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745B1 -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745B1
KR101625745B1 KR1020140106775A KR20140106775A KR101625745B1 KR 101625745 B1 KR101625745 B1 KR 101625745B1 KR 1020140106775 A KR1020140106775 A KR 1020140106775A KR 20140106775 A KR20140106775 A KR 20140106775A KR 101625745 B1 KR101625745 B1 KR 101625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engaging
movable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840A (ko
Inventor
마사토시 다케모토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6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 H01R12/7029Snap means not integral with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Abstract

<과제> 상호 계합한 제1 및 제2의 커넥터 중의 일방의 하우징에 대한 타방의 하우징에 대한 계지를 안정되고 또한 견고하게 행할 수가 있고, 또 당해 계지의 해제를 간단하고 용이한 조작에 의해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리셉터클 커넥터(11)와 플러그 커넥터(12)와 가동 조작 부재(13)를 포함하고, 가동 조작 부재(13)의 양단 부분이 플러그 커넥터(12)의 금속 부재(27, 28)를 각각 관통하여 지지된 가동 계합 계지부(43, 44)를 이룸과 아울러, 리셉터클 커넥터(11)의 금속 부재(18)에 고정 계합 계지부(20, 21)가 형성되고, 가동 조작 부재(13)가 탄성변형시켜지게 된 하에서, 가동 계합 계지부(43, 44)에 고정 계합 계지부(21, 20)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취하게 하고, 또 탄성변형시켜지게 된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되돌려진 하에서, 가동 계합 계지부(43, 44)에 고정 계합 계지부(21, 20)에 대한 계합 계지 해제 상태를 취하게 한다.

Description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CIRCUIT-TERMINAL CONNECTING DEVICE}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2개의 배선 기판(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 FPC)을 포함)에 각각 장착하여 이용할 수가 있는 제1 및 제2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의 커넥터가 각각 장착된 2개의 배선 기판이 서로 대면 근접하여 중합시켜지는 하에서 제1 및 제2의 커넥터가 상호 계합함으로써, 각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부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 등의 비교적 소형인 전자기기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의 전자 부품이 다수 내장되지만, 이들 전자 부품의 상당수는 복수의 배선 기판(이하, 배선 기판이라고 하는 용어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FPC)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용됨)에 실장되어 각각의 기능을 완수하게 된다. 각종의 전자 부품이 실장된 복수의 배선 기판은, 예를 들면, 이들 중의 2개에 대해 살펴보면, 비교적 소형인 전자기기의 내부라고 하는 한정된 공간에 수용되는데 즈음하여 점유 용적을 가능한 한 작게 하기 위해, 일방이 타방에 대면 근접하여 중합시켜지는 배치를 취하여, 각각에 설치된 배선부가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도록 상호 연결되는 상태가 취해진다. 이러한 2개의 배선 기판 중의 일방이 타방에 대면 근접하여 중합시켜지는 상호 연결 형태를 이하에 있어서 대면 근접 중합 연결이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배선 기판의 각각에 설치된 배선부에 대한 전기적 상호 접속은 각 배선 기판에 커넥터가 장착되고, 이들 커넥터가 상호 계합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이 많고, 2개의 배선 기판에 대한 대면 근접 중합 연결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2개의 배선 기판의 각각에 커넥터가 장착되고, 이들 커넥터가 상호 계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2개의 배선 기판에 대한 대면 근접 중합 연결에 즈음하여 2개의 배선 기판의 각각에 장착된 커넥터가 상호 계합하는 경우와 같이, 2개의 커넥터가 상호 계합할 때에는, 2개의 커넥터의 상호 계합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종래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의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들 제1 및 제2의 커넥터가 상호 계합했을 때, 일방을 타방에 대해 기계적으로 계지하는 계지 수단을 구비한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가 몇 개인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에 나타난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는 하우징(인슐레이터(insulator)(11))과 하우징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장착된 가동 조작 부재(풀바(pull bar)(10))를 구비한 제1의 커넥터(플러그측 커넥터(100)), 및 하우징(인슐레이터(insulator)(21))을 구비하여 기판에 배치된 제2의 커넥터(기판측 커넥터(10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의 커넥터에 구비된 가동 조작 부재는 금속 봉상 부재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고, 양단의 각각에 완부(arm part)(10b)와 완부(10b)의 선단을 이루는 회전축(10a)을 가지고 있고, 회전축(10a)은 하우징에 있어서의 외벽 형상부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관통하고 있어, 제2의 커넥터에 대한 계지부(잠금 기구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또,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외벽 형상부의 외면에는 리브(rib)(7)가 외방으로 돌출하는 것으로서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내벽 형상부의 외면에는 돌기부(1)가 외방으로 돌출하는 것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의 커넥터와 제2의 커넥터가 상호 계합 상태에 놓여질 때에는,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이 그 외벽 형상부가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의 내벽 형상부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하여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감합한다. 이 때에 제1의 커넥터에 구비된 가동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회전축이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내벽 형상부의 외면에 설치된 돌기부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취하고,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을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해 기계적으로 계지하고, 이에 의해 제1 및 제2의 커넥터의 상호 계합 상태가 유지된다.
그 후에 제1의 커넥터에 구비된 가동 조작 부재가 회동시켜지면, 가동 조작 부재의 완부가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외벽 형상부의 외면에 설치된 리브(rib)에 올라앉고, 이에 의해 가동 조작 부재가 탄성변형을 일으켜 가동 조작 부재의 회전축이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내벽 형상부의 외방으로 이동시켜지고,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내벽 형상부의 외면에 설치된 돌기부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해제한다. 그 결과,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이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한 기계적인 계지로부터 해방된다. 가동 조작 부재의 회전축이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된 돌기부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해제한 후에는 가동 조작 부재의 가일층의 회동에 수반하여 탄성변형을 일으킨 가동 조작 부재가 탄성변형을 일으키지 않은 상태로 되돌아온다.
또, 특허 문헌 2에 나타난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는 하우징(인슐레이터(insulator)(220))과 하우징의 대부분을 덮는 금속 부재(쉘(shell)(250))를 구비한 제1의 커넥터(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200)), 및 하우징(인슐레이터(340))과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가동 조작 부재(풀바(pull bar)(370))를 구비한 제2의 커넥터(플러그 커넥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금속 부재에는 피계지공(254)이 형성된 잠금부(252)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2의 커넥터에 구비된 가동 조작 부재는, 금속 봉상 부재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고, 주부(main part)(372)와 주부의 양단부의 각각으로부터 굴곡하여 주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는 연결부(376)와 연결부(376)로부터 더 굴곡하여 주부와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뻗는 피보유부(37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피보유부(374)는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내면측에 캠(cam)부(348)가 설치된 외벽 형상부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관통하고 있고, 그 단부가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외벽 형상부의 외방으로 돌출할 수 있게 되어, 제1의 커넥터에 대한 계지부(375)를 이루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1의 커넥터와 제2의 커넥터가 상호 계합 상태에 놓여질 때에는,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이 그 외벽 형상부가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피계지공(被係止孔)이 형성된 잠금부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하여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감합한다. 이 때에 제2의 커넥터에 구비된 가동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피보유부의 단부인 계지부가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잠금부에 형성된 피계지공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취하고,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을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해 기계적으로 계지하고, 이에 의해 제1 및 제2의 커넥터의 상호 계합 상태가 유지된다.
그 후에 제2의 커넥터에 구비된 가동 조작 부재가 회동시켜지면, 가동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연결부가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외벽 형상부의 내면측에 설치된 캠부에 안내되어 이동하고, 이에 의해 가동 조작 부재가 탄성변형을 일으켜 연결부로부터 굴곡하여 뻗는 피보유부의 단부인 계지부가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외벽 형상부의 내부측으로 이동시켜지고,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잠금부에 형성된 피계지공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해제한다. 그 결과,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이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한 기계적인 계지로부터 해방된다. 가동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계지부가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잠금부에 형성된 피계지공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해제한 후에는 가동 조작 부재의 가일층의 회동에 수반하여 탄성변형을 일으킨 가동 조작 부재가 탄성변형을 일으키지 않은 상태로 되돌아온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5-267977호 공보(단락 0058~0069, 도 1~5) 일본국 특허공개 2009-170250호 공보(단락 0018~0028, 0031, 도 1~10)
상술과 같이 종래에 제안되어 있는, 제1 및 제2의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들 제1 및 제2의 커넥터가 상호 계합했을 때, 일방을 타방에 대해 기계적으로 계지하는 계지 수단을 구비한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이들 각각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특허 문헌 1에 나타난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제1의 커넥터와 제2의 커넥터가 상호 계합한 상태 하에서, 제1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금속 봉상(棒狀)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동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계지부를 이루는 회전축이 가동 조작 부재가 탄성변형을 일으키지 않은 상태 하에서,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된 돌기부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취하고,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을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해 기계적으로 계지하고, 또 가동 조작 부재가 탄성변형을 일으킨 상태 하에서,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된 돌기부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해제하고,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을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한 기계적인 계지로부터 해방한다. 따라서,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이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해 기계적으로 계지되는 상태와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이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한 기계적인 계지로부터 해방되는 상태가 반복되는 경우에는,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이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해 기계적으로 계지될 때, 일단 탄성변형을 일으킨 후, 탄성변형을 일으키지 않은 상태로 되돌아온 가동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계지부를 이루는 회전축이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된 돌기부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취하게 된다.
