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479B1 - 광학 제품 및 안경 렌즈 - Google Patents

광학 제품 및 안경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479B1
KR102478479B1 KR1020150139642A KR20150139642A KR102478479B1 KR 102478479 B1 KR102478479 B1 KR 102478479B1 KR 1020150139642 A KR1020150139642 A KR 1020150139642A KR 20150139642 A KR20150139642 A KR 20150139642A KR 102478479 B1 KR102478479 B1 KR 102478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layer
less
reflectance
multi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0536A (ko
Inventor
다쿠로 요시다
히로토시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토카이 옵티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카이 옵티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토카이 옵티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9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479B1/ko
Publication of KR20170040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3Interference filters designed for the ultraviole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청색 광선 및 자외선의 쌍방을 커트하면서, 시인성이 양호한 광학 제품, 안경 렌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학 제품(안경 렌즈)은, 기체와, 상기 기체의 표면에 형성된 광학 다층막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다층막은,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을 번갈아 배치한 6층 이상의 층을 갖고 있으며, 상기 기체에 가장 가까운 상기 층을 제1층으로 하여, 최종층이 저굴절률층이고, 상기 최종층의 광학 막 두께(M)와, 상기 광학 막 두께(M) 및 상기 최종층에 인접하는 상기 층의 광학 막 두께(N)의 합(M+N)이, 설계 파장 λ=500㎚로 하여, 〔1〕 0.295λ≤M≤0.415λ, 〔2〕 0.460λ≤M+N≤0.560λ의 쌍방의 조건을 충족시킨다.

Description

광학 제품 및 안경 렌즈{OPTICAL PRODUCT AND EYEGLASS LENS}
본 발명은, 자외선 및 청색 광선을 반사하고, 청색 광선보다 장파장 측의 가시 영역에 있어서의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막을 구비한 광학 제품, 및 그 일례로서의 안경 렌즈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 또는 청색 광선 중 어느 일방을 반사하고, 그 밖의 가시 영역에 있어서의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막(광학 다층막)으로서, 하기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의 반사 방지막은, 8층 구조이고, 투명 기판 측을 제1층으로 하여, 제8층이 저굴절률층이며 0.22λ0 이상 0.30λ0 이하(λ0은 설계 파장, 예를 들면 520 나노미터(㎚))의 막 두께를 갖고 있고, 제7층이 고굴절률층이며 0.16λ0 이상 0.22λ0 이하의 막 두께를 갖고 있고, 자외선을 반사한다.
특허문헌 2의 다층막은, 400∼500㎚의 파장 범위(청색 광선)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2∼10%이고, 플라스틱 기재(基材)의 볼록면 상에 배치된 다층막의 당해 평균 반사율이, 오목면 상에 배치된 다층막의 당해 평균 반사율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4171362호 공보 일본 특허 제5173076호 공보
특허문헌 1의 반사 방지막에서는, 자외선의 차폐 기능이 커지지만, 청색광을 충분히 차폐하지 않는다.
특허문헌 2의 다층막에서는, 400∼500㎚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2∼10%이고, 청색광을 어느 정도 반사하지만, 자외선을 충분히 반사하지 않는다.
최근, LED 조명이나, LED 백라이트를 갖는 모니터, 휴대 기기 등의 보급에 의해, 청색 광선(예를 들면, 380∼500㎚의 파장의 광)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것이 생각되고 있다. 청색 광선은, 가시광선의 파장 영역(가시 영역, 예를 들면, 380∼780㎚)에 있어서 단파장 측에 위치하고, 에너지가 비교적 높아, 그만큼 눈에 부담을 주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또, 청색 광선은, 가시광선 중에서도 산란되기 쉽고, 눈 속에서도 비교적 양호하게 산란하여, 눈부심을 비교적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청색 광선의 파장 영역(청색 영역)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반사율을 갖는 안경 렌즈 등에 의해 청색 광선을 커트함으로써, 눈의 보호를 도모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자외선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1의 단락번호 [0005]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액정 프로젝터나 자외선 램프, 엑시머 레이저를 사용한 스테퍼의 광학 부품에 대하여 차단막이 이용되고 있지만, 안경 렌즈 등에 자외선 차단막을 부여함으로써 자외선을 커트하는 것은 행해지고 있지 않다. 자외선에 대해서는, 플라스틱 안경 렌즈에 있어서, 플라스틱 기체(基體)에 자외선 흡수제를 섞어 넣음으로써 커트되어 있고, 유리 렌즈에서는 커트되어 있지 않다. 또, 플라스틱 안경 렌즈여도, 플라스틱 기체의 외면에 부여된 각종의 막에 대해서는, 자외선이 커트되지 않고 도달해버린다.
