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208B1 - 광파이버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광파이버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208B1
KR101056208B1 KR1020057021636A KR20057021636A KR101056208B1 KR 101056208 B1 KR101056208 B1 KR 101056208B1 KR 1020057021636 A KR1020057021636 A KR 1020057021636A KR 20057021636 A KR20057021636 A KR 20057021636A KR 101056208 B1 KR101056208 B1 KR 101056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cutting device
holder
fiber cutt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1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5461A (ko
Inventor
도시히코 혼마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5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5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Preparing the ends of light guides for coupling, e.g. cut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30Breaking or tear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작업 환경에 따르지 않고 단시간에 글라스 파이버 부분의 절단을 실행하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를 제공한다. 광파이버의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와, 고정 부재로 고정된 글라스 파이버 부분에 흠을 내는 커터 부재와, 커터 부재를 이동시키는 탄성 부재와, 탄성 부재를 탄성 변형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부재로 이루어진 광파이버 절단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광파이버의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와, 고정 부재로 고정된 글라스 파이버 부분에 흠을 내는 커버 부재와, 광파이버를 보호 피복의 부분에서 유지하는 홀더를 고정하는 홀더 고정 부재로 이루어지고, 홀더 고정부는 홀더에 커터 부재의 이동 방향과 평행으로 힘을 가하여 고정하는 제 1 홀더 고정 부재를 갖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광파이버 절단 장치{OPTICAL FIBER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광파이버의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원하는 길이로 절단할 수 있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용량 및 고속의 정보 전송에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어, 오피스 빌딩이나 일반 가정내에 있어서 광파이버 통신망의 정비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간선으로부터 가정내로 광파이버를 투입하는 경우, 간선측의 광파이버와 가정내의 광파이버를 접속할 필요가 있다. 광파이버를 접속할 경우, 광파이버 단부의 피복을 제거하여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노출시키고, 노출된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절단하고, 절단된 파단면끼리 맞댄 상태로 접속한다.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절단하는 장치로서, 글라스 파이버 부분의 표면에 초기 흠을 내고, 초기 흠을 낸 부위를 가압함으로써 초기 흠을 진전시켜,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초기 흠의 위치에서 절단하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165740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1997-90136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도 19는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165740 호 공보에 개시된 광파이버 절단 장 치의 측면도이다. 절단 장치(200)를 이용하여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절단할 경우에는, 광파이버의 단부로부터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광파이버를 홀더(201)로 유지하고, 홀더(201)를 장치 본체(202)에 부착한다. 이것으로,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한쌍의 하부 고정부(203)에 올려놓은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장치 본체(202)의 상부에 설치한 커버(204)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폐쇄하여, 한쌍의 하부 고정부(203)와 커버(204)에 구비한 한쌍의 상부 고정부(205)로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고정한다.
이어서, 한쌍의 상부 고정부(205)와 하부 고정부(203) 사이에 배치된 커터 부재(206)를 글라스 파이버 부분과 수직으로 작업자가 수동으로 이동시킨다. 이 커터 부재(206)의 이동에 의해 글라스 파이버 부분의 표면에 초기 흠을 낸다. 계속해서, 초기 흠을 낸 부위를 파단 부재(230)로 가압함으로써, 초기 흠을 진전시켜서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초기 흠의 위치에서 파단한다. 글라스 파이버 부분 중 파단된 불필요 부분을, 커버(220)를 닫음으로써 상하의 가이드 롤러(207) 사이에 끼운다. 이 상태에서, 상하의 가이드 롤러(207)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회전시키고, 상하의 가이드 롤러(207) 사이에 끼운 불필요 부분을 수납부(209)로 반송한다.
광파이버 절단 장치(200)에서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절단할 경우에는, 커터 부재(206)의 이동, 커버(220)의 개폐 및 상하의 가이드 롤러(207)의 회전을 수동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어서 절단 작업의 단축을 도모하는데 방해가 되었다. 또한, 작업자가 바뀔 때마다 커터 부재(206)의 이동 속도가 다른 문제가 있어 재현성 좋게 절단하는 것이 어려웠다.
덧붙여,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165740 호 공보에 개시된 방법에 있어서, 광파이버의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절단하는 공정 전에는 광파이버를 홀더(201)에 유지하는 공정이 있다. 유지 공정에서는 홀더(201)로부터 돌출하는 광파이버의 길이를 그 후의 글라스 파이버 부분의 처리 가공의 형태에 따라 조정한 다음에, 광파이버를 홀더(201)에 유지한다. 홀더(201)에 유지된 광파이버는 홀더(201)의 선단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길이의 보호 피복을 남기고, 선단측은 광파이버의 보호 피복을 제거하고, 글라스 파이버로 한다. 그 후, 상술한 절단 장치 등을 이용하여 결정된 길이의 글라스 파이버 부분이 되도록 절단한다.
광파이버를 홀더(201)에 한번 유지시키면, 그 후의 절단 공정이나 다른 광파이버와의 접속 공정에 있어서, 홀더(201)로부터 분리하는 일없이 이 홀더(201)에 유지한 상태에서 절단 장치나 접속 장치에 셋팅되어 처리 가공된다. 따라서, 홀더(201)로부터 보호 피복이 돌출하는 길이는 이들 장치의 셋팅 조건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일례로서,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융착 접속할 때에는, 보호 피복이 부착된 부분은 비교적 짧은 경우가 많고, 또한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융착시키지 않고 메카니컬 스플라이스와 같이 접속할 경우에는 보호 피복이 부착된 부분은 긴 경우가 많다.
