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4435A - 컨넥터용 터미널 - Google Patents
컨넥터용 터미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54435A KR20150054435A KR1020130136871A KR20130136871A KR20150054435A KR 20150054435 A KR20150054435 A KR 20150054435A KR 1020130136871 A KR1020130136871 A KR 1020130136871A KR 20130136871 A KR20130136871 A KR 20130136871A KR 20150054435 A KR20150054435 A KR 201500544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piece
- contact
- connector
- piece
-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6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contact members being in a slotted bent configuration, e.g. slotted bigh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컨넥터의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필름 형태의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터미널은 컨넥터가 실장되는 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서 메인 기판의 표면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 1 접촉편; 제 1 접촉편과 간격을 두고 연장되며, 선단부 상부면에는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점부가 형성된 제 2 접촉편; 및 제 1 접촉편과 제 2 접촉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하되,제 2 접촉편은 그 두께가 베이스부로부터 접점부를 향하여 그 높이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컨넥터용 터미널은 선단부 일부가 컨넥터가 실장되는 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후단부에서 상향 연장된 연결편; 연결편 하단에서 베이스의 선단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 2 접촉편; 및 연결편 상단에서 베이스의 선단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 1 접촉편을 포함하되,제 2 접촉편과 수직 연결편의 경계부에는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만곡부는 제 2 접촉편의 상부면 아래에 위치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컨넥터용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두께의 감소에 따른 탄성저하를 보상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컨넥터용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성 회로 기판(flexibe printed circuit board; 이하, 편의상 "FPC"로 칭함)을 메인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FPC 컨넥터는 메인 기판에 고정되는 하우징, 하우징에 장착된 터미널, FPC를 터미널에 고정하기 위한 액츄에이터 그리고 하우징에 장착된 피팅 네일을 포함한다.
도 1은 일반적인 FPC 컨넥터(10)의 분리 사시도로서, 편의상 컨넥터의 구성 요소 중 하우징(1) 및 터미널(2 및 3)만을 도시하였으며, 또한 컨넥터(10)에 삽입되는 FPC(20)를 함께 도시하였다.
FPC 컨넥터(10)를 구성하는 터미널은 FPC(20)와 메인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재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븐 터미널(2; even terminal) 및 오드 터미널(3; odd terminal)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이븐 터미널(2)과 오드 터미널(3)은 하우징(1) 내에 교대로 배치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미널(2, 3)이 하우징(1)에 장착된 상태, 즉 조립된 컨넥터(1)의 부분 사시도로서, 이븐 터미널(2)과 오드 터미널(3)이 하우징(1) 내에 교대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도면에는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븐 터미널(2)과 오드 터미널(3) 각각은 메인 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서 수평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제 1 (상부) 접촉편과 제 2 (하부) 접촉편 그리고 제 1 접촉편과 제 2 접촉편을 연결하는 수직 연결편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의 이븐 터미널(2)과 오드 터미널(3)이 하우징(1)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FPC(20)가 하우징(1) 내로 진입하면, 이븐 터미널(2)과 오드 터미널(3) 각각에 형성된 2개의 접촉편 사이에 FPC(20)가 위치한다. 이후 액츄에이터가 작동하여 FPC(20)를 가압하며, 따라서 터미널(2, 3)의 접촉편이 FPC(20)의 도전성 패턴과 접촉한다.
한편, 컨넥터가 장착되는 전자 기기가 점점 소형화되면서 컨넥터의 크기 역시 소형화되어야 한다. 컨넥터의 소형화를 위하여 터미널 간의 피치 또는 터미널의 두께를 줄이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0.12 mm 두께의 터미널이 장착되고 터미널 피치가 0.3 mm 인 일반적인 컨넥터에서, 터미널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절연막의 두께는 약 0.18 mm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설계 조건 그리고 터미널의 두께를 유지한 상태에서, 컨넥터의 소형화를 위하여 터미널 피치를 0.2 mm로 줄일 경우, 하우징 절연막의 두께는 0.18 mm 이하가 되며, 터미널 간의 절연을 수행하는 하우징 절연막을 형성하기 어렵다는 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컨넥터의 소형화를 위해서는 터미널 피치를 줄이면서 터미널의 두께를 줄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그러나, 터미널의 두께를 줄이는 경우, 터미널의 탄성이 줄어들게 되며, 이와 같이 감소된 터미널의 탄성에 의하여 FPC와터미널은 충분한 힘으로 접촉할 수 없게 된다.
즉,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븐 터미널(2)과 오드 터미널(3) 각각에 형성된 2개의 접촉편 사이에 FPC(20)가 위치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가 작동하여 각 터미널(2, 3)의 상부 접촉편을 가압하여 터미널(2, 3)의 접촉편을 FPC(20)의 도전성 패턴과 접촉시킨다. 이 과정에서, 적절한 탄성을 갖지 못한 각 터미널의 상부 접촉편이 FPC(20)를 충분히 가압하지 못하게 되며, 따라서 터미널(2, 3)과 FPC(20) 간의 정확하고 견고한 접촉이 이루어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FPC(20)와 (컨넥터(10)가 실장된) 메인 보드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불안정해진다.
