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030B1 -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030B1
KR102420030B1 KR1020160022623A KR20160022623A KR102420030B1 KR 102420030 B1 KR102420030 B1 KR 102420030B1 KR 1020160022623 A KR1020160022623 A KR 1020160022623A KR 20160022623 A KR20160022623 A KR 20160022623A KR 102420030 B1 KR102420030 B1 KR 102420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cable
connection
housing
connector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0270A (ko
Inventor
이선학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2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030B1/ko
Publication of KR20170100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7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 및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는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컨택트들이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서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기구, 및 상기 플랫 케이블 및 상기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는 접속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기구는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Connector for Flat Cable}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을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Connector)는 휴대폰, 컴퓨터, 디스플레이장치,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어서, 전자기기 내에 설치된 각종 부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이용된다.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는 플랙서블 플랫 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 연성회로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등과 같은 플랫 케이블(Flat Cable)을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0)는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기 위한 컨택트(11), 상기 컨택트(11)가 복수개 결합되는 하우징(12), 및 상기 하우징(12)을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컨택트(11)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2)에 결합된다. 상기 컨택트(11)의 일측은 상기 하우징(12)의 내부로 삽입된 플랫 케이블에 접속된다. 상기 컨택트(11)는 타측이 상기 하우징(12)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2)에 결합된다. 상기 컨택트(11)의 타측은 상기 기판에 실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택트(11)는 상기 하우징(12)의 내부로 삽입된 플랫 케이블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하우징(12)에는 상기 컨택트(11)가 복수개 결합된다. 상기 컨택트(11)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기 하우징(12)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13)는 상기 하우징(12)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2)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13)는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2)을 상기 기판에 고정한다.
이러한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0)가 설치된 전자기기는, 최근 고성능을 갖추면서도 소형화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적용 전자기기에 따라서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0)에 고전류 인가를 요구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0)는 상기 컨택트(11)들만을 이용하여 전류를 인가하도록 구현되므로, 고전류 인가에 따라 상기 컨택트(11)들 각각에 인가되는 전류가 증대되면 온도 상승으로 인해 발열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발열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컨택트(11)의 개수를 늘려서 허용전류를 증대시키는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0)는 상기 컨택트(11)의 개수가 늘어난 만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길이(10L)가 증대되므로, 전자기기의 소형화 구현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984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으면서도 길이 증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 및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는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컨택트들이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서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1실장부재, 및 상기 플랫 케이블 및 상기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는 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기구는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정부가 하우징에 대한 고정 기능 및 플랫 케이블에 대한 통전 기능을 모두 갖도록 구현됨으로써, 고전류 인가를 기존 컨택트에 비해 큰 체적을 갖는 고정부가 모두 담당할 수 있으므로,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정부를 통해 컨택트의 개수를 늘리지 않고도 전체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대한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 요구되는 전체 허용전류의 크기에 따라 컨택트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품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를 도 2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한 부분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고정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고정부를 도 7의 -Ⅱ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고정부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고정부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커버가 폐쇄위치로 회전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전자기기에 설치되어서 플랫 케이블(100, 도 2에 도시됨) 및 기판(미도시)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플랙서블 플랫 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 연성회로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일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과 상기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복수개의 컨택트(2), 상기 컨택트(2)들이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서 결합되는 하우징(3), 및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되는 고정부(4)를 포함한다.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3)은 상기 컨택트(2)들 및 상기 고정부(4)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31) 및 하면(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4)는 상기 하우징(3)을 상기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4)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기구(41),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속기구(42)를 포함한다.
상기 실장기구(41)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하우징(3)을 상기 기판에 고정하는 고정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속기구(42)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4)는 상기 고정 기능 및 통전 기능을 구현한다.
