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042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042B1
KR101478042B1 KR1020130060046A KR20130060046A KR101478042B1 KR 101478042 B1 KR101478042 B1 KR 101478042B1 KR 1020130060046 A KR1020130060046 A KR 1020130060046A KR 20130060046 A KR20130060046 A KR 20130060046A KR 101478042 B1 KR101478042 B1 KR 101478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contact
actuator
support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8673A (ko
Inventor
겐타 아시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8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는, 시트상 또는 판상의 대상물이 삽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대상물은 예를 들면 FPC나 FFC이다. 커넥터는, 신호 콘택트 및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신호 콘택트와 지지부재와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신호 콘택트 및 지지부재의 각각은, 접점부와 록부를 구비하고 있다. 접점부의 각각은, 대상물과의 접촉에 적당한 완만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록부의 각각은, 대상물의 지지에 적당한 모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ircuit)와 같은 판상(板狀) 또는 시트상(sheet狀)의 대상물(對象物)과 접속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커넥터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1-253630호 공보(특허문헌1)나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1-222273호 공보(특허문헌2)에 개시되어 있다. 당해 공보의 내용은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특허문헌1이나 특허문헌2의 커넥터는, 커넥터의 액추에이터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판상 또는 시트상의 대상물을 가지지(假支持)하기 위한 구조를 구비한다.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1의 커넥터는, 액추에이터(900)와, 제2단자(신호 콘택트)(910)와, 쇠붙이(지지부재)(920)를 구비하고 있다. 쇠붙이(920)는, 제2단자(910)와 거의 같은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2단자(910)가 가압돌출부(912)를 구비하는 한편, 쇠붙이(920)는, 가압돌출부(912)에 대응하는 록부(922)를 구비하고 있다. 록부(922)는 가압돌출부(912)보다도 크다. 커넥터는, 쇠붙이(920)의 록부(922)에 의하여 평편한 도체(대상물)(930)를 지지하고 있다.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2의 커넥터는, 콘택트(신호 콘택트)(950)와 지지단자(지지부재)(960)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단자(960)는 콘택트(950)와 거의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콘택트(950)가 전단에 형성된 2개의 접점부(952)를 구비하는 한편, 지지단자(960)는, 전단에 형성된 2개의 결합 돌출부(962)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결합 돌출부(962) 사이의 거리는 케이블(대상물)의 두께보다도 작다. 커넥터는, 지지단자(960)의 결합 돌출부(962)에 의하여 케이블을 지지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1이나 특허문헌2의 커넥터는, 신호 콘택트 뿐만 아니라,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도 구비하고 있다. 즉 콘택트 만으로 대상물을 지지하는 커넥터와 비교하여 부품의 종류가 증가하고 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1-253630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1-222273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부품의 종류를 증가시키지 않고 콘택트에 의한 지지기능 이외의 지지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시트상 또는 판상의 대상물이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대상물은 피록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커넥터는, 하우징과, 액추에이터와, 신호 콘택트 및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개방상태와 폐쇄상태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신호 콘택트 및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피치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신호 콘택트는, 상기 지지부재와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신호 콘택트 및 상기 지지부재의 각각은, 접점부와,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록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점부의 각각은 완만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록부의 각각은 모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신호 콘택트의 상기 접점부는, 상기 대상물이 상기 커넥터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폐쇄상태에 있는 소정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에 눌리어지고 있다. 상기 신호 콘택트의 상기 록부는, 상기 소정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향 및 상기 피치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수직방향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로부터 떨어져 있다.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록부는, 상기 소정상태에 있어서, 제한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한위치는,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상기 피록부의 앞측에 있다.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록부는, 상기 제한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대상물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최선의 실시형태의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정확하게 이해되고, 또한 그 구성에 대하여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와 FPC(대상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FPC는 아직 커넥터에 삽입되어 있지 않다.
도2는,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커넥터와 FPC를 나타내는 별도의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FPC는 커넥터에 삽입되어 있다.
도4는, 도1의 커넥터를 IV--IV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커넥터의 액추에이터는 개방상태에 있다.
도5는, 도1의 커넥터를 V--V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액추에이터는 개방상태에 있다.
도6은, 도1의 커넥터를 VI--VI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액추에이터는 개방상태에 있다.
도7은, 도4의 지지부재 및 도5의 제1신호 콘택트(신호 콘택트)의 각각에 형성된 단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8은, 도4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별도의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FPC는 커넥터에 삽입되어 있고, 액추에이터는 개방상태에 있다.
도9는, 도5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별도의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FPC는 커넥터에 삽입되어 있고, 액추에이터는 개방상태에 있다.
도10은, 도6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별도의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FPC는 커넥터에 삽입되어 있고, 액추에이터는 개방상태에 있다.
도11은, 도4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또 다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FPC는 커넥터에 삽입되어 있고, 액추에이터는 폐쇄상태에 있다.
도12는, 도5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또 다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FPC는 커넥터에 삽입되어 있고, 액추에이터는 폐쇄상태에 있다.
도13은, 도6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또 다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FPC는 커넥터에 삽입되어 있고, 액추에이터는 폐쇄상태에 있다.
