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939B1 - 로프 테스터 장치 - Google Patents

로프 테스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939B1
KR101361939B1 KR1020107010524A KR20107010524A KR101361939B1 KR 101361939 B1 KR101361939 B1 KR 101361939B1 KR 1020107010524 A KR1020107010524 A KR 1020107010524A KR 20107010524 A KR20107010524 A KR 20107010524A KR 101361939 B1 KR101361939 B1 KR 101361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rope tester
tester
wire rope
install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0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2071A (ko
Inventor
고이치로 니시요리
히로시 사사이
타카시 요시오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2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2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12Checking, lubricating, or cleaning means for ropes, cables or guides
    • B66B7/1207Checking means
    • B66B7/1215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 B66B7/123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by analysing magnetic variable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로프 테스터 장치에 있어서 로프 진동에 의한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해서, 와이어 로프(6)의 주행방향(A)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축(14)을 로프 테스터(8) 전방에 배치하고, 설치축(14)에 로프 테스터(8)로부터 연장한 슬라이드식 또는 회전식으로 개폐가능한 후크 형상의 결합편(17)을 결합시키고, 로프 테스터(8)를 와이어 로프(6)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B)으로 이동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로프 테스터 장치.

Description

로프 테스터 장치{ROPE TESTER}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의 손상을 검출하는 로프 테스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이용되는 로프의 소선 단선을 검출하는데 적합한 로프 테스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로프 테스터 장치에 있어서는, 주행하는 와이어 로프에 로프 테스터를 꽉 누르고 와이어 로프를 자화시켜, 와이어 로프의 손상부로부터의 누설 자속을 측정해 로프의 손상을 검출하고 있다.
로프 테스터를 와이어 로프에 근접한 테스트 위치에 유지하는 지지 장치는, 로프 테스터와 기계 다이에 고정한 지지 암과의 사이에 탄성 부재를 구비하여, 로프 테스터를 와이어 로프의 주행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로프 테스터에 있어서는, 로프 테스터가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으므로, 로프 테스터는 진동하는 로프에 추종해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여, 로프와 로프 테스터 사이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해 노이즈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이 로프 테스터에 있어서는, 로프 테스터가 탄성 부재를 거쳐서 와이어 로프에 꽉 눌려져 있기 때문에, 와이어 로프의 진동을 감소시키는 작용도 하고 있다.
특개평9-290973호
그러나, 이러한 로프 테스터 장치에 있어서는, 로프의 진동의 감소를 위해 탄성 부재를 거쳐서 로프에 설치되어 있지만, 로프의 진동 저감은 탄성 부재의 탄성[경연(硬軟)]에 의해서 결정되어, 로프 테스터가 로프에 미치는 자기 흡인력과 탄성 부재의 보관 유지력의 균형 유지가 어려워서, 로프 속도의 변화에 의한 진동의 진폭의 변화에 대응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프 속도에 따라서 크게 변화하는 와이어 로프의 주행 방향으로 직각인 방향의 진동을 보다 확실히 저감할 수 있는 로프 테스터 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프 테스터 장치는, 주행하는 와이어 로프를 자화시키고, 와이어 로프의 손상부로부터의 누설 자속을 측정해 로프의 손상을 검출하는 로프 테스터와, 이 로프 테스터를 와이어 로프에 근접한 테스트 위치에 유지하는 지지 장치를 갖춘 로프 테스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가, 상기 테스트 위치에 설치되고, 와이어 로프의 주행 방향에 대해서 직각으로 연장된 설치축과, 일단에서 상기 로프 테스터에 연결되고, 타단에서 상기 설치축에 결합하며, 상기 로프 테스터를 상기 와이어 로프의 주행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결합편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로프 테스터의 자기 흡인력에 의해 로프의 진동이 흡수되어, 로프 테스터가 진동하는 와이어 로프에 추종해서 이동하기 쉬워져, 진동 노이즈가 감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로프 테스터 장치를 엘리베이터의 와이어 로프의 손상 검출에 이용한 경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실시예 1)
도 2는 도 1의 로프 테스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실시예 1)
도 3은 도 1의 로프 테스터 장치의 지지 장치를 개방 위치에서 도시하는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실시예 1)
도 4는 도 1의 로프 테스터 장치의 지지 장치를 폐쇄 위치에서 도시하는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실시예 1)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로프 테스터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로프 테스터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실시예 3)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이하에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로프 테스터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로프 테스터 장치를 엘리베이터의 와이어 로프의 손상 검출에 이용한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2는 로프 테스터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로프 테스터 장치의 지지 장치를 개방 위치에서 도시하는 개략 부분 단면도, 도 4는 로프 테스터 장치의 지지 장치를 폐쇄 위치에서 도시하는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1)의 정상부에는 기계 다이(2)가 마련되어 있고, 그 위에 기계실(3)이 형성되어 있다. 기계실(3) 내에는 권상기(4) 및 디플렉터 시브(deflector sheave)(5)가 설치되고, 카(car)를 승강시키는 와이어 로프(6)가 권취되어 있다. 기계 다이(2) 상에서 권상기(4)와 디플렉터 시브(5)의 사이에 배치된 와이어 로프(6)에 근접한 위치에는 본 발명의 로프 테스터 장치(7)가 마련되어 있다.
