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088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088B1
KR101454088B1 KR1020127012906A KR20127012906A KR101454088B1 KR 101454088 B1 KR101454088 B1 KR 101454088B1 KR 1020127012906 A KR1020127012906 A KR 1020127012906A KR 20127012906 A KR20127012906 A KR 20127012906A KR 101454088 B1 KR101454088 B1 KR 101454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aterial
belt member
width direction
mod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2382A (ko
Inventor
유따까 가께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72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Feeding path after the transfer point and up to the fixing point, e.g. guides and feeding means for handling copy material carrying an unfused toner im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443Copy medium
    • G03G2215/00447Plural types handle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443Copy medium
    • G03G2215/00451Paper
    • G03G2215/00476Non-standard property
    • G03G2215/00481Thick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443Copy medium
    • G03G2215/00451Paper
    • G03G2215/00476Non-standard property
    • G03G2215/00485Thi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2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 G03G2215/012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 G03G2215/012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horizontal medium transport path at the secondary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04Main transfer electrode
    • G03G2215/1623Transfer bel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얇은 기록재의 분리를 전사 벨트를 밀어올림으로써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두꺼운 기록재가 전사 벨트로부터 분리하는 위치가 기록재 가이드의 선단으로부터 멀어지면, 분리한 두꺼운 기록재의 분리 후의 반송성이 불안정해진다. 기록재 반송 방향에 있어서 밀어올림 수단보다 하류측이고 기록재 가이드보다 상류측에 걸침 부재를 배치하고, 걸침 부재에 의해 두꺼운 기록재를 전사 벨트로부터 분리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복사기나 레이저 프린터 등의 전자 사진의 기술을 사용하여 상 담지체에 담지된 토너상을 기록재에 전사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기록재의 전사, 반송을 행하는 전사 벨트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롤러에 의해 걸쳐진 전사 벨트에 의해 기록재를 담지 반송하는 전자 사진 장치에서는, 전사 벨트 상의 기록재는, 전사 닙부를 통과하면 전사 벨트에 정전적으로 흡착된다.
그러나, 기록재의 강도가 약하면, 전사 벨트를 걸치는 분리 롤러의 곡률과 기록재의 강도를 이용하는 것만으로는, 기록재를 전사 벨트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 즉, 기록재가 분리 롤러의 위치에서 전사 벨트에 접착한 상태로 되어, 분리 불량이 발생한다. 따라서, 분리 위치에 있어서 전사 벨트에 굴곡을 만드는 구성으로서는, 전사 벨트를 걸치는 분리 롤러 표면에 균일하게 돌기물을 형성하여, 기록재를 분리시키는 방법이 있다(특허문헌 1). 이와 같은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분리 위치에 있어서 전사 벨트에 굴곡을 형성할 수 있지만, 전사 벨트에 항상 국소적으로 큰 장력을 작용시켜 버린다. 그 결과, 전사 벨트의 국소적인 마모가 발생하는 것에 의한 저항 불균일의 영향으로 전사성이 안정되지 않게 된다.
기록재를 담지하는 원통 형상의 전사재 담지 시트를, 기록재 분리를 위하여 변형시키면서도, 변형에 의한 마모를 저감시키는 방법이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내측으로부터 전사 시트를 밀어올리는 위치와 밀어올리지 않은 위치로 움직일 수 있는 밀어올림 수단으로서 롤러를 설치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기록재의 분리를 전사 시트를 롤러에 의해 밀어올림으로써 행하고, 기록재를 분리하지 않는 동안은 전사 시트를 밀어올리지 않는다. 필요 이상으로 전사재 시트를 변형시키지 않고, 여러 두께의 기록재를 분리하기 위해, 특허문헌 3에는, 얇은 기록재를 큰 밀어올림량으로 분리하고, 두꺼운 기록재를 작은 밀어올림량으로 분리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9-015987 일본 특허 공개 평5-119636 일본 특허 공개 평5-341664
이와 같은 구성을 전사 벨트에 적용하면, 전사 벨트 상의 기록재에 토너상을 전사하는 전사 부재로부터 기록재 반송 방향에 있어서 하류측에, 분리 공정 시에 전사 벨트를 국소적으로 밀어올리는 동작을 할 수 있는 밀어올림 수단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된다. 박지 등의 기록재의 강도가 약한 경우에, 전사 벨트가 국소적으로 밀어올려진 상태에서 기록재를 반송함으로써 기록재에 굴곡을 만들어, 분리 공정 시의 기록재의 탄력의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두꺼운 기록재를 분리할 때의 밀어올림은, 얇은 기록재를 분리할 때의 밀어올림에 비교하면 작다고는 해도, 국소적인 밀어올림에 의해 분리하기 위해서는, 소정 이상의 크기의 밀어올림량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밀어올림에 의해 전사 벨트에 형성되는 폭 방향으로의 국소적인 돌출은, 전사 벨트에 경시할 수 없는 국소적인 부하를 부여하여, 전사 벨트의 국소적인 마모를 진행시켜 버린다.
한편, 기록재가 두꺼운 경우, 전사 벨트를 걸치는 걸침 부재의 곡률과 기록재의 강도의 강도를 이용하여, 전사 벨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을 알고 있다.
따라서, 두꺼운 기록재를 분리하기 위해, 걸침 부재를, 기록재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전사 부재보다 하류측이고, 밀어올림 수단보다 상류측이나 하류측에 배치하는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두꺼운 기록재를 분리하기 위해, 걸침 부재를, 밀어올림 수단의 상류측에 배치한 경우, 기록재 반송 방향에 있어서 또한 하류측의 정착 장치에 전사 벨트로부터 분리한 기록재를 안내하는 기록재 가이드는, 기록재 반송 방향에 있어서 밀어올림 수단보다 하류측에 배치된다. 이 경우, 두꺼운 기록재가 전사 벨트로부터 분리하는 위치가 기록재 가이드의 선단으로부터 멀어지거나, 두꺼운 기록재가, 기록재의 강도의 강도와 벨트의 반송력에 의해 전사 벨트의 분리 위치로부터 튀어나온다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두꺼운 기록재가 튀어나온 경우, 기록재에 의해 돌출 상태가 변화하므로, 반송 방향이 불안정해진다. 한편, 얇은 기록재가 전사 벨트로부터 분리하는 위치가 기록재 가이드의 선단으로부터 멀어져도, 얇은 기록재의 돌출량은 커지지 않으므로, 반송 방향이 변동된다는 사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얇은 기록재의 전사 벨트로부터의 분리와 두꺼운 기록재의 전사 벨트로부터의 분리를 다른 위치에서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얇은 기록재의 분리 후의 반송성의 안정과, 얇은 기록재의 분리와는 상이한 부재에 의해 분리한 두꺼운 기록재의 분리 후의 반송성의 안정을 양립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과제는, 토너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와, 기록재를 담지 반송하는 이동 가능한 벨트 부재와, 상기 벨트 부재에 담지 반송된 기록재에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된 토너상을 정전적으로 전사하는 전사 부재와, 상기 벨트 부재의 폭 방향에 있어서 국소적으로 벨트면이 돌출되도록, 기록재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사 부재보다 하류측의 상기 벨트 부재를 내면측으로부터 밀어올리는 밀어올림 부재와, 기록재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밀어올림 부재보다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 부재로부터 분리한 기록재를 기록재 반송 방향에 있어서 하류측의 정착 장치에 안내하기 위한 기록재 가이드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기록재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밀어올림 부재보다 하류측이고, 상기 기록재 가이드보다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 부재를 걸치는 걸침 부재를 갖고, 제1 두께의 기록재가 상기 벨트 부재에 의해 반송될 때에는, 상기 밀어올림 부재에 의해 상기 벨트 부재를 밀어올리고, 기록재를 상기 벨트 부재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기록재 가이드에 전달하고,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의 기록재가 상기 벨트 부재에 의해 반송될 때에는, 상기 밀어올림 부재에 의해 상기 벨트 부재를 밀어올리지 않고, 상기 걸침 부재에 의해 기록재를 분리하여 상기 기록재 가이드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얇은 기록재의 전사 벨트로부터의 분리와 두꺼운 기록재의 전사 벨트로부터의 분리를 다른 위치에서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얇은 기록재의 분리 후의 반송성의 안정과, 얇은 기록재의 분리와는 상이한 부재에 의해 분리한 두꺼운 기록재의 분리 후의 반송성의 안정을 양립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분리 보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분리 보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분리 보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 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 2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분리 보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분리 보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7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 실시예〕
(화상 형성 장치)
도 1을 사용하여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조 부호 1Y, 1M, 1C, 1k는, 상 담지체로서의 감광 드럼이며, 화살선 A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그 표면은 대전 장치(2Y, 2M, 2C, 2k)에 의해 소정의 전압으로 균일하게 대전된다. 대전된 감광 드럼 표면은, 레이저 빔 스캐너로 이루어지는 노광 장치(3Y, 3M, 3C, 3k)에 의해 노광되어,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레이저 빔 스캐너의 출력이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온/오프됨으로써, 화상에 대응한 정전 잠상이 각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다. 현상 장치(4Y, 4M, 4C, 4k)는 각각 유채색 토너의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과 블랙(k) 토너를 내포한다. 현상 장치에는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고, 전술한 정전 잠상은 그들 현상 장치(4Y, 4M, 4C, 4k)를 통과하면 현상되어, 각 감광 드럼(1Y, 1M, 1C, 1k)면 상에 토너상이 형성된다. 정전 잠상의 노광부에 토너를 부착시켜 현상하는 반전 현상 방식이 사용된다.
