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480B1 -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480B1
KR101367480B1 KR1020127022038A KR20127022038A KR101367480B1 KR 101367480 B1 KR101367480 B1 KR 101367480B1 KR 1020127022038 A KR1020127022038 A KR 1020127022038A KR 20127022038 A KR20127022038 A KR 20127022038A KR 101367480 B1 KR101367480 B1 KR 101367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door
car
door panel
threshold
se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2822A (ko
Inventor
게이고 야마모토
다츠오 우에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2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8Details of seals an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에서는, 도어의 다리가 삽입되는 제1 문턱홈에 더하여, 제2 문턱홈이 엘리베이터칸 문턱에 마련되어 있다. 탄성체제인 제1 씰부재는 제1 문턱홈의 측면에 접하도록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의 하부에 마련되고,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의 개폐동작시에 제1 문턱홈의 측면을 따라서 슬라이딩된다. 탄성체제인 제2 씰부재는 제2 문턱홈의 측면에 접하도록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의 하부에 마련되며,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의 개폐동작시에 제2 문턱홈의 측면을 따라서 슬라이딩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 {CAR DOOR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고층빌딩에 설치되는 초고속 엘리베이터 등, 엘리베이터칸의 차음성(遮音性)이 요구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층빌딩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칸의 승강속도가 매분 수백 미터에 이르고, 주행중의 엘리베이터칸의 주위에서 발생하는 바람 가르는 소리가 매우 커진다. 이 때문에, 바람 가르는 소리의 발생을 최대한 방지하거나, 발생한 바람 가르는 소리가 엘리베이터칸 실내로 유입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하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고 있다.
바람 가르는 소리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칸 실의 형상을 요철이 적은 형상으로 하거나, 엘리베이터칸 실의 상하에 유선형의 커버를 설치하거나 하여, 기류를 매끄럽게 하는 방법이 있다. 또,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바람 가르는 소리의 엘리베이터칸 실내로의 유입을 억제하기 위해,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상하와 도어패널의 상하에 밀착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도어패널이 닫혔을 때, 밀착부재끼리가 밀착하여, 엘리베이터칸 도어 주위의 틈새가 패색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종래의 다른 엘리베이터에서는, 상하방향으로 변위하는 폐색장치가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마련되어 있고,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전폐(全閉)시에, 엘리베이터칸 도어와 엘리베이터칸 문턱과의 사이의 틈새가 폐색장치에 의해 폐색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10-12034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3-306286호 공보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도어닫음시에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상하에서 밀착부재가 동시에 맞닿을 필요가 있어, 매우 고도의 공작성이나 설치성이 요구된다. 또, 매우 큰 도어닫음력에 의해서 도어를 닫지 않으면,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상하에서 밀착부재끼리를 밀착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에, 도어모터의 부하가 커진다.
또한, 엘리베이터칸 도어를 매다는 도어레일 및 엘리베이터칸 도어를 개폐하는 구동장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지만, 엘리베이터칸 실은 방진고무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의 하부상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 실에 많은 승객이 탔을 때에는, 엘리베이터칸 실이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대해서 2 ~ 3㎜ 정도 잠겨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칸 도어와 엘리베이터칸 문턱과의 사이의 틈새가 넓어지게 되어,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하부에 마련한 씰부재가 엘리베이터칸 문턱에 접촉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이 해결수단으로서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폐색장치가 있지만, 구성이 복잡하고,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중량 상승이 염려된다. 또, 만일, 정전 등에 의해 승객이 엘리베이터칸 실에 갇혔을 경우, 폐색장치로부터 엘리베이터칸 문턱을 향하여 가압력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수동으로 엘리베이터칸 도어를 열 때에 큰 저항이 발생한다.
또한, 급격한 기압변동에 의한 귀의 폐색감을 완화시키기 위한 기압제어장치를 탑재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칸의 주행중에 가감압을 행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 실의 내외에서 1000Pa 상당의 기압차가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칸 출입구가 2평방 미터인 경우, 엘리베이터칸 도어는 2000N의 힘을 받게 된다. 또, 가압이나 감압 등에 의해서 힘을 받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 도어에는 전후 양방향으로의 미소 변동이 발생한다.
