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851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3851A
KR20130083851A KR1020130002955A KR20130002955A KR20130083851A KR 20130083851 A KR20130083851 A KR 20130083851A KR 1020130002955 A KR1020130002955 A KR 1020130002955A KR 20130002955 A KR20130002955 A KR 20130002955A KR 20130083851 A KR20130083851 A KR 20130083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cable
protective member
housing
insertion hole
prot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츠토시 도조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83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83Linear camming means or pivoting lever for connectors for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01R13/62994Lever acting on a connector mounted onto the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도전성의 컨택트(5)가 수용된 하우징(3)과, 하우징(3)의 전방측에 설치됨과 더불어 당해 하우징(3)의 하벽(32), 상벽(33) 및 측벽(34)으로 구획형성되며, 평판형상 케이블(2)을 삽입 가능한 삽입구(4)와, 하우징(3)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회동 조작에 의해 컨택트(5)를 평판형상 케이블(2)에 압접시켜 상호 도통 접속시키는 레버(6)와, 삽입구(4)의 측벽(34)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10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특허 제4651500호 공보와 같이, 레버가 하우징의 전방측(삽입구측)에 설치되는 프론트 로크 타입의 것이나,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2010-244987호 공보와 같이, 레버가 하우징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백 로크 타입의 것이 알려져 있다.
하우징에는, 도전성의 컨택트가 수용되어 있다. 컨택트는, 평판형상 케이블의 상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암을 갖고 있으며, 이 한 쌍의 암 사이에 평판형상 케이블을 끼워넣는다. 이 상태에서 레버를 조작하면, 한 쌍의 암은, 이들 두 암 사이에 설치된 지점부를 중심으로 하여, 선단측이 평판형상 케이블의 상하 양면을 사이에 끼우도록 되어 있다.
이 때, 프론트 로크 타입의 커넥터는, 레버의 회동력이 암의 지점부보다 선단측에 작용하는 한편, 백 로크 타입의 커넥터는, 레버의 회동력이 암의 지점부보다도 후단측에 작용한다. 즉, 프론트 로크 타입에서는, 레버의 회동력을, 커넥터의 선단측을 직접 닫힘 방향으로 작용시킴으로써, 평판형상 케이블을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백 로크 타입에서는, 레버의 회동력을, 커넥터의 지점부보다도 후단측을 열림 방향으로 작용시킴으로써, 이에 의해 닫히는 선단측에서 평판형상 케이블을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론트 로크 타입과 백 로크 타입에서는, 레버의 회동력을 컨택트에 작용시키는 위치가 지점의 앞측과 후측에서 상이하게 된다. 그러나, 백 로크 타입에서는, 컨택트의 후방에 로크 상태에 있는 레버의 수납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론트 로크 타입의 것에 비해 커넥터의 저배화(低背化)가 가능해진다.
