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285B1 - 슬라이드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285B1
KR101341285B1 KR1020137009125A KR20137009125A KR101341285B1 KR 101341285 B1 KR101341285 B1 KR 101341285B1 KR 1020137009125 A KR1020137009125 A KR 1020137009125A KR 20137009125 A KR20137009125 A KR 20137009125A KR 101341285 B1 KR101341285 B1 KR 101341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base member
joint
brace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1008A (ko
Inventor
나오키 테라다
타카시 쿠니시타
히데키 타치카와
테쓰야 마쓰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우찌다요우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28118A external-priority patent/JP426318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28123A external-priority patent/JP445706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28113A external-priority patent/JP43321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28147A external-priority patent/JP435166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우찌다요우고우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우찌다요우고우
Publication of KR20130051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3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 E04B2/7435Glaz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61L-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66T-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 E04B2/7809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single or multiple tubular form
    • E04B2/781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single or multiple tubular form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2Exhibition st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4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7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with hook-like parts gripping, e.g. by expanding, behind the flanges of a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5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a nod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00Frames or casing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Frames serving as machinery b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96Shear bracing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2001/588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using an undercut groove, e.g. dovetail groov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9Partitions with screw-type j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2003/026Br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 E04C2003/0421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comprising one single unitary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2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distribution in cross section
    • E04C2003/043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distribution in cross section the cross-section comprising open parts and hollow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78X-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36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involving holes or indentations in the pane

Abstract

기둥 형상체와 횡들보체로 구성되는 공간 구조체로서, 기둥 형상체는 축심 방향에 있어서 당해 축심 방향을 따라 뻗어 있고 또한 당해 기둥 형상체의 단면에 있어서 개구부를 가지는 반폐공간인 기둥 형상체 홈부를 가지고, 횡들보체는 축심 방향에 있어서 당해 축심 방향을 따라 뻗어 있고 또한 당해 횡들보체의 단면에 있어서 개구부를 가지는 반폐공간인 횡들보체 홈부를 하나 또는 복수 가지고, 기둥 형상체와 횡들보체의 연결은, 당해 기둥 형상체가 가지는 기둥 형상체 홈부 또는 당해 횡들보체가 가지는 횡들보체 홈부의 어느 하나의 내부를 그 축심 방향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 가능 또한 당해 위치에 고정 가능한 연결 수단이, 당해 기둥 형상체 홈부 또는 당해 횡들보체 홈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당해 기둥 형상체 또는 당해 횡들보체와 연결됨으로써 행해진다. 이에 의하여, 새로운 정보 기기의 등장이나 그 정보 기기의 갱신 등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용이하게 새로운 공간 구조체가 설계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연결 장치{SLIDE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사무실이나 전시장 등에 있어서, 정보 기기나 패널(panel) 등을 전시하기 위한 공간을 구축하기 위한 공간 구조체, 및 당해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부재와 부재의 연결을 하기 위한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 등에 있어서 많은 사람이 그 공간을 이용할 때의 편리를 위한, 여러가지 공간의 구축 방법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폴(pole)과 프레임(frame) 부재의 조합에 의하여, 견고하고 또한 사무실 등의 방에 손상을 주지 않는 공간 구조체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3-138771호 공보를 참조). 이 기술에 있어서는, 3개의 폴과 2개의 프레임 부재로 구성되고, 프레임 부재가 만드는 내각을 120°로 한 최소 공유 공간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또, 사무실 등의 공간에 있어서 정보 기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그를 위한 전원이나 신호선 등의 배선 처리가 중요하게 된다. 그래서, 사무실 등의 공간에 있어서, 배선 덕트(duct)나 배선 취출구(取出口)를 일절 불필요하게 하기 위한 전원, 신호 라인의 취출 장치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10-271649호 공보 및 2004-140998호 공보를 참조). 이 기술에 있어서는, 기둥이나 들보에 의하여 구성되는 구조체로서, 당해 기둥이나 들보의 내부에 전원 케이블이나 신호 케이블을 수납 장착하고, 또한 그 들보의 도중에 정보 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connector)를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4-293082호 공보에도 공간 구조체에 관련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사무실이나 전시장 등에 있어서, 정보 기기를 이용한 회의 스페이스(space)나 전시 스페이스 등의 공유 공간을 구축하는 경우, 그에 이용하는 정보 기기 등의 치수나 중량 등의 각 머리말(緖言)을 기본으로 공간 구조체의 설계를 하는 것이 보통이다. 예를 들면, 정보 기기로서의 디스플레이(display)를 취하여도, 그 치수나 중량, 사용하는 개수 등은, 당해 공간의 이용 목적에 따라 여러가지이기 때문에, 각각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도록 공간 구조체가 설계된다.
그러나, 요즈음의 정보 기기의 발전은 급속하기 때문에, 차례로 새로운 정보 기기가 등장하거나, 또 종래부터의 정보 기기라도 새로운 기능이 부가되거나 소형화가 도모되거나 하여 갱신된다. 그 결과, 그러한 정보 기기를 이용한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는, 새로운 정보 기기의 등장 등에 의한 치수, 형상의 변화에 따라서, 공간 구조체도 재차 다시 설계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종래부터의 공간 구조체는, 상술한 대로, 특정의 정보 기기에 대응하여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그 재설계는 매우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고, 정보 기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새로운 정보 기기의 등장이나 그 정보 기기의 갱신 등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용이하게 새로운 공간 구조체를 설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공간 구조체를 구성하는 기둥 형상체와 횡들보체에 있어서, 그 내부에 축심 방향으로 뻗어 있는 홈을 설치하고, 그 홈 내에서 임의의 위치로 이동 가능 또한 당해 위치에서 고정 가능한 연결 수단을 설치하였다. 공간 구조체를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당해 공간 구조체의 구성을 적당하게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그로써 이 정보 기기의 갱신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마루로부터 상방으로 뻗어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기둥 형상체와 당해 마루에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횡들보체가 서로 연결되어, 및/또는 당해 횡들보체끼리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공간 구조체로서, 상기 기둥 형상체는 축심 방향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당해 축심 방향을 따라 뻗어 있고 또한 당해 기둥 형상체의 단면에 있어서 개구부를 가지는 반폐공간인 기둥 형상체 홈부를 하나 또는 복수 가지고, 상기 횡들보체는 축심 방향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당해 축심 방향을 따라 뻗어 있고 또한 당해 횡들보체의 단면에 있어서 개구부를 가지는 반폐공간인 횡들보체 홈부를 하나 또는 복수 가지고, 상기 기둥 형상체와 상기 횡들보체의 연결은, 당해 기둥 형상체가 가지는 기둥 형상체 홈부 또는 당해 횡들보체가 가지는 횡들보체 홈부의 어느 하나의 내부를 그 축심 방향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 가능 또한 당해 위치에 고정 가능한 연결 수단이, 그 연결 수단이 존재하는 당해 기둥 형상체 홈부 또는 당해 횡들보체 홈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그 연결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측의 당해 기둥 형상체 또는 당해 횡들보체와 연결됨으로써 행해지고, 상기 횡들보체끼리의 연결은, 어느 하나의 횡들보체가 가지는 횡들보체 홈부의 내부를 그 축심 방향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 가능 또한 당해 위치에 고정 가능한 연결 수단이, 그 연결 수단이 존재하는 당해 횡들보체 홈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그 연결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측의 당해 횡들보체와 연결됨으로써 행해진다.
상기 공간 구조체는 기둥 형상체와 횡들보체의 조합에 의하여 구성된다. 그 구성은 공간 구조체의 목적이나 구조체에 요구되는 강도 등에 따라서 적당하게 조정된다. 또, 공간 구조체의 전체의 형상은 사각형체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형상, 방사상 형상 등, 직선 형상 등의 여러가지 형상으로 적응 가능하다.
여기서, 이 공간 구조체를 구성하는 기둥 형상체는 기둥 형상체 홈부를 가지고 있다. 이 기둥 형상체 홈부는 기둥 형상체에 복수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그 경우, 기둥 형상체의 횡단면을 균등하게 복수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마다 기둥 형상체의 긴 방향을 따라 기둥 형상체 홈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각 기둥 형상체 홈부를 이용하여 횡들보체를 규칙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공간 구조체의 유니트(unit)화, 디자인성의 향상 등에 기여할 수 있다. 또, 공간 구조체를 구성하는 횡들보체도 횡들보체 홈부를 가지고 있다. 이 횡들보체 홈부에 대해서도, 기둥 형상체 홈부와 마찬가지로 횡들보체에 복수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기둥 형상체 홈부 및 횡들보체 홈부는 그들의 단면에 있어서 개구부를 가지고 있고, 그 개구부는 양 홈부의 뻗어 있는 방향을 따라 동일하게 뻗어 있다. 또한, 이 개구부는 기둥 형상체 및 횡들보체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존재할 필요는 없고, 그들의 긴 방향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상술한 기둥 형상체와 횡들보체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공간 구조체에서의 특징점은 그들 부재간에서의 연결 방법에 있다. 본 공간 구조체에서는 그 부재간의 연결은 연결 수단에 의하여 행해진다. 또한, 본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의 부재간의 연결은 기둥 형상체와 횡들보체, 또는 횡들보체끼리의 2종류가 있다. 또한, 이는 기둥 형상체 및 횡들보체 이외의 부재가 본 공간 구조체를 구성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 본 공간 구조체에 정보 기기나 그 외의 부재가 조립해 넣어져 특정의 목적을 가진 공간 등이 구축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수단은 기둥 형상체 홈부 또는 횡들보체 홈부의 내부를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동함과 아울러 그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다. 따라서, 공간 구조체를 구성하는 기둥 형상체와 횡들보체는 연결 수단의 이동에 수반하여 각각의 위치가 가변으로 되고, 그로써 정보 기기의 갱신에 의한 치수, 형상의 변화에 임기응변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기둥 형상체 홈부, 횡들보체 홈부에 새로운 연결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기둥 형상체에 새로운 횡들보체를, 횡들보체에 새로운 횡들보체를 증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본 공간 구조체의 증설이나 그 보강 등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또, 개구부는 기둥 형상체 홈부 또는 횡들보체 홈부에 연결 수단이 고정 상태에 있을 때, 연결되는 기둥 형상체나 횡들보체가 당해 연결 수단에 연결을 목적으로 하여 액세스(access)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 목적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을 최저한의 범위로 하여 개구부의 형상이나 치수는 결정된다. 또, 연결 수단은 이 개구부를 통하여 기둥 형상체 홈부나 횡들보체 홈부 내에 설치되도록 하여도 좋고, 또 개별적으로 설치된 삽입구로부터 이들 내부에 배치하여도 좋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공간 구조체를 다른 측면으로부터 파악하면, 마루로부터 상방으로 뻗어 있고, 축심 방향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당해 축심 방향을 따라 뻗어 있고 또한 당해 기둥 형상체의 단면에 있어서 개구부를 가지는 반폐공간인 기둥 형상체 홈부를 하나 또는 복수 가지는 기둥 형상체와, 상기 마루에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고 축심 방향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당해 축심 방향을 따라 뻗어 있고, 또한 당해 횡들보체의 단면에 있어서 개구부를 가지는 반폐공간인 횡들보체 홈부를 하나 또는 복수 가지는 횡들보체와, 상기 기둥 형상체가 가지는 기둥 형상체 홈부 또는 상기 횡들보체가 가지는 횡들보체 홈부의 어느 하나의 내부를 그 축심 방향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 가능 또한 당해 위치에 고정 가능한 연결 수단을 구비하는 공간 구조체로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기둥 형상체 홈부에 존재할 때, 당해 기둥 형상체 홈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횡들보체와 연결되고, 및/또는 상기 횡들보체 홈부에 존재할 때에는, 당해 횡들보체 홈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기둥 형상체 또는 당해 횡들보체와는 다른 횡들보체와 연결되는 것이다.
이 공간 구조체는, 앞에 기술한 공간 구조체와 마찬가지로, 그 사용의 목적 등에 따라 기둥 형상체와 횡들보체를 적당하게 조합 연결시킴으로써, 특정의 공간 구조체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그 공간 구조체를 구성하는 연결 수단에 의하여, 이러한 기둥 형상체나 횡들보체의 연결을 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 수단은 기둥 형상체와 횡들보체, 횡들보체와 횡들보체의 조합의 수에 따라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공간 구조체를 구성한다.
이 연결 수단의 존재에 의하여, 상기의 공간 구조체에서도, 공간 구조체를 구성하는 기둥 형상체와 횡들보체는, 연결 수단의 기둥 형상체 홈부 및 횡들보체 홈부 내에서의 이동에 수반하여 각각의 위치가 가변으로 되고, 그로써 정보 기기의 갱신에 의한 치수, 형상의 변화에 임기응변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기둥 형상체 홈부, 횡들보체 홈부에 새로운 연결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기둥 형상체에 새로운 횡들보체를, 횡들보체에 새로운 횡들보체를 증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본 공간 구조체의 증설이나 그 보강 등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상기의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기둥 형상체 및 상기 횡들보체 이외의 부재로서 상기 공간 구조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옵션(option)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경우,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기둥 형상체 홈부에 존재할 때, 당해 기둥 형상체 홈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옵션 부재와 연결되고, 및/또는 상기 횡들보체 홈부에 존재할 때에는, 당해 횡들보체 홈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당해 옵션 부재와 연결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옵션 부재란, 예를 들면, 공간 구조체에 조립해 넣어지는 정보 기기나 장식 부재 등을 고정, 보유하기 위한 부재 등으로서, 최종적으로 공간 구조체의 일부로서 존재할 수 있는 부재이다. 이 옵션 부재를 공간 구조체에 조립해 넣는데 있어서도, 상기의 연결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당해 옵션 부재와 기둥 형상체 또는 횡들보체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연결 수단은 공간 구조체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구성하는 모든 부재의 연결에 유용하다.
특히, 상기 옵션 부재는 연직 하방향으로 매달리는 부재로서, 상기 횡들보체는, 상기 개구부가 연직 하방향으로 개구한 횡들보체 홈부를 가지는 경우,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횡들보체 홈부에 존재하고, 당해 횡들보체 홈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당해 옵션 부재와 연결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옵션 부재로서 예를 들면, PC 화면을 스크린에 투사하는 프로젝터(projector)나, 조명 기구, 액정 화면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옵션 부재가 연직 하방으로 매달린다는 특성상, 이들을 지지하는 횡들보체에는 충분한 강도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 옵션 부재의 중량이 커지는 등의 경우에는, 옵션 부재와 연결되는 횡들보체를 보다 강도가 강한 것으로 변경한 다음, 연결 수단으로 옵션 부재를 연결하는 등, 적절한 설계 변경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공간 구조체에서는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기둥 형상체 홈부 또는 상기 횡들보체 홈부의 내부를 이동 가능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기 기둥 형상체 홈부 또는 상기 횡들보체 홈부의 개구부 근방으로 힘을 가하는 부세(付勢) 부재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부세 부재는 서로 분리 가능하더라도 좋다.
