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2671A - 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용 커넥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2671A
KR20090092671A KR1020080054449A KR20080054449A KR20090092671A KR 20090092671 A KR20090092671 A KR 20090092671A KR 1020080054449 A KR1020080054449 A KR 1020080054449A KR 20080054449 A KR20080054449 A KR 20080054449A KR 20090092671 A KR20090092671 A KR 20090092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fpc
locking
cable
cont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야 이와사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2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67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Abstract

1회의 조작으로 케이블과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접속된 케이블이 갑자기 빠져 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FPC(70)의 피잠금부(72)와 걸고 뺄 수 있는 잠금편(66)을 갖고, 잠금편이 피잠금부와 FPC의 삽입 분리 방향에 대향하는 잠금 위치와, 피잠금부와 FPC의 삽입 분리 방향에 대향하지 않게 되는 잠금해제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는 잠금 부재(60)와, 잠금 부재(60)를 잠금 위치를 향해 회전 가압하는 회전 가압 수단(S)을 구비하고, 잠금 부재에 FPC에 의해 압압되는 잠금편(66)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케이블용 커넥터{Connector for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FPC(Flexible Printed Ciecuit)용 커넥터의 일예로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제2006-228453호에서와 같이 FPC를 커넥터에 삽입할 때에 삽입력이 필요해지는, 소위 Non-ZIF(Zero Insertion Force) 타입의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Non-ZIF 타입의 FPC용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1회의 동작으로 FPC의 삽입과 유지를 행하는 구조이며, 컨택터의 한쌍의 접촉편의 간격을 FPC의 두께보다 약간 좁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FPC를 삽입하면 한쌍의 접촉편으로부터 FPC에 소정의 접촉 압력이 가해져 FPC와 컨택터가 접속한다. 그러나, 접촉편의 접촉 압력만으로 삽입된 FPC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FPC에 빠지는 방향의 의도하지 않은 강한 외력이 가해지면 FPC가 커넥터로부터 갑자기 빠져 나와 버린다.
이것에 대하여 액츄에이터를 갖는 ZIF 타입(FPC의 삽입시에 FPC와 컨택터 사이에 삽입 저항이 발생하지 않는 타입)의 FPC 커넥터는 액츄에이터를 록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컨택터의 접촉편과 FPC의 접촉 압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FPC가 커넥터로부터 갑자기 빠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액츄에이터를 갖는 FPC 커넥터에 FPC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먼저 FPC를 커넥터(인슐레이터)에 삽입하고, 그 다음 액츄에이터를 잠금 방향으로 조작한다는 두가지 동작이 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액츄에이터를 갖는 FPC 커넥터에는 FPC와의 접속 작업을 양손으로 행해야 하고, 또한 작업 효율이 향상되지 않는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1회의 조작으로 케이블과 확실하게 접속 또는 잠금할 수 있고, 또한 접속한 케이블이 갑자기 빠져 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케이블용 커넥터는 피잠금부를 갖는 케이블을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고 또한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있는 인슐레이터;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된 컨택터; 상기 피잠금부에 걸리거나 빠질 수 있는 잠금편이 있고 상기 잠금편이 상기 피잠금부와 케이블의 삽입 분리 방향에 대향하는 잠금 위치 및 피잠금부와 케이블의 삽입 분리 방향에 대향하지 않게 되는 잠금해제 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된 잠금 부재;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잠금 위치를 향해 회전 가압하는 회전 가압 수단; 및 상기 잠금 부재에 상기 인슐레이터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상기 잠금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잠금 부재를 상기 잠금해제 위치까지 회전시키고 또한 상기 잠금편이 상기 피잠금부와 케이블의 삽입 분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향하지 않게 되었을 때에 상기 케이블과 비접촉으로 되어 잠금 부재가 상기 잠금 위치까지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피압압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피압압부는 상기 잠금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가압 수단은, 예를 들면 일단을 상기 인슐레이터 또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고정된 고정 부재에 고정하고 타단으로 상기 잠금 부재의 상기 인슐레이터와의 대향부를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에 상기 컨택터를 덮는 금속제 셸 부재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회전축을 형성하고,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한쌍의 회전 지지부와, 한쌍의 회전 지지부를 접속하고 또한 상기 셸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슐레이터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기판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잠금 부재가 회전 가압 수단의 회전 가압력에 의해 잠금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 케이블(FPC나 FFC)을 인슐레이터에 삽입하면, 케이블에 의해 잠금 부재의 피압압부가 눌러지게 되므로 잠금 부재가 잠금해제 위치까지 회전한다. 그리고, 케이블의 피잠금부와 잠금 부재의 잠금편이 케이블의 삽입 분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향하지 않게 되었을 때에 케이블과 잠금 부재의 피압압부가 비접촉으로 되면서 잠금 부재가 회전 가압 수단의 회전 가압력에 의해 잠금 위치에 회전 복귀하므로 잠금편이 케이블의 피잠금부와 케이블의 삽입 분리 방향으로 대향한다.
