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095B1 -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095B1
KR102647095B1 KR1020160101019A KR20160101019A KR102647095B1 KR 102647095 B1 KR102647095 B1 KR 102647095B1 KR 1020160101019 A KR1020160101019 A KR 1020160101019A KR 20160101019 A KR20160101019 A KR 20160101019A KR 102647095 B1 KR102647095 B1 KR 102647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cable
axis direction
housing
connec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7337A (ko
Inventor
이선학
박건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1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095B1/ko
Priority to CN201720142369.5U priority patent/CN206789740U/zh
Priority to CN201710082730.4A priority patent/CN107086386B/zh
Publication of KR20180017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과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는 복수개의 제1컨택트, 상기 플랫 케이블과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며 상기 제1컨택트들 각각에 비해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상기 제1컨택트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되는 제2컨택트, 상기 제1컨택트들 및 상기 제2컨택트가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서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Connector for Flat Cable}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을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Connector)는 휴대폰, 컴퓨터, 디스플레이장치,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어서, 전자기기 내에 설치된 각종 부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이용된다.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는 플랙서블 플랫 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 연성회로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등과 같은 플랫 케이블(Flat Cable)을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0)는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기 위한 컨택트(11), 상기 컨택트(11)가 복수개 결합되는 하우징(12), 및 상기 하우징(12)을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컨택트(11)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2)에 결합된다. 상기 컨택트(11)의 일측은 상기 하우징(12)의 내부로 삽입된 플랫 케이블에 접속된다. 상기 컨택트(11)는 타측이 상기 하우징(12)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2)에 결합된다. 상기 컨택트(11)의 타측은 상기 기판에 실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택트(11)는 상기 하우징(12)의 내부로 삽입된 플랫 케이블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하우징(12)에는 상기 컨택트(11)가 복수개 결합된다. 상기 컨택트(11)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기 하우징(12)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13)는 상기 하우징(12)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2)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13)는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2)을 상기 기판에 고정한다.
이러한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0)가 설치된 전자기기는, 최근 고성능을 갖추면서도 소형화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적용 전자기기에 따라서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0)에 고전류 인가를 요구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0)는 고전류 인가에 따라 상기 컨택트(11)들 각각에 인가되는 전류가 증대됨으로써, 온도 상승으로 인해 발열문제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발열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컨택트(11)의 개수를 늘려서 허용전류를 증대시키는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0)는 상기 컨택트(11)의 개수가 늘어난 만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길이(10L)가 증대되므로, 전자기기의 소형화 구현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으면서도 길이 증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과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는 복수개의 제1컨택트; 상기 플랫 케이블과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며, 상기 제1컨택트들 각각에 비해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상기 제1컨택트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되는 제2컨택트; 상기 제1컨택트들 및 상기 제2컨택트가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서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2컨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기 위한 제1고정부재; 상기 제1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실장부재; 상기 삽입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분리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된 제1접속부재; 및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고정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고정부재가 상기 제1접속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접속부재에 대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배치되어서 수평으로 눕혀지도록 배치된 연결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컨택트는 플랫 케이블과 기판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컨택트로, 상기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가 갖는 하우징에 결합되기 위한 제1고정부재; 상기 제1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실장부재; 상기 삽입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분리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된 제1접속부재; 및 제1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고정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고정부재가 상기 제1접속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접속부재에 대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배치되어서 수평으로 눕혀지도록 배치된 연결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체적이 다른 이종(異種)의 컨택트를 이용하여 전체 허용전류를 증대시킴으로써,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랫 케이블과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컨택트 및 제2컨택트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컨택트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일부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제2컨택트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제2컨택트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를 도 6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0은 도 6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는 제1접속부재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1은 도 6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하는 제2접속부재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2는 도 6의 Ⅲ-Ⅲ 선을 기준으로 하는 제3접속부재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를 도 6의 Ⅳ-Ⅳ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제2컨택트를 도 8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제2컨택트를 도 8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고정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커버가 폐쇄위치로 회전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전자기기에 설치되어서 플랫 케이블(100, 도 2에 도시됨) 및 기판(미도시)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플랙서블 플랫 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 연성회로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일 수 있다. 상기 기판(20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과 상기 기판(20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복수개의 제1컨택트(2), 상기 컨택트(2)들이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서 결합되는 하우징(3), 상기 플랫 케이블(100)과 상기 기판(20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2컨택트(4), 및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되는 고정부(5)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컨택트(2)들은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3)은 상기 제1컨택트(2)들,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고정부(5)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5)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하우징(3)을 상기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의 길이(2L)에 비해 더 긴 길이(4L)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체적이 다른 이종(異種)의 컨택트를 이용하여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더 큰 허용전류를 갖는 제2컨택트(4)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컨택트들이 갖는 전체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1컨택트(2)들의 개수를 늘리지 않고도 전체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 증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컴팩트한 구조로 고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현되므로, 전자기기에 대한 성능을 더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자기기를 더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컨택트(2), 상기 하우징(3),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고정부(5)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하우징(3)의 외부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과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는 표면실장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는 전도성(傳導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는 일측(2a, 도 5에 도시됨)이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2b, 도 5에 도시됨)이 상기 하우징(3)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된다. 상기 제1컨택트(2)의 타측(2b)은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컨택트(2)의 일측(2a)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하우징(3)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하면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컨택트(2)는 일측(2a)에 접속된 플랫 케이블(100)과 타측(2b)이 실장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5에는 상기 제1컨택트(2)의 일측(2a)이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하면에 접속되는 구조의 제1컨택트(2)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컨택트(2)는 일측(2)이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상면에 접속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컨택트(2)는 일측(2)이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상면 및 하면 모두에 접속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제1컨택트(2)의 일측(2)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2)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하우징(3)에 복수개가 결합된다. 상기 제1컨택트(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서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컨택트(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접속되고, 상기 기판의 서로 다른 위치에 실장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3)은 상기 제1컨택트(2)들,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고정부(5)를 지지한다. 상기 제1컨택트(2)들,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고정부(5)는 각각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은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컨택트(2)들,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고정부(5)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3)은 접속홈(30, 도 2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접속홈(3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들은 각각 일측(2a)이 상기 접속홈(30)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접속홈(30)에 삽입되거나 상기 접속홈(3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다.
