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821Y1 -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821Y1
KR200461821Y1 KR2020110004758U KR20110004758U KR200461821Y1 KR 200461821 Y1 KR200461821 Y1 KR 200461821Y1 KR 2020110004758 U KR2020110004758 U KR 2020110004758U KR 20110004758 U KR20110004758 U KR 20110004758U KR 200461821 Y1 KR200461821 Y1 KR 2004618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elevator
car door
elevato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대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4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8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8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8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8Details of seals and joint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운행 시에 케이지와 카도어 사이 또는 승강장 문틀과 승장도어 사이의 틈을 통해 유입되는 풍절음을 차단하기 위한 기밀재(Weather Strip)를 특정 구조 및 재질로 형성하여 매우 효율적인 풍절음 차단과 함께 도어의 개폐동작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는,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설치되는 그 단면이 "
Figure 112011040831642-utm00005
" 형상을 갖는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를 매개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외곽부분을 따라 설치되며 그 단면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태의 직사각틀 형상을 갖는 금속재질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을 매개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외곽부분을 따라 설치되어, 케이지와 카도어 사이 또는 승강장 문틀과 승장도어 사이의 틈을 제거하는 기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WEATHER STRIP FOR ELEVATOR DO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운행 시에 케이지와 카도어 사이 또는 승강장 문틀과 승장도어 사이의 틈을 통해 유입되는 풍절음을 특정 구조의 기밀재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도 및 업무용도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해당 건물을 찾는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승객의 승하차를 위한 도어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현수되는 카도어 및 각층 승강장에 구비되는 승장도어로 구분된다.
한편, 상기 엘리베이터의 주행 시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주위에 풍절음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최근 고층빌딩의 증가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속도 또한 급격하게 높아지면서 상기 풍절음도 그와 비례하여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엘리베이터의 운행 시 발생되는 풍절음을 억제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유선형으로 설계하거나, 상기 풍절음의 발생 시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로 풍절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카도어 사이 또는 승강장 문틀과 승장도어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는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카도어 사이 또는 승강장 문틀과 승장도어 사이의 틈새를 막는데 있어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100)의 단부 측에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기밀재(300)를 부착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풍절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기밀재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기밀재를 구성하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의 재질 특성에 따라 마찰에 의한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함과 아울러, 마찰에 의한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기밀재는 카도어 또는 승장도어에 설치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기밀재의 마모가 진행되면서 풍절음을 저감시키는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운행 시에 케이지와 카도어 사이 또는 승강장 문틀과 승장도어 사이의 틈을 통해 유입되는 풍절음을 차단하기 위한 기밀재(Weather Strip)를 특정 구조 및 재질로 형성하여 매우 효율적인 풍절음 차단과 함께 도어의 개폐동작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는,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설치되는 그 단면이 "
Figure 112011040831642-utm00001