이와 같이, 케이블을 인슐레이터에 삽입하는 1회의 동작에 의해 케이블과 컨택터를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접속 후에는 피잠금부와 잠금편에 의해 케이블이 인슐레이터 및 각 컨택터로부터 갑자기 빠져 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부재를 회전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대항해서 잠금해제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케이블과 커넥터의 잠금 상태를 의도적으로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삽입 상태에서도 잠금 부재에 회전 가압력이 가해지므로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잠금 부재가 잠금해제 위치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잠금편이 피압압부를 겸하므로 잠금 부재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인슐레이터와 잠금 부재 사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면서 잠금 부재에 끊임없이 회전 가압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컨택터에 외부 노이즈가 들어가거나, 컨택터로부터 외부로 노이즈가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전기를 띤 작업자가 케이블을 삽입하거나 또는 제거할 때에 잠금 부재에 닿았다고 해도, 이 정전기는 컨택터가 아니라 셸 부재측으로 흐르므로,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전자 부품(예를 들면, IC 칩이나 콘덴서)에 과전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기판에 접속한 전자 부품이 작업자의 정전기에 의해 정전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4의 발명과 같이 컨택터를 셸 부재로 덮은 경우에 있어서도 잠금 부재가 노출된다. 그 때문에, 케이블 제거시 잠금 부재의 조작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또한 잠금 부재의 위치를 눈으로 보는 것에 의해 케이블의 불완전 삽입을 확인(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 형태의 FPC용 커넥터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마찬가지로 FPC용 커넥터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FPC용 커넥터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마찬가지로 FPC용 커넥터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인슐레이터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인슐레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인슐레이터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잠금 부재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FPC와 FPC를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FPC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FPC를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FPC용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ⅩⅣ-ⅩⅣ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ⅩⅤ-Ⅹ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FPC용 커넥터에 FPC를 삽입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 11과 같은 사시도이다.
도 17은 FPC용 커넥터에 FPC를 삽입 중인 상태를 나타낸 도 13과 같은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FPC용 커넥터에 FPC를 삽입 중인 상태를 나타낸 도 14와 같은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FPC용 커넥터에 대한 FPC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의 도 11과 같은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FPC용 커넥터에 대한 FPC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의 도 13과 같은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FPC용 커넥터에 대한 FPC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의 도 14와 같은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FPC용 커넥터에 대한 FPC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의 도 15와 같은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실시형태의 FPC용 커넥터를 수납하기 위한 엠보스 테이프를 감은 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엠보스 테이프의 수납부에 FPC용 커넥터를 수납했을 때의 엠보스 테이프의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FPC용 커넥터(케이블용 커넥터) 20 : 인슐레이터
21 : 외측벽 22, 63 : 걸림 돌출부
23 : 스프링용 오목부 24 : 스프링 지지용 오목부
25 : 브라켓용 오목부 26 : 측방 저판부
27 : 내측벽 28 : 회전축
30 : 중앙 저판부 31 : 천정부
32 : 결합 돌기 33 : 칸막이판
34 : 컨택터 수납 공간 35 : 컨택터 삽입홈
40F : 전방 컨택터 40R : 후방 컨택터
41 : 상부 암 42 : 하부 암
43, 53, 59 : 테일부 44 : 접촉 돌출부
50 : 셸 부재 51 : 기판부
52 : 측벽부 54 : 후벽부
55 : 노치 56 : FPC 도피홈
58 : 브라켓 60 : 잠금 부재
61 : 기판부 62 : 회전 지지부
64 : 조작용 돌출부 65 : 경사면
66 : 잠금편(피압압부) 67 : 회전 지지용 오목부
68 : 빠짐 방지용 오목부
70 : FPC(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케이블) 71 : 후단 경질부
72 : 피잠금부 80 : 릴 장치
81 : 엠보스 테이프 83 : 상면 커버 테이프
84 : 흡인 수단 CB : 회로 기판
S : 압축 코일 스프링(회전 가압 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의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케이블용 커넥터는 FPC용 커넥터(10)이며, 예를 들면 자동차에 탑재되는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이나 오디오 기기 내의 회로 기판(CB)(도 13 및 도 14 참조)에 실장 가능한 것이다. FPC용 커넥터(10)는 큰 구성 요소로서 인슐레이터(20), 전방 컨택터(40F), 후방 컨택터(40R), 셸 부재(50), 브라켓(58), 잠금 부재(60) 및 압축 코일 스프링(회전 가압 수단)(S)을 구비하고 있다.
