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432B1 - 정보를 기록한 적층 재료, 이를 부착한 물품, 정보 판독방법 및 판독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를 기록한 적층 재료, 이를 부착한 물품, 정보 판독방법 및 판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432B1
KR101243432B1 KR1020087017049A KR20087017049A KR101243432B1 KR 101243432 B1 KR101243432 B1 KR 101243432B1 KR 1020087017049 A KR1020087017049 A KR 1020087017049A KR 20087017049 A KR20087017049 A KR 20087017049A KR 101243432 B1 KR101243432 B1 KR 101243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ransparent
information
resin layer
laminate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7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6504A (ko
Inventor
겐이치 사쿠마
아사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80086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6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 G02B5/128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transparent spheres being embedded in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6Signs formed of or incorporating reflecting elements or surfaces, e.g. warning signs having triangular or other geometrical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를 기록한 적층 재료, 이를 부착한 물품, 정보 판독 방법 및 판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장성, 보안성이 우수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정보를 기록한 적층 재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투명 미소구(18)의 일부분을 노출시킨 상태로 매립하여, 다수의 투명 미소구(18)를 정렬 배치한 미소구 고정층(12), 투명 미소구(18)의 대략 초점 위치에 설치된 반사층(14), 및 투명 미소구(18)가 노출된 측의 미소구 고정층(12)의 면상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된 투명 수지층(16)을 구비하고, 투명 수지층(16)에 의해 투명 미소구(18)의 초점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그 부분의 재귀 반사율을 저하시키고, 투명 수지층(16)이 설치된 부분과 상기 투명 수지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재귀 반사율의 차이에 의해 정보를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기록한 적층 재료(10).

Description

정보를 기록한 적층 재료, 이를 부착한 물품, 정보 판독 방법 및 판독 장치{LAMINATED MATERIAL WITH INFORMATION RECORDED THEREON, ARTICLE COMPRISING SAID LAMINATED MATERIAL APPLIED THERETO, INFORMATION REA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정보를 기록한 적층 재료, 이를 부착한 물품, 특히 의장성, 정보의 보안성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적층 재료에 기록한 정보의 판독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여러가지 제품의 생산 관리나 유통 관리를 실시하기 위해, 그 제품의 외장이나 부품 등에 바코드나 이차원 코드 등의 정보 코드를 인쇄한 시일(seal)을 제품에 부착하는 것이 실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정보 코드를 시일 등에 입력하는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레이저 마킹법이나 잉크 마킹법이 이용되고 있다. 잉크 마킹법은 기재(基材)와 명도차가 있는 잉크를 표면에 인쇄하여 정보 코드를 입력하는 방법이며, 레이저 마킹법은 시일 등의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고, 표면상에 오목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코드의 입력을 실시하는 방법이다(특허문헌 2 참조).
한편, 재귀 반사재는 종래부터 교통사고 방지 대책의 목적으로 안내 표식, 규제 표식 등의 도로 표식용 표시재나 야간의 도로 공사 작업이나 경찰관, 소방대원 등의 의료(衣料)에 사용되어 왔다. 동일한 목적으로서 야간의 조깅이나 보행시의 의료나 구두, 혁띠 등에, 또한 최근에는 패션성을 높이는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재귀 반사재는 특수한 재료를 사용하거나 재료 구성이나 제조 공정을 엄밀히 제어하여 모방이 곤란해지므로, 재귀 반사재를 진정품에 장착하여 진정품과 위조품이나 모조품을 판별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특허문헌 3 참조).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위조 방지 효과가 높은 재귀 반사재와 정보 코드를 조합함으로써 위조품이나 모조품과 진정품의 판별(보안성의 향상)과 정보 코드에 의한 상품 정보 관리를 동시에 달성하고자 하는 제품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4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19253호
특허문헌 2: 특허 제2719287호 명세서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272300호
특허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268258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정보 코드는 잉크 마킹법에 의해 인쇄하였으므로 정보 코드를 인쇄한 시일을 제품에 부착한 경우, 그 의장성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왜냐하면 잉크 마킹법은 기재와 잉크의 명도차를 갖는 것이 필요(백과 흑의 조합이 가장 판독하기 쉬움)하고, 사용할 수 있는 기재색과 잉크 색의 제한이 크기 때문이다. 또한, 정보 코드를 육안에 의해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으므로 보안성에도 약간 문제가 있었다.