상기 하우징(3)은 복수개의 결합홈(31,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3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31)들은 상기 하우징(3)에서 상기 접속홈(30)이 형성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들은 각각 상기 결합홈(31)에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31)에는 상기 제1컨택트(2)의 일측(2a)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결합홈(31)에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컨택트(4)가 삽입되는 결합홈(31)은,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이 삽입되는 결합홈(31)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하우징(3)에서 상기 제2컨택트(4)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상기 결합홈(31)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결합홈(31)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하우징(3)의 외부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과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는 표면실장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된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1컨택트(2)들로부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이다. 상기 제2컨택트(4)는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이다. 상기 제1컨택트(2)들 또한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체적이 다른 이종(異種)의 컨택트를 이용하여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컨택트들이 갖는 전체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1컨택트(2)들의 개수를 늘리지 않고도 전체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 증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컴팩트한 구조로 고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현되므로, 전자기기에 대한 성능을 더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자기기를 더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이 인가하는 전류에 비해 상기 제2컨택트(4)가 더 큰 전류를 인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컨택트(4)가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고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은 상기 제2컨택트(4)에 비해 저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2컨택트(4)가 7A(Ampere) 이상 10A 이하의 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이 0.5A의 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담당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2컨택트(4)를 전원(Power)을 인가하는데 사용하고,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을 신호(Sinal)를 인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2컨택트(4)를 신호를 인가하는데 사용하고, 상기 제1컨택트(2)들 중에서 일부의 제1컨택트(2)들을 전원을 인가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의 길이(2L, 도 4에 도시됨)에 비해 더 긴 길이(4L, 도 4에 도시됨)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갖는 제2컨택트(4)를 구비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3)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3)에 대한 제조 상의 어려움이 증대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2컨택트(4)가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갖도록, 상기 제2컨택트(4)가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도 7에 도시됨) 및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도 7에 도시됨)을 기준으로 더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3)에서 상기 제2컨택트(4)가 결합되는 부분을 상기 제1컨택트(2)들이 결합되는 부분과 다른 높이로 구현하여야 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3)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상기 하우징(3)에 대한 제조 상의 어려움이 증대되게 된다.
반면, 상기 제2컨택트(4)가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갖도록, 상기 제2컨택트(4)가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더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3)의 높이 증대를 억제하면서도 상기 하우징(3)이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제1컨택트(2)들 모두를 수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갖는 제2컨택트(4)를 구비하면서도, 상기 하우징(3)의 구조를 간결하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3)의 제조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에 대해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3)은 상기 제1컨택트(2)들만을 수용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도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제1컨택트(2)들 모두를 수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2컨택트(4)는 제1접속부재(41,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1접속부재(41)가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상기 하우징(3)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의 하측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상기 하우징(3)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의 하면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하면에 위치한 접속단자(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의 제1경사각도(41A, 도 10에 도시됨)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각도(41A)는 상기 기판에 대해 평행한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재(41)가 경사진 기울기에 해당한다. 상기 제1접속부재(41)가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눌려서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복원력으로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재(41)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 간의 접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하우징(3)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복원력으로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재(41)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접속부재(41)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접속위치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재(41)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 간의 접속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재(41)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접속부재(41)의 길이를 늘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재(41)가 갖는 탄성변위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접속부재(41)에 발생하는 소성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탄성변위 증대를 통해 상기 제1접속부재(41)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 간의 접속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소성변형 감소를 통해 상기 제1접속부재(41)에 대한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재(41)의 길이를 늘림으로써, 상기 제1접속부재(41)를 통해 상기 제2컨택트(4)가 갖는 체적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2컨택트(4)가 갖는 허용전류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더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되어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대한 적용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1)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진 제1경사각도(41A)는, 예각(銳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 간의 접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경사각도(41A)가 직각(直角) 또는 둔각(鈍角)인 경우,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제1접속부재(41)에 걸려서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의 길이(2L, 도 4에 도시됨)에 비해 더 긴 길이(41L, 도 4에 도시됨)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1접속부재(41)를 통해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되어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대한 적용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제1접속돌기(411, 도 1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41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접속돌기(411)는 상기 제1접속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제1접속돌기(411)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제1접속돌기(411)를 통해 상기 제1접속부재(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411)는 상기 제1접속부재(41)의 일부분을 굽힘(Bending)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411)는 상기 제1접속부재(41)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재(41)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제1컨택트(2)들이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접속위치에 대한 높이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411)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1접속부재(41)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접속위치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접속부재(41)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비를 줄여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411)는 상기 제1컨택트(2)들의 일측(2a, 도 5에 도시됨)이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접속위치와 대비하여,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도록 상기 제1접속부재(41)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에 대한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411)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제1접속면(411a, 도 10에 도시됨)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접속돌기(411)에 접속되는 과정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제1접속돌기(411)가 충돌에 의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제1접속돌기(411)에 마모가 발생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411)는 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411)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41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각각으로 상기 제1접속부재(41)에 비해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제1가이드면(412, 도 10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면(412)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가이드면(412)은 