감광 드럼(1Y, 1M, 1C, 1k) 상에 형성된 토너상은, 각각이 대응하는 1차 전사 롤러(5Y, 5M, 5C, 5k)로 중간 전사 벨트(6) 상에 1차 전사된다. 이렇게 해서, 중간 전사 벨트(6) 상에 4색의 토너상이 중첩하여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6)는 감광체 드럼(1)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걸침 부재로서의 걸침 롤러(20, 21, 22)에 걸쳐져 화살표 G의 방향으로 250 내지 300mm/sec로 회동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걸침 롤러(20)는 중간 전사 벨트(6)의 장력을 일정하게 제어하도록 한 텐션 롤러이다. 걸침 롤러(22)는 중간 전사 벨트(6)의 구동 롤러이다.
기록재를 담지 반송하는 전사 벨트(24)는, 복수의 걸침 부재로서의 걸침 롤러(25, 26, 27)에 걸쳐져 화살표 B의 방향으로 250 내지 300mm/sec로 이동 가능한 벨트 부재이다. 전사 벨트(24)로서, 폴리이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의 수지 또는 각종 고무 등에 대전 방지제로서 카본 블랙을 적당량 함유시켜, 그 체적 저항률을 1E+9 내지 1E+14[Ω·cm], 두께를 0.07 내지 0.1[mm]로 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전사 벨트(24)로서, 인장 시험법(JIS K 6301)으로 측정한 영률의 값이 0.5MPa 이상 10MPa 이하가 되는 탄성체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전사 벨트(24)의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영률을 0.5MPa 이상의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벨트의 형상을 충분히 유지하며 회전 구동을 할 수 있다. 한편, 10MPa 이하의 충분히 탄성 변형이 가능한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후술하는 분리 보조 장치(40)에 의해 기록재(P)에 효과적으로 굴곡 발생시켜, 보다 효과적인 전사 벨트(24)로부터의 기록재(P)의 분리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충분히 탄성 변형이 가능한 부재는, 부재가 변형된 상태로부터 변형량을 저감시켰을 때의 부재의 완화 현상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분리 보조 장치(40)에 의한 전사 벨트(24)의 마모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기록재는 도시하지 않은 카세트에 수납되어 있다. 기록재(P)는, 공급 개시 신호가 출력되면, 공급 개시 신호에 기초하여 카세트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롤러에 의해 반송되어 레지스트 롤러(8)에 유도된다. 레지스트 롤러(8)는, 기록재(P)를 일단 정지시켜, 중간 전사 벨트(6) 상의 토너상이 반송되어 오는 것과 동기하여 전사 벨트(24)에 기록재(P)를 공급한다.
레지스트 롤러(8)로부터 기록재 반송 방향(화살표 B의 방향)에 있어서 하류측에는, 중간 전사 벨트 걸침 롤러(21)와 대향하여, 토너상을 전사 벨트(24)에 담지된 기록재에 전사하는 전사 닙(N)을 형성하는 전사 부재로서 2차 전사 롤러(9)가 배치되어 있다. 기록재가 전사 닙(N)에 반송되면, 2차 전사 롤러(9)에 토너와 역극성의 2차 전사 전류가 인가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6) 상의 토너상이 기록재(P) 상에 일괄하여 정전적으로 전사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30 내지 60mA의 전류를 흘리고 있다. 2차 전사 전류가 변화하는 것은, 기록재의 건조 상태, 환경, 전사하는 토너의 양 등의 요인에 따라 필요한 전류량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2차 전사 롤러(9)는 이온 도전계 발포 고무(NBR 고무)의 탄성층과 코어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외경이 24mm, 롤러 표면 거칠기 Rz=6.0 내지 12.0(μm), 저항값이 N/N(23℃, 50%RH) 측정, 2kV 인가로 1E+5 내지 1E+7Ω의 전사 롤러를 사용하고 있다. 2차 전사 롤러(9)에는, 공급 바이어스가 가변으로 되어 있는 2차 전사 고압 전원(13)이 설치되어 있다.
전사 후에 전사 벨트(24)로부터 분리한 기록재(P)가 기록재 가이드(29)의 안내면을 거쳐 정착 장치(60)에 반송되면, 가열 가압 공정에 의해 토너상이 기록재에 정착된다. 토너상이 정착된 후에, 기록재(P)는 기계의 외부로 배출된다.
(분리 보조 장치의 구성)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사 벨트(24)로부터의 분리를 보조하기 위하여 전사 벨트(24)를 밀어올리는 수단으로서, 기록재의 분리를 국소적으로 전사 벨트(24)를 밀어올려 변형시킴으로써 행하는 분리 보조 장치(40)가 설치되어 있다. 분리 보조 장치(40)는, 기록재 반송 방향에 있어서 2차 전사 롤러(9)보다 하류측에 전사 벨트(24)의 내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분리 보조 장치(40)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 도 2의 (a), 도 2의 (b)이다. 분리 보조 장치(40)는 분리 부재인 분리 보조 롤러(41)와, 분리 보조 롤러(4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프레임(42)과, 분리 보조 롤러(41)의 요동 중심이 되는 롤러 요동 중심축(43)을 갖는다. 또한, 롤러 요동 중심축(43)을 중심으로 하여 분리 보조 롤러(41)를 요동하기 위한 롤러 구동 기어(44)와, 롤러 구동 기어(44)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 구동 전달 기어(45)와, 구동원인 모터(46)를 갖는다. 모터(46)의 회전 운동이 모터 구동 전달 기어(45)에 의해, 롤러 구동 기어(44)에 전달된다. 여기서, 롤러 구동 기어(44)와 롤러 요동 중심축(43) 사이에는 베어링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롤러 요동 중심축(43)은, 모터(46)에 의한 회전 구동의 영향은 받지 않아 위치가 움직이지 않게 되어 있다.
