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688B1 - 내장형 가열 조리기 및 그 가열 조리기가 조립되는 주방조리대 - Google Patents

내장형 가열 조리기 및 그 가열 조리기가 조립되는 주방조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688B1
KR101058688B1 KR1020067009561A KR20067009561A KR101058688B1 KR 101058688 B1 KR101058688 B1 KR 101058688B1 KR 1020067009561 A KR1020067009561 A KR 1020067009561A KR 20067009561 A KR20067009561 A KR 20067009561A KR 101058688 B1 KR101058688 B1 KR 101058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frame
built
upper plate
heating cook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9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4547A (ko
Inventor
히로시 구와무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64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8Mounting of hot plate on work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apparatus operated by power, including water power; for incorporating apparatus for cooking, cooling, or laundry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상부 플레이트 유닛(3)을, 피가열물을 탑재하는 상부 플레이트(5)와, 이 상부 플레이트(5)를 상면에 탑재해서 유지하는 동시에, 주방 조리대(9)의 상면에 주변 가장자리부 하면이 접해서 탑재되는 하부 프레임(4)과, 상부 플레이트(5)의 외주 가장자리의 상부를 덮는 장식판(6)으로 구성하고, 장식판(6)에, 그 외주 가장자리부가 하부 프레임(4)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끼우도록 하부 프레임(4)의 하면 측으로 접어 구부려서 형성한 절곡 맞춤부(8)를 설치하였다.

Description

내장형 가열 조리기 및 그 가열 조리기가 조립되는 주방 조리대{BUILT-IN COOKING APPLIANCE AND KITCHEN COUNTER HAVING SAME}
본 발명은, 일반 가정의 주방 조리대 내에 조립되는 내장형 가열 조리기 및 이 가열 조리기가 조립되는 주방 조리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 종류의 내장형 가열 조리기는, 도 8로 대표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상부 플레이트 유닛(top plate unit)의 구성에 있어서, 상부 플레이트를 하부 프레임(under frame)과 프레임으로 끼우고, 소정의 부위를 접착 고정해서 하부 프레임의 하면(下面)을 주방 조리대의 상면(上面)에 탑재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도 가열 조리기(41)의 상부 플레이트 유닛(42)은, 상부 플레이트(43)를 하부 프레임(44)에 탑재해서 프레임(45)을 위쪽에서 씌워서 소정의 끼워 맞춤 부위를 접착제(46)로 접착 고정하고 있다. 상부 플레이트 유닛(42)은 본체(47)의 개구(開口)를 막도록 나사 체결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유도 가열 조리기(41)는, 주방 조리대(48) 내에 조립되면, 상부 플레이트 유닛(42)의 하부 프레임(44)의 하면이, 주방 조리대(48)의 상면과 접해서 유도 가열 조리기(41)의 전체 중량을 지지,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내장형 가스 풍로로 대표되는 것에서는, 상판(上板)을 직접 주방 조리 대의 상면에 탑재하여, 대략 동일면(同一面)으로 하는 구성의 것이 제공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도 9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내장형 조리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 풍로(51)는, 대략 중앙에 가스 버너(52)를 배치하고, 판 두께로 구성한 상판(53)을 주방 조리대(54)의 상면에 탑재하여, 상판(53)에 삼발이(55)를 배치해서 냄비(56)를 탑재해, 가스 버너(52)로 가열하도록 되어 있다. 가스 풍로(51)의 본체(57)는, 주방 조리대(54)의 상면에서 일단(一段) 낮은 단차(段差) 개구면(58)에 플랜지부(59)를 탑재해서 본체(57)의 중량을 지지,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평11-166739호 공보
그러나, 도 8에 나타나는 구성에서는, 상부 플레이트(43)와 하부 프레임(44)과 프레임(45)은, 서로 접착제(46)로 접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 벗겨짐에 의해서 상부 플레이트(43)가 자중(自重)에 의해 아래쪽으로 빠져, 상부 플레이트(43)와 프레임(45)과의 사이에 간극(間隙)이 생기고, 본체(47)의 내부에 조리 중의 흘러 넘침에 의한 물 등이 침입할 우려가 있다고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 유닛(42)은 상부 플레이트(43)와 하부 프레임(44)과 프레임(45)을 쌓아 중첩한 구성이므로, 상부 플레이트 유닛(42)의 상하 방향의 두께는 적어도 그것들 3개 부품의 두께의 합계로 되고, 주방 조리대(48)의 상면과 상부 플레이트 유닛(42)의 상면과의 단차(段差)는 명백하게 커지게 되어, 상부 플레이트(43)는 평활(平滑)하지만 주방 조리대(48) 상면의 디자인성을 손상할 뿐이든가, 단차 부위에 고이기 쉬운 먼지나 더러움이 눈에 띄어, 청소성이 나쁘다고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도 9에 나타나는 구성에서는, 판 두께만의 상판(53)이라면, 주방 조리대(54)의 상면과 대략 동일면인 상판(53)의 면을 구성할 수 있지만, 최근에서는 조리면의 평편성을 향상시킨 유리 탑(glass top)의 가스 풍로가 각광을 받고 있으며, 상판에 유리를 끼워 넣은 구성에 있어서는, 주방 조리대(54)의 상면과 대략 동일면인 상판(53)의 면을 구성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갖고 있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본체 내부에 물이 침입하는 일이 없고, 견뢰성(堅牢性)이나 디자인성이나 청소성이 우수한 내장형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면에 개구를 가지고 가열원(加熱源)을 수용하는 동시에 주방 조리대에 설치된 개구부에 끼워 넣는 본체 외곽과, 상기 상면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본체 외곽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 유닛을 갖는 본체를 구비한 내장형 가열 조리기로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유닛은, 피가열물을 탑재하는 상부 플레이트와, 그 상부 플레이트를 상면에 탑재해서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주방 조리대의 상면에 주변 가장자리부 하면이 접해서 탑재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외주(外周) 가장자리의 상부를 덮는 장식판(裝飾板)을 갖추고, 상기 장식판은, 그 외주 가장자리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끼우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면 