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449B1 - 분석 방법, 분석 장치 및 채취 장치 - Google Patents
분석 방법, 분석 장치 및 채취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2449B1 KR101352449B1 KR1020117018565A KR20117018565A KR101352449B1 KR 101352449 B1 KR101352449 B1 KR 101352449B1 KR 1020117018565 A KR1020117018565 A KR 1020117018565A KR 20117018565 A KR20117018565 A KR 20117018565A KR 101352449 B1 KR101352449 B1 KR 1013524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mple
- analysis
- nozzle
- predetermined
- chang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26—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having blocks or racks of reaction cells or cuvett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92—Scheduling
- G01N2035/0094—Scheduling optimisation; experiment desig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분석 장치(S)는, 제1 노즐(4A)을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여 그 분석을 행하는 제1 분석부(A1)와, 제2 노즐(4B)을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여 그 분석을 행하는 제2 분석부(A2)와, 복수의 시료 용기(30)를 소정의 반송 경로(29)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2)를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시료 용기(30)의 반송이 정체 또는 정지한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제1 및 제2 노즐(4A, 4B)의 적어도 한쪽의 시료 채취 위치가 변경되고, 또한 이 위치 변경된 노즐에 의해 복수의 시료 용기(30)로부터 시료(B)가 채취된다. 이것에 의해, 반송 장치(2)의 대형화나 구조의 복잡화를 억제하면서, 분석 장치(S)에 의한 분석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혈액이나 소변 등의 원하는 시료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방법, 분석 장치, 분석 방법의 실시에 사용되는 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의 기억 매체 및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혈액이나 소변 등의 시료의 분석을 행하는 분석 장치의 구체예로서, 분석 처리 내용이 서로 다른 제1 및 제2 분석부와, 이들 제1 및 제2 분석부에 복수의 시료 용기를 순차 공급하는 반송 장치를 조합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4를 참조). 상기 제1 및 제2 분석부로서는, 예를 들면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흡인 노즐을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고, 또한 이 채취된 시료를 소정의 시약과 반응시켜 분석하도록 한 것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반송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시료 용기를 상기 제1 및 제2 분석부에 순차 반송하여, 상기 각 시료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시료의 분석 처리를 효율좋게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다음에 서술하는 바와 같이, 개선해야 하는 점이 있었다.
즉, 상기 제1 분석부로부터 제2 분석부로 시료 용기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제2 분석부가 시료 용기를 받아들이기 가능한 태세에 있을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제1 분석부에서의 분석 처리가 종료했을 때이어도, 제2 분석부가 분석 처리를 종료하지 않아, 시료 용기를 받아들이기 가능한 태세에 없는 경우에는, 반송 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킨 대기 상태로서 둘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대기 상태는, 제2 분석부가 제1 분석부보다도 분석 처리 속도가 느린 경우에 빈번하게 생기기 쉽다. 또한, 제2 분석부가 흡인 노즐의 세정을 장시간 행한다는 이유에 의거하여 분석 처리를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대기 상태를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분석부에 마련되어 있는 각 흡인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시료 용기로부터 시료의 채취가 행해지는 위치)는, 항상 일정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제2 분석부의 분석 처리의 지연, 혹은 정지에 기인하여, 상기 반송 장치의 구동이 정지한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제1 분석부에 있어서도, 다음의 새로운 시료의 채취나 그 분석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것으로는, 분석 처리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분석 처리 효율을 높이는 관점에서 보면, 제1 및 제2 분석부가 함께 정지한 시간이 길게 지속하는 것은, 되도록이면 억제하는 것이 요망된다.
상기 문제를 억제하기 위한 한 수단으로서는, 시료 용기의 반송 수단으로서 복수의 반송 장치를 사용하고, 또한 제1 및 제2 분석부 사이에, 다수의 시료 용기를 저류(貯留)해두기 위한 스톡 영역을 마련하는 수단이 생각된다. 이와 같은 수단에 의하면, 제2 분석부에의 시료 용기의 공급이 정지하고 있는 경우이어도, 제1 분석부로부터 상기 스톡 영역을 향하여 시료 용기를 배출하면서, 제1 분석부에는 시료 용기를 새롭게 공급하여, 시료의 분석 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수단에 의하면, 제1 및 제2 분석부 사이에, 상기 스톡 영역을 비교적 큰 면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반송 장치의 대형화, 나아가 분석 장치 전체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더하여, 반송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그 제조 비용도 고가가 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 제3616744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평7-92171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국 특허 제3031242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국 특허 제3031374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적절하게 억제 또는 해소하는 것이 가능한 분석 방법, 분석 장치, 상기 분석 방법의 실시에 사용되는 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의 기억 매체, 및 채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음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분석 방법은, 복수의 시료 용기를 소정의 반송 경로로 반송하는 공정과, 상기 반송 경로로 반송되는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제1 노즐을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고, 또한 이 채취된 시료의 분석 처리를 제1 분석부에서 실행시키는 공정과, 상기 제1 노즐보다도 반송 경로 하류측에서,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제2 노즐을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고, 또한 이 채취된 시료의 분석 처리를 제2 분석부에 의해 실행시키는 공정을 가지고 있는 분석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의 반송이 정체 또는 정지한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1 및 제2 노즐의 적어도 한쪽의 시료 채취 위치를 변경하고, 또한 이 위치 변경한 노즐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시료를 채취하는 공정을, 더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분석 장치는, 복수의 시료 용기를 소정의 반송 경로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반송되는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제1 노즐을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고, 또한 이 채취된 시료에 대해 소정의 분석 처리를 실행 가능한 제1 분석부와, 상기 제1 노즐보다도 반송 경로 하류측에서,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제2 노즐을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고, 또한 이 채취된 시료에 대해 소정의 분석 처리를 실행 가능한 제2 분석부를 구비하고 있는, 분석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의 반송이 정체 또는 정지한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1 및 제2 노즐의 적어도 한쪽의 시료 채취 위치가 변경되고, 또한 이 위치 변경된 노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시료가 채취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노즐의 쌍방은, 시료 채취 위치가 변경 가능하며, 상기 제1 분석부에서의 분석 처리의 정체 또는 정지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2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시료가 채취되고, 이 시료의 분석 처리가 상기 제2 분석부에 의해 실행되는 한편, 상기 제2 분석부에서의 분석 처리의 정체 또는 정지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1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시료가 채취되고, 이 시료의 분석 처리가 상기 제1 분석부에 의해 실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노즐은, 시료 채취 위치를 상기 시료 용기 반송 방향 및 이것과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 가능하며, 또한 상기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1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가 상기 시료 용기 반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노즐은, 