분리 보조 롤러(41), 롤러 프레임(42)은 롤러 요동 중심축(43)을 중심으로 모터(46)의 소정량의 정회전에 의해, 도 2의 (a)에 도시된 롤러 수납 위치로부터, Y1 방향으로 도 2의 (b)에 도시하는 분리 보조 롤러(41)가 전사 벨트(24)의 내면에 접촉하여 전사 벨트(24)를 국소적으로 밀어올리는 밀어올림 위치까지 움직인다. 또한, 모터(46)의 소정량의 역회전에 의해, 분리 보조 롤러(41)는, 도 2의 (b)의 밀어올림 위치로부터 Y2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2의 (a)에 도시된 분리 보조 롤러(41)가 전사 벨트(24)로부터 이격한 롤러를 수납하는 수납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즉, 분리 보조 롤러(41)는, 정역 회전에 의해 이러한 요동 운동을 행하게 되어 있다.
분리 보조 롤러(41)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로 이루어지고, 외경은 6 내지 10mm, 폭은 5 내지 15mm이다. 이러한 분리 보조 롤러(41)가 전사 벨트(24)를 밀어올리면, 폭 방향으로 국소적인 돌출이 전사 벨트(24)에 형성된다. 여기서, 폭 방향이란, 이동하는 벨트면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도 2의 (a)의 상태에서, 분리 보조 롤러(41)부터 걸침 롤러(26)까지의 거리는 4 내지 8mm이며, 도 2의 (b)의 상태에서는 분리 보조 롤러(41)는 전사 벨트(24)의 벨트면을 내면측으로부터 도 2의 (a)의 평면 상태로부터 3 내지 6mm 밀어올리고 있다.
2차 전사 롤러(9)에 의해, 토너와 역극성의 전하가 전사 벨트(24)의 내면에 부여되므로, 전사 닙(N) 이후에 기록재는 전사 벨트(24)에 흡착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 또한, 박지 등의 강도가 약한 기록재는 변형되기 쉽다. 그로 인해, 밀어올림에 의해 전사 벨트(24)에 발생하는 폭 방향으로 국소적인 변형에 따라, 기록재에도 굴곡이 발생한다. 그 결과, 기록재의 단면 2차 모멘트, 즉 기록재의 탄력의 강도가 커진다. 이에 의해, 박지 등의 강도가 약한 기록재를 분리하기 위하여 유효한 분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얇은 기록재에 굴곡을 만드는 밀어올림 위치가 기록재 가이드(29)로부터 지나치게 멀면, 기록재의 선단이 기록재 가이드(29)의 안내면의 기록재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단부에 닿기 전에, 기록재의 후단부가 전사 벨트(24)에 돌출이 형성되는 돌출 형성 위치를 통과해 버린다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 형성 위치는, 전사 벨트(24)가 분리 보조 롤러(41)에 밀어올려질 때에, 전사 벨트(24)가 분리 보조 롤러(41)에 접촉하는 범위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의 위치를 의미한다. 얇은 기록재는 굴곡에 의해 분리 후의 반송을 지지할 수 있어, 기록재 가이드(29)에 도달하기 전에 굴곡이 무너져 탄력이 약해지면, 반송 불량이 발생해 버린다. 따라서, 기록재 가이드(29)의 안내면의 기록재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단부부터 돌출 형성 위치까지의 거리는,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기록재의 반송 방향의 크기로서 최소 크기의 기록재보다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록재 가이드(29)의 안내면의 기록재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단부부터 돌출 형성 위치까지의 거리는, 도 2에서의 L0으로 나타낸다.
분리 보조 장치(40)가 갖는 분리 보조 롤러(41)는 기록재가 통과하는 영역에 1개이어도 좋지만, 기록재가 통과하는 범위 내에서 폭 방향으로 복수 있는 편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의 (a)는, 얇은 기록재 등의 강도가 약한 기록재(P)가, 분리 보조 롤러(41)에 의한 밀어올림에 의해 굴곡이 만들어짐으로써 전사 벨트(24)로부터 분리한 경우의, 분리 직후의 기록재의 상태를 나타낸다.
분리 직후의 얇은 기록재에는, 전사 벨트(24)로부터의 정전적 흡착력이 작용하고 있지만, 이것과는 역방향으로 굴곡에 의한 탄력의 강도가 작용하여, 얇은 기록재의 분리 후의 반송을 지지하고 있다. 분리 보조 롤러(41)가 얇은 기록재가 통과하는 영역에 폭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는 경우, 얇은 기록재에는,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형 형상의 굴곡이 형성된다. 기록재(P)의 골형 형상의 굴곡은 전사 벨트(24)의 밀어올림에 의한 돌출과 돌출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굴곡이 평탄 상태로 복귀되고자 하는 힘(F1)에 대하여, 양측으로부터 전사 벨트(24)의 돌출에 의해 누르는 힘(F2)이 작용하므로, 굴곡 형상을 유지하는 힘이 강하다. 그러나,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재(P)가 통과하는 영역에 분리 보조 롤러(41)가 1개 배치된 경우, 기록재에 산형 형상의 굴곡이 형성되지만, 골형 형상의 굴곡은 형성되지 않아, 굴곡 형상을 유지하는 힘이 약하다. 이 경우, 기록재(P)의 선단이 밀어올림에 의한 돌출부를 통과하여 기록재의 선단이 전사 벨트(24)로부터 들뜬 상태로 되면, 기록재 선단의 굴곡 형상은 바로 무너져 버린다. 즉, 밀어올림 위치를 통과한 기록재(P)의 선단이, 바로 굴곡 형상을 무너뜨려, 기록재의 선단에 부여된 탄력의 강도가 바로 상실된다는 사태가 발생했다.
또한, 분리 보조 롤러(41)를 복수 배치하는 경우에 분리 보조 롤러(41)의 배치 간격을 지나치게 좁게 하면, 전체적으로 전사 벨트(24)가 들려, 벨트 폭 방향으로 복수의 국소적인 돌출이 전사 벨트(24)에 형성되지 않게 되어, 분리성을 높일 수 없다. 벨트 폭 방향으로 복수의 국소적인 돌출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간격을 넓게 취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사 벨트(24)의 주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관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보조 롤러(41)의 폭과, 분리 보조 롤러(41)의 간격이 설정된다. L1은 분리 보조 롤러(41)끼리 둘러싸인 부분의 길이, Wk는 분리 보조 롤러(41)의 폭을 나타내고 있다. L2는, 인접한 2개의 분리 보조 롤러(41)의 대향하는 단부면 내의 부분을 나타내고 있고, L1-2Wk에 의해 얻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L2가 2Wk 이상으로 설정된다. 즉, 분리 보조 롤러(41)에 의해 전사 벨트(24)에 접촉하고 있는 길이보다 분리 보조 롤러(41)가 전사 벨트(24)에 접촉하지 않는 길이가 더 길어진다. 그 결과, 전사 벨트(24)는, 전체적으로 들어올리고자 함으로써 벨트 폭 방향으로 복수 개소 국소적으로 돌출되어 전사 벨트(24)에 요철을 만들기 쉬워진다.
본 실시 형태의 분리 보조 롤러(41)의 폭 방향의 배치를 도 5의 (a)에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 보조 롤러(41)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6개 설치되어 있다. 중앙에서 인접하는 2개의 분리 보조 롤러(41)의 간격(L4a)은 80mm, 단부로부터 2번째끼리의 분리 보조 롤러(41)의 간격(L4b)은 150mm, 단부끼리의 분리 보조 롤러(41)의 간격(L4c)은 250mm이다. 단부와 단부의 분리 보조 롤러(41) 사이의 중앙부와, 단부부터 2번째끼리의 분리 보조 롤러(41) 사이의 중앙부, 중앙에서 인접하는 2개의 분리 보조 롤러(41) 사이의 중앙부와, 어느 폭의 크기의 기록재든, 폭 방향의 중앙이 공통된 기준선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반송되는 기록재의 중앙부는 일치한다.
