을 측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며, 제1 측정유니트(3)에 의한 측정처리동작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2 측정유니트(2)의 측정처리동작 제어는 제어장치(5)에 의해 행해진다.
우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위치(600)(도 2 참조)까지 반송된 샘플용기(100)로부터 검체흡인부(21)에 의해 검체의 흡인이 행해짐과 아울러, 시료조제부(22)의 반응챔버(22a)에 정량된 검체가 각각 공급된다. 그리고, 시료조제부(22)에 의해, 흡인한 검체로부터 검출용 시료가 조제된다. 구체적으로는, 정량부(22c) 및 전자밸브(22d(22e))의 동작에 의해서, 시약용기홀더(60)에 세팅된 5개(5종류)의 시약용기(200(또는 300))에 수용된 시약이, 측정항목에 따른 소정의 반응챔버(22a)에 각각 공급된다. 또한 정량부(22f) 및 전자밸브(22g(22h))의 동작에 의해서, 외부의 대용량 시약용기(110)에 수용된 시약(용혈제 등)이 소정의 반응챔버(22a)에 공급된다. 그리고, 반응챔버(22a) 내에서 검체와 시약이 혼합되고, 반응과정을 거치는 것에 의해서, 검출용 시료가 조제된다.
다음으로, 검출용 시료로부터 분석 대상의 성분이 검출부(23)에 의해 검출된다. 상기의 5개(5종류)의 시약용기(200(또는 300))에 수용된 시약을 이용하여 조제된 검출용 시료는 FCM 측정부(23a)에 공급되고, 플로우 사이토메트리법에 따르는 각종 측정항목의 측정이 행해진다. 측정 종료 후에, 반응챔버(22a) 내의 측정을 끝낸 검출용 시료는 전자밸브(27a)를 통하여 폐액챔버(27)로 폐기된다. 그리고, 측정데이터가 제2 측정유니트(2)로부터 제어장치(5)로 송신된다. 그 후, 제2 측정유니트(2)로부터 송신되는 측정결과에 근거하여, 제어부(51)에 의해 분석 대상의 성분이 해석된다. 이것에 의해, 검체의 분석이 완료되고, 동작이 종료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선단 근방의 진입부(212(312)) 측으로부터 삽입된 시약용기(200(300))를 유지하는 시약용기 유지부(62)와, 시약용기 유지부(62)에 유지된 시약용기(200(300))의 진입부(212(312))에 위쪽으로부터 진입하는 피어서(64)를 마련함과 아울러, 시약용기 유지부(62)에 진입부(212(312)) 측으로부터 삽입된 시약용기(200(300))의 시약용기 유지부(62)로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부재(627)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시약용기 유지부(62)의 안쪽에 삽입된 진입부(212(312))를 통하여 피어서(64)를 시약용기(200(300))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시약용기(200(300))를 파지하여 선단 근방의 진입부(212(312)) 측으로부터 시약용기 유지부(62)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시약용기(200(300))를 세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시약용기(200(300))의 설치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피어서(64)의 시약용기(200(300))로의 진입 및 시약용기(200(300))로부터의 퇴피를 진입부(212(312))가 삽입된 시약용기 유지부(62)의 안쪽에서 행할 수 있으므로, 시약용기(200(300))를 세팅할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피어서(64)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시약용기(200(300))가 안내부재(627)를 따라서 시약용기 유지부(62)로 가이드되므로, 시약용기(200(300))를 세팅할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시약용기(200(300)와 안내부재(627)와의 사이로부터 시약용기 유지부(62)의 안쪽으로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피어서(64)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안내부재(627)는 적어도 제1 수용부(210(310))의 양 측면(214(314))의 높이(H1)와 대략 동일한 높이치수(H)를 가지고, 제1 수용부(210(310))의 양 측면(214(314))의 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를 각각 가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수용부(210(310))의 양 측면(214(314))의 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를 안내부재(627)가 가이드하므로, 제1 수용부(210(310))의 양 측면(214(314))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걸쳐 사용자의 손가락이 시약용기 유지부(62)의 안쪽으로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피어서(64)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안내부재(627)(제1 안내부(627a))는 시약용기(200(300))의 적어도 제1 수용부(210(310))의 형상을 반영한 형상을 가지고, 제1 수용부(210(310))의 양 측면(214(314))의 전체를 가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수용부(210(310))의 형상을 반영한 형상을 가지는 안내부재(627)(제1 안내부(627a))를 따라서 제1 수용부(210(310))의 양 측면(214(314))의 전체가 가이드되므로, 시약용기(200(300))를 세팅할 때에 제1 수용부(210(310))의 양 측면(214(314))의 각각과 안내부재(627)와의 사이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이 시약용기 유지부(62)의 안쪽으로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안내부재(627)는 제1 수용부(210(310))의 양 측면(214(314))을 가이드하여 제1 수용부(210(310))를 제1 수입부(621)로 안내하는 제1 안내부(627a)와, 제2 수용부(220)를 제2 수입부(623)로 안내하는 제2 안내부(627c)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시약용기(200 및 300)의 제1 수용부(210 및 310)와 시약용기(200)의 제2 수용부(220)가 각각 안내부재(627)의 제1 안내부(627a)와 제2 안내부(627c)를 따라서 가이드되므로, 안내부재(627)의 제1 안내부(627a)뿐만 아니라 제2 안내부(627c)에 의해서도, 사용자의 손가락이 시약용기 유지부(62)의 안쪽으로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2 수용부(220)는 제1 수용부(210)의 폭(W21)보다 큰 폭(W22)을 가지고, 제1 안내부(627a)는 제2 수용부(220)의 폭(W22)보다 작은 폭(W11)으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시약용기 유지부(62)의 안쪽에 삽입되는 제1 수용부(210) 및 제1 수용부(210)를 가이드하는 제1 안내부(627a)가 모두 시약용기(200)의 제2 수용부(220)보다 작은 폭이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시약용기 유지부(62)의 안쪽으로 비집고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이것에 의해, 시약용기(200)를 세팅할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피어서(64)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더욱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2 수용부(220)는 제1 수용부(210)의 폭(W21)보다 큰 폭(W22)을 가지고, 제1 안내부(627a)는 제2 수용부(220)의 폭(W22)보다 작은 폭(W11)으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안내부(627a)가 사용자의 손가락이 시약용기 유지부(62)의 안쪽으로 비집고 들어가기 어려워지는 폭으로 되어 있어도, 시약용기에 수용할 수 있는 시약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 수입부(621)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진입을 금지하는 폭(W11)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피어서(64)가 진입하는 제1 수용부(210(310))를 받아들이는 제1 수입부(621)로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진입이 금지되므로, 시약용기(200(300))를 세팅할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피어서(64)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시약용기 유지부(62)는 시약용기(200(300))를 지지하는 지지부(624)와, 시약용기(200(300))를 지지부(624)에 얹어 놓는 재치위치(P1) 및 피어서(64)가 진입 가능한 위치에 지지부상의 시약용기(200(300))를 배치하는 세팅위치(Q1)에 지지부(624)를 이동시키는 회동기구(62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자는 지지부(624)가 재치위치(P1)에 있는 상태에서 시약용기(200(300))를 설치하면, 회동기구(625)에 의해 지지부(624)를 세팅위치(Q1)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시약용기(200(300))를 시약용기 유지부(62)에 세팅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시약용기 유지부(62)에 시약용기(200(300))를 세팅할 수 있음과 아울러, 사용자가 시약용기 유지부(62)의 안쪽에 손가락(손)을 진입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피어서 승강기구(65)는 커버(63)의 개폐에 연동하여 피어서(64)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커버(63)가 시약용기 유지부(62)를 개방하는 상승위치(P2)에 배치되었을 때, 피어서(64)가 제1 수입부(621)의 외부(위쪽)으로 퇴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시약용기(200(300))의 세팅을 위해서 커버(63)를 상승위치(P2)로 이동했을 때에 피어서(64)가 제1 수용부(210(310)) 밖으로 퇴피하므로, 시약용기(200(300))의 설치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시약용기(200(300))를 세팅할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피어서(64)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커버(63)는 피어서 승강기구(65)에 의한 피어서(64)의 이동에 연동하여, 시약용기 유지부(62)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피어서 승강기구(65)에 의한 피어서(64)의 이동을, 시약용기 유지부(62) 자체를 개방 및 폐쇄하는 커버(63)에 연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시약용기(200(300))의 세팅을 위해서 커버(63)를 개방했을 때에는 피어서(64)가 시약용기(200(300)) 밖으로 퇴피하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피어서(64)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시약용기(200(300))의 진입부(212(312))는 제1 측정유니트(3)(제2 측정유니트(2))에 삽입되는 방향에서의 선단 근방에, 제1 측정유니트(3)(제2 측정유니트(2))의 피어서(64)가 위쪽으로부터 진입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측정유니트(3)(제2 측정유니트(2))의 안쪽에 삽입된 진입부(212(312))를 통하여 제1 측정유니트(3)(제2 측정유니트(2))의 피어서(64)를 위쪽으로부터 시약용기(200(300))의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시약용기(200(300))를 파지하여 선단의 진입부(212(312)) 측으로부터 제1 측정유니트(3)(제2 측정유니트(2)) 내부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시약용기(200(300))를 세팅할 수 있으므로, 시약용기(200(300))의 설치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피어서(64)의 시약용기(200(300))로의 진입 및 시약용기(200(300))로부터의 퇴피를 제1 측정유니트(3)(제2 측정유니트(2)) 내의 삽입방향의 안쪽에서 행할 수 있으므로, 시약용기(200(300))를 세팅할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피어서(64)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시약용기(200(300))의 내부 저면(200a(300a))이 외부 상면(200b(300b))과 비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 저면(200a(300a))과 외부 상면(200b(300b))과의 거리가 진입부(212(312))에 가까워짐에 따라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외부 상면(200b(300b))이 수평이 되도록 세팅위치(Q1)에 시약용기(200(300))를 세팅하면, 진입부(212(312)) 바로 아래의 내부 저면(200a(300a))의 위치가 시약용기(200(300)) 내에서 가장 낮아진다. 