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940B1 - 광학 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학 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940B1
KR101477940B1 KR1020137009773A KR20137009773A KR101477940B1 KR 101477940 B1 KR101477940 B1 KR 101477940B1 KR 1020137009773 A KR1020137009773 A KR 1020137009773A KR 20137009773 A KR20137009773 A KR 20137009773A KR 101477940 B1 KR101477940 B1 KR 101477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ive index
layer
plastic substrate
multilayer fil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5415A (ko
Inventor
마사오키 도모다
사토루 이토
게이 이시무라
히로타츠 오쿠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에시로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에시로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에시로루
Publication of KR20130085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2B1/105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21Ion beam de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8Coatings for keeping optical surfaces clean, e.g. hydrophobic or photo-catalytic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4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having spectral characteristics for purposes other than sun-prot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5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having inhomogeneously distributed colouring

Abstract

광학 부품은, 철면 및 요면을 갖는 플라스틱 기재와, 상기 플라스틱 기재의 적어도 철면 상에 설치된 다층막을 구비한 광학 부품이다. 다층막은, 400∼50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2∼10%이다.

Description

광학 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OPTICAL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광학 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0년 9월 29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0-218711호 및2010년 12월 24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0-288319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최근, 안경 렌즈로서는, 경량이고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또한 염색하기 쉽다는 이점에서 플라스틱 렌즈가 다용되고 있다. 안경 렌즈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렌즈에는, 표면 반사를 방지할 목적으로, 그 양면에 반사 방지막이 통상 마련되어 있다. 안경 렌즈용 반사 방지막은, 일반적으로 400nm∼700nm의 가시 영역 전역에 걸쳐, 낮은 반사 특성(광대역 저반사 특성) 특성을 갖는다.
안경 렌즈 등의 광학 부품에 있어서, 예컨대 특허문헌 1∼3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플라스틱 기재와, 그 기재 상에 배치되는 반사 방지막을 구비한 광학 부품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공개 1999-3070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6-25176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7-127681호 공보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 의해, 가시 영역 전역에 걸쳐 낮은 반사 특성을 갖는 것이 시인성 및 눈의 건강에 대하여 반드시 바람직하지는 않다는 것이 알려졌다. 가시 광선의 청색 영역(380∼500nm)을 삭감(cut)하는 것에 의해 눈부심이 저감되어 시인성, 콘트라스트가 향상된다.
또한, 눈의 건강에 대하여, 가시 광선의 청색 영역(380∼500nm)은 에너지가 강하기 때문에, 망막 등의 손상의 원인이 된다고 말해지고 있다. 청색광에 의한 손상을 「블루 라이트 해저드(blue light hazard)」라고 말하고, 특히 435∼440nm 부근이 가장 위험하여, 이 영역의 광을 삭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해지고 있다.
작금, 디스플레이의 주류로 되어 있는 액정 화면이나, LED 조명에서는, 450nm 부근의 빛이 많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청색 영역의 광선의 제어가 주목되고 있다. 가시 광선의 청색 영역(380∼500nm)을 삭감하는 수단으로서는, 선글라스 등의 염색 렌즈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염색 렌즈로는 전 가시 영역을 삭감하기 때문에, 광량 저하에 의해 시인성이 나빠져 버린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은, 방현 효과를 갖고, 피로감의 저감, 눈병 예방에도 효과적이며, 또한 시인성이 양호한 광학 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1태양에 있어서의 광학 부품은, 철면(凸面) 및 요면(凹面)을 갖는 플라스틱 기재와, 상기 플라스틱 기재의 적어도 상기 철면 상에 설치된 다층막을 구비하고, 상기 다층막은, 400∼500nm의 파장 범위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2∼10%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태양에 있어서의 광학 부품의 제조방법은, 철면 및 요면을 갖는 플라스틱 기재와, 상기 플라스틱 기재의 적어도 상기 철면 상에 설치된 다층막을 구비한 광학 부품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플라스틱 기재를 가열하는 공정과, 상기 가열에 의해서 상기 플라스틱 기재를 소정 온도로 조정한 후, 상기 플라스틱 기재 상에 상기 다층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추고, 상기 다층막을 형성하는 공정은, 고굴절률 재료와 저굴절률 재료를 교대로 복수 적층하여 다층 구조의 고굴절률층을 형성하는 처리와, 상기 고굴절률층 상에, 이 고굴절률층보다 낮은 굴절률의 저굴절률층을 형성하는 처리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다층막의 400∼500nm의 파장 범위에서의 평균 반사율을 2∼10%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에 있어서의 광학 부품에 의하면, 양호한 시인성을 유지한 채로 충분한 방현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에 있어서의 광학 부품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눈부심이 저감되어, 보기 쉽고, 피로, 눈병 예방에도 효과적인 광학 특성을 가진 광학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부품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부품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증착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반사 방지막의 분광 특성도이다.
도 5는 실시예 2에 따른 반사 방지막의 분광 특성도이다.
도 6은 실시예 3에 따른 반사 방지막의 분광 특성도이다.
도 7은 비교예 1에 따른 반사 방지막의 분광 특성도이다.
도 8은 실시예 4에 따른 반사 방지막의 분광 특성도이다.
도 9는 실험 2에 따른 착용[裝用] 비교 평가 결과이다.
도 10은 실시예 5에 따른 반사 방지막의 분광 특성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6에 따른 반사 방지막 철면의 분광 특성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6에 따른 반사 방지막 요면의 분광 특성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7에 따른 반사 방지막 철면의 분광 특성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7에 따른 반사 방지막 요면의 분광 특성도이다.
도 15는 실험 3에 따른 착용 비교 평가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를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 형태는, 발명의 취지를 보다 잘 이해시키기 위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특별히 지정이 없는 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형태의 광학 부품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부호 1은 안경 렌즈용의 광학 부품이다.
이 광학 부품(1)은, 플라스틱 기재(2)와, 플라스틱 기재(2)의 철면 상에 설치된 무기 다층막(3)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플라스틱 기재(2)의 철면과 무기 다층막(3) 사이에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능성 박막(4)이 배설(配設)되어 있다. 이 기능성 박막(4)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라이머층(5)과 하드 코팅층(6)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플라스틱 기재(2)의 표면(철면)에 설치되어 있는 각 막(3, 4)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지만, 실제로는, 플라스틱 기재(2)의 이면(요면)에도, 표면(철면)에 형성되는 각 막(3, 4)과 동등한 막이 형성되어 있다.
플라스틱 기재(2)는, 예컨대 투명한 플라스틱인 아크릴계 수지, 싸이오우레탄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알릴계 수지, 에피설파이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에피설파이드 수지, 폴리에터설폰 수지, 폴리4-메틸펜텐-1 수지, 다이에틸렌 글리콜 비스알릴카보네이트 수지(CR-39), 폴리염화바이닐 수지, 할로젠 함유 공중합체, 및 황 함유 공중합체 등에 의해서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라스틱 기재(2)의 굴절률(nd)로서는, 예컨대 1.50, 1.60, 1.67, 및 1.74 중에서 선택된 것이 사용된다. 한편, 플라스틱 기재(2)의 굴절률을 1.6 이상으로 하는 경우, 플라스틱 기재(2)로서는, 알릴카보네이트계 수지,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싸이오우레탄계 수지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스틱 기재(2)는 투광성을 갖고 있으면 투명이 아니더라도 좋고, 착색되어 있더라도 좋다. 착색된 플라스틱 기재(2)의 투과율은 5∼85%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박막(4)은, 상기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기재(2)와 무기 다층막(3)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 플라스틱 기재(2)에 접하여 배설된 프라이머층(5)과, 이 프라이머층(5)에 접하고, 또한 무기 다층막(3)에 접하여 배설된 하드 코팅층(6)으로 이루어져 있다.