도14는, 종래의 커넥터의 다른 2개의 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5는, 별도의 종래의 커넥터의 콘택트 및 지지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가지 형태로 실현할 수 있지만, 그 일례로서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특정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내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는 수용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수용부(14)는, X방향(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전단(12)으로부터 +X방향을 따라서(즉 후방을 향하여) 삽입된 FPC(대상물)(50)를 수용한다. 도1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FPC(50)에는 복수의 단자(54, 56)와, 2개의 오목부(60)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54, 56)는, FPC(50)의 단부(52) 근방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60)는, Y방향(피치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부에서 Y방향 내측을 향하여 각각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오목부(60)의 각각은 단부(52)에 가까운 테두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오목부(60)의 테두리는 피록부(62)로서 기능한다.
도2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0)과,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2개의 지지부재(200)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1신호 콘택트(신호 콘택트)(300)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2신호 콘택트(400)와,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액추에이터(500)를 구비하고 있다.
도2 및 도4 내지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복수의 제1지지부(110)와, 복수의 제2지지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는, Y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즉 제1지지부(110) 및 제2지지부(120)는, 복수의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지지열을 구성하고 있다. 제1지지부(110) 중에서 2개는, 지지열의 Y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외측의 위치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의 2개의 제1지지부(110)는 지지열의 최외측 지지부이다. 제1지지부(110)의 각각에는 제1피압입부(112)가 설치되어 있다. 제2지지부(120)의 각각에는 제2피압입부(122)가 설치되어 있다. 최외측 지지부인 제1지지부(110)는 지지부재(200)를 각각 지지하고 있고, 그 이외의 제1지지부(110)는 제1신호 콘택트(300)를 각각 지지하고 있다. 제2지지부(120)는 제2신호 콘택트(400)를 지지하고 있다.
도4 및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는, 기부(210)와, 세로부(240)와, 피가압부(250)와, 지지부(260)와, 돌출부(270)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210)는, 전측기부(220) 및 후측기부(230)로 구성되어 있다. 세로부(240)는, 기부(210)로부터 Z방향(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세로부(240)는, 전측기부(220)와 후측기부(230) 사이의 경계부분으로부터 +Z방향으로(즉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피가압부(250)는, 세로부(240)의 상단으로부터 +X방향으로(즉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지지부(260)는, 세로부(240)의 상단으로부터 -X방향으로(즉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돌출부(270)는, 지지부(260)로부터 Z방향을 따라 돌출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돌출부(270)는, 지지부(260)의 -X측단부(즉 전단)로부터 -Z방향으로(즉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전측기부(220)와 지지부(260)는, Z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후측기부(230)와 피가압부(250)는, Z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전측기부(220)에는 압입부(222)가 설치되어 있다. 압입부(222)는, 지지부재(200)가 제1지지부(110)에 지지될 때에 제1피압입부(112)에 압입된다. 전측기부(220)의 -X측단부(즉 전단)에는 대향 접점부(224)가 형성되어 있다. 대향 접점부(224)는 +Z방향으로(즉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후측기부(23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500)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빠짐방지돌기(232)가 형성되어 있다. 빠짐방지돌기(232)는, 후측기부(230)로부터 +Z방향으로(즉 상방을 향하여) 융기(隆起)하고 있다. 세로부(240), 피가압부(250) 및 지지부(260)는, 지점(支點), 역점(力點)(힘점) 및 작용점(作用點)에 각각 상당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피가압부(250)가 가압되면, 세로부(240)를 지점으로 하여 돌출부(270)가 이동한다. 즉 돌출부(270)는, Z방향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부(260)에 지지되어 있다.
도7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270)에는 접점부(280)와 록부(290)가 형성되어 있다. 접점부(280)는, 직선적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완만하게 만곡(彎曲)하는 완만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록부(290)는 모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록부(290)는, X방향에 있어서 접점부(280)의 +X측에(즉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대향 접점부(224)는 Z방향에 있어서 접점부(280)와 대향하고 있다. 돌출부(270)는, 록부(290)로부터 지지부(260)를 향하여 연장되는 후방 가장자리(27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후방 가장자리(272)는, 록부(290)의 근방에 위치하는 단부(274)와, 지지부(260)의 근방에 위치하는 단부(276)를 구비하고 있다. 단부(274)는 XZ평면내에 있어서 직선모양으로 연장되어 있다. 단부(276)는, XZ평면내에 있어서 곡선모양 또는 원호모양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방 가장자리(272)는, 곡선모양 또는 원호모양으로 연장되는 부위 만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바꾸어 말하면, 후방 가장자리(272)는, 직선모양의 부위를 구비하지 않고 있더라도 좋다. 반대로, 후방 가장자리(272)는, 직선모양의 부위 만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도5 및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신호 콘택트(300)는, 기부(310), 세로부(340), 피가압부(350), 지지부(360), 돌출부(370)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310)는, 전측기부(320) 및 후측기부(330)로 구성되어 있다. 세로부(340)는, 기부(310)로부터 Z방향(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세로부(340)는, 전측기부(320)와 후측기부(330) 사이의 경계부분으로부터 +Z방향으로(즉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피가압부(350)는, 세로부(340)의 상단으로부터 +X방향으로(즉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지지부(360)는, 세로부(340)의 상단으로부터 -X방향으로(즉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돌출부(370)는, 지지부(360)로부터 Z방향을 따라 돌출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돌출부(370)는, 지지부(360)의 -X측단부(즉 전단)로부터 -Z방향으로(즉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전측기부(320)와 지지부(360)는, Z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후측기부(330)와 피가압부(350)는, Z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전측기부(320)에는 압입부(322)가 설치되어 있다. 압입부(322)는, 제1신호 콘택트(300)가 제1지지부(110)에 지지될 때에 제1피압입부(112)에 압입된다. 전측기부(320)의 -X측단부(즉 전단)에는 대향 접점부(324)가 형성되어 있다. 대향 접점부(324)는 +Z방향으로(즉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후측기부(330)에는 빠짐방지돌기(332)가 형성되어 있다. 세로부(340), 피가압부(350) 및 지지부(360)는 지점, 역점 및 작용점에 각각 상당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피가압부(350)가 가압되면, 세로부(340)를 지점으로 하여 돌출부(370)가 이동한다. 즉 돌출부(370)는, Z방향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부(360)에 지지되어 있다.