절단 장치(200)에 있어서는, 절단 장치에 홀더를 부착하는 장소가 결정되어 있고, 홀더(201)를 장치 본체(202)의 결정된 장소에 고정하고, 글라스 부분을 절단한다. 이때, 홀더(201)로부터 돌출하는 보호 피복을 길게 할 경우는 소정의 고정 위치에서는 절단하는 위치가 맞지 않으므로, 스페이서 등을 배치하고 이 스페이서를 거쳐서 홀더(201)를 고정하고 홀더(210)와 절단 커터(206)의 거리를 조정한다. 그런데, 스페이서 등의 거리 조정 부재는 작은 것이며, 절단 장치에 셋팅하는 작업에 시간이 걸리는 것이 많다. 또한, 홀더로부터 돌출하는 광파이버의 길이에 따라 복수 종류의 스페이서를 준비해 두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도 있고, 복수의 스페이서의 보관도 부담이 된다. 더욱이, 작은 스페이서이기 때문에 분실에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165740 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 1997-90136 호 공보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 환경에 따르지 않고 단시간에 재현성 좋게 글라스 파이버 부분의 절단을 실행할 수 있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광파이버의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와, 고정 부재로 고정된 글라스 파이버 부분에 흠을 내는 커터 부재와, 커터 부재를 이동시키는 탄성 부재와, 탄성 부재를 탄성 변형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는, 글라스 파이버 부분이 절단된 불필요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더 구비해도 좋고, 그것에 부가하여, 불필요 부분을 수용 부재내로 반송하는 가이드 롤러를 구비해도 좋다. 이 경우, 수용 부재는 커터 부재의 이동에 동기해서 개폐하는 커버를 구비해도 좋고, 그것에 부가하여, 커버에 폐쇄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부재와, 커터 부재의 이동에 동기해서 커버를 개폐하는 캠 부재를 구비해도 좋다. 캠 부재는 글라스 파이버가 절단된 후에 커버가 닫히는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수용 부재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로부터 분리가능한 수납 상자를 구비해도 좋다. 수납 상자는 불필요 부분을 수납 상자 안쪽으로 인도하는 곡선부를 구비해도 좋고, 내부 저면에 점착제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는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과,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을 회동가능하게 접속하는 회동 부재를 더 구비해도 좋다. 이 경우, 고정 부재는 상부 케이싱에 배치된 상부 고정 부재와, 상부 고정 부재에 대향하여 하부 케이싱에 배치된 하부 고정 부재로 이루어져도 좋다. 커터 부재, 탄성 부재, 유지 부재, 홀더 고정부, 수용 부재는 하부 케이싱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유지 부재는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을 폐쇄함으로써 탄성 부재의 탄성 변형된 상태를 해제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는,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 사이에 있어서 회동 부재와 반대측으로부터 회동 부재측을 향해서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삽입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회동 부재의 회동축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기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배치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는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에 개방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해도 좋고,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을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로크(lock) 부재를 더 구비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는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는 분리가능하여도 좋고,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의 적어도 한쪽은 설치 스트랩을 끼울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해도 좋고,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은 마그네슘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광파이버의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와, 고정 부재로 고정된 글라스 파이버 부분에 흠을 내는 커터 부재와, 광파이버의 보호 피복 부분을 유지하는 홀더를 고정하는 홀더 고정부로 이루어지고, 홀더 고정부는 홀더에 커터 부재의 이동 방향과 평행으로 힘을 가하여 고정하는 제 1 홀더 고정 부재를 갖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이다.
홀더 고정부는 홀더에 커터 부재의 이동 방향과 평행으로 힘을 가하여 고정가능함과 동시에 홀더를 커터 부재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 결정가능한 제 2 홀더 고정 부재를 더 구비해도 좋다. 또한, 제 1 홀더 고정 부재 및 제 2 홀더 고정 부재에는 회동 방향으로부터 힘이 가하여져도 좋고, 챔퍼링되어 있어도 좋고, 수지제여도 좋다.
본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에 의하면, 작업 환경에 따르지 않고 단시간에 재현성 좋게 글라스 파이버 부분의 절단을 실행할 수 있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와 그것에 부착하는 홀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단면도로서, 상하의 케이싱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상하의 케이싱을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2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VII-VII 단면도,
도 8은 도 2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VIII-VIII 단면도,
도 9는 도 2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IV-IV 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고정 부재의 단면도로서, 도 10a는 개방 상태, 도 10b는 폐쇄 상태, 도 10c는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끼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제 1 작용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제 2 작용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제 3 작용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14a 내지 도 14c는 슬라이더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로서, 도 14a는 결합된 상태, 도 14b는 결합이 해제된 상태, 도 14c는 퇴피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홀더 고정부에 있어서의 홀더의 유지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사시도,
도 19는 종래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측면도,
도 20은 홀더 고정 부재의 동작 기구를 설명하는 부분 확대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가 이하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은 설명을 목적으로 하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 있어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동일 부호는 동일 부분을 나타낸다. 도면 중의 치수의 비율은 반드시 정확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와 그것에 부착하는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우측면도, 좌측면도,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단면도이며, 상하의 케이싱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와 같은 도면이며, 상하의 케이싱을 폐쇄 상태로 도시한다. 도 7, 도 8, 도 9는 각각 도 2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VII-VII 단면도, VIII-VIII 단면도, IV-IV 단면도이다. 또한, 도면 중 "○" 안에 "×"가 표기된 기호는 지면을 향해 수직으로 들어가는 방향을 나타내고, "○" 안에 흑점이 표기된 기호는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나오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광파이버 절단 장치(10)는 거의 구형체인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과,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을 회동가능하게 접속하는 회동 부재(13)를 갖는다. 상부 케이싱(11)은 아암 부재(14)를 구비하고, 아암 부재(14)에는 상부 고정 부재(15)와 파단 부재(16)가 배치되어 있다. 하부 케이싱(12)에는 상부 고정 부재(15)에 대향하는 위치에 하부 고정 부재(18)가 배치되는 동시에, 커터 부재(20), 탄성 부재(21), 유지 부재(22), 홀더 고정부(23) 및 수용 부재(24)가 배치되어 있다. 상부 고정 부재(15)와 하부 고정 부재(18)는 고정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을 구비함으로써, 상하의 케이싱에 절단에 필요한 부재, 예를 들면 상부 고정 부재(15), 파단 부재(16), 하부 고정 부재(18), 커터 부재(20), 탄성 부재(21), 유지 부재(22), 홀더 고정부(23), 수용 부재(24)를 분배하여 효율적으로 구비할 수 있어, 절단 장치(10)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또한 절단 장치(10)의 외관성을 높여서 외견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을 회동가능하게 접속함으로써, 쥐기 쉬운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자가 절단 장치를 한쪽 손에 쥐고 절단 작업을 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절단 장치(10)를 손에 쥘 수 있으므로, 고소 작업시라도 글라스 파이버 부분의 절단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부 케이싱(11) 및 하부 케이싱(12)에 각각 고정 부재를 갖는 것에 의해,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확실히 끼워 고정할 수 있다.
