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691B1 - 광학 제품 및 안경 렌즈 - Google Patents

광학 제품 및 안경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691B1
KR102258691B1 KR1020167005382A KR20167005382A KR102258691B1 KR 102258691 B1 KR102258691 B1 KR 102258691B1 KR 1020167005382 A KR1020167005382 A KR 1020167005382A KR 20167005382 A KR20167005382 A KR 20167005382A KR 102258691 B1 KR102258691 B1 KR 102258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layer
reflectance
examples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5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8092A (ko
Inventor
히로토시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토카이 옵티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카이 옵티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토카이 옵티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48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1Interference filters designed for the infrared light
    • G02B5/282Interference filters designed for the infrared light reflecting for infrared and transparent for visible light, e.g. heat reflectors, laser prot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2Ophthalmic lenses having special refractive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16Laminated or compou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yeglass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과제] 심플한 구성이면서, 자외선 및 가시광선의 반사율이 충분히 저감되어 있고, 근소한 강도인 반사광의 색채에 대하여 조정이 가능한 광학 다층막을 구비한 광학 제품, 안경 렌즈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광학 제품(안경 렌즈)은, 볼록면과 오목면을 갖는 기재와, 그 기재의 적어도 오목면에 형성된 광학 다층막을 포함하며, 이 광학 다층막은, 상기 기재에 가까운 측을 1층째로 하여, 1층째부터 순서대로 이산화지르코늄의 층과 이산화규소의 층을 번갈아 적층한 전부 6층의 막이고, 4층째의 이산화규소의 층의 물리 막두께는,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고, 1층째의 이산화지르코늄의 층과 2층째의 이산화규소의 층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Description

광학 제품 및 안경 렌즈{OPTICAL PRODUCT AND SPECTACLE LENS}
본 발명은, 자외선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막을 구비한 광학 제품, 및 그 일례로서의 안경 렌즈에 관한 것이다.
자외 영역 및 가시 영역에 있어서의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광학 다층막으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광학 다층막은, 3∼7층 구조이며, 물리 막두께가 6.5 나노미터(㎚) 정도인 ITO(Indium Tin Oxide)의 층을 포함하고 있다.
국제공개 WO2012/076714호 공보
이와 같은 광학 다층막에서는, 인듐을 포함하는 ITO를 이용하기 때문에, 재료의 조달이나 증착에 있어서 비용이 높아져 버린다.
또, ITO를 이용하기 때문에, 광학 다층막을 부여한 렌즈의 투명도를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고, 렌즈의 색에 대하여,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의 근소한 강도의 반사광의 색채(색의 계통)를 조정하기가 곤란하다.
그래서, 청구항 1, 5에 기재된 발명은, 심플한 구성이면서, 자외선 및 가시광선의 반사율이 충분히 저감되어 있고, 근소한 강도인 반사광의 색채에 대하여 조정이 가능한 광학 다층막을 구비한 광학 제품, 안경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볼록면과 오목면을 갖는 기재(基材)와, 그 기재의 적어도 오목면에 형성된 광학 다층막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 다층막은, 상기 기재에 가까운 측을 1층째로 하여, 1층째부터 순서대로 이산화지르코늄의 층과 이산화규소의 층을 번갈아 적층한 전부 6층의 막이고, 4층째의 상기 이산화규소의 층의 물리 막두께는,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고, 1층째의 상기 이산화지르코늄의 층과 2층째의 상기 이산화규소의 층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목면에 있어서의 파장 280 ㎚ 이상 400 ㎚ 미만의 광에 대한 평균 반사율이 3.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목면에 있어서의 파장 300 ㎚ 이상 400 ㎚ 미만의 광에 대한 평균 반사율이 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안경 렌즈에 있어서, 상기의 광학 제품이 이용되고 있고, 상기 기재는 안경 렌즈 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심플한 구성이면서, 근소한 강도인 반사광의 색채에 대하여 조정이 가능하고, 자외선 및 가시광선의 반사율이 충분히 저감되어 있어, 가시광선에 대한 반사 방지 등의 성능을 양호하게 하면서, 오목면에 있어서의 자외선의 반사를 억제하여 오목면측에 위치하는 눈 등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광학 다층막을 구비한 광학 제품, 안경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 및 가시광선의 반사율을 더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3,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의 반사율을 눈 등의 보호가 충분히 가능한 높은 레벨로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실시예 1∼5에 관련된 자외선 영역 및 가시광 영역의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xy 표색계에서의 xy 좌표에 있어서, 오목면 반사광의 반사색의 (x, y)를 각각 플롯한 그래프로서, (a)는 실시예 1∼5에 관련된 것이고, (b)는 실시예 31∼35에 관련된 것이며, (c)는 실시예 36∼40에 관련된 것이고, (d)는 실시예 41∼45에 관련된 것이며, (e)는 실시예 46∼50에 관련된 것이고, (f)는 실시예 51∼55에 관련된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6∼10에 관련된 자외선 영역 및 가시광 영역의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1∼15에 관련된 자외선 영역 및 가시광 영역의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16∼20에 관련된 자외선 영역 및 가시광 영역의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21∼25에 관련된 자외선 영역 및 가시광 영역의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26∼30에 관련된 자외선 영역 및 가시광 영역의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31∼35에 관련된 자외선 영역 및 가시광 영역의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36∼40에 관련된 자외선 영역 및 가시광 영역의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시예 41∼45에 관련된 자외선 영역 및 가시광 영역의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실시예 46∼50에 관련된 자외선 영역 및 가시광 영역의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실시예 51∼55에 관련된 자외선 영역 및 가시광 영역의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 형태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는, 이하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학 제품은, 볼록 렌즈이며, 볼록면과 오목면을 갖고 있다. 광학 제품은, 볼록면과 오목면을 갖는 기재와, 그 기재의 적어도 오목면에 형성된 광학 다층막을 포함한다. 또한, 기재 자체도 볼록 렌즈라고 볼 수 있다.
기재의 재질은, 유리나 플라스틱을 비롯하여 어떠한 것이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이 이용된다. 기재의 재질의 예로서, 폴리우레탄 수지, 에피술피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폴리 4-메틸펜텐-1 수지,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 수지를 들 수 있다.
광학 제품의 대표적인 예로서, 안경 플라스틱 렌즈나 안경 유리 렌즈를 비롯한 안경 렌즈를 들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카메라 렌즈, 프로젝터 렌즈, 쌍안경 렌즈, 망원경 렌즈, 각종 필터를 들 수 있다. 안경 렌즈의 경우, 기재는 안경 렌즈 기재가 된다.
광학 다층막은, 기재의 오목면의 표면에 있어서, 직접 성막되어도 되고, 하드 코트층을 비롯한 단수 또는 복수의 중간막을 개재하여 성막되어도 된다. 하드 코트층은, 예를 들면, 오가노실록산계, 기타 유기 규소 화합물, 아크릴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다. 또, 하드 코트층의 하층에 프라이머층을 설치해도 된다. 프라이머층은,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유기 규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기재의 오목면에 형성된 광학 다층막은, 고굴절률 재료와 저굴절률 재료를 번갈아 적층한 전체 6층의 구성을 갖는다. 고굴절률 재료는, 이산화지르코늄(지르코니아, ZrO2)이고, 저굴절률 재료는, 이산화규소(실리카, SiO2)이다. 기재측(볼록면측)을 1층째로 하여, 1층째에는 고굴절률 재료를 배치한다. 6층째는 SiO2이고, 최외면이 되어 공기에 접한다. 또한, 당해 광학 다층막의 외측에, 발수막을 비롯한 단수 또는 복수의 외막을 더 형성해도 된다.
