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412A -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컨택트 및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컨택트 및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412A
KR20220057412A KR1020210106758A KR20210106758A KR20220057412A KR 20220057412 A KR20220057412 A KR 20220057412A KR 1020210106758 A KR1020210106758 A KR 1020210106758A KR 20210106758 A KR20210106758 A KR 20210106758A KR 20220057412 A KR20220057412 A KR 20220057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cable
pressing
connection
insertion groov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우
최정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57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의 하면(下面)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 및 상기 플랫 케이블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접속부와 상기 가압부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플랫 케이블의 두께보다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된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컨택트 및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컨택트 및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Contact of Connector for Flat Cable and Connector for Flat Cable}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을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Connector)는 휴대폰, 컴퓨터, 디스플레이장치,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어서, 전자기기 내에 설치된 각종 부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이용된다.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는 플랙서블 플랫 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 연성회로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등과 같은 플랫 케이블(Flat Cable)을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0)는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기 위한 컨택트(11), 상기 컨택트(11)가 복수개 결합되는 하우징(12), 및 상기 하우징(12)을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기판고정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컨택트(11)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2)에 결합된다. 상기 컨택트(11)의 일측은 상기 하우징(12)의 내부로 삽입된 플랫 케이블에 접속된다. 상기 컨택트(11)는 타측이 상기 하우징(12)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2)에 결합된다. 상기 컨택트(11)의 타측은 상기 기판에 실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택트(11)는 상기 하우징(12)의 내부로 삽입된 플랫 케이블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하우징(12)에는 상기 컨택트(11)가 복수개 결합된다. 상기 컨택트(11)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기 하우징(12)에 결합된다.
상기 기판고정부(13)는 상기 하우징(12)에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2)에 결합된다. 상기 기판고정부(13)는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2)을 상기 기판에 고정한다.
이러한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0)가 설치된 전자기기는, 최근 고성능을 갖추면서도 소형화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적용 전자기기에 따라서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0)에 고전류 인가를 요구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0)는 고전류 인가에 따라 상기 컨택트(11)들 각각에 인가되는 전류가 증대됨으로써, 온도 상승으로 인해 발열문제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발열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컨택트(11)의 개수를 늘려서 허용전류를 증대시키는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0)는 상기 컨택트(11)의 개수가 늘어난 만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길이(10L)가 증대되므로, 전자기기의 소형화 구현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으면서도 길이 증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기 위한 제1컨택트; 제1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컨택트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기 위한 복수개의 제2컨택트; 상기 제1컨택트와 상기 제2컨택트들이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지지된 하우징;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기판고정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는 상기 제2컨택트들 각각보다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플랫 케이블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플랫 케이블의 두께보다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컨택트는 플랫 케이블의 하면(下面)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 및 상기 플랫 케이블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접속부와 상기 가압부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플랫 케이블의 두께보다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는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의 하면을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체적이 다른 이종(異種)의 컨택트를 이용하여 전체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랫 케이블과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이 제1컨택트의 삽입홈으로 삽입되면서 제1컨택트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커버가 플랫 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반력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커버가 플랫 케이블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약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반력으로 인해 커버가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과 제1컨택트 간의 접속과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제1컨택트에 대한 개념적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제1컨택트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제1컨택트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제1컨택트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컨택트의 변형된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는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도 9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하여 접속부, 가압부, 및 지지부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컨택트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컨택트의 또 다른 변형된 실시예를 도 9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컨택트와 제2컨택트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제2컨택트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일부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를 도 17의 Ⅲ-Ⅲ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커버가 폐쇄위치로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컨택트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전자기기에 설치되어서 플랫 케이블(100, 도 2에 도시됨)과 기판(미도시)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플랙서블 플랫 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 연성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등일 수 있다. 