상기 접속기구(42)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상측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재(421, 도 4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접속기구(42) 및 상기 하우징(3)의 하면(32) 사이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4)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상면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컨택트(2)들 및 상기 고정부(4) 모두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현된다. 즉, 상기 고정부(4)는 상기 하우징(3)을 상기 기판에 고정하는 고정 기능,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과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 기능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컨택트(2)의 개수를 늘리지 않고도 전체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 증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컴팩트한 구조로 고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현되므로, 전자기기에 대한 성능을 더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자기기를 더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재(421)를 이용하여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상면에 접속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고정부(4)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 간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컨택트(2), 상기 하우징(3), 및 상기 고정부(4)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컨택트(2)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2)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택트(2)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하우징(3)의 외부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택트(2)는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는 표면실장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는 전도성(傳導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부(2a, 도 5에 도시됨) 및 제2접속부(2d,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부(2a) 및 상기 제2접속부(2d)가 구비된 일측이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2b, 도 5에 도시됨)이 상기 하우징(3)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된다. 상기 컨택트(2)의 타측(2b)은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컨택트(2)의 제1접속부(2a) 및 제2접속부(2d)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하우징(3)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하면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택트(2)는 상기 제1접속부(2a) 및 상기 제2접속부(2d)에 접속된 플랫 케이블(100) 및 타측(2b)이 실장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2a) 및 상기 제2접속부(2d) 모두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컨택트(2)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 간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에는 상기 컨택트(2)의 제1접속부(2a) 및 제2접속부(2d)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하면에 접속되는 구조의 컨택트(2)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컨택트(2)는 상기 제1접속부(2a) 및 제2접속부(2d)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상면에 접속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컨택트(2)는 상기 제1접속부(2a) 및 제2접속부(2d)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상면 및 하면 모두에 접속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컨택트(2)의 일측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컨택트(2)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는 상기 하우징(3)에 복수개가 결합된다.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서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접속되고, 상기 기판의 서로 다른 위치에 실장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3)은 상기 컨택트(2)들 및 상기 고정부(4)를 지지한다. 상기 컨택트(2)들 및 상기 고정부(4)는 각각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은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컨택트(2)들 및 상기 고정부(4)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3)은 접속홈(30, 도 2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접속홈(3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각각 일측이 상기 접속홈(30)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는 상기 접속기구(42)가 상기 접속홈(30)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접속홈(3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컨택트(2)들 및 상기 고정부(4) 각각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접속홈(30)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접속홈(3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다.
상기 하우징(3)은 복수개의 결합홈(33,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3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33)들은 상기 하우징(3)의 하면(32)에서 상기 접속홈(30)이 형성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각각 상기 결합홈(33)에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3)의 하면(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33)에는 상기 컨택트(2)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의 하면(32)에서 상기 접속기구(42)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상기 결합홈(33)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4)는 상기 접속기구(42)가 상기 결합홈(33)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고정부(4)는 상기 접속기구(42)의 일부가 상기 결합홈(33)에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접속기구(42)가 삽입되는 결합홈(33)은, 상기 컨택트(2)의 일측이 삽입되는 결합홈(33)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4)는 상기 하우징(3)을 상기 기판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4)는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4)는 일부가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고, 일부가 상기 하우징(3)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는 표면실장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는 상기 실장기구(41), 및 상기 접속기구(42)를 포함한다.
상기 실장기구(41)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실장기구(41)는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을 상기 기판에 고정하는 고정 기능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는 상기 실장기구(41)가 상기 하우징(3)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삽입방향(ID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실장기구(41)가 상기 하우징(3)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속기구(42)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되어서 상기 접속기구(42)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접속기구(42) 및 상기 실장기구(41)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는 상기 접속기구(42)가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속기구(42)는 상기 접속홈(30)에 위치하여 상기 접속홈(30)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4)는 상기 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큰 체적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4)는 상기 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구현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고정부(4)가 상기 컨택트(2)들 각각이 인가하는 전류에 비해 더 큰 전류를 인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4)가 상기 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고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 각각은 상기 고정부(4)에 비해 저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고정부(4)가 7A(Ampere) 이상 10A 이하의 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상기 컨택트(2)들 각각이 0.5A의 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담당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고정부(4)를 전원(Power)을 인가하는데 사용하고, 상기 컨택트(2)들 각각을 신호(Signal)를 인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고정부(4)를 신호를 인가하는데 사용하고,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일부의 컨택트(2)들을 전원을 인가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접속기구(42)는 상기 접속부재(421, 도 8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부재(42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상측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속부재(421)는 상기 결합홈(33)이 구비된 상기 하우징(3)의 하면(32, 도 8에 도시됨)으로부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접속부재(421) 및 상기 하우징(3)의 하면(32)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부재(42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상측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상면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부재(42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상면에 위치한 접속단자(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42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기구(42)는 상기 접속부재(421)를 통해 상기 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더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고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전자기기에 대한 성능을 더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컨택트(2)의 개수를 늘리지 않고도 전체 허용전류를 더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를 더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대한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접속기구(42)는 탄성연결부재(422, 도 8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연결부재(422)는 상기 접속부재(421) 및 상기 지지기구(43)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탄성연결부재(422)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대한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접속부재(421)가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접속부재(421) 및 상기 지지기구(43)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접속부재(421) 및 상기 하우징(3)의 하면(32) 사이로 삽입되면, 상기 접속부재(42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의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연결부재(422)는 상기 접속부재(421)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복원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부재(421)는 상기 탄성연결부재(422)로부터 제공되는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재(421)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접속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대한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접속부재(421) 및 상기 하우징(3)의 하면(32) 사이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접속부재(421)는 상기 탄성연결부재(422)로부터 제공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이다.
