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978B1 - 수납 유니트 및 수납 구조체 - Google Patents

수납 유니트 및 수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978B1
KR101281978B1 KR1020067023483A KR20067023483A KR101281978B1 KR 101281978 B1 KR101281978 B1 KR 101281978B1 KR 1020067023483 A KR1020067023483 A KR 1020067023483A KR 20067023483 A KR20067023483 A KR 20067023483A KR 101281978 B1 KR101281978 B1 KR 101281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ertical
storage unit
pane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5711A (ko
Inventor
나오키 테라다
타카시 쿠니시타
히데키 타치카와
테쓰야 마쓰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우찌다요우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우찌다요우고우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우찌다요우고우
Publication of KR20080065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 A47B47/021Racks or shelf units
    • A47B47/025Racks or shelf units with panels connected together without three dimensional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25Uprights secured to ceiling and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66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with longitudinal gro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3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3Details of furniture, e.g. tables or shelves, associated with the part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9Partitions with screw-type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한 쌍의 수평 패널(61)과 한 쌍의 수직 패널(62)이 고리 형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사각형 형태의 수납 유니트(60)로서, 수평 패널(61)은, 당해 수평 패널(61)의 횡방향에 걸쳐서 수납 유니트가 조립해 넣어지는 구조체의 구조 부재의 일부가 끼워넣기 가능한 끼워넣기 홈(70)을 가지고, 또한 당해 수평 패널의 횡방향으로 뻗어 있는 홈으로서 당해 수평 패널 상을 덮는 수평 커버에 설치된 돌기부가 끼워넣기 가능한 위치맞춤 홈(71)을 가진다. 이에 의하여, 이용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수납 스페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수평 패널, 수직 패널, 수납 유니트, 돌기부, 수납 스페이스

Description

수납 유니트 및 수납 구조체{RECEIVING UNIT AND RECEIVING STRUCTURE BODY}
본 발명은 사무실이나 전시장 등에 있어서, 사용하는 정보 기기 등을 수납함과 아울러, 그 사무실 등의 규모 등에 따라 적절한 수납 스페이스(space)를 구축하기 위한 수납 유니트(unit), 및 당해 수납 유니트에 의하여 구성되는 수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 등에 있어서 많은 사람이 그 공간을 이용할 때의 편리를 위한, 여러가지 공간의 구축 방법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폴(pole)과 프레임(frame) 부재의 조합에 의하여, 견고하고 또한 사무실 등의 방에 손상을 주지 않는 공간 구조체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3-138771호 공보를 참조). 이 기술에 있어서는, 3개의 폴과 2개의 프레임 부재로 구성되고, 프레임 부재가 만드는 내각을 120°로 한 최소 공유 공간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또, 공간 구조체의 구축에 즈음하여, 유니트(unit)화된 건축물을 이용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3-41689호 공보를 참조). 이 유니트화된 건축물은, 일반적으로, 건물 본체의 대부분을 공장 생산하고, 시공 현장에서 기초 공사를 끝낸 후에, 트럭 등으로 건물 본체를 시공 현장에 반입하여, 기초로 연결 고정하고, 그런 후에, 필요한 창호 등을 끼워넣거나 마무리 공사를 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술에 있어서는, 유니트를 구성하는 벽면 패널(panel)에 미리 배선용의 덕트 스페이스(duct space)가 구획 형성되어 있다.