의장성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레이저 마킹법에 의해 투명 필름에 요철 코드를 인자(印字)하고, 그 투명 필름을 제품에 부착하여 그 제품의 의장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정보 코드를 기재하는 것도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투명 필름상의 오목부와 평탄부의 명도차(콘트라스트)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통상 CCD 카메라를 이용한 코드의 자동 인식에 있어서 판독이 불가능하거나, 판독 에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서는 요철 코드의 형성면에 소정 각도로 광을 쪼이고, 엣지부로부터 얻어지는 반사광을 수광하여 인식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광의 조사 각도나 수광부의 위치 등이 제한되어 판독 조건을 상세히 설정하지 않아서는 안되고, 장치 구성이 복잡해져 기계가 고가가 되는 등의 결점이 있다. 또한, 레이저 마킹법에서는 정보 코드의 인자에 비용이 드는 문제도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와 같이 재귀 반사재와 각인에 의한 정보 코드를 조합하는 경우, 정보를 각인하는 층을 확보하기 위해 투명 재질층이 최표면에 존재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재귀 반사재의 종류는 클로즈 타입에 한정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의장성, 보안성이 우수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정보를 기록한 적층 재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정보가 기록된 적층 재료는 투명 미소구의 일부분이 노출된 상태로 매립되고, 다수의 투명 미소구가 정렬 배치된 미소구 고정층, 상기 투명 미소구가 노출된 면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투명 미소구를 투과한 광을 반사하는 반사층, 및 상기 투명 미소구가 노출된 측의 미소구 고정층의 면상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된 투명 수지층을 구비한다. 상기 투명 미소구로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대략 입사 방향으로 재귀 반사시키도록 상기 반사층은 상기 투명 미소구의 대략 초점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투명 수지층으로 투명 미소구의 노출면을 덮어 그 투명 미소구의 초점 위치를 상기 반사층의 위치에서 어긋나게 하여 재귀 반사율을 저하시키고, 상기 투명 수지층이 설치된 부분과 설치되지 않은 부분과의 재귀 반사율의 차이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상기 적층 재료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층은 가시광 영역(파장 400nm~700nm)의 광에 대해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층 재료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층에 의해 기록된 정보가 바코드 또는 이차원 코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층 재료는 바람직하게 물품에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판독 방법은 상기 적층 재료에 광을 조사하고, 그 재귀 반사광으로부터 적층 재료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 판독 장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2 광속으로 분할하고, 한쪽의 광속을 상기 적층 재료에 조사하는 하프 미러, 상기 적층 재료로부터의 재귀 반사광을 상기 하프 미러를 통해 수광하는 광 검출 수단, 및 상기 광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층 재료에 기록된 정보를 해석하는 해석 수단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광검출 수단은 상기 하프 미러면에 대해 상기 광원이 배치된 위치와 반대측에 설치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정보를 기록한 적층 재료에 의하면 투명 미소(微小) 구가 노출된 면상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된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투명 수지층을 설치하여 그 부분의 투명 미소구의 초점 위치를 어긋나게 하고, 상기 투명 수지층이 설치된 부분과 설치되지 않은 부분과의 재귀 반사율을 다르게 하여 이 재귀 반사율의 차이에 의해 정보를 기록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으므로 의장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보안성이 높은 적층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를 기록한 적층 재료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를 기록한 적층 재료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투명 수지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으로 광이 입사될 때의 설명도,
도 3B는 투명 수지층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으로 광이 입사될 때의 설명도,
도 4A는 직선광하에서 적층 재료를 관찰할 때의 설명도,
도 4B는 통상광하에서 적층 재료를 관찰할 때의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판독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6은 이차원 코드의 일례,
도 7은 이차원 코드의 일례, 및
도 8은 바코드의 일례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정보를 기록한 적층 재료 12 : 미소 구 고정층
14 : 반사층 16 : 투명 수지층
18 : 투명 미소 구 20 : 고정 수지층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를 기록한 적층 재료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적층 재료(10)는 미소구 고정층(12), 반사층(14) 및 투명 수지층(16)을 구비한다.
미소구 고정층(12)은 투명 미소구(18)와 다수의 투명 미소구(18)를 정렬 배치시켜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지층(20)으로 구성된다. 투명 미소구(18)는 고정 수지층(20)에 대략 절반이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투명 미소구(18)의 약 하반분이 매몰된 상태이고, 대략 상반분이 외부(공기중)에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미소구 고정층(12)은 종래의 오픈 타입의 재귀 반사재(투명 미소구의 일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로 사용하는 것)와 동일한 구성이면 좋다. 예를 들면 투명 미소구(18)는 입자 직경이 30~80㎛의 유리 비즈 등 굴절률이 1.9~2.2 정도의 것을 이용하면 좋다. 또한, 고정 수지층(20)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을 사용하면 좋다. 또한, 고정 수지층(20)의 강도를 올리기 위해 수지에 가교제를 첨가해도 좋다.