본 발명은 FFC가 체결되는 컨넥터의 소형화 과정에서 터미널에 의하여 발생하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두께가 감소됨에서 불구하고 대상물과의 확실한 접촉을 이루도록 탄성력(복원력) 감소를 보상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컨넥터용 터미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넥터의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필름 형태의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터미널은 컨넥터가 실장되는 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서 메인 기판의 표면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 1 접촉편; 제 1 접촉편과 간격을 두고 연장되며, 선단부 상부면에는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점부가 형성된 제 2 접촉편; 및 제 1 접촉편과 제 2 접촉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접촉편은 그 두께가 베이스부로부터 접점부를 향하여 그 높이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 2 접촉편은 상부면이 제 1 접촉편과 평행한 평면으로 이루지며, 하부면은 베이스부로부터 접점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컨넥터용 터미널은, 선단부 일부가 컨넥터가 실장되는 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후단부에서 상향 연장된 연결편; 연결편 하단에서 선단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 2 접촉편; 및 연결편 상단에서 선단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 1 접촉편을 포함하며, 제 2 접촉편과 수직 연결편의 경계부에는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만곡부는 제 2 접촉편의 상부면 아래에 위치하며, 제 2 접촉편과 수직 연결편을 연결하는 가상 만곡부보다 작은 곡률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컨넥터용 터미널은 그 두께가 현저하게 감소되는 경우에도 기판과의 연결 대상물에 의하여 가압될 때, 현저하게 큰 탄성력(복원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연결 대상물과의 안정적인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FPC 컨넥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 부재를 조립하여 구성된 컨넥터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PC 컨넥터를 구성하는 이븐 터미널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PC 컨넥터를 구성하는 오드 터미널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상세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 부재를 조립하여 구성된 컨넥터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PC 컨넥터를 구성하는 이븐 터미널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PC 컨넥터를 구성하는 오드 터미널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용 터미널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하우징과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컨넥터에 장착되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대상물인 터미널만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PC 컨넥터를 구성하는 어느 한 이븐 터미널의 측면도로서, 편의상 이븐 터미널만을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였다.
이븐 터미널(200)은 메인 기판(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는 베이스부(240), 베이스부(240)에서 메인 기판의 표면(즉, 하우징(10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 2 (하부) 접촉편(220), 제 2 접촉편(220)과 간격을 두고 연장된 제 1 (상부) 접촉편(210) 그리고 제 1 접촉편(210)과 제 2 접촉편(220)을 연결하는 수직 연결편(23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의 이븐 터미널(200)에서, 제 1 접촉편(210)과 제 2 접촉편(22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 FPC(20)가 삽입된다.
한편, 제 2 접촉편(220)은 메인 기판의 표면과 평행이 아닌, 소정 각도 경사진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접촉편(220)에서 FPC(20)와 접촉하는 선단 접점부(221-1)가 형성된 상부면(221)은 제 1 접촉편(210)과 평행한 수평면으로 이루진다.
여기서, 메인 기판과 대응하는, 제 2 접촉편(220)의 하부면(222)은 베이스부(240)로부터 선단 접점부(221-1)를 향하여 상향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즉, 제 2 접촉편(220)은 그 두께가 베이스부(240)로부터 접점부(221-1)를 향하여 그 높이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 2 접촉편(220)의 선단부는 하우징(10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전체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 구조를 갖는 일반적인 접촉편과 비교하여, 이러한 형상을 갖는 제 2 접촉편(220)은 변형 후에 비교적 큰 탄성력(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즉, 제 1 접촉편(210)과 제 2 접촉편(220) 사이의 소정의 공간에 FPC(20)가 삽입되면, FPC(20)가 제 2 접촉편(220)의 제 2 접촉편(220)의 접점부(221-1)와 접촉하며, 이때 액츄에이터(110)가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FPC(20)를 하향 가압한다. 따라서, FPC(20) 역시 제 2 접촉편(220)을 하향 가압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제 2 접촉편(220)은 하우징(100)의 바닥면을 향하여(즉, 메인 기판을 향하여) 눌려지게 된다 (도 3의 화살표 "나" 방향).
눌려진 제 2 접촉편(220)에는 최초 상태(즉, 도 3에 도시된 형상으로, 가압 전의 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이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탄성력으로 인하여 제 2 접촉편(220)의 접점부(221-1)와 FPC(20) 간의 접촉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PC 컨넥터를 구성하는 오드 터미널의 측면도 및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상세도이다.
오드 터미널(300)은 (FPC(20)가 진입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선단부 일부가 메인 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부(340), 베이스부(340)의 후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연결편(330), 연결편(330) 하단에서 선단부를 향하여 수평 연장된 제 2 접촉편(320; 하부 접촉편) 그리고 연결편(330) 상단에서 선단부를 향하여 수평 연장된 제 1 접촉편((310; 상부 접촉편)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오드 터미널(300)에서, 제 1 접촉편(310)과 제 2 접촉편(32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 FPC(20)가 삽입된다.
