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582B1 -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 - Google Patents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9582B1 KR101639582B1 KR1020140091639A KR20140091639A KR101639582B1 KR 101639582 B1 KR101639582 B1 KR 101639582B1 KR 1020140091639 A KR1020140091639 A KR 1020140091639A KR 20140091639 A KR20140091639 A KR 20140091639A KR 101639582 B1 KR101639582 B1 KR 1016395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frame
- door
- locking hook
- piece
- reinforc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건물의 엘리베이터 피트에 연결된 진입구(7)에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개폐 작동되는 도어(2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구비된 록킹 후크(30)와; 상기 도어(20)에 힌지부(4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20)를 닫았을 때에 상기 록킹 후크(30)에 걸려지는 록킹 래치(4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과 마주하는 단부가 상기 록킹 후크(30)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10)과 마주하는 단부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더 가깝게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록킹 후크(30)에 결합된 보강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도어에 외부의 큰 충격이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엘리베이터 도어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승강로를 따라 이동하는 케이지에 설치되는 도어와 건물 각층에서 승강로와 연통하는 진입구에 설치되는 승강장 도어를 포함한다. 한편, 엘리베이터 승강장(예를 들어, 건물 각 층의 복도)에 진입구가 구비되고, 승강장의 진입구에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엘리베이터 도어에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이나 하중이 가해지면 엘리베이터 도어가 상당히 큰 외력을 받으면서 제위치에서 이탈되고, 엘리베이터 도어가 제위치에서 이탈될 경우 엘리베이터 피트로 추락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처럼 엘리베이터 도어가 피트로 추락할 경우 심각한 인명 피해 및 재산상의 손해를 끼치게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케이지 자체에 구비된 도어도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에서 큰 외력이 가해지거나 하중이 작용할 경우 제위치에서 이탈되어 엘리베이터 피트로 추락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역시 심각한 인명 피해 및 재산상의 손해를 초래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도어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제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제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안전성 강화 수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설치되는 케이지 도어는 물론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진입구에 설치되는 승강장 도어가 장착된 위치에서 쉽게 이탈되어 보수 작업이 자주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안전 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강화 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거나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것과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가 큰 외력이나 하중 등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함으로써 승객의 추락 사고와 같은 각종 안전 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의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도어가 설치된 제위치에서 쉽게 이탈되어 유지 보수 작업 등이 빈번하게 요구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엘리베이터 피트에 연결된 진입구(7)에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개폐 작동되는 도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된 록킹 후크와; 상기 도어에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를 닫았을 때에 상기 록킹 후크에 걸려지는 록킹 래치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마주하는 단부가 상기 록킹 후크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마주하는 단부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더 가깝게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록킹 후크에 결합된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보강부재는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폭이 상기 록킹 후크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폭보다 더 크게 구성되어 상기 보강부재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마주하는 단부가 상기 록킹 후크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마주하는 단부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 쪽으로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된 록킹 후크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록킹 후크 브라켓에 상기 록킹 후크와 상기 보강부재가 장착되어 상기 보강부재가 상기 록킹 후크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 쪽으로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 후크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는 픽싱 브라켓편; 상기 픽싱 브라켓편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교차되는 방향(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후크 지지 브라켓편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 지지 브라켓편에 상기 록킹 후크와 상기 보강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부재는 전단부와 후단부 및 양쪽 측단부를 구비한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록킹 후크는 전단부와 후단부 및 양쪽 측단부를 구비한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강부재의 후단부와 상기 록킹 후크의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보강부재의 후단부가 상기 록킹 후크의 후단부에 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 쪽으로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쪽에 한 쌍의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에는 무한궤도 운동하는 로프가 결합되고, 상기 보강부재와 상기 록킹 후크가 록킹 후크 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로프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상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개폐되는 한 쌍의 제1도어와 제2도어가 결합되며, 상기 제1도어에 장착된 록킹 래치는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가 닫힐 때에 상기 록킹 후크의 한쪽 측단부에 구비된 걸림 후크편에 걸려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강부재는 한쪽 측단부가 상기 록킹 후크의 한쪽 측단부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다른 쪽 측단부는 상기 록킹 후크의 다른 쪽 측단부보다 바깥으로 더 돌출되며, 상기 보강부재의 상기 다른 쪽 측단부가 상기 제2도어에 연결된 제2도어 연결판의 영역으로 더 들어가서 상기 보강부재가 상기 제2도어 연결판을 앞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부재가 결합된 상기 록킹 후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연결된 제2보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 후크와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된 록킹 후크 브라켓의 후크 지지 브라켓편에 장착되고, 상기 록킹 후크 브라켓은 상기 후크 지지 브라켓편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인서트 지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인서트 지지편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인서트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2보강부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마주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된 픽싱편과, 상기 픽싱편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방향으로 연장된 크로스 연장편과, 상기 크로스 연장편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픽싱편과 마주하는 인서트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2보강부재의 상기 픽싱편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편이 상기 록킹 후크 브라켓의 상기 인서트 지지편에 구비된 상기 인서트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한 쌍의 제1도어와 제2도어가 상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개폐되도록 가이드하는 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제2보강부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록킹 후크와 상기 보강부재가 구비된 면과 반대되는 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편이 상기 록킹 후크의 상기 인서트 지지편에 구비된 상기 인서트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보강부재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마주하는 픽싱편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픽싱편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연장된 보조 크로스 연장편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크로스 연장편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마주하도록 연장된 보조 연장편이 더 구비되고, 상기 레일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록킹 후크와 상기 보강부재가 구비된 면과 반대되는 면으로 개방된 오목홈을 구비하며, 상기 보조 크로스 연장편과 상기 보조 연장편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레일 배면의 상기 오목홈 내부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록킹 후크보다 베이스 프레임 쪽으로 더 돌출된 보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도어가 베이스 프레임에서 쉽게 이탈되면서 엘리베이터 도어가 임의로 열려버리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처럼 엘리베이터 도어의 외부 충격에 의한 이탈을 방지함으로 인하여 각종 안전사고 방지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도어가 강한 외력이나 강한 충격력 등에 의해 제자리에서 쉽게 이탈되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유지 보수에 있어서도 기존에 비하여 보다 유리하다.
