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207B1 -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 - Google Patents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207B1
KR101417207B1 KR1020110023096A KR20110023096A KR101417207B1 KR 101417207 B1 KR101417207 B1 KR 101417207B1 KR 1020110023096 A KR1020110023096 A KR 1020110023096A KR 20110023096 A KR20110023096 A KR 20110023096A KR 101417207 B1 KR101417207 B1 KR 101417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layer
pla resin
b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3895A (ko
Inventor
황승철
김지영
박귀봉
강창원
권준혁
권현종
박상선
김장기
이경민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ublication of KR20110103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laminated and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12, E04C2/16, E04C2/2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0Self-supporting slab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floors ceilings, or roofs, e.g. able to be loa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 Y10T428/24868Translucent outer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loor Finish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친환경적인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면에 인쇄 무늬가 형성되는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부에 형성되는 투명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 인쇄층 및 투명층 중 하나 이상은 PLA(Polylactic acid)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FLOORING MATERIAL USING POLYLACTIC ACID RESIN}
본 발명은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재를 구성하는 베이스층, 이지층 등으로 PLA 수지(Polylactic acid resin)를 사용하고, 가소제로 ATBC(Acetyl tributyl citrate) 등의 친환경 가소제를 사용함으로써 친환경 바닥재를 구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용융강도 보강제(Melt strength Enhancer)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카렌더링, 프레스 가공이 가능한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석유계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는, 주택, 맨션, 아파트, 오피스 또는 점포 등의 건축물에서 바닥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바닥재는,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수지를 사용하여 압출 또는 카렌더링 방식 등으로 제조된다. 그런데, 그 원료가 한정된 자원인 원유 등으로부터 전량 얻어지기 때문에, 석유자원의 고갈 등에 따라 향후 원재료의 수급 곤란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최근 높아지는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을 고려하여도, 폴리염화비닐(PVC)계 바닥재는, 유해 물질을 배출하기 쉽고, 폐기 시에도 환경에 부담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PLA 수지를 사용하여 바닥재를 구성하는 각 층의 원료 물질의 수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바닥재를 구현할 수 있는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면에 인쇄 무늬가 형성되는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부에 형성되는 투명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 인쇄층 및 투명층 중 하나 이상은 PLA(Polylactic acid)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면에 인쇄 무늬가 형성되는 인쇄층; 상기 인쇄층 상부에 형성되는 투명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 인쇄층, 투명층 및 이지층 중 하나 이상은 PLA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투명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표면처리층을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는 바인더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석유자원 기반의 PVC 대신에 식물 자원 기반의 PLA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석유자원 고갈에 따른 원재료 수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는 베이스층, 이지층 등 각 층의 제조시나 적층시에 CO2 등 환경 유해 물질의 배출이 적고, 폐기가 용이한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는 베이스층 및 이지층에 목분 및 송진을 적용하여 천연 나무의 질감 및 고유의 나무 향기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PLA 수지는 용융강도 보강제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이용한 결과 용융 압출 뿐만 아니라 PLA 수지의 카렌더링 또는 프레스 가공이 가능하였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닥재는 아래로부터 베이스층(110), 인쇄층(120) 및 투명층(130)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베이스층(110), 인쇄층(120) 및 투명층(130) 중 하나 이상의 층은 PLA(Polylactic acid) 수지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닥재는 베이스층(110), 인쇄층(120) 및 투명층(130)을 포함하고, 또한 베이스층 하부에 이지층(140)을 더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베이스층(110), 인쇄층(120), 투명층(130), 이지층(140) 중 하나 이상의 층은 PLA 수지를 포함한다.
PLA 수지는 락타이드 또는 락트산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서, 제조예를 들면, 옥수수, 감자 등에서 추출한 전분을 발효시켜 제조되는 락트산을 중합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옥수수, 감자 등은 얼마든지 재생 가능한 식물 자원이므로, 이들로부터 확보할 수 있는 PLA 수지는 석유 자원 고갈에 의한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PLA 수지는 사용 또는 폐기 과정에서 CO2 등의 환경 유해 물질의 배출량이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석유기반 소재에 비해 월등히 적고, 폐기 시에도 자연 환경 하에서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특성을 가진다.