그러므로, 일단 탄성변형을 일으킨 후, 탄성변형을 일으키지 않은 상태로 되돌아온 가동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계지부를 이루는 회전축이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된 돌기부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취할 때, 일단 탄성변형을 일으킨 가동 조작 부재가 탄성변형을 일으키지 않은 상태로 되돌아오는데 즈음하여, 가동 조작 부재가 탄성변형에 수반한 소성변형을 일으켜 원래의 상태로는 되돌아오지 않는 사태가 초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사태가 초래되었을 때에는, 가동 조작 부재의 소성변형에 의해 그 회전축의 위치가 변위해 버리고, 회전축에 의한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된 돌기부에 대한 계합 계지가 적정하게 행해지지 않게 되어,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한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한 기계적인 계지가 불확실하게 되어 버린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나타난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가동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계지부를 이루는 회전축이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외벽 형상부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관통하여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 하에서,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된 돌기부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취하게 되어 있다. 즉, 가동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계지부를 이루는 회전축은 대체로 큰 강성을 가진 금속 부재에 계합하는 일 없이, 강성에 있어서 뒤떨어지는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 및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계합함으로써,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을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해 기계적으로 계지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특히 제1 및 제2의 커넥터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도모되어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 및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의 각각의 두께 등이 저감시켜지는 하에 있어서는, 가동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의한 지지가 견고하게 되지 않고, 가동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회전축에 의한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된 돌기부에 대한 계합 계지를 충분한 신뢰성을 가지고 확실하게 행할 수가 없게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 특허 문헌 2에 나타난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제1의 커넥터와 제2의 커넥터가 상호 계합한 상태 하에서,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금속 봉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동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피보유부의 단부인 계지부가, 가동 조작 부재가 탄성변형을 일으키지 않은 상태 하에서,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잠금부에 형성된 피계지공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취하고,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을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해 기계적으로 계지하고, 또 가동 조작 부재가 탄성변형을 일으킨 상태 하에서,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잠금부에 형성된 피계지공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해제하고,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을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한 기계적인 계지로부터 해방한다. 따라서,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이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해 기계적으로 계지되는 상태와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이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한 기계적인 계지로부터 해방되는 상태가 반복되는 경우에는,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이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해 기계적으로 계지될 때, 일단 탄성변형을 일으킨 후, 탄성변형을 일으키지 않은 상태로 되돌아온 가동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피보유부의 단부인 계지부가,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잠금부에 형성된 피계지공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취하게 된다.
그러므로, 일단 탄성변형을 일으킨 후, 탄성변형을 일으키지 않은 상태로 되돌아온 가동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피보유부의 단부인 계지부가,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잠금부에 형성된 피계지공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취할 때, 일단 탄성변형을 일으킨 가동 조작 부재가 탄성변형을 일으키지 않은 상태로 되돌아오는데 즈음하여, 가동 조작 부재가 탄성변형에 수반한 소성변형을 일으켜 원래의 상태로는 되돌아오지 않는 사태가 초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사태가 초래되었을 때에는, 가동 조작 부재의 소성변형에 의해 그 계지부의 위치가 변위해 버리고, 계지부에 의한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잠금부에 형성된 피계지공에 대한 계합 계지가 적정하게 행해지지 않게 되어,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한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한 기계적인 계지가 불확실하게 되어 버린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나타난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가동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피보유부가,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내면측에 캠부가 설치된 외벽 형상부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관통하여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 하에서, 그 단부를 이루는 계지부에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잠금부에 형성된 피계지공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취하게 되어 있다. 즉, 가동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계지부를 이루는 단부를 가진 피보유부는 대체로 큰 강성을 가진 금속 부재에 계합하는 일 없이, 강성에 있어서 뒤떨어지는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계합하는 하에서,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을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해 기계적으로 계지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특히 제1 및 제2의 커넥터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도모되어 제1의 커넥터의 하우징 및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의 각각의 두께 등이 저감시켜지는 하에 있어서는, 가동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피보유부의 제2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의한 지지가 견고하게 되지 않고, 가동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피보유부의 단부인 계지부에 의한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잠금부에 형성된 피계지공에 대한 계합 계지를 충분한 신뢰성을 가지고 확실하게 행할 수가 없게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2개의 배선 기판에 각각 장착하여 이용할 수가 있는 제1 및 제2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의 커넥터가 각각 장착된 2개의 배선 기판을 대면 근접 중합 연결에 의해 각각에 설치된 배선부가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는 상태에 둘 수가 있는 기구를 이루는 것으로서, 제1의 커넥터와 제2의 커넥터가 상호 계합한 상태 하에서, 제1 및 제2의 커넥터 중의 일방에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는 계지 수단에 의해, 제1 및 제2의 커넥터 중의 일방의 하우징에 대한 제1 및 제2의 커넥터 중의 타방의 하우징에 대한 계지를 충분한 신뢰성을 가지고 안정되고 또한 견고하게 행할 수가 있고, 또 제1 및 제2의 커넥터 중의 일방의 하우징에 대한 제1 및 제2의 커넥터 중의 타방의 하우징에 대한 계지의 해제를 특별한 공구 등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 매우 간단하고 용이한 조작에 의해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로부터 청구항 10까지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이하, 본원 발명이라고 함)과 관련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는, 제1의 하우징, 제1의 하우징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제1의 콘택트, 및 제1의 하우징에 고정된 제1의 금속 부재를 구비한 제1의 커넥터와, 제1의 하우징과의 계합 상태를 취하는 제2의 하우징, 제2의 하우징에 배열 배치되어 제2의 하우징이 제1의 하우징과의 계합 상태를 취할 때 복수의 제1의 콘택트에 각각 접촉 접속되는 상태를 취하는 복수의 제2의 콘택트, 및 제2의 하우징에 장착된 제2의 금속 부재를 구비한 제2의 커넥터와, 전체가 굴곡 봉상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제2의 하우징에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2의 하우징에 대해 엎드린 제1의 정지 위치와 일어선 제2의 정지 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하는 가동 조작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는, 가동 조작 부재의 양단 부분의 각각이, 제2의 금속 부재를 관통하여 지지된 가동 계합 계지부를 이룸과 아울러, 제1의 금속 부재에 고정 계합 계지부가 형성되어 있어, 제2의 하우징이 제1의 하우징과의 계합 상태를 취하는 하에서, 가동 조작 부재가 제1의 정지 위치를 취할 때, 당해 가동 조작 부재가,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캠부에 따라 변위하여 탄성변형시켜지게 된 상태에 놓여지고, 가동 계합 계지부에 고정 계합 계지부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취하게 하여 제2의 하우징을 제1의 하우징에 대해 기계적으로 계지하고, 또 가동 조작 부재가 제2의 정지 위치를 취할 때, 당해 가동 조작 부재가,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캠부에 따라 변위하여 탄성변형시켜지게 된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되돌려지고, 가동 계합 계지부에 고정 계합 계지부에 대한 계합 계지 해제 상태를 취하게 하여 제2의 하우징을 제1의 하우징에 대한 기계적인 계지로부터 해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
특히,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캠부가, 제2의 금속 부재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설치된다.
또,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제2의 하우징이 제1의 하우징과의 계합 상태를 취하는 하에서, 가동 조작 부재가 제2의 정지 위치로부터 제1의 정지 위치로 변위할 때, 제2의 금속 부재를 관통하여 지지된 가동 계합 계지부가 제1의 방향으로 변위하여 고정 계합 계지부에 계합하고, 또 가동 조작 부재가 제1의 정지 위치로부터 제2의 정지 위치로 변위할 때, 제2의 금속 부재를 관통하여 지지된 가동 계합 계지부가 제1의 방향과는 역의 제2의 방향으로 변위하여 고정 계합 계지부로부터 이격한다.
상술과 같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제2의 커넥터의 제2의 하우징이 제1의 커넥터의 제1의 하우징과의 계합 상태를 취할 때, 제2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복수의 제2의 콘택트가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복수의 제1의 콘택트에 각각 접촉 접속된다. 또, 전체가 굴곡 봉상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제2의 하우징에 배치된 가동 조작 부재의 양단 부분의 각각이, 제2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2의 금속 부재를 관통하여 지지된 가동 계합 계지부를 이룸과 아울러,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1의 금속 부재에 고정 계합 계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의 하우징이 제1의 하우징과의 계합 상태를 취하는 하에 있어서, 가동 조작 부재가 제1의 정지 위치를 취할 때, 그 가동 조작 부재가,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캠부에 따라 변위하여 탄성변형시켜지게 된 상태에 놓여지고, 이에 의해 가동 계합 계지부에 고정 계합 계지부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취하게 하여 제2의 하우징을 제1의 하우징에 대해 기계적으로 계지한다. 또, 제2의 하우징이 제1의 하우징과의 계합 상태를 취하고, 제2의 하우징이 제1의 하우징에 대해 계지된 하에서, 가동 조작 부재가 제2의 정지 위치를 취할 때, 그 가동 조작 부재가,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캠부에 따라 변위하여 탄성변형시켜지게 된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되돌려지고, 가동 계합 계지부에 고정 계합 계지부에 대한 계합 계지 해제 상태를 취하게 하여 제2의 하우징을 제1의 하우징에 대한 기계적인 계지로부터 해방한다.