상기 기판(20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기 위한 제1컨택트(2),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컨택트(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기 위한 복수개의 제2컨택트(3), 상기 제1컨택트(2)와 상기 제2컨택트(3)들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지지된 하우징(4),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을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커버(5),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하우징(4)을 상기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기판고정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제2컨택트(3)들 각각보다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제2컨택트(3)들 각각보다 더 큰 허용전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체적이 다른 이종(異種)의 컨택트를 이용하여 상기 플랫 케이블(100)과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2)를 이용하여 전체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2컨택트(3)들의 개수를 늘리지 않고도 전체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 증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컴팩트한 구조로 고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현되므로, 전자기기에 대한 성능을 더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자기기를 더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컨택트(2), 상기 제2컨택트(3)들, 상기 하우징(4), 상기 커버(5), 및 상기 기판고정부(6)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2)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컨택트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는 삽입홈(20)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0)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접속되기 위한 공간이다. 상기 삽입홈(20)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두께(100T)보다 더 짧은 길이(20L)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홈(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삽입홈(20)에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100)의 상면과 하면(下面)을 1차 가압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커버(5)가 상기 제1컨택트(2)에 의해 1차 가압된 플랫 케이블(100)을 2차 가압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삽입홈(20)의 길이(20L)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두께(100T)보다 더 길게 형성된 비교예의 경우,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삽입홈(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컨택트(2)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홈(20)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커버(5)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교예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가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5)에 의해 한번에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가압력이 가해지게 되므로,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지지하는 제1컨택트(2)의 지지력으로 인해 상당한 크기의 반력(Reaction force)이 발생된다. 이러한 반력은 상기 커버(5)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가압하는 가압력을 약화시키거나 상기 커버(5)를 손상 내지 파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교예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과 상기 제1컨택트(2) 간의 접속과 전기적 연결이 불안정한 문제가 있다.
이와 달리, 실시예는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삽입홈(20)의 길이(20L)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두께(100T)보다 더 짧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실시예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홈(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컨택트(2)에 의해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1차 가압된 후에, 상기 커버(5)에 의해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2차 가압되어 고정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커버(5)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2차 가압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지지하는 제1컨택트(2)로 인해 발생되는 반력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로 인해 발생되는 반력이 1차 가압과 2차 가압 각각으로 분산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실시예는 반력으로 인해 상기 커버(5)가 상기 플랫 케이블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약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반력으로 인해 상기 커버(5)가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과 상기 제1컨택트(2) 간의 접속과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하우징(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하우징(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우징(4)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삽입홈(20)이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4)의 외부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홈(20)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컨택트(2)에 접속되면,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과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는 표면실장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는 전도성(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는 접속부(21), 및 가압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하면(下面)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속부(21)는 상기 삽입홈(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삽입홈(20)에 삽입되면, 상기 접속부(2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하면에 위치한 접속단자(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1)는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과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은 하나의 축 상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접속부(21)가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접속부(21)는 상기 삽입홈(20)에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10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부(21)는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견고하게 접속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5)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2차 가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반력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부(22)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압부(22)는 상기 삽입홈(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압부(22)와 상기 접속부(21)의 사이에 상기 삽입홈(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압부(22)와 상기 접속부(21)가 서로 이격된 길이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두께(100T)보다 더 짧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삽입홈(20)의 길이(20L)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두께(100T)보다 더 짧게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삽입홈(20)의 길이(20L)는 상기 가압부(22)와 상기 접속부(21)가 서로 이격된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22)와 상기 접속부(21)가 서로 이격된 길이는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압부(22)와 상기 접속부(21) 간에 최단으로 이격된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22)는 상기 삽입홈(20)으로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100)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부(21)는 상기 삽입홈(20)으로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100)의 하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삽입홈(20)에 삽입되면서 상기 가압부(22)와 상기 접속부(21)에 의해 1차 가압된 후에, 상기 커버(5)에 의해 2차 가압되어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압부(22)의 최저점(最低鮎)은 상기 접속부(21)의 최고점(最高點)에 대해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삽입홈(20)에 삽입되면서 상기 접속부(21)에 의해 먼저 가압된 후에 상기 가압부(22)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1차 가압과정에서 발생되는 반력을 두 번에 