광학 다층막은, 예를 들면 진공증착법이나 스퍼터법 등의 물리 기상 퇴적법에 의해 적층된다. 진공증착법에 있어서, 증착시에 불활성 가스 등의 각종의 가스를 공급하거나, 당해 가스의 공급 조건(공급량이나 성막시 압력 등)을 제어하거나, 각종 이온을 소정의 가속 전압이나 가속 전류에 의해 성막시에 도입하는 이온 어시스트를 행하거나, 플라즈마 처리를 성막시에 행하거나 해도 된다.
6층의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의 4층째의 저굴절률층(SiO2층)은, 물리 막두께가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도록 되어 있다.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 ㎚ 미만이면, 4층째의 정확한 성막이 비교적 어려워진다. 또, 4층째가 너무 얇아져 버려, 다른 층에 대하여 어떻게 설계하였다고 하더라도, 특히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에 있어서 목표로 하는 레벨을 만족시키기 어렵게 된다.
여기서, 목표로 하는 자외선 영역의 반사율의 레벨은, 파장 280 ㎚ 이상 400 ㎚ 미만의 광에 대한 평균 반사율이 3.5% 이하이고, 및/또는 파장 300 ㎚ 이상 400 ㎚ 미만의 광에 대한 평균 반사율이 2.5% 이하이다. 볼록 렌즈에 있어서의 오목면에 있어서, 자외선 영역의 반사율이 이 레벨이 되고, 자외선 반사가 이 레벨에서 방지되면, 오목면에 비스듬하게 입사한 자외선이 투과하지 않고 반사되는 양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고, 오목면측에 존재하는 것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볼록 렌즈가 안경 렌즈로서, 오목면측에 눈이 존재하는 경우, 얼굴의 비스듬히 후방으로부터 도래한 자외선이, 오목면에 반사되어 눈에 진입하는 양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한편,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22 ㎚를 초과한 경우에 있어서도,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에 대하여, 다른 층을 어떻게 설계하였다고 하더라도 목표로 하는 레벨을 만족시키기 어렵게 된다. 또,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도, 예를 들면 평균 반사율이 5%를 초과해 버리는 것과 같은, 반사 방지의 레벨이 자외선 영역에 맞지 않고 낮은 것이 되기 쉽다. 또한, 가시광 영역은, 일반적인 가시광의 파장 영역이며, 예를 들면 파장 400 ㎚ 이상 800 ㎚ 이하이거나, 또는 400 ㎚ 이상 760 ㎚ 이하이거나, 또는 400 ㎚ 이상 720 ㎚ 이하이다.
또, 이와 같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범위 조정과 적절히 병합하여, 6층의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의 4층째 이전(1∼4층째)의 물리 막두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일정 정도 얇게 하면,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을 더 충분히 저감하면서, 자외선 영역의 반사율을 상술의 레벨까지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1층째의 고굴절률층(ZrO2층)과 2층째의 저굴절률층(SiO2층)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도록 하면,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의 충분한 저감과 함께, 자외선 영역의 반사율에 대하여 상술의 레벨을 만족시키는 것과 같은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당해 물리 막두께의 합이 35 ㎚ 미만이면, 1층째나 2층째의 성막이 비교적 곤란하게 되고, 다른 층의 설계를 어떻게 하더라도 자외선 영역의 반사율을 상술의 레벨에 도달할 정도로 저감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한편, 당해 물리 막두께의 합이 45 ㎚를 초과하더라도, 자외선 영역의 반사율을 상술의 레벨에 도달할 정도로 저감하기가 곤란하게 되고,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충분히 저감되지 않을 가능성이 나온다.
또, 1층째 내지 4층째(1, 2, 3,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총합이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도록 하더라도,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의 충분한 저감과 함께, 자외선 영역의 반사율을 상술의 레벨까지의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당해 물리 막두께의 총합이 100 ㎚ 미만이면, 1층째 내지 4층째의 순차적인 성막이 비교적 곤란하게 되고, 다른 층의 설계를 어떻게 하더라도 자외선 영역의 반사율을 상술의 레벨에 도달할 정도로 저감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한편, 당해 물리 막두께의 합이 110 ㎚를 초과하더라도, 자외선 영역의 반사율을 상술의 레벨에 도달할 정도로 저감하기가 곤란하게 되고,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충분히 저감되지 않을 가능성이 발생한다.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의 4층째(SiO2층)의 물리 막두께가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는 조건, 또는, 또한 1층째(ZrO2층)와 2층째(SiO2층)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는 조건, 및/또는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는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1∼6층째의 물리 막두께를 적절하게 설계하면,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의 (입사광에 비하여 근소한 강도인) 반사광에 대하여 임의의 색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면서,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에 추가하여 자외선 영역의 반사율을 매우 낮은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색채의 예로서, 무채색, 청색, 핑크색, 녹색, 오렌지색을 들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오목면에 성막되는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색채가, 볼록면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색채와 일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렌즈나 이것을 구비하는 것(안경 렌즈의 착용자 등)을 밖에서 본 경우에, 렌즈로부터의 반사광의 색채가 조화되어 있음으로써 어른거리지 않고 아름답게 보이고, 렌즈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도, 렌즈를 매개하여 관찰하는 광에 있어서의 색채의 어른거림이 억제되어, 렌즈로부터의 광이 보기 쉬워진다. 볼록면에 대하여, 오목면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광학 다층막을 형성하여, 오목면과 볼록면에서 동등한 막을 갖도록 해도 된다.
[실시예]
이어서, 전체 6층의 광학 다층막에 관한 각종 실시예를 설명한다.
≪ 실시예 1∼5 ≫
표 1은 실시예 1∼5의 막 구성이나 각종 평균 반사율, 오목면 반사광의 반사색에 관련된 xy 표색계에서의 x나 y의 값을 나타낸 표이며, 도 1은, 실시예 1∼5에 관련된, 자외선 영역(280 ㎚ 이상 400 ㎚ 미만) 및 가시광 영역(400 ㎚ 이상 800 ㎚ 이하)의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 (a)는, xy 표색계에서의 xy 좌표(CIE 색도도, CIE Chromaticity Diagram)에 있어서, 실시예 1∼5의 오목면 반사광의 반사색의 (x, y)를 각각 플롯한 그래프이다.
또한, 반사색의 (x, y)는, D65 광원 하에서의 2° 시야에 있어서의 값이며, 이하에서 동일하다.
Figure 112016019352584-pct00001
실시예 1∼5에 있어서, 볼록면과 오목면을 갖는 플라스틱제의 렌즈 기재의 오목면에 대하여, 직접 6층의 광학 다층막을 반사 방지막으로 하여 진공증착법에 의하여 형성하였다. 또한, 볼록면에는 반사 방지막 등의 각종 막은 성막하고 있지 않다.
광학 다층막의 각 층의 물리 막두께는, 증착 시간이나 진공 용기 내 압력(성막시 압력) 등의 증착 조건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 1∼5의 각 렌즈 기재는, 모두 동일한 것이며, 티오우레탄 수지제이고, 굴절률은 1.60이고, 아베수는 42로서, 도수는 -0.00(볼록면과 오목면이 동일한 커브인 기판)이다.