그런데, 근년에는 커넥터의 다극화나 소형화가 촉진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백 로크 타입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다극화나 소형화(저배화)에 의해 평판형상 케이블이 비스듬하게 꽂아지는 것이 쉽게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평판형상 케이블이 비스듬하게 꽂아진 경우에, 삽입구의 측벽이 깎여나가는 것 등으로 인해 손상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평판형상 케이블이 비스듬하게 꽂아진 경우에도, 삽입구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은, 도전성의 컨택트가 수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에 설치됨과 더불어 당해 하우징의 하벽, 상벽 및 측벽으로 구획형성되며, 평판형상 케이블을 삽입 가능한 삽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컨택트를 상기 평판형상 케이블에 압접시켜 상호 도통 접속시키는 레버와, 상기 삽입구의 측벽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은,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삽입구의 측벽의 전면을 보호하는 가드부와, 상기 가드부로부터 상기 삽입구의 안쪽으로 연장 설치되고, 상기 평판형상 케이블에 일정한 가압 탄성력을 부가하는 케이블 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의 특징은, 상기 보호 부재는, 내마모성이 뛰어난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의 특징은, 상기 보호 부재와 상기 삽입구의 측벽의 전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의 특징은,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6의 특징은,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삽입구의 측벽의 전면을 덮도록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7의 특징은, 상기 보호 부재의 표면에, 도금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8의 특징은,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삽입구의 양측벽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보호 부재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9의 특징은,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하우징 상벽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0의 특징은, 상기 보호 부재는 탄력성이 뛰어난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1의 특징은, 상기 보호 부재의 표면에, 상기 평판형상 케이블에 대해 마찰력이 커지는 마찰 증대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가 하우징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이른바 백 로크 타입의 커넥터가 되며, 레버의 회동 조작에 의해 삽입구에 삽입된 평판형상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삽입구의 측벽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령 평판형상 케이블이 비스듬하게 꽂아진 경우에도, 평판형상 케이블의 선단 각부가 보호 부재에 접촉하면서 삽입되게 되기 때문에, 삽입구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보호 부재의 부착 상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보호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커넥터의 하우징에 평판형상 케이블이 비스듬하게 꽂아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B-B선을 따른 레버의 언로크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레버의 로크 상태를 나타낸 도 6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낸 보호 부재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낸 보호 부재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나타낸 보호 부재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나타낸 보호 부재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커넥터(1)는, FPC(플렉시블 프린트 기판)나 FFC(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의 평판형상 케이블(2)을 회로 기판(C)(도 6 참조)에 도통 접속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1)는 절연성의 하우징(3)을 갖고 있으며, 이 하우징(3)의 전방측(도 2 중 하방)에 평판형상 케이블(2)을 삽입 가능한 삽입구(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3) 내에는, 삽입구(4)로부터 삽입되는 평판형상 케이블(2)과 도통 접속 가능한 복수의 도전성의 컨택트(5)가 옆으로 늘어놓아진 상태로 정연하게 수용되어 있다.
또, 하우징(3)의 후방측(도 2 중 상방)에는, 회동 조작에 의해 컨택트(5)를 평판형상 케이블(2)에 압접시켜 상호 도통 접속시키는 레버(6)가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3)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컨택트(5)가 부착되는 홈부(31)가, 하우징(3)의 전후 방향(도 2 중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면서, 횡방향(도 2 중 좌우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홈부(31)에 컨택트(5)가 1개씩 부착됨으로써, 복수의 컨택트(5)가 옆으로 늘어놓아진 상태로 정연하게 배치되어 있다.
삽입구(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의 하벽(32), 상벽(33) 및 양측벽(34)에 의해 가로가 넓어지는 평평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획형성되어 있다. 물론, 삽입구(4)의 개구 면적은, 평판형상 케이블(2)의 두께 및 가로폭에 알맞은 상하 및 좌우 치수로 되어 있다.
컨택트(5)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두께의 판형상으로 된 도전성 재료를, 예를 들면 프레스 등으로 펀칭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컨택트(5)는, 전후 방향(도 2 중 상하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봉형상의 고정측 암(51)과, 이 고정측 암(51)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평판형상 케이블(2)의 두께 방향으로 고정측 암(51)과 대향하는 봉형상의 가동측 암(5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그들 고정측 암(51)과 가동측 암(52)은, 각각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끼리가 연결 스프링부(53)에서 연결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대략 H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연결 스프링부(53)는 가동측 암(52)이 개폐될 때의 지점이 된다. 또, 고정측 암(51)의 후단측에는 회로 기판(C)에 실장되는 단자부(51b)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단자부(51b)에 의해 컨택트(5)는 회로 기판(C)과 전기적으로 도통된다. 또한, 가동측 암(52)의 후단측은 스프링부(52b)로 되어 있다.
