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7791A - 플렉시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47791A KR20230047791A KR1020210131067A KR20210131067A KR20230047791A KR 20230047791 A KR20230047791 A KR 20230047791A KR 1020210131067 A KR1020210131067 A KR 1020210131067A KR 20210131067 A KR20210131067 A KR 20210131067A KR 20230047791 A KR20230047791 A KR 202300477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terminal
- flexible connector
- actuator
- movable arm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2—Strain relieving mean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연성 인쇄 회로(FPC)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등의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을 기판과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며, 원스텝(one step)으로 접속 대상물(FPC, FFC)을 삽입하여 접속시키고, 접속 대상물(FPC, FFC) 발거(拔去) 시에는 적은 힘으로 발거(拔去) 가능한 플렉시블 커넥터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성 인쇄 회로(FPC)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등의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을 기판과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며, 원스텝(one step)으로 접속 대상물(FPC, FFC)을 삽입하여 접속시키고, 접속 대상물(FPC, FFC) 발거(拔去) 시에는 적은 힘으로 발거(拔去) 가능한 플렉시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기 기기 등에서 연성 인쇄 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 등의 각종 신호 전송 매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전기 커넥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되어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는 FPC 및 FFC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호 전송 매체가 하우징의 전단 측 개구부에서 내부에 삽입된 이후에 액츄에이터(가압 부재)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커넥터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의 연결 작용 위치를 향해 밀려 넘어지게 회동된다. 이는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에 형성된 결합 부에 고정 부재 (보강 손잡이) 부분이 걸어 맞춤 상태로 이루어져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잠금 부재에 의해 부동 상태로 유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는 접속 해제 위치와 접속 작용 위치와의 사이에 액츄에이터를 회전하도록 조작해서 잠금 부재의 결합 및 해제를 조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신호 전송 매체(FPC, FFC 등)의 삽입 작업과는 별개로 액츄에이터를 조작할 필요가 있기 위해서 작업 효율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자동 록 기구에 있어서는 신호 전송 매체를 전기 커넥터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잠금이 행해지는 이점이 있는 한편, 로크부를 가지는 로크 기구 및 결합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 조작 기구의 구성이 복잡하다는 경향이 있고, 부품 수의 증가로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음과 동시에 사용 시 내구성에 문제가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제10-1001738호(2010.12.15.)에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접속 대상물(FPC, FFC) 삽입 시 접속 대상물이 삽입됨에 따라 록킹단자(Lock Pin)의 가동암의 경사면에 맞닿게 되고, 가동암이 상승하게 되며, 상승한 가동암은 접속 대상물의 삽입에 따라 절개부에 안착하면 하강하며, 접속 대상물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플렉시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접속 대상물 발거 시 액츄에이터 후단의 가압부를 가동시키면, 록킹단자(Lock Pin)의 피가압부가 하강하게 되고, 록킹단자(Lock Pin)의 연결부를 축으로 하여 시소 운동이 되어 가동암이 상승하게 되므로 접속 대상물을 용이하게 발거할 수 있는 플렉시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는,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을 끼우고 뺄 수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압부를 가지는 액츄에이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삽입한 접속 대상물과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도통되며, 일 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지어 배치되는 단자; 및 상기 단자가 배치된 양측방에 위치하며, 상기 접속 대상물의 절개홈에 결합하여 잠금 고정하는 록킹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는,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 및 플렉시블 케이블과 접촉되는 접촉부를 가지는 가동암이 구비되며; 상기 록킹단자는,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부와 경사면이 형성된 록킹부를 가지는 가동암과 상기 가동암과 연결되는 고정암과 상기 가동암과 고정암을 연결하는 연결축이 구비되며; 상기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면 접속 대상물은 록킹단자의 경사면에 맞닿고 더욱 삽입하면 록킹단자의 가동암이 상승하게 되고, 더욱 삽입하면 가동암의 록킹부가 접속 대상물의 절개부에 위치하여 하강하며; 액츄에이터의 가압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록킹단자의 피가압부가 하강하고 록킹단자의 연결축을 중심으로 가동암이 상승하게 되어 접속 대상물을 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츄에이터 회동축이 상기 록킹단자의 연결축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동축은 플렉시블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록킹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거나 록킹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킹단자의 연결축은, 록킹부와의 거리보다 피가압부와의 거리가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킹단자의 연결축은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록킹단자의 피가압부를 가압 시 상기 연결축이 탄성 변형되어 가동암이 시소 운동되어 록킹부를 상승시키며, 상기 피가압부가 가압 해제 시 자동적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자의 고정암의 끝단이 하우징에 지지되어 상승이 규제되고, 액츄에이터의 회동축은 단자의 고정암 오목부에 지지되어 상승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는, 접속 대상물(FPC, FFC) 삽입 시 접속 대상물이 삽입됨에 따라 록킹단자(Lock Pin)의 가동암의 경사면에 맞닿게 되고, 가동암이 상승하게 되며, 상승한 가동암은 접속 대상물의 삽입에 따라 절개부에 안착하면 하강하며, 접속 