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932B1 -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조립체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932B1
KR102058932B1 KR1020180032923A KR20180032923A KR102058932B1 KR 102058932 B1 KR102058932 B1 KR 102058932B1 KR 1020180032923 A KR1020180032923 A KR 1020180032923A KR 20180032923 A KR20180032923 A KR 20180032923A KR 102058932 B1 KR102058932 B1 KR 102058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ing door
rail groove
guide rail
coupled
her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900A (ko
Inventor
백종석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2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932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8Details of seals an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승강장 도어의 가이드 기능과는 별도로 차폐 기능을 수행하여 차폐 기능을 강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승강로 공간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 및 압력을 차단하여 더욱 조용하고 쾌적한 주행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차폐 모듈의 탄성 밀착에 따라 차폐 기능이 강화되고 흡음 및 방음 재질 적용으로 소음 방지 기능 또한 향상되며, 차폐 모듈에 서로 각각 독립적으로 차폐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기밀 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이중 삼중 복합적인 차폐 구조를 이루어 더욱 완벽한 차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조립체{Platform Door Assembly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장 도어의 가이드 기능과는 별도로 차폐 기능을 수행하여 차폐 기능을 강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승강로 공간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 및 압력을 차단하여 더욱 조용하고 쾌적한 주행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차폐 모듈의 탄성 밀착에 따라 차폐 기능이 강화되고 흡음 및 방음 재질 적용으로 소음 방지 기능 또한 향상되며, 차폐 모듈에 서로 각각 독립적으로 차폐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기밀 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이중 삼중 복합적인 차폐 구조를 이루어 더욱 완벽한 차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도 및 업무용도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해당 건물을 찾는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승객의 승하차를 위한 도어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현수되는 카도어 및 각층 승강장에 설치되는 승강장 도어로 구분되며, 승강장 도어는 카도어의 개폐 이동에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승강장 도어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승강장 도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승강장 도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좌우 수평으로 이동하며 개폐 작동하도록 구성되는데, 승강장 바닥의 승강로와 경계 부위에는 승강장 도어(10)의 개폐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 레일(20)이 설치되고, 가이드 레일(20)에는 승강장 도어(10)의 개폐 이동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21)이 형성된다. 승강장 도어(10)의 하단 일측에는 이러한 가이드 홈(21)에 삽입 가이드되도록 가이드 슈(30)가 하향 돌출되게 결합되어 승강장 도어(10)의 개폐 이동 경로를 가이드한다.
이때, 승강장 도어(10)의 하단과 가이드 레일(20) 사이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 간극(d)이 형성되는데, 엘리베이터 주행시에는 이러한 미세 간극(d)으로 인해 풍절음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최근 고층 빌딩의 증가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속도 또한 높아지면서 이러한 풍절음도 더욱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461821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장 도어의 개폐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에 별도의 레일홈을 형성하고 별도의 차폐 모듈을 레일홈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승강장 도어와 가이드 레일 사이 간극을 차폐함으로써, 승강장 도어의 가이드 기능과는 별도로 차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차폐 기능을 강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승강로 공간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 및 압력을 차단하여 더욱 조용하고 쾌적한 주행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폐 모듈이 가이드 레일의 기밀용 레일홈에 탄성 밀착 접촉 가능하게 함으로써, 탄성 밀착에 따라 차폐 기능이 강화되고 흡음 및 방음 재질 적용으로 소음 방지 기능 또한 향상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폐 모듈에 서로 각각 독립적으로 차폐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기밀 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이중 삼중 복합적인 차폐 구조를 이루어 더욱 완벽한 차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도어에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승강장에 설치되는 승강장 도어; 상기 승강장 도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승강장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장 도어의 개폐 이동 방향을 따라 가이드용 레일홈과 기밀용 레일홈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용 레일홈에 삽입 가이드되도록 상기 승강장 도어에 하향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장 도어의 개폐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슈; 및 상기 기밀용 레일홈에 삽입 가이드되도록 상기 승강장 도어에 하향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장 도어와 상기 가이드 레일 사이 공간을 차폐하는 차폐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이중 기밀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차폐 모듈은 상기 승강장 도어의 하단부에 개폐 이동 방향인 폭 방향을 따라 전체 구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가이드용 레일홈과 기밀용 레일홈은 