사무실 등에 설치되는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당해 사무실 내에서 사용하는 정보 기기 등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스페이스의 구축도 중요하다. 특히, 이 수납 스페이스는 당해 공간 구조체의 사용 목적 등에 따라서, 수납되는 대상물이 변동하기 때문에, 상시 일정한 채로는 이용자의 편의가 나빠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의 수납 스페이스의 구축에 즈음하여, 이용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수납 스페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당해 수납 스페이스용의 수납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수납 스페이스를 제공하는 수납 구조체를, 유니트화한 수납 유니트로 구성함과 아울러, 당해 수납 유니트를 개별의 4개의 패널(panel)로 형성한다. 그리고, 그 패널에, 수납 구조체를 구축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정의 목적을 가진 홈을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의하여, 수납 유니트의 조합에 의한 수납 구조체의 구축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그 조합을 임의의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한 쌍의 수평 패널과 한 쌍의 수직 패널이 고리 형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사각형 형태의 수납 유니트로서, 상기 수평 패널은 당해 수평 패널의 횡방향에 걸쳐서 상기 수납 유니트가 조립해 넣어지는 구조체의 구조 부재의 일부가 끼워넣기 가능한 끼워넣기 홈을 가지고, 또한 당해 수평 패널의 횡방향으로 뻗어 있는 홈으로서 당해 수평 패널 상을 덮는 수평 커버에 설치된 돌기부가 끼워넣기 가능한 위치맞춤 홈을 가진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수납 유니트는 공간 구조체 등에 있어서의 수납 대상물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구조체의 최소 단위이다. 따라서, 이 수납 유니트를 공간 구조체에서의 사용 목적 등의 임의의 목적에 따라 복수개 조합함으로써, 이용자의 용도에 따른 수납 구조체가 형성된다. 또한, 이 수납 유니트는 분리 가능한 4매의 패널(수평 패널 2매와 수직 패널 2매)로 구성되기 때문에, 수납 구조체를 구축하기 전의 단계에서는, 각 패널마다 보존함으로써 사전의 수용에 필요한 공간을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수평 패널에는, 끼워넣기 홈과 위치맞춤 홈의 2종류의 홈이 각각의 목적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넣기 홈은 공간 구조체(상기의 구조체)에 이 수납 유니트를 조립해 넣어 사용할 때, 이 수납 유니트를 지탱하기 위한 지주 등의 구조 부재가 끼워넣어지고, 그곳에 수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납 유니트는 이 구조 부재를 내부로 취해 넣도록 구축되어 수납 구조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수납 구조체의 강도를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구조 부재가 외부로부터 눈에 띄기 어려운 장소에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디자인성도 우수하다.
위치맞춤 홈은 수평 패널의 표면을 덮는 수평 커버가, 당해 수평 패널의 적절한 위치에 오도록 위치맞춤을 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즉, 수평 커버의 돌기부와 이 위치맞춤 홈에 의하여, 당해 수평 커버의 설치 위치가 결정된다. 이 수평 커버는 주로 수납 구조체의 외관의 디자인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 위치맞춤 홈은 수평 패널의 횡방향으로 뻗어 있는 홈이다. 이에 의하여, 수평 커버를 수평 패널에 장착할 때, 수평 커버의 돌기부를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하여 수평 패널에 장착할 수가 있으므로, 장착시의 취급이 보다 양호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의 수납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수평 패널은 상기 끼워넣기 홈에 평행이고 적어도 2개의 상기 위치맞춤 홈을 가지도록 하여도 좋다. 끼워넣기 홈과 위치맞춤 홈을 수평으로 설치함으로써, 수납 유니트를 수납 구조체에 장착한 후에서의 수평 커버의 위치맞춤을 작업자의 시각에 따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위치맞춤 홈을 적어도 2개 설치함으로써, 수평 패널에 대한 수평 커버의 위치가 보다 적확하게 결정된다.
상술까지의 수납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외부 부재와의 연결이 가능한 연결부를 가지는 경우, 상기 수직 패널은 수직 커버에 의하여 덮여지고 또한, 상기 외부 부재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됨으로써 당해 수직 커버가 당해 수평 커버에 연결된 상태로 당해 연결부를 가지는 돌기부가 상기 위치맞춤 홈 내에 끼워넣어지도록 하여도 좋다.
수직 패널도, 수평 패널과 마찬가지로 그 표면이 수직 커버에 의하여 덮여진다. 여기서, 수평 커버와 수직 커버를 연결할 때에, 위치맞춤용의 돌기부가 이용된다. 예를 들면, 외부 부재로서 나사가 예시되고, 이 나사를 이용하여 수평 커버와 수직 커버를 연결시킨다. 그리고, 이 연결된 부위를 위치맞춤 홈 내에 배치함으로써, 수평 커버를 기준으로 하여 양 커버를 각 패널 상에 장착함과 아울러, 커버의 연결 부위를 수납 구조체의 외부로부터 눈이 닿기 어려운 장소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수평 커버 및 수직 커버 설치시의 수납 유니트의 디자인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양 커버의 존재 의의가 저감되지 않는다.