시료 채취 위치를 상기 시료 용기 반송 방향 및 이것과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 가능하며, 또한 상기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2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가 상기 시료 용기 반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노즐은, 상기 제1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보다도 시료 용기 반송 방향 상류 영역까지 시료 채취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제1 노즐에 의해 채취되어 있지 않은 시료도 채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노즐은, 상기 시료 용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시료 채취 위치를 변경 가능하며,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가 복수열로 반송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의 각각으로부터 시료를 채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분석부는, 하나의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집약화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분석부는, 혈액 또는 소변의 분석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분석부는, 혈당치 측정이 가능하며, 상기 제2 분석부는, 글리코헤모글로빈 측정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분석부는, 소변 정성(定性) 장치이며, 상기 제2 분석부는, 소변 침사(沈渣) 장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는, 1렬 또는 복수열로 늘어서도록 하여 랙(rack)에 유지된 복수의 채혈관 또는 채뇨관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분석부의 적어도 한쪽은, 공급되어 오는 복수의 시료 중, 선택된 일부의 시료만을 분석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분석부는, 분석 대상이 되는 시료의 수가 서로 다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분석부는, 1시료당의 분석 소요 시간이 서로 다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분석부는, 상기 제2 분석부보다도, 분석 대상이 되는 시료의 수가 많고, 또한 상기 1시료당의 분석 소요 시간이 짧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그램은,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제1 노즐을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고, 또한 이 채취된 시료에 대해 소정의 분석 처리를 실행 가능한 제1 분석부와, 상기 제1 노즐보다도 반송 경로 하류측에서,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제2 노즐을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고, 또한 이 채취된 시료에 대해 소정의 분석 처리를 실행 가능한 제2 분석부와, 상기 제1 및 제2 분석부의 동작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분석 장치의 구동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의 반송이 정체 또는 정지한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제1 및 제2 노즐의 적어도 한쪽의 시료 채취 위치를 변경하고, 또한 이 위치 변경한 노즐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시료를 채취하는 공정을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분석부에서의 분석 처리의 정체 또는 정지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2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시료를 채취하고, 이 시료의 분석 처리를 상기 제2 분석부에 의해 실행하는 공정과,
상기 제2 분석부에서의 분석 처리의 정체 또는 정지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1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시료를 채취하고, 이 시료의 분석 처리를 상기 제1 분석부에 의해 실행하는 공정을,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기억 매체는,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채취 장치는, 복수의 시료 용기를 소정의 반송 경로로 반송하는 반송부와, 이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소정의 부위에 공급하기 위한 제1 노즐과, 상기 제1 노즐보다도 반송 경로 하류측에서,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소정의 부위에 공급하기 위한 제2 노즐을, 구비하고 있는 채취 장치로서, 상기 반송부가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의 반송을 정지 또는 정체한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1 및 제2 노즐의 적어도 한쪽의 시료 채취 위치가 변경되고, 또한 이 위치 변경한 노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시료가 채취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행하는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설명에서,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본 발명에 따른 분석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2] 도 1의 평면도.
[도 3]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분석 장치를 구성하는 분석부의 개략 설명도.
[도 4] 도 1에 나타내는 분석 장치의 제1 및 제2 노즐의 동작 태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 도 1에 나타내는 분석 장치가 구비하는 제어부의 동작 처리 수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6] 본 발명에 따른 분석 장치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노즐의 다른 동작 태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 도 6에 나타내는 제1 및 제2 노즐의 동작 태양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동작 처리 수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8] 본 발명에 따른 분석 장치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노즐의 다른 동작 태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9] 본 발명에 따른 분석 장치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노즐의 다른 동작 태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 본 발명에 따른 분석 장치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노즐의 다른 동작 태양을 나타내는 설명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분석 장치의 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분석 장치(S)는, 하나의 케이스(1) 내에 수용되어 집약된 제1 및 제2 분석부(A1, A2)와, 복수의 채혈관(30)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 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채혈관(30)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시료 용기의 일례에 상당한다. 채혈관(30)에 수용되어 있는 혈액(B)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시료의 일례에 상당한다.
분석 장치(S)는, 혈액(B)을 분석하여, 당뇨병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및 제2 분석부(A1, A2)는, 채혈관(30)으로부터 혈액(B)을 흡인하여 채취 가능한 제1 및 제2 노즐(4A, 4B)을 가지고 있다. 제1 분석부(A1)는, 제1 노즐(4A)을 이용하여 채취된 혈액(B) 중의 글루코오스 농도(혈당치)를 측정한다. 제2 분석부(A2)는, 제2 노즐(4B)을 이용하여 채취된 혈액(B) 중의 헤모글로빈A1c 등의 글리코헤모글로빈 농도를 측정한다. 단, 제1 분석부(A1)는, 원칙적으로는 반송 장치(2) 위에 공급되는 모든 혈액(B)을 분석 대상으로 함에 대해, 제2 분석부(A2)는, 제1 분석부(A1)의 분석 처리에 있어서 소정 범위의 이상치가 검출된 혈액(B)만을 분석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제1 분석부(A1)보다도 제2 분석부(A2) 쪽이, 분석 처리 횟수는 적다. 1시료당의 분석 소요 시간(제1 및 제2 노즐(4A, 4B)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혈액(B)의 채취의 개시시로부터, 이 혈액(B)의 분석을 마친 후에 다음의 새로운 혈액(B)의 채취를 개시하는 것이 가능한 태세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은, 제1 분석부(A1)에서는, 예를 들면 18초임에 대해, 제2 분석부(A2)에서는, 예를 들면 36초이다. 따라서, 제1 분석부(A1) 쪽이, 제2 분석부(A2)보다도 분석 처리 속도가 고속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노즐(4A)은, 노즐용 이동 장치(5)의 암(arm)(50)에 지지되어,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제1 노즐(4A)은, 반송 장치(2) 위에서의 시료 채취 위치를 시료 용기 반송 방향(N2) 및 그 반대 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노즐용 이동 장치(5)는, 왕복 실린더 혹은 순환 구동 벨트 등의 구동 수단(모두 도시 생략)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분석부(A1)의 기본적인 구성은, 종래 기지의 글루코오스 농도 측정 장치의 구성과 같다. 즉, 제1 분석부(A1)는, 제1 노즐(4A)의 상부에 튜브(51)를 개재하여 접속된 시린지 펌프(52a, 52b), 세정액조(53), 세정용 용기(54), 측정부(60), 및 제어부(61)를 구비하고 있다. 시린지 펌프(52a, 52b)는, 세정액조(53)에 저류된 세정액을, 튜브(51)를 개재하여 제1 노즐(4A) 내에 송입하는 동작, 및 제1 노즐(4A) 내에 시료 흡인용의 부압(負壓)을 발생시키는 동작을 행한다. 세정용 용기(54)는, 제1 노즐(4A)을 세정하기 위한 것이다. 세정용 용기(54) 내에 제1 노즐(4A)이 진입한 상태에 있어서, 튜브(51)를 개재하여 제1 노즐(4A) 내에 세정액이 송입됨으로써, 제1 노즐(4A)이 세정된다. 세정용 용기(54) 내에 공급된 세정액은, 공기 펌프(55) 및 복수의 개폐 밸브(V)의 전환 동작에 의해, 중간 보틀(56)을 거쳐 폐액조(57)에 공급된다.