상기 탄성연결부재(422)는 상기 접속부재(421)에 대해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연결부재(422) 및 상기 접속부재(42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연결부재(422) 및 상기 접속부재(421)는 판재를 굽힘(Bending)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연결부재(422)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탄성연결부재(422)를 통해 상기 접속기구(42)의 길이를 더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접속기구(42)의 길이를 늘림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대한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접속부재(421)를 탄성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력 및 복원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접속기구(42)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 간의 접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탄성연결부재(422)를 통해 상기 접속기구(42)의 길이를 늘림으로써, 상기 접속부재(421)가 갖는 탄성변위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접속부재(421)에 발생하는 소성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탄성변위 증대를 통해 상기 접속기구(42)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 간의 접속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소성변형 감소를 통해 상기 고정부(4)에 대한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탄성연결부재(422)를 통해 상기 접속기구(42)의 길이를 늘림으로써, 상기 고정부(4)가 갖는 체적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고정부(4)가 갖는 허용전류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더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되어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대한 적용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연결부재(422)는 곡률중심이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휘어져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421) 및 상기 지지기구(43)의 사이에는 탄성홈(40, 도 8에 도시됨)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421)는 상기 탄성홈(40)을 통해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대한 접속 여부에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탄성연결부재(422)는 상기 접속부재(421) 및 상기 지지기구(43)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접속부재(421) 및 상기 지지기구(43)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421)는 상기 탄성연결부재(422)에 연결된 일측에서 상기 일측에 대해 반대되는 타측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속부재(421)는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재(421)의 길이 증대를 통해 상기 접속기구(42)의 길이를 더 늘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재(421)가 갖는 탄성변위를 더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접속부재(421)에 발생하는 소성변형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탄성변위 증대를 통해 상기 접속기구(42)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 간의 접속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소성변형 감소를 통해 상기 고정부(4)에 대한 사용 수명을 더 연장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재(421)의 길이 증대를 통해 상기 고정부(4)가 갖는 체적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고정부(4)가 갖는 허용전류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더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되어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대한 적용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421)가 상기 지지기구(43)에 대해 경사진 경사각(IA, 도 8에 도시됨)은, 예각(銳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접속부재(421) 및 상기 하우징(3)의 하면(32)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접속기구(42)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 간의 접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경사각(IA)이 직각(直角) 또는 둔각(鈍角)인 경우,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접속부재(421) 및 상기 하우징(3)의 하면 사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접속부재(421)가 탄성적으로 이동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접속기구(42)는 제1접속돌기(423, 도 8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423)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접속돌기(423)는 상기 접속부재(4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제1접속돌기(423)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제1접속돌기(423)를 통해 상기 접속부재(4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423)는 상기 접속부재(421)의 일부분을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423)는 상기 접속부재(421)로부터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423)는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접속부재(421) 및 상기 하우징(3)의 하면(32) 사이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1접속돌기(423)에 접속되는 과정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제1접속돌기(423)가 충돌에 의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제1접속돌기(423)에 마모가 발생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423)는 돔(Dom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423)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3)은 제2접속돌기(34, 도 8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돌기(34)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제1접속돌기(423)의접속을 돕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접속돌기(34)는 상기 고정부(4)가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3)의 하면(3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제2접속돌기(34)에 의해 상승함으로써, 상기 제1접속돌기(4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돌기(34)는 상기 하우징(3)의 하면(32)으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돌기(34)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접속부재(421) 및 상기 하우징(3)의 하면(32) 사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제2접속돌기(34)가 충돌에 의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제2접속돌기(34)에 마모가 발생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돌기(34)는 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돌기(34)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접속돌기(34)는 상기 컨택트(2)들의 일측이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접속위치와 대비하여,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도록 상기 하우징(3)의 하면(32)으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컨택트(2)들 및 상기 고정부(4)가 동일한 높이의 접속위치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에 대한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하우징(3)의 하면(32)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상기 컨택트(2)들 및 상기 고정부(4)가 동일한 높이의 접속위치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돌기(34)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증대시킴으로써, 