즉, 가동 조작 부재의 양단 부분의 각각이 이루는 가동 계합 계지부가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1의 금속 부재에 형성된 고정 계합 계지부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취하고, 제2의 하우징을 제1의 하우징에 대해 기계적으로 계지하는 경우에는, 가동 조작 부재가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캠부에 의해 탄성변형시켜지게 된 상태에 있고, 또 가동 조작 부재의 양단 부분의 각각이 이루는 가동 계합 계지부가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1의 금속 부재에 형성된 고정 계합 계지부에 대한 계합 계지 해제 상태를 취하고, 제2의 하우징을 제1의 하우징에 대한 기계적인 계지로부터 해방하는 경우에는, 가동 조작 부재가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캠부에 의해 탄성변형시켜지게 된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되돌려져 있는 것이다.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캠부는,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와 마찬가지로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제2의 금속 부재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설치된다.
또한,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제2의 금속 부재를 관통하여 지지된 가동 계합 계지부는,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와 마찬가지로 제2의 하우징이 제1의 하우징과의 계합 상태를 취하는 하에서, 가동 조작 부재가 제2의 정지 위치로부터 제1의 정지 위치로 변위할 때, 제1의 방향으로 변위하여 고정 계합 계지부에 계합하고, 또 가동 조작 부재가 제1의 정지 위치로부터 제2의 정지 위치로 변위할 때, 제1의 방향과는 역의 제2의 방향으로 변위하여 고정 계합 계지부로부터 이격한다.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가동 조작 부재의 양단 부분의 각각이 이루는 가동 계합 계지부가,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1의 금속 부재에 형성된 고정 계합 계지부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취하고, 제2의 하우징을 제1의 하우징에 대해 기계적으로 계지하는 경우에는, 양단 부분의 각각이 가동 계합 계지부를 이루게 된 가동 조작 부재가,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캠부에 의해 탄성변형시켜지게 된 상태에 있고, 또 가동 계합 계지부가 고정 계합 계지부에 대한 계합 계지 해제 상태를 취하고, 제2의 하우징을 제1의 하우징에 대한 기계적인 계지로부터 해방하는 경우에는, 양단 부분의 각각이 가동 계합 계지부를 이루게 된 가동 조작 부재가,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캠부에 의해 탄성변형시켜지게 된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되돌려진다. 이와 같이 제2의 하우징이 제1의 하우징에 대해 기계적으로 계지될 때에는, 양단 부분의 각각이 가동 계합 계지부를 이루게 된 가동 조작 부재가 탄성변형시켜지게 되고, 이에 의해 가동 계합 계지부에 고정 계합 계지부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강제적으로 취하게 하므로, 예를 들어 제2의 하우징이 제1의 하우징에 대해 기계적으로 계지되는 상태와 제2의 하우징이 제1의 하우징에 대한 기계적인 계지로부터 해방되는 상태가 반복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탄성변형시켜지게 된 가동 조작 부재의 양단 부분의 각각이 이루는 가동 계합 계지부를 고정 계합 계지부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적정하고 또한 확실하게 취하게 할 수가 있고, 그 결과, 제2의 하우징에 대한 제1의 하우징에 대한 계지를 충분한 신뢰성을 가지고 안정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가동 조작 부재의 양단 부분의 각각이 이루는 가동 계합 계지부가 제2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2의 금속 부재를 관통하여 지지됨과 아울러, 고정 계합 계지부가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1의 금속 부재에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대체로 큰 강성을 가진 제2의 금속 부재를 관통하여 지지된 가동 계합 계지부가 대체로 큰 강성을 가진 제1의 금속 부재에 형성된 고정 계합 계지부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취하게 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제1 및 제2의 커넥터의 각각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도모되어 제1의 하우징 및 제2의 하우징의 각각의 두께 등이 저감시켜지는 하에 있어서도, 가동 계합 계지부에 의한 고정 계합 계지부에 대한 계합 계지를 강고하게 행할 수가 있고, 그 결과, 제2의 하우징에 대한 제1의 하우징에 대한 계지를 충분한 신뢰성을 가지고 견고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가동 계합 계지부에 의한 고정 계합 계지부에 대한 계합 계지를 해제하는데 즈음해서의 조작은, 제2의 커넥터의 제2의 하우징에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의 정지 위치와 제2의 정지 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가 있는 가동 조작 부재를 제1의 정지 위치로부터 제2의 정지 위치로 변위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므로, 제2의 하우징에 대한 제1의 하우징에 대한 계지의 해제를 특별한 공구 등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 매우 간단하고 용이한 조작에 의해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 플러그(plug) 커넥터 및 가동 조작 부재를 개개로 분리된 상태를 가지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리셉터클 커넥터가 구비하는 제1의 금속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가 구비하는 한 쌍의 제2의 금속 부재 중의 일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가 구비하는 한 쌍의 제2의 금속 부재 중의 타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상호 감합하여 도 1에 나타난 가동 조작 부재가 제1의 정지 위치를 취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상호 감합하여 도 1에 나타난 가동 조작 부재가 제1의 정지 위치를 취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상호 감합하여 도 1에 나타난 가동 조작 부재가 제1의 정지 위치를 취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있어서의 2점 쇄선 테두리 A 내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있어서의 2점 쇄선 테두리 B 내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있어서의 X-X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난 가동 조작 부재가 제1의 정지 위치를 취하는 하에서의 당해 가동 조작 부재와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제2의 금속 부재와의 상호 계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있어서의 2점 쇄선 테두리 C 내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나타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상호 감합하여 도 1에 나타난 가동 조작 부재가 제2의 정지 위치를 취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나타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상호 감합하여 도 1에 나타난 가동 조작 부재가 제2의 정지 위치를 취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나타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상호 감합하여 도 1에 나타난 가동 조작 부재가 제2의 정지 위치를 취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있어서의 2점 쇄선 테두리 D 내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4에 있어서의 2점 쇄선 테두리 E 내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에 있어서의 XVIII-XVIII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에 나타난 가동 조작 부재가 제1의 정지 위치로부터 제2의 정지 위치로 이행하는 과정에 있는 하에서의 당해 가동 조작 부재와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제2의 금속 부재와의 상호 계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에 나타난 가동 조작 부재가 제2의 정지 위치를 취하는 하에서의 당해 가동 조작 부재와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제2의 금속 부재와의 상호 계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8에 있어서의 2점 쇄선 테두리 F 내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에 나타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각각의 하우징이 배선 기판에 고정된 하에서 상호 감합하여 도 1에 나타난 가동 조작 부재가 제1의 정지 위치를 취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1에 나타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각각의 하우징이 배선 기판에 고정된 하에서 상호 감합하여 도 1에 나타난 가동 조작 부재가 제1의 정지 위치를 취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1에 나타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각각의 하우징이 배선 기판에 고정된 하에서 상호 감합하여 도 1에 나타난 가동 조작 부재가 제1의 정지 위치를 취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22에 나타난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의, 가동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연결부 및 가동 계합 계지부와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2의 금속 부재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의 고정 계합 계지부와의 계합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에 있어서의 2점 쇄선 테두리 G 내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22에 나타난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의, 가동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연결부 및 가동 계합 계지부와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2의 금속 부재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의 고정 계합 계지부와의 계합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2에 나타난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의, 가동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연결부 및 가동 계합 계지부와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2의 금속 부재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의 고정 계합 계지부와의 계합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본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는 이하에 서술되는 본원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된다.
도 1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제1의 커넥터를 이루는 리셉터클 커넥터(11), 제2의 커넥터를 이루는 플러그 커넥터(12) 및 가동 조작 부재(13)를 서로 분리된 상태를 가지고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난 리셉터클 커넥터(11)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15)(제1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11)가 실용에 제공될 때에는, 하우징(15)은 후술되는 도 7에 가상선을 가지고 나타나 있는 한 쌍의 서로 대면 근접하게 된 배선 기판(16, 29) 중의 하방측에 위치하는 배선 기판(16)에 있어서의 도 7에 있어서 상방을 향한 면(이하, 상면이라고 함)에 고정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하우징(15)은 배선 기판(16)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하우징(15)에는 각각이 탄성을 가진 도전성 판재에 의해 형성된 굴곡 띠모양 부재를 이루는 복수의 리셉터클측(receptacle saide) 콘택트(17)(제1의 콘택트(contact))가 상호 대향하는 2개의 열을 이루어 배열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트(17)의 각각에는 배선 기판(16)의 상면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16a)(후술되는 도 23에 나타나 있음)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17a)와, 후술되는 플러그 커넥터(12)에 구비되는 플러그측(plug side) 콘택트(contact)에 맞닿는 접촉 접속부(17b)가 각각 띠모양 부재의 양단 부분을 이루는 것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 하우징(15)에는 제1의 금속 부재(18)가 고정되어 있다. 제1의 금속 부재(18)는 도 2에 단독으로 나타나 있고, 이러한 도 2로부터 명료하게 파악할 수 있듯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통상체를 이루고 있고, 하우징(15)의 외주면부를 배선 기판(16)의 상면을 따라 포위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1의 금속 부재(18)에는 배선 기판(16)의 상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기판 연결부(19)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한 쌍의 고정 계합 계지부(20, 21)가 형성되어 있다. 제1의 금속 부재(18)는 거기에 설치된 복수의 기판 연결부(19)가 배선 기판(16)의 상면에 연결됨으로써, 하우징(15)과 함께 배선 기판(16)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제1의 금속 부재(18)는 하우징(15)의 배선 기판(16)에 대한 고정에 기여하게 되어 있다. 또, 한 쌍의 고정 계합 계지부(20, 21)는 각각이 하우징(15)에 있어서의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트(17)의 배열 방향(이하, 제1의 콘택트 배열 방향이라고 함)의 양단부(2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어, 고정 계합 계지부(20)에, 예를 들면, 절결부(notch part)(20a)(도 1)가 형성되어 있고, 또 고정 계합 계지부(21)에, 예를 들면, 절결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계합 계지부(20, 21)의 각각은 이에 대해 후술되는 가동 조작 부재(13)에 설치되는 가동 계합 계지부가 계합 계지 상태를 취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1의 금속 부재(18)에 설치된 한 쌍의 고정 계합 계지부(20, 21)는 배선 기판(16)의 상면을 따름과 아울러 제1의 콘택트 배열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12)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23)(제2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고, 플러그 커넥터(12)가 실용에 제공될 때에는, 하우징(23)은 후술되는 도 7에 가상선을 가지고 나타나 있는 한 쌍의 서로 대면 근접하게 된 배선 기판(16, 29) 중의 상방측에 위치하는 배선 기판(29)에 있어서의 도 7에 있어서 하방을 향한 면(이하, 하면이라고 함)에 고정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하우징(23)은 배선 기판(29)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하우징(23)에는 각각이 탄성을 가진 도전성 판재에 의해 형성된 굴곡 띠모양 부재를 이루는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트(24)(제2의 콘택트)가 상호 대향하는 2개의 열을 이루어 배열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트(24)의 각각에는 배선 기판(29)의 하면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도시가 생략되어 있음)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24a)와, 제1의 커넥터를 이루는 리셉터클 커넥터(11)가 구비하는 리셉터클측 콘택트(17)에 설치된 접촉 접속부(17b)에 맞닿게 되는 접촉 접속부(도시가 생략되어 있음)가 플러그측 콘택트(24)의 양단 부분을 이루는 것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3)은 배선 기판(29)의 하면에 대접(對接)하는 평판 형상부(25)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평판 형상부(25)의 외면부에는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트(24)에 설치된 기판 접속부(24a)가 배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3)에는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트(24)의 배열 방향(이하, 제2의 콘택트 배열 방향이라고 함)에 있어서의 양단부인 한 쌍의 단부(26)에, 한 쌍의 제2의 금속 부재를 이루는 금속 부재(27) 및 금속 부재(28)가 제2의 콘택트 배열 방향에 대해 상호 대향하는 것으로서 각각 장착되어 있다.
