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813B1 - 쓰레기 및 기름의 회수 봉투 - Google Patents

쓰레기 및 기름의 회수 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813B1
KR101194813B1 KR1020127001523A KR20127001523A KR101194813B1 KR 101194813 B1 KR101194813 B1 KR 101194813B1 KR 1020127001523 A KR1020127001523 A KR 1020127001523A KR 20127001523 A KR20127001523 A KR 20127001523A KR 101194813 B1 KR101194813 B1 KR 101194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oil
garbage
envelop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1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4986A (ko
Inventor
기요시 고마츠
Original Assignee
기요시 고마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요시 고마츠 filed Critical 기요시 고마츠
Publication of KR20120024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1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4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removal of one of the ph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8Thickening liquid suspensions by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3Making of sedimentation devices, structural details thereof, e.g. prefabricat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Sedimentation tan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2Baffles or guide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66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with a meandering flow pattern of liquid or soli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05Feed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83Means or provisions for manually removing the sedi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03F5/16Devices for separating oil, water or grease from sewage in drains leading to the main se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02Small separation devices for domestic application, e.g. for canteens, industrial kitchen, washing mach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및 기름의 회수봉투는, 그리스 트랩에 도입되는 배수에 포함되는 쓰레기 및 기름을 회수하는 것이고, 그것 자체를 교환하는 것으로서, 배수 도입용 구멍을 형성한 강성이 있는 판 형상의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상기 배수 도입용 구멍의 주위를 개구부로 덮은 상태에서 상기 기초부에 상기 개구부를 고정하는 복수층의 봉투부와, 상기 복수층의 봉투부에 형성한 다수의 물 통과용 구멍과, 상기 복수층의 봉투부에서의 안쪽의 봉투부와 바깥쪽 봉투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봉투부를 1 내지 5 mm의 망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쓰레기 및 기름의 회수 봉투{REFUSE AND OIL COLLECTION BAG}
본 발명은 음식점의 배수에 포함되는 쓰레기와 기름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장치 및 쓰레기와 기름의 회수 봉투에 관한 것이다.
조리나 식기의 세정 등을 빈번하게 행하는 음식점 등의 업무용 주방의 배수 중에는 형태가 있는 쓰레기(음식물의 찌꺼기나 이쑤시개나 꼬치 등)와 기름(유지분 등의 오니물질)이 다량으로 혼재되어 있어, 하수관을 흘러 내릴 때에 그것들이 관 내에 부착하여 응고됨으로써, 관 직경을 축소하거나 관을 폐쇄시킬 염려가 있다. 또 그들 쓰레기나 기름이 공공 하수도로 유출됨으로써, 하천 등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음식점 등에서는 공공 하수도에 이르는 배수경로의 상류측에 배수에 포함되는 기름을 물과 분리하기 위한 그리스 트랩(특허문헌 1)을 설치하고, 이 그리스 트랩에서 쓰레기와 기름을 물로부터 제거하여, 공공 하수도에 쓰레기나 기름을 유입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2-161577호(제 2 ~ 3 페이지, 도 1)
여기서, 종래 기지의 그리스 트랩을 도 10에서 설명한다. 그리스 트랩(10)은, 본체(12)의 내부에 음식점 조리실의 세정용 싱크로부터 배출되는 배수를 모으는 내부 공간을 가진다. 그 내부 공간은 슬라이드 자유로운 격판(14a, 14b)에 의하여 서로 구획되는 제 1 탱크(16), 제 2 탱크(18) 및 제 3 탱크(20)로 나뉘어져 있다. 조리실의 세정용 싱크(도시 생략)로부터의 배수는, 홈이나 관 등의 상류측 배수통로(22)를 거쳐 제 1 탱크(16)에 도입된다. 제 1 탱크(16)와 제 2 탱크(18)는 격판(14a)의 아래쪽에서 통하고 있고, 제 2 탱크(18)와 제 3 탱크(20)는 격판(14b)의 아래쪽에서 통하고 있다. 이 제 2 탱크(18) 내의 바닥에는 윗쪽으로 신장되는 칸막이판(24)이 설치되어 있고, 이 칸막이판(24)에 의하여 제 1 탱크(16)로부터 제 2 탱크(18)에 도입되는 배수는, 반드시 제 2 탱크(18)의 윗쪽으로 일단은 이동하게 된다.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2)는, 도 10에서는 콘크리트제의 벽형상의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금속제나 FRP제의 용기형상의 것도 채용할 수 있다.
음식점 조리실의 세정용 싱크로부터의 배수에는, 형태가 있는 쓰레기(식용 찌꺼기나 이쑤시개나 꼬치 등)와 기름이 포함되어 있다. 제 1 탱크(16) 내에는 예를 들면 직경 약 5 mm의 구멍을 다수 형성한 금속제의 펀치보드로 형성되는 찌꺼기 바구니(26)가 구비되어 있고, 이 찌꺼기 바구니(26)의 내부에 상류측 배수통로(22)로부터의 배수가 도입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찌꺼기 바구니(26)는 식용 찌꺼기나 이쑤시개나 꼬치 등의 형태가 있는 쓰레기를 포집하는 것으로, 형이 없는 기름은 물과 함께 찌꺼기 바구니(26)의 구멍으로부터 제 1 탱크(16) 내로 배출된다. 찌꺼기 바구니(26)에 포집된 쓰레기에는 기름이 붙어있기 때문에, 찌꺼기 바구니(26) 내에 약간의 기름이 포집되나, 배수에 포함되는 대부분의 기름은 찌꺼기 바구니(26)의 구멍으로부터 제 1 탱크(16) 내로 배출된다.
찌꺼기 바구니(26)를 거쳐 제 1 탱크(16) 내로 배출된 배수는, 격판(14a)의 아래쪽을 통하여 제 2 탱크(18) 내에 이른다. 이 제 2 탱크(18)에 이른 배수는 칸막이판(24)에 의하여 일단은 윗쪽으로 이동된다. 이 제 2 탱크(18)에 있어서 물과 기름이 분리되어 제 2 탱크(18)의 상부에 기름이 고이고, 하부에 물이 고인다. 제 2 탱크(18)의 아래쪽에 고인 물은, 격판(14b)의 아래쪽을 통하여 제 3 탱크(20)에 이른다. 제 3 탱크(20) 내에는 개구부를 수면보다 충분히 아래쪽에 위치시킨 하류측 배출관(30)이 구비되고, 제 3 탱크(20) 내에 이른 물은, 하류측 배출관(30)으로부터 도시 생략한 공공 하수도로 유도된다.