측에 접어 구부려서 형성된 절곡(折曲) 맞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곡 맞춤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외주 가장자리부와 주방 조리대의 상면으로 끼워져, 상기 본체의 전체 중량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절곡 맞춤부의 적어도 일부에 가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탑재하는 면이, 상기 장식판이 탑재되는 주방 조리대의 상면보다 낮아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본체를 주방 조리대의 개구부에 끼워 넣게 했을 경우에, 상기 장식판의 절곡 맞춤부와 중첩되는 부분을 제외하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면과 주방 조리대의 상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거리를 확보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면으로서 상기 소정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위치에 밀봉재를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장식판을 동시에 접착 고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끝 가장자리부 아래쪽에 있어서의 상기 하부 프레임에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접착제 수용 홈을 설치하고, 그 접착제 수용 홈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장식판을 동시에 접착 고정하면 좋다.
또한, 내장형 가열 조리기를 끼워 넣는 개구부가 형성된 주방 조리대가, 상기 내장형 가열 조리기를 탑재하는 상면과, 그 상면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부의 주변에 그 상면보다 낮아지도록 형성된 단차부(段差部)를 갖추고, 상기 절곡 맞춤부의 하면을 상기 상면에 맞닿게 하는 한편,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부의 하면과 상기 단차부의 상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클리어런스(clearance)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접착제 수용 홈이어도 좋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식판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하부 프레임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끼우도록 하부 프레임의 하면 측에 접어 구부림으로써 절곡 맞춤부 혹은 절곡부를 설치했으므로, 상부 플레이트를 하부 프레임과 장식판으로써 기계적으로 유지해서 상부 플레이트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어, 상부 플레이트 유닛의 견뢰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본체 내부에의 물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의 상부 플레이트 탑재면이, 장식판이 탑재되는 주방 조리대의 상면보다 낮아지도록 설정하면,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과 주방 조리대의 상면과의 단차를 현저하게 적게 하여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어, 청소성이나 편리성이 향상되고, 시스템 키친(system kitchen)의 토털 디자인(total design)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의 하면과 주방 조리대의 상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거리를 확보하고, 이 부위에 밀봉재를 배치하면, 상부 플레이트 유닛과 주방 조리대의 간극이 작고, 디자인성을 손상하는 일 없이 주방 조리대 내에의 물이나 더러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프레임과 장식판을 동시에 접착 고정하면, 상부 플레이트 유닛의 조립 공수(工數)를 간소화할 수 있고, 물이나 더러움의 침입 경로를 광범위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조리기가 탑재되는 주방 조리대의 개구부 주변에 상면보다 낮은 단차부를 형성하고, 상부 플레이트 유닛의 절곡 맞춤부 하면을 상면에 맞닿게 하는 한편, 하부 프레임의 일부의 하면과 상기 단차부의 상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클리어런스를 설치하면, 유도 가열 조리기의 전체 중량을 절곡 맞춤부로 지지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했을 경우에, 하부 프레임의 저면(底面)이 단차부의 상면에 맞닿고, 이 맞닿음부와 절곡 맞춤부로 가열 조리기의 전체 중량을 지지할 수 있어, 가열 조리기 전체로서의 견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장형 가열 조리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가열 조리기를 구성하는 본체 케이스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가열 조리기를 구성하는 상부 플레이트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장형 가열 조리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장형 가열 조리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장형 가열 조리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장형 가열 조리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내장형 가열 조리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내장형 가열 조리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도 가열 조리기 1a: 유도 가열 코일
1b: 인버터 회로 1c: 냉각 장치
2: 본체 케이스 2a: 고정편(固定片)
3, 12, 20, 27: 상부 플레이트 유닛
3a: 흡기구 3b: 배기구
4, 13, 21, 26: 하부 프레임 4a: 부착 훅
4b: 홈부 5: 상부 플레이트
6, 14, 22: 장식판 7, 17, 23: 플랜지부
8, 15, 24: 절곡 맞춤부 9, 16: 주방 조리대
10: 접착제 18: 단차부
25: 밀봉 테이프 31: 오목부
32: 접착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장형 유도 가열 조리기의 주요부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 및 도 3은 유도 가열 조리기를 구성하는 본체 케이스 및 상부 플레이트 유닛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도 가열 조리기(1)의 외곽은, 상면에 개구를 갖는 상자 형상의 본체 케이스(2)와 본체 케이스(2)의 상면 개구를 덮도록, 본체 케이스(2)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 유닛(3)을 갖추고 있다. 상부 플레이트 유닛(3)은, 후방부에 있어서 위쪽으로부터 나사 체결에 의해(예를 들면, 3개소) 본체 케이스(2)에 설치된 고정편(2a)에 고정하는 동시에, 상부 플레이트 유닛(3)의 전방부 근방의 하면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아래로 수하(垂下)되도록 설치된 부착 훅(4a)의 선단(先端)을 본체 케이스(2)에 스크루(screw)로 체결 고정(예를 들면, 3개소)한다.
