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813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813B1
KR101221813B1 KR1020110057747A KR20110057747A KR101221813B1 KR 101221813 B1 KR101221813 B1 KR 101221813B1 KR 1020110057747 A KR1020110057747 A KR 1020110057747A KR 20110057747 A KR20110057747 A KR 20110057747A KR 101221813 B1 KR101221813 B1 KR 101221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fc
signal
groun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057A (ko
Inventor
코우헤이 우에다
마사오 히구치
요시히로 스기이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8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의 깊이를 감소시키는 기술을 제공한다. FFC를 기판과 접속하는 커넥터는 복수의 신호콘택, 그라운드콘택 및 하우징을 포함한다. 신호콘택은 FFC의 신호단자와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그라운드콘택은 FFC의 그라운드단자와 접촉한다. 하우징은 복수의 신호콘택 및 그라운드콘택을 유지한다. FFC가 커넥터로 삽입되고 분리되는 방향에서 하우징의 후면을 기준으로서 설정한다고 가정하면, 신호단자에 대한 신호콘택의 콘택지점까지의 제1 거리는 그라운드단자에 대한 그라운드콘택의 콘택지점까지의 제2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FFC(Flexible Flat Cable) 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s)를 기판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기술로서,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2006-134708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서는 FPC가 삽입/분리 될 수 있으며 인쇄 배선 기판에 접속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본 출원의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는 다수의 신호콘택(signal contacts; 80), 접지콘택(81a), 접지콘택(81b), 하우징(82) 및 개폐커버(84)를 구비한다. 신호콘택(80)은 좌우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접지콘택(81a)은 신호콘택(80)이 배열되어 있는 방향의 좌측에 배치된다. 접지콘택(81b)은 그 배열 방향의 우측에 배치된다. 하우징(82)은 신호콘택(80), 접지콘택(81a) 및 접지콘택(81b)을 그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 개폐커버(84)는 하우징(82)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개구부(83)를 개폐하도록 회전한다. 본 출원의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C(85)는 플렉시블 기판(86), 실드부재(shield member; 87), 보호판(88) 및 접지접속편(89)을 구비한다. 플렉시블 기판(86)은 복수의 신호선을 갖는다. 보호판(88)은 FPC(85)의 단부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채용된다. 개폐커버(84)가 개구부(83)를 개방하기 위하여 비잠금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 FPC(85)는 하우징(82)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반면, FPC(85)가 하우징(82) 안으로 삽입되고 개폐커버(84)가 개구부(83)를 폐쇄하기 위하여 잠금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신호콘택(80)이 FPC(85)의 신호선에 접속된다. 이 때, 접지콘택(81a 및 81b)은 접지접속편(89)과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가 그 깊이에 있어서 개선이 필요함을 발견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의 깊이를 감소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판에 장착되며, 복수의 신호단자와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단자를 갖는 플렉시블 평면케이블(FFC) 및 플렉시블 인쇄회로(FPC) 중 하나를 기판과 접속시키는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는, 각각이 FFC 및 FPC 중 하나의 신호단자와 접촉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신호콘택; FFC 및 FPC 중 하나의 그라운드단자와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콘택 및; 복수의 신호콘택 및 그라운드콘택을 유지(holding)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FFC 및 FPC 중 하나가 커넥터로 삽입되거나 또는 커넥터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에서의 하우징의 단부를 기준으로 설정하면, 각 신호단자에 대한 각 신호콘택의 콘택지점까지의 제1 거리는 그라운드단자에 대한 그라운드콘택의 콘택지점까지의 제2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FFC 또는 FPC가 커넥터로 삽입될 때, FFC 및 FPC 중 하나의 접지단자와 그라운드콘택 사이에서 접촉압력을 발생시키는 접촉압력 발생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촉압력 발생부는, FFC 및 FPC 중 하나를 사이에 개재하고 그라운드콘택에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며, 그라운드콘택에 대하여 FFC 및 FPC 중 하나의 그라운드단자를 가압하는 가압부재(pressing member)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가압부재는 판 용수철이다.
바람직하게는, 그라운드콘택 및 접촉압력 발생부는 일체적으로(integrally)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라운드콘택 및 접촉압력 발생부는 하우징에 대하여 자세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일시적 유지 구조체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신호콘택은 무삽입력(zero insertion force(ZIF)) 형태이다.
커넥터는 복수의 신호콘택이 복수의 신호단자와 각각 접촉하게 하는 압압부재(pressurizing member)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라운드콘택 및 접촉압력 발생부로 이루어진 일시적 유지 구조체는 압압부재와는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라운드콘택 및 접촉압력 발생부로 이루어진 일시적 유지 구조체 쌍은, 복수의 신호콘택이 배열되는 방향에서 복수의 신호콘택을 사이에 끼우는 위치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일시적 유지 구조체 쌍은 분리하여(separately)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콘택은, 복수의 신호콘택이 배열되는 방향에서 복수의 신호콘택을 사이에 끼우는 위치에서 쌍을 이루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라운드콘택 쌍은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는 기판에 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한 보조 고정장치를 더 포함한다. 그라운드콘택 및 보조 고정장치는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신호단자에 대하여 신호콘택의 콘택부로서 작용하는 신호콘택부는, FFC 및 FPC 중 하나를 사이에 개재하고 그라운드단자에 대하여 그라운드콘택의 콘택부로서 작용하는 그라운드콘택부에 대향하는 측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신호단자에 대하여 신호콘택의 콘택부로서 작용하는 신호콘택부는, FFC 및 FPC 중 하나로부터 볼 때, 그라운드단자에 대하여 그라운드콘택의 콘택부로서 작용하는 그라운드콘택과 동일한 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거리와 제2 거리가 서로 상당히 다른 구조(예를 들어, 특허문허 1에 개시된 커넥터)와 비교하여, 커넥터의 깊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특징 그리고 장점 및 그 이외의 목적, 특징 그리고 장점은 이하에 제공된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좀 더 잘 이해될 것이며, 이들 설명과 도면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FFC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FFC의 저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VII-VII에 따라서 얻어진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VIII-VIII에 따라서 얻어진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한 금속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른 금속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설명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1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1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1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FFC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커넥터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20은 특허문헌 1의 도 1에 대응하는 도이다.