베이스 부재가 기둥 형상체 홈부 내 또는 횡들보체 홈부 내를 이동함으로써, 연결 수단이 당해 홈부 내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부세 부재에 의하여 베이스 부재에 각각의 홈부의 개구부 근방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연결 수단의 당해 임의의 위치에서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 부재와 부세 부재를 분리 가능한 다른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양자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베이스 부재의 각각의 홈부에서의 이동이 원활히 행해지고, 부세 부재가 베이스 부재와 접촉한 상태에서는 부세 부재에 의하여 베이스 부재에 힘이 미쳐지고, 연결 수단을 확실히 고정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기둥 형상체 홈부 또는 상기 횡들보체 홈부의 개구부의 일단을 형성하는 일단면과 접촉하는 제1접촉부와, 상기 개구부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을 형성하는 타단면과 접촉하는 제2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를 상기 일단면에 누름과 동시에 상기 제2접촉부를 상기 타단면에 누르는 누름 수단을 가지는 구조라도 좋다.
상술한 것처럼 개구부는, 기둥 형상체 또는 횡들보체의 축심 방향으로 뻗어 있는 개구부이므로, 다시 말하면 그 개구하고 있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상기 일단면과 상기 타단면에 의하여 구성된다. 그래서, 연결 수단이 기둥 형상체 홈부 내 또는 횡들보체 홈부 내를 이동 가능한 상태일 때에는, 누름 수단에 의한 누름 작용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고, 고정 상태로 할 때에는 누름 수단에 의한 누름 작용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다.
또, 상술까지의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횡들보체가, 상기 개구부가 연직 하방향과 연직 상방향의 2방향으로 개구한 적어도 2개의 횡들보체 홈부를 가지고, 상기 2개의 횡들보체 홈부의 각각은, 상기 횡들보체의 축심 방향을 따라 또한 당해 횡들보체 홈부로부터 돌출하고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대향벽을 가지는 경우, 연직 상방향으로 개구한 횡들보체 홈부의 대향벽의 높이는 연직 하방향으로 개구한 횡들보체 홈부의 대향벽의 높이보다 높게 되도록 하여도 좋다.
연직 상방향으로 개구한 홈부의 대향벽으로 사이에 두어진 공간에는, 본 공간 구조체에 조립해 넣어지는 정보 기기 등의 배선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으로, 연직 하방향으로 개구한 홈부의 대향벽으로 사이에 두어진 공간에는, 예를 들면, 횡들보체를 따르는 형상을 가지는 조명 기기를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연직 상방향으로 개구한 홈부의 대향벽의 높이를 연직 하방향으로 개구한 홈부의 대향벽의 높이보다 높게 함으로써,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보다 많은 배선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공간 구조체에서 연결부로서도 기능하는 슬라이드 연결 장치에 대해서 개시한다. 이 슬라이드 연결 장치는, 단면에 있어서 내벽으로 둘러싸이고 일부에 개구부를 가지는 홈 내를, 당해 홈을 따라 임의의 위치로 이동 가능, 또한 당해 위치에 고정 가능한 슬라이드 연결 장치로서, 외부 부재와의 연결을 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와는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홈 내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기 개구부 근방의 내벽으로 힘을 가하는 부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가 상기 부세 부재에 의해 밀어붙여질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부재와 연결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것이다.
베이스 부재가 홈 내를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드 연결 장치 자체가 홈을 따르는 임의의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부세 부재에 의하여 베이스 부재에 홈의 개구부 근방의 내벽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슬라이드 연결 장치 자체가 당해 임의의 위치에서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 부재와 부세 부재를 분리 가능한 다른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양자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홈 내에서의 슬라이드 연결 장치의 이동이 원활히 행해지고, 부세 부재가 베이스 부재와 접촉한 상태에서는 부세 부재에 의하여 베이스 부재에 힘이 미쳐지고, 슬라이드 연결 장치를 확실히 고정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연결 장치가 이 고정 상태에 있을 때에는, 베이스 부재의 연결부가 외부 부재와 연결 가능하게 되도록 연결부가 개구부에 위치한다. 여기서 말하는 외부 부재로서, 상기의 기둥 형상체나 횡들보체, 옵션 부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의 슬라이드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세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힘을 발생시키는 부세부와, 상기 부세부로부터 상기 개구부측으로 돌출한 제1돌기부와, 상기 부세부로부터 상기 개구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홈의 안측으로 돌출한 제2돌기부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 부재가 상기 부세부의 상기 제1돌기부측에 위치할 때, 당해 부세부에 의하여 당해 베이스 부재에 힘이 미쳐지고, 상기 베이스 부재가 상기 제1돌기부측의 부세 위치로부터 벗어날 때, 당해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2돌기부에 의하여 상기 홈 내에서의 이동이 제한되면서 당해 홈 내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부세 부재의 부세부는 제1돌기부가 돌출하고 있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킨다. 그리고, 부세 부재와 베이스 부재를 분리시키는 것, 즉 베이스 부재가 제1돌기부측의 부세 위치로부터 벗어남으로써, 부세 부재에 의한 힘이 베이스 부재에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때, 개구부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제1돌기부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부세 부재를 개재하여 베이스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한편으로, 이때 베이스 부재는 힘을 받고 있지 않기 때문에, 홈 내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베이스 부재로부터 크게 이격해 버리고, 슬라이드 연결 장치로서 기능시키는 것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제2돌기부를 설치함으로써, 베이스 부재의 홈 내에서의 이동을 제한하고, 베이스 부재가 슬라이드 부재로부터 멀리 이격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홈이 연직 방향으로 형성될 때에는, 베이스 부재에 중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항상 연직 하방향으로 낙하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 제2돌기부는 유용하다.
또, 상기의 슬라이드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세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가 상기 부세부의 상기 제1돌기부측에 위치할 때, 당해 제1돌기부측에 위치하지 않을 때와 비교하여 상기 홈 내에서 휘어짐으로써, 상기 베이스 부재에 힘을 미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부세부에 의한 힘은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제1돌기부는 상기 홈의 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부세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돌기부와 반대측에 설치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부세 위치로부터 벗어난 베이스 부재의 홈 내에서의 이동을 보다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공간 구조체를 보강하는 기술로서, 종래부터 버팀대(brace)가 이용되고 있다. 버팀대는 양단부를 사각형 테두리 구조의 대각선상의 각부(角部)에 접합함으로써 사각형 테두리 구조의 강도를 보충할 수가 있다. 이 버팀대는 인접하는 기둥에 X자 모양으로 한 상태로 2개의 버팀대를 1조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즉, 양단부를 사각형 테두리 구조의 대각선상의 각부에 접합하여 사용하는 것이지만, X자 모양으로 하여 사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각형 테두리 구조의 각부에 접합할 때에 앞측에 배치되는 버팀대와, 안측에 배치되는 버팀대는 고정 위치를 비켜 놓을 필요가 있다. 즉, 기둥에 고정되는 2개의 버팀대의 위치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비켜 놓아 고정되지 않으면 버팀대끼리가 접촉하여 마모 열화하거나 버팀대가 변형하거나 하여 버팀대 본래의 기능인 사각형 테두리 구조의 보강 성능을 발휘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또, 버팀대가 이용되는 장소는 상술한 목조 건축물의 기둥 사이나 발판 이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근년 정보 기기의 갱신이 비교적 빨리 이루어지는 상황하에서는, 사무실 등의 공간을 기둥이나 들보 등의 부재를 이용하여 정보 기기의 갱신에 맞추어 재형성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러한 사무실 공간을 재형성하는 각 부재는 충분한 강도를 가짐과 아울러 취급의 용이함이나 우수한 디자인성도 요구된다. 상기 사무실 공간을 형성하는 각 부재의 조립은, 예를 들면 발판의 조립이 전문 업자에 의하여 행해지는 것과 달리 일반 유저(user)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버팀대를 기둥에 고정할 때에는 한 쌍으로 사용되는 2개의 버팀대끼리가 접촉하지 않도록 각각을 비켜 놓아 고정할 필요가 있고, 이 문제점이 해소된 버팀대 구조 또는 버팀대 구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접속 부재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버팀대끼리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둥에의 고정 위치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비켜 놓을 필요가 있는 것에 의한 버팀대의 고정 위치의 결정의 번거로움을 해소함과 아울러, 버팀대 본래의 기능인 사각형 테두리 구조의 보강을 충분히 발휘할 수가 있는 버팀대 구조 및 버팀대가 가지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접속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즉, 기둥 사이에 배치되는 버팀대 구조로서, X자 모양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버팀대와, 상기 버팀대의 양단에 접속되는 버팀대 접속 부재와, 상기 접속 부재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기둥에 고정되는 버팀대 받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버팀대는 양단에 나선홈이 형성된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버팀대 받이 부재는 상기 기둥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된 후크(hook)를 가지고, 상기 버팀대 접속 부재는 상기 버팀대 받이 부재의 후크에 거는 걸림부와, 상기 버팀대의 결합부와 접속되고, 당해 결합부와의 접속 길이에 의하여 상기 버팀대의 축 길이를 조정 가능한 길이 조정부를 가지고, 상기 후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소정의 간격 또한 동일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버팀대 구조에 의하면, 기둥에 고정된 버팀대 받이 부재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후크에 버팀대 접속 부재를 개재하여 버팀대를 접속함으로써, 버팀대의 기둥에의 위치 결정이 적확하게 행해진다. 따라서, 버팀대끼리가 접촉하여 마모 열화하거나, 버팀대가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여, 버팀대 본래의 기능인 사각형 테두리 구조의 보강 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 또한, 기둥이란 사각형 테두리 구조를 구성하는 기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버팀대를 기둥에 장착하는 버팀대 받이 부재로서, 상기 기둥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된 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소정의 간격 또한 동일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대 받이 부재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버팀대 받이 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버팀대와 접속하기 위한 후크가 소정의 간격 또한 동일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각형 테두리 구조의 4각에 각각 상기 버팀대 받이 부재를 배치한 경우에 대해서 보면, 대각으로 위치하는 버팀대 받이 부재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앞측의 후크를 사용하고, 타방의 대각에 위치하는 버팀대 받이 부재에 대해서는 안측의 후크를 사용함으로써 사각형 테두리 구조를 구성하는 기둥에 버팀대를 용이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버팀대 받이 부재에 의하면 용이하게 버팀대를 기둥에 장착 가능함과 아울러 한 쌍의 버팀대의 위치 결정이 적확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조립하는 사람의 기량에 좌우되지 않고 충분한 강도가 발휘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버팀대 받이 부재는 좌우 대략 대조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좌우의 기둥에서 부재가 구별되지 않고, 또 상하에 대해서도 고정하는 방향을 반대로 하는 것만으로 사용할 수가 있고, 취급도 용이하게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의 형상 및 재질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재질은버팀대의 보강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것이면 좋다. 또, 후크에 대해서도 재질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마찬가지로,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것이면 좋고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후크의 형상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구성할 수가 있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기부(基部)와, 상기 기부로부터 선단부에 걸쳐 구부러지는 굴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부와 상기 선단부의 사이에는 굴곡부를 향하여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후크로 할 수가 있다. 상기 선단부에 예를 들면 고리 형상 부재의 공동(空洞) 부분을 삽입함으로써 부재를 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크의 선단부를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하여 10°에서 20° 기울임으로써 후크에 거는 부재가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후크는 일체 성형하여도 좋고, 별도 성형하고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 베이스 플레이트에 소정 수의 구멍을 형성하고,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상기 구멍에 관통시켜 기둥에 고정할 수가 있다. 소정 수의 구멍은 버팀대를 충분히 고정할 수가 있도록 필요에 따라서 설계할 수가 있다.
후크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소정의 간격 또한 동일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는 것은, 후크가 후크의 선단부가 동일 방향을 가리킴과 아울러 후크 간에 간격이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소정의 간격이란, 후크에 접속하는 버팀대가 접촉하지 않는 거리를 의미하고, 버팀대의 직경에 의하여 결정할 수가 있다. 즉, 버팀대의 직경보다 소정의 간격을 크게 함으로써 버팀대끼리의 접촉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버팀대 받이 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긴 방향 단부의 하면에 편(片)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버팀대 받이 부재를 배치하는 기둥의 긴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편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형성해 둠으로써, 기둥에 배치하는 위치 즉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기둥의 표면에 수평으로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편도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후크의 선단 방향과 대략 직각의 방향으로 편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둥의 수직 방향을 따라 홈을 형성하는 것도 기둥에 배치하는 위치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버팀대 받이 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긴 방향 상부에 U자 형상의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베이스 플레이트의 긴 방향 상부에 U자 형상의 개방부를 형성함으로써, 버팀대 받이 부재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후크의 선단 방향과 상기 U자 형상의 개방부가 형성되는 위치를 일치시킴으로써, 버팀대 받이 부재의 기둥에 고정할 때의 방향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디자인성에도 우수한 버팀대 받이 부재로 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버팀대 받이 부재와 버팀대를 접속하기 위한 버팀대 접속 부재로서, 상기 버팀대는 양단에 나선홈이 형성된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버팀대 접속 부재는, 상기 버팀대 받이 부재의 후크에 거는 걸림부와, 상기 버팀대의 결합부와 접속되고, 당해 결합부와의 접속 길이에 의하여 상기 버팀대의 축 길이를 조정 가능한 길이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대 접속 부재이다.
버팀대의 양단에 상기 버팀대 접속 부재를 접속하고, 당해 접속 부재를 상기 버팀대 받이 부재의 후크에 걸고, 또한 조정부에 의하여 버팀대의 축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버팀대를 배치하는 사각형 테두리 구조의 보강을 할 수가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버팀대 접속 부재의 후크에 걸 수가 있는 형상이면 무엇이든지 좋고, 가장 간이한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고리 형상에 의하여 구성할 수가 있다. 또, 예를 들면 한 쌍의 판 형상 부재의 사이에 봉 형상 부재를 상기 판 형상 부재와 직각으로 결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기 봉 형상 부재에 상기 후크를 걸어 상기 버팀대와 상기 버팀대 받이 부재를 접속할 수가 있다. 또한, 버팀대 접속 부재의 재질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버팀대의 보강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것이면 좋다.
