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943B1 - 커넥터 지지 도구, 배선 도구 및 배선 하네스 - Google Patents

커넥터 지지 도구, 배선 도구 및 배선 하네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943B1
KR101302943B1 KR1020120073243A KR20120073243A KR101302943B1 KR 101302943 B1 KR101302943 B1 KR 101302943B1 KR 1020120073243 A KR1020120073243 A KR 1020120073243A KR 20120073243 A KR20120073243 A KR 20120073243A KR 101302943 B1 KR101302943 B1 KR 101302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air
wiring
parallel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246A (ko
Inventor
료스케 후지오카
요시아키 야마노
아츠시 가사마츠
히로시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Publication of KR20130005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배선 하네스에서 전선을 소정 형상으로 유지하고 전선을 보호하는 배선 도구와, 이러한 배선 도구에 적용 가능한 커넥터 지지 도구에 있어서, 전선에 마련된 커넥터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는 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게 하고, 생산에 필요한 비용 및 맨아워를 줄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커넥터 지지부(15)는 돌출부 및 리세스를 갖는 판 형태이고, 커넥터(91)의 결합부(92)와 맞물림으로써 커넥터(91)를 지지한다. 커넥터 지지부(15)에서는,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가 상기 판형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평행 홈을 형성하고, 결합부(92)의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가 상기 한 쌍의 홈에 감합된다. 커넥터 지지부(15)에서, 중간판 부분(152)은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 사이에 있는 부분으로서, 커넥터(91)의 외면과 결합부(92)의 빔 부분(922) 사이의 간격에 삽입되고, 빔 부분(922)에 형성된 대향 돌출부(923)가 감합되는 구멍(153)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Description

커넥터 지지 도구, 배선 도구 및 배선 하네스{CONNECTOR SUPPORTING TOOL, WIRING TOOL AND WIRING HARNESS}
본 발명은 커넥터를 지지하는 커넥터 지지 도구와, 커넥터 접속형 전선을 소정 형상으로 유지하는 배선 도구, 그리고 상기 배선 도구를 구비하는 배선 하네스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장착된 배선 하네스는, 수지로 이루어지며 전선에 부착되어 있는 배선 도구를 구비하고, 이 배선 하네스에는 많은 경우에 배선 도구에 의해 정해지는 경로를 따라 유지된 전선이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일반적인 배선 하네스에서, 전선은 접착 테이프 또는 벨트 부재 등의 바인딩 부재에 의해 판 형태 또는 막대 형태의 수지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식으로, 전선이 소정의 형상으로 유지된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27242호에 개시된 배선 하네스는, 전선 다발을 협지하며 히트 프레싱에 의해 고정되는 2개의 판 형태 수지 부재로 구성된 배선 도구를 포함한다. 2개의 수지 부재 중 하나는, 평판 형태의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로부터 세워져 있는 리브로 구성된 베이스이다. 2개의 수지 부재 중 다른 하나는, 베이스의 리브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상에 놓이며 베이스의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덮개체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27242호에 개시된 배선 하네스에서는, 전선의 중간 부분이 베이스와 덮개체 사이에서 협지되어 있다. 일부 전선의 단부에 장착된 커넥터는 베이스의 가장자리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일부 다른 전선에 있어서 베이스로부터 베이스의 밖으로 배치된 부분은 바인딩 부재에 의해 베이스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차양부에 묶여 있고, 이에 따라 차양부에 고정되어 있다.
배선 하네스의 형상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각 전선이 접속 상대 부근의 소정 기준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접속 상대는 다른 전선의 단부에 마련된 배선 장치 또는 커넥터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시트 아래에 배치되는 배선 하네스에서는, 각 전선의 단부 상의 커넥터가 시트를 구동하는 모터 등과 같은 장치 또는 다른 전선의 커넥터에 과부족 없이 도달하도록, 각 전선의 단부 상의 커넥터 또는 각 전선에 있어서 커넥터 부근의 부분을 소정 위치(기준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성08-195253호에는, 자동차의 패널 등과 같은 지지체에 커넥터를 고정하는 커넥터 장착 클램프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성08-195253호에 개시된 커넥터 장착 클램프는, 커넥터의 일부분에 형성된 커플링부와 맞물림으로써 커넥터에 결합되는 부분과, 지지체의 구멍의 가장자리와 맞물림으로써 지지체에 고정되는 클램프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수지 부재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성08-195253호에 개시된 커넥터 장착 클램프를 채용함으로써, 전선의 단부에 마련된 커넥터는 자동차의 패널 등과 같은 지지체에 있어서 소정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성08-195253호에 개시된 커넥터 장착 클램프는 비교적 복잡한 3차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생산에는 슬라이드 금형을 이용하는 사출 성형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따라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성08-195253호에 개시된 커넥터 장착 클램프는 생산에 필요한 비용이 비교적 높고 맨아워가 비교적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성08-195253호에 개시된 하나의 커넥터 장착 클램프는 각 커넥터마다 필요하다. 따라서, 배선 하네스의 복수의 전선 상의 복수의 커넥터를 고정하는 경우에, 부품의 수가 증가되고, 커넥터 장착 클램프를 통해 복수의 커넥터를 지지체에 각각 고정하는 작업에 필요한 시간과 부품 관리에 관한 맨아워가 대폭 증가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27242호에 개시된 배선 하네스에서는, 배선 도구의 외측 가장자리 부근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커넥터를 고정하는 경우가 고려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배선 하네스를 자동차의 패널 등과 같은 지지체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클램프 등을 이용해 배선 도구를 지지체에 고정하는 작업과 커넥터 장착 클램프를 이용하여 복수의 커넥터 각각을 지지체에 고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은 매우 번거롭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27242호에는 커넥터를 베이스에 임시로 체결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지만, 커넥터를 베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특정 구조는 나타내어져 있지 않음을 주목하기 바란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배선 하네스에서 전선을 특정(예정된 혹은 예정 가능한) 형상으로 유지하고 전선을 보호하는 배선 도구와, 이러한 배선 도구에 적용 가능한 커넥터 지지 도구에 있어서, 전선에 마련된 커넥터를 특정(예정된 혹은 예정 가능한) 위치에 고정하는 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게 하고, 생산에 필요한 비용 및 맨아워를 줄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르면 독립 청구항의 특징부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형태는 종속 청구항의 대상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각 전선의 하나 이상의 단부에 부착된 커넥터의 결합부와 맞물림으로써 커넥터를 지지하는 커넥터 지지 도구가 제공되는데,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평행 돌출부와, 커넥터의 외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서 한 쌍의 평행 돌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빔 부분, 그리고 빔 부분으로부터 커넥터의 외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대향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지지 도구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지지부를 구비하며, 이 커넥터 지지부는, 실질적으로 커넥터 지지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일직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넥터의 결합부의 한 쌍의 평행 돌출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되는 것인 한 쌍의 평행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평행 리세스와, 한 쌍의 평행 리세스의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판 부분으로서, 이 중간판 부분이 커넥터의 외면과 결합부의 빔 부분 사이의 간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대향 돌출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되는 구멍 또는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중간판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양태의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커넥터 지지부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갖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평행 홈은 실질적으로 상기 판형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일직선으로 연장된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지지 도구에 의해 지지되며, 한 쌍의 평행 돌출부, 빔 부분 및 대향 돌출부를 구비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한 쌍의 평행 돌출부는, 전선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커넥터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빔 부분은 커넥터의 외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서 한 쌍의 평행 돌출부의 사이에 형성된 부분이다. 대향 돌출부는 빔 부분으로부터 커넥터의 외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지지 도구는, 커넥터의 결합부와 맞물림으로써 커넥터를 지지하는 도구이고, 돌기와 리세스를 갖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판형 부재에는 후술하는 중간판 부분과 한 쌍의 평행 리세스를 구비하는 커넥터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1) 한 쌍의 평행 돌출부는, 실질적으로 판형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평행 홈을 형성하는 부분이고, 커넥터의 결합부의 한 쌍의 평행 돌출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 쌍의 평행 홈에 감합된다.