도7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370)에는 완만한 형상의 접점부(380)와, 모난 형상의 록부(390)가 형성되어 있다. 록부(390)는, X방향에 있어서 접점부(380)의 +X측에(즉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대향 접점부(324)는, Z방향에 있어서 접점부(380)와 대향하고 있다. 돌출부(370)는, 록부(390)로부터 지지부(360)를 향하여 연장되는 후방 가장자리(372)를 구비하고 있다.
도4, 도5 및 도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1신호 콘택트(300)와 지지부재(20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환언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신호 콘택트(300)와 지지부재(200)는 서로 동일한 부품이다. 도2, 도4 및 도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지지부재(200) 및 다수의 제1신호 콘택트(300)는, 하우징(100)의 +X측(즉 후측)으로부터 -X방향을 따라(즉 전방을 향하여) 제1지지부(110)에 압입되어, 하우징(100)에 지지되어 있다. 하우징(100)에 지지된 제1신호 콘택트(300)의 모두는, Y방향에 있어서 하우징(100)에 지지된 2개의 지지부재(20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신호 콘택트(400)는, 기부(410), 대향 지지부(440), 세로부(450), 피가압부(460), 지지부(470), 돌출부(480)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410)는, 전측기부(420) 및 후측기부(430)로 구성되어 있다. 대향 지지부(440)는, 전측기부(420)로부터 -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세로부(450)는, 기부(410)로부터 Z방향(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세로부(450)는, 전측기부(420)과 후측기부(430) 사이의 경계부분으로부터 +Z방향으로(즉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피가압부(460)는, 세로부(450)의 상단으로부터 +X방향으로(즉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지지부(470)는, 세로부(450)의 상단으로부터 -X방향으로(즉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돌출부(480)는, 지지부(470)로부터 Z방향을 따라 돌출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돌출부(480)는, 지지부(470)의 -X측 단부(즉 전단)로부터 -Z방향으로(즉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전측기부(420) 및 대향 지지부(440)의 각각은, 지지부(470)와 Z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후측기부(430)와 피가압부(460)는, Z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후측기부(430)에는 압입부(432)가 설치되어 있다. 압입부(432)는, 제2신호 콘택트(400)가 제2지지부(120)에 지지될 때에 제2피압입부(122)에 압입된다. 대향 지지부(440)는, 전측기부(420) 중에서 세로부(450)의 근방에 위치하는 부위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대향 지지부(440)의 -X측단부(즉 전단)에는 대향 접점부(442)가 형성되어 있다. 대향 접점부(442)는 +Z방향으로(즉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세로부(450), 피가압부(460) 및 지지부(470)는, 지점, 역점 및 작용점에 각각 상당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피가압부(460)가 가압되면 세로부(450)를 지점으로 하여 돌출부(480)가 이동한다. 즉 돌출부(480)는, Z방향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부(470)에 지지되어 있다.
도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신호 콘택트(400)의 돌출부(480)에는 완만한 형상의 접점부(490)가 형성되어 있지만, 모난 형상의 록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대향 접점부(442)는, Z방향에 있어서 접점부(490)와 대향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2신호 콘택트(400)는, 하우징(100)의 -X측(즉 앞측)으로부터 +X방향을 따라(즉 후방을 향하여) 제2지지부(120)에 압입되어, 하우징(100)에 지지되어 있다.
도1 및 도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 및 제1신호 콘택트(300)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그룹을 구성하고 있고, 이 그룹의 부재와 제2신호 콘택트(400)는, Y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열되도록 하우징(100)에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2개의 지지부재(200)는, 지지부재(200), 제1신호 콘택트(300) 및 제2신호 콘택트(400)로 이루어지는 열의 Y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신호 콘택트(400) 중에서 1개가 지지부재(200) 중의 1개의 이웃에 위치하고 있다. 다음에 제1신호 콘택트(300) 중의 1개가 제2신호 콘택트(400)의 이웃에 위치하고 있다. 제2신호 콘택트(400)와 제1신호 콘택트(300)는 순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1 내지 도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액추에이터(500)는 판상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액추에이터(500)는, 개방상태(도1 참조)와 폐쇄상태(도3 참조)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하우징(100)에 지지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액추에이터(500)는, 전단(12)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쓰러뜨림으로써 폐쇄상태로 이행하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는 소위 백플립(back flip) 타입의 커넥터이다.