도 21은 특허문헌 1의 도 3에 대응하는 도이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 1 내지 1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커넥터(1)는, 기판(5)의 커넥터 장착면(5a)에 장착시키켜서 도 1에 도시된 기판(5)에 FFC(Flexible Flat Cable; 4)를 접속시키는데 사용된다. FFC(4)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신호단자(2)와 신호 그라운드단자(3)를 갖는다. 도 1은 커넥터(1)에 FFC(4)가 접속되도록 준비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는 복수의 신호콘택(6), 금속부재(7) 쌍(보조 고정장치), 하우징(8) 및 액추에이터(9; 압압부재(pressurizing member))를 포함한다. 복수의 신호콘택(6)은 각각 FFC(4)의 신호단자(2)에 접촉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을 지어(in a row) 배열되어 있다. 금속부재(7)는 각각 그라운드콘택(10)을 포함한다. 그라운드콘택(10)은 FFC(4)의 그라운드단자(3)와 접촉한다. 복수의 신호콘택(6) 및 금속부재 쌍(7)은 하우징(8)에 의하여 유지된다.
설명의 편리함을 위하여, 커넥터(1)의 "우-좌 방향", "전-후 방향" 및 "높이 방향"이라는 용어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에서 정의한다. 용어 "우-좌 방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신호콘택(6)이 배열되어 있는 방향을 나타낸다. 용어 "전-후 방향"은 FFC(4)가 커넥터(1)로 삽입 또는 커넥터(1)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실시예에서, "전-후 방향"(FFC(4)가 커넥터로 삽입되거나 커넥터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5)의 커넥터 장착면(5a)의 면방향을 가리키며 또한 "우-좌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응한다. 용어 "높이 방향"은 도 1에 도시된 기판(5)의 커넥터 장착면(5a)에 수직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우-좌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1)의 우-좌 방향에서 중앙으로 접근하는 방향을 "중앙 접근 방향"이라고 정의하고, 커넥터의 우-좌 방향에서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중앙 이격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전-후 방향"에서, FFC(4)가 커넥터(1)로 삽입되는 방향을 "삽입 방향"으로, FFC(4)가 커넥터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을 "분리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엄밀하게 말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방향"(또는 "분리 방향")은 기판(5)의 커넥터 장착면(5a)의 면방향에 대하여 작은 각을 갖는다. 그러나, "삽입 방향" 및 "분리 방향"을 정의함에 있어서는, 그런 각은 무시한다. "높이 방향"에 있어서, 기판(5)의 커넥터 장착면(5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기판 이격 방향"으로, 기판(5)의 커넥터 장착면(5a)으로 접근하는 방향을 "기판 접근 방향"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기술되는 "깊이"라는 용어는 커넥터(1)의 전-후 방향에서의 크기를 말한다.
(FFC(4))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FFC(4)는 베이스폴리이미드(11),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평편한 도전체, 접착층, 및 커버레이(coverlay)의 적층이 실드부재(12)로 덮여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폴리이미드(11) 및 복수의 평편한 도전체는 FFC(4)의 단부에서 노출된다. 따라서 노출된 복수의 평편한 도전체는 이전에 언급된 신호단자(2)를 구성한다. 또한, 노출된 베이스폴리이미드(11)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노치(notch; 13)가 형성된다. 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그라운드단자(3)는 베이스폴리이미드(11)를 사이에 두고 신호단자(2)에 대향하는 측에 형성된다. 그라운드단자(3)는 실드부재(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라운드단자(3)의 존재에 의하여, 도 3 및 4에 도시된 FFC(4)는 2층 FFC라고 부른다. 즉 신호단자(2) 및 그라운드단자(3)는 2층 구조를 구성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단자(2)와 그라운드단자(3)는 그들 사이에 베이스폴리이미드(11)를 사이에 두고 반대쪽에 노출되어 있다. 그라운드단자(3)는 FFC(4)의 우-좌 방향에서 베이스폴리이미드(11)의 넓은 영역을 덮도록 형성된다. FFC(4)의 면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서 볼 때, 그라운드단자(3)는 모든 신호단자(2)와 중첩하도록 넓은 폭을 갖는다. 그라운드단자(3)는 모든 신호단자(2)를 중첩하고 있으며, FFC(4)의 우-좌 방향에서 넓은 폭을 가지고 형성된다. 따라서, 그라운드단자(3)는, 복수의 신호단자(2)가 배열된 방향에서 모든 신호단자(2)를 사이에 끼우고 있는 한 쌍의 그라운드단자 미중첩부(non-overlopping portion; 3a)를 포함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FFC(4)의 그라운드단자(3)는 복수의 신호단자(2)와 분리하여 형성된다. FFC(4)의 그라운드단자(3)는 FFC(4)의 전체 폭을 덮거나 또는 FFC의 전체 폭에 근접하는 도전체 경로를 갖는 단자를 가리킨다. FFC(4)의 그라운드단자(3)는 또한 그라운드 선으로서 기능하며, 실드 효과, 노이즈 방지효과 또는 FFC(4)의 신호단자(2)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하우징(8))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8)은 우-좌 방향에서 하우징(8)의 단부인 한 쌍의 하우징 단부(14)와 우-좌 방향에서 하우징(8)의 중앙부인 하우징 중앙부(15)를 포함한다.
(하우징 중앙부(15))
하우징 중앙부(15)는 복수의 신호콘택(6)을 유지하는 부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중앙부(15)는 본체(16), 하부 돌출부(17) 및 상부 돌출부(18)를 포함한다. 하부 돌출부(17)는 분리 방향에서 본체(16)의 하부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상부 돌출부(18)는 분리 방향에서 본체(16)의 상부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하우징 중앙부(15)에서, 복수의 신호콘택 유지 챔버(19)는 우-좌 방향으로 규칙적인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신호콘택 유지 챔버(19)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신호콘택(6)은 각각의 신호콘택 유지 챔버(19)에 압입하여 끼워 맞춰서 그 안에 수용되고 유지된다. 각각의 신호콘택 유지 챔버(19)는 본체(16), 하부 돌출부(17) 및 상부 돌출부(18) 상에 형성된다.
