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128B1 - 엔진 시동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128B1
KR101488128B1 KR1020137026526A KR20137026526A KR101488128B1 KR 101488128 B1 KR101488128 B1 KR 101488128B1 KR 1020137026526 A KR1020137026526 A KR 1020137026526A KR 20137026526 A KR20137026526 A KR 20137026526A KR 101488128 B1 KR101488128 B1 KR 101488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gear
gear
pinion
gears
engine sta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330A (ko
Inventor
나오히토 카네다
다이스케 미즈노
코이치로 카메이
카즈히로 오다하라
마사미 아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0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02N15/062Starter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08Prof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51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ntrolling the engagement or disengagement between engine and starter, e.g. meshing of pinion and engine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2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start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clutch
    • F02N15/023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start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clutch of the overrunn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43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gearing including a speed reducer
    • F02N15/04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gearing including a speed reducer of the planetary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02N15/062Starter drives
    • F02N15/063Starter drives with resilient shock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02N15/062Starter drives
    • F02N15/065Starter drives with b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02N15/067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the starter comprising an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le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3Machine starters
    • Y10T74/131Automatic
    • Y10T74/132Separate power mes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Gears, Cam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피니언 기어부는, 출력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이 회전부재에 제1의 세레이션부를 통하여 끼워 맞추어져 출력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고 피니언 기어부가 압출 기구에 의해 맞물림 위치의 쪽으로 이동시켜지면 회전부재와 함께 이동하여 최초에 상기 엔진 시동 기어와 맞물리는 제1의 피니언 기어와, 회전부재에 제1의 피니언 기어에 인접하여 제2의 세레이션부를 통하여 끼워 맞추어져 출력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고 피니언 기어부 맞물림 위치의 쪽으로 더욱 이동시켜지면 회전부재와 함께 이동하여 제1의 피니언 기어가 엔진 시동 기어와 맞물린 상태하에서 제1의 피니언 기어보다 지연되어 엔진 시동 기어와 맞물리는 제2의 피니언 기어를 가지며, 제1 및 제2의 세레이션부에 의해 제1의 피니언 기어의 치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의 치와의 둘레방향의 위상이 맞도록 상기 끼워 맞추어짐이 행하여진다.

Description

엔진 시동 장치{ENGINE STARTING DEVICE}
본 발명은 모터부, 이 모터부에 의해 구동되는 출력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부 및 상기 피니언 기어부를 해당 피니언 기어와 엔진 시동 기어와의 맞물림 위치의 쪽으로 이동시키는 압출 기구를 구비하고, 서로 맞물린 상기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엔진 시동 기어를 통하여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에 의해 엔진을 시동하는 엔진 시동 장치, 특히 엔진 시동시의 엔진 시동 장치에서의 피니언 기어와, 엔진 측의 링 기어 등의 엔진 시동 기어(이하 「링 기어」라고 기재한다)와의 맞물림성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엔진 시동 장치(이후, 스타터라고 칭한다)에서는, 엔진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시동 동작을 행한다. 따라서 피니언 기어는, 링 기어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링 기어와의 맞물림이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저연비화를 위해 아이들링 스톱을 행하는 시스템에서는, 링 기어 회전 중에도 피니언 기어를 링 기어와 맞물리게 함으로써, 재시동성을 확보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아이들링 스톱한 순간에 엔진 회전이 아직 멈추지 않은 상태에서 재시동 요구가 들어간 경우, 또는 정지 상태로부터 재시동할 때에 시간을 단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링 기어의 회전 중에 사전에 피니언 기어와의 맞물림을 실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링 기어의 회전 중에 피니언 기어를 맞물리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링 기어의 회전수에 동기 시키도록 피니언 기어의 스타터 모터를 조속(調速) 통전하여 맞물리게 하는 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사전에 동기하기 위한 기구를 마련함으로써, 그 기구부의 마찰에 의해 일정한 회전수 차 까지 동기 시키고 나서 기어를 맞물리게 하는 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또한, 피니언 형상을 궁리함으로써, 맞물리기 쉽게 하는 방법 등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2-70699호 공보(요약, 도 3 및 그 설명)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6-132343호 공보(요약, 도 2 및 그 설명)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2009-168230호 공보(요약, 도 1 및 그 설명)
그러나, 종래 기술에는, 이하와 같은 과제가 있다.
링 기어는, 엔진 정지 후에 타성 회전으로 감속하는데, 이 경우, 피스톤의 압축 팽창에 의한 토오크의 변동으로 회전수가 맥동하면서 정지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과 같이, 엔진 시동 장치(스타터)로 링 기어와 피니언 기어와의 회전수를 동기 시켜서, 이들을 맞물리게 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구성이 필요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링 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회전수를 취득 또는 예측하여, 이들에 의거하여, 스타터를 제어하여 맞물리게 하는 복잡한 구성이 필요해진다.
또한, 동기 시킬 뿐만 아니라, 피니언 기어와 링 기어의 위상을 일치시키지 않으면 맞물리지 않는다. 이 때문에, 동기 시킨 각각의 기어에 대해, 정확한 회전 방향의 위치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정밀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는, 고정밀 인코더 등의 검출기나, 엔진 측 ECU의 고속 연산 처리가 필요해진다. 또한, 인코더 등에 의한 피니언 기어의 위상의 검출은, 피니언 기어 자체가 이동체이기 때문에, 장착하는 것이 곤란하고, 시스템도 복잡하게 됨과 함께, 장치도 대형화한다.
또한, 각각의 회전을 예측하여 피니언을 뛰어들게 하는 방법으로 간이화함으로써, 복잡한 구성을 실현화한 경우에도, 예측치의 오차와, 피니언을 축 방향으로 뛰어들게 하는 타이밍의 흐트러짐에 의해, 당접시의 회전수 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제어는 곤란하다.