걸쳐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홈(20)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1컨택트(2)로 인해 발생되는 반력의 크기를 더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가압부(22)는 상기 삽입홈(20)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22)는 상기 삽입홈(20) 쪽으로 돌출되면서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압부(22)는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20)은 상기 삽입홈(20) 쪽으로 돌출될수록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홈(20)에 삽입되기 위한 입구 면적을 넓힐 수 있으므로,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상기 삽입홈(20)에 삽입시키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홈(20)에 삽입되면서 상기 경사면(220)에 의해 서서히 가압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가압부(22)에 의해 1차 가압되는 과정에서 반력이 갑작스럽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상기 삽입홈(20)에 삽입시키는 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속부(21)는 접속돌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돌기(210)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하면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속돌기(210)는 상기 접속부(2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접속돌기(210)는 상기 접속부(21)의 일부분을 굽힘(Bending)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돌기(210)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접속돌기(210)의 최고점(最高點)이 상기 접속부(21)의 최고점(最高點)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컨택트(2)는 고정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3)는 상기 하우징(4)에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고정부(23)가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3)는 상기 접속부(2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고정부(23)는 상기 접속부(21)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3)는 제1고정부재(231), 및 제2고정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231)와 상기 제2고정부재(23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고정부재(231)와 상기 제2고정부재(232)는 상기 하우징(4)의 서로 다른 부분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우징(4)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하우징(4)에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접속부(21)는 상기 제1고정부재(231)와 상기 제2고정부재(2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231)와 상기 제2고정부재(232)는 상기 접속부(21)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231)와 상기 제2고정부재(232) 각각에는 쐐기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고정부재(231)와 상기 제2고정부재(232) 각각은 쐐기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4)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컨택트(2)는 연결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4)는 상기 접속부(21)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접속부(21)는 상기 연결부(24)로부터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접속부(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가 상기 하우징(4)에 결합되면, 상기 연결부(24)는 상기 하우징(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4)와 상기 접속부(2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24)에는 상기 고정부(23)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컨택트(2)는 이격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부(25)는 상기 연결부(24)와 상기 고정부(23) 각각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이격부(25)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연결부(24)와 상기 고정부(2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25)는 일측이 상기 연결부(24)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부(2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25)는 상기 연결부(24)로부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격부(25)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고정부(23)와 상기 접속부(21)를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이격부(25)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부(21)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하면에 접속되는 것에 상기 고정부(23)가 간섭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25)는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고정부(23)와 상기 접속부(21)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23)는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접속부(2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23)는 상기 삽입홈(20)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25), 상기 연결부(24), 및 상기 고정부(2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격부(25)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이격부분, 및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이격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격부분은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고정부(23)와 상기 접속부(21)를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이격부분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고정부(23)와 상기 접속부(21)를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이격부(25)는 제1이격부재(251), 및 제2이격부재(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격부재(251)는 상기 제1고정부재(231)와 상기 연결부(24) 각각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1이격부재(25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231)와 상기 접속부(21)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제1이격부재(251)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부(21)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하면에 접속되는 것에 상기 제1고정부재(231)가 간섭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이격부재(251)는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231)와 상기 접속부(21)를 이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2이격부재(252)는 상기 제2고정부재(232)와 상기 연결부(24) 각각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2이격부재(25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고정부재(232)와 상기 접속부(21)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제2이격부재(252)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부(21)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하면에 접속되는 것에 상기 제2고정부재(232)가 간섭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이격부재(252)와 상기 제1이격부재(25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연결부(24)로부터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이격부재(252)는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고정부재(232)와 상기 접속부(21)를 이격시킬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1컨택트(2)는 실장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장부(26)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실장부(26)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26)는 상기 연결부(2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장부(26)와 상기 접속부(21)는 상기 연결부(24)로부터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접속부(21)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하면에 접속되는 것에 상기 실장부(26)가 간섭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1)가 상기 연결부(24)로부터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된 경우, 상기 실장부(26)는 상기 연결부(24)로부터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가 