인슐레이터(20)는 절연성 및 내열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한 것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20)의 좌우 양 측부를 이루는 한쌍의 외측벽(21)의 상면 앞부분에는 걸림 돌출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벽(21)의 후방 부분에는 스프링용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용 오목부(23)의 저부에는 원형의 스프링 지지용 오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스프링용 오목부(23)에는 상하 방향의 축선을 갖는 압축 코일 스프링(S)이 수납되어 있으며, 압축 코일 스프링(S)의 하단부가 좌우의 스프링 지지용 오목부(24)에 각각 끼워 맞춤 고정되어 있다.
외측벽(21)의 앞면의 하단부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브라켓용 오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외측벽(21)의 하단부로부터 인슐레이터(20)의 중앙부를 향해 측방 저판부(26)가 연장되어 있고, 좌우의 측방 저판부(26)의 내측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내측벽(27)이 연장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벽(27)의 앞면 하단부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삽입용 오목부(27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측벽(27)의 앞부분과 측방 저판부(26)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한다. 좌측의 외측벽(21)과 좌측의 내측벽(27) 사이, 및 우측의 외측벽(21)과 우측의 내측벽(27) 사이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회전축(28)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좌우의 회전축(28)은 서로 동축을 이루고 있다.
좌우의 내측벽(27)의 저부끼리는 중앙 저판부(3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한편, 좌우의 내측벽(27)의 상단부끼리는 그 전단이 중앙 저판부(30)로부터 후방에 위치하는 천정부(31)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천정부(31)의 상면의 전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돌기(31)가 돌출되어 있다. 도 1, 도 2, 도 5, 도 15 및 도 2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저판부(30)와 천정부(31) 사이에는 측면에서 볼 때 L자형을 이루는 합계 79개의 칸막이판(33)이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인접하는 칸막이판(33)의 사이, 및 좌우 양 단부의 칸막이판(33)과 좌우의 내측벽(27) 사이의 공간은 합계 80개의 컨택터 수납 공간(34)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정부(31)의 후단면에는 대응하는 컨택터 수납 공간(34)와 연통하는 합계 80개의 컨택터 삽입홈(35)이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합계 40개의 전방 컨택터(40F) 및 후방 컨택터(40R)는 모두 스프링 탄성을 갖춘 동합금(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동, 티탄동)이나 코르손계 동합금의 박판을 도시의 형상으로 순차 이송 금형(스탬핑)에 의해 성형 가공한 것이며, 표면에 니켈 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 도금을 실시하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컨택터(40F) 및 후방 컨택터(40R)는 서로 대략 평행을 이루는 상부 암(41) 및 하부 암(42)(전방 컨택터(40F)의 하부 암(42)의 쪽이 후방 컨택터(40R)의 하부 암(42)보다 약간 길다)과, 테일부(43)를 구비하고 있고, 하부 암(42)의 전단부에는 접촉 돌출부(44)가 상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전방 컨택터(40F)와 후빙 컨택터(40R)는 전방 컨택터(40F)와 후방 컨택터(40R)가 교대로 인접하도록 해서 인슐레이터(20)의 각 컨택터 수납 공간(34)에 인슐레이터(20)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각 전방 컨택터(40F) 및 후방 컨택터(40R)를 대응하는 컨택터 수납 공간(34)에 삽입하면, 도 15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전방 컨택터(40F) 및 후방 컨택터(40R)의 상부 암(41)이 대응하는 컨택터 삽입홈(35)에 끼워 맞춤 고정된다. 