우선, 하부 케이싱(12)에 구비되는 각 부재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부 케이싱(12)은 하부 케이싱 본체부(27)의 다른쪽 단부(29)에 회동 부재(13)를 통해 상부 케이싱(11)의 다른쪽 단부(32)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하부 케이싱 본체부(27)의 한쪽 단부(28)측의 상부(27A)에는 하부 고정 부재(18)가 고정되어 있다. 하부 고정 부재(18)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하부 고정부(33)로 이루어진다. 하부 고정부(33)는 금속제의 스탠드 상면에 고무재(33A)가 끼워 넣어진 것이며, 고무재(33A) 위에 광파이버(37)의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이 놓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한쌍의 하부 고정부(33)는 후술하는 한쌍의 상부 고정부(71)와 대향하고, 상부 케이싱(11)을 폐쇄하는 것에 의해 광파이버(37)의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을 끼워 고정할 수 있다.
한쌍의 하부 고정부(33) 사이의 거의 중앙에는 노출 구멍(25)이 형성되고, 노출 구멍(25)으로부터 커터 부재(20)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커터 부재(20)는 원판의 주위에 커터가 형성됨으로써, 회동 부재(13)의 회동축(35)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터 부재(20)의 중앙에 지지축(38)을 구비하고, 지지축(38)은 슬라이더(39)에 부착되어 있다. 슬라이더(39)는 하부 케이싱 본체부(27)의 내부에 배치되고, 가이드(41)를 따라 회동축(35)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렇게 커터 부재(20)를 회동 부재(13)의 회동축(35)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커터 부재(20)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좌우의 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하고,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에 일정한 흠을 확실히 낼 수 있다.
슬라이더(39)의 회동축(35)측의 단부에는 탄성 부재(압축 스프링)(21)가 회동축(35)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탄성 부재(21)에 의해 슬라이더(39)는 하부 케이싱 본체(27)의 우측면(27B)측,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위치(대피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탄성 부재(21)는 슬라이더(39)의 푸쉬 버튼(39A)을 누르는 것에 의해 슬라이더(39)가 화살표(X1) 방향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더(39)의 이동에 의해 압축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탄성 부재(21)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슬라이더(39)는 회동 부재(13)의 회동축(35)과 평행한 방향으로,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하부 케이싱 본체부(27)의 우측면(27B)측으로부터 좌측면(27C)측(결합 위치)에 압입된다.
슬라이더(39)는 결합 위치까지 압입될 때, 하부 케이싱 본체부(27)의 내부에 설치되는 유지 부재(22)에 결합된다. 이로써, 탄성 부재(21)가 압축된 상태에서, 슬라이더(39) 및 커터 부재(20)가 결합 위치에 유지된다. 유지 부재(2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싱 본체부(27)의 상부(27A)로부터 돌출/함몰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지 부재(22)는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을 폐쇄함으로써 압입되어 탄성 부재(21)의 탄성 변형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슬라이더(39)가 유지 부재(22)에 결합 및 해제되는 기구의 일례를 도 14a 내지 도 14c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슬라이더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로서, 도 14a는 결합된 상태, 도 14b는 결합이 해제된 상태, 도 14c는 퇴피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다. 유지 부재(22)는 해제 버튼(43)과, 결합부(44)와, 스토퍼(22A)로 구성되다. 결합부(44)에는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 등에 의해 화살표(b)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스토퍼(22A)에 의해 결합부(44)의 상측부(44A)가 결합되어 있다. 결합부(44)의 상단에는 해제 버튼(43)이 접촉하고 있고, 해제 버튼(43)이 하방향으로 압입되면, 결합부(44)가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슬라이더(39)의 좌측면(27C)측의 상단부에는 결합 네일(nail)(39B)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39)가 결합 위치까지 압입되면, 상측부(44A)가 스토퍼(22A)에 결합된 결합부(44)의 하측부(44B)가 슬라이더(39)의 결합 네일(39B)을 결합한다. 이로써, 슬라이더(39)가 결합 위치에 유지된다(도 14a). 이 상태에서, 해제 버튼(43)을 아래로 압입하면, 결합부(44)가 용수철 등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하고, 하측부(44B)가 결합 네일(39B)을 해제하도록 회동한다(도 14b). 하측부(44B)가 결합 네일(39B)을 해제하면, 탄성 부재(21)(도 5)의 복귀력에 의해 슬라이더(39)와 일체로 커터 부재(20)가 결합 위치로부터 대피 위치까지 이동한다(도 14c).
이와 같이, 탄성 부재(21)의 복귀력을 이용해서 커터 부재(20)를 이동시킬 수 있어, 수작업으로 커터 부재(20)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어떠한 작업자가 절단 장치(10)를 조작해도, 커터 부재(20)를 일정한 이동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고,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을 일정한 상태로 절단할 수 있어서, 일정한 파단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절단 작업을 간편하게 함으로써, 절단 작업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고소 작업시 등에 있어서도 글라스 파이버 부분의 절단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을 폐쇄함으로써 유지 부재(22)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유지 부재(22)의 해제 작업이 용이해져, 작업자는 한쪽 손으로 절단 장치(10)를 조작할 수 있다. 덧붙여, 작업자가 왼손잡이인 경우라도 오른손잡이인 경우와 같이,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을 파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단 장치(10)는 하부 케이싱 본체부(27)의 다른쪽 단부(29)측에서, 또한 하부 고정부(33)에 인접해서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이 절단된 불필요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24)를 갖는다. 수용 부재(24)는 절단 장치(10)로부터 분리가능한 수납 상자(46)와, 수용 상자(46)의 상방의 개구부에 커터 부재(20)의 이동에 동기해서 개폐되는 커버(47)를 갖는다. 절단된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의 불필요 부분을 수용 부재(24)에 수용함으로써, 불필요 부분이 산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용한 불필요 부분을 정리해서 폐기할 수 있다.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47)는 커버용 회전축(48)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여, 일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까지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용 부재(24)는 커버(47)를 폐쇄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부재(커버용 스프링 부재)(49)(도 6)와, 커터 부재(20)의 이동에 동기해서 커버(47)를 개폐하는 캠 부재(51)(도 8)를 갖는다.
