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014B1 -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 Google Patents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014B1
KR102342014B1 KR1020170176562A KR20170176562A KR102342014B1 KR 102342014 B1 KR102342014 B1 KR 102342014B1 KR 1020170176562 A KR1020170176562 A KR 1020170176562A KR 20170176562 A KR20170176562 A KR 20170176562A KR 102342014 B1 KR102342014 B1 KR 102342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vinyl chloride
tile flooring
weight
floor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4875A (ko
Inventor
노형문
남승백
손종석
신지희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70176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0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6Polymer particles coated by polymer, e.g. core shell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32B2419/04Tiles for floors or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닥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지층; 베이스층; 인쇄층; 필름층; 및 코팅층을 포함하는 타일 바닥재로 상기 코팅층이 자기치유 기능을 가진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여 내마모성을 개선시키고, 두께가 가장 두꺼운 베이스층은 연질로서 종래의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와 동일하게 하되, 상기 이지층 및 필름층을 경질로 제조하여 기존 타일 바닥재로서 요구되는 물성은 만족하면서 내스크래치성 및 눌림성을 개선함으로써 제품의 수명을 증가시킨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Polyvinyl chloride tile flooring}
본 발명은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닥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지층; 베이스층; 인쇄층; 필름층; 및 코팅층;을 포함하는 타일 바닥재로 상기 코팅층이 자기치유 기능을 가진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여 내마모성을 개선하고, 두께가 가장 두꺼운 베이스층은 연질로서 종래의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와 동일하게 하되, 상기 이지층 및 필름층을 경질로 제조하여 기존 타일 바닥재로서 요구되는 물성은 만족하면서 내스크래치성 및 눌림성을 개선함으로써 제품의 수명을 증가시킨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폴리염화비닐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7660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타일 바닥재는 가소제 처방에 따른 완제품의 타일 바닥재의 강도가 낮아 바닥의 요철 전사 및 눌림성 등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는 다수의 폴리염화비닐층을 적층시킨 후 마지막으로 최상층의 상부에 에어 나이프나 롤 코팅 방식으로 보호층의 배합원료를 코팅하여 자외선(UV)으로 경화시킴으로써 코팅층을 형성시켜 바닥재를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코팅층은 PVC 타일 바닥재의 약한 표면물성인 내마모성, 내용제성, 내열성, 내오염성, 내스크래치성 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코팅층의 배합원료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995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계 UV 경화형 조성물과 같은 일반적인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코팅층은 자기치유 기능이 없어 코팅층에 균열이 발생하면 다시 복원이 되지 않아 상기 코팅층이 마모되었을 경우, 타일 바닥재의 내마모성이 저하되면서 제품의 수명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6-0027660 A (공개일 : 2016.03.10) KR 10-2016-0029953 A (공개일 : 2016.03.1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자기치유 기능을 가진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한 코팅층을 포함하여 내마모성을 개선한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두께가 가장 두꺼운 베이스층은 연질로서 종래의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와 동일하게 하되, 상기 이지층과 필름층을 경질로 제조하여 기존 타일 바닥재로서 요구되는 물성은 만족하면서 내스크래치성 및 눌림성을 개선한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지층; 베이스층; 인쇄층; 필름층; 및 코팅층;을 포함하는 타일 바닥재로,
상기 코팅층은 자기치유제를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싼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이지층 및 필름층은 각각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아크릴계 수지 5-20중량부 및 가소제 1.5-2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는 자기치유 기능을 가진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여 내마모성이 개선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는 두께가 가장 두꺼운 베이스층은 연질로서 종래의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와 동일하게 하되, 상기 이지층과 필름층을 경질로 제조하여 기존 타일 바닥재로서 요구되는 물성은 만족하면서 내스크래치성 및 눌림성이 개선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의 적층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바닥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지층(10); 베이스층(20); 인쇄층(30); 필름층(40); 및 코팅층(50);을 포함하는 타일 바닥재(1)로,
상기 코팅층(50)은 자기치유제를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싼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이지층(10) 및 필름층(40)은 각각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아크릴계 수지 5-20중량부 및 가소제 1.5-2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타일 바닥재(1)를 구성하는 각 층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코팅층(50)