도2 및 도4 내지 도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500)에는, 복수의 수용홈(510, 520, 530), 2개의 지지용 캠(512), 복수의 제1접촉용 캠(접촉용 캠)(522), 복수의 제2접촉용 캠(532)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510, 520, 530)의 각각은, 액추에이터(500)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지지부재(200)의 피가압부(250), 제1신호 콘택트(300)의 피가압부(350) 및 제2신호 콘택트(400)의 피가압부(460)는,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하여 수용홈(510, 520, 530)내에 각각 수용되어 있다.
도4, 도8 및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용 캠(512)은,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도4 및 도8 참조)에 있을 때에도, 폐쇄상태(도11참조)에 있을 때에도, 지지부재(200)의 피가압부(250)와 접촉하고 있다. 그 때문에 피가압부(250)는,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도 폐쇄상태에 있을 때에도 지지용 캠(512)으로부터 가압되어 +Z방향을 따른 힘을 받고 있다. 환언하면, 지지용 캠(512)은, 피가압부(250)와 후측기부(230)(즉 기부(210))에 의하여 항상 협지(挾持)되어 있고, 이에 따라 피가압부(250)는 지지용 캠(512)으로부터 힘을 받고 있다. 거기에다, 지지부재(200)의 후측기부(230)에 설치된 빠짐방지돌기(232)는 지지용 캠(512)의 +X측(즉 뒤쪽)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피가압부(250)와 후측기부(230)(즉 기부(210))에 의하여 항상 협지된 지지용 캠(512)의 후측에 빠짐방지돌기(232)가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액추에이터(500)는, 폐쇄상태에 있을 때에만 아니라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도 커넥터(10)로부터 빠지기 어렵다.
도4와 도11을 비교하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지지용 캠(512)에 의하여 피가압부(250)에 가해지는 힘은,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에 지지용 캠(512)에 의하여 피가압부(250)에 가해지는 힘과 다르게 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의 지지용 캠(512)은,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의 지지용 캠(512)과 비교하여 보다 큰 힘을 피가압부(250)에 대하여 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의 돌출부(270)는,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의 돌출부(270)와 비교하여 -Z측을 향한 보다 큰 힘(즉 하방을 향한 보다 큰 힘)을 받고 있다.
도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500)가 커넥터(10)로부터 빠졌을 경우에, 지지부재(200)의 돌출부(270)는 초기위치(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위치한다.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이더라도, 돌출부(270)는 초기위치로부터 -Z방향을 따라(즉 하방으로) 이동되어진다. 즉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의 접점부(280)와 대향 접점부(224) 사이의 거리는, 돌출부(270)가 초기위치에 있을 때의 접점부(280)와 대향 접점부(224)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다. 그 때문에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FPC(50)를 수용부(14)에 수용하면, 록부(290)가 오목부(60)내에 삽입되어 피록부(62)의 -X측(앞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FPC(50)를 수용부(14)에 수용하면, 록부(290)는 X방향에 있어서 피록부(62)와 대향한다. 이 때문에 FPC(50)의 -X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FPC(50)는 커넥터(10)에 가지지된다. 이 때에 록부(290)는 가지지위치에 있다. 지지용 캠(512)은, 록부(290)를 가지지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지지부재(200)에 대하여 힘을 가하고 있다. 지지부재(200)의 록부(290)가 가지지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지지부재(200)의 돌출부(270)의 후방 가장자리(272)의 일부는, Z방향에 있어서 FPC(50)의 피록부(62)의 일부와 같은 위치에 있고, X방향에 있어서 피록부(62)의 일부의 앞측에 위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록부(62)와 후방 가장자리(272)는 Z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치고 있다.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에, 돌출부(270)는 -Z방향으로 더 이동된다. 이 때에, 록부(290)는 제한위치에 있다. 지지용 캠(512)은, 록부(290)를 제한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지지부재(200)에 대하여 보다 큰 힘을 가하고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의 록부(290)가 제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지지부재(200)의 돌출부(270)는 제1위치에 있다. 지지부재(200)의 록부(290)가 가지지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지지부재(200)의 돌출부(270)는 제1위치와는 다른 제2위치에 있다. 지지부재(200)의 돌출부(270)의 초기위치로부터 제1위치까지의 이동량은, 지지부재(200)의 돌출부(270)의 초기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의 이동량보다도 크다. 또한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의 접점부(280)와 대향 접점부(224) 사이의 거리는,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의 접점부(280)와 대향 접점부(224) 사이의 거리보다도 더 작다. 그 때문에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FPC(50)를 수용부(14)에 수용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500)를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까지 회전시키면, 록부(290)가 오목부(60)내로 더 들어가서 피록부(62)의 -X측(앞측)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가지지위치에 있는 록부(290)와 비교하여, FPC(50)의 -X방향으로의 이동(즉 전방으로의 이동)은 제한위치에 있는 록부(290)에 의하여 더 제한된다. 지지부재(200)의 록부(290)가 제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도, 록부(290)는 FPC(50)의 피록부(62)의 앞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에, 피록부(62)와 돌출부(270)의 후방 가장자리(272)는 Z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치고 있다.