측정부(60)는, 제1 노즐(4A)로부터 혈액(B)의 점착을 받는 점착부(도시 생략), 이 점착부에 점착된 혈액(B)의 글루코오스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기(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글루코오스 농도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이른바 글루코오스 센서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글루코오스 센서법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10-293132호 공보에 나타나 있고, 글루코오스옥시다제(GOD)를 사용한 효소 전극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제어부(61)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측정부(60)에서 얻어진 측정 데이터로부터 글루코오스 농도를 산출하는 처리, 및 제1 분석부(A1)의 각부의 동작 제어를 실행한다. 단, 이 제어부(6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분석부(A2) 및 반송 장치(2)의 동작도 제어한다.
채혈관(30)에는, 바코드 등의 식별 코드(31)가 붙어 있다. 분석 장치(S)는, 식별 코드(31)를 독취(讀取)하기 위한 독취부(6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독취부(62)에 의해 독취된 식별 데이터는, 제어부(61)로 송신되고, 제1 및 제2 분석부(A1, A2)에 있어서 혈액(B)의 분석 처리 결과의 데이터와 관련지어진 참조 데이터로서 사용된다.
제2 분석부(A2)는, 그 기본적인 구성을 종래 기지(旣知)의 글리코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장치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글리코헤모글로빈 농도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일본국 특개2001-83165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라텍스 면역 응집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분석부(A2)는, 제1 분석부(A1)와는 분석 처리 항목이 서로 다르지만, 각부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3에 나타낸 제1 분석부(A1)와 같이 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에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63)나, 데이터 표시용의 디스플레이(64)가 마련되어 있다. 제어부(61)는, 이 제어부(61)에 기억된 프로그램, 및 복수의 조작 스위치(63)의 조작에 따라 분석 장치(S)의 각부의 동작 제어를 실행한다. 이 때문에, 제2 분석부(A2)에는, 그것 전용의 제어부를 마련할 필요는 없다. 단, 이것과는 달리, 제2 분석부(A2)에 그것 전용의 제어부를 마련하고, 또한 이 제어부에 제어부(61)로부터의 동작 지령이 이루어짐으로써 제2 분석부(A2)에서 상기 지령에 대응한 동작이 실행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반송 장치(2)는, 복수의 채혈관(30)을 기립시킨 자세로 유지하는 랙(rack)(3)을 일정한 경로로 반송한다. 복수의 채혈관(30)은, 랙(3) 위에 일정 피치로 일렬로 늘어놓아진다. 반송 장치(2)는, 케이스(1)의 전면 하부에 연결된 프레임(20), 이 프레임(20)의 상면부(20a) 위에 위치하는 3조의 순환 구동 자재의 벨트(21a∼21c),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 자재의 2개의 푸셔(22a, 22b)(도 2를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반송 장치(2)에 있어서는, 부호 n1로 표시하는 위치에 랙(3)이 투입되면, 이 랙(3)은, 벨트(21a)에 의해 화살표(N1) 방향으로 반송된 후에, 반송 경로(29)상을 푸셔(22a)에 의해 화살표(N2) 방향으로 반송된다. 반송 경로(29) 위에서는, 랙(3)이 복수의 채혈관(30)의 배열 피치로 간헐 이송된다. 랙(3)이 반송 경로(29)의 종단에 도달하면, 이 랙(3)은, 벨트(21c)에 의해 화살표(N3) 방향으로 반송된 후에, 푸셔(22b)에 의해 화살표(N4) 방향으로 반송되어 벨트(21b) 위에 공급된다. 이 벨트(21b)가 마련되어 있는 영역은, 분석 처리를 마친 혈액(B)을 수용한 랙(3)의 스톡 영역이다. 이 스톡 영역에 공급된 랙(3)은, 벨트(21b)에 의해 화살표(N5) 방향으로 반송된다. 단, 스토퍼(23)의 존재에 의해, 벨트(21b) 위의 랙(3)과, 화살표(N2) 방향으로 반송되는 랙(3)과의 충돌은 회피된다. 상기 스톡 영역은, 벨트(21a, 21c)간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한 것이다.
제1 및 제2 노즐(4A, 4B)은, 반송 경로(29) 위에서 채혈관(30)으로부터 혈액(B)을 채취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노즐(4B)의 시료 채취 위치는, 예를 들면 위치(P10)이며, 불변이다. 이에 대해, 제1 노즐(4A)의 시료 채취 위치는, 랙 반송 방향(N2) 및 이것과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 가능하며, 위치(P0∼P4) 중 어느 것으로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노즐(4A)의 시료 채취 위치의 변경 동작은, 제어부(61)에 의해 제어되고, 제2 분석부(A2)의 분석 처리가 정체 또는 정지하는 것에 기인하여, 반송 장치(2)의 구동이 정지한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 실행된다. 단,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분석 장치(S)를 사용한 분석 방법의 일례, 및 제어부(61)의 동작 처리 수순의 일례에 대해, 도 5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분석 장치(S)의 시동을 지시하는 취지의 스위치 조작이 이루어지면(S1:YES), 제어부(61)는, 반송 장치(2)의 구동을 개시시킨다(S2). 이것에 의해, 화살표(n1)에 투입된 랙(3)을 상기 화살표(N1∼N5)로 표시한 경로로 순차 반송할 수 있다. 기술한 바와 같이, 반송 경로(29) 위에서는, 랙(3)이 채혈관(B)의 배열 피치로 간헐 반송된다.
랙(3)이 반송 경로(29) 위에 반송되는 과정에 있어서는, 우선 채혈관(30)의 식별 코드(31)가 독취부(62)에 의해 독취된다(S3:YES, S4). 이어서, 채혈관(30)이 제1 노즐(4A)의 시료 채취 위치에 도달하면, 제1 노즐(4A)에 의해 혈액(B)이 채취되고나서, 제1 분석부(A1)에서 혈액(B)의 분석(글루코오스 농도의 측정)이 행해지고, 그 후에는 제1 노즐(4A)의 세정 처리가 행해진다(S6, S7). 이와 같은 처리가 완료하면(S8:YES), 제어부(61)는, 제2 분석부(A2)가 채혈관(30)을 받아들이기 가능한 태세(제1 분석부(A1)측으로부터 제2 분석부(A2)를 향하여 랙(3)을 반송해도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 태세)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 채혈관(30)이 받아들이기 가능인 경우(S9:YES),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반송 장치(2)의 구동 정지(대기 상태의 설정)는 없고, 반송 경로(29) 위에서는 랙(3)의 간헐 반송이 계속하여 실행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랙(3)의 간헐 반송은, 제1 노즐(4A)의 시료 채취 위치에 채혈관(30)이 도달한 시점에서, 상기한 제1 분석부(A1)에서의 처리가 종료하는 시점까지 랙(3)의 반송이 일시적으로 정지하고, 또한 그 후에 랙(3)의 반송이 개시되어 랙(3)이 소정 피치만큼 반송되면, 그 시점에서 랙(3)의 반송이 재차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이다.