캠 부재(51)는 슬라이더(39)와 일체로 형성되며, 커터 부재(20)와 탄성 부재(2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캠 부재(51)의 상부에 핀(52)의 하단부가 접촉하고, 핀(52)의 상단부는 커버(47)에 연결되어 있다. 캠 부재(51)의 상부에는 바닥부(51A), 경사부(51B) 및 상면부(51C)가 형성되어 있어, 글라스 파이버가 절단된 후에 커버가 폐쇄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슬라이더(39) 및 커터 부재(20)가 탄성 부재(21)에 의해 대피 위치에 유지되어 있을 때, 핀(52)의 하단부는 바닥부(51A)에 위치하고, 커버(47)가 커버용 스프링 부재(49)(도 6)의 가압력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더(39)의 누름 버튼(39A)을 눌러서, 슬라이더(39)를 대피 위치로부터 결합 위치까지 화살표(X1)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슬라이더(39)와 일체로 캠 부재(51)가 이동한다. 캠 부재(51)가 슬라이더(39)의 결합 위치까지 이동하면, 핀(52)의 하단부를 경사면(51B)에서 서서히 밀어 올리고, 커버(47)를 커버용 스프링 부재(49)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서서히 개방한다. 이어서, 핀(52)의 하단부가 캠 부재(51)의 상면부(51C)에 놓이는 것으로, 커버(47)를 완전 개방한다.
이렇게 커터 부재(20)의 화살표(X1) 방향의 이동에 동기해서 커버(47)를 개방함으로써,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의 절단시에만 커버(47)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휴대시에는 커버(47)를 닫아 둘 수 있으므로, 절단 장치(10)를 눕히거나, 절단 장치(10)의 방향을 바꾸어도, 수용된 불필요 부분이 수용 부재(24)로부터 쏟아질 우려가 없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 부재(24)는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의 불필요 부분을 수용 부재(수용 용기)(24)내로 반송하는 가이드 롤러를 더 갖는다. 상부 가이드 롤러(54)는 커버(47)의 개방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 가이드 롤러(55)는 하부 케이싱 본체부(27)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커버(47)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부 가이드 롤러(54)가 하부 가이드 롤러(55)에 접촉하고 있다.
하부 가이드 롤러(54)의 지지축(55A)에 도시하지 않는 기어가 설치되고, 이 기어가 도시하지 않는 복수의 아이들 기어 군을 거쳐서 회동 부재(13)의 회동축(35)에 구비한 기어(57)(도 9)에 맞물려 있다. 상하의 케이싱(11, 12)을 개방할 때에, 회동축(35)과 일체로 기어(57)가 회전하고, 이 기어(57)의 회전을 아이들 기어 군을 거쳐서 지지축(55A)의 기어에 전달한다. 지지축(55A)이 회전하면, 하부 가이드 롤러(55)가 회전한다. 하부 가이드 롤러(55)의 회전이 상부 가이드 롤러(54)에 전달되어, 상부 가이드 롤러(54)가 회전한다. 상하의 가이드 롤러가 회전함으로써, 상하의 가이드 롤러 사이에 끼운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의 불필요 부분을 수용 상자(46)내로 반송하고, 수용 부재(24)내로 불필요 부분을 확실히 도입한다.
수용 상자(46)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 절단 장치(10)의 하부 케이싱 본체부(27)로부터 화살표(X1) 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싱 본체부(27)의 좌측면(27C)에 개구(78)가 형성되고, 이 개구(78)로부터 수용 상자(46)가 하부 케이싱 본체부(27)내에 수납된다. 이렇게 수납 상자(46)가 분리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절단 장치(10) 전체를 반전시키지 않아도, 수납 상자(46)를 분리하여 불필요 부분을 버릴 수 있다. 좌측면(27C)에 있어서, 개구(78)의 아래쪽에 오목부(79)(도 3, 도 8)를 구비한다. 이 오목부(79)에 손가락을 넣고, 수납 상자(46)의 저부단(46D)에 손가락을 걸어서, 수납 상자(46)를 끌어낼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상자(46)는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이 절단된 불필요 부분을 수납 상자(46)의 안쪽으로 인도하는 곡선부(59)를 갖는다. 곡선부(59)는 회동축(35)(도 5)측에, 그리고 수납 상자(46)의 절하 방향과 반대측에 배치된다. 이렇게 수납 상자(46)에 곡선부(59)를 형성함으로써, 화살표(C)의 방향으로 반송된 불필요 부분을 화살표(D)의 방향으로 안내하여 수납 상자(46)의 안쪽(46A)으로 인도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 상자(46)의 입구가 불필요 부분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상자(46)의 분리측 단부로부터 거의 절반은 개폐가능한 커버(46B)로 덮어져 있다. 이렇게 수납 상자(46)가 커버(46B)로 덮여있는 것에 의해, 수납 상자(46)의 분리시에도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의 불필요 부분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상자(46)는 내부 저면(46C)에 점착제를 갖는다.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내부 저면(46C)에 점착제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불필요 부분이 수납 상자(46)로부터 낙하 및 산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불필요 부분을 확실히 수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싱 본체부(27)의 한쪽 단부(28) 상면에는, 광파이버(37)의 보호 피복 부분을 유지하는 홀더를 고정하는 홀더 고정부(23)를 갖는다. 홀더 고정부(23)는 홀더(63)를 고정하기 위해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부위이다. 홀더(63)는 일례로서 지지판(63A)에 누름 부재(63B)를 착탈가능하게 부착하고, 지지판(63A) 상부에는 광파이버(37)를 위치 결정하는 가이드 홈(63C)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홀더 고정부(23)에 홀더(63)를 유지함으로써,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을 상하의 고정 부재(15, 18)로 고정하기 전에, 광파이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홀더 고정부(23)에 인접하여 눈금(26)이 설치된다. 눈금(26)에 의해 글라스 파이버 부분(37)을 원하는 길이(돌출 길이)로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 고정부(23)는 홀더(63)의 측면에 커터 부재(20)의 이동 방향과 평행[화살표(X1-X2) 방향]하게 힘을 가하여 고정하는 제 1 홀더 고정 부재(64B)와, 홀더에 커터 부재(20)의 이동 방향과 평행으로 힘을 가하여 고정가능함과 동시에 커터 부재(20)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 결정가능한 제 2 홀더 고정 부재(64A)를 갖는다. 제 1 홀더 고정 부재(64B) 및 제 2 홀더 고정 부재(64A)에는 예를 들면 탄성 부재(스프링)(81)에 의해 화살표(Z)의 방향으로 회동방향으로부터 힘이 가해지고 있다(도 20).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홀더 고정부에 있어서의 홀더의 유지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홀더(63)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광파이버(37)를 짧게 설정할 경우,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63)를 홀더 고정부(23)에 돌출되어 있는 2개의 홀더 고정 부재(64A, 64B)를 압입하여, 홀더 고정부(23)내에 셋팅하고, 홀더(63)를 커터 부재(20)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간다. 슬라이드시켜가면, 홀더(63)의 선단부가 위치 규제부(23A)와 접촉하여, 홀더(23)가 위치결정되고, 또한 2개의 홀더 고정 부재(64A, 64B)에 의해 홀더 고정부(23)내에서 고정된다.