상술까지의 수납 유니트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수납 유니트가 각각의 수직 패널이 대향하도록 늘어놓일 때, 그 수직 패널 간에 소정 폭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수납 유니트가 조합되어 수납 구조체를 구축할 경우에, 소정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당해 간극이 형성된다. 이 간극의 크기를 결정하는 소정 폭은 당해 간극에 부여되는 사용 목적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당해 간극을 수납 유니트에 수납하는 정보 기기의 전원 케이블이나 신호 케이블을 수납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들 케이블이 수납할 수 있는 정도의 소정 폭을 가지면 좋다. 또, 이 간극은 수직 패널과 수직 패널의 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당해 간극이 사용되고 있는 상황(예를 들면, 상술의 경우에 있어서의 수납된 케이블의 상황)은 수납 구조체의 외부로부터는 눈이 닿기 어려운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수평 커버 및 수직 커버 설치시의 수납 유니트의 디자인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양 커버의 존재 의의가 저감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술까지의 수납 유니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납 구조체로서, 상기 수납 유니트를 수평 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 및 수직 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 늘어놓음으로써 형성되는 수납 구조체로서, 적어도 최상단의 하나 또는 복수의 수납 유니트에는 공통되는 하나의 구조 부재가 각각의 상면의 수평 패널의 끼워넣기 홈에 조립해 넣어지고, 또한 최하단의 하나 또는 복수의 수납 유니트에는 공통되는 다른 구조 부재가 각각의 하면의 수평 패널의 끼워넣기 홈에 조립해 넣어지는 수납 구조체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납 구조체를 구성함으로써, 조합된 수납 유니트를 상기 하나의 구조 부재와 다른 구조 부재로, 상하로 꼭 끼운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구조 부재를 사이에 개재하여 수납 구조체가 구축되기 때문에, 그 조립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최상단과 최하단의 수납 유니트의 끼워넣기 홈에 대해서만이 아니고, 그 중간의 수납 유니트의 끼워넣기 홈에 대해서도, 지지하기 위한 구조 부재를 배치하여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수납 유니트가 조립해 넣어지는 공간 구조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수납 유니트가 조립해 넣어지는 공간 구조체를 구성하는 폴(pole)의 외관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수납 유니트가 조립해 넣어지는 공간 구조체를 구성하는 빔(beam)의 외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빔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수납 유니트가 조립해 넣어지는 공간 구조체를 구성하는 소빔의 외관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소빔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에 조립해 넣어지는 선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수납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수납 유니트의 상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수납 유니트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수납 유니트에 연결되는 수평 커버 및 수직 커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수납 유니트로 구성되는 수납 구조체의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수납 유니트로 구성되는 수납 구조체의 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수납 유니트가 사용되는 공간 구조체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공간 구조체(1)의 전체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공간 구조체(1)는 주로 복수의 기둥 형상체인 폴(pole)(2a~2j)(이하, 합쳐서 「폴(2)」이라고도 칭한다)과, 복수의 횡들보체인 빔(beam)(3a~3i)(이하, 합쳐서 「빔(3)」이라고도 칭한다), 소빔(4a~4c)(이하, 합쳐서 「소빔(4)」이 라고도 칭한다)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폴(2)은 마루면으로부터 연직 상방향으로 뻗어 있고 공간 구조체(1)를 지탱하는 것이고, 빔(3), 소빔(4)은 마루면에 수평으로 뻗어 있고 폴(2)끼리 또는 빔(3)끼리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1)는 사각형체를 하고 있고, 그 네 귀퉁이 및 장변의 중간 근방에 6개의 폴(2a~2f)을 가진다. 그리고, 이들 폴(2a~2f)의 정수리부가 7개의 빔(3a~3g)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1 앞의 폴(2a)과 대향하도록 폴(2g)이 설치되고, 당해 폴(2a)과 폴(2g)의 사이에 버팀대(5)가 쳐져 있다. 이 폴(2g)은 빔(3a)의 도중에 접속된다. 또, 폴(2a)과 폴(2g)의 하부에 있어서 마루면에 수평으로 뻗어 있는 소빔(4a)이 접속되어 있다. 이 소빔(4a), 폴(2a, 2g), 빔(3), 버팀대(5)에 의하여, 공간 구조체(1)의 강도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폴(2e)과 대향하도록 폴(2h)이 설치된다. 이 폴(2h)은 빔(3b)의 도중에 접속된다. 그리고, 폴(2e)과 폴(2h)의 사이에 2개의 소빔(4b)이 접속되고, 소빔(4b)과 폴(2e, 2h)로 둘러싸인 공간에 선반(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폴(2c, 2d)과의 사이에 빔(3d)의 도중에 접속되는 폴(2i, 2j)이 2개 설치된다. 그리고, 폴(2c, 2i, 2j, 2d)의 하부에 있어서, 각각의 사이를 소빔(4c)에 의하여 접속한다. 또, 폴(2i, 2j)의 사이에는 스크린(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크린(7)은 빔(3g)에 매달려 설치되는 프로젝터(8)의 투영면이다. 또한, 이 프로젝터(8)의 중량에 의한 빔(3g)에의 부하를 고려하여, 보강을 위해서 빔(3g)과 빔(3d)의 사이에 빔(3h, 3i)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프로젝터(8)에의 신호는 선반(6)에 수납된 컴퓨터로부터 주어진다.