상기 조정부는 상기 버팀대의 길이를 조정한다. 미리 대각선 상의 후크 간의 거리보다도 상기 버팀대 접속 부재를 포함한 버팀대의 길이를 길쭉하게 설정해 두고, 상기 버팀대의 양단에 접속된 상기 버팀대 접속 부재의 걸림부를 후크에 건 상태로, 상기 조정부를 조작하여 버팀대의 길이를 짧게 하여 사각형 테두리 구조를 보강하기 위하여 필요한 적당한 길이로 조정한다. 또한, 상기 조정부의 조작은 상기 버팀대와 상기 버팀대 접속 부재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절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버팀대 접속 부재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나선홈은 상기 버팀대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버팀대 접속 부재의 길이 조정부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구멍으로서, 상기 결합부의 나선홈에 대응한 나선홈이 상기 구멍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버팀대와 상기 버팀대 접속 부재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버팀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버팀대의 양단의 외측면에 나선홈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버팀대 접속 부재의 조정부를 이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역의 구성이라도 좋다. 즉, 버팀대의 양단에 축 방향을 따라 구멍을 형성하고, 당해 구멍의 내측면에 나선홈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버팀대 접속 부재의 조정부를 봉 형상으로 하고, 당해 봉 형상의 외측면에 나선홈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나선홈은 상기 버팀대의 양단에서 나선홈이 형성되는 방향을 반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버팀대끼리의 접촉을 방지하여 기둥에의 고정을 적확하게 할 수가 있고, 버팀대 본래의 기능인 사각형 테두리 구조의 보강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공간 구조체에는 유리 패널 등의 평판 형상의 물체를 장착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사무실 등의 공간에 있어서 새롭게 공간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벽이나 칸막이의 고정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이는, 예를 들면 기둥을 구조 부재로서 사용하고 평판 부재 등을 기둥으로 고정하여 공간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기둥의 고정 위치는 변경하지 않고 평판의 고정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새로운 공간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면 기둥을 이동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공간 설계의 자유도도 향상되기 때문이다.
또, 정보 기기의 갱신에 맞추어 공간 구조를 재형성한 경우에 있어서, 그 후의 사정에 의하여 예를 들면 벽이나 칸막이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평판의 고정 위치를 변경시키고 싶은 경우도 생긴다. 그 후의 사정에는 여러가지 이유를 들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이 벽의 이동이 수 센티미터 정도의 작은 것이라도, 조정 기능을 가지지 않는 부재 구성에서는 경우에 따라서는 기둥마다 이동할 필요도 생기고, 번거로움을 견딜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고정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공간 구조를 형성하는 평판 부재의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즉 평판을 기둥에 고정하는 평판 고정 장치로서, 상기 평판을 2매의 플레이트로 보유하는 평판 보유 부재와, 상기 기둥에 고정되고, 상기 평판을 상기 평판 보유 부재를 개재하여 지지하는 브래킷(bracket)과, 상기 평판 보유 부재와 상기 브래킷의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기둥으로부터 상기 평판까지의 거리를 조정하는 어드저스터(adjuster)를 구비하고, 상기 평판 보유 부재는 상기 평판의 표면에 배치되는 표면 플레이트와, 상기 평판의 이면에 배치되는 이면 플레이트를 가지고, 상기 이면 플레이트에는 상기 평판의 고정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평판 고정 장치에 의하면, 상기 조정 수단 및 상기 어드저스터에 의하여 기둥에 고정되는 평판의 고정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조정 수단, 상기 어드저스터, 및 상기 브래킷은 각각 독립한 부재이기 때문에, 기둥에 고정된 브래킷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상기 평판의 고정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가 있다. 또한, 기둥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단면 형상을 대략 사각형으로 함으로써 기둥의 면을 기준으로 하여 평판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평판은 공간 구조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벽이나 칸막이로서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 평판을 구성하는 재질도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취급에 특히 주의가 필요한 유리 패널에도 적합하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평판 보유 부재는 상기 평판의 표면에 배치되는 표면 플레이트와 상기 평판의 이면에 배치되는 이면 플레이트의 2매의 플레이트에 의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평판의 상단 각부(角部)의 양면에 상기 2매의 플레이트를 끼워넣도록 배치하여 고정한다. 상기 2매의 플레이트에, 나사 등의 체결 부재를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고, 평판에도 이에 대응하는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평판 보유 부재와 평판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보유 부재를 구성하는 이면 플레이트는 평판의 고정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을 가진다. 조정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평판의 고정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평판 고정 장치는 기둥에 고정되는 브래킷에 의하여 평판이 지지되는 것이지만, 평판 보유 부재와 브래킷은 각각 독립한 부재이므로 브래킷을 기둥에 고정한 채로, 바꾸어 말하면 브래킷의 고정 위치를 바꾸지 않고 평판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가 있다.
조정 수단은 상기 이면 플레이트에 접속되는 어드저스터의 접속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고, 이 어드저스터와의 접속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어드저스터의 축 방향과 직각의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어드저스터의 축 방향이 상기 브래킷이 접속되는 기둥의 횡면과 평행인 경우에는, 상기 이면 플레이트와 표면 플레이트에 보유되는 평판은 상기 기둥의 전면과 평행한 방향, 즉 횡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조정 수단은 기준을 설정하여 단계적으로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라도 좋고, 슬라이드 가능으로 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하는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단계적으로 평판의 고정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조정 수단으로서 미리 소정의 간격으로 이면 플레이트에 구멍을 형성하면 좋다. 이면 플레이트에 설치한 구멍을 이용하여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어드저스터와 접속함으로써 평판을 고정할 수가 있다. 한편, 슬라이드 가능으로 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하는 경우에는, 조정 수단으로서 이면 플레이트의 긴 방향으로 직선상의 잘림 자리를 설치하고, 상기 잘림 자리에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관통시키고, 상기 체결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이면 플레이트를 슬라이드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에 의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유리 패널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브래킷은 상기 평판을 상기 보유 부재를 개재하여 지지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즉, 기둥에 고정하는 고정부와, 다른 부재에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접속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암(arm)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암부에 직각부를 설치 또는 암부와 접속부를 직각으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브래킷이 고정되는 상기 기둥면의 직각 방향으로 상기 평판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기둥의 횡방향으로 상기 브래킷을 고정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평판을 상기 기둥의 전면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의 암부와 접속부를 T자 구성으로 하고, 암부를 축으로 하여 그 선단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좌우 대조 구조로 하고, 또한 암부에 접속되는 상기 고정부도 상기 암부를 축으로 하여 상하 대조 구조로 함으로써, 기둥에 접속할 때의 방향에 관계없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브래킷의 고정부에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기둥과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기둥의 수직 방향 또는/및 수평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의 기둥과 접하는 면측에 상기 홈에 대응하는 볼록부를 설치함으로써 기둥에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브래킷의 접속부는 예를 들면 원통형으로 하고, 원통형의 중심축에 구멍을 형성할 수가 있다. 원통형의 구멍에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삽입하고, 어드저스터를 개재하여 상기 체결 부재의 선단 부분을 상기 평판 보유 부재에 체결함으로써, 평판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전술한 평판 보유 부재의 조정 수단에 의하여 상기 브래킷의 접속 부분과 상기 평판 부재의 고정 위치를 상대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평판 부재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가 있다.
어드저스터는 상기 평판 보유 부재와 상기 브래킷의 사이에 접속된다. 어드저스터의 축 방향의 길이를 바꿈으로써, 상기 브래킷을 상기 기둥에 고정한 상태인 채 평판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어드저스터 본체에 축 길이를 조정 가능한 축 길이 조정 기구를 가지게 하여도 좋지만, 축 길이가 다른 복수 종류의 어드저스터를 준비함으로써 단순 구성이면서, 상기 기둥으로부터 상기 평판까지의 거리를 조정할 수가 있다. 어드저스터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상술한 것처럼 상기 브래킷의 접속부를 원통형으로 한 경우에는 동일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브래킷과 상기 평판 보유 부재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어드저스터의 중심축에도 상기 체결 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어드저스터의 표면에는 볼록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 브래킷의 접속부에 상기 어드저스터의 볼록부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브래킷과 상기 어드저스터의 접속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어드저스터의 표면에 형성하는 볼록부를 오목부로 하고, 브래킷의 접속부에는 볼록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기둥의 횡면에 고정되고, 상기 브래킷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평판은 상기 기둥의 전면과 대략 평행으로 배치되되고,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평판의 횡방향 단부가 상기 기둥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의 고정 위치와, 상기 평판의 횡방향 단부가 상기 기둥의 횡방향에 배치되는 제2의 고정 위치를 가지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평판 보유 부재는 적어도 2단계로 고정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조정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기둥에 고정된 브래킷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 평판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브래킷을 기둥의 횡면에 고정함과 아울러 평판을 기둥의 전면과 대략 평행으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정 수단에 의하여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평판을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브래킷을 기둥의 횡면에 고정함과 아울러 평판을 기둥의 전면과 대략 평행으로 배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암부에 직각부를 설치 또는 암부와 접속부를 직각으로 배치하면 좋다.
평판을 상기 제1의 고정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면 플레이트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어드저스터가 접속되는 위치까지의 거리를 상기 기둥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어드저스터의 중심축까지의 거리와 일치시키면 좋다. 상기 평판의 횡방향 단부와 상기 보유 부재의 횡방향 단부의 위치를 일치시키고, 상기 이면 플레이트가 어드저스터에 접속되는 위치를 상기의 모양으로 함으로써, 평판을 상기 제1의 고정 위치에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평판을 상기 제2의 고정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면 플레이트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어드저스터가 접속되는 위치까지의 거리를 상기 기둥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어드저스터의 중심축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하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기둥의 폭의 부분만큼 상기 기둥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어드저스터의 중심축까지의 거리보다도 짧게 함으로써, 평판을 상기 제2의 고정 위치에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어드저스터는 축 길이가 다른 복수 종류 중에서 상기 조정 수단이 채용하는 고정 위치에 따라 하나가 결정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조정 수단은 평판의 면과 직각 방향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인데 대하여, 상기 어드저스터는 평판의 면 방향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조정 수단과 상기 어드저스터를 조합함으로써 평판의 전후좌우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평판을 상기 제1의 고정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해서는, 어드저스터의 축 길이를 상기 이면 플레이트의 어드저스터와의 접속면으로부터 상기 브래킷의 상기 어드저스터와의 접속면까지의 거리보다도 길게 하면 좋다. 또, 평판을 상기 제2의 고정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해서는, 어드저스터의 축 길이를 상기 이면 플레이트의 어드저스터와의 접속면으로부터 상기 브래킷의 상기 어드저스터와의 접속면까지의 거리보다도 짧게 하면 좋다. 이와 같이 미리 축 길이를 결정한 어드저스터를 준비하고, 상술한 보유 부재의 조정 수단이 채용하는 고정 위치와 대응시킴으로써, 평판의 고정 위치를 브래킷을 바꾸지 않고 변경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이면 플레이트의 횡방향 중심축 상에 복수 설치된 관통공으로 할 수가 있다.
조정 수단을 관통공으로 하고,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어드저스터와 고정함으로써 관통공의 위치에 따라 평판을 고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의 고정 위치에서 평판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면 플레이트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어드저스터가 접속되는 위치까지의 거리를 상기 기둥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어드저스터의 중심축까지의 거리와 일치시키고, 이 위치에 상기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하면 좋다. 또, 상기 제2의 고정 위치에서 평판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면 플레이트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어드저스터가 접속되는 위치까지의 거리를 상기 기둥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어드저스터의 중심축까지의 거리보다도 짧게 하고, 이 위치에 상기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하면 좋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이면 플레이트의 상기 평판과 접하는 면측에, 상기 평판을 관통하여 평판을 지지하기 위한 단면 대략 사각형의 볼록부가 소정 수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면 플레이트는 상기 어드저스터와 접속되는 것이므로, 평판의 하중은 상기 이면 플레이트에 전달되고, 어드저스터를 개재하여 최종적으로 브래킷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이다. 평판을 관통하는 볼록부를 소정 수 설치하여 상기 표면 플레이트로 끼워넣어 평판을 보유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이면 플레이트에의 가중 부담을 분산시킬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평판 보유 부재에 있어서의 횡방향의 단부의 형상이 양단에 있어서 다른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평판 보유 부재의 방향을 용이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평판 보유 부재를 전체로서 대략 직사각형으로 한 경우에는 타단을 반원형으로 함으로써 평판의 방향을 용이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평판 고정 장치에 의하면, 공간 구조를 형성하는 부재 중, 벽이나 칸막이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평판의 고정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공간 구조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공간 구조체를 구성하는 폴(pole)의 외관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공간 구조체를 구성하는 빔(beam)의 외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빔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공간 구조체를 구성하는 소빔의 외관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소빔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공간 구조체의 코너(corner)부에 있어서의 1개의 폴과 2개의 빔의 연결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연결에 있어서 사용되는 조인트(joint)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폴과 빔의 연결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공간 구조체의 폴의 하부에 있어서의 폴과 소빔의 연결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연결에 있어서, 폴 하부에 연결된 2개의 조인트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내는 연결에 있어서, 소빔에 연결되는 조인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나타내는 연결에 있어서, 소빔에 연결되는 조인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의 빔끼리의 연결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내는 연결에 있어서 사용되는 제1의 조인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나타내는 연결에 있어서 사용되는 제2의 조인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은 도 15에 나타내는 연결에 있어서 사용되는 제3의 조인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나타내는 제2의 조인트와 도 18에 나타내는 제3의 조인트가 협동적으로 기능을 발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제1의 도이다.
도 20은 도 17에 나타내는 제2의 조인트와 도 18에 나타내는 제3의 조인트가 협동적으로 기능을 발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제2의 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슬라이드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빔과 폴을 연결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내는 연결에 있어서 사용되는 조인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나타내는 연결에 있어서 사용되는 슬라이드 연결 장치를 구성하는 부세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4는 도 21에 나타내는 연결에 있어서 사용되는 슬라이드 연결 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5는 도 21에 나타내는 연결에 있어서 사용되는 슬라이드 연결 장치의 홈 내에서 움직임을 설명하는 제1의 도이다.
도 26은 도 21에 나타내는 연결에 있어서 사용되는 슬라이드 연결 장치의 홈 내에서 움직임을 설명하는 제2의 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슬라이드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소빔과 폴을 연결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빔에 매달려 연결된 프로젝터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나타내는 연결에 있어서 사용되는 2개의 조인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폴에 유리 패널이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1은 도 1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프로젝터를 갱신했을 때의 구성을 조정한 당해 공간 구조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제2의 공간 구조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3은 도 32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사용되는 받침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제3의 공간 구조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5는 도 34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사용되는 받침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6은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버팀대 받이 부재, 버팀대 접속 부재, 및 이들을 이용한 버팀대 구조의 배치 상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7은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버팀대 받이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8은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버팀대 받이 부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9는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버팀대 접속 부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0은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버팀대 구조의 확대도이다.
도 41은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평판 고정 장치를 폴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2는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평판 고정 장치를 폴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3은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평판 보유 부재를 구성하는 표면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4는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평판 보유 부재를 구성하는 이면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5는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브래킷(bracket) 및 어드저스터(adjuster)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6은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브래킷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이다.
도 47은 본 실시에 관계되는 어드저스터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이다.