프라이머층(5)은, 플라스틱 기재(2)와 하드 코팅층(6)의 밀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밀착층으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광학 부품(1)에 대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여, 충격 흡수층으로서도 기능하게 되어 있다.
이 프라이머층(5)은,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폴리우레탄계 수지에 예컨대 무기 재료의 미립자를 함유시킨 것이다. 한편, 프라이머층(5)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및 유기 규소계 수지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프라이머층(5)의 두께(실제 두께)에 관해서는, 0.5μm 이상 1.0μm 이하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라이머층(5)은, 프라이머층(5)의 형성 재료액에 플라스틱 기재(2)를 침지하고, 그 후 끌어 올려 건조하는 것에 의해, 플라스틱 기재(2) 상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5)의 형성 재료액으로서는, 예컨대 물 또는 알코올계의 용매에, 상기한 프라이머층(5)으로 되는 수지와 무기 산화물 미립자 졸을 분산 또는 용해하여, 혼합한 액을 이용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6)은, 플라스틱 기재(2)를 보호하여, 플라스틱 기재(2)의 손상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내찰상성막으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다.
하드 코팅층(6)은, 예컨대 오가노실록산계 하드 코팅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오가노실록산계 하드 코팅층은, 오가노실록산계 수지에 무기 산화물의 미립자를 분산시킨 것이다. 무기 산화물로서는, 예컨대 루틸형의 산화티타늄이나, 규소, 주석, 지르코늄, 및 안티몬의 산화물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하드 코팅층(6)으로서, 예컨대 일본 특허공고 1992-5561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콜로이드상 실리카 함유의 유기 규소계 수지여도 좋다. 하드 코팅층(6)의 두께(실제 두께)에 관해서는, 2μm 이상 4μm 이하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팅층(6)은, 하드 코팅층(6)의 형성 재료액에, 프라이머층(5)을 형성한 플라스틱 기재(2)를 침지하고, 그 후 끌어 올려 건조하는 것에 의해, 플라스틱 기재(2) 상의 프라이머층(5) 상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6)의 형성 재료액으로서는, 예컨대 물 또는 알코올계의 용매에, 상기한 하드 코팅층(6)으로 되는 수지와 무기 산화물 미립자 졸을 분산 또는 용해하여, 혼합한 액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프라이머층(5) 및 하드 코팅층(6)을 포함하는 기능성 박막(4)에 관해서는, 그의 굴절률과, 플라스틱 기재(2)의 굴절률이 거의 같으면, 기능성 박막(4)과 플라스틱 기재(2)의 계면에서의 반사로 생기는 간섭 줄무늬의 발생 및 투과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기재(2)의 굴절률에 따라, 기능성 박막(4)의 굴절률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박막(4)(프라이머층(5), 하드 코팅층(6))의 굴절률의 조정에 관해서는, 기능성 박막(4)의 주성분으로 되는 수지의 종류(물성)를 선택하는 것, 또는, 그 주성분으로 되는 수지에 첨가하는 미립자의 종류(물성)를 선택하는 것 등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능성 박막(4)이 프라이머층(5) 및 하드 코팅층(6)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예컨대 프라이머층(5)과 하드 코팅층(6)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생략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기능성 박막(4)의 구성막으로서, 예컨대 ITO(Indium Tin Oxide)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전체막이나 금속막을, 상기 프라이머층(5) 및 하드 코팅층(6)에 추가하여 배설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무기 다층막을 구성하는 고굴절률 무기 재료와 저굴절률 무기 재료 사이에, 두께 20nm 이하의 유전체막 또는 금속막을 배설해도 좋다. 한편, 유전체막 또는 금속막의 두께는, 10nm 이하여도 좋다.
무기 다층막(3)은, 상기 플라스틱 기재(2)에, 고굴절률 무기 재료와 저굴절률 무기 재료가 교대로 복수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의 고굴절률층(7)을 갖고, 상기 고굴절률층(7) 상에, 이 고굴절률층(7)보다 낮은 굴절률의 저굴절률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저굴절률층(8)을 갖는 복층 구성의 것으로, 입사한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막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이다. 이 무기 다층막(3)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400∼50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2∼10%이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평균 반사율의 범위에 있으면, 안경 렌즈로서 사용한 경우, 충분한 방현 효과가 얻어지고, 또한 양호한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을 10% 이상으로 한 경우, 이러한 안경을 쓴 사람은, 안경 렌즈의 특히 요면으로부터의 입사광에 의한 반사에 성가심을 느끼게 된다. 상기 평균 반사율은 3∼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다층막으로서 무기 다층막을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한, 유기 다층막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무기 다층막(3)은, 580∼780nm의 파장역에 있어서 반사율을 1.5% 이하이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설계에 의해, 방현 효과 및 시인성에 한층 더한 효과를 갖는 안경 렌즈를 얻을 수 있다.
고굴절률층(7)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플라스틱 기재(2)측에 설치된 고굴절률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층(9)과, 상기 제 1 층(9) 상에 설치된 저굴절률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층(10)과, 상기 제 2 층(10) 상에 설치된 고굴절률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3 층(11)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층(9)은, 하드 코팅층(6)에 접하여 설치된 것으로, 굴절률이 2.0인 이산화지르코늄(ZrO2)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제 1 층(9)을 구성하는 고굴절률 무기 재료로서는, ZrO2 이외에도, 예컨대 이산화티타늄(TiO2)이나 이산화탄탈럼(Ta2O5)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지르코늄, 티타늄, 탄탈럼의 복수종으로 이루어지는 합금의 산화물에 의해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이외에도, 예컨대 산화알루미늄(Al2O3), 이산화이트륨(Y2O3), 이산화하프늄(HfO2), Nb2O5(이산화니오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이 제 1 층(9)을 고굴절률 무기 재료(ZrO2)로 형성함으로써제 1 층(9)과 하드 코팅층(6) 사이의 밀착성을 얻을 수 있다. 즉, 고굴절률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ZrO2)과 하드 코팅층(6)의 밀착성(밀착력) 쪽이, 저굴절률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SiO2)과 하드 코팅층(6)의 밀착성(밀착력)보다도 크기 때문이다. 또한, 기능성 박막(4)(프라이머층(5), 하드 코팅층(6))이 생략된 경우에 있어서도, 고굴절률층(ZrO2)과 플라스틱 기재(2)의 밀착성(밀착력) 쪽이, 저굴절률층(SiO2)과 플라스틱 기재(2)의 밀착성(밀착력)보다도 크기 때문에, 밀착성에 대하여 보다 유리하게 된다.
제 2 층(10)은, 제 1 층(9)에 접하여 설치된 것으로, 굴절률이 1.47인 이산화규소(SiO2)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제 2 층(10)을 구성하는 저굴절률 무기 재료로서는, SiO2 이외로도, 예컨대 굴절률이 1.36인 MgF2를 이용할 수 있다.