상부 개방된 형태로 상기 승강장 도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용 레일홈이 승강로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모듈은,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기밀용 레일홈에 삽입되고, 상기 기밀용 레일홈의 내측면에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모듈은, 상기 승강장 도어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고정 브래킷; 하단부가 상기 기밀용 레일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승강장 도어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고정 브래킷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장 도어의 폭 방향을 따라 전체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차단판; 및 상기 승강장 도어의 폭 방향을 따라 전체 구간에 걸쳐 형성되며 일면이 상기 기밀용 레일홈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탄성 접촉하도록 상기 차단판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메인 기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브래킷은 상기 승강장 도어의 두께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한 형태로 상기 승강장 도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기밀 부재는, 상기 고정 브래킷의 일면에 결합되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 기초부; 상기 결합 기초부의 일면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결합 기초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태로 확장하는 확장 연결부; 및 상기 기밀용 레일홈 내측면에 밀착 접촉하도록 상기 확장 연결부의 외측면에 연장 형성되는 밀착 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 변형부는 상기 승강장 도어의 개폐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돌출 박판이 상하 이격되게 다수개 적층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모듈은, 상기 승강장 도어의 폭 방향을 따라 전체 구간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차단판과 상기 가이드 슈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의 타면에 결합되어 하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면에 접촉하는 보조 기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기밀 부재는 상기 고정 브래킷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에는 상기 보조 기밀 부재를 하향 탄성 가압하도록 별도의 탄성 스프링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장 도어의 개폐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에 별도의 레일홈을 형성하고 별도의 차폐 모듈을 레일홈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승강장 도어와 가이드 레일 사이 간극을 차폐함으로써, 승강장 도어의 가이드 기능과는 별도로 차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차폐 기능을 강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승강로 공간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 및 압력을 차단하여 더욱 조용하고 쾌적한 주행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폐 모듈이 가이드 레일의 기밀용 레일홈에 탄성 밀착 접촉 가능하게 함으로써, 탄성 밀착에 따라 차폐 기능이 강화되고 흡음 및 방음 재질 적용으로 소음 방지 기능 또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폐 모듈에 서로 각각 독립적으로 차폐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기밀 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이중 삼중 복합적인 차폐 구조를 이루어 더욱 완벽한 차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승강장 도어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승강장 도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도어 조립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도어 조립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도어 조립체의 차폐 모듈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도어 조립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도어 조립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도어 조립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도어 조립체의 차폐 모듈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도어 조립체는 승강장 도어(100)와 가이드 레일(200) 사이의 간극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로서, 승강장 도어(100)와, 가이드 레일(200)과, 가이드 슈(300)와, 차폐 모듈(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승강장 도어(100)는 엘리베이터를 탑승하기 위한 승강장에 설치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카도어에 연동하여 개폐된다. 이러한 승강장 도어(100)는 좌우 수평 방향으로 개폐 작동하는데, 얇은 두께를 갖는 직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가이드 슈(300) 및 차폐 모듈(400) 등의 구성 요소들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지지 브래킷(110)이 장착된다.
가이드 레일(200)은 승강장 도어(1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승강장 바닥에 설치되는데, 승강장 도어(100)의 개폐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승강장 도어(100)의 개폐 이동을 가이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200)에는 승강장 도어(100)의 개폐 이동 방향을 따라 가이드용 레일홈(210)과 기밀용 레일홈(220)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가이드용 레일홈(210)과 기밀용 레일홈(220)은 상부 개방된 형태로 승강장 도어(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데, 이때, 가이드용 레일홈(210)이 승강로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가이드 슈(300)는 가이드 레일(200)의 가이드용 레일홈(210)에 삽입 가이드되도록 승강장 도어(100)에 하향 돌출되게 결합되어 승강장 도어(100)의 개폐 이동 경로를 가이드한다. 가이드 슈(300)는 승강장 도어(100)의 지지 브래킷(110)에 결합되는 별도의 스페이서 블록(310)에 결합되며, 스페이서 블록(310)을 두께가 다른 종류로 교체함으로써, 가이드 슈(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슈(300)가 가이드용 레일홈(210)에 삽입 가이드됨으로써, 승강장 도어(100)의 개폐 이동 경로가 가이드됨과 동시에 가이드 레일(200)에 대한 승강장 도어(100)의 하부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이 수행된다.
