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189B1 - 프레스 장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레스 장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189B1
KR101452189B1 KR1020127029705A KR20127029705A KR101452189B1 KR 101452189 B1 KR101452189 B1 KR 101452189B1 KR 1020127029705 A KR1020127029705 A KR 1020127029705A KR 20127029705 A KR20127029705 A KR 20127029705A KR 101452189 B1 KR101452189 B1 KR 101452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heating
press
hot press
apparatu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7507A (ko
Inventor
시즈아키 오카자키
Original Assignee
기타가와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가와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가와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7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7/00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 B30B7/02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having several platens arranged one above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2/00Pres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0B1/00 - B30B1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6Platens or press rams
    • B30B15/062Press plates
    • B30B15/064Press plates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4Heating or cooling press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7/00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 B30B7/02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having several platens arranged one above the other
    • B30B7/023Feeding or discharg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프레스 장치 시스템이 열반 사이에 피가공물을 끼우고 가열 프레스하는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와,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에 대하여 피가공물의 반입 및 반출을 행하는 로더와,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 및 상기 로더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고, 제어 수단은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의 하나로 피가공물의 가열 프레스를 행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가열 프레스 장치 및 상기 로더를 제어하여, 다른 가열 프레스 장치에 대하여 피가공물의 반입 및 반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레스 장치 시스템{PRESS DEVICE SYSTEM}
본 발명은 진공 챔버 내에서 피가공물을 진공하에서 가열 프레스하는 가열 프레스 장치를 구비한 프레스 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프리프레그 시트 등의 수지 시트와 구리박을 교대로 중첩하여 형성된 피가공물을 열반(熱盤) 사이에서 프레스하는 가열 프레스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가열 프레스를 행할 때에 필요한 시간은 적층에 의한 피가공물 형성(조립) 시간의 수배 이상이기 때문에, 가열 프레스 장치는 일본 특허출원공개공보 JP2002-316296A(이하, 특허문헌 1이라고 함)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다수의 열반을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놓은 다단 프레스 장치를 사용하여, 한번에 다수의 피가공물을 프레스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 공정을 멈추지 않고 피가공물을 효율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가열 프레스 장치를 사용하여, 상류 공정인 조립 공정을 멈추지 않고 피가공물의 성형을 행하고자 하면, 가열 프레스 장치에 필요한 열반의 매수가 많아지고, 또 가열 프레스를 행할 때의 열반의 이동량도 큰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해, 슬립 사고의 발생이나 제품의 두께의 불균일이 큰 것이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열반의 이동량이 크기 때문에, 열반 내에 설치된 유로에 가열된 열매를 순환시킴으로써 열반을 가열시키는 구성의 경우, 열반 내의 유로와, 외부의 가열 수단 및 열매 순환용 펌프를 접속하는 배관의 길이도 길어져, 배관으로부터의 열의 로스도 큰 것이 된다.
또, 가열 프레스를 행하여 전자 회로 기판을 제조하는 경우는,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구성과 같이, 수지 시트와 구리박의 밀착성의 향상이나, 수지 시트 내의 기포의 제거를 위해서, 진공하에서 프레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열 프레스를 행하는 가열 프레스 장치는 진공하에서 가열 프레스를 행하기 때문에, 다수의 열반 전부를 진공 챔버로 덮을 필요가 있다. 이 진공 챔버는 다수의 열반을 덮을 수 있는 대형의 것이 되기 때문에, 진공 챔버 내를 진공 형성하기 위한 진공 펌프도 대형의 것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슬립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 성형 제품의 두께의 불균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조립 공정을 멈추지 않고 피가공물의 성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프레스 장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프레스 장치 시스템은 열반 사이에 피가공물을 끼우고 가열 프레스하는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와,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에 대하여 피가공물의 반입 및 반출을 행하는 로더와,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 및 로더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고, 복수의 열반은 상부 열반과, 하부 열반과, 상부 및 하부 열반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중간 열반을 포함하고, 중간 열반의 하나에는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퍼지는 중간 열반 유지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고, 진공 챔버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하 한 쌍의 되(곡식 등을 담아 분량을 헤아리는 데 쓰는 그릇) 형상의 용기를 가지고, 이 한 쌍의 되 형상의 용기는 중간 열반 유지 플레이트를 끼워넣도록 닫아 내부를 외부로부터 밀폐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수단은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의 하나로 피가공물의 가열 프레스를 행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가열 프레스 장치 및 로더를 제어하여, 다른 가열 프레스 장치에 대하여 피가공물의 반입 및 반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각 가열 프레스 장치의 열반의 매수는 소량이라도, 단시간에 다수의 피가공물을 프레스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 공정을 멈추지 않고 피가공물의 성형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가열 프레스 장치 1대당 열반 매수를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립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고, 성형 제품의 두께의 불균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가열 프레스 장치 1대당 진공 챔버의 용적은 작은 것이 되기 때문에, 진공 챔버의 진공 형성에 필요한 진공 펌프의 소형화 및 저출력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의 하나로 피가공물의 가열 프레스를 행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가열 프레스 장치에 대하여 피가공물의 반입 및 반출을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로더에 의해 한번에 반송하는 피가공물의 수는 소량이어도 되어, 로더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가열 프레스 전의 피가공물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스태커로 보관하는 피가공물의 수도 소량이면 된다.
또,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놓여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프레스 장치 시스템의 접지 면적을 크게 하지 않고, 다수의 피가공물을 가열 프레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중간 열반 매수가 1매이며,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는 한 쌍의 측벽을 가지는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한 쌍의 측벽의 내벽면에는 각각 중간 열반 유지 플레이트와 걸어맞춰지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어 수단은 가열 프레스 장치에 대하여 피가공물의 반입 및 반출을 행할 때에는, 열반 구동 기구에 의해 하부 열반을 제1 높이까지 강하시키고, 가열 프레스를 행할 때에는, 열반 구동 기구에 의해 하부 열반을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까지 상승시키도록 이 가열 프레스 장치를 제어하고, 하부 열반이 제1 높이에 있을 때에는, 중간 열반 유지 플레이트가 돌출부에 걸리고, 중간 열반은 하부 열반으로부터 부상하고, 하부 열반이 제2 높이에 있을 때에는, 중간 열반 유지 플레이트가 돌출부로부터 부상하고, 중간 열반은 상부 열반과 하부 열반 사이에서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는 진공 펌프와, 제어 수단에 제어되고,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의 진공 챔버의 어느 것으로부터 공기를 제거할지를 전환하는 전환 밸브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1대의 진공 펌프로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의 진공 챔버의 진공 형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슬립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 성형 제품의 두께의 불균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조립 공정을 멈추지 않고 피가공물의 성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프레스 장치 시스템이 실현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프레스 장치 시스템의 전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스태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a)~(d)의 각각은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로더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C 단면도이다.