PLA 수지는 결정질 PLA(c-PLA) 수지와 비정질 PLA(a-PLA) 수지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결정질 PLA 수지의 경우 가소제가 시트 표면으로 흘러나오는 브리딩(bleed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비정질 PLA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정질 PLA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브리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첨가되었던 상용화제가 첨가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비정질 PLA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PLA 수지는 100% 비정질 PLA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결정질과 비정질이 공존하는 PLA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베이스층(110), 인쇄층(120), 투명층(130), 이지층(140) 중에서 PLA 수지를 포함하는 층의 경우, PLA 수지에는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나, 용융강도 보강제로서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친환경적인 가소제로서, PLA 수지를 연화하여 열가소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고온에서 성형가공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로 ATBC(Acetyl tributyl citrate) 등을 제시할 수 있다.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베이스층(110)의 경우 PLA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10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인쇄층(120), 이지층(140)의 경우 PLA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6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투명층(130)의 경우 PLA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5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층에서 PLA 수지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 미만으로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사용할 경우, PLA 수지의 경도가 높아져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각각의 층에서 주어진 비율을 초과하여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사용할 경우 타 성분과의 상용성 저하에 따른 물성이 열화될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용융강도 보강제(melt strength enhancer)로서 사용된다. PLA 수지는 그 자체로서는 용융강도 또는 내열성이 약하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PLA 수지의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용융강도를 보완할 뿐만 아니라, 카렌더링, 프레스 가공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베이스층(110), 인쇄층(120), 투명층(130), 이지층(140) 공통적으로 PLA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2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PLA 수지의 용융 효율 및 용융 강도 개선 효율 향상이 불충분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바닥재를 구성하는 각 층의 제조 비용이 상승하고, 각 층을 구성하는 타 물질과의 상용성 문제 등으로 각 층의 전체적인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층(110), 인쇄층(120), 투명층(130), 이지층(140) 중에서 PLA 수지를 포함하는 층의 경우, PLA 수지에 활제, 사슬연장제, 내가수분해제 등이 1종이상 더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활제(Lubricant)는 상기 PLA 수지의 카렌더링, 프레스, 등의 가공과정에서 수지가 카렌더롤 또는 프레스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된다.
이러한 활제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활제로서 친환경적인 고급 지방산을 사용하며, 예로 탄소수 18의 포화 고급지방산인 스테아린 산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상기 활제는 베이스층(110), 인쇄층(120), 투명층(130) 및 이지층(140) 공통적으로 PLA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1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제의 사용량이 PLA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 미만이면 활제 사용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활제의 사용량이 PLA 수지 100 중량부 대비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PLA 수지의 내충격성, 내열성, 광택도 등을 열화시킬 수 있다.
상기 사슬 연장제(chain extender)는 사슬 연장을 통한 분자량을 증가시켜 인장강도, 내열성 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사슬 연장제는 디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그룹공중합체, 하이드록시카복실산 화합물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슬 연장제는 베이스층(110), 인쇄층(120), 투명층(130) 및 이지층(140) 공통적으로 PLA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1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LA 수지에서 사슬 연장제의 사용량이 PLA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 미만이면 사슬 연장제 사용에 따른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사슬 연장제의 사용량이 PLA 수지 100 중량부 대비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PLA 수지의 광택도 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내가수분해제(anti-hydrolysis agent)는 PLA 수지가 가수분해되어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내가수분해제는 폴리카보디이미드, 카보디이미드, 옥사졸린 등 통상 내가수분해제로 이용되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내가수분해제는 베이스층(110), 인쇄층(120), 투명층(130) 및 이지층(140) 공통적으로 PLA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하의 범위 내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가수분해제가 PLA 수지 100 중량부 대비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성형 가공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고가이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대폭 상승할 수 있다.
한편, PLA 수지가 인쇄층(120)에 적용될 경우, 각각의 층에는 보강용 무기계 필러인 탄산칼슘(CaCO3)이나 심미성 부여 등의 목적으로 백색 안료로서 이산화티타늄(TiO2)이 더 첨가될 수 있다.
