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1116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1116A
KR20110031116A KR1020100090680A KR20100090680A KR20110031116A KR 20110031116 A KR20110031116 A KR 20110031116A KR 1020100090680 A KR1020100090680 A KR 1020100090680A KR 20100090680 A KR20100090680 A KR 20100090680A KR 20110031116 A KR20110031116 A KR 20110031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able
operation lever
connecto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9462B1 (ko
Inventor
요우스케 사카이
šœ스케 하시모토
유이치 시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31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7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케이블을 고정시킬 때에, 조작감이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고정부(31), 가동부(32), 지지부(33)로 이루어지는 단면 H자형상의 제 1 콘택트(3)에 있어서, 고정부(31)에 스프링 돌기부(35)를 마련하였다. 이 스프링 돌기부(35)는 조작 레버(5)의 캠부(51)에 대향해서 올라앉음 돌기부(35a)를 갖고 있으며, 조작 레버(5)의 회전운동 조작에 따라 압입되고, 조작 레버(5)가 한쪽으로밖에 회전운동할 수 없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캠부(51)로부터 어긋나 있다. 즉, 조작 레버(5)를 회전운동시킬 때, 캠부(51)가 올라앉음 돌기부(35a)를 타고 넘음으로써 조작감이 얻어지고, 조작 레버(5)가 가동 종료 위치까지 회전한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s)과 같은 박형 케이블이 접속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하, FPC로 함)과 같은 박형의 케이블을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커넥터는 커넥터 본체의 콘택트 수납 공간 내에 교대로 열(列) 형상으로 병설된 복수의 제 1 콘택트 및 제 2 콘택트를 구비하고, 각 콘택트에 있어서 탄성 연결부에 의해 접속된 상변부와 하변부의 사이에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콘택트의 상변부 및 하변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케이블 표면의 도체 패턴과 접촉하는 접점부가 마련되고, 이들 제 1 콘택트의 접점부와 제 2 콘택트의 접점부는 케이블 삽입 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나게 마련되어 있다. 이 커넥터에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해서는 각 콘택트의 상변부와 하변부의 사이에 케이블을 삽입한 후,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조작 레버(액추에이터)를 조작함으로써 조작 레버의 캠부를 회전시키고, 이 캠부로 각 콘택트의 상변부를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 콘택트의 상변부는 탄성 연결부를 지점으로 해서 요동 변위하고 하변부와 함께 케이블을 협지한다. 이 때, 케이블 표면의 도체 패턴과 각 콘택트의 접점부가 접촉함으로써, 케이블과 커넥터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박형의 케이블(200)이 접속된다. 이 케이블(200)의 1표면에는 복수의 도체 패턴(201)이 폭 방향으로 배열해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도체 패턴(201)에 있어서 콘택트와 접촉하는 부위는 전기적인 접속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다른 부위에 비해 폭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 광폭부(202)를 케이블 삽입 방향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콘택트에 마련한 접점부와 대향하는 위치로 되도록 위치를 어긋나게 해서 교대로 배치함으로써,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을 높이는 동시에, 케이블(200)의 폭 치수를 작게 해서 극수(極數)를 늘릴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8-4404 호