상기 제1접속돌기(411)를 기준으로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면(412)은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면(412)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접속돌기(411)에 접속되도록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제1접속돌기(411)에 비해 더 낮은 위치에서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제1가이드면(412)에 접촉된 후에 상기 제1가이드면(412)이 이루는 경사면을 따라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접속돌기(411)에 접속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상기 제1접속돌기(411)에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가이드면(412)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3)은 가이드부재(32, 도 9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32)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재(32)는 상기 하우징(3)에서 상기 접속홈(30) 쪽을 향하는 내면으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32)는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32)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접속부재(41)에 접속되도록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제1가이드면(412)에 비해 더 낮은 위치에서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가이드부재(32)에 접촉된 후에 상기 가이드부재(32)가 이루는 경사면을 따라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가이드면(412)에 접속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상기 제1접속부재(41)에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가이드부재(32)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상기 제1가이드면(412)의 최저점이 상기 가이드부재(32)의 최고점에 비해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가이드부재(32) 및 상기 제1가이드면(412)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접속부재(41)에 접속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상기 제1접속부재(41)에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 및 정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면(412)의 최저점이 상기 가이드부재(32)의 최고점에 비해 높은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제1가이드면(412)에 충돌하여 상기 제1가이드면(412)을 따라 이동하지 못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2컨택트(4)는 제2접속부재(42,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42)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2접속부재(42)가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접속부재(42)는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42)는 상기 하우징(3)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의 하측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제2접속부재(42)는 상기 하우징(3)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의 하면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42)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하면에 위치한 접속단자(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42)는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접속부재(42)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의 제2경사각도(42A, 도 11에 도시됨)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각도(42A)는 상기 기판에 대해 평행한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접속부재(42)가 경사진 기울기에 해당한다. 상기 제2접속부재(42)가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제2접속부재(42)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눌려서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복원력으로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 간의 접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하우징(3)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2접속부재(42)는 복원력으로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2접속부재(42)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접속부재(42)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접속위치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 간의 접속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2접속부재(42)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접속부재(42)의 길이를 늘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2접속부재(42)가 갖는 탄성변위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접속부재(42)에 발생하는 소성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탄성변위 증대를 통해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 간의 접속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소성변형 감소를 통해 상기 제2접속부재(42)에 대한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2접속부재(42)의 길이를 늘림으로써, 상기 제2접속부재(42)를 통해 상기 제2컨택트(4)가 갖는 체적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2컨택트(4)가 갖는 허용전류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더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되어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대한 적용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42)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진 제2경사각도(42A)는, 예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 간의 접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경사각도(42A)가 직각 또는 둔각인 경우,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제2접속부재(42)에 걸려서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제2접속부재(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의 길이(2L, 도 4에 도시됨)에 비해 더 긴 길이(42L, 도 4에 도시됨)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2접속부재(42)를 통해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되어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대한 적용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42)는 제2접속돌기(421, 도 1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돌기(42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접속돌기(421)는 상기 제2접속부재(4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제2접속돌기(421)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제2접속돌기(421)를 통해 상기 제2접속부재(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돌기(421)는 상기 제2접속부재(42)의 일부분을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돌기(421)는 상기 제2접속부재(42)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2접속부재(42)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제1컨택트(2)들이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접속위치에 대한 높이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돌기(421)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2접속부재(42)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접속위치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접속부재(42)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비를 줄여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돌기(421)는 상기 제1컨택트(2)들의 일측(2a, 도 5에 도시됨)이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접속위치와 대비하여,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도록 상기 제2접속부재(42)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에 대한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돌기(421)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제2접속면(421a, 도 11에 도시됨)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접속돌기(421)에 접속되는 과정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제2접속돌기(421)가 충돌에 의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제2접속돌기(421)에 마모가 발생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돌기(421)는 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돌기(421)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접속돌기(42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각각으로 상기 제2접속부재(42)에 비해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42)는 제2가이드면(422, 도 11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면(422)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가이드면(422)은 상기 제2접속돌기(421)를 기준으로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면(422)은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가이드면(422)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접속돌기(421)에 접속되도록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제2접속돌기(421)에 비해 더 낮은 위치에서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제2가이드면(422)에 접촉된 후에 상기 제2가이드면(422)이 이루는 경사면을 따라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접속돌기(421)에 접속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상기 제2접속돌기(421)에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가이드면(422)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42)는 상기 제2가이드면(422)의 최저점이 상기 가이드부재(32, 도 9에 도시됨)의 최고점에 비해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가이드부재(32) 및 상기 제2가이드면(422)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2접속부재(42)에 접속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상기 제2접속부재(42)에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 및 정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면(422)의 최저점이 상기 가이드부재(32)의 최고점에 비해 높은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제2가이드면(422)에 충돌하여 상기 제2가이드면(422)을 따라 이동하지 못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탄성력 및 복원력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탄성변위가 증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1접속부재(41)가 나누어지지 않은 형태로 형성된 경우와 대비할 때,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1접속부재(41)가 나누어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더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변위 증대를 위한 길이가 증대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 간의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제2컨택트(4)는 제3접속부재(43,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3접속부재(43)가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상기 하우징(3)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의 하측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상기 하우징(3)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의 하면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하면에 위치한 접속단자(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의 제3경사각도(43A, 도 12에 도시됨)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경사각도(43A)는 상기 기판에 대해 평행한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3접속부재(43)가 경사진 기울기에 해당한다. 