또한, 하부 암(42)이 중앙 저판부(30)로부터 상방으로 이간되고, 테일부(43)가 중앙 저판부(30)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또한, 도 13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전방 컨택터(40F)의 하부 암(42)의 전단이 후방 컨택터(40R)의 하부 암(42)의 전단보다 약간 전방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배치로 하면, FPC(70)를 삽입할 때에 전방 컨택터(40F) 및 후방 컨택터(40R)의 접촉 돌출부(44)와 FPC(70) 사이에 삽입 저항이 단계적으로 생기므로(강한 삽입 저항이 한번에 생기지 않으므로) FPC(70)의 삽입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인슐레이터(20)의 상부를 덮는 부재인 셸 부재(50)는 금속(동합금 또는 스테인레스)에 의해 성형된 것이며, 평판형상의 기판부(51)와, 기판부(51)의 좌우 양 끝부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측벽부(52)와, 좌우의 측벽부(52)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테일부(53)와, 기판부(51)의 후방 가장자리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후벽부(54)를 구비하고 있다. 기판부(51)의 전방 가장자리부에는 노치(55)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좌우의 측벽부(52)의 전방 가장자리부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FPC 도피홈(56)이 형성되어 있다.
셸 부재(50)를 인슐레이터(2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좌우의 측벽부(52)를 인슐레이터(20)의 후방으로부터 좌우의 외측벽(21)과 내측벽(27) 사이의 간극에 삽입한다. 그렇게 하면, 기판부(51)가 천정부(31)의 상면을 덮음과 아울러 기판부(51)의 노치(55)가 천정부(31)의 결합 돌기(32)에 결합되고, 후벽부(54)가 인슐레이터(20)의 후단면을 덮는다. 또한, 좌우의 측벽부(52)의 테일부(53)가 전방 컨택터(40F) 및 후방 컨택터(40R)의 테일부(43)와 같은 평면 상에 위치한다.
좌우 한쌍의 브라켓(58)의 재질은 전방 컨택터(40F) 및 후방 컨택터(40R)과 같으며, 그 전단부는 후방부분에 비해 1단 내려간 위치에 위치하는 테일부(59)로 되어 있다. 좌우의 브라켓(58)은 그 후방부분을 인슐레이터(20)에 형성된 좌우의 브라켓용 오목부(25)에 삽입함으로써 인슐레이터(20)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브라켓(58)을 인슐레이터(20)에 고정하면, 좌우 브라켓(58)의 테일부(59)가 전방 컨택터(40F) 및 후방 컨택터(40R)의 테일부(43)와 같은 평면 상에 위치한다.
잠금 부재(60)는 내열성의 합성 수지 재료를 사출성형한 것이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판부(61)와, 기판부(61)의 하면의 좌우 양단보다 약간 내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회전 지지부(62)와, 기판부(61)의 하면의 좌우 양측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걸림 돌출부(63)를 구비하고 있다. 기판부(61)의 후단부에는 앞부분에 비해 상방으로 돌출되는 조작용 돌출부(6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 도 15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부(61)의 하면의 후반부는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함에 따라 상향 경사진 경사면(65)으로 되어 있다. 좌우의 회전 지지부(62)의 하면의 전단부에는 앞면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잠금편(피압압부)(66)이 돌출되어 있으며, 회전 지지부(62)의 하면의 중앙부에는 대략 원형의 회전 지지용 오목부(6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부(61)의 하면의 좌우 양 측부의 전단부에는 빠짐 방지용 오목부(6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잠금 부재(60)는 좌우의 회전 지지부(62)를 좌우의 외측벽(21)과 내측벽(27) 사이의 간극에 삽입해서 좌우의 회전 지지용 오목부(67)를 좌우의 회전축(28)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고, 좌우의 걸림 돌출부(63)를 좌우의 압축 코일 스프링(S)의 상단부에 끼워 맞추며, 또한 좌우의 빠짐 방지용 오목부(68)를 인슐레이터(20)의 좌우 걸림 돌출부(22)에 접촉시킴으로써 인슐레이터(20)에 조립된다. 그렇게 하면, 압축 코일 스프링(S)이 잠금 부재(60)의 후방부분을 지지하므로, 잠금 부재(60)는 도 11, 도 13~도 15, 및 도 19~도 22에 나타내는 잠금 위치에 위치한다. 잠금 부재(60)가 잠금 위치에 위치할 때, 압축 코일 스프링(S)은 자유 상태보다 약간 압축된 상태가 되므로, 잠금 부재(60)에는 도 13~도 15, 도 17~도 18 및 도 20~도 22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압력이 가해진다.