(2) 중간판 부분은 한 쌍의 평행 리세스의 사이에 있는 부분으로서, 이 중간판 부분이 커넥터의 외면과 결합부의 빔 부분 사이의 간격에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대향 돌출부가 감합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간판 부분의 양 측부와 한 쌍의 평행 리세스 사이의 경계부 각각은 내측을 향해 절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돌출부와 리세스를 갖는 판형 부재에는, 후술하는 내측 리세스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리세스는, 중간판 부분의 내측에서 한 쌍의 평행 리세스에 의해 형성되는 한 쌍의 홈을 연결하는 홈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넥터 지지 도구는, 수지 부재를 실질적으로 평판 형태로 진공 성형함으로써 얻어지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하나 이상의 리세스가 형성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배선 도구로서, 커넥터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실질적으로 일직선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평행 돌출부를 갖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가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전선을 특정(예정된 혹은 예정 가능한) 형상으로 유지하는 판형 부재와, 커넥터의 외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서 한 쌍의 평행 돌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빔 부분, 그리고 상기 빔 부분으로부터 상기 외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대향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형 부재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 및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갖는 실질적으로 판 형태인 부재로서, 하나 이상의 전선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배선 공간에 실질적으로 면하는 배선부와, 상기 배선부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판형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부,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선부에서부터 상기 프레임부까지 배치된 전선의 단부 상의 커넥터가 고정되는 커넥터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지지부에는, 실질적으로 판형 부재의 프레임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일직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넥터의 결합부의 한 쌍의 평행 돌출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되는 한 쌍의 평행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평행 리세스와, 한 쌍의 평행 리세스의 사이에 있는 부분인 중간판 부분으로서, 이 중간판 부분이 커넥터의 외면과 결합부의 빔 부분 사이의 간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대향 돌출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되는 구멍 또는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는 중간판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배선 도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본 발명의 양태 또는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지지 도구의 구조를 갖는 배선 도구가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배선 도구는 특히, 전술한 결합부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가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전선을 특정(예정된 혹은 예정 가능한) 형상으로 유지하는 판형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판형 부재는 실질적으로 돌출부와 리세스를 갖는 판 형태의 부재이며, 후술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1) 제1 구성요소는, 전선이 배치되는 배선 공간에 면하는 배선부이다.
(2) 제2 구성요소는, 상기 배선부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판형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이다.
(3) 제3 구성요소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선부에서부터 상기 프레임부까지 배치된 전선의 단부 상의 커넥터가 고정되는 커넥터 지지부이다. 이러한 커넥터 지지부는 특히, 전술한 본 발명의 양태 또는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지지 도구의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중간판 부분의 양 측부와 한 쌍의 평행 리세스 사이의 경계부 각각은 내측을 향해 절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평행 리세스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홈을 연결하는 홈을 형성하는 부분인 내측 리세스가, 중간판 부분의 내측에 더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넥터 지지 도구는, 수지 부재를 실질적으로 평판 형태로 진공 성형함으로써 얻어지는 돌출부와 리세스가 형성된 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또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도구와, 상기 배선 도구의 커넥터 지지부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가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전선을 포함하는 배선 하네스가 제공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바에 따른 커넥터 지지 도구에 의해 지지된 커넥터는, 한 쌍의 평행 돌출부, 빔 부분 및 대향 돌출부를 포함하는 결합부를 구비한 통상의 공지의 커넥터이다. 이러한 커넥터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성08-195253호에 개시되어 있음을 주목하기 바란다.
전술한 바에 따른 커넥터 지지 도구를 채용한 경우에, 전선의 단부 상의 커넥터는, 결합부의 한 쌍의 평행 돌출부를 커넥터 지지 도구의 한 쌍의 평행 리세스의 홈에 감합하고, 중간판 부분을 결합부의 빔 부분과 커넥터의 외면 사이의 간격에 감합하며, 결합부의 대향 돌출부를 중간판 부분의 구멍에 감합함으로써, 커넥터 지지 도구에 고정된다.
또한, 전술한 바에 따른 커넥터 지지 도구는, 홈이 일부분에 형성됨으로써 돌출부와 리세스를 갖는 판 형태로 형성된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부재는, 수지 부재를 평판 형태로 진공 성형하거나, 혹은 슬라이드 기구를 갖지 않는 간단한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함으로써 얻어지며, 생산에 필요한 비용과 맨아워가 적다.
또한, 복수의 커넥터 지지부를 하나의 배선 도구에 마련함으로써, 복수의 커넥터는, 단지 하나의 배선 도구를 지지체에 부착하는 것을 통해, 자동차의 패널 등과 같은 지지체의 특정(예정된 혹은 예정 가능한) 위치에 한번에 고정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에 따르면, 전선에 마련된 커넥터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는 작업에 필요한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에 따른 커넥터 지지 도구에 있어서, 중간판 부분의 양 측부와 한 쌍의 평행 리세스 사이의 경계부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내측을 향해 절취되어 있다. 이로써 중간판 부분은 커넥터에서의 결합부의 빔 부분과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맞물리게 되고, 커넥터가 커넥터 지지 도구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가능성이 낮아진다.
또한, 한 쌍의 홈을 연결하는 홈을 형성하는 내측 리세스는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지지 도구에 형성되어 있다. 이는 돌출부 및 리세스를 갖는 판형 부재인 커넥터 지지 도구의 강성이 증가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부재를 평판 형태로 진공 성형함으로써 얻은 부재는 일반적으로 수지 사출 성형에 의해 얻은 부재에 비해 더 용이하게 그리고 보다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에 따른 커넥터 지지 도구는 특히 수지 부재를 평판 형태로 진공 성형함으로써 얻은 부재이므로, 생산 맨아워 및 생산 비용이 더 줄어든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27242호에 개시된 리브를 구비하는 평판 형태의 베이스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성08-195253호에 개시된 커넥터 장착 클램프는 수지 부재를 평판 형태로 진공 성형함으로써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유의하라.
전술한 바에 따른 배선 도구가 부착되어 있는 전선의 단부 상의 커넥터는 커넥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고정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즉, 전선의 단부 상의 커넥터가 적정 비율로 접속 상대에 이르게 되도록, 전선의 형상이 배선 도구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접속형 전선에 부착된 배선 도구를 클램프 등에 의해 지지체에 부착하기만 하면, 커넥터는 지지체 상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즉, 전술한 바에 따른 배선 도구를 채용함으로써, 커넥터를 지지체 상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는 작업이 간단해진다. 복수의 커넥터 지지부가 배선 도구에 마련된다면, 전술한 효과가 특히 현저하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과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형태들이 개별적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이들 실시형태의 하나의 특징이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선 도구와, 이러한 배선 도구에 적용 가능한 커넥터 지지 도구를 이용하면, 전선에 마련된 커넥터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는 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생산에 필요한 비용 및 맨아워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도구(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빗금으로 영역을 나누어 표시한 배선 도구(1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하네스(10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배선 도구(10)와 전선(9)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배선 하네스(10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배선 도구(10)의 전선 구속부에 전선과 바인딩 벨트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전선이 고정되는 전선 구속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배선 도구(10)의 커넥터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전선의 단부 상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커넥터가 고정되는 커넥터 지지부의 전방 단면도이다.
도 11은 배선 도구(10)에서의 커넥터 지지부의 기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배선 도구(10)의 커넥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커넥터의 기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지지 도구(10A)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지지체에 부착되어 있는 커넥터 지지 도구(10A)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참조예에 따른 커넥터 지지부 및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특정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개략 구성>
먼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도구(10) 및 배선 하네스(100)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D-D 평면을 따라 취한 단면도임을 유의하라.
배선 하네스(100)는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전선(9)을 포함하는 전선 세트와, 이 전선 세트에 부착된 배선 도구(10)를 구비한다. 배선 하네스(100)는, 예를 들어 시트 아래의 공간에, 차량의 지붕 또는 트렁크 밑의 공간에 장착되고, 하나 이상의 다른 전선 및/또는 그 부근 혹은 주위에 있는 하나 이상의 배선 장치에 접속된다. 따라서, 배선 하네스(100)의 전선(9)은 절연 전선 및 절연 전선의 단부에 장착된 커넥터(91)를 포함하는 커넥터 접속형 전선이다.