홀더(63)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광파이버를 길게 설정할 경우,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63)를 제 1 홀더 고정 부재(64B)만을 압입하는 것으로 홀더 고정부(23)내에 셋팅한다. 그 후, 홀더(63)를 커터 부재(20)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가면 제 2 홀더 고정 부재(64A)에 의해 슬라이드가 규제되어, 이 위치에서 홀더(63)가 위치 결정되는 동시에, 제 1 홀더 고정 부재(64B)에 의해 홀더 고정부(23)내에서 고정된다.
제 1 실시 형태의 경우, 제 1 홀더 고정 부재(64B)가 제 2 홀더 고정 부재(64A)보다도 긴 부재로 되어 있다. 이것은, 측면에 오목부를 갖는 홀더(63)의 경우에도, 홀더(63)의 측면을 튼튼히 잡아서 홀더(63)를 홀더 고정부(23)내에서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홀더 고정 부재는 3개 이상 있어도 좋다.
또한, 홀더 고정부(23)내에 홀더(63)를 부착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제 1 홀더 고정 부재(64B) 및 제 2 홀더 고정 부재(64A)는 챔퍼링되어 있거나, 모서리부를 둥그스름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서리부란, 측면과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곳이나, 평면과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곳이다. 또한, 제 1 홀더 고정 부재(64B) 및 제 2 홀더 고정 부재(64A)는 수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63)는 금속제로 되어 있는 것이 많고, 홀더(63)에 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홀더 고정 부재(64A, 64B)에 의해 홀더(63)의 측면에 힘을 가함으로써, 커터 부재(20)를 이동시켜서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을 절단할 때에, 홀더(63)를 거쳐서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을 보다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광파이버(37)의 종류에 따라 여러 종류의 홀더(63)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여기에서는 하부 케이싱(12)의 회동 부재(13)와 반대측의 한쪽단부(28)]는 분리가능하다. 한쪽 단부(28)는 홀더 고정부(23)가 설치된 상단부(61)와 하단부(62)로 2 분할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쪽 단부(28)의 상단부(61)를 부분적으로 분리함으로써, 홀더(63)의 형상에 따른 홀더 고정부(23)로 교환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한편, 한쪽 단부(28)의 하단부(62)를 부분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커터 부재(20)의 조정·교환이나 하부 고정 부재(18)의 조정·교환을 절단 장치(10)를 분해하지 않고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덧붙여, 케이싱의 한쪽 단부를 부분적으로 분리함으로써, 홀더의 형상에 대응한 홀더 고정부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의 적어도 한쪽[여기에서는, 하부 케이싱(12)의 다른쪽 단부(29)]은 설치 스트랩(66)을 끼울 수 있는 설치 구멍(67)을 갖는다. 설치 구멍(67)은 개구부(67A)와 개구부(67B)를 연통시키는 관통공이다. 설치 구멍(67)에 설치 스트랩(66)을 부착함으로써, 절단 장치(10)를 설치 스트랩(66)에 의해 목이나 후크 등에 걸어둘 수 있고, 특히 고소 작업시에 편리하다.
다음으로, 상부 케이싱(11)에 구비되는 각 부재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부 케이싱(11)의 어느 한쪽 단부(31)는 회동 부재(13)의 회동축(35)을 거쳐서 하부 케이싱(12)에 접속되어 있다. 상부 케이싱(11)내에는, 회동축(35)으로부터 상부 케이싱(11)의 다른쪽 단부(32)를 향하여, 아암 부재(14)가 배치되어 있다. 아암 부재(14)의 다른쪽 단부(14A)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나사(14C)로 회동축(35)에 고정되고, 회동축(35)을 축으로 하여 요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나사(14C)를 늦춰서 아암 부재(14)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아암 부재(14)의 한쪽 단부(14B)에 구비되는 상부 고정 부재(15)나 파단 부재(16) 등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아암 부재(14)의 한쪽 단부(14B)에는 상부 고정 부재(15)가 회동축(35)에 평행하게, 또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 고정 부재(15)는 한쌍의 상부 고정부(71)로 구성된다. 또한, 아암 부재(14)의 한쪽 단부(14B)와 상부 케이싱(11)의 이면 사이에는 한쌍의 압축 스프링(72)(도 6, 도 7)이 설치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고정 부재(15)는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의 2개소를 고정하는 2개의 상부 고정부(71)를 구비하고, 하부 고정 부재(18)도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의 2개소를 고정하는 2개의 하부 고정부(33)를 구비한다. 이로써,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의 2개소를 고정하고, 그 사이를 커터 부재(20)가 흠을 내면서 통과함으로써,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고, 또는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을 보다 확실히 고정한다. 따라서,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을 흠이 난 부위로부터 확실히 파단할 수 있어 일정한 파단면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고정 부재의 단면도로서, 도 10a는 개방 상태, 도 10b는 폐쇄 상태, 도 10c는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끼운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고정부(71)는 금속제의 스탠드 상면에 고무재(71A)가 끼워 넣어진 것이다. 고무재(71A)의 양단에, 고무재(71A)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한 돌기(71B)가 설치된다. 이로써, 절단 장치(10)의 미사용시에, 상하의 케이싱(11, 12)을 폐쇄하여도,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고정부(71)의 돌기(71B)가 하부 고정부(33)의 양단부(33B)에 접촉하고, 상부 고정부(71)의 고무재(71A)와 하부 고정부(33)의 고무재(33A)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하의 케이싱(11, 12)을 장기간 폐쇄하고 있어도, 상하의 고무재(33A, 71A)가 융착하여 열화할 우려는 없다.