또한, 보강부재는 한쪽 측단부가 록킹 후크의 한쪽 측단부에 인접 배치되는 한편, 상기 보강부재의 다른 쪽 측단부는 록킹 후크의 다른 쪽 측단부보다 바깥으로 더 돌출되어, 보강부재에서 록킹 후크의 측단부보다 더 돌출된 부분이 제2도어 연결판을 앞에서 막아서 지지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도어가 결합 위치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도어가 베이스 프레임에서 밀려서 이탈될 경우 보강부재와 록킹 후크에 걸려지게 되는 도어 연결판을 상기 제2보강부재가 뒤에서 이중으로 잡아주는 구조가 되므로, 엘리베이터 도어와 도어 연결판의 이탈 방지 구조가 더욱 견고하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제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제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안전성 강화 수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충실히 부응할 수 있는 발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매우 크다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도 1의 일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의 확대된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요부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배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록킹 후크 브라켓의 배면과 제2보강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보강부재와 록킹 후크 브라켓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저면 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록킹 후크 브라켓과 제2보강부재가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도 1의 일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의 확대된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요부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배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록킹 후크 브라켓의 배면과 제2보강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보강부재와 록킹 후크 브라켓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저면 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록킹 후크 브라켓과 제2보강부재가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는 건물의 엘리베이터 피트에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10)과, 이 베이스 프레임(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도어(2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구비된 록킹 후크(30)와, 상기 도어(20)에 힌지부(42)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어(20)를 닫았을 때에 록킹 후크(30)에 걸려지는 록킹 래치(4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과 마주하는 단부가 록킹 후크(30)의 베이스 프레임(10)과 마주하는 단부보다 베이스 프레임(10)에 더 가깝게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록킹 후크(30)에 결합된 보강부재(50)를 구비한다. 록킹 후크(30)에 결합된 보강부재(50)가 베이스 프레임(10)에 록킹 후크(30)보다 더 가까이 근접하도록 배치되고, 보강부재(50)는 록킹 후크(30)와 함께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각 층의 승강장 진입로측에서 외력이 큰 가해지더라도 보강부재(50)로 인하여 도어(20)가 제자리에서 이탈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기존에 비하여 안전성을 매우 향상시키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구조는 심플하게 구현한 데에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주로 승강장(예를 들어, 건물의 복도 등)에서 엘리베이터 피트와 연통된 진입구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주로 채용된다. 물론,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도어에도 채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피트에서 승강장 진입구(7)의 상단부에는 베이스 프레임(10)이 직립 설치된다. 이 베이스 프레임(10)은 대략 직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베이스 프레임(10)이 승강장의 진입구(7)에 브라켓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직립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하측에는 가로 방향으로 도어 레일(12)이 구비되고, 이 도어 레일(12)에는 도어(20)의 상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10)의 도어 레일(12)에는 좌우 하나씩 제1도어 연결판(20AP)과 제2도어 연결판(20BP)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각각의 제2도어 연결판(20AP)과 제2도어 연결판(20BP)에는 좌우 제1도어(20A)와 제2도어(20B)가 하나씩 결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은 도어 레일(12)과 인접되도록 한 쌍의 연동 롤러(24)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위치에 각각 한 쌍의 연동 롤러(24)가 구비되어 있고, 이 두 개의 연동 롤러(24)에는 무한궤식으로 연동 로프(26)가 결합되어 있다. 이 연동 로프(26)는 하측 연동 로프부(26LR)와 상측 연동 로프부(26UR)로 구성된다.
상기 두 개의 제1도어 연결판(20AP)과 제2도어 연결판(20BP) 중에서 한 쪽의 제2도어 연결판(20BP)은 연결편과 볼트 등의 연결수단을 매개로 연동 로프(26)의 상측 연동 로프부(26UR)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좌측의 제2도어 연결판(20BP)이 연동 로프(26)의 상측 연동 로프부(26UR)에 연결되어 있고, 우측의 제2도어 연결판(20AP)는 연동 로프(26)의 하측 연동 로프부(26LR)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는 록킹 후크(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한 쪽에 록킹 후크(30)가 구비되며, 이 록킹 후크(30)의 선단부에는 후술할 록킹 래치(40) 선단부의 록킹 걸림편(40a)이 맞걸려지기 위한 걸림 후크편(30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힌지부(42)를 매개로 록킹 래치(40)가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록킹 래치(40)는 베이스 프레임(10)에 힌지부(42)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록킹 래치(40)의 선단부에는 록킹 후크(30)에 결합되기 위한 록킹 걸림편(40a)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도어 연결판(20AP)에 록킹 래치(40)가 힌지부(42)를 매개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록킹 래치(40)에는 탄성 복귀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이 탄성 복귀수단에 의해 록킹 래치(40)가 힌지부(42)를 중심으로 원위치 복귀되어 