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811B1 -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811B1
KR101073811B1 KR1020087011828A KR20087011828A KR101073811B1 KR 101073811 B1 KR101073811 B1 KR 101073811B1 KR 1020087011828 A KR1020087011828 A KR 1020087011828A KR 20087011828 A KR20087011828 A KR 20087011828A KR 101073811 B1 KR101073811 B1 KR 101073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ackaging
stand
sealing
fil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1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9450A (ko
Inventor
오리히로 츠루타
카츠미 나가이
카즈미 나카자토
Original Assignee
오리히로엔지니어링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리히로엔지니어링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리히로엔지니어링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9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2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webs being formed into tubes in situ around the fill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65B41/16Feeding webs from roll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8Register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transverse or longitudinal seams in webs or tubes
    • B65B51/30Devices, e.g. jaws, for applying pressure and heat, e.g. for subdividing filled tubes
    • B65B51/303Devices, e.g. jaws, for applying pressure and heat, e.g. for subdividing filled tubes reciprocating along only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8Attaching, e.g. pasting, the replacement web to the expiring web
    • B65H19/1842Attaching, e.g. pasting, the replacement web to the expiring web standing splicing, i.e. the expiring web being stationary during splicing contact
    • B65H19/1852Attaching, e.g. pasting, the replacement web to the expiring web standing splicing, i.e. the expiring web being stationary during splicing contact taking place at a distance from the replacement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1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web-advancing mechanism, e.g. mechanism acting on the running web
    • B65H23/18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web-advancing mechanism, e.g. mechanism acting on the running web in connection with running-web
    • B65H23/1882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web-advancing mechanism, e.g. mechanism acting on the running web in connection with running-web and controlling longitudinal register of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2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webs being formed into tubes in situ around the filling nozzles
    • B65B9/2007Means for stripping or squeezing filled tubes prior to sealing to remove air or products from sealing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2Changing form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21Bending, buckling, curling, bringing a curvature
    • B65H2301/51214Bending, buckling, curling, bringing a curvature parallel to direction of displacement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2145Forming a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81Packag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한쪽의 원반(原反) 롤에서의 필름과 다른 원반 롤에서의 필름을 접합하는 기구를 갖춘 포장장치에 있어서, 필름끼리의 접합부에 있어서 열 봉인 불량을 방지하고 그것에 의해 생산효율을 향상시킨 포장장치를 제공한다. 포장장치(10)는, 필름(1A, 1B)을 접합해서 공급하는 필름 공급 기구(10A)와 필름의 제대(製袋)를 행하는 포장기구(10C)를 가진다. 필름 공급 기구(10A)와 포장기구(10C)의 사이에는, 필름을 사행상(巳行狀)으로 안내 보지하는 필름 저장부(10B)가 설치되어 있어, 그 중의 몇 개의 어큐뮬레이팅 롤러(21)는, 제조하는 포장대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소정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필름끼리가 접합하는 위치부터, 가로 봉인 되는 위치까지의 필름의 길이가 변경되어, 필름끼리의 접합부가 가로 봉인 되는 위치에 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포장대

Description

포장 장치 {PACKAGING DEVICE}
본 발명은, 원반(原反) 롤에서 끌어내어진 긴 필름을 제대(製袋)하는 것으로, 내부에 액체 또는 점조물(粘稠物)등의 내용물이 충전된 포장대를 제조하는 포장 장치에 관한다.
종래, 예를 들면 액체나 점조물 등의 내용물이 충전된 자루에 채워 넣는 제품(포장대)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충전 포장 장치(이하, 간단히 "포장 장치"라고 한다)가 알려져 있다. 포장 장치는, 일반적으로, 원반 롤에서 끌어내어진 긴 시트 모양의 필름을 접어 구부려 통 모양으로 함과 동시에, 그 필름에 대해 내용물을 투입하거나, 소정의 봉인부를 형성하거나 하는 것으로 포장대를 제조하는 것이다.
도 1 은, 원반 롤에서 끌어내어진 필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A 에 나타내듯이, 통상, 원반 롤에 감겨진 필름의 끝 부분에는, 필름의 끝을 나타내기 위한 엔드 마크(A)가 미리 설치되어 있다. 엔드 마크(A)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박 테이프나 비닐 테이프가 붙여진 부위이며, 포장 장치는, 광학 센서 등으로 이 마크를 검출하는 것으로, 포장 동작을 정지하거나 하게 되어 있다. 필름에는, 엔드 마크(A)외에도, 복수의 레지 마크(C)가 소정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고, 이 피치는 제조하는 포 장대의 사이즈(길이 치수)에 따라 설정되어 있다.
원반 롤(R)에 감겨진 필름은, 실제로는 소정 길이의 필름을 복수 개 이어 맞춘 구성이 되어, 도 1B 에 나타내듯이, 그 이음매(B)부분에서는, 필름끼리가 테이프 (B’)에 의해서 연결되고 있다. 그런데, 이 테이프 (B’)자체는 열 봉인성을 가지지 않고, 가령 이 테이프 (B’)를 열 봉인 하려고 하면, 테이프가 녹는 것에 의한 상태가 좋지 않음이 생긴다.
그래서, 특개평11-236002호 공보(1999)에서는, 필름의 이음매(B)를 열 봉인 하지 않게 한 포장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포장 장치에 대해서, 도 2 를 참조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2 에 나타내듯이, 특개평11-236002호 공보의 포장 장치는, 일반적인 구성으로서, 필름을 2 개로 접게 하는 접어넣기가이드(114)와, 2 개로 접힌 필름에 세로 봉인부(F1)를 형성하는 세로 봉인 기구(130)와, 필름 내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 노즐(115)과, 포장대의 밑 부분 및 상부가 되는 개소(箇所)에 가로 봉인부(F2)를 형성하는 가로 봉인 기구(150)와, 가로 봉인부(F2)를 절단해 포장대를 필름에서 분리하는 절단 기구(160)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각 기구를, 필름의 반송에 맞추어 소정의 타이밍에 적당히 구동시키는 것으로, 내용물이 충전된 포장대가 연속적으로 제조되게 되어 있다.
