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4603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4603A
KR20090024603A KR1020070124181A KR20070124181A KR20090024603A KR 20090024603 A KR20090024603 A KR 20090024603A KR 1020070124181 A KR1020070124181 A KR 1020070124181A KR 20070124181 A KR20070124181 A KR 20070124181A KR 20090024603 A KR20090024603 A KR 20090024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insulator
contact
actuator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1816B1 (ko
Inventor
츠요 사가라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4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우 저배(低背)이고 컨택트의 극수가 적은 경우라도 접속 대상물이 인슐레이터로부터 갑자기 빠져 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접속 대상물 및 록 부재에 부하를 가하지 않고 접속 대상물을 인슐레이터로부터 의도적으로 빼낼 수 있으며, 접속 대상물과의 접속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걸림 클로(56)를 갖는 록 암(54), 및 평상시에는 걸림 클로가 FPC(70)의 피걸림부(71)와 결합하는 것을 허용하는 록 허용 위치되고, 록 해제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걸림 클로를 피걸림부로부터 빠져 나가게 하는 피압압편(53)을 갖는 록 부재(50)와, 상기 피압압편에 접촉함으로써 피압압편을 록 해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60)로 구성된다.
커넥터, 인슐레이터, 액츄에이터, FPC, FFC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이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등의 평판형상의 접속 대상물을 기판과 전기적으로 도통시키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형상의 접속 대상물을 기판과 전기적으로 도통시키기 위한 커넥터의 한 종류로서,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컨택트와 접속 대상물의 접촉 압력을 높이는 ZIF(Zero Insertion Force) 타입이나,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접속 대상물의 두께보다 좁은 컨택트 갭을 이용해서 접촉 압력을 높이는 NON-ZIF 타입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매우 저배(예를 들면 높이가 약 0.5㎜)이고 컨택트의 극수가 적은 ZIF 타입의 커넥터는 접촉 대상물을 삽입하고 나서 액츄에이터에 의해 접촉 압력을 얻기까지의 동안뿐만 아니라, 액츄에이터에 의해 접촉 압력을 얻은 후에도 접속 대상물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충분한 힘을 얻기가 곤란하므로, 접속 대상물이 커넥터로부터 갑자기 빠져 나와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매우 저배이고 컨택트의 극수가 적은 NON-ZIF 타입의 커넥터 역시, 컨택트에 의한 접촉 압력만으로는 접 속 대상물을 충분히 유지시키기 위한 힘을 얻기가 곤란한 동일한 문제를 갖는다.
한편, 매우 저배이고 컨택트의 극수가 적은 커넥터라도 접속 대상물이 커넥터로부터 갑자기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한 커넥터로서 일본 특허 공개 2007-95594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10)는 인슐레이터(절연 하우징)(11)와, 인슐레이터(11)의 내부에 일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금속제 컨택트(단자)(13)와, 컨택트(13)의 양측에 위치하는 형태로 인슐레이터(11)의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걸림 부재(12)와, 인슐레이터(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식 액츄에이터(가압 부재)(1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걸림 부재(12)는 인슐레이터(11)에 고정되는 피고정부(21)와, 피고정부(21)의 중간부로부터 피고정부(2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지점부(22)와, 지점부(22)의 피고정부(21)와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버형상 암부(20) 및 연장부(20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레버형상 암부(20)의 선단부에는 평형 케이블(C)(접속 대상물)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노치(C1)에 걸거나 뺄 수 있는 걸림 클로부(20A)가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평형 케이블(C)을 인슐레이터(11)의 내부에 삽입하면, 평형 케이블(C)의 선단부가 걸림 부재(12)의 걸림 클로부(20A)에 접촉하여 레버형상 암부(20)를 탄성 변형시키므로 걸림 클로부(20A)가 평형 케이블(C)의 표면에 접촉된다. 그리고 평형 케이블(C)을 인슐레이터(11)의 내부에 더 삽입하여, 평형 케이블(C)의 노치(C1)가 레버형상 암부(20)의 걸림 클로부(20A)와 대향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레버형상 암부(20)가 초기 형상으로 탄성 복귀하면서 걸림 클로부(20A)가 평형 케이블(C)의 노치(C1)에 결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한 쌍의 레버형상 암부(20)의 걸림 클로부(20A)가 평형 케이블(C)의 한 쌍의 노치(C1)에 결합된 록 상태에 있어서, 액츄에이터(14)를 인슐레이터(11)와 평행을 이루는 폐쇄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액츄에이터(14)가 걸림 부재(12)의 연장부(20B)에 접촉되면서 레버형상 암부(20)의 걸림 클로부(20A)가 노치(C1)로부터 빠져 나가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규제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록 상태가 유지된다(평형 케이블(C)의 인슐레이터(11)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그러나 종래의 커넥터(10)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평형 케이블(C)의 노치(C1)에 레버형상 암부(20)의 걸림 클로부(20A)가 결합된 후에 액츄에이터(14)를 개방 위치(언록 위치)로 이동시켜도 노치(C1)와 걸림 클로부(20A)의 결합 상태는 유지되므로 평형 케이블(C)을 인슐레이터(11)의 내부로부터 빼내기 위해서는, 지점부(22)가 탄성 변형되어 레버형상 암부(20)의 걸림 클로부(20A)가 노치(C1)로부터 빠져 나가도록 강한 힘으로 평형 케이블(C)을 당겨야만 한다.
