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018B1 - 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5018B1 KR101305018B1 KR1020120044728A KR20120044728A KR101305018B1 KR 101305018 B1 KR101305018 B1 KR 101305018B1 KR 1020120044728 A KR1020120044728 A KR 1020120044728A KR 20120044728 A KR20120044728 A KR 20120044728A KR 101305018 B1 KR101305018 B1 KR 1013050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member
- fpc
- insulator
- elastic deformation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on-ZIF이고 액츄에이터를 가지는 타입이면서, 커넥터 전체를 소형화하고,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대한 잠금 유지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의 피 잠금부와 걸어맞춤 가능한 록 위치와, 피 잠금부와 걸어맞춤이 불가능한 언록 위치와의 사이를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서로 독립해서 회전하는 한 쌍의 잠금부재(45)와, 각 잠금부재를 각각 록 위치에 유지시키면서 탄성변형이 가능한 한 쌍의 스프링 수단(60)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수단이 탄성변형부(62)와, 선단연장부(63)와, 선단연장부의 선단으로부터 기단부 측을 향해 탄성변형부와 평행하도록 연장되면서 상기 잠금부재와 걸어맞추어져 스프링 수단과 상기 잠금부재를 일체화시키는 걸어맞춤부(64)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의 피 잠금부와 걸어맞춤 가능한 록 위치와, 피 잠금부와 걸어맞춤이 불가능한 언록 위치와의 사이를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서로 독립해서 회전하는 한 쌍의 잠금부재(45)와, 각 잠금부재를 각각 록 위치에 유지시키면서 탄성변형이 가능한 한 쌍의 스프링 수단(60)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수단이 탄성변형부(62)와, 선단연장부(63)와, 선단연장부의 선단으로부터 기단부 측을 향해 탄성변형부와 평행하도록 연장되면서 상기 잠금부재와 걸어맞추어져 스프링 수단과 상기 잠금부재를 일체화시키는 걸어맞춤부(6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FPC용 커넥터의 일례로서, FPC를 커넥터에 삽입할 때 삽입력을 필요로 하는 Non-ZIF(Zero Insertion Force) 타입의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Non-ZIF 타입의 FPC용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1회의 동작으로 FPC의 삽입과 유지를 행하는 구조이며, 쌍을 이루는 컨택트끼리의 간극(또는 하나의 컨택트에 설치된 한 쌍의 접촉편의 간극)을 FPC의 두께보다 조금 좁게 설정하기 때문에, FPC를 삽입하면 한 쌍의 컨택트(접촉편)로부터 FPC에 소정의 접촉 압력이 가해지면서 FPC와 컨택트가 접속된다. 그러나 컨택트(접촉편)의 접촉압력만으로 FPC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FPC에 인출방향으로 의도하지 않은 강한 힘이 인가되면 FPC가 커넥터로부터 갑자기 빠져나와 버리게 된다.
이에 대하여 액츄에이터를 가진 ZIF 타입(FPC의 삽입 시에 FPC와 컨택트의 사이에 삽입 저항이 발생하지 않는 타입)의 FPC 커넥터는, 액츄에이터를 잠금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으로 컨택트(접촉편)와 FPC의 접촉 압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FPC가 커넥터로부터 갑자기 빠져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FPC용 커넥터를 창작한 바 있다.
이 FPC용 커넥터는,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에 피 잠금부를 가진 FPC를 끼우고 빼는 것이 가능한 FPC 삽입홈을 가진 인슐레이터와,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에서 인슐레이터에 지지된 복수의 컨택트와, 한 쌍의 피 잠금부와 각각 끼우고 빼는 것이 가능한 한 쌍의 잠금고리를 가지면서 한 쌍의 잠금고리가 각 피 잠금부와 FPC의 끼우고 빼는 방향에 각각 대향하는 록(lock) 위치와 각 피 잠금부와 FPC의 끼우고 빼는 방향에 대향하지 않는 언록(unlock) 위치와의 사이를 회전 가능하도록 인슐레이터에 지지된 하나의 잠금 부재와, 잠금부재측에 록 위치를 향하는 회전력을 부여하는 한 쌍의 압축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다.
인슐레이터에 FPC의 단부를 삽입하면, FPC의 단부에 의해 잠금고리가 눌리면서 록 위치에 위치해 있던 잠금부재가 언록 위치까지 회전한다. 그리고 잠금고리가 피 잠금부와 대향하지 않게 되었을 때, 잠금부재는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해 록 위치로 자동적으로 회전하고, 잠금고리는 피 잠금부와 걸어맞춤 가능한 상태(록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특허문헌 1의 FPC용 커넥터는 Non-ZIP 이고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타입이면서 FPC를 인슐레이터에 삽입하는 1회의 동작으로 FPC와 컨택트를 접속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의 FPC용 커넥터는, 인슐레이터의 좌우 양측부에 압축 코일 스프링을 각각 설치하여, 압축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해서 잠금부재를 록 위치 측으로 회전하도록 하기 때문에, 압축 코일 스프링의 축선 방향 길이를 길게 하면 (압축 코일 스프링을 변형시키기 쉽게 하면), 잠금부재를 작은 힘으로 크게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커넥터를 박형화하면, 압축 코일 스프링의 축선 방향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압축 코일 스프링을 변형시키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잠금부재를 작은 힘으로 크게 회전시키기 어려워진다.
또한, 인슐레이터의 FPC 삽입홈과 압축 코일 스프링의 부착 부위가 인슐레이터(FPC)의 폭 방향(컨택트의 나란한 방향)으로 어긋나 있기 때문에, 인슐레이터(및 커넥터)가 컨택트의 나란한 방향으로 대형화되기 쉽다.
또한 하나의 잠금부재에 두 개의 잠금고리가 설치되기 때문에, 잠금 상태에서 잠금부재에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걸리면, 록 위치에 위치하고 있던 잠금부재가 언록 위치까지 갑자기 회전해서 쌍방의 잠금고리가 각 피 잠금부와 대향하지 않게 되어버린다.
이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대한 잠금 유지성에 관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Non-ZIF이고 액츄에이터를 가진 타입이면서 커넥터 전체를 소형화하고,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대한 잠금 유지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는, 양측 모서리부에 피 잠금부를 각각 가진 박판 형상의 케이블을 끼우고 빼는 것이 가능한 인슐레이터와, 회로기판과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되며 상기 인슐레이터에 삽입했을 때 상기 케이블과 접촉하는 시그널 컨택트와, 피 잠금부와 걸어맞춤 가능한 록 위치와, 피 잠금부와 걸어맞춤 불가능한 언록 위치와의 사이를 서로 독립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인슐레이터에 설치된 한 쌍의 잠금부재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되어 상기 각 잠금부재들을 각각 상기 록 위치에 유지시키고, 탄성 변형됨으로써 각 잠금부재들이 언록 위치 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한 쌍의 스프링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수단은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된 기판부로부터 상기 끼우고 빼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탄성변형부와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선단연장부와, 상기 선단연장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기판부 측을 향해서 상기 탄성변형부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잠금부재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스프링 수단과 상기 잠금부재를 일체화하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슐레이터의 표면에는 회전축 지지 오목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회전축 지지 오목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끼워지고 상기 잠금부재와 반대측에 위치하여도 좋다.
상기 잠금부재는 협폭부 및 한 쌍의 상기 잠금부재의 나란한 방향의 폭이 상기 협폭부보다 넓은 광폭부를 가지며,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케이블의 끼우고 빼는 방향으로 봤을 때 한 쌍의 상기 협폭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케이블 삽입홈이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케이블을 상기 인슐레이터에 삽입했을 때, 상기 케이블과 접촉하는 그라운드 컨택트를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케이블의 끼우고 빼는 방향으로 봤을 때, 상기 록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잠금부재에 의해 덮여지고, 상기 언록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잠금부재에 의해 노출되는 지표가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한 쌍의 잠금부재에는 단일의 잠금 해제용 지그에 형성된 한 쌍의 누름부에 의해 누름 조작 가능한 피 누름부가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피 누름부는 상기 누름부의 걸어맞춤이 가능한 지그용 오목부여도 좋다.