본 발명에서 코팅층(50)은 UV 경화형 조성물 내에 자기치유제를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싼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여 타일 바닥재의 내마모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UV 경화형 조성물은 통상의 광경화형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 일례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70-81중량%, 광개시제 4-10중량%, 소광제 4-10중량% 및 첨가제 6-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캡슐 내의 자기치유제란 중합촉매 없이 대기 중의 수분 또는 산소에 의해 중합이 개시되는 화합물로 상기 코팅층(50)에 균열이 발생한 경우 상기 균열을 메워주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자기치유제는 일례로 대기 중의 수분에 의해 중합이 개시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실란 화합물 및 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일례로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1,4-디이소시아나토부탄, 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8-디이소시아나토옥탄, 1,12-디이소시아나토도데칸, 1,5-디이소시아나토-2-메틸펜탄,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1,4-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 1,3-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2,4-디이소시아네이트(TDI), 톨릴렌-2,6-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로메틸-2,4-디이소시아나토벤젠, 4,4'-메틸렌비스(2,6-디에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 및 4,4’-옥시비스(페닐 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 경우에 중합촉매 없이 대기 중의 수분에 의해 중합되어 타일 바닥재의 내마모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실란 화합물은 일례로 비닐트리메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테트라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들의 중합체일 수 있고, 이 경우에 중합촉매 없이 대기 중의 수분에 의해 중합되어 타일 바닥재의 내마모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일례로 메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 에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 디에틸페닐렌비스시아노아크릴레이트, 에틸클로로메톡시페닐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에틸클로로트리플로로메틸페닐시아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들의 중합체일 수 있고, 이 경우에 중합촉매 없이 대기 중의 수분에 의해 중합되어 타일 바닥재의 내마모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자기치유제의 또 다른 일례로 대기 중의 산소에 의해 중합이 개시되는 디메틸페놀, 리노레닉산, 리노레익산, 리시노레익산 및 오레익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들의 중합체일 수 있고, 이 경우에 중합촉매 없이 대기 중의 산소에 의해 중합되어 타일 바닥재의 내마모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쉘은 위에서 서술한 코어 내의 자기치유제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폐하여 보호하는 역할과 함께, 코팅층(50)에 균열 발생 시 깨짐으로써 자기치유제가 흘러나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쉘은 마이크로캡슐의 취급 과정에서는 잘 깨지지 않으면서 코팅층(50)에 균열 발생 시에는 잘 깨질 수 있는 적절한 기계적 물성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위에서 서술한 특성을 갖는 상기 쉘은 일례로 에폭시 수지,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우레아-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알긴산, 젤라틴, 아라비아 고무, 아크릴산계 수지, 폴리비닐알콜 수지, 셀룰로오스,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우레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 수지일 수 있고, 이 경우에 캡슐화가 용이하며 코팅층(50)에 균열 발생 시 미세한 균열에도 잘 깨져서 균열 초기부터 자기치유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 일 실시예로 가교밀도가 높아 쉘 형태를 잘 유지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수지일 수 있으나 이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쉘의 두께는 일례로 0.05-15㎛ 또는 0.5-1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경우 균열을 효과적으로 치유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구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형 외에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직경은 일례로 0.001-20㎛ 또는 0.01-10㎛일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자기치유 기능이 우수하고, UV 경화형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UV 경화형 조성물 내에 5-30중량% 또는 10-20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마이크로캡슐의 분산성 및 자기치유 기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코팅층(50)의 두께는 0.005-0.1mm 또는 0.01-0.05mm일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필름층(40)
필름층(40)은 인쇄층(30)의 상부에 적층되어 하부의 인쇄무늬 또는 패턴을 보호함과 아울러 타일 바닥재의 강도(stiffness)를 상승시켜 바닥의 요철 전사 및 눌림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아크릴계 수지 5-20중량부 및 가소제 1.5-2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염화비닐 단독중합체로서 연, 경질 제품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범용 폴리염화비닐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중합도가 일례로, 650-890 또는 700-85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내구성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가공성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의 중합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짧은 시간에 부하를 높여 혼합속도를 가속화 시킴으로써 가공성 및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리전이온도가 비교적 높고, 강성이 있는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일례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제외한 아크릴계 단량체와의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일례로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일례로,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sec-부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부틸아크릴레이트, 아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아크릴레이트, n-헥실아크릴레이트, 사이크로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펜타데실아크릴레이트, 도데실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페닐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및 알릴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일례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제외한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타크릴레이트, 아밀메타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크릴레이트, n-헥실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크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펜타데실메타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 