반사층(14)은 투명 미소구(18)가 노출된 면의 반대측에 설치된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미소구(18)의 고정 수지층(20)에 매몰된 면에 직접 설치해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수지층(20)의 후단(투명 미소구(18)를 매설한 면과 반대측)에 설치해도 좋다. 반사층(14)은 투명 미소구(18)의 대략 초점 위치(도 1의 경우는 투명 미소구의 대략 표면상에 위치하고, 도 2의 경우는 투명 미소구의 외측에 위치함)에 있으면 좋고, 이 초점 위치는 투명 미소구(18)(및 고정 수지층(20))의 굴절률로 정해진다. 또한, 반사층(14)은 그 반사면의 법선 방향이 광의 입사 방향을 향한 상태(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면을 따르는 형)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반사층(14)이 투명 미소구(18)의 대략 초점 위치에 있어 투명 미소구(18)를 투과하여 반사층(14)에서 반사된 광은 입사광과 대략 동일 방향으로 재귀 반사되게 된다.
반사층(14)의 재질은 특히 제한은 없고, 종래 공지된 것을 이용하면 좋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 산화아연, 이산화규소, 산화티탄, 인듐-주석 산화물, 산화 텅스텐 등을 사용하면 좋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294668호 참조). 또한, 광의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재귀 반사광을 착색하기 위해 반사층의 두께를 조정하거나 반사층을 복수의 층을 적층한 구성으로 하거나 이산화티탄 피복 운모 등의 간섭 물질을 반사층에 이용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예를 들면, 특허 제3441507호 명세서, 특허 제3541128호 명세서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 특징적인 부분은 투명 미소구(18)가 노출된 측의 미소구 고정층(12)의 면상의 적어도 일부에 투명 수지층(16)을 설치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투명 수지층은 가시광의 흡수, 산란, 반사가 작고, 실질적으로 투명한 것이면 좋으며, 특별히 제한은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명 수지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투명 수지를 이용하여 통상의 인쇄 방법에 의해 정보를 기록할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하다. 단, 투명 수지층은 반드시 투명 수지만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적절히 다른 재질도 포함해도 좋다.
투명 수지층의 투명함의 정도로서는 투명 수지층을 설치한 부분과 설치하지 않은 부분이 통상의 광 환경하에서 육안으로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투명 미소구와 동일한 정도 또는 그 이상으로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는 투명 수지층(16)이 파장 450~700nm의 가시광에 대해 광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수지의 예로서는 폴리스틸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설폰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투명 수지층으로서 투명 수지에 광의 흡수가 거의 없는 광산란 분 말에 혼합한 것을 이용해도 좋지만, 이 경우 광산란 분말의 양은 충분한 투명성이 있고, 통상의 광환경하에서는 투명 수지층을 설치한 부분과 설치하지 않은 부분을 육안으로 구분할 수 없는 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수지층을 인쇄한 부분의 재귀 반사율을 낮추기 위해, 투명 수지층의 굴절률이 가시광 영역(파장 450~700nm)의 적어도 일부에서 공기의 굴절률(약 1)과 다른 것이 필요하다. 또한, 투명 수지층의 굴절률과 공기의 굴절률의 차가 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률차가 0.3 이상이면 투명 수지층을 설치한 부분과 설치하지 않은 부분에서 재귀 반사율이 충분히 다르고, 정보를 정확히 판독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수지층의 굴절률이라는 것은 투명 수지층 전체로서 굴절률을 의미한다.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투명 수지층(16)에 의해 노출면이 덮여진 투명 미소구(18) 부분과, 투명 수지층(16)에 노출면이 덮여 있지 않은 투명 미소구(18) 부분은 다른 재귀 반사율을 갖는다. 이 재귀 반사율의 차이를 이용하여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의장성, 보안성이 높은 적층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투명 수지층에 의해 기록되는 정보로서는 공지된 이차원 코드, 바코드 등의 정보 코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차원 코드라는 것은 데이터를 이진화하여 정보를 이차원상으로 기록하는 것이며, 바코드라는 것은 데이터를 이진화하여 정보를 일차원상으로 기록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적층 재료에서는 물품에 부착하기 위한 점착층(22)을 설치하고 있다. 점착층에 사용하는 점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이용하면 좋다. 이 점착층(22)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고, 다른 형태 예를 들면 별도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하거나 가열에 의한 핫멜트 접착에 의해 물품에 첨부해도 좋다.