탄산칼슘의 경우 베이스층(110)에는 PLA 수지 100 중량부에 대비 1,000 중량부 이하, 인쇄층(120)에는 PLA 수지 100 중량부 대비 100 중량부 이하, 이지층(140)에는 PLA 수지 100 중량부 대비 500 중량부 이하로 각각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산화티타늄의 경우, 인쇄층(120)에 PLA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이하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산칼슘이나 이산화티타늄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될 경우 타 성분들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층(110) 또는 이지층(140)에는 천연 나무의 질감 및 고유의 나무 향기를 부여하기 위한 목분이나 송진이 추가적으로 더 첨가될 수 있다.
목분의 경우 베이스층(110)과 이지층(140)에 공통적으로, PLA 수지 100 중량부 대비 200 중량부 이하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송진의 경우 베이스층(110)과 이지층(140)에 공통적으로, PLA 수지 100 중량부 대비 20 중량부 이하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분과 송진의 경우 베이스층(110)과 이지층(140)에 많이 포함될수록 천연 나무의 질감 등을 더 부여할 수 있으나,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더이상의 천연 질감 효과 상승 없이 오히려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베이스층(110), 인쇄층(120), 투명층(130) 및 이지층(140) 각각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층(110)은 바닥재의 가장 기본이 되는 층으로 상부의 인쇄층(120) 및 투명층(130)을 지지하고, 상부나 하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베이스층(110)은 1.0 ~ 5.0 mm 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층(110)의 두께가 1.0 mm 이하일 경우 상기 기능들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으며, 베이스층(110)의 두께가 5.0 mm를 초과할 경우 많은 PLA 수지 등의 사용으로 바닥재 제조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된다.
상기 베이스층(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아크릴계 공중합체 등을 함유하는 PLA 수지를 이용할 수 있고, PLA 수지에는 추가적으로 활제, 사슬 연장제, 내가수분해제, 탄산칼슘, 목분, 송진 등이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더 첨가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층(110) 상부에 형성되는 인쇄층(120)은 PLA 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표면에 전사 인쇄, 그라비어 인쇄, 스크린 인쇄, 오프셋 인쇄, 로터리 인쇄 또는 플렉소 인쇄, 잉크젯 인쇄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무늬를 형성함으로써 바닥재의 심미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쇄층(120)은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아크릴계 공중합체 등을 함유하는 PLA 수지를 이용할 수 있고, PLA 수지에는 추가적으로 활제, 사슬 연장제, 내가수분해제, 탄산칼슘, 이산화티타늄 등이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더 첨가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인쇄층(120)은 0.01 ~ 0.3 mm 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층(120)의 두께가 0.01 mm 미만일 경우 인쇄가 어려워질 수 있으며, 인쇄층(120)의 두께가 0.3 mm를 초과할 경우에는 바닥재 제조 비용의 상승을 가져오게 된다.
본 발명에서 인쇄층(120) 상부에 형성되는 투명층(130)은 인쇄층(130) 상에 형성되어 부피감을 부여하고, 인쇄층(120) 상부면에 형성된 무늬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투명층(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아크릴계 공중합체 등을 함유하는 PLA 수지를 이용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활제, 사슬 연장제, 내가수분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층(130)은 0.10~ 1.0 mm 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층이 0.10 mm 미만의 두께를 가질 경우 인쇄층에 형성된 무늬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없고 또한 부피감이 저하된다. 한편, 투명층의 두께가 1.0 mm를 초과할 경우 더 이상의 효과 상승 없이, 바닥재 제조 비용의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지층(140)은 시공시 바닥면과의 접착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바닥재 표면에 반대되는 이면을 보호하며, 상부나 하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지층(140)은 비프탈레이트 가소제, 아크릴계 공중합체, 활제, 사슬 연장제, 내가수분해제 등이 첨가된 PLA 수지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지층에는 탄산칼슘, 목분, 송진 등이 1종 이상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이지층(140)은 0.10 ~ 2.0 mm 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닥재의 구조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가장 바람직하다. 