한편,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와 같이, 피니언 기어와 링 기어를 사전에 싱크로나이즈 기구에 의해 회전수를 맞추어서 당접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다 간소한 구성으로 링 기어와 피니언 기어와의 회전수를 동기 시킬 수 있다. 그러나, 피니언 기어와 링 기어는, 통상, 모터의 소형화를 위해서도 기어비가 10배 레벨로 존재하고, 치수 구성상의 제약 때문에 동축상이 아니다. 따라서 피니언 기어로부터 링 기어에 당접시키는 싱크로나이즈 기구의 마찰면은, 항상 미끄럼이 생기면서 동기가 되어, 위상까지 일치한 완전한 동기를 실현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싱크로나이즈 기구에서, 링 기어와 피니언 기어가 회전 동기한 후에 링 기어와 피니언 기어가 당접한 시점에서는, 그 시점에서 우연히 위상이 일치하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링 기어와 피니언 기어와의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생기고, 위상이 일치한 시점에서 맞물리게 된다. 이와 같이, 싱크로나이즈 기구를 이용하는 구성에서는, 미끄럼에 의해 동기 시키고 나서 피니언과 링 기어를 당접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그 때의 소음이나 마모의 문제, 또는 별도 동기 시키는 마모면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별도의 공간이 필요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싱크로나이즈 기구를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 특허 문헌 3과 같이, 피니언 기어와 링 기어가 맞물리기 쉽게 하기 위해, 피니언의 선단의 형상을 궁리하여, 기어 선단에 면취(chamfer) 등을 마련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에 의해, 특허 문헌 3에서는, 면취에 의한 공간 분만큼의 삽입이 가능해짐과 함께, 면취에 의한 유도 효과를 실시하고 있다.
여기서, 링 기어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맞물림이라면, 면취에 의한 유도 효과는 있다. 그러나, 링 기어 회전 중에 있어서 피니언의 상대 회전수가 다른 경우에는, 면취부의 당접에 의해 양 기어가 충돌함으로써, 피니언을 축 방향으로 밀어 되돌리는 힘 성분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맞물린 때에 충돌음이나 맞물림의 지연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링 기어 회전 중에 피니언 기어를 맞물리게 하는 경우, 피니언 기어와 링 기어와의 보다 확실한 회전 동기와 위상맞춤을, 피니언 기어가 링 기어에 당접한 순간에 행하지 않면, 소음, 마모에 의한 수명의 저하, 그리고 맞물림시간의 로스에 의한 시동의 지연 등이 생기게 된다.
특히, 피니언 기어와 링 기어가 맞물린 때에 피니언 기어와 링 기어와의 회전수 차가 큰 경우에는, 피니언 기어의 기어(齒)와 링 기어의 기어가 맞 스쳐서 소음을 내면서 맞물림을 행하게 된다. 이 결과, 기어의 마모 등에 의한 수명의 문제와 함께, 면취면 등에서 회전수 차의 토오크력이 축 방향의 힘으로 되어 크게 피니언 기어가 튕겨날라, 맞물림 시간에 로스가 발생하고 재시동성도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링 기어 회전 중에 피니언 기어를 링 기어와 맞물리게 하는 경우에도, 피니언 기어를 링 기어와의 보다 확실한 회전 동기 및 위상 맞춤(피니언 기어의 기어와 링 기어의 기어의 맞물림 위치맞춤)을 피니언 기어가 링 기어와 당접한 때에 행하여, 소음, 마모에 의한 수명의 저하 및 맞물림시간의 로스에 의한 시동성의 지연을 억제하는 엔진 시동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엔진 시동 장치는, 모터부, 이 모터부에 의해 구동되는 출력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부 및 상기 피니언 기어부를 그 피니언 기어와 엔진 시동 기어와의 맞물림 위치의 쪽으로 이동시키는 압출 기구를 구비하고, 서로 맞물린 상기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엔진 시동 기어를 통하여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에 의해 엔진을 시동하는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부는, 상기 출력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이 회전부재에 제1의 세레이션부를 통하여 끼워 맞추어져 상기 출력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가 상기 압출 기구에 의해 상기 맞물림 위치의 쪽으로 이동시켜지면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이동하여 최초에 상기 엔진 시동 기어와 맞물리는 제1의 피니언 기어와, 상기 회전부재에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에 인접하여 제2의 세레이션부를 통하여 끼워 맞추어져 상기 출력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가 상기 압출 기구에 의해 상기 맞물림 위치의 쪽으로 더욱 이동시켜지면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가 상기 엔진 시동 기어와 맞물린 상태하에서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보다 지연되어 상기 엔진 시동 기어와 맞물리는 제2의 피니언 기어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의 세레이션부에 의해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의 기어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의 기어의 둘레방향의 위상이 맞도록 상기 끼워 맞추어짐이 행하여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의 세레이션부와 상기 제2의 세레이션부에 걸쳐서 위치맞춤 기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세레이션부에 걸쳐서 마련된 상기 위치맞춤 구조부에 의해,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의 기어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의 기어의 둘레방향의 위상이 맞도록 상기 끼워 맞추어짐이 행하여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의 세레이션부의 치수가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의 치수의 정수배이고, 상기 제2의 세레이션부의 치수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의 치수의 정수배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니언 기어부는, 상기 출력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이 회전부재에 제1의 세레이션부를 통하여 끼워 맞추어져 상기 출력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가 상기 압출 기구에 의해 상기 맞물림 위치의 쪽으로 이동시켜지면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이동하여 최초에 상기 엔진 시동 기어와 맞물리는 제1의 피니언 기어와, 상기 회전부재에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에 인접하여 제2의 세레이션부를 통하여 끼워 맞추어져 상기 출력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가 상기 압출 기구에 의해 상기 맞물림 위치의 쪽으로 더욱 이동시켜지면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가 상기 엔진 시동 기어와 맞물린 상태하에서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보다 지연되어 상기 엔진 시동 기어와 맞물리는 제2의 피니언 기어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의 세레이션부에 의해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의 기어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의 기어의 둘레방향의 위상이 맞도록 상기 끼워 맞추어짐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피니언 기어부와 엔진 시동 기어에 회전수 차가 있는 경우에도 안정하게 피니언 기어와 엔진 시동 기어를 맞물리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엔진 시동 기어 회전 중에 피니언 기어를 맞물리게 하는 경우에도, 보다 확실한 회전 동기와 위상맞춤을 제1의 피니언 기어와 엔진 시동 기어가 당접한 때에 순식간에 행하여, 소음, 마모에 