" 형상을 갖는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를 매개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외곽부분을 따라 설치되며 그 단면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태의 직사각틀 형상을 갖는 금속재질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을 매개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외곽부분을 따라 설치되어, 케이지와 카도어 사이 또는 승강장 문틀과 승장도어 사이의 틈을 제거하는 기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밀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공간부 내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프레임의 개구부 측에 위치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프레임의 공간부 외측에 위치하여 케이지와 카도어 사이 또는 승강장 문틀과 승장도어 사이의 틈을 제거하는 틈제거부가 일체형 몸체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에는 한 쌍의 공간부가 평행하게 배열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를 통해 한 쌍의 기밀부재가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기밀부재는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표면과 그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설치되는 브라켓트 상호간의 단차(d)는 상기 프레임의 높이(h)와 동일한 치수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의 운행 시에 케이지와 카도어 사이 또는 승강장 문틀과 승장도어 사이의 틈을 통해 유입되는 풍절음을 차단하기 위한 기밀재를 특정 구조 및 재질로 형성하므로서, 보다 효율적으로 풍절음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기밀재를 구성하는 재질의 특성에 따라, 도어의 개폐 동작 시에 마찰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게 됨과 아울러, 도어의 개폐 동작 시에 기밀재로부터의 방해동작이 방지되면서 장시간 경과 시에도 기밀재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보다 우수한 기밀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에서 기밀부재가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가 카도어 및 승장도어에 적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에서 기밀부재가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가 카도어 및 승장도어에 적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는, 고층 건물에서의 엘리베이터 운행 시 케이지(200)와 카도어(100) 사이 또는 승강장 문틀(200)과 승장도어(100) 사이의 틈을 통해 유입되는 풍절음 및 마찰에 의한 소음 등을 특정 구조 및 재질로 이루어진 기밀재(Weather Strip)(300)를 매개로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구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및 승장도어(100)에는 브라켓트(10) 및 프레임(20)을 매개로 특정 형상을 갖는 기밀부재(30)가 고정 결합되어,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카도어 사이 또는 승강장 문틀과 승장도어 사이의 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밀재(300)는 도 4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및 승장도어(100)의 양측면에만 적용하거나, 또는 카도어 및 승장도어(100) 양측면과 상.하단에 모두 적용할 수가 있다.
여기에서, 상기 브라켓트(10)는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및 승장도어(100)의 양단 또는 상.하단에 해당하는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나사체결을 통해 고정 결합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그 단면이 대략 "
Figure 112011040831642-utm00002
" 형상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브라켓트(10)를 매개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100)의 외곽부분을 따라 설치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는데, 상기 브라켓트(20)는 개구부(22)가 형성된 상태의 대략 직사각틀 형상의 단면을 갖으며, 그 일측에는 상기 브라켓트(10)에 나사체결을 통해 고정 결합되도록 나사체결공(24)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0)은 알루미늄이나 그와 유사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프레임(20)에는 한 쌍의 공간부가 평행하게 배열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를 통해 한 쌍의 기밀부재(30)가 평행하게 배열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의 단면은 대략 "
Figure 112011040831642-utm00003
"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카도어 및 승장도어(100)의 표면과 그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설치되는 브라켓트(10) 상호간의 단차(d)는 상기 프레임(20)의 높이(h)와 동일한 치수를 갖도록 설계되어, 상기 카도어 및 승장도어(100) 표면과 상기 프레임(20)의 표면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프레임(20)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100)의 외곽부분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케이지(200)와 카도어(100) 사이 또는 승강장 문틀(200)과 승장도어(100) 사이의 틈을 제거하기 위한 기밀부재(30)는 마찰소음이 제거되도록 섬유재질(Mohair 또는 Felt)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20)의 개구부(22)를 통해 공간부 내에 끼워져 고정되는 대략 넓적한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 고정부(32)와, 상기 고정부(32)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프레임(20)의 개구부 측에 위치되는 대략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갖는 연장부(34) 및, 상기 연장부(34)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프레임(20)의 공간부 외측에 위치하여 케이지와 카도어 사이 또는 승강장 문틀과 승장도어 사이의 틈을 제거하는 대략 길쭉한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 틈제거부(36)가 일체형 몸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특정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밀부재(30)가 프레임(20)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기밀부재(30)의 고정부(32)는 상기 프레임(20)의 공간부 바닥면에 소정 접착수단을 매개로 부착 고정될 수도 있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라 도 4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및 승장도어(100)의 양측면이나, 또는 카도어 및 승장도어(100) 양측면과 상.하단에 특정 구조의 브라켓트(10) 및 프레임(20)을 매개로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기밀부재(30)를 병렬상태를 이루도록 배열되게 고정 결합시킨다.