로프 테스터 장치(7)는, 주행하는 와이어 로프(6)을 자화시키고, 와이어 로프(6)의 손상부로부터의 누설 자속을 측정해서 로프의 손상을 검출하는 로프 테스터(8)와, 이 로프 테스터(8)를 와이어 로프(6)에 근접한 테스트 위치에 유지하는 지지 장치(9)를 갖추고 있다.
로프 테스터(8) 자체는, 누설 자속형의 공지의 것이어도 좋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형의 하우징(10) 내에, 자화기(11)와, 프로브(12)와, 제어기(13)를 구비해서, 자화기(11)로 와이어 로프(6)를 자화하고, 프로브(12)로 자화된 와이어 로프(6)의 손상 부분으로부터의 누설 자속을 검출하며, 제어기(13)으로 검출 신호를 처리하여 와이어 로프(6)의 손상을 검지하는 것이다.
로프 테스터 장치(7)의 지지 장치(9)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스트 위치에 마련되고, 도 2의 화살표(A)로 도시하는 와이어 로프(6)의 주행 방향에 대해서 직각이며, 복수의 와이어 로프(6)의 배열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설치축(14)을 갖추고 있다. 설치축(14)은, 와이어 로프(6)의 주행 방향으로 보아 로프 테스터(8)의 전연측, 즉 주행하는 와이어 로프(6)가 로프 테스터(8)와 만날 때 처음으로 만나는 측의 단부의 쪽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설치축(14)은 로프 테스터(8)의 전연으로부터 더욱 전방으로 이격되고, 또 상방으로 이동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설치축(14)은, 도시의 예에서는 기계 다이(2) 상에 고정된 2개의 지주(15)에 의해서 지지된 원통형의 축 부재이며, 지주(15)에 마련한 복수의 설치 구멍(16)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지지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서 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주(15) 자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로프 테스터 장치(7)의 지지 장치(9)는 또한 일단에서 로프 테스터(8)에 연결되고, 타단에서 설치축(14)에 결합하여, 로프 테스터(8)를 와이어 로프(6)의 주행 방향(화살표 A)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결합편(17)을 갖추고 있다.
결합편(17)은, 도시의 예에서는 판부재를 J자형으로 구부린 후크이며, 후크 부분에 설치축(14)을 받아 들여 지지하는 것이다. 결합편(17)의 긴 쪽의 레그부에는 레그부의 길이 방향으로 기다란 구멍(18)(도 3 및 도 4 참조)이 마련되어 있고, 이 기다란 구멍(18)에는 멈춤 나사(19)가 통과해서 결합편(17)의 위치를 슬라이드 구조에 의해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기다란 구멍(18)에 삽입된 멈춤 나사(19)는, 로프 테스터(8)의 하우징(10)에 장착된 L자형의 브라켓(20)의 돌출된 레그부(21)를 관통해 연장되어 있고, 멈춤 나사(19)를 조이면, 브라켓의 레그부(21)에 결합편(17)이 고정된다. 브라켓(20)의 제 2 레그부(22)는, 기다란 구멍과 나사로 구성된 고착 수단(23)에 의해 위치 조정 가능하게 로프 테스터(8)의 하우징(10)에 장착되어 있다. 브라켓(20)에는 2개의 레그부(21) 및 레그부(22) 사이에 연장된 리브(24)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로프 테스터 장치(7)를 이용하여 와이어 로프(6)의 테스트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멈춤 나사(19)를 느슨하게 하고 결합편(17)을 브라켓(20)으로부터 돌출시켜, 후크 형상의 결합편(17)의 J자형의 짧은 레그부의 선단과 브라켓(20)의 리브(24) 사이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이 개방부를 통해 설치축(14)의 탈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위치는 지지 장치(9)의 결합편(17)으로부터 설치축(14)을 해방하는 개방 위치이다.