이지층(140)의 두께가 0.10 mm 미만이면 바닥재의 이면 보호 효과나 충격 흡수 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고, 이지층(140)이 2.0 mm를 초과할 경우 제조 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의 단면도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각각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닥재의 표면에 표면처리층(150)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표면처리층(150)은 바닥재의 내스크래치성이나 내마모성 등의 표면 품질을 향상시키고, 내오염성을 개선하여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 등에서 투명층(130)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표면처리층(150)은 폴리우레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왁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표면처리층(130)의 형성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할 경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UV 경화형 조성물을 우드 칩 인레이드층(120) 상에 도포하고, 자외선 조사를 통해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열경화성의 왁스를 우드 칩 인레이드층(120) 상에 도포하고 열풍 오븐을 통과하여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층(150)은 0.01 ~ 0.1 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처리층(150)이 0.01 mm 미만의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내스크래치성 등의 물성 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또한 표면처리층(150)이 0.1 mm를 초과할 경우 표면처리층 형성에 과다한 제조비용이 소요되고, 바닥재의 외관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카렌더링 공법 등을 적용하여 PLA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 등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전술한 PLA 수지를 포함한 각 원료들을 혼합 및 혼련한 후, 원하는 시트 형상으로 카렌더링 성형하는 과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원료의 혼합 및 혼련 공정은, 예를 들면, 액상 또는 분말상의 원료를 슈퍼 믹서, 압출기, 혼련기(kneader), 2본 또는 3본 롤 등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원료의 혼합 및 혼련 공정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혼합을 위하여, 배합된 원료를 반바리 믹서(banbury mixer) 등을 사용하여 120 ~ 200℃ 정도의 온도에서 혼련하고, 혼련된 원료를 120 ~ 200℃ 정도의 온도에서 2본 롤 등을 사용하여, 1차 및 2차 믹싱하는 방식과 같이, 상기 혼합 및 혼련 공정을 다단계로 반복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혼합된 원료를 카렌더링 공법에 적용하여 시트상의 베이스층 등을 제조하는 방법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역 L형 4본롤 카렌더 등의 통상의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카렌더링 가공 조건은,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의 조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대략 120 ~ 200℃ 정도의 가공 온도의 범위 내에서 카렌더링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비교예에 의한 바닥재의 제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바닥재의 제조예 및 비교예에 의한 제조예를 제시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투명층 제조
(1) 카렌더링 공법에 의한 투명층의 제조
PLA 수지, 사슬연장체, 내가수분해제, 가소제, 용융강도보강제, 활제를 첨가한 후, 반바리 믹서로 140℃에서 혼련한 다음, 140℃의 2본롤을 사용하여 1차 및 2차 믹싱하였다. 그 후, 제조된 원료를 130℃의 온도에서 카렌더링 가공하여 두께가 약 0.5mm인 시트를 제조하였다.
(2) 압출 공법에 의한 투명층의 제조
PLA 수지, 사슬연장제, 내가수분해제 및 가소제를 배합한 후 압출하는 방법으로 두께가 약 0.5 mm인 투명층을 제조하였다.
인쇄층 제조
PLA 수지, 가소제, 용융강도보강제, 활제, 사슬연장제, 내가수분해제, 탄산칼슘, 이산화티타늄을 배합한 후 상기 투명층 제조과정의 카렌더링 가공과 동일한 과정으로 가공하여, 두께가 약 0.2mm인 백색시트를 제조하였다.
베이스층 제조
PLA 수지, 가소제, 용융강도보강제, 활제, 사슬연장제, 내가수분해제, 탄산칼슘, 목분, 송진을 배합한 후 상기 투명층 제조과정의 카렌더링 가공과 동일한 과정으로 가공하여, 두께가 약 2mm인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지층 제조
PLA 수지, 가소제, 용융강도보강제, 활제, 사슬연장제, 내가수분해제, 탄산칼슘, 목분, 송진을 배합한 후 상기 투명층 제조과정의 카렌더링 가공과 동일한 과정으로 가공하여, 두께가 약 0.7 mm인 시트를 제조하였다.