본체 케이스(2)의 내부에는, 상부 플레이트 유닛(3) 위에 탑재된 피가열물(예를 들면 금속 냄비)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유도 가열 코일(1a)과, 유도 가열 코일(1a)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는 인버터 회로(1b)와, 유도 가열 코일(1a)이나 인버터 회로(1b)를 포함하는 내부 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1c)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 유닛(3)은, 세라믹 등의 전기 절연판으로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5)가, 스테인리스판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장식판(6)과 철판 등의 강성이 있는 금속 재료로 형성된 하부 프레임(4)에 끼워 지지되어 일체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플레이트 유닛(3)에는 흡기구(3a)와 배기구(3b)가 형성되고, 장식판(6)과 하부 프레임(4)에는 대응하는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상부 플레이트 유닛(3)이 조립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장식판(6)의 절곡 맞춤부(8)는, 상부 플레이트(5)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 아래쪽에 접어 구부러지고, 상부 플레이트 유닛(3)이 조립된 후에 하부 프레임(4)의 하면 측으로 접어 구부려진다. 또한, 하부 프레임(4) 위에 상부 플레이트(5)를 탑재할 때에, 하부 프레임(4)의 본체 케이스(2) 외측(外側)에 위치하는 소정의 부위(도 1에서는, 단면이 오목 형상으로 단차 누름에 의해 형성된 홈부(4b))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하부 프레임(4)과 상부 플레이트(5)를 접착 고정하고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4)은, 상부 플레이트(5)의 외주 가장자리보다 바깥 방향에, 전체 주변에 걸쳐서 장출(張出)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장식판(6)은, 그 내주 가장자리의 단부(端部)가 상부 플레이트(5)에 접촉해 내측(內側)을 향해서 아래쪽에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접어 구부러지고, 또한, 바깥 방향을 향해서 내려가도록 경사지어, 하부 프레임(4)의 단부에서 내측에 접어 넣어지고, 하부 프레임(4)의 하면을 따르도록, 코킹(caulking)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식판(6)과 상부 플레이트(5) 사이에는, 상부 플레이트(5)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그 상면에 도포된 접착제(10)가 개재(介在)되어 있다. 장식판(6)의 하부 프레임(4) 하면에 접어 넣어 진 부분과 하부 프레임(4)의 플랜지부(7) 면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도 가열 조리기(1)는, 상부 플레이트 유닛(3)의 하면을 주방 조리대(9)의 상면에 탑재해서 배치된다. 이하에, 그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상부 플레이트(5)는 장식판(6)과의 사이가 전체 주변에서 접착제(10)로 밀봉되어 있으므로, 조리면으로부터 본체 케이스(2) 내부에의 물이나 오염된 액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 플레이트(5)와 하부 프레임(4)과의 사이는, 본체 케이스(2) 외측의 소정의 부위에 설치된 접착제에 의해 양자가 서로 고정되는 동시에, 장식판(6)이, 프레임 형상으로 되어 있어 그 안쪽 가장자리 선단부(先端部)에서 상부 플레이트(5)를 위에서 누르고, 하부 프레임(4)의 선단부에서 전체 주변에 걸쳐서 내측으로 접어 구부려져서 절곡 맞춤부(절곡부)(8)를 형성하여, 장식판(6)이 하부 프레임(4)의 외주 단부 전체 주변를 감싸도록, 코킹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플레이트(5)는, 하부 프레임(4)에 기계적으로도 고정되기 때문에, 만일 접착제가 열화(劣化)되어 접착력이 약해지거나, 혹은 강한 박리력(剝離力)이 작용하였다고 해도, 상부 플레이트(5)가 하부 프레임(4)으로부터 탈락하거나, 상부 플레이트(5)와 장식판(6)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일이 없어, 조리면으로부터 본체(2) 내부에의 물이나 더러움의 침입을 방지한다. 특히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한 금속 부품의 접착은 표면에 부착된 가공유(加工油)를 완전히 탈지하지 않으면 접착 성능에 크게 영향을 주므로, 종래의 접착에만 의지하는 구성과 다르게 상부 플레이 트 유닛(3)의 견뢰성이나 밀봉성을 높여, 품질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제1실시형태에서는, 내장형 유도 가열 조리기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상부 플레이트 유닛의 구성은, 예를 들면, 복사 가열기(radiant heater)나 가스를 열원(熱源)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로서, 내열 유리 등을 상면에 갖춘 내장형 가열 조리기에 적용해도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제2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장형 유도 가열 조리기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또한, 본 제2실시형태의 기본 구성은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고, 상위점(相違点)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나타낸 