배선 하네스(100)에 있어서, 특히 복수의 전선(9)은 특정(예정된 혹은 예정 가능한) 형상으로 유지되면서 배선 도구(10)에 의해 결속되어 있다. 따라서, 배선 하네스(100)는 클램프 등과 같은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소정 위치에 쉽게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배선 도구(10)는 특히 판형 수지 부재를 진공 성형함으로써 얻은 부재이다. 배선 도구(10)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또는 폴리아미드(PA) 등의 수지로 제조된 부재이다.
일반적으로, 수지 부재를 평판 형태로 진공 성형함으로써 얻은 부재는, 수지 사출 성형에 의해 얻은 부재에 비해 더 용이하게 그리고 보다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배선 도구(10)가 특히 수지 부재를 평판 형태로 진공 성형함으로써 얻은 부재이므로, 생산 맨아워 및 생산 비용이 줄어든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도구(10)는 베이스부(1)와, 실질적으로 베이스부(1) 상에 (또는 그 부근에) 놓이는 커버부(2), 그리고 베이스부(1)와 커버부(2)를 일체로 혹은 단일체로 연결하도록 베이스부와 커버부에 접속되어 있는 접속부(3)를 포함한다. 접속부(3)는 특히 탄성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부분 혹은 힌지이다. 베이스부(1)와 커버부(2)의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전선(9)의 중간 부분을 협지하는 상태로, 커버부(2)가 베이스부(1)와 조립된다. 특히 베이스부(1)와 커버부(2)는 각각 베이스와 덮개체의 예인 것을 유의하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도구(10)는 접속부(3)를 구부림으로써 접속부(3)에서 접히거나 구부러지거나 변형되고, 커버부(2)는 실질적으로 베이스부(1) 상에 (혹은 그 주위에) 놓이게 된다. 베이스부(1)와 커버부(2)는 그 사이에 전선(9)을 협지한 상태에서 고정되고, 그 결과 배선 도구(10)는 베이스부(1)와 커버부(2) 사이에 협지된 전선(9)을 특정(예정된 혹은 예정 가능한) 형상으로 유지한다.
<베이스부>
배선 도구(10)의 베이스부(1)는 특히 하나 이상의 돌출부 및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갖는 판 형태로 형성된 수지 부재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베이스부(1)는 특히 수지 부재를 실질적으로 평판 형태로 진공 성형함으로써 얻어진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는 배선부(11), 제1 단차부(12) 및 제1 프레임부(13)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사시도의 베이스부(1)에서, 교차 빗금 영역은 배선부(11)의 영역이고, 빗금 영역은 제1 프레임부(13)의 영역이다. 제1 단차부(12)는 실질적으로 배선부(11)(특히 배선부의 외측 가장자리) 및/또는 제1 프레임부(13)(특히 제1 프레임부의 내측 가장자리)와 연속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1)의 배선부(11)는 특히 실질적으로, 전선(9)이 배치되는 배선 공간(90)에 면하는 판 형태의 부분이다. 특히, 배선부(11)에는 배선 공간(90)을 구획하는 칸막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보강 돌출부(111)가 특히 배선부(11)의 비교적 넓은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1)는 특히 실질적으로 후술하는 제1 단차부(12)의 높이 이하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선부(11)는, 베이스부(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 또는 기판부라고도 할 수 있다.
특히, 배선부(11)에 형성된 돌출부(111)는, 평판 형태의 바닥판 부분에 있어서 배선부(1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배선 공간(90)을 향해 융기되어 있는 중공형 부분이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돌출부(111)는 특히 실질적으로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바닥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을 따라 절단된 절두 각뿔 형상(특히 절두 정육각뿔 형상)을 갖는다. 돌출부(111)는 다른 형상, 예를 들어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1)의 제1 단차부(12)는, 실질적으로 배선부(11)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부분이고, 단차를 형성하도록 배선부(11)로부터 실질적으로 배선 공간(90)을 향해 세워져 있는 부분이다. 다시 말하자면, 배선부(11)의 외측 가장자리는 특히 실질적으로 제1 단차부(12)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 단차부(12)의 표면은 특히 배선부(11)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을 향해 경사져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제1 단차부(12)는 특히 전체적으로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이 아니라, 다른 부분보다 높게 형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융기 단차부(121)는 특히 제1 단차부(12)의 일부분이며 다른 부분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차부(12)는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배선부(11)의 돌출부(111)의 높이 이상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1)의 제1 프레임부(13)는 특히 실질적으로 제1 단차부(12)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부분이고, 및/또는 베이스부(1)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형성한다. 제1 프레임부(13)는, 실질적으로 평판 형태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평탄부와 하나 이상의 리세스 및/또는 돌출부를 특히 혼합하여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제1 프레임부(13)는 평탄부와 리세스 및 돌출부를 혼합하여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전선 구속부(14), 하나 이상의 커넥터 지지부(15) 및/또는 하나 이상의 임시 체결 리세스(16)가 제1 프레임부(13)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전선 구속부(14) 및/또는 커넥터 지지부(15)는 특히 배선부(11)로부터 제1 프레임부(13)까지 배치된 전선(9)이 고정되는 부분이다.
전선 구속부(14) 및 커넥터 지지부(15)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며, 베이스부(1)에 형성된 임시 체결 리세스(16)도 또한 이하에서 설명한다. 전선 구속부(14)는 전선 고정부의 예인 것을 유의하라.
또한, 베이스부(1)의 제1 프레임부(13)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는 하나 이상의 클램프 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클램프 구멍(17)은 특히, 자동차의 패널 등과 같은 지지체에 배선 도구(10)를 장착할 때에,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예컨대, 클램프, 스트랩, 리벳 및/또는 볼트)가 통과하는 혹은 통과 가능한 관통 구멍이다. 베이스부(1)의 각 클램프 구멍(17)과 지지체에 형성된 장착 구멍에 고정 부재(예컨대, 클램프)를 통과시킴으로써, 배선 도구(10)는 지지체에 고정된다.
<커버부>
배선 도구(10)의 커버부(2)는 특히 하나 이상의 돌출부 및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갖는 판 형태로 실질적으로 형성된 수지 부재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버부(2)는 특히 수지 부재를 베이스부(1)와 함께 평판 형태로 진공 성형함으로써 얻어진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는 대향벽부(21), 제2 단차부(22) 및/또는 제2 프레임부(23)를 포함한다. 특히 또한, 커버부(20)는 제2 프레임부(23)의 일부분 및/또는 제2 프레임부의 외측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임시 체결 돌출부(26)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사시도의 커버부(2)에서, 교차 빗금 영역은 특히 대향벽부(21)의 영역이고, 빗금 영역은 제2 프레임부(23)의 영역이다. 제2 단차부(22)는 특히 실질적으로 대향벽부(21)(특히 대향벽부의 외측 가장자리) 및/또는 제2 프레임부(23)(특히 제2 프레임부의 내측 가장자리)와 연속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커버부(2)의 구성 요소의 위치 또는 형상을 베이스부(1)와 관련하여 설명하는 경우, 커버부(2)가 베이스부(1) 상에 놓여 조립되어 있는 상태를 상정함을 유의하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의 대향벽부(21)는, 실질적으로 배선 공간(90)을 가로질러 베이스부(1)의 배선부(11)에 대향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대향벽부(21)에는 배선 공간(90)을 구획하는 칸막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서 대향벽부(21)는 특히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평판 형태이다. 그러나, 베이스부(1)에서의 배선부(11)의 돌출부(111)와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대향벽부(21)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2)의 제2 단차부(22)는, 실질적으로 대향벽부(21)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부분이고, 및/또는 단차를 형성하도록 대향벽부(21)로부터 실질적으로 베이스부(1)에 대향하는 측을 향해 세워져 있는 부분이다. 다시 말하자면, 대향벽부(21)의 외측 가장자리는 특히 실질적으로 제2 단차부(22)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2 단차부(22)의 표면은 대향벽부(21)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을 향해 경사져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제2 단차부(22)는 특히 전체적으로 실질상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2 단차부(22)는 그 일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높게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부(2)의 제2 프레임부(23)는 특히 실질적으로 제2 단차부(22)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부분이고, 커버부(2)의 외측 가장자리부(또는 경계부)를 형성한다. 제2 프레임부(23)는, 특히 실질적으로 평판 형태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평탄부와 하나 이상의 리세스 및/또는 돌출부를 예컨대 혼합하여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베이스부(1)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가 제2 프레임부(23)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2)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임시 체결 돌출부(26)를 이하에 설명하고 있음을 유의하기 바란다.