로프 테스터 장치(7)의 설치축(14)은, 별도 기계 다이(2) 상에 설치해 둔 지주(15)(도 1 및 도 2 참조)의 적당한 위치에 배치해 두고, 개방 위치에 있는 로프 테스터(8)를 와이어 로프(6) 상에 얹어 미끄럼 이동시키고, 설치축(14)을 결합편(17)의 개방부로부터 받아 들여 결합편(17)의 내면에 접촉시킨다. 이 상태가 도 3이다.
이어서, 결합편(17)을 하부로 슬라이드시키고 결합편(17)의 개방부를 폐쇄하여 설치축(14)에 결합한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고, 멈춤 나사(19)를 조여서 결합편(17)을 브라켓(20)에 고정한다. 이 상태가 도 4이다. 이 때, 설치축(14)은, 후크 형상의 결합편(17)과 브라켓(20)의 리브(24)에 의해 형성된 닫힌 공간(25) 내에 유격을 가진 상태로 수용되어, 와이어 로프(6)의 주행 방향(A)에 대해서 직각인 도 4의 화살표(B)로 도시하는 방향으로는 미끄럼이동할 수 있지만, 와이어 로프(6)의 주행 방향(A)으로는 실질적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프 테스터 장치(7)를 테스트해야 할 와이어 로프(6)에 세트하고, 엘리베이터 장치를 보수 점검 모드로 운전해 로프를 화살표(A)의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로프 테스터(8)을 작동시키면, 로프 테스터(8)는 와이어 로프(6)에 자기 흡인력에 의해서 흡착되면서, 와이어 로프(6) 상을 슬라이드하면서 누설 자속을 측정해 로프의 손상을 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와이어 로프(6)의 속도의 변화에 의해서 진폭이 크게 변화하는 로프 수직 방향의 진동에 로프 테스터(8) 전체가 추종하기 때문에, 진동에 의한 로프 테스터(8)의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와이어 로프(6)의 길이 방향(주행 방향)으로는 로프 테스터(8)의 움직임이 제한되기 위해, 와이어 로프(6)와 로프 테스터(8)간의 마찰이나 자기 흡인력에 의해, 로프 테스터(8)가 로프 길이 방향으로 이동해 버리는 일이 없다.
설치축(14)은, 로프 테스터(8)보다 전방, 즉 와이어 로프(6)의 주행 방향(A)에 있어서 로프 테스터(8)가 설치축(14)의 하류가 되도록 하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와이어 로프(6)의 진행 방향이 도 2의 화살표(A)라고 하면, 와이어 로프(6)의 이상 부분(소선 파단, 스트랜드 파단, 로프 직경 팽창, 이물질 부착)이, 로프 테스터(8)에 충돌한 경우에도, 설치축(14)을 중심으로 로프 테스터(8)가 회전해서 장애물인 이상 부분을 받아 넘기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로프 테스터(8)에 손상을 줄 가능성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또, 결합편(17)은 멈춤 나사(19)의 체결력의 강약에 의해,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시켜 설치축(14)에 대하여 착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구조에 의해, 로프 테스터(8)의 설치는, 설치축(14)보다 윗쪽으로 충분히 떨어진 곳에서, 결합편(17)이 도 2의 개방 위치에서 로프 테스터(8)를 와이어 로프(6)에 자기 흡인력으로 흡착시키고, 와이어 로프(6)에 따라서 위에서 아래로 결합편(17)이 설치축(14)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시켜, 결합편(17)을 도 4의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완료한다.