이와 같이 공간 구조체(1)는 컴퓨터나 프로젝터(8) 등의 정보 기기가 조립해 넣어져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폴, 빔, 소빔을 조합함으로써 구성되는 구조체이다. 따라서, 이 공간 구조체(1)는 도 1에 나타내는 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각각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계된다. 이하에, 폴, 빔, 소빔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폴(2)의 설명을 도 2 및 도 3에 근거하여 한다. 도 2는 폴(2)의 외관도이고, 도 3은 폴(2)의 단면도이다. 폴(2)은 그 단면에 있어서 균등하게 4분할된 형상을 가진다. 중심부(20)로부터 사방으로 방사상으로 격벽(21)이 뻗어 있고, 폴(4)의 단면에 있어서의 정방형의 정점(P)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나의 정점(P)으로부터 인접하는 정점(P)을 향하여 벽면(22)이 뻗어 있다. 하나의 정점(P)으로부터 뻗어 있는 벽면(22)과, 그에 인접하는 다른 정점(P)으로부터 뻗어 있는 벽면(22)은 양 정점(P)의 중간 전까지 뻗어 있고 양자는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대향하는 벽면(22, 22)(이하, 「한 쌍의 벽면(22)」이라고 칭한다)과의 사이에는 개구부(23)가 형성된다. 또, 한 쌍의 벽면(22)과 격벽(21)과 중심부(20)에 의하여 홈부(24)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부(23) 및 홈부(24)는 도 2에 나타내듯이 폴(2)의 축심 방향으로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뻗어 있다.
또한, 폴(2)의 단면의 각 정점(P)에 있어서, 각 정점(P)으로부터 폴(2)의 바깥 방향으로 뻗어 나가고, 당해 정점(P)에 연결되는 2개의 벽면(22)에 각각 직교하는 2개의 외벽면(25)이 설치되어 있다. 그 결과, 하나의 정점(P)으로부터 뻗어 나 가는 외벽면(25)과, 그에 인접하는 다른 정점(P)으로부터 뻗어 나가는 외벽면(25)은 대향한다. 그리고, 이 대향하는 외벽면(25)과, 이들과 연결되는 한 쌍의 벽면(22)에 의하여, 폴(2)의 표면상에 반폐공간인 배선용 홈부(26)가 형성된다. 이 배선용 홈부(26)에는, 공간 구조체(1)로 사용되는 정보 기기의 전원 케이블이나 신호 케이블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배선용 홈부(26)에 케이블을 수납하면 외관의 디자인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도 3에 나타내는 배선 커버를, 배선용 홈부(26)를 덮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다음에, 빔(3)의 설명을 도 4 및 도 5에 근거하여 한다. 도 4는 빔(3)의 외관도이고, 도 5는 빔(3)의 단면도이다. 빔(3)의 단면 형상은 폴(2)의 단면 형상과 거의 동일하다. 빔(3)의 중심부(30), 격벽(31), 벽면(32)(한 쌍의 벽면(32)), 개구부(33), 홈부(34), 정점(Q)은, 폴(2)의 중심부(20), 격벽(21), 벽면(22)(한 쌍의 벽면(22)), 개구부(23), 홈부(24), 정점(P)에 각각 대응하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빔(3)에 있어서는, 공간 구조체(1)에서 사용되는 정보 기기의 전원 케이블이나 신호 케이블을 수납하기 위한 배선용 홈부의 구성이 폴(2)의 경우와 다르다. 빔(3)에서는, 도 5에 나타내듯이, 연직 상방향 및 연직 하방향의 2방향에만 배선용 홈부(36, 38)가 형성된다. 여기서, 연직 상방향의 배선용 홈부(36)를 구성하는 외벽면(35)의 높이(정점(Q)로부터의 외벽면(35)의 높이)는 연직 하방향의 배선용 홈부(38)를 구성하는 외벽면(37)의 높이(정점(Q)로부터의 외벽면(37)의 높이)보다 높게 설계되어 있다. 