이 포장 장치의 주된 특징은, 필름의 이음매(B)를 검출하는 이음매 검출 수단(116)을 또한 가져, 그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각 기구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음매(B)의 테이프(B’)를 열 봉인 하지 않게 하고 있는 점에 있다. 이것에 의해, 테이프가 녹는 것에 의한 상태가 좋지 않음(예를 들면, 용해 한 테이프의 일부가 가로 봉인 기구의 실 바에 부착해, 이후 제조되는 포장대의 품질이 저하하는 것 등)이 방지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런 종류의 포장 장치에 대해서는, 한쪽의 원반 롤의 필름을 다 사용할 때에, 그 필름의 끝 부분과, 다음의 원반 롤의 첫 부분을 이어 맞추는 기구를 갖춘 것도 알려져 있다(특개평9-58616호 공보(1997) 참조). 이것에 의해, 포장대의 제조를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되어, 1 개의 원반 롤을 다 사용할 때마다 다음의 원반 롤을 다시 세트 한다고 하는 번잡한 작업도 불필요하게 된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상술한 바와 같이 한편의 필름의 끝 부분과, 다음의 필름의 첫 부분을 접합했을 경우, 2 매의 필름은 도 3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고 있다. 즉, 도 3A에 나타내는 대로, 필름(1A)과 거기에 계속 되는 필름(1B)이 접합부(5)에 대해 서로 겹침과 동시에, 봉인부(3)에 의해서 필름끼리가 접합된 상태가 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접합된 긴 필름은, 그 후의 공정으로, 예를 들면 도 3B 에 나타내는 형태로 접어 구부러진다. 그 다음에, 필름의 측연부(側部)(빗금으로 표시한 영역)끼리를 세로 봉인 기구로 세로 봉인 하는 것에 의해, 필름이 통 모양으로 형성된다.(이것을 "통 모양 필름"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접합된 긴 필름은, 또, 가로 봉인 기구(150)부분에서, 열 봉인 되게 되지만, 가로 봉인 기구(150)로, 필름끼리의 접합부(5)를 가로 봉인 하려고 했을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즉, 접합부(5)에는 필름끼리가 2 매 겹침이 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부분을 가로 봉인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열이 전해지기 어렵고, 가로 봉인부에 봉인 불량이 생길 우려가 있다. 봉인 불량이 된 개소에서는 내용물이 새어 나가는 일도 생각할 수 있어 이러한 사태는, 포장대의 연속적 제조의 방해가 되어, 생산 효율을 저하시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또, 이러한 문제는, 세로 봉인부에 관해서도 같은 형태로 생길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특개평11-236002호 공보의 제조 방법과 같이 센서 등을 이용해 접속부(5)를 검출해, 그 접속부(5)를 열 봉인 하지 않게 하면 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특개평11-236002호 공보의 방법은, 어디까지나 1 개의 원반 롤에 있어서의 이음매(B)(도 1 참조)를 검출하는 것이다. 즉, 이음매(B)에는 테이프(B’)가 붙여져 있기 때문에 그 검출은 비교적 용이하게 행할 수 있지만, 필름끼리의 접합부(5)(도 3)에는 테이프 등이 붙여진 것은 없기 때문에, 그 검출은 비교적 곤란하다. 특히, 필름(1A, 1B)이 모두 투명의 경우에는 접합부(5)(봉인부(3)도 포함해)도 투명이 되어, 광학 센서에 의한 검출은 보다 곤란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것 같은 과제에 거울 삼아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한 편의 원반 롤에서의 필름과 다른 편 원반 롤에서의 필름을 접합하는 기구를 갖춘 포장 장치에 있어서, 필름끼리의 접합부에 있어서의 열 봉인 불량을 방지해, 그것에 의해 생산 효율을 향상시킨 포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포장 장치는, 한편의 원반 롤에서 끌어내어진 제 1 의 필름의 끝 부분과 다른 편의 원반 롤에서 끌어내어진 제 2 의 필름의 첫 부분을 접합해, 접합된 상기 제 1 및, 제 2 의 필름을 긴 필름으로서 공급하는 필름 공급 수단과, 상기 긴 필름을 통 모양으로 형성 함과 동시에 세로 봉인 기구로, 세로 봉인 하는 것으로 통 모양 필름으로 하여, 가로 봉인 기구로 가로 봉인 하는 것으로 유저상(有底狀)이 된 상기 통 모양 필름 내에 내용물을 투입해, 그 후, 상기 가로 봉인 기구로, 상기 통 모양 필름을 재차 가로 봉인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내용물이 충전된 포장대를 제조하는포장 수단을 가지는 포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필름과 상기 제 2 의 필름이 접합되는 위치(접합 위치)에서 상기 가로 봉인 되는 위치(가로 봉인 위치)까지의 상기 긴 필름의 거리를, 제조하는 상기 포장대의 길이 치수에 따라, 상기 길이 치수의 정수배가 되지 않는 길이로 변경하는 거리 조정 수단을 또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포장 장치는, 필름끼리의 접합 위치에서 가로 봉인 위치까지의 필름의 거리를, 포장대의 사이즈(길이 치수)에 따라 변경하는 거리 조정 수단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이 거리 조정 수단에 의해 접합 위치에서 가로 봉인 위치까지의 거리가 변경된 후에, 필름끼리가 접합되어 필름끼리의 접합부가 포장 수단 측에 보내졌다고 해도 가로 봉인 기구가 그 접합부를 끼우는 일은 없다. 이것은, 상기 접합 위치에서 가로 봉인 위치까지의 거리가, 포장대의 길이 치수의 정수배가 되지 않는 거리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이러한 포장 장치에 의하면, 접합 위치와 가로 봉인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를 미리 변경하는 것 만으로 접합부가 가로 봉인 위치에 오지 않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접합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등을 이용할 필요도 없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거리 조정 수단은, 상기 필름 공급 수단과 상기 포장 수단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가이드 롤러로 상기 긴 필름을 사행상(巳行狀)으로 안내 보지하는 필름 저장부로 구성되어,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롤러 중 몇 개가 이동하는 것으로써, 상기 필름 저장부에 보지되는 상기 긴 필름의 길이가 바뀌도록 구성된 것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롤러는, 몇 개의 고정측 가이드 롤러와 그 고정측 가이드 롤러에 대해서 진퇴 이동 자재로 구성된 몇 개의 가동측 가이드 롤러로부터 되는 것으로, 상기 몇 개의 가동측 가이드 롤러는, 제조하는 상기 포장대의 길이 치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세로 봉인 기구의 구동에 관해, 상기 세로 봉인 기구는, 상기 긴 필름의 상기 접합부를 포함한 영역에 대해, 통상의 세로 봉인 시간보다 장시간에 걸쳐서 세로 봉인을 실시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접합부에 있어서의 세로 봉인이 양호하게 행해져 세로 봉인부에서의 내용물의 누락도 방지된다. 이 세로 봉인 동작은, 상기 필름 공급 수단이 상기 제 1 의 필름과 상기 제 2 의 필름을 접합한 후, 미리 설정된 소정 회수째의 타이밍에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접합부를 검출하는 것으로 세로 봉인 동작의 타이밍이 생성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접합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등을 이용할 필요도 없다.
상기 포장 수단은, 상기 세로 봉인 기구와 상기 가로 봉인 기구가 박스모션을 실시해, 상기 통 모양 필름을 반송하면서 상기 포장대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가동측 가이드 롤러는, 상기 필름 공급 수단이 상기 제 1 의 필름과 상기 제 2 의 필름을 접합하고 있는 사이에, 일정 속도로 상기 고정측 가이드 롤러 측에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포장 수단은, 그 포장 동작을 정지하는 일 없이, 연속적으로 포장대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덧붙여 "박스 모션"이란, 포장 수단에 있어서의 열 봉인 기구(세로 봉인 기구 또는 가로 봉인 기구)의 동작 방법의 하나이며, 열 봉인 기구의 실 바를 필름의 반송에 맞추어 이동시키면서 필름을 가열하는 것으로써, 필름의 반송을 정지하는 일 없이 열 봉인부(세로 봉인부 또는 가로 봉인부)를 형성하는 동작을 말한다. 실 바는, 필름 반쌍방향(半雙方向)에 따라서 소정 위치까지 이동한 후에 필름에서 퇴피(退避)해, 그 다음에, 필름 반송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해 초기 위치로 돌아온다.
[도 1A] 원반 롤에서 끌어내어진 필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B] 필름의 이음매에 붙여진 테이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 종래의 포장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A] 필름끼리의 접합부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로, 접어 구부리기 전의 필름이 나타나고 있다.
[도 3B] 필름끼리의 접합부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로, 접어 구부린 후의 필름이 나타나고 있다.
[도 4] 본 발명의 포장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A] 도 4 의 포장 장치로 제조되는 포장대를 나타내는도이다.
[도 5B] 도 4 의 포장 장치로 제조되는 다른 형태의 포장대를 나타내는도이다.
[도 6A] 도 5 의 포장대 몇 개가 연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B] 도 5 의 포장대의 몇 개가 연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로, 그 중의 하나에 접속부가 포함되어 있다.