본 발명의 스프링 수단은 인슐레이터에 지지된 기단부로부터 케이블의 인슐레이터에 대해 끼우고 빼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탄성변형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변형부의 전체 길이를 길게 하여 잠금부재의 회전 스트로크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잠금부재를 FPC 삽입에 적합한 작은 힘으로 크게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탄성변형부의 전체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탄성변형부가 쓰러지기 어렵기 때문에, 잠금부재를 반복해서 조작하여도 잠금부재를 확실하게 조작하는 것(즉, 케이블을 확실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탄성변형부가 케이블의 끼우고 빼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그 폭을 좁게 하거나 그 두께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인슐레이터의 케이블 삽입부와 탄성변형부의 부착 부위가 인슐레이터의 폭 방향 (컨택트의 나란한 방향)에 어긋나 있어도 커넥터(인슐레이터)가 컨택트의 나란한 방향으로 대형화되지 않고, 커넥터(인슐레이터)가 커넥터의 두께 방향으로 대형화 되지도 않는다.
또한 서로 독립해서 회전하는 한 쌍의 잠금부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잠금 상태에서 한쪽의 잠금부재에 대하여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걸려도 다른 쪽의 잠금부재는 록 위치를 유지한다. 그 때문에 케이블이 인슐레이터로부터 탈출되지 않게 되므로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대한 잠금 유지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FPC용 커넥터의 앞쪽의 비스듬한 상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FPC용 커넥터의 앞쪽의 비스듬한 하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FPC용 커넥터의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FPC용 커넥터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FPC용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FPC용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잠금부재가 록 위치에 위치된 FPC용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7의 VIII-V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IX-IX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X-X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XI-X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FPC의 단부가 컨택트의 접촉돌출부 및 잠금부재의 잠금고리에 접촉했을 때의 도 3과 같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도 10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도 11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 15는 인슐레이터 내에 FPC의 단부를 삽입하는 것으로 인해, 또는 인슐레이터 내에서 FPC의 단부를 뽑아내는 것에 의해 록 위치에 위치하고 있던 잠금부재가 언록 위치까지 회전했을 때의 도 3과 같은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도 10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도 11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 19는 인슐레이터 내에 FPC의 단부를 완전히 삽입했을 때의 도 3과 같은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도 10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도 11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FPC용 커넥터의 전방 분해사시도이다.
도 23은 FPC용 커넥터의 후방 분해사시도이다.
도 24는 잠금부재가 록 위치에 위치하는 FPC용 커넥터의 전방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XXVII-XXV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6의 XXVIII-XXV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6의 XXIX-XXIX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0은 인슐레이터 내에 FPC의 단부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또는 인슐레이터 내에서 FPC의 단부를 뽑아내는 것에 의해 록 위치에 위치하고 있던 잠금부재가 언록 위치까지 회전했을 때의 도 24와 같은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도 28과 같은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0의 도 29와 같은 단면도이다.
도 33은 인슐레이터 내에 FPC의 단부를 완전히 삽입했을 때의 도 28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 34는 인슐레이터 내에 FPC의 단부를 완전히 삽입했을 때의 도 29와 같은 단면도이다.
도 2는 FPC용 커넥터의 앞쪽의 비스듬한 하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FPC용 커넥터의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FPC용 커넥터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FPC용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FPC용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잠금부재가 록 위치에 위치된 FPC용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7의 VIII-V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IX-IX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X-X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XI-X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FPC의 단부가 컨택트의 접촉돌출부 및 잠금부재의 잠금고리에 접촉했을 때의 도 3과 같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도 10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도 11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 15는 인슐레이터 내에 FPC의 단부를 삽입하는 것으로 인해, 또는 인슐레이터 내에서 FPC의 단부를 뽑아내는 것에 의해 록 위치에 위치하고 있던 잠금부재가 언록 위치까지 회전했을 때의 도 3과 같은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도 10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도 11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 19는 인슐레이터 내에 FPC의 단부를 완전히 삽입했을 때의 도 3과 같은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도 10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도 11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FPC용 커넥터의 전방 분해사시도이다.
도 23은 FPC용 커넥터의 후방 분해사시도이다.
도 24는 잠금부재가 록 위치에 위치하는 FPC용 커넥터의 전방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XXVII-XXV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6의 XXVIII-XXV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6의 XXIX-XXIX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0은 인슐레이터 내에 FPC의 단부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또는 인슐레이터 내에서 FPC의 단부를 뽑아내는 것에 의해 록 위치에 위치하고 있던 잠금부재가 언록 위치까지 회전했을 때의 도 24와 같은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도 28과 같은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0의 도 29와 같은 단면도이다.
도 33은 인슐레이터 내에 FPC의 단부를 완전히 삽입했을 때의 도 28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 34는 인슐레이터 내에 FPC의 단부를 완전히 삽입했을 때의 도 29와 같은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 중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용 커넥터는 커넥터가 실장된 회로기판(CB)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케이블(FPC(70))을 삽입하는 소위 스트레이트(ST) 타입의 FPC용 커넥터(10)이며, 예를 들면 자동차에 탑재된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이나 오디오 기기, 혹은 OA기기(예를 들면 복사기, 복사 및 FAX 기능을 갖춘 복합기 등)의 내부에 배설된 회로기판(CB)(도 3, 도 4, 도 8, 도 12, 도 15 및 도 19 참조)에 실장 가능한 것이다. FPC용 커넥터(10)는 인슐레이터(20), 시그널 컨택트(35), 그라운드 컨택트(40), 잠금부재(45) 및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스프링 수단)으로 크게 구성된다.
좌우 대칭인 인슐레이터(20)는 절연성과 내열성의 합성 수지재료를 사출성형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20)의 상면의 좌우 양측부를 제외한 부분에는 하방을 향해서 연장된 FPC 삽입홈(21)(케이블 삽입홈)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FPC 삽입홈(21)의 후면과 전면에는 시그널 컨택트 삽입홈(22)과 그라운드 컨택트 삽입홈(23)이 각각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FPC 삽입홈(21)의 뒤쪽 가장자리부에 오목하게 설치된 총 40개의 시그널 컨택트 삽입홈(22)의 하단부는 인슐레이터(20)의 하면에서 개구되어 있으며, FPC 삽입홈(21)의 앞쪽 가장자리부에 오목하게 설치된 총 8개의 그라운드 컨택트 삽입홈(23)의 하단부는 인슐레이터(20)의 하면에서 개구되어 있다.
인슐레이터(20)의 좌우 양측부의 상면은 평면으로 된 잠금부재 재치면(24)을 구성하고 있으며, 잠금부재 재치면(24)에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편 삽입홈(25)이 아래쪽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인슐레이터(20)의 좌우 양측부의 후면에는 그 상부가 안내편 삽입홈(25)의 후부와 연통하는 잠금부재 수용오목부(26)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잠금부재 수용오목부(26)의 내측부(좌측의 잠금부재 수용오목부(26)는 우측부, 우측의 잠금부재 수용오목부(26)는 좌측부)는 FPC 삽입홈(21)의 좌우 양단부와 각각 연통되고 있다(도 11 참조). 또한 잠금부재 수용오목부(26)의 하단 근처부에는 회전축 지지오목부(27)가 앞쪽을 향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인슐레이터(20)의 좌우 양측부의 전면에는 그 상부가 안내편 삽입홈(25)의 전부와 연통하는 스프링 지지홈(28)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20)의 상면의 뒤쪽 가장자리부에는 좌우 한 쌍의 지표(29)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총 40개의 시그널 컨택트(35)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동합금(예를 들면 린청동, 베릴륨동, 티탄동)이나 코르손계 동합금의 박판을 도시된 형상으로 순차이송금형(스탬핑)으로 성형가공한 것이다. 시그널 컨택트(35)의 표면에는 니켈도금으로 하지를 형성된 후 금도금을 실시하고, 각 시그널 컨택트(35)는 도전성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그널 컨택트(35)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테일편(36)과, 테일편(36)의 전단으로부터 윗쪽을 향해 연장된 압입편(37)과, 압입편(37)의 상단으로부터 윗쪽을 향해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된 탄성변형편(38)을 구비하고 있고, 탄성변형편(38)의 상단 근처부에는 굴곡이 있는 접촉돌출부(39)가 형성되어 있다.