따라서, 초고속 엘리베이터 등의 높은 차음 성능이 요구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대한 엘리베이터칸 실의 상하방향으로의 변위나, 기압제어장치에 의한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전후방향으로의 변위에 대해서도,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하부와 엘리베이터칸 문턱과의 사이의 틈새를 폐색상태로 유지하고, 또한, 수동으로 엘리베이터칸 도어를 열 때에 큰 저항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대한 엘리베이터칸 실의 상하방향으로의 변위나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의 전후방향으로의 변위에 대해서, 높은 차음 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도어모터의 부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으며, 수동으로 엘리베이터칸 도어를 열 때에 큰 저항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는, 엘리베이터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하부에 마련되고,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의 개폐방향을 따라서 마련된 제1 및 제2 문턱홈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칸 문턱,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의 하부에 마련되고, 제1 문턱홈에 삽입되는 도어의 다리, 제1 문턱홈의 측면에 접하도록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의 하부에 마련되고,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의 개폐동작시에 제1 문턱홈의 측면을 따라서 슬라이딩되는 탄성체제인 제1 씰부재 및 제2 문턱홈의 측면에 접하도록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의 하부에 마련되고,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의 개폐동작시에 제2 문턱홈의 측면을 따라서 슬라이딩되는 탄성체제인 제2 씰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는, 도어의 다리가 삽입되는 제1 문턱홈에 더하여 제2 문턱홈을 엘리베이터칸 문턱에 마련하고, 제1 문턱홈의 측면에 접하는 제1 씰부재와 제2 문턱홈의 측면에 접하는 제2 씰부재를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의 하부에 마련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대한 엘리베이터칸 실의 상하방향으로의 변위는 제1 및 제2 씰부재의 상하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의해 흡수하고,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의 전후방향으로의 변위는 제1 및 제2 씰부재의 탄성변형에 의해 흡수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높은 차음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씰부재는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의 개폐동작시에 제1 및 제2 문턱홈의 측면을 따라서 슬라이딩되므로, 큰 도어닫음력은 필요없고, 도어모터의 부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수동으로 엘리베이터칸 도어를 열 때에 큰 저항이 생기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엘리베이터칸(1)(2점쇄선으로 나타냄)의 정면에는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도어(2)에 의해 개폐된다. 각 엘리베이터칸 도어(2)는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과,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상부에 접속된 도어행거(4)를 가지고 있다. 각 도어행거(4)에는 한 쌍의 행거롤러(5)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1)의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의 상부에는 도어레일(6)이 고정되어 있다. 도어패널(3)은 도어행거(4)를 통하여 도어레일(6)로부터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개폐시에는 행거롤러(5)가 도어레일(6)상에서 전동(轉動)된다.
엘리베이터칸(1)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2)를 개폐시키는 도어모터(7)가 탑재되어 있다. 도어모터(7)의 구동력은 감속기구(8) 및 링크기구(9)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에 전달된다. 좌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2)는 링크기구(9)에 의해 연동하여 동시에 반대 방향으로 개폐동작된다. 또, 승강장 도어(도시생략)는 엘리베이터칸 도어(2)에 맞물림으로써 엘리베이터칸 도어(2)와 함께 개폐동작된다.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의 하부(바닥부)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개폐동작시에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하단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칸 문턱(10)이 고정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하단부의 종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에서,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우측이 엘리베이터칸 실 측, 좌측이 승강장 측이다. 엘리베이터칸 문턱(10)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개폐방향을 따라서 마련된 제1 및 제2 문턱홈(11, 12)이 서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제2 문턱홈(12)은 제1 문턱홈(11)의 승강장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문턱홈(11)은 제1 엘리베이터칸 실 측 측면(11a)과, 제1 승강장 측 측면(11b)과, 제1 저면(11c)을 가지고 있다. 제2 문턱홈(12)은 제2 엘리베이터칸 실 측 측면(12a)과, 제2 승강장 측 측면(12b)과, 제2 저면(12c)을 가지고 있다. 제2 문턱홈(12)의 깊이는 제1 문턱홈(11)의 깊이와 동일하다. 또, 제1 및 제2 문턱홈(11, 12)은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두께의 범위 내에서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내측에는 복수의 흡음(吸音)부재(13a ~ 13d)가 고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하부에는 하부 보강부재(14)가 고정되어 있다. 하부 보강부재(14)는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폭방향(도 1의 좌우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또, 하부 보강부재(14)는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이면에 접착 또는 용접된 접합부(14a)와,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하단부의 이면에 대향하는 다리 장착부(14b)를 가지고 있다. 접합부(14a) 및 다리 장착부(14b)는 평판을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다리 장착부(14b)에는 복수의 도어의 다리(15)가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폭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나사 고정되어 있다. 도어의 다리(15)는 제1 문턱홈(11)에 삽입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개폐동작시에는, 도어의 다리(15)는 제1 문턱홈(11) 내에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개폐동작시의 덜컹거림 등이 억제된다.