의한 수명의 저하 및 맞물림시간의 시간의 로스에 의한 시동성의 지연이 생기지 않는 엔진 시동 장치를, 용이한 조립 작업에 의한 염가의 비용으로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엔진 시동 장치의 한 예를 도시하는 종단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에서의 피니언 기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a)도에서의 c선 부분에서 도시한 좌향 화살표의 방향으로 본 c 확대도, (d)는 (a)도에서의 d선 부분에서 도시한 좌향 화살표의 방향으로 본 d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피니언 기어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a)도에서의 c선 부분에서 도시한 좌향 화살표의 방향으로 본 c시 확대도, (d)는 (a)도에서의 d선 부분에서 도시한 좌향 화살표의 방향으로 본 d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피니언 기어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a)도에서의 cd선 부분에서 도시한 좌향 화살표의 방향으로 본 c시 확대도, (d)는 (a)도에서의 cd선 부분에서 도시 우향 화살표의 방향으로 본 d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피니언 기어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실시의 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을 도 1 및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엔진 시동 장치의 한 예를 도시하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피니언 기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a)도에서의 c선 부분에서 도시한 좌향 화살표의 방향으로 본 c 확대도, (d)는 (a)도에서의 d선 부분에서 도시한 좌향 화살표의 방향으로 본 d 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본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엔진 시동 장치는, 엔진을 시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부(이하 「모터 구동력부」라고 기재한다)(10), 출력회전축(20), 피니언 기어부(30), 흡인 코일부(40), 플런저(50), 레버 등의 압출 기구(이하 「레버」라고 기재한다)(60), 브래킷(70), 스토퍼(80)(코멘트 : 80은 도면에 표기되어 있지 않습니다. 본건 발명에 관계가 없으면, 이 「스토퍼(80)」는 삭제하고 싶다고 생각합니다만, 삭제하여도 좋을까요?) 및 감속 기어부(90)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 구동력부(10)는, 엔진을 시동하는 회전력을 발생한다. 출력회전축(20)은, 모터의 출력축 측과 감속 기어부(90)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고, 구동력부(10)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피니언 기어부(30)는, 출력회전축(20)과 헬리컬 스플라인 결합된 오버러닝 클러치(일방향 클러치)와 일체화되어 있고, 출력회전축(20)의 축 방향(링 기어 등의 엔진 시동 기어(이하 「링 기어」라고 기재한다)의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다.
흡인 코일부(40)는, 스위치(도시 생략)를 ON 함으로써 전자력을 발생하고, 당해 전자력에 의해 플런저(50)를 흡인한다. 레버(60)는, 상기 흡인에 의한 플런저(50)의 이동에 의해 그 추착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당해 회동에 의해 피니언 기어부를 그 피니언 기어와 엔진 시동 기어와의 맞물림 위치의 쪽으로 이동시킨다. 브래킷(70)은, 모터 구동력부(10), 출력회전축(20) 및 피니언 기어부(30) 등의 엔진 시동 장치 구성 부품을 엔진 측에 고정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본 실시의 형태 1에서의 피니언 기어부(30)는, 오버러닝 클러치 내장의 이동체(31), 통형상의 회전부재(32),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33), 제1의 피니언 기어(34), 제2의 피니언 기어(35) 및 스토퍼부(3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형상의 회전부재(32)에는 그 외주에 세레이션부(32a)가 시행되어 있다.
제1의 피니언 기어(34)에는, 그 외주에 링 기어(100)와 맞물림 가능한 회전 동기용의 피니언 기어(34a)가, 그 내주에 회전부재(32)의 세레이션부(32a)와 끼워 맞춤 가능한 세레이션부(34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의 피니언 기어(34)의 피니언 기어(34a)는, 도 2(a), (d)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이 돌기 형상인 돌기 기어 형상이고, 링 기어(100)와 회전 동기하여 맞물리기 쉬운 형상 및 축 방향 얇기로 하고 있다.
제2의 피니언 기어(35)에는, 링 기어(100)와 맞물림시의 회전 동기용 또한 회전력 전달용의 피니언 기어(35a)와 회전부재(32)의 세레이션부(32a)와 끼워 맞춤 가능한 세레이션부(34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피니언 기어(35a)는, 도 2(a), (c)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이 절취된 비 돌기 기어 형상이고, 링 기어(100)가 제1의 피니언 기어(34)와 맞물림 후에 제2의 피니언 기어(35)가 링 기어(100)의 방향으로 이동한 때, 링 기어(100)와 회전 동기하여 회전력을 링 기어(100)에 전달한 강도를 갖는 형상 및 축 방향 두께로 하고 있다.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피니언 기어(35a)의 기어 수는, 제1의 피니언 기어(34)의 피니언 기어(34a)의 기어 수와 같다.
회전부재(32)의 세레이션부(32a)와 제1의 피니언 기어(34)의 세레이션(34b)는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세레이션 끼워 맞춤되어 제1의 세레이션부(34ab)를 구성하고, 회전부재(32)의 세레이션부(32a)와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세레이션(35b)과는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세레이션 끼워 맞춤되어 제2의 세레이션부(35ab)를 구성하고 있다.
제1의 세레이션부(34ab) 기어 수는 제1의 피니언 기어(34)의 피니언 기어(34a)의 기어 수의 정수배로 하고, 제2의 세레이션부(35ab) 기어 수는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피니언 기어(35a)의 기어 수의 정수배로 하고 있다. 이 결과, 조립시에 제1의 피니언 기어(34)의 피니언 기어(34a)와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피니언 기어(35a)의 외주 방향의 위치맞춤, 즉 위상맞춤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의 형태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를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피니언 기어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a)도에서의 c선 부분에서 도시한 좌향 화살표의 방향으로 본 c 확대도, (d)는 (a)도에서의 d선 부분에서 도시한 좌향 화살표의 방향으로 본 d 확대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본 실시의 형태 2에서의 피니언 기어부(30)는, 제1 피니언 기어(34)의 내주측에 홈부(34c),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내주측에 홈부(35c)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 결과, 제1 및 제2의 피니언 기어(34, 35)의 회전부재(32)에의 조립시에 홈부(34c, 35c)를 맞겹침으로써, 제1의 피니언 기어(34)의 피니언 기어(34a)와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피니언 기어(35a)의 외주 방향의 위치맞춤, 즉 위상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홈부(34c, 35c)를 맞추는 작업은, 사람의 육안으로 행하여도, 또한 도시하지 않는 치공구를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실시의 형태 3.
또한, 실시의 형태 2에서는 홈부(34c, 35c)를 이용하였지만, 각각의 세레이션부(34b, 35b)의 한 기어를 노치하여, 노기어부를 홈부(34c, 35c)의 대용으로 하여도 좋다.