페닐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및 알릴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계 단량체 외에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단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단량체는 일례로,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1-헥센, 1-헵텐 등의 1-알켄; 비닐시클로헥산, 3,3-디메틸-1-프로펜, 3-메틸-1-디이소부틸렌, 4-메틸-1-펜텐 등의 분지된 알켄; 아크릴로니트릴; 비닐 아세테이트 등의 비닐 에스테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α-에틸스티렌 등의 측쇄에 알킬 치환기를 갖는 치환된 스티렌; 비닐톨루엔, p-메틸스티렌 등의 고리에 알킬 치환기를 갖는 치환된 스티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트리브로모스티렌, 테트라브로모스티렌 등의 할로겐화 스티렌; 말레산 무수물, 메틸말레산 무수물, 말레이미드, 메틸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산 유도체; 디비닐벤젠 등의 디엔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일례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산의 랜덤 공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산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의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n-부틸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의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일례로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0-1,500,000g/mole 또는 1,000,000-1,200,000g/mole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가공성 및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용융 효율이 저하되어 가공성 개선 효과가 미미함과 아울러 필름층(40)이 브리틀(brittle)하여 쉽게 부러지므로 상기 범위 내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일례로 20-25℃에서의 상대 점도(ηRel)가 1-5 또는 2-4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가공성 개선 효과가 미미함과 아울러 필름층(40)이 브리틀(brittle)하여 쉽게 부러지므로 상기 범위 내의 상대 점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일례로 유리전이온도가 85-120℃ 또는 90-115℃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필름층(40)의 유리전이온도 상승효과가 미미해 강도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가공성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5-20중량부 또는 5-1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가공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아크릴계 수지가 비열이 낮아 빨리 식어 캘린더 가공성이 저하되므로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벤조에이트계 가소제, 시트레이트계 가소제, 포스페이트계 가소제 및 아디페이트계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일례로 디뷰틸프탈레이트,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및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 뷰틸벤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친환경 가소제로, 예로 들면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벤조에이트계 가소제는 일례로, 2-(2-(2-페닐카르보닐옥시에톡시)에톡시)에틸 벤조에이트, 글리세릴 트리벤조에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 벤조에이트, 이소노닐 벤조에이트, 1-메틸-2-(2-페닐카보닐옥시프로폭시)에틸 벤조에이트, 2, 2, 4-트리메틸-1, 3-펜탄디올 디벤조에이트, n-헥실 벤조에이트 및 트리메틸올 프로판트리벤조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시트레이트계 가소제는 일례로,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 아세틸 트리이소부틸 시트레이트, 아세틸 트리에틸헥실 시트레이트 및 트리부틸 시트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포스페이트계 가소제는 일례로,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및 트리부틸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아디페이트계 가소제는 일례로, 비스(2-에틸헥실)아디페이트, 디메틸 아디페이트, 모노메틸 아디페이트 및 디옥틸 아디페이트 디이소노닐 아디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5-20중량부 또는 2-15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겔링성(gelling)이 부족함과 아울러 부하 상승으로 인해 가공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기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완제품인 타일 바닥재의 강도가 낮아 바닥의 요철 전사 및 눌림성 개선 효과가 미미함과 아울러 타일 바닥재가 휠 수 있으므로 상기 함량 범위 내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필름층(40)은 열안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통상의 폴리염화비닐 수지 가공에 필요한 것으로 그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으나 일례로, 에폭시화 대두유, 금속염, 칼슘-아연계 및 바륨-아연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6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필름층(40)은 일례로 두께가 0.1-0.5mm, 또는 0.12-0.4mm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너무 얇게 형성됨에 따라 파손될 우려가 있어 하부에 위치되는 인쇄층(30)의 보호가 어렵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형성될 경우 너무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재료비가 많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필름층(40)은 일례로 유리전이온도는 39-83℃, 또는 50-8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타일 바닥재의 강도(stiffness)가 상승하여 바닥의 요철 전사 및 눌림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인쇄층(30)
인쇄층(30)은 상기 필름층(40) 하부에 적층되고 타일 바닥재에 다양한 외관 및 디자인 효과을 부여해주기 위한 것으로,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25-30중량부, 열안정제 1-5중량부 및 안료 20-3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가소제 및 열안정제는 위에서 서술한 필름층(40)에 포함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가소제 및 열안정제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안료는 이산화티탄(TiO2)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쇄층(30)은 후술되는 베이스층(20) 상부에 적층 가공(라미네이팅)된 백색시트 표면에 전사인쇄를 통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베이스층(20) 상에 직접 그라비아(gravure) 또는 스크린 인쇄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30)은 일례로, 두께가 0.01-1mm 또는 0.05-0.5mm일 수 있고 이 경우에 타일 바닥재에 다양한 외관 및 디자인 효과을 부여할 수 있다.