표면처리층 형성
상기 제조된 베이스층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인쇄층 및 이지층을 열합판한 시트 인쇄층의 상부에 전사인쇄를 하며 그 상부에 투명층을 적층한 후 엠보싱롤을 이용하여 엠보싱한 투명층 표면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UV 경화형 도료를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두께 약 0.05mm의 표면처리층을 형성함으로써 최종 바닥재를 제조할 수 있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층, 인쇄층, 베이스층 및 이지층이 PLA 수지를 기반으로 하여 제조되었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한 바닥층의 제조는, 투명층, 인쇄층, 베이스층, 이지층 모두를 제조하거나, 물성평가를 위하여 일부 층만 제조하였다. 여기에서, 투명층, 인쇄층, 베이스층, 이지층의 조성은 하기의 표 1 및 표 2(PLA 100중량부 기준)와 같으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가소제, 용융강도보강제, 활제, 사슬연장제, 내가수분해제는 하기의 표 3과 같다.
(표 1)
Figure 112011018942820-pat00001

(표 2)
Figure 112011018942820-pat00002

(표 3)
Figure 112011018942820-pat00003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바닥재를 하기의 항목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는 하기의 표 4, 5와 같다(상대평가하였으며, 5점을 만점으로 한다).
(표 4)
Figure 112011018942820-pat00004

(표 5)
Figure 112011018942820-pat00005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베이스층
120 : 인쇄층
130 : 투명층
140 : 이지층
150 : 표면처리층

Claims (20)

  1.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면에 인쇄 무늬가 형성되는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부에 형성되는 투명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 인쇄층 및 투명층은 비정질 PLA 수지를 포함하는 PLA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층은 상기 PLA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 5 ~ 50 중량부 및 아크릴계 공중합체 0.1 ~ 2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상기 PLA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 5 ~ 60 중량부 및 용융강도 보강제 0.1 ~ 2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PLA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 5 ~ 100 중량부 및 아크릴계 공중합체 0.1 ~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
  2.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면에 인쇄무늬가 형성되는 인쇄층;
    상기 인쇄층 상부에 형성되는 투명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 인쇄층, 투명층 및 이지층은 비정질 PLA 수지를 포함하는 PLA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층은 상기 PLA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 5 ~ 50 중량부 및 아크릴계 공중합체 0.1 ~ 2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상기 PLA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 5 ~ 60 중량부 및 용융강도 보강제 0.1 ~ 2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PLA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 5 ~ 100 중량부 및 아크릴계 공중합체 0.1 ~ 2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지층은 상기 PLA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 5 ~ 60 중량부 및 아크릴계 공중합체 0.1 ~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표면처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LA 수지에는 활제, 사슬 연장제(chain extender), 내가수분해제 중 하나 이상이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LA 수지에는 탄산칼슘, 이산화티타늄, 목분, 이산화티타늄 및 송진 중 하나 이상이 더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은 상기 PLA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활제 0.01 ~ 10 중량부, 사슬 연장제 0.01 ~ 10 중량부 및 내가수분해제 10 중량부 이하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은 0.10 ~ 1.0 mm 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
  9. 삭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PLA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활제 0.01 ~ 10 중량부, 사슬 연장제 0.01 ~ 10 중량부, 내가수분해제 10 중량부 이하, 탄산칼슘(CaCO3) 100 중량부 이하 및 이산화티타늄(TiO2) 50 중량부 이하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0.01 ~ 0.3 mm 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