금속 부재(27)는 도 3에 나타나듯이 하우징(23)에 있어서의 한 쌍의 단부(26)의 일방의 외주면부를 덮는 コ자 형상부(30)를 가지고 있고, コ자 형상부(30)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0a)에는 투공(31)(도 1에 나타나 있음)이 형성되어 있고, 또 コ자 형상부(30)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0a)의 양단부로부터 뻗어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 부분의 각각에는 기판 연결부(32)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コ자 형상부(30)에 있어서의 한 쌍의 측벽 부분 중의 일방의 자유 단부에는 그것으로부터 뻗는 캠부(33)가 금속 부재(27)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캠부(33)는 제1의 단면부(34a) 및 제2의 단면부(34b)를 포함하는 캠 단면(34)을 가지고 있다. 투공(31)은 이를 후술되는 가동 조작 부재(13)에 설치되는 가동 계합 계지부가 계합하게 되어 있고, 또 캠부(33)는 거기에 설치된 캠 단면(34)에 따라 가동 조작 부재(13)가 변위하게 되어 있다.
또, 금속 부재(28)는 도 4에 나타나듯이 하우징(23)에 있어서의 한 쌍의 단부(26)의 타방의 외주면부를 덮는 コ자 형상부(35)를 가지고 있고, コ자 형상부(35)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5a)에 투공(36)이 형성되어 있고, 또 コ자 형상부(35)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5a)의 양단부로부터 뻗어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 부분의 각각에는 기판 연결부(37)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コ자 형상부(35)에 있어서의 한 쌍의 측벽 부분 중의 일방의 자유 단부에는 그것으로부터 뻗는 캠부(38)가 금속 부재(28)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캠부(38)는 제1의 단면부(39a) 및 제2의 단면부(39b)를 포함하는 캠 단면(39)을 가지고 있다. コ자 형상부(35)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5a)에 형성된 투공(36)은 이를 후술되는 가동 조작 부재(13)에 설치되는 가동 계합 계지부가 계합하게 되어 있고, 또 캠부(38)는 거기에 설치된 캠 단면(39)에 따라 가동 조작 부재(13)가 변위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23)에 있어서의 한 쌍의 단부(26)에 각각 장착된 한 쌍의 제2의 금속 부재를 이루는 금속 부재(27) 및 금속 부재(28)는, 금속 부재(27)에 있어서의 한 쌍의 기판 연결부(32) 및 금속 부재(28)에 있어서의 한 쌍의 기판 연결부(37)가 배선 기판(29)의 하면에 연결됨으로써, 하우징(23)과 함께 배선 기판(29)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제2의 금속 부재를 이루는 금속 부재(27) 및 금속 부재(28)는 하우징(23)의 배선 기판(29)에 대한 고정에 기여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난 가동 조작 부재(13)는 그 전체가,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진 봉상 금속재료에 굴곡 가공이 이루어져 형성된 굴곡 봉상체를 이루는 것으로 되어 있고, 플러그 커넥터(12)의 하우징(23)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하우징(23)에 대해 엎드린 제1의 정지 위치와 하우징(23)에 대해 일어선 제2의 정지 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한다. 그리고, 가동 조작 부재(13)는 플러그 커넥터(12)의 하우징(23)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었을 때, 제2의 콘택트 배열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뻗게 되는 중간부(40)와, 중간부(40)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굴곡하여 뻗는 한 쌍의 연결부(41, 42)와, 연결부(41)로부터 더 굴곡하여 뻗는 단부(43)와, 연결부(42)로부터 더 굴곡하여 뻗는 단부(44)를 가지고 있다.
연결부(41)는 제1의 연결 부분(41a), 제2의 연결 부분(41b) 및 제3의 연결 부분(41c)을 포함하고 굴곡하여 뻗어, 중간부(40)의 일단과 단부(43)를 연결하게 되어 있다. 또, 연결부(42)도 제1의 연결 부분(42a), 제2의 연결 부분(42b) 및 제3의 연결 부분(42c)을 포함하고 굴곡하여 뻗어, 중간부(40)의 타단과 단부(44)를 연결하게 되어 있다.
단부(43)는 가동 조작 부재(13)의 일단부로서, 플러그 커넥터(12)에 있어서의 금속 부재(27)의 コ자 형상부(30)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투공(31)에 계합하여 금속 부재(27)를 관통하고, 금속 부재(27)에 의해 지지되는 가동 계합 계지부를 이루고 있다(이하, 단부(43)를 가동 계합 계지부(43)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단부(44)는 가동 조작 부재(13)의 타단부로서, 플러그 커넥터(12)에 있어서의 금속 부재(28)의 コ자 형상부(35)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투공(36)에 계합하여 금속 부재(28)를 관통하고, 금속 부재(28)에 의해 지지되는 가동 계합 계지부를 이루고 있다(이하, 단부(44)를 가동 계합 계지부(44)라고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동 조작 부재(13)는 그 일단부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43)가 플러그 커넥터(12)에 있어서의 금속 부재(27)에 형성된 투공(31)에 계합하여 금속 부재(27)를 관통하고, 금속 부재(27)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그 타단부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44)가 플러그 커넥터(12)에 있어서의 금속 부재(28)에 형성된 투공(36)에 계합하여 금속 부재(28)를 관통하고, 금속 부재(28)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가지고, 플러그 커넥터(12)의 하우징(23)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하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가동 조작 부재(13)를 수반한 플러그 커넥터(12)의 하우징(23)이 고정된 배선 기판(29)에 있어서의 하면이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5)이 고정된 배선 기판(16)에 있어서의 상면에 대향하게 되어, 배선 기판(29)이 배선 기판(16)에 대면 근접하여 중합시켜질 때, 제1의 커넥터를 이루는 리셉터클 커넥터(11)와 제2의 커넥터를 이루는 플러그 커넥터(12)가 상호 계합 상태를 취한다. 이러한 때에는 도 5~7 및 도 13~15에 나타나듯이 플러그 커넥터(12)의 하우징(23)이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5)에 감합하게 된다. 또한, 도 5(사시도), 도 6(평면도), 도 13(사시도) 및 도 14(평면도)에 있어서는 편의상 배선 기판(16, 29)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고, 도 7(측면도) 및 도 15(측면도)에 있어서는 편의상 배선 기판(16, 29)의 각각이 가상선을 가지고 나타나 있다.
이 때에 플러그 커넥터(12)의 하우징(23)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트(24)가 각각 가지는 복수의 접촉 접속부가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5)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트(17)가 각각 가지는 복수의 접촉 접속부(17b)에 맞닿아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트(24)와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트(17)가 각각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 상태에 있다.