록킹 후크(30)에 록킹 래치(40) 선단부의 록킹 걸림편(40a)이 맞걸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두 개의 제1도어 연결판(20AP)과 제2도어 연결판(20BP) 중에서 제2도어 연결판(20BP)은 연결편과 볼트 등의 연결수단을 매개로 연동 로프(26)의 상측 연동 로프부(24UR)에 연결되고, 상기 제1도어 연결판(20AP)은 연결편과 볼트 등의 연결수단을 매개로 연동 로프(26)의 하측 연동 로프부(24LR)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동 로프(26)가 한쪽 방향으로 무한 궤도 운동하면, 연동 로프(26)의 상측 연동 로프부(26UR)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하는 한편, 상기 연동 로프(26)의 하측 연동 로프부(26LR)은 베이스 프레임(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두 개의 도어(20A 및 20B)를 개방하고, 상기 연동 로프(26)가 다른 쪽 방향으로 무한 궤도 운동하면, 상기 연동 로프(26)의 상측 연동 로프부(12AU)는 다시 엘리베이터 상부측의 베이스 프레임(10)의 중앙부를 향하여 이동(즉,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연동 로프(26)의 하측 연동 로프부(26LR)은 베이스 프레임(10)의 중앙부를 향하여 다시 이동(즉,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두 개의 도어(20A 및 20B)를 다시 닫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엘리베이터의 케이지가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피트에는 건물 각 층에 대응되는 진입구(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진입구(7)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탑승한 사람이 건물의 각 층으로 들어가거나 각 층에서 사람이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탑승할 수 있는 입출구이다.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에 형성된 건물 각 층의 진입구(7) 상부측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도어 상부측에 구비된 프레임(미도시)이 마주하게 되는 베이스 프레임(1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는 좌우 방향으로 길다란 판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이 베이스 프레임(10)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쪽 위치에 하나씩 연동 롤러(2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구비된 좌우 연동 롤러(24)에는 무한궤도식으로 순환하는 연동 로프(26)(와이어 또는 벨트 등이 될 수 있음)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좌우 연동 롤러(24)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연동 롤러(26)에는 미도시된 모터의 모터축이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모터축 회전에 의해 연동 로프(26)가 무한 궤도 순환 운동함에 따라 건물 각 층의 진입구(7)에 구비된 승강장 도어(20)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무한궤도식으로 순환하도록 구비된 상기 연동 로프(26)에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한 쌍의 승강장 도어(20)가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프레임(10)에 가로 방향으로 구비된 도어 레일에 좌우 두 개의 승강장 도어(20A,20B) 상단부의 승강장 도어 연결판(20AP,20BP)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두 개의 승강장 도어 연결판(20AP,20BP) 중에서 우측의 제1도어(20A) 연결판(20AP)은 상기 연동 로프(26)의 하측 연동 로프부(26LR)에 연결되고 다른 좌측의 제2승강장 도어 연결판(20BP)은 연동 로프(26)의 상측 연동 로프부(26UR)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연동 로프(26)이 무한궤도식으로 결합된 한 쌍의 연동 롤러(26)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연동 로프(26)의 상측 연동 로프부(26UR)와 하측 연동 로프부(26LR)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순환하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순환하면서 두 개의 좌우 승강장 도어(20A,20B)를 열거나 닫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장 도어(20A,20B)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구조는 특허등록 제10-1257717호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으므로, 도어(20)의 개폐 구조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첫 번째 특징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보강부재(50)를 구비한다. 이때, 보강부재(50)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양면 중에서 한쪽 면에 고정되는 록킹 후크 브라켓(34)에 고정된다.
상기 록킹 후크 브라켓(34)은 사각판 형상의 픽싱 브라켓편(34a)과, 이 픽싱 브라켓편(34a)의 하단부에서 교차되는 방향(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후크 지지 브라켓편(34b)을 포함한다. 또한, 록킹 후크 브라켓(34)은 후크 지지 브라켓편(34b)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인서트 지지편(34c)을 구비한다. 인서트 지지편(34c)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인서트홀(34h)이 구비된다. 또한, 록킹 후크 브라켓(34)은 픽싱 브라켓편(34a)의 상단부에 직교하는 방향(인서트 지지편(34c)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상측 픽싱편(34d)을 구비한다. 또한, 상측 픽싱편(34d)에는 상향으로 직교하도록 연장된 체결구 결합편(34e)을 구비한다. 상측 픽싱편(34d)은 픽싱 브라켓편(34a)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체결구 결합편(34e)은 픽싱 브라켓편(34a)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이다. 체결구 결합편(34e)에는 볼트 등의 체결구(B)를 삽입하기 위한 체결구홀이 구비된다. 상기 인서트 지지편(34c)은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편이 구비되어, 고정편이 픽싱 브라켓편(34a)의 배면에 고정된다. 고정편은 볼트 등의 체결구나 용접 등의 방식으로 픽싱 브라켓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 지지편(34c)이 픽싱 브라켓편(34a)의 배면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취한다. 즉, 록킹 후크 브라켓(34)은 픽싱 브라켓편(34a)의 하단부에서 전면으로 연장된 후크 지지 브라켓편(34b)과, 상기 픽싱 브라켓편(34a)의 하단부에서 배면으로 연장된 인서트 지지편(34c)과 픽싱 브라켓편(34a)의 상단부에서 배면으로 연장된 상측 픽싱편(34d)과, 이 상측 픽싱편(34d)에서 픽싱 브라켓편(34a)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체결구 결합편(34e)을 포함한다.
상기 록킹 후크 브라켓(34)은 베이스 프레임(10)의 한쪽 면(바깥면)에 고정된다. 록킹 후크 브라켓(34)의 체결구 결합편(34e)에 구비된 체결구홀에 볼트 등의 체결구가 삽입되고, 체결구는 베이스 프레임(10)에 체결되어 록킹 후크 브라켓(34)이 베이스 프레임(10)의 한쪽 면에 고정된 구조이다.