이상이 본 실시형태의 개략 구성이며, 계속해서, 도 3A, 도 3B, 도 4A, 도 4B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적층 재료의 작용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도 1의 적층 재료를 예로 설명하지만, 도 2의 적층 재료의 경우도 동일하다.
도 3A는 투명 수지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투명 미소구의 부분으로 광이 입사될 때의 설명도이다. 공기중에서 투명 미소구(18)에 직접 입사된 광은 적어도 일부가 투명 미소구(18)를 투과한다. 이 투과광은 투명 미소구(18)의 노출 표면(공기와의 계면)에서 굴절되어 투명 미소구(18)의 대략 초점 위치에 집광된다. 투명 미소구(18)의 대략 초점 위치에는 반사층(14)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투명 미소구(18)에 의해 집광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반사층(14)에서 반사되고, 다시 투명 미소구(18)를 투과하여 공기와의 계면에서 굴절되어 입사 방향과 대략 동일 방향으로 귀환하는 재귀 반사광이 된다. 즉, 투명 미소구(18)는 구면 렌즈로서 기능하게 된다.
한편,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수지층(16)에 의해 노출면이 덮여 있는 투명 미소구(18) 부분에 입사된 광은 적어도 그 일부가 투명 수지층(16)을 투과한 후, 투명 미소구(18)로 향한다. 투명 미소구(18)는 광이 입사되는 면이 공기중에 직접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 투명 미소구의 초점이 반사층(18) 상에 위치하도록 굴절률이 정해져 있다. 그러나, 투명 수지층의 굴절률은 공기와는 다르므로 투명 수지층(16)으로 덮인 투명 미소구(18)의 초점 위치는 반사층(14)의 위치에서 어긋난다(또는 반사층(14) 위치에 명확한 초점이 생기지 못하게 된다). 이 때문에 투명 수지층(16)을 투과하여 반사층(14)에서 반사된 광은 재귀 반사광이 되지 않고, 입사광과 다른 방향으로 나가는 확산 반사광이 된다. 바꿔 말하면 투명 수지층(16)에 의해 투명 미소구(18)가 구면 렌즈로서 잘 기능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재귀 반사율이 저하한다.
도 4A는 적층 재료(10)에 거의 일정한 방향으로 진행 방향이 정해진 광(이하, "직선광"이라고 함)을 조사한 경우의 설명도(도면에서는 적층 재료(10)의 바로 위에서 광을 조사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투명 수지층(16)이 설치된 투명 미소구(18) 부분과 설치되어 있지 않은 투명 미소구(18) 부분에서 다른 재귀 반사율을 갖고 있으므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의 조사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도 4A에서는 적층 재료의 바로 위에서 관찰한 경우), 재귀 반사광의 강도의 차이에 의해 투명 수지층에 의해 기록한 정보가 판독되게 된다.
한편, 광의 조사 방향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관찰한 경우, 재귀 반사광 이외의 광, 예를 들면 투명 미소구(18) 표면, 투명 수지층(16) 표면에서 반사된 광 등을 주로 관찰하게 된다. 투명 수지층(16)과 투명 미소구(18)는 모두 투명하고 광의 흡수, 산란은 거의 없으며 투명 수지층(16)이 설치된 부분과 설치되지 않은 부분의 외관의 차이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투명 수지층(16)에 의해 기록한 정보는 거의 판독할 수 없다. 이와 같이 투명 수지층을 설치한 부분은 입사된 광을 확산 반사하는 확산 반사 영역으로서 움직이고, 투명 수지층을 설치하지 않은 부분이 입사된 광을 재귀 반사하는 재귀 반사 영역으로서 움직이게 된다.
또한, 태양광 또는 형광등 등의 조명하와 같이 조사하는 광의 진행 방향에 편차가 있는 경우(이하, "통상광"이라고 함), 적층 재료(10)에는 여러 가지 방향으로 광이 입사하게 된다(도 4B 참조). 이 때문에 적층 재료(10)로부터의 반사광 중 특히 재귀 반사광이 강하게 관찰되는 관찰 방향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고, 어느 관찰 위치에서도 투명 수지층(16)이 설치된 부분과 설치되지 않은 부분과의 차이를 구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통상광 하에서는 투명 수지층(16)에 의한 정보를 판독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재료에 의하면 투명 수지층에 의해 정보를 기록하고 있으므로, 통상광의 조명하(도 4B에 도시한 경우)에서는 투명 수지층에 의한 정보를 거의 시인(視認)할 수 없고, 의장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직선광하(도 4A에 도시한 경우)에서의 재귀 반사광에 의해서만 정보를 판독할 수 있으므로 보안성도 향상된다.