배선 도구(10)에서, 베이스부(1)의 제1 단차부(12)는 특히 하나 이상의 돌출부 및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갖는 판 형태인 베이스부(1)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보강부의 역할을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커버부(2)의 제2 단차부(22)는 특히 하나 이상의 돌출부 및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갖는 판 형태인 커버부(1)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보강부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공간 절약 및/또는 무게 경감을 위해 베이스부(1)와 커버부(2)가 비교적 얇게 형성되더라도, 높은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배선 도구(10)의 공간 및/또는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접속부>
접속부(3)는 특히 실질적으로 직선인 홈을 형성하도록 접혀지고 만곡된 실질적으로 판 형상인 부분이다. 이러한 형상으로 형성된 접속부(3)는 (특히 이에 의해 형성된 홈을 개폐하는 방향으로) 휘거나 변형될 수 있으며 탄성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접속부(3)가 특히 홈을 따라 접힐 때, 커버부(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이스부(1) 상의 특정(예정된 혹은 예정 가능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선 도구(10)에 있어서, 베이스부(1) 및/또는 커버부(2)는 특히 굽힘 가능한 접속부(3)에 접속됨으로써 일체로 또는 단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부품의 수가 줄어들고, 배선 도구(10)를 전선(9)에 부착하는 작업이 더 간단해진다.
<임시 체결 기구>
임시 체결 리세스(16)가 베이스부(1)의 제1 프레임부(13)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제1 프레임부(13)의 전선 구속부(14)의 부근과 접속부(3) 부근에 5개의 임시 체결 리세스(16)가 형성되어 있다. 임시 체결 리세스(16)는 특히 커버부(2)를 향해 개구되어 있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한편, 베이스부(1)의 임시 체결 리세스(1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 또는 삽입되는 임시 체결 돌출부(26)가 커버부(2)의 제2 프레임부(23)의 일부분에 그리고 제2 프레임부(23)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5개의 임시 체결 돌출부(26)는 5개의 임시 체결 리세스(16)에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배선 도구(10)에 있어서, 베이스부(1)의 일부분에 형성된 임시 체결 리세스(16)와 커버부(2)의 일부분에 형성된 임시 체결 돌출부(26)는, 커버부(2)를 베이스부(1)에 체결하기 위한 임시 체결 기구를 형성한다.
임시 체결 돌출부(26)의 측면은, 특히 약간 압축 혹은 변형되면서 임시 체결 리세스(16)의 내벽면과 접촉하게 되는 형태로 만들어져 있다. 이러한 식으로, 임시 체결 돌출부(26)를 임시 체결 리세스(16)에 압입할 때, 커버부(2)는 특히 임시 체결 돌출부(26)의 측면과 임시 체결 리세스(16)의 내벽면 사이의 마찰 저항에 의해 베이스부(1)의 배선부(1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으면서 베이스부(1)에 체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임시 체결 리세스(16)와 하나 이상의 임시 체결 돌출부(26)는, 특히 돌출부/리세스의 감합 구조에 의해 배선부(1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으면서 커버부(2)를 베이스부(1)에 체결하는 임시 체결 기구를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하나 이상의 임시 체결 리세스(16)는 베이스부(1)에 마련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임시 체결 돌출부(26)는 커버부(2)에 마련되어 있지만, 이와는 반대인 혹은 부분적으로 반대인 구성도 가능하다. 즉, 임시 체결 리세스(16)는 커버부(2)에 마련될 수 있고 임시 체결 돌출부(26)는 베이스부(1)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임시 체결 리세스(16)와 임시 체결 돌출부(26)는 베이스부(1)와 커버부(2) 각각에 혼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배선 하네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하네스(100)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전선(9)의 중간 부분은 베이스부(1)의 배선부(11)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1)의 커넥터 지지부(15)에는, 예컨대 일부 전선(9)의 단부 상의 하나 이상의 커넥터(91)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 지지부(15)에 고정된 커넥터(91)에 접속되어 있는 전선(9)의 중간 부분은 특히 베이스부(1)에 있어서 배선부(11)에서부터 제1 단차부(12)를 경유하여 제1 프레임부(13)에까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예컨대 다른 전선(9) 중 하나 또는 몇몇의 단부에 있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91)는 베이스부(1)의 외측에 배치되고, 이 커넥터(91)에 접속된 전선(9)의 중간 부분은 베이스부(1)에 있어서 배선부(11)에서부터 제1 프레임부(13)의 제1 단차부(12) 및 전선 구속부(14)를 경유하여 제1 프레임부(1)의 외측에까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선(9)은 특히 전선 구속부(14)에 예컨대 바인딩 벨트에 의해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와 커버부(2)는 배선부(11)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전선(9)의 중간 부분을 배선부(11)와 대향벽부(21)의 사이에서 협지하면서 조립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임시 체결 리세스(16) 및 임시 체결 돌출부(26)에 있어서 서로 접촉한 채로 유지되어 있는 부분은 특히 접착되거나 (특히 초음파 용접 등의 스폿 용접용 장치에 의해) 용접되어, 커버부(2)가 베이스부(1)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식으로, 커버부(2)는 베이스부(1)와 함께 (복수의) 전선(9)의 중간 부분을 협지하면서 베이스부(1)와 조립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임시 체결 돌출부(26)가 임시 체결 리세스(1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 또는 삽입된 경우, 임시 체결 리세스(16)의 바닥면과 임시 체결 돌출부(26)의 상면이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 체결 리세스(16)의 바닥면과 임시 체결 돌출부(26)의 상면이 접촉해 있는 하나 이상의 부분에 특히 하나 이상의 용접부(6)를 형성한다.
<전선 구속부>
이어서, 도 6과 도 7을 참조로 하여, 전선 구속 혹은 고정부(14)를 설명한다. 도 6은 배선 도구(10)의 전선 구속부(14)에 전선(9)과 바인딩 벨트(8)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전선(9)이 고정되는 전선 구속부(14)의 정면도이다. 도 6과 도 7에서는 전선(9)의 단부를 빼고 전선(9)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음을 유의하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전선 구속부(14)는 제1 프레임부(13) 상에 전선 통과 혹은 배치부(141)와, 제1 벨트 삽입부(1420) 및 제2 벨트 삽입부(1430)를 포함한다. 전선 통과 혹은 배치부(141)는, 제1 프레임부(13)에 있어서 전선(9)이 통과 혹은 배치되는 부분이다. 제1 프레임부(13)에 있어서, 제1 벨트 삽입부(1420)는 전선 통과부(141)에 인접해 있고, 제2 벨트 삽입부(1430)는 전선 통과부(141)에서의 제1 벨트 삽입부(1420)의 반대측에 인접해 있다.
제1 벨트 삽입부(1420)는 바인딩 벨트(8)의 구속부(8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통과할 수 있는 관통 구멍(142)이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관통 구멍(142)은 전선(9) 및 전선 통과부(141)를 구속하는 바인딩 벨트(8)의 구속부(8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통과하는 구멍이다. 따라서, 관통 구멍(142)은 바인딩 벨트(8)의 구속부(81)가 삽입 통과할 수 있도록 치수 설정되어 있다. 바인딩 벨트(8)는 구속 부재의 예이고, 구속부(81)는 구속 대상 둘레에 감기는 바인딩 벨트(8)의 일부분인 것을 유의하라.
또한, 제2 벨트 삽입부(1430)는, 바인딩 벨트(8)의 구속부(81)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고 제1 프레임부(13)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절취부(143)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전선 통과부(141)에 인접한 제1 프레임부(13)에 있어서 관통 구멍(142)의 반대측의 부분에 절취부(143)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42)과 절취부(143)는, 예를 들어 진공 성형 이전에 평판 형태의 수지 부재에 톰슨(Thompson) 가공을 행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절취부(143)는, 제1 프레임부(13)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슬릿형 외측 구멍(1431)과, 이 외측 구멍(1431)과 연통하고 및/또는 외측 구멍(1431)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내측 구멍(1432)으로 구성된다.