상기 보강부재(50)는 전단부와 후단부 및 양쪽 측단부가 있는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보강부재(50)가 상면에 얹혀지는 록킹 후크(30)도 전단부와 후단부 및 양쪽 측단부를 구비한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며, 록킹 후크(30)의 양쪽 측단부 중에서 록킹 래치(40)와 마주하는 측단부에는 걸림 후크편(30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록킹 후크 브라켓(34)의 후크 지지 브라켓편(34b)에 록킹 후크(30)와 보강부재(50)가 함께 결합된다. 록킹 후크(30)에는 상하면으로 연통된 체결구홀이 구비되고, 상기 후크 지지 브라켓편(34b)에 상하면으로 연통된 체결구홀이 구비되며, 상기 보강부재(50)에도 상하면으로 연통된 체결구홀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구홀들이 정렬된 상태에서 볼트를 결합하여 볼트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후크 지지 브라켓편(34b)의 상면에 록킹 후크(30)와 보강부재(5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50)는 록킹 후크(30)보다 베이스 프레임(10) 쪽으로 더 돌출된 것이 특징을 이룬다. 즉, 보강부재(50)는 전단부와 후단부 및 양쪽 측단부가 있는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록킹 후크(30)도 전단부와 후단부 및 양쪽 측단부가 구비된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록킹 래치(40)와 마주하는 측단부에는 걸림 후크편(30a)이 구비되는데, 상기 보강부재(50)는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폭이 록킹 후크(30)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폭보다 더 크게 구성되어 보강부재(50)의 베이스 프레임(10)과 마주하는 단부가 록킹 후크(30)의 베이스 프레임(10)과 마주하는 단부보다 베이스 프레임(10) 쪽으로 더 돌출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보강부재(50)에서 베이스 프레임(10)과 마주하는 단부가 후단부이고 그 반대쪽 단부가 전단부라 가정하고, 록킹 후크(30)의 베이스 프레임(10)과 마주하는 단부도 후단부이고 그 반대쪽 단부가 전단부가 가정하면, 상기 보강부재(50)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폭이 록킹 후크(30)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폭보다 더 크게 구성되어 보강부재(50)의 베이스 프레임(10)과 마주하는 후단부가 록킹 후크(30)의 베이스 프레임(10)과 마주하는 후단부보다 베이스 프레임(10) 쪽으로 더 돌출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때, 보강부재(50)의 베이스 프레임(10)과 마주하는 단부와 베이스 프레임(10) 사이의 거리는 대략 4~5mm 정도가 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보강부재(50)의 베이스 프레임(10)과 마주하는 단부 사이의 거리(D)는 최대한 작은 것이 좋다. 즉, 보강부재(50)의 베이스 프레임(10)과 마주하는 단부 사이의 거리가 4~5mm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록킹 후크(30)의 후단부에 비하여 보강부재(50)의 후단부가 베이스 프레임(10)에 장착된 록킹 후크 브라켓(34) 방향으로 더 돌출된 구조이다. 보강부재(50)의 후단부가 록킹 후크(30)의 후단부보다 록킹 후크 브라켓(34)에 더 근접되도록 돌출된 구조이다. 보강부재(50)의 후단부가 베이스 프레임(10)에서 이격된 거리(D)가 최대한 작도록 록킹 후크(30)의 후단부보다 더 베이스 프레임(10) 방향으로 돌출된 점에서 특징적인 구성을 가진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50)는 양쪽 측단부 중에서 한쪽 측단부가 록킹 후크(30)의 걸림 후크편(30a)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는데, 보강부재(50)의 한쪽 측단부 반대편의 다른 쪽 측단부는 록킹 후크(30)의 측단부보다 더 바깥으로 돌출된 구조를 이룬다. 록킹 후크(30)의 걸림 후크편(30a)이 구비된 측단부와 반대되는 단부보다 보강부재(50)의 상기 다른 쪽 측단부가 더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정면에서 볼 때에 상기 록킹 래치(40)가 장착된 우측의 제1도어 연결판(20AP)과, 이러한 제1도어 연결판(20AP)과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좌측의 제2도어 연결판(20BP)이 구비되고, 제1도어 연결판(20AP)과 제2도어 연결판(20BP)에는 각각 제1도어(20A)와 제2도어(20B)가 결합되는데, 상기 록킹 후크(30)의 걸림 후크편(30a)이 구비된 측단부와 반대되는 단부보다 보강부재(50)의 상기 다른 쪽 측단부가 좌측의 제2도어 연결판(20BP) 방향으로 더 돌출된 구조이다. 보강부재(50)의 상기 다른 쪽 측단부가 제2도어 연결판(20BP)의 측단부보다 더 안쪽 영역으로 들어가 있어서, 제2도어 연결판(20BP)이 밀리는 힘이 작용할 경우 보강부재(50)의 후단부에 제2도어 연결판(20BP)이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정리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는 상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쪽에 한 쌍의 연동 롤러(24)가 구비되고, 상기 연동 롤러(24)에는 무한궤도 운동하는 연동 로프(26)가 결합되고, 보강부재(50)와 록킹 후크(30)가 록킹 후크 브라켓(34)을 매개로 베이스 프레임(10)에 장착되며, 상기 연동 로프(26)에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상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개폐되는 한 쌍의 제1도어(20A)와 제2도어(20B)가 결합되며, 상기 제1도어(20A)에 장착된 록킹 래치(40)는 제1도어(20A)와 제2도어(20B)가 닫힐 때에 록킹 후크(30)의 한쪽 측단부에 구비된 걸림 후크편(30a)에 걸려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강부재(50)는 한쪽 측단부가 록킹 후크(30)의 한쪽 측단부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보강부재(50)의 다른 쪽 측단부는 록킹 후크(30)의 다른 쪽 측단부보다 바깥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보강부재(50)가 결합된 록킹 후크(30)와 베이스 프레임(10) 사이에 연결된 제2보강부재(60)를 포함한다.
상기 제2보강부재(60)는 픽싱편(62)에 크로스 연장편(64)과 인서트편(66)과 보조 크로스 연장편(67) 및 보조 연장편(68)을 포함한다.
상기 픽싱편(62)은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픽싱편(62)은 베이스 프레임(10)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베이스 프레임(10)의 양면 중에서 한쪽 면에는 상기 록킹 후크 브라켓(34)이 고정되는데, 상기 픽싱편(62)이 베이스 프레임(10)의 록킹 후크 브라켓(34)이 고정된 면과 반대되는 면에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픽싱편(62)의 하단부에 크로스 연장편(64)이 구비된다. 크로스 연장편(64)은 픽싱편(6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된 록킹 후크 브라켓(34) 방향으로 크로스 연장편(64)이 연장된다.
상기 크로스 연장편(64)에는 인서트편(66)이 구비된다. 인서트편(66)은 픽싱편(62)과 마주하도록 상향 연장된다. 상기 픽싱편(62)과 크로스 연장편(64) 및 인서트편(66)이 측면에서 볼 때에 위쪽이 열린 대략 디귿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인서트편(66)이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된 록킹 후크 브라켓(34)의 인서트 지지편(34c)에 결합된다. 즉, 록킹 후크 브라켓(34)의 인서트 지지편(34c)에 형성된 인서트홀(34h)에 상기 제2보강부재(60)의 인서트편(66)이 끼워진다. 상기 인서트 지지편(34c)의 인서트홀(34h)에 제2보강부재(60)의 인서트편(66)이 아래에서 위쪽으로 끼워지게 된다.