상기 제3접속부재(43)가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눌려서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복원력으로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3접속부재(43)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 간의 접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하우징(3)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복원력으로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3접속부재(43)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3접속부재(43)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접속위치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3접속부재(43)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 간의 접속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3접속부재(43)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3접속부재(43)의 길이를 늘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3접속부재(43)가 갖는 탄성변위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3접속부재(43)에 발생하는 소성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탄성변위 증대를 통해 상기 제3접속부재(43)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 간의 접속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소성변형 감소를 통해 상기 제3접속부재(43)에 대한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3접속부재(43)의 길이를 늘림으로써, 상기 제3접속부재(43)를 통해 상기 제2컨택트(4)가 갖는 체적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2컨택트(4)가 갖는 허용전류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더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되어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대한 적용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부재(43)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진 제3경사각도(43A)는, 예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 간의 접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3경사각도(43A)가 직각 또는 둔각인 경우,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제3접속부재(43)에 걸려서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의 길이(2L, 도 4에 도시됨)에 비해 더 긴 길이(43L, 도 4에 도시됨)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3접속부재(43)를 통해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되어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대한 적용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제3접속돌기(431, 도 1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돌기(43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3접속돌기(431)는 상기 제3접속부재(4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제3접속돌기(431)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제3접속돌기(431)를 통해 상기 제3접속부재(4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돌기(431)는 상기 제3접속부재(43)의 일부분을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돌기(431)는 상기 제3접속부재(43)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3접속부재(43)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제1컨택트(2)들이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접속위치에 대한 높이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돌기(431)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3접속부재(43)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접속위치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3접속부재(43)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비를 줄여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돌기(431)는 상기 제1컨택트(2)들의 일측(2a, 도 5에 도시됨)이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접속위치와 대비하여,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도록 상기 제3접속부재(43)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에 대한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돌기(431)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제3접속면(431a, 도 12에 도시됨)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3접속돌기(431)에 접속되는 과정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제3접속돌기(431)가 충돌에 의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제3접속돌기(431)에 마모가 발생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돌기(431)는 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돌기(431)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3접속돌기(43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각각으로 상기 제3접속부재(43)에 비해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제3가이드면(432, 도 12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가이드면(432)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3가이드면(432)은 상기 제3접속돌기(431)를 기준으로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3가이드면(432)은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가이드면(432)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3접속돌기(431)에 접속되도록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제3접속돌기(431)에 비해 더 낮은 위치에서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제3가이드면(432)에 접촉된 후에 상기 제3가이드면(432)이 이루는 경사면을 따라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3접속돌기(431)에 접속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상기 제3접속돌기(431)에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3가이드면(432)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상기 제3가이드면(432)의 최저점이 상기 가이드부재(32, 도 9에 도시됨)의 최고점에 비해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가이드부재(32) 및 상기 제3가이드면(432)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3접속부재(43)에 접속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상기 제3접속부재(43)에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 및 정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3가이드면(432)의 최저점이 상기 가이드부재(32)의 최고점에 비해 높은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제3가이드면(432)에 충돌하여 상기 제3가이드면(432)을 따라 이동하지 못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3접속부재(43),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접속부재(43),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탄성력 및 복원력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탄성변위가 증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부재(43),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1접속부재(41)가 나누어지지 않은 형태로 형성된 경우와 대비할 때,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1접속부재(41)가 나누어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더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변위 증대를 위한 길이가 증대되기 때문이다. 특히, 제2접속부재(42) 및 제1접속부재(41)만이 나누어진 형태와 같이 상기 제2컨택트(4)가 2개의 접속부재를 갖도록 형성된 경우와 대비할 때, 상기 제3접속부재(43),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1접속부재(41)가 나누어진 형태와 같이 상기 제2컨택트(4)가 3개의 접속부재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더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제2컨택트(4)는 탄성력 및 복원력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탄성변위가 증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2컨택트(4)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는 4개 이상의 접속부재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3접속부재(43),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 간의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상기 제3접속부재(43),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1접속부재(41)가 각각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의 길이(2L)에 비해 더 긴 길이(43L, 42L, 41L)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3접속부재(43),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1접속부재(4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의 길이(2L)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제3접속부재(43),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1접속부재(41) 중 어느 하나만이라도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되어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대한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제2컨택트(4)는 연결부재(44, 도 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4)는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44)는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재(4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42)는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재(4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재(4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4),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4)는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접속 