레버(6)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의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며, 일단부(6a)(도 6 중 하방)에, 컨택트(5)의 고정측 접촉부(51a)와 가동측 접촉부(52a) 사이에 닫힘 방향의 가압력을 부가하는 캠부(61)가 설치되어 있다. 또, 타단부(6b)(도 6 중 상방)에는, 레버(6)를 회동 조작하는 조작부(6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6)를, 단자부(51b)나 스프링부(52b)가 설치된 컨택트(5)의 후단측에 배치함과 더불어, 캠부(61)를, 고정측 암(51) 및 가동측 암(52)의 각각의 후단부(51c, 52c)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 때, 레버(6)에는, 가동측 암(52)의 후단부(52c)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레버(6)가 컨택트(5)의 후단부, 즉, 하우징(3)의 후단부에 배치됨으로써, 백 로크 타입의 커넥터(1)가 구성되어 있다.
레버(6)는, 도 6에 나타낸 초기 상태에서는 기립하여 언로크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평판형상 케이블(2)을 삽입구(4)에 삽입시킨 후,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6)를 화살표(a)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으로 회동시켜 넘어뜨림으로써 로크 상태가 되고, 이 로크 상태에서 평판형상 케이블(2)과 컨택트(5)가 전기적으로 도통된다. 즉, 레버(6)의 조작부(62)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넘어뜨림으로써, 캠부(61)는, 컨택트(5)의 고정측 암(51)과 가동측 암(52)의 후단부(51c, 52c) 사이가 벌어지도록 작용한다. 그러면, 고정측 암(51)과 가동측 암(52)은, 연결 스프링부(53)를 지점으로 하여 각각의 전단부(51d, 52d)가 닫힘 방향으로 거동한다. 이에 의해, 고정측 암(51)과 가동측 암(52)의 전단부(51d, 52d)에 설치된 고정측 접촉부(51a)와 가동측 접촉부(52a) 사이에, 평판형상 케이블(2)의 양면을 강하게 끼워넣을 수 있다. 이 끼워 넣음에 의해, 컨택트(5)와 평판형상 케이블(2)을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면서, 평판형상 케이블(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백 로크 타입의 커넥터(1)에서는, 레버(6)를 로크 상태로 한 경우에, 레버(6)가 컨택트(5)와 겹치지 않고 그 컨택트(5)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프론트 로크 타입의 커넥터에 비해 저배화를 촉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형상 케이블(2)을 삽입하는 삽입구(4)에, 삽입구(4)의 양측벽(34)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lOO)를 설치했다.
보호 부재(100)는, 도 4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형의 부착부(102)를 갖고 있으며, 이 부착부(102)의 선단부를 U자형상으로 꺾어, 그 U자형상으로 만곡한 부분이 측벽(34)의 전면(34a)을 보호하는 가드부(101)로 되어 있다. 가드부(101)는, 부착부(102)의 일부(선단부)를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보호 부재(100)는, 전체가 내마모성이 뛰어난 금속재료, 예를 들면, 인청동, 황동, 티탄동, 베릴륨동이나 스텐인리스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벽(34)의 두께 내에는 소정 두께 t를 남겨 보호 부재(100)의 부착부(102)를 삽입하는 부착 구멍(34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착 구멍(34b)에 부착부(102)를 삽입함으로써, U자형상의 보호 부재(100)의 가드부(101)가 측벽(34)의 전면(선단면)(34a)을 덮도록 되어 있다.