상기 하우징(4)에 결합되면, 상기 접속부(21)는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실장부(26)는 상기 하우징(4)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장부(26)는 상기 하우징(4)의 외부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26)는 표면실장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26)와 상기 연결부(24)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장부(26)는 제1실장부재(261), 및 제2실장부재(2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장부재(261)와 상기 제2실장부재(26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실장부재(261)와 상기 제2실장부재(262)는 상기 기판의 서로 다른 부분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실장부재(261)와 상기 제2실장부재(262)는 상기 연결부(24)의 서로 다른 부분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실장부재(261)와 상기 제2실장부재(262)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장부재(261)는 상기 접속부(21)가 갖는 제1접속부재(21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2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실장부재(262)는 상기 접속부(21)가 갖는 제2접속부재(213)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2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접속부(21)에 형성된 이격홈(2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홈(211)에 의해, 상기 접속부(2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제1접속부재(212)와 상기 제2접속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212)와 상기 제2접속부재(21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저면의 서로 다른 부분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이격홈(211)은 상기 접속부(21)에 홈(Groove)을 가공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이격홈(211)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재(212)와 상기 제2접속부재(21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컨택트(2)는 2개 이상의 이격홈(21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부(21)는 3개 이상의 접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홈(211)이 N개(N은 0보다 큰 정수)이면, 상기 접속부(21)는 (2N-1)개의 접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홈(21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부(21)에 상기 이격홈(211)이 형성된 경우, 상기 실장부(26)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이격홈(211)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24)로부터 돌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접속부(21)가 2개의 접속부재들(212, 213)을 포함함과 아울러 1개의 실장부(26)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가압부(22)는 상기 고정부(23)로부터 상기 삽입홈(20)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홈(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23)는 상기 가압부(22)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상면에 밀림에 따라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된 후에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가압부(22)를 통해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상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23)는 상기 가압부(22)를 통해 상기 플랫 케이블(100)과 상기 접속부(21) 간의 접속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22)는 상기 고정부(23)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삽입홈(20) 쪽을 향하는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22)와 상기 고정부(2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압부(22)는 제1가압부재(221), 및 제2가압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부재(221)는 상기 제1고정부재(231)로부터 상기 삽입홈(20)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부재(222)는 상기 제2고정부재(232)로부터 상기 삽입홈(20)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가압부재(221)와 상기 제2가압부재(22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상면의 서로 다른 부분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제1가압부재(221)와 상기 제2가압부재(222)를 이용하여 상기 플랫 케이블(100)과 상기 접속부(21) 간의 접속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제1컨택트(2)는 지지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7)는 상기 삽입홈(20)에 대해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7)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231)와 상기 제2고정부재(2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7)는 상기 연결부(2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7)는 이음부재(270)를 통해 상기 연결부(24)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음부재(270)는 상기 연결부(24)에 결합된 일측으로부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270)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7)는 상기 이음부재(270)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27)는 상기 이음부재(270)를 통해 상기 삽입홈(20)에 대해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7)는 상기 이음부재(270)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7), 상기 이음부재(270), 및 상기 연결부(24)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27)는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22)는 상기 지지부(27)로부터 상기 삽입홈(20)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홈(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부(27)는 상기 가압부(22)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상면에 밀림에 따라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된 후에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가압부(22)를 통해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상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27)는 상기 가압부(22)를 통해 상기 플랫 케이블(100)과 상기 접속부(21) 간의 접속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22)는 상기 지지부(27)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으로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됨으로써, 상기 지지부(27)로부터 상기 삽입홈(20)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22)와 상기 지지부(27)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압부(22)는 상기 삽입홈(20)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의 상면에 접속되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접속부(21)를 통해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하면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가압부(22)를 통해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상면에 접속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2)를 이용하여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접속면적을 더 늘릴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컨택트(2)와 상기 플랫 케이블(100) 간의 전기적 연결에 대한 접속력과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가압부(22)와 상기 지지부(27)에 대해 여러 가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는바,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22)는 상기 접속부(2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1)는 상기 가압부(22)에 의해 가압된 플랫 케이블(100)의 상면 부분에 대해 대응되는 하면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부(22)의 수직하방에는 상기 접속부(21)의 일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부(21)에는 상기 이격홈(211, 도 13에 도시됨)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가압부(22)에 의해 가압된 플랫 케이블(100)의 상면 부분 및 상기 접속부(21)에 접속된 플랫 케이블(100)의 하면 부분은,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동일한 평면 상에서 서로 수직한 축 방향일 수 있다.