여부에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상기 연결부재(44)를 기준으로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3)으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상기 연결부재(44)를 기준으로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제2컨택트(4)는 삽입홈(45, 도 4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45)은 상기 제1접속부재(41)와 상기 제2접속부재(42)의 사이, 및 상기 제2접속부재(42)와 상기 제3접속부재(43)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재(44)에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45)은 상기 연결부재(44)에서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상기 삽입홈(45)을 기준으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45)은 상기 제2컨택트(4)를 제조하기 위한 판재의 두께(T1, 도 10에 도시됨)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더 긴 길이(45L, 도 4에 도시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재의 두께(T1)를 T로 정의할 때,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홈(45)의 길이(45L)는 1.5T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판재를 가공하여 상기 삽입홈(45)을 형성하는 가공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판재의 두께(T1)를 T로 정의할 때,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홈(45)의 길이(45L)는 1.5T 이상 2.0T 이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 각각은 상기 삽입홈(45)의 길이(45L)에 비해 더 긴 길이(41L, 42L, 43L)(도 4에 도시됨)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3)은 지지부재(33, 도 1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3)는 상기 제2컨택트(4)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삽입홈(45)에 상기 지지부재(33)가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33)는 상기 삽입홈(45)에 삽입되어 상기 제2컨택트(4)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지지부재(33)를 이용하여 상기 제2컨택트(4)가 상기 하우징(3)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耐力)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지지부재(33)가 상기 연결부재(44)에 접촉될 때까지 상기 제2컨택트(4)를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컨택트(4)를 상기 하우징(3)에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33)는 결합위치를 안내하는 스토퍼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2컨택트(4)를 상기 하우징(3)에 결합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3)는 상기 하우징(3)에서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한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의 배면에는 상기 제1접속부재(41) 및 상기 제2접속부재(42)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은 상기 하우징(3)의 배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33)가 없으면, 상기 하우징(3)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된 삽입공으로 인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33)는 상기 하우징(3)의 배면에서 상기 삽입공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33)는 상기 삽입공으로 인해 상기 하우징(3)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지지부재(33)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3)의 내구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외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3)이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제2컨택트(4)는 실장부재(46, 도 1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46)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실장부재(46)를 통해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46)는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재(4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가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실장부재(46)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3)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46)는 표면실장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46), 상기 연결부재(44),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46)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2컨택트(4)가 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들림방지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하우징(3)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에 접속되면,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눌려짐에 따라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를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도 14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컨택트(4)에는 반시계방향으로 모멘트(M, Moment)가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컨택트(4)에 상기 실장부재(46)가 없으면,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를 가압함에 따라 발생하는 모멘트(M)로 인해, 상기 제2컨택트(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격되어 들릴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컨택트(4)에 상기 실장부재(46)가 구비된 경우, 상기 실장부재(46)는 상기 연결부재(44)를 기준으로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의 반대편 쪽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실장부재(46)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를 가압함에 따라 발생하는 모멘트(M)에 대항하는 고정력을 구현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2컨택트(4)가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실장부재(46)를 이용하여 상기 제2컨택트(4)가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격되어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46)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44)의 길이(44L, 도 4에 도시됨)에 비해 더 짧은 길이(46L, 도 4에 도시됨)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장부재(46)의 양측에는, 캐리어홈(46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하우징(3)을 결합시키는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캐리어홈(46a)에는 상기 연결부재(44)에 결합되는 캐리어(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하우징(3) 간의 결합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2컨택트(4)로부터 절단되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하우징(3) 간의 결합공정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46)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44)의 중앙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장부재(46)의 좌측 끝단이 상기 연결부재(44)의 좌측 끝단으로부터 이격된 거리, 및 상기 실장부재(46)의 우측 끝단이 상기 연결부재(44)의 우측 끝단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실장부재(46)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44)의 중앙부분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진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실장부재(46)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제2컨택트(4)를 상기 기판에 고정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제2컨택트(4)는 제1고정부재(47,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47)는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1고정부재(47)가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47)는 상기 연결부재(4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47)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접속부재(4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재(44)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고정부재(47)는 상기 연결부재(44)의 제1축방향(X축 방향)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상기 제1고정부재(47) 및 상기 제2접속부재(42)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고정부재(47)는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재(4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47), 상기 연결부재(44),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상기 제3접속부재(43), 상기 연결부재(44), 상기 실장부재(46)가 수평으로 눕혀지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제1고정부재(47)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제2컨택트(4)는 제2고정부재(48,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48)는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2고정부재(48)가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48)는 상기 연결부재(4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48)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3접속부재(4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재(44)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고정부재(48)는 상기 연결부재(44)의 제1축방향(X축 방향)의 타측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제3접속부재(42)는 상기 제2고정부재(48) 및 상기 제2접속부재(42)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상기 제1고정부재(47) 및 상기 제2고정부재(48)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의 양측에서 상기 제1고정부재(47) 및 상기 제2고정부재(48)가 상기 하우징(3)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제2컨택트(4)에 반복적으로 접속 및 접속 해제됨에 따라 상기 제2컨택트(4)가 기울어지는 등 결합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48)는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재(4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48), 상기 제1고정부재(47), 상기 연결부재(44),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상기 제3접속부재(43), 상기 연결부재(44), 상기 실장부재(46)가 수평으로 눕혀지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제2고정부재(48)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제2컨택트(4)는 제1쐐기부재(473, 도 1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쐐기부재(473)는 상기 제2컨택트(4)를 상기 하우징(3)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쐐기부재(473)는 상기 제1고정부재(47)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47)가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쐐기부재(473)는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하우징(3) 간의 결합력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에 