다리 장착부(14b)에는 제1 누름쇠(16)를 통하여 복수의 제1 씰부재(17)가 장착되어 있다. 제1 누름쇠(16)는 다리 장착부(14b)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제1 씰부재(17)의 상단부는 제1 누름쇠(16)와 다리 장착부(14b)와의 사이에 끼워 지지되어 있다. 제1 씰부재(17)는 도어의 다리(15)가 장착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한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폭방향의 전체에 마련되어 있다.
또, 제1 씰부재(17)는 고무 등의 탄성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 하단부는 제1 엘리베이터칸 실 측 측면(11a)에 접촉하여 미소하게 탄성변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씰부재(17)는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개폐동작시에 제1 엘리베이터칸 실 측 측면(11a)을 따라서 슬라이딩된다.
하부 보강부재(14)의 접합부(14a)의 이면에는 단면 'L'자형의 고정부재(18)가 접착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재(18)는 수평부(18a)를 가지고 있다. 수평부(18a)에는 비스(vis)(19)에 의해 장착브래킷(20)이 장착되어 있다. 비스(19)는 장착브래킷(20)의 상면 측으로부터 연직으로 조여져 있다.
장착브래킷(20)에는 차음판(21) 및 제2 누름쇠(22)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차음판(21)의 하단부는 제2 문턱홈(12) 내에 삽입되어 있다. 또, 차음판(21)은 철강제이며,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폭방향의 전체에 걸쳐 연속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2 누름쇠(22)와 차음판(21)과의 사이에는 제2 씰부재(23)가 끼워 지지되어 있다. 제2 씰부재(23)는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폭방향의 전체에 걸쳐 연속해서 마련되어 있다.
또, 제2 씰부재(23)는 고무 등의 탄성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는 제2 승강장 측 측면(12b)에 접촉하여 미소하게 탄성변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씰부재(23)는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개폐동작시에 제2 승강장 측 측면(12b)을 따라서 슬라이딩된다.
하부 보강부재(14)에는 장착브래킷(20)이나 제2 누름쇠(22)에 대향하는 이면판(커버)(24)이 장착되어 있다. 이면판(24)은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폭방향의 전체에 걸쳐 연속해서 마련되어 있고, 복수의 비스(25)에 의해 하부 보강부재(14)의 상단부 근방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에서는, 도어의 다리(15)가 삽입되는 제1 문턱홈(11)에 더하여 제2 문턱홈(12)을 엘리베이터칸 문턱(10)에 마련하고, 제1 엘리베이터칸 실 측 측면(11a)에 접하는 제1 씰부재(17)와 제2 승강장 측 측면(12b)에 접하는 제2 씰부재(23)를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하부에 마련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대한 엘리베이터칸 실의 상하방향으로의 변위는 제1 및 제2 씰부재(17, 23)의 상하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의해 흡수하고,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전후방향(도 2의 좌우방향)으로의 변위는 제1 및 제2 씰부재(17, 23)의 탄성변형에 의해 흡수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높은 차음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씰부재(17, 23)는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의 개폐동작시에 제1 및 제2 문턱홈(11, 12)의 측면(11a, 12b)을 따라서 슬라이딩되므로, 큰 도어닫음력은 필요없고, 도어모터(7)의 부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수동으로 엘리베이터칸 도어(2)를 열 때에 큰 저항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제1 씰부재(17)가 접하는 것은 제1 엘리베이터칸 실 측 측면(11a)이며, 제2 씰부재(23)가 접하는 것은 제2 승강장 측 측면(12b)이기 때문에, 기압제어장치(도시생략)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칸 실이 가압 또는 감압되었을 때의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전후방향으로의 변위에 대해서, 제1 및 제2 씰부재(17, 23)의 적어도 한쪽은 엘리베이터칸 문턱(10)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높은 차음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제2 문턱홈(12)에 삽입되는 차음판(21)을 이용함으로써, 차음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1 씰부재(17)는 도어의 다리(15)가 장착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한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폭방향의 전체에 마련되어 있으며, 제2 씰부재(23) 및 차음판(21)은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폭방향의 전체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도어의 다리(15)와 제1 씰부재(17)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차음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칸 도어(2)의 개폐동작의 반복에 의해, 제1 및 제2 씰부재(17, 23)가 마모했을 때는, 비스(25)를 제거하여 이면판(24)을 떼어냄으로써, 제2 누름쇠(22)를 고정하고 있는 나사를 노출시킬 수 있어, 제2 씰부재(23)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 이 상태로부터, 비스(19)를 제거하여 장착브래킷(20)을 떼어냄으로써, 제1 누름쇠(16)를 고정하고 있는 나사를 노출시킬 수 있어, 제1 씰부재(17)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제1 씰부재(17)는 도어의 다리(15)와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하면,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폭방향의 전체에 연속하여 마련해도 된다.