이에,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200)와 카도어(100) 사이 또는 승강장 문틀(200)과 승장도어(100) 사이의 틈이 상기 기밀부재(30)를 통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기밀부재(30)를 포함하는 특정 구조의 기밀재(300)는 케이지와 카도어 및 승강장 문틀과 승장도어 상호간의 마찰로 인한 도어 개폐의 방해동작이 방지됨은 물론, 마찰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게 되며, 또한 그 재질의 특성에 의해 장기간 사용에도 기밀부재(30)의 임의적인 변형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카도어 사이 또는 승강장 문틀과 승장도어 사이의 틈이 상술한 특정 구조의 기밀재(30)를 통해 완벽하게 차단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운행 시 발생되는 풍절음이 효율적으로 차단되면서, 보다 우수한 승차감을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구현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10: 브라켓트, 20: 프레임,
22: 개구부, 24: 나사체결홀,
30: 기밀부재, 32: 고정부,
34: 연장부, 36: 틈제거부,
100: 카도어 또는 승장도어, 200: 케이지 또는 승강장 문틀,
300: 기밀재.

Claims (5)

  1.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설치되는 그 단면이 "
    Figure 112011040831642-utm00004
    " 형상을 갖는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를 매개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외곽부분을 따라 설치되며 그 단면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태의 직사각틀 형상을 갖는 금속재질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을 매개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외곽부분을 따라 설치되어, 케이지와 카도어 사이 또는 승강장 문틀과 승장도어 사이의 틈을 제거하는 기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공간부 내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프레임의 개구부 측에 위치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프레임의 공간부 외측에 위치하여 케이지와 카도어 사이 또는 승강장 문틀과 승장도어 사이의 틈을 제거하는 틈제거부가 일체형 몸체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한 쌍의 공간부가 평행하게 배열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를 통해 한 쌍의 기밀부재가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 기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는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 기밀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표면과 그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설치되는 브라켓트 상호간의 단차(d)는 상기 프레임의 높이(h)와 동일한 치수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 기밀재.
KR2020110004758U 2011-05-31 2011-05-31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 KR2004618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758U KR200461821Y1 (ko) 2011-05-31 2011-05-31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758U KR200461821Y1 (ko) 2011-05-31 2011-05-31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821Y1 true KR200461821Y1 (ko) 2012-08-08

Family

ID=47138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758U KR200461821Y1 (ko) 2011-05-31 2011-05-31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8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900A (ko) 2018-03-21 2019-10-0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7186A (ja) 1996-09-03 1998-03-24 Toshiba Elevator Eng Kk エレベータ装置
JPH1143274A (ja) 1997-07-25 1999-02-16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の敷居間隙の閉塞装置
JP2001139262A (ja) 1999-11-10 2001-05-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乗りかごの遮音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7186A (ja) 1996-09-03 1998-03-24 Toshiba Elevator Eng Kk エレベータ装置
JPH1143274A (ja) 1997-07-25 1999-02-16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の敷居間隙の閉塞装置
JP2001139262A (ja) 1999-11-10 2001-05-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乗りかごの遮音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900A (ko) 2018-03-21 2019-10-0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4721B2 (ja) エレベーター出入口装置
WO2013186890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1057318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461821Y1 (ko) 엘리베이터 카도어 및 승장도어의 기밀재
CN103482457A (zh) 一种电梯层门防撞装置
JP5542875B2 (ja) エレベータ
JP2016056004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7135680B2 (ja) エレベーターの敷居の取り替え方法
KR200457792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JP2015093767A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装置、及び戸開走行防止装置の据え付け方法
JP622994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JP2014152011A (ja) エレベータ
JP2013119437A (ja) 出入口装置
JP574424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689242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5151639B2 (ja) エレベータの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装置
CN205132873U (zh) 防脱落电梯层门装置
JP6249284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JP5520085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01302151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装置
CN208856734U (zh) 一种多功能节能型无机房乘客客梯
JP44241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293006B2 (ja) エレベータ用ドア敷居、それを用いたドア装置、並びにエレベータ装置
JP5571622B2 (ja) 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2017013971A (ja) 昇降機の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