여기에서,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의 케이싱(11, 12)을 폐쇄하였을 때의 상부 고정부(71)의 고무재(71A)와 하부 고정부(33)의 고무재(33A)의 간격(S)은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의 직경(D)보다 작아지도록 조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고정부(71)의 고무재(71A)와 하부 고정부(33)의 고무재(33A) 사이에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을 끼워서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하의 고정 부재(15, 18)는 전폭(W)(도 10c 참조)의 방향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축(35)과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어, 상하의 고정부(71, 33)의 전폭(W)에 균등하게 고정력(F)을 걸 수 있다. 따라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의 고정부(71, 33)의 폭방향으로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이 복수개 나열되어 있을 때에, 모든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에 균등하게 고정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고정부(71) 사이의 중앙에는 글라스 파이버 부분에 형성된 흠을 진전시켜 파단시키는 파단 부재(16)를 구비하고 있다. 파단 부재(16)는 아암 부재(14)의 한쪽 단부(14B)에 고정된 부재이며, 상부 고정 부재(71)의 상면보다 후퇴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하의 케이싱(11, 12)을 폐쇄하였을 때에,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에 형성된 흠 부위를 가압하고, 흠을 진전시켜 파단시킬 수 있다. 파단 부재(16)는 일례로서 금속제의 스탠드 상면에 고무재가 끼워 넣어진 것이다. 파단 부재(16)로 흠을 진전시켜서 파단하는 것에 의해,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을 커터 부재(20)로 흠을 낸 부위에서부터 확실히 파단하고, 양호한 파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은 탄성 부재(케이싱용 스프링)(73)에 의해 서로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이 개방된 상태에서 이루는 각도(개방도)(θ)는 일례로서 거의 30도로 설정된다. 이로써, 절단 작업 종료 후, 케이싱용 스프링(73)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을 용이하게, 예를 들면 한쪽 손으로 개방할 수 있다. 덧붙여, 케이싱용 용수철(73)의 가압력으로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을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절단시에 홀더 고정부에 홀더를 부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을 절단한 후, 절단 장치(10)로부터 광파이버(37)가 유지된 홀더(63)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청소나 부품의 교환을 고려하면, 상부 케이싱(11)이나 하부 케이싱(12)의 개방도를 거의 90도로 확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단 장치(10)에서는, 회동 부재(13)의 손잡이(13A)(도 9)를 회동축(35)으로부터 빼내는 것으로, 개방도 30도의 규제를 해제하고, 상하의 케이싱(11, 12)의 개방도가 90도 이상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을 90도 이상 회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절단 장치(10)의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더욱이,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을 90도 이상 회동시킴으로써, 회동 부재 근방의 부품의 조정·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단 장치(10)는 상부 케이싱(11)의 측면(11A)에,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을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로크 부재(76)를 더 갖는다. 로크 부재(76)는 상부 케이싱(11)의 측면(11A)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로크 버튼(76A)을 구비하고, 이 로크 버튼(76A)에 로크 핀(76B)(도 2 참조)을 연결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버튼(76A)을 상부 케이싱(11)의 한쪽 단부(31)측에 화살표(Y1)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로크 핀(76B)의 선단부가 상부 케이싱(11)의 한쪽 단부(31)로부터 돌출한다. 돌출한 로크 핀(76B)의 선단부는 하부 케이싱(12)의 융기부(77)에 형성된 로크 구멍(78)에 삽입된다. 이로써,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을 로크 부재(76)에 의해 폐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절단 장치(1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닫아 둘 수 있으므로, 절단 장치(10)의 개구부에 쓰레기 등이 들어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한편, 상하의 케이싱(11, 12)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로크 버튼(76A)을 상부 케이싱(11)의 다른쪽 단부(32)측으로 화살표(Y2)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로써, 로크 핀(76B)의 선단부를 로크 구멍(78)으로부터 뽑아낸다. 이로써, 상하의 케이싱(11, 12)이 케이싱용 스프링(73)(도 5, 도 6)의 가압력에서 해방된다.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은 마그네슘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마그네슘이나 알루미늄은 경량의 재료다. 따라서, 상부 케이싱(11) 및 하부 케이싱(12)을 마그네슘이나 알루미늄으로 형성함으로써, 절단 장치(10)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작업자의 주머니 등에 넣어서 휴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의 케이싱(11, 12)의 코너부를 둥그스름하게 함으로써, 더욱 작업자의 주머니 등에 넣기 쉽게 할 수 있고, 쥐기 쉽게 하는 것이나, 쥐었을 때의 꼭 맞는 느낌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광파이버 절단 장치(10)로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을 절단하는 예를 도 11a 내지 도 13b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제 1 작용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제 2 작용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제 3 작용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1a에 있어서, 슬라이더(39)의 푸쉬 버튼(39A)을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커터 부재(20)가 탄성 부재(21)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대피 위치(P1)로부터 화살표(X1)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1b에 있어서, 커터 부재(20)가 결합 위치(P2)까지 압입되어 탄성 부재(21)가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도 14a에 도시하는 결합부(44)가 슬라이더(39)의 결합 네일(39B)을 결합한다. 이로써, 커터 부재(20)가 결합 위치(P2)에 유지된다.
도 11c에 있어서,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이 고정된 홀더(63)를 홀더 고정부(23)에 부착한다. 이때,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 사이에 있어서 회동 부재(13)와 반대측으로부터 회동 부재(13)측을 향해서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을 삽입한다. 환언하면, 회동 부재(13)의 회동축(35)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기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을 배치한다.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을 개방한 측으로부터 회동 부재(13)측을 향해서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을 삽입함으로써, 작업자(90)가 정면, 즉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을 개방한 측에서 절단 작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의 절단 상황이 잘 보이므로, 작업자(90)가 갖는 부담을 가볍게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왼손잡이인 경우라도, 용이하게 절단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일정한 상태로 절단할 수 있다.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이 고정된 홀더(63)를 홀더 고정부(23)에 부착한 후, 상부 케이싱(11)을 회동 부재(13)의 회동축(35)(도 5 참조)을 축으로 하여 도 11c의 화살표의 방향[상하의 케이싱(11, 12)을 동시에 패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하의 케이싱(11, 12)을 폐쇄함으로써, 상부 케이싱(11)으로 유지 부재(22)를 하부 케이싱(12)내에 압입한다. 유지 부재(22)의 해제 버튼(43)(도 14b)이 하부 케이싱(12) 안으로 들어가면, 결합부(44)(도 14b)가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결합 네일(39B)의 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부재(21)의 복귀력에 의해, 슬라이더(39)와 일체로 커터 부재(20)가 결합 위치(P2)로부터 화살표(X2)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9)와 일체로 커터 부재(20)가 대피 위치(P1)에 도달한다. 여기에서, 탄성 부재(21)의 복귀력에 의해 커터 부재(20)가 결합 위치(P2)로부터 대피 위치(P1)까지 이동하는 도중에,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의 아래쪽에 흠(37C)을 낸다. 또한, 도 12c에 있어서, 파단 부재(16)가 하강하여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의 흠(37C)의 부위를 가압한다.