제1실시형태의 상부 플레이트 유닛(3)의 구성에서는, 하부 프레임(4)의 상부 플레이트(5)를 탑재하는 면의 위치가, 하부 프레임(4) 및 장식판(6)의 하단이 접어 넣어진 부분이 탑재되는 조리대 상면의 위치보다도 높게 되어 있는 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3)을 상부 플레이트(5)의 끝 가장자리부의 외측에서 위쪽으로 일으켜, 상부 플레이트(5)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외측을 향해서 대략 수평으로 접어 구부려서 플랜지부(17)를 형성하고, 플랜지부(17)를 주방 조리대(16)에 탑재함으로써, 하부 프레임(13)은, 상부 플레이트(5)를 탑재하는 면보다, 장식판(14)의 접어 구부린 부분이 탑재되는 주방 조리대(16)의 상면보다 낮아지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이 점에 있어서,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상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장식판(14)을 플랜지부(17)의 하면과 상면에서 밀착해서 중첩하도록 형성한 점, 플랜지부(17)가 바깥 방향을 향해서 내려가도록 경사지게 한 점, 및 주방 조리대(16)에 그 상면으로부터 1단 낮은 위치에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하는 단차부(18)를 설치하고, 이 단차부(18)에 상부 플레이트(5)가 푹 빠지도록 배치하고 있는 점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상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내장형 유도 가열 조리기에 대해서, 이하에 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하부 프레임(13)은, 상부 플레이트(5)를 탑재하는 면의 위치로부터, 장식판(14)의 절곡 맞춤부(15)가 탑재되는 주방 조리대(16)의 상면보다 낮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3)의 플랜지부(17) 면의 위치를 상부 플레이트(5)의 상면에 가까운 높이가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장식판(14)의 상면 높이는 상부 플레이트(5)의 두께를 포함하지 않는 치수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주방 조리대(16)의 상면으로부터 상부 플레이트 유닛(12)의 상면까지의 높이 치수를 현저하게 작게 할 수 있어, 유도 가열 조리기(1) 상면의 청소성, 조리 시의 사용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디자인성도 향상된다.
또한, 절곡 맞춤부(15)의 하면에서 유도 가열 조리기(1) 전체 중량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지하여, 주방 조리대(16)의 상면에 탑재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주방 조리대(16)의 상면과 상부 플레이트 유닛(12)의 외주 단부에 있어서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어, 더욱 상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추가해서, 하부 프레임(13)의 저면과 단차부(18)의 상면과의 클리어런스를 소정의 값으로 설정한다면, 절곡 맞춤부(15)의 하면에서 유도 가열 조리기(1)의 전체 중량을 통상적으로 지지하고 있지만, 어떠한 이유(예를 들면, 상정(想定) 이외의 중량물이 조리면 위에 올려지는 등)로 유도 가열 조리기(1)의 전체 중량을 절곡 맞춤부(15)의 하면에서 지지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해서 조리면인 상부 플레이트(5)가 아래쪽으로 내려앉으면, 하부 프레임(13)의 저면이 단차부(18)의 상면에 맞닿고, 이 맞닿음부와 절곡 맞춤부(15)의 하면에서 유도 가열 조리기(1)의 전체 중량을 지지할 수 있어, 예측 불가의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13)과 장식판(14)의 형상은, 본 제2실시형태에 기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실시형태가 의도하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해도 좋다.
(제3실시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장형 유도 가열 조리기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또한, 본 제3실시형태의 기본 구성은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의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부 플레이트 유닛(20)의 하부 프레임(21)에 형성된 플랜지부(23)에 경사가 구성되어 있지 않고 수평인 점, 하부 프레임(21) 및 장식판(22)에 적합한 재질 및 치수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점에 있어서 제2실시형태에 기재한 것과 상위(相違)하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 유닛(20)을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21)의 재질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으로 하고, 두께를 0.8mm로 설정하는 동시에, 장식판(22)의 재질을 SUS304, No.4 표면 처리로 하고, 두께를 0.3mm로 설정하고 있다. 장식판(22)은 플랜지부(23) 위에 밀착해서 중첩되어, 프레스 가공으로 장식판(22)이 절곡 맞춤부(24)에서 플랜지부(23)의 아래쪽에 접어 구부러져, 코킹됨으로써 양자가 일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도 가열 조리기에 대해서, 이하에 그 동작, 작용을 설명한다.