자외선은, 청색 광선보다 단파장이고, 또한 에너지가 높아, 눈에 대한 부담은 한층 큰 것으로 생각되며, 가시 영역 외의 파장을 갖고 시인(視認)에 기여하지 않으므로, 가능한 한 커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비해, 청색 광선은, 가시 영역 내의 파장을 갖고, 시인에 이용되므로, 어느 정도 커트하면서, 시인성을 배려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은, 청색 광선 및 자외선의 쌍방을 커트하면서, 시인성이 양호한 광학 제품, 안경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광학 제품에 있어서, 기체와, 상기 기체의 표면에 형성된 광학 다층막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다층막은,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을 번갈아 배치한 6층 이상의 층을 갖고 있으며, 상기 기체에 가장 가까운 상기 층을 제1층으로 하여, 최종층이 저굴절률층이고, 상기 최종층의 광학 막 두께(M)와, 상기 광학 막 두께(M) 및 상기 최종층에 인접하는 상기 층의 광학 막 두께(N)의 합(M+N)이, 설계 파장 λ=500㎚로 하여, 〔1〕 0.295λ≤M≤0.415λ, 〔2〕 0.460λ≤M+N≤0.560λ의 쌍방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의, 파장 영역이 280㎚ 이상 380㎚ 이하인 광에 관련된 평균 반사율이 50% 이상 86% 이하이고, 파장 영역이 380㎚ 이상 500㎚ 이하인 광에 관련된 평균 반사율이 15% 이상 2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3 및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의, 파장 영역이 500㎚ 이상 700㎚ 이하인 광에 관련된 평균 반사율이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5∼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의, 시감(視感) 반사율(D65 광원, 2°시야)이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안경 렌즈에 있어서, 상기 광학 제품이 이용되어 있고, 상기 기재는 안경 렌즈 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색 광선 및 자외선의 쌍방을 커트하면서, 시인성이 양호한 광학 제품, 안경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실시예 A1∼A3의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도 1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실시예 A4∼A6의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3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실시예 A7∼A9의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5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실시예 A10∼A12의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7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비교예 A1∼A4의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도 9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B1∼B3의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도 11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B4∼B6의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도 13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B7∼B9의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도 15의 확대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B10∼B12의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도 17의 확대도이다.
도 19는 실시예 B13∼B15의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은 도 19의 확대도이다.
도 21은 비교예 B1∼B4의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2는 도 21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는, 이하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학 제품은, 볼록 렌즈이고, 볼록면(표면)과 오목면(이면)을 갖고 있다. 혹은, 광학 제품은, 플랫 렌즈 또는 오목 렌즈이고, 표면과 이면을 갖고 있다. 광학 제품은, 표면과 이면을 갖는 기체와, 그 기체의 적어도 표면에 형성된 광학 다층막을 포함한다.
기체의 재질은, 유리나 플라스틱을 비롯하여 어떤 것이어도 되지만, 적합하게는, 플라스틱이 이용된다. 기체의 재질의 예로서, 폴리우레탄 수지, 에피설파이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폴리 4-메틸펜텐-1 수지,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 수지를 들 수 있다.
광학 제품의 대표예로서, 안경 플라스틱 렌즈나 안경 유리 렌즈를 비롯한 안경 렌즈를 들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카메라 렌즈, 프로젝터 렌즈, 쌍안경 렌즈, 망원경 렌즈, 각종 필터를 들 수 있다. 안경 렌즈의 경우, 기체는 안경 렌즈 기체가 된다.
광학 다층막은, 기체의 표면에 있어서, 직접 성막되어도 되고, 하드 코트층을 비롯한 단수 또는 복수의 중간막을 개재하여 성막되어도 된다. 하드 코트층은, 예를 들면 오르가노실록산계, 그 밖의 유기 규소 화합물, 아크릴 화합물 등으로부터 형성된다. 또, 하드 코트층의 하층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해도 된다. 프라이머층은,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유기 규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형성된다.