따라서, 평형 케이블(C)을 인슐레이터(11)로부터 빼낼 때에는 평형 케이블(C)과 걸림 클로부(20A)가 강한 힘에 의해 접촉된 상태이므로 걸림 부재(12)(레버형상 암부(20))나 평형 케이블(C)에 큰(과잉의) 부하가 걸려 평형 케이블(C)의 절단이나 파손이나 걸림 부재(12)의 변형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평형 케이블(C)을 접속하기 전의 상태의 커넥터(10)는 곤포(梱包) 상의 편리성이나 기판으로의 실장성의 관점에서, 액츄에이터(14)를 폐쇄 위치(록 위치)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인슐레이터(11)에 평형 케이블(C)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액츄에이터(14)를 일단 개방 위치(언록 위치)까지 회전시켜야 하고, 평형 케이블(C)을 삽입한 후에는 액츄에이터(14)를 폐쇄 위치(록 위치)까지 되돌려야 하므로 평형 케이블(C)의 커넥터(10)로의 접속 작업이 매우 번거로웠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우 저배이고 컨택트의 극수가 적을 경우라도 접속 대상 물이 인슐레이터로부터 갑자기 빠져 나오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접속 대상물 및 록 부재에 부하가 걸리지 않으면서 접속 대상물을 인슐레이터로부터 의도적으로 용이하게 빼낼 수 있으며, 접속 대상물과의 접속 작업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판형상의 접속 대상물을 끼우고 뺄 수 있도록 걸림 구멍 또는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노치로 이루어진 피걸림부를 갖는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에 설치되며,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컨택트; 상기 인슐레이터에 설치되며, 걸림 클로를 갖는 록 암, 및 상기 록 암과 일체적으로 이동하면서 평상시에는 상기 걸림 클로가 상기 인슐레이터에 삽입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상기 피걸림부와 결합하는 것을 허용하는 록 허용 위치에 위치되며, 록 해제 위치로 이동할 경우에 상기 걸림 클로를 상기 피걸림부로부터 빠져 나가게 하는 피압압편을 갖는 록 부재; 및 상기 록 부재의 상기 피압압편에 선택적으로 접촉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피압압편에 접촉할 경우 상기 피압압편을 상기 록 해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 부재는 탄성 변형부와, 상기 탄성 변형부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록 암과, 상기 피압압편으로 구비하고, 상기 탄성 변형부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록 암 및 피압압편이 상기 탄성 변형부 둘레에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컨택트, 인슐레이터 또는 록 부재에 형성된 베어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접속 대상물과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피압압편과 이격되는 비압압 위치와 상기 접속 대상물과 직교하면서 상기 피압압편에 접촉하는 압압 위치 사이를 회전하는 회전식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는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삽입 상태에서는 상기 피압압편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록 허용 위치에 위치되어 있었던 상기 피압압편을 상기 록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의 인슐레이터에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면, 록 부재의 록 암의 걸림 클로가 접속 대상물의 피걸림부(걸림 구멍 또는 노치)에 자동적으로 결합하므로, 컨택트의 극수가 적을 경우나 커넥터가 매우 경박 단소한 경우 등과 같이 접촉 압력만으로 접촉 대상물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할 경우라도 접속 대상물이 인슐레이터로부터 갑자기 빠져나오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접촉 대상물의 삽입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를 록 부재의 피압압편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시키면, 록 암의 걸림 클로가 접속 대상물의 피걸림부로부터 빠져나가므로, 접속 대상물 및 록 부재에 부하를 걸지 않고도 접속 대상물을 커넥터로부터 원활하고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가 록 부재의 피압압편을 