도7 및 도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록부(290)가 제한위치에 있을 때(즉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에, 지지부재(200)의 돌출부(270)의 후방 가장자리(272)의 록부(290)의 근방에 위치하는 단부(274)(도7 참조)는 록부(290)로부터 비듬하게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FPC(50)의 이동을 더 확실하게 제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피가압부(250)에 가해지는 힘은,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에 피가압부(250)에 가해지는 힘과 다르게 되어 있다. 도8 및 도11을 비교하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의 록부(290)가 가지지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걸림(가능)량은, 지지부재(200)의 록부(290)가 제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걸림(가능)량보다도 작다. 여기에서 걸림(가능)량은, -X방향으로 끌린 FPC(50)의 피록부(62)를 걸어 두는 지지부재(200)의 돌출부(270)의 부위의 양이다. 상세하게는, 지지부재(200)의 록부(290)가 가지지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지지부재(200)의 돌출부(270)의 후방 가장자리(272) 중의 부위로서 Z방향에 있어서 FPC(50)의 피록부(62)의 일부와 같은 위치에 있는 제1부위는, Z방향에 있어서 제1길이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재(200)의 록부(290)가 제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지지부재(200)의 돌출부(270)의 후방 가장자리(272) 중의 부위로서 Z방향에 있어서 FPC(50)의 피록부(62)의 일부와 같은 위치에 있는 제2부위는, Z방향에 있어서 제2길이를 구비하고 있다. 제1길이는 제2길이보다도 작다. 환언하면, 삽입된 FPC(50)는, Z방향에 있어서 지지부재(200)의 지지부(260)와 대향하는 표면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재(200)의 록부(290)가 가지지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지지부재(200)의 록부(290)와 FPC(50)의 표면 사이의 거리는, 지지부재(200)의 록부(290)가 제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지지부재(200)의 록부(290)와 FPC(50)의 표면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다.
도5 및 도9를 도12와 비교하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1접촉용 캠(522)은,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도5 및 도9 참조)에 있을 때에는 제1신호 콘택트(300)의 피가압부(350)에 접촉하고 있지 않지만,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도12 참조)에 있을 때에는 제1신호 콘택트(300)의 피가압부(350)에 접촉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피가압부(350)는,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에만 제1접촉용 캠(522)으로부터 가압되어 +Z방향을 따른 힘을 받고 있다. 즉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제1접촉용 캠(522)에 의하여 피가압부(350)에 가해지는 힘은,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에 제1접촉용 캠(522)에 의하여 피가압부(350)에 가해지는 힘과 다르게 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1접촉용 캠(522)은,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피가압부(350)에 대하여 힘을 가하지 않는다. 한편 제1접촉용 캠(522)은,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에 피가압부(350)에 대하여 힘을 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의 돌출부(370)는,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의 돌출부(370)와 비교하여 -Z측의 위치(즉 하방의 위치)에 있다. 또한 제1접촉용 캠(522)은,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에만, 피가압부(350)와 후측기부(330)(즉 기부(310))에 의하여 협지되어 있다.
도4 및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지지부재(200)의 접점부(280)와 대향 접점부(224) 사이의 거리는, 제1신호 콘택트(300)의 접점부(380)와 대향 접점부(324)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지지부재(200)와 제1신호 콘택트(300)는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데에도 불구하고,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지지부재(200)에 의하여 FPC(50)를 커넥터(10)의 소정의 위치에 가지지 할 수 있다.
도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돌출부(370)는, 수용부(14)에 수용된 FPC(50)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1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에, 돌출부(370)의 접점부(380)는, 수용부(14)에 수용된 FPC(50)의 단자(54)에 대하여 눌리어지고 있다. 즉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의 접점부(380)와 대향 접점부(324) 사이의 거리는,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의 접점부(380)와 대향 접점부(324)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다.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에 있고, 접점부(380)가 단자(54)에 눌리어지고 있을 때에, 제1신호 콘택트(300)의 록부(390)는 FPC(50)에 접촉하지 않고 있다. 상세하게는, 록부(390)는, FPC(50)로부터 +Z방향으로(즉 상방에) 떨어져 있다. 따라서 록부(390)는 FPC(50)를 상처를 입히지 않는다.
도6 및 도10과 도13을 비교하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2접촉용 캠(532)은,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도6 및 도10참조)에 있을 때에는 제2신호 콘택트(400)의 피가압부(460)에 접촉하고 있지 않지만,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도13참조)에 있을 때에는 제2신호 콘택트(400)의 피가압부(460)에 접촉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피가압부(460)는,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에만, 제2접촉용 캠(532)으로부터 가압되어 +Z방향을 따른 힘을 받고 있다. 즉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제2접촉용 캠(532)에 의하여 피가압부(460)에 가해지는 힘은,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에 제2접촉용 캠(532)에 의하여 피가압부(460)에 가해지는 힘과 다르게 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2접촉용 캠(532)은,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피가압부(460)에 대하여 힘을 가하지 않는다. 한편 제2접촉용 캠(532)은,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에 피가압부(460)에 대하여 힘을 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의 돌출부(480)는,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의 돌출부(480)와 비교하여 -Z측의 위치(즉 하방의 위치)에 있다. 또한 제2접촉용 캠(532)은,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에만, 피가압부(460)와 후측기부(430)(즉 기부(410))에 의하여 협지되어 있다.