실시예 2
도 5에 도시하는 로프 테스터 장치에 있어서는, L자형의 후크인 결합편(30)을 경첩(31)에 의해서 브라켓(20)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결합편(30)의 내면에서 설치축(14)에 결합시키는 것과 동시에 자유단(32)을 나사(33)로 브라켓(2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개폐 구조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결합편(30)은, 경첩 구조에 의해 도 3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것과 같이 설치축(14)을 닫은 공간(25) 내에 수용하는 폐쇄 위치와, 나사(33)가 느슨해서 설치축(14)의 탈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도 5의 파선으로 도시한 개방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와이어 로프(6)의 주행 방향(A)에 수직인 방향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나사(33) 대신에 클립을 이용해 결합편(30)과 브라켓(20)을 착탈식으로 고정할 수도 있고, 결합편(30)의 선단에 클립 형상의 굽힘 부분을 마련해 결합편(30) 자체의 탄성을 이용해서 착탈식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실시예 3
도 6에 있어서는, 결합편(17)을 착탈식으로 브라켓(20)에 고정하는 체결 금구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실시예의 멈춤 나사(19) 대신에, 토글 클램프(34)를 이용한 토글 구조로 되어 있다. 결합편(17)은, 이 토글 클램프(34)를 눕히는 것에 의해서 브라켓(20)에 체결되어 도 6에 도시하는 폐쇄 위치에 고정되며, 토글 클램프(34)를 일으키는 것에 의해 느슨해져서 개방 위치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이 구조에 의해, 후크인 결합편(17)의 개폐를 원터치로 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로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여러가지 실시예의 특징을 적당히 조합해 실시할 수도 있다.

Claims (8)

  1. 주행하는 와이어 로프를 자화시키고, 와이어 로프의 손상부로부터의 누설 자속을 측정해 로프의 손상을 검출하는 로프 테스터와, 이 로프 테스터를 와이어 로프에 근접한 테스트 위치에 유지하는 지지 장치를 갖춘 로프 테스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가, 상기 테스트 위치에 마련되고, 와이어 로프의 주행 방향에 대해서 직각으로 연장한 설치축과,
    일단에서 상기 로프 테스터에 연결되고, 타단에서 상기 설치축에 결합하여, 상기 로프 테스터를 상기 와이어 로프의 주행 방향 및 상기 설치축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로프 테스터의 상기 와이어 로프의 주행 방향으로의 이동은 저지하는 결합편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편은 상기 로프 테스터를 상기 설치축 둘레로 회동할 수 있게 하는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테스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축은 상기 와이어 로프의 주행 방향으로 보아 상기 로프 테스터의 전연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테스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은 상기 로프 테스터에 장착된 브라켓 상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테스터 장치.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은 상기 설치축에 장착된 폐쇄 위치와, 상기 설치축을 해방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테스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은 슬라이드 구조에 의해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해방 위치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테스터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은 경첩 구조에 의해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해방 위치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테스터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은 체결 금구에 의해 상기 폐쇄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테스터 장치.
KR1020107010524A 2007-11-13 2007-11-13 로프 테스터 장치 KR101361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71993 WO2009063548A1 (ja) 2007-11-13 2007-11-13 ロープテス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071A KR20100072071A (ko) 2010-06-29
KR101361939B1 true KR101361939B1 (ko) 2014-02-21

Family

ID=40638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524A KR101361939B1 (ko) 2007-11-13 2007-11-13 로프 테스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244821A1 (ko)
JP (1) JP5393474B2 (ko)
KR (1) KR101361939B1 (ko)
CN (1) CN101855159B (ko)
DE (1) DE112007003706T5 (ko)
WO (1) WO20090635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20497B2 (ja) * 2010-07-30 2014-02-1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ロープテスター装置
JP5605100B2 (ja) * 2010-09-07 2014-10-1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ロープテスタ保持用治具
JP5547758B2 (ja) * 2012-01-23 2014-07-16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ワイヤロープ探傷装置の取り付け構造
JP6193077B2 (ja) * 2012-10-30 2017-09-06 東京製綱株式会社 ワイヤロープの検査装置
CN104512780B (zh) * 2013-09-30 2017-02-01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升降机悬挂元件检测装置
FI126173B (en) * 2013-11-12 2016-07-29 Konecranes Global Oy Condition monitoring of an object having an elongated iron-containing longitudinal axis