실시의 형태 4.
또한, 세레이션부(34b, 35b)의 1 기어의 기어 폭을 그 밖의 기어의 기어 폭과 다르게 하고, 기어 폭이 다른 한 기어를 위치맞춤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이때 기어 폭을 넓게 한 경우에는 세레이션부(32a)의 세레이션도 넓어진 한 기어에 대응하여 변경할 필요가 있다.
실시의 형태 5.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를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피니언 기어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a)도에서의 cd선 부분에서 도시한 좌향 화살표의 방향으로 본 c 확대도, (d)는 (a)도에서의 cd선 부분에서 도시 의 방향으로 본 d 확대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본 실시의 형태 5에서의 피니언 기어부(30)는, 제1 피니언 기어(34)의 제2의 피니언 기어(35)와 접하는 면의 일부에 볼록부(34d)를 가지며,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제1 피니언 기어(34)와 접하는 면에 볼록부(34d)와 대향하는 오목부(35d)를 갖고 있다.
이 결과, 제1 및 제2의 피니언 기어(34, 35)의 회전부재(32)에의 조립시에, 볼록부(34d)와 오목부(35d)를 끼워 맞추면 좋고, 제1의 피니언 기어(34)의 피니언 기어(34a)와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피니언 기어(35a)의 외주 방향의 위치맞춤, 즉 위상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피니언 기어(34)에 볼록부(34d), 제2 피니언 기어(35)에 오목부(35d)를 마련하였지만, 역으로 제1 피니언 기어(34)에 오목부을, 제2 피니언 기어(35)에 볼록부를 마련하여도 좋다.
실시의 형태 6.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을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피니언 기어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본 실시의 형태 6에서의 피니언 기어부(30)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링 기어(100)측의 소경의 외주면부에, 제1의 피니언 기어(34)의 링 기어(100)와 반대 측의 대경의 내주면부가, 세레이션 결합에 의해 유감(遊嵌)된 구조로 하고 있고, 제1의 피니언 기어(34)는 제2의 피니언 기어(35)에 대해 둘레방향 및 지름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할 수 있고, 축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있다.
제1의 피니언 기어(34)의,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상기 외주면부와 대향하는 상기 내주면부에 제1 피니언 기어측 세레이션부(34e)가 형성되고,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제1 피니언 기어(34)의 상기 내주면부와 대향하는 상기 외주면부에 제2 피니언 기어측 세레이션부(35e)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피니언 기어측 세레이션부(34e)와 제2 피니언 기어측 세레이션부(35e)로 피니언 기어 사이 세레이션부(345e)가 구성된다.
제1 피니언 기어측 세레이션부(34e)와 제2 피니언 기어측 세레이션부(35e)는 여유가 있도록 끼워 맞추어지고, 즉 유감되고, 따라서 제1의 피니언 기어(34)는 제2의 피니언 기어(35)에 대해 둘레방향 및 지름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할 수 있고, 축 방향에도 이동할 수 있다.
제1 피니언 기어측 세레이션부(34e)의 기어부의 둘레방향의 단면(端面)과 제2 피니언 기어측 세레이션부(35e)의 기어의 둘레방향의 단면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의 갭을 형성함에 의해 둘레방향의 여유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피니언 기어측 세레이션부(34e)의 기어의 지름 방향의 선단면과 제2 피니언 기어측 세레이션부(35e)의 기어 사이의 계곡부의 지름 방향 저면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의 갭을 형성함과 함께 제2 피니언 기어측 세레이션부(35e)의 기어의 지름 방향의 선단면과 제1 피니언 기어측 세레이션부(34e)의 기어사이의 곡부의 지름 방향 저면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의 갭을 형성함에 의해 지름 방향의 여유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과, 제1 및 제2의 피니언 기어(34, 35)의 회전부재(32)에의 조립시의 전단계(前段階)에서, 제1의 세레이션부(34e와 35e)를 끼워 맞추면 좋고, 제1의 피니언 기어(34)의 피니언 기어(34a)와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피니언 기어(35a)의 외주 방향의 위치맞춤, 즉 위상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감에 의한 상기 지름 방향의 여유에 의해, 제1의 피니언 기어(34)는 제2의 피니언 기어(35)에 대해 경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의 피니언 기어(34)는, 엔진 시동시의 링 기어(100) 방향으로의 자신의 이동에 의해 링 기어(100)와 충돌한 때에 경사할 수가 있고, 당해 경사에 의해 링 기어(100)와 맞물리기 쉽고 링 기어(100)와의 조기(早期) 맞물림이 가능해지고, 나아가서는 제2의 피니언 기어(35)도 링 기어(100)와 맞물리기 쉽고 링 기어(100)와의 조기 맞물림이 가능해진다.
제1의 피니언 기어(34)와 제2의 피니언 기어(35)는 분리된 별체이기 때문에, 제2의 피니언 기어(35)에 전달 토오크(엔진 시동 장치로부터 엔진 측에의 회전 토오크의 전달, 또는 그 반대)에 대한 강도를 갖게 하고 제1의 피니언 기어(34)는 맞물림시의 전달 토오크에 대한 강도 확보를 거의 무시하고 맞물림만을 추구한 형상, 축 방향 두께, 질량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형상, 재료의 자유도의 높고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5의 각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낸다.
또한, 전술한 설명 및 전술한 각 도면으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5, 본 실시의 형태 1 내지 6에는, 이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이 있다.