누르 면, 탄성 변형부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피압압편과 록 암이 탄성 변형부의 둘레를 일체적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저배화를 실현하면서 록 암의 걸림 클로와 접속 대상물의 피걸림부의 결합을 확실하게 해제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를 회전식 액츄에이터로 구성시킴으로써, 회전식 액츄에이터가 접속 대상물을 커넥터에 접속시키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는 곤포의 편리성이나 기판으로의 실장성의 관점에서 상기 접속 대상물과 평행을 이루면서 피압압편과 이격된 비압압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 실장 직후의 상태에서(회전식 액츄에이터를 압압 위치까지 회전 시키지 않고) 접속 대상물을 커넥터에 삽입하고 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말하면, 접속 대상물과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회전식 액츄에이터를 압압 위치까지 회전시키지 않아도 되며, 이로 인해 본 커넥터에 대한 접속 대상물의 접속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를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로 구성함으로써, 접속 대상물과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유지할 때나 접속 상태를 해제할 때에도 커넥터가 저배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의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중에 기재된 화살표의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예를 들면 휴대 단말과 같은 전자기기 내의 기판에 실장 가능하다. 커넥터(10)는 NON-ZIF 구조이며 크게 인슐레이터(20), 컨택트(40), 록 부재(50) 및 회전식 액츄에이터(60)로 구성된다.
상기 인슐레이터(20)는 절연성 또한 내열성의 합성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한 것으로서, 그 높이는 약 0.5㎜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20)는 좌측벽부(21) 및 우측벽부(22)와, 좌측벽부(21)와 우측벽부(22)의 전반 부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접속되게 형성된 천정벽부(23) 및 저벽부(24)를 구비하고 있다.
좌측벽부(21) 및 우측벽부(22)의 상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그 하단부가 좌측벽부(21), 우측벽부(22), 천정벽부(23) 및 저벽부(24) 사이에 형성된 인슐레이터(20)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고정용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천정벽부(23)의 후단부에는 천정벽부(23)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4개의 고정 구멍(27)이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뚫려 있다. 또한 천정벽부(23)에는 천정벽부(23)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연장되고, 그 하단부가 인슐레이터(20)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수납 오목부(2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천정벽부(23)의 하면에는 천정벽부(23)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4개의 상측 컨택트 부착홈(30)이 형성되어 있다.
저벽부(24)에는 저벽부(24)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연장됨과 아울러 천정벽부(23)의 각 상측 컨택트 부착홈(30)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4개의 하측 컨택트 부착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40)는 인슐레이터(20)의 각 상측 컨택트 부착홈(30) 및 각 하측 컨택트 부착홈(31)에 끼워 맞춰지는 부재로서, 도 4, 도 6, 도 8 및 도 1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컨택트(40)는 스탬핑 성형에 의해 얻어진 일체물로서, 스탬핑 성형을 통해 얻어진 기재(예를 들면 인청 동, 베릴륨 동, 티타늄 동, 스텐레스, 코르손계 동 합금) 상에 하지 도금(예를 들면 니켈(Ni) 도금)을 실시한 후에, 마무리 도금(예를 들면 금 도금, 주석(Sn)-동(Cu) 도금, 주석(Sn)-납(Pb) 도금)을 실시해서 제조된 도전성 부재이다.