도 7(a)~(d)는 각각 본 실시형태의 스태커 또는 로더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가열 프레스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큐어 프레스 장치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프레스 장치 시스템(1)의 전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프레스 장치 시스템(1)은 성형 전의 피가공물이 일시적으로 보관되는 스태커(100)와, 피가공물을 가열 프레스하는 가열 프레스부(200)와, 가열 프레스 된 피가공물의 큐어 프레스를 행하는 큐어 프레스 장치(300)와, 큐어 프레스가 끝난 후의 피가공물을 냉각하는 냉각 프레스 장치(400)와, 냉각 프레스가 완료된 피가공물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언스태커(500)와, 스태커(100), 가열 프레스부(200), 큐어 프레스 장치(300), 냉각 프레스 장치(400) 및 언스태커(500) 사이에서 피가공물의 운반을 행하는 로더(600)를 가진다. 또, 스태커(100)의 상류에는 프리프레그 시트와 구리박을 복수매 교대로 중첩하여 형성된 피가공물을 작성하는 조립부(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고, 조립부에 의해 작성되는 피가공물은 고정 컨베이어(712), 가동 컨베이어(711)를 통하여 스태커(100)에 반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 언스태커(500)에 보관된 피가공물은 가동 컨베이어(721), 고정 컨베이어(722)를 통하여 반출된다. 가열 프레스부(200), 큐어 프레스 장치(300), 냉각 프레스 장치(400), 스태커(100)측의 고정 컨베이어(712) 및 가동 컨베이어(711), 그리고 언스태커(500)측의 고정 컨베이어(722) 및 가동 컨베이어(721)는 프레스 장치 시스템(1)의 컨트롤러(800)에 의해 제어된다.
스태커(100)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2는 스태커(100)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태커(100)에는 피가공물(P)을 2매, 연직 방향으로 탑재 가능하다. 각 피가공물(P)은 각각 금속제의 플레이트(M)(이하, 「금속 플레이트(M)」라고 함) 상에 탑재된다. 금속 플레이트(M)의 각각은 그 네 모서리에서 4개의 지지 암(111~11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지지 암(111, 112)은 도 2, 3 중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어 금속 플레이트(M)를 지지하고 있고, 또, 지지 암(113, 114)은 도 2, 3 중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어 금속 플레이트(M)를 지지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암(111과 113)은 도 2, 3 중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놓여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 암(112와 114)은 도 2, 3 중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놓여 배치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암(111~114)의 각각은 연직 방향으로 2세트 설치되어 있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지지 암(111~114)의 1개의 세트 상에 1매의 금속 플레이트(M)가 탑재되도록 되어 있다.
피가공물(P)이 탑재되어 있는 금속 플레이트(M)는 도 3 중 상측으로부터 스태커(100)에 반입된다. 피가공물(P)의 스태커(100)로의 반입에는 가동 컨베이어(711)가 사용된다. 가동 컨베이어(711)는 연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 가동 컨베이어(711)는 그 위에 탑재된 금속 플레이트(M)를 도 3 중 위로부터 아래로 반송 가능하게 구동된다. 가동 컨베이어(711)의 이들의 구동은 도시하지 않는 구동 기구에 의해 실시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컨베이어(711)의 도 3 중 좌우 방향(이하, 「폭 방향」이라고 함)의 치수는 지지 암(111과 113)의 폭 방향 간격, 지지 암(112와 114)의 폭 방향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컨베이어(711)의 각 지지 암(111~114) 사이에 있는 부분에 금속 플레이트(M)가 없을 때에는, 지지 암(111~114)과 간섭하지 않고 연직 방향으로 자유롭게 상하동할 수 있다.
스태커(100)의 지지 암(111~114) 상에 금속 플레이트(M) 및 피가공물(P)을 탑재하는 순서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도 4(a)~(d)의 각각은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또한, 도면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암(111, 113)의 각각은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후크(111h, 113h)를 가지고 있다. 지지 암(112, 114)도 또 마찬가지 형상의 후크(112h, 114h)를 가지고 있다(도 3 참조).
도 4(a)는 스태커(100) 내에 금속 플레이트(M)가 반송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가동 컨베이어(711)의 상면(711a)은 상측의 지지 암(111~114)의 후크(111h~114h)의 상단에 의해 정의되는 수평면(TS1)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또한, 도 4(a)의 상태에 앞서, 가동 컨베이어(711)는 일단 고정 컨베이어(712)(도 1)와 동일한 높이로 이동하고, 고정 컨베이어(712)로부터 금속 플레이트(M)에 올라탄 피가공물(P)의 세트를 2세트 얻고 있다.
고정 컨베이어(712)로부터 금속 플레이트(M)에 올라탄 피가공물(P)을 수취한 후, 가동 컨베이어(711)의 상면(711a)이 전진(도 3 중에서 위로부터 아래로 향하는 방향)하도록 가동 컨베이어(711)가 구동되고, 피가공물(P)을 태운 금속 플레이트(M)가 가동 컨베이어(711)의 각 지지 암(111~114) 사이에 있는 부분(영역(711b):도 3) 상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를 나타낸 것이 도 4(b)이다. 이 상태에서는 금속 플레이트(M)의 바닥면은 상측의 지지 암(111~114)의 후크(111h~114h)의 상단에 의해 정의되는 수평면(TS1)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따라서, 금속 플레이트(M)와 지지 암(111~114)의 후크(111h~114h)가 간섭하지 않고, 금속 플레이트(M) 및 피가공물(P)은 스태커(100) 내에 반송된다.
다음에 가동 컨베이어(711)는 도 4(c)에 나타내는 위치로 강하한다. 이 결과, 금속 플레이트(M)는 상측의 지지 암(111~114)의 후크(111h~114h) 상에 탑재된다.