적층 재료로의 정보 코드의 기록 방법은 통상의 인쇄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특수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제조가 용이하며, 또한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인쇄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볼록판 인쇄, 오목판 인쇄, 그라비아 인쇄, 스크린 인쇄, 잉크젯 인쇄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투명 수지층의 형성은 도료를 이용하여 인쇄 하는 방법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투명 수지를 시트 모양으로 부착하는 방법으로 실시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재료는 예를 들면 컴퓨터 소프트웨어, 음악 소프트웨어, 고급 브랜드 제품(카메라, 화장품, 의료, 가방 등) 등의 위조되기 쉬운 물품의 본체나 제품 태그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재료를 부착함으로써 그 물품의 위조 방지, 상품 정보 관리 등에 도움이 된다.
정보 코드 판독 방법 및 장치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재료로부터의 정보 판독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판독 방법은 상기 적층 재료에 광을 조사하고, 적층 재료로부터의 재귀 반사광을 관찰하여 적층 재료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정보 판독 방법은 이하에 설명하는 장치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코드 판독 장치이다. 도 5의 정보 코드 판독 장치(100)는 광원(백색 광원(102)), 하프 미러(104), 광검출 수단(CCD 카메라(106)) 및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는 해석 수단(108)을 구비한다.
백색 광원(102)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하프미러(104)로 향하고, 거기서 일부가 반사되어 적층 재료(10)로 향한다. 적층 재료(10)로 향한 광은 적층 재료(10)로 입사된다. 적층 재료(10)로부터의 재귀 반사광은 다시 하프 미러(104)로 진행하고, 일부가 하프 미러(104)를 투과하여 CCD 카메라(106)로 향해 거기서 검출된 다. CCD 카메라(106)에 의해 검출된 검출 신호는 해석 수단(108)으로 보내진다. 해석 수단(108)에서는 이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적층 재료에 기록한 정보의 해석을 실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재료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서는 광의 조사 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도 5의 장치에 의하면 광검출 수단(106)은 하프 미러(104) 면에 대해 광원(102)이 배치된 위치와 반대측에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프 미러를 이용하여 광원(102)과 광검출 수단(106)이 위치적으로 서로 간섭하지 않고 배치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재귀반사광을 관측할 수 있다. 또한, 광원의 위치와 광검출 수단의 위치를 바꾼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투명 수지
(주)세이코 어드밴스사제 스크린 인쇄용 잉크 SG-410(90부), 톨루엔(10부)을 혼합하여 투명 도료를 조제했다.
스크린 인쇄용판의 작성
나일론제 150 메쉬 스크린을 이용하여 10mm각의 DATAMATRIX형 2 차원 코드(14×14셀, 코드 정보:SHISEIDO)판을 작성했다(도 6 참조).
재귀 반사재
재귀 반사재(미소구 고정층+반사층)로 하여 가부시키가이샤 마루진제 오픈형 재귀 반사 필름(LIGHT FORCETM LFU-1200, 반사층: 알루미늄 증착, 유리 비즈의 직경:약 40∼50㎛, 비즈의 매몰률: 약 50%)을 이용했다.
정보 코드의 인쇄 방법
상기 재귀 반사재의 표면(투명 미소구가 노출된 면)에 상기 스크린 인쇄용 판을 사용하여 스크린 인쇄기로 이차원 코드(투명 수지층)의 두께가 약 10㎛가 되도록 인쇄했다. 인쇄한 이차원코드는 외관상 육안으로 거의 인식할 수 없고, 재귀반사재의 의장성을 손상시키지 않았다.
코드 정보의 판독 해석
도 5에 도시한 장치를 이용하여 위에서 작성한 적층 재료에 대해 코드 정보의 판독을 실시했다. 여기서 광검출 수단 및 정보 코드 해석 수단으로서 CCD 카메라 부착 코드리더 THIR-3000LP((주)도켄제)를 이용했다. 코드 정보의 판독, 해석을 실시한 결과, 「SHISEIDO」라고 판독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코드 정보를 도 7에 도시한 10mm각의 QR형 2차원 코드(21×21셀, 코드 정보:SHISEIDO)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결과, 모두 정확히 코드 정보를 판독할 수 있었다. 또한, 인쇄한 이차원 코드는 외관상 육안으로 거의 인식할 수 없고, 재귀 반사재의 의장성을 손상시키지 않았다.