도 48은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평판 고정 장치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49는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평판 고정 장치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실시예 1>
여기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공간 구조체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공간 구조체(1)의 전체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공간 구조체(1)는 주로, 복수의 기둥 형상체인 폴(pole)(2a~2j)(이하, 합쳐서 「폴(2)」이라고도 칭한다)과, 복수의 횡들보체인 빔(beam)(3a~3i)(이하, 합쳐서 「빔(3)」이라고도 칭한다), 소빔(4a~4c)(이하, 합쳐서 「소빔(4)」이라고도 칭한다)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폴(2)은 마루면으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뻗어 있고 공간 구조체(1)를 지탱하는 것이고, 빔(3), 소빔(4)은 마루면에 수평으로 뻗어 있고 폴(2)끼리 또는 빔(3)끼리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1)는 사각형체를 하고 있고, 그 네 귀퉁이 및 장변의 중간 근방에 6개의 폴(2a~2f)을 가진다. 그리고, 이들 폴(2a~2f)의 정수리부가 7개의 빔(3a~3g)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1 앞의 폴(2a)과 대향하도록 폴(2g)이 설치되고, 당해 폴(2a)과 폴(2g)의 사이에 버팀대(5)가 쳐져 있다. 이 폴(2g)은 빔(3a)의 도중에 접속된다. 또, 폴(2a)과 폴(2g)의 하부에 있어서 마루면에 수평으로 뻗어 있는 소빔(4a)이 접속되어 있다. 이 소빔(4a), 폴(2a, 2g), 빔(3), 버팀대(5)에 의하여, 공간 구조체(1)의 강도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폴(2e)과 대향하도록 폴(2h)이 설치된다. 이 폴(2h)은 빔(3b)의 도중에 접속된다. 그리고, 폴(2e)과 폴(2h)의 사이에 2개의 소빔(4b)이 접속되고, 소빔(4b)과 폴(2e, 2h)로 둘러싸인 공간에 선반(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폴(2c, 2d)과의 사이에 빔(3d)의 도중에 접속되는 폴(2i, 2j)이 2개 설치된다. 그리고, 폴(2c, 2i, 2j, 2d)의 하부에 있어서, 각각의 사이를 소빔(4c)에 의하여 접속된다. 또, 폴(2i, 2j)의 사이에는 스크린(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크린(7)은 빔(3g)에 매달려 설치되는 프로젝터(8)의 투영면이다. 또한, 이 프로젝터(8)의 중량에 의한 빔(3g)에의 부하를 고려하여, 보강을 위해서 빔(3g)과 빔(3d)의 사이에 빔(3h, 3i)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프로젝터(8)에의 신호는 선반(6)에 수납된 컴퓨터로부터 주어진다.
이와 같이 공간 구조체(1)는 컴퓨터나 프로젝터(8) 등의 정보 기기가 조립해 넣어지고,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폴, 빔, 소빔을 조합함으로써 구성되는 구조체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공간 구조체(1)는 도 1에 나타내는 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각각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된다. 이하에, 폴, 빔, 소빔의 상세한 구조, 및 이러한 연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폴(2)의 설명을 도 2 및 도 3에 근거하여 한다. 도 2는 폴(2)의 외관도이고, 도 3은 폴(2)의 단면도이다. 폴(2)은 그 단면에 있어서 균등하게 4분할된 형상을 가진다. 중심부(20)로부터 사방으로 방사상으로 격벽(21)이 뻗어 있고, 폴(4)의 단면에 있어서의 정방형의 정점(P)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나의 정점(P)으로부터 인접하는 정점(P)을 향하여 벽면(22)이 뻗어 있다. 하나의 정점(P)으로부터 뻗어 있는 벽면(22)과, 그에 인접하는 다른 정점(P)으로부터 뻗어 있는 벽면(22)은 양 정점(P)의 중간 전까지 뻗어 있고 양자는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대향하는 벽면(22, 22)(이하, 「한 쌍의 벽면(22)」이라고 칭한다)과의 사이에는 개구부(23)가 형성된다. 또, 한 쌍의 벽면(22)과 격벽(21)과 중심부(20)에 의하여, 홈부(24)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부(23) 및 홈부(24)는 도 2에 나타내듯이 폴(2)의 축심 방향으로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뻗어 있다.
또한, 폴(2)의 단면의 각 정점(P)에 있어서, 각 정점(P)으로부터 폴(2)의 바깥 방향으로 뻗어 나가고, 당해 정점(P)에 연결되는 2개의 벽면(22)에 각각 직교하는 2개의 외벽면(25)이 설치되어 있다. 그 결과, 하나의 정점(P)으로부터 뻗어 나가는 외벽면(25)과, 그에 인접하는 다른 정점(P)으로부터 뻗어 나가는 외벽면(25)은 대향한다. 그리고, 이 대향하는 외벽면(25)과, 이들과 연결되는 한 쌍의 벽면(22)에 의하여, 폴(2)의 표면상에 반폐공간인 배선용 홈부(26)가 형성된다. 이 배선용 홈부(26)에는 공간 구조체(1)에서 사용되는 정보 기기의 전원 케이블이나 신호 케이블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배선용 홈부(26)에 케이블을 수납하면 외관의 디자인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도 3에 나타내는 와이어 링 커버를, 배선용 홈부(26)를 덮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다음에, 빔(3)의 설명을 도 4 및 도 5에 근거하여 한다. 도 4는 빔(3)의 외관도이고, 도 5는 빔(3)의 단면도이다. 빔(3)의 단면 형상은 폴(2)의 단면 형상과 거의 동일하다. 빔(3)의 중심부(30), 격벽(31), 벽면(32)(한 쌍의 벽면(32)), 개구부(33), 홈부(34), 정점(Q)은, 폴(2)의 중심부(20), 격벽(21), 벽면(22)(한 쌍의 벽면(22)), 개구부(23), 홈부(24), 정점(P)에 각각 대응하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빔(3)에 있어서는, 공간 구조체(1)에서 사용되는 정보 기기의 전원 케이블이나 신호 케이블을 수납하기 위한 배선용 홈부의 구성이 폴(2)의 경우와 다르다. 빔(3)에서는 도 5에 나타내듯이 연직 상방향 및 연직 하방향의 2방향에만 배선용 홈부(36, 38)가 형성된다. 여기서, 연직 상방향의 배선용 홈부(36)를 구성하는 외벽면(35)의 높이(정점(Q)로부터의 외벽면(35)의 높이)는 연직 하방향의 배선용 홈부(38)를 구성하는 외벽면(37)의 높이(정점(Q)로부터의 외벽면(37)의 높이)보다도 높게 설계되어 있다. 이는 빔(3)이 공간 구조체(1)에 조립해 넣어질 때, 배선용 홈부(36)는 연직 상방향으로 개구하므로 보다 많은 케이블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물론, 연직 하방향의 배선용 홈부(38)에도 케이블을 수납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외관의 디자인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그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와이어 링 커버를, 배선용 홈부(38)를 덮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빔(3)의 수평 방향의 표면에는 외벽면(35, 37)에 상당하는 벽면은 설치되지 않고, 배선용 홈부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음에, 소빔(4)의 설명을 도 6 및 도 7에 근거하여 한다. 도 6은 소빔(4)의 외관도이고, 도 7은 소빔(4)의 단면도이다. 소빔(4)의 단면 형상은 빔(3)의 횡방향은 동일하고 그 종방향을 압축한 것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빔(3)에 비하여 박형의 빔이다. 소빔(4)의 중심부(40), 격벽(41), 벽면(42)(한 쌍의 벽면(42)), 개구부(43), 홈부(44), 정점(R)은, 빔(3)의 중심부(30), 격벽(31), 벽면(32)(한 쌍의 벽면(32)), 개구부(33), 홈부(34), 정점(Q)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소빔(4)에 있어서는 상기의 배선용 홈부(26, 36, 38)에 상당하는 공간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공간 구조체(1)를 구성하는 폴(2), 빔(3), 소빔(4)의 연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공간 구조체(1)의 각 코너(corner)부에 있어서의 각 요소의 연결에 대해서 도 8, 9, 10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코너부에 있어서의 2개의 빔(3)과 1개의 폴(2)의 연결의 모습(예를 들면, 공간 구조체(1)에 있어서의 폴(2a)과 빔(3a, 3b)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 10은 폴(2)과 빔(3)의 연결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이다.
이 코너부에 있어서의 폴(2)과 빔(3)의 연결은 조인트(10)를 통하여 행해진다. 조인트(10)는 폴(2)에 설치될 때 그 단면과 접촉하는 설치면(10a)을 가지고 있고, 이 설치면(10a)의 중앙에는 관통공(10d)이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공(10d)은 설치면(10a)이 폴(2)의 단면에 설치되면, 폴(2)의 중앙부(20)에 설치된 나사공에 대응하는 위치를 취한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내듯이 나사에 의하여 조인트(10)를 폴(2)에 연결한다.
또한, 조인트(10)는 빔(3)에 설치될 때 그 단면과 접촉하는 설치면(10b)을 가지고 있고, 이 설치면(10b)의 중앙에는 관통공(10e)이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공(10e)은 설치면(10b)이 빔(3)의 단면에 접촉하면, 빔(3)의 중앙부(30)에 설치된 나사공에 대응하는 위치를 취한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내듯이 나사에 의하여 조인트(10)를 빔(3)에 연결한다. 또한, 설치면(10b)이 빔(3)의 단면에 접촉할 경우에, 빔(3)의 배선용 홈부(38)의 단부에 끼워넣는 빔 가이드부(10c)가 조인트(10)에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듯이, 빔 가이드부(10c)가 배선용 홈부(38)에 끼워넣어짐으로써, 빔(3)을 조인트(10)에 연결할 때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이 설치면(10b), 빔 가이드부(10c), 관통공(10e)은 폴(2)의 형상에 따라서 조인트(10)에 4개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10)를 폴(2)에 나사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도 9에 나타내듯이 조인트(10)의 상부의 개구부로부터 나사를 삽입하고 연결 작업을 한다. 또, 조인트(10)를 빔(3)에 나사로 연결하는 경우에도 조인트(10)의 상부의 개구부로부터 나사를 삽입하고 연결 작업을 하든지, 또 연결에 사용하는 관통공(10e)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관통공(10e)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조인트(10)를 개재하여, 폴(2), 빔(3)을 연결시킨 후, 도 8에 나타내듯이 조인트(10)의 상부의 개구부에, 어드저스터 서포트(adjuster support)(12)로 뚜껑을 한다. 이 어드저스터 서포트(12)에는 안나사가 잘린 통부가 설치되고, 당해 통부를 덮는 어드저스터 커버(13)와, 통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를 가지는 어드저스터(14)가 설치된다. 이 어드저스터(14)는 공간 구조체(1)가 놓여지는 사무실 등의 천정과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폴(2)의 하부끼리를 연결하는 소빔(4)의 연결에 대해서 도 11~14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폴(2)의 하부에 있어서의 폴(2)과 소빔(4)의 연결의 모습(예를 들면, 공간 구조체(1)에 있어서의 폴(2a)과 소빔(4a)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13은 폴(2)과 소빔(4)의 연결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이다.
이 폴(2)과 소빔(4)의 연결은 조인트(50, 51, 52)를 통하여 행해진다. 조인트(50)는 도 11에 나타내듯이 폴(2)의 단부에 접속되는 조인트다. 이 조인트(50)는 폴(2)의 중앙부(20)에 설치된 나사공에 대응하는 관통공(50b)을 가지는 접촉면(50a)을 구비한다. 또, 조인트(50)에는 폴(2)의 대향하는 외벽면(25)과 마찬가지의 대향하는 외벽면(50c)이 4조 설치되어 있다. 또, 대향하는 외벽면(50c)의 사이에는 폴(2)의 개구부(23)와 같은 개구부는 없고, 후술하는 조인트(51)의 고정용의 나사공이 설치되어 있다.
폴(2)의 단부에 조인트(50)가 연결되면, 도 12에 나타내듯이, 상기의 조인트(50)에 설치된 조인트(51) 고정용의 나사공과, 조인트(51)측의 관통공을 이용하여, 조인트(51)가 조인트(50)에 연결된다. 이 조인트(51)는 후술하는 조인트(52)와 조인트(50)를 중개하는 기능을 가진다. 조인트(51)에는, 조인트(5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51a)와, 당해 지지부(51a) 상에 조인트(52)와의 연결을 위한 나사공(51b)이 설치된다.
다음에, 조인트(52)에 대해서, 도 13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조인트(52)는 미리 소빔(4)에 연결된다. 도 13에 나타내듯이, 조인트(52)는 평행한 2개의 족부(52a)와, 당해 족부(52a)가 연결되는 베이스부(52b)로 구성된다. 이 베이스부(52b)의 상부 중앙에는 관통공(52c)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평행한 족부(52a)가 소빔(4)의 홈부(44)에 삽입되고 나사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조인트(52)가 고정된 소빔(4)을, 도 14에 나타내듯이, 조인트(51)가 고정된 폴(2) 및 조인트(50)에 연결시킨다. 이때, 나사공(51b)과 관통공(52c)이 겹친 상태로, 나사에 의한 조인트(51)와 조인트(52)의 연결을 한다.
이와 같이 조인트(50, 51, 52)를 통하여, 폴(2), 소빔(4)을 연결시킨 후, 도 11에 나타내듯이, 어드저스터 커버(53)와 어드저스터(54)가 설치된다. 이어드저스터(54)는 공간 구조체(1)가 놓여지는 사무실 등의 마루면과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고, 어드저스터 커버(53)는 어드저스터(54)의 일부를 덮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공간 구조체(1)에 있어서의 빔(3)과 빔(3)의 연결에 대해서, 도 15~도 20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빔(3)끼리의 연결의 모습(예를 들면, 공간 구조체(1)에 있어서의 빔(3d)과 빔(3h)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18은 빔(3)끼리의 연결에 사용되는 각 조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 20은 조인트에 의한 빔(3)끼리의 연결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듯이, 빔(3)끼리의 연결은 조인트(60, 61, 62)를 통하여 행해진다. 여기서, 조인트(60)는 도 15에 나타내듯이 빔(3)의 단부에 접속되는 조인트이다. 도 16에 조인트(60)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낸다. 조인트(60)는 빔(3)에 설치될 때 그 단면과 접촉하는 설치면(60a)을 가지고 있고, 이 설치면(60a)의 중앙에는 관통공(60b)이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공(60b)은 설치면(60a)이 빔(3)의 단면에 설치되면, 빔(3)의 중앙부(30)에 설치된 나사공에 대응하는 위치를 취한다. 또, 조인트(60)의 빔(3)의 단면에의 위치맞춤을 용이하게 하도록, 빔(3)의 홈부(34)에 대응하는 설치면(60a) 상에 4개의 돌기부(60c)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5에 나타내듯이 나사에 의하여 조인트(60)를 빔(3)에 연결한다.
또한, 설치면(60a)이 빔(3)의 단면에 접촉할 경우에, 빔(3)의 배선용 홈부(38)의 단부에 끼워넣는 빔 가이드부(60d)가 조인트(60)에 설치되어 있다. 빔 가이드부(60d)가 배선용 홈부(38)에 끼워넣어짐으로써, 빔(3)을 조인트(60)에 연결할 때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빔 가이드부(60d)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조인트(62)와 당해 조인트(60)를 연결하기 위한 나사공(60e)이 설치되어 있다.