도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돌출부(480)는, 수용부(14)에 수용된 FPC(50)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에, 돌출부(480)의 접점부(490)는, 수용부(14)에 수용된 FPC(50)의 단자(56)에 대하여 눌리어지고 있다. 즉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의 접점부(490)와 대향 접점부(442) 사이의 거리는,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의 접점부(490)와 대향 접점부(442)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다.
상기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접점부(380)와 대향 접점부(324) 사이의 거리는 FPC(50)의 두께보다도 크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접점부(490)와 대향 접점부(442) 사이의 거리는 FPC(50)의 두께보다도 크다. 따라서 FPC(50)를 수용부(14)에 수용시킬 때에, FPC(50)는 2개의 지지부재(200)가 가하는 힘 만을 받는다. 즉 수용부(14)로의 FPC(50)의 수용은 지지부재(200)를 탑재함으로써 곤란하게 되지는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신호 콘택트(300)와 지지부재(200)는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1신호 콘택트(300) 및 지지부재(200)에는, 접점부(280) 및 접점부(38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접점부(280) 및 접점부(380)는, 접촉에 적절한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신호 콘택트(300) 및 지지부재(200)에는, 록부(290) 및 록부(390)가 각각 설치되고 있다. 록부(290) 및 록부(390)는, FPC(50)의 지지에 적절한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신호 콘택트(300)와 지지부재(200)를 공통인 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부품의 종류를 늘리지 않고 커넥터(10)에 FPC(50)를 지지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는,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돌출부(270)는, 액추에이터(500) 이외의 부재를 사용하여 -Z방향으로 가압하더라도 좋다.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하우징(100)을 변형하여 가압부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가압부를 사용하여 지지부재(200)에 힘을 가하고, 이에 따라 돌출부(270)를 -Z방향으로 가압하더라도 좋다.
FPC(50)를 가지지하는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신호 콘택트(300)와 마찬가지로,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지지부재(200)는 힘을 받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경우이더라도 지지부재(200)와 제1신호 콘택트(300)는 동일한 형상의 부재로 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50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에, 부재의 일방(즉 지지부재(200))은 FPC(50)를 지지하고, 부재의 타방(즉 제1신호 콘택트(300))은 FPC(50)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부품의 종류를 늘리지 않고 FPC(50)를 지지하는 기능과 전기적인 접촉 기능의 쌍방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접촉용 캠(522)은,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제1신호 콘택트(300)의 피가압부(350)에 대하여 접촉하지 않는다(즉 피가압부(350)에 힘을 가하지 않는다). 제1접촉용 캠(522)은,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이더라도 제1신호 콘택트(300)의 피가압부(350)에 대하여 힘을 가하여도 좋다. 다만, 힘이 지나치게 크면, FPC(50)가 수용부(14)에 원활하게 수용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제1접촉용 캠(522) 및 피가압부(350)는, 액추에이터(50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서로 힘을 가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지지부재(200)는 전측기부(220)를 구비하고 있고, 제1신호 콘택트(300)는 전측기부(320)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지지부재(200) 및 제1신호 콘택트(300)는, 전측기부(220) 및 전측기부(320)를 각각 구비하지 않고 있어도 좋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는, 백플립 타입의 커넥터이지만, 본 발명은, 프론트 플립(front flip) 타입의 커넥터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2012년6월11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2-131688호에 의거하고 있고, 그 내용은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는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커넥터
12 : 단부
14 : 수용부
50 : FPC(대상물)
52 : 단부
54, 56 : 단자
60 : 오목부
62 : 피록부(被lock部)
100 : 하우징
110 : 제1지지부
112 : 제1피압입부
120 : 제2지지부
122 : 제2피압입부
200 : 지지부재
210 : 기부
220 : 전측기부
222 : 압입부
224 : 대향접점부
230 : 후측기부
232 : 빠짐방지돌기
240 : 세로부
250 : 피가압부
260 : 지지부
270 : 돌출부
272 : 후방 가장자리
274 : 단부
276 : 단부
280 : 접점부
290 : 록부
300 : 제1신호 콘택트(신호 콘택트)
310 : 기부
320 : 전측기부
322 : 압입부
324 : 대향접점부
330 : 후측기부
332 : 빠짐방지돌기
340 : 세로부
350 : 피가압부
360 : 지지부
370 : 돌출부
372 : 후방 가장자리
380 : 접점부
390 : 록부
400 : 제2신호 콘택트
410 : 기부
420 : 전측기부
430 : 후측기부
432 : 압입부
440 : 대향지지부
442 : 대향접점부
450 : 세로부
460 : 피가압부
470 : 지지부
480 : 돌출부
490 : 접점부
500 : 액추에이터
510, 520 : 수용홈
530 : 수용홈
512 : 지지용 캠
522 : 제1접촉용 캠(접촉용 캠)
532 : 제2접촉용 캠
900 : 액추에이터
910 : 제2단자(신호 콘택트)
912 : 가압돌출부
920 : 쇠붙이(지지부재)
922 : 록부
930 : 평편한 도체(대상물)
950 : 콘택트(신호 콘택트)
952 : 접점부
960 : 지지단자(지지부재)
962 : 결합 돌출부

Claims (10)

  1. 피록부(被lock部)를 구비하는 시트상(sheet狀) 또는 판상(板狀)의 대상물이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전단(前端)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커넥터로서, 하우징과, 액추에이터와, 신호 콘택트 및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개방상태와 폐쇄상태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신호 콘택트 및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피치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신호 콘택트는 상기 지지부재와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신호 콘택트 및 상기 지지부재의 각각은, 접점부와,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록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점부의 각각은 완만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록부의 각각은 모난 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신호 콘택트의 상기 접점부는, 상기 대상물이 상기 커넥터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폐쇄상태에 있는 소정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에 눌리어지고 있고,
    상기 신호 콘택트의 상기 록부는, 상기 소정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향 및 상기 피치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수직방향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로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록부는, 상기 소정상태에 있어서 제한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한위치는,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상기 피록부의 앞측에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록부는, 상기 제한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대상물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신호 콘택트 및 상기 지지부재의 각각은, 지지부와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수직방향을 따라 각각 돌출하고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직방향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각각 지지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의 각각에는, 상기 접점부와 상기 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의 각각은, 상기 록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후방 가장자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후방 가장자리는, 상기 록부의 근방에 위치하는 단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후방 가장자리의 상기 단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폐쇄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록부로부터 비듬하게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있으며,