상기와 같은 커넥터에서는 케이블을 커넥터에 접속할 때, 케이블을 콘택트 본체 내부에 삽입한 후, 조작 레버를 빠짐 방지 위치까지 회전시켜 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조작 레버를 빠짐 방지 위치까지 회전시켜도 조작감에는 변화가 없기 때문에, 조작자에게는 조작 레버가 빠짐 방지 위치까지 회전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확실하게 알 수 없다. 이 때문에, 조작 레버를 빠짐 방지 위치보다도 회전시키려고 하여 커넥터를 파손시키거나, 커넥터의 파손을 우려해서 조작 레버를 빠짐 방지 위치까지 회전시키지 않고, 결과적으로 케이블이 커넥터에 확실하게 고정되지 않게 되는 등으로 인해 작업성이 저하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조작 레버를 조작해서 케이블을 고정시킬 때에 적당한 조작감이 얻어지고, 케이블을 커넥터에 접속할 때에 있어서의 작업성이 높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은 표면에 개구된 케이블 삽입구를 통해, 내부에 마련한 콘택트 수납 공간에 편평한 케이블이 삽입 추출되는 커넥터 본체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택트 수납 공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을 그것의 두께 방향의 한쪽측 및 다른쪽측 사이에 유지하여 해당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 수납 공간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상대적으로 빠지기 어렵게 하는 빠짐 방지 위치와 상대적으로 빠지기 쉽게 하는 삽입 추출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운동 자유롭게 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에 배치되어, 빠짐 방지 위치에서는 그 단부에 형성된 캠부에서 상기 콘택트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이들 콘택트를 상기 케이블에 탄성 접촉시키는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콘택트 수납 공간의 한쪽측의 내면에 고정되는 동시에 다른쪽측의 단면에서 상기 조작 레버 캠부와 대향하는 고정부와, 상기 캠부와 다른쪽측으로부터 걸어 맞춰 상기 조작 레버의 다른쪽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동시에, 이 캠부의 회전운동에 따라 변위하는 가동부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상기 가동부를 요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콘택트의 고정부에는 상기 케이블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고 상기 캠부에 대향해서 올라앉음 돌기부(riding projection)를 갖는 스프링 돌기부가 마련되고, 이 스프링 돌기부는 상기 조작 레버를 삽입 추출 위치로부터 빠짐 방지 위치에 걸쳐 회전시킬 때에는 상기 올라앉음 돌기부가 상기 캠부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눌러지고, 이 조작 레버를 빠짐 방지 위치로까지 회전시켰을 때에는 상기 캠부가 상기 올라앉음 돌기부로부터 어긋나는 것에 의해 눌러져 있지 않은 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조작 레버를 삽입 추출 위치에서 빠짐 방지 위치에 걸쳐 회전시킬 때에, 조작 레버의 캠부의 일단부가, 고정부에 마련한 스프링 돌기부를 탄성 변위시키면서 올라앉음 돌기부를 타고 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캠부가 올라앉음 돌기부를 타고 넘었을 때에 적당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고, 조작 레버가 빠짐 방지 위치까지 회전한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올라앉음 돌기부는 탄성변위 가능한 스프링 돌기부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캠부가 올라앉음 돌기부를 타고 넘고 있을 때에 해당 캠부가 올라앉음 돌기부에 의해 밀어 올려져 조작 레버가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적고, 안정하게 조작 레버를 조작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택트의 각각에, 상기 올라앉음 돌기부를 갖는 스프링 돌기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모든 콘택트에 올라앉음 돌기부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캠부가 올라앉음 돌기부를 타고 넘었을 때에 큰 조작감을 얻을 수 있고, 조작 레버가 빠짐 방지 위치까지 회전한 것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커넥터에 있어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택트 수납 공간의 내부에 상기 콘택트와 교대로 병설되어, 상기 케이블을 두께 방향의 한쪽측 과 다른쪽측 사이에 유지하고 상기 콘택트와는 다른 접점위치에서 해당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콘택트는 상기 콘택트 수납 공간의 한쪽측의 내면에 고정된 제 2 고정부와, 상기 조작 레버 캠부와 한쪽측으로부터 걸어 맞춰 해당 조작 레버의 한쪽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동시에, 이 캠부의 회전운동에 따라 변위하는 제 2 가동부와, 상기 제 2 고정부에 대해 상기 제 2 가동부를 요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갖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캠부가 상기 가동부와 상기 제 2 가동부에 의해 다른쪽측과 한쪽측으로부터 탄성 협지됨으로써,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와는 접점위치가 다른 제 2 콘택트를 교대로 병설하고 있으므로, 각 콘택트를 좁은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고,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부와 