제 3 층(11)은, 제 2 층(10)에 접하여 설치된 것으로, 제 1 층(9)과 마찬가지로 이산화지르코늄(ZrO2)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이 제 3 층(11)에 관해서도, 제 1 층(9)과 마찬가지로, ZrO2 이외의 고굴절률 무기 재료에 의해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고굴절률층(7)에 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층(9), 제 2 층(10), 제 3 층(11)의 3층 구조로 형성하지 않고, 상기한 반사율에 대한 조건을 만족시키면, 2층, 또는 4층 이상으로 구성해도 좋다.
저굴절률층(8)은, 상기 제 3 층(11)에 접하여 설치된 것으로, 상기 제 2 층(10)과 마찬가지로 이산화규소(SiO2)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무기 다층막(3) 위, 즉 상기 플라스틱 기재(2)로부터 가장 먼 무기 다층막(3)의 최외층(저굴절률층(8)) 위에, 불소 치환 알킬기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발수발유막(12)이 설치되고 있다.
이 발수발유막(12)은, 불소 치환 알킬기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발액성(발수성, 발유성)을 갖는 것이다. 즉, 이 발수발유막(12)은, 광학 부품의 표면 에너지를 저하시켜, 물 그을음 방지, 오염 방지의 기능을 발휘함과 더불어, 광학 부품 표면의 미끄럼 성능을 향상시켜, 그 결과로서, 내찰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불소 치환 알킬기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는, 하기 화학식 1, 하기 화학식 2∼5, 및 하기 화학식 6 중에서 선택된다.
Figure 112013033468811-pct00001
(화학식 1 중, Rf는 탄소수 1∼16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퍼플루오로알킬기를 나타내고, Y는 요오드 또는 수소를 나타내고, Y'은 수소 또는 탄소수 1∼5의 저급알킬기를 나타내고, Y"은 불소 또는 트라이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내고, R1은 가수분해 가능한 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또는 불활성인 1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a, b, c, d는 각각 0∼200의 정수를 나타내고, e는 0 또는 1을 나타내고, s 및 t는 각각 0∼2의 정수를 나타내고, w는 1∼10의 정수를 나타낸다. )
Figure 112013033468811-pct00002
Figure 112013033468811-pct00003
Figure 112013033468811-pct00004
Figure 112013033468811-pct00005
(화학식 2∼5 중, X는 산소 또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X'은 가수분해 가능한 기를 나타내고, X"은 2가의 유기 실리콘기를 나타내고, R3은 탄소수 1∼22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q는 1∼3의 정수를 나타내고, m, n, o는 각각 0∼200의 정수를 나타내고, p는 1 또는 2를 나타내고, r은 2∼20의 정수를 나타내고, k는 0∼2의 정수를 나타내고, z는 k가 0 또는 1인 경우에 0∼10의 정수를 나타낸다. )
Figure 112013033468811-pct00006
(화학식 6 중, Rf2는 2가의 직쇄상의 퍼플루오로폴리에터기를 나타내고, R4는 탄소수 1∼4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5는 가수분해 가능한 기를 나타내고, i는 0∼2의 정수를 나타내고, j는 1∼5의 정수를 나타내고, u는 2 또는 3을 나타낸다. )
여기서, 발수발유막(12)에 우수한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화학식 1∼5 중에서 선택되는 불소 치환 알킬기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과, 화학식 6으로부터 선택되는 불소 치환 알킬기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을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5로 표시되는불소 치환 알킬기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는, 다이킨공업주식회사(Daikin Industries Ltd.)제 오프툴(Optool) DSX, 오프툴 AES4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불소 치환 알킬기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는, 신에츠화학공업주식회사제(Shin-Etsu Chemical Co., Ltd.) KY-130, KY-164 등을 이용할 수 있다.
(2) 제 2 실시형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형태의 광학 부품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부호 1'은 안경 렌즈용의 광학 부품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광학 부품(1)과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 광학 부품(1')은, 제 1 실시형태의 광학 부품(1)의 구조에 더하여, 플라스틱 기재(2)의 요면 상에 배설된 무기 다층막(3')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플라스틱 기재(2)의 요면과 무기 다층막(3') 사이에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능성 박막(4)이 배설되어 있다. 이 기능성 박막(4)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라이머층(5)과 하드 코팅층(6)으로 이루어져 있다.
무기 다층막(3')은, 상기 플라스틱 기재(2)에, 고굴절률 무기 재료와 저굴절률 무기 재료가 교대로 복수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의 고굴절률층(7')을 갖고, 상기 고굴절률층(7') 상에, 이 고굴절률층(7')보다 낮은 굴절률의 저굴절률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저굴절률층(8')을 갖는 복층 구성의 것이다.
고굴절률층(7')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플라스틱 기재(2)측에 설치된 고굴절률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층(9')과, 상기 제 1 층(9') 상에 설치된 저굴절률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층(10')과, 상기 제 2 층(10') 상에 설치된 고굴절률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3 층(11')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층(9'), 제 2 층(10'), 제 3 층(11')에 사용되는 무기 재료로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층(9), 제 2 층(10), 제 3 층(11)에 사용되는 무기 재료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고굴절률층(7')에 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굴절률층(7)과 마찬가지로, 3층 구조로 형성하지 않고, 2층, 또는 4층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무기 다층막(3')은, 제 1 실시형태의 무기 다층막(3)과 마찬가지로, 400∼50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2∼10%이도록 설계되더라도 좋다. 또한, 무기 다층막(3')은, 580∼780nm의 파장역에 있어서 반사율을 1.5% 이하이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기재(2)의 양면 상에, 이러한 반사율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무기 다층막이 배설되는 것에 의해, 방현 효과 및 시인성에 한층 더한 효과를 갖는 안경 렌즈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무기 다층막(3')은, 종래의 반사 방지막과 마찬가지여도 좋다. 즉, 무기 다층막(3')은, 380∼78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1.5% 이하인 반사 방지막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라스틱 기재(2)의 철면 상에 설치된 무기 다층막(3)의 400∼50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은, 플라스틱 기재(2)의 요면 상에 설치된 무기 다층막(3')의 400∼50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보다도 크게 해도 좋다. 플라스틱 기재(2)의 철면 상에 설치된 무기 다층막(3)은, 400∼50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5∼10%이며, 플라스틱 기재(2)의 요면 상에 설치된 무기 다층막(3')은, 400∼50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2∼4%이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반사율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무기 다층막이 배설되는 것에 의해, 방현 효과에 한층 더한 효과를 갖는 안경 렌즈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플라스틱 기재(2)의 요면 상에 설치된 무기 다층막(3')은, 400∼50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3∼4%여도 좋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능성 박막(4)이 프라이머층(5) 및 하드 코팅층(6)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프라이머층(5)과 하드 코팅층(6)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생략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기능성 박막(4)의 구성막으로서, 예컨대 ITO(Indium Tin Oxide)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전체막이나 금속막을, 상기 프라이머층(5) 및 하드 코팅층(6)에 추가하여 배설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무기 다층막을 구성하는 고굴절률 무기 재료와 저굴절률 무기 재료 사이에, 두께 20nm 이하의 유전체막 또는 금속막을 배설해도 좋다. 한편, 유전체막 또는 금속막의 두께는 10nm 이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다층막으로서 무기 다층막을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한, 유기 다층막을 사용해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1실시형태의 광학 부품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학 부품의 제조방법은, 플라스틱 기재(2)에 대하여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기능성 박막(4)(프라이머층(5), 하드 코팅층(6))을 형성하는 공정과, 플라스틱 기재(2)를 가열하는 공정과, 가열에 의해서 플라스틱 기재(2)를 소정 온도(예컨대 70℃)로 조정한 후, 이 플라스틱 기재(2) 상에 무기 다층막(3)을 형성하는 공정과, 무기 다층막(3) 상에 발수발유막(12)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무기 다층막(3)을 형성하는 공정은, 고굴절률 무기 재료와 저굴절률 무기 재료를 교대로 복수 적층하여 다층 구조의 고굴절률층(7)을 형성하는 처리와, 이 고굴절률층(7) 상에, 저굴절률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저굴절률층(8)을 형성하는 처리를 갖고 있다. 이들 각 층의 형성에는, 진공 증착법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다층막(3)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다층막을 구성하는 층 중 적어도 1층을, 이온 빔 어시스트를 실시하면서 성막을 행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이온 빔 어시스트는,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가스와, 산소 가스, 불활성 가스 및 산소 가스의 혼합 가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가스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도 3은, 무기 다층막(3)의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증착 장치(3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착 장치(30)는, 제 1 챔버(31)와 제 2 챔버(32)와 제 3 챔버(3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제 2, 제 3 챔버(31, 32, 33)는, 각각의 내부가 거의 진공으로 감압되어, 그 상태로 유지되게 되어 있다. 또한, 증착 장치(30)는, 도시하지 않은 온도조절 수단에 의해, 제 1, 제 2, 제 3 챔버(31, 32, 33)의 각각의 내부 온도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증착 장치(30)는, 제 1, 제 2, 제 3 챔버(31, 32, 33)의 각각의 내부 공간에 유지 부재(34)를 갖추고 있다. 유지 부재(34)는, 그의 상면(유지면)이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의 상면 상에 복수의 플라스틱 기재(2)를 유지하게 되어 있다.