제2 노즐(4B)의 시료 채취 위치(P10)에, 채혈관(30)이 도달하면(S10), 제어부(61)는, 이 채혈관(30)에 수용된 혈액(B)이 제2 분석부(A2)의 분석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 글루코오스 농도의 측정치가 소정의 정상적인 범위 내에 있는 혈액(B)은, 제2 분석부(A2)의 분석 대상으로는 되지 않는다. 그 이외의 혈액(B)에 대해서는, 더욱 정밀한 분석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2 분석부(A2)의 분석 대상이 된다. 혈액(B)이 분석 대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2 노즐(4B)에 의한 혈액(B)의 채취, 그 분석(글리코헤모글로빈 농도의 측정), 및 제2 노즐(4B)의 세정 처리가 행해진다(S11:YES, S12, S13). 분석 처리를 종료하는 취지의 스위치 조작이 있었던 때에는, 반송 장치(2)의 구동이 정지되어(S14:YES, S15), 분석 처리가 종료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기본적으로는, 상기한 일련의 동작이 반복된다(S14:NO, S3).
스텝(S9)에 있어서, 제2 분석부(A2)가 채혈관(30)의 받아들임이 가능한 태세에 없는 경우가 있다(S9:NO). 예를 들면, 제2 분석부(A2)에서의 처리가 정체하고 있고, 제2 분석부(A2)에서 혈액(B)의 분석 처리가 실행 중인 경우, 혹은 제2 노즐(4B)이 세정 중인 경우가, 상기 경우에 해당한다. 또한, 제2 분석부(A2)가 어떤 메인터넌스(maintenance)를 받고 있거나 하여 그 운전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있는 경우도, 상기 경우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경우, 제어부(61)는, 반송 장치(2)의 구동을 정지시킨 대기 상태로 한다(S16).
이어서, 제어부(61)는, 제2 분석부(A2)에서의 분석 처리의 진행 정황 등에 의거하여, 제2 분석부(A2)가 채혈관(30)을 받아들이기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 T1을 예측한다(S17). 이 예측 시간 T1이 소정 시간 T2 이상이며, 또한 제1 노즐(4A)의 시료 채취 위치보다도 랙 반송 방향(N2)의 상류측에 다음의 채혈관(30)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 노즐(4A)의 시료 채취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채혈관(30)으로부터 혈액(B)이 채취되고, 그 분석 처리가 행해진다(S18:YES, S19:YES, S20, S21).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하면, 제1 노즐(4A)의 시료 채취 위치가, 위치(P0)이었던 경우에, 이 시료 채취 위치는 위치(P1)로 변경되고, 또한 이 위치(P1)에 존재하는 혈액(B)이 채취되어 그 분석 처리가 실행된다(도 4도 참조).
상기한 소정 시간 T2는, 예를 들면 18초이며, 제1 분석부(A1)에서의 1시료당의 분석 소요 시간과 동일하다. 제2 분석부(A2)가 채혈관(30)을 받아들이기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이, 상기 분석 소요 시간보다도 길면, 제2 분석부(A2)에서의 분석 처리를 지연시키지 않도록 하여, 위치(P1)에 있어서 채취한 혈액(B)을 제1 분석부(A1)에서 적절하게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측 시간 T1이 소정 시간 T2에 못 미치는 경우(S18:NO), 혹은 위치(P1)에 채혈관(3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S19:NO),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노즐(4A)의 시료 채취 위치의 변경을 수반하는 분석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텝(S17, S18)의 제어를 생략하여, 반송 장치(2)의 구동을 정지한 대기 상태가 설정되었을 때에는, 즉시 제1 노즐(4A)의 시료 채취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제어부(61)는, 위치(P1)의 채혈관(30)으로부터 채취한 혈액(B)의 분석, 및 제1 노즐(4A)의 세정 처리가 종료하면, 제2 분석부(A2)가 채혈관(30)을 받아들이기 가능한 태세에 있는지 여부를 재차 판단한다(S22:YES, S23). 제2 분석부(A2)에서의 처리가 정체하거나, 또는 정지하고 있는 것에 기인하여, 제2 분석부(A2)가 아직 받아들이기 가능한 태세에 없는 경우에는(S23:NO), 상기한 스텝(S17∼S22)의 제어가 재차 실행된다. 제2 분석부(A2)는, 제1 분석부(A1)보다도 분석 처리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제2 분석부(A2)에서의 처리의 정체는 생기기 쉽다. 예측 시간 T1이 소정 시간 T2 이상이며, 제1 노즐(4A)의 시료 채취 위치보다도 랙 반송 방향(N2)의 상류측에 다음의 채혈관(30)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 노즐(4A)의 시료 채취 위치의 변경을 수반한 혈액(B)의 채취 및 그 분석 처리가, 복수회에 걸쳐 반복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동작 제어에 의하면, 제1 노즐(4A)의 시료 채취 위치를, 도 4에서 표시하는 위치(P1∼P4)로 순차 변경하여, 복수의 혈액(B)의 분석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분석부(A2)가 채혈관(30)을 받아들이기 가능한 태세가 된 경우에는, 반송 장치(2)의 구동 정지 상태가 해제되고(S23:YES, S24), 그 후에는 종료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은(S14:NO), 스텝(S3) 이후의 일련의 제어가 반복된다. 도 5의 플로우 차트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제1 노즐(4A)의 시료 채취 위치를 원래의 위치(P0)로 복귀시키는 시기는, 예를 들면 가장 상류측의 위치(P4)에서의 혈액(B)의 채취 및 그 처리를 마친 후이다. 단,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분석 방법에 의하면, 제2 분석부(A2)의 처리의 정체나 정지에 원인하여 채혈관(30)의 반송이 곤란한 정황(대기 상태)이 된 경우이어도, 제1 분석부(A1)를 효율좋게 가동시켜, 제1 및 제2 분석부(A1, A2)가 함께 그 가동을 정지한 상태가 되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분석 장치(S) 전체의 분석 처리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분석부(A1)의 가동률을 높이는 수단으로서, 제1 및 제2 분석부(A1, A2)끼리 사이에, 다수의 랙(3)을 스톡해두기 위한 영역을 큰 사이즈로 형성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반송 장치(2)의 대형화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분석 장치(S)에 있어서는, 제1 노즐(4A)에 더하여, 제2 노즐(4B)에 대해서도, 랙 반송 방향(N2) 및 이것과는 반대 방향으로 시료 채취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노즐(4B)의 시료 채취 위치를, 예를 들면 위치(P10∼P13)로 변경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들 위치(P10∼P13)는, 제1 노즐(4A)보다도 랙 반송 방향(N2)의 하류역이다.