(하우징 단부(14))
하우징 단부(14)는 금속부재(7)를 유지하고 액추에이터(9)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이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단부(14)는 바닥부(20) 및 측벽부(21)를 포함한다. 바닥부(20)는 작은 높이를 가지며, 중앙 이격 방향에서 하우징 중앙부(15)의 하부 돌출부(17)에 인접해 있다. 측벽부(21)는 큰 높이를 가지며 중앙 이격 방향에서 바닥부(20)에 인접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방지 돌기(23)가, 분리 방향으로 측벽부(21)의 말단부(22)에 형성되어 있다. 분리 방지 돌기(23)는 말단부(22)에 접속되어 있으며, 중앙 접근 방향으로 말단부(22)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분리 방지 돌기(23)는 FFC(4)의 베이스폴리이미드(11)에 형성된 노치(13)(도 4 참조)에 딱 맞게 되어 있어서, 커넥터(1)로부터 FFC(4)가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분리 방지 돌기(23) 및 바닥부(20) 사이에는, 평행 홈(24)이 형성되어 있다. 평행 홈(24)은 분리 방향, 중앙 접근 방향 및 중앙 분리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측벽부(21)에는, 종방향 홈(25)이 형성되어 있다. 종방향 홈(25)은 분리 방향 및 기판 접근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평행 홈(24)과 종방향 홈(25)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커넥터(1)를 삽입 방향을 따라서 볼 경우, 평행 홈(24) 및 종방향 홈(25)은 실질적으로 L-형태를 형성한다. 측벽부(21)에는, 액추에이터 지지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액추에이터 지지홈(26)은 기판 이격 방향 및 중앙 접근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액추에이터(9))
액추에이터(9)는 복수의 신호콘택(6)을 복수의 신호단자(2)와 접촉시키기 위한 압압부재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9)는 액추에이터 본체(27)(압압부재 본체), 한 쌍의 제1 샤프트부(28), 빗살부(29) 및 복수의 제2 샤프트부(30)(도 7 참조)를 포함한다. 빗살부(29)를 구성하는 복수의 빗살(29a) 및 도 7에 도시된 제2 샤프트부(30)가 교대로 우-좌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샤프트부(28)는 복수의 빗살(29a)과 복수의 제2 샤프트부(30)를 우-좌 방향에서 사이에 끼우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1 샤프트부(28)는 제2 샤프트부(30)와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형성된다. 또한, 빗살부(29)는, 중심으로서 제1 샤프트부(28) 또는 제2 샤프트부(30)에 대하여 빗살부(29)를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 레버로서 작동하는 액추에이터 본체(27)와 접속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살부(29)의 빗살(29a) 각각은, 액추에이터 본체(27)가 아래로 떨어질 때, 기판 접근 방향으로 FFC(4)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갖는다.
(신호콘택(6))
신호콘택(6)은 FFC(4)의 신호단자를 기판(5)의 커넥터 장착면(5a) 상에 형성된 신호 랜드(land)(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신호콘택(6)은 신호콘택 본체(32), 후크(33), 콘택부(34) 및 리드(35)를 구비하는 소위 ZIF(Zero Insertion Force) 커넥터이다. 후크(33)는 하우징(8)으로부터 액추에이터(9)가 분리되는 것을 억제한다. 후크(33)는 신호콘택 본체(32)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분리 방향으로 신호콘택 본체(32)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후크(33)의 말단부에는 기판 접근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후크부(33a)가 형성된다. 콘택부(34)는 FFC(4)의 신호단자(2)와 접촉한다. 접촉부(34)는 신호콘택 본체(32)의 하단부에 접속되고 분리 방향으로 신호콘택 본체(3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콘택부(34)의 말단부에는 기판 이격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34a)가 형성된다. 리드(35)는 기판(5)의 커넥터 장착면(5a) 상에 형성된 콘택 랜드(도시하지 않음)에 납땜된다. 리드(35)는 신호콘택 본체(32)의 하단부에 접속되며, 삽입 방향으로 신호콘택 본체(32)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금속부재(7))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금속부재(7)는, 한 금속부재(7)가 다른 금속부재(7)에 대하여 우-좌 방향으로 대칭이 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금속부재(7) 쌍은 이들 부재를 서로 구별하지 않고 설명된다. 도 2의 뒤쪽 좌측에 도시된 금속부재(7)는 도 10에 도시된 금속부재(7)에 대응한다. 도 2의 앞쪽 우측에 도시된 금속부재(7)는 도 11에 도시된 금속부재(7)에 대응한다.
도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부재(7) 각각은 하우징 삽입부(36), 땜납 단자부(37), 그라운드콘택(10), 그라운드콘택 지지부(38), 판 스프링(39), 및 결합부(40)를 포함한다. 금속부재(7)는, 얇은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찍어내고 그 금속판을 접어서 일체적으로 형성한다.
하우징 삽입부(36)는 도 6에 도시된 하우징(8)의 하우징 단부(14)의 측벽부(21)에 형성된 종방향 홈(25)에 압입하여 끼워맞추어서, 금속부재(7)를 하우징(8)에 고정시킨다. 하우징 삽입부(36)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방향으로 부드럽게 테이퍼드된 형상을 갖는다.
땜납 단자부(37)는 기판(5)의 커넥터 장착면(5a)에 형성된 그라운딩 랜드(41)(도 1 참조)에 땜납되어서 기판에 금속부재(7)를 고정하고 금속부재(7)가 그라운딩 랜드(4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한다. 땜납 단자부(37)는 하우징 삽입부(36)의 길이방향(longitudinal direction)에서의 중간부의 하단부에 접속되며 중앙 이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결합부(40)는 도 6에 도시된 하우징(8)의 평행 홈(24)으로 압입하여 끼워맞추어져서 금속부재(7)를 하우징(8)에 고정하고 그라운드콘택(10)과 판스프링(39)을 지지한다. 결합부(40)는 하우징 삽입부(36)의 분리 방향의 단부인 단말부(36a)의 하부에 접속되고 중앙 접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도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40)는 그라운드콘택 지지부(38) 및 판 스프링(39)과 연결된다.
그라운드콘택 지지부(38)는 결합부(40)가 그라운드콘택(10)을 지지하게 한다. 다시 말하면, 그라운드콘택(10)은 그라운드콘택 지지부(38)를 통하여 결합부(40)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운드콘택 지지부(38)는 결합부(40)의 중앙 접근 방향에서 말단부(40a)에 연결되고, 그 말단부(40a)로부터 삽입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그라운드콘택(10)은 그라운드콘택 지지부(38)의 삽입 방향에서의 말단부(38a)에 연결된다.