예컨대, 제 1 증착원(35A)에 빔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ZrO2의 증기를 제 1 증착원(35A)으로부터 방출시켜, 유지 부재(34)에 유지되어 있는 플라스틱 기재(2) 상에 공급하여 증착시킨다. 이것에 의해, 무기 다층막(3)의 고굴절률층(7)에 있어서의 제 1 층(9)과 제 3 층(11)을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증착원(35B)에 빔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SiO2의 증기를 제 2 증착원(35B)으로부터 방출시켜, 유지 부재(34)에 유지되어 있는 플라스틱 기재(2) 상에 공급하여 증착시킨다. 이것에 의해, 무기 다층막(3)의 고굴절률층(7)에 있어서의 제 2 층(10)과, 저굴절률층(8)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 1 증착원(35A)에 대한 빔의 조사와 제 2 증착원(35B)에 대한 빔의 조사를 교대로 행하는 것에 의해, 유지 부재(34)에 유지되어 있는 플라스틱 기재(2) 상에, 고굴절률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과 저굴절률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을 교대로 형성하여 적층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는, 무기 다층막(3)을 400∼50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2∼10%이도록 설계한다. 또한, 무기 다층막(3)은, 580∼780nm의 파장역에 있어서 반사율을 1.5% 이하이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증착원(35A)으로서 산화지르코늄(ZrO)으로 이루어지는 증착원을 이용하고, 제 2 챔버(32)의 내부 공간에 산소를 도입하면서 제 1 증착원(35A)에 빔을 조사하여, 이산화지르코늄(ZrO2)으로 이루어지는 고굴절률 무기 재료층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무기 다층막(3)을 형성하면, 이것 위에 발수발유막(12)을 형성한다.
발수발유막(12)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디핑법, 스핀 코팅법, 스프레이법 등의 습식법, 또는 진공 증착법 등의 건식법이 있다.
습식법 중에서는 디핑법이 일반적이고, 잘 사용된다. 이 방법은, 불소 치환 알킬기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을 유기 용제에 용해한 액 중에, 무기 다층막(3)까지 형성한 광학 부품을 침지하고, 일정 조건에서 끌어 올리고, 건조시켜 성막하는 방법이다. 유기 용제로서는, 퍼플루오로헥세인, 퍼플루오로-4-메톡시뷰테인, 퍼플루오로-4-에톡시뷰테인, 메타자일렌헥사플루오라이드 등이 사용된다.
유기 용제에 의한 희석 농도는, 0.01∼0.5중량%가 바람직하고, 0.03∼0.1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농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충분한 막 두께의 발수발유층(12)이 얻어지지 않고, 또한 농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도포 얼룩이 발생하기 쉽고, 재료 비용도 높아져 버린다.
건식법 중에서는 진공 증착법이 잘 사용된다. 이 방법은, 불소 치환 알킬기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을 진공조 내에서 가열하여 증발시켜, 발수발유막(12)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광학 부품(1)에 있어서는, 무기 다층막(3)을 400∼50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2∼10%이도록 설계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반사 특성 및 시인성에 대하여, 함께 양호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부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이러한 균형이 잡힌 우수한 광학 부품을 확실히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험 1≫
우레탄계 합성 수지 기판 상에, 굴절률 1.67의 실리콘계 하드 코팅, 및 굴절률 1.67의 프라이머 코팅을 가열 경화로 실시하고,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공 증착법에 의해 성막했다.
<실시예 1>
철면: 렌즈를 진공조 내에 설치된 회전하는 돔에 세팅하고, 진공조 내의 온도를 70도로 가열하고, 압력이 1.0×10-3Pa이 될 때까지 배기하고, 가속 전압 500V, 가속 전류 100mA의 조건에서 Ar 이온 빔 클리닝을 60초간 실시한 후, 플라스틱 기재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035λ, 제 2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565λ, 제 3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075λ, 제 4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4λ, 제 5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32λ, 제 6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26λ로 적층했다. 한편, λ는 설계의 중심 파장으로 500nm로 했다.
요면: 철면과 같은 장치, 가공 분위기, 전(前)처리 후, 플라스틱 기재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10λ, 제 2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16λ, 제 3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6λ, 제 4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25λ, 제 5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28λ로 적층했다. 한편, λ는 설계의 중심 파장으로 500nm로 했다.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분광 특성을 도 4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철면: 렌즈를 진공조 내에 설치된 회전하는 돔에 세팅하고, 진공조 내의 온도를 70도로 가열하고, 압력이 1.0×10-3Pa이 될 때까지 배기하고, 가속 전압 500V, 가속 전류 100mA의 조건에서 Ar 이온 빔 클리닝을 60초간 실시한 후, 플라스틱 기재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07λ, 제 2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59λ, 제 3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06λ, 제 4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4λ, 제 5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3λ, 제 6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265λ로 적층했다. 한편, λ는 설계의 중심 파장으로 500nm로 했다.
요면: 철면과 같은 장치, 가공 분위기, 전처리 후, 플라스틱 기재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10λ, 제 2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16λ, 제 3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6λ, 제 4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25λ, 제 5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28λ로 적층했다. 한편, λ는 설계의 중심 파장으로 500nm로 했다.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분광 특성을 도 5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철면: 렌즈를 진공조 내에 설치된 회전하는 돔에 세팅하고, 진공조 내의 온도를 70도로 가열하고, 압력이 1.0×10-3Pa이 될 때까지 배기하고, 가속 전압 500V, 가속 전류 100mA의 조건에서 Ar 이온 빔 클리닝을 60초간 실시한 후, 플라스틱 기재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095λ, 제 2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595λ, 제 3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05λ, 제 4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3λ, 제 5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305λ, 제 6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275λ로 적층했다. 한편, λ는 설계의 중심 파장으로 500nm로 했다.