기체에 형성된 광학 다층막은, 고굴절률 재료와 저굴절률 재료를 교대로 적층한 전체 6층 또는 전체 7층 이상의 구성을 갖는다. 고굴절률 재료는, 예를 들면 티탄 산화물이고, 저굴절률 재료는, 예를 들면 이산화규소(SiO2)이다. 또한, 저굴절률 재료나 고굴절률 재료로서, MgF2(이불화 마그네슘), Al2O3(삼산화 이알루미늄), Y2O3(삼산화 이이트륨), ZrO2(이산화 지르코늄), Ta2O5(오산화 이탄탈), HfO2(이산화 하프늄), Nb2O5(오산화 이니오브)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광학 다층막은, 기체 측을 제1층으로 하여, 최종층(가장 외측의 층)에 저굴절률 재료를 배치한다. 또한, 광학 다층막의 외측에, 발수막을 비롯한 단수 또는 복수의 외막(外膜)을 추가로 형성해도 된다.
광학 다층막은, 예를 들면 진공 증착법이나 스퍼터법 등의 물리 기상(氣相) 퇴적법에 의해 적층된다. 진공 증착법에 있어서, 증착 시에 불활성 가스 등의 각종의 가스를 공급하거나, 당해 가스의 공급 조건(공급량이나 성막 시 압력 등)을 제어하거나, 각종 이온을 소정의 가속 전압이나 가속 전류로 성막 시에 도입하는 이온 어시스트를 행하거나, 플라즈마 처리를 성막 시에 행하거나 해도 된다.
그리고, 광학 다층막의 최종층(저굴절률층)은, 광학 막 두께가 0.295λ 이상 0.415λ 이하(λ는 설계 파장이고 예를 들면, 500㎚)의 범위 내에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최종층의 광학 막 두께를 M으로 하면,
0.295λ≤M≤0.415λ
이다.
또, 최종층의 광학 막 두께와, 최종층에 인접하는 층(고굴절률층)의 광학 막 두께의 합이, 0.460λ 이상 0.560λ 이하의 범위 내에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최종층에 인접하는 층의 광학 막 두께를 N으로 하면,
0.460λ≤M+N≤0.560λ
이다.
이러한 광학 다층막을 편면 또는 양면에 구비한 광학 제품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즉, 파장 영역이 280㎚ 이상 380㎚ 이하인 광에 관련된 평균 반사율(이하, 「자외 평균 반사율」이라고 한다)이 50% 이상 86% 이하이다.
또, 파장 영역이 380㎚ 이상 500㎚ 이하인 광에 관련된 평균 반사율(이하, 「청색광 평균 반사율」이라고 한다)이 15% 이상 26% 이하이다.
또한, 파장 영역이 500㎚ 이상 700㎚ 이하인 광에 관련된 평균 반사율(이하, 「가시 영역 중앙부 평균 반사율」이라고 한다)이 1.0% 이하이다.
또한, 시감 반사율(D65 광원, 2°시야)이 1.0% 이하이다.
자외 평균 반사율이 50% 이상 86% 이하이고, 또한 청색광 평균 반사율이 15% 이상 26% 이하인 것에 의해, 청색 광선과 자외선의 쌍방을 커트할 수 있다.
또, 가시 영역 중앙부 평균 반사율이 1.0% 이하이고, 혹은 시감 반사율이 1.0% 이하인 것에 의해, 반사 방지 기능을 부여하여 시인성이 우수한 광학 다층막(광학 제품)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파장 영역이 380㎚ 이상 500㎚ 이하인 광의 평균 반사율이 15% 이상 26% 이하인 것에 의해서도, 청색 광선이 필요 이상으로 커트되지 않으므로(중간 정도로 커트되므로), 양호한 시인성이 확보된다.
이상에 대하여, 최종층의 광학 막 두께(M)가 0.295λ 미만이면, 가시 영역 중앙부 평균 반사율이 1.0%를 초과하여, 우수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없다.
또, M이 0.415λ를 상회하면, 가시 영역 중앙부 평균 반사율이 1.0%를 초과하거나, 혹은 시감 반사율이 1.0%를 초과하여, 우수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없다.