각 시그널 컨택트(35)는 탄성변형편(38)의 상단부 측을 상기 하단개구부로부터 각 시그널 컨택트 삽입홈(22)에 삽입하고, 각 압입편(37)을 대응되는 시그널 컨택트 삽입홈(22)의 하부에 대하여 압입하는 것에 의하여 각 시그널 컨택트 삽입홈(22)에 고정된다. 각 시그널 컨택트(35)의 탄성변형편(38)은 대응되는 시그널 컨택트 삽입홈(22)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며, 탄성변형편(38)이 자유상태에 있을 때 접촉돌출부(39)는 FPC 삽입홈(21)의 내측으로 돌출된다(도 10 참조).
시그널 컨택트(35)와 같은 재질이며 탄성을 가진 총 8개의 그라운드 컨택트(4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테일편(41)과, 테일편(41)의 후단으로부터 윗쪽을 향해 연장된 압입편(42)과, 압입편(42)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면서 하방을 향해 연장된 탄성변형편(43)을 구비하고, 탄성변형편(43)의 하단 근처부에는 굴곡진 접촉돌출부(44)가 형성되어 있다.
각 그라운드 컨택트(40)는 압입편(42) 및 탄성변형편(43)의 상단부 측을 상기 하단 개구부로부터 각 그라운드 컨택트 삽입홈(23)에 삽입하고, 각 압입편(42)을 대응되는 그라운드 컨택트 삽입홈(23)의 하부에 대하여 압입함으로써 각 그라운드 컨택트 삽입홈(23)에 고정된다. 각 그라운드 컨택트(40)의 탄성변형편(43)은 대응되는 그라운드 컨택트 삽입홈(23)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고, 그라운드 컨택트(40)가 자유상태에 있을 때 접촉돌출부(44)는 FPC 삽입홈(21)의 내측으로 돌출된다(도 10 참조).
좌우 한 쌍의 잠금부재(45)는 내열성의 합성수지재료를 사출성형(일체성형)한 것이고, 좌우의 잠금부재(45)는 서로 좌우 대칭이다.
잠금부재(45)의 상부의 후반부는 조작부(46)(광폭부)로 되어 있고, 조작부(46)의 전면의 외측부(좌측의 조작부(46)는 좌측부, 우측의 조작부(46)는 우측부)로부터는 조작부(46)보다 좌우 길이가 작은 회전규제부(47)(협폭부)가 앞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회전규제부(47)의 하면에는 평면으로 된 록 위치규제면(47a)과 록 위치규제면(47a)에 대하여 경사지는 평면으로 된 언록 위치규제면(47b)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규제부(47)의 전부에는 회전규제부(47)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스프링 걸어맞춤구멍(48)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규제부(47)의 전단부에는 스프링 걸어맞춤구멍(48)의 전면을 막는 피 걸어맞춤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46)의 전면의 내측부(좌측의 조작부(46)는 우측부, 우측의 조작부(46)는 좌측부)에는 도피용 오목부(51)가 뒤쪽을 향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조작부(46) 및 회전규제부(47)의 하면에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판 상의 안내편(52)이 아랫쪽을 향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잠금부재(45)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부의 전면에는 잠금고리(53)가 앞쪽을 향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고리(53)의 하면은 상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으로 된 잠금면(54)으로 되어 있으며, 잠금고리(53)의 상면은 잠금면(54)에 대하여 경사지는 평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46)의 상면에는 평면에서 봤을 때 직사각형의 지그용 오목부(55)(피 누름부)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잠금부재(45)의 하단부에는 좌우 방향을 향해서 연장된 대략 원주 형상의 회전축(56)이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잠금부재(45)는, 회전축(56)을 대응되는 회전축 지지오목부(27)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걸어맞추고 안내편(52)을 안내편 삽입홈(25)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춤으로써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회전축(56)의 축선 회전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도 8, 도 9 등을 참조).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6)의 전부의 중앙부에는(회전축(56)의 좌우 양측부를 휘기 쉽게 하기 위한) 슬릿(57)이 형성되어 있고, 각 회전축 지지오목부(27)의 내면에는 좌우 한 쌍의 빠짐방지돌기(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회전축(56)을 대응되는 회전축 지지오목부(27)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삽입했을 때에 회전축(56)의 좌우 양측부가 한 쌍의 빠짐방지돌기에 당접하면, 회전축(56)의 좌우 양측부가 휘면서 대응되는 빠짐방지돌기를 뛰어넘어서 회전축 지지오목부(27)의 안쪽 부분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회전축(56)의 좌우 양측부가 빠짐방지돌기를 뛰어넘는 것으로 회전축(56)이 자유상태에 복귀했을 때, 작업자는 클릭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회전축(56)이 회전축 지지오목부(27)의 안쪽 부분까지 이동하면, 회전축(56)의 회전축 지지오목부(27)의 후단 개구측으로의 빠짐이 빠짐방지돌기에 의해 규제된다. 좌우의 잠금부재(45)는 서로 독립해서 회전가능하고, 도 3 내지 도 14 및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록 위치와,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언록 위치와의 사이를 회전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14 및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45)가 록 위치에 위치할 때, 회전 규제부(47)의 록 위치 규제면(47a)은 대응되는 잠금부재 재치면(24)에 면접촉되고, 인슐레이터(20)의 좌우 양측부의 상단부(의 후부)는 대응되는 도피용 오목부(51) 내에 위치된다. 또한 잠금고리(53)는 대응되는 잠금부재 수용오목부(26)의 내측부를 통하여 FPC 삽입홈(21)의 단부 내에 진입되고 (도 11, 도 14, 도 21 참조), 잠금부재(45)의 전면의 하반부는 대응되는 잠금부재 수용부(26)에 접촉된다 (도 8, 도 9 등을 참조). 또한 잠금부재(45)가 록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평면에서 FPC용 커넥터(10)를 봤을 때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45)(조작부(46))에 의해 좌우의 지표(29)를 덮어버리기 때문에, 작업자는 잠금부재(45)가 록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45)가 언록 위치에 위치할 때, 회전규제부(47)의 언록 위치규제면(47b)(및 록 위치규제면(47a))은 대응되는 잠금부재 재치면(24)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고, 도피용 오목부(51)는 인슐레이터(20)의 좌우양측부의 상단부(의 후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다. 또한 잠금부재(45)는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위치보다 더욱 하방까지 회전 가능하고, 구체적으로는 언록 위치규제면(47b)이 잠금부재 재치면(24)에 당접하는 위치까지 회전 가능하다(도시 생략). 즉, 잠금부재(45)의 언록 위치는 특정의 한 지점이 아니고 그 범위에 폭이 있다. 또한 잠금부재(45)가 언록 위치까지 회전하면, 잠금고리(53)는 FPC 삽입홈(21)의 단부로부터 후방(잠금부재 수용오목부(26) 측)으로 이동하고 (잠금부재(45)가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언록 위치까지 회전했을 때에 잠금고리(53)의 일부는 FPC 삽입홈(21)의 단부 내에 머물고, 언록 위치규제면(47b)이 잠금부재 재치면(24)에 당접하는 위치까지 회전했을 때에는 잠금고리(53) 전체가 FPC 삽입홈(21)의 단부로부터 탈출한다), 잠금부재(45)의 전면의 하단부는 대응되는 잠금부재 수용오목부(26)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다. 또한 잠금부재(45)가 언록 위치에 위치할 경우는, 평면에서 FPC용 커넥터(10)를 봤을 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45)(조작부(46))가 좌우의 지표(49)를 노출시키기 때문에, 작업자는 작업부재(45)가 언록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탄성을 가진 좌우 한 쌍의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은 금속 (동합금 또는 스테인레스)의 판재로 형성된 것이며, 평판상의 기판부(61)와, 기판부(61)의 측면 가장자리부의 하단 근처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고, 또 기판부(61)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탄성변형부(62)와, 탄성변형부(62)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선단연장부(63)와, 선단연장부(63)의 선단으로부터 탄성변형부(62)와 평행(대략 평행한 경우도 포함한다)하게 하방을 향해 연장된 걸어맞춤부(64)를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은, 잠금부재(45)를 FPC 삽입홈(21)에 대하여 상기 록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기판부(61) 및 탄성변형부(62)를 스프링 지지홈(28)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끼워맞추고, 탄성변형부(62)의 하단부 및 기판부(61)를 대응되는 스프링 지지홈(28)에 대하여 고정함으로써 인슐레이터(20)에 부착된다.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을 인슐레이터(20)(스프링 지지홈(28))에 부착하면, 걸어맞춤부(64)가 상방으로부터 스프링 걸어맞춤구멍(48)으로 진입되고, 걸어맞춤부(64)의 전면이 피 걸어맞춤부(49)의 후면에 면접촉된다(도 8 참조). 따라서, 잠금부재(45)가 록 위치에 위치할 때, 탄성변형부(62)는 상하 방향 (FPC(70)의 FPC 삽입홈(21)에 대하여 끼우고 빼는 방향)과 평행(대략 평행한 경우도 포함한다)한 자유상태가 되고,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의 걸어맞춤부(64)에 의해 잠금부재(45)는 록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FPC용 커넥터(10)를 평면 형상이 장방형을 이루는 회로기판(CB)의 상면에 재치하고, 각 시그널 컨택트(35)의 테일편(36)을 회로기판(CB) 상의 회로패턴에 납땜 부착하며, 각 그라운드 컨택트(40)의 테일편(41)을 회로기판(CB) 상의 접지 패턴에 납땜 부착하면, FPC용 커넥터(10)은 회로기판(CB)의 상면에 실장될 수 있다.