차폐 모듈(400)은 가이드 레일(200)의 기밀용 레일홈(220)에 삽입 가이드되도록 승강장 도어(100)에 하향 돌출되게 결합되어 승강장 도어(100)와 가이드 레일(200) 사이 공간을 차폐한다.
이러한 차폐 모듈(400)은 승강장 도어(100)의 하단부에 개폐 이동 방향인 폭 방향을 따라 전체 구간에 걸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승강장 도어(100)가 폐쇄 작동한 상태에서, 승강장 도어(100)와 가이드 레일(200) 사이의 간극을 전체 구간에서 모두 다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차폐 모듈(400)은 하단부가 기밀용 레일홈(2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면이 기밀용 레일홈(220)의 내측면에 밀착 접촉하고 이와 동시에 또 다른 일면이 가이드 레일(200)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해 승강장 도어(100)와 가이드 레일(200) 사이 간극을 차폐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도어 조립체는 가이드 레일(200) 상에 2개의 레일홈(210,220)을 형성하여 가이드 슈(300)에 의한 가이드 기능과 차폐 모듈(400)에 의한 차폐 기능을 분리함으로써, 차폐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즉, 가이드 슈(300)는 승강장 도어(100)의 개폐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마찰 또는 소음 등의 이유로 가이드용 레일홈(210)의 내측면에 밀착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제작되고, 또한, 승강장 도어(100)의 폭 방향 전체 구간에 걸쳐 형성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가이드 슈(300)를 통한 차폐 기능은 완전하지 못하며, 배경 기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00)에 하나의 레일홈만 형성된 경우에는 가이드 슈(300)가 존재하기 때문에, 레일홈을 이용한 별도의 차폐 수단을 구비하더라도 전체 구간에 대한 완벽한 차폐가 불가능하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차폐 모듈(400)이 삽입되는 별도의 기밀용 레일홈(220)을 형성하고, 기밀용 레일홈(220)에 삽입되어 밀착 접촉하는 별도의 차폐 모듈(400)을 구비함으로써, 차폐 기능을 강화할 수 있고, 특히, 승강장 도어(100)의 폭 방향 전체 구간에 차폐 모듈(400)을 형성함으로써, 승강장 도어(100)와 가이드 레일(200) 사이 간극을 노출되는 구간에서 모두 차폐할 수 있어 더욱 완벽한 차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차폐 기능을 통해 승강로 공간으로부터 승강장으로 전달되는 소음 및 압력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주행 환경을 더욱 조용하고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차폐 모듈(400)의 구성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차폐 모듈(400)은, 승강장 도어(100)의 하단부에 위치한 지지 브래킷(110)에 결합되는 고정 브래킷(410)과, 하단부가 기밀용 레일홈(220)에 삽입되도록 승강장 도어(100)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형태로 고정 브래킷(410)의 일면에 결합되며 승강장 도어(100)의 폭 방향을 따라 전체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차단판(420)과, 승강장 도어(100)의 폭 방향을 따라 전체 구간에 걸쳐 형성되며 일면이 기밀용 레일홈(220)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탄성 접촉하도록 차단판(42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메인 기밀 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 브래킷(410)은 평판을 절곡하여 수평부와 수직부를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부가 승강장 도어(100)의 지지 브래킷(110)에 결합되고, 수직부의 일면에 메인 기밀 부재(430)가 결합된다. 이러한 고정 브래킷(410)은 승강장 도어(100)의 두께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한 형태로 승강장 도어(100)에 결합되는데,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브래킷(410)의 수평부 끝단에 승강장 도어(100)의 두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슬롯홀(411)을 형성하고, 이러한 슬롯홀(411)을 통해 지지 브래킷(110)에 볼트 결합함으로써, 승강장 도어(100)의 두께 방향으로 위치 조절할 수 있다.