상기 컨택트(40)는 수직인 고정용 돌출부(41)와, 고정용 돌출부(41)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직선적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부에 상향의 접촉 돌출부(43)를 갖는 하측 도통 암(42)과, 하측 도통 암(42)의 중간부로부터 일단 상방으로 연장된 후에 전방을 향해서 연장되고 그 선단부에 하향의 접촉 돌출부(45)를 갖는 상측 도통 암(44)과, 고정용 돌출부(41)의 하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테일부(46)와, 테일부(46)의 중간부로부터 일단 상방으로 연장된 후에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테일부(46)보다 짧은 치수의 누름부(47)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컨택트(40)는 도 6, 도 8 및 도 1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용 돌출부(41)가 인슐레이터(20)에 형성된 대응되는 고정 구멍(27)에 끼워 맞 춰 고정되고, 상측 도통 암(44)이 대응하는 상측 컨택트 부착홈(30)에 끼워지고, 하측 도통 암(42)이 대응되는 하측 컨택트 부착홈(31)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인슐레이터(20)의 내부에 고정된다.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인슐레이터(20)의 바로 아래에는 수평 판형상을 이루는 기판이 위치하고 있고, 각 컨택트(40)의 테일부(46)가 상기 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도통부(접촉 단자)에 각각 납땜되어 있다.
금속제의 일체 성형물인 좌우의 록 부재(50)는 단면 L자형을 이루는 고정부(51)와, 정면에서 봤을 때 L자형으로서 고정부(51)의 상부의 내측면의 후단 근방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접속 암부(탄성 변형부)(52)와, 접속 암부(52)의 하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피압압편(53)과, 접속 암부(52)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후에 상방으로 연장되고 다시 전방으로 연장되는 록 암(54)을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51)의 전후 양 단면에는 걸림 돌기(55)가 각각 돌출되어 있다. 또한 록 암(54)의 전단부에는 하향의 걸림 클로(56)가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좌우의 록 부재(5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51)를 인슐레이터(20)의 고정용 오목부(26)에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춤과 아울러 전후의 걸림 돌기(55)를 고정용 오목부(26) 전측 벽면 및 후부 벽면에 압접하고, 고정부(51)의 천정부의 하면을 인슐레이터(20)의 상면(고정용 오목부(26)와 수납 오목부(28) 사이의 부분)에 접촉시킴으로써 인슐레이터(20)의 좌우 양 측부에 고정된다. 또한 좌우의 록 부재(50)를 인슐레이터(20)에 고정하면, 도 7, 도 9, 도 1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암(54)(걸림 돌기(55))이 수납 오목부(28)의 내부에 위치한다.
또한 록 부재(50)의 접속 암부(52)는 탄성 변형 가능하며, 접속 암부(52)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피압압편(53) 및 걸림 돌기(55)(걸림 클로(56))는 측면에서 봤을 때 접속 암부(52)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즉, 피압압편(53) 및 록 암(54)은 록 부재(50)에 조금도 외력이 가해지지 않고도 접속 암부(52)가 자유 상태에 있을 때는 도 9에 나타내는 록 허용 위치에 위치된다. 한편, (후술하는 회전식 액츄에이터(60)의 압압면(64)에 의해) 록 부재(50)의 피압압편(53)을 하향으로 누르면 피압압편(53) 및 록 암(54)은 일체적으로 측면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피압압편(53) 및 록 암(54)은 도 11에 나타내는 록 해제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피압압편(53) 및 록 암(54)을 록 해제 위치까지 회전시킨 후에 피압압편(53)에 대한 압압력을 해제하면 접속 암부(52)가 자유 상태로 복귀하므로 피압압편(53) 및 걸림 돌기(55)도 록 허용 위치에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회전식 액츄에이터(60)는 내열성 합성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한 것이다.