잠금 부재(60)는 잠금 위치로부터 압축 코일 스프링(S)의 회전 가압력에 대항해서 도 13~도 15, 도 17, 도 18 및 도 20~도 22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한다. 잠금 부재(60)의 시계 방향의 회전은 잠금 부재(60)의 후방부분의 하단면(69)(도 13, 17, 20 참조)이 측방 저판부(26)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규제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FPC용 커넥터(10)를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을 이루는 회로 기판(CB)(도 13 및 도 14 참조)의 상면에 적재하고 각 전방 컨택터(40F) 및 각 후방 컨택터(40R)의 테일부(43)를 회로 기판(CB) 상의 회로 패턴에 납땜 부착하며, 또한 셸 부재(50)의 테일부(53) 및 브라켓(58)의 테일부(59)를 회로 기판(CB) 상의 접지 패턴에 납땜 부착하면, FPC용 커넥터(10)를 회로 기판(CB)의 상면에 실장할 수 있다.
다음에 FPC(70)의 FPC용 커넥터(10)로의 접속 및 접속 해제 요령과, 접속 및 접속 해제시의 FPC용 커넥터(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FPC(70)의 후단부는 그 외의 부분에 비해 폭이 넓고 또한 그 외의 부분에 비해 경질의 후단 경질부(71)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후단 경질부(71)의 좌우 양 끝부가 피잠금부(72)로 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70)를 후단 경질부(71)측으로부터 FPC용 커넥터(10)에 접근시키고,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20)의 중앙 저판부(30)와 천정부(31)의 전단부 사이의 개구부로부터 인슐레이터(20)의 내부에 삽입한다. 그렇게 하면, 좌우의 피잠금부(72)의 외측 끝부분으로 부터 약간 안쪽 부분이 좌우의 내측벽(27)의 삽입용 오목부(27a)에 끼워 맞춰지고, 또한 좌우의 피잠금부(72)의 외측 끝부분(삽입용 오목부(27a)에 끼워 맞춰져 있는 부분으로부터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좌우의 외측벽(21)과 내측벽(27) 사이의 간극에 위치한다. 또한, 좌우의 피잠금부(72)의 외측 끝부분의 일부가 셸 부재(50)의 FPC 도피홈(56) 내에 위치하므로 피잠금부(72)와 셸 부재(50)는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FPC(70)를 더욱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후단 경질부(71)의 좌우 피잠금부(72)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천정부(31)의 하면과 각 전방 컨택터(40F) 및 후방 컨택터(40R)의 하부 암(42) 사이의 간극에 진입된다. 또한, 좌우의 피잠금부(72)의 외측 끝부분이 잠금 부재(60)의 좌우 잠금편(66)의 앞면(경사면)을 눌러주므로 압축 코일 스프링(S)의 회전 가압력에 저항해서 잠금 부재(60)가 도 17 및 도 18에 내타내는 잠금 해제 위치까지 회전한다. 이 상태로 FPC(70)를 더욱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잠금편(66)이 좌우의 피잠금부(72)의 상면에 타고 올라가 피잠금부(72)의 상면에 접촉한다.