이어서 길이가 긴 박판상 케이블인 FPC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한 쪽의 단부와 그 근처부 만을 도 3, 도 4, 도 7 등에 도시하고 있다)의 FPC용 커넥터(10)로의 접속 및 접속해제 요령과, 접속 및 접속해제시의 FPC용 커넥터(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FPC(70)는 복수의 박막재를 서로 접착해서 구성한 적층구조이며, FPC(70)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직선적으로 연장된 총 40개의 회로패턴(71)과, 회로패턴(71)의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의 양면을 덮는 절연커버층(72)과, FPC(7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이루면서 한 쪽의 면(도면에서는 후면)이 회로패턴(71)의 양단부와 일체화되고 그 외의 부분에 비해서 단단한 단부보강부재(7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단부보강부재(73)의 양측 모서리부에는 각각 걸어맞춤 오목부(74)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걸어맞춤 오목부(74)에 인접하는 길이방향의 단부가「피 잠금부」), 단부보강부재(73)의 전면 전체가 그라운드 단자(75)로 되어 있다. FPC(70)의 두께는 자유 상태에 있는 탄성변형편(38)(시그널 컨택트(35))의 접촉돌출부(39)와 FPC 삽입홈(21)의 전면 사이의 전후 방향의 틈 거리보다 짧다.
도 3,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C(70)의 단부를 상방으로부터 FPC용 커넥터(10)에 접근시키고,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20)의 FPC 삽입홈(21)에 삽입하면, FPC(70)(단부보강부재(73))의 단면이 탄성변형편(38)(접촉돌출부(39)의 직상부)과 잠금고리(53)의 경사면에 대략 동시에 접촉한다(도 13, 도 14 참조). 이와 같이 FPC(70)의 중앙부분과 좌우 양측부가 시그널 컨택트(35)와 잠금고리(53)에 대략 동시에 접촉하기 때문에, FPC(70)는 (전후 방향의) 휨이 방지되면서 안정된 자세로 FPC 삽입홈(21)에 삽입될 수 있다. 그 때문에 FPC(70)의 FPC 삽입홈(21)으로의 삽입력에 흐트러짐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FPC(70)의 자세가 안정되기 때문에 시그널 컨택트(35)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삽입 후에 시그널 컨택트(35)의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의 변형(예를 들면 좌우 방향으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FPC(70)를 더욱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보강부재(73)의 하단부가 탄성변형편(38)과 탄성변형편(43)을 탄성변형시키면서(접촉돌출부(39)와 접촉돌출부(44)의 사이에 형성된 전후 방향의 틈을 넓히면서) FPC 삽입홈(21)의 안쪽 측(하단측)으로 진입한다. 또한 단부보강부재(73)의 좌우 양단부가 잠금부재(45)의 좌우의 잠금고리(53)의 상면(경사면)을 누르기 때문에,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의 탄성변형부(62)가 후방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잠금부재(45)가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언록 위치까지 회전된다.
FPC(70)를 더욱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보강부재(73)가 FPC 삽입홈(21)의 안쪽 단부(하단부)까지 진입된다. 또한, 단부보강부재(73)의 하단부가 좌우의 잠금고리(53)를 뛰어 넘어서 좌우의 걸어맞춤 오목부(74)와 좌우의 걸림돌기(53)가 전후 방향으로 대향될 때,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의 탄성변형부(62)가 자유 상태로 탄성 복귀하면서 잠금부재(45)는 록 위치로 회전 복귀되고, 좌우의 잠금고리(53)는 대응되는 걸어맞춤 오목부(74) 내로 진입된다(도 21 참조). 따라서, 예를 들어 FPC(70)에 윗쪽 방향으로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걸린다 하더라도, 각 걸어맞춤 오목부(74)의 하면과 각 잠금고리(53)의 잠금면(54)이 당접(걸어맞춤)되어 FPC(7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FPC(70)는 FPC용 커넥터(10)으로부터 상방으로 빠져나오지 않는다. 또한 탄성변형부(62)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부재(45)가 록 위치에 회전 복귀했을 때에, 작업자는 강한 클릭감을 느낄 수가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지표(29)가 잠금부재(45)(조작부(46))에 의해 덮여진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의 감각에 의해서도 잠금부재(45)가 록 위치로 복귀한 것을 확실히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FPC(70)의 각 회로패턴(71)이 각 시그널 컨택트(35)의 접촉돌출부(39)와 접촉하기 때문에, FPC(70)와 회로기판(CB)은 각 시그널 컨택트(35)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또한 그라운드 컨택트(40)의 접촉돌출부(44)는 그라운드 단자(75)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FPC(70)를 인슐레이터(21)에 삽입하는 1회의 동작만으로 FPC(70)와 시그널 컨택트(35)는 확실히 접속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상태가 된 FPC용 커넥터(10)로부터 FPC(70)를 뽑아내고 싶은 경우에는, 도 15에 도시된 잠금 해제용 지그(76)를 이용해서 좌우의 잠금부재(45)를 조작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해제용 지그(76)는, 봉 형상의 견지부(把持部)(77)와, 견지부(77)의 하단으로부터 두 갈래로 갈라진 부분을 가지고, 두 갈래부의 각 하단부에는 끼워맞춤부(78)(누름부)가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가 견지부(77)를 손으로 꼭 쥐면서 두 개의 끼워맞춤부(78)를 좌우의 잠금부재(45)의 지그용 오목부(55)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잠금 해제용 지그(76)를 그대로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좌우의 잠금부재(45)가 동시에 언록 위치까지 회전한다(도 15 내지 도 18 참조). 그러면 좌우 잠금고리(53)가 대응되는 걸어맞춤 오목부(74)로부터 후방으로 탈출하기 때문에 FPC(70)를 FPC 삽입홈(21)으로부터 상방으로 뽑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FPC용 커넥터(10)로부터 FPC(70)를 뽑아낸 후에 잠금 해제용 지그(76)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한 쌍의 끼워맞춤부(78)가 좌우의 지그용 오목부(55)(잠금부재(45))로부터 이격되고 잠금부재(45)가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의 가압력에 의해 록 위치로 회전 복귀하면서 FPC용 커넥터(10)는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잠금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FPC용 커넥터(10)는 예를 들면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오디오 기기 혹은 OA기기의 내부에 배설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손으로 한 쌍의 잠금부재(45)를 동시에 조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잠금 해재용 지그(76)를 이용하면 이러한 기기 내에 설치한 FPC용 커넥터(10)의 한 쌍의 잠금부재(45)를 간단히 언록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FPC용 커넥터(10)는,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록 상태에 있을 때, 한 쪽의 잠금부재(45)에 대하여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걸리고, 해당 잠금부재(45)가 의도하지 않게 언록 위치까지 회전한다고 하여도 다른 쪽의 잠금부재(45)가 록 위치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FPC(70)가 FPC 삽입홈(21)으로부터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FPC용 커넥터(10)는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대한 잠금 유지성이 높다.