도 7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노즐(4A, 4B)의 시료 채취 위치를 함께 변경 가능으로 한 경우에 적용되는 제어부(61)의 동작 처리 수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동(同)도면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의 스텝(S1∼S24)는, 도 5에서 나타낸 스텝(S1∼S24)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2 분석부(A2)의 정체 또는 정지에 기인하여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이어도, 제1 분석부(A1)에 의한 혈액(B)의 분석 처리를 계속하여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에 나타내는 동작 처리에서는, 스텝(S25, S26, S16'∼S24')가 더 실행되는 점이, 도 5에 나타내는 동작 처리와는 서로 다르며, 이 점에 대해 설명한다.
즉, 스텝(S13)에 나타내는 제2 분석부(A2)에서의 처리가 종료하면(S25), 제어부(61)는, 제1 분석부(A1)가 채혈관(30)을 받아들이기 가능한 태세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6). 예를 들면, 제1 노즐(4A)이 장시간에 걸쳐 세정되는 등의 이유에 의해, 제1 분석부(A1)에서의 처리의 정체 또는 정지를 발생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제1 분석부(A1)는 채혈관(30)을 받아들이기 가능한 태세에는 없다. 이와 같은 경우, 제어부(61)는, 스텝(S16'∼S24')의 처리를 실행시킨다.
스텝(S16'∼S24')는, 상술한 스텝(S16∼S24)에 대응한 내용이며, 스텝(S16∼S24)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었던 제1 분석부(A1)에 대한 동작 제어와 같은 동작 제어를, 제2 분석부(A2)에서 실행시키는 내용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61)는, 제1 분석부(A1)가 채혈관(30)을 받아들이기 가능한 태세에는 없는 경우에는, 반송 장치(2)의 구동을 정지시킨 대기 상태로 한다(S26:YES, S16'). 이어서, 제어부(61)는, 제1 분석부(A1)의 분석 처리 정황 등을 고려하여, 제1 분석부(A1)가 채혈관(30)을 받아들이기 가능한 태세가 될 때까지의 시간 T3을 예측한다(S17'). 이 시간 T3이, 소정 시간 T4 이상이며(S18'), 또한 제2 노즐(4B)보다도 랙 반송 방향(N2)의 상류에 채혈관(30)이 존재하면(S19'), 제2 노즐(4B)의 시료 채취 위치가 변경되어 혈액(B)이 채취되고, 그 분석이 행해진다(S20', S21'). 소정 시간 T4는, 예를 들면 36초이며, 제2 분석부(A2)에서의 1시료당의 분석 소요 시간이다. 제1 분석부(A1)에서의 처리의 정체 또는 정지가 길어진 경우에는, 제2 노즐(4B)의 시료 채취 위치가 복수회에 걸쳐 순차 변경된다(S23':NO, S17'). 따라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분석 노즐(4B)의 시료 채취 위치를, P10에서 P11로, 또한 P12, P13으로 순차 변경하여, 복수의 혈액(B)의 분석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분석부(A1)에서의 처리의 정체 또는 정지가 해소되어, 제1 분석부(A1)가 채혈관(30)의 받아들임이 가능한 태세가 되었을 때에는, 반송 장치(2)의 구동 정지 상태(대기 상태)가 해제되어, 제1 및 제2 분석부(A1, A2)의 쌍방을 적절하게 가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S23':YES, S24').
상기한 분석 방법에 의하면, 제1 분석부(A1)에서의 처리의 정체나 정지에 원인하여 채혈관(30)의 반송이 곤란한 정황이 되어도, 제2 분석부(A2)를 효율좋게 가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분석부(A2)에서의 처리의 정체나 정지에 원인하여 채혈관(30)의 반송이 곤란한 정황이 된 경우에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분석 방법과 같이, 제1 분석부(A1)를 적절하게 가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분석 장치(S)의 전체의 분석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한층 바람직한 것이 된다.
도 8∼도 10은, 상기한 분석 장치(S)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노즐(4A, 4B)의 동작 태양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노즐(4B)의 시료 채취 위치가, 제1 노즐(4A)보다도 랙 반송 방향(N2)의 상류의 위치(P14, P15)로도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노즐(4B)이 제1 노즐(4A)보다도 상류 영역으로 이동할 때, 및 상류 영역으로부터 하류 영역으로 되돌아갈 때에는, 제1 및 제2 노즐(4A, 4B)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분석부(A1)에서의 처리가 비교적 장시간에 걸쳐 정지한 경우에, 제2 노즐(4B)을 이용하여 보다 많은 채혈관(30)으로부터 혈액(B)을 채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분석 장치(S)의 전체의 분석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한층 바람직한 것이 된다. 제1 노즐(4A)보다도 상류 영역에 존재하는 채혈관(30) 내의 혈액(B)은, 제1 분석부(A1)에 의해 아직 분석 처리가 행해지지 않고 있다. 단, 이와 같은 혈액(B)을 제1 분석부(A1)보다도 먼저 제2 분석부(A2)에 의해 분석했다고 해도, 문제는 없다.