    상기 대상물이 삽입되고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록부는, 상기 대상물의 상기 피록부의 앞측의 가지지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록부가 상기 가지지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돌출부의 일부는, 상기 수직방향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상기 피록부의 일부와 같은 위치에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커넥터로부터 빠졌을 경우에,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돌출부는 초기위치에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록부가 상기 제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돌출부는 제1위치에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록부가 상기 가지지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돌출부는 제2위치에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돌출부의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까지의 이동량은,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돌출부의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까지의 이동량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록부가 상기 가지지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돌출부의 상기 후방 가장자리 중의 부위로서 상기 수직방향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상기 피록부의 일부와 같은 위치에 있는 제1부위는, 상기 수직방향에 있어서 제1길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록부가 상기 제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돌출부의 상기 후방 가장자리의 중의 부위로서 상기 수직방향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상기 피록부의 일부와 같은 위치에 있는 제2부위는, 상기 수직방향에 있어서 제2길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길이는 상기 제2길이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피록부(被lock部)를 구비하는 시트상(sheet狀) 또는 판상(板狀)의 대상물이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전단(前端)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커넥터로서, 하우징과, 액추에이터와, 신호 콘택트 및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개방상태와 폐쇄상태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신호 콘택트 및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피치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신호 콘택트는 상기 지지부재와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신호 콘택트 및 상기 지지부재의 각각은, 접점부와,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록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점부의 각각은 완만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록부의 각각은 모난 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신호 콘택트의 상기 접점부는, 상기 대상물이 상기 커넥터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폐쇄상태에 있는 소정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에 눌리어지고 있고,
    상기 신호 콘택트의 상기 록부는, 상기 소정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향 및 상기 피치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수직방향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로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록부는, 상기 소정상태에 있어서 제한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한위치는,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상기 피록부의 앞측에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록부는, 상기 제한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대상물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신호 콘택트 및 상기 지지부재의 각각은, 지지부와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수직방향을 따라 각각 돌출하고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직방향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각각 지지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의 각각에는, 상기 접점부와 상기 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의 각각은, 상기 록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후방 가장자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후방 가장자리는, 상기 록부의 근방에 위치하는 단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후방 가장자리의 상기 단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폐쇄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록부로부터 비듬하게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있으며,
    상기 대상물이 삽입되고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록부는, 상기 대상물의 상기 피록부의 앞측의 가지지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록부가 상기 가지지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돌출부의 일부는, 상기 수직방향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상기 피록부의 일부와 같은 위치에 있고,
    삽입된 상기 대상물은, 상기 수직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지지부와 대향하는 표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록부가 상기 가지지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록부와 상기 대상물의 상기 표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록부가 상기 제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록부와 상기 대상물의 상기 표면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콘택트 및 상기 지지부재의 각각은, 대향 접점부(對向接點部)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대향 접점부는, 상기 수직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와 각각 대향하고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접점부와 상기 대향 접점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신호 콘택트의 상기 접점부와 상기 대향 접점부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에는, 지지용 캠과 접촉용 캠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용 캠은, 상기 지지부재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접촉용 캠은, 상기 신호 콘택트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대상물이 삽입되고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지지용 캠은,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록부를 상기 가지지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힘을 가하고,
    상기 대상물이 삽입되고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폐쇄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지지용 캠은,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록부를 상기 제한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보다 큰 힘을 가하고,
    상기 대상물이 삽입되고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접촉용 캠은, 상기 신호 콘택트에 대하여 힘을 가하지 않고,