이것에 의해, 피어서(64)에서 흡인하지 못하고 시약용기(200(300)) 내에 남아 버리는 시약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시약용기(200(300))의 진입부(212(312))가 시약용기 유지부(62)로 제1 수용부(210(310))가 삽입되는 방향(도 7 및 도 8의 화살표 Y2방향))에서의, 제1 수용부(210(310))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시약용기(200(300))를 시약용기 유지부(62)에 세팅한 경우에 진입부(212(312))가 제1 수입부(621)의 안쪽에 배치되므로, 진입부(212(312))의 위치에 대응하여 피어서(64)도 제1 수입부(621)의 안쪽에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피어서(64)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시약용기(200)의 제2 수용부(220)가 제1 수용부(210)에 연속하여 제1 수용부(210)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폭이 커지는 제1 부(222)와, 제1 부(222)에 연속하고, 일정한 폭(W22)을 가지는 제2 부(223)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진입부(212) 측의 내부 저면(200a)(저부(200c))의 위치가 시약용기(200) 내에서 낮아지도록 시약용기(200)를 세팅위치(Q1)에 배치한 경우에, 제2 부(223) 측에 수용된 시약이 제1 부(222)를 통하여 진입부(212) 측에 모이므로, 시약용기(200) 내의 시약이 제2 수용부(220) 측에서 잔류하지 않는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커버(63)의 개폐에 연동하여 피어서(64)를 이동시키도록 피어서 승강기구(65)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63)가 시약용기 유지부(62)를 개방하는 상승위치(P2)로 이동했을 때에 시약용기 유지부(62)로부터의 시약용기(200(300))의 출입이 허용되며, 커버(63)가 시약용기 유지부(62)를 폐쇄하는 하강위치(Q2)로 이동했을 때에 시약용기 유지부(62)로부터의 시약용기(200(300))의 출입이 금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자는 커버(63)를 상승위치(P2)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피어서(64)를 시약용기(200(300)) 밖으로 퇴피시킴과 아울러 시약용기 유지부(62)로부터 시약용기(200(300))를 출입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시약용기(200(300))를 시약용기 유지부(62)에 설치한 후, 사용자는 커버(63)를 하강위치(Q2)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시약용기 유지부(62)로부터의 시약용기(200(300))의 출입을 금지함과 아울러 피어서(64)를 시약용기(200(300)) 내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사용자는 커버(63)의 상승위치(P2)로의 이동과, 시약용기(200(300))의 설치와, 커버(63)의 하강위치(Q2)로의 이동의 작업을 행하는 것만으로, 시약용기(200(300)) 내로부터 시약을 흡인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장치 구성을 복잡화하지 않고 시약용기(200(300))의 설치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시약용기(200(또는 300))에 염색액이 수용되어 있어, 피어서(64)에 염색액이 부착하고 있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같이 피어서(64)에 손가락이 닿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염색액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시약용기홀더(60)는 5개의 홀더부(60a, 60b, 60c, 60d 및 60e)를 포함하여, 합계 5개(5종류)의 시약용기(200(또는 300))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1개의 흡인관이 다수의 시약용기로부터 시약을 흡인하는 구성과 비교하면, 각 피어서(64)가 각 시약용기(200(300))에 대응하고 있으므로 시약의 캐리-오버를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시약이 염색액인 경우, 세정하여도 피어서(64)의 더러움이 빠지기 어렵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시약용기(200(300))의 색은 흑이다. 이것에 의해, 시약용기(200(300)) 내의 시약이 외부로부터의 광에 의해 열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것은 시약이 염색액인 경우, 광에 의한 열화가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 도 6 및 도 19 ~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제2 실시형태는 피어서 승강기구(65)를 커버(63)의 개폐와 연동시킴과 아울러, 지지부(624)를 수동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상기 제1 실시형태와는 달리, 피어서 승강기구(850) 및 회동기구(825)의 양쪽을 커버(830)의 개폐와 연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약용기홀더(800) 이외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2 실시형태에서는 시약용기홀더(800)에 시약용기(200)를 세팅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며, 시약용기(300)를 세팅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시약용기홀더(800)의 홀더부(800a ~ 800e)는, 각각, 섀시(810)와, 시약용기 유지부(820)와, 시약용기 유지부(820)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830)와, 피어서(840)와, 피어서 승강기구(850)를 주로 포함하고 있다.
시약용기 유지부(820)는, 도 6에 나타내는 제1 수입부(621)와, 중간 수입부(622)와, 제2 수입부(623)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제1 수입부(621), 중간 수입부(622) 및 제2 수입부(623)의 구조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이용함과 아울러 설명을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시약용기 유지부(820)는 시약용기(200(300))의 제1 수용부(210(310))의 양 측면(214(314))을 가이드하여 제1 수입부(621)로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부재(627)를 포함하고 있다. 한 쌍의 안내부재(627)는 제1 수입부(621)에 시약용기(200(300))의 제1 수용부(210(310))를 안내하는 제1 안내부(627a)와, 중간 수입부(622)에 대응하는 중간 안내부(627b)와, 제2 수입부(623)에 시약용기(200(300))의 제2 수용부(220(320))를 안내하는 제2 안내부(627c)를 각각 가진다. 이 안내부재(627)(제1 안내부(627a), 중간 안내부(627b) 및 제2 안내부(627c))의 구조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이용함과 아울러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약용기 유지부(820)는 시약용기(200)를 지지하는 지지부(821)와, 지지부(821)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기구(825)를 포함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821)는 시약용기(200)의 전면과 맞닿는 전측부(822)와, 시약용기(200)의 하면과 맞닿는 하측부(823)와, 맞닿음부(824)와, 후측부(823a)를 일체적으로 가지는 판상부재로 이루어진다. 지지부(821)의 전측부(822)와 하측부(823)는 시약용기(20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후측부(823a)는 하측부(823)의 후단에서 판상부재(지지부(821))가 위쪽으로 절곡된 부분이다. 이 후측부(823a)에 의해, 지지부(821)(하측부(823))상의 일정 위치에 시약용기(200)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지지부(821)의 맞닿음부(824)는 전측부(822)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하도록 마련된 부위이며, 2개소의 굴절부(824a 및 824b)에서 절곡되어 있다. 맞닿음부(824)는 후술하는 롤러(856)와 맞닿아, 지지부(821)의 재치위치(P11)로부터 세팅위치(Q11)(도 20 참조)로의 이동을 제한 또는 허용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 맞닿음부(824)는 굴절부(824a)에서 각도(θ3)로 절곡됨과 아울러, 굴절부(824b)에서 각도(θ3)보다도 큰 각도(θ4)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맞닿음부(824)의 굴절부(824a)와 굴절부(824b)와의 사이의 부분 및 굴절부(824b)보다도 선단 측(화살표 Y2방향 측)의 부분은 직선 모양(평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동기구(825)는 섀시(810)의 내측면에 마련된 환상의 베어링(826)에, 지지부(821)에 마련된 돌기부(821a)가 삽입됨으로써, 돌기부(821a)(베어링(826))의 위치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지지부(821)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2 실시형태에서는, 회동기구(825)는 지지부(821)를 세팅위치(Q11)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827)를 가지고 있다. 스프링 부재(827)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이 섀시(810)의 하부에 마련된 스프링 설치부(811)상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단이 지지부(821)의 하측부(823)의 하면과 맞닿도록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827)는 지지부(821)가 재치위치(P11)에 배치된 상태에서 압축된 상태가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스프링 부재(827)의 반발력(가압력)에 의해서 하측부(823)가 밀어 올려짐으로써, 지지부(821)가 세팅위치(Q11)로 이동(회동)하도록 가압되고 있다.
여기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는 회동기구(825)에 의한 지지부(821)의 이동이 커버(830)의 개폐(상승위치(P12)와 하강위치(Q12)(도 20 참조)와의 이동)와 연동하여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커버(830)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상승위치(P12)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맞닿음부(824)와 피어서 승강기구(850)의 롤러(856)가 맞닿아 맞닿음부(824)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에 의해서, 회동기구(825)에 의한 지지부(821)의 세팅위치(Q11)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한편,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830)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하강위치(Q12)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맞닿음부(824)와 롤러(856)와의 맞닿음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 지지부(821)의 세팅위치(Q11)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또한, 섀시(810)의 내부에는 지지부(821)의 전측부(822)와 맞닿음으로써, 회동하는 지지부(821)를 거는 계지부(係止部)(812)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부(821)의 세팅위치(Q11)로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커버(830)가 하강위치(Q12)에 위치하는 경우)에서는, 스프링 부재(827)의 가압력에 의해서 전측부(822)가 계지부(812)에 밀어 붙여지도록 하여, 지지부(821)가 세팅위치(Q11)에 유지된다. 이 때문에,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830)가 상승위치(P12)로부터 하강하는 경우, 커버(830)가 하강위치(Q12)에 도달하는 것보다도 전에, 피어서 승강기구(850)의 롤러(856)가 굴절부(824a)를 통과한 시점에서 지지부(821)가 세팅위치(Q11)에 배치된다. 그리고, 지지부(821)가 세팅위치(Q11)에 배치된 시점에서, 피어서(840)가 지지부(821)에 세팅된 시약용기(200)의 진입부(212)의 직전(근방)의 위치에 배치된다.