제 1 탱크(16)로부터 찌꺼기 바구니(26)를 꺼내는 경우나, 격판(14a, 14b), 제 1 탱크(16), 제 2 탱크(18) 및 제 3 탱크(20) 등을 세정하기 위하여 제 1 탱크(16), 제 2 탱크(18) 및 제 3 탱크(20)의 윗쪽에 손잡이가 부착된 덮개(32)가 구비되어 있다. 또 상류측 배수통로(22)가 홈인 경우에 그 홈의 윗쪽에 덮개(34)가 구비된다.
그리스 트랩(10)에서는 제 1 탱크(16)에 찌꺼기 바구니(26)를 구비하고, 그 찌꺼기 바구니(26)에 의하여 배수 중의 형태가 있는 쓰레기를 포집한다. 또 제 2 탱크(18)에서는 그곳에서 기름과 물의 분리를 행하여 기름을 윗쪽으로 떠오르게 하여 축적하여 그 제 2 탱크(18)에 축적된 기름을 제거한다. 제 3 탱크(20)에서는 쓰레기와 기름을 제거한 후의 물을 모아, 그 물을 하류측 배출관(30)으로부터 공공 하수도 등에 배출한다. 그리스 트랩(10)으로 배수가 흘러 들지 않은 상태의 그리스 트랩(10) 내의 수면의 높이를 수면(36a)이라 하면, 하류측 배출관(30)의 개구부는 수면(36a)보다 충분히 아래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스 트랩(10) 내로 배수가 흘러 들어 제 3 탱크(20) 내의 수면의 높이가 수면(36b)이 되었을 때에 제 3 탱크(20) 내의 물이 하류측 배출관(30)을 통하여 공공 하수도 등에 배출된다.
제 1 탱크(16) 내에 설치된 찌꺼기 바구니(26)는, 상부가 수면(36a, 36b)보다 윗쪽에 있으나, 그 대부분은 수면(36a, 36b)보다 밑에 침지되어 있다. 이 찌꺼기 바구니(26)는 음식물 찌꺼기나 이쑤시개나 꼬치 등의 형태가 있는 쓰레기를 포집하나, 그 형태가 있는 쓰레기나 찌꺼기 바구니(26)의 표면에 기름이 붙어있게 된다. 음식물 찌꺼기는 물에 침지된 상태에서 장시간 경과되면 산화 부패되어 불쾌한 냄새를 발생한다.
음식점에서는 일반적으로 음식물 찌꺼기를 포함하는 쓰레기로부터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지 않는 동안에 찌꺼기 바구니(26)로 포집한 쓰레기를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찌꺼기 바구니(26)로부터의 쓰레기의 제거작업과 찌꺼기 바구니(26)의 세정작업을 매일 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곳이 많다. 쓰레기의 제거작업과 찌꺼기 바구니(26)의 세정작업은, 음식점 점원의 일로 되어 있다. 그 밖에, 제 2 탱크(18)에 고이는 기름을 예를 들면 1주일간 마다 제거하는 작업과, 그리스 트랩(10)의 본체(12)[제 1 탱크(16), 제 2 탱크(18) 및 제 3 탱크(20)]의 내벽면을 예를 들면 1개월마다 청소하는 작업이 있으나, 이들은 일반적으로 청소 전문업자에게 의뢰하고 있다.
패스트푸드점 등의 음식점에서는 아르바이트 점원이 많고, 일반 점원이나 아르바이트 점원들은 냄새를 발생하는 음식물 찌꺼기의 제거작업이나 기름이 흠뻑 부착된 찌꺼기 바구니(26)의 세정작업을 싫어하는 사람이 많다. 이것에 대하여 그것들의 세정작업을 일반 점원이나 아르바이트 점원 들에게 강제하면, 그것들의 작업이 싫다는 이유로 아르바이트나 일을 그만두는 사람이 많고, 그 결과 항상 일반 점원이나 아르바이트 점원 등의 점원을 모집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불편이 생기고 있었다. 음식물 찌꺼기의 제거작업과 찌꺼기 바구니(26)의 세정작업을 게을리하면, 부패가 진행되어 부패 냄새가 더 해지기 때문에 바쁜 점장이 그것들의 작업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점장의 일의 부담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음식점의 배수에 포함되는 쓰레기나 기름에 닿는 일 없이 또한 간단하게 그것들을 제거할 수 있는 쓰레기 및 기름 제거장치와 그 회수 봉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쓰레기 및 기름 제거장치는, 음식점에서 나오는 배수를 배수통로로부터 도입하는 그리스 트랩에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배수통로부터의 배수를 내부로 도입하기 위한 것으로, 기름의 부착이 가능한 소재의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봉투부를 가지는 회수 봉투와, 상기 복수층의 각 봉투부에 설치한 다수의 물 통과용 구멍과, 상기 그리스 트랩에 고이는 수면보다 상위에서 상기 봉투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쓰레기 및 기름 제거장치는, 상기 회수 봉투를 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기초부와 상기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봉투부로 구성하고, 상기 기초부에 상기 복수층의 봉투부의 내부와 연락하는 배수 도입용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통로에서의 상기 그리스 트랩측으로의 출구를 관으로 하고, 그 관을 상기 배수 도입용 구멍에 삽입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쓰레기 및 기름 제거장치는, 상기 지지수단에 상기 회수 봉투의 상기 기초부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쓰레기 및 기름 제거장치는, 상기 지지수단이 다리부와, 상기 회수 봉투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회수 봉투의 상기 기초부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다리부에 대하여 변위 가능한 가동부재를 가지고, 상기 가동부재의 한쪽의 이동단에서 회수 봉투가 상기 관과 떨어진 상태에 있고, 상기 가동부재의 다른쪽의 이동단에서 상기 회수 봉투의 봉투부의 내부에 상기 관의 선단을 위치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쓰레기 및 기름 제거장치는, 상기 기초부에 손잡이용 구멍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쓰레기 및 기름 제거장치는 상기 복수층의 봉투부를 망으로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쓰레기 및 기름 제거장치는, 상기 망의 소재를 합성 수지 또는 합성 섬유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쓰레기 및 기름 제거장치는, 상기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봉투부의 소재를 부직포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쓰레기 및 기름 제거장치는, 상기 물 통과용 구멍의 크기를 1~5 mm로 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쓰레기와 기름의 회수 봉투는, 음식점에서 나오는 배수에 포함되는 쓰레기와 기름을 회수하는 것으로, 배수 도입용 구멍을 형성한 강성이 있는 기초부와, 그 기초부의 상기 구멍의 주위를 개구부로 덮은 상태에서 고정되는 복수층의 봉투부로 이루어지고, 복수층의 각 봉투부를 기름의 부착이 가능한 소재로 구성하여 복수층의 각 봉투부에 다수의 물 통과용 구멍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쓰레기와 기름의 회수 봉투는, 상기 기초부에 손잡이용 구멍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쓰레기와 기름의 회수 봉투는, 상기 복수층의 봉투부를 망으로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쓰레기와 기름의 회수 봉투는, 상기 망의 소재를 합성 수지 또는 합성 섬유로 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쓰레기와 기름의 회수 봉투는, 상기 복수층의 봉투부의 소재를 부직포로 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쓰레기와 기름의 회수 봉투는, 상기 물 통과용 구멍의 크기를 1~5 mm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수 봉투를 구비하지 않으면 그리스 트랩 내로 배출되게 되는 쓰레기와 대량의 기름을, 회수 봉투를 지지수단으로부터 꺼내는 것만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 작업으로서는 회수 봉투를 교환할 뿐의 간단한 것으로, 종래 필요로 하였던 찌꺼기 바구니로부터의 쓰레기의 제거작업과 기름이 부착된 찌거리 바구니의 세정작업을 없앨 수 있다. 