접속위치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하우징(3)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비를 줄임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423) 및 상기 제2접속돌기(3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제1접속돌기(423)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접속돌기(34)는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에 삽입되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양 방향에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고정부(4)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 간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4)는 지지기구(43, 도 9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기구(43)는 상기 하우징(3)에 지지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기구(43)는 상기 접속기구(4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기구(43)가 상기 하우징(3)의 하면(3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3)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지지기구(43)에 결합된 상기 접속기구(42)는 상기 하우징(3)으로 삽입되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하우징(3)의 하면(32)과 상기 지지기구(43)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접속기구(42)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상측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지지기구(43)는 상기 접속기구(42)의 탄성연결부재(4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연결부재(422)는 일측이 상기 지지기구(43)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접속부재(42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지지기구(43) 및 상기 접속부재(42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지지기구(4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장기구(41) 및 상기 접속기구(4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장기구(41) 및 상기 접속기구(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속기구(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더 긴 길이(42L)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기구(42)는 상기 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고정부(4)가 갖는 허용전류를 더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더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고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전자기기에 대한 성능을 더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고정부(4)를 통해 상기 컨택트(2)의 개수를 늘리지 않고도 전체 허용전류를 더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 증대를 더 감소시킴으로써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전자기기를 더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대한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고정부(4)가 갖는 허용전류를 증대시킴으로써, 전자기기에서 요구되는 전체 허용전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컨택트(2)의 개수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컨택트(2)의 개수 감소를 통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감소시켜서 더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컨택트(2)의 개수 감소를 통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4)는 연결기구(44, 도 1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44)는 상기 실장기구(41) 및 상기 지지기구(43)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기구(44)는 상기 실장기구(41) 및 상기 지지기구(43) 각각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기구(44)는 상기 하우징(3)의 외부에 위치하는 실장기구(41) 및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기구(43)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실장기구(41)는 상기 하우징(3)의 외부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고, 상기 지지기구(43)는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44)는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장기구(41) 및 상기 지지기구(4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장기구(41) 및 상기 지지기구(43)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모두 수직한 방향이다. 상기 연결기구(44), 상기 실장기구(41), 및 상기 지지기구(4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4)는 고정기구(45, 도 10에 도시됨) 및 쐐기기구(46, 도 1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45)는 상기 연결기구(44)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기구(45)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기구(44)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기구(4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45)는 상기 연결기구(44)로부터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기구(4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장기구(41), 상기 접속기구(42), 및 상기 지지기구(43)가 수평방향으로 눕혀지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연결기구(44) 및 상기 고정기구(45)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쐐기기구(46)는 상기 고정기구(45)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쐐기기구(46)는 상기 하우징(3)에 삽입되어서 상기 고정부(4)를 상기 하우징(3)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고정부(4) 및 상기 하우징(3) 간의 결합력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부(4)가 상기 하우징(3)을 상기 기판에 고정하는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고정부(4)가 상기 하우징(3)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접속기구(42)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 간의 접속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4)는 상기 고정기구(45) 및 상기 쐐기기구(46)가 상기 하우징(3)에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쐐기기구(46)는 상기 고정기구(45)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쐐기기구(46)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면서 끝단이 뾰족한 첨단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기구(45) 및 상기 쐐기기구(46)가 상기 하우징(3)에 삽입되면, 상기 쐐기기구(46)는 상기 하우징(3)에 박혀서 상기 고정부(4)가 상기 하우징(3)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쐐기기구(46), 상기 고정기구(45), 및 상기 연결기구(4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고정부(4)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3)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4)들은 상기 지지기구(43)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3)의 우측에 결합된 고정부(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3)의 좌측에 결합된 고정부(4)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제1고정부(4a) 및 제2고정부(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4a)는 상기 하우징(3)의 우측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2고정부(4b)는 상기 하우징(3)의 좌측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4a) 및 상기 제2고정부(4b) 각각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4a)는 입력단자로 기능하고, 상기 제2고정부(4b)는 출력단자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출력한 전원(Power) 또는 신호(Signal)는, 상기 제1고정부(4a), 상기 제1고정부(4a) 및 상기 제2고정부(4b)가 