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952B1 - 반도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반도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952B1
KR101475952B1 KR1020080082596A KR20080082596A KR101475952B1 KR 101475952 B1 KR101475952 B1 KR 101475952B1 KR 1020080082596 A KR1020080082596 A KR 1020080082596A KR 20080082596 A KR20080082596 A KR 20080082596A KR 101475952 B1 KR101475952 B1 KR 101475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interconnect
disposed
mos transistor
type mos
interconn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0532A (ko
Inventor
히로아키 다카스
다카유키 다카시나
스케히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0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01L27/0251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 H01L27/0266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as prote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84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or junctions between the regions
    • H01L29/0692Surface layout
    • H01L29/0696Surface layout of cellular field-effect devices, e.g. multicellular DMOS transistors or IGB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17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1725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1758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lateral devices with structured layout for source or drain region, i.e. the source or drain region having cellular, interdigitated or ring structure or being curved or 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제 1 금속 인터커넥트와 접속된 드레인 영역들, 다른 제 1 금속 인터커넥트와 접속되며 그 드레인 영역들과 교대로 놓인 소스 영역들, 및 드레인 영역들 각각과 소스 영역들 각각 사이에 각각 놓인 게이트 전극들을 포함하는 정전기 방전 보호용 n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제 1 금속 인터커넥트와 다른 제 1 금속 인터커넥트 중 적어도 일방이 제 1 금속 인터커넥트 이외의 복수의 층들의 금속 인터커넥트들에 접속되고; 소스 영역들은, 제 1 금속 인터커넥트 이외의 복수의 층들의 금속 인터커넥트들과 다른 제 1 금속 인터커넥트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비아홀들을 포함하며, ESD 보호용 NMOS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인터커넥트의 거리가 커짐에 따라 더 많은 수의 비아홀들이 형성된다.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인터커넥트, 비아홀

Description

반도체 디바이스{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금속 산화물 반도체 (metal oxide semiconductor;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정전기 방전 (electrostatic discharge) (이하, ESD라 지칭됨) 보호 소자로서 n형 MOS (NM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MOS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에서, 게이트 전위가 접지 (Vss) 에 고정된 오프-상태로 제공된 NMOS 트랜지스터인 오프 트랜지스터가 외부 접속을 위해 제공된 패드로부터 공급되는 정전기 (static electricity) 로 인한 내부 회로의 파손 (breakdown) 을 방지하기 위한 ESD 보호 소자로서 사용된다.
로직 회로와 같은 내부 회로를 형성하는 통상의 MOS 트랜지스터들과 달리, 오프 트랜지스터는 정전기에 의해 생성된 대량의 전류를 한번에 흘려야만 하므로, 많은 경우에 트랜지스터에 대해 약 수백 마이크로미터의 넓은 폭 (폭 W) 이 요구된다.
따라서, 오프 트랜지스터는 종종 복수의 드레인 영역들, 소스 영역들, 및 게이트 전극들을 빗 형상 (comb shape) 으로 조합함으로써 획득되는 형태를 취한다.
그러나,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이 조합된 구조는 전체 ESD 보호용 NMOS 트랜지스터들을 균일하게 동작시키는데 어려움을 야기한다. 예컨대, 외부 접속 단자에 더 근접한 부분에서 전류 집중 (current concentration) 이 발생하여, 본래의 ESD 보호 기능을 충분히 보이지 않고 오프 트랜지스터의 파손을 초래한다.
대응책으로서, 트랜지스터의 동작을 가속하기 위해, 외부 접속 단자로부터의 거리가 더 길어지게 됨에 따라 드레인 영역 상에 형성된 접촉 홀과 게이트 전극 간의 거리가 더 작아지게 이루어지는 방법이 제안된다 (예컨대, 일본공개특허공보 평7-45829호의 도 2 참조).