이 결과, 그리스 트랩에 관련되는 싫은 작업이 없어지기 때문에, 음식점에서의 일반 점원이나 아르바이트 점원 등의 정착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회수 봉투의 봉투부는 그리스 트랩 내의 수면보다 상위에 항상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봉투부 내의 물이 빠진 후에 회수 봉투를 제거하도록 하면, 회수 봉투로부터 물방울이 떨어지는 일이 없어져 배수에 의해 손이 더러워지는 일은 없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수단에서의 회수 봉투를 착탈하는 가동부재를, 다리부나 그 밖의 부분에 대하여 이동 자유롭게 함으로써 지지부재 전체를 이동시키지 않고 가동부재만을 이동시킴으로써 회수 봉투를 배수관에 착탈할 수 있어, 회수 봉투의 착탈작업이 매우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회수 봉투의 봉투부를 복수층의 것으로 하고, 또한 각 봉투부의 소재를 기름의 부착이 가능한 것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복수층의 각 봉투부에서 쓰레기와 기름을 포집할 수 있고, 회수 봉투의 봉투부에서 배출수단으로부터 그리스 트랩을 향하여 배출되는 기름의 대부분과 기름에 부착되는 쓰레기를 포집할 수 있다. 그 결과, 그리스 트랩의 제 2 탱크에 고이는 기름의 양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있어, 제 2 탱크로부터의 기름의 제거작업 간격을 대폭으로 연장시킴과 동시에 그리스 트랩 내의 청소 간격도 연장시킬 수 있어, 청소작업 비용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쓰레기 및 기름 제거장치를 그리스 트랩 내에 구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지지수단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회수 봉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회수 봉투의 주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지지수단에 도 3의 회수 봉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배수관과 회수 봉투를 끼워 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다른 회수 봉투의 주요부 확대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지지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지지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종래의 그리스 트랩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쓰레기 및 기름 제거장치를 그리스 트랩 내에 구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지지수단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회수 봉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에서 도 10과 동일부호는 동일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 기지의 그리스 트랩(10)을 사용한다. 단, 그리스 트랩(10)의 제 1 탱크(16)에 배수를 도입하는 상류측 배수통로로서는, 그 출구측은 홈이 아니라 배수관(38)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쓰레기 및 기름 제거장치는, 도 10에 나타내는 찌꺼기 바구니(26) 대신에, 도 2에 나타내는 지지수단(40)과, 도 3에 나타내는 회수 봉투(42)를 사용하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지지수단(40)은, 도 3에 나타내는 회수 봉투(42)의 봉투부(68)를 얹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물 통과 구멍(44)을 형성한 지지대(46)를 가지는 것이다. 이 지지대(46)의 높이는, 그리스 트랩(10)에 최대의 수량이 축적되어도 수몰되지 않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지지수단(40)은 또한 지지대(46)보다 위에 위치하는 정면벽(48)과 그 정면벽(48)의 양쪽의 측벽(50)을 가지고 있다. 정면벽(48)의 중앙에는 구멍 또는 잘림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정면벽(48)에 있어서 잘림부(52)의 양쪽에 홈(54)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 맞춤용 홈(54)은, 제 1 걸어맞춤수단으로서의 정면벽(48)과 그 안쪽에 고정되는 L자형의 걸어맞춤부재(56)에 의하여 형성된다. 측벽(50)에서의 지지대(46)보다 아래 쪽은 측벽(50)과 일체로에 형성되는 다리(58)로 되어 있다. 지지대(46)에 있어서의 정면벽(48)과 반대측의 끝에는 회수 봉투(42)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윗쪽으로 상승한 낙하방지 가이드(6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탱크(16)의 바닥에는 대(62)가 구비되고, 지지수단(40)의 다리(58)는 대(62)의 위에 얹혀진다. 또한 대(62)를 없애고, 지지수단(40)의 다리(58)를 길게 하여 그 다리(58)의 하단을 제 1 탱크(16)의 바닥에 접촉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도 3에 나타내는 회수 봉투(42)는, 제 2 걸어맞춤수단으로서의 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판형상의 기초부(64)와, 그 기초부(64)에 형성되는 배수 도입용 구멍(66)과, 그 배수 도입용 구멍(66)을 개구부가 둘러 싸도록 기초부(64)에 고정되는 봉투부(68)로 이루어진다. 봉투부(68)는 개구부의 위치를 동일한 위치로 하는 예를 들면 3층의 봉투부(68a, 68b, 68c)로 이루어진다. 제 2 걸어맞춤수단으로서의 기초부(64)는 예를 들면 강성이 있는 판형상의 종이나 판형상의 강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제 2 걸어맞춤수단으로서의 기초부(64)를 제 1 걸어맞춤수단인 홈(54)에 상하방향으로 삽입시킴으로써 지지수단(40)에 기초부(64)[회수 봉투(42)]를 빠지지 않게 설치할 수 있다. 회수 봉투(42)의 기초부(64)를 지지수단(40)에 착탈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으면 좋기 때문에 제 1 걸어맞춤수단은 홈(54)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또 제 2 걸어맞춤수단은 홈(54)에 끼워 맞추는 판형상의 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기초부(64)에 형성되는 배수 도입용 구멍(66)은, 조리실의 세정용 싱크로부터 배출되는 배수를 봉투부(68)[3층의 봉투부(68a, 68b, 68c) 중의 제일 안쪽의 봉투부(68a)]의 내부로 도입하기 위한 것이다. 기초부(64)에는 배수 도입용 구멍(66) 외에, 손을 삽입할 수 있는 손잡이용 구멍(70)이 형성되어 있다.