내측 구멍(1432)은 전선 통과부(141)를 가로질러 관통 구멍(142)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및/또는 외측 구멍(1431)으로부터 전선 통과부(141)를 향하여 확대되어 있다. 따라서, 외측 구멍(1431)의 전선 통과부(141)측의 가장자리와 내측 구멍(1432)의 전선 통과부(141)측의 가장자리 사이의 경계부에 단차(1433)가 형성되어 있다. 즉, 내측 구멍(1432)은 외측 구멍(1431)으로부터 단차(1433)를 거쳐 전선 통과부(141)를 향하여 확대되어 있다.
바인딩 벨트(8)는 특히 먼저 절취부(143)에서 외측 구멍(1431)으로부터 내측 구멍(1432)에 삽입된다. 그 후에, 바인딩 벨트(8)는 그 끝을 선두로 하여 관통 구멍(142)에 삽입되고, 전선 통과부(141) 및 전선 통과부(141) 상에 배치된 전선(9)의 둘레에 감기거나 혹은 구부려진다.
전술한 방식으로 장착된 바인딩 벨트(8)는 특히 전선(9)과 전선 통과부(141)를 묶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전선(9)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구속부(14)의 전선 통과부(141)에 고정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전선 구속부(14)에서, 관통 구멍(142)의 가장자리와 절취부(143)의 단차(1433)는, 진동 등으로 인하여 바인딩 벨트(8)가 전선(9)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여 제1 프레임부(13)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의 예는 배선 도구(10)에 적용 가능한 전선 구속부(14)의 다른 예로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기 바란다. 다른 예에 따른 전선 구속부는, 제1 프레임부(13) 상의 전선 통과부(141)와 제1 프레임부(13) 상에서 전선 통과부(141)에 인접해 있고 (특히 전선 통과부의 양측에 있고) 2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2개의 관통 구멍은 전선(9) 및 전선 통과부(141)를 묶는 바인딩 벨트(8)가 삽입 통과하는 구멍이다.
<커넥터 지지부>
이어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커넥터 지지부(15)를 설명한다. 도 8은 배선 도구(10)의 커넥터 지지부(15)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전선(9)의 단부 상의 커넥터(91)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커넥터(91)가 고정되는 커넥터 지지부(15)의 전방 단면도이다.
여기서, 커넥터 지지부(15)를 설명하기 전에, 커넥터 지지부(15)에 고정되는 커넥터(91)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9)의 단부에 있는 커넥터(91)에는 클램프 등의 다른 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92)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92)는 하나 이상의, 특히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 빔 부분(922) 및 대향 돌출부(923)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는 특히 상대 부재의 피결합부가 감합되는 간격을 형성하는 한 쌍의 평행 가이드 레일이다. 또한, 빔 부분(922)은 특히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 사이를 잇는 가교부이다. 또한, 대향 돌출부(923)는 특히 가교부에 있어서 커넥터(91)의 본체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커넥터(91)의 본체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이다.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는 커넥터(9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빔 부분(922)은 특히 커넥터(91)의 외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서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의 사이에 있다. 또한, 돌출부(923)는 특히 빔 부분(922)으로부터 커넥터(91)의 외면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성08-19525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커넥터(91)는 자동차에 장착되는 배선 하네스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결합부(92)의 상대 부재는, 결합부(92)에 있어서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에 의해 형성되는 간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되는 감합편을 포함한다. 감합편에는 감함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감합편이 한 쌍의 가이드 레일(921) 사이의 간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될 때, 상기 감합 구멍에 결합부(92)의 돌출부(923)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된다. 감합편을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 사이의 간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함으로써, 결합부(92)와 상대 부재는 결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커넥터 지지부(15)에는 특히,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와, 이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의 사이에 있는 부분인 중간판 부분(152)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지지부(15)에서,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는 특히, 베이스부(1)의 제1 프레임부(13)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실질적으로 내측을 향해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평행 홈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평행 리세스(151)는, 제1 프레임부(13)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실질적으로 내측을 향해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바닥판 부분(1511)과, 바닥판 부분(1511)의 양측에 혹은 그 부근에 형성되고 및/또는 바닥판 부분(1511)에 연결된 2개의 측벽 부분(1512)으로 구성된다. 측벽 부분(1512)은 특히 바닥판 부분(1511)의 (양)측부에서 바닥판 부분(1511)으로부터 세워져 있는 하나 이상의 단차를 형성한다. 커넥터(91)의 결합부(92)에 있는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는 특히,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된다.
또한, 커넥터 지지부(15)에서, 중간판 부분(152)은 특히 실질적으로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 사이에 있는 판형 부분이고, 및/또는 이 부분은 커넥터(91)의 본체의 외면과 결합부(92)의 빔 부분(922) 사이의 간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중간판 부분(152)은 특히 실질적으로 평판이다.
또한, 중간판 부분(152)에는 특히, 이 중간판 부분(152)이 커넥터(91)의 본체의 외면과 결합부(92)의 빔 부분(922) 사이의 간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빔 부분(922) 상에 형성된 돌출부(923)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감합 구멍(15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커넥터(91)가 커넥터 지지부(15)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커넥터(91)의 결합부(92)에 있는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는 커넥터 지지부(15)의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지지부(15)의 중간판 부분(152)은 커넥터(91)의 본체의 외면과 결합부(92)의 빔 부분(922) 사이의 간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및/또는 결합부(92)의 빔 부분(922)에 형성된 돌출부(923)는 중간판 부분(152)에 형성된 구멍(15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된다.
커넥터 지지부(15)에서,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는 특히,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의 홈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커넥터(91)의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중간판 부분(152)은 특히, 커넥터(91)의 본체의 외면과 결합부(92)의 빔 부분(922) 사이의 간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됨으로써,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2)의 홈의 깊이 방향으로의 커넥터(91)의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중간판 부분(152)에 있어서 구멍(153)의 가장자리는 특히,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의 홈의 길이방향으로의 커넥터(91)의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내측으로 오목한 절취부(154)가 중간판 부분(152)과 평행 리세스(151)에 인접하게 [특히 중간판 부분(152)의 양측부와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 사이의 경계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식으로, 제1 프레임부(13)의 외측 가장자리측에 있어서 중간판 부분(152)의 단부가 특히 캔틸레버식으로 돌출되어 있는 차양부(1521)를 형성한다.
도 9에 도시된 커넥터(91)의 결합부(92)에서,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의 측벽 부분(1512)의 일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간격(924)이, 특히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와 빔 부분(922)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커넥터 지지부(15)에 절취부(154)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절취부(154)는 특히, 중간판 부분(152)이 커넥터(91)의 본체의 외면과 결합부(92)의 빔 부분(922) 사이의 간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다 깊게 삽입될 수 있도록, 중간판 부분(152)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특히, 중간판 부분(152)은 빔 부분(922)과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맞물릴 수 있게 되고, 및/또는 커넥터(91)가 커넥터 지지부(15)로부터 분리될 가능성이 낮아진다.
그러나, 간격(924)이 커넥터(91)의 결합부(92)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커넥터 지지부(15)에 절취부(154)를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로써, 중간판 부분(152)이 커넥터(91)의 본체의 외면과 결합부(92)의 빔 부분(922) 사이의 간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커넥터 지지부(15)에서는,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홈을 연결하는 홈을 형성하는 부분인 내측 리세스(155)가 특히, 중간판 부분(152)의 내측에 더 형성되어 있다. 이 내측 리세스(155)를 통해 특히, 돌출부와 리세스를 갖는 판형 부분인 커넥터 지지부(15)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 구체적으로는 커넥터 지지부(15)를 비트는 작용을 하는 외력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얻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91)는 커넥터 지지부(15)에 의해 지지되며, 및/또는 제1 프레임부(13)의 일부분에 고정된다. 즉, 커넥터 지지부(15)는 특히, 전선(9)의 단부에 장착된 커넥터(91)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92)와 맞물림으로써 커넥터(91)를 지지한다. 이러한 식으로, 전선(9)의 단부 상의 커넥터(91)는 특히, 매우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제1 프레임부(13) 상의 특정(예정된 혹은 예정 가능한) 위치에 고정된다.
커넥터 지지부(15)가 형성된 배선 도구(10)는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지지 도구의 일례인 점을 유의하기 바란다.