도 17에 조인트(61)의 상세한 구조를, 도 18에 조인트(62)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낸다. 이들 조인트는 협동적으로 기능하는 조인트이고, 그 모습이 도 19, 20에 나타내어진다. 조인트(61)는 평판 형상의 베이스부(61a)와, 베이스부(61a)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발톱부(61b)와, 당해 베이스부(61a)의 타단으로부터 당해 발톱부(61b)와는 반대측의 하방으로 뻗어 있는 가이드부(61c)를 가진다. 또, 베이스부(61a)에는 나사공(61d)이 설치되어 있다.
조인트(62)는 베이스부(62a)의 상부 중앙 부근에 4각 형상의 관통공(62b)이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공(62b)의 횡폭은 조인트(61)가 수용할 수 있는 폭이다. 그리고, 이 관통공(62b)의 하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는 가이드홈(62c)이 설치되고, 또한 그 하부에는 하부 베이스부(62d)가 설치된다. 이 하부 베이스부(62d)는 가이드 홈(62c)보다 전면으로 튀어나와 있고, 그 표면에 관통공(62e)이 설치되어 있다. 또, 관통공(62b)의 상부에는 돌기부(62f)가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는 관통공(62g)(도 20을 참조)이 설치된다. 또한, 조인트(62)의 베이스부(62a)의 배면에는 하방으로 돌출한 발톱부(62h)(도 20을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조인트(61, 62)의 협동적인 기능의 발휘는 도 19에 나타내는 대로이다. 즉, 조인트(61)의 발톱부(61b)와 조인트(62)의 발톱부(62h)가 빔(3)의 측면측의 홈부(34)에 삽입되고, 그리고 발톱부(61b)가 당해 홈부(34)를 형성하는 상측의 단면(32)과 걸어맞춰지고, 발톱부(62h)가 당해 홈부(34)를 형성하는 하측의 단면(32)과 걸어맞춰짐으로써, 양 조인트가 빔(3)의 측면측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된다. 이 조인트(61, 62)의 협동적인 기능의 발휘의 모습을 도 20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0(a)에 나타내듯이, 조인트(61)의 발톱부(61b)가 관통공(62b)에 대향하는 상태로 조인트(61)를 관통공(62b) 내에 삽입한다. 이때, 발톱부(61b)와 발톱부(62h)는 빔(3)의 홈부(34) 내에 들어간 상태로, 조인트(61)의 가이드부(61c)가 조인트(62)의 가이드홈(62c)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조인트(61)를 삽입한다. 그리고, 조인트(61)의 나사공(61d)과 조인트(62)의 관통공(62g)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일직선상으로 위치한 상태로 된다. 그래서, 관통공(62g)으로부터 나사공(61d)을 향하여 나사가 삽입되고, 또한 당해 나사의 선단은 가이드 홈(62c)의 단부에 접촉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당해 나사를 회전시키면, 가이드부(61c)가 가이드홈(62c) 상을 슬라이드하는 상태로, 조인트(61)가 조인트(62)에 대하여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대 이동을 한다. 그 결과, 발톱부(61b)와 발톱부(62h)의 간격이 나사의 회전에 의하여 조정되고, 양 발톱부에 의한 홈부(34)(그를 형성하는 단면(32))와의 걸어맞춤 상태가 제어된다.
부언하면, 나사를 조정하고 양 발톱부에 의한 홈부(34)에의 걸어맞춤 힘을 약하게 하면, 조인트(61)와 조인트(62)는 협동적으로 빔(3)의 측면측의 홈부(34)의 개구부(33)를 슬라이드하여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그 임의의 위치에서 나사를 조정하여 양 발톱부와 홈부(34)의 걸어맞춤 힘을 강하게 함으로써, 당해 위치에 조인트(61)와 조인트(62)를 빔(3)에 대해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이 조인트(61)와 조인트(62)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연결 수단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빔(3)에 고정된 조인트(61, 62)에 대해서, 다른 빔(3)에 설치된 조인트(60)를 연결시킴으로써, 당해 하나의 빔과 당해 다른 빔의 연결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인트(60)의 나사공(60e)과 조인트(62)의 관통공(62e)을 통하여 양 조인트가 나사 고정됨으로써, 임의의 위치에서의 빔끼리의 연결이 달성된다.
다음에, 공간 구조체(1)에 있어서의 빔(3)에 대해서 그 도중에 폴(2)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21~도 26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빔(3)과 폴(2)의 연결의 모습(예를 들면, 공간 구조체(1)에 있어서의 빔(3a)과 폴(2g)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도 26은 빔(3)과 폴(2)의 연결에 사용되는 조인트 및 슬라이드 연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에 나타내듯이, 빔(3)과 폴(2)의 연결은 조인트(70),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를 개재하여 행해진다. 여기서, 조인트(70)는 도 21에 나타내듯이 폴(2)의 단부에 접속되는 조인트이다. 도 22에 조인트(70)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낸다. 조인트(70)는 폴(2)에 설치될 때 그 단면과 접촉하는 설치면(70a)을 가지고 있고, 이 설치면(70a)은 조인트(70)의 하부의 베이스부(70b)를 구성한다. 이 베이스부(70b)에는 설치면(70a)까지 관통하는 관통공(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70)에는 이 설치면(70a)을 가지는 베이스부(70b) 상에, 중앙부가 개구하고 당해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각각 관통공(70c)을 가지는 지지부(70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의 베이스부(70b)에 설치된 관통공에 액세스(access)가 가능하고, 또한 이 관통공은 설치면(70a)이 폴(2)의 단면에 설치되면, 폴(2)의 중앙부(20)에 설치된 나사공에 대응하는 위치를 취한다. 그래서, 나사에 의해 조인트(70)를 폴(2)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조인트(70)의 지지부(70d)에 설치된 관통공(70c)은 슬라이드 연결 장치(71)에 설치된 나사공(좌우 양단의 2개의 나사공)에 대응하고, 이들을 통하여 나사에 의하여 조인트(70)와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는 연결된다. 또, 슬라이드 연결 장치(71)가 조인트(70)에 대해서 비교적 작게 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조인트(70)에 대해서 2개의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를 연결시켜도 좋다.
여기서, 이하에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를 상세히 설명한다.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는 도 23에 나타내는 부세 부재(72)와 도 24에 나타내는 베이스 부재(73)로 구성된다. 이 2개는 완전하게 별개의 부재이다. 부세 부재(72)는 윤곽 형상을 가지는 부세부(72a)와, 부세부(72a)로부터 하나의 방향으로 돌출한 제1돌기부(72b)와, 제1돌기부(72b)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부세부(72a)로부터 돌출한 제2돌기부(72c)로 구성된다. 부세부(72a)는 제1돌기부(72b)와 제2돌기부(72c)가 설치된 각 점을 연결하는 선에 대해서 선대칭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인 부세부(72a)의 형상은 각 돌기부 근방(도 중 R1로 표시되는 영역)에서는 선대칭의 중심선을 약간 따르는 형상이고, 또한 부세부(72a)의 중앙에 가까워지면(도 중 R2로 표시되는 영역) 선대칭의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원호 형상을 취하고, 부세부(72a)의 중앙 근방(도 중 R3으로 표시되는 영역)에서는 선대칭의 중심선에 거의 평행한 형상으로 된다. 부세부(72a)가 이러한 형상을 채용함으로써, R1로 표시되는 영역의 부세부를 축으로 하여, R3으로 표시되는 영역의 부세부가 도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휘어지기 쉽게 되고, 그 휘어짐에 의하여 부세부(72a)가 도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힘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2돌기부(72c)는 대체로 원주 형상의 돌기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제1돌기부(72b)는 제2돌기부(72c)보다 약간의 횡폭을 가지는 형상이다. 또한, 이 횡폭은 폴(2)이나 빔(3)의 개구부(23, 33)의 폭보다 약간 작다.
베이스 부재(73)는 도 24에 나타내듯이 베이스부(73a)의 중앙에 나사공(73b)이 3개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부(73a)의 일단면측에 계단 부착부(73c)가, 베이스부(73a)의 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계단 부착부(73c)의 폭(도면 상하 방향의 폭)은 폴(2)이나 빔(3)의 개구부(23, 33)의 폭보다 약간 작다.
상술한 부세 부재(72) 및 베이스 부재(73)의, 폴(2)이나 빔(3)의 홈부(24, 34) 내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로서의 기능의 발휘에 대해서 도 25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25에 나타내는 것은 빔(3) 내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연결 장치(71)의 모습이지만, 폴(2) 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빔(3)의 홈부(34)는 상술한 것처럼 중심부(30)로부터 뻗어 있는 격벽(31)과 벽면(32)의 각각의 내벽면에 의하여 형성되고, 그 단면 형상은 대략 육각형이다. 여기서, 도 25에 나타내듯이, 홈부(34)의 단면에 있어서의 대략 육각형의 정점을 S1~S6이라고 칭함과 아울러, 개구부(33)를 구성하는 정점을 T1, T2라고 칭한다.
먼저, 도 25(a)에 나타내듯이, 홈부(34)에 대해서 부세 부재(72)를 개구부(33)로부터 미끄러져 들어가게 한다. 이때 제2돌기부(72c)가 홈부(34)의 안측부(정점(S3, S4)의 근방)에 위치하고, 제1돌기부(72b)가 개구부(33)의 근방(정점(T1, T2)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 부세부(72a)의 영역(R3)에 위치하는 부분은 홈부(34)의 정점(S1, S2) 사이 및 정점(S5, S6) 사이의 내벽면 근방에 위치한다. 이때, 부세부(72a)와 당해 내벽면의 사이에는 작은 간극이 존재하기 때문에, 부세부(72a)는 휘어진 상태로는 되어 있지 않다.
도 25(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제1돌기부(72b)를 개재하여 부세 부재(72)를 빔(3)의 홈부(34) 내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홈부(34)의 임의의 위치에 부세 부재(72)를 이동시킨 후, 도 25(b)에 나타내듯이 홈부(34) 내에 베이스 부재(73)를 삽입시킨다. 이때, 베이스 부재(73)는 부세 부재(72)의 부세부(72a)의 제1돌기부(72b)가 돌출하고 있는 측의 면 상에, 베이스 부재(73)의 계단 부착부(73c)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이 접촉하고, 당해 계단 부착부(73c)가 개구부(33)에 위치한다.
도 25(b)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는 부세 부재(72)의 부세부(72a)는 베이스 부재(73)에 의하여 홈부(34)의 안측부로 밀어 넣어지기 때문에, 부세부(72a)의 영역(R3)에 위치하는 부분은 격벽(31)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벽면(정점(S2, S3) 사이, 및 정점(S4, S5) 사이)에 접촉하게 된다. 이 내벽면은 홈부(34)의 안측부로 진행함에 따라서 폭이 좁아진다. 그 때문에, 도 25(b)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부세 부재(72)의 부세부(72a)는 상술한 것처럼 휘어지고, 그 휘어짐에 기인하여 베이스 부재(73)에 대해서, 그를 개구부(33) 가까이의 벽면(32)으로 밀어붙이는 힘을 발생시킨다. 그 결과, 부세 부재(72)와 베이스 부재(73)로 구성되는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는 빔(3) 내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된다.
그리고, 빔(3) 내에 고정된 슬라이드 연결 장치(71)의 나사공(73b)에 대해서, 조인트(70)의 지지부(70d)에 설치된 관통공(70c)을 사이에 두고, 나사로 당해 조인트(70)가 연결된 폴(2)을 연결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1)와 같이 빔(3)의 임의의 위치에 폴(2)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으로부터,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연결 수단에 해당한다.
여기서, 한 번 임의의 위치에 고정된 슬라이드 연결 장치(71)에 대해서, 그 고정 위치를 변경할 때의 모습에 대해서, 도 26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6(a)에 나타내듯이, 부세 부재(72)에 힘이 부여되고 있는 베이스 부재(73)를 화살표의 방향으로 완전하게 부세 부재(72)로부터 힘이 부여되지 않는 위치까지 옮겨 놓는다. 이때, 홈부(34)를 단면 방향으로부터 보면, 도 26(b)에 나타내는 대로이다. 부세 부재(72)는 베이스 부재(73)가 벗겨짐으로써, 도 26(b)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이때, 베이스 부재(73)는 홈부(34) 내에 있어서, 부세 부재(72)가 존재하는 공간 이외의 공간에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도 26(b)에 나타내듯이, 베이스 부재(73)는 홈부(34) 내에 있어서 부세 부재(72)의 제2돌기부(72c)에 간섭하는 상태로 된다. 이는 베이스 부재(73)가 부세 부재(72)에 의한 힘으로부터 해방된 상태로 되어도, 홈부(34) 내에 있어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지 않고, 부세 부재(72)에 의하여 그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특히 슬라이드 연결 장치(71)가 폴(2) 내의 홈부(24)에서 사용될 때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폴(2)은 마루면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뻗어 나가는 것이기 때문에, 가하는 힘으로부터 해방된 베이스 부재(73)에는 중력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베이스 부재(73)가 폴(2)의 하부로 낙하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제1돌기부(72b)측을 하방으로 하고 제2돌기부(72c)측을 상방으로 하여 홈부(24) 내에서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를 사용하면, 상기와 같이 베이스 부재(73)의 이동을 제2돌기부(72c)에 의하여 제한함으로써, 베이스 부재(73)의 낙하를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 부재(73)를 부세 부재(72)에 의한 힘으로부터 해방시킨 후에는, 베이스 부재(73)를 개구부(33)로부터 떼어내고, 부세 부재(72)를 새로운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다시 베이스 부재(73)를 홈부(24, 34) 내로 삽입함으로써, 슬라이드 연결 장치(71)의 고정을 할 수 있다.
다음에, 공간 구조체(1)에 있어서의 폴(2)에 대해서 그 도중에 소빔(4)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27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27에 나타내듯이, 폴(2)과 소빔(4)의 연결은 상술한 조인트(51, 52) 및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를 통하여 행해진다. 즉, 폴(2)의 홈부(24) 내에 상술한 것처럼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를 삽입하고,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 상태로 한다. 그곳에 조인트(51)측의 관통공과 슬라이드 연결 장치(71)의 나사공(73b)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연결 장치(71)에, 조인트(51), 조인트(52)가 연결된 소빔(4)이 연결된다.
다음에, 공간 구조체(1)에 있어서의 프로젝터(8)의 빔(3)에의 연결에 대해서, 도 28, 29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28에 나타내듯이, 프로젝터(8)는 조인트(80, 81)를 개재하여 빔(3)에 연결되지만, 이때 빔(3)의 연직 하방향측의 홈부(34)에는 상기의 슬라이드 연결 장치(71)가 설치되어 있다. 즉, 홈부(34) 내에서 고정 상태에 있는 슬라이드 연결 장치(71)의 나사공(73b)에 대해서, 조인트(80), 조인트(81)가 장착되고, 또한 이 조인트(81)에 프로젝터(8)가 연결됨으로써, 당해 프로젝터(8)가 빔(3)에 매달린 상태로 연결된다.