제 2 가동부로 조작 레버 캠부를 협지하고 있으므로, 커넥터 본체에 조작 레버의 축받이 구조를 마련하지 않아도, 조작 레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작 레버를 조작해서 케이블을 고정시킬 때에 적당한 조작감이 얻어지고, 케이블을 커넥터에 접속할 때에 있어서의 작업성이 높은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를 나타내고, (a)는 도 3의 A-A선 단면 화살표도, (b)는 도 4의 C-C선 단면 화살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의 커넥터(1)를 나타내고, (a)는 도 3의 B-B선 단면 화살표도, (b)는 도 4의 D-D선 단면 화살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를 나타내고, (a)∼(c)는 조작 레버(5)를 삽입 추출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의 3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를 나타내고, (a)∼(c)는 조작 레버(5)를 빠짐 방지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의 3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를 나타내고, (a)는 조작 레버(5)를 삽입 추출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의 외관 사시도, (b)는 조작 레버(5)를 빠짐 방지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예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케이블(200)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히 단정하지 않는 한,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하 좌우의 방향을 규정하고, 도 1, 도 2, 도 3의 (c)에 있어서의 좌측을 앞측, 우측을 뒤측으로 규정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는, 예를 들어, 7극 타입의 커넥터이며, 커넥터 본체(2)와 2종류의 콘택트(제 1 콘택트(3), 제 2 콘택트(4))와 조작 레버(5)를 주요한 구성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이 커넥터(1)에는 7개의 도체 패턴(101)을 폭 방향(좌우 방향)으로 배열해서 평행하게 배치한 박형의 케이블(100)이 접속되고, 도체 패턴(101)에 있어서 각 콘택트(3, 4)와 접촉하는 부위는 전술한 종래 예에 접속되는 케이블(200)과 마찬가지로, 전기적인 접속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다른 부위에 비해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광폭부(102)). 또한, 커넥터(1)의 극수는 상기의 극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양에 따라 다른 극수의 커넥터도 제조 가능하다.
커넥터 본체(2)는 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전후 방향(케이블 삽입 방향)의 일면(후면)에, 내부의 콘택트 수납 공간(20)과 외부를 연통하는 케이블 삽입구(21)가 개구되는 동시에, 전후 방향의 다른 면(앞면)에서 상부벽의 일부에 걸쳐 개구부(22)가 마련되어 있다. 또, 콘택트 수납 공간(20)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피치로 마련된 격벽(23)에 의해서 복수개의 수납실로 간막이되어 있고, 각각의 수납실에는 제 1 콘택트(3) 또는 제 2 콘택트(4)의 어느 하나가 1개씩 수납되어 있다. 또, 격벽(23)에는 케이블 삽입구(21)측에 개방되어, 케이블 삽입구(21)로부터 삽입되는 케이블(100)의 상하 양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4)이 케이블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2종류의 콘택트(3, 4)는, 예를 들면, 베릴륨 구리 등의 탄성 및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커넥터 본체(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콘택트(3)는 커넥터 본체(2)의 좌우 방향 일단부로부터 우수번째(2, 4, 6번째)에 배치되고, 제 2 콘택트(4)는 커넥터 본체(2)의 좌우 방향 일단부로부터 기수번째(1, 3, 5, 7번째)에 배치되어 있다.
우수 핀의 제 1 콘택트(3)는 도 1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택트 수납 공간(20)의 내부에 케이블 삽입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되어, 양자의 사이에 삽입되는 케이블(100)을 하측(한쪽측) 및 상측(다른쪽측)으로부터 협지하는 고정부(31) 및 가동부(32)와, 고정부(31)와 가동부(32)를 접속하는 지지부(33)를 갖고 있고, 지지부(33)는 고정부(31) 및 가동부(32)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가이드홈(24)의 전단위치보다도 앞측)에서, 고정부(31)에 대해 요동 자유롭게 가동부(32)를 지지하고 있다. 이 제 1 콘택트(3)는 고정부(31)와 가동부(32)와 지지부(33)로 H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22)측으로부터 각 수납실에 삽입되어 있다.