회전식 액츄에이터(60)는 평면에서 봤을 때 사각형의 조작부(61)와, 상기 조작부(61)의 앞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원기둥형상의 회전 축부(62)를 구비한다. 또한 회전 축부(62)의 좌우 양 단부 근방에는 오목부(63)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63)의 바닥면은 압압면(64)으로 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61)의 전단부 근방에는 조작부(61)를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4개의 관통 구 멍(65)이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회전식 액츄에이터(60)는 도 6,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축부(62)를 각 컨택트(40)의 테일부(46)의 전단부와 누름부(47) 사이에 형성된 베어링부(48)에 끼워 맞춤으로써 인슐레이터(20) 및 각 컨택트(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도 6, 도 7, 도 8 및 도 9 등에 나타내는 폐쇄 위치(비압압 위치)와, 도 10 및 도 11 등에 나타내는 개방 위치(압압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식 액츄에이터(60)를 인슐레이터(20) 및 각 컨택트(40)에 장착하면, 각 컨택트(40)의 누름부(47)가 대응하는 관통 구멍(65)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도 6, 도 8 및 도 10 참조), 좌우의 록 부재(50)의 피압압편(53)의 후단부가 회전식 액츄에이터(60)의 좌우의 압압면(64)에 대향된다(도 7, 도 9 및 도 11 참조)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식 액츄에이터(60)가 폐쇄 위치에 위치할 때는, 좌우의 압압면(64)은 좌우의 피압압편(53)의 후단부에는 접촉하지 않으므로 록 암(54) 및 피압압편(53)이 접속 암부(5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도 7 참조), 각 록 부재(50)의 피압압편(53) 및 록 암(54)은 록 허용 위치에 위치(도 9 참조)된다. 한편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식 액츄에이터(60)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면, 좌우의 압압면(64)이 좌우의 피압압편(53)의 후단부를 하방으로 누르므로, 접속 암부(52)가 탄성 변형되고 피압압편(53) 및 록 암(54)은 록 해제 위치까지 회전한다.
다음은 상기 구성의 커넥터(10)에 접속 대상물인 FPC(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를 삽입하고, 컨택트(40)를 통해서 FPC(70)와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요령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도 9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FPC(70)의 좌우 양 측부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에는 각각 노치(피걸림부)(7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곤포의 편리성이나 기판으로의 실장성의 관점에서, 회전식 액츄에이터(6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폐쇄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70)의 후단부를 인슐레이터(20)의 전단 개구로부터 인슐레이터(20)의 내부 공간에 삽입하면, FPC(70)의 후단부가 각 컨택트(40)의 접촉 돌출부(43)(하측 도통 암(42))와 접촉 돌출부(45)(상측 도통 암(44)) 사이로 진입한다. 이 때 각 컨택트(40)는 자유 상태에 있고, 접촉 돌출부(43)와 접촉 돌출부(45) 사이의 간격은 FPC(70)의 판 두께보다 좁아져 있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70)의 후단부가 접촉 돌출부(43)와 접촉 돌출부(45) 사이로 진입하면, 하측 도통 암(42)과 상측 도통 암(44)이 각각 하방과 상방으로 약간 탄성 변형되고, 접촉 돌출부(43)와 접촉 돌출부(45)가 FPC(70)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FPC(70)의 후단부가 인슐레이터(2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면, FPC(70)의 후단면은 록 허용 위치에 위치하는 록 암(54)의 걸림 클로(56)의 앞면에 접촉된다(도시 생략). 그러면 접속 암부(52)가 탄성 변형되어서, 록 암(54) 및 피압압편(53)이 접속 암부(52)를 중심으로 측면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 전하므로, 걸림 클로(56)는 FPC(70)의 상면에 얹힌다.
이 상태로부터 FPC(70)를 더 인슐레이터(20)의 내부에 밀어넣고(후방으로 이동시키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70)의 후단부가 각 컨택트(40)의 하측 도통 암(42)과 상측 도통 암(44) 사이의 간극의 후단부 근방까지 도달하면, 하측 도통 암(42)의 접촉 돌출부(43)와 상측 도통 암(44)의 접촉 돌출부(45)가 FPC(70)의 하면과 상면에 형성된 도통부(도시 생략)에 각각 탄성 접촉하므로 각 컨택트(40)를 통해서 FPC(70)와 상기 기판이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또한, 좌우의 록 부재(50)의 걸림 클로(56)가 FPC(70)의 양 측부의 노치(71)와 대향한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암부(52)의 탄성력에 의해 피압압편(53) 및 록 암(54)이 록 허용 위치에 자동적으로 복귀하고, 좌우의 걸림 클로(56)가 좌우의 노치(71)에 자동적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록 상태로 되면, FPC(70)가 커넥터(10)로부터 갑자기 빠져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록 상태에서 메인터넌스나 기기 내의 모듈 교환 등을 위해, FPC(70)를 인슐레이터(20)로부터 빼내고자 할 경우에는 회전식 액츄에이터(60)를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개방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된다.