여기서, 도 29에 근거하여, 조인트(80, 81)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인트(80)는 T자 형상을 하고 있고, 상부의 수평부(80b)에는 그 양단측에 관통공(80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평부(80b)의 중앙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뻗어 있는 수직부(80d)는 각기둥 형상이고, 그 4개의 표면에는 각각 중앙부에 나사공(80d)이, 하부에는 나사공(80e)이, 합계 8개 설치되어 있다. 또, 조인트(81)에 있어서, 프로젝터(9)의 상부가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81a)에는, 병행하여 각도 조정판(81b)이 2매 설치되어 있다. 이 각도 조정판(81b)에는, 각각 원호 형상으로 열린 조정홈(81c)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정홈(81c)의 하부에는 지지홈(81d)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인트(80, 81)에 있어서, 조인트(80)의 수직부(80c)가 2매의 각도 조정판(81b)의 사이에 삽입된다. 그리고, 수직부(80c)의 중앙부에 설치된 나사공(80d)에 대해서는 조인트(81)의 조정홈(81c)을 통하여 나사가 나사 결합된다. 또한, 수직부(80c)의 하부에 설치된 나사공(80e)에 대해서는 지지홈(81d)의 안측부를 개재하여 나사로 나사 결합된다. 여기서, 조인트(81)에 대한 조인트(80)의 자세를, 나사공(80e)을 축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양자의 상대 자세를 변화시킬 수가 있고, 나사에 의하여 임의의 자세를 보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임의의 자세로 조정된 조인트(80, 81)를 슬라이드 연결 장치(71)에 고정함으로써, 프로젝터(8)의 기울기를 조정한 다음, 빔(3)에 프로젝터(8)를 매달아 고정할 수 있다.
또, 수직부(80c)의 4개의 표면에는 각각 나사공(80d, 80e)이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조인트(80)와 조인트(81)의 연결에 있어서, 수직부(80c)의 2조의 표면을 선택함으로써, 도 28(a), (b)에 나타내듯이 프로젝터(8)의 방향을 90°씩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폴(2)이나 빔(3)에 대해서, 스크린(8)이나 유리 등의 판 형상의 패널을 연결하고 싶은 경우, 도 30에 나타내듯이 하여도 좋다. 즉, 패널을 사이에 두고 고정하는 고정 쇠장식물(이면 플레이트)(91), 고정 쇠장식물(표면 플레이트)(92)의 일방을, 폴(2)이나 빔(3)의 홈부(24, 34) 내에서 고정 상태에 있는 슬라이드 연결 장치(71)의 나사공(73b)에 대해서 고정 가능한 브래킷(90)을 개재하여, 당해 슬라이드 연결 장치(71)에 나사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폴(2)이나 빔(3)의 임의의 위치에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스크린(8)이나 유리 등의 판 형상의 패널의 연결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공간 구조체에서는,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를 이용함으로써, 새로운 폴(2)을 빔(3)에 연결하거나 이미 연결되어 있는 폴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폴(2)과 소빔(4)의 연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조인트(60, 61, 62)를 이용한 빔(3)끼리의 연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1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1)에 있어서, 정보 기기인 프로젝터(8)의 갱신에 따라, 그를 새로운 프로젝터(800)로 변경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프로젝터(800)는 프로젝터(8)보다 초점거리가 길고 중량이 무거운 기기이다. 그러한 경우에, 공간 구조체(1)에서는 조인트(60, 61, 62)를 이용하여, 새로운 빔(300)을 빔(3b)과 빔(3f)의 사이에 걸친다. 또한, 보강을 위해서 빔(300)과 빔(3f)의 연결부를 지탱하는 위치에 폴(310)을,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를 이용하여 증설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공간 구조체(1)에서는 정보 기기의 갱신이나 그 외의 요인으로 그를 구성하는 폴(2), 빔(3), 소빔(4)을 적절히 증설, 위치의 조정이 용이하게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폴(2), 빔(3), 소빔(4)을 조합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1) 이외의 구조체도 형성이 가능한 것은 상술한 대로이지만, 그 예를 도 32~도 35에 나타낸다. 도 32에는 1개의 폴(2)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 구조체(100)가 도시된다. 공간 구조체(100)에는 디스플레이(101), 테이블(102)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에도 상술한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를 이용함으로써, 폴(2)의 임의의 위치에 디스플레이(101), 테이블(102)의 고정이 가능하다. 또, 도 33에는 폴(2)의 하부의 받침대인 원형의 베이스 플레이트(103)가 도시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03)의 크기는 폴(2)의 길이, 그곳에 고정되는 물체의 하중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 도 34에는 2개의 폴(2)과 2개의 소빔(4)으로 구성되는 평면적인 공간 구조체(200)가 도시된다. 상부의 폴(2)과 소빔(4)의 연결에는 상기의 슬라이드 연결 장치(71)가 이용된다. 또, 하부의 폴(2)과 소빔(4)의 연결에는 앵커 베이스(anchor base)(201)가 이용된다. 앵커 베이스(201)는 폴(2)의 단면에 장착되는 조인트로서, 또한 상기 조인트(52)가 장착된 소빔(4)을, 상기 조인트(51)를 통하여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조인트이다.
또, 공간 구조체(200)와 같이 평면적인 구조체는 넘어지기 쉽기 때문에, 앵커 베이스(201)의 소빔(4)과의 연결에 이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이용하여, 도 35에 나타내는 지지 부재(202)가 연결된다. 당해 지지 부재(202)가 폴(2)에 연결됨으로써, 공간 구조체(20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2>
다음에, 실시예 1에서 나타내어진 공간 구조체(1)에 적용 가능한 버팀대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36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버팀대 받이 부재, 버팀대 접속 부재, 및 이들을 이용한 버팀대 구조(5)의 배치 상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동 도에 나타내듯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버팀대 구조(5)는 X자 모양으로 배치되는 2개의 버팀대(430a, 430b)와, 상기 버팀대(430a, 430b)의 양단에 접속된 버팀대 접속 부재(420a, 420b)와, 상기 버팀대 접속 부재(420a, 420b)에 접속된 버팀대 받이 부재(410)에 의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팀대 받이 부재(410)는 사각형 테두리 구조의 폴 등에 접속된다. 또, 버팀대(430a, 430b)의 배치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보면, 버팀대(430a)는 버팀대 접속 부재(420a, 420b)를 개재하여 지면 앞에 위치하는 버팀대 받이 부재(410)의 후크(411a)에 접속되고(지면 좌상), 버팀대(430b)는 버팀대 접속 부재(420a, 420b)를 개재하여 지면 안측에 위치하는 버팀대 받이 부재(410)의 후크(411a)(지면 좌하)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버팀대 받이 부재(410)에 있어서 단부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을 상방향으로 하여 좌측의 후크를 (411a), 우측의 후크를 (411b)라고 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버팀대(430a, 430b)의 양단에 형성되는 나선홈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이에 접속하는 버팀대 접속 부재도 나선홈의 방향에 의하여 2종류 준비하고, 외관의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방의 버팀대 접속 부재(420a)의 측면에 라인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버팀대 구조(5)는 병렬로 배치된 후크(411a 및 411b)를 가지는 버팀대 받이 부재(410)를 구비함으로써 버팀대(430a와 430b)가 접촉하지 않게 배치되고, 사각형 테두리 구조를 보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상술한 버팀대 구조(5)를 구성하는 버팀대 받이 부재(410) 및 버팀대 접속 부재(420a, 420b)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7은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버팀대 받이 부재(4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 도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버팀대 받이 부재(410)는 베이스 플레이트(415)와, 베이스 플레이트(415)로 배치된 후크(411a 및 411b)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크(411a 및 411b)는 소정의 간격(d)을 가지고, 동일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대각에 위치하는 버팀대 받이 부재(410)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앞측의 후크(411a)를 사용하고, 타방의 대각에 위치하는 버팀대 받이 부재(310)에 대해서는 안측의 후크(311b)를 사용함으로써 사각형 테두리 구조에 버팀대(430a, 430b)와의 접촉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버팀대 받이 부재(410)에 의하면 용이하게 버팀대(330a, 330b)를 사각형 테두리 구조에 장착될 뿐만 아니라, X자 모양으로 사용되는 한 쌍의 버팀대(430a, 430b)의 위치 결정을 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하는 사람의 기량에 좌우되지 않고 충분한 강도가 발휘된다.
또, 도 37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버팀대 받이 부재(410)는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413), 편(片)(412), U자 형상의 개방부(416)를 더 구비하는 구성이다. 구멍(413)에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관통시켜 폴 등에 고정할 수가 있다. 편(412)은, 예를 들면, 버팀대 받이 부재(410)를 고정하는 폴의 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편(412)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미리 형성해 둠으로써, 폴에 고정하는 위치 즉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 U자 형상의 개방부(416)를 동 도에 나타내듯이 베이스 플레이트(415)의 긴 방향 상부에 형성함으로써, 버팀대 받이 부재(41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후크(411a 및 411b)의 선단 방향과 상기 U자 형상의 개방부(416)가 형성되는 위치를 일치시킴으로써, 개방부(416)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버팀대 받이 부재(410의 방향, 즉 후크(411a, 411b)의 방향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도 38은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버팀대 받이 부재(410)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8(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A-A단면도이다. (a) 및 (b)에 나타내듯이 후크(411a 및 411b)는 소정의 간격(d)을 가지고 베이스 플레이트(415) 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간격(d)은 버팀대(430a, 430b)의 직경보다 큰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값으로 함으로써 버팀대(430a)와 버팀대(430b)의 접촉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후크(411a, 411b)의 형상에 대해서 보면, (b)에 나타내듯이 베이스 플레이트(415) 상에 설치된 기부(411a1)와, 상기 기부(411a1)로부터 선단부(411a3)에 걸쳐 구부러지는 굴곡부(411a2)를 구비하고, 상기 기부(411a1)와 상기 선단부(411a3)의 사이에는 굴곡부(411a2)를 향하여 개방부(411a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후크(411a, 411b)와 베이스 플레이트(415)를 체결 부재(414)를 이용하여 결합하고, 체결 부재(414)의 배부(背部)를 베이스 플레이트(415)의 이면보다 돌출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버팀대 받이 부재(410)를 고정하는 폴의 표면에 상기 체결 부재(414)의 배부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미리 형성해 둠으로써, 편(412)과 아울러 폴에의 위치 결정이 보다 정확하게 행해질 수가 있다.
도 39는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버팀대 접속 부재(420a, 420b)를 나타내는 도이다. (a)는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버팀대 접속 부재(420a, 420b)의 사시도, (b)는 단면도이다. (a)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버팀대 접속 부재(420a, 420b)는 버팀대 받이 부재(410)의 후크(411a, 411b)와 접속하기 위한 걸림부(421)와, 버팀대(430a, 430b)와 접속하고, 버팀대(430a, 430b)의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 조정부(423)를 구비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한 쌍의 판 형상 부재(422a, 422b)의 사이에 봉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걸림부(421)를 상기 판 형상 부재(422a, 422b)와 직각으로 결합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 (b)에 나타내듯이 길이 조정부(423)는 버팀대(430a, 430b)의 양단의 표면에 형성된 나선홈(결합부)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멍의 내측면에 상기 버팀대(430a, 430b)의 양단의 표면에 형성된 나선홈에 대응하는 나선홈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버팀대(430a, 430b)와 버팀대 접속 부재(420a, 420b)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버팀대(430a, 430b)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길이 조정부(423)에 형성되는 나선홈은 버팀대(430a, 430b)의 양단의 표면에 형성된 나선홈이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대응시키기 위해서, 버팀대 접속 부재(430a와 430b)에서는 다른 방향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버팀대 구조(5)를 도 1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1)에 적용한 경우의 버팀대 구조(5)의 확대도를 도 40에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버팀대 구조(5)는 사무실의 공간 구조체(1)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공간 구조체(1)에 이용함으로써 당해 공간 구조체(1)의 보강 효과를 발휘한다. 또,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버팀대 받이 부재(410)의 후크(411a, 411b)에 각각 버팀대(430a, 430b)를 버팀대 접속 부재(420a, 420b)를 개재하여 접속함으로써, 버팀대(430a, 430b)가 접촉하지 않고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36, 도 37 및 도 40에 근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버팀대 구조(5)의 조립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폴(2a, 2g)의 표면에 버팀대 받이 부재(410)를 4기 고정한다. 폴(2a, 2g)의 표면에는 미리 편(412)(도 37 참조)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편(412)을 상기 홈에 끼워맞춤으로써 용이하게 위치 결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폴(2a, 2g)에의 고정은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이용할 수가 있다. 버팀대 받이 부재(410)의 폴로의 고정 방향은, 폴(2a, 2g)의 상측에 고정하는 버팀대 받이 부재(410)는 후크의 선단 방향을 위를 향하여 고정하고, 폴의 하측에 고정하는 버팀대 받이 부재(410)는 후크의 선단 방향을 아래를 향하여 고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대각 즉 버팀대(430a, 430b)의 양단에서 버팀대 받이 부재(410)를 상하 역방향으로 하여 폴(2a, 2g)에 고정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버팀대 받이 부재(410)는 개방부(41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하의 방향을 개방부(416)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버팀대 받이 부재(410)의 폴(2a, 2g)에의 고정이 완료되면, 다음에 버팀대(430a, 430b)를 버팀대 받이 부재(410)에 접속한다. X자 모양으로 배치하는 버팀대(430a, 430b) 중, 지면 안측에 배치되는 버팀대(430b)의 일단을 지면 좌상의 버팀대 받이 부재(410)의 후크(411b)에, 타단을 지면 우하의 버팀대 받이 부재(410)의 후크(411b)에, 각각 버팀대 접속 부재(420a, 420b)의 걸림부(421)를 개재하여 접속한다. 버팀대(430b)의 접속이 완료 후, 지면 앞측의 버팀대(430a)를 같은 순서에 의하여 접속한다. 또한, 미리 대각선상의 후크 간의 거리보다 상기 버팀대 접속 부재(420a, 420b)를 포함한 버팀대(430a, 430b)의 길이를 길쭉하게 설정해 두고, 상기 버팀대(430a, 430b)의 양단에 접속된 상기 버팀대 접속 부재(420a, 420b)의 걸림부(421)를 후크(411a, 411b)에 건 상태로, 버팀대(430a, 430b)와 상기 버팀대 접속 부재(420a, 420b)를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짧게 하여 폴(2a, 2g)을 가지는 사각형 테두리 구조의 보강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적당한 길이로 조정한다. 이와 같이 매우 간이한 공정으로, 버팀대(430a) 및 버팀대(430b)가 접촉하지 않음과 아울러 충분한 보강 효과를 구비하는 버팀대 구조(5)를 조립할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관계되는 버팀대 받이 부재, 버팀대 접속 부재, 및 이들을 이용한 버팀대 구조는 이들에 한정하지 않고, 가능한 한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가 있다.