제 1 콘택트(3)의 고정부(31)는 커넥터 본체(2)의 내면(하부벽의 상면)에 하측 가장자리를 접촉하게 한 상태에서 다른쪽측의 단면에서 조작 레버(5)의 캠부(51)와 대향하게 콘택트 수납 공간(20)에 배치된다. 고정부(31)에 있어서 케이블 삽입구(21)측의 선단부에는 가동부(32)측을 향해 발톱(31a)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고정부(31)에 있어서 개구부(22)측의 단부에는 커넥터 본체(2)의 하부벽에 마련한 절결부(2a)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여, 실장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마련된 도체 패턴에 납땜 되는 단자편(34)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부(31)에 있어서 지지부(33)보다도 앞측(도 1의 좌측)에는 단자편(34)의 상부로부터 지지부(33)를 향해 돌출된 스프링 돌기부(3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스프링 돌기부(35)의 선단부와 고정부(31)의 사이에는 스프링 돌기부(35)에 부하가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 돌기부(35)의 선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스프링 돌기부(35)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조작 레버(5)의 캠부(51)에 대향해서, 이 캠부(51)를 회전운동시켰을 때에 해당 캠부(51)가 올라앉는 것이 가능한, 완만한 산형상의 올라앉음 돌기부(35a)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제 1 콘택트(3)의 가동부(32)에는 케이블 삽입구(21)측의 선단부로부터 고정부(31)측을 향해 발톱(32a)이 돌출 설치되어 있고, 고정부(31)측의 발톱(31a)과 가동부(32)측의 발톱(32a)으로, 고정부(31)와 가동부(32)의 사이에 삽입되는 케이블(100)을 끼워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가동부(32)에 있어서, 지지부(33)에 지지되는 부위보다도 앞측(도 1의 좌측)의 부위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조작 레버(5)의 캠부(51)가 끼워지는 반원형상의 오목부(36)가 형성되어 있고, 즉, 캠부(51)와 상측(다른쪽측)으로부터 걸어 맞춰, 이 가동부(32)에 의해서, 조작 레버(5)의 상측(다른쪽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한편, 기수 핀의 제 2 콘택트(4)는 도 2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택트 수납 공간(20)의 내부에 케이블 삽입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되어, 양자의 사이에 삽입되는 케이블(100)을 하측(한쪽측) 및 상측(다른쪽측)으로부터 협지하는 고정부(41) 및 가동부(42)와, 고정부(41) 및 가동부(42)의 전단측(도 2의 좌측)에 있어서 고정부(41)에 대해 가동부(42)를 요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부(43)를 갖고 있다. 제 2 콘택트(4)는 고정부(41)와 가동부(42)와 지지부(43)로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부(43)를 선두로 해서 케이블 삽입구(21)로부터 각 수납실에 삽입되어 있다.
제 2 콘택트(4)의 고정부(41)는 커넥터 본체(2)의 내면(하부벽의 상면)에 하측 가장자리를 접촉하게 한 상태에서 콘택트 수납 공간(20)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부(41)에 있어서 케이블 삽입구(21)측의 단부에는 커넥터 본체(2)의 하부벽에 마련한 절결부(2b)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여, 도시하지 않은 실장 기판에 마련된 도체 패턴에 납땜되는 단자편(44)이 마련되어 있다. 또, 고정부(41)의 중간부로부터는 케이블 삽입구(21)측으로 돌출되어, 선단부가 가동부(42)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탄성 접촉편(45)이 마련되고, 이 탄성 접촉편(45)의 선단부에는 가동부(42)측을 향해 발톱(45a)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제 2 콘택트(4)의 가동부(42)의 상측에는 개구부(22)로부터 노출된 부위에 오목부(46)가 마련되고, 이 오목부(46)에는 후술하는 조작 레버(5)의 캠부(52)가 삽입되어 있고, 즉, 조작레버(5)의 캠부(52)와 한쪽측으로부터 걸어 맞춰, 이 가동부(42)에 의해서, 조작 레버(5)의 하측(한쪽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또, 가동부(42)의 선단부에는 탄성 접촉편(45)의 선단의 발톱(45a)과 대향하는 부위에, 탄성 접촉편(45)측을 향해 발톱(42a)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즉, 고정부(41)측의 발톱(45a)과 가동부(42)측의 발톱(42a)으로, 고정부(41)와 가동부(42)의 사이에 삽입되는 케이블(100)을 협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조작 레버(5)는 절연성의 합성수지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긴 장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폭 방향(도 4(b)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일단측에 마련한 캠부(51, 52)를 회전 중심으로 해서, 케이블(100)을 상대적으로 빠지기 어렵게 하는 빠짐 방지 위치와, 케이블(100)을 상대적으로 빠지기 쉽게 하는 삽입 추출 위치의 사이에서, 커넥터 본체(2)에 대해 회전 운동 자유롭게 유지되어 있다.