특징점 1 : 모터부(10), 이 모터부(10)에 의해 구동되는 출력회전축(20)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부(30) 및 상기 피니언 기어부(30)를 그 피니언 기어(34, 35)와 엔진 시동 기어(100)와의 맞물림 위치의 쪽으로 이동시키는 압출 기구(60)를 구비하고, 서로 맞물린 상기 피니언 기어(34, 35) 및 상기 엔진 시동 기어(100)를 통하여 상기 모터부(10)의 회전력에 의해 엔진을 시동하는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부(30)는, 상기 출력회전축(20)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부재(32)와, 이 회전부재(32)에 제1의 세레이션부(34ab)를 통하여 끼워 맞추어져 상기 출력회전축(2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32)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30)가 상기 압출 기구(60)에 의해 상기 맞물림 위치의 쪽으로 이동시켜지면 상기 회전부재(32)와 함께 이동하여 최초에 상기 엔진 시동 기어(100)와 맞물리는 제1의 피니언 기어(34)와, 상기 회전부재(32)에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34)에 인접하여 제2의 세레이션부(35ab)를 통하여 끼워 맞추어져 상기 출력회전축(2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32)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30)가 상기 압출 기구(60)에 의해 상기 맞물림 위치의 쪽으로 더욱 이동시켜지면 상기 회전부재(32)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34)가 상기 엔진 시동 기어(100)와 맞물린 상태하에서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34)보다 지연되어 상기 엔진 시동 기어(100)와 맞물리는 제2의 피니언 기어(35)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의 세레이션부(34ab, 35ab)에 의해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34)의 기어(34a)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기어(35a)와의 둘레방향의 위상이 맞도록 상기 끼워 맞추어짐이 행하여진다.
특징점 2 : 특징점 1에 기재된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34)의 기어(34a)는 선단이 돌기 형상인 돌기 기어 형상이고,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기어(35a)는 비 돌기 기어 형상이다.
특징점 3 : 특징점 1 또는 특징점 2에 기재된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34)의 상기 엔진 시동 기어(100)의 방향의 두께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상기 엔진 시동 기어(100)의 방향의 두께보다 얇다.
특징점 4 : 특징점 1 내지 특징점 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34)는 상기 엔진 시동 기어(100)와의 회전 동기를 취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35)는 상기 엔진 시동 기어(100)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회전력을 상기 엔진 시동 기어(100)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특징점 5 : 특징점 1 내지 특징점 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세레이션부(34ab)와 상기 제2의 세레이션부(35ab)에 걸쳐서 정렬 기구부(60)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세레이션부(35ab)에 걸쳐서 마련된 상기 위치맞춤 구조부에 의해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34)의 기어(34a)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기어(35a)와의 둘레방향의 위상이 맞도록 상기 끼워 맞추어짐이 행하여진다.
특징점 6 : 특징점 1 내지 특징점 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세레이션부(34ab)의 기어 수가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34)의 기어 수의 정수배이고, 상기 제2의 세레이션부(35ab)의 기어 수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기어 수의 정수배이다.
특징점 7 : 특징점 6에 기재된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세레이션부(34ab)의 기어 수와 상기 제2의 세레이션부(35ab)의 기어 수가 같다.
특징점 8 : 특징점 5 내지 특징점 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맞춤 구조부가, 상기 제1 및 제2의 세레이션부(34ab, 35ab)에 걸쳐서 마련된 홈이고, 상기 제1의 세레이션부(34ab)측의 상기 홈과 제2의 세레이션부(35ab)측의 상기 홈을 맞겹침에 의해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34)의 기어(34a)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기어(35a)와의 둘레방향의 위상이 맞도록 상기 끼워 맞추어짐이 행하여진다.
특징점 9 : 특징점 5 내지 특징점 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맞춤 구조부가, 상기 제1 및 제2의 피니언 기어(34, 35)에 걸쳐서 상기 제1 및 제2의 세레이션부(34ab, 35ab)의 적어도 하나의 기어를 노치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의 세레이션부(34ab)측의 상기 노치된 기어와 제2의 세레이션부(35ab)측의 상기 노치된 기어를 맞겹침에 의해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34)의 기어(34a)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기어(35a)와의 둘레방향의 위상이 맞도록 상기 끼워 맞추어짐이 행하여진다.
특징점 10 : 특징점 5 내지 특징점 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맞춤 구조부가, 상기 제1 및 제2의 피니언에 걸쳐서 상기 제1 및 제2의 세레이션부(34ab, 35ab)의 적어도 하나의 기어의 폭이 다른 가의 폭보다 넓게 구성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의 세레이션부(34ab)측의 상기 폭이 넓은 기어와 제2의 세레이션부(35ab)측의 상기 폭이 넓은 기어를 맞겹침에 의해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34)의 기어(34a)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기어(35a)와의 둘레방향의 위상이 맞도록 상기 끼워 맞추어짐이 행하여진다.
특징점 11 : 특징점 5 내지 특징점 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맞춤 구조부가,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34)와 상기 제2 피니언 기어(35)와의 대향면의 한쪽에 볼록부(34d)를, 다른 쪽에 오목부(35d)를 마련하여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34d)와 상기 오목부(35d)를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34)의 기어(34a)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기어(35a)와의 둘레방향의 위상이 맞도록 상기 끼워 맞추어짐이 행하여진다.
특징점 12 : 특징점 1 내지 특징점 11에 기재된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32)의 상기 엔진 시동 기어(100)측의 단부에,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34)와 상기 제2 피니언 기어(35)의 상기 엔진 시동 기어(100)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부(36)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부재(32)의 상기 제1 및 제2의 피니언 기어(35)를 끼우고 상기 스토퍼부(36)와는 반대의 측에 탄성 부재(33)가 배설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피니언 기어(34, 35)가 상기 탄성 부재(33)에 의해 상기 스토퍼부(36)측으로 가압 가세되어 있다.
특징점 13 : 모터부(10), 이 모터부(10)에 의해 구동되는 출력회전축(20)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부(30) 및 상기 피니언 기어부(30)를 그 피니언 기어(34, 35)와 엔진 시동 기어(100)와의 맞물림 위치의 쪽으로 이동시키는 압출 기구(60)를 구비하고,
서로 맞물린 상기 피니언 기어(34, 35) 및 상기 엔진 시동 기어(100)를 통하여 상기 모터부(10)의 회전력에 의해 엔진을 시동하는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부(30)는, 상기 출력회전축(20)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부재(32)와, 상기 출력회전축(2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32)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30)가 상기 압출 기구(60)에 의해 상기 맞물림 위치의 쪽으로 이동시켜지면 상기 회전부재(32)와 함께 이동하여 최초에 상기 엔진 시동 기어(100)와 맞물리는 제1의 피니언 기어(34)와, 상기 회전부재(32)에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34)에 인접하여 세레이션부를 통하여 끼워 맞추어져 상기 출력회전축(2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32)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30)가 상기 압출 기구(60)에 의해 상기 맞물림 위치의 쪽으로 더욱 이동시켜지면 상기 회전부재(32)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34)가 상기 엔진 시동 기어(100)와 맞물린 상태하에서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34)보다 지연되어 상기 엔진 시동 기어(100)와 맞물리는 제2의 피니언 기어(35)를 가지며,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34)는,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35)에, 양 피니언 기어(34, 35) 사이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 사이 세레이션부를 통하여 끼워 맞추어지고, 상기 피니언 기어 사이 세레이션부에 의해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34)의 기어(34a)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기어(35a)와의 둘레방향의 위상이 맞도록 상기 끼워 맞추어짐이 행하여진다.