이어서, 도 11 및 도 12를 참조로 하여 커넥터 지지부(15)의 기본 구조를 설명한다. 도 11은 커넥터 지지부(15)의 기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커넥터 지지부(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커넥터(91)의 기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즉, 도 11과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커넥터 지지부(15)와 도 9에 도시된 커넥터(91)의 특정 구성만을 모식적으로 혹은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과 도 12에서, 도 8과 도 9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어져 있다는 점을 유의하기 바란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지지부(15)에 지지되는 커넥터(91)의 결합부(92)에 있어서,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는, 상대 판형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간격을 형성하는 가이드 레일의 형태의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커넥터 지지부(15)는 특히 커넥터(91)에 형성된 공지의 결합부(92)에서의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로서 이용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커넥터 지지부(15)에 의해 지지되는 커넥터(91)의 결합부(92)에 있어서, 빔 부분(922)은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 사이를 잇는 가교부가 아닐 수도 있다. 도 12에 도시된 빔 부분(922)은 특히 커넥터(9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지지 기둥에서 돌출된 (특히 실질적으로 캔틸레버 형상인) 부분이다. 커넥터 지지부(15)는 특히 커넥터(91)에 형성된 공지의 결합부(92)에서의 돌출부를 빔 부분(922)으로서 이용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지지부(15)에서,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는 판형의 제1 프레임부(13)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홈을 형성하는 부분이기만 하면 되고, 이러한 한 쌍의 홈에는 커넥터(91)의 결합부에서의 한 쌍의 평행 돌출부가 감합된다.
또한, 커넥터 지지부(15)에서, 중간판 부분(15)은 특히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의 사이에 있는 판형 부분으로서, 이 중간판 부분(152)이 커넥터의 외면과 결합부의 빔 부분 사이의 간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대향 돌출부(923)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되는 구멍(153)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지지부(15)에 있어서, 내측 리세스(155)는 특히 커넥터 지지부(15)의 강성을 증대시키도록 마련된 부분이다. 따라서, 판형 부재의 충분한 두께 또는 다른 구조로 인하여 커넥터 지지부(15)에 충분한 강성이 확보된다면, 내측 리세스(155)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배선 하네스(100)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전선(9)은 배선 도구(10)를 형성하는 베이스부(1)와 커버부(2)의 사이에 협지된다. 또한, 판형의 베이스부(1)에 있어서 내측의 배선부(11)로부터 외측의 제1 프레임부(13)까지 배치된 전선(9)은, 특히 제1 프레임부(13) 상의 특정(예정된 혹은 예정 가능한) 위치에 마련된 전선 구속부(14) 및/또는 커넥터 지지부(15)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전선(9)에 있어서 배선 도구(10)가 부착되고 전선 구속부(14) 및/또는 커넥터 지지부(15)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은, 특정(예정된 혹은 예정 가능한) 위치에 유지되고, 및/또는 전선에 있어서 전선 구속부(14) 및/또는 커넥터 지지부(15)에 의해 고정된 부분의 외측에 위치한 부분의 길이가 특히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전선(9)의 단부가 적정 비율로 접속 상대에 이르게 되도록, 전선(9)의 형상이 배선 도구(10)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전선(9)은 베이스부(1) 및 커버부(2)에 의해 보호된다.
한편, 전선(9)에 있어서 배선 도구(10)가 부착되고 실질적으로 배선부(11), 즉 베이스부(1)의 제1 프레임부(13) 이전의 중간 부분 상에 배치되는 부분은, 베이스부(1)의 내측 영역을 점유하는 배선부(11)와 커버부(1)의 내측 영역을 점유하는 대향벽부(21) 사이에 위치하고 및/또는 특히 구획되어 있지 않은 배선 공간(90)에 수용된다.
따라서, 전선(9)을 베이스부(1)의 배선부(11) 상에 배치하는 작업에서는, 전선(9)을 배선부(11) 내에 임의의 경로로 배치하는 것이 허용된다. 커버부(2)를 베이스부(1)에 대해 놓고 누르기만 하면, 전선(9)은 배선부(11)로부터 들어 올려지더라도, 특히 배선부(11)와 대향벽부(21) 사이의 배선 공간(90)에 수용되어 있다. 즉, 배선부(11)로부터 들어 올려진 전선(9)을 배선부(11)를 향해 누르면서 전선(9)을 배치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불필요하다. 다시 말하자면, 배선 하네스(100)를 채용함으로써, 배선 도구(10)를 전선(9)에 부착하는 작업이 더 간단해진다.
<커넥터 지지부의 효과>
배선 도구(10)의 커넥터 지지부(15)에 있어서, 전선(9)의 단부 상의 커넥터(91)는 특히, 결합부(92)의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를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의 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하고, 중간판 부분(152)을 결합부(92)의 빔 부분(922)과 커넥터(91)의 외면 사이의 간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하며, 결합부(92)의 대향 돌출부(923)를 중간판 부분(152)의 구멍(15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함으로써, 커넥터 지지 도구(15)에 고정된다.
또한, 커넥터 지지 도구(15)는 특히, 하나 이상의 홈이 일부분에 형성됨으로써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갖는 판 형태로 형성된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부재는, 수지 부재를 실질적으로 평판 형태로 진공 성형하거나, 및/또는 슬라이드 기구를 갖지 않는 간단한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함으로써 얻어지며, 생산에 필요한 비용과 맨아워가 적다.
또한, 특히 복수의 커넥터 지지부(15)를 하나의 배선 도구(10)에 마련함으로써, 복수의 커넥터(91)는, 단지 특히 하나의 배선 도구(10)를 지지체에 부착하는 것을 통해, 자동차의 패널 등과 같은 지지체의 특정(예정된 혹은 예정 가능한) 위치에 한번에 고정된다. 따라서, 배선 도구(10)를 채택함으로써, 전선(9)에 마련된 커넥터(91)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는 작업에 필요한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배선 도구(10)의 커넥터 지지부(15)에 있어서, 중간판 부분(152)의 양 측부와 한 쌍의 평행 리세스 사이의 경계부 각각은 특히 내측을 향해 절취되어 있다. 이로써 중간판 부분(152)은 커넥터(91)에서의 결합부(92)의 빔 부분(922)과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맞물리게 되고, 커넥터(91)가 커넥터 지지부(15)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가능성이 낮아진다.
또한, 한 쌍의 홈을 연결하는 홈을 형성하는 내측 리세스(155)는 특히 배선 도구(10)의 커넥터 지지부(15)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돌출부와 리세스를 갖는 판형 부재인 배선 도구의 커넥터 지지부(15)의 강성이 증대된다.
또한, 수지 부재를 평판 형태로 진공 성형함으로써 얻은 부재는 일반적으로 수지 사출 성형에 의해 얻은 부재에 비해 더 용이하게 그리고 보다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커넥터 지지부(15)를 포함하는 배선 도구(10)가 특히 수지 부재를 평판 형태로 진공 성형함으로써 얻은 부재이므로, 생산 맨아워 및 생산 비용이 더 줄어든다.
또한, 배선 도구(10)가 부착되어 있는 전선(9)의 단부 상의 커넥터(91)는 특히 커넥터 지지부(15)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고정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즉, 전선(9)의 단부 상의 커넥터(91)가 적정 비율로 접속 상대에 이르게 되도록, 전선(9)의 형상이 특히 배선 도구(10)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또한, 전선(9)에 부착된 배선 도구(10)를 특히 클램프, 스트랩, 리벳 및/또는 볼트 등에 의해 지지체에 부착하기만 하면, 커넥터(91)는 특히 지지체 상의 특정(예정된 혹은 예정 가능한) 위치에 고정된다. 즉, 배선 도구(10)를 채택함으로써, 커넥터(91)를 지지체 상의 특정(예정된 혹은 예정 가능한) 위치에 고정하는 작업이 간단해진다. 배선 도구(10)는 복수의 커넥터 지지부(15)를 포함하므로, 이러한 효과가 특히 현저하다.