캠부(51)는 원의 약 4분의 3가량의 원주부(51a)와 원주부(51a)로부터 돌출 설치된 직방체부(51b)로 구성되고, 원주부(51a)의 축 방향이 좌우 방향으로 배열하도록 마련되고, 조작 레버(5)의 간극부(53)에 가동부(32)가 위치하는 동시에, 원주부(51a)의 둘레면을 제 1 콘택트(3)의 오목부(36)에 접촉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5)를 회전 조작하면, 이 조작 레버(5)의 조작에 따라 커넥터 본체(2)의 하부벽에서 캠부(51)의 상단위치까지의 거리가 변화하고,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5)를 쓰러뜨린 상태(빠짐 방지 위치)에서는 커넥터 본체(2)의 하부벽에서 캠부(51)의 상단위치까지의 거리가 최대로 되고, 도 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5)를 일으킨 상태(삽입 추출 위치)에서는 커넥터 본체(2)의 하부벽에서 캠부(51)의 상단위치까지의 거리가 최소로 된다. 또, 직방체부(51b)는 조작 레버(5)를 일으킨 상태(삽입 추출 위치)에서 쓰러뜨린 상태(빠짐 방지 위치)까지 회전운동시킬 때에 스프링 돌기부(35)를 누름 가능한 정도의 길이를 갖는 동시에,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5)를 쓰러뜨린 상태(빠짐 방지 위치)에서는 스프링 돌기부(35)로부터 어긋나 해당 스프링 돌기부(35)에 하향의 부하를 부여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캠부(52)는 제 2 콘택트(4)의 오목부(46)에 대응해서 마련되고, 단면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5)를 회전 조작하면, 이 조작 레버(5)의 조작에 따라 커넥터 본체(2)의 하부벽에서 캠부(52)의 하단위치까지의 거리가 변화하고,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5)를 쓰러뜨린 상태(빠짐 방지 위치)에서는 커넥터 본체(2)의 하부벽에서 캠부(52)의 하단위치까지의 거리가 최소로 되고,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5)를 일으킨 상태(삽입 추출 위치)에서는 커넥터 본체(2)의 하부벽에서 캠부(52)의 하단위치까지의 거리가 최대로 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레버(5)의 캠부(51, 52)가 복수 극의 각 콘택트(3, 4)의 가동부(32, 42)에 각각 대응해서 마련되고, 우수 핀의 제 1 콘택트(3)의 가동부(32)가 캠부(51)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기수 핀의 제 2 콘택트(4)의 가동부(42)가 캠부(52)를 상측으로 가압하고 있으므로, 즉, 다른쪽측과 한쪽측으로부터 탄성 협지됨으로써, 커넥터 본체(2)에 조작 레버(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 구조를 마련하지 않아도, 커넥터 본체(2)에 유지된 각 콘택트(3, 4)에, 조작 레버(5)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에 케이블(100)을 고정시킬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케이블(100)을 접속하기 전에는 도 1의 (a), 도 2의 (a)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5)를 직립하는 위치(각 콘택트(3, 4)의 고정부(31, 41)와 대략 직교하는 위치)에 있고, 이 상태에서는 캠부(51)가 제 1 콘택트(3)의 오목부(36)를 상측으로 가압하고 있지 않으므로, 가동부(32)의 탄성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가동부(32)의 발톱(32a)은 고정부(31)의 발톱(31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상측)으로 변위하고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캠부(52)가 제 2 콘택트(4)의 오목부(46)를 하향으로 가압하고 있지 않으므로, 가동부(42)의 탄성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가동부(42)의 발톱(42a)은 탄성 접촉편(45)의 발톱(45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상측)으로 변위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5)가, 도 1의 (a) 및 도 2의 (a)에 도시하는 삽입 추출 위치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가동부(32, 42)의 발톱(32a, 42a)이 케이블(100)과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변위하고 있으므로, 케이블(100)을 커넥터(1)에 끼워 넣어 접속할 때의 저항을 작게 할 수 있고, FPC와 같은 부드러운 케이블(100)이라도 커넥터(1)에 용이하게 끼워 넣어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5)를 삽입 추출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각 콘택트(3, 4)의 발톱(32a, 42a)이 케이블(100)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케이블(100)을 삽입하는 동시에 전기적인 접속이 확립되지만, 조작 레버(5)가 빠짐 방지 위치에 있는 경우에 비해, 각 콘택트(3, 4)가 케이블(100)을 유지하는 유지력은 상대적으로 작은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케이블(100)이 상대적으로 빠지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다.