또한 좌우의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은, 기판부(6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탄성변형부(62)를 구비하고 있고, 탄성변형부(62)의 선단(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선단연장부(63)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걸어맞춤부(64)를 스프링 걸어맞춤구멍(48)(피 걸어맞춤부(49))에 대하여 걸어맞추고 있다. 그 때문에, 탄성변형부(62)의 전체 길이를 길게하여 탄성변형부(62)의 전후 방향의 탄성변형량을 크게 하여 각 잠금부재(45)의 회전 스트로크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잠금부재(45)를 FPC(70)의 삽입하기 적당한 작은 힘으로 크게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탄성변형부(62)의 전체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탄성변형부(62)를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각 잠금부재(45)를 반복해서 작업하여도 잠금부재(45)를 확실히 조작하는 것 (즉, FPC(70)를 FPC 삽입홈(21) 내에 확실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탄성변형부(62)가 FPC(70)의 끼우고 빼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있기 때문에, 그 좌우폭을 좁게 하거나 (전후 방향의) 두께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탄성변형부(62)가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FPC 삽입홈(21)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FPC용 커넥터(10)(인슐레이터(20))는 시그널 컨택트(35)의 나란한 방향으로 대형화되지 않는다. 또한, 탄성변형부(62)의 두께(전후 방향 길이)가 작기 때문에, FPC용 커넥터(10)의 두께(전후 길이)가 커지기 어렵다.
또한, 인슐레이터(20)의 좌단면과 FPC 삽입홈(21)의 좌단부의 사이 및 인슐레이터(20)의 우단면과 FPC 삽입홈(21)의 우단부의 사이에, 좌우 거리가 좁은 폭을 가진 회전규제부(47)가 위치되기 때문에, 좌우의 잠금부재(45)에 의해 FPC용 커넥터(10)는 좌우 방향으로 대형화되지 않는다.
한편, FPC용 삽입홈(21)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조작부(46)는 회전규제부(47)보다 좌우 길이가 넓기 때문에, 언록 조작을 행하기 쉽다.
또한, 잠금부재(45)와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은, 회전축(56)과 안내편(52)을 회전축 지지오목부(27)와 안내편 삽입홈(25)으로 후방으로부터 각각 걸어맞춘 다음, 잠금부재(45)를 록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인슐레이터(20)를 사이에 끼우고 잠금부재(45)와 반대측으로부터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기판부(61) 및 탄성변형부(62))을 스프링 지지홈(28)에 상방으로부터 끼워맞추고, 걸어맞춤부(64)를 상방으로부터 스프링 걸어맞춤구멍(48)에 진입(피 걸어맞춤부(49)에 대하여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인슐레이터(20)에 부착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잠금부재(45)와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의 인슐레이터(20)에 대한 부착 작업이 용이하다.
즉, 예를 들어 인슐레이터(20)의 후면의 잠금부재(45)의 근접부에 홈을 형성하고, 해당 홈에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을 부착하여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을 잠금부재(45)에 대하여 걸어맞추는 구조인 경우에는, 잠금부재(45)와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은 접근한다. 그 때문에, 잠금부재(45)와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을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부착할 때 잠금부재(45)와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걸어맞춤부(64) 이외의 부분)이 쉽게 간섭되므로 잠금부재(45)와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을 인슐레이터(20)에 부착하는 작업을 수행하기가 곤란해진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22 내지 도 3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용 커넥터는 커넥터가 실장된 회로기판(CB)에 대하여 평행방향으로 케이블(FPC(70))을 삽입하는 소위 라이트 앵글(RA) 타입의 FPC용 커넥터(80)이며,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 인슐레이터(81), 시그널 컨택트(90), 그라운드 컨택트(92) 및 잠금부재(94)로 크게 구성된다.
좌우 대칭인 인슐레이터(81)는 인슐레이터(20)와 동 재질의 사출성형품이며, 그 전면에 형성된 FPC 삽입홈(82)(케이블 삽입홈)과, FPC 삽입홈(82)의 상면에 오목하게 설치된 40개의 컨택트 삽입홈(83)과, FPC 삽입홈(82)의 하면에 오목하게 설치된 8 개의 그라운드 컨택트 삽입홈(84)과, 상면의 좌우 양측부에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스프링 지지홈(85)과, 하면의 좌우 양측부에 형성된 FPC 삽입홈(82)의 좌우 양단부와 각각 연통하는 좌우 한 쌍의 잠금부재 수용오목부(86)와, 각 잠금부재 수용오목부(86)의 저면(상면)에 윗쪽 방향으로 오목하게 설치된 회전축 지지오목부(87)를 가지고 있다.
총 40개의 시그널 컨택트(90)는 시그널 컨택트(35)와 동 재질이고 같은 요령으로 성형한 것이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테일편(90a)과, 테일편(90a)의 전단으로부터 윗쪽으로 연장된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압입편(90b)과, 압입편(90b)의 전단으로부터 아랫쪽으로 경사지면서 후방으로 연장된 탄성변형편(90c)을 구비하고 있고, 탄성변형편(90c)의 후단 근처부에는 굴곡진 접촉돌출부(90d)가 형성되어 있다.
각 시그널 컨택트(90)는 압입편(90b)의 전단부 측을 인슐레이터(81)의 후면에 형성된 컨택트 삽입홈(83)의 후단 개구부로부터 각 컨택트 삽입홈(83)으로 삽입하고 각 압입편(90b)을 대응되는 컨택트 삽입홈(83)에 압입시킴으로써 각 컨택트 삽입홈(83)에 고정된다. 각 시그널 컨택트(90)의 탄성변형편(90c)은 대응되는 컨택트 삽입홈(83)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탄성변형편(90c)이 자유 상태에 있을 때 접촉돌출부(90d)는 FPC 삽입홈(82) 내로 돌출된다(도 29 참조).
총 8 개의 그라운드 컨택트(92)는 시그널 컨택트(35)와 동 재질이고 같은 요령으로 성형된 것이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테일편(92a)과, 테일편(92a)의 전단으로부터 윗쪽으로 연장된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압입편(92b)과, 압입편(92b)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면서 후방으로 연장된 탄성변형편(92c)을 구비하고 있고, 탄성변형편(92c)의 후단 근처부에는 굴곡진 누름용 돌출부(92d)가 형성되어 있다.
각 그라운드 컨택트(92)는 탄성변형편(92c)의 후단부 측을 인슐레이터(81)의 전면에 형성된 그라운드 컨택트 삽입홈(84)의 전단 개구부로부터 각 그라운드 컨택트 삽입홈(84)으로 삽입하고, 각 압입편(92b)을 대응되는 그라운드 컨택트 삽입홈(84)에 압입함으로써 각 그라운드 컨택트 삽입홈(84)에 고정된다. 각 그라운드 컨택트(92)의 탄성변형편(92c)은 대응되는 그라운드 컨택트 삽입홈(84)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탄성변형편(92c)이 자유 상태에 있을 때 누름용 돌출부(92d)는 FPC용 삽입홈(82) 내로 돌출된다(도 29 참조).