실장된 기판, 및 상기 제2고정부(4b)를 거쳐 다시 상기 플랫 케이블(100)로 입력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고정부(4a)가 출력단자로 기능하고, 상기 제2고정부(4b)가 입력단자로 기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출력한 전원(Power) 또는 신호(Signal)는, 상기 제2고정부(4b), 상기 제2고정부(4b) 및 상기 제1고정부(4a)가 실장된 기판, 및 상기 제1고정부(4a)를 거쳐 다시 상기 플랫 케이블(100)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커버(5, 도 1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하우징(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이 상기 하우징(3)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컨택트(2)들 각각이 갖는 걸림부재(2c, 도 5에 도시됨)에 삽입되어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상기 접속홈(30)에 삽입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커버(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홈(30)을 개방시키는 개방위치에 위치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접속홈(30)에 삽입되면, 상기 커버(5)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홈(30)을 덮는 폐쇄위치에 위치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폐쇄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접속홈(30)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2 : 컨택트
3 : 하우징 4 : 고정부
5 : 커버 30 : 접속홈
33 : 결합홈 40 : 탄성홈
41 : 실장기구 42 : 접속기구
43 : 지지기구 44 : 연결기구
45 : 고정기구 46 : 쐐기기구
421 : 접속부재 422 : 탄성연결부재
423 : 제1접속돌기 100 : 플랫 케이블

Claims (10)

  1. 플랫 케이블 및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는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컨택트들이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서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기구, 상기 플랫 케이블 및 상기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는 접속기구, 및 상기 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지지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기구는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고,
    상기 접속기구는 상기 지지기구에 결합되어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측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기구는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측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재, 및 상기 플랫 케이블에 대한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접속부재가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접속부재에 연결된 탄성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연결부재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기구가 상기 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실장기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실장기구와 상기 지지기구 각각에 결합되는 연결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기구에 결합된 고정기구, 및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쐐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쐐기기구는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기구는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측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재, 및 상기 접속부재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접속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돌기는 상기 하측방향을 향하는 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2접속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속돌기는 상기 상측방향을 향하는 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기구는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측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재, 및 상기 접속부재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접속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2접속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돌기 및 상기 제2접속돌기는 상기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지지기구, 및 상기 접속기구와 상기 지지기구의 사이에 위치한 탄성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기구는 상기 탄성홈을 통해 상기 플랫 케이블에 대한 접속 여부에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기구는 상기 컨택트들 각각에 비해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컨택트들 각각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20160022623A 2016-02-25 2016-02-25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2420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623A KR102420030B1 (ko) 2016-02-25 2016-02-25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623A KR102420030B1 (ko) 2016-02-25 2016-02-25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270A KR20170100270A (ko) 2017-09-04
KR102420030B1 true KR102420030B1 (ko) 2022-07-11

Family

ID=59924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623A KR102420030B1 (ko) 2016-02-25 2016-02-25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03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2484B2 (ja) * 2010-08-19 2013-01-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344933B1 (ko) * 2011-10-13 2013-12-27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커넥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270A (ko) 2017-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7804B2 (en) Connector for electronically connecting a cable and a printed circuit board
US7258561B2 (en) Connector having a pivoting member with enhanced dust proofing
US740208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aining shell
CN101667686A (zh) 用于电连接器的触头盒
KR101495785B1 (ko) 전기 커넥터
CN100533863C (zh) 凸轮结构及使用该凸轮结构的连接器
TW200522446A (en) Card fitting mechanism having a plurality of card receiving portions and yet capable of being reduced in size
JP4558562B2 (ja) コネクタ
US7341470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KR20110008185A (ko) 전기커넥터
US7473134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6339088A (ja) 電気コネクタ
TWI520449B (zh) 電連接器
KR101252682B1 (ko)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KR102266627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2420030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JP4184251B2 (ja) カードコネクタ
KR102420029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1488892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KR101216024B1 (ko) 록킹 부재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20200008814A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
KR102420028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2191370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CN107086386B (zh) 扁平电缆用连接器
KR102647095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