장식판(22)은 두께를 0.3mm로 설정하고, 하부 프레임(21)의 플랜지부(23) 선단으로부터 하면을 따르도록 전체 주변을 프레스 압력으로 굽혀 코킹함으로써, 용이하게 플랜지부(23)의 면에 밀착해서 절곡 가공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장식판(22)은 외관 부품이기 때문에 SUS304, No.4 표면 처리로 함으로써 녹스는 일 없고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21)의 재질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으로 두께를 0.8mm로 설정함으로써 가공성이 우수하고, 또한 강성(剛性)이 강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장식판(22)의 판 두께는, 상기 재질이라면 0.2mm로부터 0.7m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하부 프레임(21)의 판 두께는, 0.5mm로부터 1.1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장식판(22)은, 디자인성을 높이기 위해서, 예를 들면 용융 아연 도금 강판에 플루오르 표면 처리를 실시한 것으로 해도 좋다. 장식판(22)의 두께는 될 수 있는 한 얇게 해서, 하부 프레임(21)의 두께에 대하여 30∼50%가 바람직하다.
(제4실시형태)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장형 유도 가열 조리기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또한, 본 제4실시형태의 기본 구성은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고,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2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부 프레임(13)은, 본체를 주방 조리대(16)에 설치된 개구부에 끼워 넣은 경우에, 장식판(14)의 절곡 맞춤부(15)와 중첩되는 부분을 제외하는 하부 프레임(13)의 플랜지부(17) 하면과 주방 조리대(16) 상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거리를 확보하고, 플랜지부(17)의 하면으로서 상기 소정의 거리가 확보될 수 있는 위치에 밀봉재(25)를 배치한 점이다. 즉, 절곡 맞춤부(15)를 주방 조리대(16)의 상면에 탑재했을 때에 이루어지는 플랜지부(17)의 하면(절곡 맞춤부(15)가 있는 부분을 제외)과 주방 조리대(16) 상면과의 거리를 0.5mm 이상 확보하고 있다. 그 부위의 플랜지부(17) 하면 측에 폭 5mm, 높이 5mm, 최대 압축 값 4.5mm의 발포 우레탄제의 밀봉 테이프(25)를 붙여서 구성하고 있는 점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도 가열 조리기에 대해서, 이하에 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절곡 맞춤부(15)를 제외하는 플랜지부(17)의 하면 측에 최대 압축 값 4.5mm의 발포 우레탄제의 밀봉 테이프(25)를 붙임으로써, 유도 가열 조리기(1)를 주방 조리대(16) 내에 짜 넣으면 발포 우레탄제의 밀봉 테이프(25)가 하중에 의해 압축 되어, 압축 후의 치수가 대략 0.5mm가 되고, 절곡 맞춤부(15)가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하는 플랜지부(17)의 하면과 주방 조리대(16)의 상면과의 거리를 0.5mm 이상 확보한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절곡 맞춤부(15)의 하면이 떠오르는 일 없이, 항상 주방 조리대(16)의 상면과의 간극이 만들어질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인성을 높이고, 또한 주방 조리대(16) 내부에의 물이나 더러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제4실시형태에서는 발포 우레탄제의 밀봉 테이프(25)로 하고 있지만, 동작, 작용을 만족한다면 어떤 재료, 공법으로 구성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밀봉 테이프(25)는 플랜지부(17)의 하면 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주방 조리대(16) 측이어도 상관없다.