또, 부착부(102)의 하변 중앙부에는, 부착 구멍(34b)에 설치된 걸어맞춤 오목부(도시생략)에 걸어맞춰지는 걸림 볼록부(102a)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걸림 볼록부(102a)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부착부(102)의 빠짐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보호 부재(100)에는, 가드부(101)의 선단부를 삽입구(4)의 안쪽으로 연장 설치하고, 평판형상 케이블(2)의 양측에 일정한 가압탄성력을 부가하는 케이블 유지부(103)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호 부재(100)는, 가드부(101), 부착부(102) 및 케이블 유지부(103)를 구비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낚싯바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보호 부재(100)에 케이블 유지부(103)가 설치된 한쪽에서, 삽입구(4)의 양측벽(34)의 내측에는, 그 케이블 유지부(103)의 수납 스페이스가 되는 홈부(34c)가 깊이(d)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 홈부(34c)의 깊이(d), 케이블 유지부(103)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혹은 그 두께보다도 약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유지부(103)는, 가드부(101)의 선단으로부터 측벽(34)을 따라 삽입구(4)의 안쪽으로 연장된 후, 그 연장 설치된 선단부(103a)가 삽입구(4)의 폭방향의 중앙부측을 향해 약간 굴곡되어 있다. 이로써, 케이블 유지부(103)의 선단부(103a)는, 자연 상태에서는 측벽(34)의 내측에서 약간 삽입구(4) 내로 돌출한 모습으로 되어 있다. 이 때, 케이블 유지부(103)는, U자형상으로 만곡된 가드부(101)에 갖추어지는 탄발력에 의해, 삽입된 평판형상 케이블(2)의 측면을 가압하는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케이블 유지부(103)의 자연 상태를 도시하기 위해서, 케이블 유지부(103)의 선단부(103a)가, 평판형상 케이블(2)의 측면보다도 내측으로 돌출한 모습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평판형상 케이블(2)이 삽입구(4)에 삽입된 실제 상태에서는, 평판형상 케이블(2)의 측면에 의해, 그 측면보다도 케이블 유지부(103)의 선단부(103a)가 외측으로 밀어넣어지는 모습이 된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 부재(100)가 측벽(34)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보호 부재(100)의 가드부(101)와 양측벽(34)의 전면(34a) 사이에, 소정의 간극(δ)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보호 부재(100)의 표면에는,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또, 보호 부재(100)는, 삽입구(4)의 양측벽(34)에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그 한 쌍의 보호 부재(100)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에서는, 컨택트(5)의 단자부(51b)가 회로 기판(C)에 실장되어 있다. 한편, 평판형상 케이블(2)을 커넥터(1)의 삽입구(4)에 삽입하여 레버(6)를 로크 상태로 했을 때에, 평판형상 케이블(2)은 컨택트(5)와 전기적으로 도통된다. 따라서, 평판형상 케이블(2)을 삽입구(4)에 삽입하여 레버(6)를 로크함으로써, 평판형상 케이블(2)과 회로 기판(C)은 컨택트(5)를 통해 전기적으로 도통되게 된다.
이상, 설명해 온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에 의하면, 저배화를 촉진하기 쉬운 백 로크 타입의 커넥터(1)이며, 레버(6)의 회동 조작에 의해 삽입구(4)에 삽입된 평판형상 케이블(2)을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삽입구(4)에는, 삽입구(4)의 측벽(34)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삽입구(4)에 삽입하려고 하는 평판형상 케이블(2)의 선단 각부(2C)는, 보호 부재(100)에 접촉하면서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형상 케이블(2)이 비스듬하게 꽂아진 경우에는, 한쪽의 선단 각부(2C1)가 먼저 삽입된 후, 다른쪽의 선단 각부(2C2)가 늦게 삽입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측벽(34)의 손상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즉, 선단 각부(2C2)가, 그 측벽(34)을 덮는 보호 부재(100)의 가드부(101)에 접촉하면서 삽입되기 때문에, 측벽(34)은 가드부(101)에 보호되어 깎여나가 버리는 일이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호 