<실시예 3>
다음에, 실시예 1에서 나타내어진 공간 구조체(1)의 폴(2)이나 빔(3)에 대한, 스크린(8)이나 유리 등의 판 형상의 패널의 연결인 평판 고정 장치를 이용한 연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1은 평판 고정 장치를 폴(2)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2는 평판 고정 장치를 폴(2)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1에 나타내듯이, 평판 고정 장치는 평판 보유 부재(510)와, 폴(2)에 고정된 브래킷(90)과, 상기 평판 보유 부재(510)와 상기 브래킷(90)의 사이에 접속된 어드저스터(530)에 의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평판으로서 유리 패널(540)을 이용하고, 유리 패널(540)은 평판 보유 부재(510)에 의하여 보유되어 있다. 평판 보유 부재(510)는 어드저스터(530)에 접속되고, 어드저스터(530)는 브래킷(9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90)은 폴(2)의 양 횡면에 각각 접속되고, 2매의 유리 패널(540)은 폴(2)의 전면에 있어서 횡방향 단부끼리가 인접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 도 42에 나타내듯이, 평판 보유 부재(510)는 표면 플레이트(92)와 이면 플레이트(91)에 의하여 구성되고, 유리 패널(540)을 상기 양 패널로 끼워넣도록 보유하고 있다. 평판 보유 부재(510)를 구성하는 이면 플레이트(91)에는 볼트를 관통시켜 어드저스터(530)와 접속하기 위한 관통공이 복수 형성되어 있고, 볼트를 관통시키는 관통공을 변경함으로써 어드저스터(530)와의 접속 위치를 변경할 수가 있다. 이면 플레이트(91)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관통공은 본 발명의 조정 수단에 상당하는 것이다.
이 평판 고정 장치에 의하면, 이면 플레이트(91)와 어드저스터(530)의 접속 위치 및 상기 어드저스터(530)의 축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폴(2)에 고정되는 브래킷(90)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유리 패널(540)의 고정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면 플레이트(91)와 어드저스터(530)의 접속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유리 패널(540)의 횡방향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가 있다. 또, 어드저스터(530)의 축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유리 패널(540)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가 있다.
다음에 평판 고정 장치를 구성하는 평판 보유 부재(510), 브래킷(90), 어드저스터(530)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3은 평판 보유 부재(510)를 구성하는 표면 플레이트(92)를 나타내는 도이다. (a)는 표면 플레이트(92)의 정면도, (b)는 표면 플레이트(92)의 배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B-B단면도이다. (a)에 나타내듯이, 표면 플레이트(92)는 긴 방향 중심선 부근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체결 부재인 나사를 관통시켜 유리 패널(540)과 고정하기 위한 구멍(512)이 2개 형성되어 있다. 또, 표면 플레이트(92)의 일방의 단부는 반원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횡방향의 방향을 용이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3(b), (c)에 나타내듯이, 표면 플레이트(92)의 배면에는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표면 플레이트(92)의 경량화 및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구멍(512)에 삽입하는 나사의 두부가 표면 플레이트(92)의 표면보다 돌출하지 않도록 나사의 두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두부용 구멍(512a)을 형성하였다.
도 44는 평판 보유 부재(510)를 구성하는 이면 플레이트(91)를 나타내는 도이다. (a)는 이면 플레이트(91)의 정면도, (b)는 이면 플레이트(91)의 배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C-C단면도이다. 또한, (a)는 이면 플레이트(91)의 정면도이지만, 이는 바꾸어 말하면 유리 패널(540)과 접하는 면측을 나타내는 도이다. (a)에 나타내듯이, 이면 플레이트(91)는 전술한 표면 플레이트(92)에 대응하는 위치에 유리 패널(540)을 끼워넣어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구멍(512)이 2개 형성되어 있다. 또, 관통공(514a, 514b, 514c)은 볼트를 이용하여 어드저스터(530)와 접속하기 위한 구멍임과 아울러 본 발명에 관계되는 조정 수단에 상당하는 것이다. 즉, 관통공(514a)을 어드저스터(530)와의 접속 위치에 설정한 경우에는, 폴(2)의 전면에서 유리 패널(540)의 횡방향 단부끼리가 인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도 41 참조). 또, 관통공(514b)을 어드저스터(530)와의 접속 위치에 설정한 경우에는, 폴(2)의 횡방향으로 유리 패널(540)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도 49(a) 참조). 또, 관통공(514c)은 관통공(514b)보다도 더 폴(2)의 횡방향, 즉 유리 패널(540)의 단부(d)끼리의 간격을 보다 넓게 설정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정 수단에 상당하는 관통공(514a, 514b, 514c)의 설정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유리 패널(540)의 횡방향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가 있다. 이는, 예를 들면 기둥 전면에 다른 부재를 설치하는 경우 등에 매우 유효하다. 즉, 설계 당초에 있어서 유리 패널(540)의 횡방향 단부를 인접하여 1매의 벽 형상으로 하고 있었지만, 후의 사정에 의하여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등을 기둥으로 설치하고 싶은 경우 등에 유효하다.
또, 이면 플레이트(91)에는, 유리 패널(540)을 관통하여 유리 패널(540)을 지지하기 위한 볼록부(515a, 515b, 515c, 515d)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유리 패널(540)에도 상기 볼록부(515a, 515b, 515c, 515d)에 대응하는 구멍을 설치하고, 표면 플레이트(92)로 끼워넣어 유리 패널(540)을 보유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면 플레이트(91)에의 가중 부담을 분산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볼록부(515a, 515b, 515c, 515d)는 대략 사각형으로 하고, 높이(h)는 유리 패널(540)의 두께에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면 플레이트(91)에는 오목부(518)를 복수 형성하였다. 이에 의하여 이면 플레이트(91)의 경량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강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44(b)는 이면 플레이트(91)의 배면도이고, (c)는 (a)의 C-C단면도이다. 동 도에 나타내듯이, 유리 패널(540)과 고정하기 위한 구멍(512)과 볼트를 이용하여 어드저스터(530)와 접속하기 위한 관통공(514a, 514b, 514c)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어드저스터(530)의 접속면에 형성된 볼록부(532)의 폭과 높이에 대응하는 홈부(519)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홈부(519)와 어드저스터(530)의 볼록부(532)를 접합할 때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게 된다. 또, 접속 후에 있어서는 어드저스터(53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c)에 나타내듯이 구멍부(91a1~91c1)를 관통공(91a~91c)의 각각에 설치함으로써 볼트의 두부 또는 너트를 구멍부에 수납할 수가 있다.
도 45는 브래킷(90) 및 어드저스터(5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6은 브래킷(90)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이고, 도 47은 어드저스터(530)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 46 및 도 47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46(a)는 정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D-D단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지면 좌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또 도 47(a)는 상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45(a)에 나타내듯이, 브래킷(90)은 폴(2)에 고정하는 고정부(523)와, 어드저스터(530)와 접속하는 접속부(521)와, 고정부(523)와 접속부(521)의 사이에 형성되는 암부(522)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또, 도 46(a), (b)에 나타내듯이, 브래킷(90)의 암부(522)와 접속부(521)를 T자 구성으로 하고, 암부(522)를 축으로 하여 그 선단에 접속되는 접속부(521)를 좌우 대조 구조로 하고, 또한 암부(522)에 접속되는 고정부(523)도 암부(522를 축으로 하여 상하 대조 구조로 함으로써, 폴(2)에 접속할 때의 방향에 관계없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고정부(523)에는, 폴(2)에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관통시켜 고정하기 위한 구멍(525)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접속부(521)에는 볼트를 관통시켜 어드저스터(530)와 접속하기 위한 구멍(526)과 어드저스터(530)의 접속면에 형성된 볼록부(532)와 끼워맞추기 위한 오목부(524)가 4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양 접속면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연결시켜 관통공으로 하였다. 또, 접속부(521)는 다른 부재에 접속할 수도 있다. 다른 부재에는, 예를 들면 빔이 예시되고, 이 경우에는 빔의 접속 단면에 오목부(524)에 대응하는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빔 등의 다른 부재와의 접속도 가능하게 된다.
또, 도 46(a), (c)에 나타내듯이, 고정부(523)에 볼록부(527)를 형성하고 있다. 폴(2)의 수직 방향 또는/및 수평 방향에 볼록부(527)에 대응하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폴(2)에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6(c)의 부호 529는 오목부이고, 이에 의하여 고정부(523)의 경량화 및 강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45(b)에 나타내듯이, 어드저스터(530)는 축 길이(D)로 이루어지는 어드저스터 본체(531a)로 이루어지고, 어드저스터 본체(531a)의 중심축 주위에는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삽입하여 이면 플레이트(91)와 접속하기 위한 구멍(53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어드저스터 본체(531a)의 접속면에는 브래킷(90)의 접속부(521) 및 이면 플레이트(91)의 홈부(519)와 끼워맞추기 위한 볼록부(532)가 형성되어 있고, 접속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게 된다.
어드저스터(530)의 축 길이(D)를 바꿈으로써 유리 패널(540)의 전후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축 길이(D)의 값을 이면 플레이트(91)의 어드저스터(530)와의 접속면으로부터 브래킷(90의 어드저스터(530)와의 접속면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하였다. 이에 의하여 폴(2)의 전면에 유리 패널(540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평판 고정 장치의 다른 형상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미 설명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8은 본 태양에 있어서의 평판 고정 장치를 설명하는 도이다. (a)는 평판 고정 장치를 폴(2)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a)의 상면도, (c)는 어드저스터(5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미 설명한 평판 고정 장치와 다른 점은 유리 패널(540)의 고정 위치이다. 즉, 앞의 형상에서는 폴(2)의 전면에 있어서 유리 패널(540)의 횡방향 단부가 인접하도록 고정되어 있었지만, 본 태양에서는 폴(2)의 횡방향에 유리 패널(540)이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다른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폴(2)의 전면에 다른 부재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앞의 형상에서는 폴(2)의 최전면보다 유리 패널의 전면이 돌출하고 있지만, 본 태양에서는 폴(2)의 최전면과 유리 패널(540의 전면을 대략 동일한 위치로 수납할 수가 있고, 유리 패널(540)로 분할되는 한정된 공간 스페이스의 유효 활용이 도모될 수가 있다. 
유리 패널(540)의 고정 위치를 폴(2)의 횡방향으로 하기 위하여, 본 태양에서는, 어드저스터(530)의 축 길이를 앞의 태양보다도 짧게 함과 아울러 어드저스터(530)와 이면 플레이트(91)의 접속 위치를 폴(2) 쪽으로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면 플레이트(91)에 있어서는 관통공(514b)을 사용하고, 어드저스터(530)의 축 길이(D)가 이면 플레이트(91)의 어드저스터(530)와의 접속면으로부터 브래킷(90)의 어드저스터(530)와의 접속면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은 것인, 어드저스터 본체(531b)로 이루어지는 어드저스터(530)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미리 축 길이가 결정되어 있는 어드저스터(530)를 복수 준비하고, 평판 보유 부재(510)의 조정 수단이 채용하는 고정 위치와 조합함으로써, 유리 패널(540)의 고정 위치를 브래킷(90)의 고정 위치를 바꾸지 않고 변경할 수가 있다.
다음에, 도 49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 관계되는 평판 고정 장치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49는 앞의 태양에 관계되는 평판 고정 장치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폴(2)의 횡면의 각각 브래킷(90)을 소정의 높이로 고정한다. 또한, 평판 고정 장치는 폴(2)에 고정된 브래킷(90)의 고정 위치 및 폴(2) 그것을 이동시키지 않고 유리 패널(540)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은 브래킷(90)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물론 브래킷(90)의 고정 위치를 바꿈으로써 유리 패널(540)의 상하 방향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유리 패널(540)의 상단 각부에 표면 플레이트(92)와 이면 플레이트(91)로 유리 패널(540)을 끼워넣도록 나사(505)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다음에 이면 플레이트(91)와 브래킷(90)의 접속부(521)의 사이에 어드저스터(530)를 배치하여 볼트(507)를 각각의 부재를 관통시켜 고정하고, 캡(cap)(508)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면 플레이트의 관통공은 (14a)를 선택하고, 어드저스터(530)로서는 어드저스터 본체(531a)를 사용한다. 이에 의하여, 유리 패널(540)이 폴(2)의 전면에 있어서 유리 패널(540)의 횡방향 단부가 인접하도록 배치할 수가 있다(도 41 참조). 또, 본 실시예에서는 지면 안측으로부터 두부가 없는 특수 볼트(507)를 삽입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면 플레이트(91)의 유리 패널(540)과 접하는 면측(지면 앞측)보다, 관통공(514a)에 볼트(507)를 삽입하여 고정하여도 좋다.
다음에 유리 패널(540)의 고정 위치를 폴(2)의 횡방향으로 변경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볼트(507)를 떼어내어 이면 플레이트(91)와 어드저스터(530)와 브래킷(90)을 각각 분리한다. 다음에, 이면 플레이트의 관통공으로서 514b를 선택하고, 어드저스터(530)는 어드저스터 본체(531b)를 선택한다. 그리고 이면 플레이트(91)와 브래킷(90)의 접속부(521)의 사이에 어드저스터(530)을 배치하여 볼트(507)를 각각의 부재를 관통시켜 재차 고정한다. 이와 같이 매우 간이한 공정에 의하여 유리 패널의 고정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면 플레이트(91)의 유리 패널(540)과 접하는 면측으로부터 볼트(507)를 삽입하고 고정하는 경우에는, 이면 플레이트(91)를 일단 유리 패널(540)로부터 떼어내고, 볼트(507)를 관통공(514b)에 삽입하여 어드저스터(530)을 개재하여 브래킷(90)과 고정하고, 최후에 유리 패널(540)과 재차 고정하면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관계되는 평판 고정 장치는 이들에 한정하지 않고, 가능한 한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이상으로부터, 정보 기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새로운 정보 기기의 등장이나 그 정보 기기의 갱신 등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용이하게 새로운 공간 구조체를 설계 가능하게 된다.