또한, 최종층의 광학 막 두께(M)와 그 인접층(최종층보다 1매 내측의 층)의 광학 막 두께(N)의 합(M+N)이 0.460λ 미만이면, 가시 영역 중앙부 평균 반사율이 1.0%를 초과하거나, 혹은 시감 반사율이 1.0%를 초과하여, 우수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없다.
또한, M+N이 0.560λ를 상회하면, 자외 평균 반사율이 50%를 하회하고, 가시 영역 중앙부 평균 반사율이 1.0%를 초과하거나, 혹은 시감 반사율이 1.0%를 초과하여, 우수한 자외선 커트 성능이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의 각종의 조건을 충족시키면서, 최종층 및 그 인접층 이외의 막 두께를 적절히 설계하면, 청색 광선과 자외선의 쌍방을 커트하면서 우수한 시인성(반사 방지성)을 보이는 광학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적합하게는, 표면에 성막되는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색채가, 기체 표면이나 다른 막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색채와 맞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렌즈나 이것을 구비하는 자(안경 렌즈의 착용자 등)를 바깥에서 본 경우에, 렌즈로부터의 반사광의 색채가 조화되어 있음으로써 어른거리지 않고 아름답게 보이고, 렌즈를 구비하는 자에게 있어서도, 렌즈를 매개로 하여 관찰하는 광에 있어서의 색채의 어른거림이 억제되어, 렌즈로부터의 광이 보기 쉬워진다. 오목면(이면)에 대하여, 볼록면(표면)과 마찬가지로 이루어지는 광학 다층막을 형성하여, 표면과 이면에서 동등한 막을 갖도록 해도 된다.
[실시예]
이어서, 광학 다층막(광학 제품)에 관한 각종의 실시예 등을 설명한다.
다음에 설명하는 2종류의 막 종류(막 종류 A, B)에 있어서, 각각 본 발명에 속하는 실시예 및 본 발명에 속하지 않는 비교예를 복수 작성했다.
막 종류 A는, 전체 6층 구성이고, 저굴절률 재료를 SiO2로 하며, 고굴절 재료를 ZrO2로 하여, 기체 측의 제1층을 ZrO2로 한 종류이다. 최종층은 SiO2이고, 이것에 인접하는 층은 ZrO2이다.
막 종류 B는, 전체 7층 구성이고, 저굴절률 재료를 SiO2로 하며, 고굴절 재료를 TiO2로 하여, 기체 측의 제1층을 SiO2로 한 종류이다. 최종층은 SiO2이고, 이것에 인접하는 층은 TiO2이다.
막 종류 A, B(전체 실시예 내지 전체 비교예)에 관련된 광학 다층막은, 어느 것이나 다 동일한 렌즈 기체의 양면에 형성했다. 당해 렌즈 기체는, 티오우레탄 수지제이며, 굴절률은 1.60이고, 아베수는 42이며, 도수는 -0.00(볼록면과 오목면이 동일한 커브의 기판)이다.
다음의 표 1은 막 종류 A에 속하는 실시예 A1∼A6에 있어서의 각층의 광학 막 두께(L1∼L6)나 최종층 및 그 인접층의 광학 막 두께의 합(상술의 M+N에 상당하는 L5+L6) 등을 나타낸 표이고, 표 2는 막 종류 A에 속하는 실시예 A7∼A12에 있어서의 각층의 광학 막 두께 등을 나타낸 표이다. 또, 표 3은 막 종류 A에 속하는 비교예 A1∼A4에 있어서의 각층의 광학 막 두께 등을 나타낸 표이다.
또한, 도 1은 실시예 A1∼A3의 자외선 영역 내지 가시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는 도 1의 확대도(반사율에 관련된 세로축을 0∼5%로 하고 파장에 관련된 가로축을 380㎚를 시작으로 한 그래프)이며, 도 3은 실시예 A4∼A6의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는 도 3의 확대도이며, 도 5는 실시예 A7∼A9의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은 도 5의 확대도이며, 도 7은 실시예 A10∼A12의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8은 도 7의 확대도이다. 또, 도 9는 비교예 A1∼A4의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0은 도 9의 확대도이다.