(제5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장형 유도 가열 조리기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또한, 본 제5실시형태의 기본 구성은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고,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2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2실시형태에 기재한 구성과는, 상부 플레이트(5)의 끝 가장자리부 아래쪽에 있어서의 하부 프레임(26)에,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오목부(접착제 수용 홈)(31)를 설치하고, 이 오목부(31)에서 상부 플레이트(5), 하부 프레임(26) 및 장식판(14)을 동시에 접착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 점, 및 밀봉재인 밀봉 테이프(25)가, 도 6과 마찬가지로 설치되어 있는 점이 상위하다. 즉, 상부 플레이트 유닛(27)에 있어서, 상부 플레이트(5)의 외주 가장자리 근방의 하부 프레임(26)의 부위에 아래쪽으로 돌출한 오목부(31)를 형성함으로써, 오목부(31)에 미리 접착제(32)를 소정량만큼 도포한 후, 상부 플레이트(5)를 탑재하고, 또한 장식판(14)을 탑재해서 상부 플레이트(5)와 하부 프레임(26)과 장식판(14)을 동시에 접착,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그 후 장식판(14)을 구부려서 절곡 맞춤부(15)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는 점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도 가열 조리기에 대해서, 이하에 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상부 플레이트(5)의 외주 가장자리 근방의 하부 프레임(26)의 부위에 아래쪽으로 돌출한 오목부(31)를 형성해서 미리 접착제(32)를 소정량만큼 도포한 후, 상부 플레이트(5)를 탑재하고, 또한 장식판(14)을 탑재해서 상부 플레이트(5)와 하부 프레임(26)과 장식판(14)을 동시에 접착, 고정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부 플레이트 유닛(27)을 제작하는 공수가 간소화되어, 조리면으로 되는 상부 플레이트(5)로부터의 물이나 더러움의 침입에 대하여, 침입 경로를 넓은 범위에서 차단할 수 있어, 본체 외곽(2) 내부에의 물이나 더러움의 침입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주방 조리대(16)에 그 상면으로부터 1단 낮은 위치에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하는 단차부(18)를 설치하고, 이 단차부(18)에 하부 프레임(26)이 끼워 넣어지도록 배치하는 동시에, 오목부(31)의 저면과 단차부(18)의 상면과의 클리어런스를 소정의 값으로 설정한다면, 절곡 맞춤부(15)의 하면에서 유도 가열 조리기(1)의 전체 중량을 통상적으로 지지하고 있지만, 어떠한 이유로 유 도 가열 조리기(1)의 전체 중량을 절곡 맞춤부(15)의 하면으로 지지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해서 조리면인 상부 플레이트(5)가 아래쪽으로 내려앉으면, 오목부(31)의 저면이 단차부(18)의 상면에 맞닿고, 이 맞닿음부와 절곡 맞춤부(15)의 하면으로 유도 가열 조리기(1)의 전체 중량을 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한 내장형 가열 조리기는, 조리면 혹은 대략 조리면에 내열 유리제의 평편한 디자인을 갖는 모든 내장형 가열 조리기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상면에 개구(開口)를 갖추어 가열원(加熱源)을 수용하는 동시에 주방 조리대에 설치된 개구부에 끼워 넣는 본체 외곽과, 상기 상면(上面)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본체 외곽에 고정되어 하면이 상기 주방 조리대에 탑재되는 상부 플레이트 유닛(top plate unit)을 갖춘 본체를 구비한 내장형 가열 조리기로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유닛은, 피가열물을 탑재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상면에 탑재해서 유지하는 것과 더불어, 상기 주방 조리대의 상면에 주변 가장자리부가 대향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외주 가장자리의 상부를 덮는 장식판(裝飾板)을 갖추고, 상기 장식판은, 그 외주 가장자리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끼우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면 측에 접어 구부려서 형성된 절곡(折曲) 맞춤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가열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맞춤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외주 가장자리부와 상기 주방 조리대의 상면사이에 끼워져, 상기 본체의 전체 중량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절곡 맞춤부의 적어도 일부에 가해지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가열 조리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탑재하는 면이, 상기 장식판이 탑재되는 상기 주방 조리대의 상면보다 낮아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가열 조리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본체를 상기 주방 조리대의 개구부에 끼워 넣은 경우에, 상기 장식판의 절곡 맞춤부와 중첩하는 부분을 제외한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주방 조리대의 상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거리를 확보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면에서 상기 소정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위치에 밀봉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가열 조리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장식판을 동시에 접착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가열 조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끝 가장자리부 아래쪽에 있어서의 상기 하부 프레임에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접착제 수용 홈을 설치하고, 상기 접착제 수용 홈에 도포한 접착제에 의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장식판을 동시에 접착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가열 조리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내장형 가열 조리기를 끼워 넣는 개구부가 형성된 주방 조리대로서,
    상기 내장형 가열 조리기가 탑재되는 상면과, 그 상면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부의 주변에 그 상면보다 낮아지도록 형성한 단차부(段差部)를 갖추고, 상기 절곡 맞춤부의 하면을 상기 상면에 맞닿게 하는 한편,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저면(底面)과 상기 단차부의 상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클리어런스(clearance)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조리대.
  8. 제6항에 기재한 내장형 가열 조리기가 끼워지는 개구부가 형성된 주방 조리대로서,
    상기 내장형 가열 조리기가 탑재되는 상면과, 그 상면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부의 주변에 그 상면보다 낮아지도록 형성된 단차부를 갖추고, 상기 절곡 맞춤부의 하면을 상기 상면에 맞닿게 하는 한편, 상기 접착제 수용 홈의 저면과 상기 단차부의 상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클리어런스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조리대.