그라운드콘택(10)은 만곡부(42), 수평부(43), 콘택부(44)(그라운드콘택부), 및 가이드부(45)를 포함한다. 만곡부(42)는 그라운드콘택 지지부(38)의 말단부(38a)에 연결된다. 만곡부(42)는 기판 이격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또한 결합부(40)의 말단부(40a)를 향하여 뒤로 접혀지도록 형성된다. 수평부(43), 콘택부(44) 및 가이드부(45)는 결합부(40)의 말단부(40a)를 향하여 만곡부(42)로부터 이 순서로 일체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수평부(43)는 만곡부(42)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라운드콘택 지지부(38)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콘택부(44)는 수평부(43)에 연결되어 있으며, 기판 접근 방향으로 약간 오목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부(45)는 콘택부(44)에 연결되어 있으며, 기판 이격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FFC(4)를 커넥터(1)에 삽입할 때, 판스프링(39)(접촉압력 발생부, 가압부재)은 FFC(4)의 그라운드단자(3)와 그라운드콘택(10) 사이에 접촉압력을 발생시키다. 상세하게는, 판스프링(39)은 FFC(4)를 사이에 두고 그라운드콘택(10)에 대향하는 측에 형성되고, 그라운드콘택(10)에 대하여 FFC(4)의 그라운드단자(3)를 가압하기 위하여 채용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39)은 결합부(40)의 말단부(40a)의 인근에 연결되어 있으며, 결합부(40)로부터 삽입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판스프링(39)은 가이드부(46), 압력-접촉부(47), 뒤로 기울어진부(receding portion; 48)를 포함한다. 가이드부(46), 압력-접촉부(47) 및 뒤로 기울어진부(48)는 이 순서로 결합부(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46)는, 삽입 방향으로 진행할 때, 기판 이격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판스프링(39)의 가이드부(46)는 그라운드콘택(10)의 가이드부(45)와 협력하여 삽입 방향으로 테이퍼드(tapered)되게 하는 가이드 구조를 갖는다. 가이드 구조는 FFC(4)를 그라운드콘택(10)의 콘택부(44)와 판스프링(39)의 압력-접촉부(47) 사이로 매끄럽게 삽입하게 한다. 압력-접촉부(47)는 높이 방향에서 그라운드콘택(10)의 콘택부(44)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뒤로 기울어진부(48)는 삽입 방향으로 진행할 때 기판 접근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뒤로 기울어진부(48)에 의하여, 판스프링(39)은, 정점으로서 압력-콘택부(47)를 갖는, 기판 이격 방향으로 볼록하게 된 만곡 형상으로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삽입부(36)는 중앙 이격 방향으로 반구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반구부(49)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반구부(49)는, 금속부재(7)가 하우징(8)으로 삽입될 때, 하우징(8)의 삽입면(즉, 종방향 홈(25)의 한 내벽면)을 가압한다. 결국, 제1 반구부(49)가 형성된 면에 대향하는 면은, 하우징(8)의 삽입면(종방향 홈(25)의 다른 내벽면)을 가압하여서 하우징(8)에 대하여 금속부재(7)를 배치한다. 유사하게, 결합부(40)에는 기판 이격 방향으로 반구형상으로 돌출된 제2 반구부(50)가 설치된다. 또한 제2 반구부(50)는 제1 반구부(49)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술적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그라운드콘택(10) 및 판스프링(39)은 일시적 유지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제공된다. 이 일시적 유지 구조체가 결합부(40)를 통하여 하우징(8)에서 유지된다고 할지라도, 일시적 유지 구조체는 결합부(40) 그 자체의 토션(torsion)에 대하여 낮은 강성을 갖는다. 따라서, 하우징(8)에 대한 일시적 유지 구조체의 자세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일시적 유지 구조체와 액추에이터(9)는 작동에 있어서, 서로 독립적이다. 즉, 일시적 유지 구조체와 액추에이터(9)는 서로 물리적으로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도 1, 2, 7 및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일시적 유지 구조체는, 복수의 신호콘택(6)이 배열되는 방향에서 복수의 신호콘택(6)을 사이에 끼우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일시적 유지 구조체(한 쌍의 금속부재(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하여 형성된다.
다음에는, 커넥터(1)의 조립을 간단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액추에이터(9)가 하우징(8)에 먼저 부착된다. 이 때, 도 9에 도시된 액추에이터의 제1 샤프트부(28)가 도 6에 도시된 하우징(8)의 측벽부(21)의 액추에이터 지지홈(26)에 놓이게 된다. 다음 액추에이터(9)는 평행한 자세로 기울어지게 된다(도 12 참조). 이 때, 액추에이터의 빗살부(29)의 가압부(31)가 기판 접근 방향을 향하고 있는가가 확실한지를 주의깊게 봐야 한다.
다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신호콘택(6)을, 분리 방향으로, 하우징(8)의 복수의 신호콘택 유지 챔버(19)로 압압하여 끼워맞춘다. 이 때, 신호콘택(6)은, 콘택부(34)와 후크(33)를 선단부로서 가지면서, 신호콘택(6) 각각의 콘택부(34)가 하우징(8)의 하부 돌출부(17)의 측에 위치되고, 신호콘택(6) 각각의 후크(33)는 하우징(8)의 상부 돌출부(18)의 측에 위치되는 방법으로, 신호콘택 유지 챔버(19)에 압압하여 끼워 맞추어진다. 압압하여 끼워 맞출 때, 신호콘택(6) 각각의 후크(33)의 후크부(33a)는 액추에이터(9)의 제2 샤프트부(30)를 넘어서게 된다. 결국, 액추에이터(9)는, 제2 샤프트부(30), 후크부(33a), 후크(33), 신호콘택 본체(32), 및 상부 돌출부(18)의 순서로 이들을 통하여 기판 이격 방향으로 하우징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유사하게, 액추에이터(9)는 제1 샤프트부(28) 및 측벽부(21) 이 순서로 이들을 통하여 전-후 방향 및 기판 접근 방향으로 하우징(8)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요컨데, 이런 상태에서는, 액추에이터(9)는 제1 샤프트부(28), 제2 샤프트부(30) 및 신호콘택(6)을 경유하여 하우징(8)에 의하여 회전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나서, 액추에이터(9)가 똑바로 선 자세로 변경된 후에(도 8 참조), 한 쌍의 금속부재(7)가 삽입 방향에서 하우징(8)의 하우징 단부(14)의 쌍으로 압압하여 끼워 맞춰진다. 상세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하우징 삽입부(36)는, 도 6에 도시된 종방향 홈(25)으로 압압하여 끼워맞춰지고 도 10에 도시된 결합부는 도 6에 도시된 평행 홈(24)으로 끼워맞춰진다. 이 때, 도 10에 도시된 땜납 단자부(37)는 도 6에 도시된 측벽부(21)에서 기판(5) 측에 노출된다. 도 7 및 8은 각각, 커넥터(1)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준다.