그러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식 액츄에이터(60)의 좌우의 압압면(64)이 좌우의 록 부재(50)의 피압압편(53)의 후단부를 하방으로 누르므로, 좌우의 록 부재(50)의 접속 암부(52)가 탄성 변형되고, 록 허용 위치에 위치하고 있었던 피압압편(53) 및 록 암(54)은 록 해제 위치까지 회전한다. 그러면 걸림 클로(56)가 FPC(70)의 노치(71)로부터 상방으로 빠져나가므로 FPC(70)를 인슐레이 터(20)로부터 전방으로 빼내게 할 수 있게 된다.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이 후에 회전식 액츄에이터(60)를 폐쇄 위치까지 되돌리면 록 부재(50)는 록 허용 위치에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좌우의 록 부재(50)의 걸림 클로(56)를 FPC(70)의 노치(71)에 결합시키는 구조이므로, 커넥터(10)가 매우 저배(높이 약 0.5㎜)이고 컨택트(40)의 극수가 적은(약 4개) 구조, 즉 컨택트(40)만으로는 FPC(70)를 유지하기 위한 충분한 유지력을 얻기가 매우 어려운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접속 대상물인 FPC(70)가 인슐레이터(20)로부터 갑자기 빠져 나오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식 액츄에이터(60)를 개방 위치까지 회전시킴으로써 FPC(70) 및 록 부재(50)에 큰 부하를 걸지 않고도 FPC(70)를 커넥터(10)로부터 원활하게 빼낼 수 있다.
또한 FPC(70)를 커넥터(10)에 접속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는, 통상 곤포의 편리성이나 기판으로의 실장성의 관점에서 회전식 액츄에이터(60)가 FPC(70)와 평행을 이루는 폐쇄 위치(비압압 위치)에 위치되므로, 회전식 액츄에이터(60)를 조금도 조작하지 않고도 FPC(70)를 그대로 커넥터(10)에 삽입(접속)할 수 있다. 또 한 FPC(70)와 커넥터(10)의 접속 상태를 유지한 경우에는 회전식 액츄에이터(60)를 개방 위치(압압 위치)까지 회전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본 커넥터(10)에 대한 FPC(70)의 접속 작업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형 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을 실시하면서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2 내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식 액츄에이터(60) 대신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를 커넥터(10')에 장착해서 실시해도 된다.
이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는 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4개의 삽입부(81)와, 후단부의 좌우 양 측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압압부(82)를 구비한다. 그리고 삽입부(81)의 전단부에는 원형단면의 결합 돌출부(8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변형예의 누름부(47)는 상기 실시형태의 것보다 긴 치수이며, 누름부(47)의 하면에는 전후 한 쌍의 제 1 유지용 오목부(47a)와 제 2 유지용 오목부(47b)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는 각 삽입부(81)를 대응되는 컨택트(40)의 테일부(46)와 누름부(47) 사이의 간극에 삽입하고, 각 결합 돌출부(83)를 제 1 유지용 오목부(47a)와 제 2 유지용 오목부(47b) 중 어느 하나에 탄성적으로 결합시켜 각 컨택트(40)(인슐레이터(20))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각 결합 돌출부(83)가 각 컨택트(40)의 제 1 유지용 오목부(47a)에 결합되면,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는 좌우의 압압부(82)가 좌우의 록 부재(50)의 피압압편(53)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는 비압압 위치에 유지된다(도 12 내지 도 15 참조). 그리고 각 걸림 돌출부(83)가 각 컨택트(40)의 제 2 유지용 오목부(47b)에 결합되면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는 좌우의 압압부(82)가 좌우의 록 부재(50)의 피압압편(53)의 상면을 하방으로 누르는 압압 위치로 이동한다(도 16 및 도 17 참조).