내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쐐기부재(473) 및 상기 제1고정부재(47)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쐐기부재(473)는 제1정렬쐐기(473a, 도 1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정렬쐐기(473a)는 상기 제2컨택트(4)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정렬쐐기(473a)는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우징(3)에 가이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컨택트(4)는 정확한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되도록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1정렬쐐기(473a)는 상기 제1고정부재(47)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정렬쐐기(473a)는 상기 제1고정부재(47)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정렬쐐기(473a)는 상기 제1고정부재(47)로부터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쐐기부재(473)는 사다리꼴,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쐐기부재(473)는 제1고정쐐기(473b, 도 1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쐐기(473b)는 상기 제2컨택트(4)를 상기 하우징(3)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고정쐐기(473b)는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하우징(3)에 박히도록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쐐기(473b)는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하우징(3) 간의 결합력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쐐기(473b)는 상기 제1고정부재(47)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쐐기(473b)는 상기 제1정렬쐐기(473a)에 비해 상기 제1고정부재(47)로부터 더 긴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정렬쐐기(473a)는 상기 하우징(3)의 내벽에 박히지 않고 접촉될 수 있는 길이로 상기 제1고정부재(47)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쐐기(473b)는 상기 하우징(3)의 내벽에 박힐 수 있는 길이로 상기 제1고정부재(47)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쐐기(473b)는 상기 제1고정부재(47)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쐐기(473b)는 상기 제1고정부재(47)로부터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쐐기(473b)는 상기 하우징(3)에 박힐 수 있는 형태이면 삼각형,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쐐기(473b)는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정렬쐐기(473a)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쐐기부재(473)는 제1들림방지쐐기(473c, 도 1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들림방지쐐기(473c)는 상기 제2컨택트(4)가 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들림방지쐐기(473c)는 상기 하우징(3)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2컨택트(4)가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격되어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하우징(3)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에 접속되면,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눌려짐에 따라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를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도 14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컨택트(4)에는 반시계방향으로 모멘트(M)가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모멘트(M)로 인해, 상기 제2컨택트(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격되어 들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들림방지쐐기(473c)는 상기 제2컨택트(4)에 모멘트(M)가 작용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3)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를 가압함에 따라 발생하는 모멘트(M)에 대항하는 고정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들림방지쐐기(473c)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2컨택트(4)가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컨택트(4)에 상기 제1들림방지쐐기(473c) 및 상기 실장부재(46)가 모두 구비된 경우, 상기 제1들림방지쐐기(473c) 및 상기 실장부재(46)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를 가압함에 따라 발생하는 모멘트(M)에 대항하는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제1들림방지쐐기(473c) 및 상기 실장부재(46)를 이용하여 상기 제2컨택트(4)가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격되어 들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에 대한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들림방지쐐기(473c)는 상기 제1고정부재(47)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들림방지쐐기(473c)는 상기 제1고정쐐기(473b)에 비해 상기 제1고정부재(47)로부터 더 긴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들림방지쐐기(473c)는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하우징(3)에 박히도록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들림방지쐐기(473c)는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하우징(3)에 박히지 않고 접촉되도록 삽입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3)에는 상기 제1들림방지쐐기(473c)가 삽입되기 위한 제1들림방지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들림방지쐐기(473c)는 상기 제1고정부재(47)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들림방지쐐기(473c)는 상기 제1고정부재(47)로부터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들림방지쐐기(473c)는 상기 하우징(3)에 지지될 수 있는 형태이면 삼각형,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들림방지쐐기(473c)는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을 따라 상기 제1고정쐐기(473b)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제2컨택트(4)는 제2쐐기부재(483, 도 1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쐐기부재(483)는 상기 제2컨택트(4)를 상기 하우징(3)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쐐기부재(483)는 상기 제2고정부재(48)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48)가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2쐐기부재(483)는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하우징(3) 간의 결합력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에 내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쐐기부재(483) 및 상기 제2고정부재(48)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쐐기부재(483)는 제2정렬쐐기(483a, 도 1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정렬쐐기(483a)는 상기 제2컨택트(4)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정렬쐐기(483a)는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우징(3)에 가이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컨택트(4)는 정확한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되도록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2정렬쐐기(483a)는 상기 제2고정부재(48)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정렬쐐기(483a)는 상기 제2고정부재(48)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정렬쐐기(483a)는 상기 제2고정부재(48)로부터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쐐기부재(483)는 사다리꼴,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쐐기부재(483)는 제2고정쐐기(483b, 도 1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쐐기(483b)는 상기 제2컨택트(4)를 상기 하우징(3)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고정쐐기(483b)는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하우징(3)에 박히도록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고정쐐기(483b)는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하우징(3) 간의 결합력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고정쐐기(483b)는 상기 제2고정부재(48)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쐐기(483b)는 상기 제2정렬쐐기(483a)에 비해 상기 제2고정부재(48)로부터 더 긴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정렬쐐기(483a)는 상기 하우징(3)의 내벽에 박히지 않고 접촉될 수 있는 길이로 상기 제2고정부재(48)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쐐기(483b)는 상기 하우징(3)의 내벽에 박힐 수 있는 길이로 상기 제2고정부재(48)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쐐기(483b)는 상기 제2고정부재(48)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쐐기(483b)는 상기 제2고정부재(48)로부터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쐐기(483b)는 상기 하우징(3)에 박힐 수 있는 형태이면 삼각형,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쐐기(483b)는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을 따라 상기 제2정렬쐐기(483a)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쐐기부재(483)는 제2들림방지쐐기(483c, 도 1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들림방지쐐기(483c)는 상기 제2컨택트(4)가 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들림방지쐐기(483c)는 상기 하우징(3)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2컨택트(4)가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격되어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하우징(3)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에 접속되면,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눌려짐에 따라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를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도 15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컨택트(4)에는 시계방향으로 모멘트(M)가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모멘트(M)로 인해, 상기 제2컨택트(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격되어 들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들림방지쐐기(483c)는 상기 제2컨택트(4)에 모멘트(M)가 작용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3)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를 가압함에 따라 발생하는 모멘트(M)에 대항하는 고정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들림방지쐐기(483c)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2컨택트(4)가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컨택트(4)에 상기 제2들림방지쐐기(483c) 및 상기 실장부재(46)가 모두 구비된 경우, 상기 제2들림방지쐐기(483c) 및 상기 실장부재(46)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를 가압함에 따라 발생하는 모멘트(M)에 대항하는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제2들림방지쐐기(483c) 및 상기 실장부재(46)를 이용하여 상기 제2컨택트(4)가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격되어 