커버(830)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어서 승강기구(850)에 장착됨과 아울러, 이 피어서 승강기구(850)에 의해, 시약용기 유지부(820)를 개방하는 상승위치(P12)와, 시약용기 유지부(820)를 덮는(폐쇄하는) 하강위치(Q12)(도 20 참조)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커버(830)는 상승위치(P12)에서 시약용기(200(300))의 출입을 허용함과 아울러, 하강위치(Q12)에서 시약용기(200(300))의 출입을 금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830)는 커버(830)가 하강위치(Q12)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창부(831)를 통하여, 시약용기(200)에 부착된 라벨(250)을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커버(830)에는 시약용기 유지부(820)에 세팅되는 시약용기(200)의 종류(시약의 종류)를 식별하는 표지가 인쇄된 라벨(832)이 부착되어 있다.
또, 제2 실시형태에서는, 커버(830)의 전면 측(화살표 Y1방향 측)에는 커버 파지부(833)가 전방(화살표 Y1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커버 파지부(833)를 파지하여 커버(830)의 개폐(상승위치(P12) 또는 하강위치(Q12)로의 이동)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어서(840)는 시약용기 유지부(820)의 제1 수입부(621)의 가장 안쪽 부분(화살표 Y2방향 측)의 위쪽 위치에 배치되고, 피어서 승강기구(850)에 의해 연직방향(Z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피어서(840)는 시약용기 유지부(820)의 안쪽에 삽입된 시약용기(200(300))의 진입부(212(312))를 통하여 제1 수용부(210(310))에 진입하고, 시약용기(200(300)) 내부의 시약을 흡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피어서(840)는 통 모양의 피어서 유지부(841)의 축중심(도 22 참조)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피어서 유지부(841)는 원기둥 모양의 축부(842)와, 축부(842)의 하단에서 외경을 넓히도록 형성된 플랜지부(843)를 일체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피어서 유지부(841)는 피어서(840)가 진입부(212)(개구부(212a))를 통하여 시약용기(200) 내로 진입할 때에, 시약용기(200)의 진입부(212)와 피어서 유지부(841)(플랜지부(843))의 하면(843a)이 맞닿음으로써, 피어서(840)의 시약용기(200) 내로의 진입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피어서(840)가 하강위치(Q13)에 배치된다. 이 때, 시약용기(200)의 진입부(212)와 피어서 유지부(841)(플랜지부(843))의 하면(843a)이 맞닿음으로써, 개구부(212a)가 덮힌다.
또,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어서 유지부(841)는 피어서 승강기구(850)의 장착부(851)로부터 위쪽(화살표 Z1방향)으로 돌출하는 축부(842)의 상단부가 고정구(844)(도 22 참조)에 의해서 걸림으로써, 장착부(851)에 매달리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피어서 유지부(841)는 피어서 승강기구(850)의 장착부(851)에 대해서 피어서(840)가 시약용기(200)로부터 퇴피하는 위쪽 방향(Z1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피어서 유지부(841)의 축부(842)의 외주에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부재(845)가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845)는 하단이 플랜지부(843)의 상면과 맞닿고, 상단이 피어서 승강기구(850)의 장착부(851)의 하면과 맞닿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프링 부재(845)는 피어서 승강기구(850)의 장착부(851)에 대해서 피어서(840)가 시약용기(200)로 진입하는 아래쪽 방향(Z2방향)으로 피어서 유지부(841)를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845)는 비압축상태에서 스프링 길이(L3)를 가진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어서 승강기구(850)는 커버(830)를 유지함과 아울러, 장착부(851)에 장착된 피어서 유지부(841)를 통하여 피어서(840)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어서 승강기구(850)는 V자 모양의 홈(도 22 참조)을 가지는 3개의 가이드 롤러(852, 853 및 854)를 포함한다. 가이드 롤러(852 및 853)는 섀시(810)의 앞쪽(화살표 Y1방향 측)의 가이드부(813)에 상하방향 이동 가능하게 맞물려 있다. 또, 가이드 롤러(854)는 섀시(810)의 안쪽(화살표 Y2방향 측)의 가이드부(814)에 상하방향 이동 가능하게 맞물려 있다. 이것에 의해, 피어서 승강기구(850)는 커버(830)의 개폐(승강)에 연동하여 피어서(840)를 연직방향(Z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 롤러(854)는 판스프링(855)을 통하여 피어서 승강기구(850)에 장착되어 있고, 판스프링(855)에 의해 전방 측(화살표 Y1방향 측)으로 가압된 상태로 가이드부(814)와 맞물려 있다. 또, 가이드부(814)의 하부에는 제1 경사부(814a) 및 제2 경사부(814b)를 가지는 볼록 모양부가 형성되어 있다. 판스프링(855)을 통하여 전방 측(화살표 Y1방향 측)에 가압된 가이드 롤러(854)는, 하강시에는 제1 경사부(814a)를 넘도록 이동한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커버(830)를 닫는 경우, 사용자는 제1 경사부(814a)를 넘을 때에 저항을 느껴 하강위치(Q12)까지 커버(830)를 눌러 내린 것을 확실히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커버(830)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가이드 롤러(854)가 제2 경사부(814b)를 넘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2 경사부(814b)는 커버(830)가 하강위치(Q12)에 배치되었을 경우에, 커버(830)(피어서 승강기구(850))의 위치를 하강위치(Q12)에 고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830)가 하강위치(Q12)에 도달하기 전에, 시약용기(200)의 진입부(212)와 피어서 유지부(841)의 플랜지부(843)의 하면(843a)이 맞닿아, 피어서(840)가 하강위치(Q13)에 배치된다. 따라서, 피어서(840)가 하강위치(Q13)에 배치되고 나서 커버(830)가 하강위치(Q12)(도 20 참조)에 도달할 때까지는, 커버(830)(피어서 승강기구(850))의 하강에 수반하여 장착부(851)가 하강함으로써, 피어서 유지부(841)의 스프링 부재(845)를 압축시키도록 동작한다. 이 때문에, 커버(830)가 하강위치(Q12)에 배치된 상태에서 피어서 유지부(841)의 스프링 부재(845)가 스프링 길이(L4)로 압축된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 부재(845)가 장착부(851)를 통하여 피어서 승강기구(850)의 가이드 롤러(854)를 제2 경사부(814b)로 밀어붙임과 아울러, 스프링 부재(845)가 플랜지부(843)를 통하여 피어서 유지부(841)를 시약용기(200)로 밀어붙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조 오차 등에 기인하여 커버(830)의 하강위치(Q12)(제2 경사부(814b)의 위치)가 약간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어긋났다고 하여도, 피어서 유지부(841)의 스프링 부재(845)의 반발력에 의해서 피어서 유지부(841)와 시약용기(200)를 확실히 맞닿음시켜, 시약용기(200)에 대한 피어서(840)의 위치가 홀더부(800a ~ 800e)마다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2 실시형태에서는, 피어서 승강기구(850)의 안쪽(화살표 Y2방향 측)의 하부에는 피어서 승강기구(850)(커버(830))와 일체적으로 상하 이동하는 롤러(856)가 마련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830)가 상승위치(P12)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롤러(856)가 지지부(821)의 맞닿음부(824)와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롤러(856)는 스프링 부재(827)에 의해 세팅위치(Q11)로 이동하도록 가압된 맞닿음부(824)(지지부(821))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856)는 커버(830)가 하강위치(Q12)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지지부(821)가 세팅위치(Q11)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실시형태는 피어서 승강기구(850)에 의한 피어서(840)의 이동과 회동기구(825)(스프링 부재(827))에 의한 지지부(821)의 이동의 양쪽이 커버(830)의 개폐(승강)에 연동하여 병행하여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피어서 승강기구(850)의 안쪽(화살표 Y2방향 측)의 상부에는 검출편(857)이 마련되어 있다. 이 검출편(857)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810)에 마련된 광학식의 센서(포토 인터럽터)(815)를 차광하여, 커버(830)가 하강위치(Q12)(피어서(840)가 하강위치(Q13))에 배치된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장착부(851)의 위쪽에는 피어서(840)가 개구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된 피어서 규제부(858)가 배치되어 있다. 피어서 규제부(858)는 장착부(851) 주위에 피어서(840)(피어서 유지부(841))가 회동하도록 움직이는 것을 규제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도 22는 피어서 규제부(858)를 일점쇄선(一点鎖線)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 섀시(810)의 외부의 제1 수입부(621) 근방의 위치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행하기 위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안테나부(816)(일점쇄선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시약용기(200)의 제1 수용부(210)의 외측면에 RFID 태그(860)가 부착된다. 이 RFID 태그(860)에는, 예를 들어 시약용기(200)에 수용되는 시약의 종류, 로트 번호 및 사용기한 등의 시약 정보가 기록된다. 그리고, 지지부(821)에 시약용기(200)가 세팅되면, 시약용기(200)의 RFID 태그(860)와 RFID 안테나부(816)(일점쇄선 참조)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행함으로써, 시약 정보가 읽어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읽어낸 시약 정보는 제어장치(5)(도 1 참조)에 의해 취득되고, 잘못된 시약(시약용기(200))이 설치된 경우 등에는, 에러 메세지가 표시부(52)(도 1 참조)에 표시된다.