이렇게 분리 보조 롤러(41)를 배치하고 기록재(P)를 반송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폭 방향의 기록재 크기로서, 최소 크기인 엽서 크기부터 최대 크기인 330mm 폭의 기록재까지 대응한, 돌출부가 전사 벨트(24) 상에 복수 형성된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폭 방향의 기록재 크기는, 화상 형성 장치의 사양서 등에 기재되어 있는 기록재의 크기를 의미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2개의 분리 보조 롤러(41)끼리의 간격(L4a)인 80mm는, 반송하는 폭 방향의 크기로서 최소 크기인 엽서 크기의 기록재의 폭 방향의 크기 100mm보다 짧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2개의 분리 보조 롤러(41)의 밀어올림에 의해 형성된 돌출이, 엽서 크기의 기록재의 폭 방향의 양단부를 지지하여, 엽서 크기의 기록재에 골형 형상의 굴곡을 형성한다.
폭 방향의 크기가 150mm 이상 250mm 미만인 기록재를 반송하는 경우에는, 중앙 4개분의 분리 보조 롤러의 밀어올림에 의해 형성된 돌출이 기록재에 골형 형상의 굴곡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폭 방향의 기록재 크기로서 최대 크기인 330mm의 폭의 기록재를 반송하는 경우는, 도 5의 (c)에 도시된다. 도 5의 (d)는 이 경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6개의 분리 보조 롤러(41)에 의해 형성된 6개의 돌출이 전사 벨트(24) 상의 330mm 폭의 기록재에, 골형 형상의 굴곡을 형성한다. 단부와 단부의 분리 보조 롤러(41)의 밀어올림이, 330mm 폭의 기록재의 양단부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폭 방향의 기록재 크기로서, 최소 크기인 엽서 크기부터 최대 크기인 330mm 폭의 기록재까지, 반드시 골형 형상의 굴곡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골형 형상의 굴곡을 형성함으로써, 밀어올림 위치를 통과한 기록재(P)의 선단이, 바로 굴곡 형상을 무너뜨려, 기록재의 선단에 부여된 탄력의 강도가 바로 상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최소 크기인 엽서 크기의 기록재를 폭 방향으로 상이한 2개의 위치에서 국소적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최소 크기인 엽서 크기의 기록재에 골형 형상의 굴곡이 1개 형성된다. 그러나, 최소 크기인 엽서 크기의 기록재의 폭 방향으로 서로 다른 3개 이상의 위치를 들어올림으로써, 최소 크기인 엽서 크기의 기록재에 2개 이상의 골형 형상의 굴곡을 형성된다.
또한, 반송하는 기록재의 단부가 극단적으로 분리 보조 롤러(41)의 밀어올림에 의해 형성되는 돌출로부터 빠져, 기록재 단부에서 굴곡에 의한 단면 2차 모멘트 상승이 일어나기 어렵다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해,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폭 방향의 크기로서 최대 크기의 기록재에 대해서도, 정전기력과 같은 외력에 의해 기록재(P)에 형성된 굴곡이 사라지기 어려워져, 안정되게 기록재(P)를 반송할 수 있다.
(분리 보조 장치의 제어)
분리 보조 장치(40)의 동작 위치는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된다. 이 제어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 도 6이다. 분리 보조 장치(40)의 동작 위치 신호의 제어는, 유저로 지정된 기록재(P)의 평량 정보, 레지스트 롤러 쌍(8)의 기록재 이송 타이밍과 기록재의 반송 속도에 기초하여 얻어지는 기록재 선단 위치 정보, 2차 전사 고압 전원(13)에 의해 판독되는 2차 전사 전류값에 기초한다. 제어부(50)는 CPU, ROM, RAM을 포함한다. 유저가 화상 형성부를 조작하는 조작부(102)로부터의 정보는 제어부(50)에 입력된다. 레지스트 롤러(8)의 동작 타이밍은 제어부(50)에 입력된다. 2차 전사 고압 전원으로부터의 2차 전사 전류값의 정보가 제어부(50)에 입력된다. 제어부(50)는, 분리 보조 장치(40)의 모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평량이란, 단위 면적당 무게(g/㎡)를 나타내는 단위로, 기록재의 두께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하의 2가지의 패턴이 ROM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기록재가 평량 40g/㎡ 이하인 경우에는, 분리 보조 롤러(41)가 밀어올림 위치에 위치하여 전사 벨트(24)를 폭 방향에서 국소적으로 돌출시킨다.
·기록재가 평량 40g/㎡보다 큰 경우에는, 분리 보조 롤러(41)가 수납 위치에 위치한다. 수납 위치에 있어서 분리 보조 롤러(41)는 전사 벨트(24)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즉, 특정한 평량(제1 평량)의 기록재에 대하여 분리 보조 롤러(41)를 밀어올리는 동작을 행하고, 제1 평량보다 큰 제2 평량의 기록재에 대해서는 분리 보조 롤러(41)를 밀어올리는 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평량은, 조작부(102)에 의해 유저가 입력하는 경우나, 기록재를 수용하는 수용부에 기록재의 평량을 입력하는 경우가 있고, 그들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에 입력된 평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50)가 분리 보조 장치(40)의 동작을 결정한다.
분리 보조 장치(40)의 동작 제어의 흐름도를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스타트하면(S01), 유저 조작부(102)에 의해 유저가 설정한 기록재의 평량 정보가 판독된다(S02). 평량이 40g/㎡보다 큰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03). S03에서 기록재의 평량이 40g/㎡보다 큰 경우에는, 분리 보조 롤러는 수용 위치에 배치된다(S07). 유저에 의해 설정된 기록재(P)의 평량이 40g/㎡ 이하인 경우, 탄력이 작은 기록재를 전사 벨트(24)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분리 보조 롤러(41)에 의해 전사 벨트(24)를 밀어올려 국소적인 돌출을 형성하는 동작이 필요하게 된다. 설정된 기록재(P)의 평량이 40g/㎡ 이하인 경우, 기록재가 소정의 위치에 기록재가 도달했는지가 판단된다(S04). 소정의 위치는, 분리 보조 롤러(41)보다 기록재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위치이며, 분리 보조 롤러(41)가 전사 벨트(24)를 밀어올리는 동작이, 기록재의 선단이 분리 보조 롤러(41)에 의해 밀어올려진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완료하도록 설정된다. 기록재의 위치는, 기록재가 레지스트 롤러를 통과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과 기록재의 반송 속도로부터 검지하는 방법이나, 기록재의 통과를 검지하는 검지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기록재의 위치를 검지하는 방법 등에 의해 판단한다. 소정의 위치에 도달했다고 판단된 경우, 분리 보조 롤러(41)는 Y1 방향으로 움직여져, 전사 벨트(24)를 밀어올린, 밀어올림 위치에 배치된다(S05). 분리 보조 롤러(41)에 의해 변형된 전사 벨트(24) 상에서, 기록재(P)는, 굴곡이 만들어져 탄력의 강도가 커져, 전사 벨트(24)가 걸침 롤러(26)에 접촉한 영역에 도달하기 전에 전사 벨트(24)로부터 분리된다. 이어서, 기록재(P)의 선단 위치가 기록재 가이드(29)의 안내면에 도달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06). 또한, 기록재의 위치는, 기록재가 레지스트 롤러를 통과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과 기록재의 반송 속도로부터 검지하는 방법이나, 기록재의 통과를 검지하는 검지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기록재의 위치를 검지하는 방법 등에 의해 판단한다. 기록재가 기록재 가이드(29)의 안내면에 도달하고 있는 경우에는, 분리가 행해졌다고 판단되어, 분리 보조 롤러가 수용 위치로 이동되고(S07), 종료한다(S08).