[도 7] 도 7A~7E 는, 포장대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 필름 저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 도 9A~9C 는, 필름 저장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 도 10A~10C 는, 제조하는 포장대의 사이즈가다른 경우의, 접합부와 가로 봉인 위치와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 접합 위치와 가로 봉인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의 변경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11A 는 거리 조정 전, 도 11B 는 거리 조정 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 본 발명의 포장 장치에 이용 가능한 부가적인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부호의 설명)
(1A, 1B) 필름
(1’)통 모양 필름
(2) 공충전부(空充塡部)
(3) 봉인부
(5) 접합부
(10) 포장 장치
(10A) 필름 공급 기구
(10B) 필름 저장부
(10C) 포장기구
(14) 접어넣기가이드
(15) 투입 노즐
(16) 단차 롤러
(17) 로터리 엔코더
(18) 봉상(棒狀)부재
(18a) 가이드 롤러
(21) 어큐뮬레이팅 롤러
(22) 롤러
(30) 가로 봉인 기구
(31) 히터 바
(24) 롤러 보지부재
(41) 반송 롤러
(45) 스퀴징 롤러
(60) 가로 봉인 기구
(61) 히터 바
(62) 히터 바 받이
(71) 접합 실러
(76, 77) 롤 보지부재
(81) 커터
(83) 센서
(85) 필름 풀어내기용 롤러
(91, 92) 포장대
(F1) 세로 봉인부
(F2) 가로 봉인부
(Ra, Rb) 원반 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4 는,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5 는 도 4 의 포장 장치로 제조되는 포장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 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장치(10)은, 크게 나누면, 원반 롤러(Ra, Rb)에서 필름을 계속 내보냄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필름(1A)과 필 름(1B)을 접합하는 필름 공급 기구(10A)와, 그 필름 공급 기구(10A)에서 계속 내보내진 필름을 통 모양으로 함과 동시에, 필름에 세로 봉인부 및 가로 봉인부를 적당히 형성해 포장대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포장기구(10C)와, 필름 공급 기구(10A)와 포장기구(10C)와의 사이에 위치해, 필름을 사행상에 안내 보지하는 필름 저장부(10B)로 나누어진다.
도 5A 에 나타내듯이, 포장 장치(10)로 제조되는 포장대(91)은, 2 개의 가로 봉인부(F2a, F2b)(이하, 이것들을 구별하지 않고 단지 "F2" 라고도 한다)와 등에 붙이는 것인 세로 봉인부(F1)가 형성된, 이른바 필로우 타입의 포장대다. 포장대(91)의 내부에는, 액체 또는 점조물인 내용물이 충전되어 있다. 도 5B 의 포장대(92)는, 필름끼리의 접합부(5)가 포장대의 배 부분에 위치한 것이다.
그런데, 충전되는 내용물이 액체 등인 경우, 어떤 봉인부(F1, F2) 혹은 접합부(5)에 봉인 불량이 생기고 있으면, 그 개소에서 내용물이 샐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런 종류의 포장대에 대하여는 각 봉인부가 확실하게 열 봉인 될 필요가 있다. 특히, 도 5B 의 포장대(92)에서는, 전술한 것처럼 접합부(5)로 필름이 2 매 겹침이 되어 있어 세로 봉인부(F1)에의 봉인 불량이 생기기 쉽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이하, 도 6 을 참조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접합부(5)에 관한 봉인 불량의 문제는, 도 6A 에 나타내듯이 접합부(5)가 가 로 봉인부(F2)에 위치했을 경우와 도 6B 에 나타내듯이 접합부(5)가 포장대의 배 부분에 위치했을 경우의 2 개로 분류된다. 도 6A 의 경우, 가로 봉인부(F2)에 봉인 불량이 생겨 거기에서 내용물이 샐 우려가 있다. 또, 상하의 포장대의 가로 봉인부(F2)의 각각이 봉인 불량이 되기 때문에, 2 개의 포장대(91)는 모두 불량품이 된다.
한편, 도 6B 의 경우, 세로 봉인부(F1)에 봉인 불량이 생겨 거기에서 내용물이 샐 우려가 있지만, 불량품이 되는 포장대는 1 개로 그친다. 무엇보다, 포장대(92)에 대해서 내용물을 충전하지 않게 하면, 세로 봉인부(F1)가 봉인 불량이더라도 내용물의 누락의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그렇지만, 도시하듯이 포장대(92)아래에 포장대(91)이 매달려 있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다고 해도, 아래의 포장대(91)이 이미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의 이유에서, 포장대의 반송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즉, 아래의 포장대(91)이 이미 분리되어 있어 빈 포장대(92)가 통 모양 필름의 맨 밑에 매달려 있는 경우, 포장대(92)가 빈 것부터 내용물의 자중(自重)에 의한 견인력이 통 모양 필름에 부여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빈 포장대(92)가 예를 들면 히터 바(61)(도 4 참조)등에 접촉할 우려도 있어, 반송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상을 정리하면, 본 실시 형태의 포장대의 제조에 대해서는, 제 1 에는, 필름 끼리의 접합부(5)를 가로 봉인부(F2)에 위치시키지 않는 것이, 봉인 불량의 관점 및 헛된 포장대를 삭감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고 말할 수 있다. 제 2 에는, 도 6B 와 같이 접합부(5)가 포장대의 배 부분에 위치했을 경우에도, 세로 봉인부(F1)의 부분에서 내용물이 새지 않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장치(10)는, 자세한 것은 후술 하지만, 상기 제 1 의 점에 관해서는, 필름 저장부(10B)의 롤러 보지부재(24)(도 4 참조)가 이동하는 것에 의해, 필름의 경로 길이를 변경해 이 문제의 해결을 도모하려 하는 것이다. 또 제 2 의 점에 관해서는, 세로 봉인 기구(30)의 구동 시간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것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장치(1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4 에 나타내는 필름 접합 기구(10A)로서는, 이런 종류의 포장 장치에 일반적인 것을 이용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필름 접합 기구(10A)에 는, 원반 롤(Ra, Rb)이 각각 착탈 자재로 장착되는 2 개의 롤 보지부재(76, 77)와 필름(1A)의 끝 부분과 거기에 계속 되는 필름(1B)의 첫 부분을 접합하는 접합 실러(71)와 원반 롤에서 필름을 꺼내기 위한 필름 풀어내기용 롤러(85)가 갖춰져 있다. 또, 원반 롤의 엔드 마크 A(도 1 참조)를 검출하는 센서(83)나, 필름을 절단 하는 커 터(81)도 갖춰져 있다.
필름 접합 기구(10A)의 동작의 일례에 대해서, 도 4 상태를 초기 상태로서 설명한다. 도 4 상태에서는, 한편의 필름(1A)이 포장기구(10C)측에 계속 내보내지고 있고, 한편의 필름(1B)은, 그 첨단측이 접합 실러(71)부근에 보지고정된 대기 상태가 되고 있다. 이 단계에서는, 양 필름(1A, 1B)은 아직 접합되어 있지 않다.
통상의 동작시(필름의 나머지가 충분히 있을 때)에는, 접합 실러(71)은 퇴피 위치가 되어 있어, 필름 풀어내기용 롤러(85)가 구동되는 것에 의해 원반 롤(Ra)에서 필름(1A)가 연속적으로 계속 내보내진다. 그 후, 필름(1A)가 더욱 소비되어 센서(83)에 의해, 필름(1A)의 엔드 마크(A)가 검출되면, 접합 실러(71)를 전진시켜, 필름(1A)와 필름(1B)를 열 봉인 한다. 이것에 의해 2 매의 필름이 접합된다. 그 후, 커터(81)을 구동해 여분의 필름을 절단 한다. 이 이후의 공정에서는, 원반 롤(Rb)측의 필름(1B)가 사용되게 된다. 덧붙여 필름끼리를 접합한 접합부는, 도 3 에 나타낸 것처럼 2 매 겹침 상태가 되고 있다.