다음으로, 커넥터(1)의 용도를 설명할 것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의 금속부재(7)의 땜납 단자부(37)가 기판(5)의 커넥터 장착면(5a)의 그라운딩 랜드(41)에 땜납되어 있다. 유사하게, 도 7에 도시된 커넥터(1)의 신호단자(6) 각각의 리드(35)는 기판(5)의 커넥터 장착면(5a)에 형성된 신호 랜드(도시되지 않음)에 땜납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9)는 이미 똑바로 선 자세로 변경되어 있다. 이것은 커넥터(1)가 FFC(4)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FFC(4)가 커넥터(1)에 삽입된다. 상세하게는, FFC(4)는 도 7에 도시된 신호콘택(6)의 콘택부(34)와 후크(33) 사이에 삽입된다. 즉, FFC(4)는 도 8에 도시된 금속부재(7)에 대한 일시적 유지 구조체를 이루는 그라운드콘택(10) 및 판스프링(39) 사이로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콘택(6) 각각은 소위 ZIF 커넥터이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콘택(6)의 후크(33)와 콘택부(34) 사이의 갭은, 신호콘택(6)을 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FFC(4)의 두께보다 크게 설정한다. 따라서, FFC(4)가 삽입 중에 신호콘택(6)과 접촉한다고 할지라도, 삽입에 대한 저항력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운드콘택(10)과 판스프링(39) 사이의 갭은, 금속부재(7)를 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FFC 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설정된다. 좀 더 상세하게 말하면, 그라운드콘택(10)의 콘택부(44)와 판스프링(39)의 압력-접촉부(47) 사이의 갭은, FFC(4)가 삽입되기 전에 금속부재(7)가 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FFC(4)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된다. 그러므로, 삽입 중에, FFC(4)는 소정의 접촉압력으로 금속부재(7)의 그라운드콘택(10)과 판스프링(39)과 접촉하고, 마찰이 그라운드콘택(10)과 판스프링(39) 사이에 발생하여, 이것이 삽입에 대한 저항력을 일으킨다. 요컨데, 삽입중에, FFC(4)가 신호콘택(6)으로부터 저항력은 받지 않지만, 일시적인 유지 구조체를 이루는 그라운드콘택(10) 및 판스프링(39)으로부터 저항력을 받는다. 일시적 유지 구조체로부터 가해지는 이 저항력은, FFC(4)가 커넥터로부터 분리될 때 또한 발생된다. 이러한 설명으로부터 비추어 볼 때, FFC(4)는, 일시적 유지 구조체에 의하여 발생되는 저항력에 의하여 커넥터(1)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유지된다고 말할 수 있다.
삽입에 의하여, FFC(4)의 그라운드단자(3)의 그라운드단자 미중첩부(3a)(도 4 참조)와 그라운드콘택(10)의 콘택부(44)는 소정의 접촉압력으로 서로 접촉된다.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FFC(4)를, 아래로 약간 기울어지게 하여 커넥터(1)로 삽입하여, FFC(4)가 하우징(8)의 하우징 단부(14)에 있는 분리 방지 돌기(23)와 물리적으로 간섭되지 않고 있는지가 확실한지를 주의 깊게 봐야 한다. 유사하게, FFC(4)의 전면 및 후면이 FFC(4)의 그라운드단자(3)가 기판 이격 방향으로 향하여 있도록 적절하게 배치되었는지가 확인되어야 한다.
그리고 나서, FFC(4)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8)의 본체(16)와 접하게 될 때까지, 커넥터(1) 안으로 삽입한 후, FFC(4)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5)에 대하여 수평 자세로 변경된다. 결국, 도 6에 도시된 하우징(8)의 하우징 단부(14)에 있는 분리 방지 돌기(23)가, 치수차를 갖는 도 4에 도시된 FFC(4)의 노치(13)로 끼워지는 구조에 있어서, FFC(4)가 커넥터(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강경하게 방지한다. 분리 방지 돌기(23)가 치수차를 갖는 노치(13)로 끼워지는 구조에서는, 전술한 일시적 유지 구조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노치(13)는 분리 방지 돌기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따라서, FFC(4)가 커넥터(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러한 점에서, 노치(13)와 분리 방지 돌기(23)를 사용하는 분리 방지 구조는, 일시적 유지 구조체가 존재할 때에만 이룰 수 있다.
다음, 도 14에 도시된 액추에이터(9)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수평 자세에 대하여 분리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FFC(4)는 액추에이터(9)의 가압부(31)에 의하여 기판 접근 방향으로 가압되어서, FFC(4)의 신호단자(2)와 신호콘택(6)의 콘택부(34)의 돌기(34a)가 서로 강하게 접촉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일시적 유지 구조체와 애츄에이터(9)는 작동시에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된다. 따라서, 도 14 및 15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시적 유지 구조체는 실질적으로 수평한 자세에 대하여 액추에이터(9)가 변경하기 전과 후가 거의 변경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경우에, FFC(4)가 액추에이터(9)의 빗살부(29)의 가압부(31)에 의하여 기판 접근 방향으로 가압될 때에는, FFC(4)를 유지하고 있는 일시적 유지 구조체가 간접적으로 약간 자세를 변경한다.
이상에서 커넥터(1)의 용도를 기재하였다. 다음에는, 커넥터(1)의 유효한 특징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제1 거리(D1)" 및 "제2 거리(D2)"라는 용어가 여기서 정의된다. 먼저, 용어 "제1 거리(D1)" 및 "제2 거리(D2)"를 정의하기 위한 기준을 도 15 및 16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즉, 도 15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신호콘택(6)이 배열되어 있는 방향인, 우-좌 방향에 따라서 관찰된 측단면도에서, FFC(4)가 커넥터(1)로 삽입되거나 커넥터(1)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인, 전-후 방향에서의 하우징(8)의 단부를 기준으로서 설정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 15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8)의 후면(51)을 전-후 방향에서의 하우징(8)의 단부, 즉 기준으로서 채용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볼 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거리(D1)는, 하우징(8)의 후면(51)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 방향에서 신호단자(2)에 대한 신호콘택(6)의 콘택지점까지의 거리로서 정의된다. 이 실시예에서, 신호단자(2)에 대한 신호콘택(6)의 콘택지점은 신호콘택(6)의 콘택부(34)의 돌기(34a)의 상향정점(upward apex)에 대응한다.
유사하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거리(D2)는 하우징(8)의 후면(51)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 방향에서 그라운드단자(3)에 대한 그라운드콘택(10)의 콘택지점까지의 거리로서 정의된다. 이 실시예에서, 그라운드단자(3)에 대한 그라운드콘택(10)의 콘택지점은 그라운드콘택(10)의 콘택부(44)의 하향정점(downward apex)에 대응한다.
도 15 및 도 16의 비교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구조는,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가 서로 상당히 다른 구조(즉,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와 비교하여, 커넥터(1)의 깊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가 이상에서 설명되었다. 정리하면, 제1 실시예는 다음의 특징으로 갖는다.