본 실시예에서는 유저가 입력한 평량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를 행하고 있지만, 화상 형성 장치에 센서를 설치하고, 센서를 이용하여 기록재의 평량을 판단해도 좋다. 센서에 의해 판단된 평량에 기초하여 분리 보조 장치(40)의 동작이 제어되면, 큰 평량의 기록재용의 카세트에 작은 평량의 기록재가 잘못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도, 밀어올림 동작이 행해진다. 즉, 평량이 작은 기록재를 수납하는 위치를 잘못해도, 평량이 작은 기록재의 분리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센서로서는, 기록재의 반송 경로 중에, 반송된 기록재의 가중치(중량)를 검지하는 가중치(중량) 센서를 설치하고, 가중치(중량) 센서에 의해 검지된 가중치(중량)와, 기록재의 크기 정보(면적)에 기초하여, 기록재의 평량을 판단하면 된다. 혹은, 광의 투과율을 검지하는 투과형 센서를 기록재의 반송 경로 중에 설치하고, 반송되는 기록재를 투과하는 광의 투과율로부터 기록재의 두께를 판단해도 좋다.
(걸침 롤러(26)에 의한 기록재의 분리)
본 실시예는, 특정한 두께(제1 두께)의 기록재가 반송되면, 분리 보조 롤러(41)는 밀어올림 위치로 이동되지만, 특정한 두께보다 두꺼운(제2 두께의) 기록재의 기록재가 반송되면 분리 보조 롤러(41)는 밀어올림 위치로 이동하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특정한 두께의 기록재의 분리를, 분리 보조 롤러(41)를 밀어올림으로써 행하는 것이지만, 두꺼운 기록재의 분리도, 분리 보조 롤러(41)에 의해 전사 벨트(24)를 밀어올림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두꺼운 기록재를 밀어올림에 의해 분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밀어올림량은, 얇은 기록재를 밀어올림에 의해 분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밀어올림량에 비교하면 작다. 그러나, 일정 이상의 크기의 밀어올림량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밀어올림에 의해 전사 벨트(24)에 형성되는 국소적인 돌출은, 경시할 수 없는 국소적인 부하를 전사 벨트(24)에 가하여, 전사 벨트(24)의 국소적인 마모를 진행시켜 버린다. 한편, 기록재가 두꺼운 경우에는 전사 벨트(24)를 걸치는 걸침 롤러의 곡률과 기록재의 강도의 강도를 이용하여, 전사 벨트(24)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을 알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재 반송 방향에 있어서 분리 보조 롤러(41)보다 하류측에 걸침 롤러(26)를 배치하고, 걸침 롤러(26)보다 더 하류측에, 기록재를 정착 장치(60)에 안내하는 기록재 가이드(29)를 걸침 롤러(26)에 인접하여 배치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두꺼운 기록재 등의 강도가 강한 기록재(P)는, 전사 벨트(24)가 걸침 롤러(26)에 접촉하여 만곡한 영역(전사 벨트(24)의 주행 방향이 변화해 가는 영역)에 도달하면, 기록재가 폭 방향으로 굴곡지지 않아도, 걸침 롤러(26)에 의해 만곡된 전사 벨트(24)의 만곡의 곡률과 기록재의 탄력의 강도로 전사 벨트(24)로부터 분리한다. 즉, 두꺼운 기록재가 전사 벨트(24)로부터 분리하는 위치가 기록재 가이드(29)의 선단으로부터 가까워져, 전사 벨트(24)로부터 분리한 기록재는 기록재 가이드의 안내면 상으로 원활하게 이동한다. 그 결과, 두꺼운 기록재 등의 강도가 강한 기록재가 기록재의 탄력의 강도와 전사 벨트(24)의 반송력에 의해 분리 후에 전사 벨트(24)로부터 튀어나온다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얇은 기록재 등의 강도가 약한 기록재가 전사 벨트(24)로부터 분리하는 위치는, 기록재 반송 방향에 있어서 두꺼운 기록재가 분리하는 위치보다 상류측이 된다. 즉, 기록재 가이드(29)의 선단으로부터 멀어지지만, 얇은 기록재 등의 강도가 약한 기록재는 돌출량이 작으므로, 기록재의 반송 방향이 크게 변동된다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분리 보조 롤러가 전사 벨트(24)를 밀어올린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도 2의 (b)이며,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도 2의 (a)이다. 기록재의 분리를 전사 벨트(24)를 밀어올림으로써 행함으로써, 기록재의 분리 위치가, 기록재 반송 방향에 있어서 걸침 롤러(26)보다 상류측이 되고, 기록재 가이드(29)로부터 멀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사 벨트(24)의 마모를 피하기 위해, 수납 위치는, 분리 보조 롤러(41)가 전사 벨트(24)로부터 이격하는 위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납 위치에 있어서 분리 보조 롤러(41)가 전사 벨트(24)로부터 이격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수납 위치에 있어서 전사 벨트(24)를 변형시키지 않을 정도로 분리 보조 롤러(41)가 전사 벨트(24)에 가볍게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평량이 동일한 기록재라도, 기록재의 재질이 상이하면, 기록재 자신의 저항값은 상이한 것으로 된다. 그 결과, 평량이 동일한 기록재라도, 2차 전사 바이어스가 정전압 제어되어 있으면, 기록재가 2차 전사 닙을 통과할 때에 실제로 흐르는 2차 전사 전류값은 동일하게 되지 않는 사태가 발생한다. 기록재가 2차 전사 닙을 통과할 때에 흐르는 2차 전사 전류가 커지면, 기록재와 전사 벨트(24)의 정전 흡착력이 강해져, 분리성이 악화된다고 생각되어진다. 따라서, 2차 전사 전류가, 기록재의 전사 벨트(24)로부터의 분리성에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했다. 검토한 바, 2차 전사 전류값이 40μA보다 커지면, 평량이 40g/㎡보다 크고 60g/㎡보다 작은 기록재를 걸침 롤러(26)에 의해 전사 벨트(24)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사 전류값을 검지하는 전사 전류 검지부를 설치한 후, 기록재 선단이 2차 전사 닙을 통과할 때에 전사 전류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전사 전류값을 근거로 하여, 분리 보조 장치(40)의 동작 제어를 판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 보조 장치(40)의 동작 위치 제어는, 표 1에 나타내는 매트릭스에 기초하여, 도 9에 도시하는 플로우로 행해진다.
Figure 112012039863893-pct00001
표 1은, 제어부(50) 내에 설치되어 있는 기억부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테이블이다. 이 제어 테이블은, 기록재의 평량, 기록재 선단이 전사 닙을 통과할 때의 전사 전류값에 따라, 분리 보조 롤러(41)에 의해 전사 벨트(24)를 변형시키는 경우(변형)와, 분리 보조 롤러(41)를 전사 벨트(24)로부터 이격시키고 있는 경우(이격)를 나누는 것이다. 기록재의 평량이 60g/㎡ 이상인 경우, 「이격」 상태로 한다. 기록재의 평량이 40g/㎡보다 크고 60g/㎡보다 작은 경우, 기록재 선단의 전사 전류값이 40iA 이하이면 「이격」 상태로 하고, 40iA보다 크면, 「변형」 상태로 한다. 기록재의 평량이 40g/㎡보다 작은 경우, 「변형」 상태로 한다. 즉, 판독된 전사 전류가 소정의 전류값(제1 전류값)인 경우에 「변형」 상태로 하고, 제1 전류값보다 작은 전류값(제2 전류값)인 경우에 「이격」 상태로 한다.