도 13a에 있어서, 파단 부재(16)의 하강에 의해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의 흠(37C)의 부위를 가압함으로써, 흠(37C)을 진전시켜 흠(37C)의 위치로부터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을 파단한다. 이 상태에서, 커버(47)가 완전히 폐쇄되어, 상부 가이드 롤러(54)와 하부 가이드 롤러(55) 사이에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 중 파단된 불필요 부분(37B)을 끼운다.
상하의 케이싱(11, 12)에 걸리는 폐쇄력을 해제함으로써, 케이싱용 스프링(73)(도 5 참조)의 가압력에 의해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이 개방된다. 상하의 케이싱(11, 12)이 개방됨으로써, 도 5에 도시하는 회동축(35)과 일체로 기어(57)가 회전하고, 이 기어(57)의 회전을 도시하지 않는 아이들 기어 군을 거쳐서 지지축(55A)(도 13b 참조)의 도시하지 않는 기어에 전달한다.
지지축(55A)이 회전하여, 하부 가이드 롤러(55)가 회전한다. 하부 가이드 롤러(55)의 회전이 상부 가이드 롤러(54)에 전해져, 상부 가이드 롤러(54)가 회전한다. 상하의 가이드 롤러(54, 55)가 회전함으로써, 상하의 가이드 롤러(54, 55) 사이에 끼운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의 불필요 부분(37B)을 수용 상자(46)내로 반송하고, 수용 부재(24)내로 불필요 부분(37B)을 확실히 도입한다.
이와 같이, 광파이버 절단 장치(10)에 의하면,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을 절단할 때에, 커터 부재(20)를 탄성 부재(21)의 복귀력에 의해 이동시키므로, 어떠한 작업자가 절단 장치(D)를 조작했을 경우라도, 커터 부재(20)를 일정한 이동 속도로 이동시켜서,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의 파단면을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터 부재(20)를 시간을 들이지 않고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의 절단 작업의 단축에 기여할 수 있다. 이것은 고소 작업시의 절단 작업을 실행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반드시 파단 부재(16)에 의해 절단하는 구성으로 하지 않더라도 좋다. 즉,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을 절단하는 커터 부재(20)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에 따라, 커터 부재(20)가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에 깊게 들어가고, 커터 부재(20)가 탄성 부재(21)의 복귀력에 의해 우측면측(27B)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글라스 파이버 부분(37A)을 절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부 케이싱(11)의 한쪽 단부(31)를 부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부 케이싱(11)에 설치 구멍(67)을 형성하여 설치 스트랩(66)을 끼우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에,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예시한 상하의 케이싱(11, 12), 상부 고정 부재(15), 파단 부재(16), 하부 고정 부재(18), 커터 부재(20), 탄성 부재(21, 49, 73), 유지 부재(22), 홀더 고정부(23), 수용 부재(24), 커버(47), 캠 부재(51) 등의 재질, 형상, 치수, 형태, 수, 배치 개소 등은 본 발명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제 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17은 평면도이다. 이 절단 장치는 글라스 파이버를 끼워서 고정하는 한쌍의 상하 고정부(101, 102)와, 이들 사이에 배치되어 글라스 파이버에 흠을 내는 커터 부재(103)와, 글라스 파이버의 흠이 난 곳에 외력을 주어 절단하는 파단 부재(104)를 구비하고 있다.
절단 장치(100)는 또한 절단 후의 불필요한 글라스 파이버를 회수하는 수납부(105)와 커버(106)를 구비하고 있다. 절단 장치의 장치 본체(107)에는 광파이버를 끼워서 유지시키는 홀더를 부착하는 홀더 고정부(108)가 설치되어 있고, 홀더 고정부(108)에는 2개의 홀더 고정 부재(109, 110)가 홀더 고정부(108)에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홀더 고정 부재(109, 110)는 홀더를 커터 부재(103)의 이동 방향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고정하도록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회동 방향으로부터 힘이 가해지고 있어서, 도 1에 도시하는 홀더 고정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사용하는 홀더는 절단 장치(100)의 홀더 고정부(108)에 대응가능하다면 어떠한 형태의 홀더도 사용할 수 있고, 일례로서 도 1이나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하는 홀더를 사용할 수 있다. 홀더를 홀더 고정부(108)에 부착·고정하기 위해서는, 홀더 고정 부재(109, 110)의 양쪽 또는 한쪽을 압입하여 홀더를 홀더 고정부(108)내에 부착한다. 홀더 선단으로부터의 광파이버의 돌출 길이가 짧을 경우는, 홀더 고정 부재(109, 110)의 양쪽에 의해 홀더가 유지·고정되는 동시에, 홀더의 선단은 위치 규제부(111)에 의해 위치 규제된다. 홀더 선단으로부터의 광파이버의 돌출 길이가 길 때는, 홀더를 홀더 고정 부재(110)만으로 유지·고정하는 동시에, 홀더의 선단은 홀더 고정 부재(109)에 의해 위치 규제된다.
광파이버의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절단할 경우에는, 홀더를 홀더 고정부(108)에 부착한다. 다음으로, 장치 본체(107)의 상부에 설치한 커버(112)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폐쇄하여, 커버(112)에 구비한 2개의 상부 고정부(101, 102)에 의해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유지한다. 이어서, 한쌍의 고정부(101, 102) 사이에 배치된 커터 부재(103)를 글라스 파이버 부분에 직교시켜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이동시키고, 글라스 파이버 부분의 표면에 초기 흠을 낸다. 계속해서, 초기 흠을 낸 부위를 파단 부재(104)로 가압함으로써, 초기 흠을 진전시켜서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초기 흠의 위치에서 파단한다.