이는 빔(3)이 공간 구조체(1)에 조립해 넣어질 때, 배선용 홈 부(36)는 연직 상방향으로 개구하므로 보다 많은 케이블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물론, 연직 하방향의 배선용 홈부(38)에도 케이블을 수납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외관의 디자인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그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배선 커버를, 배선용 홈부(38)를 덮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빔(3)의 수평 방향의 표면에는, 외벽면(35, 37)에 상당하는 벽면은 설치되지 않고, 배선용 홈부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음에, 소빔(4)의 설명을 도 6 및 도 7에 근거하여 한다. 도 6은 소빔(4)의 외관도이고, 도 7은 소빔(4)의 단면도이다. 소빔(4)의 단면 형상은 빔(3)의 횡방향은 동일하고 그 종방향을 압축한 것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빔(3)에 비하여 박형의 빔이다. 소빔(4)의 중심부(40), 격벽(41), 벽면(42)(한 쌍의 벽면(42)), 개구부(43, 홈부(44, 정점(R)은, 빔(3)의 중심부(30), 격벽(31), 벽면(32)(한 쌍의 벽면(32)), 개구부(33), 홈부(34), 정점(Q)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소빔(4)에 있어서는, 상기의 배선용 홈부(26, 36, 38)에 상당하는 공간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 부재인 폴(2), 빔(3), 소빔(4)에 의하여 구성되는 공간 구조체(1)가 가지는 선반(6)은 당해 공간 구조체(1)에서 사용되는 정보 기기나 그 외의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스페이스(space), 즉 수납 구조체이다. 도 8에 선반(6)을 상세히 나타낸다. 선반(6)은 마루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뻗어 있는 2개의 폴(2)과 당해 폴(2)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2개의 소빔(4)(하측의 소빔(4)은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각형체의 공간에, 횡으로 2개, 종으로 3개 합계 6개의 수납 유니트(60)가 조립해 넣어짐으로써 형성된다. 각 수납 유니트(60)는 각각 동일한 치수 형상을 가지는 유니트이다.
도 9에 수납 유니트(6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다. 수납 유니트(60)는 한 쌍의 수평 패널(61)을 대향하도록 또한 한 쌍의 수직 패널(62)을 대향하도록, 각각 고리 형상으로 또한 사각형체 형상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또한, 수납 유니트(60의 전면에는, 여러가지 장식 목적을 가지는 프레임(63)(63a, 63b, 63c)이 설치된다. 프레임(63a)은 수납 유니트(60)를 통상의 수납 스페이스로서 사용할 때의 프레임이고, 프레임(63b)은 수납 유니트(60) 내에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를 수납할 때의 편광판이 조립해 넣어진 프레임이고, 프레임(63c)은 수납 유니트(60) 내에 수납하는 수납 대상물에 조명을 부여할 수 있도록 조명 장치가 조립해 넣어진 프레임이다. 이들 프레임 및 그 이외의 프레임이 선택적으로 수납 유니트(60)의 전면에 장착된다.
또, 수직 패널(62)에 대해서도, 도 9 중에 도시되어 있는 구멍 열림 수직 패널(62a)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 구멍 열림 수직 패널(62a)은 복수개의 관통공(62b)을 가지고 있고, 수납 유니트(60)가 조립된 때, 관통공(62b)에 의하여 그 내부와 외부가 연결된다. 따라서, 수납 유니트(60) 내에 프로젝터(8)용의 PC 등을 수납할 때, 그 전원 케이블이나 신호 케이블을, 외관을 해치지 않고 내부에서 외부로 배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수납 유니트(60)의 배면에도 마찬가지로 프레임(63a)이나 그 외의 프레임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배면에 있어서 수납 유니트(60)를 개방 상태로 하지 않을 때에는, 백 패널(back panel)(64)을 장착함으로써 수납 유니트(60)의 배면을 막아도 좋다.