Claims (4)

  1. 단면에 있어서 내벽으로 둘러싸이고 일부에 개구부를 가지는 홈 내를, 당해 홈을 따라 임의의 위치로 이동 가능, 또한 당해 위치에 고정 가능한 슬라이드 연결 장치로서,
    외부 부재와의 연결을 행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와는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홈 내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기 개구부 근방의 내벽으로 힘을 가하는 부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가 상기 부세 부재에 의해 밀어붙여질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부재와 연결 가능한 상태에 있고,
    상기 부세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힘을 발생시키는 부세부와,
    상기 부세부로부터 상기 개구부측으로 돌출한 제1돌기부와,
    상기 부세부로부터 상기 개구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홈의 안측으로 돌출한 제2돌기부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 부재가 상기 부세부의 상기 제1돌기부측에 위치할 때, 당해 부세부에 의해 당해 베이스 부재에 힘이 미쳐지고,
    상기 베이스 부재가 상기 제1돌기부측의 부세 위치로부터 벗어날 때, 당해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2돌기부에 의해 상기 홈 내에서의 이동이 제한되면서 당해 홈 내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되고,
    상기 홈은 개구부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고, 상기 부세 부재가 윤곽 형상이며, 상기 홈 내에 배치되는 상기 부세 부재 상방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를 배치하면 상기 홈 내에서 상기 부세 부재는 상기 홈 안쪽으로 밀어넣어지게 되면서 상기 부세 부재의 부세부가 휘어져 상기 베이스 부재를 상기 개구부에 인접한 벽면으로 밀어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가 상기 부세부의 상기 제1돌기부측에 위치할 때, 당해 제1돌기부측에 위치하지 않을 때와 비교하여 상기 홈 내에서 휘어짐으로써, 상기 베이스 부재에 힘을 미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연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부는, 상기 홈의 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부세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돌기부와 반대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연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슬라이드 연결 장치에 의해, 마루로부터 상방으로 뻗어 있는 기둥 형상체와 당해 마루에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횡들보체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공간 구조체로서,
    상기 기둥 형상체는, 그 축심 방향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당해 축심 방향을 따라 뻗어 있고 또한 당해 기둥 형상체의 단면에 있어서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 장치가 이동 가능한 기둥 형상체 홈부를 하나 또는 복수 가지고,
    상기 횡들보체는, 그 축심 방향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당해 축심 방향을 따라 뻗어 있고 또한 당해 횡들보체의 단면에 있어서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 장치가 이동 가능한 횡들보체 홈부를 하나 또는 복수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구조체.
KR1020137009125A 2005-11-11 2006-04-18 슬라이드 연결 장치 KR101341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328118 2005-11-11
JP2005328118A JP4263187B2 (ja) 2005-11-11 2005-11-11 平板固定装置
JP2005328123A JP4457068B2 (ja) 2005-11-11 2005-11-11 スライド連結装置
JP2005328113A JP4332148B2 (ja) 2005-11-11 2005-11-11 空間構造体
JP2005328147A JP4351669B2 (ja) 2005-11-11 2005-11-11 ブレース構造、ブレース受部材、ブレース接続部材
JPJP-P-2005-328113 2005-11-11
JPJP-P-2005-328147 2005-11-11
JPJP-P-2005-328123 2005-11-11
PCT/JP2006/308125 WO2007055039A1 (ja) 2005-11-11 2006-04-18 空間構造体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482A Division KR101354891B1 (ko) 2005-11-11 2006-04-18 공간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008A KR20130051008A (ko) 2013-05-16
KR101341285B1 true KR101341285B1 (ko) 2013-12-12

Family

ID=3802304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126A KR101283305B1 (ko) 2005-11-11 2006-04-18 버팀대 구조, 버팀대 받이 부재, 버팀대 접속 부재
KR1020137009127A KR101341315B1 (ko) 2005-11-11 2006-04-18 평판 고정 장치
KR1020137009125A KR101341285B1 (ko) 2005-11-11 2006-04-18 슬라이드 연결 장치
KR1020067023482A KR101354891B1 (ko) 2005-11-11 2006-04-18 공간 구조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126A KR101283305B1 (ko) 2005-11-11 2006-04-18 버팀대 구조, 버팀대 받이 부재, 버팀대 접속 부재
KR1020137009127A KR101341315B1 (ko) 2005-11-11 2006-04-18 평판 고정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482A KR101354891B1 (ko) 2005-11-11 2006-04-18 공간 구조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074415B2 (ko)
EP (1) EP1947264A4 (ko)
KR (4) KR101283305B1 (ko)
CN (2) CN102409765A (ko)
HK (1) HK1171798A1 (ko)
MY (1) MY144643A (ko)
TW (1) TWI381085B (ko)
WO (1) WO20070550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7829A1 (de) * 2006-02-02 2007-08-09 Proverum Ag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raumbereichen eines raumes
US8458961B2 (en) * 2008-10-21 2013-06-11 Great Lakes Air Systems, Inc. Modular work station with air collector
JP5435211B2 (ja) * 2009-04-08 2014-03-05 コスモンド株式会社 ユニットルームとその二段設置構造
US20110065370A1 (en) * 2009-09-11 2011-03-17 John Reid Air collector integration with workstation
DE102012103719B4 (de) * 2012-04-27 2014-08-14 Innovac Gmbh Berlin Metallische Rahmenstruktur, Bausatz für mobile Behausung, mobile Behausung und Hohlprofil
JP5991039B2 (ja) 2012-06-18 2016-09-14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および会議システム
CN104903521A (zh) * 2013-03-01 2015-09-09 株式会社内田洋行 梁的结合构件和结合装置
US9598852B2 (en) * 2014-03-21 2017-03-21 Murphy Reynolds O'NEAL Construction system
KR101575570B1 (ko) * 2015-04-15 2015-12-08 김나경 조립식 건물 구조체
AU364088S (en) * 2015-08-25 2015-09-11 Property Trading Group Pty Ltd Upper frame
GB2548623A (en) * 2016-03-24 2017-09-27 Hieta Tech Ltd Truss structure
CA2996509A1 (en) * 2016-06-10 2017-12-14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Inc. Angled wall connector bracket for a wall
EP3260395B1 (en) * 2016-11-09 2020-03-25 Interroll Holding AG Mounting device and carton flow bed
CN106759944A (zh) * 2016-12-13 2017-05-31 浙江远成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的耐久抗腐蚀精密节点构件
EP3568540A4 (en) * 2017-01-10 2020-09-09 Stephen Nicholas PERGOLA STRUCTURE AND SUPPORT
US10400449B2 (en) * 2017-01-30 2019-09-03 SkyPoint Ventures, LLC Partitioning system for temporary and flexible-use structures
KR101945223B1 (ko) * 2017-02-10 2019-02-07 주식회사 해광 이중 바닥 패널 지지용 구조물
WO2018169956A1 (en) * 2017-03-13 2018-09-20 Herman Miller, Inc. Subarchitectural office system
US10526786B2 (en) * 2017-03-23 2020-01-07 Harsoyo Lukito Cross-strut
USD862737S1 (en) * 2017-06-09 2019-10-08 Williams-Sonoma, Inc. Partition system
NO344517B1 (en) 2017-11-22 2020-01-20 Autostore Tech As Storage grid column
US10640969B2 (en) 2018-02-17 2020-05-05 BuildXGroup, Inc. Cube coupling joint
USD874679S1 (en) * 2018-02-28 2020-02-04 Attendance on Demand, Inc. Office alcove workspace
US11332933B2 (en) * 2018-03-23 2022-05-17 Harsoyo Lukito Cross-struts for beam assemblies
CH714909A1 (fr) * 2018-04-17 2019-10-31 Ustinov Igor Système de construction d'un module d'un bâtiment.
US10538913B2 (en) 2018-05-23 2020-01-21 Herman Miller, Inc. Connection assembly for an architectural structure
CN108999291A (zh) * 2018-08-06 2018-12-14 湖南城市学院 一种装配式建筑钢结构
NO20190567A1 (en) * 2019-05-03 2020-11-04 Autostore Tech As Storage system
NO20200118A1 (en) * 2020-01-31 2021-08-02 Autostore Tech As Automated storage system with framework mounted modular plate system and bracing arrangement and method of stabilizing a framework structure
US11629495B2 (en) 2020-09-18 2023-04-18 Wei-Jan Lin Modular framing structure design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CN112337867B (zh) * 2020-10-15 2021-10-22 合肥凌山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板组件的清理装置
CN112323975A (zh) * 2020-10-27 2021-02-05 广州建筑产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装配式钢混凝土的全螺栓承插式梁柱连接结构
CN115787852B (zh) * 2022-11-22 2023-09-05 中国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十字形支撑柱的刚接节点连接结构及其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1114A (ja) * 1999-12-21 2001-09-04 Masakatsu Oonishi 締付け固定具
JP2004084231A (ja) * 2002-08-26 2004-03-18 Kokuyo Co Ltd 仕切り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1625A (en) * 1961-12-27 1966-07-19 Reynolds Metals Co Joint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members in a partition construction
FR1435227A (fr) * 1965-03-16 1966-04-15 Dispositif d'assemblage et éléments pour l'exécution de panneaux, cloisons et constructions similaires
US3486287A (en) * 1967-09-23 1969-12-30 Massey Ferguson Ind Ltd Wall assembling device
DE1929175A1 (de) * 1969-06-09 1970-12-17 Rensch Eberhard Wand,insbesondere Trennwandsystem
US3837128A (en) * 1972-10-24 1974-09-24 Fleury T Partitioning system
USRE32890E (en) * 1984-08-15 1989-03-21 Herman Miller, Inc. Frame connector system
US4597231A (en) * 1984-10-22 1986-07-01 Quest Thomas A Angular cap for dressing and stabilizing office partitioning
JPS62225638A (ja) 1986-03-25 1987-10-03 庄司 久一 筋違部材
US5003741A (en) * 1988-06-20 1991-04-02 Yeh Kuo Huei Structure of multi-function frame members
US5155955A (en) * 1990-05-02 1992-10-20 Westinghouse Electric Corp. Frame based office space dividing system
JPH04128460A (ja) 1990-09-19 1992-04-28 Toshiro Suzuki 補剛構造部材
JPH078893Y2 (ja) * 1991-05-22 1995-03-06 株式会社アイエイアイ 締結装置
JP3213367B2 (ja) * 1992-03-02 2001-10-02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構造部材の連結機構
JPH0662013A (ja) 1992-08-10 1994-03-04 Fujitsu Ltd 通信状態監視方式
DE4323488A1 (de) * 1993-07-14 1995-01-19 Heinz Zerfas Montage-Elemente
US6223485B1 (en) * 1996-06-07 2001-05-01 Herman Miller, Inc. Wall panel system
JPH10102580A (ja) 1996-10-02 1998-04-21 Ribaasteel Kk ブレース
JPH10271649A (ja) * 1997-01-24 1998-10-09 Itoki Co Ltd オフィス空間における電源,信号ラインの取出装置
JP3935465B2 (ja) 1997-01-24 2007-06-20 株式会社イトーキ オフィス空間における電源,信号ラインの取出装置
JPH116368A (ja) * 1997-04-21 1999-01-12 Nippon Sheet Glass Co Ltd 板状体の支持構造
US6115977A (en) * 1998-09-11 2000-09-12 Krueger International, Inc. Knock-down panel partition system
JP3568397B2 (ja) * 1998-09-11 2004-09-22 ピルキントン ユナイテッド キングダム リミテッド ガラスパネル固定具
US6112472A (en) * 1998-09-14 2000-09-05 Steelcase Development Inc. Integrated furniture system including overhead framework system and partition system
DE19844028A1 (de) * 1998-09-25 2000-03-30 Preform Raumgliederungssysteme Trennwand
US6349516B1 (en) * 1999-06-04 2002-02-26 Haworth, Inc. Frame arrangement for a wall panel system
US6250032B1 (en) * 1999-06-04 2001-06-26 Haworth, Inc. Connector arrangement for adjacent panels
US6588711B2 (en) * 1999-12-21 2003-07-08 Masakatsu Onishi Fastening fixture
US6250025B1 (en) * 2000-05-04 2001-06-26 Greenwood, Inc. Assembleable columbarium tower
US6493995B2 (en) * 2000-08-21 2002-12-17 Mckenzie Alexander L. Modular exhibit panel and locking system
TW521801U (en) * 2001-08-23 2003-02-21 Yu-An Liu Jointing device for partitioning system
JP3954359B2 (ja) 2001-11-02 2007-08-08 株式会社岡村製作所 共有空間構造体
US6807776B2 (en) * 2002-03-29 2004-10-26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Building outfitting system with common accessory-mounting feature
JP2004060789A (ja) * 2002-07-30 2004-02-26 Asmo Co Ltd フレーム構造
JP2004293082A (ja) 2003-03-26 2004-10-21 E Haisen Corp 設備を使用するオフィス等の場所に設置されるポール
SE523116C2 (sv) * 2003-05-22 2004-03-30 Upglaze Hb Innerglasfäste
JP2005002580A (ja) * 2003-06-09 2005-01-06 Kanto Auto Works Ltd 半屋内空間を画成する組立構造
CN2665254Y (zh) * 2003-10-13 2004-12-22 深圳市三鑫特种玻璃技术股份有限公司 夹板式连接装置
JP2005171670A (ja) * 2003-12-12 2005-06-30 Nippon Sheet Glass Co Ltd 板ガラス固定構造
CN2727285Y (zh) * 2004-08-30 2005-09-21 方大集团股份有限公司 玻璃幕墙固定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1114A (ja) * 1999-12-21 2001-09-04 Masakatsu Oonishi 締付け固定具
JP2004084231A (ja) * 2002-08-26 2004-03-18 Kokuyo Co Ltd 仕切り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3305B1 (ko) 2013-07-12
CN102493551B (zh) 2014-09-03
KR20130051009A (ko) 2013-05-16
WO2007055039A1 (ja) 2007-05-18
TW200718843A (en) 2007-05-16
HK1171798A1 (en) 2013-04-05
KR101354891B1 (ko) 2014-01-22
KR20130051008A (ko) 2013-05-16
KR20130052642A (ko) 2013-05-22
EP1947264A1 (en) 2008-07-23
US20080110127A1 (en) 2008-05-15
US8074415B2 (en) 2011-12-13
EP1947264A4 (en) 2014-08-20
TWI381085B (zh) 2013-01-01
MY144643A (en) 2011-10-31
CN102493551A (zh) 2012-06-13
KR20080073378A (ko) 2008-08-11
CN102409765A (zh) 2012-04-11
KR101341315B1 (ko)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285B1 (ko) 슬라이드 연결 장치
KR101143762B1 (ko) 은폐형 도어 힌지
JP4967533B2 (ja) 薄型ディスプレイの壁掛け装置および壁掛け方法
JP4332148B2 (ja) 空間構造体
US20080036342A1 (en) Configurations and Methods for Modular Cabinetry
JPH0913801A (ja) 間仕切り用の開口枠の構造
KR102092858B1 (ko) 가구용 철재 프레임 연결구조
JP4457068B2 (ja) スライド連結装置
JP4798111B2 (ja) 補助壁の取付構造
JP3498647B2 (ja) 横架材の取付構造
JP2008121327A (ja) 現地製作型壁面収納家具及びその製作方法
JP5552556B1 (ja) 支柱の立設装置及びフレーム構造体
WO2009084261A1 (ja) 間仕切り装置
JP5079662B2 (ja) 空間構造体
JP5175114B2 (ja) 重量物固定用壁
JP4996218B2 (ja) パネル連結構造
KR101281978B1 (ko) 수납 유니트 및 수납 구조체
JP6299161B2 (ja) 耐震性間仕切装置におけるパネル板係止装置
KR200478537Y1 (ko) 평면 디스플레이장치의 월 지지시스템
JP6787767B2 (ja) 仕切ユニット
JP2002138693A (ja) 共有空間構造体におけるポールとフレーム部材の連結構造
JPH0343419B2 (ko)
JP2001292838A (ja) キャビネット構造
JP5437516B2 (ja) 表示装置
JP4847794B2 (ja) パネル連結構造、パネル連結方法および収容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