다음으로, 도 1, 도 6 및 도 19 ~ 도 25를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제1 측정유니트(3) 및 제2 측정유니트(2)(도 1 참조)의 시약용기홀더(800)(홀더부(800a))로의 시약용기(200)의 세팅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세팅동작은 시약용기(200 및 300)에서 동일하므로, 시약용기(200)의 세팅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시약용기(300)의 세팅동작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여기에서는 홀더부(800a)로의 시약용기(200)의 세팅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다른 홀더부(800b ~ 800e)로의 세팅동작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사용자는 전면커버(24a)(도 1 참조)를 개방하고, 커버 파지부(833)를 파지하여 커버(830)를 상승위치(P12)(도 19 참조)로 이동시킨다(커버(830)를 개방한다). 이 때,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830)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피어서 승강기구(850)의 피어서(840)와 롤러(856)가 위쪽으로 이동하고, 롤러(856)가 굴절부(824a)에서 맞닿음부(824)와 맞닿는다. 이 때, 피어서(840)는 시약용기(200)의 외부(위쪽)로 퇴피한다. 여기서, 맞닿음부(824)를 가지는 지지부(821)는 스프링 부재(827)에 의해서 가압되고 있으므로, 롤러(856)가 맞닿음부(824)를 화살표 Y1방향 측으로 밀어내도록 하여 상승한다. 이것에 의해, 커버(830)의 상승에 연동하여, 피어서(840)가 상승위치(P13)를 향해서 상승함과 아울러, 병행하여 지지부(821)가 화살표 Y1방향 측으로 회동되어 재치위치(P11)로의 이동을 개시한다.
커버(830)의 상승을 계속하면,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856)가 굴절부(824b)에서 맞닿음부(824)와 맞닿는다. 굴절부(824b)의 각도(θ4)는 굴절부(824a)의 각도(θ3)보다도 크기 때문에, 이 굴절부(824b) 이후, 커버(830)(롤러(856))의 상승에 수반하는 지지부(821)의 이동량(회동 각도)이 증대함과 아울러, 커버(830)(롤러(856))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밀어올리는 힘이 증대한다. 이와 같이 굴절부(824a 및 824b)를 2개소에 마련하고, 굴절부(824a)(각도(θ3))에서는 굴절부(824b)(각도(θ4))보다도 각도를 작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커버(830)를 밀어 올릴 때에 필요한 밀어올리는 힘(즉, 사용자가 받는 저항)의 급격한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굴절부(824b)(각도(θ4))에서 각도를 크게 함으로써, 지지부(821)의 이동량(회동 각도)을 증대시켜 지지부(821)를 세팅위치(Q11)와 재치위치(P11)로 이동(회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커버(830)(롤러(856)) 전체의 이동량이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시약용기홀더(800)가 대형화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굴절부(824b)를 지나 상승을 계속하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830)가 상승위치(P12)에 배치되어 시약용기 유지부(820)가 개방됨과 아울러, 피어서(840)가 상승위치(P13)에 배치된다. 또, 피어서 승강기구(850)의 롤러(856)가 맞닿음부(824)의 선단부와 맞닿음으로써, 스프링 부재(827)에 의한 지지부(821)의 화살표 Y2방향 측으로의 회동이 제한되어, 지지부(821)가 재치위치(P11)에 유지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시약용기(200)를 지지부(821)에 얹어 놓는다(새로운 시약용기(200)로 교환한다). 이 때, 시약용기(200)에 부착된 RFID 태그(860)에 기록된 시약 정보가 섀시(810)의 외부에 설치된 RFID 안테나부(816)(일점쇄선 참조)를 통하여 제어장치(5)(도 1 참조)로 읽어 들인다. 잘못된 시약(시약용기(200))이 설치된 경우에는, 표시부(52)(도 1 참조)에 에러 메세지가 표시되고, 잘못된 시약인 것이 사용자에 통지된다.
또한, 제1 수입부(621) 및 안내부재(627)(도 6 참조)의 형상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제2 실시형태에서도 제1 수용부(210)의 형상을 반영하는 한 쌍의 제1 안내부(627a)를 따라서 제1 수용부(210)의 양 측면(214) 전체가 가이드됨으로써, 시약용기(200)의 삽입시에 시약용기(200)(제1 수용부(210) 및 제2 수용부(220)의 각 측면)와 안내부재(627)(제1 안내부(627a) 및 제2 안내부(627c))와의 사이로부터 시약용기 유지부(62)의 안쪽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진입하는 것이 저지된다. 이것에 의해, 피어서(840)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커버 파지부(833)를 파지하여 커버(830)를 상승위치(P12)로부터 하강위치(Q12)(도 20 참조)로 이동(하강)시킨다(커버(830)를 닫는다). 이것에 수반하여 피어서 승강기구(850)의 피어서(840)와 롤러(856)가 하강한다. 지지부(821)는 스프링 부재(827)에 의해서 화살표 Y2방향 측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롤러(856)와 맞닿음부(824)가 맞닿은 상태인 채로, 롤러(856)의 하강에 수반하여 지지부(821)가 서서히 화살표 Y2방향 측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856)가 굴절부(824a)까지 하강하면, 지지부(821)의 전측부(822)가 계지부(812)와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지지부(821)가 세팅위치(Q11)에 배치됨과 아울러, 지지부(821)의 회동이 계지부(812)에 의해서 정지된다. 이 때, 피어서(840)가 시약용기(200)의 진입부(212)(개구부(212a)) 위쪽에서, 또한 진입부(212)(개구부(212a)) 근방의 위치(진입부(212)(개구부(212a))의 직전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부(821)가 세팅위치(Q11)에 배치되면, 전측부(822)가 계지부(812)와 맞닿아 걸리므로, 롤러(856)가 굴절부(824a)를 지난 후에는, 피어서(840)만이 커버(830)의 하강에 수반하여 이동한다.
사용자가 커버(830)를 계속해서 하강시키면, 피어서(840)는 시약용기(200)의 진입부(212)(개구부(212a))를 봉지하는 씰재(213)를 관통함과 아울러 진입부(212)(개구부(212a))를 통하여 시약용기(200) 내부로 진입한다. 또, 커버(830)가 하강위치(Q12)에 도달하는 동안에, 피어서 승강기구(850)의 가이드 롤러(854)가 제1 경사부(814a)를 넘는다. 사용자는 가이드 롤러(854)가 제1 경사부(814a)를 넘을 때에 저항을 느껴 커버(830)를 소정 위치까지 눌러 내린 것을 확실히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854)가 제1 경사부(814a)와 제2 경사부(814b)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피어서 유지부(841)의 하면과, 시약용기(200)의 진입부(212)의 상단면이 맞닿아, 피어서(840)의 하강이 정지한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피어서(840)는 하강위치(Q13)에 배치된다. 피어서(840)가 하강위치(Q13)에 배치된 후에는, 커버(830)(피어서 승강기구(850))가 더욱 하강하면, 피어서 유지부(841)는 피어서 승강기구(85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위쪽(피어서(840)가 퇴피할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피어서 유지부(841)는 커버(830)(피어서 승강기구(850))의 하강에 대해서 장착부(851)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그 위치를 유지한다. 따라서, 피어서(840)가 하강위치(Q13)에 배치된 후에는, 지지부(821) 및 피어서(840)는 정지한 채로 커버(830)(피어서 승강기구(850))만이 하강한다.
가이드 롤러(854)가 제2 경사부(814b)를 통과하면, 피어서 승강기구(850)(장착부(851))의 하강에 수반하여, 피어서 유지부(841)의 스프링 부재(845)가 압축된다. 이 스프링 부재(845)의 반발력에 의해서 피어서 승강기구(850)에 대해 위쪽(화살표 Z1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함으로써, 가이드 롤러(854)가 제2 경사부(814b)와 서로 맞물리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845)가 스프링 길이(L4)까지 압축된 상태에서, 커버(830)가 하강위치(Q12)에 유지된다. 또, 이 때, 피어서 승강기구(850)의 검출편(857)이 센서(815)를 차광하여, 커버(830)가 닫힌 것(하강위치(Q12)에 배치된 것)이 검출된다. 이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피어서(840)를 통하여 시약용기(200) 내의 시약을 흡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커버(830)의 창부(831)로부터 시약용기(200)의 라벨(250)을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커버(830)에 부착되는 라벨(832)과 시약용기(200)의 라벨(250)로부터, 올바른 시약용기(200)가 세팅되고 있는지 여부, 시약의 교환시에 어느 라벨(250)이 첨부된 시약(시약용기(200))을 준비하면 좋은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 의해, 시약용기홀더(800)(홀더부(800a))로의 시약용기(200)의 세팅동작이 종료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회동기구(825)는 커버(830)를 상승위치(P12)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지지부(821)가 재치위치(P11)에 위치하고, 커버(830)를 하강위치(Q12)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지지부(821)가 세팅위치(Q11)에 위치하도록, 커버(830)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부(821)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커버(830)의 이동과 지지부(821)의 이동이 연동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시약용기(200)를 지지부(821)에 설치한 후, 커버(830)를 하강위치(Q12)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피어서(840)가 진입 가능한 세팅위치(Q11)에 시약용기(200)를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장치 구성을 복잡화하지 않고 시약용기(200)의 설치 또는 취출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피어서(840)가 진입 가능한 세팅위치(Q11)에 시약용기(200)를 배치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시약용기(200)에 접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피어서(840)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또, 제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지지부(821)가 세팅위치(Q11)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827)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지지부(821)를 재치위치(P11)로부터 세팅위치(Q11)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제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맞닿음부(824)와 롤러(856)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잘못해 지지부(821)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피어서(840)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또, 제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커버(830)의 개폐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롤러(856)와, 지지부(821)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맞닿음부(824)가 마련되고, 롤러(856)와 맞닿음부(824)가 맞닿아 맞닿음부(824)의 이동이 제한 및 허용되는 것에 의해, 재치위치(P11)로부터 세팅위치(Q11)로의 지지부(821)의 이동이 제한 및 허용된다. 이것에 의해, 롤러(856)와 맞닿음부(824)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지지부(821)의 재치위치(P11)로부터 세팅위치(Q11)로의 이동의 제한 및 허용을 커버(830)의 개폐에 연동시킬 수 있다.