여기서, 도 10에 수납 유니트(60)를 상면으로부터 본 도, 즉 수평 패널(61) 표면을 나타낸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는, 수납 유니트(60)가 2개 횡으로 늘어놓인 상태에 있다. 수평 패널(61)에는, 그 횡방향(대향하는 수직 패널(62)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끼워넣기 홈(70)이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끼워넣기 홈(70)에 평행한 홈으로서 수평 패널(61)의 횡단부로 관통하는 위치맞춤 홈(71)이, 끼워넣기 홈(70)을 사이에 두고 2개씩 합계 4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납 유니트(60)의 표면 중, 외측에 위치하는 수직 패널(62)의 표면 상에는, 당해 수직 패널(62)을 덮는 수직 커버(7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끼워넣기 홈(70)은, 상술의 공간 구조체(1)의 구성 부재인 소빔(4)이 끼워넣기 가능한 치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끼워넣기 홈(70)의 폭은 소빔(4)의 폭보다 약간 넓은 치수로 된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내듯이 수납 유니트(60)를 횡으로 늘어놓을 때, 각각의 끼워넣기 홈(70)은 일직선상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이 일직선상으로 위치하는 끼워넣기 홈(70)에 1개의 소빔(4)이 끼워넣어짐으로써, 수납 유니트(60)의 공간 구조체(1)에 조립해 넣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수납 유니트(60)는 도 10에 나타내듯이 횡으로 늘어놓인 때, 하나의 수납 유니트(60)의 수직 패널(62)과, 그에 인접하는 다른 수납 유니트(60)의 수직 패널(62)의 사이에, 소정 폭의 간극(74)이 형성된다. 이 간극(74)은 소정의 목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공간이고, 수납 유니트(60)가 도 6에 나타내듯이 종으로 쌓아올려질 때 이 간극(74)도 종으로 뻗어 있는 공간으로 된다. 예를 들면, 수납 유니트(60)의 수직 패널로서 도 9에 나타내는 구멍 열림 수직 패널(62a)을 사용하는 경우, 수납 유니트(60)에 수납되는 정보 기기 등의 전원 케이블이나 신호 케이블을 관통공(62b)으로부터 이 간극(74)으로 이끌어, 그 내부에 배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배선에 의한 수납 구조체의 외관의 디자인성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선반(6)의 경우와는 달라, 이 수평 패널(61) 표면에도, 수직 패널(62)과 마찬가지로 그곳을 덮는 수평 커버(73)(도 11을 참조)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수평 커버(73)가 조립해 넣어진 수납 유니트(60)를 수직 패널(62)측(측면)으로부터 본 도이다. 이 경우, 도 6과 같이 최상단의 수납 유니트의 상면의 수평 패널(61)이 가지는 끼워넣기 홈(70)에 소빔(4)을 끼워넣지 않고, 도 11에 나타내듯이, 수납 유니트(60)가 2개, 종으로 늘어놓인 상태에서의 2개의 수납 유니트(60)의 사이에, 상측의 수납 유니트(60)의 하면의 수평 패널(61)이 가지는 끼워넣기 홈(70)과, 하측의 수납 유니트(60)의 상면의 수평 패널(61)이 가지는 끼워넣기 홈(70)에 걸치도록, 소빔(4)이 끼워넣어져 있다.
여기서, 수평 패널(61)에 수평 커버(73)가 설치될 때, 양자의 위치맞춤이, 수평 패널(61)에 설치된 위치맞춤 홈(71)과, 수평 패널(61)에 설치된 돌기부(73a)의 끼워맞춤에 의하여 행해진다. 이 끼워맞춤을 이용함으로써, 수평 패널(61)에의 수평 커버(73)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또, 이 돌기부(73a)에는 나사공이 설치되어 있고, 그 나사공은 위치맞춤 홈(71)을 따르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평 커버(73)와 수직 커버(72)를 함께 수납 유니트(60)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2에 나타내듯이, 먼저 양 커버끼리를 연결시킨 후에 그것을 조립된 수납 유니트(60)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직 커버(72)에 설치된 관통공(72a)으로부터 나사를 통하여, 수평 커버(73)의 돌기부(73a)에 설치된 나사공과 당해 나사가 나사 결합함으로써, 양 커버가 연결된다. 그리고, 그 나사가 나사 결합된 돌기부(73)가 위치맞춤 홈(71)에 끼워맞춰짐으로써, 양 커버의 수납 유니트(60)에의 장착이 실현된다.