들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에 대한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들림방지쐐기(483c)는 상기 제2고정부재(48)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들림방지쐐기(483c)는 상기 제2고정쐐기(483b)에 비해 상기 제2고정부재(48)로부터 더 긴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들림방지쐐기(483c)는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하우징(3)에 박히도록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들림방지쐐기(483c)는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하우징(3)에 박히지 않고 접촉되도록 삽입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3)에는 상기 제2들림방지쐐기(483c)가 삽입되기 위한 제2들림방지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들림방지쐐기(483c)는 상기 제2고정부재(48)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들림방지쐐기(483c)는 상기 제2고정부재(48)로부터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들림방지쐐기(483c)는 상기 하우징(3)에 지지될 수 있는 형태이면 삼각형,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들림방지쐐기(483c)는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을 따라 상기 제2고정쐐기(483b)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5)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하우징(3)을 상기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5)는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5)는 일부가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하우징(3)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는 표면실장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는 고정실장부재(51, 도 16에 도시됨), 고정결합부재(52, 도 16에 도시됨), 및 고정쐐기부재(53, 도 16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실장부재(51)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실장부재(51)는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을 상기 기판에 고정하는 고정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는 상기 고정실장부재(51가 상기 하우징(3)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실장부재(51)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하우징(3)을 상기 기판에 고정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결합부재(52)는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5)는 상기 고정결합부재(52)가 상기 하우징(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결합부재(52)는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고정실장부재(51)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고정실장부재(5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5)는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결합부재(52)가 상기 하우징(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결합부재(52)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실장부재(51)가 수평방향으로 눕혀지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고정결합부재(52)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결합부재(52) 및 상기 고정실장부재(5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쐐기부재(53)는 상기 고정부(5)를 상기 하우징(3)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쐐기부재(53)는 상기 고정결합부재(52)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결합부재(52)가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고정쐐기부재(53)는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고정부(5) 및 상기 하우징(3)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부(5)가 상기 하우징(3)을 상기 기판에 고정하는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쐐기부재(53)는 상기 고정결합부재(52)로부터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결합부재(52)가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쐐기부재(53)는 상기 하우징(3)에 박히도록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쐐기부재(53)는 상기 고정부(5) 및 상기 하우징(3) 간의 결합력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부(5)가 상기 하우징(3)을 상기 기판에 고정하는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쐐기부재(53)는 상기 고정결합부재(52)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쐐기부재(53)는 상기 하우징(3)에 박힐 수 있는 형태이면 삼각형,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는 상기 고정쐐기부재(53)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쐐기부재(53)는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쐐기부재(53), 상기 고정결합부재(52), 및 상기 고정실장부재(5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고정부(5)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3)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5)들은 상기 고정실장부재(51)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3)의 우측에 결합된 고정부(5)는 상기 고정실장부재(51)가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3)의 좌측에 결합된 고정부(5)는 상기 고정실장부재(51)가 좌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복수개의 제2컨택트(4a, 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a)는 상기 하우징(3)의 우측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2컨택트(4b)는 상기 하우징(3)의 좌측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컨택트들(4a, 4b)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들은 상기 제2컨택트들(4a, 4b)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들(4a, 4b)은 상기 고정부(5)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a)는 입력단자로 기능하고, 상기 제2컨택트(4b)는 출력단자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출력한 전원(Power) 또는 신호(Signal)는, 상기 제2컨택트(4a), 상기 기판, 및 상기 제2컨택트(4b)를 거쳐 다시 상기 플랫 케이블(100)로 입력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컨택트(4a)가 출력단자로 기능하고, 상기 제2컨택트(4b)가 입력단자로 기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출력한 전원(Power) 또는 신호(Signal)는, 상기 제2컨택트(4b), 상기 기판, 및 상기 제2컨택트(4a)를 거쳐 다시 상기 플랫 케이블(100)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커버(6, 도 18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6)는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을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상기 접속홈(30)에 삽입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도 2에 도시됨 바와 같이 상기 커버(6)는 상기 접속홈(30)을 개방시키는 개방위치에 위치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접속홈(30)에 삽입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6)는 상기 접속홈(30)을 덮는 폐쇄위치에 위치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커버(6)가 상기 폐쇄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커버(6)는 상기 접속홈(30)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커버(6)는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이 갖는 걸림부재(2c, 도 5에 도시됨)에 삽입되어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6)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이 상기 하우징(3)에 힌지 결함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6)는 제2컨택트(4)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고정부재(47)는 상기 커버(6)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1걸림홈(471, 도 14에 도시됨), 및 상기 제1걸림홈(471)에 삽입된 커버(6)의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한 제1걸림부재(472, 도 1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6)는 상기 제1고정부재(47)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48)는 상기 커버(6)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2걸림홈(481, 도 15에 도시됨), 및 상기 제2걸림홈(481)에 삽입된 커버(6)의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한 제2걸림부재(482, 도 1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6)는 상기 제2고정부재(48)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2 : 제1컨택트
3 : 하우징 4 : 제2컨택트
5 : 고정부 6 : 커버
31 : 결합홈 32 : 가이드부재
33 : 지지부재 41 : 제1접속부재
411 : 제1접속돌기 412 : 제1가이드면
42 : 제2접속부재 421 : 제2접속돌기
422: : 제2가이드면 43 : 제3접속부재
431 : 제3접속돌기 432 : 제3가이드면
44 : 연결부재 45 : 삽입홈
46 : 실장부재 47 : 제1고정부재
471 : 제1걸림홈 472 : 제1걸림부재
473 : 제1쐐기부재 473a : 제1정렬쐐기
473b : 제1고정쐐기 473c : 제1들림방지쐐기
48 : 제2고정부재 481 : 제2걸림홈
482 : 제2걸림부재 483 : 제2쐐기부재
483a : 제2정렬쐐기 483b : 제2고정쐐기
483c : 제2들림방지쐐기 51 : 고정실장부재
52 : 고정결합부재 53 : 고정쐐기부재
100 : 플랫 케이블

Claims (15)

  1. 플랫 케이블(100)과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복수개의 제1컨택트(2);
    상기 플랫 케이블(100)과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며,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되는 제2컨택트(4);
    상기 제1컨택트(2)들 및 상기 제2컨택트(4)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서 결합되는 하우징(3);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하우징(3)을 상기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5); 및,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을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커버(6);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되기 위한 제1고정부재(47);