베이스층(20)
본 발명에서 베이스층(20)은 치수안정성, 재단성 등의 타일 바닥재로서 요구되는 물성을 부여하는 층으로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30-50중량부 및 필러 500-80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및 가소제는 위에서 서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소제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30-50중량부 또는 35-4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가공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러는 탄산칼슘, 목분, 운모, 비정질 실리카, 활석, 제올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황산칼슘, 인산칼슘, 인산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카올린, ATH(Alumina trihydrate) 및 탈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필러는 바람직하게 탄산칼슘일 수 있고, 이 경우에 가격 및 범용성 측면에서 유리하고, 내열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러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500-800중량부, 또는 600-750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에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가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베이스층(20)은 열안정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서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열안정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6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20)은 일례로, 두께가 0.5-5mm 또는 1-3mm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타일 바닥재로서 요구되는 치수안정성을 만족할 수 없고, 경질인 필름층(40)을 적층함에도 불구하고 바닥의 요철 전사 및 눌림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제조 비용이 상승하여 적절하지 못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지층(10)
상기 이지층(10)은 타일 바닥재의 뒤틀림 및 휨을 방지하는 것으로,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아크릴계 수지 5-20중량부 및 가소제 1.5-2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및 가소제는 위에서 서술한 필름층(40)에 포함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및 가소제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지층(10)은 필러 및 열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서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필러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20-80중량부, 20-60, 또는 20-40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가격상승이 우려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가공성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6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지층(10)은 일례로, 두께가 0.1-0.5mm, 또는 0.15-0.4mm로 상기 필름층(40)과 두께가 동일하거나 혹은 조금 더 두꺼울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이지층이 경질이지만 완제품인 타일 바닥재의 강도 변화에는 아무런 효과가 없어 바닥의 요철 전사 및 눌림성 등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고, 타일 바닥재의 휨을 방지할 수 없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제조 비용이 상승함과 아울러 타일 바닥재 재단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일 바닥재(1)의 각 층은 선택적으로 물성을 조절하기 위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대전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천연 왁스, 산화 방지제, 활제, 착색제, 안정화제, 습윤제, 증점제, 기포제, 소포제, 응고제, 겔화제, 침강 방지제 및 노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 및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타일 바닥재(1)의 코팅층(50)을 제외한 이지층(10), 베이스층(20), 인쇄층(30), 및 필름층(40)은 예를 들어, 압출 성형, 캘린더 성형 또는 블로우 성형으로 상기 각각의 층들을 필름 또는 시트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이들을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합판 공정 등을 사용하여 150-190℃의 온도 및 50-100kg/cm2의 압력을 가해 적층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필름층(40) 상부에 마이크로캡슐이 혼합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광개시제, 소광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UV 경화형 조성물을 도포하여 UV 경화시켜 코팅층(50)을 형성함으로써 타일 바닥재(1)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일 바닥재(1)는 상기 예시한 층들 이외에도 추가적인 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일례로 치수보강층(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는 자기치유 기능을 가진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내마모성이 개선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일 바닥재는 두께가 가장 두꺼운 베이스층은 연질로서 종래의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와 동일하게 하되, 상기 이지층과 필름층을 경질로 제조하여 기존 타일 바닥재로서 요구되는 물성은 만족하면서 바닥의 내스크래치성 및 눌림성이 개선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타일 바닥재는 쇼어 D 경도가 65-75 또는 68-7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일 바닥재는 일례로 ISO 75-1에 의거하여 측정한 열변형 온도가 30-75℃ 또는 40-7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일 바닥재는 일례로 TOYOSEIKI사의 TABER STIFFNESS TESTER를 이용하여 측정한 강도(stiffness)가 25-60gf·cm 또는 30-55gf·cm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타일 바닥재의 내스크래치성 및 눌림성이 개선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실시예]
1. 타일 바닥재 제조
<실시예 1>
(이지층 형성)
폴리염화비닐 수지(LG 화학, LS 080S) 100중량부에 대해 아크릴계 수지(LG 화학, PA912) 7중량부, 가소제(LG화학, DOTP) 5중량부, 탄산칼슘 20중량부 및 열안정제 3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혼련하여 이지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이지층 제조용 조성물을 160℃의 온도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두께 0.2mm인 이지층을 형성하였다.