다음,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22)는 상기 이격홈(2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이격홈(211)은 상기 가압부(2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홈(211)은 상기 가압부(22)에 의해 가압된 플랫 케이블(100)의 상면 부분에 대응되는 하면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홈(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부(22)에 의해 가압된 플랫 케이블(100)의 상면 부분에 대응되는 하면 부분은 상기 이격홈(211)으로 인해 상기 접속부(21)에 직접 지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홈(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접속부(21)로 인해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작용되는 반력의 크기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이격홈(211)은 상기 가압부(22)의 수직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이격홈(211)은 상기 가압부(22)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이격홈(211)과 상기 가압부(22)는 대략 일치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22)는 상기 제1가압부재(221)와 상기 제2가압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27)는 제1지지부재(271), 및 제2지지부재(2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271)는 상기 제1접속부재(21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271)는 제1이음부재(미도시)를 통해 상기 연결부(2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272)는 상기 제2접속부재(21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272)는 제2이음부재(미도시)를 통해 상기 연결부(2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부재(221)는 상기 제1지지부재(271)로부터 상기 삽입홈(20)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가압부재(221)의 수직하방에는 상기 제1접속부재(2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부재(222)는 상기 제2지지부재(272)로부터 상기 삽입홈(20)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가압부재(222)의 수직하방에는 상기 제2접속부재(213)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격홈(211)의 수직상방에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271)와 상기 제2지지부재(272)가 서로 이격됨에 따라 형성된 공간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제2컨택트(3)들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컨택트(3)들은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3)들은 상기 하우징(4)의 외부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컨택트(3)들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3)들은 표면실장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3)들은 전도성(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3)들 각각은 상기 제1컨택트(2)보다 더 작은 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제2컨택트(3)들 각각보다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컨택트(2)의 길이(2L)는 상기 제2컨택트(3)들 각각의 길이(3L)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제2컨택트(3)들 각각보다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컨택트(3)들 각각보다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컨택트(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컨택트(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컨택트(2)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하우징(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컨택트(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서로 다른 부분에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컨택트(3)들은 상기 기판의 서로 다른 부분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3)들 각각은 일측(3a, 도 16에 도시됨)이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3b, 도 16에 도시됨)이 상기 하우징(4)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우징(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3)들 각각의 타측(3b)은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3)들 각각의 일측(3a)은,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하우징(4)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의 하면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컨택트(3)들 각각은 일측(3a)에 접속된 플랫 케이블(100) 및 타측(3b)이 실장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4)은 상기 제1컨택트(2), 상기 제2컨택트(3)들, 및 상기 기판고정부(6)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2), 상기 제2컨택트(3)들, 및 상기 기판고정부(6)는 각각 상기 하우징(4)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은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컨택트(2), 상기 제2컨택트(3)들, 및 상기 기판고정부(6)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4)은 접속홈(40)(도 2와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접속홈(4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접속홈(4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분리방향(SD 화삭표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접속홈(4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삽입홈(20)이 상기 접속홈(40)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4)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접속홈(40)에 삽입되면서 상기 삽입홈(2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2)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에는 상기 제1컨택트(2)가 복수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컨택트들(2, 2')(도 2와 도 3에 도시됨)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컨택트들(2, 2')의 사이에는 상기 제2컨택트(3)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는 상기 하우징(4)에 2개의 제1컨택트들(2, 2')이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하우징(4)에는 3개 이상의 제1컨택트(2)들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컨택트(3)들은 각각 일측(2a)이 상기 접속홈(40)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4)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접속홈(40)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2컨택트(3)들의 일측(2a)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은 복수개의 결합홈(41, 도 1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4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41)들은 상기 하우징(4)에서 상기 