여기서, 도 13, 14에 복수의 수납 유니트(60)의 집합체와, 그에 장착된 수평 커버, 수직 커버에 의하여 구성되는 수납 구조체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3에는 이른바 상품의 진열장으로서의 수납 구조체가 도시되어 있다. 이 진열장의 골격 구조는 마루면에 설치되고 기초 부분으로 되는 베이스부(81)에 좌우 2매의 수직 커버(72), 당해 수직 커버(72)를 연결하는 수평 커버(73), 및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수평 커버(73)와 베이스부(71)를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는 6개의 소빔(4)과 수직 커버(72)끼리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3개의 소빔(4)으로 구성된다. 즉, 수평 커버(73) 및 수직 커버(72)도 수납 구조체로서의 진열장의 보강에 기여한다. 또한, 수평 커버(73) 또는 수직 커버(72)와 소빔(4)의 연결은 적절한 조인트(joint)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또, 수직 방향의 소빔은 상술한 인접하는 수납 유니트(60) 간에 형성되는 간극(74)에 배치된다.
이 골격 구조에 대해서, 횡으로 7열, 종으로 4단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합계 28개의 수납 유니트(60)가 늘어놓여진다. 이때, 각 수납 유니트의 끼워넣기 홈(70)에는 골격 구조의 수평 방향의 소빔(4)이 끼워맞춰진다. 또한, 골격 구조의 소 빔(4)과 각 수납 유니트(60)의 조립 방법에 대해서는, 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적절한 방법이 적절히 채용된다. 또한 이 수납 구조체에서는, 그곳에 조립해 넣어진 수납 유니트(60) 내에는 직접 상품을 수납, 진열은 하지 않고, 각 단의 수납 유니트의 전면에 설치된 진열판(80) 상에 상품이 진열된다. 즉, 수납 유니트(60)가 직접적인 상품의 수납은 아니고, 간접적인 상품의 수납을 하게 된다.
도 14에는 직접적으로 수납 대상물을 수납하는 수납 유니트(60)에 의하여 구성되는 수납 구조체가 도시된다. 이 수납 구조체의 골격 구조는 2개의 폴(2)과, 상부에서 그들을 연결하는 빔(3)과, 당해 빔(3)에 T자 형상으로 연결하는 빔(3)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후자의 빔(3)은 또한 폴(2)에 연결되어 마루면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골격 구조의 폴(2) 간에 또한 소빔(도시하지 않음)을 연결하여, 도 13에 나타내는 수납 구조체와 같이 복수의 수납 유니트(60)를 조립해 넣음으로써, 도 14에 나타내는 수납 구조체가 형성된다. 이 수납 구조체는 사무실 등의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공간에 설치되는 것에 적합하다.
이상에 의하여,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의 수납 스페이스의 구축에 즈음하여, 이용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수납 스페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당해 수납 스페이스용의 수납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9)

  1. 서로 마주보고 배치된 한 쌍의 수평 패널의 단부와 서로 마주보고 배치된 한 쌍의 수직 패널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사각형 형태의 수납 유니트로서,
    상기 수평 패널은, 당해 수평 패널의 횡방향에 걸쳐서 상기 수납 유니트가 조립해 넣어지는 구조체의 구조 부재의 일부가 끼워넣기 가능한 끼워넣기 홈을 가지고, 또한 당해 수평 패널의 횡방향으로 뻗어 있는 홈으로서 당해 수평 패널 상을 덮는 수평 커버에 설치된 돌기부가 끼워넣기 가능한 위치맞춤 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패널의 상기 위치맞춤 홈은 상기 끼워넣기홈에 평행이고 적어도 2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유니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나사 와 연결이 가능한 나사공 을 가지고,
    상기 수직 패널은 수직 커버에 의하여 덮여지며, 또한 상기 수직커버에 설치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나사가 상기 나사공과 연결됨으로써 당해 수직 커버가 당해 수평 커버에 연결된 상태로 당해 나사공을 가지는 돌기부가 상기 위치맞춤 홈 내에 끼워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유니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나사 와 연결이 가능한 나사공 을 가지고,
    상기 수직 패널은 수직 커버에 의하여 덮여지며, 또한 상기 수직커버에 설치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나사가 상기 나사공과 연결됨으로써 당해 수직 커버가 당해 수평 커버에 연결된 상태로 당해 나사공을 가지는 돌기부가 상기 위치맞춤 홈 내에 끼워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유니트.
  5.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수납 유니트가, 각각의 수직 패널이 대향하도록 늘어놓일 때, 그 수직 패널 간에 소정 폭의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유니트.
  6.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수납 유니트가, 각각의 수직 패널이 대향하도록 늘어놓일 때, 그 수직 패널 간에 소정 폭의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유니트.
  7. 제3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수납 유니트가, 각각의 수직 패널이 대향하도록 늘어놓일 때, 그 수직 패널 간에 소정 폭의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유니트.