그러나, 예컨대, 오프 트랜지스터의 균일한 동작을 위해 폭 W가 더 작게 이루어지는 경우, 보호 기능이 충분히 달성되지 않는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평7-45829호의 방법에서, 드레인 영역에서 접촉부와 게이트 전극 간의 거리가 조정되어 트랜지스터 동작 속도를 국부적으로 조정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드레인 영역의 폭의 감소와 함께 소망하는 접촉 위치가 보장될 수 없는 문제, 최근에 내화 금속 (refractory metal) 을 포함하는 인터커넥트 (interconnect) 를 통해 인터커넥트 저항이 낮게 이루어짐으로써 서지 (surge) 의 전달 속도를 가속하여, 접촉부와 게이트 전극 간의 거리에 의해서 만으로 트랜지스터 동작 속도가 조정될 수 없는 경우를 야기하는 문제, 및 트랜지스터에 대한 인터커넥트가 트랜지스터의 폭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도입되는 경우에 이 방법을 적응시키기 어렵다는 문제 를 갖는다.
전술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정전기 방전 보호용 n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에서, 정전기 방전 보호용 n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이 집적된 구조를 가지고, 정전기 방전 보호용 n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는, 복수의 드레인 영역들, 그 드레인 영역들과 교대로 놓인 복수의 소스 영역들, 및 복수의 드레인 영역들 각각과 복수의 소스 영역들 각각 사이에 각각 놓인 복수의 게이트 전극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드레인 영역들은 외부 접속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복수의 소스 영역들은 접지 전위 공급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복수의 드레인 영역들은 제 1 금속 인터커넥트와 접속되고, 복수의 소스 영역들은 다른 제 1 금속 인터커넥트와 접속되며, 제 1 금속 인터커넥트와 다른 제 1 금속 인터커넥트 중 적어도 일방은 제 1 금속 인터커넥트와 다른 제 1 금속 인터커넥트 이외의 복수의 층들의 금속 인터커넥트들에 접속되며; 복수의 소스 영역들은, 제 1 금속 인터커넥트와 다른 제 1 금속 인터커넥트 이외의 복수의 층들의 금속 인터커넥트들과 다른 제 1 금속 인터커넥트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비아홀 (via-hole) 들을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정전기 방전 보호용 n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인터커넥트의 거리가 커지게 됨에 따라, 더 많은 수의 비아홀들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금속 인터커넥트와 다른 제 1 금속 인터커넥트 이외의 복수의 층들의 금속 인터커넥트들은, 정전기 방전 보호용 n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도입되고, 제 1 금속 인터커넥트는 정전기 방전 보호용 n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놓이며, 제 1 금속 인터커넥트와 다른 제 1 금속 인터커넥트 이외의 복수의 층들의 금속 인터커넥트들이, 복수의 드레인 영역들과 복수의 소스 영역들 중 일방 상의 비아홀들을 경유하여 제 1 금속 인터커넥트 및 다른 제 1 금속 인터커넥트에 접속된다.
또한, 비아홀들이, 복수의 드레인 영역들과 복수의 소스 영역들 중 일방 상에, 정전기 방전 보호용 n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넓게 분포되도록 놓인다.
다른 방법으로, 비아홀들이, 복수의 드레인 영역들 각각의 일부분과 복수의 소스 영역들 각각의 일부분 중 일방 상에 집중되도록 놓인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용 n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에 도입되는 인터커넥트가, 내화 금속을 포함하는 고속의 다층 인터커넥트를 사용하여, 정전기 방전 보호용 n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도입되는 경우에도, 상기 수단들의 채용이 인터커넥트로 하여금 정전기 방전 보호용 n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전체에서 균일하게 동작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충분한 정전기 방전 보호 기능을 구비한 정전기 방전 보호용 n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가 획득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ESD 보호용 NMOS 트랜지스터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제 1 소스 영역 (101) 및 제 1 드레인 영역 (301) 이 n형의 과도핑된 (heavily doped) 불순물 영역으로 형성된다. 제 1 소스 영역 (101) 과 제 1 드레인 영역 (301) 사이에, 실리콘 산화막 등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 (도시 생략) 이 형성되고, 그 최상부 표면 상에, 폴리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전극들 (201) 이 형성된다. 그 후, 반복되는 패턴으로, 제 1 드레인 영역 (301) 측으로부터, 게이트 전극 (201) 을 경유하여 제 2 소스 영역 (102) 이 형성되고, 게이트 전극 (201) 을 경유하여 드레인 영역 (302) 이 형성되며, 게이트 전극 (201) 을 경유하여 제 3 소스 영역 (103) 이 형성된다. 제 1 실시형태는, 3개의 소스 영역들, 2개의 드레인 영역들, 및 4개의 게이트 전극들이 놓인 예를 도시한다. MOS 트랜지스터로서, 4개의 트랜지스터들이 조합된다.