접속홈(40)이 형성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3)들은 각각 상기 결합홈(41)에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41)에는 상기 제2컨택트(3)의 일측(2a)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결합홈(41)에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4)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트(2)가 삽입되는 결합홈(41)은, 상기 제2컨택트(3)들 각각이 삽입되는 결합홈(41)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하우징(4)에서 상기 제1컨택트(2)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상기 결합홈(41)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트(2)는 상기 결합홈(41)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커버(5)는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을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상기 접속홈(40)에 삽입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도 2에 도시됨 바와 같이 상기 커버(5)는 상기 접속홈(40)을 개방시키는 개방위치에 위치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100)이 상기 접속홈(40)에 삽입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5)는 상기 접속홈(40)을 덮는 폐쇄위치에 위치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커버(5)가 상기 폐쇄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커버(5)는 상기 접속홈(40)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00)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플랫 케이블(100)을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랫 케이블(100)은 상기 삽입홈(20)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컨택트(2)에 의해 1차 가압된 이후에, 상기 커버(5)가 상기 폐쇄위치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커버(5)에 의해 2차 가압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제1컨택트(2)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고정부재(231)는 상기 커버(5)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1걸림홈(231a, 도 5에 도시됨), 및 상기 제1걸림홈(231a)에 삽입된 커버(5)의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한 제1걸림부재(231b,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5)는 상기 제1고정부재(231)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232)는 상기 커버(5)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2걸림홈(232a, 도 5에 도시됨), 및 상기 제2걸림홈(232a)에 삽입된 커버(5)의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한 제2걸림부재(232b,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5)는 상기 제2고정부재(232)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제2컨택트(3)들 각각이 갖는 걸림부재(3c, 도 16에 도시됨)에 삽입되어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이 상기 하우징(4)에 힌지 결함됨으로써, 상기 하우징(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기판고정부(6)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하우징(4)을 상기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판고정부(6)는 상기 하우징(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판고정부(6)는 일부가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4)에 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하우징(4)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기판고정부(6)는 표면실장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1)는 상기 기판고정부(6)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기판고정부들(6, 6')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판고정부들(6, 6')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4)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기판고정부들(6, 6')의 사이에는 상기 제1컨택트들(2, 2')과 상기 제2컨택트(3)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2, 2' : 제1컨택트
3 : 제2컨택트 4 : 하우징
5 : 커버 6, 6' : 기판고정부
20 : 삽입홈 21 : 접속부
210 : 접속돌기 211 : 이격홈
212 : 제1접속부재 213 : 제2접속부재
22 : 가압부 220 : 경사면
221 : 제1가압부재 222 : 제2가압부재
23 : 고정부 231 : 제1고정부재
231a : 제1걸림홈 231b : 제1걸림부재
232 : 제2고정부재 232a : 제2걸림홈
232b : 제2걸림부재 24 : 연결부
25 : 이격부 251 : 제1이격부재
252 : 제2이격부재 26 : 실장부
261 : 제1실장부재 262 : 제2실장부재
27 : 지지부 270 : 이음부재
271 : 제1지지부재 272 : 제2지지부재
40 : 접속홈 41 : 결합홈
61 : 고정실장부재 62 : 고정결합부재
63 : 고정쐐기부재 100 : 플랫 케이블
100T : 플랫 케이블의 두께 20L : 삽입홈의 길이

Claims (19)

  1.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기 위한 제1컨택트;
    제1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컨택트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기 위한 복수개의 제2컨택트;
    상기 제1컨택트와 상기 제2컨택트들이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지지된 하우징;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기판고정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컨택트는 상기 제2컨택트들 각각보다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플랫 케이블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플랫 케이블의 두께보다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는 상기 플랫 케이블의 하면(下面)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 및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와 상기 가압부가 상기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된 길이는 상기 플랫 케이블의 두께보다 더 짧으며,
    상기 삽입홈은 상기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접속부와 상기 가압부의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의 상면을 가압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의 하면을 가압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접속부에 의해 1차 가압된 플랫 케이블을 2차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삽입홈 쪽으로 돌출되되,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방향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삽입홈 쪽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고정부재로부터 상기 삽입홈 쪽으로 돌출된 제1가압부재, 및 상기 제2고정부재로부터 상기 삽입홈 쪽으로 돌출된 제2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는 상기 삽입홈에 대해 상측에 배치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삽입홈 쪽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접속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플랫 