그리고, FPC(70)를 더욱 후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후단 경질부(71)의 후단면이 각 칸막이판(33)의 후방부(33a)의 앞면에 접촉하면(도 22 참조) 잠금 부재(60)의 좌우 잠금편(66)이 좌우의 피잠금부(72)를 타고 넘으므로(좌우의 피잠금부(72)의 전방으로 이동하므로) 압축 코일 스프링(S)의 회전 가압력에 의해 잠금 부재(60)가 잠금 위치로 회전 복귀하고,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잠금편(66)의 뒷면(수직면)이 좌우 피잠금부(72)의 바로 앞에 위치한다. 따라서, 가령 FPC(70)에 앞측 방향으로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가해져도 FPC(70)가 FPC용 커넥터(10)로부터 전방으로 빠져 나오는 일은 없다.
또한, FPC(70) 삽입 상태에 있어서도 압축 코일 스프링(S)으로부터 잠금 부재(60)에 회전 가압력이 가해지므로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록 부재(60)가 갑자기 잠금해제 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70)의 상면이 천정부(31)의 하면에 접촉하고, FPC(70)의 하면에 형성된 도통부(도시 생략)가 각 전방 컨택터(40F) 및 후방 컨택터(40R)의 하부 암(42) 접촉 돌출부(44)에 접촉하며, 각 하부 암(42)을 자유 상태에 비해 약간 하방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그 때문에, FPC(70)와 회로 기판(CB)이 각 전방 컨택터(40F) 및 후방 컨택터(40R)를 통해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이와 같은 FPC(70)와 각 전방 컨택터(40F) 및 후빙 컨택터(40R)의 접속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손으로 잠금 부재(60)의 조작용 돌출부(64)를 하방으로 눌러준다. 그렇게 하면, 잠금 부재(60)가 압축 코일 스프링(S)의 회전 가압력에 저항해서 잠금해제 위치 방향으로 회전한다. 잠금 부재(60)가 잠금해제 위치까지 회전하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 부재(60)의 잠금편(66)이 FPC(70)의 상방에 위치하므로, FPC(70)를 FPC용 커넥터(10)로부터 용이하게 전방으로 빼어낼 수 있다. 그리고, FPC용 커넥터로부터 FPC(70)를 빼어낸 후에 잠금 부재(60)로부터 손을 떼면, 잠금 부재(60)는 압축 코일 스프링(S)의 회전 가압력에 의해 잠금 위치에 회전 복귀하므로, FPC용 커넥터(10)는 도 12~도 15의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FPC(70)를 인슐레이터(20)에 밀어넣는다는 1회의 동작으로 FPC(70)와 FPC용 커넥터(!0)를 확실하게 접속 및 잠금할 수 있고, 또한 접속 후에는 잠금 부재(60)의 좌우의 잠금편(66)이 FPC(70)의 좌우의 피잠금부(72)의 바로 앞에 위치하므로 FPC(70)가 FPC용 커넥터(10)로부터 갑자기 빠져 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FPC(70)를 인슐레이터(20)에 밀어넣음에 따라 잠금편(66)이 피잠금부(72)를 전방으로 타고 넘으면 잠금 부재(60)가 압축 코일 스프링(S)의 회전 가압력에 의해 잠금 위치에 자동적으로 회전 복귀하므로, 작업자는 이 때에 강한 클릭감을 느낄 수 있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FPC(70)의 불완전한 삽입을 눈으로 확인함은 물론 감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전방 컨택터(40F) 및 후방 컨택터(40R)와 FPC(70)가 완전히 접속했는지의 여부를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전방 컨택터(40F) 및 후방 컨택터(40R)와 FPC(70)가 접속하고 있는 상태에서 FPC(70)를 강한 힘에 의해 전방으로 억지로 빼내고자 하면, FPC(70)로부터 잠금 부재(60)에 앞측 방향의 강한 힘이 가해진다. 그러나, 잠금 부재(60)에 형성된 좌우의 빠짐 방지용 오목부(68)가 인슐레이터(20)의 대응하는 걸림 돌출부(22)에 후방으로부터 결합(접촉)되어 있으므로 잠금 부재(60)의 회전 지지용 오목부(67)와 회전축(28)의 결합이 풀어지면서 잠금 부재(60)가 인슐레이터(20)로부터 전방으로 분리되는 일은 없다.