표 1의 좌측 상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5의 광학 다층막은, 기재에 가장 가까운 층을 1층째로 하여, 1층째를 ZrO2, 2층째를 SiO2라고 하도록, ZrO2와 SiO2가 번갈아 배치되어 있고, 실시예 1 내지 5의 어느 것에 있어서나 대응하는 층의 물리 막두께가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1층째부터 6층째의 물리 막두께는 순서대로 18.97 ㎚, 22.45 ㎚, 45.45 ㎚, 16.77 ㎚, 27.19 ㎚, 80.64 ㎚).
실시예 1∼5의 광학 다층막의 4층째의 물리 막두께는 16.77 ㎚이고,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또,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18.97 + 22.45 = 41.42 ㎚이고,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총합은 18.97 + 22.45 + 45.45 + 16.77 = 103.64 ㎚이고,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실시예 1∼5는 서로 ZrO2의 굴절률을 다르게 하고 있다. 표 1에 있어서의 ZrO2의 굴절률은, 파장 500 ㎚의 광에 대한 것이다(λ = 500 ㎚). ZrO2의 굴절률은, 광학 다층막 설계시의 설계 파장이나 가공시의 증착 속도, 산소 가스나 아르곤 가스 등에 의한 이온 어시스트의 부여 등에 의해 변화된다. 실시예 1에 있어서의 ZrO2의 굴절률은 1, 3, 5층째 모두 2.0288이며, 마찬가지로 실시예 2에서는 2.0504이고, 실시예 3에서는 2.0726이며, 실시예 4에서는 2.0920이고, 실시예 5에서는 2.1264이다. 또한, SiO2의 굴절률(λ = 500 ㎚)은, 실시예 1∼5의 어느 것에 있어서나 1.4776이다.
실시예 1∼5에 있어서, ZrO2의 굴절률이 2.0288로부터 2.1264로 서서히 올라가는 바, 파장 280 ㎚ 이상 400 ㎚ 미만(이하, 「제 1 자외선 영역」이라 함)의 평균 반사율은 순서대로 2.67%, 3.25%, 1.97%, 2.08%, 1.92%이며, 모두 3.5% 이하로 억제되어 있어, 제 1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모두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또, 실시예 1∼5에 있어서, 파장 300 ㎚ 이상 400 ㎚ 미만(이하, 「제 2 자외선 영역」이라 함)의 평균 반사율은 순서대로 1.85%, 1.70%, 1.92%, 1.69%, 1.73%이며, 모두 2.5% 이하로 억제되어 있어, 제 2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모두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또, 실시예 1∼5에 있어서, 도 1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시광 영역(400 ㎚ 이상 720 ㎚ 이하)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어느 파장에 있어서나 2.5% 이하가 되어 있고,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도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 영역이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반사가 방지되는 이유로서, 4층째의 물리 막두께는 16.77 ㎚이고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41.42 ㎚이고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 또한,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총합이 103.64 ㎚이고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실시예 1∼5의 렌즈를 안경 렌즈로서 이용한 경우, 착용시에 있어서 얼굴의 후방 비스듬히 옆으로부터 들어오는 자외선을 오목면(이면)에 있어서 거의 반사하지 않고 충분히 투과할 수 있어, 눈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 안경 유리 렌즈가 아니라 안경 플라스틱 렌즈의 경우, 렌즈 기재에 자외선 흡수제를 비롯한 자외선 커트제를 혼입함으로써, 자외선 영역의 광을 커트하여, 눈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행해져 있다. 이 경우, 오목면을 투과한 자외선은 기재에 있어서 충분히 커트된다.
이에 추가하여, 실시예 1∼5에 있어서의, 광학 다층막을 실시한 오목면에서의 반사광의 색채는, 순서대로 (x, y) = (0.26, 0.29), (0.26, 0.30), (0.26, 0.30), (0.26, 0.31), (0.26, 0.32)로서, (x, y) = (0.26, 0.29∼0.32)에 들어가 있고, 무채색을 나타내고, 모두 무채색 계통에 속하게 되어 있다.
렌즈 기재의 볼록면에 대하여, 무채색의 광학 다층막(반사 방지막 등)을 병합하여 성막하면, 반사 방지 성능 등을 나타내면서, 렌즈 이면에서 자외선이 반사하여 비교적 강한 강도로 눈에 들어오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볼록면과 오목면에서 반사색이 상이하여 외관상 또는 시인(視認)상 위화감이 발생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 실시예 6∼10 ≫
표 2는, 실시예 6∼10의 막 구성이나 각종 평균 반사율, 오목면 반사광의 반사색에 관련된 xy 표색계에서의 x나 y의 값을 나타낸 표이며, 도 3은, 실시예 6∼10에 관련된, 자외선 영역(280 ㎚ 이상 400 ㎚ 미만) 및 가시광 영역(400 ㎚ 이상 800 ㎚ 이하)의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ure 112016019352584-pct00002
실시예 6∼10은, 6층의 광학 다층막의 막 구성 이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단, 실시예 8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표 2의 좌측 상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6∼10에 있어서의 ZrO2의 굴절률(λ = 500 ㎚)은 모두 2.0288이며, 실시예 6의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의 각 층의 물리 막두께는, 1층째부터 순서대로 20.40 ㎚, 16.71 ㎚, 53.52 ㎚, 10.00 ㎚, 28.97 ㎚, 75.15 ㎚이다. 또, 실시예 7에 있어서의 각 층의 물리 막두께는, 순서대로 20.31 ㎚, 17.68 ㎚, 50.01 ㎚, 12.00 ㎚, 27.53 ㎚, 76.72 ㎚이다. 또한, 실시예 8에 있어서의 각 층의 물리 막두께는, 순서대로 18.97 ㎚, 22.45 ㎚, 45.45 ㎚, 16.77 ㎚, 27.19 ㎚, 80.64 ㎚이고, 실시예 9에 있어서의 각 층의 물리 막두께는, 순서대로 18.62 ㎚, 25.06 ㎚, 40.23 ㎚, 20.00 ㎚, 26.15 ㎚, 83.04 ㎚이고,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각 층의 물리 막두께는, 순서대로 17.81 ㎚, 27.00 ㎚, 37.31 ㎚, 22.00 ㎚, 25.08 ㎚, 85.23 ㎚ 이다.
실시예 6∼10의 광학 다층막의 4층째의 물리 막두께는 순서대로 10.00 ㎚, 12.00 ㎚, 16.77 ㎚, 20.00 ㎚, 22.00 ㎚이고,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또,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순서대로 37.11 ㎚, 37.99 ㎚, 41.42 ㎚, 43.68 ㎚, 44.81 ㎚이고,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총합은 순서대로 100.63 ㎚, 100.00 ㎚, 103.64 ㎚, 103.91 ㎚, 104.12 ㎚이고,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실시예 6∼10에 있어서,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00 ㎚로부터 22.00 ㎚로 서서히 올라가는 바, 제 1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은 순서대로 1.95%, 2.04%, 2.67%, 2.91%, 3.04%이고, 모두 3.5% 이하로 억제되어 있어, 제 1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모두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또, 실시예 6∼10에 있어서, 제 2 자외선 영역의 반사율은 순서대로 1.81%, 2.02%, 1.85%, 2.05%, 2.25%이고, 모두 2.5% 이하로 억제되어 있어, 제 2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모두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또, 실시예 6∼10에 있어서, 도 3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시광 영역(400 ㎚ 이상 720 ㎚ 이하)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어느 파장에 있어서나 3% 이하가 되어 있고,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도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단, 본 발명에 속하지 않는 비교예로서,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00 ㎚ 미만이 되거나, 또는 22.00 ㎚를 초과한 것으로 하면, 적어도 일방(一方)의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이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하기 어려워지거나,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예를 들면 가시광 영역의 전역에 있어서 3% 이하 또는 3.5% 이하 또는 4% 이하 또는 4.5% 이하가 되지 않는 등과 같이 높은 레벨에서 저감하기가 곤란해진다.