<참조예에 따른 커넥터 지지부>
여기서, 커넥터 지지부(15)의 비교 대상인 참조예에 따른 커넥터 지지부(18)를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커넥터 지지부(18)와 커넥터(91)의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지지부(18)는 커넥터(91)의 결합부(92)에서의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의 사이에 있는 간격에 감합되는 감합편(181)을 포함한다. 감합편(181)은 제1 프레임부(13)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절취부 사이에 있는 부분이다. 또한, 감합편(181)에는 감합 구멍(182)이 형성되어 있고, 감합편(181)이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 사이의 간격에 감합될 때, 상기 감합 구멍에 결합부(92)의 돌출부(923)가 감합된다.
결합부(92)의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의 사이에 있는 간격에 감합편(181)을 감합함으로써, 커넥터(91)는 커넥터 지지부(18)에 고정된다. 즉, 커넥터 지지부(18)는 전선(9)의 단부에 장착된 커넥터(91)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92)와 맞물려서 커넥터(91)를 지지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지지부(18)는 돌출부 및 리세스를 갖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진 배선 도구(10)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 지지부(18)는 감합편(181)의 차양형 부분에 의해서만 커넥터(91)를 지지한다. 즉, 진동을 받는 환경하에서 커넥터 지지부(18)에 대해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하기가 곤란하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커넥터 지지부(15)에서는,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와 중간판 부분(152)이 실질적으로 커넥터(91)를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와 이 평행 리세스(151)의 사이의 중간 부분인 중간판 부분(152) 사이의 부분이, 전체적으로 평탄하지 않고 높은 강성을 갖는다. 따라서, 진동을 받는 환경하에서도 커넥터 지지부(15)에 대해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커넥터 지지 도구>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지지 도구(10A)를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커넥터 지지 도구(10A)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자동차의 차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패널 또는 계기판 등과 같은 판형 지지체(7)에 부착되어 있는 커넥터 지지 도구(10A)의 정면도이다.
커넥터 지지 도구(10A)는 특히 실질적으로 배선 도구(10)와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돌출부 및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갖는 판형 수지 부재이다. 배선 도구(10)와 마찬가지로, 커넥터 지지 도구(10A)에는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커넥터 지지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지지 도구(10A)에 형성된 커넥터 지지부(15)의 구조는 특히 도 8에 도시된 커넥터 지지부(15)의 구조와 유사하거나 동일하다.
도 14에 도시된 커넥터 지지 도구(10A)가 5개의 커넥터 지지부(15)를 구비하지만, 2개 내지 4개의 커넥터 지지부(15) 또는 6개 이상의 커넥터 지지부(15)를 구비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기 바란다.
또한, 배선 도구(10)와 마찬가지로, 커넥터 지지 도구(10A)에는 하나 이상의 클램프 구멍(17)도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지지 도구(10A)는 복수의 커넥터 지지부(15)에서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커넥터(91)를 지지한다. 또한, 커넥터 지지 도구(10A)가 복수의 커넥터(91)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클램프(5)는 특히 커넥터 지지 도구(10A)의 클램프 구멍(18)과 지지체(7)에 형성된 장착 구멍(7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고, 이에 의해 커넥터 지지 도구(10A)는 지지체(7)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하나의 커넥터 지지 도구(10A)가 지지체(7)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커넥터(91)가 지지체(7)의 특정(예정된 혹은 예정 가능한) 위치에 특히 한번에 고정된다. 따라서, 커넥터 지지 도구(10A)를 채택함으로써, 전선(9)에 마련된 커넥터(91)를 특정(예정된 혹은 예정 가능한) 위치에 고정하는 작업에 필요한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커넥터 지지 도구(10A)는 특히, 커넥터 지지 도구(10A)를 지지체(7)에 부착하기 위해 클램프(5)를 삽입 통과시키는 클램프 구멍(17)을 포함한다. 그러나, 커넥터 지지 도구(10A)는 지지체(7) 혹은 배선 도구 등과 같은 다른 부재에 결합되는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선을 배선 하네스에서 소정 형상으로 유지하고 전선을 보호하기 위한 배선 도구와, 이러한 배선 도구에 적용 가능한 커넥터 지지 도구에 있어서, 전선에 마련된 커넥터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는 작업에 필요한 시간의 단축과, 맨아워 및 생산에 드는 비용의 축소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커넥터 지지부(15)는 실질적으로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갖는 판 형태이고, 커넥터(91)의 결합부(92)와 맞물림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91)를 지지한다. 커넥터 지지부(15)에서는,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가 실질적으로 상기 판형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평행 홈을 형성하고, 결합부(92)의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한 쌍의 홈에 감합된다. 커넥터 지지부(15)에서, 중간판 부분(152)은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 사이에 있는 부분으로서, 커넥터(91)의 외면과 결합부(92)의 빔 부분(922) 사이의 간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빔 부분(922)에 형성된 대향 돌출부(923)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 또는 삽입되는 구멍(153)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기타>
전술한 배선 도구(10)에 있어서, 베이스부(1)와 커버부(2)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3)를 통해 접속됨으로써 일체로 또는 단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베이스부(1)와 커버부(2)는 (서로 일체로 연결되거나 혹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는) 서로 다른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1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배선부(11)가 배선 도구(10)의 베이스부(1)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의 배선부(11)에는, 특히 망상 혹은 그물 모양의 패턴으로 실질적으로 연속해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 및/또는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돌출부 또는 홈을 통해, 배선부(11)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베이스부(1)와 커버부(2)는 수지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부재일 수 있다. 특히 실질적으로, 배선 도구(10)와 커넥터 지지 도구(10A)는, 특히 실질적으로 상하방향(직선방향)으로만 하나 이상의 돌출부 및 하나 이상의 리세스가 마련된 판 형태로 형성되는 부재이고, 판형 수지 부재를 진공 성형함으로써 용이하게 얻어지는 부재이다. 따라서, 생산 맨아워 및 생산 비용의 관점에서, 배선 도구(10) 및 커넥터 지지 도구(10A)는 수지 부재를 평판 형태로 진공 성형함으로써 얻어진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1: 베이스부(베이스) 2: 커버부(덮개체)
3: 접속부 5: 클램프
6: 용접부 7: 지지체
8: 바인딩 벨트 9: 전선
10: 배선 도구 10A: 커넥터 지지 도구
11: 배선부(바닥 또는 베이스판 부분)
12: 제1 단차부 13: 제1 프레임부
14: 전선 구속부(전선 고정부)
15, 18: 커넥터 지지부(커넥터 지지 도구; 판형 부재)
16: 임시 체결 리세스 17: 클램프 구멍
21: 대향벽부 22: 제2 단차부
23: 제2 프레임부 26: 임시 체결 돌출부
81: 벨트부 90: 배선 공간
91: 커넥터 92: 커넥터의 결합부
100: 배선 하네스 111: 배선부의 돌출부
121: 융기 단차부 141: 전선 통과부(전선 고정부)
142: 관통 구멍(전선 고정부) 143: 절취부(전선 고정부)
144: 돌출부 151: 평행 리세스
152: 중간판 부분 153: 중간판 부분의 구멍
154: 절취부 155: 내측 리세스
181: 감합편 182: 감합편의 구멍
921: 평행 돌출부 922: 빔 부분
923: 대향 돌출부 924: 간격
1420: 제1 벨트 삽입부 1430: 제2 벨트 삽입부
1431: 외측 구멍 1432: 내측 구멍
1433: 단차 1511: 바닥판 부분
1512: 측벽 부분 1521: 차양부

Claims (10)

  1. 각 전선(9)의 하나 이상의 단부에 부착된 커넥터(91)의 결합부(92)와 맞물림으로써 커넥터(91)를 지지하는 커넥터 지지 도구(10A)로서,
    상기 커넥터(91)는,
    커넥터(9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와,
    커넥터(91)의 외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서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의 사이에 형성되는 빔 부분(922), 그리고
    빔 부분(922)으로부터 커넥터(91)의 외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대향 돌출부(923)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지지 도구(10A)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지지부(15, 18)를 구비하며, 이 커넥터 지지부는,
    커넥터 지지부(15, 18)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일직선으로 연장되며, 커넥터(91)의 결합부(92)의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되는 것인 한 쌍의 평행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와,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의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판 부분(152)으로서, 이 중간판 부분(152)이 커넥터(91)의 외면과 결합부(92)의 빔 부분(922) 사이의 간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을 때, 대향 돌출부(923)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되는 구멍 또는 리세스(15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중간판 부분(152)을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지지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커넥터 지지부(15, 18)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갖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평행 홈은 상기 판형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것인 커넥터 지지 도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간판 부분(152)의 양 측부와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 사이의 경계부 각각은 내측을 향해 절취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지지 도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홈을 연결하는 홈을 형성하는 부분인 내측 리세스(155)가, 중간판 부분(152)의 내측에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지지 도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커넥터 지지 도구(10A)는, 수지 부재를 평판 형태로 진공 성형함으로써 얻어지는 돌출부와 리세스가 형성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인 커넥터 지지 도구.