각 봉투부(68a, 68b, 68c)는, 기름의 부착이 가능한 소재, 예를 들면 부직포를 사용한다. 부직포는 물을 통과시키나 기름을 통과시키지 않는 것이다. 3층의 봉투부(68)는 기초부(64)의 배수 도입용 구멍(66)을 그 개구부로 둘러 싸는 봉투부(68a)를 구비하고, 그 봉투부(68a)의 바깥쪽을 봉투부(68b)로 덮고, 봉투부(68b)의 바깥쪽을 봉투부(68c)로 덮는 것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봉투부(68a, 68b, 68c)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물 통과용 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물 통과용 구멍(72)은 그 직경이 예를 들면 1 mm부터 최대 5 mm(양쪽 끝의 수치를 포함한다)의 것이 바람직하나, 그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물 통과용 구멍(72)의 직경이 1 mm 이하이면 물이 흐르기 어렵게 될 염려가 있고, 물 통과용 구멍(72)의 직경이 5 mm 이상이면 쓰레기가 통과하여 쓰레기를 포착할 수 없게 될 염려가 있다. 각 봉투부(68a, 68b, 68c)는, 예를 들면 띠형상의 부직포를 짜넣고, 그 짜넣은 부직포에 다수의 그물코형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그외 다수의 공간을 물 통과용 구멍(72)으로 하여도 좋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투부(68a)와 봉투부(68b)와의 사이에 제 1 공간(74)이 형성되고, 봉투부(68b)와 봉투부(68c)와의 사이에 제 2 공간(76)이 형성된다. 도 4에서 봉투부(68)는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3층의 봉투부(68a, 68b, 68c)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2층 이상의 복수층이면 좋다. 즉, 그러나 2층의 봉투부(68)에서는 기름의 포집량이 적어지고, 4층 이상의 봉투부(68)가 되면 중량이 무거워져 착탈에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봉투부(68)는 3층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내는 상태는, 지지수단(40)을 제 1 탱크(16)에 수용하고 있으나, 그 지지수단(40)에는 회수 봉투(42)가 아직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 도 1의 상태로부터 회수 봉투(42)의 기초부(64)를 지지수단(40)의 홈(54)의 상부로부터 삽입하여 걸어맞추게 한다. 이것에 의하여 회수 봉투(42)는 지지수단(40)에 설치된다(도 5). 회수 봉투(42)를 지지수단(40)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봉투부(68)는 지지대(46)의 위에 얹혀진다. 이 지지대(46)의 높이는, 그리스 트랩(10)에 최대의 수량이 도입되어도 수몰되지 않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리스 트랩(10) 내에 고여 있는 물에 의하여 봉투부(68)가 젖는 일은 없다.
회수 봉투(42)를 지지수단(40)에 설치한 후, 지지수단(40)을 도 5에 있어서 대(62)에 대하여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지지수단(40)을 도 6에서 본체(12)에 대하여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지지수단(40)을 이동시킴으로써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수 봉투(42)의 기초부(64)의 배수 도입용 구멍(66)에 배수관(38)의 선단이 삽입된다. 이것에 의하여 음식점 등의 조리실의 세정용 싱크로부터 배수관(38)을 거쳐 배출되는 배수는, 봉투부(68)[제일 안쪽의 봉투부(68a)]의 내부로 확실하게 도입할 수 있다.
음식점 등의 조리실의 세정용 싱크로부터의 배수에는, 형태가 있는 쓰레기(식용 찌꺼기나 이쑤시개나 꼬치 등)와 기름(유지 등의 오니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나, 형태가 있는 쓰레기는 일반적으로는 가장 안쪽의 봉투부(68a)에 의하여 포집된다. 형태가 있는 쓰레기 중 예를 들면 끝이 날카로운 꼬치 등의 쓰레기가 안쪽의 봉투부(68a)를 찢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한 가운데의 봉투부(68b)나 바깥쪽의 봉투부(68c)에 의하여 꼬치 등의 쓰레기를 포집할 수 있다. 한편, 봉투부(68a, 68b, 68c)의 소재는 물을 통과시키나 기름을 부착시키는(기름을 통과시키지 않는) 부직포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배수에 포함되는 기름은 안쪽의 봉투부(68a)의 내벽에 부착된다. 또 봉투부(68a)의 내벽에 부착된 기름은 봉투부(68a)에서 포집된 쓰레기에 부착된다. 안쪽의 봉투부(68a)의 물 통과용 구멍(72)을 통과한 기름이나 봉투부(68a)의 내벽에서 포집할 수 없게 된 기름은, 봉투부(68a)와 봉투부(68b)의 사이의 제 1 공간(74)으로 들어가, 봉투부(68b)의 내벽에 붙게 함으로써 기름을 포집한다. 또한 봉투부(68b)의 물 통과용 구멍(72)을 통과한 기름이나 봉투부(68b)의 내벽에서 포집할 수 없게 된 기름은, 봉투부(68b)와 봉투부(68c) 사이의 제 2 공간(76)으로 들어가, 봉투부(68c)의 내벽에 붙게 함으로써 기름을 포집한다.
이와 같이 3층의 봉투부(68a, 68b, 68c)로 도입된 배수에 포함되는 기름은, 각 봉투부(68a, 68b, 68c)의 내벽에 의하여 포집됨과 동시에, 봉투부(68a) 내에 포집된 쓰레기에 붙어서라도 포집된다. 3층의 봉투부(68a, 68b, 68c)에 의해서도 포집되지 않았던 기름은 제 1 탱크(16)로 배출된다. 그 후, 제 1 탱크(16)로 배출된 기름은 제 2 탱크(18)로 이동하여 통상의 그리스 트랩(10)과 마찬가지로 제 2 탱크(18)에 모여 제 2 탱크(18)로부터 추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회수 봉투(42)를 구비함으로써 배수에 포함되는 기름의 대부분을 회수 봉투(42)로 포집할 수 있어, 제 1 탱크(16)나 제 2 탱크(18)에 이르는 기름의 양을 대폭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각 봉투부(68a, 68b, 68c)의 내벽에 부착된 기름이 작은 쓰레기를 부착시켜, 각 봉투부(68a, 68b, 68c)의 내부에 작은 쓰레기를 포착할 수 있다는 이점도 생긴다.