또, 제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커버(830)의 전면 측(화살표 Y1방향 측)에 커버 파지부(833)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는 커버(830)의 전면 측에 배치된 커버 파지부(833)를 가지고 커버(830)의 이동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피어서(840)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히 회피할 수 있음과 아울러, 커버(830)의 이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제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피어서 승강기구(850)가 커버(830)의 이동(개폐)에 연동하여 피어서(84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피어서 승강기구(850)에 의한 피어서(840)의 이동과 회동기구(825)에 의한 지지부(821)의 이동과의 양쪽이 커버(830)의 이동(개폐)에 연동하여 병행하여 행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자는 커버(830)를 상승위치(P12)로 이동하여 지지부(821)에 시약용기(200)를 설치한 후, 커버(830)를 닫는 것만으로 재치위치(P11)로부터 세팅위치(Q11)로의 지지부(821)의 이동과, 시약용기(200) 내로의 피어서(840)의 진입(피어서(840)의 상승위치(P13)로부터 하강위치(Q13)로의 이동)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커버(830)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부(821)를 이동시킨 후에 피어서(84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커버(830)의 상승위치(P12)로부터 하강위치(Q12)까지의 이동거리를 크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장치가 대형화해 버린다. 이것에 대해서, 피어서(840)의 이동과 지지부(821)의 이동의 양쪽이 커버(830)의 이동(개폐)에 연동하여 병행하여 행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커버(830)의 상승위치(P12)로부터 하강위치(Q12)까지의 이동거리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장치가 대형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피어서 유지부(841)는 피어서(840)가 진입부(212)를 통하여 시약용기(200) 내로 진입할 때에, 시약용기(200)의 진입부(212)와 맞닿음으로써 피어서(840)의 시약용기(200) 내로의 진입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피어서 유지부(841)는 시약용기(200)의 진입부(212)와 맞닿은 후에는, 피어서 승강기구(850)의 시약용기(200) 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피어서 승강기구(850)(장착부(851))에 대해서 피어서(840)를 시약용기(200) 밖으로 퇴피시키는 위쪽 방향(화살표 Z1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피어서 유지부(841)가 시약용기(200)의 진입부(212)의 상단면과 맞닿은 후, 피어서(840)를 더 진입시키는 방향(화살표 Z2방향)으로 피어서 승강기구(850)를 이동시켰을 경우에도, 피어서 유지부(841)가 시약용기(200)의 진입부(212)의 상단면과 맞닿은 상태인 채로 피어서 유지부(841)가 피어서 승강기구(85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피어서(840)가 시약용기(200) 내부로 더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피어서 승강기구(850)의 위치결정을 행하기 위해서 센서 등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피어서(840)의 선단을 항상 시약용기(200) 내의 일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 제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피어서 승강기구(850)(장착부(851))에 대해서 피어서(840)를 시약용기(200) 내로 진입시키는 아래쪽 방향(화살표 Z2방향)으로 피어서 유지부(841)를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845)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스프링 부재(845)는 피어서(840)를 진입시키는 아래쪽 방향(화살표 Z2방향)으로 피어서 유지부(841)를 가압한다. 이 때문에, 피어서 유지부(841)가 시약용기(200)의 진입부(212)의 상단면과 맞닿은 후, 피어서(840)가 진입하는 방향(화살표 Z2방향)으로 피어서 승강기구(850)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스프링 부재(845)의 가압력에 의해서 피어서 유지부(841)와 진입부(212)의 상단면과의 맞닿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 부재(845)에 의해서 피어서(840)의 선단을 시약용기(200) 내의 일정한 위치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또, 제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커버(830)가 시약용기(200)의 취출을 허용하는 상승위치(P12)에서 시약용기 유지부(820)를 개방하고, 시약용기 유지부(820)로부터의 시약용기(200)의 취출을 방지하는 하강위치(Q12)에서 시약용기 유지부(820)를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피어서 승강기구(850)에 의한 피어서(840)의 이동을, 시약용기 유지부(820)를 개방 및 폐쇄하는 커버(830)에 연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시약용기(200)의 세팅을 위해서 커버(830)를 개방했을 때에는 피어서(840)가 시약용기(200) 밖으로 퇴피시켜 시약을 세팅(또는 교환) 가능하게 하고, 시약용기(200)세팅 후에는, 커버(830)를 폐쇄하는 것만으로 피어서(840)를 시약용기(200) 내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사용자는 커버(830)를 열어 시약용기(200)를 설치한 후, 커버(830)를 닫는 것만으로, 시약용기(200) 내로부터 시약을 흡인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시약용기(200)의 설치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제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시약용기(200)의 진입부(212)와 피어서 유지부(841)(플랜지부(843))의 하면(843a)이 맞닿음으로써, 개구부(212a)가 덮힌다. 이것에 의해, 한 번 시약용기(200)가 세팅되면, 다음의 시약 교환까지 피어서(840)가 하강한 상태에서 시약용기(200)가 세팅된 채로 있는 분석장치에 있어서, 간단한 구성으로 시약의 건조나 이물의 혼입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그 외의 효과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7, 도 19 및 도 26 ~ 도 2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대형의 시약용기(200) 및 소형의 시약용기(300)가 공통의 시약용기 유지부(62(820))에 의해 유지되도록 구성된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는 달리, 대형의 시약용기(200)와 소형의 시약용기(300)에 각각 전용의 시약용기 유지부(920과 93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시약용기 유지부(920 및 930)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구성 또는 상기 제2 실시형태의 구성 중 어느 구성을 채용해도 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시약용기홀더(900)는 대형의 시약용기(200) 전용의 시약용기 유지부(920)가 마련된 2개의 홀더부(900a 및 900b)와, 소형의 시약용기(300) 전용의 시약용기 유지부(930)가 마련된 3개의 홀더부(900c, 900d 및 900e)를 포함하고 있다.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형의 시약용기(200) 전용의 시약용기 유지부(920)는,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시약용기 유지부(62(820))와 마찬가지로, 높이가 H이고, 폭(W11)을 가지는 제1 수입부(621)와, 중간 수입부(622)와, 제2 수입부(623)를 포함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시약용기 유지부(920)는 시약용기(200)의 제1 수용부(210)의 양 측면(214)을 가이드하여 제1 수입부(621)로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부재(627)를 포함하고 있다. 안내부재(627)는 제1 안내부(627a)와, 중간 안내부(627b)와, 제2 안내부(627c)를 가진다. 한 쌍의 안내부재(627)(제1 수입부(621), 중간 수입부(622) 및 제2 수입부(623))는 각각 시약용기(200)의 외형 형상을 반영한 형상을 가지며, 시약용기(200)의 제1 수용부(210)의 양 측면(214) 전체와, 제2 수용부(220)의 선단 측(화살표 Y2방향) 반의 양 측면을 가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약용기 유지부(920)는 시약용기(200)를 지지하는 지지부(921)와, 지지부(921)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기구(922)를 포함하고 있다. 지지부(921)는 시약용기(200)의 전면(제1 수용부(210)의 선단면)과 맞닿는 전측부(921a)와, 시약용기(200)의 하면과 맞닿는 하측부(921b)와, 하측부(921b)로부터 앞쪽(제2 수용부(220)의 후단 측, 화살표 Y1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부(921c)와, 연장부(921c)의 단부에 마련된 후단부(921d)를 일체적으로 가지는 판상부재이다. 또한, 지지부(921)에는 상기 제2 실시형태의 지지부(821)(도 19 참조)와 같이 맞닿음부를 마련하고, 맞닿음부와 롤러가 맞닿아 지지부(921)의 이동이 제한 또는 허용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부(921b)로부터 연장하는 연장부(921c)는 지지부(921)의 폭방향의 한쪽(화살표 X1방향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고, 화살표 Y1방향으로 직선 모양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단부(921d)는 연장부(921c)의 선단(화살표 Y1방향 측의 단부)에서 판상부재(지지부(921))가 위쪽으로 절곡된 부분이다.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부(921c)의 Y방향의 길이는 시약용기(200)의 길이방향의 길이에 대응하고 있으며, 시약용기(200)를 지지부(921)에 세팅할 때에 후단부(921d)가 시약용기(200)의 위치결정부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지지부(921)(하측부(921b))상의 일정 위치에 시약용기(200)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시약용기(200)의 설치시에 사용자가 시약용기(200)의 후단부(제2 수용부(220))를 상하방향으로 끼우도록 파지한 경우에, 연장부(921c)가 지지부(921)의 한쪽(화살표 X1방향 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연장부(921c) 및 후단부(921d)가 시약용기(200)의 설치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 시약용기 유지부(920)의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시약용기 유지부(62) 또는 제2 실시형태의 시약용기 유지부(820)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6 및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형의 시약용기(300) 전용의 시약용기 유지부(930)는, 높이가 H이며, 폭(W11)을 가지는 제1 수입부(931)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수입부(931)는 시약용기(300)의 제1 수용부(310)를 수입 가능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손가락의 진입을 금지하는 폭(폭(W11), 예를 들어, 10㎜)을 가진다. 제1 수입부(931)는 시약용기 유지부(930)의 가장 안쪽(화살표 Y2방향 측)에 배치되고, 시약용기(300)는 제1 수용부(310)의 진입부(312) 측으로부터 시약용기 유지부(930)의 안쪽을 향하여 삽입된다. 따라서, 시약용기 유지부(930)는 시약용기(300)의 진입부(312)가 가장 안쪽이 되도록 삽입된 상태에서, 시약용기(300)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시약용기 유지부(930)는 시약용기(300)의 제1 수용부(310)의 양 측면(314)을 가이드하여 제1 수입부(931)로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부재(932)를 포함하고 있다. 한 쌍의 안내부재(932)는 각각 제1 수입부(931)에 시약용기(300)의 제1 수용부(310)를 안내하는 제1 안내부(932a)를 가진다. 또한, 한 쌍의 안내부재(932)는 시약용기 유지부(930)가 마련된 홀더부(900c(900d 및 900e))의 섀시(901)의 일부(양 내측면)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의 제1 수입부(931)는 한 쌍의 제1 안내부(932a)의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안내부재(932)(섀시(901))의 앞쪽(화살표 Y1방향 측) 단부에는 시약용기 유지부(930)의 폭방향(X방향)의 외측으로 넓어지는 굴곡부(901a)가 형성되어 있다.