    상기 대상물이 삽입되고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폐쇄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접촉용 캠은, 상기 신호 콘택트의 상기 접점부를 상기 대상물에 대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콘택트 및 상기 지지부재의 각각은, 기부(基部)와 세로부와 피가압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세로부는, 상기 기부에서 상기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고,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세로부에서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후방을 향하여 각각 연장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세로부에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수직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부와 대향하고 있고,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피가압부와 상기 기부가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기 지지용 캠 또는 상기 접촉용 캠을 협지했을 때에, 상기 지지용 캠 또는 상기 접촉용 캠으로부터 힘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의 각각에는, 빠짐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빠짐방지돌기는, 상기 수직방향에 있어서 상기 피가압부를 향하여 각각 돌출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빠짐방지돌기는,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캠의 후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0060046A 2012-06-11 2013-05-28 커넥터 KR101478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31688 2012-06-11
JP2012131688A JP5392929B2 (ja) 2012-06-11 2012-06-11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673A KR20130138673A (ko) 2013-12-19
KR101478042B1 true KR101478042B1 (ko) 2014-12-31

Family

ID=4971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046A KR101478042B1 (ko) 2012-06-11 2013-05-28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93795B2 (ko)
JP (1) JP5392929B2 (ko)
KR (1) KR101478042B1 (ko)
CN (1) CN103490223B (ko)
TW (1) TWI5524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324975A (zh) * 2011-12-13 2013-06-16 Aces Electronic Co Ltd 電連接器
JP2014022279A (ja) * 2012-07-20 2014-02-03 Panasonic Corp コネクタ、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当該コネクタ組立体で用いられるケーブル
KR101586248B1 (ko) * 2014-06-24 2016-01-1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이탈 방지 핀이 구비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6342342B2 (ja) * 2015-01-26 2018-06-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1548333S (ko) * 2015-02-24 2016-04-25
JP6512551B2 (ja) * 2015-06-26 2019-05-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当該コネクタ組立体で用いられるケーブル
US9774147B1 (en) * 2015-10-14 2017-09-26 CSC Holdings, LLC Cable having an integrated antenna
JP6860998B2 (ja) * 2016-08-30 2021-04-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23100533A (ja) * 2022-01-06 2023-07-19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2894A (ja) * 2005-10-25 2007-05-17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009A (ja) * 1996-07-05 1998-01-23 Amp Japan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903338B2 (ja) * 2001-11-08 2007-04-1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JP4429246B2 (ja) * 2005-09-30 2010-03-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2007227302A (ja) * 2006-02-27 2007-09-06 Hirose Electric Co Ltd 平型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576349B2 (ja) * 2006-03-24 2010-11-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722745B2 (ja) * 2006-03-29 2011-07-1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中継コネクタ
JP4282027B2 (ja) * 2006-11-15 2009-06-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09064577A (ja) * 2007-09-04 2009-03-26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
TW200931729A (en) * 2008-01-14 2009-07-16 P Two Ind Inc Electrical Connector
JP4669529B2 (ja) * 2008-04-23 2011-04-13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110298B2 (ja) * 2008-06-18 2012-12-26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TWM354923U (en) * 2008-11-21 2009-04-11 Taiwan Suncagey Ind Co Ltd Improved electrical connector for back-lift flexible circuit board
JP4704505B1 (ja) * 2010-03-30 2011-06-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4951086B2 (ja) 2010-04-08 2012-06-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
JP5102858B2 (ja) * 2010-04-08 2012-1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
JP5121884B2 (ja) 2010-05-31 2013-01-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US8052446B1 (en) * 2010-07-01 2011-11-08 Taiwan Suncagey Industrial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2894A (ja) * 2005-10-25 2007-05-17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90223B (zh) 2016-01-20
CN103490223A (zh) 2014-01-01
TWI552447B (zh) 2016-10-01
US20130330973A1 (en) 2013-12-12
TW201411947A (zh) 2014-03-16
JP5392929B2 (ja) 2014-01-22
JP2013257960A (ja) 2013-12-26
US9093795B2 (en) 2015-07-28
KR20130138673A (ko)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042B1 (ko) 커넥터
TWI539680B (zh) Substrate to substrate connector
US9735503B2 (en) Connector for receiv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a cable
JP5298227B1 (ja) コネクタ
KR101553465B1 (ko) 전기 커넥터
KR101305018B1 (ko) 케이블용 커넥터
JP4044939B2 (ja) コネクタ
TWI548148B (zh) 連接器
US7950952B2 (en) FPC connector with rotating latch
JP2017117734A (ja) コネクタ
US9484670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enabling contact and housing structure
US7086893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2234646A (ja) コネクタ
KR101366052B1 (ko) 커넥터
JP5624191B2 (ja) コネクタ
TWI442646B (zh) Connector
JP2007220536A (ja) コネクタ
US9281593B2 (en) Connector which is reduced in possibility of damage due to warping of a connection object without decreasing the insertability of the connection object
JP2004178823A (ja) ラッチアーム付き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これに接続されるプラグコネクタ
KR101570714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5324685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11034864A (ja) コネクタ
JP2007141784A (ja) コネクタ端子およびフラット配線材用コネクタ
JP4425965B2 (ja) コネクタ
CN114649713A (zh) 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