  12. 삭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PLA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활제로서 고급지방산 0.01 ~ 10 중량부, 사슬 연장제 0.01 ~ 10 중량부, 내가수분해제 10 중량부 이하, 탄산칼슘 1,000 중량부 이하, 목분 200 중량부 이하 및 송진 20 중량부 이하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1.00 ~ 5.0 mm 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
  15. 삭제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지층은 상기 PLA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활제 0.01 ~ 10 중량부, 사슬 연장제 0.01 ~ 10 중량부, 내가수분해제 10 중량부 이하, 탄산칼슘 500 중량부 이하, 목분 200 중량부 이하 및 송진 20 중량부 이하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지층은 0.10 ~ 2.0 mm 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층은 폴리우레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왁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
  19. 제3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층은 0.01 ~ 0.1 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
  20. 삭제
KR1020110023096A 2010-03-15 2011-03-15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 KR101417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051 2010-03-15
KR20100023051 2010-03-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433A Division KR101643452B1 (ko) 2010-03-15 2014-02-26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895A KR20110103895A (ko) 2011-09-21
KR101417207B1 true KR101417207B1 (ko) 2014-07-11

Family

ID=446497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096A KR101417207B1 (ko) 2010-03-15 2011-03-15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
KR1020140022433A KR101643452B1 (ko) 2010-03-15 2014-02-26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433A KR101643452B1 (ko) 2010-03-15 2014-02-26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17612B2 (ko)
EP (1) EP2549031B1 (ko)
JP (1) JP5746711B2 (ko)
KR (2) KR101417207B1 (ko)
CN (1) CN102947521B (ko)
WO (1) WO201111541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0934A (ko) 2012-01-06 2013-07-16 (주)엘지하우시스 Pla 수지를 이용한 강화 마루
KR20130080936A (ko) * 2012-01-06 2013-07-16 (주)엘지하우시스 Pla 수지를 이용한 바닥재 및 이 바닥재의 시공 방법
KR20130090065A (ko) * 2012-02-03 2013-08-13 (주)엘지하우시스 마루 바닥재
KR101452036B1 (ko) * 2012-03-12 2014-10-21 (주)엘지하우시스 이중바닥재용 고강성 상판
KR101452037B1 (ko) * 2012-03-12 2014-10-21 (주)엘지하우시스 이중바닥재용 고강성 상판
KR101493562B1 (ko) * 2012-03-14 2015-02-13 (주)엘지하우시스 Pla 수지를 이용한 바닥재
CN103826848A (zh) * 2012-09-21 2014-05-28 乐金华奥斯有限公司 生物降解性面板
KR20140148033A (ko) * 2013-06-21 2014-12-31 (주)엘지하우시스 생분해성 수지 및 목분을 포함하는 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9121182B2 (en) * 2013-09-25 2015-09-01 George Atkinson Weight room flooring system
US9765531B2 (en) 2014-01-08 2017-09-19 George Atkinson Weight room floor covering
KR102069714B1 (ko) * 2014-09-11 2020-01-28 (주)엘지하우시스 친환경 바닥재
CN108350695A (zh) * 2015-09-17 2018-07-31 博优国际集团公司 通过数字印刷基础面板的定做的覆盖面板
CN108367535A (zh) * 2015-10-16 2018-08-03 塔吉特Gdl公司 包含聚乙烯醇缩丁醛的装饰性多层表面覆盖物
EP3362286B1 (en) 2015-10-16 2019-07-31 Tarkett GDL Decorative multi-layer surface covering comprising polylactic acid
EP3156222A1 (en) 2015-10-16 2017-04-19 Tarkett GDL Decorative multi-layer surface covering comprising polyvinyl butyral
EP3156223A1 (en) 2015-10-16 2017-04-19 Tarkett GDL Decorative multi-layer surface covering comprising polyvinyl butyral
ITUB20155799A1 (it) * 2015-11-20 2017-05-20 Edilanzutti S R L Pannello di rivestimento e corrispondente metodo di posa in opera