(베이스층 형성)
폴리염화비닐 수지(LG 화학, LS 080S) 100중량부에 대해 가소제(LG화학, DOTP) 40중량부, 탄산칼슘 650중량부 및 열안정제 4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혼련하여 베이스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베이스층 제조용 조성물을 160℃의 온도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두께 1.9mm인 베이스층을 형성하였다.
(인쇄층 형성)
폴리염화비닐 수지(LG 화학, LS 080S) 100중량부에 대해 가소제(LG화학, DOTP) 25중량부, 열안정제 3중량부 및 안료(TiO2) 25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혼련하여 백색시트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백색시트 제조용 조성물을 160℃의 온도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두께 0.1mm인 백색시트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백색시트 표면에 그라비아 인쇄 또는 전사 인쇄방법을 통해 인쇄무늬를 형성하여 인쇄층을 형성하였다.
(필름층 형성)
폴리염화비닐 수지(LG 화학, LS 080S) 100중량부에 대해 아크릴계 수지(LG 화학, PA912) 7중량부, 가소제(LG화학, DOTP) 5중량부 및 열안정제 3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혼련하여 필름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필름층 제조용 조성물을 160℃의 온도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두께 0.15mm인 필름층을 형성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이지층 상부에 베이스층을 적층하고, 상기 베이스층 상부에 인쇄층을 적층하고, 상기 인쇄층의 상부에 필름층을 적층한 후 160℃ 온도에서 열합판한다.
(코팅층 형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70-81중량%, 광개시제 4-10중량%, 소광제 4-10중량% 및 첨가제 6-10중량%을 포함하는 UV 경화형 조성물 내에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한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싼 폴리우레탄 수지 재질의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자기치유 기능을 가진 마이크로캡슐 15중량%를 혼합하였다.
이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이 혼합된 UV 경화형 조성물을 상기 필름층 상부에 도포한 후 UV로 경화시켜 두께가 0.02-0.03mm인 코팅층을 형성하여 최종 타일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이지층 및 필름층을 이하의 조성 및 방법으로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위의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형성하여 타일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이지층 형성)
폴리염화비닐 수지(LG 화학, LS 080S) 100중량부에 대해 아크릴계 수지(LG 화학, PA912) 7중량부, 가소제(LG화학, DOTP) 10중량부, 탄산칼슘 20중량부 및 열안정제 3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혼련하여 이지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이지층 제조용 조성물을 160℃의 온도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두께 0.2mm인 이지층을 형성하였다.
(필름층 형성)
폴리염화비닐 수지(LG 화학, LS 080S) 100중량부에 대해 아크릴계 수지(LG 화학, PA912) 7중량부, 가소제(LG화학, DOTP) 10중량부 및 열안정제 3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혼련하여 필름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필름층 제조용 조성물을 160℃의 온도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두께 0.15mm인 필름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3>
이지층 및 필름층을 이하의 조성 및 방법으로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위의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형성하여 타일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이지층 형성)
폴리염화비닐 수지(LG 화학, LS 080S) 100중량부에 대해 아크릴계 수지(LG 화학, PA912) 7중량부, 가소제(LG화학, DOTP) 15중량부, 탄산칼슘 20중량부 및 열안정제 3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혼련하여 이지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이지층 제조용 조성물을 160℃의 온도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두께 0.2mm인 이지층을 형성하였다.