Figure 112015096124282-pat00001
Figure 112015096124282-pat00002
Figure 112015096124282-pat00003
다음의 표 4는 막 종류 B에 속하는 실시예 B1∼B5에 있어서의 각층의 광학 막 두께(L1∼L7)나 최종층 및 그 인접층의 광학 막 두께의 합(상술의 M+N에 상당하는 L6+L7) 등을 나타낸 표이고, 표 5는 막 종류 B에 속하는 실시예 B6∼B10에 있어서의 각층의 광학 막 두께 등을 나타낸 표이며, 표 6은 막 종류 B에 속하는 실시예 B11∼B15에 있어서의 각층의 광학 막 두께 등을 나타낸 표이다. 또, 표 7은 막 종류 B에 속하는 비교예 B1∼B4에 있어서의 각층의 광학 막 두께 등을 나타낸 표이다.
또한, 도 11은 실시예 B1∼B3의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2는 도 11의 확대도이며, 도 13은 실시예 B4∼B6의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4는 도 13의 확대도이며, 도 15는 실시예 B7∼B9의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6은 도 15의 확대도이며, 도 17은 실시예 B10∼B12의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8은 도 17의 확대도이며, 도 19는 실시예 B13∼B15의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0은 도 19의 확대도이다. 또, 도 21은 비교예 B1∼B4의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2는 도 21의 확대도이다.
Figure 112015110676078-pat00030
Figure 112015110676078-pat00031
Figure 112015110676078-pat00032
Figure 112015110676078-pat00033
각 표에는, 280㎚ 이상 380㎚ 이하·380㎚ 이상 500㎚ 이하·500㎚ 이상 700㎚ 이하인 각 광의 평균 반사율이나, 시감 반사율(D65 광원, 2°시야), YI값도 나타내고 있다.
YI값은, XYZ 표색계에 관련된 표준광에 있어서의 시료의 3자극값인 X, Y, Z를 이용하여,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YI=100(1.2769X-1.059Z)/Y
YI값은, 마이너스의 경우 푸른 기가 강해지고, 플러스의 경우 노란 기·붉은 기가 강해진다. XYZ 표색계는, CIE(국제 조명 위원회)에 있어서 표준 표색계로서 채용되어 있고, 광의 삼원색인 적·녹·청 혹은 그들의 가법(加法) 혼색에 의거하는 계이다. XYZ 표색계에 있어서의 자극값(X, Y, Z)을 구하는 측색기(測色器)는 공지이고, 피(被)측정광의 분광 에너지에 자극값(X, Y, Z)에 관한 각각의 등색(等色) 함수를 파장마다 곱하면서 가시 영역의 전체 파장에 걸쳐 적산함으로써 자극값(X, Y, Z)이 구해진다.
비교예 A1에서는, 최종층의 광학 막 두께(L6)가 0.287λ이고, 0.295λ≤M≤0.415λ의 하한을 조금 하회하고 있는 바, 가시 영역 중앙부 평균 반사율이 1.8%로 되어 있어, 극히 우수한 가시광 시인성(가시 영역 중앙부 평균 반사율 1% 이하)을 확보할 수 없다.
비교예 A2에서는, 최종층의 광학 막 두께(L6)가 0.421λ이고, 0.295λ≤M≤0.415λ의 상한을 조금 상회하고 있는 바, 가시 영역 중앙부 평균 반사율이 1.6%로 되어 있고, 또 시감 반사율이 2.4%로 되어 있어, 역시 극히 우수한 가시광 시인성(가시 영역 중앙부 평균 반사율 및 시감 반사율의 쌍방이 1% 이하)을 확보할 수 없다.
비교예 A3에서는, 최종층과 그 인접층의 광학 막 두께의 합(L5+L6)이 0.454λ이고, 0.460λ≤M+N≤0.560λ의 하한을 조금 하회하고 있는 바, 가시 영역 중앙부 평균 반사율이 2.3%로 되어 있고, 또 시감 반사율이 2.0%로 되어 있어, 극히 우수한 가시광 시인성을 확보할 수 없다.