또, 제1 누름쇠(16), 제1 씰부재(17), 제2 누름쇠(22), 제2 씰부재(23) 및 차음판(21) 등은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3)의 폭방향으로 적절히 분할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제1 씰부재(17)가 제1 엘리베이터칸 실 측 측면(11a)에 접하고, 제2 씰부재(23)가 제2 승강장 측 측면(12b)에 접하고 있지만, 제1 씰부재(17)가 제1 승강장 측 측면(11b)에 접하고, 제2 씰부재(23)가 제2 엘리베이터칸 실 측 측면(12a)에 접하도록 해도 된다.
더욱이 또한, 제1 씰부재(17)를 2개 이용하거나, 또는 제1 씰부재(17)의 하단부를 2방향으로 분기시켜, 제1 씰부재(17)가 제1 엘리베이터칸 실 측 측면(11a)과 제1 승강장 측 측면(11b)의 양쪽에 접하도록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씰부재(23)가 제2 엘리베이터칸 실 측 측면(12a)과 제2 승강장 측 측면(12b)의 양쪽에 접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칸 실 측의 문턱홈(11)에 도어의 다리(15)를 삽입하고, 승강장 측의 문턱홈(12)에 차음판(21)을 삽입했지만, 반대라도 된다. 즉, 승강장 측을 제1 문턱홈(11)으로 하고, 엘리베이터칸 실 측을 제2 문턱홈(12)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2매 도어 중앙열림식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를 나타냈지만,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의 타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또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를 적용하는 엘리베이터는 초고속 엘리베이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엘리베이터에 적용해도 차음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4)

  1. 엘리베이터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
    상기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의 개폐방향을 따라서 마련된 제1 및 제2 문턱홈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칸 문턱,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문턱홈에 삽입되는 도어의 다리,
    상기 제1 문턱홈의 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의 개폐동작시에 상기 제1 문턱홈의 측면을 따라서 슬라이딩되는 탄성체제인 제1 씰부재, 및
    상기 제2 문턱홈의 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의 개폐동작시에 상기 제2 문턱홈의 측면을 따라서 슬라이딩되는 탄성체제인 제2 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씰부재가 접하는 측면은 상기 제1 문턱홈의 엘리베이터칸 실 측 및 승강장 측 중 어느 한쪽의 측면이며,
    상기 제2 씰부재가 접하는 측면은 상기 제2 문턱홈의 엘리베이터칸 실 측 및 승강장 측의 다른 쪽의 측면인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문턱홈에 삽입되는 차음판(遮音板)을 더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씰부재는 상기 도어의 다리가 장착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한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의 폭방향의 전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 씰부재 및 차음판은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의 폭방향의 전체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
  4. 삭제
KR1020127022038A 2010-03-31 2010-03-31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 KR101367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55869 WO2011121764A1 (ja) 2010-03-31 2010-03-31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822A KR20120112822A (ko) 2012-10-11
KR101367480B1 true KR101367480B1 (ko) 2014-02-25

Family

ID=44711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038A KR101367480B1 (ko) 2010-03-31 2010-03-31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57063B1 (ko)
JP (1) JP5523554B2 (ko)
KR (1) KR101367480B1 (ko)
CN (1) CN102811937B (ko)
WO (1) WO20111217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7896A1 (ja) * 2013-06-28 2014-12-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
CN104709798A (zh) * 2013-12-16 2015-06-17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轿厢结构
KR101639582B1 (ko) 2014-07-21 2016-07-14 권순범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
WO2017138060A1 (ja) * 2016-02-08 2017-08-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CN106185560B (zh) * 2016-08-31 2018-11-27 艾瑞斯股份有限公司 高速梯轿门防风降噪结构