조작 레버(5)를 삽입 추출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케이블 삽입구(21)로부터 커넥터 본체(2)의 내부에 케이블(100)을 삽입하면, 격벽(23)에 마련한 가이드홈(24)에 케이블(100)의 상하 양면이 가이드되는 것에 의해서, 각 콘택트(3, 4)의 고정부(31, 41)와 가동부(32, 42)의 사이에 케이블(100)이 삽입된다.
케이블(100)을 커넥터 본체(2)의 내부에 삽입한 상태로부터, 캠부(51) 및 캠부(52)를 회전 중심으로 해서, 도 1, 도 2, 및 도 3의 (c)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조작 레버(5)를 회전시킨다. 조작 레버(5)를 회전시키면, 캠부(51)의 직방체부(51b)는 스프링 돌기부(35)의 올라앉음 돌기부(35a)의 앞 측(도 1의 좌측)에 접촉한 후, 스프링 돌기부(35)를 하향으로 누르면서 올라앉음 돌기부(35a)를 타고 넘어, 조작 레버(5)가 빠짐 방지 위치까지 회전했을 때에는 올라앉음 돌기부(35a)의 뒤측(도 1의 우측)에 이른다(도 1(b)). 이 때의 스프링 돌기부(35)의 거동은 직방체부(51b)가 올라앉음 돌기부(35a)를 타고 넘고 있을 때에 가장 아래쪽으로 눌려져 있고, 직방체부(51b)가 올라앉음 돌기부(35a)를 다 타고 넘고, 올라앉음 돌기부(35a)로부터 어긋나 스프링 돌기부(35)의 뒤측에 이르면, 위쪽으로 탄성에 의해 복귀한다. 이와 같이, 캠부(51)가 올라앉음 돌기부(35a)를 타고 넘으면서 회전하므로, 조작자는 캠부(51)가 올라앉음 돌기부(35a)를 다 타고 넘었을 때에 적당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캠부(51)가 올라앉음 돌기부(35a)를 타고 넘을 때에는 스프링 돌기부(35)가 아래쪽으로 눌러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고정부(31)상에 직접 올라앉음 돌기부(35a)를 마련했을 때와 같이, 캠부(51) 자체가 올라앉음 돌기부에 의해서 위쪽으로 밀어 올려질 우려가 작으며, 조작 레버(5)를 안정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 조작이 불안정하게 되지 않을 정도이면, 캠부(51)가 올라앉음 돌기부(35a)에 의해서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는 구성이어도 좋다.
조작 레버(5)가, 도 1의 (b), 도 2의 (b) 및 도 4에 도시하는 빠짐 방지 위치까지 회전한 상태에서는 캠부(51)가 제 1 콘택트(3)의 오목부(36)를 상향으로 가압해서 가동부(32)를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지지부(33)를 지점으로 해서 가동부(32)의 발톱(32a)이 고정부(31)측으로 변위하고, 가동부(32)의 발톱(32a)이 케이블(100)의 상면에 마련된 도체 패턴(101)에 탄성 접촉하고 있다. 또, 이 때, 캠부(52)가 제 2 콘택트(4)의 오목부(46)를 하향으로 가압해서 가동부(42)를 탄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서, 가동부(42)의 발톱(42a)이 탄성 접촉편(45)측(하측)으로 변위해서, 가동부(42)의 발톱(42a)이 케이블(100)의 상면에 마련된 도체 패턴(101)에 탄성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이 때에는 가동부(32, 42)의 발톱(32a, 42a)이 각각 케이블(100)에 꽉 눌러지기 때문에, 각 콘택트(3, 4)의 접촉압에 의해서 케이블(100)이 유지된 상태로 되고, 케이블(100)이 상대적으로 빠지기 어려운 상태로 된다. 또한, 가동부(32)의 발톱(32a)과 고정부(31)의 발톱(31a)의 사이에 케이블(100)이 협지되는 동시에, 가동부(42)의 발톱(42a)과 탄성 접촉편(45)의 발톱(45a)의 사이에 케이블(100)이 협지되는 것에 의해서, 각 콘택트(3, 4)와 케이블(100)의 도체 패턴(101)의 사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된다.