도 5~7에 나타난 상호 계합 상태에 있던 리셉터클 커넥터(11) 및 플러그 커넥터(12)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12)의 하우징(23)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가동 조작 부재(13)가 하우징(23)에 대해 엎드린 제1의 정지 위치를 취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하에서는 도 5에 있어서의 2점 쇄선 테두리 A내를 확대 도시하는 도 8, 도 6에 있어서의 2점 쇄선 테두리 B내를 확대 도시하는 도 9, 및 도 6에 있어서의 X-X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 10에 나타나듯이, 가동 조작 부재(13)의 연결부(41)에 있어서의 제2의 연결 부분(41b)이 플러그 커넥터(12)의 금속 부재(27)에 설치된 캠부(33)에 있어서의 캠 단면(34)에 포함되는 제1의 단면부(34a)에 맞닿아 위치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가동 조작 부재(13)의 연결부(42)에 있어서의 제2의 연결 부분(42b)도 플러그 커넥터(12)의 금속 부재(28)에 설치된 캠부(38)에 있어서의 캠 단면(39)에 포함되는 제1의 단면부(39a)에 맞닿아 위치 결정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41)에 있어서의 제2의 연결 부분(41b)이 캠부(33)에 있어서의 캠 단면(34)에 포함되는 제1의 단면부(34a)에 맞닿아 위치 결정됨과 아울러, 연결부(42)에 있어서의 제2의 연결 부분(42b)이 캠부(38)에 있어서의 캠 단면(39)에 포함되는 제1의 단면부(39a)에 맞닿아 위치 결정되게 된 가동 조작 부재(13)는 캠부(33) 및 캠부(38)에 의해 연결부(41)와 연결부(42)를 상호 이격시키도록 탄성변형시켜지게 된다. 이에 의해 가동 조작 부재(13)는 연결부(41)로부터 굴곡하여 뻗어 플러그 커넥터(12)에 있어서의 금속 부재(27)에 형성된 투공(31)에 계합하여 금속 부재(27)를 관통하고, 금속 부재(27)에 의해 지지된 가동 계합 계지부(43)를 금속 부재(27)의 외방을 향해 변위시킴과 아울러, 연결부(42)로부터 굴곡하여 뻗어 플러그 커넥터(12)에 있어서의 금속 부재(28)에 형성된 투공(36)에 계합하여 금속 부재(28)를 관통하고, 금속 부재(28)에 의해 지지된 가동 계합 계지부(44)가 금속 부재(28)의 외방을 향해 변위시키는 상태에 놓여진다.
도 11은 이러한 때에 있어서의 제1의 정지 위치를 취하는 상태에 있는 가동 조작 부재(13)와 플러그 커넥터(12)의 금속 부재(27, 28)와의 상호 계합 상태를 플러그 커넥터(12) 및 금속 부재(27, 28)만을 취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나타나듯이 제1의 정지 위치를 취하여 캠부(33) 및 캠부(38)에 의해 연결부(41)와 연결부(42)를 상호 이격시키도록 탄성변형시켜지게 된 가동 조작 부재(13)는 가동 계합 계지부(43)를 투공(31)을 통해서 금속 부재(27)의 コ자 형상부(30)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0a)으로부터 그 외부로 돌출시키고, 또 가동 계합 계지부(44)를 투공(36)을 통해서 금속 부재(28)의 コ자 형상부(35)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5a)으로부터 그 외부로 돌출시킨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제1의 커넥터를 이루는 리셉터클 커넥터(11)와 제2의 커넥터를 이루는 플러그 커넥터(12)가 상호 계합 상태를 취하게 되었을 때에는, 플러그 커넥터(12)에 구비된 금속 부재(27)의 コ자 형상부(30)에 있어서의 투공(31)이 형성된 중앙 부분(30a)가,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있어서의 절결부(21a)가 형성된 고정 계합 계지부(21)에 근접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됨과 아울러, 플러그 커넥터(12)에 구비된 금속 부재(28)의 コ자 형상부(35)에 있어서의 투공(36)이 형성된 중앙 부분(35a)이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있어서의 절결부(notch part)(20a)가 형성된 고정 계합 계지부(20)에 근접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가동 조작 부재(13)가 하우징(23)에 대해 엎드린 제1의 정지 위치를 취하게 되면, 도 10 및 도 10에 있어서의 2점 쇄선 테두리 C내를 확대 도시하는 도 12에 나타나듯이, 전술과 같이 하여 플러그 커넥터(12)에 구비된 금속 부재(27)의 コ자 형상부(30)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0a)에 형성된 투공(31)을 통해서 금속 부재(27)의 コ자 형상부(30)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0a)의 외부로 돌출하는,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43)가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있어서의 고정 계합 계지부(21)에 형성된 절결부(21a)에 계합하여, 고정 계합 계지부(21)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취한다. 또, 이와 아울러 도 10에 나타나듯이, 전술과 같이 하여 플러그 커넥터(12)에 구비된 금속 부재(28)의 コ자 형상부(35)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5a)에 형성된 투공(36)을 통해서 금속 부재(28)의 コ자 형상부(35)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5a)의 외부로 돌출하는,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44)가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있어서의 고정 계합 계지부(20)에 형성된 절결부(20a)에 계합하여, 고정 계합 계지부(20)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취한다.
이러한 때에는 도 12에 나타나듯이,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43)가 그 중심축 방향이 금속 부재(27)의 コ자 형상부(30)에 있어서의 투공(31)이 형성된 중앙 부분(30a)에 대해 직교하게 되는 자세를 취하게 되고, 또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44)가 그 중심축 방향이 금속 부재(28)의 コ자 형상부(35)에 있어서의 투공(36)이 형성된 중앙 부분(35a)에 대해 직교하게 되는 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43)가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설치된 고정 계합 계지부(21)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취함과 아울러,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44)가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설치된 고정 계합 계지부(20)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취하는 하에 있어서는, 제1의 정지 위치를 취하는 가동 조작 부재(13)가 플러그 커넥터(12)의 하우징(23)을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5)에 대해 기계적으로 계지하게 된다. 그리고, 가동 조작 부재(13)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2)의 하우징(23)이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5)에 대해 기계적으로 계지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11)와 플러그 커넥터(12)와의 상호 계합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이어서 가동 조작 부재(13)가 도 5~7에 나타난 하우징(23)에 대해 엎드린 제1의 정지 위치로부터 도 13~15에 나타난 하우징(23)에 대해 일어선 제2의 정지 위치로 이행하게 되면, 이러한 이행에 즈음하여 가동 조작 부재(13)의 연결부(41)가 플러그 커넥터(12)의 금속 부재(27)에 설치된 캠부(33)의 캠 단면(34)에 안내되어 이동함과 아울러, 가동 조작 부재(13)의 연결부(42)가 플러그 커넥터(12)의 금속 부재(28)에 설치된 캠부(38)의 캠 단면(39)에 안내되어 이동한다.
그리고, 가동 조작 부재(13)가 제2의 정지 위치에의 이행을 완료했을 때에는, 도 13에 있어서의 2점 쇄선 테두리 D내를 확대 도시하는 도 16, 도 14에 있어서의 2점 쇄선 테두리 E내를 확대 도시하는 도 17, 및 도 14에 있어서의 XVIII-XVIII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 18에 나타나듯이, 가동 조작 부재(13)의 연결부(41)에 있어서의 제3의 연결 부분(41c)이 플러그 커넥터(12)의 금속 부재(27)에 설치된 캠부(33)에 있어서의 캠 단면(34)에 포함되는 제2의 단면부(34b)에 맞닿아 위치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가동 조작 부재(13)의 연결부(42)에 있어서의 제3의 연결 부분(42c)도 플러그 커넥터(12)의 금속 부재(28)에 설치된 캠부(38)에 있어서의 캠 단면(39)에 포함되는 제2의 단면부(39b)에 맞닿아 위치 결정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41)에 있어서의 제3의 연결 부분(41c)이 캠부(33)에 있어서의 캠 단면(34)에 포함되는 제2의 단면부(34b)에 맞닿아 위치 결정됨과 아울러, 연결부(42)에 있어서의 제3의 연결 부분(42c)이 캠부(38)에 있어서의 캠 단면(39)에 포함되는 제2의 단면부(39b)에 맞닿아 위치 결정되게 된 가동 조작 부재(13)는 캠부(33) 및 캠부(38)에 의해 연결부(41)와 연결부(42)를 상호 이격시키도록 탄성변형시켜지게 된 상태로부터, 스스로의 탄성에 의해 연결부(41)와 연결부(42)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탄성변형시켜져 있지 않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에 의해 가동 조작 부재(13)는 연결부(41)로부터 굴곡하여 뻗어 플러그 커넥터(12)에 있어서의 금속 부재(27)에 형성된 투공(31)에 계합하여 금속 부재(27)를 관통하고, 금속 부재(27)에 의해 지지된 가동 계합 계지부(43)를 금속 부재(27)의 내측을 향해 변위시킴과 아울러, 연결부(42)로부터 굴곡하여 뻗어 플러그 커넥터(12)에 있어서의 금속 부재(28)에 형성된 투공(36)에 계합하여 금속 부재(28)를 관통하고, 금속 부재(28)에 의해 지지된 가동 계합 계지부(44)가 금속 부재(28)의 내측을 향해 변위시키는 상태에 놓여진다.