다음에, 포장기구(10C)는, 필름을 통 모양에 접어 넣은 접어넣기가이드(14)와 접어넣기가이드(14)에 의해서 접어 넣어진 필름의 측연부끼리를 세로 봉인 하는 것으로 세로 봉인부(F1)를 형성해 통 모양 필름(1’)으로 하는 세로 봉인 기구(30)와 세로 봉인 기구(30)보다 필름 반송 방향 하류(下流)측에 배치된, 한 벌의 반송 롤러(41), 한 벌의 스퀴징 롤러(45), 및 가로 봉인 기구(60)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이 포장기구(10B)는, 본 출원인에 의해 먼저 출원된 특개2004-276930호 공보에 개시된 종형 충전 포장기와 같이 구성되어 세로 봉인 기구(30)및 가로 봉인 기구(60)가 모두 박스모션으로 불리는 열 봉인 동작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반송을 정지하는 일 없이 필름을 연속적으로 보내면서 포장대를 제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세로 봉인 기구(30)는, 히터 등의 가열 수단이 내장된 히터 바(31)를 가지고 있다. 이 히터 바(31)는, 필름에 대해서 진퇴 이동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도시 상하 방향(필름 반송 방향)에도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통 모양 필름(1’)은, 세로 봉인 기구(30)을 통과할 때까지는, 단면이 거의 원형이 되는 것 같은 상태, 바꾸어 말하면, 내부에 공간을 갖게 한 상태로 반송되게 되어 있다. 통 모양 필름(1’)은, 그 후, 세로 봉인 기구(30)와 반송 롤러(41)와의 사이의 배치된 가이드판(부도시)에 의해 편평(偏平)하게 눌러 찌부러뜨린 상태로 바꿀 수 있다.
반송 롤러(41)은, 이와 같이 해서 눌러진 통 모양 필름 (1’)의 폭방향 양단을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반송 롤러(41)은, 포장기구(10B)에 있어서의 필름 반송 수단이며, 회전하는 것으로 통 모양 필름(1’)을 하부에 반송한다.
한 벌의 스퀴징 롤러(45)는, 투입 노즐(15)에서 통 모양 필름내에 투입된 충전물을 분할하듯이 해서 통 모양 필름을 끼운다. 그리고, 이 상태로 회전하는 것으로써, 통 모양 필름에 충전물이 존재하지 않는 공충전부를 형성하면서, 통 모양 필름을 하부에 반송하는 것이다.
가로 봉인 기구(60)는, 히터 등의 가열 수단이 내장된 히터 바(61)와 그 히터 바(61)에 대향 배치된 히터 바 받이(62)를 가지고 있어 이것들 한 벌의 부재로 통 모양 필름(1’)을 끼워 넣어, 필름을 가열하는 것으로, 필름에 가로 봉인부(F2)(도 5 참조)를 형성한다. 이 히터 바(61)및, 히터 바 받이(62)도, 세로 봉인 기구(30)같이, 박스모션을 실시하게 되어 있다. 즉, 히터 바(61)및, 히터 바 받이(62)는, 통 모양 필름(1’)을 사이에 둔 채로, 필름의 반송에 맞추어 하부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덧붙여, 도시하지 않으나, 히터 바(61)에는, 가로 봉인부(F2)를 절단 하는 것에 의해서 통 모양 필름(1’)에서 포장대를 분리하는 커터가 내장되고 있다. 또, 이것에 따라, 히터 바 받이(62)에는, 밀어내어진 커터와 히터 바 받이(62)가 간섭하지 않게 홈 틈이 형성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포장기구(10C)에 의한 포장 동작에 대해서, 도 7 을 참조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7A 에서는, 통 모양 필름(1’)의 하단부에, 앞의 포장 동작으로 형성된 가로 봉인부(F2)가 형성되고 있어 이것에 의해 통 모양 필름(1’)이 유저상이 되고 있다. 통 모양 필름(1’)안에는 내용물이 투입되고 있어 그 액면은 스퀴징 롤러(45)를 넘는 정도의 높이가 되고 있다.
그 다음에, 도 7B 에 나타내듯이, 한 벌의 스퀴징 롤러(45)로, 통 모양 필름(1’)의, 내용물이 존재하고 있는 부위를 끼운다.이것에 의해, 내부의 내용물이 상하에 분할된다.
그 다음에, 도 7C 에 나타내듯이, 스퀴징 롤러(45)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통 모양 필름(1’)은, 내용물이 존재하지 않는 공충전부(2)가 형성되면서 하부에 보내진다. 그리고, 공충전부(2)가 가로 봉인 기구(60)에 의해서 끼워지는 위치까지 보내진 후, 가로 봉인 기구(60)으로 이 공충전부(2)를 끼운다.
그 후, 도 7D 에 나타내듯이, 히터 바(61) 및 히터 바 받이(62)로, 공충전부(2)를 끼운 상태인 채 스퀴징 롤러(45)의 회전을 계속 함과 동시에, 필름의 반송에 맞추어 가로 봉인 기구(60)을 하부에 이동시킨다. 통 모양 필름(1’)은, 히터 바(61) 및, 히터 바 받이(62)로 끼워져 있는 사이에, 가열되어, 이것에 의해 가로 봉인부(F2)가 형성된다. 그리고, 히터 바(61)및, 히터 바 받이(62)가 최 하단부까지 이동한 후, 히터 바(61) 에 내장된 커터를 돌출시켜 포장대를 분리한다.
그 다음에, 도 7E 에 나타내듯이, 히터 바(61)과 히터 바 받이(62)에 의한 협지, 및, 한 벌의 스퀴징 롤러(45)에 의한 협지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내용물이 충전된 1 개의 포장대(91), (92)가 얻어짐과 동시에, 통 모양 필름 (1’)안에 있어서는, 스퀴징 롤러(45)위에 축적되어 있던 내용물이 하부에 낙하하고, 내용물이 투입되게 된다.
그 후, 히터 바(61) 및 히터 바 받이(62)를 원래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으로, 도 7A 의 초기 상태로 돌아온다.
포장기구(10C)에서는, 상기와 같은 일련의 포장 동작을 반복하는 것으로 포장대가 연속적으로 제조되게되어 있다. 덧붙여 포장기구(10C)에 대해서는, 사이즈가 다른 포장대의 제조에 대응하기 위해서, 가로 봉인 기구(60)의 상하 움직임의 스트로크가 가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부도시의 제어장치를 이용해 실시 가능하다. 즉, 제어장치에는, 포장을 예정하고 있는 포장대의 사이즈(길이 치수)에 따른 몇 개의 동작 패턴이 미리 기록되고 있어 컨트롤 패널 등에서 입력된 포장대의 사이즈에 따라, 제어장치가, 그 동작 패턴 중 1 개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다음에, 필름 저장부(10B)에 대해 도 8 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8 에 나타내듯이, 필름 저장부(10B)는, 고정측의 롤러(22)와 가동측의 어큐뮬레이팅 롤러(21)로부터 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를 가지고 있어 필름 공급 기구(10A)에서 계속 내보내진 필름이 수평 방향으로 끌어 돌려지고 있다. 덧붙여 필름의 끌어 돌리기는 연직 방향이어도 좋지만, 수평 방향의 끌어 돌리기의 경우, 필름을 가이드 롤러에 세트 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장치(10)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포장기구(10C)가 박스모션의 제대를 실시하는 것이고, 이 경우, 필름은, 간헐적이지 않고 연속적으로 끌어 들여지게 된다. 한편, 필름 공급 기구(10A)가 필름끼리를 접합할 때에는, 접합 실러(71)로 2 매의 필름(1A, 1B)를 협지해 열 봉인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열 봉인 동안은, 필름의 투입이 정지되게 된다. 즉, 포장기구(10C)가 끊임없이 필름을 소비하는데 대하여, 필름 공급 기구 (10A)에서의 필름의 공급은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상황이 생긴다.