대상물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접속 대상물 발거 시 액츄에이터 후단의 가압부를 가동시키면, 록킹단자(Lock Pin)의 피가압부가 하강하게 되고, 록킹단자(Lock Pin)의 연결부를 축으로 하여 시소 운동이 되어 가동암이 상승하게 되므로 접속 대상물을 용이하게 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로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기 직전 상태를 정면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렉시블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플렉시블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플렉시블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플렉시블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플렉시블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플렉시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선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B`선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이 발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플렉시블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플렉시블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플렉시블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플렉시블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플렉시블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플렉시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선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B`선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이 발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로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기 직전 상태를 정면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플렉시블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플렉시블 커넥터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플렉시블 커넥터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플렉시블 커넥터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플렉시블 커넥터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플렉시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A-A`선에 따른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B-B`선에 따른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이 발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는, 양측방에 절개부(101)를 구비한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100)을 끼우고 뺄 수 있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회동축(7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압부(76)를 가지는 액츄에이터(70)와,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접속 대상물(100)과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도통되며, 일 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지어 배치되는 단자(30) 및 상기 단자(30)가 배치된 양측방에 위치하며, 상기 접속 대상물(100)의 결합 위치를 고정시키는 록킹단자(5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커넥터로 접속 대상물(100)을 삽입 시 하우징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19)를 통해 접속 대상물(10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0)에서 직사각형의 횡폭 방향을 이하에 있어서 플렉시블 커넥터의 길이 방향이라고 하며, 접속 대상물을 삽입 또는 발거 시키는 방향을 커넥터의 전후 방향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하우징의 전단부에는 접속 대상물이 삽입될 수 있도록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따라 개구(19)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은 절연성 또는 내열성의 합성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에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전단부에는 하우징(10)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20)가 하우징(10)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에 일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단자(30)와 단자의 양측에 위치하는 형태로 하우징(10)에 설치된 록킹단자(50)와 하우징(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식 액츄에이터(7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단자(30)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 단자(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단자(30)와 제2 단자(40)는 교대로 상호간의 사이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단자(30)는, 액츄에이터(70)의 회동축(71)을 회동가능하게 고정 지지하는 고정암(31)과,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33) 및 접속 대상물(100)과 접촉되는 접촉부(34)를 가지는 가동암(32)이 구비된다.
또한, 단자(30)의 고정암(31)의 끝단이 하우징(10)에 지지되어 상승이 규제되고, 액츄에이터(70)의 회동축(71)은 단자의 고정암 오목부(31a)에 지지되어 상승이 규제되어 하우징(10)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록킹단자(50)는, 단자(30)의 양측방에 배치되어 하우징(10)에 장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하우징(10)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고정암(52)과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53)와 액츄에이터(70)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부(56)와 경사면(54a)이 형성된 록킹부(54)를 가지는 가동암(51)과 상기 가동암(51)과 고정암(52)을 연결하는 연결축(55)이 구비된다.
록킹단자(50)의 가동암(51)의 전단부에는 록킹부(54)가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54a)을 형성한다.
접속 대상물(100)의 절개부(101)는 록킹단자(50)의 록킹부(54)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것에 의해 접속 대상물(100) 삽입 시 접속 대상물(100)이 삽입됨에 따라 록킹단자(50)의 가동암(51)의 경사면(54a)에 접속 대상물(100)의 선단부가 맞닿게 되고, 가동암(51)이 상승하게 되며, 상승한 가동암(51)의 록킹부(54)는 접속 대상물(100)의 삽입에 따라 절개부(101)에 하강하여 안착하게 되며, 접속 대상물(100)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도록 하여 잠금 고정되므로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효과를 가진다.