분리 보조 장치(40)의 동작 제어의 흐름도를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스타트하면(S01), 유저 조작부(102)에 의해 유저가 설정한 기록재의 평량 정보가 판독된다(S02). 판독된 평량이 40g/㎡보다 큰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03). 유저에 의해 설정된 기록재(P)의 평량이 40g/㎡ 이하에서는, 전사 벨트(24)로부터 기록재를 분리하기 위해, 분리 보조 롤러(41)에 의해 전사 벨트(24)를 밀어올려 돌출을 형성하는 동작이 필요하게 된다. 설정된 기록재(P)의 평량이 40g/㎡ 이하인 경우, 기록재가 레지스트 롤러를 통과 후에 소정의 위치에 기록재가 도달했는지가 판단된다(S07). 소정의 위치는, 분리 보조 롤러(41)보다 기록재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위치이며, 분리 보조 롤러(41)가 전사 벨트(41)를 밀어올리는 동작이, 기록재의 선단이 분리 보조 롤러(41)에 의해 밀어올려진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완료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기록재의 위치는, 기록재가 레지스트 롤러를 통과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과 기록재의 반송 속도로부터 검지하는 방법이나, 기록재의 통과를 검지하는 검지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기록재의 위치를 검지하는 방법이나, 2차 전사 전류가 판독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과 기록재의 반송 속도로부터 검지하는 방법 등에 의해 판단한다.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될 때까지 분리 보조 롤러를 밀어올림 위치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전사 벨트(24)가 마모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소정의 위치에 도달했다고 판단된 경우, 분리 보조 롤러(41)는 Y1 방향으로 움직여져, 전사 벨트(24)를 밀어올리는 위치에 배치된다(S08). 분리 보조 롤러(41)에 의해 변형된 전사 벨트(24) 상에서, 기록재(P)는, 굴곡이 만들어져 탄력의 강도가 커져, 걸침 롤러(26)에 도달하기 전에 전사 벨트(24)로부터 분리된다.
S03에서 기록재의 평량이 40g/㎡보다 큰 경우에는, 이어서, 평량은 60g/㎡보다 작은지의 판단이 행해진다(S04). 평량이 60g/㎡ 이상인 경우에는, 분리 보조 롤러(41)는 수용 위치에 배치된다(S11). 유저에 의해 설정된 기록재(P)의 평량이 40g/㎡보다 크고, 60g/㎡보다 작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기록재의 선단이 2차 전사 닙에 도달했는지가 판단된다(S05). 기록재의 선단이 2차 전사 닙에 도달했다고 판단된 경우, 기록재 선단이 2차 전사 닙을 통과할 때에 전사 전류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는 2차 전사 전류값이 40μA 이상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06). 전류값이 40μA 미만인 경우에는, 분리 보조 롤러(41)는 수용 위치에 배치된다(S11). 한편, 전사 전류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는 전사 전류값이 40μA 이상인 경우에는, 다음에 기록재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했는지가 판단된다(S07). 기록재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했다고 판단된 경우, 분리 보조 롤러(41)가 밀어올림 위치에 배치된다(S08). 분리 보조 롤러(41)가 밀어올림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분리 보조 롤러(41)를 사용한 분리가 행해진다. 기록재의 선단 위치 정보가 취득된다(S09). 기록재의 선단 위치 정보는, 기록재가 레지스트 롤러를 통과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과 기록재의 반송 속도로부터 검지하는 방법이나, 기록재의 통과를 검지하는 검지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기록재의 위치를 검지하는 방법 등에 의해 취득된다. 그리고, 기록재의 선단 위치가 기록재 가이드(29)의 안내면에 도달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10). 기록재 선단이 기록재 가이드(29)의 안내면에 도달하고 있는 경우에는, 분리 보조 롤러가 수용 위치로 이동되고(S11), 종료한다(S12).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의 평량이 40g/㎡보다 크고 60g/㎡보다 작은 경우에는, 분리 보조 롤러의 동작 제어를, 기록재 선단이 2차 전사 닙을 통과할 때에 전사 전류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전사 전류값에 의해 판단했다. 그러나, 평량이 40g/㎡보다 크고 60g/㎡보다 작은 경우에 분리 보조 롤러의 동작 제어를 결정하기 위해, 기록재가 2차 전사 닙을 통과하기 전에 검지된 2차 전사 전류를 이용하여 판단해도 좋다.
(분리 보조 롤러(41)의 동작 제어의 타이밍)
도 8을 사용하여, 평량이 40g/㎡보다 크고 60g/㎡보다 작은 경우이고, 2차 전사 전류값이 40μA 이상인 경우에 분리 보조 롤러를 제어하는 타이밍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전압 제어된 2차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ON)되어, 기록재의 선단이 2차 전사 닙에 도달하면, 전사 전류 검지 부재에 의해 2차 전사 전류가 판독된다. 기록재 선단이 2차 전사 닙에 도달하고 나서 판독된 2차 전사 전류값이 40μA 이상인 경우, 분리 보조 롤러(41)를 밀어올림 위치로 이동시키는 분리 보조 롤러 동작 신호가 제어부(50)로부터 분리 보조 롤러(41)에 전달된다. 그 후, 기록재의 선단이 기록재 가이드(29)의 안내면에 도착했다고 판단되면, 분리 보조 롤러(41)를 수납 위치로 이동시키는 분리 보조 롤러 동작 신호가 제어부(50)로부터 분리 보조 롤러(41)에 전달된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2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3이 실시예 2와 상이한 것은, 평량이 40g/㎡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 분리 보조 롤러(41)를 밀어올림 위치로 이동시키는 타이밍이다.
평량이 40g/㎡인 경우, 2차 전사 전류를 판독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평량이 40g/㎡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 분리 보조 롤러(41)의 밀어올림 위치로의 이동을, 기록재가 2차 전사 닙에 도달하기 전에 완료시킨다. 기록재가 2차 전사를 행하는 동안에 분리 보조 롤러(41)가 이동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평량이 40g/㎡인 경우에 분리 보조 롤러(41)의 이동에 의한 진동이 2차 전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0의 (a)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1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는, 분리 보조 롤러(41)가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분리 보조 롤러(41)끼리의 간격(L5)은 기록재의 폭보다 짧은 250mm로 되어 있다. 특히, 폭 방향의 크기가 297mm인 A4 크기의 얇은 기록재에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10의 (b)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1과 중복되는 부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 보조 롤러(41)가 폭 방향으로 3개 설치되어 있다. 이웃끼리의 분리 보조 롤러(41)의 간격(L6)은 125mm이다. 최단부의 분리 보조 롤러(41)끼리의 간격은 250mm이다. 중앙부의 분리 보조 롤러(41)는, 어느 폭의 크기의 기록재든, 폭 방향의 중앙이 공통된 기준선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반송되는 기록재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특히, 폭 방향의 크기가 297mm인 A 크기의 얇은 기록재가 반송된 경우에는, 전사 벨트(24) 상의 기록재(P)에 형성되는 골형 형상이 2개 형성된다. A4 크기의 기록재에 대해서는 골형 형상을 복수 형성함으로써, A4 크기의 기록재의 분리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분리 보조 롤러(41)를 기록재의 폭에 대하여 4개 이상 갖게 해도 좋다.
〔실시예 6〕
도 10의 (c)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1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분리 보조 롤러(41)가 폭 방향으로 3개 설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분리 보조 롤러(41)끼리의 간격은, 짧은 간격(L7) 80mm과, 긴 간격(L8) 170mm이다. 단부와 단부의 분리 보조 롤러(41)의 간격(L9)은 250mm이다.
반송하는 기록재(P)의 폭 방향의 크기가 100mm 이상 170mm 미만인 경우를 도 11의 (a)에 도시한다. 이 경우에는, 짧은 간격(L7)으로 인접하는 분리 보조 롤러(41) 사이의 중앙부와, 반송하는 기록재(P)의 폭 방향의 중앙부가 일치하도록, 기록재(P)가 반송된다.
반송하는 기록재(P)의 폭 방향의 크기가 170mm 이상 250mm 미만인 경우를 도 11의 (b)에 도시한다. 이 경우에는, 긴 간격(L8)으로 인접하는 분리 보조 롤러(41) 사이의 중앙부와, 반송하는 기록재(P)의 폭 방향의 중앙부가 일치하도록 기록재(P)가 반송된다.