잠금부재(45)와 동 재질의 사출성형품(일체성형품)인 좌우 한 쌍의 잠금부재(94)는 서로 좌우 대칭이다. 잠금부재(94)의 전부는 조작부(94a)(광폭부)로 되어 있고, 조작부(94a)의 후면에는 후방을 향해서 돌출되고 좌우 길이가 조작부(94a)보다 좁은 회전규제부(94b)(협폭부)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94a) 및 회전규제부(94b)의 상면에는 전단이 개구된 스프링 걸어맞춤용 오목부(94c)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스프링 걸어맞춤용 오목부(94c)의 내부에는 피 걸어맞춤부(94d)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재(94)의 후부의 상면에는 잠금고리(94e)가 윗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잠금고리(94d)의 후면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으로 된 잠금면(94f)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잠금부재(94)의 후단부에는 좌우 방향을 향해서 연장된 대략 원주 형상의 회전축(94g)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잠금부재(94)는 조작부(94a)를 제외한 부분을 하방으로부터 잠금부재 수용오목부(86) 내에 위치시키고, 회전축(94g)을 대응되는 회전축 지지오목부(87)에 하방으로부터 걸어맞춤으로써 인슐레이터(81)(회전축 지지오목부(87)에 대하여 회전축(94g)의 축선 회전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도 27 참조. 회전축 지지오목부(87)의 내면에는 상기와 같은 빠짐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잠금부재(94)는 서로 독립해서 회전가능하며, 잠금부재(94)의 록 위치규제면(94h)은 잠금부재 수용오목부(86)의 내면의 특정부위에 접촉되는 도 24 내지 도 29 및 도 33, 도 34에 도시된 록 위치와 도 30 내지 도 32에 도시된 언록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잠금부재(94)는 도 30 내지 도 32에 도시된 위치보다 더욱 하방까지 회전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잠금부재(94)의 하면이 회로기판(CB)의 상면에 당접하는 위치까지 회전 가능하다(도시 생략). 즉, 잠금부재(94)의 언록 위치는 특정의 한 지점이 아니라 그 범위에 폭이 있다. 도 28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94)가 록 위치에 위치할 때, 잠금고리(94e)가 대응되는 잠금부재 수용오목부(86)를 통하여 FPC 삽입홈(82)의 단부 내에 진입한다. 한편, 도 30 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94)가 언록 위치로 회전하면, 잠금고리(94e)가 FPC 삽입홈(82)의 단부로부터 하방(잠금부재 수용오목부(86)측)으로 회전한다(잠금부재(94)가 도 30 내지 도 32에 도시된 언록 위치까지 회전했을 때 잠금고리(94e)의 일부는 FPC 삽입홈(82)의 단부 내에 머무르고, 잠금부재(94)의 하면이 회로기판(CB)의 상면에 당접하는 위치까지 회전했을 때 잠금고리(94e) 전체는 FPc 삽입홈(82)으로부터 탈출한다).
좌우의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구체적인 형상은 FPC용 커넥터(10)의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과는 조금 다르지만, 각부의 기능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FPC용 커넥터(10)의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과 같은 부호를 써서 나타내고 있다)은, 잠금부재(94)를 인슐레이터(81)에 대하여 상기 록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기판부(61) 및 탄성변형부(62)를 스프링 지지홈(85)의 전방으로 끼워맞추고, 탄성변형부(62)의 후단부 및 기판부(61)를 대응되는 스프링 지지홈(85)에 고정함으로써 인슐레이터(81)에 부착시킬 수 있다.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을 인슐레이터(81)(스프링 지지홈(85))에 부착하면, 걸어맞춤부(64)가 전방으로부터 스프링 걸어맞춤용 오목부(94c)에 진입하고, 걸어맞춤부(64)의 상면이 피 걸어맞춤부(94d)의 하면에 면접촉된다(도 27 참조). 따라서, 잠금부재(94)가 록 위치에 위치할 때, 탄성변형부(62)는 전후 방향(FPC(70)의 FPC 삽입홈(82)에 대한 끼우고 빼는 방향)과 평행(대략 평행한 경우도 포함한다)한 자유상태가 되고,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의 걸어맞춤부(64)에 의해 잠금부재(94)는 록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FPC용 커넥터(80)는 FPC용 커넥터(10)와 같은 요령으로 회로기판(CB)의 상면에 실장할 수 있다.
이어서, FPC(70)(한 쪽의 단부와 그 근접부 만을 도 30 내지 도 34에 도시하고 있다)의 FPC용 커넥터(80)로의 접속 및 접속해제 요령과, 접속 및 접속해제시의 FPC 커넥터(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0 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C(70)(FPC(70)의 두께는 자유상태에 있는 탄성변형편(90c)(접촉돌출부(90d))와 FPC 삽입홈(82)의 하면의 사이의 상하 방향의 틈 거리보다 짧다)의 단부를 전방으로부터 FPC용 커넥터(80)의 FPC 삽입홈(82)에 삽입하면, FPC(70)(단부 보강부재(73))의 단면이 탄성변형편(90c)(접촉돌출부(90d)의 직전에 위치하는 부분), 탄성변형편(92c)(누름용 돌출부(92d)의 직전에 위치하는 부분) 및 잠금고리(94e)의 경사면에 대략 동시에 접촉한다(도시 생략).
FPC(70)를 더욱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도 31,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보강부재(73)의 후단부가 탄성변형편(90c)과 탄성변형편(92c)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접촉돌출부(90d))와 누름용 돌출부(92d)의 사이에 형성된 상하 방향의 틈을 넓히면서) FPC 삽입홈(82)의 안쪽 측(후단측)으로 진입한다. 또한 단부 보강부재(73)의 좌우 양단부가 좌우의 잠금부재(94)의 잠금고리(94e)의 상면(경사면)을 누르기 때문에,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의 탄성변형부(62)를 하방으로 탄성변형시키면서 잠금부재(94)를 언록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FPC(70)를 더욱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도 33,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보강부재(73)가 FPC 삽입홈(82)의 안쪽 단부(후단부)까지 진입한다. 그리고 단부 보강부재(73)의 후단부가 좌우의 잠금고리(94e)를 뛰어 넘어서 좌우의 걸어맞춤 오목부(74)와 좌우의 잠금고리(94e)가 상하 방향에 대향했을 때,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의 탄성 변형부(62)가 자유상태에 탄성 복귀하는 것으로 인해 잠금부재(94)가 록 위치에 회전 복귀하기 때문에, 좌우의 잠금부재(94)가 대응되는 걸어맞춤 오목부(74) 내에 진입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FPC(70)에 앞쪽 방향의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걸린다 하여도 각 걸어맞춤 오목부(74)의 후면과 각 잠금고리(94e)의 잠금면(94f)이 당접(걸어맞춤)하는 것으로 FPC(70)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때문에, FPC(70)가 FPC용 커넥터(80)로부터 전방으로 빠져나오는 일은 없다. 또한 탄성변형부(62)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부재(45)가 록 위치에 회전 복귀했을 때, 작업자는 강한 클릭감을 느낄 수가 있다.
그리고 FPC(70)의 각 회로패턴(71)이 각 시그널 컨택트(90)의 접촉 돌출부(90d)와 접촉하기 때문에, FPC(70)와 회로기판(CB)이 각 시그널 컨택트(90)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또한 그라운드 컨택트(92)의 접촉 돌출부(92d)가 그라운드 단자(75)에 접촉한다.
잠금 상태가 된 FPC용 커넥터(80)으로부터 FPC(70)를 뽑아내고 싶을 경우에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해제용 지그(76)(기본적인 형상은 제 1 실시형태와 같으나, 끼워맞춤부(78)가 제 1 실시형태의 것보다 조금 폭이 좁은 점이 다르다)의 2 개의 끼워맞춤부(78)를 좌우의 잠금부재(94)의 스프링 걸어맞춤용 오목부(94c)에 끼워맞추고, 잠금 해제용 지그(76)를 그대로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좌우의 잠금부재(94)가 동시에 언록 위치까지 회전하면서(도 30 내지 도 32 참조) 좌우의 잠금고리(94e)가 대응되는 걸어맞춤 오목부(74)로부터 하방으로 탈출하기 때문에, FPC(70)를 인슐레이터(81)(FPC 삽입홈(82))로부터 전방으로 뽑아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FPC용 커넥터(80)로부터 FPC(70)를 뽑아낸 후에, 잠금 해제용 지그(76)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한 쌍의 끼워맞춤부(78)를 좌우의 스프링 걸어맞춤용 오목부(94c)(잠금부재(94))로부터 이격시키면, 잠금부재(94)가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의 가압력에 의해 록 위치로 회전복귀하면서 FPC용 커넥터(80)는 잠금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FPC용 커넥터(80)도 FPC용 커넥터(10)와 같은 기본구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FPC용 커넥터(10)와 같이, 거의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FPC용 커넥터(80)도 인슐레이터(81)의 좌단면과 FPC 삽입홈(82)의 좌단부의 사이 및 인슐레이터(81)의 우단면과 FPC 삽입홈(82)의 우단부의 사이에 좌우 거리가 좁은폭인 회전규제부(94b)가 위치되기 때문에 좌우의 잠금부재(94)에 의해 FPC용 커넥터(80)가 좌우 방향으로 대형화되지 않는다.