(필름층 형성)
폴리염화비닐 수지(LG 화학, LS 080S) 100중량부에 대해 아크릴계 수지(LG 화학, PA912) 7중량부, 가소제(LG화학, DOTP) 15중량부 및 열안정제 3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혼련하여 필름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필름층 제조용 조성물을 160℃의 온도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두께 0.15mm인 필름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1>
이지층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위의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형성하여 타일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이지층 및 필름층을 이하의 조성 및 방법으로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위의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형성하여 타일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이지층 형성)
폴리염화비닐 수지(LG 화학, LS 080S) 100중량부에 대해 가소제(LG화학, DOTP) 27중량부, 탄산칼슘 20중량부 및 열안정제 3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혼련하여 이지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이지층 제조용 조성물을 160℃의 온도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두께 0.2mm인 이지층을 형성하였다.
(필름층 형성)
폴리염화비닐 수지(LG 화학, LS 080S) 100중량부에 대해 가소제(LG화학, DOTP) 33중량부 및 열안정제 3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혼련하여 필름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필름층 제조용 조성물을 160℃의 온도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두께 0.15mm인 필름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3>
이지층을 이하의 조성 및 방법으로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위의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형성하여 타일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이지층 형성)
폴리염화비닐 수지(LG 화학, LS 080S) 100중량부에 대해 가소제(LG화학, DOTP) 27중량부, 탄산칼슘 20중량부 및 열안정제 3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혼련하여 이지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이지층 제조용 조성물을 160℃의 온도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두께 0.2mm인 이지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4>
필름층을 이하의 조성 및 방법으로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위의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형성하여 타일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필름층 형성)
폴리염화비닐 수지(LG 화학, LS 080S) 100중량부에 대해 가소제(LG화학, DOTP) 33중량부 및 열안정제 3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혼련하여 필름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필름층 제조용 조성물을 160℃의 온도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두께 0.15mm인 필름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5>
베이스층을 이하의 조성 및 방법으로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위의 비교예 2와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형성하여 타일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베이스층 형성)
폴리염화비닐 수지(LG 화학, LS 080S) 100중량부에 대해 아크릴계 수지(LG 화학, PA912) 10중량부, 가소제(LG화학, DOTP) 5중량부, 탄산칼슘 650중량부 및 열안정제 4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혼련하여 베이스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베이스층 제조용 조성물을 160℃의 온도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두께 1.9mm인 베이스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6>
이지층 및 필름층 각각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LG 화학, PA912)의 함량을 30중량부로 사용하였단 점을 제외하고는 위의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형성하여 타일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이지층 및 필름층 각각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LG 화학, PA912)의 함량을 3중량부로 사용하였단 점을 제외하고는 위의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형성하여 타일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8>
이지층 및 필름층 각각에 포함되는 가소제(LG화학, DOTP)의 함량을 30중량부로 사용하였단 점을 제외하고는 위의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형성하여 타일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9>
이지층 및 필름층 각각에 포함되는 가소제(LG화학, DOTP)의 함량을 1중량부로 사용하였단 점을 제외하고는 위의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형성하여 타일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0>
코팅층이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위의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형성하여 타일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참조예 1>
코팅층 내에 마이크로캡슐 40중량%를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위의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형성하여 타일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2. 타일 바닥재의 물성 측정
상기 1에서 제조한 실시예 1-3, 비교예 1-10 및 참조예 1의 필름층의 유리전이온도(Tg)와 타일 바닥재의 눌림성, 가공성, 내스크래치성, 재단성, 컬링성, 열변형 온도, 강도(stiffness) 및 내마모성을 측정하여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필름층의 유리전이온도(℃):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로 측정하였다.
-눌림성(mm): 타일 바닥재에 1000psi의 압력으로 24시간 동안 누른 후 상기 압력을 제거하고 24시간 후의 눌린 깊이를 측정하였다.