상기 록킹 후크 브라켓(34)에 구비된 인서트 지지편(34c)의 인서트홀(34h)에 제2보강부재(60)의 인서트편(66)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픽싱편(62)이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된다.즉, 제2보강부재(60)는 록킹 후크 브라켓(34)과 반대되는 위치에서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되고, 제2보강부재(60)의 인서트편(66)은 록킹 후크 브라켓(34)의 인서트 지지편(34c)에 형성된 인서트홀(34h)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은 한 쌍의 제1도어(20A)와 제2도어(20B)가 상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개폐되도록 가이드하는 레일(12)이 구비되고, 상기 레일(12)은 베이스 프레임(10)의 록킹 후크(30)와 보강부재(50)가 구비된 면과 반대되는 면으로 개방된 오목홈(12g)을 구비하는데, 제2보강부재(60)는 베이스 프레임(10)의 록킹 후크(30)와 보강부재(50)가 구비된 면과 반대되는 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인서트편(66)이 록킹 후크(30)의 인서트 지지편(34c)에 구비된 인서트홀(34h)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레일(12) 뒤쪽에 구비된 오목홈(12g)에 체결구 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체결구 결합부재는 나사홀 형태의 체결구 결합홀을 구비하여, 상기 제2보강부재(60)의 픽싱편(62)을 관통하여 결합된 볼트 등의 체결구가 상기 체결구 결합부재의 체결구 결합홀에 조여진다.
따라서, 상기 제2보강부재(60)는 록킹 후크 브라켓(34)과 반대되는 위치에서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되고, 제2보강부재(60)의 인서트편(66)은 록킹 후크 브라켓(34)의 인서트 지지편(34c)에 형성된 인서트홀(34h)에 끼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물론, 상기 제2보강부재(60)의 픽싱편(62)은 체결구 결합부재가 없어도 볼트 등의 체결구가 관통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10)에 조여서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2보강부재(60)의 인서트편(66)을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된 록킹 후크 브라켓(34)의 인서트홀(34h)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픽싱편(62)을 체결구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10)에 록킹 후크(30)와 보강부재(50)를 2차로 지지하는 제2보강부재(60)를 베이스 프레임(10)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건물 각 층의 승강장(복도)에 구비된 진입구(7)에는 승강장 도어 장착을 위한 승강장 베이스 프레임(10)이 구비되고, 승강장 베이스 프레임(10)에는 제1 도어(20A)와 제2도어(20B)가 베이스 프레임(10)의 상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열리고 닫히도록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록킹 후크(30)와 록킹 래치(40)와 보강부재(50) 및 제2보강부재(60)는 승강장 베이스 프레임(1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승강장 베이스 프레임(10)에 제1도어(20A)에 연결된 록킹 래치(40)가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는 록킹 후크(30)와 보강부재(50)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록킹 후크(30)와 보강부재(50)가 장착된 면과 반대되는 면에 제2보강부재(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장 베이스 프레임(10)에 설치되는 록킹 래치(40)와 록킹 후크(30)와 보강부재(50) 및 제2보강부재(6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설치되는 록킹 래치(40)와 록킹 후크(30)와 보강부재(50) 및 제2보강부재(60)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설치되는 승강장 도어와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설치되는 케이지 도어에 모두 채용될 수 있는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20)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주요부의 구성으로 특허등록 제10-1257717호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진입구(7)에 도달하여 엘이베이터 케이지 도어가 열릴 때에 상기 도어(20)가 같이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처럼 도어(20)의 개폐 구조를 특허등록 제10-1257717호의 구성으로 채용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도어(20)을 개폐하는 구조는 특허등록 제10-1257717호 이외에 공지의 도어 개폐 구조를 채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기능 내지 효과는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설치되는 케이지 도어와 건물 각 층의 승강장(복도)의 진입구(7)에 설치된 승강장 도어에 모두 채용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도어와 승강장 도어를 편의상 엘리베이터 도어(20)라 통칭하기로 한다.
1. 록킹 후크(30)보다 베이스 프레임(10) 쪽으로 더 돌출된 보강부재(50)를 구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2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도어(20)가 베이스 프레임(10)에서 쉽게 이탈되면서 엘리베이터 도어(20)가 임의로 열려버리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처럼 엘리베이터 도어(20)의 외부 충격에 의한 이탈을 방지함으로 인하여 각종 안전사고 방지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록킹 후크(30)만 있고 보강부재(50)가 구비되지 않아서 록킹 후크(30)와 엘리베이터 도어(20)(구체적으로, 제2도어(20B)를 지지하는 제2도어 연결판(20BP))에 최대한 근접 배치된 구조가 구현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면, 엘리베이터 도어(20)의 외부에서 큰 충격이나 하중이 가해지면, 도어 연결판(20P)(특히, 제2도어 연결판(20BP) 부분)이 밀리면서 록킹 후크(30)에 부딪히는 충격력이 배가되거나 그 이상이 되고, 이처럼 도어 연결판(20P)이 밀리면서 부딪힘으로 인하여 충격력이 배가되거나 그 이상이 됨으로써, 도어 연결판(20P)이 더 많이 변형되면서 베이스 프레임(10)의 레일(12)에서 쉽게 이탈될 수 있어서 안전성 등에서 문제가 많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주요부인 록킹 후크(30)에 더하여 보강부재(50)가 더 구비되고, 보강부재(50)는 베이스 프레임(10)에 최대한 근접 배치되어, 도어 연결판(20P)이 밀리면서 록킹 후크(30)에 큰 충격력으로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처럼 도어 연결판(20P)이 부딪히는 충격력이 현저히 