이와 같이 자외선 영역이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반사가 방지되는 이유로서, 4층째의 물리 막두께는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 또한,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총합이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밖이 되면, 적어도 일방의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하기 어려워진다. 또,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밖이 되더라도,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으면,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은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할 수 있지만,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내이면,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을 보다 억제하기 쉬워진다.
실시예 6∼10의 렌즈에 있어서도, 안경 렌즈로서 이용한 경우에, 착용시에 있어서 얼굴의 후방 비스듬히 옆으로부터 들어오는 자외선을 오목면(이면)에 있어서 거의 반사하지 않고 충분히 투과할 수 있어, 눈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에 추가하여, 실시예 6∼10에 있어서의, 광학 다층막을 실시한 오목면에서의 반사광의 색채는, (x, y) = (0.25∼0.29, 0.28∼0.31)에 들어가 있고, 무채색을 나타내고, 모두 무채색 계통에 속하게 되어 있다.
≪ 실시예 11∼15 ≫
표 3은, 실시예 11∼15의 막 구성이나 각종 평균 반사율, 오목면 반사광의 반사색에 관련된 xy 표색계에서의 x나 y의 값을 나타낸 표이며, 도 4는, 실시예 11∼15에 관련된, 자외선 영역(280 ㎚ 이상 400 ㎚ 미만) 및 가시광 영역(400 ㎚ 이상 800 ㎚ 이하)의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ure 112016019352584-pct00003
실시예 11∼15는, 실시예 6∼10과 동일하게 형성하고, ZrO2의 굴절률(λ = 500 ㎚)을 모두 2.0504로 하였다. 또한,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1∼15에 있어서의 4층째 이외의 각 층의 물리 막두께를, 실시예 6∼10에 대하여 약간 조정하고 있다. 또, 실시예 13은 실시예 2와 동일하다.
실시예 11∼15의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순서대로 37.48 ㎚, 38.95 ㎚, 41.42 ㎚, 42.26 ㎚, 43.15 ㎚이고,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또,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순서대로 109.03 ㎚, 106.87 ㎚, 103.64 ㎚, 100.53 ㎚, 100.15 ㎚이고,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실시예 11∼15에 있어서,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00 ㎚로부터 22.00 ㎚로 서서히 올라가는 바, 제 1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은 순서대로 2.98%, 3.14%, 3.25%, 2.26%, 2.29%이고, 모두 3.5% 이하로 억제되어 있어, 제 1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모두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또, 제 2 자외선 영역의 반사율은 순서대로 1.67%, 1.67%, 1.70%, 2.06%, 2.07%이고, 모두 2.5% 이하로 억제되어 있어, 제 2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모두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단,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00 ㎚ 미만이 되거나, 또는 22.00 ㎚를 초과하면, 적어도 일방의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하기 어려워진다.
또, 실시예 11∼15에 있어서, 도 4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시광 영역(400 ㎚ 이상 720 ㎚ 이하)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어느 파장에 있어서나 3% 이하가 되어 있고,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도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 영역이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반사가 방지되는 이유로서, 4층째의 물리 막두께는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 또한,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총합이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밖이 되면, 적어도 일방의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하기 어려워진다. 또,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밖이 되더라도,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으면,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은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할 수 있지만,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내이면,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을 보다 억제하기 쉬워진다.
실시예 11∼15의 렌즈에 있어서도, 안경 렌즈로서 이용한 경우에, 착용시에 있어서 얼굴의 후방 비스듬히 옆으로부터 들어오는 자외선을 오목면(이면)에 있어서 거의 반사하지 않고 충분히 투과할 수 있어, 눈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에 추가하여, 실시예 11∼15에 있어서의, 광학 다층막을 실시한 오목면에서의 반사광의 색채는, (x, y) = (0.25∼0.29, 0.27∼0.30)에 들어가 있고, 무채색을 나타내고, 모두 무채색 계통에 속하게 되어 있다.
≪ 실시예 16∼20 ≫
표 4는, 실시예 16∼20의 막 구성이나 각종 평균 반사율, 오목면 반사광의 반사색에 관련된 xy 표색계에서의 x나 y의 값을 나타낸 표이며, 도 5는, 실시예 16∼20에 관련된, 자외선 영역(280 ㎚ 이상 400 ㎚ 미만) 및 가시광 영역(400 ㎚ 이상 800 ㎚ 이하)의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ure 112016019352584-pct00004
실시예 16∼20은, 실시예 6∼10과 동일하게 형성하고, ZrO2의 굴절률(λ = 500 ㎚)을 모두 2.0726으로 하였다. 또한,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6∼20에 있어서의 4층째 이외의 각 층의 물리 막두께를, 실시예 6∼10에 대하여 약간 조정하고 있다. 또, 실시예 18은 실시예 3과 동일하다.
실시예 16∼20의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순서대로 37.56 ㎚, 38.78 ㎚, 41.42 ㎚, 43.44 ㎚, 44.43 ㎚이고,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또,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순서대로 108.05 ㎚, 103.40 ㎚, 103.64 ㎚, 103.89 ㎚, 104.87 ㎚이고,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실시예 16∼20에 있어서,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00 ㎚로부터 22.00 ㎚로 서서히 올라가는 바, 제 1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은 순서대로 1.99%, 1.74%, 1.97%, 2.14%, 2.19%이며, 모두 3.5% 이하로 억제되어 있어, 제 1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모두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또, 제 2 자외선 영역의 반사율은 순서대로 2.03%, 1.82%, 1.92%, 2.02%, 2.05%이며, 모두 2.5% 이하로 억제되어 있어, 제 2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모두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단,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00 ㎚ 미만이 되거나, 또는 22.00 ㎚를 초과하면, 적어도 일방의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하기 어려워지거나,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에 영향을 미친다.
또, 실시예 16∼20에 있어서, 도 5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시광 영역(400 ㎚ 이상 720 ㎚ 이하)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어느 파장에 있어서나 2.5% 이하가 되어 있고,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도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 영역이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반사가 방지되는 이유로서, 4층째의 물리 막두께는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 또한,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총합이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밖이 되면, 적어도 일방의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하기 어려워진다. 또,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밖이 되더라도,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으면,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은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할 수 있지만,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내이면,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을 보다 억제하기 쉬워진다.
실시예 16∼20의 렌즈에 있어서도, 안경 렌즈로서 이용한 경우에, 착용시에 있어서 얼굴의 후방 비스듬히 옆으로부터 들어오는 자외선을 오목면(이면)에 있어서 거의 반사하지 않고 충분히 투과할 수 있어, 눈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에 추가하여, 실시예 16∼20에 있어서의, 광학 다층막을 실시한 오목면에서의 반사광의 색채는, (x, y) = (0.25∼0.28, 0.30∼0.33)에 들어가 있고, 무채색을 나타내고, 모두 무채색 계통에 속하게 되어 있다.