음식점에서 하루의 일과의 종료시 또는 다음날 일과의 개시시에 회수 봉투(42)를 그리스 트랩(10)으로부터 꺼낸다. 회수 봉투(42)의 꺼내기 작업은 먼저 제 1 탱크(16)의 덮개(32)을 벗기고, 그후 도 6의 상태로부터 지지수단(40)을 B 방향으로 이동시켜 회수 봉투(42)의 기초부(64)의 배수 도입용 구멍(66)을 배수관(38)의 선단으로부터 떼어 낸다. 다음에 회수 봉투(42)의 기초부(64)의 손잡이용 구멍(70)에 손을 넣어 회수 봉투(42)를 들어 올림으로써 회수 봉투(42)를 지지수단(40)으로부터 꺼낼 수 있다. 회수 봉투(42)에 닿는 부분은 봉투부(68)로부터 떨어진 기초부(64)의 손잡이용 구멍(70)의 위치(배수로 더러워지지 않은 위치)이기 때문에, 회수 봉투(42)의 꺼내기 작업에서 손이 더러워지는 일은 없다. 봉투부(68)는 그리스 트랩(10) 내의 수면(36a, 36b)보다 상위에 있기 때문에, 제일 마지막의 배수를 흘린 후,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하면 봉투부(68)로부터는 물이 빠진 상태가 되어 회수 봉투(42)를 꺼내어도 봉투부(68)로부터는 물이 떨어지는 일은 없다.
종래는 형태가 있는 쓰레기(식용 찌꺼기나 이쑤시개나 꼬치 등)를 찌꺼기 바구니(26)로부터 제거하여 기름(유지분 등의 오니물질)이 부착된 찌꺼기 바구니(26)를 세정하지 않으면 안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회수 봉투(42)를 지지수단(40)으로부터 꺼내는 것만으로 좋고, 회수 봉투(42)의 착탈시에 손이 더러워지는 일은 없다. 또한 회수 봉투(42)는 그리스 트랩(10) 내의 물에 침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회수 봉투(42)를 예를 들면 매일 교환하면 회수 봉투(42) 내의 음식물 찌꺼기가 냄새를 발생하기 전에 회수 봉투(42)를 제거하기 때문에, 작업자인 점원이 싫은 냄새를 맡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그리스 트랩(10)에 관련되는 일에 관하여 음식점의 점원에게 싫은 생각을 하게 하는 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일반 점원이나 아르바이트 점원의 정착율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회수 봉투(42)에서는 예를 들면 3층의 봉투부(68a, 68b, 68c)에 의하여 기름을 포집하고 있기 때문에, 그리스 트랩(10)을 향하여 배출되는 배수에 포함되는 기름의 대부분은 회수 봉투(42)에 의하여 포집된다. 따라서 그리스 트랩(10)의 제 2 탱크(18)에 고이는 하루분의 기름의 양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그리스 트랩(10)으로부터의 기름의 제거작업 간격을 종래의 간격보다 대폭으로 연장시킬 수 있고, 그것에 따라 그리스 트랩(10) 내의 청소 간격도 연장시킬 수 있어, 그리스 트랩(10)에 관한 청소작업 비용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봉투부(68)의 각 층은 부직포 대신에 기름의 부착이 가능한 소재(예를 들면 합성 수지나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물 통과용 구멍(72)을 형성한 망(78)으로 하여도 좋다(도 7). 합성 수지나 합성 섬유는 물도 기름도 통과시키지 않는 것이다. 이 때문에 봉투부(68)를 3층으로 한 경우, 제 1 층의 망(78)에서 물 통과용 구멍(72)을 물이 통과하나, 부착성이 있는 기름은 제 1 층의 망(78)에 부착된다. 제 1 층의 망(78)에 대한 부착을 면한 기름이더라도 제 2 층의 망(78)이나 제 3 층의 망(78)에 부착된다. 이것에 대하여 물은 각 층의 망(78)의 물 통과용 구멍(72)을 통과하여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봉투부(68)의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에 이른다. 또한 각 봉투부(68a, 68b, 68c)의 내벽에 부착된 기름에 쓰레기가 붙기 때문에, 각 봉투부(68a, 68b, 68c)의 내부에 기름도 쓰레기도 포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봉투부(68)를 예를 들면 3층의 망(78)으로 구성하여도 망(78)에 기름이 붙기 때문에 3층의 망(78)으로 기름의 대부분과 그 기름에 붙는 쓰레기를 포착할 수 있다. 합성 수지나 합성 섬유 등을 소재로 하는 망(78)은 다수의 물 통과용 구멍(72)을 형성하는 다른 소재보다 튼튼하고 또한 저렴하다. 봉투부(68)의 각 층을 망(78)으로 한 경우에서도 물 통과용 구멍(72)의 한 변 또는 지름이 1 mm부터 최대 5 mm(양쪽 끝의 수치를 포함한다)가 바람직하나, 그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지지부재(40)를 제 1 탱크(16)의 바닥이나 대(62)의 위에 놓는 구조의 것으로 하였으나, 지지부재를 후크(도시 생략)에 의하여 제 1 탱크(16)의 위로부터 아래쪽으로 달아 매는 구조의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 지지수단(40)에 회수 봉투(42)의 제2 걸어맞춤수단과 걸어맞춰지는 제 1 걸어맞춤수단을 설치하였으나, 그리스 트랩(10)의 본체(12)에 제 2 걸어맞춤수단과 걸어맞춰지는 제 1 걸어맞춤수단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2에 나타낸 지지수단(40)의 변형예의 지지수단(80)을 도 8에 나타낸다. 도 8의 지지수단(80)에서 도 2와 동일 참조번호는 동일부재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지지수단(40)에서는 회수 봉투(42)를 착탈하는 걸어맞춤부재(56)를 설치한 정면벽(48)은 지지대(46)나 다리(58)와 고정하고 있었으나, 도 8에 나타내는 지지수단(80)에서는 회수 봉투(42)를 착탈하는 걸어맞춤부재(82)를 구비하는 정면벽인 가동부재(84)는 지지대(46)나 다리(58)에 대하여 이동 가능, 즉 요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가동부재(84)의 중앙에는 잘림부(8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동부재(84)의 잘림부(86)의 양쪽에 걸어맞춤부재(82)가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제 1 걸어맞춤수단인 걸어맞춤부재(82)와 정면벽인 가동부재(84)에 의하여, 회수 봉투(42)의 기초부(64)를 삽입할 수 있는 끼워 맞춤용 홈(88)이 형성되어 있다. 양쪽의 걸어맞춤부재(82)의 상부에, 그것들 양쪽의 걸어맞춤부재(82)를 연결하는 연결봉(90)이 고정되어 있다. 가동부재(84)의 하부에는 회수 봉투(42)의 기초부(64)의 아래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92)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부재(84)의 양 측면에는 아래쪽으로 신장되는 암(arm)(94)이 고정되고, 각 암(94)의 하단 부근에 핀(96)이 고정되고, 핀(96)이 다리(58)에 회전 자유롭게 유지되어 있다. 즉, 가동부재(84)는 2개의 핀(96)이 다리(58)에 유지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다리(58)에 대하여 요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부재(84)는 다리(58)에 대하여 다른 이동수단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각 다리(58)에는 각 암(94)이 지지대(46)로부터 소정 이상 떨어진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98)가 설치되어 있다.