특징점 14 : 특징점 1 내지 특징점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34)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35)에 대해 경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34)의 상기 끼워 맞춤의 상태가 유감의 상태이다.
특징점 15 : 스타터 모터(10)와, 상기 스타터 모터(10)의 출력축(20)측에 스플라인 결합된 축 방향으로 활주하는 이동체(31)와, 이동체(31)의 일부를 구성하는 원통형상 회전부재(32)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부착된 피니언 기어부(30)와, 피니언 기어부(30)를 링 기어와의 맞물림 위치로 이동시키는 압출 기구(60)를 가지며, 상기 압출 기구(60)에 의해 압출된 상기 피니언 기어부(30)의 피니언과 맞물리고, 상기 스타터 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됨으로써 엔진을 시동하는 링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30)는, 동기용의 돌기 기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링 기어와의 맞물림 시작시에 상기 링 기어와 최초에 충돌하는 제1의 피니언 기어(34)와, 맞물림 후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다하는 제2의 피니언 기어(35)로 구성되는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제1의 피니언 및 제2의 피니언은 모두, 각각의 내경위 시행된 세레이션부와, 상기 원통형상 회전부재(32)의 외주에 시행된 세레이션부에 의해 세레이션 끼워 맞추어진다.
특징점 16 : 특징점 15에 기재된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세레이션부(34ab, 35ab)의 기어 수가 피니언(34, 35)의 기어 수의 정수배이다.
특징점 17 : 특징점 15에 기재된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피니언(34, 35)의 내경에 위치맞춤부로서 홈부(34c, 35c)를 마련하였다.
특징점 18 : 특징점 15에 기재된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피니언(34, 35)의 내경에 마련된 세레이션부(34b, 35b)의 적어도 한 기어를 노치하여 위치맞춤부로 하였다.
특징점 19 : 특징점 15에 기재된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 회전부재(32)의 세레이션의 적어도 한 기어가 다른 것 보다도 폭이 넓게 구성되고, 제1 및 제2의 피니언(34, 35)의 내경의 세레이션(34b, 35b)도 원통형상 회전부재(32)의 세레이션(32a)에 대응하여 적어도 1개소의 폭이 다름에 의해 위치맞춤부로 하였다.
특징점 20 : 특징점 16 내지 특징점 19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미리 제1 및 제2의 피니언(34, 35)의 내경에 마련된 위치맞춤부에 의해 제1의 피니언(34)과 제2의 피니언(35)의 위치를 맞추어서, 상기 원통형상 회전부재(32)에 조립한다.
특징점 21 : 스타터 모터(10)와, 상기 스타터 모터(10)의 출력축(20)측에 스플라인 결합된 축 방향으로 활주하는 이동체(31)와, 이동체(31)의 일부를 구성하는 원통형상 회전부재(32)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부착된 피니언 기어부(30)와, 피니언 기어부(30)를 링 기어와의 맞물림 위치로 이동시키는 압출 기구(60)를 가지며, 상기 압출 기구(60)에 의해 압출된 상기 피니언 기어부(30)의 피니언(34, 35)과 맞물리고, 상기 스타터 모터(10)의 회전력이 전달됨으로써 엔진을 시동하는 링 기어(100)를 구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30)는, 동기용의 돌기 기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링 기어(100)와의 맞물림 시작시에 상기 링 기어(100)와 최초에 충돌하는 제1의 피니언 기어(34)와, 맞물림 후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다하는 제2의 피니언 기어(35)로 구성된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제1의 피니언 기어(34)는 상기 원통형상 회전부재(32)에 형성된 세레이션부(32a)에 세레이션 끼워 맞추어지고, 제1의 피니언 기어(34)는, 제2의 피니언(35)에 마련된 위치 결정부(35d)와 끼워 맞추어진다.
특징점 22 : 특징점 21에 기재된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제2의 피니언 기어(35)는 상기 원통형상 회전부재(32)에 형성된 세레이션부(32a)에 세레이션 끼워 맞추어지고, 제1의 피니언 기어의 제2 피니언 기어(35)와의 당접면에 마련된 볼록부(34d)(또는 오목부)가,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제1 피니언 기어(34)와의 당접면에 마련된 오목부(35d)(또는 볼록부)에 끼워 맞춤으로써 위치 결정된다.
특징점 23 : 특징점 15 내지 특징점 22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이동체(31)의 일부를 구성하는 원통형상 회전부재(32)에는 피니언 기어부(30)의 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부(36)와, 피니언 기어부(30)를 끼우고 스토퍼(36)와는 반대 측에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33)를 구비하고, 제1의 피니언 기어(34) 및, 제2의 피니언 기어(35)는, 상기 탄성 부재(33)에 의해, 스토퍼(36)측으로 가압 가세되어 있다.
특징점 24 : 스타터 모터(10)와, 스타터 모터(10)의 출력축(20)측에 스플라인 결합된 축 방향으로 활주하는 피니언 기어부(30)와, 키 스위치가 ON 됨으로써 흡인되는 플런저(50)의 이동에 따라서, 오버러닝 클러치 및 피니언(30, 34, 35)을 엔진의 링 기어(100) 방향으로 압출하는 시프트 레버(60)와, 시프트 레버(60)에 의해 압출된 피니언(34, 35)과 맞물리고, 스타터 모터(10)의 회전력이 전달됨으로써 엔진을 시동하는 링 기어(100)를 구비한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피니언(30)은, 동기용의 기어형상을 가지며, 링 기어와의 맞물림 시작시에 링 기어와 최초에 충돌하는 제1 피니언 기어(34)와, 맞물림 후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다하는 제2 피니언 기어(35)에, 축 방향으로 2분할된 피니언 기어를 갖는다.