다음에 가동 컨베이어(711)의 상면(711a)이 전진하도록 가동 컨베이어(711)가 구동되고, 다른 일방의 피가공물(P)을 태운 금속 플레이트(M)가 가동 컨베이어(711)의 각 지지 암(111~114) 사이에 있는 부분(영역(711b):도 3) 상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를 나타낸 것이 도 4(d)이다. 이 상태에서는, 금속 플레이트(M)의 바닥면은 아래의 지지 암(111~114)의 후크(111h~114h)의 상단에 의해 정의되는 수평면(TS2)보다 높은 위치에 있고, 또한 금속 플레이트(M)의 상단은 최상단의 지지 암(111~114)의 하단에 의해 정의되는 수평면(BS1)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또한, 피가공물(P)의 폭 방향의 치수는 지지 암(111과 113) 사이의 간극의 폭 방향 치수 및 지지 암(111과 113) 사이의 간극의 폭 방향 치수보다 짧고, 또 피가공물(P)의 최상단의 높이는 최상단의 지지 암(111~114)의 후크(111h~114h)의 상단에 의해 정의되는 수평면(TS1)(즉, 상측 단(上段)의 금속 플레이트(M)의 바닥면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따라서, 하단의 금속 플레이트(M) 및 피가공물(P)은 상측 단의 지지 암(111~114)의 후크(111h~114h) 및 상측 단의 금속 플레이트(M)와 간섭하지 않고 스태커(100) 내에 반송된다.
이와 같이, 도 4(a)~(d)의 순서로 가동 컨베이어(711)가 구동됨으로써, 상측의 지지 암(111~114) 상과 하측의 지지 암(111~114) 상의 각각에 피가공물(P)을 태운 금속 플레이트(M)가 배치된다.
또한, 언스태커(500) 그리고 언스태커(500)측의 가동 컨베이어(721) 및 고정 컨베이어(722)는 각각 스태커(100) 그리고 스태커(100)측의 가동 컨베이어(711) 및 고정 컨베이어(712)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언스태커(500)로부터 피가공물(P) 및 금속 플레이트(M)를 고정 컨베이어(722)에 반송하는 경우는, 스태커(100)와는 반대의 조작(즉, 도 4(d)의 상태로부터 도 4(a)의 상태로 하는 조작)을 행한다.
다음에, 로더(6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로더(600)의 측면도이다. 또, 도 6은 도 5의 C-C 단면도이다. 로더(600)는 스태커(100), 가열 프레스부(200), 큐어 프레스 장치(300), 냉각 프레스 장치(400) 및 언스태커(500) 사이에서 피가공물(P)의 반입 혹은 반출을 행하기 위한 제1 이동 기구(640)와, 스태커(100)의 앞에서 언스태커(500)의 앞까지 이동하기 위한 제2 이동 기구(630)와, 로더(600)가 유지하는 피가공물(P)의 높이 방향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제3 이동 기구(670)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더(600)는 한 쌍의 로더 암(610, 620)에 의해 금속 플레이트(M)의 폭 방향(도 1 중 좌우 방향, 도 6 중 상하 방향) 양단을 지지함으로써, 금속 플레이트(M) 및 그 위의 피가공물(P)을 유지하는 것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이동 기구(640)는 반송 방향 또한 수평 방향으로 걸쳐진 한 쌍의 볼 나사(641, 642)와, 이 볼 나사(641, 642)에 각각 걸어맞춰지는 너트(643, 644)와, 볼 나사(641, 642)를 각각 회전 구동하는 제1 모터(645)를 가진다. 너트(643, 644)에는 각각 암 가이드(611, 621)가 매달려 있다. 또, 암 가이드(611, 621)의 각각에는 로더 암(610, 620)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모터(645)에 의해 볼 나사(641)를 회전 구동하면, 너트(643, 644)와 함께 암 가이드(611, 621) 및 로더 암(610, 620)이 스태커(100), 가열 프레스부(200), 큐어 프레스 장치(300), 냉각 프레스 장치(400) 및 언스태커(500)에 대하여 진퇴하는 방향(도 5 중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볼 나사(641, 642)는 로더(600)의 천정판(650)으로부터 매달려 있고, 또 제1 모터(645)는 천정판(65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모터(645)의 회전축의 토크는 제1 모터(645)의 회전축에 부착된 구동 풀리(646)와, 볼 나사(641, 642)의 말단(도면 중 우측)에 설치된 종동 풀리(641a, 642a)에 걸쳐진 무단 벨트(647)를 통하여, 볼 나사(641, 642)에 전달된다.
이상과 같이, 제1 이동 기구(640)에 의해, 로더 암(610 및 620)은 스태커(100), 가열 프레스부(200), 큐어 프레스 장치(300), 냉각 프레스 장치(400) 및 언스태커(500) 중에 삽입되어 피가공물(P) 및 금속 플레이트(M)의 전달이나 수취를 가능하게 하는 위치와, 스태커(100), 가열 프레스부(200), 큐어 프레스 장치(300), 냉각 프레스 장치(400) 및 언스태커(500)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이동 기구(640)는 볼 나사 기구에 의해 로더 암(610 및 620)을 이동시키는 것이지만, 볼 나사 기구 대신에 (유압 또는 공압 구동의) 실린더 기구나, 래크-피니언 기구 등을 사용해도 된다.
다음에 제2 이동 기구(6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로더 암(610, 620) 및 암 가이드(611, 621)는 상기와 같이 천정판(650)으로부터 매달린 상태에서, 제2 이동 기구(630)에 의해 천정판(650)마다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이동 기구(630)는 스태커(100), 가열 프레스부(200), 큐어 프레스 장치(300), 냉각 프레스 장치(400) 및 언스태커(500)의 배열 방향에 평행하게 걸쳐진 한 쌍의 리니어 레일(631, 632)을 가진다. 리니어 레일(631, 632)은 프레스 장치 시스템(1)의 장치 프레임(2)에 고정되어 있다. 또, 리니어 레일(631, 632)의 각각과 걸어맞춰지는 직동 베어링은 천정판(650) 상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천정판(650) 및 로더 암(610, 620)은 리니어 레일(631, 63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장치 프레임(2)으로부터는 리니어 레일(631, 632)을 따라 연장되는 래크(635)가 매달려 있다. 또, 천정판(650) 위에는 제2 모터(636)가 고정되어 있다. 제2 모터(636)의 회전축에는 래크(635)와 걸어맞춰지는 피니언(637)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모터(636)를 구동함으로써 천정판(650), 로더 암(610, 620)을 리니어 레일(631, 632)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이동 기구(630)는 래크-피니언 기구에 의해 로더 암(610, 620)을 이동시키는 것이지만, 래크-피니언 기구 대신에 (유압 또는 공압 구동의) 실린더 기구나, 볼 나사 기구 등을 사용해도 된다.