즉, 기판(5)의 커넥터 장착면(5a) 상에 장착하여 복수의 신호단자(2)와 신호 그라운드단자(3)를 갖는 FFC(4)를 기판(5)에 접속시키는 커넥터(1)는 복수의 신호콘택(6), 그라운드콘택(10) 및 하우징(8)을 포함한다. 신호콘택(6)은 FFC(4)의 신호단자(2)와 각각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그라운드콘택(10)은 FFC(4)의 그라운드단자(3)와 접촉한다. 하우징(8)은 복수의 신호콘택(6)과 그라운드콘택(10)을 유지한다. 복수의 신호콘택(6)이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서 관찰할 때, FFC(4)가 커넥터(1)로 삽입 또는 커넥터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에서 하우징의 단부로서 기능하는 후면(51)을 기준이라고 가정할 때, 신호단자(2)에 대한 신호콘택(6)의 콘택지점까지의 제1 거리(D1)는, 그라운드단자(3)에 대한 그라운드콘택(10)의 콘택지점까지의 제2 거리(D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된다. 전술한 구조는,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가 서로 상당히 다른 구조(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와 비교하여, 커넥터(1)의 깊이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커넥터를 소형화시키기 위해서 커넥터의 폭을 감소시켜야 한다는 것은 일반적인 기술적 인지사항이다. 피치를 감소시켜(더 높은 밀도) 소형화하는 것은 커넥터 폭을 감소시키는 큰 요소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그런 일반적인 기술적 인지사항(즉, 신호선부의 소형화)에 부가하여, 특히 실드된 FPC 또는 FFC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상당하게 평가되는 확고한 기술적 의미를 갖는다. 종래에는 FPC 삽입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었던, 그라운드단자와 신호단자를, 횡방향(laterally)으로 배열하여서, 커넥터가 실드가 없는 종래 커넥터와 FPC 삽입 방향에서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또한, 그라운드콘택단자와 커넥터고정 끼워맞춤이 하나의 기능으로 결합되어서, 폭방향에서의 치수의 증가를 최소화한다. 결과적으로, 커넥터에 의하여 차지하게 된 기판의 구성요소 장착면의 면적을 종래의 그라운드 접속형의 면적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전자 구성요소 장착면 상에 장착하는 구성요소의 밀도를 더 높게 하는데 기여한다.
도 16에 도시된 제1 거리(D1)와 도 15에 도시된 제2 거리(D2)는, 도 15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9)가 기울어지고 FFC(4)가 커넥터(1)에 접속된 상태에서 측정된다. 또한, 제1 거리(D1)가 복수의 신호콘택(6) 사이에서 변경될 때에는, 제1 거리(D1)의 평균값은 제1 거리(D1)로서 고려된다.
이 실시예에서, 커넥터(1)는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구조화된다. 즉, 커넥터(1)를 평면에서 관찰할 경우에, 신호단자(2)에 대한 신호콘택(6)의 콘택지점과 그라운드단자(3)에 대응하는 그라운드콘택(10)의 콘택지점이 실질적으로 일직선상에 있다. 이것은 다음의 문제, 즉 FFC(4)를 변형시키는 외부력이 FFC(4)에 작용할 경우에, 신호단자(2)에 대한 신호콘택(6)의 콘택지점과 그라운드단자(3)에 대한 그라운드콘택(10) 중 하나는 버팀대로서 작용하며, 그 콘택 중 다른 하나는 작용점으로서 작용하여, 콘택 중 하나에서의 접촉압력이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감소된다는 문제를 방지한다. 그러므로, FFC(4)가 커넥터에 접속된 상태에서 임의의 외부력이 FFC(4)에 작용한다고 할지라도, 이 커넥터(1)는, FFC(4)가 기판에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속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는, FFC(4)의 그라운드단자(3)의 그라운드단자 비중첩부(3a)와 금속부재(7)의 그라운드콘택(10)의 콘택부(44) 사이의 콘택 및 FFC(4)의 신호단자(2)와 신호콘택(6)의 콘택부(34)의 돌기(34a) 사이의 콘택을 커넥터(1)의 우-좌 방향으로 완전히 사이에 끼우도록 구조화된다. 즉, 전자의 콘택은, 후자 콘택으로부터 볼 때, 중앙 이격 방향으로 배치된다.
커넥터(1)는 접촉압력 발생부(판스프링(39))을 더 포함한다. 접촉압력 발생부는, FFC(4)가 커넥터(1)로 삽입될 때, FFC(4)의 그라운드단자(3)와 그라운드콘택(10) 사이에서 접촉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채용된다. 전술한 구조에 따르면, 커넥터(1)에서 FFC(4)를 유지하기 위한 소위 일시적 유지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접촉압력 발생부는, FFC(4)를 사이에 두고 그라운드콘택(10)의 대향측에 설치되며, 그라운드콘택(10) 대하여 FFC(4)의 그라운드단자(3)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조에 따르면, 접촉압력 발생부는 간단한 구조로 얻을 수 있다.
그라운드콘택(10)과 판스프링(39)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구조에 따르면, 판스프링(39)은 저비용으로 얻을 수 있다.
그라운드콘택(10)과 판스프링(39)으로 이루어진 일시적 유지 구조체는 하우징(8)에 대한 자세를 변경할 수 있도록 채용된다. 전술한 구조에 따르면, FFC(4)를 변경시키는 외부력이 FFC(4)에 작용된다고 할지라도, 일시적 유지 구조체는 소위 일시적 유지 기능을 안정하고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복수의 신호콘택(6)은 ZIF(Zero Insertion Force; 무삽입력)형이다. 커넥터(1)는 또한 액추에이터(9)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9)는 복수의 신호콘택이 복수의 신호단자(2)와 각각 접촉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구조에 따르면, 접촉압력에 의한 저항이, FFC(4)가 커넥터(1)로 삽입될 때 발생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9)의 작동 중에는 커넥터(1)에 FFC(4)를 유지하기 위한 소위 일시적 유지 기능 및 우수한 조립 조작성(operability)을 서로 배치점(contradiction)없이 얻을 수 있다.
그라운드콘택(10)과 판스프링(39)으로 각각 이루어진 한 쌍의 일시적 유지 구조체는, 복수의 신호콘택(6)이 배열되는 방향에서 복수의 신호콘택(6)을 사이에 끼우는 위치에 설치된다. 전술한 구조에 따르면, 두 일시적 유지 구조체는 서로 떨어진 위치에서 작동하여, 좀 더 안정한 일시적 유지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일시적 유지 구조는 분리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복수의 신호콘택(6)의 수가 증가된다고 할지라도, 일시적 유지 구조체 그 자체의 설계를 변경할 필요가 없어서, 비용의 증가가 억제된다.