한편, 케이블(100)이 커넥터(1)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작 레버(5)를 빠짐 방지 위치에서 삽입 추출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캠부(51, 52)가 각 콘택트(3, 4)의 오목부(36, 46)를 가압하는 힘이 없어지고, 가동부(32, 42)의 스프링 복귀력에 의해서, 가동부(32, 42)의 발톱(32a, 42a)이 위쪽으로 변위해서 케이블(100)로부터 멀어지므로, 각 콘택트(3, 4)가 케이블(100)을 유지하는 힘이 없어지고, 케이블(100)을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레버(5)를 빠짐 방지 위치에서 삽입 추출 위치까지 회전시킬 때에도, 캠부(51)가 올라앉음 돌기부(35a)를 타고 넘으면서 회전하므로, 적당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며, 조작 레버(5)를 삽입 추출 위치에서 빠짐 방지 위치까지 회전시킬 때에, 캠부(51)의 직방체부(51b)가 스프링 돌기부(35)를 누르면서 올라앉음 돌기부(35a)를 타고 넘어, 올라앉음 돌기부(35a)를 다 타고 넘었을 때에 스프링 돌기부(35)가 탄성에 의해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캠부(51)가 올라앉음 돌기부(35a)를 다 타고 넘었을 때에 적당한 조작감이 얻어지고, 조작 레버(5)가 빠짐 방지 위치까지 회전한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작업성이 높은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블(100)의 상면에 마련된 도체 패턴(101)과, 가동부(32, 42)에 마련된 발톱(32a, 42a)이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지만, 고정부(31, 41)측에 마련된 발톱(31a, 45a)이, 케이블(100)의 하면에 마련된 도체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콘택트 수납 공간(20)내에 배치하는 콘택트로서, 제 2 콘택트(4)를 이용하지 않고 제 1 콘택트(3)만을 이용하고, 커넥터 본체(2)에 조작 레버(5)의 축받이 구조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반드시 모든 제 1 콘택트(3)에 스프링 돌기부(35)를 마련할 필요는 없으며, 조작 레버(5)를 빠짐 방지 위치까지 회전시킬 때에 충분한 조작감이 얻어지는 것이면, 복수의 제 1 콘택트(3) 중에서 1개에만 스프링 돌기부(35)를 마련하는 구성 등으로 해도 좋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넥터 2 : 커넥터 본체
3 : 제 1 콘택트 4 : 제 2 콘택트
5 : 조작 레버 20 : 콘택트 수납 공간
21 : 케이블 삽입구 31, 41 : 고정부
32, 42 : 가동부 33, 43 : 지지부
35 : 스프링 돌기부 35a : 올라앉음 돌기부
36, 46 : 오목부 51, 52 : 캠부
100 : 케이블 101 : 도체 패턴

Claims (3)

  1. 표면에 개구된 케이블 삽입구를 통해, 내부에 마련한 콘택트 수납 공간에 편평한 케이블이 삽입 및 추출되는 커넥터 본체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택트 수납 공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을 두께 방향의 한쪽측 및 다른쪽측사이에 유지하고 해당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 수납 공간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상대적으로 빠지기 어렵게 하는 빠짐 방지 위치와 상대적으로 빠지기 쉽게 하는 삽입 추출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운동 자유롭게 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에 배치되어, 빠짐 방지 위치에서는 그 단부에 형성된 캠부에서 상기 콘택트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이들 콘택트를 상기 케이블에 탄성 접촉시키는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콘택트 수납 공간의 한쪽측의 내면에 고정되는 동시에 다른쪽측의 단면에서 상기 조작 레버의 캠부와 대향하는 고정부와, 상기 캠부와 다른쪽측으로부터 걸어 맞춰 상기 조작 레버의 다른쪽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동시에, 이 캠부의 회전운동에 따라 변위하는 가동부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상기 가동부를 요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콘택트의 고정부에는 상기 케이블의 두께 방향에 탄성 변위 가능하고 상기 캠부에 대향해서 올라앉음 돌기부를 갖는 스프링 돌기부가 마련되고, 이 스프링 돌기부는 상기 조작 레버를 삽입 추출 위치에서 빠짐 방지 위치에 걸쳐 회전시킬 때에는 상기 올라앉음 돌기부가 상기 캠부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눌려지고, 이 조작 레버를 빠짐 방지 위치로까지 회전시켰을 때에는 상기 캠부가 상기 올라앉음 돌기부로부터 어긋나는 것에 의해 눌러져 있지 않은 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택트의 각각에, 상기 올라앉음 돌기부를 갖는 스프링 돌기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택트 수납 공간의 내부에 상기 콘택트와 교대로 병설되어, 상기 케이블을 두께 방향의 한쪽측 과 다른쪽측 사이에 유지하고 상기 콘택트와는 다른 접점위치에서 해당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콘택트는 상기 콘택트 수납 공간의 한쪽측의 내면에 고정된 제 2 고정부와, 상기 조작 레버의 캠부와 한쪽측으로부터 걸어 맞춰져서 해당 조작 레버의 한쪽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동시에, 이 캠부의 회전운동에 따라 변위하는 제 2 가동부와, 상기 제 2 고정부에 대해 상기 제 2 가동부를 요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갖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캠부가 상기 가동부와 상기 제 2 가동부에 의해 다른쪽측과 한쪽측사이에 탄성 유지됨으로써,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00090680A 2009-09-16 2010-09-15 커넥터 KR101159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14751 2009-09-16