부재(100)에, 가드부(101)에 추가해 케이블 유지부(103)를 설치했으므로, 평판형상 케이블(2)이 삽입구(4)에 삽입되었을 때에, 케이블 유지부(103)에 의해 평판형상 케이블(2)을 일정한 탄성가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삽입구(4)에 삽입된 평판형상 케이블(2)을, 케이블 유지부(103)의 가압력으로 견고히 유지할 수 있고, 평판형상 케이블(2)이 커넥터(1)로부터 쉽게 빠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호 부재(100)를 내마모성이 뛰어난 금속재료로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평판형상 케이블(2)이 삽입구(4)에 반복해서 빼내어지고 삽입된 경우에도, 보호 부재(100)(가드부(101))가, 평판형상 케이블(2)의 선단 각부(2C)에서 용이하게 깎여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호 부재(100)의 가드부(101)와 삽입구(4)의 측벽(34)의 전면(34a) 사이에, 소정의 간극(δ)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간극(δ)에 의해 가드부(101)의 약간의 휨 변형을 허용할 수 있어, 평판형상 케이블(2)이 비스듬하게 삽입된 경우에도, 삽입구(4)로의 삽입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호 부재(100)의 가드부(101)는, 보호 부재(100)를 측벽(34)에 부착하는 부착부(102)의 일부를 가공하여 형성했으므로, 부착부(102)로부터 용이하게 가드부(101)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부착부(102)와 가드부(101)를 강고하게 일체화할 수 있기 때문에, 평판형상 케이블(2)이 비스듬하게 삽입됨으로써 선단 각부(2C)가 가드부(101)에 강하게 간섭한 경우에도, 가드부(101)는 빠지지 않고 측벽(34)의 전면(34a)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호 부재(100)는, 삽입구(4)의 측벽(34)의 전면(34a)을 덮도록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보호 부재(100)에 의해 더욱 손상되기 쉬운 측벽(34)의 내각(삽입구(4)의 중앙측의 각)을 보호할 수 있으므로, 측벽(34)의 손상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보호 부재(100)(가드부(101))에 접촉한 평판형상 케이블(2)의 선단 각부(2C)를, 원활하게 삽입구(4) 안쪽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호 부재(100)의 표면에 도금이 실시되어 있으므로, 보호 부재(100)의 표면은 매끄러워져, 보호 부재(100)(가드부(101))가, 평판형상 케이블(2)의 선단 각부(2C)에서 쉽게 깎여나가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호 부재(100)는, 삽입구(4)의 양측벽(34)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한 쌍의 보호 부재(100)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한 쌍으로 된 보호 부재(100)의 가드부(101)나 케이블 유지부(103)에, 동일 조건으로 평판형상 케이블(2)의 가이드나 유지를 행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평판형상 케이블(2)의 삽입구(4)로의 삽입 도중에 평판형상 케이블(2)이 비스듬하게 되거나 걸리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보호 부재(100)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보호 부재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이 보호 부재(100A)는 상기 실시형태의 보호 부재(100)와 동일하게, 가드부(101), 부착부(102) 및 케이블 유지부(103)를 구비하고 있다.
본 변형예의 보호 부재(100A)가 상기 실시형태의 보호 부재(100)와 주로 상이한 점은, 케이블 유지부(103)의 중간 부분을 일단 삽입구(4)의 폭방향의 중앙부 측으로 약간 굴곡시킨 후, 그 선단부를 부착부(102)측으로 되돌리 듯이 굴곡시킨 데에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보호 부재(100A)에는, 케이블 유지부(103)의 중간 부분에 삽입구(4)의 폭방향의 중앙부측으로 돌출하는 팽출부(103b)가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이 팽출부(103b)를 평판형상 케이블(2)의 양측에 압접시킴으로써, 부착부(102)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9는, 보호 부재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이 보호 부재(100B)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의 보호 부재(100)와 동일하게, 가드부(101), 부착부(102) 및 케이블 유지부(103)를 구비하고 있다.