액츄에이터(70)는 회전식 액츄에이터로 회동축(71)을 구비하여 하우징(10)에 장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록킹단자(50)의 가동암(51)은 탄성 변형 가능하며, 접속 대상물(100)의 삽입 및 발거에 따라서 탄성 변형되고 자동적으로 복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록킹단자를 구비하여 잠금해제 조작 기구의 구성이 간단하며, 생산성의 향상과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종래에는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기 전의 상태의 커넥터는 액츄에이터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하우징에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액츄에이터를 일단 개방 위치로 회전시켜야 하고, 접속 대상물을 삽입한 후에 액츄에이터를 폐쇄 위치까지 회전시켜야 하므로 접속 대상물의 접속 작업이 매우 번거로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상태를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100)이 삽입되면,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접속 대상물(100)의 선단부가 록킹단자(50)의 경사면(54a)에 맞닿게 되고 접속 대상물(100)을 더욱 삽입하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단자(50)를 탄성 변형시켜 록킹단자(50)의 록킹부(54)가 구비된 가동암(51)이 상승하게 되고, 접속 대상물(100)을 더욱 삽입하면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암(51)의 록킹부(54)가 접속 대상물(100)의 절개부(101)에 위치하여 록킹단자(50)가 초기 형상으로 탄성 복귀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록킹부(54)가 접속 대상물(100)의 절개부(101)에 위치하여, 접속 대상물(100)이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잠금 고정하므로,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종래에는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기 전의 상태의 커넥터는 액츄에이터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하우징에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액츄에이터를 일단 개방 위치로 회전시켜야 하고, 접속 대상물을 삽입한 후에 액츄에이터를 폐쇄 위치까지 회전시켜야 하므로 접속 대상물의 접속 작업이 매우 번거로웠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는 원스텝(one step)으로 접속 대상물(100)를 삽입하여 접속 및 고정시키므로 접속 작업이 용이하며, 접속 대상물(100) 발거 시에는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이 발거되는 상태를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접속 대상물(100)을 발거(拔去) 시 액츄에이터(70) 후단의 가압부(76)를 가동시키면, 록킹단자(50)의 피가압부(56)가 하강하게 되고, 록킹단자(50)의 연결부(55)를 축으로 하여 시소 운동이 되어 가동암(51)이 상승하게 되므로 가동암(51)의 록킹부(54)가 잠금 해제되어, 접속 대상물(100)을 용이하게 발거(拔去)할 수 있다.
또한, 록킹단자(50)의 연결축(55)의 위치가 록킹부(54)와의 거리보다 피가압부(56)와의 거리가 가깝게 형성되어 적은 힘으로도 록킹단자(50)의 록킹부(54)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록킹단자(50)의 연결축(55)은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액츄에이터(70)의 가압부(76)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부(56)를 가압하면, 가동암(51)이 시소 운동이 되어 록킹부(54)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액츄에이터(70)의 회동축(71)은 플렉시블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록킹단자(50)의 록킹부(54)와 동일선상에 위치하거나 록킹부(54)의 전방에 위치하여 액츄에이터(70)의 가압부(76)를 가압할 때 적은 힘으로도 록킹단자(50)의 록킹부(54)를 상승시킬 수 있다.
록킹단자(50)를 접속 대상물(100)의 절개부(101)에 결합시키는 구조이므로, 플렉시블 커넥터가 저배이고 단자의 극수가 적은 구조(6개 이하)에서 단자만으로는 접속 대상물을 유지하기 위한 충분한 고정력을 얻기가 매우 어려운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접속 대상물(100)이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록킹단자(50)를 통해 잠금해제 조작 기구의 구성이 간단하며, 생산성의 향상과 내구성이 우수한 플렉시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커넥터는, 접속 대상물(FPC, FFC) 삽입 시 접속 대상물이 삽입됨에 따라 록킹단자(Lock Pin)의 가동암의 경사면에 맞닿게 되고, 가동암이 상승하게 되며, 상승한 가동암은 접속 대상물의 삽입에 따라 절개부에 안착하면 하강하며, 접속 대상물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접속 대상물 발거 시 액츄에이터 후단의 가압부를 가동시키면, 록킹단자(Lock Pin)의 피가압부가 하강하게 되고, 록킹단자(Lock Pin)의 연결부를 축으로 하여 시소 운동이 되어 가동암이 상승하게 되므로 접속 대상물을 용이하게 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원스텝(one step)으로 접속 대상물(FPC, FFC)를 삽입하여 접속 및 고정시키고, 접속 대상물(FPC, FFC) 발거 시에는 적은 힘으로 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플렉시블 커넥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가지 실시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설명 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하우징 30: 제1 단자
31: 고정암 32: 가동암
33: 실장부 34: 접촉부
40: 제2 단자 50: 록킹 단자
51: 가동암 52: 고정암
53: 실장부 54: 록킹부
54a: 경사면 55: 연결축
56: 피가압부 70: 액츄에이터
71: 회동축 76: 가압부
100: 접속 대상물 101: 절개부
31: 고정암 32: 가동암
33: 실장부 34: 접촉부
40: 제2 단자 50: 록킹 단자
51: 가동암 52: 고정암
53: 실장부 54: 록킹부
54a: 경사면 55: 연결축
56: 피가압부 70: 액츄에이터
71: 회동축 76: 가압부
100: 접속 대상물 101: 절개부
Claims (6)
-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을 끼우고 뺄 수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압부를 가지는 액츄에이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삽입한 접속 대상물과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도통되며, 일 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지어 배치되는 단자; 및
상기 단자가 배치된 양측방에 위치하며, 상기 접속 대상물의 절개홈에 결합하여 잠금 고정하는 록킹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는,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 및 플렉시블 케이블과 접촉되는 접촉부를 가지는 가동암이 구비되며;