JP2009214751A JP4798277B2 (ja) 2009-09-16 2009-09-16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116A true KR20110031116A (ko) 2011-03-24
KR101159462B1 KR101159462B1 (ko) 2012-07-12

Family

ID=43866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680A KR101159462B1 (ko) 2009-09-16 2010-09-15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98277B2 (ko)
KR (1) KR101159462B1 (ko)
CN (1) CN102025059B (ko)
TW (1) TWI42462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658B1 (ko) * 2010-04-08 2013-04-03 파나소닉 주식회사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62479B (en) * 2015-09-08 2016-12-11 Wistron Corp Connector
JP6308197B2 (ja) * 2015-11-10 2018-04-1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5356094A (zh) * 2015-11-23 2016-02-24 国家电网公司 插拔式接地线安全操作装置
CN108781662B (zh) * 2017-05-05 2023-10-20 卓斐(东营)农业科技研究院有限公司 电动移栽机以及电能供应方法
JP7390228B2 (ja) * 2020-03-24 2023-12-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保持体を備える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このケーブ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WO2024005776A1 (en) 2022-06-27 2024-01-04 Ideal Industries, Inc. Lever connector for electrical conductor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1471B2 (ja) * 2004-07-30 2008-01-0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JP4440122B2 (ja) * 2005-01-07 2010-03-2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フレキシブル配線部材用コネクタ
JP4283777B2 (ja) * 2005-03-09 2009-06-24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
TWI307980B (en) * 2005-08-31 2009-03-21 I Pex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755539B2 (ja) * 2006-06-23 2011-08-24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658B1 (ko) * 2010-04-08 2013-04-03 파나소닉 주식회사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25059A (zh) 2011-04-20
TWI424623B (zh) 2014-01-21
KR101159462B1 (ko) 2012-07-12
JP2011065830A (ja) 2011-03-31
CN102025059B (zh) 2013-10-23
JP4798277B2 (ja) 2011-10-19
TW201125219A (en) 201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462B1 (ko) 커넥터
KR100951816B1 (ko) 커넥터
JP5748335B2 (ja) コネクタ
US20120289093A1 (en) Connector
KR101141107B1 (ko) 커넥터
US7179107B2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JP2006147523A (ja) コネクタ
JP2008310964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US20160308311A1 (en) Connector
KR20120037885A (ko) 전기커넥터
JP4044937B2 (ja) コネクタ
KR20050061582A (ko) 편평형 유연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US11043764B2 (en) Flat-conductor connector
KR101767683B1 (ko) 결합검지수단을 가지는 커넥터
WO2012172984A1 (ja) コネクタ
JP2017117734A (ja) コネクタ
JP2007323869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20130070005A (ko) 전기 커넥터
KR101221506B1 (ko) 가요성 회로케이블용 커넥터
US20140113462A1 (en) Connector
JP4576394B2 (ja) Ffc/fpc用コネクタ
CN109075464B (zh) 电接线端子以及方法
JP4800404B2 (ja) 電気コネクタ
JP5185543B2 (ja) コネクタ
JP2002050423A (ja)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