차단판(420)은 승강장 도어(100)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도록 고정 브래킷(4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기밀용 레일홈(220)에 삽입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는 메인 기밀 부재(430)가 장착되고, 메인 기밀 부재(430)의 일측면이 기밀용 레일홈(220)의 내측면에 밀착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차단판(420)의 타면이 기밀용 레일홈(220)의 내측면과 이격되게 도시되어 있으나, 차단판(420)의 타면이 기밀용 레일홈(220)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메인 기밀 부재(430)가 기밀용 레일홈(220)의 내측면에 밀착 접촉함으로써, 승강장 도어(100)와 가이드 레일(200) 사이 간극을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차단판(420)은 그 자체로 소음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차단판(420)을 흡음 또는 방음 특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펠트(felt) 소재로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흡음 및 방음 기능을 발휘함과 동시에 기밀용 레일홈(220)과 접촉시에도 마찰이 저하되어 마찰에 의한 작동 소음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메인 기밀 부재(430)는 기밀용 레일홈(220)의 내측면에 밀착 접촉하는 방식으로 차폐 기능을 수행하는데, 차단판(420)과 마찬가지로 흡음 또는 방음 특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펠트(felt) 소재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기밀 부재(4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브래킷(410)의 일면에 결합되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 기초부(431)와, 결합 기초부(431)의 일면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결합 기초부(431)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태로 확장하는 확장 연결부(432)와, 기밀용 레일홈(220) 내측면에 밀착 접촉하도록 확장 연결부(432)의 외측면에 연장 형성되는 밀착 변형부(4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밀착 변형부(433)는 승강장 도어의 개폐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돌출 박판(434)이 상하 이격되게 다수개 적층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메인 기밀 부재(430)는 밀착 변형부(433)가 다수개의 돌출 박판(434)으로 구성됨으로써, 기밀용 레일홈(220) 내측면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밀용 레일홈(220) 내측면에 탄성 밀착 접촉할 수 있어 차폐 기능이 더욱 강화된다. 또한, 확장 연결부(432)가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단면적이 작은 부분에서 용이하게 탄성 변형이 이루어져 밀착 변형부(433)의 기밀용 레일홈(220)에 대한 탄성 밀착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차폐 모듈(400)은 별도의 보조 기밀 부재(4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조 기밀 부재(44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태로 승강장 도어(100)의 폭 방향을 따라 전체 구간에 걸쳐 형성되며, 차단판(420)과 가이드 슈(300) 사이에 배치되도록 고정 브래킷(410)의 타면에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200)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보조 기밀 부재(440)는 흡음 또는 방음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가이드 레일(200)과의 밀착 접촉을 위해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 모듈(400)은 차단판(420)을 통한 기본적인 차폐 기능 이외에도 기밀용 레일홈(220)에 접촉하는 메인 기밀 부재(430)를 통해 차폐 기능을 강화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보조 기밀 부재(440)를 가이드 슈(300)와 차단판(420)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이중 삼중의 복합적인 기밀 구조가 형성되어 더욱 완벽한 차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도어 조립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기밀 부재(440)가 가이드 레일(200)의 상면에 밀착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보조 기밀 부재(440)에는 중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슬롯홀(441)이 형성되고, 이러한 슬롯홀(441)을 통해 보조 기밀 부재(440)가 고정 브래킷(410)에 볼트 결합함으로써, 고정 브래킷(410)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브래킷(410)에는 보조 기밀 부재(440)를 하향 탄성 가압하도록 별도의 탄성 스프링(450)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기밀 부재(440)는 탄성 스프링(450)에 의해 하향 탄성 가압되어 가이드 레일(200)의 상면에 밀착 접촉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시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탄성 스프링(450)의 탄성력에 의해 이러한 밀착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조 기밀 부재(440)의 차폐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승강장 도어
200: 가이드 레일
210: 가이드용 레일홈 220: 기밀용 레일홈
300: 가이드 슈
400: 차폐 모듈
410: 고정 브래킷 420: 차단판
430: 메인 기밀 부재
431: 결합 기초부 432: 확장 연결부
433: 밀착 변형부 434: 돌출 박판
440: 보조 기밀 부재
450: 탄성 스프링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엘리베이터의 카도어에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승강장에 설치되는 승강장 도어;
    상기 승강장 도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승강장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장 도어의 개폐 이동 방향을 따라 가이드용 레일홈과 기밀용 레일홈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용 레일홈에 삽입 가이드되도록 상기 승강장 도어에 하향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장 도어의 개폐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슈; 및
    상기 기밀용 레일홈에 삽입 가이드되도록 상기 승강장 도어에 하향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장 도어와 상기 가이드 레일 사이 공간을 차폐하는 차폐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 모듈은 상기 승강장 도어의 하단부에 개폐 이동 방향인 폭 방향을 따라 전체 구간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가이드용 레일홈과 기밀용 레일홈은 상부 개방된 형태로 상기 승강장 도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용 레일홈이 승강로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차폐 모듈은,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기밀용 레일홈에 삽입되고, 상기 기밀용 레일홈의 내측면에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차폐 모듈은