한편, 인슐레이터(81)(FPC 삽입홈(82))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조작부(94a)는 회전규제부(94b) 보다 좌우 길이가 넓기 때문에 언록 조작을 행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잠금부재(94)와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은 회전축(94g)을 회전축 지지오목부(87)에 대해서 하방으로부터 걸어맞추어 잠금부재(94)를 록 위치에 위치시키고, 인슐레이터(81)를 끼우고 잠금부재(94)와 반대측으로부터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기판부(61) 및 탄성변형부(62))을 그라운드 컨택트 삽입홈(84)에 전방으로부터 끼워맞춘 다음, 걸어맞춤부(64)를 전방으로부터 스프링 걸어맞춤용 오목부(94c)에 진입(피 걸어맞춤부(94d)에 대하여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인슐레이터(81)에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잠금부재(94)와 잠금부재 가압스프링(60)의 인슐레이터(81)에 대한 부착 작업은 용이하다.
또한, FPC용 커넥터(10)과는 다르게, FPC(70)의 단부와 회로기판(CB)을 대략 평행하게 한 상태에서 FPC(70)과 회로기판(CB)을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각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을 실시하면서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박판상의 접속 대상물은 FPC 이외의 케이블, 예를 들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잠금부재(45,90)의 잠금고리(53,94e)를 FPC(70)의 걸어맞춤 오목부(74) 내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FPC(70)의 의도하지 않은 빠짐을 방지하고 있으나, FPC(70)의 단면에 관통구멍 또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잠금고리(53,94e)를 이 관통구멍 또는 오목부에 걸어맞추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이 경우는 FPC(70)의 관통구멍 또는 오목부에 인접하는 부분이 피 잠금부가 된다).
또한, 잠금부재(45,94)에 잠금고리(53), 잠금고리(94e)와는 별개의 부재로서 돌출부재를 형성하고, 케이블로 이 돌출부재를 눌러서 록 위치에 위치하는 잠금부재(45,94)를 언록 위치까지 회전시켜도 좋다.
잠금부재(45)에 지그용 오목부(55)를 형성하는 대신, 지그용 오목부(55)에 대응되는 부분을 마찰 저항이 커지도록 표면 가공된 평면(피 누름부)으로 하고, 이 평면을 잠금 해제용 지그(76)의 끼워맞춤부(78)의 단면으로 눌러도 좋다.
또한, FPC용 커넥터(80)의 인슐레이터(81)에 지표(29)에 상당하는 지표를 형성하고, 잠금부재(94)가 록 위치에 위치할 때는 평면에서 봤을 때 해당 지표를 시인 불가능하도록 하고, 잠금부재(94)가 언록 위치에 위치할 때는 평면에서 봤을 때 해당 지표를 시인 가능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그라운드 컨택트(40,92)를 생략하여도 좋다.
10 : FPC용 커넥터(케이블용 커넥터)
20 : 인슐레이터 21 : FPC 삽입홈(케이블 삽입홈)
22 : 컨택트 삽입홈 23 : 그라운드 컨택트 삽입홈
24 : 잠금부재 재치면 25 : 안내편 삽입홈
26 : 잠금부재 수용오목부 27 : 회전축 지지오목부
28 : 스프링 지지홈 29 : 지표
35 : 시그널 컨택트 36 : 테일편
37 : 압입편 38 : 탄성변형편
39 : 접촉돌출부 40 : 그라운드 컨택트
41 : 테일편 42 : 압입편
43 : 탄성변형편 44 : 누름용 돌출부
45 : 잠금부재 46 : 조작부(광폭부)
47 : 회전규제부(협폭부) 47a : 록 위치규제부
47b : 언록 위치규제부 48 : 스프링 걸어맞춤구멍
49 : 피 걸어맞춤부 51 : 도피용 오목부
52 : 안내편 53 : 잠금고리
54 : 잠금면 55 : 지그용 오목부(피 누름부)
56 : 회전축 57 : 슬릿
60 : 잠금부재 가압스프링 61 : 기판부
62 : 탄성변형부 63 : 선단연장부
64 : 걸어맞춤부
70 : FPC(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케이블)
71 : 회로패턴 72 : 절연 커버층
73 : 단부 보강부재 74 : 걸어맞춤 오목부
75 : 그라운드 단자 76 : 잠금 해제용 지그
77 : 견지부 78 : 끼워맞춤부(누름부)
80 : FPC용 커넥터 (케이블용 커넥터)
81 : 인슐레이터 82 : FPC 삽입홈(케이블 삽입홈)
83 : 컨택트 삽입홈 84 : 그라운드 컨택트 삽입홈
85 : 스프링 지지홈 86 : 잠금부재 수용오목부
87 : 회전축 지지오목부 90 : 컨택트
90a : 테일편 90b : 압입편
90c : 탄성변형편 90d : 접촉돌출부
92 : 그라운드 컨택트 92a : 테일편
92b : 압입편 92c : 탄성변형편
92d : 누름용 돌출부 94 : 잠금부재
94a : 조작부(광폭부) 94b : 회전규제부(협폭부)
94c : 스프링 걸어맞춤용 오목부 94d : 피 걸어맞춤부
94e : 잠금고리 94f : 잠금면
94g : 회전축 94h : 잠금 위치규제면
CB : 회로기판
20 : 인슐레이터 21 : FPC 삽입홈(케이블 삽입홈)
22 : 컨택트 삽입홈 23 : 그라운드 컨택트 삽입홈
24 : 잠금부재 재치면 25 : 안내편 삽입홈
26 : 잠금부재 수용오목부 27 : 회전축 지지오목부
28 : 스프링 지지홈 29 : 지표
35 : 시그널 컨택트 36 : 테일편
37 : 압입편 38 : 탄성변형편
39 : 접촉돌출부 40 : 그라운드 컨택트
41 : 테일편 42 : 압입편
43 : 탄성변형편 44 : 누름용 돌출부
45 : 잠금부재 46 : 조작부(광폭부)
47 : 회전규제부(협폭부) 47a : 록 위치규제부
47b : 언록 위치규제부 48 : 스프링 걸어맞춤구멍
49 : 피 걸어맞춤부 51 : 도피용 오목부
52 : 안내편 53 : 잠금고리
54 : 잠금면 55 : 지그용 오목부(피 누름부)
56 : 회전축 57 : 슬릿
60 : 잠금부재 가압스프링 61 : 기판부
62 : 탄성변형부 63 : 선단연장부
64 : 걸어맞춤부
70 : FPC(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케이블)
71 : 회로패턴 72 : 절연 커버층
73 : 단부 보강부재 74 : 걸어맞춤 오목부
75 : 그라운드 단자 76 : 잠금 해제용 지그
77 : 견지부 78 : 끼워맞춤부(누름부)
80 : FPC용 커넥터 (케이블용 커넥터)
81 : 인슐레이터 82 : FPC 삽입홈(케이블 삽입홈)
83 : 컨택트 삽입홈 84 : 그라운드 컨택트 삽입홈
85 : 스프링 지지홈 86 : 잠금부재 수용오목부
87 : 회전축 지지오목부 90 : 컨택트
90a : 테일편 90b : 압입편
90c : 탄성변형편 90d : 접촉돌출부
92 : 그라운드 컨택트 92a : 테일편
92b : 압입편 92c : 탄성변형편
92d : 누름용 돌출부 94 : 잠금부재
94a : 조작부(광폭부) 94b : 회전규제부(협폭부)
94c : 스프링 걸어맞춤용 오목부 94d : 피 걸어맞춤부
94e : 잠금고리 94f : 잠금면
94g : 회전축 94h : 잠금 위치규제면
CB : 회로기판
Claims (7)
- 양측 모서리부에 피 잠금부를 각각 가진 박판 형상의 케이블을 끼우고 빼는 것이 가능한 인슐레이터와,
회로기판과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되며 상기 인슐레이터에 삽입했을 때 상기 케이블과 접촉하는 시그널 컨택트와,
피 잠금부와 걸어맞춤 가능한 록 위치와, 피 잠금부와 걸어맞춤 불가능한 언록 위치와의 사이를 서로 독립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인슐레이터에 설치된 한 쌍의 잠금부재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되어 상기 각 잠금부재들을 각각 상기 록 위치에 유지시키고, 탄성 변형됨으로써 각 잠금부재들이 언록 위치 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한 쌍의 스프링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수단은,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된 기판부로부터 상기 끼우고 빼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탄성변형부와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선단연장부와,
상기 선단연장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기판부 측을 향해서 상기 탄성변형부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잠금부재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스프링 수단과 상기 잠금부재를 일체화하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커넥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의 표면에는 회전축 지지 오목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회전축 지지 오목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끼워지고 상기 잠금부재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커넥터.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협폭부 및 한 쌍의 상기 잠금부재의 나란한 방향의 폭이 상기 협폭부보다 넓은 광폭부를 가지며,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케이블의 끼우고 빼는 방향으로 봤을 때 한 쌍의 상기 협폭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케이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커넥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인슐레이터에 삽입했을 때, 상기 케이블과 접촉하는 그라운드 컨택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커넥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케이블의 끼우고 빼는 방향으로 봤을 때, 상기 록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잠금부재에 의해 덮여지고, 상기 언록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잠금부재에 의해 노출되는 지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커넥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잠금부재에는 단일의 잠금 해제용 지그에 형성된 한 쌍의 누름부에 의해 누름 조작 가능한 피 누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커넥터.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피 누름부는 상기 누름부의 걸어맞춤이 가능한 지그용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041026A JP2013178892A (ja) | 2012-02-28 | 2012-02-28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JPJP-P-2012-041026 | 2012-02-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8829A KR20130098829A (ko) | 2013-09-05 |