도 19는 이러한 때에 있어서 제1의 정지 위치로부터 제2의 정지 위치로 이행하는 과정에 있는 가동 조작 부재(13)와 플러그 커넥터(12)의 금속 부재(27, 28)와의 상호 계합 상태를 가동 조작 부재(13) 및 금속 부재(27, 28)만을 취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0은 제2의 정지 위치를 취하는 가동 조작 부재(13)와 플러그 커넥터(12)의 금속 부재(27, 28)와의 상호 계합 상태를 가동 조작 부재(13) 및 금속 부재(27, 28)만을 취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20에 나타나듯이 제2의 정지 위치를 취하여 탄성변형시켜져 있지 않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온 가동 조작 부재(13)는 가동 계합 계지부(43)를 투공(31)을 통해서 금속 부재(27)의 コ자 형상부(30)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0a)의 내측으로 끌어 들여,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설치된 고정 계합 계지부(21)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도록 변위시키고, 또 가동 계합 계지부(44)를 투공(36)을 통해서 금속 부재(28)의 コ자 형상부(35)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5a)의 내측으로 끌어 들여,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설치된 고정 계합 계지부(2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도록 변위시킨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제1의 커넥터를 이루는 리셉터클 커넥터(11)와 제2의 커넥터를 이루는 플러그 커넥터(12)가 상호 계합 상태를 취하는 하에서, 가동 조작 부재(13)가 하우징(23)에 대해 일어선 제2의 정지 위치를 취하게 되면, 도 18 및 도 18에 있어서의 2점 쇄선 테두리 F내를 확대 도시하는 도 21에 나타나듯이, 전술과 같이 하여 플러그 커넥터(12)에 구비된 금속 부재(27)의 コ자 형상부(30)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0a)에 형성된 투공(31)을 통해서 금속 부재(27)의 コ자 형상부(30)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0a)의 내측으로 끌어 들여지고,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설치된 고정 계합 계지부(21)로부터 이격하기 위해 변위시켜진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43)가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있어서의 고정 계합 계지부(21)에 형성된 절결부(21a)와의 계합을 해제하고, 고정 계합 계지부(21)에 대한 계합 계지 해제 상태를 취한다. 또, 이와 아울러 도 18에 나타나듯이, 전술과 같이 하여 플러그 커넥터(12)에 구비된 금속 부재(28)의 コ자 형상부(35)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5a)에 형성된 투공(36)을 통해서 금속 부재(28)의 コ자 형상부(35)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5a)의 내측으로 끌어 들여지고,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설치된 고정 계합 계지부(20)로부터 이격하기 위해 변위시켜진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44)가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있어서의 고정 계합 계지부(20)에 형성된 절결부(20a)와의 계합을 해제하고, 고정 계합 계지부(20)에 대한 계합 계지 해제 상태를 취한다.
이러한 때에는 도 21에 나타나듯이,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43)가 그 중심축 방향이 금속 부재(27)의 コ자 형상부(30)에 있어서의 투공(31)이 형성된 중앙 부분(30a)에 대해 경사지게 되는 자세를 취하게 되고, 또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44)가 그 중심축 방향이 금속 부재(28)의 コ자 형상부(35)에 있어서의 투공(36)이 형성된 중앙 부분(35a)에 대해 경사지게 되는 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43)가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설치된 고정 계합 계지부(21)에 대한 계합 계지 해제 상태를 취함과 아울러,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44)가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설치된 고정 계합 계지부(20)에 대한 계합 계지 해제 상태를 취하는 하에 있어서는, 제2의 정지 위치를 취하는 가동 조작 부재(13)가 플러그 커넥터(12)의 하우징(23)을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5)에 대한 기계적인 계지로부터 해방하게 된다. 그리고, 가동 조작 부재(13)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2)의 하우징(23)이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5)에 대한 기계적인 계지로부터 해방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11)와 플러그 커넥터(12)와의 상호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22는 상술의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1), 플러그 커넥터(12) 및 가동 조작 부재(13)에 대해 리셉터클 커넥터(11)가 그 하우징(15)이 배선 기판(16)의 상면에 고정되게 됨과 아울러, 플러그 커넥터(12)가 그 하우징(23)이 배선 기판(29)과는 다른 배선 기판(50)의 하면에 고정되게 된 하에서, 배선 기판(50)에 있어서의 하면이 배선 기판(16)에 있어서의 상면에 대향하게 되어 배선 기판(50)이 배선 기판(16)에 대면 근접하여 중합되어, 리셉터클 커넥터(11)와 플러그 커넥터(12)가 상호 계합 상태를 취하고, 또한 가동 조작 부재(13)가 제1의 정지 위치를 취하게 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3(사시도) 및 도 24(평면도)에 나타나듯이 플러그 커넥터(12)의 하우징(23)이 하면에 고정된 배선 기판(50)에는 한 쌍의 투공(51, 52)이 설치되어 있다. 투공(51)은 이를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연결부(41), 즉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일단부인 가동 계합 계지부(43)의 근방 부분이 관통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또 투공(52)은 이를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연결부(42), 즉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타단부인 가동 계합 계지부(44)의 근방 부분이 관통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선 기판(50)에 있어서의 하면에 대향하는 상면의 외부로부터 투공(51)을 통해서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연결부(41) 및 가동 계합 계지부(43)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12)에 있어서의 금속 부재(27) 및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있어서의 고정 계합 계지부(21)와의 계합 상태를 들여다 볼 수가 있고, 마찬가지로 배선 기판(50)의 상면의 외부로부터 투공(52)을 통해서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연결부(42) 및 가동 계합 계지부(44)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12)에 있어서의 금속 부재(28) 및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있어서의 고정 계합 계지부(20)와의 계합 상태를 들여다 볼 수가 있다.
또,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5)이 상면에 고정된 배선 기판(16)에는 복수의 배선 단자부(16a)가 배열 배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배선 단자부(16a)에는 리셉터클 커넥터(11)에 있어서의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트(17)의 기판 접속부(17a)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1)와 플러그 커넥터(12)가 상호 계합 상태를 취하고, 가동 조작 부재(13)가 제1의 정지 위치를 취한 하에서, 도 25에 나타나듯이,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43)가 플러그 커넥터(12)에 구비된 금속 부재(27)의 コ자 형상부(30)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0a)에 형성된 투공(31)을 통해서 금속 부재(27)의 コ자 형상부(30)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0a)의 외부로 돌출하며,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있어서의 고정 계합 계지부(21)에 형성된 절결부(21a)에 계합하여, 고정 계합 계지부(21)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적정하게 취하게 될 때에는, 도 24에 있어서의 2점 쇄선 테두리 G 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 26에 나타나듯이, 배선 기판(50)의 상면의 외부로부터 배선 기판(50)에 설치된 투공(51)을 통해서 들여다 볼 수가 있는,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연결부(41) 및 가동 계합 계지부(43)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12)에 있어서의 금속 부재(27) 및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있어서의 고정 계합 계지부(21)와의 계합 상태에 있어서는,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43)가 그 대부분이 플러그 커넥터(12)에 구비된 금속 부재(27) 및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있어서의 고정 계합 계지부(21)에 의해 숨겨지고, 그 약간의 부분이 금속 부재(27)와 고정 계합 계지부(21)와의 사이에 있어서 보이는 것에 지나지 않게 된다.
또, 이러한 때에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44)가 플러그 커넥터(12)에 구비된 금속 부재(28)의 コ자 형상부(35)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5a)에 형성된 투공(36)을 통해서 금속 부재(28)의 コ자 형상부(35)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5a)의 외부로 돌출하며,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있어서의 고정 계합 계지부(20)에 형성된 절결부(20a)에 계합하여, 고정 계합 계지부(20)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적정하게 취하게 될 때에는, 배선 기판(50)의 상면의 외부로부터 배선 기판(50)에 설치된 투공(52)을 통해서 들여다 볼 수가 있는,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연결부(42) 및 가동 계합 계지부(44)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12)에 있어서의 금속 부재(28) 및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있어서의 고정 계합 계지부(20)와의 계합 상태에 있어서는,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44)가 그 대부분이 플러그 커넥터(12)에 구비된 금속 부재(28) 및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있어서의 고정 계합 계지부(20)에 의해 숨겨지고, 그 약간의 부분이 금속 부재(28)와 고정 계합 계지부(20)와의 사이에 있어서 보이는 것에 지나지 않게 된다.
이에 반해 리셉터클 커넥터(11)와 플러그 커넥터(12)가 상호 계합 상태를 취하고, 가동 조작 부재(13)가 제1의 정지 위치를 취한 하에서, 예를 들면, 도 27에 나타나듯이,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43)가 플러그 커넥터(12)에 구비된 금속 부재(27)의 コ자 형상부(30)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0a)에 형성된 투공(31)을 통해서 금속 부재(27)의 コ자 형상부(30)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0a)의 외부로 돌출하지만,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있어서의 고정 계합 계지부(21)에 형성된 절결부(21a)에는 계합하지 않고, 고정 계합 계지부(21)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적정하게 취하게 되지 않을 때에는, 도 28에 나타나듯이, 배선 기판(50)의 상면의 외부로부터 배선 기판(50)에 설치된 투공(51)을 통해서 들여다 볼 수가 있는,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연결부(41) 및 가동 계합 계지부(43)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12)에 있어서의 금속 부재(27) 및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있어서의 고정 계합 계지부(21)와의 계합 상태에 있어서는,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43)가 그 일부분이 플러그 커넥터(12)에 구비된 금속 부재(27)에 의해 숨겨지지만, 다른 부분은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있어서의 고정 계합 계지부(21)에 의해 숨겨지는 일이 없이 고정 계합 계지부(21)의 상방으로 보이게 된다.