이 변형예에 있어서 FPC(70)를 커넥터(10')에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를 비압압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FPC(70)를 도 6 및 도 7에 상당하는 위치까지 인슐레이터(20)의 내부에 삽입한다. 그리고 FPC(70)를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위치(도 8 및 도 9에 상당하는 위치)까지 삽입하면,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컨택트(40)의 접촉 돌출부(43)와 접촉 돌출부(45)가 FPC(70)의 상하 양면의 도통부에 탄성 접촉되고, 좌우의 록 부재(50)의 걸림 클로(56)가 FPC(70)의 좌우의 노치(71)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FPC(70)를 인슐레이터(20)로부터 전방으로 빼내고자 할 경우에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를 압압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킨다.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가 압압 위치까지 슬라이드되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의 좌우의 압압부(82)가 좌우의 록 부재(50)의 피압압편(53)을 하방으로 누르므로, 록 허용 위치에 위치되어 있었던 좌우의 피압압편(53) 및 록 암(54)이 도 17에 나타내는 록 해제 위치까지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FPC(70)를 인슐레이터(20)로부터 원활하게 빼낼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와 같이 액츄에이터를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로 하면,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가 압압 위치와 비압압 위치 중 어디에 위치하는 경우나 커넥터(10')가 저배로 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FPC(70)의 상하 양면에 도통부를 형성 하고 있지만, 한쪽의 면에만 도통부를 형성하고, 접촉 돌출부(43)와 접촉 돌출부(45) 중 한 쪽을 이 도통부에 접촉(도통)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회전식 액츄에이터(60)의 회전 축부(62)의 베어링부나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의 결합 돌출부(83)의 유지부(유지용 오목부)를 인슐레이터(20)나 좌우의 록 부재(50)에 형성해서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FPC(70)에 노치(71)를 형성하는 대신에, FPC(70)를 그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걸림 구멍(FPC(70)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내측에 위치하는 피걸림부)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접속 대상물은 FPC 이외의 것, 예를 들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이어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사시도로서, 회전식 액츄에이터가 폐쇄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전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2는 회전식 액츄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위치할 때의 커넥터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회전식 액츄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위치할 때의 커넥터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회전식 액츄에이터가 폐쇄 위치에 위치할 때의 커넥터의 정면도
도 6은 FPC의 후단부를 커넥터의 내부에 삽입했을 때의 도 5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FPC의 후단부를 커넥터의 내부에 삽입했을 때의 도 5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FPC를 커넥터의 내부에 완전하게 삽입했을 때의 도 6과 같은 단면도
도 9는 FPC를 커넥터의 내부에 완전하게 삽입했을 때의 도 7과 같은 단면도
도 10은 회전식 액츄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위치할 때의 도 6과 같은 단면도
도 11은 회전식 액츄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위치할 때의 도 7과 같은 단면도
도 12는 회전식 액츄에이터 대신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를 채용한 본 발명의 변형예의 도 6과 같은 단면도
도 13은 변형예의 도 7과 같은 단면도
도 14는 변형예의 도 8과 같은 단면도
도 15는 변형예의 도 9와 같은 단면도
도 16은 변형예의 도 10과 같은 단면도
도 17은 변형예의 도 11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커넥터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 커넥터 20 : 인슐레이터
21 : 좌측벽부 22 : 우측벽부
23 : 천정벽부 24 : 저벽부
26 : 고정용 오목부 27 : 고정 구멍
28 : 수납 오목부 30 : 상측 컨택트 부착홈
31 : 하측 컨택트 부착홈 40 : 컨택트
41 : 고정용 돌출부 42 : 하측 도통 암
43 : 접촉 돌출부 44 : 상측 도통 암
45 : 접촉 돌출부 46 : 테일부
47 : 누름부 47a : 제 1 유지용 오목부
47b : 제 2 유지용 오목부 48 : 베어링부
50 : 록 부재 51 : 고정부
52 : 접속 암부(탄성 변형부) 53 : 피압압편
54 : 록 암 55 : 걸림 돌기
56 : 걸림 클로 60 : 회전식 액츄에이터
61 : 조작부 62 : 회전 축부
63 : 오목부 64 : 압압면
70 : FPC(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접속 대상물) 71 : 노치(피걸림부)
80 :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 81 : 삽입부
82 : 압압부 83 : 결합 돌출부

Claims (4)

  1. 평판형상의 접속 대상물을 끼우고 뺄 수 있도록 걸림 구멍 또는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노치로 이루어진 피걸림부를 갖는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에 설치되며,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컨택트;
    상기 인슐레이터에 설치되며, 걸림 클로를 갖는 록 암, 및 상기 록 암과 일체적으로 이동하면서 평상시에는 상기 걸림 클로가 상기 인슐레이터에 삽입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상기 피걸림부와 결합하는 것을 허용하는 록 허용 위치에 위치되며, 록 해제 위치로 이동할 경우에 상기 걸림 클로를 상기 피걸림부로부터 빠져 나가게 하는 피압압편을 갖는 록 부재; 및
    상기 록 부재의 상기 피압압편에 선택적으로 접촉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피압압편에 접촉할 경우 상기 피압압편을 상기 록 해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는