이 경우에서, 내화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낮은 저항을 갖는 넓은 인터커넥트로 형성된 접지 전위 공급선 (701) 에 접속되고, 내화 금속을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된 제 2 금속 인터커넥트 (711) 에 의해, 제 1 소스 영역 (101), 제 2 소스 영역 (102), 및 제 3 소스 영역 (103) 에 접지 전위가 공급된다. 제 2 금속 인터커넥트 (711) 가 접지 전위 공급선 (701) 으로부터 ESD 보호용 N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접속되고, 내화 금속을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된 제 1 금속 인터커넥트 (901) 에 접속된다. 또한, 간략화를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2 금속 인터커넥트 (711) 가 접촉 홀들을 경유하여 제 1 소스 영역 (101), 제 2 소스 영역 (102), 및 제 3 소스 영역 (103) 에 접속된다.
이 경우에서, 비아홀들 (601) 에 대하여, 가장 많은 수의 비아홀 (601) 이 접지 전위 공급선 (701) 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놓인 제 3 소스 영역 (103) 상에 설정되며, 가장 적은 수의 비아홀 (601) 이 접지 전위 공급선 (701) 에 가장 근접하게 놓인 제 1 소스 영역 (101) 상에 설정된다.
비아홀들의 수가 적절한 수로 설정될 때, 제 1 소스 영역 (101), 제 2 소스 영역 (102), 및 제 3 소스 영역 (103) 에 대하여, 접지 전위 공급선 (701) 에 접속된 제 2 금속 인터커넥트 (711) 의 인터커넥트 저항들과 비아홀들 (601) 을 통한 접속 저항들의 합들이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접지 전위 공급선 (701) 에 근접한 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균일한 동작이 ESD 보호용 전체 NMOS 트랜지스터에서 달성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접지 전위 공급선 (701) 과 제 2 금속 인터커넥트 (711) 사이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제 2 금속 인터커넥트 (711) 의 두께가 증가하는 경우를 보여주며, 그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제 2 금속 인터커넥트 (711) 의 인터커넥트 저항의 영향이 완화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접속 단자 (801) 는, 내화 금속을 포함하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 1 금속 인터커넥트 (811) 와 접속되고, 제 1 드레인 영역 (301) 및 제 2 드레인 영역 (302) 에 도입된다. 제 1 드레인 영역 (301) 및 제 2 드레인 영역 (302) 은 접촉 홀들을 경유하여 제 1 금속 인터커넥트 (811) 에 접속되고, 이는 도시되지 않는다.
도 1의 제 1 실시형태는, ESD 보호용 N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들의 전위들을 공급하고 고정시키는 인터커넥트가 제 2 금속 인터커넥트이고, 드레인 영역들에 접속된 인터커넥트가 제 1 금속 인터커넥트인 예를 도시한다. 반대로, 제 1 금속 인터커넥트가 소스 영역들의 전위들을 공급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선일 수도 있거나, 제 2 금속 인터커넥트가 드레인들에 접속된 선일 수도 있거나, 또는 그 조합이 마음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그 경우에서,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형태의 설명의 요지에 따라, ESD 보호용 NMOS 트랜지스터의 복수의 드레인 영역들 또는 소스 영역들에 도입된 인터커넥트 저항들과 인터커넥트들 간의 저항들의 합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제 2 금속 인터커넥트가 사용되는 측 상에 놓인 비아홀들의 수가 설정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도 1의 제 1 실시형태는 금속 인터커텍트들의 2개의 층들이 사용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3개의 층들 이상의 복수의 금속 층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서, 상술된 2개의 층들을 사용하는 경우에서와 유사한 점들에 유의해야만 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ESD 보호용 NMOS 트랜지스터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의 부분들에 대응하는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는, 비아홀들 (601) 의 배열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형태에서, 제 1 소스 영역 (101), 제 2 소스 영역 (102), 및 제 3 소스 영역 (103) 상에 놓인 비아홀들 (601) 은, ESD 보호용 N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넓게 분포된 형상으로 놓인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제 2 실시형태에서, 비아홀들 (601) 은, 제 1 소스 영역 (101), 제 2 소스 영역 (102), 및 제 3 소스 영역 (103) 의 각각의 일부분 상에 놓인다.