≪ 실시예 21∼25 ≫
표 5는, 실시예 21∼25의 막 구성이나 각종 평균 반사율, 오목면 반사광의 반사색에 관련된 xy 표색계에서의 x나 y의 값을 나타낸 표이며, 도 6은, 실시예 21∼25에 관련된, 자외선 영역(280 ㎚ 이상 400 ㎚ 미만) 및 가시광 영역(400 ㎚ 이상 800 ㎚ 이하)의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ure 112016019352584-pct00005
실시예 21∼25는, 실시예 6∼10과 동일하게 형성하고, ZrO2의 굴절률(λ = 500 ㎚)을 모두 2.0920으로 하였다. 또한,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1∼25에 있어서의 4층째 이외의 각 층의 물리 막두께를, 실시예 6∼10에 대하여 약간 조정하고 있다. 또, 실시예 23은 실시예 4와 동일하다.
실시예 21∼25의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순서대로 36.42 ㎚, 37.90 ㎚, 41.42 ㎚, 42.49 ㎚, 43.47 ㎚이고,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또,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순서대로 108.21 ㎚, 104.95 ㎚, 103.64 ㎚, 102.08 ㎚, 102.56 ㎚이고,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실시예 21∼25에 있어서,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00 ㎚로부터 22.00 ㎚로 서서히 올라가는 바, 제 1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은 순서대로 2.01%, 2.01%, 2.08%, 1.95%, 1.98%이며, 모두 3.5% 이하로 억제되어 있어, 제 1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모두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또, 제 2 자외선 영역의 반사율은 순서대로 1.73%, 1.73%, 1.69%, 1.66%, 1.69%이며, 모두 2.5% 이하로 억제되어 있어, 제 2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모두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단,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00 ㎚ 미만이 되거나, 또는 22.00 ㎚를 초과하면, 적어도 일방의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하기 어려워지거나,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에 영향을 미친다.
또, 실시예 21∼25에 있어서, 도 6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시광 영역(400 ㎚ 이상 720 ㎚ 이하)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어느 파장에 있어서나 2.5% 이하가 되어 있고,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도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 영역이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반사가 방지되는 이유로서, 4층째의 물리 막두께는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 또한,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총합이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밖이 되면, 적어도 일방의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하기 어려워진다. 또,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밖이 되더라도,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으면,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은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할 수 있지만,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내이면,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을 보다 억제하기 쉬워진다.
실시예 21∼25의 렌즈에 있어서도, 안경 렌즈로서 이용한 경우에, 착용시에 있어서 얼굴의 후방 비스듬히 옆으로부터 들어오는 자외선을 오목면(이면)에 있어서 거의 반사하지 않고 충분히 투과할 수 있어, 눈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에 추가하여, 실시예 21∼25에 있어서의, 광학 다층막을 실시한 오목면에서의 반사광의 색채는, (x, y) = (0.24∼0.28, 0.30∼0.31)에 들어가 있고, 무채색을 나타내고, 모두 무채색 계통에 속하게 되어 있다.
≪ 실시예 26∼30 ≫
표 6은, 실시예 26∼30의 막 구성이나 각종 평균 반사율, 오목면 반사광의 반사색에 관련된 xy 표색계에서의 x나 y의 값을 나타낸 표이며, 도 7은, 실시예 26∼30에 관련된, 자외선 영역(280 ㎚ 이상 400 ㎚ 미만) 및 가시광 영역(400 ㎚ 이상 800 ㎚ 이하)의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ure 112016019352584-pct00006
실시예 26∼30은, 실시예 6∼10과 동일하게 형성하고, ZrO2의 굴절률(λ = 500 ㎚)을 모두 2.1264로 하였다. 또한,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6∼30에 있어서의 4층째 이외의 각 층의 물리 막두께를, 실시예 6∼10에 대하여 약간 조정하고 있다. 또, 실시예 28은 실시예 5와 동일하다.
실시예 26∼30의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순서대로 37.07 ㎚, 38.50 ㎚, 41.42 ㎚, 43.19 ㎚, 44.08 ㎚이고,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또,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순서대로 109.87 ㎚, 106.41 ㎚, 103.64 ㎚, 103.85 ㎚, 104.37 ㎚이고,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실시예 26∼30에 있어서,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00 ㎚로부터 22.00 ㎚로 서서히 올라가는 바, 제 1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은 순서대로 1.92%, 1.90%, 1.92%, 1.94%, 1.95%이며, 모두 3.5% 이하로 억제되어 있어, 제 1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모두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또, 제 2 자외선 영역의 반사율은 순서대로 1.62%, 1.61%, 1.73%, 1.65%, 1.67%이며, 모두 2.5% 이하로 억제되어 있어, 제 2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모두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단,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00 ㎚ 미만이 되거나, 또는 22.00 ㎚를 초과하면, 적어도 일방의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하기 어려워지거나,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에 영향을 미친다.
또, 실시예 26∼30에 있어서, 도 7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시광 영역(400 ㎚ 이상 720 ㎚ 이하)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어느 파장에 있어서나 2.0% 이하가 되어 있고,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도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 영역이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반사가 방지되는 이유로서, 4층째의 물리 막두께는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 또한,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총합이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밖이 되면, 적어도 일방의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하기 어려워진다. 또,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밖이 되더라도,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으면,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은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할 수 있지만,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내이면,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을 보다 억제하기 쉬워진다.
실시예 26∼30의 렌즈에 있어서도, 안경 렌즈로서 이용한 경우에, 착용시에 있어서 얼굴의 후방 비스듬히 옆으로부터 들어오는 자외선을 오목면(이면)에 있어서 거의 반사하지 않고 충분히 투과할 수 있어, 눈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에 추가하여, 실시예 26∼30에 있어서의, 광학 다층막을 실시한 오목면에서의 반사광의 색채는, (x, y) = (0.25∼0.27, 0.31∼0.33)에 들어가 있고, 무채색을 나타내고, 모두 무채색 계통에 속하게 되어 있다.
≪ 실시예 31∼35 ≫
표 7은, 실시예 31∼35의 막 구성이나 각종 평균 반사율, 오목면 반사광의 반사색에 관련된 xy 표색계에서의 x나 y의 값을 나타낸 표이며, 도 8은, 실시예 31∼35에 관련된, 자외선 영역(280 ㎚ 이상 400 ㎚ 미만) 및 가시광 영역(400 ㎚ 이상 800 ㎚ 이하)의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 (b)는, xy 표색계에서의 xy 좌표에 있어서, 실시예 31∼35의 오목면 반사광의 반사색의 (x, y)를 각각 플롯한 그래프이다.
Figure 112016019352584-pct00007
실시예 31∼35는, 실시예 1∼5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ZrO2의 굴절률(λ = 500 ㎚)을 2.0288∼2.1264까지 단계적으로 변화시켰다.
실시예 31∼35에 있어서의 4층째의 물리 막두께는 21.83 ㎚이고,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또,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35.03 ㎚이고,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108.86 ㎚이고,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실시예 31∼35에 있어서, ZrO2의 굴절률(λ = 500 ㎚)이 2.0288∼2.1264에 걸쳐 서서히 올라가는 바, 제 1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은 순서대로 2.71%, 3.19%, 1.92%, 2.10%, 1.88%이며, 모두 3.5% 이하로 억제되어 있어, 제 1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모두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또, 제 2 자외선 영역의 반사율은 순서대로 1.66%, 1.54%, 1.58%, 1.39%, 1.37%이며, 모두 2.5% 이하로 억제되어 있어, 제 2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모두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또한,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00 ㎚ 미만이 되거나, 또는 22.00 ㎚를 초과하면, 적어도 일방의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하기 어려워지거나,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에 영향을 미친다.