KR102342014B1 (ko) * 2017-12-20 2021-12-21 (주)엘엑스하우시스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KR102365699B1 (ko) * 2017-12-20 2022-02-21 (주)엘엑스하우시스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CN109963907A (zh) * 2018-06-13 2019-07-02 浙江晶通塑胶有限公司 一种使用pla树脂的可降解地板及其生产工艺
WO2021144613A1 (en) * 2020-01-16 2021-07-22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Reversible floor covering element
CN111978753A (zh) * 2020-08-19 2020-11-24 安徽丰原生物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可降解聚乳酸板材及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530B1 (ko) * 2006-01-19 2008-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광 및 무광효과를 가진 바닥장식재와 이의 제조방법
WO2009120311A2 (en) * 2008-03-24 2009-10-01 Michael Riebel Biolaminate composite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JP2010234764A (ja) 2009-03-31 2010-10-21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及び該化粧シートを用いた化粧板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324B1 (ko) * 1988-03-19 1991-05-27 주식회사 럭키 무늬재 바닥타일의 제조방법
JP2003027723A (ja) * 2001-07-13 2003-01-29 Hagihara Industries Inc 畳床被覆用防水シート
JP2004018592A (ja) * 2002-06-13 2004-01-22 Fukuvi Chem Ind Co Ltd 異形押出成形建材
JP2004106314A (ja) * 2002-09-18 2004-04-08 Toppan Printing Co Ltd 生分解性を有するバリア積層体
FR2845714B1 (fr) * 2002-10-14 2005-03-18 Gerflor Module d'assemblage pour revetements de sols ou murs
US7354656B2 (en) * 2002-11-26 2008-04-08 Michigan State University, Board Of Trustees Floor covering made from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olylactide-based composite formulation
JP4285984B2 (ja) 2002-12-19 2009-06-24 フクビ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床材
JP4219207B2 (ja) * 2003-04-17 2009-02-04 ユニチカ株式会社 生分解性複合体
WO2005052056A1 (ja) 2003-11-25 2005-06-09 Asahi Kasei Life & Living Corporation 艶消しフィルム
JP2005263932A (ja) * 2004-03-17 2005-09-29 Asahi Kasei Life & Living Corp 微粒子ポリマー入り艶消しフィルム
CN100579775C (zh) * 2004-03-29 2010-01-13 冷鹭浩 一种带印刷膜的塑料板及其复合板
JP4400230B2 (ja) * 2004-01-29 2010-01-20 東レ株式会社 ポリ乳酸系フィルムおよび装飾シート
JP2005232828A (ja) * 2004-02-20 2005-09-02 Toppan Printing Co Ltd 床材
BRPI0512370B1 (pt) * 2004-06-23 2018-01-30 Natureworks Llc Processo para introdução de ramificação de cadeia longa em uma resina de polilactídeo processável em fusão
CN2761671Y (zh) * 2005-01-11 2006-03-01 叶和顺 防火壁纸结构
KR100757180B1 (ko) * 2005-03-11 2007-09-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무졸을 이용한 염화비닐-고무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US20070014977A1 (en) * 2005-07-12 2007-01-18 Daniel Graney Multilayer Film
JP4844808B2 (ja) * 2005-09-14 2011-12-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バリア性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積層材
KR100879440B1 (ko) 2005-11-07 2009-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인쇄무늬와 재단무늬가 일치하는 타일 타입 바닥장식재 및이의 제조방법
JP5030435B2 (ja) * 2006-02-17 2012-09-19 大八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乳酸系樹脂積層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易分解化処理方法
US20070231571A1 (en) * 2006-04-04 2007-10-04 Richard La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laminates
JP2008056745A (ja) * 2006-08-29 2008-03-13 Toppan Cosmo Inc 樹脂成形体
JP4940840B2 (ja) * 2006-09-05 2012-05-30 凸版印刷株式会社 床材の製造方法および床材
JP5034408B2 (ja) * 2006-09-22 2012-09-26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JP2008080703A (ja) 2006-09-28 2008-04-10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材
JP2008094871A (ja) 2006-10-06 2008-04-24 Fukuvi Chem Ind Co Ltd 生分解性樹脂組成物