도 9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 경로(29) 위를, 복수의 랙(3)이 2열로 늘어놓여 반송된다. 이에 대해, 제1 노즐(4A)은, 랙 반송 방향(N2) 및 그 반대 방향에 더하여, 이들과 교차하는 방향(N10)으로도 시료 채취 위치를 변경 가능하다. 제2 노즐(4B)의 시료 채취 위치도, 상기 방향(N10)으로 변경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랙(3)을 2열로 늘어놓아 효율좋게 반송할 수 있다. 또한, 2열의 랙(3) 위의 어느 채혈관(30)으로부터도 혈액(B)을 적절하게 채취할 수 있다. 반송 장치(2)가 대기 상태가 된 경우에 있어서, 2열로 늘어놓은 2개의 랙(3)의 각 채혈관(30)으로부터 혈액(B)을 채취하는 경우, 한쪽의 랙(3) 위의 복수의 채혈관(30)의 모두로부터 혈액(B)을 채취하는 동작이 완료한 후에, 다른 쪽의 랙(3) 위의 복수의 채혈관(30)으로부터 혈액 채취를 개시시키도록 하면, 상기 한쪽의 랙(3)을 제2 분석부(A2)에 주고받는 동작을 조기에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바람직한 것이 된다. 채혈관(30)을 복수열로 반송하는 예로서는, 랙(3)을 복수열로 반송하는 것을 대신하여, 예를 들면 하나의 랙에 채혈관(30)을 복수열로 늘어놓아 유지시키는 태양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노즐(4A)의 시료 채취 위치는, 불변이며, 위치(P0) 그대로이다. 이에 대해, 제2 노즐(4B)은, 랙(3)의 반송 방향(N2)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그 시료 채취 위치를 예를 들면 위치(P10∼P14)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분석부(A2)에서의 처리가 정체 또는 정지하여 반송 장치(2)가 대기 상태가 된 경우에, 제1 노즐(4A)의 시료 채취 위치를 변경할 수는 없지만, 제1 분석부(A1)에서의 처리가 정체 또는 정지하여 대기 상태가 된 경우에는, 제2 노즐(4B)의 시료 채취 위치를 변경하여, 제2 분석부(A2)를 가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역시 분석 처리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은, 제1 분석부(A1)에서의 분석 처리가 정체 또는 정지하기 쉬운 경우에 호적(好適)하다. 본 실시 형태 및 상술한 실시 형태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2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를 고정시키면서 제1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를 변경시키는 태양, 및 제1 및 제2 노즐의 쌍방의 시료 채취 위치를 변경시키는 태양에 더하여, 제1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를 고정시키면서 제2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를 변경시키는 태양이 있으며, 어느 태양으로 구성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 및 제2 노즐은, 시료 용기로부터 시료를 채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고무제 또는 수지제 등의 단지 튜브상의 형태로 되어 있어도 좋다. 제1 및 제2 노즐에는, 시료 채취 기능과는 다른 기능 또는 기구가 부속되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시료 용기 중의 시료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 기구, 시료 용기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 기구, 혹은 시료 용기 내에의 시약 투입 기구 등에 노즐에 부속되어 마련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노즐의 적어도 한쪽의 시료 채취 위치를 변경하여 시료 채취를 행하는 경우, 기본적으로는, 아직 분석 처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시료를 채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분석부에서는, 하나의 시료에 대한 동일 내용의 분석 처리가 복수회에 걸쳐 반복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를 변경하여 시료를 채취할 때에는, 이미 1회째의 시료 채취를 마친 시료 용기로부터 2회째의 시료 채취가 행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섭된다.
본 발명은, 3 이상의 분석부를 접속한 분석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3 이상의 분석부 중, 서로 인접하는 어느 2개의 분석부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 및 제2 분석부에 상당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섭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석 장치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분석부를 2개의 케이스 내에 별도로 수용시켜 서로 이간시킨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분석부 사이에 시료 용기를 스톡하기 위한 스톡 영역을 마련할 필요는 없지만, 굳이 그와 같은 스톡 영역을 마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와 같은 스톡 영역을 소(小)사이즈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 및 제2 분석부는, 혈액의 특정 성분의 농도 측정을 행하는 것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채뇨관에 수용되어 반송되는 소변의 특정 성분의 농도 측정을 행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구체예를 들면, 소변을 검사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1 분석부를 소변 정성 장치로 하고, 또한 제2 분석부를 소변 침사 장치로 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소변 정성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요단백(尿蛋白), 요당, 잠혈(潛血), 및 우로빌리노겐 중 1 이상의 항목의 측정을 실행한다. 소변 침사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소변 중의 혈구계, 상피세포계, 원주계, 미생물계, 혹은 결정·염류계의 침전물, 혹은 그 밖의 침전물의 검출· 측정을 실행한다. 소변 정성 장치는, 예를 들면 1시료당의 분석 소요 시간은, 약 18초이며, 공급되어온 시료의 대략 모두를 검사 대상으로 한다. 한편, 소변 침사 장치는, 예를 들면 1시료당의 분석 소요 시간은, 약 36∼39초이며, 소변 정성 장치에 의한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측정 처리를 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공급되어 온 시료의 약 50%가 검사 대상이 된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는, 혈액이나 소변 이외의 물질을 시료로 할 수 있다. 시료 용기는, 랙을 사용하지 않고 반송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Claims (22)
- 복수의 시료 용기를 소정의 반송 경로로 반송하는 공정과,
상기 반송 경로로 반송되는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제1 노즐을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고, 또한 이 채취된 시료의 분석 처리를 제1 분석부에서 실행시키는 공정과,
상기 제1 노즐보다도 반송 경로 하류측에서,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제2 노즐을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고, 또한 이 채취된 시료의 분석 처리를 제2 분석부에 의해 실행시키는 공정
을 가지고 있는 분석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분석부와 상기 제2 분석부의 적어도 한쪽이 시료 용기를 받아들이기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분석부와 상기 제2 분석부의 적어도 한쪽이 시료 용기를 받아들이기 가능하지 않다는 판단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의 반송이 정체 또는 정지한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1 및 제2 노즐의 적어도 한쪽의 시료 채취 위치를 변경하고, 또한 이 위치 변경한 노즐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시료를 채취하는 공정을, 더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석부에서의 분석 처리의 정체 또는 정지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2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시료를 채취하고, 이 시료의 분석 처리를 상기 제2 분석부에 의해 실행시키는 한편,
상기 제2 분석부에서의 분석 처리의 정체 또는 정지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1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시료를 채취하고, 이 시료의 분석 처리를 상기 제1 분석부에 의해 실행시키는, 분석 방법. - 복수의 시료 용기를 소정의 반송 경로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반송되는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제1 노즐을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고, 또한 이 채취된 시료에 대해 소정의 분석 처리를 실행 가능한 제1 분석부와,
상기 제1 노즐보다도 반송 경로 하류측에서,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제2 노즐을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고, 또한 이 채취된 시료에 대해 소정의 분석 처리를 실행 가능한 제2 분석부
를 구비하고 있는, 분석 장치로서,
상기 제1 분석부와 상기 제2 분석부의 적어도 한쪽이 시료 용기를 받아들이기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분석부와 상기 제2 분석부의 적어도 한쪽이 시료 용기를 받아들이기 가능하지 않다는 판단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의 반송이 정체 또는 정지한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1 및 제2 노즐의 적어도 한쪽의 시료 채취 위치가 변경되고, 또한 이 위치 변경된 노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시료가 채취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노즐의 쌍방은, 시료 채취 위치가 변경 가능하며,