케이블의 상면 부분에 대해 대응되는 하면 부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는 상기 접속부에 형성된 이격홈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홈은 상기 가압부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플랫 케이블의 상면 부분에 대응되는 하면 부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는 상기 접속부에 형성된 이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이격홈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접속부재와 제2접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접속부재의 상측에 배치된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접속부재의 상측에 배치된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지지부재로부터 상기 삽입홈 쪽으로 돌출된 제1가압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로부터 상기 삽입홈 쪽으로 돌출된 제2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의 상면에 접속되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는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기 위한 고정부;
    상기 접속부가 결합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고정부 각각에 결합된 이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격부는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연결부 각각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접속부를 이격시키는 제1이격부재, 및 상기 제2고정부재와 상기 연결부 각각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접속부를 이격시키는 제2이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는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 상기 접속부가 결합된 연결부, 및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장부와 상기 접속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는 상기 접속부에 형성된 이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이격홈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접속부재와 제2접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실장부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로부터 돌출된 제1실장부재, 및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접속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로부터 돌출된 제2실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는 상기 접속부에 형성된 이격홈, 및 상기 삽입홈에 대해 상측에 배치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이격홈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접속부재와 제2접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접속부재의 상측에 배치된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접속부재의 상측에 배치된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장부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이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17. 플랫 케이블의 하면(下面)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 및
    상기 플랫 케이블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접속부와 상기 가압부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플랫 케이블의 두께보다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의 상면을 가압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의 하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컨택트.
  18. 제17항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하우징에 결합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삽입홈 쪽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컨택트.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가 결합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결합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삽입홈에 대해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삽입홈 쪽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컨택트.
KR1020210106758A 2020-10-29 2021-08-12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컨택트 및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202200574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233 2020-10-29
KR20200142233 2020-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412A true KR20220057412A (ko) 2022-05-09

Family

ID=81582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758A KR20220057412A (ko) 2020-10-29 2021-08-12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컨택트 및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74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703341Y (zh) 电连接器
US7377804B2 (en) Connector for electronically connecting a cable and a printed circuit board
CN101667686A (zh) 用于电连接器的触头盒
JP2002093502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CN108604746B (zh) 基板连接器
TW200522446A (en) Card fitting mechanism having a plurality of card receiving portions and yet capable of being reduced in size
CN101657939A (zh) 电气转接模块
KR20160080636A (ko) 전기 커넥터의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KR20210054449A (ko) 기판 커넥터
KR20220057412A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컨택트 및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1488892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CN107086386B (zh) 扁平电缆用连接器
KR20200008814A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
KR102266627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2420029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20040076806A (ko) 접지 연결용 홀드다운을 갖춘 전기 커넥터
KR102420030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1827086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JP4837631B2 (ja) 電気接続部品
KR20210030705A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KR102420028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2647095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2191370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2283488B1 (ko)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
KR102188058B1 (ko) 케이블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