커넥터(1)는 또한 하우징(8)을 기판(5)의 커넥터 장착면(5a)에 고정시키는 금속부재(7)를 포함한다. 그라운드콘택(10)과 금속부재(7)는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금속부재(7)를 포함하는 커넥터(1)를 저비용으로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실시예는 이하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
즉, FFC(4)가 제1 실시예에서 커넥터(1)에 접속될 때, 에칭에 의하여 형성된 도전체를 갖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를, FFC(4) 대신에 커넥터(1)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일시적 유지 구조체가, FFC(4)를 유지하기 위하여 FFC(4)의 베이스폴리이미드(11)와 그라운드단자(3) 양자를 사이에 끼움으로써 형성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일시적 유지 구조체는, FFC(4)를 유지하기 위하여 FFC(4)의 베이스폴리이미드(11)만을 사이에 끼움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액추에이터(9)와 일시적 유지 구조체가 작동시에 서로 독립적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액추에이터(9)가 똑바로 선 자세로부터 수평자세로 기울어질 때, FFC(4)의 그라운드단자(3)와 그라운드콘택(10)의 콘택부(44) 사이의 접촉압력이 확실하게 증가하는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는, 제1 실시예와 제1 실시예의 차이점이 주로 설명될 것이며,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될 것이다.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원칙적으로 동일한 참조번호로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도 3, 4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단자(2)와 그라운드단자(3)가 베이스폴리이미드(11)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방향에 노출되도록 FFC(4)가 구조화되어 있다. 따라서, 신호콘택(6)의 신호단자(2)에 대한 콘택부로서 작용하는 돌기(34a)(신호콘택부)와 그라운드콘택(10)의 그라운드단자(3)에 대한 콘택부로서 작용하는 콘택부(44)(그라운드콘택부)는 FFC(4)를 사이에 두고 대향측에 배열되어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단자(2)와 그라운드단자(3)는 동일한 방향에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예에서, 그라운드단자(3)와 신호단자(2) 사이에 절연을 제공하는 베이스폴리이미드(11)가 부분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그라운드단자(3)는 신호단자(2)가 노출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베이스폴리이미드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이 경우에, 도 11에 도시된 금속부재(7)에서, 판스프링(39)은 그라운드콘택의 기능을 행하고, 그라운드콘택(10)은 판스프링 기능을 행한다. 즉, 신호단자(2)에 대한 신호콘택(6)의 콘택부로서 기능하는 신호콘택부와 그라운드단자(3)에 대하여 그라운드콘택(10)의 콘택부로서 기능하는 그라운드콘택부가, FFC(4)로부터 볼 때, 동일한 측에 배열되어 있다. 제1 실시예와 같이, 도 17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그라운드단자(3), 베이스폴리이미드(11) 및 신호단자(2)의 적층이 실드부재(12)로 적절하게 덮혀있다.
부가하여,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시적 유지 구조체가 또한, 그라운드단자(3)를 포함하는 FFC(4)와 같이, 그라운드단자(3)가 제공되지 않은 소위 단층형 FFC(4)를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사용될 그라운드의 존재 또는 부재에 의존하는 FPC/FFC의 사용에 무관하게 동일한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하여 구성요소 종류의 수의 증가를 억제하고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을 완성한 후 그라운드없는 FPC/FFC 사용함으로써 충분한 성능을 얻을 수 있는 경우에도, 예를 들어, 그라운드가 없고 저비용으로 생성된 FPC/FFC를 커넥터를 바꾸지 않고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여기에서는, 제3 실시예와 제1 실시예 사이의 차이점을 주로 설명할 것이며, 중복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할 것이다.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원칙적으로 동일한 참조번호로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도 3 내지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8)의 각 하우징 단부(14)에, 분리 방지 돌기(23)가 제공된다. 분리 방지 돌기(23)는 FFC(4)의 노치(13)에 맞추어지게 되어 있어서, 커넥터(1)로부터 FFC(4)의 분리를 방지하는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분리 방지 돌기(23)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략될 수도 있다. 이렇게 분리 방지 돌기(23)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FFC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일시적 유지 구조체 그 자체의 기술적 중요성이 더 명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명된 본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그런 변경은 본 발명의 본질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것이며, 당업자에게 명백한 그러한 모든 변형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Claims (15)

  1. 기판 상에 장착되며, 복수의 신호단자와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단자를 갖는 FFC(flexible flat cable)와 FPC(flexible printed circuit) 중 하나를 상기 기판에 접속시키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FFC와 상기 FPC 중 하나의 신호단자와 각각 접촉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신호콘택;
    상기 FFC와 상기 FPC 중 하나의 그라운드단자와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콘택; 및
    상기 복수의 신호콘택과 상기 그라운드콘택을 유지(holding)하는 하우징
    을 구비하며,
    상기 FFC와 상기 FPC 중 하나가 상기 커넥터로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방향에서의 상기 하우징의 단부를 기준으로 설정할 경우, 각 신호단자에 대한 각 신호콘택의 콘택지점까지의 제1 거리는 상기 그라운드단자에 대한 상기 그라운드콘택의 콘택지점까지의 제2 거리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FC 또는 FPC가 상기 커넥터로 삽입될 때, 상기 FFC와 상기 FPC 중 하나의 상기 그라운드단자와 상기 그라운드콘택 사이에 접촉압력을 발생시키는 접촉압력 발생부
    를 더 구비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압력 발생부는, 상기 FFC와 상기 FPC 중 하나를 사이에 개재하고 상기 그라운드콘택과 대향하는 측에 설치되며, 상기 FFC와 상기 FPC 중 하나의 상기 그라운드단자를 상기 그라운드콘택에 대하여 가압하는 가압부재(pressing member)로 이루어져 있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판스프링인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콘택 및 상기 접촉압력 발생부는 일체적으로(integrally) 형성되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콘택 및 상기 접촉압력 발생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자세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조화된 일시적 유지 구조체를 구성하는 커넥터.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콘택을 상기 복수의 신호단자와 각각 접촉하게 하는 압압부재(pressurizing member)
    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신호콘택은 무삽입력(ZIF)형인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콘택 및 상기 접촉압력 발생부로 이루어진 일시적 유지 구조체는 상기 압압부재와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커넥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콘택 및 상기 접촉압력 발생부로 각각 이루어진 한 쌍의 일시적 유지 구조체는, 상기 복수의 신호콘택이 배열되는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신호콘택을 사이에 끼우는 위치에 설치되는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일시적 유지 구조체는 분리하여(separately) 형성되는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콘택은, 상기 복수의 신호콘택이 배열되는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신호콘택을 사이에 끼우는 위치에 쌍으로 설치되는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그라운드콘택은 분리하여 형성되는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상기 하우징을 고정하는 보조 고정장치
    를 더 구비하며,
    상기 그라운드콘택 및 상기 보조 고정장치를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단자에 대한 상기 신호콘택의 콘택부로서 기능하는 신호콘택부는, 상기 그라운드단자에 대한 상기 그라운드콘택의 콘택부로서 기능하는 그라운드콘택부와 대향하는 측에 상기 FFC 및 상기 FPC 중 하나를 사이에 개재하고 배치되는 커넥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FC와 상기 FPC 중 하나로부터 볼 때, 상기 신호단자에 대한 상기 신호콘택의 콘택부로서 기능하는 신호콘택부는, 상기 그라운드단자에 대한 상기 그라운드콘택의 콘택부로서 기능하는 그라운드콘택부와 동일한 측에 배치되는 커넥터.