상기 제1 분석부에서의 분석 처리의 정체 또는 정지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2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시료가 채취되고, 이 시료의 분석 처리가 상기 제2 분석부에 의해 실행되는 한편,
상기 제2 분석부에서의 분석 처리의 정체 또는 정지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1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시료가 채취되고, 이 시료의 분석 처리가 상기 제1 분석부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석 장치.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은, 시료 채취 위치를 상기 시료 용기 반송 방향 및 이것과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 가능하며, 또한 상기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1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를 상기 시료 용기 반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해가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석 장치.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즐은, 시료 채취 위치를 상기 시료 용기 반송 방향 및 이것과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 가능하며, 또한 상기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2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를 상기 시료 용기 반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해가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석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즐은, 상기 제1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보다도 시료 용기 반송 방향 상류 영역까지 시료 채취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제1 노즐에 의해 채취되어 있지 않은 시료도 채취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분석 장치.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석부는, 하나의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집약화되어 있는, 분석 장치.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석부의 적어도 한쪽은, 공급되어 오는 복수의 시료 중, 선택된 일부의 시료만을 분석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분석부는, 분석 대상이 되는 시료의 수가 서로 다른, 분석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복수의 시료 용기를 소정의 반송 경로로 반송하는 반송부와,
이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소정의 부위에 공급하기 위한 제1 노즐과,
상기 제1 노즐보다도 반송 경로 하류측에서,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소정의 부위에 공급하기 위한 제2 노즐
을 구비하고 있는 채취 장치로서,
상기 제1 분석부와 상기 제2 분석부의 적어도 한쪽이 시료 용기를 받아들이기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분석부와 상기 제2 분석부의 적어도 한쪽이 시료 용기를 받아들이기 가능하지 않다는 판단에 의거하여 상기 반송부가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의 반송을 정지 또는 정체한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1 및 제2 노즐의 적어도 한쪽의 시료 채취 위치가 변경되고, 또한 이 위치 변경한 노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시료가 채취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취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반송되는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상기 제1 노즐을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고, 또한 이 채취된 시료에 대해 소정의 분석 처리를 실행 가능한 제1 분석부와,
상기 제1 노즐보다도 반송 경로 하류측에서,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제2 노즐을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고, 또한 이 채취된 시료에 대해 소정의 분석 처리를 실행 가능한 제2 분석부를
더 구비하는, 채취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노즐의 쌍방은, 시료 채취 위치가 변경 가능하며,
상기 제1 분석부에서의 분석 처리의 정체 또는 정지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2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시료가 채취되고, 이 시료의 분석 처리가 상기 제2 분석부에 의해 실행되는 한편,
상기 제2 분석부에서의 분석 처리의 정체 또는 정지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1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복수의 시료 용기로부터 시료가 채취되고, 이 시료의 분석 처리가 상기 제1 분석부에 의해 실행되는, 채취 장치. -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은, 시료 채취 위치를 상기 시료 용기 반송 방향 및 이것과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 가능하며, 또한 상기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1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를 상기 시료 용기 반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해가도록 구성되어 있는, 채취 장치. -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즐은, 시료 채취 위치를 상기 시료 용기 반송 방향 및 이것과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 가능하며, 또한 상기 소정의 대기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2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를 상기 시료 용기 반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해가도록 구성되어 있는, 채취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즐은, 상기 제1 노즐의 시료 채취 위치보다도 시료 용기 반송 방향 상류 영역까지 시료 채취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제1 노즐에 의해 채취되어 있지 않은 시료도 채취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채취 장치. -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석부는, 하나의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집약화되어 있는, 채취 장치. -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석부의 적어도 한쪽은, 공급되어 오는 복수의 시료 중, 선택된 일부의 시료만을 분석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분석부는, 분석 대상이 되는 시료의 수가 서로 다른, 채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029511 | 2009-02-12 | ||
JP2009029511 | 2009-02-12 | ||
PCT/JP2010/051298 WO2010092883A1 (ja) | 2009-02-12 | 2010-01-31 | 分析方法、分析装置、前記分析方法の実施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このプログラムの記憶媒体および採取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7146A KR20110127146A (ko) | 2011-11-24 |
KR101352449B1 true KR101352449B1 (ko) | 2014-01-17 |
Family
ID=42561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18565A KR101352449B1 (ko) | 2009-02-12 | 2010-01-31 | 분석 방법, 분석 장치 및 채취 장치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9739793B2 (ko) |
EP (1) | EP2397861B1 (ko) |
JP (1) | JP5379170B2 (ko) |
KR (1) | KR101352449B1 (ko) |
CN (1) | CN102317792B (ko) |
AU (1) | AU2010214450B2 (ko) |
BR (1) | BRPI1008558B1 (ko) |
RU (1) | RU2488121C2 (ko) |
WO (1) | WO201009288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88885B2 (ja) * | 2010-06-23 | 2016-03-22 | アークレイ株式会社 | 測定装置、測定方法、測定プログラム、および測定システム |
JP5650056B2 (ja) | 2011-05-30 | 2015-01-07 |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 試料処理装置、および試料処理方法 |
CN102879595A (zh) * | 2012-09-29 | 2013-01-16 | 力合科技(湖南)股份有限公司 | 自动进样器以及进样测试系统 |
WO2015102477A1 (ru) * | 2013-12-30 | 2015-07-09 | Алдан Асанович САПАРГАЛИЕВ | Способ поиска-анализа объекта/мишени |
JP6506591B2 (ja) | 2015-03-31 | 2019-04-24 |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 尿検体分析装置、尿検体分注方法及び尿検体分析方法 |