KR1020067009561A 2004-11-10 2005-11-09 내장형 가열 조리기 및 그 가열 조리기가 조립되는 주방조리대 KR1010586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26198 2004-11-10
JP2004326198 2004-11-10
PCT/JP2005/020528 WO2006051812A1 (ja) 2004-11-10 2005-11-09 組込み型加熱調理器及び該加熱調理器が組み込まれるキッチンカウンタ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547A KR20070064547A (ko) 2007-06-21
KR101058688B1 true KR101058688B1 (ko) 2011-08-22

Family

ID=3633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561A KR101058688B1 (ko) 2004-11-10 2005-11-09 내장형 가열 조리기 및 그 가열 조리기가 조립되는 주방조리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400115B2 (ko)
EP (1) EP1818619B1 (ko)
JP (1) JP4647600B2 (ko)
KR (1) KR101058688B1 (ko)
CN (1) CN100559083C (ko)
ES (1) ES2640448T3 (ko)
HK (1) HK1102619A1 (ko)
WO (1) WO20060518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9487B2 (ja) * 2005-05-13 2009-04-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組込式調理器
US8872077B2 (en) * 2005-08-01 2014-10-28 Western Industries, Inc. Low profile induction cook top with heat management system
RU2411415C1 (ru) * 2007-01-09 2011-02-1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Встроенная электроплита
JP2008210534A (ja) * 2007-02-23 2008-09-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DE102007012481A1 (de) * 2007-03-15 2008-09-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chfeld mit einem Zierrahmen und einem damit verbundenen Montagerahmen
DE102007041907A1 (de) * 2007-09-04 2009-03-0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chfeld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Kochfeldes
DE102007055312A1 (de) 2007-11-20 2009-05-2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Anordnung mit einem Kochfeld und einer Arbeitsplatte
ES1067491Y (es) * 2008-03-03 2008-08-16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Campo de coccion
EP2258989A1 (en) * 2008-03-11 2010-12-08 Panasonic Corporation Heating cooker
EP2418427A1 (en) * 2008-04-18 2012-02-1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cooking hob with one-piece fastening elements and a one-piece fastening element for a cooking hob
JP5062017B2 (ja) * 2008-04-23 2012-10-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組込み型誘導加熱調理器
DE602008001563D1 (de) * 2008-07-09 2010-07-29 Electrolux Home Prod Corp Einteiliges Befestigungselement für ein Kochfeld und Kochfeld mit einteiligen Befestigungselementen
JP5222315B2 (ja) * 2010-02-22 2013-06-26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2011181323A (ja) * 2010-03-01 2011-09-15 Panasonic Corp 加熱調理器
USD692706S1 (en) * 2011-02-25 2013-11-05 Hirohisa Ogawa Kitchen counter
ITVE20110024A1 (it) * 2011-04-21 2012-10-22 Meneghetti S P A Unipersonale Piano di cottura
EP2783163B1 (de) * 2011-11-23 2019-05-29 BSH Hausgeräte GmbH Zierrahmen für ein haushaltsgerät, haushaltsgerät mit einem derartigen zierrahme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zierrahmens
US9345072B2 (en) * 2012-01-11 2016-05-17 General Electric Company Induction cooking electromagnetic induced rejection methods
US10605464B2 (en) 2012-10-15 2020-03-31 Whirlpool Corporation Induction cooktop
ITTO20120896A1 (it) 2012-10-15 2014-04-16 Indesit Co Spa Piano cottura a induzione
US10837651B2 (en) 2015-09-24 2020-11-17 Whirlpool Corporation Oven cavity connector for operating power accessory trays for cooking appliance
US10408466B2 (en) 2016-04-11 2019-09-10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Cooking hob frame
TWI640727B (zh) * 2016-12-28 2018-11-11 建造金屬工業股份有限公司 Countertop or embedded gas stove construction
US10451293B2 (en) 2016-12-28 2019-10-22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kitchen cooktop units
US10660162B2 (en) 2017-03-16 2020-05-19 Whirlpool Corporation Power delivery system for an induction cooktop with multi-output inverters
EP3432682A1 (en) 2017-07-18 2019-01-23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an induction cooking hob and cooking hob using such method
US10993292B2 (en) 2017-10-23 2021-04-27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uning an induction circuit
US11140751B2 (en) 2018-04-23 2021-10-05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quasi-resonant induction heating devices
US10627116B2 (en) 2018-06-26 2020-04-21 Whirlpool Corporation Ventilation system for cooking appliance
US10619862B2 (en) 2018-06-28 2020-04-14 Whirlpool Corporation Frontal cooling towers for a ventilation system of a cooking appliance