요면: 철면과 같은 장치, 가공 분위기, 전처리 후, 플라스틱 기재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10λ, 제 2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16λ, 제 3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6λ, 제 4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25λ, 제 5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28λ로 적층했다. 한편, λ는 설계의 중심 파장으로 500nm로 했다.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분광 특성을 도 6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철면, 요면: 렌즈를 진공조 내에 설치된 회전하는 돔에 세팅하고, 진공조 내의 온도를 70도로 가열하고, 압력이 1.0×10-3Pa로 될 때까지 배기하고, 가속 전압 500V, 가속 전류 100mA의 조건에서 Ar 이온 빔 클리닝을 60초간 실시한 후, 플라스틱 기재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10λ, 제 2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16λ, 제 3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6λ, 제 4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25λ, 제 5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28λ로 적층했다. 한편, λ는 설계의 중심 파장으로 500nm로 했다.
비교예 1에 있어서의 분광 특성을 도 7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비교예 1에 있어서의 각 성막층의 상세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033468811-pct00007
이렇게 하여 얻어진 광학 물품의 착용 평가를 행했다.
(착용 평가)
실시예에 따라 제작한 광학 부품을 장비한 안경을 착용하고, 퍼스널 컴퓨터에 의한 데스크 워크시에 착용하여, 비교예에 따라 제작한 광학 부품을 장비한 안경과의 평가를 행했다. 평가시의 조건 및 판정 항목은 이하와 같다.
모니터 인원수: 10명
디스플레이: 17인치 액정 디스플레이
작업 시간: 1시간/일
착용 기간: 일주일
판정 항목: 1. 눈부심 2. 표시 문자 등의 보기 쉬움 3. 피로감
실시예 1∼3, 비교예 1 중, 각 평가 항목에 가장 들어맞는 것을 ○라고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033468811-pct00008
이와 같은 착용 비교 평가를 행한 결과, 400∼500nm의 파장 범위에서 평균 반사율을 2∼10%로 하는 특성이 상기 판정 항목에 있어서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하기와 같이 400∼500nm의 파장 범위에서 평균 반사율이 약 6%인 실시예 2가, 각 평가 항목에 있어서 가장 들어맞고 있다고 되었다.
실시예 1∼3, 비교예 1 중, 실시예 2가, 각 평가 항목에 가장 들어맞았다고 평가한 인원수
1. 눈부심: 4/10명
2. 표시의 보기 쉬움: 5/10명
3. 피로감: 6/10명
≪실험 2≫
합성 수지 기판 상에, 굴절률 1.67의 실리콘계 하드 코팅을 가열 경화로 실시하고,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공 증착법에 의해 성막했다.
<실시예 2>
≪실험 1≫의 실시예 2와 같은 성막 조건에서 성막을 행했다.
<실시예 4>
철면: 렌즈를 진공조 내에 설치된 회전하는 돔에 세팅하고, 진공조 내의 온도를 70도로 가열하고, 압력이 1.0×10-3Pa이 될 때까지 배기하고, 가속 전압 500V, 가속 전류 100mA의 조건에서 Ar 이온 빔 클리닝을 60초간 실시한 후, 플라스틱 기재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155λ, 제 2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45λ, 제 3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5λ, 제 4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335λ로 적층했다. 적층했다. 한편, λ는 설계의 중심 파장으로 500nm로 했다.
요면: 철면과 같은 장치, 가공 분위기, 전처리 후, 플라스틱 기재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10λ, 제 2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16λ, 제 3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6λ, 제 4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25λ, 제 5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28λ로 적층했다. 한편, λ는 설계의 중심 파장으로 500nm로 했다.
실시예 4에 있어서의 분광 특성을 도 8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험 1≫의 비교예 1과 같은 성막 조건에서 성막을 행했다.
실시예 2, 4, 비교예 1에 있어서의 각 성막층의 상세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033468811-pct00009
이렇게 하여 얻어진 광학 물품의 착용 평가를 행했다.
(착용 평가)
실시예에 따라 제작한 광학 부품을 장비한 안경을 착용하고, 퍼스널 컴퓨터에 의한 데스크 워크시에 착용하여, 비교예에 따라 제작한 광학 부품을 장비한 안경과의 평가를 행했다. 평가시의 조건 및 판정 항목은 이하와 같다.
모니터 인원수: 20명
디스플레이: 17인치 액정 디스플레이
작업 시간: 1시간/일
착용 기간: 일주일
판정 항목: 1. 눈부심 2. 표시 문자 등의 보기 쉬움 3. 피로감
실시예 2, 4, 비교예 1 중, 각 평가 항목에 가장 들어맞는 것을 ○라고 평가했다. ○라고 평가한 모니터 인원수의 합계를 표 4 및 도 9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033468811-pct00010
이와 같은 착용 비교 평가를 행한 결과, 400∼500nm의 파장역에 있어서 평균 반사율을 2∼10%로 하고, 또한 580∼780nm의 파장역에 있어서 반사율을 1.5%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각 판정에 있어서 보다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험 3≫
우레탄계 합성 수지 기판 상에, 굴절률 1.67의 실리콘계 하드 코팅, 및 굴절률 1.67의 프라이머 코팅을 가열 경화로 실시하고,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공 증착법에 의해 성막했다.
<실시예 5>
철면, 요면: 렌즈를 진공조 내에 설치된 회전하는 돔에 세팅하고, 진공조 내의 온도를 70도로 가열하고, 압력이 1.0×10-3Pa이 될 때까지 배기하고, 가속 전압 500V, 가속 전류 100mA의 조건에서 Ar 이온 빔 클리닝을 60초간 실시한 후, 플라스틱 기재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10λ, 제 2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10λ, 제 3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205λ, 제 4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6λ, 제 5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16λ, 제 6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335λ로 적층했다. 한편, λ는 설계의 중심 파장으로 500nm로 했다.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분광 특성을 도 10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철면: 렌즈를 진공조 내에 설치된 회전하는 돔에 세팅하고, 진공조 내의 온도를 70도로 가열하고, 압력이 1.0×10-3Pa이 될 때까지 배기하고, 가속 전압 500V, 가속 전류 100mA의 조건에서 Ar 이온 빔 클리닝을 60초간 실시한 후, 플라스틱 기재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125λ, 제 2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95λ, 제 3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21λ, 제 4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7λ, 제 5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14λ, 제 6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35λ로 적층했다. 한편, λ는 설계의 중심 파장으로 500nm로 했다.
요면: 철면과 같은 장치, 가공 분위기, 전처리 후, 플라스틱 기재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105λ, 제 2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95λ, 제 3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23λ, 제 4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7λ, 제 5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14λ, 제 6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33λ로 적층했다. 한편, λ는 설계의 중심 파장으로 500nm로 했다.
실시예 6에 있어서의 철면의 분광 특성을 도 11에 나타내고, 요면의 분광 특성을 도 12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철면: 렌즈를 진공조 내에 설치된 회전하는 돔에 세팅하고, 진공조 내의 온도를 70도로 가열하고, 압력이 1.0×10-3Pa이 될 때까지 배기하고, 가속 전압 500V, 가속 전류 100mA의 조건에서 Ar 이온 빔 클리닝을 60초간 실시한 후, 플라스틱 기재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135λ, 제 2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85λ, 제 3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20λ, 제 4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55λ, 제 5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19λ, 제 6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35λ로 적층했다. 한편, λ는 설계의 중심 파장으로 500nm로 했다.