다음에 제3 이동 기구(67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 이동 기구(670)는 암 가이드(611 및 621)의 각각에 부착된 제3 모터(671, 672)와, 암 가이드(611)의 내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직동 변환 기구를 가진다. 직동 변환 기구는 제3 모터(671, 672)의 출력축의 회전 운동을 상하 방향의 직진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래크-피니언 기구나 볼 나사 기구 등)이다. 암 가이드(611 및 621)가 설치된 직동 변환 기구는 각각 로더 암(610 및 620)과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3 모터(671, 672)를 구동함으로써 로더 암(610 및 62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제3 이동 기구(670)는 회전 모터인 제3 모터(671, 672)와 직동 변환 기구의 조합에 의해 로더 암(610 및 62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지만, 상기 기구 대신에 실린더 기구 등을 사용하여 로더 암(610 및 62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로더(600)는 금속 플레이트(M)를 지지하는 로더 암(610 및 620)을 3축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킬 수 있다.
로더(600)에 의한 스태커(100)로부터의 피가공물(P)의 취출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a)는 스태커(100)를 로더 암(610 및 620)의 진퇴 방향에 수직인 평면(도 3의 B-B선에 상당)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 도 7(b) 및 (c)는 스태커(100) 및 로더(600)를 로더 암(610 및 620)의 진퇴 방향에 수직인 평면(도 3의 B-B선에 상당)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 도 7(d)는 로더(600)를 로더 암(610 및 620)의 진퇴 방향에 수직인 평면(도 6의 D-D선에 상당)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a)는 로더 암(610, 620)이 스태커(100)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로더(600)는 스태커(100)의 앞으로 이동하고 있다.
다음에 로더 암(610 및 620)을 스태커(100)를 향하게 하여 전진시킨다. 이 결과, 도 7(b)와 같이, 로더 암(610, 620)은 각각 금속 플레이트(M)의 폭방향 양단(도면 중 좌우단)의 바닥면과, 지지 암(111~114)의 사이의 간극부에 삽입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금속 플레이트(M)의 폭방향 양단을 크랭크 형상으로 접어구부려, 금속 플레이트(M)의 폭방향 양단의 바닥면과, 지지 암(111~114)과의 사이의 간극부의 높이 방향 치수를 크게 취하여, 로더 암(610, 620)을 삽입하기 쉽게 하고 있다.
다음에 로더 암(610 및 620)을 상승시킨다. 이 결과, 도 7(c)과 같이, 금속 플레이트(M)가 로더 암(610 및 620)에 퍼올려져, 지지 암(111~114)으로부터 떨어진다.
다음에 로더 암(610 및 620)을 스태커(10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후퇴시킨다. 이 결과, 도 7(d)와 같이, 금속 플레이트(M)는 로더 암(610, 620)에 지지된 채 로더 암(610 및 620)과 함께 후퇴하여 스태커(100)로부터 인출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언스태커(500)는 스태커(100)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언스태커(500)에 피가공물(P) 및 금속 플레이트(M)를 수용시키는 경우는, 스태커(100)로부터 피가공물(P)을 취출할 때와는 반대의 조작(즉, 도 7(d)의 상태로부터 도 7(a)의 상태로 하는 조작)을 행한다.
스태커(100)로부터 취출된 피가공물(P)은 로더(600)에 의해 가열 프레스부(200)에 운반되어, 거기서 가열하면서 가압되어 성형된다. 가열 프레스부(200)의 구성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8은, 가열 프레스부(200)의 정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프레스부(200)는 제1 가열 프레스 장치(200A), 제2 가열 프레스 장치(200B) 및 제3 가열 프레스 장치(200C)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놓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 가열 프레스 장치(200A), 제2 가열 프레스 장치(200B) 및 제3 가열 프레스 장치(200C)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하, 제3 가열 프레스 장치(200C)에 대해서 설명하는데, 제1 가열 프레스 장치(200A), 제2 가열 프레스 장치(200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가열 프레스 장치(200C)는 상부 블록(201a)과, 하부 블록(201b) 사이에, 상부 열반(211), 중간 열반(212), 하부 열반(213)이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놓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중간 열반(212)과 하부 열반(213) 위에, 각각 금속 플레이트(M)에 실린 피가공물(P)이 배치되게 되어 있다.
상부 열반(211)은 상부 로드(202)를 통하여 상부 블록(201a)에 고정되어 있다. 또, 하부 블록(201b)은 유압 실린더 기구(203)를 내장하고 있다. 유압 실린더 기구(203)는 실린더(203a)를 하부 블록(201a)에 대하여 상하동시키는 장치이다. 실린더(203a)에는 하부 열반(213)이 고정되어 있고, 유압 실린더 기구(203)를 구동 함으로써, 하부 열반(213)을 상하동시킬 수 있다.
중간 열반(212)은 수평 방향으로 퍼지는 판형상의 부재인 중간 열반 지지 프레임(212a)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프레스가 행해지지 않고 있는 상태(각 열반의 간격이 충분히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중간 열반 지지 프레임(212a)은 장치 프레임의 측부 블록(201c)에 설치되어 있는 중간 열반 지지용 돌출부(201d) 위에 실려 있고, 이것에 의해, 중간 열반(212)은 하부 열반(213)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부상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 8의 제3 가열 프레스 장치(200C)의 상태로부터, 유압 실린더 기구(203)를 구동하여 하부 열반(213)을 상승시키면, 하부 열반(213) 위의 피가공물(P)의 상면이 중간 열반(212)의 하면에 맞닿는다. 그리고, 하부 열반(213)을 더욱 상승시키면, 중간 열반(212)은 중간 열반 지지용 돌출부(201d)로부터 부상한다. 그리고, 또한 하부 열반(213)을 상승시키면, 중간 열반(212) 위의 피가공물(P)의 상면이 상부 열반(211)의 하면에 맞닿는다. 즉, 도 8의 제1 가열 프레스 장치(200A)나 제2 가열 프레스 장치(200B)의 상태와 같이, 2매의 피가공물(P)의 각각이 상부 열반(211)과 중간 열반(212) 사이 및 중간 열반(212)과 하부 열반(213)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부터, 또한 유압 실린더 기구(203)를 구동함으로써, 피가공물(P)이 열반 사이에서 가압된다.