CN107966583A (zh) * | 2017-12-26 | 2018-04-27 | 北京博晖创新光电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基于试剂盒的自动进样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04818A (ja) * | 1998-04-20 | 1999-11-05 | Hitachi Ltd | 臨床検査装置用移送装置 |
JP2003149255A (ja) | 2001-11-15 | 2003-05-21 | Toyobo Co Ltd | 直交座標および円筒座標に移動可能な分注装置 |
JP3616744B2 (ja) | 2000-06-07 | 2005-02-02 |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 検体搬送システム |
JP2006349460A (ja) | 2005-06-15 | 2006-12-28 | Jeol Ltd | 自動分析装置の容器搬送機構 |
Family Cites Families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HU168257B (ko) | 1973-05-18 | 1976-03-28 | ||
JPS587562A (ja) | 1981-07-08 | 1983-01-17 | Olympus Optical Co Ltd | 試料分注装置 |
JPS5951357A (ja) | 1982-09-18 | 1984-03-24 | Nippon Tectron Co Ltd | 生化学自動分析装置 |
WO1994012885A1 (en) | 1992-11-20 | 1994-06-09 | Dainabot Co., Ltd. | Multi-channel automatic immunoassay system |
JP3403229B2 (ja) | 1992-11-20 | 2003-05-06 | プレシジョン・システム・サイエンス株式会社 | 多項目自動免疫測定システム |
JPH0792171A (ja) * | 1993-09-22 | 1995-04-07 | Nittec Co Ltd | 容器搬送システム |
US5772962A (en) | 1995-05-29 | 1998-06-30 | Hitachi, Ltd. | Analyzing apparatus using disposable reaction vessels |
JP3031242B2 (ja) | 1996-05-20 | 2000-04-10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多項目分析装置 |
JP3032159B2 (ja) | 1996-09-24 | 2000-04-10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分析システム |
JPH10227800A (ja) * | 1997-02-13 | 1998-08-25 | Hitachi Ltd | 検体分注装置 |
JP3723827B2 (ja) | 1997-04-21 | 2005-12-07 | アークレイ株式会社 | 検体の測定方法 |
WO1999047267A1 (en) * | 1998-03-19 | 1999-09-23 | Precision System Science Co., Ltd. | Apparatus for integrating processing of magnetic particle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JP3410018B2 (ja) | 1998-04-20 | 2003-05-26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検体分注装置及び検体処理システム |
EP1876451A3 (en) | 1998-07-27 | 2012-02-29 | Hitachi, Ltd. | Handling method of body fluid sample and analysis apparatus using the same |
JP3609945B2 (ja) | 1998-08-28 | 2005-01-12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自動分析方法及び装置 |
DE19835071A1 (de) | 1998-08-04 | 2000-02-10 | Zeiss Carl Jena Gmbh | Transportsystem zum Handling von Mikrotiterplatten |
JP3031374B2 (ja) | 1999-03-10 | 2000-04-10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多項目分析装置 |
JP4635138B2 (ja) | 1999-09-10 | 2011-02-16 | アークレイ株式会社 | 特定成分の分析方法 |
US6588625B2 (en) | 2001-04-24 | 2003-07-08 | Abbott Laboratories | Sample handling system |
US7458483B2 (en) | 2001-04-24 | 2008-12-02 | Abbott Laboratories, Inc. | Assay testing diagnostic analyzer |
JP2003149225A (ja) * | 2001-11-16 | 2003-05-21 | Riken Keiki Co Ltd | 二酸化硫黄検知材、及びその製造方法 |
US6723288B2 (en) * | 2002-04-29 | 2004-04-20 | Dade Behring Inc. | Method of providing assay processing in a multi-analyzer system |
KR101148509B1 (ko) | 2003-12-19 | 2012-05-22 | 길슨, 인크. |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자동 샘플 충전 기구 및 방법 |
JP4355590B2 (ja) * | 2004-02-23 | 2009-11-04 |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 分析システム |
JP4316596B2 (ja) | 2006-09-13 | 2009-08-19 | シャープ株式会社 | サンプルの分析方法並びに分析装置 |
JP4558017B2 (ja) | 2007-07-31 | 2010-10-06 |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 自動分析装置および自動分析装置の使用方法 |
JP5198094B2 (ja) * | 2008-03-07 | 2013-05-15 |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 分析装置 |
-
2010
- 2010-01-31 BR BRPI1008558-0A patent/BRPI1008558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0-01-31 RU RU2011137394/28A patent/RU2488121C2/ru active
- 2010-01-31 WO PCT/JP2010/051298 patent/WO201009288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1-31 EP EP10741161.3A patent/EP2397861B1/en active Active
- 2010-01-31 CN CN201080007296XA patent/CN102317792B/zh active Active
- 2010-01-31 KR KR1020117018565A patent/KR10135244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1-31 JP JP2010550488A patent/JP5379170B2/ja active Active
- 2010-01-31 AU AU2010214450A patent/AU2010214450B2/en active Active
- 2010-01-31 US US13/201,046 patent/US9739793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04818A (ja) * | 1998-04-20 | 1999-11-05 | Hitachi Ltd | 臨床検査装置用移送装置 |
JP3616744B2 (ja) | 2000-06-07 | 2005-02-02 |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 検体搬送システム |
JP2003149255A (ja) | 2001-11-15 | 2003-05-21 | Toyobo Co Ltd | 直交座標および円筒座標に移動可能な分注装置 |
JP2006349460A (ja) | 2005-06-15 | 2006-12-28 | Jeol Ltd | 自動分析装置の容器搬送機構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379170B2 (ja) | 2013-12-25 |
RU2011137394A (ru) | 2013-03-20 |
CN102317792A (zh) | 2012-01-11 |
JPWO2010092883A1 (ja) | 2012-08-16 |
RU2488121C2 (ru) | 2013-07-20 |
US20110300565A1 (en) | 2011-12-08 |
EP2397861B1 (en) | 2019-03-06 |
EP2397861A4 (en) | 2017-12-13 |
WO2010092883A1 (ja) | 2010-08-19 |
US9739793B2 (en) | 2017-08-22 |
EP2397861A1 (en) | 2011-12-21 |
AU2010214450A1 (en) | 2011-09-01 |
BRPI1008558B1 (pt) | 2019-10-08 |
CN102317792B (zh) | 2013-12-18 |
BRPI1008558A2 (pt) | 2016-03-15 |
KR20110127146A (ko) | 2011-11-24 |
AU2010214450B2 (en) | 2012-10-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2449B1 (ko) | 분석 방법, 분석 장치 및 채취 장치 | |
US8534456B2 (en) | Conveyor device for analyzer, analyzer, analyzing system, and connector for conveyor device | |
CN113811773B (zh) | 自动分析装置及其清洗方法 | |
JP6230915B2 (ja) | 検体移戴装置及びシステム | |
US20160291048A1 (en) | Automatic analysis device | |
JP6877520B2 (ja) | 体外診断分析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JP6573547B2 (ja) | 検体ラック搬送装置、自動分析システム及び検体ラック搬送装置の検体ラック回収方法 | |
CN112578139B (zh) | 一种样本测试方法、样本分析仪及存储介质 | |
JP6549983B2 (ja) | 検体ラック搬送装置及び自動分析システム | |
JP3140422B2 (ja) | 自動分析装置 | |
JP2010204129A (ja) | 自動分析装置及びラック搬送方法 | |
JP2016031334A5 (ko) | ||
EP2579044A1 (en) | Analysis device, analysis system and analysis method | |
JP3771840B2 (ja) | マイクロプレート搬送装置 | |
JP2000055926A (ja) | 自動分析装置 | |
JP3740416B2 (ja) | 酵素免疫反応測定システム | |
JP3740417B2 (ja) | 分注装置 | |
JP5222674B2 (ja) | 洗浄装置、自動分析装置およびノズル洗浄方法 | |
JP3688636B2 (ja) | ハンドリング装置 | |
CN114829945A (zh) | 自动分析装置以及自动分析装置用的控制程序 | |
CN112534269A (zh) | 自动分析装置以及自动分析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