도 26 및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안내부재(932)는, 각각, 시약용기(300)의 제1 수용부(310)의 양 측면(314)의 높이(H1)(도 17 참조)와 대략 동일한 높이(H)를 가지고, 시약용기(300)의 제1 수용부(310)의 양 측면(314)의 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 걸쳐 가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안내부재(932)는 각각 제1 수용부(310)의 외형 형상을 반영한 평탄 형상을 가지며, 시약용기(300)의 제1 수용부(310)의 양 측면(314) 전체를 가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수입부(931)의 폭(W11)은 제1 안내부(932a)의 사이의 폭과 동일하다.
또,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약용기 유지부(930)는 시약용기(300)를 지지하는 지지부(933)와, 지지부(933)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기구(934)를 포함하고 있다. 지지부(933)는 시약용기(300)의 전면(제1 수용부(310)의 선단면)과 맞닿는 전측부(933a)와, 시약용기(300)의 하면과 맞닿는 하측부(933b)와, 하측부(933b)의 앞쪽(제2 수용부(320)의 후단 측, 화살표 Y1방향)의 단부에 마련된 후단부(933c) 및 하측부(933b)의 앞쪽 단부의 양 측부에 마련된 한 쌍의 직립부(933d)를 일체적으로 가지는 판상부재이다. 또한, 지지부(933)에는 상기 제2 실시형태의 지지부(821)(도 19 참조)와 같이 맞닿음부를 마련하고, 맞닿음부와 롤러가 맞닿아 지지부(933)의 이동이 제한 또는 허용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단부(933c)는 하측부(933b)의 선단(화살표 Y1방향 측의 단부)에서 판상부재(지지부(933))가 위쪽으로 절곡된 부분이다. 하측부(933b)의 Y방향의 길이는 시약용기(300)의 길이방향의 길이에 대응하고 있고, 시약용기(300)를 지지부(933)에 세팅할 때에 후단부(933c)가 시약용기(300)의 위치결정부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지지부(933)(하측부(933b))상의 일정 위치에 시약용기(300)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한 쌍의 직립부(933d)는 하측부(933b)의 앞쪽 단부의 양 측부에서 판상부재(지지부(933))가 위쪽으로 절곡된 부분이다.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직립부(933d)의 사이의 간격은 한 쌍의 안내부재(932)(제1 안내부(932a))의 사이의 간격(제1 수입부(931)의 폭(W11))과 대략 동일하며, 한 쌍의 직립부(933d)는 시약용기(300)의 제2 수용부(320)의 후단부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소형의 시약용기(300)는 제2 수용부(320)의 폭(W21)이 시약용기(200)의 제2 수용부(220)의 폭(W22)과 비교하여 작기 때문에, 대형의 시약용기(200)보다도 가로방향(X방향)의 안정성이 부족하다. 이 때문에, 시약용기(300)의 제1 수용부(310)의 양 측면(314)을 한 쌍의 안내부재(932)(제1 안내부(932a))에서 지지하고, 시약용기(300)의 제2 수용부(320) 측을 한 쌍의 직립부(933d)에서 지지함으로써, 시약용기 유지부(930) 내에서 시약용기(300)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약용기 유지부(930)에는 안내부재(932)(섀시(901))의 앞쪽(화살표 Y1방향 측) 단부에 외측으로 넓어지는 굴곡부(901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시약용기 유지부(920)끼리가 근접하는 폭이 넓은 시약용기 유지부(920)와는 달리, 인접하는 시약용기 유지부(930)(시약용기(300))와의 간격(X방향의 간격)이 크다. 이 때문에, 시약용기(300)의 설치시에는 사용자가 시약용기(300)의 후단부(제2 수용부(320))를 좌우 방향으로 끼우도록 파지하여 설치하면, 후단부(933c) 및 직립부(933d)가 시약용기(300)의 설치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대형의 시약용기(200) 전용의 시약용기 유지부(920)와 소형의 시약용기(300) 전용의 시약용기 유지부(930)가 마련되고, 시약용기 유지부(920)와 시약용기 유지부(930)가 각각 시약용기(200)와 시약용기(300)의 형상을 반영한 형상을 가진다. 이것에 의해, 형상이 다른 시약용기(200) 및 시약용기(300)의 설치의 용이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시약용기(200) 및 시약용기(300)를 각각 시약용기 유지부(920 및 930)에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금회(今回)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며, 또한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 제3 실시형태에서는, 분석장치의 일례로서, 제1 측정유니트 및 제2 측정유니트의 2개의 측정유니트를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측정유니트는 1개 또는 3개 이상이라도 된다.
또, 상기 제1 ~ 제3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측정유니트와, 검체반송장치와, 제어장치를 구비한 혈액분석 시스템을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분석 시스템을 구성하지 않고, 측정유니트 단체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또, 상기 제1 ~ 제3 실시형태에서는, 시약용기홀더에 5개의 시약용기 유지부를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약용기 유지부는, 1 ~ 4개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6개 이상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시약용기 유지부는 분석장치가 사용하는 시약의 종류 등에 따른 수만큼 마련하면 된다.
또,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피어서 승강기구(65)를 피어서(64)와 커버(63)를 연동하여 이동(승강)시키도록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피어서 승강기구는 커버와 연동시키지 않고, 피어서를 시약용기의 내부 및 외부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도 된다.
또,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피어서 승강기구(850)에 의한 피어서(840)의 이동(승강)과, 회동기구(825)에 의한 지지부(821)의 이동의 양쪽을 커버(830)의 개폐(승강)와 연동시키도록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피어서(840)의 이동(승강)과 지지부(821)의 이동 중 어느 한쪽이 커버(830)의 개폐(승강)와 연동시키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회동기구(지지부 이동기구)에 의한 지지부의 이동과 커버의 개폐를 연동시켜, 피어서 승강기구에 의한 피어서의 이동은 커버의 개폐와는 연동시키지 않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때, 커버가 닫힌 상태(지지부가 세팅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만, 피어서 승강기구에 의한 피어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또,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각 홀더부(60a(800a) ~ 60e(800e))에 시약용기 유지부(62(820))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63(830))를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시약용기 유지부를 완전하게 폐쇄하지(덮지) 않고, 시약용기 유지부를 개방하는 취출위치와, 시약용기 유지부를 부분적으로 덮어 시약용기의 출입을 금지하는 취출방지위치로 이동하는 취출방지부재를 마련해도 된다. 따라서, 취출방지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시약용기 유지부를 부분적으로 덮는 것이 가능한 울타리 모양 부재나 기둥 모양 부재 등이라도 되고, 시약용기 유지부를 덮지 않고 시약용기와 맞물려 시약용기의 출입을 허용 또는 금지하는 맞물림 부재 등이라도 된다. 또, 1개의 커버에 의해, 복수의 시약용기 유지부를 모아 개폐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상기 제1 ~ 제3 실시형태에서는, 시약용기 유지부(62)(820, 920 및 930)에 한 쌍의 안내부재를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안내부재를 한 쌍 마련하지 않고, 시약용기의 제1 수용부의 양 측면을 안내하는 단일의 안내부재를 마련해도 된다. 또, 안내부재를 3개 이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또, 상기 제1 ~ 제3 실시형태에서는, 시약용기 유지부의 안내부재를 섀시의 일부(양 내측면)에 의해서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안내부재를 섀시와는 별도의 부재로 마련해도 좋다.
또,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시약용기(200(300))를 각각 내부 저면(200a(300a))이 외부 상면(200b(300b))과 비평행하게 되도록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시약용기의 내부 저면과 외부 상면을 평행하게 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시약용기(200(300))의 외부 저면에 경사면(200d(300d))을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즉, 시약용기의 외부 저면과 외부 상면을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하고, 또한, 시약용기의 내부 저면은 시약용기의 외부 상면과 비평행하게 되도록(내면만이 경사지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시약용기(200)의 제2 수용부(220)를 제1 수용부(210)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폭이 커지는 제1 부(222)와, 일정한 폭(W22)을 가지는 제2 부(223)로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수용부를 제1부에 의해서만 구성하고, 제1 수용부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후단부까지 연속하여 폭이 커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약 100mL의 용량을 가지는 대형의 시약용기(200)와, 약 20mL의 용량을 가지는 소형의 시약용기(300)의 2 종류의 시약용기를 이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시약용기는 1종류만이라도 된고, 3종류 이상으로 해도 된다. 또, 시약용기의 용량도 100mL 및 20mL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되는 시약의 양이나 빈도 등에 따른 용량으로 하여도 된다.
또,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맞닿음부(824)를 굴절부(824a) 및 굴절부(824b)의 2개소에서 절곡되도록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맞닿음부가 매끄러운 곡선 형상이라도 된다. 또, 맞닿음부에 굴절부를 1개소 또는 3개소 이상 마련해도 된다.