도 8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반(211~213)의 각각에는 열매유(熱媒油)가 통과된다. 이 열매유는 펌프(231)에 의해 열반(211~213) 내를 순환하게 되어 있다. 이 열매유의 순환계로의 도중에는 열매유의 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온도 조정 수단(232)이 설치되어 있어, 원하는 온도로 가열된 열매유를 열반 내를 포함하는 순환계로(도 8 중 파선부)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열반(211~213)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할 수 있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열반(211), 중간 열반(212) 및 하부 열반(213), 및 열반 사이에 배치된 피가공물(P)의 외측에는 서로 마주보게 되도록 배치된 되 형상의 상부 용기(221) 및 하부 용기(222)를 가지는 진공 챔버(220)가 배치되어 있다. 상부 용기(221)와 하부 용기(222)의 각각은 도시하지 않는 구동 기구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부 용기(221)가 상측으로, 하부 용기(222)가 하측으로 퇴피하여, 상부 용기(221)와 하부 용기(222)의 사이에서 피가공물(P)의 로더(600)에 의한 반입 및 반출(후술)을 가능하게 하는, 도 8에 있어서의 제3 가열 프레스 장치(200C)의 상태와, 상부 용기(221)가 하측으로, 하부 용기(222)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양자가 일체가 되고, 그 내부에 상부 열반(211), 중간 열반(212) 및 하부 열반(213), 및 열반 사이에 배치된 피가공물(P)이 수용되는, 도 8에 있어서의 제1 가열 프레스 장치(200A) 및 제2 가열 프레스 장치(200B)의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부 용기(221)의 상면에는 상부 로드(202)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221a)가 형성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하부 용기(222)의 하면에는 실린더(203a)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22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부 로드(202)의 외주면을 덮도록, 상부 벨로우즈(223a)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벨로우즈(223a)의 상단은 상부 블록(201a) 하면과 간극없이 접합되어 있고, 또 그 하단은 상부 용기(221)의 개구(221a)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간극없이 접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실린더(203a)의 외주면을 덮도록, 하부 벨로우즈(223b)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벨로우즈(223b)의 상단은 하부 용기(222)의 개구(222a)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간극없이 접합되어 있고, 또, 그 하단은 하부 블록(201b)의 상면과 간극없이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용기(221)의 개구(221a)와 상부 로드(202) 사이의 간극, 및 하부 용기(222)의 개구(222a)와 실린더(203a) 사이의 간극은 각각 벨로우즈(223a 및 223b)에 의해 간극없이 막힌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8에 있어서의 제1 가열 프레스 장치(200A) 및 제2 가열 프레스 장치(200B)의 상태와 같이, 상부 용기(221)와 하부 용기(222)가 일체가 된 상태에서는, 진공 챔버(220)의 내부는 외기로부터 밀폐되게 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열반 지지 프레임(212a)은 상부 용기(221)와 하부 용기(222) 사이에 끼워넣어진 상태가 된다. 중간 열반 지지 프레임(212a)이 상부 용기(221) 및 하부 용기(222)로부터 밀려나오지 않고, 완전히 진공 챔버(220) 내에 수용되는 경우는, 상부 용기(221)의 하측 가장자리와 하부 용기(222)의 상측 가장자리를 맞대어 양자를 밀착시킬 필요가 있고, 상부 용기(221)와 하부 용기(222)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필요가 있는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비교적 면적이 넓은 중간 열반 지지 프레임(212a)과, 상부 용기(221) 및 하부 용기(222)의 각각을 밀착시키면 되기 때문에, 상부 용기(221) 및 하부 용기(222)를 이동시킬 때에, 정확한 위치 결정을 행할 필요는 없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제3 가열 프레스 장치(200A~200C)의 진공 챔버(220)의 내부 공간은 에어 배관(도 8 중 일점쇄선)을 통하여 진공 펌프(241)가 접속되어 있다. 진공 챔버(220)의 내부가 외기로부터 밀폐된 상태에서 진공 펌프(241)를 구동함으로써, 진공 챔버(220)의 내부를 진공 형성할 수 있다. 또, 제1~제3 가열 프레스 장치(200A~200C)와 진공 펌프(241)를 접속하는 에어 배관의 도중에는 각각 스톱 밸브(242A~242C)가 배치되어 있다. 스톱 밸브(242A~242C)를 선택적으로 닫음으로써, 진공 형성을 행하고자 하는 진공 챔버(220) 내만을 진공 형성하거나, 진공 형성이 끝난 진공 챔버(220) 내를 진공으로 유지하거나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진공 챔버(220)의 압력을 200Pa 이하까지 진공 형성한 후, 피가공물(P)의 가압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피가공물 내의 보이드로부터의 탈기가 촉진되고, 또, 피가공물(P)의 수지 재료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0.49MPa정도의 낮은 프레스압으로 피가공물(P)의 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가열 프레스 장치(200A~200C)의 프레임의 강성은 종래의 높은 프레스압을 필요로 하고 있던 프레스 장치보다 낮게 할 수 있고, 가열 프레스 장치(200A~200C)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한번에 2세트의 피가공물(P)을 동시에 진공하에서 가열 프레스 가능한 가열 프레스 장치를 3대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면 한번에 6세트의 피가공물(P)을 진공하에서 가열 프레스 가능한 6단 구성의(즉, 5매의 중간 열반(212)을 가지는) 가열 프레스 장치를 1대만 가지는 구성과 비교하면, 가열 프레스 장치 1대당 단수가 적기 때문에, 슬립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 성형 제품의 두께의 불균일이 억제된다. 또, 가열 프레스 장치 1대당 진공 챔버(220)의 용적은 작은 것이 되기 때문에, 진공 챔버(220)의 진공 형성에 필요한 진공 펌프(241)는 소형이며 저출력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열 프레스 장치(200A~200C)는 탠덤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800)(도 1)는 가열 프레스 장치(200A~200C)의 각각이 가열 프레스를 행하는 타이밍이 어긋나도록, 로더(600)를 제어하여 피가공물(P)의 가열 프레스 장치(200A~200C)로의 반입 및 반출을 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제1 가열 프레스 장치(200A)에 피가공물(P)을 반입하여 제1 가열 프레스 장치(200A)에 가열 프레스를 행하게 한 후, 로더(600)는 제1 가열 프레스 장치(200A)보다 먼저 피가공물(P)이 반입되어 가열 프레스가 끝난 제2 가열 프레스 장치(200B)로부터 피가공물(P)을 취출하여 다음 공정인 큐어 프레스 장치(300)에 반입하고, 이어서 스태커(100)로부터 새로운 (가열 프레스 전의) 피가공물(P)을 취출하여, 피가공물(P)의 가열 프레스를 행하고 있지 않은 제2 가열 프레스 장치(200B)에 반입한다. 