회수 봉투(42)를 지지수단(8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수단(80)의 가동부재(84)와 걸어맞춤부재(82)에 의하여 형성되는 끼워 맞춤용 홈(88)에 회수 봉투(42)의 기초부(64)를 삽입한다. 지지수단(80)의 끼워 맞춤용 홈(88)에 회수 봉투(42)의 기초부(64)를 삽입한 상태에서는 회수 봉투(42)의 봉투부(68)는 가동부재(84)의 잘림(86)(도 8)을 통과하여,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봉투부(68)의 하면은 지지대(46)의 위에 얹혀진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수 봉투(42)의 봉투부(68)를 지지수단(80)의 끼워 맞춤용 홈(88)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배수관(38)은 회수 봉투(42)와 접촉하지 않도록 가동부재(84)를 한쪽측의 이동위치[지지대(46)에 가까운 위치]로 이동시켜 둔다. 이 상태의 가동부재(84)와 회수 봉투(42)의 기초부(64)와 암(94)을, 도 9에서 실선으로 나타낸다. 그후 연결봉(90)을 손으로 들고 핀(96)의 위치를 중심으로 암(94)을 요동시켜 가동부재(84)나 회수 봉투(42)의 기초부(64)를 배수관(38)의 선단측으로 쓰러 뜨린다. 배수관(38)측으로 쓰러 뜨린 상태의 가동부재(84)나 기초부(64)나 암(94)을, 도 9에서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가동부재(84)와 함께 회수 봉투(42)를 배수관(38)의 선단측으로 경사시킴으로써, 배수관(38)의 선단을 회수 봉투(42)의 봉투부(68)[제일 안쪽의 봉투부(68a)]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지지수단(80)에서는, 가동부재(84)나 암(94)을 경사시킴으로써, 배수관(38)의 선단을 회수 봉투(42)의 봉투부(68)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도 2의 경우의 지지수단(40) 전체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작업에 비하여, 배수관(38)의 선단을 회수 봉투(42)의 봉투부(68) 내에 위치시키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회수 봉투(42)를 지지수단(80)으로부터 떼어 내는 경우에는 도 9의 일점 쇄선의 상태로부터 가동부재(84)나 암(94)을 지지대(46)에 가까운 위치(도 9의 실선위치)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배수관(38)의 선단이 회수 봉투(42)로부터 빠진다. 그후 회수 봉투(42)를 윗쪽으로 끌어 올리면, 회수 봉투(42)는 배수관(38)에 방해받지 않고, 지지수단(80)으로부터 떼어 낼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수 봉투(42)를 착탈하는 가동부재(84)를 다리(58)에 대하여 요동 자유롭게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회수 봉투(42)를 착탈할 때에 지지수단(80) 전체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져, 회수 봉투(42)의 착탈작업이 매우 용이해진다.
10 : 그리스 트랩 12 : 본체
38 : 배수관 40 : 지지수단
42 : 회수 봉투 46 : 지지대
56 : 걸어맞춤부재 64 : 기초부
66 : 배수 도입용 구멍 68 : 봉투부
68a : 봉투부 68b : 봉투부
68c : 봉투부 70 : 손잡이용 구멍
72 : 물 통과용 구멍 78 : 망
82 : 걸어맞춤부재 94 : 암
96 : 핀

Claims (4)

  1. 그리스 트랩에 도입되는 배수에 포함되는 쓰레기 및 기름을 회수하며, 자체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쓰레기 및 기름의 회수봉투에 있어서,
    배수 도입용 구멍을 형성한 강성이 있는 판 형상의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상기 배수 도입용 구멍의 주위를 개구부로 덮은 상태에서 상기 기초부에 상기 개구부를 고정하는 복수층의 봉투부와, 상기 복수층의 봉투부에 형성한 다수의 물 통과용 구멍과, 상기 복수층의 봉투부에서의 안쪽의 봉투부와 바깥쪽 봉투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봉투부를 물 통과용 구멍의 직경이 1 내지 5 mm인 망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및 기름의 회수봉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에 손잡이용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및 기름의 회수 봉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망의 소재를 합성수지 또는 합성섬유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및 기름의 회수 봉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층을 3층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및 기름의 회수 봉투.