필름 저장부(10B)의 기본적인 기능은, 이러한 상황이라도, 포장기구(10C)가 포장 동작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각 어큐 뮬레이팅 롤러(21)는, 도 8 의 실선으로 나타내 보이는 위치를 초기 위치로해서 점선으로 나타내 보이는 위치까지, 롤러(22)측 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어큐뮬레이팅 롤러(21)을 일괄 보지하는 롤러 보지부재(24)(도 4 참조)가, 도시 횡 방향에 등속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어큐뮬레이팅 롤러(21)가 등속 이동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필름 저장부(10B)의 동작에 대해서, 도 9 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9A 는, 필름 공급 기구(10A)가 필름끼리의 접합을 개시한 직후로, 포장기구(10C)가 포장 동작을 계속하고 있을 때의 필름 저장부(10B)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어큐뮬레이팅 롤러(21)는 초기 위치(X0)에 위치하고 있다. 덧붙여 이 상태에서는, 필름 풀어내기용 롤러(85)(도 8 참조)의 동작은 정지되어 있다.
그 다음에, 도 9B 에 나타내듯이, 포장기구(10C)의 포장 동작에 의해 필름이 포장기구 측에 끌어 들여지는데 맞추어, 어큐뮬레이팅 롤러(21)가 롤러(22)측 방향으로 등속 이동해, 최종적으로는, 도 9C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와 같이 어큐뮬레이팅 롤러(21)가 이동하는 것으로써, 필름 저장부(10B)에 보지되는 필름의 양이 적게 되어, 적게 된 만큼의 필름이 포장기구(10C)에 공급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필름 공급 기구(10A)가 필름끼리를 접합하고 있는 사이에 대해서도 포장기구(10C)에 대해서 필름이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필름 공급 기구(10A)가 필름끼리를 접합하고 있는 중이라도, 포장기구(10C)가 포장 동작을 계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어큐뮬레이팅 롤러(21)가 도 9C 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이동해, 필름 공급 기구(10A)에 의한 접합이 종료하면, 필름 풀어내기용 롤러(85)가 다시 구동된다. 또, 필름 저장부(10B)는, 상기와는 반대의 동작을 실시해서, 어큐뮬레이팅 롤러(21)를 초기 위치(X0)까지 등속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필름 저장부(10B)에는 다시 소정량의 필름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 동작에 대하여, 필름의 인출 속도는, 포장기구(10C)에 의한 필름의 반송 속도와 필름의 저장부(10B)에 저장할 수 있는 필름의 단위시간 당의 증가분과의 합계가 된다. 따라서, 필름 풀어내기용 롤러(85)는, 이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구동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 필름끼리의 접합부(5)를 가로 봉인 기구(60)에 위치시키지 않는 방법에 대해서, 도 10, 도 11 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10 은, 제조하는 포장대의 사이즈가다른 경우의, 접합부(5)와 가로 봉인 위치와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A 는 길이 치수(p1)(예를 들면 300mm)의 포장대를, 도 10B 는 길이 치수(p2)(예를 들면 400mm)의 포장대를, 도 10C 는 길이 치수(p3)(예를 들면 500mm)의 포장대를 제조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접합 위치"란, 필름끼리가 필름 공급 기구(10A)에 의해 접합되는 위치이며, "가로 봉인 위치"란, 가로 봉인 기구(60)에 의해 필름이 가로 봉인 되는 위치, 구체적으로는, 히터 바(61)및, 히터 바 받이(62)가 필름을 끼우는 위치이다.
우선, 도 10A 에 나타내듯이, 제조하는 포장대의 길이 치수가(p1)의 경우, 가로 봉인 동작을 s1, s2 ···, s5, s6 으로 실행해 간다 해도, 가로 봉인 기구(60)가 접합부(5)를 가로 봉인할 일은 없다. 도 10C 에 나타내는, 포장대의 길이 치수가(p3)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도 10B 에 나타내듯이, 포장대가 길이 치수(p2)의 경우, 가로 봉인 동작을 s1, s2 ··· 로 실행해 가면 s4 때에(4 번째의 가로 봉인 동작 때에), 접합부(5)가 가로 봉인 위치에 와 버려, 가로 봉인 기구가 접합부(5)를 가로 봉인 하게 된다. 이것은, "가로 봉인 위치"와 "접합 위치"간의 거리(Lx)(필름의 길이)가 제조하는 포장대가 길이 치수(p2)의 정수배가 되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
거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로 봉인 위치와 접합 위치와의 사이의 거 리(Lx)를, 제조하는 포장대의 길이 치수에 따라 변경하는 것으로, 접합부(5)가 가로 봉인 위치에 오지 않게 하고 있다. 즉, 도 11B 에 나타내는 형태의 경우, s4 때에 접합부(5)가 가로 봉인 위치에 와 버리는 것이기 때문에,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거리(Lx)를, 도 11B 에 나타내듯이 거리(Lx’)로 늘리면 좋다. 혹은, 거리(Lx)를 짧게 하는 것에 의해도 같은 작용은 얻을 수 있다.
이상을 식에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이 된다.
(변경 후의 거리) Lx’= p × n + c
여기서, p:포장대의 길이 치수, n:정수(포장대의 개수에 대응), c:소정의 길이(p 보다 작다)이다.
이와 같이 거리(Lx)를, 포장대의 길이 치수의 정수 배가 되지 않는 길이(Lx’)로 하는 것으로, 접합부(5)가 가로 봉인 위치에 오지 않게 된다.
거리(Lx)를 변경하기 위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8 에 나타내듯이, 어큐뮬레이팅 롤러(21)의 초기 위치가, 제조하는 포장대의 사이즈에 따라 거리(X)만 변경되게 되어 있다. 어큐뮬레이팅 롤러(21)의 초기 위치가 바뀌면, 당연히 필름 저장부(10B)에 보지되는 필름의 길이도 바뀌어, 결과적으로 거리(Lx)도 변경되게 된다.
어큐뮬레이팅 롤러(21)의 이 초기 위치의 변경 동작은, 예를 들면, 제조하는 포장대의 사이즈가입력된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행해지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포장대의 사이즈에 따라 설정된 어큐뮬레이팅 롤러(21)의 초기 위치를 제어장치에 미리 기억 하게 해, 포장대의 사이즈가 입력되었을 때에, 제어장치가, 어큐뮬레이팅 롤러(21)을 설정된 소정의 초기 위치에 이동시키게 되어 있으면 좋다.
덧붙여 이 "소정의 초기 위치"는, 도 11 에 나타내듯이, 접합부(5)가 포장대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필름의 반송에 다소의 엇갈림이 생겼다고 해도 접합부(5)가 가로 봉인부에 위치할 가능성이 저감 한다. 이러한 고려는, 도 10A, B 의 포장대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도 10A, B 의 형태에서는 접합부(5)가 가로 봉인부에 위치하지 않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대로도 문제는 없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접합부(5)가 포장대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어큐뮬레이팅 롤러(21)의 초기 위치를 변경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접합부(5)가 가로 봉인부에 위치하는 가능성이 저감 하기 때문이다. 덧붙여 접합부(5)를 포장대의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한 조건으로서는, 상기식에 대해 c = p/2 로 해, 도 11 의 거리(Lx)에 대해서, 포장대의 길이 치수 p 의 반의 길이를 더하도록 하면 좋다.