-가공성: 2본 롤에서의 이지층 및 필름층 성형 후 이의 표면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양호 : 성형된 이지층 및 필름층의 표면이 매끄러움
불량 : 성형된 이지층 및 필름층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우둘투둘함)
-내스크래치성: Ball tip scratch tester를 이용하여 타일 바닥재의 내스크래치성을 측정하였다.
-재단성: 타일 바닥재를 잘랐을 때 자른 표면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양호 : 자른 표면이 매끄러움
불량 : 자른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우둘투둘함)
-컬링성: 타일 바닥재의 휨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 : 휨, X : 휘지 않음)
-열변형 온도: 타일 바닥재를 가로*세로 10mm*5mm의 시편으로 제작하여 ISO 75-1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강도(stiffness): TOYOSEIKI사의 TABER STIFFNESS TESTER를 이용하여 타일 바닥재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내마모성: 타일 바닥재를 가로*세로 100mm*100mm의 시편으로 제작하여 Taber Abrasion Tseter를 이용하여 일정 횟수 마모 테스트 후 감소되는 시편의 무게로 내마모성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17127387617-pat00001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한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싼 폴리우레탄 수지 재질의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자기치유 기능을 가진 마이크로캡슐을 사용하였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중합도가 840인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하였다.(LG화학, LS 080S)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0-1,200,000g/mol, 20-25℃에서 상대점도(ηRel)가 2-4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n-부틸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의 랜덤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LG화학, PA 912)
-상기 가소제는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였다.(LG화학, DOTP)
상기 표 1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일 바닥재인 실시예 1-3은 타일 바닥재로서 요구되는 재단성, 컬링성 등의 물성은 만족하면서도 종래 폴리염화비닐 타일인 비교예 2와 비교하여 열변형 온도 및 강도가 높아 내스크래치성 및 눌림성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일 바닥재인 실시예 1-3은 특정 함량의 자기치유 기능을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한 코팅층을 포함하여 내마모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이지층을 포함하지 못한 타일 바닥재인 비교예 1 및 이지층을 제외한 필름층만 경질인 비교예 3의 경우 타일 바닥재가 휘는 컬링성에 문제가 있고, 열변형 온도 및 강도가 낮아 내스크래치성 및 눌림성의 개선이 미미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필름층을 제외한 이지층만 경질인 비교예 4는 열변형 온도 및 강도가 낮아 내스크래치성 및 눌림성의 개선이 미미하고, 두께가 두꺼운 베이스층을 경질로 제조한 비교예 5는 가공성이 불량하고 재단성이 우수하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지층 및 필름층에 아크릴계 수지를 특정 함량을 초과하여 포함한 비교예 6 및 아크릴계 수지를 특정 함량 미만으로 포함한 비교예 7은 가공성이 저하되고 특히, 비교예 6은 재단성 또한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지층 및 필름층에 가소제를 특정 함량을 초과하여 포함한 비교예 8은 열변형 온도 및 강도가 낮아 내스크래치성 및 눌림성의 개선이 되지 않고, 가소제를 특정 함량 미만으로 포함한 비교예 9는 가공성 및 재단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코팅층 내에 자기치유 기능을 가진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지 못한 비교예 10은 내마모성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정 함량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한 참조예 1은 UV 경화형 조성물 내에 마이크로캡슐의 분산성이 저하되어 투명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1 : 타일 바닥재 10 : 이지층
20 : 베이스층 30 : 인쇄층
40 : 필름층 50 : 코팅층

Claims (16)

  1. 바닥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지층; 베이스층; 인쇄층; 필름층; 및 광경화 코팅층;을 포함하는 타일 바닥재로,
    상기 광경화 코팅층은 자기치유제를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싼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광경화 코팅층은 층 두께가 0.01 내지 0.05 mm이고,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직경은 0.01~20 um이며,
    상기 이지층 및 필름층은 각각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아크릴계 수지 5-20중량부 및 가소제 1.5-20중량부를 포함하는 경질층이고,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30-50 중량부 및 필러 500-8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연질층이며,