본 변형예의 보호 부재(100B)가 상기 실시형태의 보호 부재(100)와 주로 상이한 점은, 부착부(102)가 부착 구멍(34b)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때에, 부착부(102)의 중간 부분에 배면측(삽입구(4)의 폭방향 외측)으로 팽출하는 다보(lO2b)를 설치한 데에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부착부(102)를 부착 구멍(34b)에 삽입시켰을 때에, 다보(lO2b)의 팽출측을 부착 구멍(34b)의 내면에 압접시킴으로써, 부착부(102)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보호 부재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이 보호 부재(100C)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의 보호 부재(100)와 동일하게, 가드부(101), 부착부(102)가 설치되어 있는데, 케이블 유지부(103)는 생략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본 변형예에서는, 부착부(102)를 걸림 볼록부(102a)나 다보(102b)를 설치하지 않고 단순한 봉형상으로 형성함과 더불어, 가드부(101)의 선단부(101a)를 부착부(102)측에 접근시킨 것이다.
그리고, 부착부(102)를 부착 구멍(34b)에 삽입시켰을 때에, 이 부착부(102)와 가드부(101)의 선단부(101a) 사이에서 양측벽(34a)을 강하게 끼움으로써, 부착부(102)의 빠짐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11은, 보호 부재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이 보호 부재(100D)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의 보호 부재(100)와 동일하게, 가드부(101), 부착부(102) 및 케이블 유지부(103)를 구비하고 있다.
본 변형예의 보호 부재(100D)가 하기 실시형태의 보호 부재(100)와 주로 상이한 점은, 보호 부재(100D)를, 하우징(3)의 상벽(33)과 일체로 형성한 데에 있다. 즉, 상벽(33)의 양측부를 하벽(32)(도 3 참조) 방향으로 굴곡시켜 수하부(33a)를 설치하고, 이 수하부(33a)의 하단에 보호 부재(100D)의 부착부(102)가 일체로 되도록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보호 부재(100D)를, 상기 실시형태의 보호 부재(100)와 동일하게 양측벽(34)의 부착 구멍(34b)에 삽입하여 부착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보호 부재(100D)의 부착과 동시에 상벽(33)의 부착도 행해진다. 즉, 환언하면, 상벽(33)의 부착과 동시에 보호 부재(100D)가 부착되게 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상벽(33)과 보호 부재(100D)가 일체화되었으므로, 부품 점수를 삭감하여 조립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보호 부재(100~100D)를 하우징(3)(예를 들면 측벽(34) 등)에 일체 성형(예를 들면 인서트 성형)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보호 부재(100~100D)에 의해 평판형상 케이블(2)을 삽입구(4)에 삽입할 때의 안내 기능이나 평판형상 케이블(2)의 유지 기능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음과 더불어, 커넥터(1)의 조립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 보호 부재(100~100D)를 전체적으로 탄력성이 뛰어난 재료(예를 들면, 인청동)로 형성함으로써, 케이블 유지부(103)에 의한 평판형상 케이블(2)의 유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보호 부재(100~100D)의 표면에, 평판형상 케이블(2)에 대해 마찰력이 커지는 마찰 증대 처리(예를 들면 미소 요철이나 주름 및 도금 등)를 실시해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케이블 유지부(103)에 의한 평판형상 케이블(2)의 유지성을 높일 수 있다.