KR1020110057747A 2010-08-19 2011-06-15 커넥터 KR1012218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84188A JP5112484B2 (ja) 2010-08-19 2010-08-19 コネクタ
JPJP-P-2010-184188 2010-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057A KR20120018057A (ko) 2012-02-29
KR101221813B1 true KR101221813B1 (ko) 2013-01-14

Family

ID=45594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747A KR101221813B1 (ko) 2010-08-19 2011-06-15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62915B2 (ko)
JP (1) JP5112484B2 (ko)
KR (1) KR101221813B1 (ko)
CN (1) CN102403606B (ko)
TW (1) TWI4389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2845A2 (en) 2010-10-22 2012-04-26 Fci High speed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JP2012221752A (ja) * 2011-04-08 2012-11-12 Hosiden Corp コネクタ
JP5746953B2 (ja) * 2011-11-01 2015-07-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49081B2 (ja) * 2012-04-17 2016-07-0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EP2663164B1 (en) 2012-05-10 2019-02-13 LG Innotek Co., Ltd. Communication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556657B1 (en) * 2012-05-25 2013-10-1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plit footprint
JP6008783B2 (ja) * 2013-04-03 2016-10-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99153B2 (ja) * 2013-10-25 2017-09-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14411B2 (ja) * 2014-03-20 2015-11-1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5449422B (zh) * 2014-08-28 2019-02-22 春源科技(深圳)有限公司 多件式fpc连接器
JP2016100426A (ja) * 2014-11-20 2016-05-30 日立金属株式会社 通信モジュール
TWI584538B (zh) * 2015-07-29 2017-05-21 Aces Electronics Co Ltd A combination of connectors with ground members
JP6513524B2 (ja) * 2015-08-04 2019-05-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420029B1 (ko) * 2015-12-10 2022-07-1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2420028B1 (ko) * 2016-02-05 2022-07-1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2420030B1 (ko) * 2016-02-25 2022-07-1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1862009B1 (ko) * 2016-08-30 2018-05-29 몰렉스 엘엘씨 고속 신호 전송용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
JP6540674B2 (ja) * 2016-12-09 2019-07-1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EP3396789B1 (en) * 2017-04-27 2021-03-03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for airbag restraint systems
JP6976230B2 (ja) * 2018-07-27 2021-12-08 京セラ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113156292A (zh) * 2020-01-23 2021-07-23 旭景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测试电子装置的接触器
KR20210146058A (ko) * 2020-05-26 2021-12-0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Rf 커넥터
US11677179B2 (en) * 2020-11-19 2023-06-13 Fci Usa Llc Sealed FFC electrical connectors
CN114019188B (zh) * 2021-08-12 2024-06-04 武汉精立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快速换型治具的装置和治具的快速换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0135A (ja) 1997-03-21 1998-10-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ソケット
JP2000195595A (ja) 1998-11-30 2000-07-14 Molex Inc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を印刷回路基板に接続する為の電気コネクタ
JP2000200641A (ja) 1999-01-06 2000-07-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サ―キット用コネクタ
KR20090092671A (ko) * 2008-02-27 2009-09-01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케이블용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1127A (ja) * 1991-10-30 1993-05-18 Augat Inc プリント基板取付用ソケツト
JP2595580Y2 (ja) * 1993-05-31 1999-05-31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2574041Y2 (ja) * 1993-08-31 1998-06-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JPH07326439A (ja) * 1994-05-31 1995-12-12 Sumitomo Wiring Syst Ltd プリント基板へのフラットケーブルの取付構造及び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TW424968U (en) * 1999-11-25 2001-03-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 connector
JP3605586B2 (ja) 2001-09-25 2004-12-2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2005116495A (ja) * 2003-09-19 2005-04-28 Sony Corp フラットケーブルおよびコネクタならびに電子機器
JP2006134708A (ja) * 2004-11-05 2006-05-25 Jst Mfg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2006179192A (ja) * 2004-12-20 2006-07-06 Nippon Densan Corp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
JP4260791B2 (ja) * 2005-11-07 2009-04-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446278B2 (ja) * 2006-10-05 2010-04-07 Smk株式会社 両面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0135A (ja) 1997-03-21 1998-10-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ソケット
JP2000195595A (ja) 1998-11-30 2000-07-14 Molex Inc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を印刷回路基板に接続する為の電気コネクタ
JP2000200641A (ja) 1999-01-06 2000-07-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サ―キット用コネクタ
KR20090092671A (ko) * 2008-02-27 2009-09-01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케이블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03606A (zh) 2012-04-04
US8662915B2 (en) 2014-03-04
TW201218527A (en) 2012-05-01
US20120045930A1 (en) 2012-02-23
KR20120018057A (ko) 2012-02-29
JP2012043653A (ja) 2012-03-01
JP5112484B2 (ja) 2013-01-09
TWI438972B (zh) 2014-05-21
CN102403606B (zh)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1813B1 (ko) 커넥터
JP4098290B2 (ja) Ffc用コネクタ
TWI549377B (zh) 電連接器
US7695311B2 (en) Connector
JP4090060B2 (ja) コネクタ
CN101971429B (zh) 电缆连接器
JP6325720B1 (ja) 多接点コネクタ
JP6975626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6463410B2 (ja) 可動コネクタ
EP2019453A1 (en) Board connector, mating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TWI687001B (zh) 電連接器
JP5460037B2 (ja) 電線対基板コネクタ
JP2006190596A (ja) フレキシブル配線部材用コネクタ
JP4671854B2 (ja) シールド付fpcアダプタ
JP2018067428A (ja) コネクタ
JP2008288004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6452751B2 (ja) コネクタ
JP4498890B2 (ja) 一対のヘッダーコンタクト及びこれを用いたヘッダーコネクタ
JP4858297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070988B2 (ja)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931441B2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JP3745636B2 (ja) コネクタ
JP2006196356A (ja) コネクタ
KR20050044268A (ko) 헤더 콘택트 및 이것을 이용한 헤더 커넥터
KR20150054435A (ko) 컨넥터용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