요면: 철면과 같은 장치, 가공 분위기, 전처리 후, 플라스틱 기재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11λ, 제 2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9λ, 제 3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22λ, 제 4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6λ, 제 5 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20λ, 제 6 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33λ로 적층했다. 한편, λ는 설계의 중심 파장으로 500nm로 했다.
실시예 7에 있어서의 철면의 분광 특성을 도 13에 나타내고, 요면의 분광 특성을 도 14에 나타낸다.
실시예 5∼7에 있어서의 각 성막층의 상세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033468811-pct00011
이렇게 하여 얻어진 광학 물품의 착용 평가를 행했다.
(착용 평가)
실시예에 따라 제작한 광학 부품을 장비한 안경을, 퍼스널 컴퓨터에 의한 데스크 워크시에 착용하여 평가를 행했다. 평가시의 조건 및 판정 항목은 이하와 같다.
모니터 인원수: 20명
디스플레이: 17인치 액정 디스플레이
작업 시간: 1시간/일
착용 기간: 2주간
판정 항목: 1. 눈부심 2. 표시 문자 등의 보기 쉬움 3. 피로감
실시예 5∼7 중, 각 평가 항목에 가장 들어맞는 것을 ○라고 평가했다. ○라고 평가한 모니터 인원수의 합계를 표 6 및 도 15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033468811-pct00012
이와 같은 착용 비교 평가를 행한 결과, 400∼500nm의 파장역에 있어서 철면의 평균 반사율을 5∼10%, 요면의 평균 반사율을 2∼4%로 하고, 580∼780nm의 파장역에 있어서 반사율을 1.5%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특히 눈부심 저감에 있어서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방현 효과를 갖고, 착용에 의한 피로감도 없고, 또한, 시인성이 양호한 광학 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1,1': 광학 부품
2: 플라스틱 기재
3, 3': 무기 다층막
4: 기능성 박막
5: 프라이머층(기능성 박막)
6: 하드 코팅층(기능성 박막)
7, 7': 고굴절률층
8,8': 저굴절률층
9,9': 제 1 층
10, 10': 제 2 층
11, 11': 제 3 층
12: 발수발유막

Claims (18)

  1. 철면 및 요면을 갖는 플라스틱 기재(2)와,
    상기 플라스틱 기재(2)의 철면 상에 설치된 다층막(3) 및 상기 플라스틱 기재(2)의 요면 상에 설치된 다층막(3')
    을 구비하고,
    상기 다층막(3)은, 400∼50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2∼10%이고,
    상기 플라스틱 기재(2)의 철면 상에 설치된 다층막(3)의 400∼50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은, 상기 플라스틱 기재(2)의 요면 상에 설치된 다층막(3')의 400∼50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보다도 큰 광학 부품(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막(3)은, 580∼78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1.5% 이하인 광학 부품(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재(2)의 요면 상에 380∼78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1.5% 이하인 반사 방지막이 설치된 광학 부품(1).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재(2)의 철면 상에 설치된 다층막(3)은, 400∼50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5∼10%이며, 상기 플라스틱 기재(2)의 요면 상에 설치된 다층막(3')은, 400∼50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2∼4%인 광학 부품(1).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재(2)는, 착색되고, 그 투과율이 5∼85%인 광학 부품(1).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재(2)로부터 가장 먼 상기 다층막(3)의 최외층 상에, 불소 치환 알킬기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발수발유막(12)을 추가로 구비하는 광학 부품(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치환 알킬기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6 중에서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불소 치환 알킬기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인 광학 부품(1):
    [화학식 1]
    Figure 112014068252013-pct00013

    (화학식 1 중, Rf는 탄소수 1∼16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퍼플루오로알킬기를 나타내고, Y는 요오드 또는 수소를 나타내고, Y'은 수소 또는 탄소수 1∼5의 저급알킬기를 나타내고, Y"은 불소 또는 트라이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내고, R1은 가수분해 가능한 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또는 불활성인 1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a, b, c, d는 각각 0∼200의 정수를 나타내고, e는 0 또는 1을 나타내고, s 및 t는 각각 0∼2의 정수를 나타내고, w는 1∼10의 정수를 나타낸다. )
    [화학식 2]
    Figure 112014068252013-pct00014

    [화학식 3]
    Figure 112014068252013-pct00015

    [화학식 4]
    Figure 112014068252013-pct00016

    [화학식 5]
    Figure 112014068252013-pct00017

    (화학식 2∼5 중, X는 산소 또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X'은 가수분해 가능한 기를 나타내고, X"은 2가의 유기 실리콘기를 나타내고, R3은 탄소수 1∼22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q는 1∼3의 정수를 나타내고, m, n, o는 각각 0∼200의 정수를 나타내고, p는 1 또는 2를 나타내고, r은 2∼20의 정수를 나타내고, k는 0∼2의 정수를 나타내고, z는 k가 0 또는 1인 경우에 0∼10의 정수를 나타낸다. )
    [화학식 6]
    Figure 112014068252013-pct00018

    (화학식 6 중, Rf2는 2가의 직쇄상의 퍼플루오로폴리에터기를 나타내고, R4는 탄소수 1∼4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5는 가수분해 가능한 기를 나타내고, i는 0∼2의 정수를 나타내고, j는 1∼5의 정수를 나타내고, u는 2 또는 3을 나타낸다. ).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막(3)은 4층 이상의 다층막인 광학 부품(1).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재(2)와 상기 다층막(3) 사이에 기능성 박막(4)을 구비한 광학 부품(1).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막(3)을 구성하는 고굴절률 재료와 저굴절률 재료 사이에 두께 20nm 이하의 유전체막 또는 금속막을 구비한 광학 부품(1).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재료는 이산화지르코늄을 포함하고, 상기 저굴절률 재료는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광학 부품(1).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안경 렌즈용인 광학 부품(1).
  14. 철면 및 요면을 갖는 플라스틱 기재(2)와, 상기 플라스틱 기재의 적어도 상기 철면 상에 설치된 다층막(3)을 구비한 광학 부품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플라스틱 기재를 가열하는 공정과, 상기 가열에 의해서 상기 플라스틱 기재를 소정 온도로 조정한 후, 상기 플라스틱 기재 상에 상기 다층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추고,
    상기 다층막을 형성하는 공정은, 고굴절률 재료와 저굴절률 재료를 교대로 복수 적층하여 다층 구조의 고굴절률층(7)을 형성하는 처리와, 상기 고굴절률층 상에, 이 고굴절률층보다 낮은 굴절률의 저굴절률층(8)을 형성하는 처리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다층막(3)의 400∼50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을 2∼10%로 하는 제 1 항에 기재된 광학 부품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막(3)을 진공 증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광학 부품의 제조방법.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막(3)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다층막을 구성하는 층 중 적어도 1층을, 이온 빔 어시스트를 실시하면서 성막을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광학 부품의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빔 어시스트는, 불활성 가스와, 산소 가스, 불활성 가스 및 산소 가스의 혼합 가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가스를 이용하여 행해지는 광학 부품의 제조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 가스는 아르곤인 광학 부품의 제조방법.