WO2018173224A1 (ja) * 2017-03-23 2018-09-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KR101937698B1 (ko) * 2017-05-17 2019-04-09 (주)모든엘리베이터 스프링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CN109264556B (zh) * 2017-07-18 2021-10-26 富士达株式会社 电梯的门装置
KR102058932B1 (ko) * 2018-03-21 2019-12-2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조립체
KR102094885B1 (ko) 2018-10-29 2020-03-30 권순범 방폭형 스위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잠금장치
KR102184683B1 (ko) 2019-05-09 2020-11-30 주식회사 이노에스템 인터록 어셈블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시스템
KR102289475B1 (ko) * 2019-07-08 2021-08-11 강환흥 엘리베이터 카와 홀실의 주변 틈새 밀폐 및 공기청정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1394A (ja) * 1989-09-22 1991-05-13 Inventio Ag エレベータかごの防音ドアシール装置
JPH10220126A (ja) * 1997-02-12 1998-08-18 Sankyo Alum Ind Co Ltd サッシ
KR20000007863U (ko) * 1998-10-10 2000-05-06 이종수 엘리베이터 도어의 방음장치
JP2005035742A (ja) 2003-07-15 2005-02-10 Fujitec Co Ltd 遮煙部材を備えた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7588U (ko) * 1985-09-11 1987-03-24
JPS6359189U (ko) * 1986-10-03 1988-04-20
JPS63112389A (ja) * 1986-10-30 1988-05-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防煙装置
JPS63167482U (ko) * 1987-04-23 1988-11-01
JP3396587B2 (ja) 1996-10-25 2003-04-14 株式会社東芝 超々高速エレベータ
JP3425654B2 (ja) * 1998-01-29 2003-07-14 株式会社岡村製作所 側方拡張型移動間仕切の遮音装置
JP4405133B2 (ja) * 2002-04-12 2010-01-2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かご室ドアの吊下支持構造
JP4416435B2 (ja) * 2003-05-14 2010-02-1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ドアの密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1394A (ja) * 1989-09-22 1991-05-13 Inventio Ag エレベータかごの防音ドアシール装置
JPH10220126A (ja) * 1997-02-12 1998-08-18 Sankyo Alum Ind Co Ltd サッシ
KR20000007863U (ko) * 1998-10-10 2000-05-06 이종수 엘리베이터 도어의 방음장치
JP2005035742A (ja) 2003-07-15 2005-02-10 Fujitec Co Ltd 遮煙部材を備えた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11937A (zh) 2012-12-05
EP2557063A4 (en) 2016-01-06
KR20120112822A (ko) 2012-10-11
EP2557063A1 (en) 2013-02-13
JP5523554B2 (ja) 2014-06-18
JPWO2011121764A1 (ja) 2013-07-04
WO2011121764A1 (ja) 2011-10-06
CN102811937B (zh) 2014-06-18
EP2557063B1 (en)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480B1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
JP4131764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30124367A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장치
CN102190232A (zh) 电梯轿厢
CN105143084A (zh) 电梯用轿厢
US11059698B2 (en) Elevator safety gear assembly
CN109715471B (zh) 用于密封轨道车辆的至少一个门扇的设备以及轨道车辆
JP2013245038A (ja) エレベータ用敷居
CN102040140B (zh) 电梯装置以及电梯的电梯门装置
KR20130125794A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JP2012218897A (ja) エレベータ
WO2014207896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
CN212861448U (zh) 用于真空管道列车的端门以及真空管道列车
JPWO2004106213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5937255B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90048296A (ko) 엘리베이터의 저층부 탑승 시 종진동 저감장치
JP6122306B2 (ja) 鉄道車両の構造
JP5721594B2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CN207129820U (zh) 一种用于高速电梯的层门装置
JP5161479B2 (ja) エレベータのカウンターウエイト
KR100999101B1 (ko) 승강장 스크린도어 모듈 설치용 장치
JP2012001307A (ja) エレベータの戸の脚
WO2019180976A1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2012131583A (ja) エレベータのかご救出口装置
JP7323399B2 (ja) トンネル用の避難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