상기 록킹단자는,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부와 경사면이 형성된 록킹부를 가지는 가동암과 상기 가동암과 연결되는 고정암과 상기 가동암과 고정암을 연결하는 연결축이 구비되며;
상기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면 접속 대상물은 록킹단자의 경사면에 맞닿고 더욱 삽입하면 록킹단자의 가동암이 상승하게 되고, 더욱 삽입하면 가동암의 록킹부가 접속 대상물의 절개부에 위치하여 하강하며;
액츄에이터의 가압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록킹단자의 피가압부가 하강하고 록킹단자의 연결축을 중심으로 가동암이 상승하게 되어 접속 대상물을 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회동축이 상기 록킹단자의 연결축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동축은 플렉시블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록킹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거나 록킹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단자의 연결축은,
록킹부와의 거리보다 피가압부와의 거리가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단자의 연결축은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록킹단자의 피가압부를 가압 시 상기 연결축이 탄성 변형되어 가동암이 시소 운동되어 록킹부를 상승시키며,
상기 피가압부가 가압 해제 시 자동적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고정암의 끝단이 하우징에 지지되어 상승이 규제되고, 액츄에이터의 회동축은 단자의 고정암 오목부에 지지되어 상승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1067A KR102603089B1 (ko) | 2021-10-01 | 2021-10-01 | 플렉시블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1067A KR102603089B1 (ko) | 2021-10-01 | 2021-10-01 | 플렉시블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7791A true KR20230047791A (ko) | 2023-04-10 |
KR102603089B1 KR102603089B1 (ko) | 2023-11-17 |
Family
ID=85984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1067A KR102603089B1 (ko) | 2021-10-01 | 2021-10-01 | 플렉시블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03089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4843B1 (ko) | 2000-06-30 | 2004-03-27 |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 Fpc/ffc 커넥터 |
KR20090024603A (ko) * | 2007-09-04 | 2009-03-09 |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 커넥터 |
KR101001738B1 (ko) | 2008-06-23 | 2010-12-15 |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 커넥터 |
KR20120106561A (ko) * | 2011-03-18 | 2012-09-26 |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 전기 커넥터 |
JP2013110046A (ja) * | 2011-11-24 | 2013-06-06 | Daiichi Seiko Co Ltd | 電気コネクタ |
JP2013247012A (ja) * | 2012-05-28 | 2013-12-09 | Daiichi Seiko Co Ltd | 電気コネクタ |
-
2021
- 2021-10-01 KR KR1020210131067A patent/KR10260308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4843B1 (ko) | 2000-06-30 | 2004-03-27 |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 Fpc/ffc 커넥터 |
KR20090024603A (ko) * | 2007-09-04 | 2009-03-09 |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 커넥터 |
KR101001738B1 (ko) | 2008-06-23 | 2010-12-15 |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 커넥터 |
KR20120106561A (ko) * | 2011-03-18 | 2012-09-26 |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 전기 커넥터 |
JP2013110046A (ja) * | 2011-11-24 | 2013-06-06 | Daiichi Seiko Co Ltd | 電気コネクタ |
JP2013247012A (ja) * | 2012-05-28 | 2013-12-09 | Daiichi Seiko Co Ltd | 電気コネク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03089B1 (ko) | 2023-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484218B2 (ja) | コネクタ | |
EP0723317B1 (en) | Edge card connector with alignment means | |
JP4353436B2 (ja) | コネクタ | |
US6726497B2 (en) | Connector for flat flexible cable | |
JP3964583B2 (ja) |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 |
KR970001614B1 (ko) | 전기 커넥터 조립체 | |
KR100783419B1 (ko) | 커넥터 | |
US20080050958A1 (en) | Connector | |
US6431907B1 (en) | FPC connector with positioning actuator | |
JP5621999B2 (ja) | コネクタ装置 | |
JPH07288154A (ja) | ソケットコネクタ | |
JP5515352B2 (ja) | 電気コネクタ | |
KR20010020777A (ko) |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 |
US7513783B2 (en) | Connector with a rotatable lever with a recess with a spring | |
US11043764B2 (en) | Flat-conductor connector | |
KR101159462B1 (ko) | 커넥터 | |
JP5825472B2 (ja) | コネクタ装置 | |
US6929500B2 (en) | Connecto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resin part assembly such as a connector | |
GB2166300A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US7390213B2 (en) | Connector with improved electrical contacts | |
KR20230047791A (ko) | 플렉시블 커넥터 | |
US7267574B2 (en) |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 |
TWM616096U (zh) | 電連接器 | |
JP7407389B2 (ja) | プラグコネクタ及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セット並びにコネクタセットの抜去方法 | |
JP2005347021A (ja) | 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