피가공물(P)의 이동에 필요한 시간은 피가공물(P)의 가열 프레스에 필요한 시간보다 충분히 짧기 때문에, 3세트의 가열 프레스 장치(200A~200C) 중 2세트에서 가열 프레스를 행하고 있는 동안에, 나머지 1세트의 가열 프레스 장치에 대하여 피가공물(P)의 반입 및 반출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더(600)에 의해 한번에 이동 가능한 피가공물(P)의 수는 2세트이면 되고, 로더(6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프레스 장치 시스템(1)의 상류 공정인 프리프레그 시트와 구리박을 중첩하여 피가공물(P)을 형성하는 조립 공정에 있어서, 1매의 피가공물(P)의 형성에 필요한 시간은 가열 프레스 장치(200A~200C)에 의한 가열 프레스에 필요한 시간의 6분의 1보다 조금 더 되기 때문에, 한번에 2세트의 피가공물(P)을 가열 프레스할 수 있는 가열 프레스 장치를 3세트 준비함으로써, 조립 공정을 멈추지 않고 피가공물(P)의 성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러한 구성에서는, 스태커(100)에 보관된 피가공물(P)은 3세트의 가열 프레스 장치(200A~200C) 중 어느 하나의 가열 프레스 장치에서의 가열 프레스가 종료된 후 곧바로 가열 프레스가 종료된 가열 프레스 장치에 반입되므로, 스태커(100)에 보관 가능한 피가공물(P)의 수를 각 가열 프레스 장치가 한번에 가열 프레스를 행할 수 있는 피가공물(P)의 수와 동일 수(즉 2세트)까지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태커(1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로더(600)는 로더 암(610 및 620)을 상하 방향, 및 각 가열 프레스 장치(200A~200C)에 대하여 진퇴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태커(100)로부터 피가공물(P)을 반출할 때와 동일한 순서로, 가열 프레스 장치(200A~200C)로부터 피가공물(P)을 반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언스태커(500)에 피가공물(P)을 반입할 때와 동일한 순서로, 가열 프레스 장치 (200A~200C)에 피가공물(P)을 반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큐어 프레스 장치(3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큐어 프레스 장치(300)의 정면도이다. 큐어 프레스 장치(300)는 열반 사이에서 피가공물(P)을 끼워넣음으로써 피가공물(P)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열반에서 피가공물(P)을 가열하여, 피가공물(P)에 포함되는 수지 재료를 완전히 반응시키는 큐어 프레스를 행하는 장치이다. 큐어 프레스는 상류 공정인 가열 프레스에 비해, 피가공물(P)의 내부까지 완전히 가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큐어 프레스 장치(300)로 한번에 프레스 가능한 피가공물(P)의 수는 가열 프레스부(200)로 프레스 가능한 피가공물(P)의 수(6세트)의 수배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24단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큐어 프레스 장치(300)는 상부 열반(311), 복수의 중간 열반(312) 및 하부 열반(313)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각 열반 사이에 피가공물(P)을 1세트씩 배치할 수 있다. 즉, 큐어 프레스 장치(300)는 최대로 중간 열반(312)의 매수+1세트의 피가공물(P)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가열 프레스부(200)와 마찬가지로 피가공물(P)은 금속 플레이트(M) 상에 실린 상태로 큐어 프레스 장치(300)에 반입되도록 되어 있다. 하부 열반(313) 밑에는 테이블 정반(332)이 배치되어 있다. 또, 테이블 정반(332)의 하면에는 모터(342)가 부착되어 있다. 모터(342)의 회전축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볼 나사(344)가 동일 축에 고정되어 있고, 모터(342)에 의해 볼 나사(344)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볼 나사(344)의 하단에는 너트(346)가 부착되어 있다. 너트(346)는 큐어 프레스 장치(300)의 장치 프레임(302)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342)를 구동함으로써, 테이블 정반(332)을 상하동시킬 수 있다. 큐어 프레스 장치(300)에 의해 피가공물(P)을 프레스할 때에는 테이블 정반(332)을 상승시킨다. 테이블 정반(332) 및 테이블 정반(332)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 열반(313)이 상승하면, 하부 열반(313)에 의해 복수의 중간 열반(312) 및 상부 열반(311)이 차례로 들어올려져, 각 열반 사이에 피가공물(P)이 끼워넣어진 상태가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큐어 프레스는 큰 프레스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상부 열반(311)의 무게만으로 큐어 프레스에 필요한 충분한 프레스압이 얻어지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큐어 프레스 장치(300)는 수십단에 걸친 다단 프레스 장치로 되어 있지만, 큐어 프레스 장치(300)는 가열 프레스 장치(200A~200C)와는 상이하며, 이미 가열 프레스부(200)에서 어느 정도의 성형이 완료되어 형상이 안정되어 있는 피가공물(P)을 더욱 프레스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단 프레스로 해도 성형 제품의 두께의 불균일이 생기는 일은 없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큐어 프레스는 큰 프레스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슬립 사고가 발생하는 일도 없다.
또, 상부 열반(311), 복수의 중간 열반(312) 및 하부 열반(313)은 각 열반 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히터에 의해 가열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큐어 프레스 장치(300)의 열반 사이에 배치된 피가공물(P)은 열반 사이에서 프레스됨으로써 가열된다.
다음에 큐어 프레스 장치(300)의 열반 사이에 피가공물(P)을 배치하고, 또한 열반 사이로부터 피가공물(P)을 취출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로더(600)에 의해 반송되는 2세트의 피가공물(P)을, 복수의 중간 열반(312) 및 하부 열반(313) 중, 연속되는 원하는 2매의 열반 위에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연속되는 3매의 열반을 이 3매의 열반 중 아래의 2매 위에 피가공물(P)을 로더(600)가 반입 또는 반출 가능한 높이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속되는 2매의 원하는 열반(상부 열반(311) 및 중간 열반(312)의 연속되는 2매)의 높이를 소정 높이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부 열반(311) 및 중간 열반(312)의 높이를 고정하는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반의 폭방향(도면 중 좌우 방향) 양측에는 실린더(372)와 이 실린더(372)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로드(374)를 구비한 열반 유지 부재(370)가 2단 설치되어 있다. 또, 상부 열반(311) 및 중간 열반(312)의 폭방향 양측면에는 2쌍의 구멍(H)이 형성되어 있고(즉, 하나의 열반에 구멍(H)이 4개 형성되어 있음), 또한 연속되는 2매의 열반을 간격을 두고 고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열반 유지 부재(370)는 일단에 대해서 4개, 전체 8개 설치되어 있다.