실시예 3
코드 정보를 도 8에 도시한 15×18mm의 JAN8형 바코드(코드 정보:01234565) 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결과, 모두 정확히 코드 정보를 판독할 수 있었다. 또한,인쇄한 바코드는 외관상 육안으로 거의 인식할 수 없고, 재귀 반사재의 의장성을 손상시키지 않았다.
실시예 4
재귀 반사재를 가부시키가이샤 마루진제 오픈형 재귀 반사 필름(LIGHT FORCETM LFU-1400, 반사층:황화아연-이산화규소-황화아연 적층 증착, 유리비즈의 직경: 약 40∼50㎛, 비즈의 매몰률: 약 50%)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결과, 정확히 코드 정보를 판독할 수 있었다. 또한, 인쇄한 이차원 코드는 외관상 육안으로 거의 인식할 수 없고, 재귀반사재의 의장성을 손상시키지 않았다.

Claims (6)

  1. 투명 미소구의 일부분이 노출된 상태로 매립되고, 다수의 투명 미소구가 정렬 배치된 미소구 고정층,
    상기 투명 미소구가 노출된 면의 반대측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 미소구를 투과한 광을 반사하는 반사층 및
    상기 투명 미소구가 노출된 측의 미소구 고정층의 면상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된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투명 미소구로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대략 입사 방향으로 재귀 반사시키도록 상기 반사층은 상기 투명 미소구의 대략 초점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 수지층으로 투명 미소구의 노출면이 덮여져 그 투명 미소구의 초점 위치를 상기 반사층의 위치에서 어긋나게 하여 재귀 반사율을 저하시키고, 상기 투명 수지층이 설치된 부분과 설치되지 않은 부분의 재귀 반사율의 차이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기록한 적층 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층은 가시광 영역(파장 400nm~700nm)의 광에 대해 투과율이 80%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기록한 적층 재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층에 의해 기록된 정보가 바코드 또는 이차원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기록한 적층 재료.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적층 재료를 부착한 물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적층 재료에 광을 조사하고, 그 재귀 반사광으로 적층 재료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 방법.
  6.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2광속으로 분할하고, 한쪽의 광속을 청구항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적층 재료에 조사하는 하프 미러,
    상기 적층 재료로부터의 재귀 반사광을 상기 하프 미러를 통해 수광하는 광검출 수단,
    상기 광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층 재료에 기록된 정보를 해석하는 해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광검출 수단은 상기 하프미러면에 대해 상기 광원이 배치된 위치와 반대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 장치.
KR1020087017049A 2006-01-17 2007-01-16 정보를 기록한 적층 재료, 이를 부착한 물품, 정보 판독방법 및 판독 장치 KR101243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08583A JP4468902B2 (ja) 2006-01-17 2006-01-17 情報を記録した積層材料、それを貼付した物品、および情報読み取り方法
JPJP-P-2006-00008583 2006-01-17
PCT/JP2007/050484 WO2007083619A1 (ja) 2006-01-17 2007-01-16 情報を記録した積層材料、それを貼付した物品、情報読み取り方法および読み取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504A KR20080086504A (ko) 2008-09-25
KR101243432B1 true KR101243432B1 (ko) 2013-03-13

Family

ID=3828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049A KR101243432B1 (ko) 2006-01-17 2007-01-16 정보를 기록한 적층 재료, 이를 부착한 물품, 정보 판독방법 및 판독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028914B2 (ko)
EP (1) EP1975650B1 (ko)
JP (1) JP4468902B2 (ko)
KR (1) KR101243432B1 (ko)
CN (1) CN101375186B (ko)
BR (1) BRPI0706563A2 (ko)
ES (1) ES2390915T3 (ko)
RU (1) RU2425401C2 (ko)
WO (1) WO20070836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8902B2 (ja) 2006-01-17 2010-05-26 株式会社資生堂 情報を記録した積層材料、それを貼付した物品、および情報読み取り方法
JP5228666B2 (ja) * 2007-10-19 2013-07-03 凸版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構造体、偽造防止ステッカー、偽造防止転写箔、偽造防止インキ、偽造防止媒体、偽造防止用紙、及び真偽判定方法
CN102016960B (zh) * 2008-04-30 2013-05-15 共同印刷株式会社 回射体标签片及固定粘贴有回射体标签片的物品
JP2009268533A (ja) * 2008-04-30 2009-11-19 Kyodo Printing Co Ltd 遊技機、遊技機の集積回路パッケージ、遊技機の集積回路及びそれらに貼付するラベル