이는, 제 1 드레인 영역 (301) 및 제 2 드레인 영역 (302) 에 대한 제 1 금속 인터커넥트 (811) 의 접속에 유의한 결과이다. 즉, 외부 접속 단자 (801) 로부터 오는 금속 인터커넥트 (811) 는 각각 제 1 드레인 영역 (301) 의 일 종단 및 제 2 드레인 영역 (302) 의 일 종단으로부터 제 1 드레인 영역 (301) 및 제 2 드레인 영역 (302) 에 도입되며, 따라서 금속선 (811) 의 인터커넥트 저항은, 채널 폭 방향에서 외부 접속 단자 (801) 에 근접한 측과 외부 접속 단자 (801) 로부터 이격된 측 간에 상이하다. 따라서, 외부 접속 단자 (801) 에 더 근접한 제 1 드레인 영역 (301) 의 부분 및 제 2 드레인 영역 (302) 의 부분은 비교적 쉽게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각각 제 1 드레인 영역 (301) 및 제 2 드레인 영역 (302) 과 쌍을 이루는 제 1 소스 영역 (101) 및 제 2 소스 영역 (102), 및 제 3 소스 영역 (103) 에서, 외부 접속 단자 (801) 로부터 이격된 영역들에 집중되도록 비 아홀들 (601) 이 제공되어, ESD 보호용 NMOS 트랜지스터의 동작 동안에 채널 폭 방향에서 외부 접속 단자 (801) 에 대한 거리 의존성의 생성이 완화되도록 의도된다.
도 2의 제 2 실시형태는, 제 2 금속 인터커넥트가 ESD 보호용 N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들의 전위들을 공급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선이며, 제 1 금속 인터커넥트가 드레인 영역들에 접속된 선인 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도 1의 예에서와 같이, 제 1 금속 인터커넥트가 소스 영역들의 전위들을 공급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선일 수도 있거나, 제 2 금속 인터커넥트가 드레인 영역들에 접속된 선일 수도 있거나, 또는 그 조합이 마음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도 1의 예에서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형태의 설명의 요지에 따라, ESD 보호용 NMOS 트랜지스터의 복수의 드레인 영역들 또는 소스 영역들에 도입된 인터커넥트 저항들과 인터커넥트들 간의 저항들의 합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제 2 금속 인터커넥트가 사용되는 측 상에 놓인 비아홀들의 수가 설정되는 것이 필수적이고, 3개 층들 이상의 복수의 금속 인터커넥트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부분들은 도 1과 동일한 참조 부호들로 표시되고, 따라서 이들의 설명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ESD 보호용 NMOS 트랜지스터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ESD 보호용 NMOS 트랜지스터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제 1 소스 영역
301 : 제 1 드레인 영역
701 : 접지 전위 공급선

Claims (6)

  1. 외부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드레인 영역과 접지 전위 공급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소스 영역이 교대로 배치되고, 이웃하는 상기 드레인 영역과 상기 소스 영역 사이에 게이트 전극이 배치된 복수의 트랜지스터가 일체화된 ESD 보호용의 N 형 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스 영역에 각각 배치되고, 접속된 제 1 금속 인터커넥트는 상기 제 1 금속 인터커넥트보다 1 층 위의 제 2 금속 인터커넥트와 상기 복수의 소스 영역 상에서 상기 제 1 금속 인터커넥트 상에 각각 배치된 비아홀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금속 인터커넥트는 상기 접지 전위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ESD 보호용의 N 형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선되고,
    상기 제 1 금속 인터커넥트 상에 각각 배치된 상기 비아홀의 수는 상기 비아홀의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소스 영역이 상기 접지 전위 공급선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많아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금속 인터커넥트는 상기 접지 전위 공급선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N 형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 방향으로 굵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외부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드레인 영역과 접지 전위 공급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소스 영역이 교대로 배치되고, 이웃하는 상기 드레인 영역과 상기 소스 영역 사이에 게이트 전극이 배치된 복수의 트랜지스터가 일체화된 ESD 보호용의 N 형 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드레인 영역에 각각 배치되고 접속된 제 1 금속 인터커넥트는 상기 제 1 금속 인터커넥트보다 1 층 위의 제 2 금속 인터커넥트와 상기 복수의 드레인 영역 상에서 상기 제 1 금속 인터커넥트 상에 각각 배치된 비아홀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금속 인터커넥트는 상기 외부 접속 단자로부터 상기 ESD 보호용의 N 형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선되고,