또한, 인슐레이터(20)의 상면, 후면 및 측면을 셸 부재(50)로 덮고 있으므로, 각 전방 컨택터(40F) 및 후방 컨택터(40R)에 외부 노이즈가 들어가거나, 각 전측 컨택터(40F) 및 후측 컨택터(40R)의 노이즈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전기를 띤 작업자가 FPC(70)를 삽입하거나 빼낼때 잠금 부재(60)에 닿는 경우에도 잠금 부재(60)의 아래에 인슐레이터와 각 컨택터를 덮는 셸 부재(50)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이 정전기는 전방 컨택터(40F) 및 후방 컨택터(40R)가 아니라 셸 부재(50)측으로 흘러서 회로 기판(CB)에 형성된 상기 접지 패턴(그라운드 회로)으로 흘러 들어간다. 따라서, 회로 기판(CB)에 접속한 전자 부품(예를 들면, IC 칩이나 콘덴서)에 과전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정전기에 의한 전자 기기의 정전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즉, FPC(70)의 뛰어난 작업성과 전기적 특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FPC용 커넥터(10)는 FPC(70)에 실장되기 전에 있어서는,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는 릴 장치(80)에 감겨진 엠보스 테이프(81)의 수납 오목부(82)에 수납되고, 이 엠보스 테이프(81)의 상면에 상면 커버 테이프(83)가 점착된다. FPC용 커넥터(10)를 수납 오목부(82)로부터 인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엠보스 테이프(81)의 상면으로부터 상면 커버 테이프(83)를 떼어내고, 엠보스 테이프(81)의 상방에 배치된 흡인 수단(84)(도 24 참조)으로부터 수납 오목부(82) 내의 FPC용 커넥터(10)에 흡인력을 가해주게 되는데, 잠금 부재(60)의 상면에 넓은 평면(흡착면)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형태의 FPC용 커넥터(10)는 흡인 수단(84)에 의해 확실하게 흡인될 수 있다.
또한, 흡인 수단(84)이 FPC용 커넥터(10)를 안정된 상태로 흡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압축 코일 스프링(S)의 스프링력을 흡인 수단(84)에 의한 흡인력보다 강하게 설정하고, 흡인 수단(84)으로부터 잠금 부재(60)(FPC용 커넥터(10))에 흡인력이 가해져도 잠금 부재(60)가 잠금 위치로부터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형태에 기초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을 실시하면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속 대상물은 FPC 이외의 케이블, 예를 들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이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잠금 부재(60)의 잠금편(66)을 FPC(70)의 피잠금부(72)의 바로 앞에 위치시킴으로써 FPC(70)의 의도하지 않은 빠짐을 방지하고 있지만, FPC(70)의 상면에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잠금편(66)이 이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에 결합되도록 해도 된다(이 경우는, FPC(70)의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부분이 피잠금부로 된다).
또한, 잠금 부재(60)에 잠금편(66)과는 별개의 부재로서 돌출 부재(피압압부)를 형성하고, 케이블로 이 돌출 부재를 압압함으로써 잠금 부재(60)를 잠금해제 위치까지 회전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회전 가압 수단으로서 다른 형태의 가압 수단, 예를 들면 인장 코일 스프링을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는, 인장 코일 스프링을 회전축(28)의 전방에 위치시키고, 인장 스프링의 하단부를 인슐레이터(20)측에 고정하며 상단부를 잠금 부재(60)측에 고정한다.
또한, 압축 코일 스프링(S)과 인장 스프링의 하단부를 인슐레이터(20)에 고정된 고정 부재(예를 들면, 브라켓(58))에 고정해도 된다.