    탄성 변형부와, 상기 탄성 변형부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록 암과, 상기 피압압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 변형부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록 암 및 피압압편이 상기 탄성 변형부 둘레에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컨택트, 인슐레이터 또는 록 부재에 형성된 베어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접속 대상물과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피압압편과 이격되는 비압압 위치와 상기 접속 대상물과 직교하면서 상기 피압압편에 접촉하는 압압 위치 사이를 회전하는 회전식 액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삽입 상태에 서는 상기 피압압편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록 허용 위치에 위치되어 있었던 상기 피압압편을 상기 록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70124181A 2007-09-04 2007-12-03 커넥터 KR1009518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28922 2007-09-04
JP2007228922A JP2009064577A (ja) 2007-09-04 2007-09-04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603A true KR20090024603A (ko) 2009-03-09
KR100951816B1 KR100951816B1 (ko) 2010-04-08

Family

ID=40559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181A KR100951816B1 (ko) 2007-09-04 2007-12-03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9064577A (ko)
KR (1) KR1009518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055B1 (ko) * 2011-02-01 2013-04-22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커넥터
KR101292278B1 (ko) * 2012-01-12 2013-08-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락킹 구조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20130105531A (ko) * 2012-03-15 2013-09-25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20230047791A (ko) * 2021-10-01 2023-04-10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플렉시블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7461B2 (ja) * 2009-05-13 2013-10-30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KR101235416B1 (ko) 2011-08-04 2013-02-22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장치
JP5915142B2 (ja) * 2011-12-15 2016-05-1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1260320B1 (ko) 2012-01-12 2013-05-0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락킹 구조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JP5989362B2 (ja) * 2012-03-08 2016-09-07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49081B2 (ja) * 2012-04-17 2016-07-0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392929B2 (ja) * 2012-06-11 2014-01-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4171900A1 (en) * 2013-04-18 2014-10-23 Fci Connectors Singapore Pte Ltd Low profile circuit board connector
JP6199348B2 (ja) * 2015-08-07 2017-09-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9428178A (zh) * 2017-08-21 2019-03-05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自锁弹片及现场做线连接器
KR20230033824A (ko) 2021-09-02 2023-03-09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접촉부 밀폐형 플렉시블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0624B2 (ja) 2002-12-25 2008-06-1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429246B2 (ja) 2005-09-30 2010-03-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4750529B2 (ja) 2005-10-25 2011-08-17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055B1 (ko) * 2011-02-01 2013-04-22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커넥터
KR101292278B1 (ko) * 2012-01-12 2013-08-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락킹 구조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20130105531A (ko) * 2012-03-15 2013-09-25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20230047791A (ko) * 2021-10-01 2023-04-10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플렉시블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64577A (ja) 2009-03-26
KR100951816B1 (ko) 201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816B1 (ko) 커넥터
KR100783419B1 (ko) 커넥터
US10181661B2 (en) Cable connector
KR101625745B1 (ko)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
JP4750811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1138116B1 (ko) 커넥터 장치
KR101464071B1 (ko) 커넥터 장치
CN111509416A (zh) 插入式电连接器
KR20080009757A (ko) 커넥터
KR20010040019A (ko)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박판형 물체와 평행한 방향의접촉편에 결합된 회전식 액추에이터를 가지는 커넥터
JP5010043B1 (ja) コネクタ
JP5958705B2 (ja) コネクタ
JP2013178892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772237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slidable locking member
US20220407263A1 (en) Strap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with enhanced mating retention force
KR20110031116A (ko) 커넥터
KR100643181B1 (ko) 커넥터
KR101286472B1 (ko) 커넥터
KR20130083851A (ko) 커넥터
US20210351532A1 (e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JP4795461B2 (ja) コネクタ
JP2022040050A (ja) 技術機器ユニットを装着レールに取り付けるための保持機構およびそのような保持機構を有する技術機器ユニット
JP2019133892A (ja) 平型導体用コネクタ
JP3231917U (ja) 電気コネクタ
KR101235416B1 (ko) 커넥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