또, 실시예 31∼35에 있어서, 도 8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시광 영역(400 ㎚ 이상 720 ㎚ 이하)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어느 파장에 있어서나 4.0% 이하가 되어 있고,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도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 영역이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반사가 방지되는 이유로서, 4층째의 물리 막두께는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 또한,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총합이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밖이 되면, 적어도 일방의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하기 어려워진다. 또,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밖이 되더라도,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으면,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은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할 수 있지만,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내이면,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을 보다 억제하기 쉬워진다.
실시예 31∼35의 렌즈에 있어서도, 안경 렌즈로서 이용한 경우에, 착용시에 있어서 얼굴의 후방 비스듬히 옆으로부터 들어오는 자외선을 오목면(이면)에 있어서 거의 반사하지 않고 충분히 투과할 수 있어, 눈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에 추가하여, 실시예 31∼35에 있어서의, 광학 다층막을 실시한 오목면에서의 반사광의 색채는, (x, y) = (0.19, 0.22∼0.24)에 들어가 있고, (엷은 반투명의) 청색을 나타내게 되어 있다.
렌즈 기재의 볼록면에 대하여, 동일한 청색의 광학 다층막(반사 방지막 등)을 병합하여 성막하면, 반사 방지 성능을 나타내면서, 렌즈 이면에서 반사한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수 있고, 또한 볼록면과 오목면에서 반사색이 상이하여 외관상 또는 시인상 위화감이 발생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청색의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 실시예 36∼40 ≫
표 8은, 실시예 36∼40의 막 구성이나 각종 평균 반사율, 오목면 반사광의 반사색에 관련된 xy 표색계에서의 x나 y의 값을 나타낸 표이며, 도 9는, 실시예 36∼40에 관련된, 자외선 영역(280 ㎚ 이상 400 ㎚ 미만) 및 가시광 영역(400 ㎚ 이상 800 ㎚ 이하)의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 (c)는, xy 표색계에서의 xy 좌표에 있어서, 실시예 36∼40의 오목면 반사광의 반사색의 (x, y)를 각각 플롯한 그래프이다.
Figure 112016019352584-pct00008
실시예 36∼40은, 실시예 1∼5과 동일하게 형성하고, ZrO2의 굴절률(λ = 500 ㎚)을 2.0288∼2.1264까지 단계적으로 변화시켰다.
실시예 36∼40에 있어서의 4층째의 물리 막두께는 13.00 ㎚이고,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또,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35.25 ㎚이고,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108.34 ㎚이고,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실시예 36∼40에 있어서, ZrO2의 굴절률(λ = 500 ㎚)이 2.0288∼2.1264에 걸쳐 서서히 올라가는 바, 제 1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은 순서대로 2.75%, 3.00%, 2.21%, 2.22%, 2.07%이며, 모두 3.5% 이하로 억제되어 있어, 제 1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모두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또, 제 2 자외선 영역의 반사율은 순서대로 2.25%, 2.06%, 2.21%, 1.94%, 1.93%이며, 모두 2.5% 이하로 억제되어 있어, 제 2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모두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또한,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00 ㎚ 미만이 되거나, 또는 22.00 ㎚를 초과하면, 적어도 일방의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하기 어려워지거나,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에 영향을 미친다.
또, 실시예 36∼40에 있어서, 도 9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시광 영역(400 ㎚ 이상 720 ㎚ 이하)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어느 파장에 있어서나 3.5% 이하가 되어 있고,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도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 영역이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반사가 방지되는 이유로서, 4층째의 물리 막두께는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 또한,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총합이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밖이 되면, 적어도 일방의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하기 어려워진다. 또,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밖이 되더라도,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으면,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은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할 수 있지만,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내이면,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을 보다 억제하기 쉬워진다.
실시예 36∼40의 렌즈에 있어서도, 안경 렌즈로서 이용한 경우에, 착용시에 있어서 얼굴의 후방 비스듬히 옆으로부터 들어오는 자외선을 오목면(이면)에 있어서 거의 반사하지 않고 충분히 투과할 수 있어, 눈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에 추가하여, 실시예 36∼40에 있어서의, 광학 다층막을 실시한 오목면에서의 반사광의 색채는, (x, y) = (0.18∼0.20, 0.12)에 들어가 있고, (엷은 반투명의) 보라색을 나타내게 되어 있다.
렌즈 기재의 볼록면에 대하여, 동일한 보라색의 광학 다층막(반사 방지막 등)을 병합하여 성막하면, 반사 방지 성능을 나타내면서, 렌즈 이면에서 반사한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수 있고, 또한 볼록면과 오목면에서 반사색이 상이하여 외관상 또는 시인상 위화감이 발생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보라색의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 실시예 41∼45 ≫
표 9는, 실시예 41∼45의 막 구성이나 각종 평균 반사율, 오목면 반사광의 반사색에 관련된 xy 표색계에서의 x나 y의 값을 나타낸 표이며, 도 10은, 실시예 41∼45에 관련된, 자외선 영역(280 ㎚ 이상 400 ㎚ 미만) 및 가시광 영역(400 ㎚ 이상 800 ㎚ 이하)의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 (d)는, xy 표색계에서의 xy 좌표에 있어서, 실시예 41∼45의 오목면 반사광의 반사색의 (x, y)를 각각 플롯한 그래프이다.
Figure 112016019352584-pct00009
실시예 41∼45는, 실시예 1∼5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ZrO2의 굴절률(λ = 500 ㎚)을 2.0288∼2.1264까지 단계적으로 변화시켰다.
실시예 41∼45에 있어서의 4층째의 물리 막두께는 21.10 ㎚이고,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또,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35.87 ㎚이고,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100.68 ㎚이고,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실시예 41∼45에 있어서, ZrO2의 굴절률(λ = 500 ㎚)이 2.0288∼2.1264에 걸쳐 서서히 올라가는 바, 제 1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은 순서대로 2.22%, 2.24%, 2.23%, 2.10%, 2.12%이며, 모두 3.5% 이하로 억제되어 있어, 제 1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모두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또, 제 2 자외선 영역의 반사율은 순서대로 2.47%, 2.38%, 2.48%, 2.36%, 2.37%이며, 모두 2.5% 이하로 억제되어 있어, 제 2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모두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또한,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00 ㎚ 미만이 되거나, 또는 22.00 ㎚를 초과하면, 적어도 일방의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하기 어려워지거나,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에 영향을 미친다.
또, 실시예 41∼45에 있어서, 도 10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시광 영역(400 ㎚ 이상 720 ㎚ 이하)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어느 파장에 있어서나 4% 이하가 되고, 가시광 영역(400 ㎚ 이상 700 ㎚ 이하)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어느 파장에 있어서나 3.5% 이하가 되어 있고,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도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 영역이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반사가 방지되는 이유로서, 4층째의 물리 막두께는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 또한,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총합이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밖이 되면, 적어도 일방의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하기 어려워진다. 또,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밖이 되더라도,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으면,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은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할 수 있지만,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내이면,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을 보다 억제하기 쉬워진다.