줄어들게 됨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도어(2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도어 연결판(20P)과 도어(20)가 베이스 프레임(10)에서 쉽게 이탈되면서 엘리베이터 도어(20)가 임의로 열려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종 안전사고 방지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 A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 도어 연결판(20P)이 밀리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보강부재(50)가 최대한 베이스 프레임(10)에 근접되어 있어서 록킹 후크(30)에 큰 충격력으로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에서 B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주요부인 보강부재(50)가 록킹 후크(30)보다 베이스 프레임(10) 쪽으로 더 돌출되어 베이스 프레임(10)에 보강부재(50)가 최대한 근접 배치되어 있는 구조라서, 도어 연결판(20P)이 외부의 강한 외력이나 충격력 등에 의해 밀리면서 큰 힘으로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처럼 도어 연결판(20P)(특히, 제2도어 연결판(20BP) 부분)이 밀리면서 강하게 부딪히는 높은 충격력이 작용될 여지를 회피한 것이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도어(2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20)가 제위치(예를 들어, 도어 레일(12) 등)에서 쉽게 이탈되면서 쉽게 임의로 열려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종 안전사고 방지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 엘리베이터 도어(20)가 강한 외력이나 강한 충격력 등에 의해 제자리에서 쉽게 이탈되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유지 보수에 있어서도 기존에 비하여 보다 유리하다. 엘리베이터 도어(20)와 이에 연결된 도어 연결판(20P)에 외력 등이 가해지더라도 베이스 프레임(10)에 최대한 근접 배치된 보강부재(50)가 도어 연결판(20P)을 걸어서 잡아줌으로써 충격력 완화 기능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도어(20)가 연결된 도어 연결판(20P)이 베이스 프레임(10)에서 쉽게 이탈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유지 보수 작업의 빈도를 훨씬 낮추어주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장에 배치되는 도어가 장착된 위치에서 쉽게 이탈되어 보수 작업이 자주 발생되는 경우도 방지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대한 안전 강화 구조는 물론 이와 별개로 엘리베이터 케이지 도어에 대한 안전 강화 구조도 제공할 수 있다는 데어 본 발명의 의미가 크다.
3. 보강부재(50)는 한쪽 측단부가 록킹 후크(30)의 한쪽 측단부에 인접 배치되는 한편, 상기 보강부재(50)의 다른 쪽 측단부는 록킹 후크(30)의 다른 쪽 측단부보다 바깥으로 더 돌출되어, 보강부재(50)의 다른 쪽 측단부가 제2도어(20B)에 연결된 제2도어 연결판(20BP)의 영역으로 더 들어가서 보강부재(50)가 제2도어 연결판(20BP)을 앞에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50)의 록킹 후크(30)의 걸림 후크편(30a)과 인접한 한쪽 단부가 제1도어(20A)에 연결된 제1도어 연결판(20AP)의 영역으로 더 들어가서 보강부재(50)가 제1도어 연결판(20AP)을 앞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20)에 가해지는 큰 외력 등에 의해 제2도어 연결판(20BP)과 제2도어(20B)가 제위치(베이스 프레임(10)과의 결합 위치 등)에서 밀리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보강부재(50)에서 록킹 후크(30)의 측단부보다 더 돌출된 부분이 제2도어 연결판(20BP)을 앞에서 막아서 지지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도어(20)가 결합 위치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엘리베이터 도어(20)가 이처럼 외력 등에 의해 이탈되는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한다는 것은 엘리베이터 도어(20)의 안전성을 그만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나아가 엘리베이터 도어(20)의 이탈에 의한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도 그만큼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 상기 보강부재(50)는 록킹 후크 브라켓(34)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0)에 장착되는데, 상기 록킹 후크 브라켓(34)은 픽싱 브라켓편(34a)의 상단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측 픽싱편(34d)을 구비하고, 상측 픽싱편(34d)에는 상향으로 직교하도록 연장된 체결구 결합편을 구비하여, 상기 체결구 결합편을 관통하는 체결구가 베이스 프레임(10)에 체결됨으로써 록킹 후크 브라켓(34)과 보강부재(50)가 베이스 프레임(10)에 장착된 구성을 취한다. 베이스 프레임(10)에는 도어 레일(12)이 돌출되어 있고, 도어 레일(12)과 베이스 프레임(10)의 끝단 사이에는 수용홈이 구비되어, 상기 수용홈에 록킹 후크 브라켓(34)의 상측 픽싱편(34d)과 체결구 결합편이 수용되는 한편, 체결구 결합편은 베이스 프레임(10)의 수용홈에 접촉된 상태에서 체결구로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 후크 브라켓(34)과 보강부재(50)의 장착이 비교적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픽싱 브라켓편(34a)에 구비된 상측 픽싱편(34d)과 체결구 결합편(34e)이 록킹 후크 브라켓(34)의 강도를 보강하는 효과도 있다.
5. 상기 록킹 후크(30)가 장착된 록킹 후크 브라켓(34)의 인서트홀(34h)에 제2보강부재(60)의 인서트편(66)이 끼워진 상태에서 제2보강부재(60)가 베이스 프레임(10)의 뒤쪽 면(즉, 상기 록킹 후크(30)와 록킹 후크 브라켓(34) 및 보강부재(50)가 장착된 전면과 반대되는 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20)가 베이스 프레임(10)에서 밀려서 이탈될 경우 보강부재(50)와 록킹 후크(30)에 걸려지게 되는 도어 연결판(20P)을 상기 제2보강부재(60)가 뒤에서 이중으로 잡아주는 구조가 되므로, 엘리베이터 도어(20)와 도어 연결판(20P)의 이탈 방지 구조가 더욱 견고하다. 즉, 상기 록킹 후크(30)와 보강부재(50)가 엘리베이터 도어(20)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에 더하여 베이스 프레임(10) 뒤쪽의 제2보강부재(60)가 엘리베이터 도어(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중 이탈 방지 구조를 구현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엘리베이터 도어(20)의 이중 이탈 방지 구조로 인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이 설치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는 이상 엘리베이터 도어(20)와 도어 연결판(20P)이 제위치에서 이탈되는 일은 생기지 않게 된다.