또, 이러한 때에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44)가 플러그 커넥터(12)에 구비된 금속 부재(28)의 コ자 형상부(35)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5a)에 형성된 투공(36)을 통해서 금속 부재(28)의 コ자 형상부(35)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5a)의 외부로 돌출하지만,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있어서의 고정 계합 계지부(20)에 형성된 절결부(20a)에는 계합하지 않고, 고정 계합 계지부(20)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적정하게 취하게 되지 않을 때에는, 배선 기판(50)의 상면의 외부로부터 배선 기판(50)에 설치된 투공(52)을 통해서 들여다 볼 수가 있는,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연결부(42) 및 가동 계합 계지부(44)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12)에 있어서의 금속 부재(28) 및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있어서의 고정 계합 계지부(20)와의 계합 상태에 있어서는,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44)가 그 일부분이 플러그 커넥터(12)에 구비된 금속 부재(28)에 의해 숨겨지지만, 다른 부분은 리셉터클 커넥터(11)에 구비된 제1의 금속 부재(18)에 있어서의 고정 계합 계지부(20)에 의해 숨겨지는 일이 없이 고정 계합 계지부(20)의 상방으로 보이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12)가 그 하우징(23)이 배선 기판(50)의 하면에 고정되게 된 때에는, 배선 기판(50)에 있어서의 하면이 배선 기판(16)에 있어서의 상면에 대향하게 되어 배선 기판(50)이 배선 기판(16)에 근접하여 중합되어, 리셉터클 커넥터(11)와 플러그 커넥터(12)가 상호 계합 상태를 취하고, 또한 가동 조작 부재(13)가 제1의 정지 위치를 취하게 된 하에 있어서, 배선 기판(50)에 한 쌍의 투공(51, 52)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배선 기판(50)의 상면의 외부로부터 투공(51)을 통해서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43)가 고정 계합 계지부(21)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적정하게 취하게 되어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가 있고, 또 배선 기판(50)의 상면의 외부로부터 투공(52)을 통해서 가동 조작 부재(13)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44)가 고정 계합 계지부(20)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적정하게 취하게 되어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상술과 같은 리셉터클 커넥터(11)와 플러그 커넥터(12)와 가동 조작 부재(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있어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1)와 플러그 커넥터(12)가 상호 계합 상태를 취하는 하에서, 가동 조작 부재(13)의 양단 부분의 각각이 이루는 가동 계합 계지부(43, 44)가 리셉터클 커넥터(11)에 있어서의 제1의 금속 부재(18)에 형성된 고정 계합 계지부(21, 20)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취하고, 플러그 커넥터(12)의 하우징(23)을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5)에 대해 기계적으로 계지하는 경우에는, 가동 조작 부재(13)가 플러그 커넥터(12)가 구비하는 캠부(33, 38)에 의해 탄성변형시켜지게 된 상태에 있고, 또 가동 계합 계지부(43, 44)가 고정 계합 계지부(21, 20)에 대한 계합 계지 해제 상태를 취하여, 플러그 커넥터(12)의 하우징(23)을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5)에 대한 기계적인 계지로부터 해방하는 경우에는, 가동 조작 부재(13)가 플러그 커넥터(12)가 구비하는 캠부(33, 38)에 의해 탄성변형시켜지게 된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되돌려진다. 이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2)의 하우징(23)이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5)에 대해 기계적으로 계지될 때에는, 양단 부분의 각각이 가동 계합 계지부(43, 44)를 이루게 된 가동 조작 부재(13)가 탄성변형시켜지게 되고, 이에 의해 가동 계합 계지부(43, 44)에 고정 계합 계지부(21, 20)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강제적으로 취하게 하므로,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12)의 하우징(23)이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5)에 대해 기계적으로 계지되는 상태와 플러그 커넥터(12)의 하우징(23)이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5)에 대한 기계적인 계지로부터 해방되는 상태가 반복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탄성변형시켜지게 된 가동 조작 부재(13)의 양단 부분이 이루는 가동 계합 계지부(43, 44)를 고정 계합 계지부(21, 20)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적정하고 또한 확실하게 취하게 할 수가 있고, 그 결과, 플러그 커넥터(12)의 하우징(23)에 대한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5)에 대한 계지를 충분한 신뢰성을 가지고 안정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있어서는, 가동 조작 부재(13)의 양단 부분이 이루는 가동 계합 계지부(43, 44)가 플러그 커넥터(12)에 있어서의 제2의 금속 부재를 이루는 금속 부재(27, 28)를 각각 관통하여 지지됨과 아울러, 고정 계합 계지부(21, 20)가 리셉터클 커넥터(11)에 있어서의 제1의 금속 부재(18)에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대체로 큰 강성을 가진 금속 부재(27, 28)를 각각 관통하여 지지된 가동 계합 계지부(43, 44)가 대체로 큰 강성을 가진 제1의 금속 부재(18)에 형성된 고정 계합 계지부(21, 20)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취하게 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리셉터클 커넥터(11) 및 플러그 커넥터(12)의 각각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도모되어 플러그 커넥터(12)의 하우징(23) 및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5)의 각각의 두께 등이 저감시켜지는 것에 있어도, 가동 계합 계지부(43, 44)에 의한 고정 계합 계지부(21, 20)에 대한 계합 계지를 강고하게 행할 수가 있고, 그 결과, 플러그 커넥터(12)의 하우징(23)에 대한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5)에 대한 계지를 충분한 신뢰성을 가지고 견고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있어서는 가동 계합 계지부(43, 44)에 의한 고정 계합 계지부(21, 20)에 대한 계합 계지를 해제하는데 즈음해서의 조작은, 플러그 커넥터(12)의 하우징(23)에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의 정지 위치와 제2의 정지 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가 있는 가동 조작 부재(13)를 제1의 정지 위치로부터 제2의 정지 위치로 변위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므로, 플러그 커넥터(12)의 하우징(23)에 대한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5)에 대한 계지의 해제를 특별한 공구 등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 매우 간단하고 용이한 조작에 의해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는, 2개의 배선 기판에 각각 장착하여 이용할 수가 있는 제1 및 제2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의 커넥터가 각각 장착된 2개의 배선 기판을 대면 근접 중합 연결에 의해 각각에 설치된 배선부가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는 상태에 둘 수가 있는 기구를 이루는 것으로서, 제1의 커넥터와 제2의 커넥터가 상호 계합한 상태 하에서, 제1 및 제2의 커넥터 중의 일방에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는 계지 수단에 의해, 제1 및 제2의 커넥터 중의 일방의 하우징에 대한 제1 및 제2의 커넥터 중의 타방의 하우징에 대한 계지를 충분한 신뢰성을 가지고 안정되고 또한 견고하게 행할 수가 있고, 또 제1 및 제2의 커넥터 중의 일방의 하우징에 대한 제1 및 제2의 커넥터 중의 타방의 하우징에 대한 계지의 해제를 특별한 공구 등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 매우 간단하고 용이한 조작에 의해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전자기기 등에 널리 적용될 수가 있는 것이다.
11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제1의 커넥터)
12 플러그(plug) 커넥터(제2의 커넥터)
13 가동 조작 부재 15 하우징(제1의 하우징)
16, 29, 50 배선 기판 16a 배선 단자부
17 리셉터클측 콘택트(제1의 콘택트)
17a, 24a 기판 접속부 17b 접촉 접속부
18 제1의 금속 부재
19, 32, 37 기판 연결부
20, 21 고정 계합 계지부 20a, 21a 절결부(notch part)
23 하우징(제2의 하우징)
24 플러그측 콘택트(제2의 콘택트) 25 평판 형상부
27, 28 금속 부재(제2의 금속 부재) 30, 35 コ자 형상부
31, 36, 51, 52 투공
33, 38 캠부(cam part) 34, 39 캠(cam) 단면
34a, 39a 제1의 단면부 34b, 39b 제2의 단면부
40 중간부 41, 42 연결부
41a, 42a 제1의 연결 부분 41b, 42b 제2의 연결 부분
41c, 42c 제3의 연결 부분 43, 44 가동 계합 계지부

Claims (10)

  1. 제1의 하우징, 이 제1의 하우징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제1의 콘택트, 및 상기 제1의 하우징에 고정된 제1의 금속 부재를 구비한 제1의 커넥터와,
    상기 제1의 하우징과의 계합 상태를 취하는 제2의 하우징, 이 제2의 하우징에 배열 배치되고, 이 제2의 하우징이 상기 제1의 하우징과의 계합 상태를 취할 때, 상기 복수의 제1의 콘택트에 각각 접촉 접속되는 상태를 취하는 복수의 제2의 콘택트, 및 상기 제2의 하우징에 장착된 제2의 금속 부재를 구비한 제2의 커넥터와,
    전체가 굴곡 봉상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제2의 하우징에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제2의 하우징에 대해 엎드린 제1의 정지 위치와 일어선 제2의 정지 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하는 가동 조작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동 조작 부재의 양단 부분의 각각이, 상기 제2의 금속 부재를 관통하여 지지된 가동 계합 계지부를 이룸과 아울러, 상기 제1의 금속 부재에 고정 계합 계지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의 하우징이 상기 제1의 하우징과의 계합 상태를 취하는 하에서, 상기 가동 조작 부재가 상기 제1의 정지 위치를 취할 때, 이 가동 조작 부재가, 상기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상기 제2의 금속 부재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설치된 캠부에 따라 변위하여 탄성변형시켜지게 된 상태에 놓여지고, 상기 가동 계합 계지부에 상기 고정 계합 계지부에 대한 계합 계지 상태를 취하게 하여 상기 제2의 하우징을 상기 제1의 하우징에 대해 기계적으로 계지하고, 상기 가동 조작 부재가 상기 제2의 정지 위치를 취할 때, 상기 가동 조작 부재가, 상기 캠부에 따라 변위하여 상기 탄성변형시켜지게 된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되돌려지고, 상기 가동 계합 계지부에 상기 고정 계합 계지부에 대한 계합 계지 해제 상태를 취하게 하여 상기 제2의 하우징을 상기 제1의 하우징에 대한 기계적인 계지로부터 해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하우징이 상기 제1의 하우징과의 계합 상태를 취하는 하에서, 상기 가동 조작 부재가 상기 제2의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제1의 정지 위치로 변위할 때, 상기 제2의 금속 부재를 관통한 상기 가동 계합 계지부가 제1의 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고정 계합 계지부에 계합하고, 또 상기 가동 조작 부재가 상기 제1의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제2의 정지 위치로 변위할 때, 상기 제2의 금속 부재를 관통한 상기 가동 계합 계지부가 제1의 방향과는 역의 제2의 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고정 계합 계지부로부터 이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금속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가동 조작 부재의 양단 부분이 각각 관통하는 한 쌍의 부분의 각각이, 상기 제2의 하우징이 상기 제1의 하우징과의 계합 상태를 취하는 하에서, 상기 제1의 금속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 계합 계지부가 형성된 부분에 근접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금속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가동 조작 부재의 양단 부분이 각각 관통하는 한 쌍의 부분이, 상기 제2의 하우징에 배열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2의 콘택트를 이 복수의 제2의 