  6.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91)가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전선(9)을 지정된 형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판형 부재를 포함하는 배선 도구(10)로서, 커넥터(91)에는 결합부(92)가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부는, 커넥터(9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와, 커넥터(91)의 외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서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의 사이에 형성되는 빔 부분(922), 그리고 빔 부분(922)으로부터 상기 외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대향 돌출부(923)를 포함하며,
    상기 판형 부재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 및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갖는 판 형태인 부재이고, 하나 이상의 전선(9)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배선 공간(90)에 면하는 배선부(11)와, 배선부(11)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판형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부(13), 그리고 프레임부(13)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배선부(11)에서부터 프레임부(13)까지 배치된 전선(9)의 단부 상의 커넥터(91)가 고정되는 커넥터 지지부(15, 18)를 포함하며;
    커넥터 지지부(15, 18)에는, 상기 판형 부재의 프레임부(13)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일직선으로 연장되며, 커넥터(91)의 결합부(92)의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되는 한 쌍의 평행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와,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의 사이에 있는 부분인 중간판 부분(152)으로서, 이 중간판 부분(152)이 커넥터(91)의 외면과 결합부(92)의 빔 부분(922) 사이의 간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을 때, 대향 돌출부(923)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되는 구멍 또는 리세스(15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중간판 부분(152)이 형성되는 것인 배선 도구.
  7. 제6항에 있어서, 중간판 부분(152)의 양 측부와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 사이의 경계부 각각은 내측을 향해 절취되어 있는 것인 배선 도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한 쌍의 평행 리세스(151)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홈을 연결하는 홈을 형성하는 부분인 내측 리세스(155)가, 중간판 부분(152)의 내측에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인 배선 도구.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커넥터 지지 도구(10A)는, 수지 부재를 평판 형태로 진공 성형함으로써 얻어지는 돌출부와 리세스가 형성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인 배선 도구.
  10. 배선 하네스(100)로서,
    커넥터(91)가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전선(9)으로서, 커넥터(91)에는 결합부(9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부는, 커넥터(9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와, 커넥터(91)의 외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서 한 쌍의 평행 돌출부(921)의 사이에 형성되는 빔 부분(922), 그리고 빔 부분(922)으로부터 상기 외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대향 돌출부(923)를 포함하는 것인 하나 이상의 전선(9); 및
    제6항 또는 제7항에 따른 배선 도구(10)를 포함하는 배선 하네스.
KR1020120073243A 2011-07-05 2012-07-05 커넥터 지지 도구, 배선 도구 및 배선 하네스 KR101302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48806A JP2013016367A (ja) 2011-07-05 2011-07-05 コネクタ支持具、配線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JP-P-2011-148806 2011-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246A KR20130005246A (ko) 2013-01-15
KR101302943B1 true KR101302943B1 (ko) 2013-09-06

Family

ID=47426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243A KR101302943B1 (ko) 2011-07-05 2012-07-05 커넥터 지지 도구, 배선 도구 및 배선 하네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008713A1 (ko)
JP (1) JP2013016367A (ko)
KR (1) KR101302943B1 (ko)
CN (1) CN102868073A (ko)
DE (1) DE1020120070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917688U (zh) * 2012-01-05 2013-05-01 艾恩特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及使用该电连接器的电子装置
CN103532060A (zh) * 2013-10-30 2014-01-22 盛瑞传动股份有限公司 一种线束支架
US10050422B2 (en) * 2014-10-15 2018-08-14 Lear Corporation Wiring carrier
CN108390222A (zh) * 2015-08-20 2018-08-10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JP6150925B1 (ja) * 2016-05-18 2017-06-21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JP6788794B2 (ja) 2016-11-22 2020-11-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モジュール
JP6776918B2 (ja) * 2017-02-02 2020-10-2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接続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JP6951660B2 (ja) * 2017-05-24 2021-10-20 住友電装株式会社 配線ユニット
EP3685741B1 (en) * 2017-11-15 2022-09-07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Elastic wiring and method for producing elastic wiring
EP3711663B1 (en) * 2017-11-15 2023-07-26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Composite wiring, signal acquisition member, and production method of same
DE202019100105U1 (de) * 2019-01-10 2020-04-16 Innotec Motion GmbH Sitzmöbelchassis
CN113823965A (zh) * 2021-08-27 2021-12-21 苏州市中连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避免热量聚集的线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5253A (ja) * 1995-01-19 1996-07-30 Daiwa Kasei Kogyo Kk コネクター取付クランプ
JP2003243110A (ja) 2002-02-18 2003-08-2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同軸ケーブル接続治具およびその治具を用いた回路基板
KR200428825Y1 (ko) 2006-07-25 2006-10-13 경신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고정용 클립
KR20100119393A (ko) * 2009-04-30 2010-11-09 주식회사 연호전자 전기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2879A (ja) * 1997-04-24 1998-11-13 Yazaki Corp 合体コネクタ
JP3330530B2 (ja) * 1997-10-22 2002-09-30 矢崎総業株式会社 合体コネクタ
JP2004350341A (ja) * 2003-05-20 2004-12-09 Yazaki Corp 電気接続箱のハーネス固定構造及びコネクタカバーとそれを備えた電気接続箱
JP5424447B2 (ja) 2008-07-15 2014-02-26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JP2010213419A (ja) * 2009-03-09 2010-09-24 Yazaki Corp ワイヤーハーネス固定用クリップ
JP5557027B2 (ja) * 2010-08-24 2014-07-23 住友電装株式会社 電子素子内蔵コネクタ
CN103368021A (zh) * 2012-04-03 2013-10-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连接器固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5253A (ja) * 1995-01-19 1996-07-30 Daiwa Kasei Kogyo Kk コネクター取付クランプ
JP2003243110A (ja) 2002-02-18 2003-08-2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同軸ケーブル接続治具およびその治具を用いた回路基板
KR200428825Y1 (ko) 2006-07-25 2006-10-13 경신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고정용 클립
KR20100119393A (ko) * 2009-04-30 2010-11-09 주식회사 연호전자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246A (ko) 2013-01-15
JP2013016367A (ja) 2013-01-24
CN102868073A (zh) 2013-01-09
DE102012007052A1 (de) 2013-01-10
US20130008713A1 (en)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943B1 (ko) 커넥터 지지 도구, 배선 도구 및 배선 하네스
US20130008712A1 (en) Wiring tool and wiring harness
US9481327B2 (en) Wire harness and wire fitting
US20130146354A1 (en) Wire fitting and wire harness
US8957311B2 (en) Wire harness and wire fitting
JP6984180B2 (ja) 配線モジュールの敷設構造及び配線モジュール
JP5765218B2 (ja) コネクタ支持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WO2013001665A1 (ja) 配線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EP1544045A1 (en) Door module for a vehicle
JP5919661B2 (ja) 配線具、ワイヤハーネス及び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7347490B2 (ja) 配線モジュール
JP2016171032A (ja) ワイヤハーネスモジュール、ワイヤハーネス収容方法
JP2019161965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4327785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WO2013001668A1 (ja) 配線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4680740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5255895B2 (ja) プロテクタ、該プロテクタを有する電線配索装置
JP4327005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配索方法
JP5191793B2 (ja) 電線配索装置
CN114789756B (zh) 车辆用地板结构
JP7460270B2 (ja) プロテクタ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方法
JP5175608B2 (ja) 収容体及び該収容体を有する電線配索装置
JP5191794B2 (ja) 収容体及び該収容体を有する電線配索装置
JP2013135503A (ja) 配線具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2020054133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