5. 상기 제2보강부재(60)의 인서트편(66)이 록킹 후크 브라켓(34)의 인서트홀(34h)에 끼워지고 동시에 제2보강부재(60)는 록킹 후크 브라켓(34)이 고정된 베이스 프레임(10)의 뒤쪽에 고정되어 있는 구조라서, 록킹 후크 브라켓(34)이 뒤쪽의 걸림편에 의해 단순히 베이스 프레임(10)의 뒤쪽에 걸려있는 구조에 비하여 록킹 후크 브라켓(34)편과 이에 장착된 록킹 후크(30)를 제2보강부재(60)가 뒤쪽에서 완전하게 고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도어(20)에 외부의 강한 힘이 작용할 때에 록킹 후크 브라켓(34)과 록킹 후크(30) 및 도어 연결판(20P)이 베이스 프레임(10)에서 이탈되는 경우를 완전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제2보강부재(60)가 록킹 후크 브라켓(34) 앞쪽으로 빠지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록킹 후크 브라켓(34)과 록킹 후크(30) 및 도어 연결판(20P) 및 도어 연결판(20P)에 장착된 엘리베이터 도어(20)가 제위치에서 이탈되는 경우를 완전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6. 베이스 프레임(10)의 도어 레일(12)은 베이스 프레임(10)의 한쪽 면으로 돌출되고, 도어 레일(12)의 배면에는 오목홈(12g)이 구비되고, 상기 제2보강부재(60)의 보조 크로스 연장편(67)과 보조 연장편(68)이 상기 도어 레일(12)의 뒤쪽 오목홈(12g)에 수용되는데,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서 엘리베이터 도어(20)와 이에 연결된 도어(20) 프레임이 이탈되려는 힘이 작용할 때에 상기 보조 크로스 연장편(67)은 도어 레일(12)의 오목홈(12g)에 구비된 체결구 결합부재(13)에 걸려지고 동시에 보조 연장편(68)은 보조 크로스 연장편(67)과 마주하는 도어 레일(12)의 한쪽 내벽면과 상기 보조 크로스 연장편(67) 사이에 꽉 끼워져 고정되는 지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기 록킹 후크 브라켓(34)과 록킹 후크(30) 및 도어 연결판(20P) 및 도어 연결판(20P)에 장착된 엘리베이터 도어(20)가 제위치에서 이탈되는 경우를 완전하게 방지하는데 보다 도움이 된다. 도어 레일(12)의 오목홈(12g) 내부 상부에 형성된 걸림 절곡부에 보조 연장편(68)이 안으로 들어가서 걸려지기 때문에, 상기 제2보강부재(60)가 도어 레일(12)에 결합된 상태가 보다 더 견고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베이스 프레임 12. 레일
20. 도어 20A. 제1도어
20B. 제2도어 20P. 도어 연결판
20AP. 제1도어 연결판 20BP. 제2도어 연결판
24. 연동 롤러 26. 연동 롤러
26LR. 하측 연동 로프부 26UR. 상측 연동 로프부
30. 록킹 후크 30a. 걸림 후크편
34. 록킹 후크 브라켓 34a. 픽싱 브라켓편
34b. 후크 지지 브라켓편 34c. 인서트 지지편
34d. 상측 픽싱편 34e. 체결구 결합편
34h. 인서트홀 40. 록킹 래치
40a. 록킹 걸림편 50. 보강부재
60. 제2보강부재 62. 픽싱편
64. 크로스 연장편 66. 인서트편
67. 보조 크로스 연장편 68. 보조 연장편
20. 도어 20A. 제1도어
20B. 제2도어 20P. 도어 연결판
20AP. 제1도어 연결판 20BP. 제2도어 연결판
24. 연동 롤러 26. 연동 롤러
26LR. 하측 연동 로프부 26UR. 상측 연동 로프부
30. 록킹 후크 30a. 걸림 후크편
34. 록킹 후크 브라켓 34a. 픽싱 브라켓편
34b. 후크 지지 브라켓편 34c. 인서트 지지편
34d. 상측 픽싱편 34e. 체결구 결합편
34h. 인서트홀 40. 록킹 래치
40a. 록킹 걸림편 50. 보강부재
60. 제2보강부재 62. 픽싱편
64. 크로스 연장편 66. 인서트편
67. 보조 크로스 연장편 68. 보조 연장편
Claims (10)
- 건물의 엘리베이터 피트에 연결된 진입구(7)에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개폐 작동되는 도어(2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구비된 록킹 후크(30)와;
상기 도어(20)에 힌지부(4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20)를 닫았을 때에 상기 록킹 후크(30)에 걸려지는 록킹 래치(4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과 마주하는 단부가 상기 록킹 후크(30)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10)과 마주하는 단부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더 가깝게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록킹 후크(30)에 결합된 보강부재(50);
상기 보강부재(50)가 결합된 상기 록킹 후크(3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사이에 연결된 제2보강부재(60)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후크(30)와 상기 보강부재(5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된 록킹 후크 브라켓(34)의 후크 지지 브라켓편(34b)에 장착되고, 상기 록킹 후크 브라켓(34)은 상기 후크 지지 브라켓편(34b)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인서트 지지편(34c)을 구비하고, 상기 인서트 지지편(34c)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인서트홀(34h)이 구비되며, 상기 제2보강부재(6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과 마주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된 픽싱편(62)과, 상기 픽싱편(62)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방향으로 연장된 크로스 연장편(64)과, 상기 크로스 연장편(64)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픽싱편(62)과 마주하는 인서트편(66)을 포함하며,
상기 제2보강부재(60)의 상기 픽싱편(62)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편(66)이 상기 록킹 후크 브라켓(34)의 상기 인서트 지지편(34c)에 구비된 상기 인서트홀(34h)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50)는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폭이 상기 록킹 후크(30)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폭보다 더 크게 구성되어 상기 보강부재(50)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10)과 마주하는 단부가 상기 록킹 후크(30)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10)과 마주하는 단부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쪽으로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장착된 록킹 후크 브라켓(34)을 더 포함하며,
상기 록킹 후크 브라켓(34)에 상기 록킹 후크(30)와 상기 보강부재(50)가 장착되어 상기 보강부재(50)가 상기 록킹 후크(30)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쪽으로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후크 브라켓(34)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되는 픽싱 브라켓편(34a);