    상기 자기치유제는 디메틸페놀, 리노레닉산, 리노레익산, 리시노레익산 및 오레익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들의 중합체이거나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치유제는 중합촉매 없이 대기중의 수분 또는 산소에 의해 중합이 개시되는 화합물인 것인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에폭시 수지,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우레아-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알긴산, 젤라틴, 아라비아 고무, 아크릴산계 수지, 폴리비닐알콜 수지, 셀룰로오스,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우레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 수지인 것인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쉘의 두께는 0.05-15㎛인 것인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상기 광경화 코팅층 내에 5-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중합도가 650-890인 것인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의 랜덤 공중합체인 것인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0-1,500,000g/mol인 것인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10. 삭제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지층 및 필름층의 두께는 각각 0.1-0.5mm인 것인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유리전이온도가 39-83℃인 것인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14. 삭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바닥재의 ISO 75-1에 의거하여 측정한 열변형 온도는 30-75℃인 것인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바닥재의 강도(stiffness)는 25-60gf·cm인 것인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KR1020170176562A 2017-12-20 2017-12-20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KR102342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562A KR102342014B1 (ko) 2017-12-20 2017-12-20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562A KR102342014B1 (ko) 2017-12-20 2017-12-20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875A KR20190074875A (ko) 2019-06-28
KR102342014B1 true KR102342014B1 (ko) 2021-12-21

Family

ID=67066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562A KR102342014B1 (ko) 2017-12-20 2017-12-20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0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3961A (ja) * 2013-01-10 2014-07-24 Okamoto Kk 壁装材及び表層フィルム
JP2016068524A (ja) * 2014-10-01 2016-05-09 ダイヤプラスフィルム株式会社 積層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6711B2 (ja) * 2010-03-15 2015-07-08 エルジー・ハウシス・リミテッドLg Hausys,Ltd. Pla樹脂を使用した床材
KR101498361B1 (ko) * 2013-05-10 2015-03-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치유성 물질을 포함하는 미세캡슐 및 그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코팅제 및 자기치유성 필름
KR20150041207A (ko) * 2013-10-04 2015-04-16 (주)엘지하우시스 자가치유 바닥재
KR20160000995A (ko) * 2014-06-26 2016-01-06 홍영근 마이크로캡슐 함유 자가치유 아스팔트
KR101968781B1 (ko) 2014-09-02 2019-04-12 (주)엘지하우시스 치수안정성이 개선된 폴리염화비닐수지 바닥재
KR101986080B1 (ko) 2014-09-05 2019-06-07 (주)엘지하우시스 친환경 바닥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3961A (ja) * 2013-01-10 2014-07-24 Okamoto Kk 壁装材及び表層フィルム
JP2016068524A (ja) * 2014-10-01 2016-05-09 ダイヤプラスフィルム株式会社 積層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875A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8099B (zh) 耐擦傷性樹脂積層體、顯示器之前蓋材及影像顯示裝置
JP4923825B2 (ja) 艶消し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
CN106715078A (zh) 挤出树脂板的制造方法及挤出树脂板
KR101930708B1 (ko) 바닥재용 투명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KR101398786B1 (ko) 인쇄가능한 글래스 비산 방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233544B1 (ko) 표면 눌림성을 개선한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74905A (ko)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2014B1 (ko)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KR102063599B1 (ko) 데코시트용 코팅 조성물 및 데코시트
JP4578128B2 (ja) 樹脂成形品
KR102342013B1 (ko) 타일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365699B1 (ko)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KR20160080277A (ko) 다층시트
KR101242387B1 (ko) 장식시트용 염화비닐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장식 시트
JP6417876B2 (ja) 樹脂積層体
JP2014205342A (ja) 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237302A (ja) 保護フィルム付成形用樹脂積層体、保護フィルム付成形体、および成形体
JP5116900B1 (ja) インキ流れの発生を抑制する転写シート
KR101953872B1 (ko) 생분해성 카드 조성물 및 어닐링 기술을 활용한 고기능성 카드 제조방법
JP2008040232A (ja) 透明性シート
KR101943341B1 (ko) 캘린더링 공정용 평활도 향상 첨가제
KR20090111146A (ko) 점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483301B1 (ko) Pvc 바닥재
KR20230086116A (ko)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EP4194222A1 (en) Decoration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