KR1020127001523A 2003-11-20 2004-11-19 쓰레기 및 기름의 회수 봉투 KR1011948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90412 2003-11-20
JPJP-P-2003-390412 2003-11-20
JPJP-P-2004-151659 2004-05-21
JP2004151659 2004-05-21
JP2004329083A JP2006225846A (ja) 2003-11-20 2004-11-12 ゴミと油の除去装置及びその回収袋
JPJP-P-2004-329083 2004-11-12
PCT/JP2004/017238 WO2005049929A1 (ja) 2003-11-20 2004-11-19 ゴミと油の除去装置及びその回収袋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382A Division KR101148146B1 (ko) 2003-11-20 2004-11-19 쓰레기 및 기름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986A KR20120024986A (ko) 2012-03-14
KR101194813B1 true KR101194813B1 (ko) 2012-10-25

Family

ID=346235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1523A KR101194813B1 (ko) 2003-11-20 2004-11-19 쓰레기 및 기름의 회수 봉투
KR1020067009382A KR101148146B1 (ko) 2003-11-20 2004-11-19 쓰레기 및 기름 제거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382A KR101148146B1 (ko) 2003-11-20 2004-11-19 쓰레기 및 기름 제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15800B2 (ko)
EP (1) EP1700963A4 (ko)
JP (1) JP2006225846A (ko)
KR (2) KR101194813B1 (ko)
CN (1) CN1882750B (ko)
WO (1) WO20050499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7004B2 (en) * 2005-05-26 2011-09-13 Trash Guard, Inc. Storm drain and filter system
JP4800069B2 (ja) * 2006-02-27 2011-10-26 清 小松 グリーストラップ用残渣除去装置
US8366923B1 (en) * 2007-11-19 2013-02-05 Tom Happel Telescoping post supports and sliding lid systems for filter baskets
US8034237B2 (en) * 2007-12-17 2011-10-11 Dolores J. Happel, legal representative Backwashing filter basket
US8153004B2 (en) * 2008-11-14 2012-04-10 Felix Juan Rodriguez-Jovet Grease trap with detachable residue interceptor
US20130087509A1 (en) * 2011-09-09 2013-04-11 University Of Maryland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suspended solids and affiliated pollutants from stormwater runoff using a geosynthetic filter
US8889000B2 (en) 2011-09-15 2014-11-18 Storm Drain Technologies, Llc Apparatus, methods, and system for treatment of stormwater and waste fluids
US9108864B2 (en) 2011-09-15 2015-08-18 Storm Drain Technologies, Llc Construction site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s
US9328499B2 (en) * 2012-02-27 2016-05-03 Gregory Stephen Duncan Device for settlement of particles from a liquid
US10662637B2 (en) * 2012-10-24 2020-05-26 Fresh Creek Technologies, Inc. Inclined plates for CSO
US9695584B2 (en) * 2012-10-24 2017-07-04 Fresh Creek Technologies, Inc. Inclined plates for CSO
US10926199B1 (en) 2013-05-30 2021-02-23 Oldcastle Infrastructure, Inc. Round baffle box water treatment system with at least one sidewall baffle
US10183240B1 (en) 2013-05-30 2019-01-22 Suntree Technologies Holdings, Llc Nutrient removal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US10907338B1 (en) 2013-05-30 2021-02-02 Oldcastle Infrastructure, Inc. Hinged variable flow skimmer and shelf system
US10472815B1 (en) 2013-05-30 2019-11-12 Oldcastle Infrastructure, Inc. Hydro-variant baffle cartridge system
US10238993B1 (en) 2013-05-30 2019-03-26 Suntree Technologies Holdings, Llc Dual screen treatment systems with debris ramps and screened deflectors
JP6002637B2 (ja) * 2013-06-28 2016-10-05 谷口商会株式会社 濾過装置及び濾過方法並びにフィルター
US9908067B2 (en) * 2013-12-27 2018-03-06 ClearCove Systems, Inc. Floatables and scum removal apparatus for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US9855518B2 (en) 2013-12-27 2018-01-02 ClearCov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vertical lift decanter system in a water treatment system
US9782696B2 (en) 2013-12-27 2017-10-10 ClearCove Systems, Inc. Method for maximizing uniform effluent flow through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US9744482B2 (en) 2013-12-27 2017-08-29 ClearCove Systems, Inc. Screen decanter for screening solids from waste water
US20150183660A1 (en) * 2013-12-27 2015-07-02 ClearCove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al of floatables and scum in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US9643106B2 (en) 2013-12-27 2017-05-09 ClearCove Systems, Inc. Screen decanter for removing solids from wastewater
US10190710B2 (en) 2013-12-27 2019-01-29 ClearCove Systems, Inc. Foldable drain pipe for a decanter in a water treatment system
CN105833608B (zh) * 2016-04-27 2017-08-04 河北钢铁股份有限公司承德分公司 一种高浓度钒液富集方法
HK1216972A2 (zh) * 2016-06-03 2016-12-09 薛傲雪 種餐飲污水隔渣隔油池
US9889392B2 (en) * 2016-06-03 2018-02-13 Teik Sim Quah Grease separator
AU2018371752B2 (en) * 2017-11-21 2023-12-14 Thermaco Incorporated Solids transfer pump with modular components
CN107794982A (zh) * 2017-12-18 2018-03-13 张宸菲 厨房水管道防堵塞器
US11578778B2 (en) * 2018-06-07 2023-02-14 William R. Lacrosse Flow suppression device
CA3013767C (en) * 2018-08-09 2024-02-27 David A. Rockwell Removable grease trap with disposable liner
CN109989475B (zh) * 2019-04-01 2021-10-15 四会市景裕环保科技有限公司 截污设施及防污染系统
CN111663630B (zh) * 2020-05-07 2021-11-05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适用于暗渠内水平混流排口的侧壁式截污斗装置及截污系统
FR3110611B1 (fr) * 2020-05-21 2023-02-03 Eurofilet France Dispositif de rétention de déchets en sorties d'émissaires, d’exutoires, de buses, de canalisations et d’avaloirs et procédé de conception sur mesure d’un tel dispositif