열반 유지 부재(370)의 실린더(372)는 고정 지주(376)에 의해 프레임(302)에 고정되어 있다. 또, 로드(374)는 실린더(372)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로드(374)는 열반의 구멍(H)에 삽입될 정도로 실린더(372)로부터 돌출하는 고정 위치(도 9의 상태)와, 열반의 구멍(H)에 삽입되지 않도록 폭방향 외측으로 퇴피하는 퇴피 위치 사이에서 진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드(374)는 열반 유지 부재(370)의 도시하지 않는 구동 수단에 의해, 고정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구동 수단은 유압, 공압, 또는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여 로드(374)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열반 유지 부재의 실린더(372)는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으므로, 테이블 정반(332)을 구동하여 상측의 단의 열반 유지 부재(370)의 로드(374)와 열반의 높이를 맞추고, 이어서 로드(374)를 퇴피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구동하면, 로드(374)가 열반의 구멍(H)에 삽입된다. 이 결과, 로드(374)가 삽입된 열반, 및 이 열반 위에 있는 다른 열반 및 피가공물(P)은 열반 유지 부재(370)에 지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테이블 정반(332)을 강하시키면, 로드(374)가 삽입되어 있는 열반으로부터, 그 아래의 열반이 떨어지고, 양 열반 사이에 스페이스가 생긴다. 다음에, 상측의 단의 열반 유지 부재(370)에 유지된 열반 아래의 열반과 하측의 단의 열반 유지 부재(370)의 로드(374)의 높이를 맞추고, 이어서 로드(374)를 퇴피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구동하면, 이 열반이 고정된다. 그리고, 테이블 정반(332)을 더욱 강하시키면, 도 9와 마찬가지로, 열반 유지 부재(370)에 고정된 2매의 열반과, 그 아래의 열반이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로더(600)에 의해 2세트의 피가공물(P)의 반입 또는 반출을 행할 수 있다.
상기한 기구에 의해, 큐어 프레스 장치(300)는 임의의 연속되는 3매의 열반의 간격을 비울 수 있다. 또한, 이 상태라도 간격을 비우고 있지 않은 열반 사이에서는 피가공물(P)의 프레스가 유지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큐어 프레스는 가열 프레스보다 시간을 필요로 하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큐어 프레스 장치(300)에서 동시에 프레스 가능한 피가공물(P)의 수를 가열 프레스부(200)가 동시에 프레스 가능한 피가공물(P)의 수(6세트)의 수배로 함으로써, 가열 프레스부(200) 등의 상류 공정을 멈추지 않고, 가열 프레스가 완료한 피가공물(P)을 곧바로 큐어 프레스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큐어 프레스 장치(300)에 대한 피가공물(P)의 반입 및 반출은 가열 프레스 장치(200A~200C)에 대하여 피가공물(P)을 반입 및 반출할 때와 마찬가지로, 로더 암(610 및 620)(도 5, 도 6)을 이동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로더(600)는 큐어 프레스 장치(300)로부터 반출된 피가공물(P)을 냉각 프레스 장치(400)에 반입한다. 냉각 프레스 장치(400)는 피가공물(P)이 휘어지지 않도록 냉각반 사이에서 피가공물(P)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냉각반의 온도를 저하시켜 피가공물(P)을 상온까지 냉각하는 냉각 프레스를 행하는 장치이다. 냉각 프레스 장치(400)는 큐어 프레스 장치(300)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고, 열반(311~313) 대신에 온도가 낮게 유지된 냉각반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냉각반을 냉각하는 수단으로서는 장치 외부에 설치된 쿨러에 의해 온도가 낮게 유지된 열매유를, 냉각반 내를 포함하는 열매 경로 내를 순환시키는 것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냉각 프레스된 피가공물(P)은 로더(600)에 의해 순차 반출되어, 언스태커(500)에 반입된다.
이상이 본 실시형태의 프레스 장치 시스템(1)의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일부를 변경한 구성도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열 프레스부(200)는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200A~200C)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놓여 배치되어 있지만,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가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놓인 구성도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단, 본 실시형태의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200A~200C)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놓인 구성은 프레스 장치 시스템(1) 전체의 설치 스페이스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Claims (5)

  1.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놓인 복수의 열반과,
    상기 복수의 열반의 간격을 변화시켜, 인접하는 열반 사이에서 피가공물의 프레스를 가능하게 하는 열반 구동 기구와,
    상기 열반을 가열 가능한 가열 수단과,
    상기 열반을 덮는 진공 챔버
    를 구비하고, 상기 진공 챔버 내에서 상기 열반 사이에 상기 피가공물을 끼우고 가열 프레스하는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와,
    상기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에 대하여 상기 피가공물의 반입 및 반출을 행하는 로더와,
    상기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 및 상기 로더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
    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열반은 상부 열반과, 하부 열반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열반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중간 열반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열반의 하나에는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퍼지는 중간 열반 유지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진공 챔버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하 한 쌍의 되 형상의 용기를 가지고, 이 한 쌍의 되 형상의 용기는 상기 중간 열반 유지 플레이트를 끼워넣도록 닫아 내부를 외부로부터 밀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의 하나로 상기 피가공물의 가열 프레스를 행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가열 프레스 장치 및 상기 로더를 제어하여, 다른 가열 프레스 장치에 대하여 상기 피가공물의 반입 및 반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놓아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열반의 매수가 1매이며,
    상기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는 한 쌍의 측벽을 가지는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측벽의 내벽면에는 각각 상기 중간 열반 유지 플레이트와 걸어맞춰지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가열 프레스 장치에 대하여 상기 피가공물의 반입 및 반출을 행할 때에는, 상기 열반 구동 기구에 의해 상기 하부 열반을 제1 높이까지 강하시키고, 가열 프레스를 행할 때에는, 상기 열반 구동 기구에 의해 상기 하부 열반을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까지 상승시키도록 이 가열 프레스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하부 열반이 상기 제1 높이에 있을 때에는, 상기 중간 열반 유지 플레이트가 상기 돌출부에 걸리고, 상기 중간 열반은 상기 하부 열반으로부터 부상하고,
    상기 하부 열반이 상기 제2 높이에 있을 때에는, 상기 중간 열반 유지 플레이트가 상기 돌출부로부터 부상하고, 상기 중간 열반은 상기 상부 열반과 상기 하부 열반 사이에서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의 상기 진공 챔버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는 진공 펌프와,
    상기 제어 수단에 제어되고, 상기 복수의 가열 프레스 장치의 진공 챔버의 어느 것으로부터 공기를 제거할지를 전환하는 전환 밸브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시스템.