KR1020137009773A 2010-09-29 2011-09-13 광학 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779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18711 2010-09-29
JPJP-P-2010-218711 2010-09-29
JPJP-P-2010-288319 2010-12-24
JP2010288319A JP2012093689A (ja) 2010-09-29 2010-12-24 光学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PCT/JP2011/070856 WO2012043218A1 (ja) 2010-09-29 2011-09-13 光学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415A KR20130085415A (ko) 2013-07-29
KR101477940B1 true KR101477940B1 (ko) 2014-12-30

Family

ID=45892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773A KR101477940B1 (ko) 2010-09-29 2011-09-13 광학 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71867B2 (ko)
EP (1) EP2624044B1 (ko)
JP (1) JP2012093689A (ko)
KR (1) KR101477940B1 (ko)
CN (1) CN103282823B (ko)
CA (1) CA2812742C (ko)
WO (1) WO20120432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860A (ko) 2015-12-16 2017-06-26 미래나노텍(주) 복합 보호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27954C2 (ru) * 2012-05-16 2017-08-14 Эссилор Энтернасьональ (Компани Женераль Д'Оптик)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ая линза
JP2014038247A (ja) * 2012-08-17 2014-02-27 Nikon-Essilor Co Ltd 眼鏡用レンズ
JP5965790B2 (ja) * 2012-09-04 2016-08-10 チェイ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樹脂膜及び樹脂膜の製造方法
CA2886332C (en) * 2012-09-28 2018-04-17 Nikon-Essilor Co., Ltd. Optica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133571B2 (ja) * 2012-10-30 2017-05-24 株式会社ジンズ 透過光観測装置
JP6073355B2 (ja) * 2012-11-05 2017-02-01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眼鏡レンズ、及び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JP2014199327A (ja) * 2013-03-29 2014-10-23 Hoya株式会社 眼鏡レンズ
JP5811228B2 (ja) 2013-06-24 2015-11-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表示装置並びに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用プログラム
JP6253009B2 (ja) 2013-08-28 2017-12-27 東海光学株式会社 光学製品及び眼鏡レンズ
JP2015049338A (ja) * 2013-08-30 2015-03-16 Hoya株式会社 眼鏡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13941B2 (ja) * 2013-08-30 2018-04-18 Hoya株式会社 眼鏡レンズ
CN106977900A (zh) 2013-09-30 2017-07-25 豪雅镜片泰国有限公司 塑料透镜
JP2015152735A (ja) 2014-02-13 2015-08-24 東海光学株式会社 光学製品並びに眼鏡レンズ及び眼鏡
US9946047B2 (en) * 2014-03-04 2018-04-17 Largan Precision Co., Ltd. Annual optical spacer, image lens system, and mobile terminal
AU2015227886A1 (en) * 2014-03-14 2016-10-20 Hoya Lens Thailand Ltd. Mirror-coated lens
JP6311426B2 (ja) * 2014-04-16 2018-04-18 東海光学株式会社 光学製品及び眼鏡レンズ
JP5685337B1 (ja) * 2014-05-02 2015-03-18 山田医療照明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の製造方法
US9057887B1 (en) * 2014-05-06 2015-06-16 Blue Light Eye Protection, Inc. Materials and methods for mitigating the harmful effects of blue light
TWI542919B (zh) * 2014-08-15 2016-07-21 萬能光學科技有限公司 一種可有效阻隔藍光和紅外光之光學鏡片真空蒸鍍方法
CN105445820A (zh) * 2014-08-21 2016-03-30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光学膜组件
WO2016047523A1 (ja) * 2014-09-26 2016-03-31 旭硝子株式会社 光学素子及び撮像装置
CA2964444C (en) 2014-10-17 2020-04-14 Eisaku IWASAKI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KR102326114B1 (ko) 2014-12-01 2021-11-15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안경 렌즈 및 안경
EP3040761B1 (en) * 2014-12-30 2020-04-01 Essilor International Ophthalmic anti-somnolence lens, device, and method
WO2016108061A1 (en) * 2014-12-30 2016-07-07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Uv curable coating compositions for improved abrasion resistance
DE102015100091A1 (de) 2015-01-07 2016-07-07 Rodenstock Gmbh Schichtsystem und optisches Element mit einem Schichtsystem
PE20171683A1 (es) 2015-03-09 2017-11-27 Vision Ease Lp Revestimiento antiestatico, antirreflejante
AU2016232772B2 (en) 2015-03-18 2021-07-01 Hoya Optical Labs Of America, Inc. Crazing resistant coating and method thereof
KR102018287B1 (ko) * 2015-09-11 2019-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14994953A (zh) 2015-09-29 2022-09-02 视觉缓解公司 Uv和高能可见吸收验眼透镜
EP3151041B1 (en) * 2015-10-02 2019-02-20 Tokai Optical Co., Ltd. An optical film and spectacle lens
KR102478479B1 (ko) * 2015-10-05 2022-12-19 토카이 옵티칼 주식회사 광학 제품 및 안경 렌즈
EP3362826B1 (en) 2015-10-13 2021-04-28 Vision Ease, LP Optical filter with selective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CN106680905A (zh) * 2015-11-05 2017-05-17 大金工业株式会社 具有表面处理层的物品
JP6247349B2 (ja) * 2016-07-07 2017-12-13 Hoya株式会社 眼鏡レンズ
KR20180078328A (ko) * 2016-08-22 2018-07-09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안경 렌즈 및 안경
CN108300303A (zh) * 2016-09-28 2018-07-20 卢火青 高透射率疏水防尘的纳米涂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6368445B1 (ja) * 2017-03-27 2018-08-01 株式会社きもと 積層遮光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光学機器用遮光リング、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9015764A (ja) 2017-07-03 2019-01-31 東海光学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光学製品並びにプラスチック眼鏡レンズ及び眼鏡
US10429673B2 (en) * 2017-09-11 2019-10-01 Quantum Innovations, Inc. High energy visible light absorbing material for ophthalmic substrate and application method
JP6473281B1 (ja) * 2017-09-29 2019-02-20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AU2018334588B2 (en) * 2017-09-29 2020-03-26 Hoya Lens Thailand Ltd.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JP7265983B2 (ja) 2017-11-24 2023-04-27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US11585962B2 (en) * 2018-10-19 2023-02-21 Racing Optics, Inc. Transparent covering having anti-reflective coatings
MX2021007057A (es) 2018-12-17 2021-08-11 Tokuyama Corp Composicion curable para materiales opticos y material optico.