또,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맞닿음부(824)를 지지부(821)의 전측부(822)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하도록 일체적으로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맞닿음부가 지지부(전측부)와는 별체로 마련되어도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맞닿음부가 지지부와는 별체로 마련되었을 경우에도 맞닿음부가 지지부와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면 된다.
또,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맞닿음부(824)와 롤러(856)가 커버(830)의 개폐에 연동하여, 지지부(821)가 재치위치(P11)로부터 세팅위치(Q11)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 및 허용하도록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맞닿음부 및 롤러 이외의 제한부가 마련되어도 된다.
또,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스프링 부재(827)가 마련되고, 지지부(821)가 세팅위치(Q11)로 이동하도록 가압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틂 코일스프링(토션 스프링)이나 판스프링 등이 마련되고, 이것에 의해 지지부(821)가 세팅위치(Q11)로 이동하도록 가압되어도 된다.
또,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피어서(840)가 시약용기(200)로 진입하는 아래쪽 방향(Z2방향)으로 피어서 유지부(841)를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845)가 마련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 부재(845)가 마련되지 않아도 된다.
또,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피어서(840)를 유지하는 피어서 유지부(841)가 마련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피어서 유지부(841)가 마련되지 않고, 피어서 승강기구(850)의 장착부(851)에 피어서(840)가 직접 고정되어도 된다.
또, 상기 제1 ~ 제3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진입하기 어려운 폭인 폭(W11)의 폭으로서 10㎜로 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폭(W11)의 폭은 5㎜ ~ 20㎜ 정도이면 되고, 8㎜ ~ 18㎜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 ~ 제3 실시형태에서는, 시약용기 유지부에 제1 수용부의 양 측면을 가이드하는 안내부재를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안내부재를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또, 안내부재가 제1 수용부의 한쪽 측면만을 가이드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안내부재가 시약용기의 제1 수용부 이외의 부분을 가이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상기 제1 ~ 제3 실시형태에서는, 안내부재(627(932))가 적어도 시약용기(200(300))의 제1 수용부(210(310))의 형상을 반영한 형상을 가지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안내부재가 시약용기의 제1 수용부의 형상을 반영하지 않아도 되다. 따라서, 안내부재가 제1 수용부의 양 측면 전체를 안내하지 않고, 제1 수용부의 양 측면의 일부만을 안내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상기 제1 ~ 제3 실시형태에서는, 안내부재(627(932))가 시약용기(200(300))의 제1 수용부(210(310))의 높이(H1)와 대략 동일한 높이(H)로 마련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안내부재가 시약용기의 제1 수용부의 높이와는 다른 높이치수로 마련되어도 된다. 따라서, 안내부재가 제1 수용부의 양 측면의 상단에서 하단에 걸쳐서 안내하지 않고, 예를 들어 제1 수용부의 양 측면의 중앙부(높이 방향의 중앙부)만을 안내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상기 제1 ~ 제3 실시형태에서는, 플로우 사이토메트리법을 행하는 혈구계수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플로우 사이토메트리법을 행하는 뇨 중 유형성분 분석장치라도 된다. 이들 플로우 사이토메트리법을 행하는 분석장치에 대해서는, 적혈구 등의 세포를 염색하는 염색액을 이용하여 입자를 분류 계수한다.
또, 상기 제1 ~ 제3 실시형태에서는, 시약용기의 색은 흑인 것으로 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시약용기 내로의 외부로부터의 광의 진입을 막을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시약용기의 색은 갈색이라도 된다. 또, 시약용기 내로의 외부로부터의 광의 진입을 막기 위해서, 시약용기가 광을 통하지 않는 소재에 의해 표면가공되어 있어도 된다.

Claims (15)

  1. 흡인관(吸引管)이 진입 가능한 흡인관 진입부가 선단측에 마련되며 상기 선단측에 위치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에 연속하여 후단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수용부의 폭보다 넓은 제2 수용부를 구비하는 시약용기를, 장치의 측면에서 장치의 내부로 향하여 상기 선단측부터 수평방향으로 삽입함으로써 시약용기를 세팅하는 입자분석용의 분석장치로서,
    상기 선단측부터 삽입된 상기 시약용기를 유지하는 시약용기 유지부와,
    상기 시약용기 유지부에 유지된 상기 시약용기의 흡인관 진입부에 위쪽으로부터 진입하여 상기 시약용기 내의 시약을 흡인하기 위한 상기 흡인관을 구비하고,
    상기 시약용기 유지부는, 상기 시약용기의 제1 수용부의 양 측면을 안내하는 제1 안내부와 상기 시약용기의 제2 수용부의 양 측면을 안내하며 상기 제1 안내부의 폭보다도 넓은 폭을 가지는 제2 안내부를 구비하며, 상기 선단측부터 삽입된 상기 시약용기의 상기 시약용기 유지부로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재는 적어도 상기 시약용기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치수를 가지고, 상기 시약용기의 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를 각각 가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분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약용기는 염색액을 수용하는 분석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시약용기 유지부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시약용기 유지부마다 각각 대응하는 상기 흡인관을 구비하는 분석장치.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분석장치는 플로우 사이토메터(flow cytometer)인 분석장치.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분석장치는 혈구계수(血球計數)장치 혹은 뇨(尿) 중 유형성분 분석장치인 분석장치.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흡인관이 상기 흡인관 진입부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흡인관 진입부를 폐색(閉塞)하는 덮개부를 구비하는 분석장치.
  7. 삭제
  8. 삭제
  9. 흡인관(吸引管)이 진입 가능한 흡인관 진입부가 선단측에 마련되며 상기 선단측에 위치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에 연속하여 후단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부의 폭보다 넓은 제2 수용부를 구비하는 시약용기가, 상기 선단측부터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유지되는 시약용기 유지부와,
    상기 시약용기 유지부에 유지된 상기 시약용기의 흡입관 진입부의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시약용기 내의 시약을 흡인하기 위한 흡인관과,
    상기 시약용기 유지부에 유지된 상기 시약용기 내로의 상기 흡인관의 상부로부터의 진입 및 상기 시약용기 밖으로의 상기 흡인관의 상부로의 퇴피(退避)를 행하는 흡인관 이동기구와,
    상기 시약용기 유지부로부터의 상기 시약용기의 취출(取出)을 허용하는 취출위치와, 상기 시약용기 유지부로부터의 상기 시약용기의 취출을 방지하는 취출방지위치로 이동 가능한 취출방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취출방지부재는, 상기 시약용기 유지부에 상기 선단측부터 수평방향으로 삽입된 상기 시약용기의 후단측을 덮는 커버로서, 상부로 이동함에 의해서 상기 시약용기 유지부를 상기 취출위치에서 개방하고, 하부로 이동함에 의해서 상기 취출방지위치에서 폐쇄하며,
    상기 흡인관 이동기구는 상기 취출방지부재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흡인관을 상하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취출방지부재가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취출방지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 흡인관이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시약용기 유지부에 유지된 상기 시약용기 내로 진입함과 아울러, 상기 취출방지부재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취출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 흡인관이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시약용기 밖으로 퇴피하도록 구성되는 분석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시약용기 유지부는 상기 시약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시약용기를 상기 지지부에 얹어 놓는 제1 위치 및 상기 흡인관이 진입 가능한 위치에 상기 지지부상의 상기 시약용기를 배치하는 제2 위치에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지지부 이동기구를 더 포함하는 분석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이동기구는 상기 취출방지부재가 상기 취출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취출방지부재가 상기 취출방지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분석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이동기구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제1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분석장치.
  13.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을 제한 및 허용하는 제한부를 더 구비하는 분석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롤러와, 상기 지지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맞닿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취출방지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상기 롤러와 상기 맞닿음부재가 맞닿아 상기 맞닿음부재의 이동이 제한 및 허용됨으로써,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상기 지지부의 이동이 제한 및 허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석장치.
  15.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취출방지부재는 상기 취출방지부재의 전면 측에 배치된 파지부(把持部)를 포함하는 분석장치.