KR101305018B1 true KR101305018B1 (ko) | 2013-09-06 |
Family
ID=47748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44728A KR101305018B1 (ko) | 2012-02-28 | 2012-04-27 | 케이블용 커넥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845358B2 (ko) |
EP (1) | EP2634866A1 (ko) |
JP (1) | JP2013178892A (ko) |
KR (1) | KR10130501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78892A (ja) * | 2012-02-28 | 2013-09-09 | Kyocera Connector Products Corp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KR101444379B1 (ko) | 2013-11-20 | 2014-09-29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JP6282565B2 (ja) * | 2014-09-22 | 2018-02-21 | 京セラ株式会社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JP6512551B2 (ja) * | 2015-06-26 | 2019-05-15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コネクタ、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当該コネクタ組立体で用いられるケーブル |
CN205646220U (zh) * | 2016-02-16 | 2016-10-12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组件 |
KR102566674B1 (ko) * | 2016-02-25 | 2023-08-14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리셉터클 커넥터 |
JP6540674B2 (ja) | 2016-12-09 | 2019-07-10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6552659B1 (ja) * | 2018-02-26 | 2019-07-31 | 京セラ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10355385B1 (en) * | 2018-07-27 | 2019-07-16 | Miraco, Inc. | High reliability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and assembly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05102A (ja) * | 2003-06-11 | 2005-01-06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コネクタ |
KR20090092671A (ko) * | 2008-02-27 | 2009-09-01 |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 케이블용 커넥터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34715Y2 (ja) * | 1980-03-07 | 1983-08-04 | 日本バ−ンデイ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4872853A (en) * | 1988-12-08 | 1989-10-10 | Amp Incorporated | Circuit card retaining device |
JP2907235B2 (ja) * | 1990-12-15 | 1999-06-21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レバー付コネクタ |
US5413496A (en) * | 1993-09-14 | 1995-05-09 | Yu; Wang-I | Enhanced electrical connector |
JP2000030784A (ja) * | 1998-05-08 | 2000-01-28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 電気コネクタ |
JP3517661B2 (ja) * | 2000-01-11 | 2004-04-12 |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 Fpc/ffc用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 |
JP3869691B2 (ja) * | 2001-08-01 | 2007-01-17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ホルダ付コネクタの構造 |
JP4122301B2 (ja) * | 2003-02-19 | 2008-07-23 | ホシデン株式会社 | カードコネクタ |
DE10321184A1 (de) * | 2003-05-12 | 2004-12-02 |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 Kontaktierungsvorrichtung für flexible Flachbandleiter |
TWI223476B (en) * | 2003-12-12 | 2004-11-01 | Top Yang Technology Entpr Co | Buckling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or |
CN100416938C (zh) * | 2004-11-04 | 2008-09-03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TW200840156A (en) * | 2007-03-30 | 2008-10-01 | P Two Ind Inc | Electric connector structure |
US8052448B2 (en) * | 2009-12-25 | 2011-11-08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Card edge connector |
JP5099387B2 (ja) * | 2010-09-09 | 2012-12-19 | 第一精工株式会社 | コネクタ装置 |
JP5920568B2 (ja) * | 2011-06-22 | 2016-05-18 | 第一精工株式会社 | コネクタ装置 |
JP2013178892A (ja) * | 2012-02-28 | 2013-09-09 | Kyocera Connector Products Corp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US8636528B2 (en) * | 2012-04-27 | 2014-01-28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mory module connector with latch assist |
-
2012
- 2012-02-28 JP JP2012041026A patent/JP2013178892A/ja active Pending
- 2012-04-27 KR KR1020120044728A patent/KR10130501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3
- 2013-02-26 EP EP13156672.1A patent/EP2634866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3-02-28 US US13/779,849 patent/US884535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05102A (ja) * | 2003-06-11 | 2005-01-06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コネクタ |
KR20090092671A (ko) * | 2008-02-27 | 2009-09-01 |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 케이블용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845358B2 (en) | 2014-09-30 |
US20130224986A1 (en) | 2013-08-29 |
JP2013178892A (ja) | 2013-09-09 |
EP2634866A1 (en) | 2013-09-04 |
KR20130098829A (ko) | 2013-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5018B1 (ko) | 케이블용 커넥터 | |
KR101947076B1 (ko) | 케이블용 커넥터 | |
JP6525854B2 (ja)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 |
JP4755539B2 (ja) | コネクタ | |
JP5943774B2 (ja) | コネクタ | |
KR100951816B1 (ko) | 커넥터 | |
JP5298227B1 (ja) | コネクタ | |
KR101478042B1 (ko) | 커넥터 | |
KR100885862B1 (ko) | 전기 커넥터 | |
JP2008181878A (ja) | ロック付きコネクタ | |
JP2017076588A (ja) | コネクタ | |
JP4707610B2 (ja)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
JP5005498B2 (ja) | 掛け止め金具、掛け止め金具付き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掛け止め金具付きコネクタ | |
JP6998752B2 (ja)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 |
JP2006190596A (ja) | フレキシブル配線部材用コネクタ | |
CN109478746B (zh) | 连接器 | |
US20090305550A1 (en) | FPC Connector With Rotating Latch | |
KR101366052B1 (ko) | 커넥터 | |
JP4989534B2 (ja) | コネクタ | |
JP4397736B2 (ja) | コネクタ | |
KR20130083851A (ko) | 커넥터 | |
JP4795461B2 (ja) | コネクタ | |
JP5066614B2 (ja) | コネクタ | |
JP6464292B2 (ja)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
JP4329903B2 (ja) | 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