TR201817506A2 (tr) * 2018-11-20 2020-06-22 Arcelik As Ocağin tezgaha montajini sağlayan bi̇r bağlanti elemani
DE102020112621A1 (de) * 2020-05-11 2021-11-11 Miele & Cie. Kg Dichtelement für eine in eine Arbeitsplatte integrierte Aufnahmekammer
US20230105606A1 (en) * 2021-10-01 2023-04-0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Oven appliance having a modular trim assembly for a hidden heating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4877A (ja) 2001-08-29 2003-03-12 Sekisui House Ltd ドロップインコンロ
JP2004311338A (ja) 2003-04-10 2004-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37784C1 (de) * 1996-09-17 1997-10-16 Schott Glaswerke Halterung für eine Kochfläche
US3612827A (en) * 1970-01-12 1971-10-12 Gen Electric Flat plate surface heating unit
AU524301B2 (en) * 1977-09-30 1982-09-09 Email Limited Mounting frame fora ceramic cooktop
DE3018680A1 (de) 1980-05-16 1981-12-03 Helmut 8871 Kötz Klotz Untersatz fuer toepfe
EP0037037A1 (de) 1980-03-27 1981-10-07 Helmut Klotz Untersatz für Töpfe
DE3131463C2 (de) * 1981-08-08 1986-02-06 Fischer, Karl, 7519 Oberderdingen Elektrische Kochplatte mit einem metallischen Kochplattenkörper
JPS6441006A (en) 1987-08-06 1989-02-13 Mitsubishi Electric Corp Timer circuit for programmable controller
JPH0216174Y2 (ko) * 1988-08-27 1990-05-02
JPH03103904U (ko) * 1990-02-09 1991-10-29
GB2277146B (en) 1993-04-08 1996-08-28 Chef Australia Pty Ltd Hot plate support frame
AU664796B2 (en) * 1993-04-08 1995-11-30 Simpson Pty Limited Hot plate support frame
DE4325168C1 (de) * 1993-07-27 1995-04-06 Schott Glaswerke Vorgefertigte Kochflächeneinheit zum verklebungsfreien Einbau in eine Rahmenkonstruktion oder in einen Ausschnitt
EP0675672A1 (en) * 1994-03-31 1995-10-04 Superluck Electrics Corp. Heat radiating device of induction heater
DE4434821C2 (de) * 1994-09-29 1997-12-11 Schott Glaswerke Anordnung zur Montage und Halterung eines Einbaukochfeldes
US5640947A (en) * 1995-02-15 1997-06-24 Shute; Alan B. Counter-top cooking unit using natural stone
DE19521690A1 (de) 1995-06-14 1996-12-19 Bosch Siemens Hausgeraete Glaskeramikmulde
JP3767013B2 (ja) 1996-05-20 2006-04-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組込み型調理器
DE19637896C1 (de) * 1996-09-17 1997-12-11 Schott Glaswerke Halterung für eine Kochfläche
DE19703269C2 (de) * 1997-01-31 2001-04-26 Schott Glas Halterung für eine Kochfläche
US5791336A (en) * 1997-02-13 1998-08-11 Maytag Corporation Frameless cooktop
JPH11166739A (ja) 1997-12-03 1999-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込型調理器
JP3438568B2 (ja) * 1998-02-26 2003-08-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組み込み式調理器
DE19854228B4 (de) * 1998-11-24 2007-09-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chfeld mit Montagerahmen in Biegetechnik
JP3864368B2 (ja) 2001-03-13 2006-12-27 三菱電機ホーム機器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2004233000A (ja) 2003-01-31 2004-08-19 Rinnai Corp コンロ用天板
JP2004031345A (ja) 2003-06-11 2004-01-29 Toshiba Corp 組込み式加熱調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4877A (ja) 2001-08-29 2003-03-12 Sekisui House Ltd ドロップインコンロ
JP2004311338A (ja) 2003-04-10 2004-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51812A1 (ja) 2006-05-18
JPWO2006051812A1 (ja) 2008-05-29
EP1818619B1 (en) 2017-06-21
HK1102619A1 (en) 2007-11-30
EP1818619A4 (en) 2014-12-03
JP4647600B2 (ja) 2011-03-09
CN1906443A (zh) 2007-01-31
ES2640448T3 (es) 2017-11-03
US9400115B2 (en) 2016-07-26
CN100559083C (zh) 2009-11-11
EP1818619A1 (en) 2007-08-15
KR20070064547A (ko) 2007-06-21
US20070169770A1 (en) 200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688B1 (ko) 내장형 가열 조리기 및 그 가열 조리기가 조립되는 주방조리대
JP6076095B2 (ja) 加熱調理器用天板、及び加熱調理器
JP2008177010A (ja) 加熱調理器
US6207934B1 (en) Cook top with installation frame formed by bending
JP3885758B2 (ja) 誘導加熱調理器
WO2011047845A1 (en) Oven, especially domestic oven
JP2014229369A (ja) 組込み式の加熱調理器
JP4930192B2 (ja) 組み込み式加熱調理器
JP2012052685A (ja) 加熱調理器
JP5076737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919491B2 (ja) 組込み型加熱調理器
JP5938546B2 (ja) 誘導加熱調理器の製造方法
KR101125910B1 (ko) 가스레인지의 상판 결합장치
EP3228940A1 (en) Kitchen worktop arrangement
JP4168900B2 (ja) 調理器
CN112524645B (zh) 灶具
KR101093283B1 (ko) 가스레인지
JP2832582B2 (ja) 台所設備
JP2004239468A (ja) ガラス天板式こんろ
JP5548945B2 (ja) 加熱調理器
KR200377062Y1 (ko) 가정용 전기렌지
CN218074019U (zh) 电暖桌及其桌板
JP5692434B2 (ja) 加熱調理器
JP3096253B2 (ja) テーブルコンロ用パネルセット
CN114246479A (zh) 外壳组件和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