US11564839B2 (en) 2019-04-05 2023-01-31 Amo Groningen B.V. Systems and methods for vergence matching of an intraocular lens with refractive index writing
US11678975B2 (en) 2019-04-05 2023-06-20 Amo Groningen B.V.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ocular disease with an intraocular lens and refractive index writing
US11583388B2 (en) 2019-04-05 2023-02-21 Amo Groningen B.V. Systems and methods for spectacle independence using refractive index writing with an intraocular lens
US11583389B2 (en) 2019-04-05 2023-02-21 Amo Groningen B.V. Systems and methods for correcting photic phenomenon from an intraocular lens and using refractive index writing
US11944574B2 (en) 2019-04-05 2024-04-02 Amo Groningen B.V.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layer intraocular lens and using refractive index writing
US11529230B2 (en) 2019-04-05 2022-12-20 Amo Groningen B.V. Systems and methods for correcting power of an intraocular lens using refractive index writing
US11548356B2 (en) 2020-03-10 2023-01-10 Racing Optics, Inc. Protective barrier for safety glazing
KR20220008695A (ko) 2020-07-30 2022-01-21 주식회사 케미그라스 퍼펙트 자외선 차단렌즈
KR102588528B1 (ko) 2021-02-17 2023-10-11 서창민 안경렌즈용 적외선차단용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안경렌즈
US11490667B1 (en) 2021-06-08 2022-11-08 Racing Optics, Inc. Low haze UV blocking removable lens stack
US11709296B2 (en) 2021-07-27 2023-07-25 Racing Optics, Inc. Low reflectance removable lens stack
US11933943B2 (en) 2022-06-06 2024-03-19 Laminated Film Llc Stack of sterile peelable lenses with low creep
US11808952B1 (en) 2022-09-26 2023-11-07 Racing Optics, Inc. Low static optical removable lens stac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8996B2 (ja) * 1989-09-29 1998-06-25 株式会社クラレ 合成樹脂製光学物品の反射防止膜
JP2005215038A (ja) * 2004-01-27 2005-08-11 Seiko Epson Corp 眼鏡レンズ
JP2009251008A (ja) * 2008-04-01 2009-10-29 Seiko Epson Corp 光学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511205A (ja) * 2006-11-28 2010-04-08 ハイ・パフォーマンス・オプ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改良型コントラスト感度を提供する高性能選択型光波長フィルタリング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2418B1 (en) 1982-12-22 1987-03-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mproved anti-reflection coating for visual display screens
JPS6310640A (ja) 1986-06-30 1988-01-18 Hoya Corp 眼鏡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コーティング組成物
US4921760A (en) 1986-09-26 1990-05-01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Anti-reflection coating of optical part made of synthetic resin
JPS6381402A (ja) 1986-09-26 1988-04-12 Minolta Camera Co Ltd 合成樹脂製光学部品の反射防止膜
JPH03102301A (ja) * 1989-09-18 1991-04-26 Kuraray Co Ltd 反射防止膜の特性評価方法および設計方法
JP2503732B2 (ja) 1990-06-21 1996-06-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ナの燃焼制御方法
JP3975242B2 (ja) 1997-05-16 2007-09-12 Hoya株式会社 反射防止膜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光学部品
WO1998052074A1 (fr) 1997-05-16 1998-11-19 Hoya Kabushiki Kaisha Composant optique en plastique pourvu d'une pellicule empechant la reflexion et mecanisme servant a uniformiser l'epaisseur de cette pellicule
JP3445773B2 (ja) * 2000-04-07 2003-09-08 Hoya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製ミラーコートレンズ
US8403478B2 (en) * 2001-11-02 2013-03-26 High Performance Optics, Inc. Ophthalmic lens to preserve macular integrity
JP2002296406A (ja) * 2001-03-29 2002-10-09 Sumitomo Chem Co Ltd 反射干渉色の少ない反射防止基材
JP2002296405A (ja) * 2001-03-29 2002-10-09 Sumitomo Chem Co Ltd 反射干渉色とその色ムラの少ない反射防止基材
CN2478138Y (zh) * 2001-04-27 2002-02-20 厦门立扬光学科技有限公司 防静电抗菌保健眼镜片
JP2003105218A (ja) * 2001-09-28 2003-04-09 Mitsui Chemicals Inc アザポルフィリン系色素およびその用途
JP4014840B2 (ja) 2001-10-12 2007-11-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コマ収差補正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ヘッド用光学系
JP2003121604A (ja) 2001-10-12 2003-04-23 Konica Corp 光学レンズ部品
JP2003215302A (ja) * 2002-01-21 2003-07-30 Nikon-Essilor Co Ltd 着色されたプラスチック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11417A (ja) 2003-06-18 2005-01-13 Samsung Yokohama Research Institute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6126233A (ja) * 2004-10-26 2006-05-18 Seiko Epson Corp 反射防止膜付き眼鏡レンズ
JP2006251760A (ja) 2005-02-08 2006-09-21 Seiko Epson Corp 光学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11289B2 (ja) 2005-11-01 2013-06-12 東海光学株式会社 可視域用プラスチックレンズ
EP1967891B1 (en) 2005-12-28 2014-01-08 Tokai Optical Co., Ltd.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CN100495123C (zh) * 2005-12-30 2009-06-03 上海三联(集团)有限公司茂昌眼镜公司 超硬防污树脂眼镜片及其制造方法
JP2007183411A (ja) * 2006-01-06 2007-07-19 Pentax Corp 波長選択性を有する光学部材
US7520608B2 (en) * 2006-03-20 2009-04-21 High Performance Optics, Inc. Color balanced ophthalmic system with selective light inhibition
US20070216861A1 (en) 2006-03-20 2007-09-20 Andrew Ishak Ophthalmic system combining ophthalmic components with blue light wavelength blocking and color-balancing functionalities
JP5241504B2 (ja) * 2006-10-31 2013-07-17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眼鏡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292615B (zh) * 2006-11-28 2022-11-11 高性能光学公司 提供改进的对比灵敏度的高性能选择性光波长过滤
JP2008152069A (ja) 2006-12-19 2008-07-03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反射防止膜
US8318245B2 (en) * 2007-02-23 2012-11-27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Method for producing an optical article coated with an antireflection or a reflective coating having improved adhesion and abrasion resistance properties
JP5066967B2 (ja) 2007-03-23 2012-11-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物品の製造方法
JP5044356B2 (ja) 2007-10-12 2012-10-10 日東光学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システム
JP2010026183A (ja) * 2008-07-17 2010-02-04 Hoya Corp プラスチック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10016242A1 (ja) * 2008-08-04 2012-01-19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光学部品及び光学部品の製造方法
JP2010148860A (ja) 2008-11-28 2010-07-08 Panasonic Corp 口腔内測定装置
CN101441330B (zh) * 2008-12-09 2010-12-08 温州医学院眼视光研究院 光诱导防污防雾自清洁的树脂镜片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8996B2 (ja) * 1989-09-29 1998-06-25 株式会社クラレ 合成樹脂製光学物品の反射防止膜
JP2005215038A (ja) * 2004-01-27 2005-08-11 Seiko Epson Corp 眼鏡レンズ
JP2010511205A (ja) * 2006-11-28 2010-04-08 ハイ・パフォーマンス・オプ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改良型コントラスト感度を提供する高性能選択型光波長フィルタリング
JP2009251008A (ja) * 2008-04-01 2009-10-29 Seiko Epson Corp 光学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860A (ko) 2015-12-16 2017-06-26 미래나노텍(주) 복합 보호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93689A (ja) 2012-05-17
US20130222913A1 (en) 2013-08-29
EP2624044B1 (en) 2020-04-22
CA2812742C (en) 2017-02-28
EP2624044A1 (en) 2013-08-07
KR20130085415A (ko) 2013-07-29
EP2624044A4 (en) 2016-03-30
US10371867B2 (en) 2019-08-06
CN103282823B (zh) 2014-12-31
CN103282823A (zh) 2013-09-04
CA2812742A1 (en) 2012-04-05
WO2012043218A1 (ja) 201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940B1 (ko) 광학 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
JP5966011B2 (ja) 眼鏡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95675B2 (ja) 眼鏡レンズ用光学部品、眼鏡レンズ用光学部品の製造方法
JP5173076B2 (ja) 光学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73355B2 (ja) 眼鏡レンズ、及び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KR101986931B1 (ko) 안경 렌즈
EP2199835B1 (en) Optica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ptical component
WO2014208412A1 (ja) 光学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