다음에, 접합부(5)가 포장대의 중앙에 위치했을 경우에 대하여, 세로 봉인부의 부분으로부터 내용물이 새지 않게 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장치(10)에서는, 세로 봉인 기구(30)이 접합부(5)를 포함한 영역에 대해서 세로 봉인을 실시할 때에, 그 세로 봉인 동작을, 통상의 세로 봉인 동작 (예를 들면 1 초)보다 장시간 (예를 들면 4 초)에 걸쳐서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필름이 4 매 겹침이 된, 접합부(5)에 대응하는 세로 봉인부(F1)에 대해서도 열이 충분히 부여되기 때문에, 필름끼리가 양호하게 열 봉인 된다. 그 결과, 세로 봉인부(F1)에서의 내용물의 누락도 방지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장치(10)에서는, 접합부(5)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등이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이 세로 봉인 동작을 어느 타이밍에 실시할 지가 중요해지지만, 예를 들면, 필름끼리의 접합이 종료한 시점에서 카운트 해서, 미리 설정된 소정 회수째의 타이밍에 실시하도록 하면 된다.
즉, 접합 위치에서 세로 봉인 되는 위치까지의 거리는 미리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이것에 기반해, 몇 회째의 세로 봉인 동작으로, 접합부(5)가 세로 봉인 되게 될지는 산출 가능하다. 따라서, 산출된 소정 회수째의 타이밍으로, 상기 세로 봉인 동작을 실시하도록 하면 된다. 이 경우, 접합부(5)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이용할 필요는 없다.
덧붙여 세로 봉인 동작을 통상보다 장시간에 걸쳐서 실시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박스모션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늦게 하고, 히터 바(31)가 필름에 접하는 시간을 길게 하도록 하면 된다. 혹은, 필름의 반송을 일단 정지해 이 세로 봉인 동작을 행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장치에 의하면, 제조하는 포장대의 사이즈에 따라서, 가로 봉인 위치와 접합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Lx)가 소정의 거리(Lx’)로 변경되기 때문에, 가로 봉인 기구가 접합부(5)를 가로 봉인 하는 것이 없어진다. 따라서, 가로 봉인부의 봉인 불량에 의한 내용물의 새는 문제가 생길 것도 없기 때문에, 생산 효율의 저하도 초래하지 않는다.
이런 종류의 포장 장치에서는, 동작을 일단 정지한 후, 다시 동작을 개시하는 경우, 예를 들면 각 봉인 기구의 실 바를 재 가열하거나 혹은 투입 노즐(15)의 구동원인 펌프를 재시동 시키거나 할 필요가 있다. 봉인 기구도, 펌프 등도, 회복시의 동작은 비교적 불안정하고, 안정화 할 때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시간적인 낭비를 없애기 위해서도,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장치와 같이, 동작을 정지하는 일 없이 연속적으로 포장 동작을 계속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접합부(5)가 가로 봉인부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불량품으로서 제조되는 포장대는 1 개로 끝나기 때문에, 포장대의 낭비를 삭감하는 관점에서도 유리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장치(10)에서는, 거리(Lx)를 미리 변경하는 것 만으로 접합부(5)가 가로 봉인부에 위치하지 않게 되어, 광학 센서 등으로 접합부를 검출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투명의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라도, 상태가 좋지 않음을 일으키는 일 없이 상기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필름이 투명한 경우, 접합부(5)도 투명이 되어 광학 센서등에 의한 접합부의 검출이 곤란해지지만,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그러한 문제를 고려할 필요는 없다. 덧붙여 이것은, 본 발명에 대해 접합부(5)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이용할 수 없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장치(10)에서는, 접합부(5)를 포함한 영역에 대한 세로 봉인이 통상보다 장시간에 걸쳐서 행해지기 때문에, 필름끼리의 접합부(5)가 포장대의 중앙에 위치했을 경우라도, 세로 봉인부(F1)가 양호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내용물의 새는 일도 생기는 일이 없고, 생산 효율의 저하도 초래하지 않는다.
덧붙여 포장대의 세로 봉인부(F1)의 형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른바 "합장(合掌) 붙이기"또는 "봉투 붙이기"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무엇보다, 포장대는 필로우 타입에 한정하지 않고, 세 방면 봉인 타입 또는 네 방면 봉인 타입 등이어도 좋다.
또, 어큐뮬레이팅 롤러(21)의 초기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대하여 도 8 등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이 경우의 이동량(X)를 실제 설정함에 대하여 다음의 요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접어넣기가이드(14)를 교환한 것에 의한 경로길이의 변화분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접어넣기가이드(14)는, 통상, 제조하는 포장대의 사이즈에 따라 교환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접어넣기가이드(14)의 교환에 따르는 변화분을 보상하도록 이동량(X)를 설정하면 좋다.
덧붙여 포장 장치(10)은, 상기 구성요소 외에도, 예를 들면, 필름에 소정의 견인력을 부여해 필름의 느슨해짐을 방지하는 기구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도 12 의 단차 롤러(16)는, 그 일례이며, 일단측이 회동자재로 지지된 봉상(棒狀)부재(18)와 그 첨단에 지지된 가이드 롤러(18a)를 갖추고 있다. 봉상(棒狀)부재(18)는, 통상시, 예를 들면 그 자중에 의해, 도시 실선에서 나타내 보이는 자세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가이드 롤러(18a)를 끼워 필름에 소정의 견인력을 부여하고 있다. 그리고, 포장기구(10C)에 의한 필름의 끌어들이는 속도가 증가했을 경우에, 봉상(棒狀)부재(18)가, 자중에 저항하면서 위로 들어 올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봉상(棒狀)부재(18)의 회동변위(回動變位)는, 로터리 엔코더(17)에 의해 검출되게 되어 있어 로터리 엔코더(17)가 봉상(棒狀)부재(18)의 변위를 검출했을 때(즉, 포장기구(10C)의 끌어들이는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를 때)에, 필름 공급 기 구(1)의 필름 풀어내기용 롤러(85)의 속도가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차 롤러(16)를 이용하는 것으로, 가령, 필름 공급 기구(10A)에서의 필름 공급 속도와 포장기구(10C)에 의한 필름 끌어들이는 속도와의 사이에 차이가 생겼다고 해도, 필름에 무리한 힘이 걸리거나 반대로, 필름이 느슨해지는 것이 방지된다고 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그렇지만, 가이드 롤러(18a)가 이와 같이 자유롭게 이동한다고 하는 것은, 필름의 경로 길이가 불확정으로 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단차 롤러(16)를 설치했을 경우에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어큐뮬레이팅 롤러(21)의 초기 위치를 변경했다고 해도, 상술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없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것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동작을 행하도록 하면 된다.
즉, 여기서의 문제는, 일정해야 할 거리(Lx)가 변동해 버리는 것에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필름끼리의 접합이 종료할 때 까지는, 봉상(棒狀)부재(18)가 일정한 위치(예를 들면 도 12 의 실선에서 나타내 보이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접합이 종료한 시점에의, 거리(Lx)는 미리 설정된 일정한 것이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에 지장을 초래할 일은 없다.