실시예 41∼45의 렌즈에 있어서도, 안경 렌즈로서 이용한 경우에, 착용시에 있어서 얼굴의 후방 비스듬히 옆으로부터 들어오는 자외선을 오목면(이면)에 있어서 거의 반사하지 않고 충분히 투과할 수 있어, 눈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에 추가하여, 실시예 41∼45에 있어서의, 광학 다층막을 실시한 오목면에서의 반사광의 색채는, (x, y) = (0.24∼0.27, 0.19∼0.21)에 들어가 있고, (엷은 반투명의) 핑크색을 나타내게 되어 있다.
렌즈 기재의 볼록면에 대하여, 동일한 핑크색의 광학 다층막(반사 방지막 등)을 병합하여 성막하면, 반사 방지 성능을 나타내면서, 렌즈 이면에서 반사한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수 있고, 또한 볼록면과 오목면에서 반사색이 상이하여 외관상 또는 시인상 위화감이 발생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핑크색의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 실시예 46∼50 ≫
표 10은, 실시예 46∼50의 막 구성이나 각종 평균 반사율, 오목면 반사광의 반사색에 관련된 xy 표색계에서의 x나 y의 값을 나타낸 표이며, 도 11은, 실시예 46∼50에 관련된, 자외선 영역(280 ㎚ 이상 400 ㎚ 미만) 및 가시광 영역(400 ㎚ 이상 800 ㎚ 이하)의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 (e)는, xy 표색계에서의 xy 좌표에 있어서, 실시예 46∼50의 오목면 반사광의 반사색의 (x, y)를 각각 플롯한 그래프이다.
Figure 112016019352584-pct00010
실시예 46∼50은, 실시예 1∼5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ZrO2의 굴절률(λ = 500 ㎚)을 2.0288∼2.1264까지 단계적으로 변화시켰다.
실시예 46∼50에 있어서의 4층째의 물리 막두께는 15.01 ㎚이고,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또,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41.71 ㎚이고,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106.25 ㎚이고,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실시예 46∼50에 있어서, ZrO2의 굴절률(λ = 500 ㎚)이 2.0288∼2.1264에 걸쳐 서서히 올라가는 바, 제 1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은 순서대로 2.78%, 3.43%, 2.12%, 2.25%, 2.12%이며, 모두 3.5% 이하로 억제되어 있어, 제 1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모두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또, 제 2 자외선 영역의 반사율은 순서대로 2.07%, 1.94%, 2.22%, 2.03%, 2.10%이며, 모두 2.5% 이하로 억제되어 있어, 제 2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모두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또한,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00 ㎚ 미만이 되거나, 또는 22.00 ㎚를 초과하면, 적어도 일방의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하기 어려워지거나,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에 영향을 미친다.
또, 실시예 46∼50에 있어서, 도 11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시광 영역(400 ㎚ 이상 720 ㎚ 이하)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어느 파장에 있어서나 2.5% 이하가 되어 있고,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도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 영역이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반사가 방지되는 이유로서, 4층째의 물리 막두께는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 또한,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총합이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밖이 되면, 적어도 일방의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하기 어려워진다. 또,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밖이 되더라도,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으면,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은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할 수 있지만,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내이면,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을 보다 억제하기 쉬워진다.
실시예 46∼50의 렌즈에 있어서도, 안경 렌즈로서 이용한 경우에, 착용시에 있어서 얼굴의 후방 비스듬히 옆으로부터 들어오는 자외선을 오목면(이면)에 있어서 거의 반사하지 않고 충분히 투과할 수 있어, 눈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에 추가하여, 실시예 46∼50에 있어서의, 광학 다층막을 실시한 오목면에서의 반사광의 색채는, (x, y) = (0.26∼0.27, 0.35∼0.40)에 들어가 있고, (엷은 반투명의) 녹색을 나타내게 되어 있다.
렌즈 기재의 볼록면에 대하여, 동일한 녹색의 광학 다층막(반사 방지막 등)을 병합하여 성막하면, 반사 방지 성능을 나타내면서, 렌즈 이면에서 반사한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수 있고, 또한 볼록면과 오목면에서 반사색이 상이하여 외관상 또는 시인상 위화감이 발생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녹색의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 실시예 51∼55 ≫
표 11은, 실시예 51∼55의 막 구성이나 각종 평균 반사율, 오목면 반사광의 반사색에 관련된 xy 표색계에서의 x나 y의 값을 나타낸 표이며, 도 12는, 실시예 51∼55에 관련된, 자외선 영역(280 ㎚ 이상 400 ㎚ 미만) 및 가시광 영역(400 ㎚ 이상 800 ㎚ 이하)의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 (f)는, xy 표색계에서의 xy 좌표에 있어서, 실시예 51∼55의 오목면 반사광의 반사색의 (x, y)를 각각 플롯한 그래프이다.
Figure 112016019352584-pct00011
실시예 51∼55는, 실시예 1∼5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ZrO2의 굴절률(λ = 500 ㎚)을 2.0288∼2.1264까지 단계적으로 변화시켰다.
실시예 51∼55에 있어서의 4층째의 물리 막두께는 13.50 ㎚이고,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또,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44.80 ㎚이고,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100.68 ㎚이고,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실시예 51∼55에 있어서, ZrO2의 굴절률(λ = 500 ㎚)이 2.0288∼2.1264에 걸쳐 서서히 올라가는 바, 제 1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은 순서대로 2.41%, 2.94%, 1.87%, 1.90%, 1.79%이며, 모두 3.5% 이하로 억제되어 있어, 제 1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모두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또, 제 2 자외선 영역의 반사율은 순서대로 1.94%, 1.77%, 2.06%, 1.81%, 1.87%이며, 모두 2.5% 이하로 억제되어 있어, 제 2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모두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또한,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00 ㎚ 미만이 되거나, 또는 22.00 ㎚를 초과하면, 적어도 일방의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하기 어려워지거나,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에 영향을 미친다.
또, 실시예 51∼55에 있어서, 도 12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시광 영역(400 ㎚ 이상 720 ㎚ 이하)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어느 파장에 있어서나 4% 이하가 되어 있어, 가시광 영역(400 ㎚ 이상 700 ㎚ 이하)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어느 파장에 있어서나 3.5% 이하가 되어 있고,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도 충분히 저감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 영역이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반사가 방지되는 이유로서, 4층째의 물리 막두께는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 또한,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총합이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밖이 되면, 적어도 일방의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하기 어려워진다. 또,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밖이 되더라도,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으면,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은 상기의 레벨까지 억제할 수 있지만,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상기 범위 내이면, 자외선 영역의 평균 반사율 또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을 보다 억제하기 쉬워진다.
실시예 51∼55의 렌즈에 있어서도, 안경 렌즈로서 이용한 경우에, 착용시에 있어서 얼굴의 후방 비스듬히 옆으로부터 들어오는 자외선을 오목면(이면)에 있어서 거의 반사하지 않고 충분히 투과할 수 있어, 눈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에 추가하여, 실시예 51∼55에 있어서의, 광학 다층막을 실시한 오목면에서의 반사광의 색채는, (x, y) = (0.40, 0.38∼0.41)에 들어가 있고, (엷은 반투명의) 오렌지색을 나타내게 되어 있다.