Claims (5)

  1. 피잠금부를 갖는 케이블이 삽입 분리 가능하고 또한 회로 기판에 실장된 인슐레이터;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로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된 컨택터;
    상기 피잠금부와 걸고 뺄 수 있는 잠금편을 가지며 상기 잠금편이 상기 피잠금부와 케이블의 삽입 분리 방향에 대향하는 잠금 위치와, 피잠금부와 케이블의 삽입 분리 방향에 대향하지 않게 되는 잠금해제 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된 잠금 부재;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잠금 위치로 회전 가압하는 회전 가압 수단; 및
    상기 잠금 부재에 상기 인슐레이터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에 의해 눌러짐으로써 상기 잠금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잠금 부재를 상기 잠금해제 위치까지 회전시키고, 또한 상기 잠금편이 상기 피잠금부와 케이블의 삽입 분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향하지 않았을 때에 상기 케이블과 비접촉으로 되어 잠금 부재가 상기 잠금 위치까지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피압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압압부가 상기 잠금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압 수단이,
    일단을 상기 인슐레이터 또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고정된 고정 부재에 고정하고, 타단으로 상기 록 부재의 상기 인슐레이터와의 대향부를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에 상기 컨택터를 덮는 금속제 셸 부재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에 회전축을 형성하고,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한쌍의 회전 지지부와, 한쌍의 회전 지지부를 접속하고 또한 상기 셸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슐레이터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기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커넥터.
KR1020080054449A 2008-02-27 2008-06-11 케이블용 커넥터 KR200900926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46499A JP4750811B2 (ja) 2008-02-27 2008-02-27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JP-P-2008-00046499 2008-0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671A true KR20090092671A (ko) 2009-09-01

Family

ID=4114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449A KR20090092671A (ko) 2008-02-27 2008-06-11 케이블용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750811B2 (ko)
KR (1) KR200900926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172Y1 (ko) * 2011-04-22 2012-05-16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
KR101221813B1 (ko) * 2010-08-19 2013-01-14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KR101305018B1 (ko) * 2012-02-28 2013-09-06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케이블용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1923B2 (ja) * 2010-03-26 2013-02-13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4704505B1 (ja) 2010-03-30 2011-06-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5141924B2 (ja) * 2010-04-05 2013-02-13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6091980B2 (ja) * 2013-04-25 2017-03-08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6282565B2 (ja) * 2014-09-22 2018-02-21 京セラ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16076459A (ja) * 2014-10-09 2016-05-12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6717643B2 (ja) * 2016-04-08 2020-07-01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64292B2 (ja) * 2018-01-19 2019-02-06 京セラ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7315405B2 (ja) * 2019-07-31 2023-07-2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平型導体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1703A (ja) * 2000-06-02 2001-12-21 D D K Ltd 電気コネクタ
JP3887694B2 (ja) * 2001-12-14 2007-02-28 住友電装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TW520088U (en) * 2001-12-26 2003-02-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2006228453A (ja) * 2005-02-15 2006-08-3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06244732A (ja) * 2005-02-28 2006-09-14 Molex Inc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731311B2 (ja) * 2005-12-27 2011-07-2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ム構造及び該カム構造を使用するコネク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813B1 (ko) * 2010-08-19 2013-01-14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KR200460172Y1 (ko) * 2011-04-22 2012-05-16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
KR101305018B1 (ko) * 2012-02-28 2013-09-06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케이블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05914A (ja) 2009-09-10
JP4750811B2 (ja)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2671A (ko) 케이블용 커넥터
JP5080336B2 (ja) 基板実装用コネクタ
JP4090060B2 (ja) コネクタ
JP5685209B2 (ja) 電池ホルダ
JP5729553B2 (ja) コネクタ装置
KR20120026443A (ko) 커넥터 장치
US20150171536A1 (en) Shielded Flexible Circuit Connector
KR101001738B1 (ko) 커넥터
KR20090024603A (ko) 커넥터
JP2013178892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8053123A (ja) Fpc用コネクタ
JP5010043B1 (ja) コネクタ
JP4798277B2 (ja) コネクタ
JP5862387B2 (ja) コネクタ
JP6281698B2 (ja) コネクタ装置
JP2016095932A (ja) コネクタ
JP2013175395A (ja) コネクタ
JP2007309869A (ja) 計器の端子装置
KR101286472B1 (ko) 커넥터
JP5772257B2 (ja) 電気コネクタ
JP6675232B2 (ja) コネクタ
CN100499274C (zh) 扁平缆线接头和电连接器组件
JP6195861B2 (ja) コネクタ
WO2022196269A1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6128696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