KR1020127022077A 2010-02-26 2011-02-15 분석장치 및 시약용기 KR101543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41330 2010-02-26
JP2010041330 2010-02-26
JPJP-P-2010-145879 2010-06-28
JP2010145879 2010-06-28
JPJP-P-2010-214572 2010-09-24
JP2010214572 2010-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524A KR20120107524A (ko) 2012-10-02
KR101543062B1 true KR101543062B1 (ko) 2015-08-07

Family

ID=44506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077A KR101543062B1 (ko) 2010-02-26 2011-02-15 분석장치 및 시약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377477B2 (ko)
EP (2) EP2541255B1 (ko)
JP (5) JP5723868B2 (ko)
KR (1) KR101543062B1 (ko)
CN (7) CN102770768B (ko)
WO (1) WO20111052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1964B2 (ja) * 2013-03-29 2017-03-08 東芝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分析装置
WO2015086741A1 (en) * 2013-12-13 2015-06-18 Roche Diagnostics Gmbh Reagent vessel holder for an analytical instrument, reagent supply system for an analytical instrument and an analytical instrument
JP6130320B2 (ja) 2014-03-28 2017-05-17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検体分析装置および試薬容器
WO2015189798A1 (en) * 2014-06-12 2015-12-17 Sikeliup S.R.L. Container for determining of analytes and/or chemico-physical parameters, as well as determining of urinary sediment, in urine; and method of full urine analysis using this container
KR101653173B1 (ko) * 2015-02-03 2016-09-02 (주) 씨엠테크 과산화수소수 공급장치
JP6788965B2 (ja) 2015-12-17 2020-11-25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検体分析装置および検体分析方法
JP6837362B2 (ja) * 2017-03-17 2021-03-03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 自動分析装置
CN111954821A (zh) * 2018-04-12 2020-11-17 株式会社日立高新技术 电解质分析装置
US20210223275A1 (en) 2018-07-27 2021-07-22 Hitachi High-Tech Corporation Automatic analysis device and automatic analysis system
EP4040159A4 (en) * 2019-09-30 2023-11-01 Sekisui Medical Co., Ltd. REAGENT MANAGEMENT METHOD
JP7408385B2 (ja) 2019-12-27 2024-01-05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試薬容器
CN115461605A (zh) * 2020-05-29 2022-12-09 莱卡生物系统努斯洛赫有限责任公司 试剂容器和组织处理器
CN114252316A (zh) * 2021-12-21 2022-03-29 达科为(深圳)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试剂瓶智能识别方法、系统及脱水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5458A (ja) * 2001-09-07 2003-03-12 Sysmex Corp 自動血液分析装置とその装置に用いるピペット駆動装置
JP2004163319A (ja) * 2002-11-14 2004-06-10 Sysmex Corp 液体容器ユニットおよび接続機構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42333A1 (de) * 1980-11-10 1982-06-09 Eppendorf Gerätebau Netheler + Hinz GmbH, 2000 Hamburg Vorrichtung zur darbietung von reagenzien in gefaessen
US4970053A (en) 1986-07-11 1990-11-13 Beckman Instruments, Inc. Reagent cartridge
US5075082A (en) 1986-07-11 1991-12-24 Beckman Instruments, Inc. Reagent cartridge
ES2062981T3 (es) * 1986-07-11 1995-01-01 Beckman Instruments Inc Cartucho de reactivo.
US4948563A (en) * 1987-05-08 1990-08-14 Abbott Laboratories Waste container insert for washing automated immunoassay apparatus probe
JPH0198970A (ja) * 1987-10-13 1989-04-17 Konica Corp 試料液点着装置の点着ガイド
GB8914456D0 (en) * 1989-06-23 1989-08-09 Radiometer As Apparatus for analysis of samples of fluids
DE3938559A1 (de) 1989-11-21 1991-05-23 Boehringer Mannheim Gmbh Reagenzbevorratungssystem fuer ein medizinisches analysegeraet
JPH0726133Y2 (ja) * 1989-12-15 1995-06-14 株式会社リコー 印刷機用インク容器の収納装置
JP2867619B2 (ja) * 1990-05-31 1999-03-08 株式会社島津製作所 試薬分注装置
FR2723735B1 (fr) 1994-08-18 1996-10-31 Abx Sa Boitier a branchement automatique pour distribution de reactifs dans un appareil notamment un analyseur hematologique.
US5609822A (en) 1995-07-07 1997-03-11 Ciba Corning Diagnostics Corp. Reagent handling system and reagent pack for use therein
US6066300A (en) 1995-07-07 2000-05-23 Bayer Corporation Reagent handling system and configurable vial carrier for use therein
AT406913B (de) * 1995-07-14 2000-10-25 Avl Verbrennungskraft Messtech In einen probenanalysator einsetzbare reagenzienflaschen
JPH1010105A (ja) 1996-06-21 1998-01-16 Sekisui Chem Co Ltd 液体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試薬容器
US5985218A (en) * 1996-07-03 1999-11-16 Beckman Coulter, Inc. Reagent cartridge
JP3314629B2 (ja) 1996-09-24 2002-08-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分析装置
JP3577917B2 (ja) * 1997-10-31 2004-10-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分析装置
EP1119413A1 (en) * 1998-07-13 2001-08-01 Biogenex Laboratories Reagent vial for automated processing apparatus
JP2000321283A (ja) 1999-05-13 2000-11-24 Toshiba Corp 自動分析装置
JP3697146B2 (ja) * 2000-08-09 2005-09-21 株式会社堀場製作所 試薬容器の設置装置
EP1225450A1 (en) * 2001-01-02 2002-07-24 Randox Laboratories Ltd. Reagent dispensing or filling apparatus and holder
KR100710122B1 (ko) * 2001-05-09 2007-04-20 엑시스-시일드 에이에스에이 분석 시스템
CN1281963C (zh) * 2001-09-06 2006-10-25 希森美康株式会社 自动试样分析器及其部件
JP4658411B2 (ja) * 2001-09-11 2011-03-23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流路接続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試薬ホルダ
EP1291659A3 (en) * 2001-09-06 2008-05-21 Sysmex Corporation Automatic sample analyzer and its components
JP3741691B2 (ja) * 2002-04-12 2006-02-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280511B2 (ja) * 2002-09-20 2009-06-17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427376B2 (en) * 2002-11-18 2008-09-23 Sysmex Corporation Sample analyzer and its components
JP2004226274A (ja) 2003-01-23 2004-08-12 Olympus Corp 試薬容器
JP2004226314A (ja) * 2003-01-24 2004-08-12 Sekisui Chem Co Ltd 試薬容器
CA2520439A1 (en) * 2003-03-28 2004-10-07 Alza Corporation Static diffusion cell for diffusion sampling systems
JP2004317269A (ja) * 2003-04-16 2004-11-11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自動分析装置
JP3848938B2 (ja) * 2003-07-25 2006-11-22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自動分析装置
JP2005164509A (ja) * 2003-12-05 2005-06-23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試薬容器
DE102004020591A1 (de) * 2004-04-27 2005-11-17 Carl Zeiss Jena Gmbh Meßvorrichtung
EP1909108B1 (en) * 2005-03-10 2019-05-29 Gen-Probe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to perform assays for detecting or quantifiying analytes
EP2333561A3 (en) * 2005-03-10 2014-06-11 Gen-Probe Incorporated System for performing multi-formatted assays
US7687034B2 (en) * 2005-03-23 2010-03-30 Siemens Healthcare Diagnostics Inc. Valve sealing system for a reagent package
DE102005057191B4 (de) * 2005-11-29 2011-12-08 Leica Biosystems Nussloch Gmbh Gewebeprozessor
JP4805709B2 (ja) * 2006-03-30 2011-11-02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尿分析装置
JP4922682B2 (ja) * 2006-06-29 2012-04-25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分析装置
JP4861787B2 (ja) * 2006-10-10 2012-01-25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試薬収容具および試薬容器保持具
ES2277573B1 (es) * 2006-10-31 2008-05-16 Grifols, S.A. Dispositivo para la carga de tarjetas de reactivos para analizadores clinicos.
DE202006017454U1 (de) * 2006-11-14 2007-05-16 Diasys Technologies S.A.R.L. Reagenzienbehälter und Reagenzienkarussell
JP2008224382A (ja) 2007-03-12 2008-09-25 Olympus Corp 試薬容器
JP5179890B2 (ja) * 2007-03-30 2013-04-10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試料分析装置
US7945050B2 (en) 2007-09-28 2011-05-17 Intel Corporation Suppressing power supply noise using data scrambling in double data rate memory systems
US9081021B2 (en) 2008-02-18 2015-07-14 Sysmex Corporation Platelet measurement reagent, platelet measurement reagent kit, and platelet measurement method
JP5280882B2 (ja) * 2008-06-30 2013-09-04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分析装置
DE202008006338U1 (de) * 2008-05-12 2009-03-26 Matthias, Torsten, Dr. Analysegerä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5458A (ja) * 2001-09-07 2003-03-12 Sysmex Corp 自動血液分析装置とその装置に用いるピペット駆動装置
JP2004163319A (ja) * 2002-11-14 2004-06-10 Sysmex Corp 液体容器ユニットおよび接続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85058B (zh) 2018-09-04
JP5810233B2 (ja) 2015-11-11
US10031151B2 (en) 2018-07-24
EP2541255A4 (en) 2018-03-07
JP5951859B2 (ja) 2016-07-13
CN104678120B (zh) 2016-07-06
CN105759019B (zh) 2019-05-31
CN105759019A (zh) 2016-07-13
JP2015222265A (ja) 2015-12-10
EP2541255B1 (en) 2020-10-14
JP2015111145A (ja) 2015-06-18
CN105785058A (zh) 2016-07-20
JP2015111146A (ja) 2015-06-18
JP5723868B2 (ja) 2015-05-27
US20120321513A1 (en) 2012-12-20
WO2011105247A1 (ja) 2011-09-01
CN105785059A (zh) 2016-07-20
US9377477B2 (en) 2016-06-28
JP5810245B1 (ja) 2015-11-11
JP2015200670A (ja) 2015-11-12
CN105699672A (zh) 2016-06-22
CN104678120A (zh) 2015-06-03
CN105785059B (zh) 2018-06-01
CN102770768B (zh) 2016-03-30
CN105699672B (zh) 2018-06-01
EP3783368A1 (en) 2021-02-24
KR20120107524A (ko) 2012-10-02
EP2541255A1 (en) 2013-01-02
CN104634985B (zh) 2016-07-06
JP5909292B2 (ja) 2016-04-26
CN102770768A (zh) 2012-11-07
CN104634985A (zh) 2015-05-20
US20160266161A1 (en) 2016-09-15
JPWO2011105247A1 (ja)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3062B1 (ko) 분석장치 및 시약용기
US9581608B2 (en) Sample analyz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ple analyzer
US8501094B2 (en) Analyzer and liquid container
US9164114B2 (en) Supply unit for continuous loading
CN111837041A (zh) 架的运送方法、样本测定系统
JP4191533B2 (ja) 試料分析装置および方法
US20230003755A1 (en) Automatic analyzer
CN111919122A (zh) 样本测定系统、架的运送方法
US20210223275A1 (en) Automatic analysis device and automatic analysi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