비교예 A4에서는, 최종층과 그 인접층의 광학 막 두께의 합(L5+L6)이 0.576λ이고, 0.460λ≤M+N≤0.560λ의 상한을 조금 상회하고 있는 바, 자외 평균 반사율이 46%로 되어 있고, 가시 영역 중앙부 평균 반사율이 1.4%로 되어 있으며, 또 시감 반사율이 2.2%로 되어 있어, 자외선의 적당한 커트성(자외 평균 반사율이 50% 이상 86% 이하)이나, 극히 우수한 가시광 시인성(가시 영역 중앙부 평균 반사율 및 시감 반사율의 쌍방이 1% 이하)을 확보할 수 없다. 또한, 비교예 A4에서는, YI값이 10.1로 되어 있고, 광학 다층막의 노란 기 내지 붉은 기가 비교적 강하여, 우수한 시인성이나 양호한 외관(YI값 10 이하)을 확보할 수 없다. 노란 기 내지 붉은 기가 강하면, 시계(視界)가 노란 기(붉은 기)를 띠고, 안경에 있어서는, 눈의 주위에 황색이나 적색이 부여되어 개성적인 외관이 되는 바, 이러한 외관은 꺼려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A1∼A12에서는, 0.295λ≤M≤0.415λ와, 0.460λ≤M+N≤0.560λ의 쌍방의 조건을 충족시키므로, 자외 평균 반사율이 50% 이상 86% 이하로 되고, 청색광 평균 반사율이 15% 이상 26% 이하로 되며, 가시 영역 중앙부 평균 반사율이 1.0% 이하로 된다. 또, 시감 반사율이 1.0% 이하로 된다. 또한, YI값이 10.0 이하로 된다.
따라서, 청색 광선과 자외선의 쌍방을 커트하면서, 극히 양호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 양호한 외관을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다. 청색 광선과 자외선이 커트되므로, 안경의 경우에는 눈을 보호할 수 있다. 또, 기체에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광학 제품에 실시예 A1∼A12의 광학 다층막을 부여했다고 해도, 광학 다층막의 단계에서 자외선을 커트할 수 있어, 기체나 하드 코트막 등의 중간막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가시 영역에 있어서의 우수한 시인성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어, 안경이나 카메라용 필터, 디스플레이용 필름 등에 적합하다.
비교예 B1에서는, 최종층의 광학 막 두께(L7)가 0.282λ이고, 0.295λ≤M≤0.415λ의 하한을 조금 하회하고 있는 바, 가시 영역 중앙부 평균 반사율이 1.4%로 되어 있어, 극히 우수한 가시광 시인성을 확보할 수 없다.
비교예 B2에서는, 최종층의 광학 막 두께(L7)가 0.430λ이고, 0.295λ≤M≤0.415λ의 상한을 조금 상회하고 있는 바, 가시 영역 중앙부 평균 반사율이 1.2%로 되어 있고, 또 시감 반사율이 1.2%로 되어 있어, 역시 극히 우수한 가시광 시인성을 확보할 수 없다. 또한, 비교예 B2에서는, YI값이 10.6으로 되어 있어, 노란 기 내지 붉은 기가 강해져 있다.
비교예 B3에서는, 최종층과 그 인접층의 광학 막 두께의 합(L6+L7)이 0.437λ이고, 0.460λ≤M+N≤0.560λ의 하한을 조금 하회하고 있는 바, 가시 영역 중앙부 평균 반사율이 2.0%로 되어 있고, 또 시감 반사율이 1.2%로 되어 있어, 극히 우수한 가시광 시인성을 확보할 수 없다.
비교예 B4에서는, 최종층과 그 인접층의 광학 막 두께의 합(L6+L7)이 0.564λ이고, 0.460λ≤M+N≤0.560λ의 상한을 조금 상회하고 있는 바, 가시 영역 중앙부 평균 반사율이 1.1%로 되어 있고, 또 시감 반사율이 1.6%로 되어 있어, 극히 우수한 가시광 시인성을 확보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B1∼B15에서는, 0.295λ≤M≤0.415λ와, 0.460λ≤M+N≤0.560λ의 쌍방의 조건을 충족시키므로, 자외 평균 반사율이 50% 이상 86% 이하로 되고, 청색광 평균 반사율이 15% 이상 26% 이하로 되며, 가시 영역 중앙부 평균 반사율이 1.0% 이하로 된다. 또, 시감 반사율이 1.0% 이하로 된다. 또한, YI값이 10.0 이하로 된다.