덧붙여 필름끼리의 접합이 종료하기까지의 동안, 봉상(棒狀)부재(18)을 일정 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봉상(棒狀)부재(18)에 소정의 구동원을 마련해 이 시간 동안은 봉상(棒狀)부재(18)이 이동하지 않도록 한 구성으로서도 좋다. 혹은, 보다 간단하게, 필름끼리를 접합하고 있는 동안의 필름 포장기구(10C)의 필름 반송 속도를 떨어뜨리고, 봉상(棒狀)부재(18)를 들어 올릴 수 없게 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포장대의 사이즈에 따라 어큐뮬레이팅 롤러(21)의 초기 위치를 바꾸어 거리(Lx)를 변경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단차 롤러(16)의 초기 위치를, 포장대의 사이즈에 따라 적당히 변경하는 것으로, 거리(Lx)가 바뀌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및 그 이외의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상기와 같은 기재 및 본 발명의 일례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의 참조에 의해서 명백해진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포장 장치에 의하면, 필름끼리의 접합부가 가로 봉인 위치에 오지 않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 봉인부에 있어서의 봉인 불량의 발생이 방지되어 포장 동작의 도중에 가로 봉인부에서 내용물이 새는 일도 없어진다. 따라서, 포장 동작을 정지하지 않고 연속 포장이 가능해져, 생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8)

  1. 한쪽의 원반(原反) 롤에서 끌어내어진 제 1 의 필름의 끝 부분과, 다른 쪽의 원반 롤에서 끌어내어진 제 2 의 필름의 첫 부분을 접합해, 접합된 상기 제 1 및 제 2 필름을 긴 필름으로서 공급하는필름 공급 수단과,
    상기 긴 필름을 통 모양으로 형성 함과 동시에 세로 봉인 기구로 세로 봉인 하는 것으로 통 모양 필름으로 하여, 가로 봉인 기구로 가로 봉인 하는 것으로 유저상(有底狀)이 된 상기 통 모양 필름 내에 내용물을 투입해, 그 후, 상기 가로 봉인 기구로, 상기 통 모양 필름을 재차 가로 봉인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내용물이 충전된 포장대를 제조하는포장 수단을 가지는 포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필름과 상기 제 2 의 필름이 접합되는 위치에서 상기 가로 봉인 되는 위치까지의 상기 긴 필름의 거리를, 제조하는 상기 포장대의 길이 치수에 따라, 상기 길이 치수의 정수배가 되지 않는 길이로 변경하는 거리 조정 수단을 또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조정 수단은, 상기 필름 공급 수단과 상기 포장 수단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가이드 롤러로 상기 긴 필름을 사행상(巳行狀)에 안내 보지하는 필름 저장부로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롤러 중 몇 개가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필름 저장부에 보지되는 상기 긴 필름의 길이가 바뀌게 되어 있는 포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롤러는, 몇개의 고정측 가이드 롤러와, 그 고정측 가이드 롤러에 대해서 진퇴 이동 자재로 구성된 몇개의 가동측 가이드 롤러로부터 되는 것으로,
    상기 몇개의 가동측 가이드 롤러는, 제조하는 상기 포장대의 길이 치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이동하는 포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긴 필름은, 상기 고정측 가이드 롤러와 상기 가동측 가이드 롤러와의 사이에 수평으로 끌어 돌려지고 있는 포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봉인 기구는, 상기 긴 필름의 필름끼리의 접합부를 포함한 영역에 대해, 통상의 세로 봉인 시간보다도 장시간에 걸쳐서 세로 봉인을 실시하는 포장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를 포함한 영역에 대한 상기 세로 봉인은, 상기 필름 공급 수단이 상기 제 1 의 필름과 상기 제 2 의 필름을 접합한 후, 미리 설정된 소정 회수째의 타이밍에 행해지는 포장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수단은, 상기 세로 봉인 기구와 상기 가로 봉인 기구가 박스모션을 실시해, 상기 통 모양 필름을 반송하면서 상기 포장대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포장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가이드 롤러는, 상기 필름 공급 수단이 상기 제 1 의 필름과 상기 제 2의 필름을 접합하고 있는 사이, 일정 속도로 상기 고정측 가이드 롤러 측에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포장 장치.
KR1020087011828A 2005-10-19 2005-10-19 포장 장치 KR101073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19193 WO2007046137A1 (ja) 2005-10-19 2005-10-19 包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450A KR20080059450A (ko) 2008-06-27
KR101073811B1 true KR101073811B1 (ko) 2011-10-14

Family

ID=37962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828A KR101073811B1 (ko) 2005-10-19 2005-10-19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34361B2 (ko)
EP (1) EP1950138B1 (ko)
JP (1) JP4612686B2 (ko)
KR (1) KR101073811B1 (ko)
CN (1) CN101296846B (ko)
AU (1) AU2005337595B2 (ko)
CA (1) CA2626671C (ko)
WO (1) WO20070461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0787B2 (ja) * 2009-02-20 2011-01-26 株式会社鈴木製作所 三方シールフイルム包装機
CA2761172C (en) 2009-06-09 2014-08-05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Article selection and placement assembly and method
KR200460455Y1 (ko) * 2009-08-05 2012-05-25 (주)아모레퍼시픽 필름공급장치
JP5712379B2 (ja) * 2010-07-29 2015-05-07 ゼネラルパッカー株式会社 製袋包装機および製袋包装機における不良袋低減方法
CN102673830A (zh) * 2011-03-09 2012-09-19 上海松川远亿机械设备有限公司 旋转给袋机卷膜制袋给袋装置
JP5851132B2 (ja) * 2011-06-30 2016-02-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包装装置
JP2013014335A (ja) * 2011-06-30 2013-01-24 Panasonic Healthcare Co Ltd 薬剤包装装置
CN102514961A (zh) * 2011-12-30 2012-06-27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一次性吸收物品生产设备的连续供给的图案材料的模糊定位系统
JP6667198B2 (ja) * 2015-01-07 2020-03-18 株式会社川島製作所 製袋包装機における帯状包装材供給装置
WO2016139056A1 (en) * 2015-03-03 2016-09-09 Pfm Iberica Packaging Machinery S.A. Device for continuous compensation of stretching of film during drawing applicable on packaging machines
CN104691837B (zh) * 2015-03-11 2017-01-04 叶葵 一种食品包装装置及其使用方法
CN104803039A (zh) * 2015-03-11 2015-07-29 楼天涯 一种具有防震功能的食品包装装置及其使用方法
CN104691835B (zh) * 2015-03-11 2016-08-24 中山市聚达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散热功能的食品包装装置及其使用方法
CN104691838B (zh) * 2015-03-11 2016-09-28 俞友良 一种具有限位功能的食品包装装置及其使用方法
CN104787387B (zh) * 2015-03-11 2018-04-27 佛山市天正机械有限公司 一种使用气动装置的食品包装装置及其使用方法
CN104691839B (zh) * 2015-03-11 2016-08-24 徐州黎明食品有限公司 一种具有散热和限位功能的食品包装装置及其使用方法
CN104803044A (zh) * 2015-04-22 2015-07-29 句容市鼎盛纸箱包装有限公司 一种多功能包装机
EP3305672B1 (en) * 2015-05-26 2022-05-04 Ishida Co., Ltd. Production line configuration device
ITUA20162434A1 (it) * 2016-04-08 2017-10-08 Sica Spa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e accumulo di film in materiale plastico.