반송하는 기록재(P)의 폭 방향의 크기가 250mm 이상인 경우를, 도 11의 (c)에 도시한다. 이 경우, 단부와 단부의 분리 보조 롤러(41) 사이의 중앙부와, 반송하는 기록재(P)의 폭 방향의 중앙부가 일치하도록 기록재(P)가 반송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사용하면, 폭 방향의 크기가, 최소 크기인 엽서 크기부터 330mm 폭의 기록재까지 대응한, 돌출부가 전사 벨트(24) 상에 복수 형성된다.
〔실시예 7〕
도 12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1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가변 동작용의 모터(46)가, 분리 보조 롤러(41) 하나 하나에 설치되어 있다. 분리 보조 롤러(41)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6개 설치되어 있다. 중앙에서 인접하는 2개의 분리 보조 롤러(41)의 간격(L4a)은 80mm, 단부로부터 2번째끼리의 분리 보조 롤러(41)의 간격(L4b)은 150mm, 단부끼리의 분리 보조 롤러(41)의 간격(L4c)은 250mm이다. 어느 폭의 크기의 기록재든, 폭 방향의 중앙이 공통된 기준선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반송된다. 기록재의 중앙부는, 단부와 단부의 분리 보조 롤러(41) 사이의 중앙부와, 단부로부터 2번째끼리의 분리 보조 롤러(41) 사이의 중앙부, 중앙에서 인접하는 2개의 분리 보조 롤러(41) 사이의 중앙부와 일치한다.
롤러 구동 기어(44)와 롤러 요동 중심축(43) 사이의 베어링에 의해, 각 분리 보조 롤러(41)에 대응한 모터(46)의 구동 동작은, 다른 분리 보조 롤러(41)의 구동 동작에 간섭하지 않고 행해진다. 각 분리 보조 롤러(41)의 동작 위치는, 유저 조작부(102)에 의해 유저가 지정한 기록재의 폭 방향의 크기 정보에 따라 제어된다. 즉, 반송되는 기록재가 통과하는 폭 방향의 영역에 배치된 분리 보조 롤러(41)는 밀어올림 위치에 위치하고, 반송되는 기록재가 통과하지 않는 비통과 영역에 배치된 분리 보조 롤러(41)는 수납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반송되는 기록재(P)의 폭 방향의 크기가 100mm 이상 150mm 미만인 경우,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6개의 분리 보조 롤러(41) 중, 한가운데 2개의 분리 보조 롤러(41)가 밀어올려진다. 반송되는 기록재의 폭 방향의 크기가 150mm 이상 250mm 미만인 경우는, 도 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6개의 분리 보조 롤러(41) 중, 한가운데 4개의 분리 보조 롤러(41)가 밀어올려진다. 반송되는 기록재(P)의 폭 방향의 크기가 250mm 이상인 경우는, 도 1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6개의 분리 보조 롤러(41) 중, 한가운데 4개의 분리 보조 롤러(41)가 밀어올려진다.
얇은 기록재가 반송되어도, 기록재 통과 영역의 분리 보조 롤러(41)를 밀어올리고, 기록재 비통과 영역의 분리 보조 롤러(41)를 밀어올리지 않음으로써 얇은 기록재를 분리 보조 롤러를 사용하여 분리할 때의 벨트에 가해지는 부하를 억제할 수 있다.
1: 감광 드럼
2: 1차 대전기
3: 노광 장치
4: 현상기
5: 1차 전사 롤러
6: 중간 전사 벨트
8: 레지스트 롤러
9: 2차 전사 롤러
11: 드럼 클리닝 장치
12: 벨트 클리닝 장치
13: 2차 전사 고압 전원
20: 중간 전사 벨트 걸침 롤러(텐션 롤러)
21: 중간 전사 벨트 걸침 롤러(2차 전사 롤러(9)의 대향 롤러)
22: 중간 전사 벨트 걸침 롤러(구동 롤러)
24: 전사 벨트
25: 전사 벨트 걸침 롤러
26: 전사 벨트 걸침 롤러
27: 전사 벨트 걸침 롤러(텐션 롤러)
29: 기록재 가이드
31: 전사 벨트 클리닝 장치
40: 분리 보조 장치
50: 제어부
60: 정착 장치
P: 기록재
A: 감광 드럼의 회전 방향
B: 전사 벨트의 회전 방향
G: 중간 전사 벨트 회전 방향
N: 2차 전사 부위

Claims (13)

  1. 토너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와,
    기록재를 담지하여 반송하는 이동 가능한 벨트 부재와,
    상기 벨트 부재에 의해 담지되어 반송된 기록재에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된 토너상을 정전적으로 전사하는 전사 부재와,
    상기 벨트 부재의 폭 방향으로 복수의 돌출부를 갖고, 기록재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사 부재보다 하류측의 상기 벨트 부재를 내면측으로부터 밀어올리는 밀어올림 부재와,
    상기 벨트 부재를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밀어올림 부재의 복수의 돌출부가 상기 벨트 부재의 폭 방향으로 복수의 돌출된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모드와, 상기 밀어올림 부재의 복수의 돌출부가 상기 벨트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제2 모드를 실행하는 실행부와,
    제1 두께를 갖는 기록재가 상기 벨트 부재에 의해 반송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를 갖는 기록재가 상기 벨트 부재에 의해 반송되는 경우에 상기 제2 모드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토너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와,
    기록재를 담지하여 반송하는 이동 가능한 벨트 부재와,
    상기 벨트 부재에 의해 담지되어 반송된 기록재에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된 토너상을 정전적으로 전사하는 전사 부재와,
    상기 벨트 부재의 폭 방향으로 복수의 돌출부를 갖고, 기록재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사 부재보다 하류측의 상기 벨트 부재를 내면측으로부터 밀어올리는 밀어올림 부재와,
    상기 벨트 부재를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밀어올림 부재의 복수의 돌출부가 상기 벨트 부재의 폭 방향으로 복수의 돌출된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모드와, 상기 밀어올림 부재의 복수의 돌출부가 상기 벨트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제2 모드를 실행하는 실행부와,
    제1 평량을 갖는 기록재가 상기 벨트 부재에 의해 반송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제1 평량보다 큰 제2 평량을 갖는 기록재가 상기 벨트 부재에 의해 반송되는 경우에 상기 제2 모드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토너상을 담지하는 상담지체와,
    기록재를 담지하여 반송하는 이동 가능한 벨트 부재와,
    상기 벨트 부재에 의해 담지되어 반송된 기록재에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된 토너상을 정전적으로 전사하는 전사 부재와,
    상기 벨트 부재의 폭 방향으로 복수의 돌출부를 갖고, 기록재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사 부재보다 하류측의 상기 벨트 부재를 내면측으로부터 밀어올리는 밀어올림 부재와,
    상기 벨트 부재를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밀어올림 부재의 복수의 돌출부가 상기 벨트 부재의 폭 방향으로 복수의 돌출된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모드와, 상기 밀어올림 부재의 복수의 돌출부가 상기 벨트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제2 모드를 실행하는 실행부와,
    제1 강도(stiffness)를 갖는 기록재가 상기 벨트 부재에 의해 반송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제1 강도보다 큰 제2 강도를 갖는 기록재가 상기 벨트 부재에 의해 반송되는 경우에 상기 제2 모드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전사 부재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사 전류 검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 부재가 토너상을 기록재로 전사할 때, 상기 전사 전류 검출 부재에 의해 제1 전류값이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전사 부재가 토너상을 기록재에 전사할 때, 상기 전사 전류 검출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전류값보다 큰 제2 전류값이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제2 모드를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어올림 부재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기록재 중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최소 크기의 기록재가 통과하는 영역 내에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 있어서, 상기 밀어올림 부재의 2개 이상의 돌출부는 상기 벨트 부재에 의해 반송된 기록재의 폭에 대응하는 영역에 복수의 돌출된 부분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의 기록재의 중앙은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벨트 부재의 중앙에 따라서 반송되고,
    상기 제1 모드에 있어서, 복수의 돌출부의 각각은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벨트 부재의 중앙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어올림 부재는 제1 돌출부와,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1 돌출부에 인접한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벨트 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의 길이의 전체값은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의 길이보다 작은, 화상 형성 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기록재 중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최소 크기의 기록재의 상기 폭 방향으로 각각의 가장자리에 가장 근접한 돌출부들 간의 거리는 상기 최소 크기의 기록재의 폭보다 작은, 화상 형성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기록재 중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최대 크기의 기록재의 상기 폭 방향으로 각각의 가장자리에 가장 근접한 돌출부들 간의 거리는 상기 최대 크기의 기록재의 폭보다 작은, 화상 형성 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 있어서, 기록재의 상기 폭 방향 내측의 영역에서 상기 밀어올림 부재의 돌출부는 상기 벨트 부재를 밀어 올리며, 기록재의 상기 폭 방향 외측의 영역에서 상기 밀어올림 부재의 돌출부는 상기 벨트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어올림 부재는 상기 밀어올림 부재의 복수의 돌출부를 지지하는 축을 포함하고, 상기 축의 축선의 방향은 기록재 반송 방향과 교차하며,
    상기 밀어올림 부재의 복수의 돌출부의 각각은 상기 축의 축선 둘레로 회전되도록 원통형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모드에 있어서, 상기 밀어올림 부재의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벨트 부재의 이동과 연동하여 회전되고 상기 밀어올림 부재의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벨트 부재를 가압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록재의 선단이 기록재의 반송 방향으로 상기 밀어올림 부재의 위치의 상류측의 제1 위치에 도달할 때부터, 기록재의 선단이 상기 밀어올림 부재의 위치의 하류측의 제2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에 상기 제1 모드를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27012906A 2009-10-29 2009-10-29 화상 형성 장치 KR101454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8624 WO2011052063A1 (ja) 2009-10-29 2009-10-29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382A KR20120072382A (ko) 2012-07-03
KR101454088B1 true KR101454088B1 (ko) 2014-10-22

Family