또한 제1의 피니언 기어(34) 및 제2의 피니언 기어(35)는 모두, 각각의 내경에 시행된 세레이션부(34b, 35b)와, 스타터 모터의 출력축 측에 스플라인 결합된 축 방향으로 활주하는 이동체(31)의 원통형상 회전부재(32)의 외주에 시행된 세레이션부(32a)에 의해 세레이션 끼워 맞추어질 때 때, 원통형상 회전부재(32)의 외주에 시행된 세레이션(32a)이나 제1의 피니언 기어(34) 및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내경에 시행된 세레이션(34ab, 35ab)의 기어 수가 제1의 피니언 기어(34)의 피니언 기어 수 및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돌기부의 기어 수의 정수배로 구성되어 있는 피니언 기어부(30)를 갖는다.
또한, 제1의 피니언 기어(34)의 피니언 기어와 제2의 피니언 기어(35)의 돌기부의 위치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Claims (15)

  1. 모터부, 이 모터부에 의해 구동되는 출력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부, 및 상기 피니언 기어부를, 상기 피니언 기어부의 피니언 기어와 엔진 시동 기어와의 맞물림 위치의 쪽으로 이동시키는 압출 기구를 구비하고, 서로 맞물린 상기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엔진 시동 기어를 통하여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에 의해 엔진을 시동하는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부는, 상기 출력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이 회전부재에 제1의 세레이션부를 통하여 끼워 맞추어져 상기 출력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가 상기 압출 기구에 의해 상기 맞물림 위치의 쪽으로 이동시켜지면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이동하여 최초에 상기 엔진 시동 기어와 맞물리는 제1의 피니언 기어와,
    상기 회전부재에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에 인접하여 제2의 세레이션부를 통하여 끼워 맞추어져 상기 출력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가 상기 압출 기구에 의해 상기 맞물림 위치의 쪽으로 더욱 이동시켜지면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가 상기 엔진 시동 기어와 맞물린 상태하에서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보다 지연되어 상기 엔진 시동 기어와 맞물리는 제2의 피니언 기어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의 세레이션부에 의해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의 기어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의 기어 둘레방향의 위상이 맞도록 상기 끼워 맞추어짐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시동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의 기어는 선단이 돌기 형상인 돌기 기어 형상이고,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의 기어는 비 돌기 기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시동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의 상기 엔진 시동 기어 방향의 두께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의 상기 엔진 시동 기어의 방향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시동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는 상기 엔진 시동 기어와의 회전 동기를 취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는 상기 엔진 시동 기어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엔진 시동 기어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시동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세레이션부와 상기 제2의 세레이션부에 걸쳐서 위치맞춤 기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세레이션부에 걸쳐서 마련된 상기 위치맞춤 구조부에 의해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의 기어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의 기어와의 둘레방향의 위상이 맞도록 상기 끼워 맞추어짐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시동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세레이션부의 기어 수가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의 기어 수의 정수배이고, 상기 제2의 세레이션부의 기어 수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의 기어 수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시동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세레이션부의 기어 수와 상기 제2의 세레이션부의 기어 수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시동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맞춤 구조부가, 상기 제1 및 제2의 세레이션부에 걸쳐서 마련된 홈이고,
    상기 제1의 세레이션부측의 상기 홈과 제2의 세레이션부측의 상기 홈을 맞겹침에 의해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의 기어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의 기어와의 둘레방향의 위상이 맞도록 상기 끼워 맞추어짐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시동 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맞춤 구조부가, 상기 제1 및 제2의 피니언에 걸쳐서 상기 제1 및 제2의 세레이션부의 적어도 하나의 기어를 노치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의 세레이션부측의 상기 노치된 기어와 제2의 세레이션부측의 상기 노치된 기어를 맞겹침에 의해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의 기어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의 기어와의 둘레방향의 위상이 맞도록 상기 끼워 맞추어짐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시동 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맞춤 구조부가, 상기 제1 및 제2의 피니언에 걸쳐서 상기 제1 및 제2의 세레이션부의 적어도 하나의 기어의 폭이 다른 이의 폭보다 넓게 구성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의 세레이션부측의 상기 폭이 넓은 기어와 제2의 세레이션부측의 상기 폭이 넓은 기어를 맞겹침에 의해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의 기어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의 기어와의 둘레방향의 위상이 맞도록 상기 끼워 맞추어짐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시동 장치.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맞춤 구조부가,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와 상기 제2 피니언 기어와의 대향면의 한쪽에 볼록부를, 다른 쪽에 오목부를 마련하여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과 상기 오목부를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의 기어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의 기어와의 둘레방향의 위상이 맞도록 상기 끼워 맞추어짐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시동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상기 엔진 시동 기어측의 단부에,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와 상기 제2 피니언 기어의 상기 엔진 시동 기어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부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의 피니언 기어를 끼우고 상기 스토퍼부란 반대의 측에 탄성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피니언 기어가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스토퍼부측으로 가압 가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시동 장치.
  13. 모터부, 이 모터부에 의해 구동되는 출력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부, 및 상기 피니언 기어부를, 상기 피니언 기어부의 피니언 기어와 엔진 시동 기어와의 맞물림 위치의 쪽으로 이동시키는 압출 기구를 구비하고, 서로 맞물린 상기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엔진 시동 기어를 통하여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에 의해 엔진을 시동하는 엔진 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부는, 상기 출력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출력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가 상기 압출 기구에 의해 상기 맞물림 위치의 쪽으로 이동시켜지면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이동하여 최초에 상기 엔진 시동 기어와 맞물리는 제1의 피니언 기어와,
    상기 회전부재에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에 인접하여 세레이션부를 통하여 끼워 맞추어져 상기 출력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가 상기 압출 기구에 의해 상기 맞물림 위치의 쪽으로 더욱 이동시켜지면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가 상기 엔진 시동 기어와 맞물린 상태하에서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보다 지연되어 상기 엔진 시동 기어와 맞물리는 제2의 피니언 기어를 가지며,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는,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에, 양 피니언 기어 사이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 사이 세레이션부를 통하여 끼워 맞추어지고, 상기 피니언 기어 사이 세레이션부에 의해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의 기어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의 기어와의 둘레방향의 위상이 맞도록 상기 끼워 맞추어짐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시동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에 대해 경사 되도록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의 상기 끼워 맞춤의 상태가 유감의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시동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가 상기 제2의 피니언 기어에 대해 경사 되도록 상기 제1의 피니언 기어의 상기 끼워 맞춤의 상태가 유감의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시동 장치.