CN106461611B (zh) * 2014-04-28 2019-12-27 东京制纲株式会社 钢丝绳的检查装置
CN104261218A (zh) * 2014-09-19 2015-01-07 洛阳泰斯特探伤技术有限公司 电梯钢丝绳在线无损检测装置
JP6844431B2 (ja) * 2017-06-12 2021-03-17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検査装置
EP3764094B1 (en) * 2018-03-08 2023-12-27 Shimadzu Corporation Magnetic body inspection device
JP6717341B2 (ja) * 2018-06-12 2020-07-01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ロープテスタ装置の取付器具及びロープテスタシステム
CN110526146A (zh) * 2019-08-07 2019-12-03 徐州贝峰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矿山机械的平衡磁感应摩擦提升机设备
JP7276238B2 (ja) * 2020-04-23 2023-05-18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ワイヤロープ検査装置およびワイヤロープ検査システム
JP7448037B2 (ja) 2020-12-04 2024-03-12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ワイヤロープ検査装置、および、ワイヤロープ検査システム
WO2022118494A1 (ja) * 2020-12-04 2022-06-09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ワイヤロープ検査装置、および、ワイヤロープ検査システム
JP2023013182A (ja) * 2021-07-15 2023-01-2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ワイヤロープ検査システム、および、ワイヤロープ検査システムの位置決め方法
CN114104897B (zh) * 2021-12-07 2023-05-05 知合汇华(武汉)科技有限公司 一种集成式电梯钢丝绳运行采集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0973A (ja) * 1996-04-25 1997-11-11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ロープテスタ支持用治具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2680A (en) * 1965-12-06 1969-08-19 Cons Pap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cally measuring the thickness of a moving web and for engaging and disengaging said apparatus with the web
US3887038A (en) * 1973-01-19 1975-06-03 Veda Inc Lift apparatus
JPS6017754B2 (ja) * 1976-07-21 1985-05-07 三菱電機株式会社 ワイヤロ−プの異常検出装置
JPS54107037A (en) * 1978-02-10 1979-08-22 Hitachi Ltd Elevator cage rope flaw detector
ZA871964B (ko) * 1986-03-25 1987-09-07
JPH0756293Y2 (ja) * 1990-03-20 1995-12-25 新明和工業株式会社 昇降装置の安全装置
US6123176A (en) * 1996-05-28 2000-09-26 Otis Elevator Company Rope tension monitoring assembly and method
US5886308A (en) * 1997-12-22 1999-03-23 Otis Elevator Company Rope speed monitoring assembly and method
JP2001039650A (ja) * 1999-08-04 2001-02-13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ロープ探傷装置の保持装置
JP2001163553A (ja) * 1999-12-15 2001-06-1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ロープ探傷装置の保持装置
US7045996B2 (en) * 2003-01-30 2006-05-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sition determination based on phase differen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0973A (ja) * 1996-04-25 1997-11-11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ロープテスタ支持用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063548A1 (ja) 2011-03-31
CN101855159B (zh) 2014-05-21
US20100244821A1 (en) 2010-09-30
WO2009063548A1 (ja) 2009-05-22
CN101855159A (zh) 2010-10-06
DE112007003706T5 (de) 2010-09-23
KR20100072071A (ko) 2010-06-29
JP5393474B2 (ja)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939B1 (ko) 로프 테스터 장치
KR101199653B1 (ko) 로프 검사 장치
EP2184247B1 (en) Inspection tool for wire rope
JP3454632B2 (ja) ロープテスタ支持用治具
CN103499321A (zh) 一种位置检测装置
JP4926613B2 (ja) 昇降装置およびワイヤーロープの損傷検知装置
WO2019097569A1 (ja) 衝撃試験装置
CN212893397U (zh) 轿厢门机
CN209922707U (zh) 一种松绳检测装置及堆垛机
JP2005350214A (ja) エレベータのケーブル吊手装置
JP2010180019A (ja) エレベータの操作機器
JP2010018423A (ja) エレベータの脱レール検出装置
SG182903A1 (en) Elevator
CN205826819U (zh) 一种继电器自动检测机
JP5868273B2 (ja) エレベータの昇降路内作業安全確保装置
JPH10182024A (ja) エレベーターの着床位置検出装置
JP2017218265A (ja)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診断装置およびロープ診断方法
KR101754361B1 (ko) 브레이크 검사장치가 구비된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JP5662842B2 (ja) 管路内への走行車等の導入装置
JP5605100B2 (ja) ロープテスタ保持用治具
JP5547758B2 (ja) ワイヤロープ探傷装置の取り付け構造
CN215402426U (zh) 用于检测设备的导向装置、检测设备、电梯轿厢和电梯
JP2007302372A (ja) コンペンチェーンの引っ掛かり検出装置
TW200835643A (en) Thread-feeding apparatus with improved stop motion
JP6117749B2 (ja) ベルト張力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109

Effective date: 2013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