도 5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의 제 2 접촉편(320)과 수직 연결편의 경계부(330)에는 만곡부(321)가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만곡부(321)는 제 2 접촉편(320)의 상부면 아래에 위치한다. 즉, 제 2 접촉편(320)과 수직 연결편(330)을 연결하는 가상 만곡부(점선 "다")보다 이 만곡부(321)는 더 작은 곡률을 갖는다.
제 1 접촉편(310)과 제 2 접촉편(320) 사이의 공간에 FPC(20)가 삽입되면, FPC(20)가 제 2 접촉편(320)의 선단 상부면에 형성된 접점부(322)와 접촉하며, 이때 액츄에이터가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FPC(20)를 하향 가압한다.
따라서, FPC(20) 역시 제 2 접촉편(320)을 하향 가압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제 2 접촉편(320)은 베이스부(310)를 향하여(즉, 메인 기판을 향하여) 눌려지게 된다 (도 5의 화살표 "라" 방향).
이 때, FPC(20)를 통하여 제 2 접촉편(320)으로 전달된 힘(가압력)은 이 만곡부(321)에 의하여 연결편(340)으로 전달되지 않으며, 따라서 제 2 접촉편(320)에만 가압력이 작용한다(도 5의 화살표 "마"). 결과적으로, FPC(20)에 의하여 눌려진 제 2 접촉편(320)에는 충분한 탄성력(복원력)이 발생하며, 따라서 제 2 접촉편(320)의 두께가 감소된 상태일지라도 FPC(20)와 제 2 접촉편(320) 간의 접촉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의 점선부 "다"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만곡부(321)와의 비교를 위하여 만곡부가 형성되지 않은 제 2 접촉편과 연결편의 경계부를 가상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점선 화살표 "바"는 만곡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2 접촉편에 가압력이 전달되는 경우, 연결편으로 가압력이 전달되는 경로를 가상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들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설명된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는 컨넥터에 장착되는 대상물을 FPC를 설명하였지만, 필름 형태의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이 삽입되는 컨넥터에도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을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4)
- 컨넥터의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필름 형태의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컨넥터용 터미널에 있어서,
컨넥터가 실장되는 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서 메인 기판의 표면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 1 접촉편;
제 1 접촉편과 간격을 두고 연장되며, 선단부 상부면에는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점부가 형성된 제 2 접촉편; 및
제 1 접촉편과 제 2 접촉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하되,
제 2 접촉편은 그 두께가 베이스부로부터 접점부를 향하여 그 높이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접촉편은 상부면이 제 1 접촉편과 평행한 평면으로 이루어지며, 하부면은 베이스부로부터 접점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 컨넥터의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필름 형태의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컨넥터용 터미널에 있어서,
선단부 일부가 컨넥터가 실장되는 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후단부에서 상향 연장된 연결편;
연결편 하단에서 베이스의 선단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 2 접촉편; 및
연결편 상단에서 베이스의 선단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 1 접촉편을 포함하되,
제 2 접촉편과 수직 연결편의 경계부에는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만곡부는 제 2 접촉편의 상부면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 제 3 항에 있어서, 만곡부는 제 2 접촉편과 연결편을 연결하는 가상 만곡부보다 작은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6871A KR20150054435A (ko) | 2013-11-12 | 2013-11-12 | 컨넥터용 터미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6871A KR20150054435A (ko) | 2013-11-12 | 2013-11-12 | 컨넥터용 터미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4435A true KR20150054435A (ko) | 2015-05-20 |
Family
ID=53390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36871A KR20150054435A (ko) | 2013-11-12 | 2013-11-12 | 컨넥터용 터미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54435A (ko) |
-
2013
- 2013-11-12 KR KR1020130136871A patent/KR2015005443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75805B2 (en) | Electrical terminal | |
KR101221813B1 (ko) | 커넥터 | |
JP4098290B2 (ja) | Ffc用コネクタ | |
US8888525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dual arm contact | |
US7429200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7780456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inforced contacts arrangement | |
US7938649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s | |
US7661976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contacts and pins of the package for minimizing the connector | |
US20100184334A1 (en) | Contact having increased resilience for use with electrical connector | |
KR20080007625A (ko) | 커넥터 조립체 | |
US6814587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s having cooperating contacting portions | |
US20110269344A1 (en) | Contact terminal having insulative cap | |
JP2007200575A (ja) | 多極コネクタ及び多極コネクタを使用した携帯型無線端末又は小型電子機器 | |
TW201939829A (zh) | 電連接器 | |
US7828558B2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system using the same | |
US7473134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TWI364139B (en) | Electrical contact | |
US9236686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nti-displacement socket ribs | |
CN201576807U (zh) | 电连接器 | |
US20160056546A1 (en) | Contact | |
US7445463B2 (en) | Land grid array electrical connector | |
US8690585B2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low profile application | |
US20110237096A1 (en) | Compression connector with sink board-mounting structure | |
TWM267702U (en) | Card edge connector with position guider | |
KR20150054435A (ko) | 컨넥터용 터미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