ID=43921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906A KR101454088B1 (ko) 2009-10-29 2009-10-29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494432B2 (ko)
EP (1) EP2495618A1 (ko)
JP (1) JP5208280B2 (ko)
KR (1) KR101454088B1 (ko)
CN (1) CN102667637B (ko)
BR (1) BR112012009872A2 (ko)
RU (1) RU2502105C1 (ko)
WO (1) WO20110520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95618A1 (en) * 2009-10-29 2012-09-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ation apparatus
JP5171886B2 (ja) 2010-05-31 2013-03-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618644B2 (ja) * 2010-06-15 2014-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505908B2 (ja) * 2011-11-17 2014-05-28 シャープ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103072832B (zh) 2011-10-26 2016-02-17 夏普株式会社 供纸装置以及具备该供纸装置的图像形成装置
JP5879154B2 (ja) * 2012-02-29 2016-03-08 桂川電機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518238B2 (ja) * 2012-07-31 2014-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加熱装置
JP6021494B2 (ja) * 2012-07-31 2016-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加熱装置
CN104977830B (zh) * 2014-04-02 2017-09-08 佳能株式会社 成像设备
JP6229850B2 (ja) * 2015-03-26 2017-11-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3059122A (ja) * 2021-10-14 2023-04-2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高分子材料成型物、定着部材、定着部材の製造方法、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1664A (ja) * 1992-06-08 1993-12-2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990685A (ja) * 1995-09-20 1997-04-04 Fuji Xerox Co Ltd 厚紙搬送方法とその方法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2000242090A (ja) * 1999-02-18 2000-09-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7117B2 (ja) * 1988-04-05 1997-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915510B2 (ja) * 1990-07-05 1999-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5119636A (ja) 1991-10-24 1993-05-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5893657A (en) * 1992-12-28 1999-04-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heet conveying apparatus that facilitates jam recovery
JPH08166747A (ja) 1994-10-14 1996-06-25 Ricoh Co Ltd シート材からの付着物除去装置
JPH0915987A (ja) 1995-06-28 1997-01-1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916024A (ja) * 1995-06-30 1997-01-17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990768A (ja) * 1995-09-20 1997-04-04 Fuji Xerox Co Ltd 記録シート剥離装置
JPH0996967A (ja) * 1995-09-29 1997-04-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5740512A (en) * 1995-10-27 1998-04-14 Fuji Xerox Co., Ltd. Image formation system with swell correction
JP3393280B2 (ja) * 1995-12-07 2003-04-07 コニカ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5822665A (en) * 1996-05-16 1998-10-13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vibration of a transfer film caused from the operation of a separating device
US5995797A (en) * 1997-05-26 1999-11-30 Konic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conveys unfixed toner images to a fixing device in an undisturbed and stable manner so that image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a sheet
JPH1124341A (ja) 1997-07-09 1999-01-29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H1138796A (ja) * 1997-07-15 1999-02-12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3466958B2 (ja) * 1999-05-13 2003-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559490B2 (ja) 2000-02-23 2004-09-02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
JP3559491B2 (ja) 2000-02-23 2004-09-02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
US6389242B1 (en) * 2000-09-15 2002-05-14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US6631249B2 (en) * 2000-09-29 2003-10-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the overflow of toner on a clean blade
JP2004133419A (ja) * 2002-09-20 2004-04-3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転写ユニット
JP4455440B2 (ja) * 2004-07-30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056638A (ja) 2004-08-18 2006-03-02 Fuji Xerox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0644656B1 (ko) * 2004-12-01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5094242B2 (ja) * 2007-07-04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06718B2 (ja) * 2008-05-12 2011-06-22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433228B2 (en) * 2009-01-12 2013-04-30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ipping media from a surface in an apparatus useful for printing
EP2495618A1 (en) * 2009-10-29 2012-09-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ation apparatus
JP5484004B2 (ja) * 2009-11-09 2014-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71886B2 (ja) * 2010-05-31 2013-03-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618644B2 (ja) * 2010-06-15 2014-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258862B2 (ja) * 2010-10-19 2013-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258863B2 (ja) * 2010-10-20 2013-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2098535A (ja) * 2010-11-02 2012-05-2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12108381A (ja) * 2010-11-18 2012-06-0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679788B2 (ja) * 2010-12-06 2015-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2128031A (ja) * 2010-12-13 2012-07-0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677074B2 (ja) * 2010-12-16 2015-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1664A (ja) * 1992-06-08 1993-12-2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990685A (ja) * 1995-09-20 1997-04-04 Fuji Xerox Co Ltd 厚紙搬送方法とその方法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2000242090A (ja) * 1999-02-18 2000-09-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2063A1 (ja) 2011-05-05
EP2495618A1 (en) 2012-09-05
US20110103861A1 (en) 2011-05-05
US8626014B2 (en) 2014-01-07
US20130279931A1 (en) 2013-10-24
CN102667637B (zh) 2015-01-21
CN102667637A (zh) 2012-09-12
KR20120072382A (ko) 2012-07-03
BR112012009872A2 (pt) 2016-09-27
JPWO2011052063A1 (ja) 2013-03-14
US8494432B2 (en) 2013-07-23
JP5208280B2 (ja) 2013-06-12
RU2012122010A (ru) 2013-12-10
RU2502105C1 (ru) 201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088B1 (ko) 화상 형성 장치
JP4038328B2 (ja) 画像形成装置、転写材搬送方法及び転写装置
JP200707918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73366A (ja) シート搬送装置
US843767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071968A (ja) 画像形成装置
US873144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urging member with projected portion to urge sheet against transfer belt
EP239791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66044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939434B2 (ja) シート状部材の搬送路切替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679788B2 (ja) 画像形成装置
JP525886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2128031A (ja) 画像形成装置
JP5888957B2 (ja) 画像形成装置
JP537778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197774A (ja) タンデム型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1206587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511631B2 (ja) 画像形成装置
JP443406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0159384A (ja) 画像形成装置
JP2012123111A (ja) 画像形成装置
JP201212828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