    상기 승강장 도어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고정 브래킷;
    하단부가 상기 기밀용 레일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승강장 도어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고정 브래킷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장 도어의 폭 방향을 따라 전체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차단판; 및
    상기 승강장 도어의 폭 방향을 따라 전체 구간에 걸쳐 형성되며 일면이 상기 기밀용 레일홈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탄성 접촉하도록 상기 차단판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메인 기밀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은 상기 승강장 도어의 두께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한 형태로 상기 승강장 도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조립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기밀 부재는
    상기 고정 브래킷의 일면에 결합되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 기초부;
    상기 결합 기초부의 일면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결합 기초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태로 확장하는 확장 연결부; 및
    상기 기밀용 레일홈 내측면에 밀착 접촉하도록 상기 확장 연결부의 외측면에 연장 형성되는 밀착 변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 변형부는 상기 승강장 도어의 개폐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돌출 박판이 상하 이격되게 다수개 적층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조립체.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모듈은
    상기 승강장 도어의 폭 방향을 따라 전체 구간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차단판과 상기 가이드 슈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의 타면에 결합되어 하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면에 접촉하는 보조 기밀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밀 부재는 상기 고정 브래킷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에는 상기 보조 기밀 부재를 하향 탄성 가압하도록 별도의 탄성 스프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조립체.
KR1020180032923A 2018-03-21 2018-03-21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조립체 KR102058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923A KR102058932B1 (ko) 2018-03-21 2018-03-21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923A KR102058932B1 (ko) 2018-03-21 2018-03-21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900A KR20190110900A (ko) 2019-10-01
KR102058932B1 true KR102058932B1 (ko) 2019-12-24

Family

ID=68207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923A KR102058932B1 (ko) 2018-03-21 2018-03-21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9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5157A (ja) 2003-06-26 2005-01-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5523554B2 (ja) * 2010-03-31 2014-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5133B2 (ja) * 2002-04-12 2010-01-2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かご室ドアの吊下支持構造
KR200461821Y1 (ko) 2011-05-31 2012-08-08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
KR20170109869A (ko) * 2016-03-22 2017-10-1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카의 밀폐를 위한 카도어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5157A (ja) 2003-06-26 2005-01-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5523554B2 (ja) * 2010-03-31 2014-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900A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2910B2 (en) Elevator door coupler assembly
KR20100061736A (ko) 엘리베이터 통로의 상부 단부를 감소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 객차
KR20130124367A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장치
KR102493970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차연 구조
US9617120B2 (en) Elevator car and an elevator
KR102058932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조립체
CN107108168B (zh) 电梯系统
JP2012218931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
KR102497920B1 (ko) 비상도어 기능을 갖는 광고판 설치 승강장 스크린 도어
KR102337522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상부 지지 조립체
KR101819901B1 (ko) 엘리베이터의 가이드레일 방진 구조
JP6769585B1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ドアの保守部品
JP654666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7222471A (ja) 乗りかごドア気密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JP5151639B2 (ja) エレベータの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装置
KR20160001040U (ko) 엘리베이터 승장도어장치의 프레임
KR20100011971U (ko) 저소음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벽체 구조
WO2019058016A1 (en) CLOSURE ARRANGEMENT FOR ELEVATOR PALLET DOOR
JP2001302151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装置
JP7234296B2 (ja) ガイド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6400901B2 (ja) 鉄道車両の引戸構造
JP6751480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りかご
JP3150564U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装置
WO2016006060A1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用パネル
JP2004182401A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ーの乗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