상기 픽싱 브라켓편(34a)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서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후크 지지 브라켓편(34b)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 지지 브라켓편(34b)에 상기 록킹 후크(30)와 상기 보강부재(5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50)는 전단부와 후단부 및 양쪽 측단부를 구비한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록킹 후크(30)는 전단부와 후단부 및 양쪽 측단부를 구비한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강부재(50)의 후단부와 상기 록킹 후크(30)의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보강부재(50)의 후단부가 상기 록킹 후크(30)의 후단부에 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쪽으로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는 상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쪽에 한 쌍의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에는 무한궤도 운동하는 로프가 결합되고, 상기 보강부재(50)와 상기 록킹 후크(30)가 록킹 후크 브라켓(34)을 매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장착되며, 상기 로프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상기 상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개폐되는 한 쌍의 제1도어(20A)와 제2도어(20B)가 결합되며, 상기 제1도어(20A)에 장착된 록킹 래치(40)는 상기 제1도어(20A)와 상기 제2도어(20B)가 닫힐 때에 상기 록킹 후크(30)의 한쪽 측단부에 구비된 걸림 후크편(30a)에 걸려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강부재(50)는 한쪽 측단부가 상기 록킹 후크(30)의 한쪽 측단부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보강부재(50)의 다른 쪽 측단부는 상기 록킹 후크(30)의 다른 쪽 측단부보다 바깥으로 더 돌출되며, 상기 보강부재(50)의 상기 다른 쪽 측단부가 상기 제2도어(20B)에 연결된 제2도어 연결판(20BP)의 영역으로 더 들어가서 상기 보강부재(50)가 상기 제2도어 연결판(20BP)을 앞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강부재(50)의 상기 록킹 후크(30)의 걸림 후크편(30a)과 인접한 한쪽 단부가 상기 제1도어(20A)에 연결된 제1도어 연결판(20AP)의 영역으로 더 들어가서 상기 보강부재(50)가 상기 제1도어 연결판(20AP)을 앞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은 한 쌍의 제1도어(20A)와 제2도어(20B)가 상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개폐되도록 가이드하는 레일(12)이 구비되며, 상기 제2보강부재(6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상기 록킹 후크(30)와 상기 보강부재(50)가 구비된 면과 반대되는 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편(66)이 상기 록킹 후크(30)의 상기 인서트 지지편(34c)에 구비된 상기 인서트홀(34h)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부재(60)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10)과 마주하는 픽싱편(62)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되고, 상기 픽싱편(62)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연장된 보조 크로스 연장편(67)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크로스 연장편(67)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과 마주하도록 연장된 보조 연장편(68)이 더 구비되고, 상기 레일(12)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상기 록킹 후크(30)와 상기 보강부재(50)가 구비된 면과 반대되는 면으로 개방된 오목홈(12g)을 구비하며, 상기 보조 크로스 연장편(67)과 상기 보조 연장편(68)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상기 레일(12) 배면의 상기 오목홈(12g) 내부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1639A KR101639582B1 (ko) | 2014-07-21 | 2014-07-21 |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1639A KR101639582B1 (ko) | 2014-07-21 | 2014-07-21 |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0924A KR20160010924A (ko) | 2016-01-29 |
KR101639582B1 true KR101639582B1 (ko) | 2016-07-14 |
Family
ID=55310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1639A KR101639582B1 (ko) | 2014-07-21 | 2014-07-21 |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9582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7717B1 (ko) | 2012-04-30 | 2013-04-24 | 권순범 | 안전 엘리베이터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15585B1 (ko) | 1997-06-03 | 1999-10-01 | 임정남 | 음식물쓰레기 및 분뇨를 퇴비화 시키는 처리시스템 |
KR20110026556A (ko) * | 2009-09-08 | 2011-03-16 | 주식회사 스타리프트 | 엘리베이터 랜딩도어의 인터록 장치 |
WO2011121764A1 (ja) | 2010-03-31 | 2011-10-06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
-
2014
- 2014-07-21 KR KR1020140091639A patent/KR10163958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7717B1 (ko) | 2012-04-30 | 2013-04-24 | 권순범 | 안전 엘리베이터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0924A (ko) | 2016-0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00031579A1 (en) | Protecting Device for Pushing of Sliding Door, Locking Device and Screen Door System | |
KR101220495B1 (ko) | 승장 도어 잠금 장치 | |
KR20170054590A (ko) | 댐퍼 내장형 3연동 도어 | |
KR101639582B1 (ko) | 안전성 강화 구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 | |
US9624072B2 (en) | Elevator having a light curtain fixing arrangement | |
KR20080086071A (ko) |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이탈방지 안전장치 | |
KR20100101411A (ko) |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 |
KR102331751B1 (ko) |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 | |
US10309076B2 (en) | Safety landing | |
KR102184683B1 (ko) | 인터록 어셈블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시스템 | |
US11518651B2 (en) | Additional platform for a working platform | |
KR100873165B1 (ko) |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잠금부재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및 걸림부재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 |
KR20230125879A (ko) |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재료 분리대를 구비한 승강기용 승강장 | |
EP3363984B1 (en) | Gate and frame | |
JP6218161B2 (ja) | エレベータの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及び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の組立方法 | |
KR101220502B1 (ko) | 승장 도어 잠금 장치 | |
KR101285591B1 (ko) | 승강 도어 | |
KR102050864B1 (ko) | 엘리베이터용 수직개폐식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 |
KR101257878B1 (ko) |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 | |
KR101694203B1 (ko) |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 |
KR101764740B1 (ko) | 엘리베이터 승강장문 조립체의 상부 이탈방지구조 | |
KR102706815B1 (ko) | 승장 도어 이탈 방지 장치 | |
JP7298755B1 (ja) | エレベータの乗場出入口の安全柵及びこの設置方法 | |
KR102693879B1 (ko) | 차량 승강기용 추락 방지 도어 | |
JP4437725B2 (ja) | エレベーター乗場の仮設障壁体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