  8. 제4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수납 유니트가, 각각의 수직 패널이 대향하도록 늘어놓일 때, 그 수직 패널 간에 소정 폭의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유니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수납유니트를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및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배열하여 형성되는 수납구조체이고,
    적어도, 최상단에 있어서의 복수의 수납유니트의 상면의 각 수평패널에 형성된 끼워넣기홈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끼워넣기홈에 하나의 구조부재가 조립되고,
    또는, 최하단에 있어서의 복수의 수납유니트의 하면의 각 수평패널에 형성된 끼워넣기홈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끼워넣기홈에 하나의 구조부재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구조체.
KR1020067023483A 2005-11-11 2006-04-18 수납 유니트 및 수납 구조체 KR1012819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28139 2005-11-11
JP2005328139A JP4452677B2 (ja) 2005-11-11 2005-11-11 収納ユニット、収納構造体
PCT/JP2006/308127 WO2007055040A1 (ja) 2005-11-11 2006-04-18 収納ユニットおよび収納構造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711A KR20080065711A (ko) 2008-07-15
KR101281978B1 true KR101281978B1 (ko) 2013-07-03

Family

ID=38023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483A KR101281978B1 (ko) 2005-11-11 2006-04-18 수납 유니트 및 수납 구조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946672A1 (ko)
JP (1) JP4452677B2 (ko)
KR (1) KR101281978B1 (ko)
CN (1) CN100591240C (ko)
MY (1) MY143162A (ko)
TW (1) TW200718844A (ko)
WO (1) WO20070550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5498B2 (ja) * 2010-02-05 2014-08-20 株式会社内田洋行 間仕切り装置及び間仕切りシステム
IT201800007512A1 (it) * 2018-07-26 2020-01-26 Sartor Giuliano & C Sas Struttura di supporto autoportante per componenti di arredament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578Y1 (ko) * 1988-11-04 1992-01-15 이경숙 가변조립식 화일복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0324Y2 (ko) * 1973-10-24 1978-09-29
JPS5423766Y2 (ko) * 1974-06-29 1979-08-14
JPH0449364Y2 (ko) * 1988-02-20 1992-11-20
JPH0746183Y2 (ja) * 1991-11-16 1995-10-25 大建工業株式会社 収納ボックスとカウンター材との組み合わせ構造
CN2166680Y (zh) * 1993-07-03 1994-06-01 陈晨 变幻组合装饰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578Y1 (ko) * 1988-11-04 1992-01-15 이경숙 가변조립식 화일복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91240C (zh) 2010-02-24
EP1946672A1 (en) 2008-07-23
KR20080065711A (ko) 2008-07-15
TWI372197B (ko) 2012-09-11
JP2007130336A (ja) 2007-05-31
CN1968624A (zh) 2007-05-23
MY143162A (en) 2011-03-31
TW200718844A (en) 2007-05-16
JP4452677B2 (ja) 2010-04-21
WO2007055040A1 (ja) 200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315B1 (ko) 평판 고정 장치
KR101281978B1 (ko) 수납 유니트 및 수납 구조체
JP2023155491A (ja) コーナ部材
KR101929335B1 (ko) 조립식 칸막이
CA2599788C (en) Death care merchandise display system
US20080197092A1 (en) Storage Unit and Storage Structure
JP4864400B2 (ja) ラック
JP5066469B2 (ja) 筐体
JP2002138607A (ja) ガラスパネルシステム
JP5079662B2 (ja) 空間構造体
CN220757062U (zh) 一种展览馆用分体式组装柜体
CN212026613U (zh) 一种钢结构网架顶升装置
JP2009178388A (ja) 重量物固定用壁
IT202000027909A1 (it) “modulo di una cella di lavoro con piastra di fissaggio”
KR200425679Y1 (ko) 프로파일(profile) 지주
JP6877955B2 (ja) 間仕切りパネル
RU2077249C1 (ru) Витрина и ее экспозиционные полки
JP3210158U (ja) 室外機置場
JPH1175951A (ja) 吊戸棚
JPH10212764A (ja) 二種床高さレベル建物ユニット
JPH0950798A (ja) 蓄電池収納キュ−ビクル
JP2001200603A (ja) 間仕切り装置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2006070693A (ja) 建物の設計方法および建物
JP2004084351A (ja) 住宅ユニットの開口部構造
JP2001182165A (ja) ユニット式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