CN105947754B (zh) * 2016-05-30 2017-10-31 重庆弘汩机械制造有限公司 铝塑包装材料的传输导向装置
JP2018203364A (ja) * 2017-06-08 2018-12-27 オリヒロ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縦型製袋充填包装機、内容物入りフィルム包装袋の製造方法
CN110550270A (zh) * 2019-09-23 2019-12-10 宁波共孚自动化装备有限公司 一种滚子包装机
EP4157730A4 (en) 2020-05-29 2024-05-22 Graphic Packaging Int Llc METHOD AND SYSTEM FOR CHANGING ARTICLE PITCH
KR102189858B1 (ko) * 2020-06-18 2020-12-11 주식회사 카신 자동 포장 장치
KR102189859B1 (ko) * 2020-06-18 2020-12-14 강학철 자동 포장 방법
CN112455808A (zh) * 2020-11-26 2021-03-09 江西钟山药业有限责任公司 一种全自动颗粒包装机
IT202100011351A1 (it) * 2021-05-04 2022-11-04 A G & Figli S R L Sistema di traino di nastro di confezionamento per una macchina automatica dotata di assieme formatore
WO2024079153A1 (de) * 2022-10-11 2024-04-18 Windmöller & Hölscher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aterialschlauches
WO2024079169A1 (de) * 2022-10-11 2024-04-18 Windmöller & Hölscher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aterialschlauch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1870A (ja) 2002-04-26 2004-01-08 Nippon Seiki Co Ltd 包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3286A (en) * 1967-06-05 1969-10-21 Woodman Co Packaging with code dating
US3995791A (en) * 1975-07-09 1976-12-07 Package Machinery Company Continuous web supply system
US4106261A (en) * 1977-08-08 1978-08-15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of forming, filling, and sealing scrim reinforced plastic bags
NL8101588A (nl) * 1981-03-31 1982-10-18 Tevopharm Schiedam B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aan elkaar hechten van verpakkingsmateriaal-banen.
US4479283A (en) * 1982-01-18 1984-10-30 H-Worth,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tuffing foodstuff into a casing
US4501109A (en) * 1982-05-03 1985-02-26 Rexham Corporation Packaging machine with improved web feeding system
JPS5931244A (ja) * 1982-08-09 1984-02-20 Dainippon Printing Co Ltd 給紙装置の紙継ぎ方法
DD239191A1 (de) * 1985-07-12 1986-09-17 Polygraph Leipzig Vorrichtung zum zufuehren von materialbahnen
JPS63162434A (ja) * 1986-12-25 1988-07-06 株式会社 東京自働機械製作所 包装材繰出し装置における包装材の交換装置
DE3727339A1 (de) * 1987-08-17 1989-03-02 Hans Beck Vorrichtung zum wechseln von auf eine vorratsrolle aufgewickelten folienbahnen
JPH072547B2 (ja) * 1988-04-07 1995-01-18 株式会社川島製作所 包装機または印刷機の原反ロール交換装置
US4995936A (en) * 1989-07-27 1991-02-26 Robert Cohn Continuous web splicing machine
US5388387A (en) * 1993-03-12 1995-02-14 Kliklok Corporation Packaging film feeding and splicing apparatus and method
JP3222733B2 (ja) 1995-08-22 2001-10-29 株式会社フジキカイ 包装機における包装用フイルムの自動接続装置
JP3762490B2 (ja) * 1996-09-14 2006-04-05 株式会社イシダ 製袋包装機
JP3750759B2 (ja) * 1996-09-26 2006-03-01 株式会社イシダ 製袋包装機
IT1285990B1 (it) * 1996-11-22 1998-06-26 Bieffe Medital Spa Sistema per la formatura e il riempimento di sacche flessibili
GB9626696D0 (en) * 1996-12-23 1997-02-12 Ishida Seisakusho Method of printing film at form-fill-seal packaging machine form-fill-seal packaging machine using the method
JP3808588B2 (ja) * 1997-05-30 2006-08-16 四国化工機株式会社 包装容器製造装置と包装容器製造方法
JP3808589B2 (ja) * 1997-05-30 2006-08-16 四国化工機株式会社 包装容器製造装置と包装容器製造方法
JP2940537B1 (ja) 1998-02-25 1999-08-25 日本精機株式会社 包装装置
DE29808817U1 (de) * 1998-05-15 1999-09-23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wiederverschließbaren Schlauchbeutelpackungen
JP4232922B2 (ja) * 1998-10-30 2009-03-04 日本テトラパック株式会社 ヒートシール装置及び充填機
US6041575A (en) * 1998-11-03 2000-03-28 Exact Packag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rticle to interior surface of flexible package
JP3856597B2 (ja) * 1998-12-16 2006-12-13 株式会社東京自働機械製作所 縦形製袋充填包装機の縦シール制御装置
CA2271973C (en) * 1999-05-14 2006-06-20 Glopak Inc. High-speed pouch forming, sealing and filling machine, method of operation, and multi-layer film therefore
US6212860B1 (en) * 1999-07-20 2001-04-10 Hauni Richmond, Inc. Apparatus for wrapping drinking straws
CA2460846C (en) * 2001-12-25 2007-06-05 Plast Corporation Stand-up packaging pouch, package body and feed roll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US6923880B2 (en) * 2002-11-19 2005-08-02 Keene Technology Inc., Film splicer apparatus and method for splicing a film used for bagging snack foods
JP4350384B2 (ja) * 2003-01-09 2009-10-21 藤森工業株式会社 製袋充填装置
JP3831351B2 (ja) 2003-03-13 2006-10-11 オリヒロ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包装袋の製造方法および縦型充填包装機
US20050061846A1 (en) * 2003-08-14 2005-03-24 Martin Automatic, Inc. Magnetic roller
DE102004032183B4 (de) * 2004-07-02 2007-04-12 Poly-Clip System Gmbh & Co Kg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Folienschlauch aus einem Folienband
DE102004036795B4 (de) * 2004-07-29 2010-03-25 Siemens Ag Verpackungsmaschine für Schlauchbeut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1870A (ja) 2002-04-26 2004-01-08 Nippon Seiki Co Ltd 包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12686B2 (ja) 2011-01-12
CN101296846B (zh) 2012-01-11
AU2005337595B2 (en) 2010-07-22
WO2007046137A1 (ja) 2007-04-26
JPWO2007046137A1 (ja) 2009-04-23
CN101296846A (zh) 2008-10-29
US7934361B2 (en) 2011-05-03
CA2626671A1 (en) 2007-04-26
EP1950138B1 (en) 2011-09-21
CA2626671C (en) 2013-07-09
AU2005337595A1 (en) 2007-04-26
EP1950138A4 (en) 2010-03-10
KR20080059450A (ko) 2008-06-27
US20090277140A1 (en) 2009-11-12
EP1950138A1 (en)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811B1 (ko) 포장 장치
JP4612685B2 (ja) フィルム供給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包装装置
KR100421070B1 (ko) 포장대의 제조방법 및 종형제대충전기
ITMI20070871A1 (it) Apparecchiatura e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in continuo di confezioni di pile di piastrelle o simili
JP2019206389A (ja) 複数列充填包装方法、複数列充填包装機および充填包装体
US9505189B2 (en) Apparatus for forming a plurality of flexible pouches from a continuous web of film
JP2011016548A (ja) 製袋包装機
JP4320248B2 (ja) 製袋包装機
JP4875877B2 (ja) ヘム付き袋製袋装置
JP4436517B2 (ja) 自立袋の製袋充填包装装置
JP6465603B2 (ja) 背貼り接合部を有する包装袋の製造方法および充填包装機
JP7134392B2 (ja) 製袋充填包装機
JP3930492B2 (ja) 縦型充填包装機および包装袋の製造方法
JP7116974B2 (ja) 包装機における紙継ぎ方法及び装置
JP2009161228A (ja) 製袋包装機
JP2021041963A (ja) 縦型充填包装機および被包装物の充填包装方法
JP6081735B2 (ja) 自動包装機の耳倒し装置
KR20040045257A (ko) 포장기계의 포장용기 자동 제조장치
JP3969783B2 (ja) 製袋充填包装機
JP2023089657A (ja) 製袋包装装置
KR101442581B1 (ko) 포장지 열접착 자동 연결장치
JP6629553B2 (ja) 包装袋の製造方法
KR20210142233A (ko) 과자 포장지용 열융착장치
JP2015193413A (ja) 横形製袋充填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ITBO20020033U1 (it) Dispositivo per la fasatura delle tacche di riferimento in un'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di sacch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