KR1020137026526A 2011-03-31 2011-03-31 엔진 시동 장치 KR1014881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58211 WO2012131975A1 (ja) 2011-03-31 2011-03-31 エンジン始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330A KR20140000330A (ko) 2014-01-02
KR101488128B1 true KR101488128B1 (ko) 2015-01-29

Family

ID=4692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526A KR101488128B1 (ko) 2011-03-31 2011-03-31 엔진 시동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75657B2 (ko)
EP (1) EP2693044A4 (ko)
JP (1) JP5444503B2 (ko)
KR (1) KR101488128B1 (ko)
CN (1) CN103459830B (ko)
WO (1) WO20121319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4742B2 (ja) * 2010-08-20 2015-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ン始動装置
DE102011017534B4 (de) * 2011-04-26 2020-06-04 Seg Automotive Germany Gmbh Startvor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JP6012793B2 (ja) * 2015-03-03 2016-10-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ン始動装置
DE102015219505B4 (de) 2015-10-08 2019-03-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Ritzelstartergetriebe mit korrigierter Zahnradgeometrie
JP7291462B2 (ja) * 2018-04-19 2023-06-15 株式会社シマノ 回転検出装置および回転駆動力検出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2123A (ja) * 1995-05-19 1997-02-10 Denso Corp スタータ
JP2002070699A (ja) 2000-08-23 2002-03-08 Toyota Motor Corp 燃料消費節約型自動車
JP2006132343A (ja) 2004-11-02 2006-05-25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始動装置及びその始動装置に備えられたスタータギアユニット
JP2009168230A (ja) 2008-01-21 2009-07-30 Denso Corp ピニオ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タータ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48288A (en) * 1919-03-31 1920-08-03 Eclipse Machine Co Engine-starter
US2423068A (en) * 1945-08-02 1947-06-24 Bendix Aviat Corp Engine starter
EP0091689B1 (en) * 1982-04-13 1985-12-18 Hitachi, Ltd. A starter apparatus
US5046373A (en) 1989-08-07 1991-09-10 Briggs & Stratton Corp. Starter motor construction
JPH0792035B2 (ja) * 1990-06-08 1995-10-09 三菱電機株式会社 中間歯車付始動電動機
JPH0710606U (ja) 1993-07-15 1995-02-14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シザーズギア
US5767585A (en) * 1993-12-27 1998-06-16 Nippondenso Co., Ltd. Starter
JP3562072B2 (ja) * 1994-11-29 2004-09-08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EP0818624B1 (en) * 1996-07-10 2001-03-14 Denso Corporation Starter having a pinion movement control structure
JP3722639B2 (ja) * 1999-03-25 2005-11-3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始動装置
JP2002303236A (ja) * 2001-04-02 2002-10-18 Denso Corp スタータ
JP3823841B2 (ja) * 2002-02-15 2006-09-20 株式会社デンソー 中間歯車付スタータ
US20040079179A1 (en) * 2002-10-23 2004-04-29 Bombardier-Rotax Gmbh & Co. K.G. Slip clutch for starter drive
JP4155115B2 (ja) * 2003-06-10 2008-09-24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CN101044316A (zh) * 2004-10-20 2007-09-26 株式会社美姿把 带惰轮的起动电动机
JP4020209B2 (ja) * 2005-01-14 2007-12-12 三菱電機株式会社 中間歯車付き始動電動機
JP4375314B2 (ja) * 2005-09-26 2009-12-02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JP4552924B2 (ja) * 2006-11-02 2010-09-29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JP2009024665A (ja) * 2007-07-23 2009-02-05 Toyota Central R&D Labs Inc エンジン始動装置
EP2080898B1 (en) * 2008-01-18 2020-03-11 Denso Corporation Starter with compact structure
JP5212065B2 (ja) * 2008-01-18 2013-06-19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EP2151573B1 (en) * 2008-08-07 2015-04-15 Denso Corporation A starting device for combustion engines
DE102008054965B4 (de) * 2008-12-19 2018-08-23 Seg Automotive Germany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Start-Stopp-Anlagen von Brennkraftmaschinen in Kraftfahrzeugen
JP5272879B2 (ja) * 2009-04-28 2013-08-28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DE102009026593A1 (de) * 2009-05-29 2010-12-0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mechanischen Synchronisation zweier sich drehender, achsversetzter Stirnzahnräder
US8408175B2 (en) * 2010-08-03 2013-04-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top-start self-synchronizing starter system
JP5804742B2 (ja) * 2010-08-20 2015-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ン始動装置
CN103459829B (zh) 2011-03-31 2016-01-27 三菱电机株式会社 发动机启动装置
WO2012131973A1 (ja) 2011-03-31 2012-10-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ン始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2123A (ja) * 1995-05-19 1997-02-10 Denso Corp スタータ
JP2002070699A (ja) 2000-08-23 2002-03-08 Toyota Motor Corp 燃料消費節約型自動車
JP2006132343A (ja) 2004-11-02 2006-05-25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始動装置及びその始動装置に備えられたスタータギアユニット
JP2009168230A (ja) 2008-01-21 2009-07-30 Denso Corp ピニオ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タ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91681A1 (en) 2013-11-07
JPWO2012131975A1 (ja) 2014-07-24
EP2693044A4 (en) 2014-09-03
JP5444503B2 (ja) 2014-03-19
EP2693044A1 (en) 2014-02-05
KR20140000330A (ko) 2014-01-02
WO2012131975A1 (ja) 2012-10-04
CN103459830B (zh) 2016-03-16
CN103459830A (zh) 2013-12-18
US9175657B2 (en) 201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50529B1 (en) Engine
WO2012077501A1 (ja) エンジン始動装置
KR101488128B1 (ko) 엔진 시동 장치
KR101681913B1 (ko) 자동차 내연기관의 스타트-스톱 시스템용 방법 및 장치
JP5762371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KR20110112298A (ko) 자동차 내연기관의 스타트-스톱 시스템용 방법 및 장치
JP6012788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KR101501868B1 (ko) 엔진 시동 장치
KR101501869B1 (ko) 엔진 시동 장치
JP2012041881A (ja) エンジン始動装置
JP5957071B2 (ja) スタータ
JP5955362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JP6113252B1 (ja) エンジン始動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224489A (ja) エンジン始動装置
JP2014224489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