US11686433B2 (en) 2020-06-03 2023-06-27 Joseph Dennis Shimkonis Collapsible fluid collection container
US11980835B2 (en) * 2020-07-27 2024-05-14 Foley Products Company, Llc Double-filter basket for stormwater retention system drain
CN112173482A (zh) * 2020-11-16 2021-01-05 三门踱哒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厨余垃圾自动处理装置
US20230160525A1 (en) * 2021-11-24 2023-05-25 David Stultz Grease trap system
FR3141475A1 (fr) * 2022-10-28 2024-05-03 Eurofilet France Dispositif de rétention de déchets sur l’embouchure d’une canalisation adapté pour empêcher l’obstruction du réseau et faciliter son vida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6019A (ja) 2001-03-15 2002-09-25 Ratsuku Rand:Kk グリーストラップ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82430A (en) * 1963-08-16 1966-11-01 Felix L Kinne Irrigation channel weed seed screen
AT340216B (de) 1973-06-22 1977-12-12 Burgmann Dichtungswerk Feodor Dichtungsanordnung
JPS5429175Y2 (ko) * 1975-10-20 1979-09-18
JPS5255656A (en) 1976-11-15 1977-05-07 Kiyapakon Insutsurumentsu Kk Capacitive displacement gauge
US4268396A (en) * 1979-07-23 1981-05-19 Lowe Engineering Company Oil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JPS6115202A (ja) 1984-06-29 1986-01-23 Mitsubishi Electric Corp 数値制御装置
JPS63300001A (ja) 1987-05-30 1988-12-07 Asahi Chem Ind Co Ltd 流し台フイルタ−
JP2849454B2 (ja) 1990-06-21 1999-01-20 オリジン電気株式会社 模様塗料組成物および基材表面の模様形成方法
JPH0453876U (ko) * 1990-09-10 1992-05-08
US5405539A (en) * 1993-03-04 1995-04-11 Schneider; Thomas W. Storm drain filter system
JP3179972B2 (ja) 1994-07-29 2001-06-25 タキロン株式会社 雑排水用排水桝
JPH08224409A (ja) 1995-02-20 1996-09-03 Nippon Petrochem Co Ltd グリース阻集器用網袋
JP3624224B2 (ja) 1995-12-18 2005-03-02 ユニチカ株式会社 水切りゴミ袋
JPH10225680A (ja) 1997-02-14 1998-08-25 Kowa Kikai Sekkei Kogyo Kk ごみ、油回収袋
JP3704224B2 (ja) 1997-03-28 2005-10-12 株式会社ダスキン ごみネット取付枠
KR100223945B1 (ko) 1997-09-02 1999-10-15 구자홍 진공청소기의 먼지 봉투 착탈 구조
ATE288975T1 (de) * 1997-09-03 2005-02-15 Brian Warren Leahy Schadstoff-auffänger
JPH11147008A (ja) 1997-11-17 1999-06-02 Igarashi Hiroshi 水質汚染物質捕集容器
JP3157131B2 (ja) 1997-11-25 2001-04-16 みゑ子 高橋 汚泥・ゴミ等の流出抑制型側溝構造
JP3063807U (ja) 1999-03-10 1999-11-30 株式会社サンユウ 残渣類収集ネット装着装置
KR200213165Y1 (ko) 2000-09-16 2001-02-15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필터 조립체
CN2447430Y (zh) * 2000-09-26 2001-09-12 第伊企业有限公司 截油除油装置
JP2002161577A (ja) 2000-11-27 2002-06-04 Sanyuu:Kk グリース阻集器における残渣類回収装置
CN1163425C (zh) * 2000-12-13 2004-08-25 邓武军 一种处理餐饮污水的方法及装置
CN2458304Y (zh) * 2000-12-13 2001-11-07 邓武军 一种处理餐饮污水的装置
JP2003024930A (ja) 2001-05-09 2003-01-28 Shiatoru Catalyzer Laboratory Kk 雑排水浄化装置及び浄化システム
US6651825B2 (en) * 2001-06-06 2003-11-25 Fresh Creek Technologies, Inc. Disposable net assemblies for apparatus for collecting floating debris
JP2003001282A (ja) 2001-06-22 2003-01-07 Kitayama Haruichi 廃水処理装置
JP3640070B2 (ja) 2001-10-22 2005-04-20 日本クリーンオイル株式会社 油水分離除去装置
US6797161B2 (en) * 2001-12-31 2004-09-28 Clark Joseph Use Multi-stage water pollution trap
CA2368533C (en) * 2002-01-18 2006-04-04 Munro Concrete Products Ltd. Catch basin trap with filter
US6875345B2 (en) * 2002-03-28 2005-04-05 Peter J. Hannah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d removing disposable netting systems in floatables control systems
US6800195B1 (en) * 2002-06-04 2004-10-05 Thermaco, Inc. Low cost grease removal system
JP2004105939A (ja) 2002-09-18 2004-04-08 Koji Kinoshita 残滓・浮上油・沈殿汚泥回収装置
JP2004188405A (ja) 2002-12-12 2004-07-08 Hideyuki Sakihama グリース阻集器内の汚泥の浄化処理方法、グリース阻集器用ゴミ処理装置及び油脂分解処理システム。
US7294256B2 (en) * 2005-01-24 2007-11-13 Henry Happel Storm water filter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6019A (ja) 2001-03-15 2002-09-25 Ratsuku Rand:Kk グリーストラップ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8146B1 (ko) 2012-05-24
JP2006225846A (ja) 2006-08-31
KR20060125753A (ko) 2006-12-06
KR20120024986A (ko) 2012-03-14
US20070095749A1 (en) 2007-05-03
CN1882750B (zh) 2010-08-18
EP1700963A4 (en) 2007-04-04
WO2005049929A1 (ja) 2005-06-02
EP1700963A1 (en) 2006-09-13
CN1882750A (zh) 2006-12-20
US7815800B2 (en) 201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4813B1 (ko) 쓰레기 및 기름의 회수 봉투
JP2010284578A (ja) 排水用濾過器
US20060237362A1 (en) Wastewater solids strainer apparatus for plumbing drain systems in commercial kitchen facilities
JP4308273B2 (ja) ゴミと油の除去装置
JP4450395B2 (ja) ゴミと油の回収袋
JP2004105939A (ja) 残滓・浮上油・沈殿汚泥回収装置
KR200493925Y1 (ko) 음료 잔반 처리용 쓰레기통
JP2003082755A (ja) グリーストラップ
KR200489534Y1 (ko) 거름부재를 갖춘 배수 트랜치
JP3651753B2 (ja) 油脂分除去システムと装置
EP1731683A1 (en) Separating device
JP2005083118A (ja) ヘアキャッチャー
JP2007040030A (ja) グリーストラップ用残渣捕集装置
JP3214802U (ja) グリース阻集器の受け篭
KR20130002511A (ko) 음식물 쓰레기봉투 및 음식물 쓰레기통
JP3062416U (ja) 油吸収材入り生ゴミ回収網ならびに回収器
JP7450200B1 (ja) 回収具
CN212640029U (zh) 商业自动化隔油池
KR102041447B1 (ko) 그리스트랩
JP4527843B2 (ja) 油脂分除去装置
KR200426503Y1 (ko) 배수구 여과장치
JP4606574B2 (ja) 食器洗浄槽等を備えた油脂分回収装置
KR200222074Y1 (ko) 싱크대 배수구 악취 차단 및 음식물 찌꺼기 처리 개선 장치
JP4022864B2 (ja) 油水分離装置
JP2016079595A (ja) 排水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