JP2009268532A (ja) * 2008-04-30 2009-11-19 Kyodo Printing Co Ltd 遊技機、遊技機の集積回路パッケージ、遊技機の集積回路及びそれらに貼付するラベル
JP4982715B2 (ja) * 2008-08-21 2012-07-25 学校法人関西学院 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5455014B2 (ja) * 2009-03-30 2014-03-26 京楽産業.株式会社 遊技機
JP5455017B2 (ja) * 2009-03-30 2014-03-26 京楽産業.株式会社 遊技機
JP5455015B2 (ja) * 2009-03-30 2014-03-26 京楽産業.株式会社 遊技機
JP5455016B2 (ja) * 2009-03-30 2014-03-26 京楽産業.株式会社 遊技機
JP5676083B2 (ja) * 2009-03-30 2015-02-25 京楽産業.株式会社 遊技機
US20120099200A1 (en) * 2009-07-17 2012-04-26 Nippon Carbide Industries Co., Inc. Retroreflective sheeting of micro glass sphere provided with image having visual direction
JP5401266B2 (ja) * 2009-10-30 2014-01-29 京楽産業.株式会社 遊技機
JP5401262B2 (ja) * 2009-10-30 2014-01-29 京楽産業.株式会社 遊技機
JP5401263B2 (ja) * 2009-10-30 2014-01-29 京楽産業.株式会社 遊技機
JP5568278B2 (ja) * 2009-10-30 2014-08-06 京楽産業.株式会社 遊技機
JP5401267B2 (ja) * 2009-10-30 2014-01-29 京楽産業.株式会社 遊技機
JP2011092533A (ja) * 2009-10-30 2011-05-12 Kyoraku Sangyo Kk 遊技機
JP5401264B2 (ja) * 2009-10-30 2014-01-29 京楽産業.株式会社 遊技機
JP5600412B2 (ja) * 2009-10-30 2014-10-01 京楽産業.株式会社 遊技機
JP5401265B2 (ja) * 2009-10-30 2014-01-29 京楽産業.株式会社 遊技機
JP5565933B2 (ja) * 2009-10-30 2014-08-06 京楽産業.株式会社 遊技機
TW201435830A (zh) 2012-12-11 2014-09-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 不顯眼之光學標籤及其方法
US9864120B2 (en) 2013-09-05 2018-01-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tterned marking of multilayer optical film by thermal conduction
JP6466084B2 (ja) * 2014-05-27 2019-02-06 貴生 朝山 印刷物
JP5766343B1 (ja) * 2014-10-24 2015-08-19 ユニチカスパークライト株式会社 再帰性反射性材料
CN104680216B (zh) * 2015-01-20 2017-08-04 邓秀梅 二维码防伪标签及其印刷方法
DE102015105594A1 (de) * 2015-04-13 2016-10-13 Schreiner Group Gmbh & Co. Kg Etikett zum fälschungssicheren Kennzeichnen eines Gegenstands und Verfahren
EP3582642A4 (en) 2017-02-20 2021-01-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ARTICLES AND INTERACTING SYSTEMS
EP3583448A1 (en) * 2017-02-20 2019-12-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ystem using optical articles for integrated monitoring, alerting, and predictive safety event avoidance
US11500138B2 (en) 2017-02-20 2022-11-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troreflecting article with contrast reduction layer
JP6983018B2 (ja) * 2017-09-21 2021-12-17 共同印刷株式会社 再帰反射性シート
CN111164605A (zh) 2017-09-27 2020-05-15 3M创新有限公司 使用光学图案以用于设备和安全监控的个人防护设备管理系统
JP2019062499A (ja) * 2017-09-28 2019-04-18 株式会社シフト コード認識装置、コード認識方法及びコード認識プログラム
CN111263903A (zh) * 2017-11-07 2020-06-09 3M创新有限公司 光学膜和包括该光学膜的系统
US20210295059A1 (en) * 2018-08-17 2021-09-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uctured texture embeddings in pathway articles for machine recognition
DE202018106511U1 (de) * 2018-11-16 2019-03-19 Upm Plywood Oy Harzbeschichtete Deckschicht und ein Sperrholzgegenstand mit der Deckschicht
US11409978B2 (en) 2020-11-05 2022-08-09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Machine-readable optical label including spectrally encoded data storage patterns
KR102424722B1 (ko) * 2021-09-01 2022-07-25 이정표 재귀반사시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8880A (ja) 1999-11-23 2001-07-10 Xerox Corp 識別タグ及びタグ識別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7164A (en) * 1989-05-12 1993-08-17 Sony Corporation Card having retroreflective bar codes and a magnetic stripe