렌즈 기재의 볼록면에 대하여, 동일한 오렌지색의 광학 다층막(반사 방지막 등)을 병합하여 성막하면, 반사 방지 성능을 나타내면서, 렌즈 이면에서 반사한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수 있고, 또한 볼록면과 오목면에서 반사색이 상이하여 외관상 또는 시인상 위화감이 발생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오렌지색의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 정리 ≫
오목면에 있어서의 반사색이 어떠한 것이더라도, 4층째의 물리 막두께가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1층째와 2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이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으면,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를 충분히 억제하면서, 파장 280 ㎚ 이상 400 ㎚ 미만의 제 1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3.5% 이하로 억제되고, 또한 파장 300 ㎚ 이상 400 ㎚ 미만의 제 2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2.5% 이하로 억제되어, 오목면측으로의 자외선의 반사를 충분히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총합이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으면, 오목면에 관련된 가시광 영역 및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Claims (9)

  1. 볼록면과 오목면을 갖는 기재와, 그 기재의 적어도 오목면에 형성된 광학 다층막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 다층막은, 상기 기재에 가까운 측을 1층째로 하여, 1층째부터 순서대로 이산화지르코늄의 층과 이산화규소의 층을 번갈아 적층한 전부 6층의 막이고,
    4층째의 상기 이산화규소의 층의 물리 막두께는, 10 ㎚ 이상 22 ㎚ 이하의 범위 내에 있고,
    1층째의 상기 이산화지르코늄의 층과 2층째의 상기 이산화규소의 층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35 ㎚ 이상 45 ㎚ 이하의 범위 내에 있고,
    1층째 내지 4층째의 물리 막두께의 합은, 100 ㎚ 이상 11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제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면에 있어서의 파장 280 ㎚ 이상 400 ㎚ 미만의 광에 대한 평균 반사율이 3.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제품.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면에 있어서의 파장 300 ㎚ 이상 400 ㎚ 미만의 광에 대한 평균 반사율이 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제품.
  6. 삭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면에 있어서의 파장 300 ㎚ 이상 400 ㎚ 미만의 광에 대한 평균 반사율이 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제품.
  8. 삭제
  9. 제 1 항, 제 3 항, 제 5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제품이 이용되고 있고,
    상기 기재는 안경 렌즈 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KR1020167005382A 2013-08-28 2014-07-22 광학 제품 및 안경 렌즈 KR102258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76967 2013-08-28
JP2013176967A JP6253009B2 (ja) 2013-08-28 2013-08-28 光学製品及び眼鏡レンズ
PCT/JP2014/069327 WO2015029644A1 (ja) 2013-08-28 2014-07-22 光学製品及び眼鏡レン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092A KR20160048092A (ko) 2016-05-03
KR102258691B1 true KR102258691B1 (ko) 2021-06-01

Family

ID=52586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5382A KR102258691B1 (ko) 2013-08-28 2014-07-22 광학 제품 및 안경 렌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01502B2 (ko)
EP (1) EP3018503B1 (ko)
JP (1) JP6253009B2 (ko)
KR (1) KR102258691B1 (ko)
CN (1) CN105378512B (ko)
WO (1) WO20150296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29060B1 (en) * 2014-12-01 2023-08-16 Hoya Lens Thailand Ltd. Eyeglass lens and eyeglasses
JP6544853B2 (ja) * 2015-07-02 2019-07-17 東海光学株式会社 光学製品並びにプラスチックレンズ及び眼鏡
KR102591776B1 (ko) * 2016-11-18 2023-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19015764A (ja) * 2017-07-03 2019-01-31 東海光学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光学製品並びにプラスチック眼鏡レンズ及び眼鏡
JP7151981B2 (ja) * 2017-08-10 2022-10-12 東海光学株式会社 眼鏡レンズ及び眼鏡
JP7303613B2 (ja) 2018-06-29 2023-07-05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CN112840263B (zh) 2018-09-28 2024-05-07 豪雅镜片泰国有限公司 眼镜镜片
EP3783420A1 (de) 2019-08-21 2021-02-24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Brillenglas mit filterwirkung für blaues licht und bril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7159A (ja) * 2011-10-31 2013-05-20 Hoya Corp 眼鏡レンズ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2201A (ja) * 1993-01-22 1994-08-12 Olympus Optical Co Ltd 複合型光学部品
CN100492057C (zh) * 1997-05-16 2009-05-27 Hoya株式会社 溅射膜淀积的厚度校正机构
AU741691C (en) * 1997-05-16 2004-08-12 Hoya Kabushiki Kaisha Plastic optical component having a reflection prevention film and mechanism for making reflection prevention film thickness uniform
JP2000066149A (ja) * 1998-08-21 2000-03-03 Seiko Epson Corp ミラーコート付きサングラス
KR101429898B1 (ko) * 2006-09-04 2014-08-13 샌디스크 아이엘 엘티디 플래시 메모리의 우선순위 삭제 디바이스 및 방법
EP2199835B1 (en) * 2007-09-28 2018-09-19 Nikon-Essilor Co., Ltd. Optica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ptical component
CN101441330B (zh) * 2008-12-09 2010-12-08 温州医学院眼视光研究院 光诱导防污防雾自清洁的树脂镜片及其制备方法
JP5588135B2 (ja) * 2009-08-10 2014-09-10 ホーヤ レンズ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フィリピン インク 光学物品の製造方法
JP5622468B2 (ja) * 2010-07-26 2014-11-12 ホーヤ レンズ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フィリピン インク 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レンズ
JP5173076B2 (ja) * 2010-09-29 2013-03-27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光学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93689A (ja) 2010-09-29 2012-05-17 Nikon-Essilor Co Ltd 光学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2968774B1 (fr) 2010-12-10 2013-02-08 Essilor Int Article d'optique comportant un revetement antireflet a faible reflexion dans le domaine ultraviolet et le domaine visible
JP2012243956A (ja) * 2011-05-19 2012-12-10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変圧器中身の固定構造を備えた油入変圧器
WO2013105210A1 (ja) * 2012-01-10 2013-07-18 ナルックス株式会社 光学多層膜
EP2816379A4 (en) * 2012-02-17 2015-09-23 Nikon Essilor Co Ltd OPTICAL COMPONENT, GLASSES OF GLASS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1918886B1 (ko) 2012-09-28 2018-11-14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에시로루 광학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CA2889496A1 (en) * 2012-11-05 2014-05-08 Nikon-Essilor Co., Ltd. Optical component,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component, and method of quantifying ghost ligh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7159A (ja) * 2011-10-31 2013-05-20 Hoya Corp 眼鏡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24118A1 (en) 2016-05-05
CN105378512A (zh) 2016-03-02
EP3018503B1 (en) 2019-06-26
JP6253009B2 (ja) 2017-12-27
EP3018503A4 (en) 2016-08-10
US10101502B2 (en) 2018-10-16
WO2015029644A1 (ja) 2015-03-05
EP3018503A1 (en) 2016-05-11
JP2015045743A (ja) 2015-03-12
CN105378512B (zh) 2016-11-02
KR20160048092A (ko)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8691B1 (ko) 광학 제품 및 안경 렌즈
AU2018264041B2 (en)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US10031349B2 (en) Optical product, and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WO2009133833A1 (ja) 光学素子及び反射防止膜
AU2015227886A1 (en) Mirror-coated lens
JP6311426B2 (ja) 光学製品及び眼鏡レンズ
EP3208653B1 (en)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JP5969195B2 (ja) 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JP7265983B2 (ja)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US20170097521A1 (en) Optical product and spectacle lens
KR102582202B1 (ko) 안경 렌즈
JP7136908B2 (ja) 眼鏡レンズ
KR102478479B1 (ko) 광학 제품 및 안경 렌즈
JP7136909B2 (ja) 眼鏡レンズ
CN106556882B (zh) 光学制品和眼镜镜片
JP6247349B2 (ja) 眼鏡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