따라서, 청색 광선과 자외선의 쌍방을 커트하면서, 극히 양호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 양호한 외관을 확보할 수도 있다.

Claims (9)

  1. 기체와, 상기 기체의 표면에 형성된 광학 다층막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다층막은,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을 번갈아 배치하여 7개의 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기체에 가장 가까운 상기 층을 제1층으로 하여, 최종층이 저굴절률층이고,
    상기 최종층은 SiO2로 이루어지고, 상기 최종층에 인접하는 상기 층은 TiO2로 이루어지며,
    상기 최종층의 광학 막 두께(M)와, 상기 광학 막 두께(M) 및 상기 최종층에 인접하는 상기 층의 광학 막 두께(N)의 합(M+N)이, 설계 파장 λ=500㎚로 하여, 다음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0.295λ≤M≤0.415λ,
    0.460λ≤M+N≤0.560λ,
    상기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의, 파장 영역이 280㎚ 이상 380㎚ 이하인 광에 관련된 평균 반사율이 69% 이상 86% 이하이고,
    파장 영역이 380㎚ 이상 500㎚ 이하인 광에 관련된 평균 반사율이 17% 이상 2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제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의, 파장 영역이 500㎚ 이상 700㎚ 이하인 광에 관련된 평균 반사율이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제품.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의, 시감 반사율(D65 광원, 2°시야)이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제품.
  6. 삭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의, 시감 반사율(D65 광원, 2°시야)이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제품.
  8. 삭제
  9. 제 1 항, 제 3 항, 제 5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제품이 이용되어 있고,
    상기 기체는 안경 렌즈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KR1020150139642A 2015-10-05 2015-10-05 광학 제품 및 안경 렌즈 KR102478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642A KR102478479B1 (ko) 2015-10-05 2015-10-05 광학 제품 및 안경 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642A KR102478479B1 (ko) 2015-10-05 2015-10-05 광학 제품 및 안경 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536A KR20170040536A (ko) 2017-04-13
KR102478479B1 true KR102478479B1 (ko) 2022-12-19

Family

ID=5857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642A KR102478479B1 (ko) 2015-10-05 2015-10-05 광학 제품 및 안경 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4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9756A (ja) * 2003-08-21 2005-04-14 Asahi Glass Co Ltd 反射防止膜
JP2010281955A (ja) * 2009-06-03 2010-12-1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可視光ミラー、可視光発振ガスレーザ、及びリングレーザジャイロ
US20130038834A1 (en) * 2010-12-10 2013-02-14 Herve Cado Optical Article Comprising an Antireflective Coating with a Low Reflection Both in the Ultraviolet Region and in the Visible Reg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1362B2 (ja) 2003-07-10 2008-10-22 Agcテクノグラス株式会社 反射防止膜付き透明基板
JP2012093689A (ja) * 2010-09-29 2012-05-17 Nikon-Essilor Co Ltd 光学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73076B2 (ja) 2010-09-29 2013-03-27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光学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9756A (ja) * 2003-08-21 2005-04-14 Asahi Glass Co Ltd 反射防止膜
JP2010281955A (ja) * 2009-06-03 2010-12-1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可視光ミラー、可視光発振ガスレーザ、及びリングレーザジャイロ
US20130038834A1 (en) * 2010-12-10 2013-02-14 Herve Cado Optical Article Comprising an Antireflective Coating with a Low Reflection Both in the Ultraviolet Region and in the Visible Reg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536A (ko)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1426B2 (ja) 光学製品及び眼鏡レンズ
AU2018264041B2 (en)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US10908436B2 (en) Spectacle lens
KR102258691B1 (ko) 광학 제품 및 안경 렌즈
JP6415587B2 (ja)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US20170097521A1 (en) Optical product and spectacle lens
EP3151041B1 (en) An optical film and spectacle lens
KR102478479B1 (ko) 광학 제품 및 안경 렌즈
CN112840264B (zh) 眼镜镜片
JP7136907B2 (ja) 眼鏡レンズ
CN106556882B (zh) 光学制品和眼镜镜片
JP7136909B2 (ja) 眼鏡レンズ
CN112740097A (zh) 眼镜镜片和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