    상기 제 1 금속 인터커넥트 상에 각각 형성된 상기 비아홀의 수는 상기 비아홀의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드레인 영역이 상기 외부 접속 단자로부터 멀어질수록 많아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금속 인터커넥트는 상기 외부 접속 단자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N 형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 방향으로 굵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외부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드레인 영역과 접지 전위 공급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소스 영역이 교대로 배치되고 이웃하는 상기 드레인 영역과 상기 소스 영역 사이에 게이트 전극이 배치된 복수의 트랜지스터가 일체화된 ESD 보호용의 N 형 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스 영역에 각각 배치되고 접속된 제 1 금속 인터커넥트는 상기 제 1 금속 인터커넥트보다 1 층 위의 제 2 금속 인터커넥트와 상기 복수의 소스 영역 상에서 상기 제 1 금속 인터커넥트 상에 각각 배치된 비아홀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금속 인터커넥트는 상기 접지 전위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ESD 보호용의 N 형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선되고,
    상기 제 1 금속 인터커넥트 상에 각각 배치된 상기 비아홀의 수는 상기 비아홀의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소스 영역과 상기 접지 전위 공급선 사이의 저항이 상기 복수의 소스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6. 외부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드레인 영역과 접지 전위 공급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소스 영역이 교대로 배치되고 이웃하는 상기 드레인 영역과 상기 소스 영역 사이에 게이트 전극이 배치된 복수의 트랜지스터가 일체화된 ESD 보호용의 N 형 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드레인 영역에 각각 배치되고, 접속된 제 1 금속 인터커넥트는 상기 제 1 금속 인터커넥트보다 1 층 위의 제 2 금속 인터커넥트와 상기 복수의 드레인 영역 상에서 상기 제 1 금속 인터커넥트 상에 각각 배치된 비아홀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금속 인터커넥트는 상기 외부 접속 단자로부터 상기 ESD 보호용의 N 형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선되고,
    상기 제 1 금속 인터커넥트 상에 각각 배치된 상기 비아홀의 수는 상기 비아홀의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드레인 영역과 상기 외부 접속 단자 사이의 저항이 상기 복수의 드레인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KR1020080082596A 2007-08-22 2008-08-22 반도체 디바이스 KR101475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15550 2007-08-22
JP2007215550A JP5165967B2 (ja) 2007-08-22 2007-08-22 半導体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532A KR20090020532A (ko) 2009-02-26
KR101475952B1 true KR101475952B1 (ko) 2014-12-23

Family

ID=4038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596A KR101475952B1 (ko) 2007-08-22 2008-08-22 반도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50409B2 (ko)
JP (1) JP5165967B2 (ko)
KR (1) KR101475952B1 (ko)
CN (1) CN101373766B (ko)
TW (1) TWI4677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3001B2 (en) * 2001-11-21 2009-01-27 Seiko Epson Corporation Active matrix substrat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0996174B1 (ko) * 2008-12-15 2010-11-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멀티 핑거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정전기 방전 회로
JP5603089B2 (ja) * 2009-02-23 2014-10-0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2011071329A (ja) * 2009-09-25 2011-04-07 Seiko Instruments Inc 半導体装置