    상기 제1고정부재(47)가 제1축방향(X축 방향)의 일측에 결합되는 연결부재(44);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재(44)에 결합되는 실장부재(46);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재(44)에 결합된 제1접속부재(41); 및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고정부재(47)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접속부재(4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연결부재(44)의 제1축방향(X축 방향)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48)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4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고정부재(47)가 상기 제1접속부재(4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접속부재(41)에 대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47)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배치되어서 수평으로 눕혀지도록 배치된 연결부재(44)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고정부재(48)가 상기 제1접속부재(4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접속부재(41)에 대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48)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배치되어서 수평으로 눕혀지도록 배치된 연결부재(44)에 결합되며,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고정부재(47)와 상기 제2고정부재(48)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접속부재(41)에 대해 돌출되게 형성된 상기 연결부재(44)의 부분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고정부재(47)와 상기 제1접속부재(41)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47)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44)의 우측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48)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44)의 좌측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44)의 우측 끝단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접속부재(4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1고정부재(47)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쐐기부재(47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쐐기부재(473)는 상기 제2컨택트(4)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제1정렬쐐기(473a), 상기 제2컨택트(4)를 상기 하우징(3)에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쐐기(473b), 및 상기 제2컨택트(4)가 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들림방지쐐기(473c)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정렬쐐기(473a), 상기 제1고정쐐기(473b), 및 상기 제1들림방지쐐기(473c)는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쐐기(473b)는 상기 제1정렬쐐기(473a)에 비해 상기 제1고정부재(47)로부터 더 긴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들림방지쐐기(473c)는 상기 제1고정쐐기(473b)에 비해 상기 제1고정부재(47)로부터 더 긴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부재(46)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44)의 길이(44L)에 비해 더 짧은 길이(46L)로 형성되고,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장부재(46)의 우측 끝단과 상기 연결부재(44)의 우측 끝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연결부재(4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장부재(46)에 대해 돌출되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장부재(46)의 좌측 끝단과 상기 연결부재(44)의 좌측 끝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연결부재(4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장부재(46)에 대해 돌출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47)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접속부재(4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재(44)의 우측 끝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47)는 상기 커버(6)가 상기 하우징(3)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6)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1걸림홈(471), 및 상기 제1걸림홈(471)에 삽입된 커버(6)의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한 제1걸림부재(472)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부재(48)는 상기 커버(6)가 상기 하우징(3)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6)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2걸림홈(481), 및 상기 제2걸림홈(481)에 삽입된 커버(6)의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한 제2걸림부재(4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2고정부재(48)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2쐐기부재(483)를 포함하고,
    상기 제2쐐기부재(483)는 상기 제2컨택트(4)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제2정렬쐐기(483a), 상기 제2컨택트(4)를 상기 하우징(3)에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쐐기(483b), 및 상기 제2컨택트(4)가 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들림방지쐐기(483c)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쐐기(483b)는 상기 제2정렬쐐기(483a)에 비해 상기 제2고정부재(48)로부터 더 긴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들림방지쐐기(483c)는 상기 제2고정쐐기(483b)에 비해 상기 제2고정부재(48)로부터 더 긴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하면에 접속되기 위해 상기 제1접속부재(41)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접속돌기(411);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접속돌기(411)에 접속되도록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면(412)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돌기(411)는 상기 상측방향을 향하는 제1접속면(411a)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면(412)은 상기 제1접속돌기(411)를 기준으로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되,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47)는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재(44)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기 위한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기 위한 제3접속부재(43)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2접속부재(42), 및 상기 제3접속부재(4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에는 복수개의 제2컨택트(4a, 4b)가 결합되고,
    상기 제2컨택트들(4a, 4b)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2컨택트(4a)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출력한 전원(Power) 또는 신호(Signal)에 대해 입력단자로 기능하고,
    상기 제2컨택트들(4a, 4b)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2컨택트(4b)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대한 출력단자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컨택트(2)들 각각의 길이(2L)에 비해 더 긴 길이(4L)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15. 플랫 케이블(100)과 기판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의 컨택트로,
    상기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가 갖는 하우징(3)에 결합되기 위한 제1고정부재(47);
    상기 제1고정부재(47)가 제1축방향(X축 방향)의 일측에 결합되는 연결부재(44);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재(44)에 결합되는 실장부재(46);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재(44)에 결합된 제1접속부재(41); 및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고정부재(47)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접속부재(4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연결부재(44)의 제1축방향(X축 방향)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48)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4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고정부재(47)가 상기 제1접속부재(4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접속부재(41)에 대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47)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배치되어서 수평으로 눕혀지도록 배치된 연결부재(44)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컨택트.
KR1020160101019A 2016-02-16 2016-08-09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2647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019A KR102647095B1 (ko) 2016-08-09 2016-08-09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CN201720142369.5U CN206789740U (zh) 2016-02-16 2017-02-16 扁平电缆用连接器
CN201710082730.4A CN107086386B (zh) 2016-02-16 2017-02-16 扁平电缆用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019A KR102647095B1 (ko) 2016-08-09 2016-08-09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337A KR20180017337A (ko) 2018-02-21
KR102647095B1 true KR102647095B1 (ko) 2024-03-12

Family

ID=61524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019A KR102647095B1 (ko) 2016-02-16 2016-08-09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0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025B1 (ko) 2011-03-25 2012-12-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JP2015035347A (ja) 2013-08-09 2015-02-1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737B1 (ko) * 2015-01-16 2020-10-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 커넥터용 홀드다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025B1 (ko) 2011-03-25 2012-12-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JP2015035347A (ja) 2013-08-09 2015-02-1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337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4829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assembly
CN108604746B (zh) 基板连接器
KR100681650B1 (ko) 복수의 카드 수용부들을 구비하고 소형화될 수 있는 카드장착 기구
US9867297B2 (en) Storage device
JP4558562B2 (ja) コネクタ
TWI294202B (en) Connector having a u-shaped fixing member with screw holes
US7473134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50130506A1 (en) Connector
KR102647095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2395645B1 (ko) 기판 커넥터용 컨택트 및 기판 커넥터
KR102420029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CN107086386B (zh) 扁平电缆用连接器
KR102266627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20160126875A (ko) 케이블 커넥터
KR102191370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EP3686911A1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KR20200008814A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
KR101827086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2420030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2420028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20220057412A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컨택트 및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1812421B1 (ko) 전자부품 접속용 커넥터
JP2015232939A (ja)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KR102185663B1 (ko) 케이블 커넥터
KR102497148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