물론, 이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1)

  1. 도전성의 컨택트가 수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의 하벽, 상벽 및 측벽으로 구획형성되며, 평판형상 케이블을 삽입 가능한 삽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컨택트를 상기 평판형상 케이블에 압접시켜 상호 도통 접속시키는 레버와,
    상기 삽입구의 측벽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삽입구의 측벽의 전면을 보호하는 가드부와, 상기 가드부로부터 상기 삽입구의 안쪽으로 연장 설치되고, 상기 평판형상 케이블에 일정한 가압 탄성력을 부가하는 케이블 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보호 부재는, 내마모성이 뛰어난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와 상기 삽입구의 측벽의 전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삽입구의 측벽의 전면을 덮도록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의 표면에, 도금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삽입구의 양측벽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보호 부재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벽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탄력성이 뛰어난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의 표면에, 상기 평판형상 케이블에 대해 마찰력이 커지는 마찰 증대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30002955A 2012-01-13 2013-01-10 커넥터 KR201300838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04982 2012-01-13
JP2012004982A JP5914876B2 (ja) 2012-01-13 2012-01-13 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851A true KR20130083851A (ko) 2013-07-23

Family

ID=48755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955A KR20130083851A (ko) 2012-01-13 2013-01-10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14876B2 (ko)
KR (1) KR20130083851A (ko)
CN (1) CN103208697A (ko)
TW (1) TW2013303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450A (ko) * 2017-08-02 2019-02-12 도요기켄 가부시키가이샤 단부 보호 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128B1 (ko) * 2014-01-23 2015-03-05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쉴드 타입 커넥터
JP6997127B2 (ja) * 2019-03-26 2022-01-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およびコネクタ
CN116780222A (zh) * 2023-08-18 2023-09-19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电子设备输入输出的连接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1996A (en) * 1991-07-26 1992-11-10 Amp Incorporated Header assembly and alignment assist shroud therefor
JP2574041Y2 (ja) * 1993-08-31 1998-06-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JP2000208188A (ja) * 1998-11-09 2000-07-28 Omron Corp コネクタ
JP2004071314A (ja) * 2002-08-05 2004-03-04 Taiko Denki Co Ltd 扁平導体用コネクタ
KR100513837B1 (ko) * 2003-08-27 2005-09-09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피팅네일
TWI238572B (en) * 2004-05-12 2005-08-21 P Two Ind Inc Clipping device
CN2728001Y (zh) * 2004-06-23 2005-09-21 禾昌兴业股份有限公司 掀盖型软性电路板连接器
JP4028525B2 (ja) * 2004-06-25 2007-12-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359568B2 (ja) * 2005-02-15 2009-11-04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19172B2 (ja) * 2005-05-24 2010-08-04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651500B2 (ja) * 2005-10-28 2011-03-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JP4576349B2 (ja) * 2006-03-24 2010-11-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CN200965926Y (zh) * 2006-07-28 2007-10-24 顺连电子股份有限公司 无高度调整套筒的电子卡连接器
TWM313334U (en) * 2006-12-11 2007-06-01 P Two Ind Inc Flexible flat cable connector
CN201018061Y (zh) * 2007-04-05 2008-02-06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软性排线连接器
US7699644B2 (en) * 2007-09-28 2010-04-2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protective member
JP5157651B2 (ja) * 2008-06-03 2013-03-0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201533068U (zh) * 2009-10-29 2010-07-21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连接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450A (ko) * 2017-08-02 2019-02-12 도요기켄 가부시키가이샤 단부 보호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60953B (ko) 2016-12-01
JP5914876B2 (ja) 2016-05-11
CN103208697A (zh) 2013-07-17
JP2013145659A (ja) 2013-07-25
TW201330394A (zh) 201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816B1 (ko) 커넥터
TWI595707B (zh) 連接器
KR101161852B1 (ko) 커넥터
KR100963726B1 (ko) 커넥터
KR101138116B1 (ko) 커넥터 장치
TWI442647B (zh) Connector
JP4750811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1305018B1 (ko) 케이블용 커넥터
JP5817457B2 (ja) コネクタ
JP5958705B2 (ja) コネクタ
KR20130083851A (ko) 커넥터
JP4440122B2 (ja) フレキシブル配線部材用コネクタ
US8936487B2 (en) Connector with pressing plate
KR20110031116A (ko) 커넥터
WO2018025615A1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4603501B2 (ja) コネクタ
JP4748674B2 (ja) コネクタ
JP2010257917A (ja) ショート端子
JP4398914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10034077A (ja) コネクタ
KR20120057481A (ko) 커넥터
JP2022188391A (ja) コネクタ
JP4644228B2 (ja) コネクタ
KR20130015536A (ko) 커넥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