JP5517276B2 (ja) * 2007-01-09 2014-06-11 東レ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8207441A (ja) * 2007-02-26 2008-09-11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JP2008238528A (ja) * 2007-03-27 2008-10-09 Susumu Kasuya 多層押出成形シートの製造法
JP5139722B2 (ja) * 2007-06-08 2013-02-06 三井化学株式会社 乳酸系ポリマーを含む多層シートおよび成形品
US9267033B2 (en) 2007-10-01 2016-02-23 Arkema Inc. Blends of biodegradable polymers and acrylic copolymers
EP2222456B1 (en) * 2007-12-11 2014-07-02 Toray Plastics (America) , Inc. Process to produce biaxially oriented polylactic acid film at high transverse orientation rates
JP5223358B2 (ja) * 2008-01-29 2013-06-26 株式会社トッパン・コスモ ポリ乳酸系単層化粧シート
JP5104358B2 (ja) * 2008-02-05 2012-12-19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JP5092793B2 (ja) 2008-02-25 2012-12-05 株式会社トッパン・コスモ 化粧シート
JP2009235365A (ja) * 2008-03-28 2009-10-15 Toyota Motor Corp ポリ乳酸複合成形体、ポリ乳酸複合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自動車内装材用表面部材
JP5154352B2 (ja) * 2008-05-26 2013-02-27 花王株式会社 ポリ乳酸樹脂射出成形体の製造方法
CN101284435B (zh) * 2008-06-11 2010-10-13 中国乐凯胶片集团公司 一种透明聚酯薄膜及其制造方法
JP2010052305A (ja) 2008-08-29 2010-03-11 Toppan Cosmo Inc 化粧シート
JP2010052308A (ja) * 2008-08-29 2010-03-11 Toppan Cosmo Inc 化粧シート
CN101585287B (zh) * 2009-06-08 2013-01-30 何庭佳 玻璃墙纸复合板的生产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530B1 (ko) * 2006-01-19 2008-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광 및 무광효과를 가진 바닥장식재와 이의 제조방법
WO2009120311A2 (en) * 2008-03-24 2009-10-01 Michael Riebel Biolaminate composite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JP2010234764A (ja) 2009-03-31 2010-10-21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及び該化粧シートを用いた化粧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15413A3 (ko) 2012-01-26
JP5746711B2 (ja) 2015-07-08
JP2013513744A (ja) 2013-04-22
KR101643452B1 (ko) 2016-07-27
KR20140028099A (ko) 2014-03-07
CN102947521A (zh) 2013-02-27
WO2011115413A2 (ko) 2011-09-22
EP2549031A2 (en) 2013-01-23
CN102947521B (zh) 2015-08-26
KR20110103895A (ko) 2011-09-21
US20130004751A1 (en) 2013-01-03
US9517612B2 (en) 2016-12-13
EP2549031B1 (en) 2019-12-18
EP2549031A4 (en)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452B1 (ko) Pla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
KR101260563B1 (ko) Pla 수지를 사용한 칩 스루 바닥재
KR101262646B1 (ko) Pla 및 bio 블렌드 수지를 이용한 바닥재
KR20110103813A (ko) Pla 블렌드 수지를 이용한 바닥재
KR20110103810A (ko) 천연질감 효과가 우수한 pla 바닥재
KR20110103808A (ko)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pla 바닥재
JP5603494B2 (ja) Pla樹脂を用いたチップインレイド床材
KR200473372Y1 (ko)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하는 친환경 바닥재 및 벽지
KR101355740B1 (ko) 가공성이 향상된 pla 바닥재
KR101263990B1 (ko) 바닥 마감재용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KR101260562B1 (ko) Pla 수지를 이용한 칩 인레이드 그린 바닥재
KR20150073413A (ko) 보드 복합재 및 이를 포함하는 마루 바닥재
KR101369576B1 (ko) Pla 수지를 이용한 칩 인레이드 바닥재
KR101294535B1 (ko) 우드 칩과 인쇄 복합구조를 갖는 pla 바닥재
KR101286339B1 (ko) Pla 수지를 사용한 우드 칩 인레이드 바닥재
KR101305716B1 (ko) 가소성이 우수한 친환경 pla 바닥재
KR101417189B1 (ko) 우드 칩과 인쇄 복합구조를 갖는 pla 바닥재
KR101276525B1 (ko) 우드 칩 인레이드와 인쇄 복합구조를 갖는 pla 바닥재
KR101539701B1 (ko) 충격 강도가 우수한 생분해성 시트의 엠보싱 가공 방법
KR101263987B1 (ko) 바닥 마감재용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KR101334504B1 (ko) 내수안정성이 있는 pla 바닥재
KR101337780B1 (ko) Pla 수지를 이용한 칩 인레이드 바닥재
KR20140001805A (ko) 천연질감 효과가 우수한 pla 바닥재
KR20160110591A (ko) 친환경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07507A (ko) Pla 수지를 이용한 칩 인레이드 바닥장식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