콘택트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조작 부재가, 상기 제2의 하우징에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었을 때 상기 복수의 제2의 콘택트의 배열 방향을 따라 뻗는 중간부와, 이 중간부의 단부로부터 굴곡하여 뻗는 연결부와, 이 연결부로부터 더 굴곡하여 뻗어 상기 가동 계합 계지부를 이루는 일단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2의 하우징이 상기 제1의 하우징과의 계합 상태를 취하는 하에서의 상기 가동 조작 부재의 상기 제1의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제2의 정지 위치로의 변위 또는 상기 제2의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제1의 정지 위치로의 변위에 수반하여, 상기 가동 계합 계지부가 상기 고정 계합 계지부에 대해 상기 복수의 제2의 콘택트의 배열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부에 맞닿아 계합하는 캠부가 상기 제2의 금속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2의 하우징이 상기 제1의 하우징과의 계합 상태를 취하는 하에서, 상기 가동 조작 부재가 상기 제1의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제2의 정지 위치로의 변위 또는 상기 제2의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제1의 정지 위치로의 변위를 행할 때, 상기 연결부가 상기 캠부에 안내되어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동 계합 계지부가 상기 고정 계합 계지부에 대해 이격 또는 계합하기 위하여 변위시켜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계합 계지부의 상기 고정 계합 계지부로부터 이격하는 변위 또는 상기 고정 계합 계지부에 계합하는 변위가, 상기 가동 조작 부재가 구비하는 탄성에 의해 초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하우징이 제1의 배선 기판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제2의 하우징이 제2의 배선 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제2의 배선 기판이 상기 제1의 배선 기판에 대면 근접하여 중합되어 상기 제1의 커넥터와 상기 제2의 커넥터가 상호 계합 상태를 취하게 되고, 상기 제2의 배선 기판에 투공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제2의 배선 기판의 외부로부터 상기 투공을 통해서 상기 가동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가동 계합 계지부에 대한 상기 제2의 금속 부재 및 상기 제1의 금속 부재에 있어서의 고정 계합 계지부와의 계합 상태를 들여다 볼 수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조작 부재가 상기 제2의 하우징에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었을 때 상기 복수의 제2의 콘택트 배열 방향을 따라 뻗는 중간부와, 이 중간부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굴곡하여 뻗는 한 쌍의 연결부와, 이 한 쌍의 연결부로부터 각각 굴곡하여 뻗는 것으로 된 상기 가동 계합 계지부를 가지고, 상기 투공이 상기 제2의 배선 기판에 한 쌍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연결부가 상기 한 쌍의 투공을 각각 관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
KR1020140106775A 2013-09-03 2014-08-18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 KR1016257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81963A JP6156641B2 (ja) 2013-09-03 2013-09-03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JPJP-P-2013-181963 2013-09-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840A KR20150026840A (ko) 2015-03-11
KR101625745B1 true KR101625745B1 (ko) 2016-05-30

Family

ID=52583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775A KR101625745B1 (ko) 2013-09-03 2014-08-18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40654B2 (ko)
JP (1) JP6156641B2 (ko)
KR (1) KR101625745B1 (ko)
CN (1) CN104425990B (ko)
TW (1) TWI5246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6933B2 (ja) * 2013-10-04 2015-05-13 第一精工株式会社 配線基板連結装置
US9740249B2 (en) * 2014-01-30 2017-08-22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Mounting device
JP6342190B2 (ja) * 2014-03-24 2018-06-1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6133535A1 (en) 2015-02-20 2016-08-25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Tool-less multipoint latching mechanism
DE102016113976A1 (de) 2015-07-29 2017-02-02 Dai-Ichi Seiko Co., Ltd. Elektrische Platinenverbindungs-Verbindervorrichtung
JP6281539B2 (ja) * 2015-07-29 2018-02-21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JP6179564B2 (ja) * 2015-07-29 2017-08-16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CN107851914B (zh) * 2015-08-05 2019-10-29 京瓷株式会社 插头连接器
US9893480B2 (en) * 2015-09-04 2018-02-13 Tyco Electronics Japan G.K. Connector
TWM518826U (zh) * 2015-09-25 2016-03-11 Advanced Connectek Inc 插頭電連接器與插座電連接器
USD839831S1 (en) * 2016-08-02 2019-02-05 Smk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10170849B2 (en) * 2017-04-07 2019-01-01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with slidable latch
US9985371B1 (en) * 2017-04-11 2018-05-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JP6690665B2 (ja) * 2018-05-10 2020-04-28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コネクタ装置
CN110611221B (zh) * 2018-06-14 2021-02-26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锁固结构及采用该锁固结构的线缆接头组件
JP7245052B2 (ja) * 2019-01-07 2023-03-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CN113922114B (zh) * 2021-09-30 2024-03-15 国光集团唯丞精密电子(昆山)有限公司 一种自锁式基板用连接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2700A (ja) 2006-10-31 2008-05-15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装置
US8388370B2 (en) 2010-02-23 2013-03-0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with grounding shield
CN202872100U (zh) 2012-03-29 2013-04-10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组件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6563A (en) * 1981-03-20 1983-03-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mechanically assisted latch means
JPH0331019Y2 (ko) * 1985-03-12 1991-07-01
US5174781A (en) * 1992-05-01 1992-12-29 Itt Corporation Connector bail latch
US5823813A (en) * 1997-01-21 1998-10-20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5938468A (en) * 1997-07-21 1999-08-17 Lin; Fu-Hsiung Elastic clamp structure for an interface socket
US5860827A (en) * 1998-01-22 1999-01-19 Bochuh International Co., Ltd. Plug securing device
CN2562454Y (zh) * 2002-08-02 2003-07-2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US6851964B2 (en) * 2003-06-03 2005-02-08 Digital Recorders, Inc. Retainer clip for ribbon cable connectors
US6811421B1 (en) * 2003-06-06 2004-11-0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ocket connector with pivoting operating members
JP3976273B2 (ja) 2004-03-17 2007-09-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装置
CN2896603Y (zh) * 2006-09-29 2007-05-02 瞿金良 快插、自锁型射频同轴连接器
JP4482041B2 (ja) 2008-01-16 2010-06-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対
JP5076947B2 (ja) * 2008-02-13 2012-11-21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KR101457127B1 (ko) * 2008-05-09 2014-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7524205B1 (en) * 2008-06-24 2009-04-28 Zippy Technology Corp. Conducting wire anti-drop structure
JP4678887B2 (ja) * 2009-01-22 2011-04-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4704477B2 (ja) * 2009-02-19 2011-06-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5920565B2 (ja) 2012-01-30 2016-05-18 第一精工株式会社 配線基板連結装置
JP5708942B2 (ja) 2012-12-28 2015-04-30 第一精工株式会社 配線基板連結装置
CN103247913A (zh) * 2013-04-25 2013-08-14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快扣式板对板连接器组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2700A (ja) 2006-10-31 2008-05-15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装置
US8388370B2 (en) 2010-02-23 2013-03-0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with grounding shield
CN202872100U (zh) 2012-03-29 2013-04-10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50099A (ja) 2015-03-16
JP6156641B2 (ja) 2017-07-05
CN104425990A (zh) 2015-03-18
US9240654B2 (en) 2016-01-19
TW201530931A (zh) 2015-08-01
CN104425990B (zh) 2016-08-24
KR20150026840A (ko) 2015-03-11
TWI524603B (zh) 2016-03-01
US20150064942A1 (en)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745B1 (ko)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
KR101627898B1 (ko) 배선 기판 연결 장치
KR101636616B1 (ko) 배선 기판 연결 장치
KR100951816B1 (ko) 커넥터
KR20150110333A (ko) 커넥터
KR101882622B1 (ko) 전기 커넥터
TW201251230A (en) Connector apparatus
KR20130103349A (ko) 커넥터 장치
WO2008091877A1 (en) Electrical connector
EP2416455A1 (en) Locking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JP5806607B2 (ja) コネクタ
JP2004511077A (ja) 電気コネクタ用ラッチシステム
JPH0677178U (ja) ラッチ付き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9102182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4173155B2 (ja)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ー
WO2014198928A1 (en) Plug and connector arrangement
US10230185B2 (en) Connector device
JP2018139175A (ja)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US7351079B2 (en) Card connector
US11462844B2 (en) FFC connector with anti-overstress features
JP6717643B2 (ja) コネクタ
JP2011134458A (ja) 電線対基板コネクタ
JP2015099713A (ja)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JP6229841B2 (ja)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JP2015082460A (ja)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