JP5546191B2 (ja) * 2009-09-25 2014-07-0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5529607B2 (ja) * 2010-03-29 2014-06-2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5701684B2 (ja) * 2011-05-23 2015-04-15 セミコンダクター・コンポーネンツ・インダストリー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半導体装置
KR101668885B1 (ko) * 2011-07-01 2016-10-25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Esd 보호 소자
JP2013110269A (ja) * 2011-11-21 2013-06-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mos集積回路及び増幅回路
JP6099985B2 (ja) * 2013-01-18 2017-03-22 エスアイアイ・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半導体装置
CN105097926A (zh) * 2014-05-22 2015-11-25 上海北京大学微电子研究院 一种新型的射频晶体管版图结构
CN106200160A (zh) * 2016-07-08 2016-12-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20104423A (ko) 2021-01-18 2022-07-26 성기봉 페달엔진자전거(실용모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316B1 (ko) * 1988-03-18 1992-04-27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전자장치의 도선들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조
KR100203054B1 (ko) * 1995-12-02 1999-06-15 윤종용 개선된 정전기 방전 능력을 갖는 집적 회로
US20050023692A1 (en) * 2003-06-23 2005-02-03 Takashi Matsunaga Semiconductor apparatus including a radiator for diffusing the heat generated therei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4246B2 (ja) * 1988-03-18 1996-03-29 富士通株式会社 配線パターン接続構造
JPH0745829A (ja) 1993-07-28 1995-02-14 Ricoh Co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0164496B1 (ko) * 1995-12-02 1998-12-15 김광호 정전기보호소자
JP4170210B2 (ja) * 2003-12-19 2008-10-22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7511345B2 (en) * 2005-06-21 2009-03-31 Sarnoff Corporation Bulk resistance control technique
CN100561738C (zh) * 2006-06-12 2009-11-18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利用多晶硅区的i/o esd保护的系统和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316B1 (ko) * 1988-03-18 1992-04-27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전자장치의 도선들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조
KR100203054B1 (ko) * 1995-12-02 1999-06-15 윤종용 개선된 정전기 방전 능력을 갖는 집적 회로
US20050023692A1 (en) * 2003-06-23 2005-02-03 Takashi Matsunaga Semiconductor apparatus including a radiator for diffusing the heat generated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50409B2 (en) 2010-07-06
CN101373766B (zh) 2012-08-15
CN101373766A (zh) 2009-02-25
US20090050968A1 (en) 2009-02-26
TWI467739B (zh) 2015-01-01
TW200929523A (en) 2009-07-01
JP2009049259A (ja) 2009-03-05
KR20090020532A (ko) 2009-02-26
JP5165967B2 (ja) 201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5952B1 (ko) 반도체 디바이스
KR101629968B1 (ko) 반도체 장치
KR101523095B1 (ko) 반도체 디바이스
KR101761922B1 (ko) 반도체 장치
US20050133839A1 (en) Semiconductor device
US20080135940A1 (en) Semiconductor Device
US7808046B2 (en) Electrostatic protection device for semiconductor circuit
JP5546191B2 (ja) 半導体装置
KR20140100424A (ko) 반도체 장치
KR100325190B1 (ko) 반도체집적회로
JP5511395B2 (ja) 半導体装置
EP0848425A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protection means
KR101279186B1 (ko) 반도체 장치
KR100780239B1 (ko) 정전기 방전 보호소자
JP2011192842A (ja) 半導体装置
TWI575698B (zh) 半導體裝置
EP2590219A1 (en) Semiconductor device
JP2013153018A (ja) 半導体装置
JP2011142189A (ja) 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