JPH036607A (ja) 1989-06-02 1991-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H036607U (ko) * 1989-06-07 1991-01-23
US5169707A (en) * 1991-05-08 1992-12-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troreflective security laminates with dual level verification
JP3068252B2 (ja) 1991-06-28 2000-07-24 ホーヤ株式会社 反射防止膜を有する光学部材
JP2558920Y2 (ja) * 1991-07-31 1998-01-14 ユニチカスパークライト株式会社 装着用再帰反射シート材
JP2719287B2 (ja) 1992-10-30 1998-02-25 オプテックス株式会社 凹凸コード判読装置
JP3441507B2 (ja) 1993-04-30 2003-09-02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カンパニー 印刷装置
DE69532752T2 (de) 1994-12-16 2005-02-10 Nippon Carbide Kogyo K.K. Bei ultraviolettbestrahlung licht emittierende retroreflektierende schicht
US5706133A (en) 1995-02-09 1998-01-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troreflective signage articles, kits for producing same, and methods of making signage articles
JP3629297B2 (ja) * 1995-05-11 2005-03-16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再帰性反射シート及び再帰性反射性能を有する物品
JP3493245B2 (ja) * 1995-05-12 2004-02-03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再帰性反射シート及び再帰性反射性能を有する物品
JP3541128B2 (ja) 1997-09-30 2004-07-07 株式会社資生堂 着色光再帰反射材
JP2000272300A (ja) 1999-03-26 2000-10-03 Shiseido Co Ltd 偽造防止粘着シ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318215A (ja) * 2000-05-10 2001-11-16 Unitika Sparklight Kk 再帰性反射材
JP2002019253A (ja) 2000-07-05 2002-01-23 Nippon Barcode Co Ltd 印刷用凸版、原版、記憶媒体ならびに印刷方法
JP4283424B2 (ja) 2000-07-10 2009-06-24 株式会社資生堂 偽変造防止用素材
JP3826040B2 (ja) 2002-01-23 2006-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被記録媒体の識別装置、識別方法、および記録装置
JP3432507B1 (ja) * 2002-06-13 2003-08-04 株式会社丸仁 カラー再帰性反射材
CN2575702Y (zh) * 2002-10-24 2003-09-24 华中科技大学 一种全息防伪标识的谱变换识别仪
JP4233355B2 (ja) 2003-01-16 2009-03-04 株式会社資生堂 情報を刻印した積層材料、それを貼付した物品、及び情報コードの観察方法
JP2004294668A (ja) 2003-03-26 2004-10-21 Shiseido Co Ltd 透明再帰反射材
JP2005295877A (ja) 2004-04-09 2005-10-27 Taiyo Yuden Co Ltd 核酸分析方法、分析装置及び分析用ディスク
JP4556511B2 (ja) 2004-06-25 2010-10-06 ソニー株式会社 15d−PGJ2、及び、15d−PGJ2を用いた方法
JP4468902B2 (ja) 2006-01-17 2010-05-26 株式会社資生堂 情報を記録した積層材料、それを貼付した物品、および情報読み取り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8880A (ja) 1999-11-23 2001-07-10 Xerox Corp 識別タグ及びタグ識別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75186A (zh) 2009-02-25
EP1975650A1 (en) 2008-10-01
JP4468902B2 (ja) 2010-05-26
KR20080086504A (ko) 2008-09-25
ES2390915T3 (es) 2012-11-19
BRPI0706563A2 (pt) 2011-03-29
US20100147949A1 (en) 2010-06-17
EP1975650A4 (en) 2011-07-20
US8028914B2 (en) 2011-10-04
WO2007083619A1 (ja) 2007-07-26
RU2008133629A (ru) 2010-02-27
RU2425401C2 (ru) 2011-07-27
EP1975650B1 (en) 2012-09-19
CN101375186B (zh) 2010-09-29
JP2007192883A (ja) 200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432B1 (ko) 정보를 기록한 적층 재료, 이를 부착한 물품, 정보 판독방법 및 판독 장치
US10821764B2 (en) Display body and article
US9519087B2 (en) Prismatic retroreflective sheeting with reduced retroreflectivity of infra-red light
US20120243744A1 (en) Security element comprising a substrate bearing an optical structure and a reference pattern, and associated method
US11465434B2 (en) Machine-readable optical security device
CN104395096A (zh) 安全装置
KR20140029355A (ko) 전환 특징부를 갖는 보안 물품
US20170144468A1 (en) Resin sheet and booklet
JP2000293105A (ja) 光識別ラベル、識別ラベル付き物品およびラベル識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