  5. 삭제
KR1020127029705A 2010-07-29 2011-03-09 프레스 장치 시스템 KR101452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69914 2010-07-29
JP2010169914A JP5550482B2 (ja) 2010-07-29 2010-07-29 プレス装置システム
PCT/JP2011/055490 WO2012014515A1 (ja) 2010-07-29 2011-03-09 プレス装置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507A KR20130027507A (ko) 2013-03-15
KR101452189B1 true KR101452189B1 (ko) 2014-10-22

Family

ID=45529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705A KR101452189B1 (ko) 2010-07-29 2011-03-09 프레스 장치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550482B2 (ko)
KR (1) KR101452189B1 (ko)
CN (1) CN102905879B (ko)
DE (1) DE112011102527B4 (ko)
TW (1) TWI569950B (ko)
WO (1) WO20120145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824A1 (ko) * 2016-07-18 2018-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재 성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004B1 (ko) * 2013-11-07 2014-04-18 정종기 대형 프레스 자동화 생산라인의 고효율 소재 이송장치
KR101661701B1 (ko) * 2016-06-07 2016-10-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불연성 섬유강화플라스틱(frp) 시트 제조용 가압 성형 장치 및 방법
CN109572040B (zh) * 2018-10-29 2020-09-15 东北电力大学 一种热压机压头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6608U (ko) * 1986-09-30 1988-04-15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1952A (en) * 1967-12-08 1971-01-05 Milton Morse Heat shielded press
JPS61149325A (ja) * 1984-12-25 1986-07-08 Kitagawa Seiki Kk 電子回路用基板プレス装置
JPH0126409Y2 (ko) * 1985-03-30 1989-08-08
JPH0265498U (ko) * 1988-10-31 1990-05-17
JPH0832378B2 (ja) * 1988-11-18 1996-03-29 株式会社名機製作所 多段プレス装置
JPH04210893A (ja) * 1990-12-18 1992-07-31 Kitagawa Elaborate Mach Co Ltd 真空プレス装置のワーク保持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7108476B2 (ja) * 1992-12-25 1995-11-22 北川精機株式会社 多段プレス装置及びその連続プレス作動方法
JPH08192300A (ja) * 1995-01-13 1996-07-30 Hitachi Techno Eng Co Ltd ホツトプレス
JP2002316296A (ja) * 2001-04-18 2002-10-29 Meiki Co Ltd 多段プレス装置
JP3472963B1 (ja) * 2002-05-30 2003-12-02 ミカドテクノス株式会社 高温用真空プレス装置
JPWO2005025849A1 (ja) * 2003-09-18 2007-11-08 新東工業株式会社 加圧加熱装置
JP4611711B2 (ja) * 2004-10-26 2011-01-12 北川精機株式会社 プレス装置システム
CN101146671B (zh) * 2005-03-25 2010-12-15 北川精机株式会社 冲压装置
TWI395520B (zh) * 2006-06-07 2013-05-01 Nichigo Morton Co Ltd 疊層裝置及利用此疊層裝置之疊層方法
TWM310104U (en) * 2006-06-23 2007-04-21 Wen-Sen Tian Triple-fold vacuum hot pressing machine
DE502006004008D1 (de) * 2006-08-29 2009-07-30 Buerkle Gmbh Robert Presse und Verfahren zum Laminieren plattenförmiger Werkstücke mittels Druck und Wärme
JP5193198B2 (ja) * 2007-06-07 2013-05-08 北川精機株式会社 プレス装置及びプレス装置システム
DE102008025790A1 (de) * 2008-05-29 2009-12-03 Robert Bürkle GmbH Presse und Verfahren zum Laminieren von im Wesentlichen plattenförmigen Werkstücken
JP2009291832A (ja) * 2008-06-09 2009-12-17 Meiki Co Ltd プレス成形システムおよびプレス成形システムの制御方法
DE102009020172A1 (de) * 2009-05-07 2010-11-11 Robert Bürkle GmbH Presse zum Laminieren von im Wesentlichen plattenförmigen Werkstück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6608U (ko) * 1986-09-30 1988-04-1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824A1 (ko) * 2016-07-18 2018-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재 성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05879B (zh) 2016-03-16
DE112011102527B4 (de) 2019-05-16
WO2012014515A1 (ja) 2012-02-02
DE112011102527T5 (de) 2013-09-26
CN102905879A (zh) 2013-01-30
KR20130027507A (ko) 2013-03-15
JP5550482B2 (ja) 2014-07-16
TW201204544A (en) 2012-02-01
JP2012030236A (ja) 2012-02-16
TWI569950B (zh) 2017-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5124B2 (ja) プレス装置
KR101452189B1 (ko) 프레스 장치 시스템
JP5193198B2 (ja) プレス装置及びプレス装置システム
CN103143489B (zh) 一种层架式热固化机
US4543147A (en) Laminating process and apparatus
KR101289659B1 (ko) 프레스 장치용 로더 및 프레스 장치 시스템
CN110625707B (zh) 胶合板热压机出板自动码垛生产线
CN210943929U (zh) 上下料装置
CN109435213B (zh) 一种多层材料热合定型机及其多层材料热合定型工艺
JPWO2010038272A1 (ja) 基板ホルダー収納チャンバ、インライン型基板処理装置及び磁気ディスクの製造方法
CN203124235U (zh) 一种层架式热固化机
CN115071106A (zh) 一种ims高压成型机
JP2007152362A (ja) プレス装置及びプレス装置システム
CN211053936U (zh) 胶合板热压机出板自动码垛生产线
CN112964047A (zh) 烘干固化炉装置和烘干方法
JP6050074B2 (ja) 多段式のコールドプレス
KR20110102533A (ko) 자동차 도어트림의 무인운반장치
KR102430242B1 (ko) 인 라인 카세트 랙 이송 자동화 장치
KR20060049090A (ko) 프레스 장치 시스템
KR20070018553A (ko) 성형 프레스의 로딩 및 언로딩 시스템
CN210429866U (zh) 全自动真空共晶设备
CN217024371U (zh) 可独立控制的循环上下料机构
CN214371255U (zh) 一种食品冷却平台
JP2010029886A (ja) 積層成形システムの移載装置とその移載制御方法
CN213137780U (zh) 一种集成式热压及冷却成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