글라스 파이버 부분 중 파단된 불필요 부분을, 커버(106)를 닫는 것으로 상하의 가이드 롤러(113, 113) 사이에 끼운다. 이 상태에서, 상하의 가이드 롤러(113, 113)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회전시켜서, 상하의 가이드 롤러(113, 113) 사이에 끼운 불필요 부분을 수납부(105)로 반송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의 사시도이다. 절단 장치(150)는 커버(151)에 2개의 상부 고정부(152, 153)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154)에는, 상부 고정부(152, 153)에 대응하는 곳에, 2개의 하부 고정구(155, 156)가 설치되는 동시에, 이들 사이에는 절단 커터(C)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154)에는 홀더(157)를 부착하기 위한 홀더 고정부(158)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 고정부(158)에는 2개의 홀더 고정 부재(159, 160)에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홀더(157)를 누르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돌출되어 있다. 홀더(157)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된 광파이버(161)가 짧을 경우에는, 2개의 홀더 고정 부재(159, 160)를 가압력에 저항하여 압입하여, 홀더 고정부(158)내에 배치하는 동시에, 홀더(157)의 선단면(162)을 홀더 고정부(158)가 도시되지 않는 선단벽에 맞대서 위치 규제한다. 홀더(157)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된 광파이버(161)가 길 경우는, 한쪽의 홀더 고정 부재(160)에 의해 홀더(157)를 유지·고정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홀더 고정 부재(159)에 의해 홀더(157)가 위치 규제된다.
이 절단 장치를 이용하여 광파이버의 글라스 부분을 절단하기 위해서는, 홀더(157)를 홀더 고정부(158)에 유지·고정하고, 커버(151)를 본체(154)를 향해서 내리고, 2개의 상하 고정부(152, 153, 155, 156) 사이에 글라스 파이버를 끼워서 고정한다. 하부 고정부(155)의 고정면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경사면에서 글라스 파이버의 굴곡을 흡수하여, 글라스 파이버를 펴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절단 커터(C)를 글라스 파이버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글라스 파이버에 흠을 낸 후, 가압구(163)로 글라스 파이버를 쳐서 절단한다.
일본 특허 출원 제 2004-073028 호(2004년 3월 15일 출원) 및 일본 특허 출원 제 2004-130280 호(2004년 4월 26일 출원)의 명세서, 청구범위, 도면, 요약서를 포함하는 모든 개시는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 장치는 탁상에서의 작업뿐만 아니라, 좁은 공간이나 고소에서의 작업에도 적합하다.

Claims (26)

  1. 광파이버의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로 고정된 글라스 파이버 부분에 흠을 내는 커터와,
    상기 커터를 이동시키는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를 탄성 변형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부재로 이루어진
    광파이버 절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광파이버의 보호 피복 부분을 유지하는 홀더를 고정하는 홀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파이버 부분의 절단된 불필요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불필요 부분을 상기 수용 부재내로 반송하는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 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커터의 이동에 동기해서 개폐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커버에 폐쇄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커터의 이동에 동기해서 상기 커버를 개폐하는 캠 부재를 더 포함하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는, 상기 글라스 파이버가 절단된 후에 상기 커버가 폐쇄되는 형상을 갖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광파이버 절단 장치로부터 제거가능한 수납 상자를 포함하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상자는 상기 불필요 부분을 상기 수납 상자의 안쪽으로 인도하는 곡선부를 포함하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상자는 내부 저면에 점착제를 갖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과 상기 하부 케이싱을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는 회동 부재를 더 포함하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상부 케이싱에 배치된 상부 고정 부재와, 상기 상부 고정 부재에 대향하여 상기 하부 케이싱에 배치된 하부 고정 부재로 이루어진
    광파이버 절단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광파이버의 보호 피복 부분을 유지하는 홀더를 고정하는 홀더 고정부와,
    상기 글라스 파이버 부분의 절단된 불필요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터와,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홀더 고정부와,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하부 케이싱에 배치되어 있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상부 케이싱과 상기 하부 케이싱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 변형된 상태를 해제하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싱과 상기 하부 케이싱 사이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와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회동 부재측을 향해서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삽입가능한 구성으로 한
    광파이버 절단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의 회동축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기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배치하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싱과 상기 하부 케이싱에 개방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싱과 상기 하부 케이싱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는 로크(lock) 부재를 더 포함하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싱과 상기 하부 케이싱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제거가능한
    광파이버 절단 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싱과 상기 하부 케이싱 중 적어도 하나는 설치 스트랩(strap)을 끼울 수 있는 구멍을 갖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
  2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싱과 상기 하부 케이싱은 마그네슘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
  22. 광파이버의 글라스 파이버 부분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로 고정된 글라스 파이버 부분에 흠을 내는 커터와,
    광파이버의 보호 피복 부분을 유지하는 홀더를 고정하는 홀더 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 고정부는 상기 홀더에 상기 커터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힘을 가하여 고정하는 제 1 홀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고정부는, 상기 홀더에 상기 커터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힘을 가하여 상기 홀더를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홀더를 상기 커터의 이동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 결정가능한 제 2 홀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더 고정 부재 및 제 2 홀더 고정 부재는 회동 방향으로부터 힘이 가해지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더 고정 부재 및 제 2 홀더 고정 부재는 챔퍼링되어 있는
    광파이버 절단 장치.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더 고정 부재 및 제 2 홀더 고정 부재는 수지제인
    광파이버 절단 장치.
KR1020057021636A 2004-03-15 2005-01-20 광파이버 절단 장치 KR101056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73028 2004-03-15
JP2004073028 2004-03-15
JPJP-P-2004-00130280 2004-04-26
JP2004130280 2004-04-26
PCT/JP2005/000636 WO2005088370A1 (ja) 2004-03-15 2005-01-20 光ファイバ切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461A KR20060125461A (ko) 2006-12-06
KR101056208B1 true KR101056208B1 (ko) 2011-08-11

Family

ID=3497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1636A KR101056208B1 (ko) 2004-03-15 2005-01-20 광파이버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05169B2 (ko)
EP (2) EP1734387B1 (ko)
JP (1) JP3877005B2 (ko)
KR (1) KR101056208B1 (ko)
CA (1) CA2521794C (ko)
WO (1) WO20050883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02091D0 (en) * 2005-02-02 2005-03-09 Tyco Electronics Raychem Nv Optical fibre splicing device
US20070284367A1 (en) * 2006-06-12 2007-12-13 Mao-Sang Lin Optical disc destroying device
JP4607054B2 (ja) * 2006-06-15 2011-01-0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光ファイバ切断装置
CA2618617C (en) * 2007-01-23 2016-03-29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fiber cutting device
KR100829542B1 (ko) * 2007-02-09 2008-05-23 주식회사 옵텔콤 광섬유 절단기의 광섬유 케이블 안내장치
US7428365B1 (en) * 2007-03-29 2008-09-23 Corning Cable Systems Llc Retention and rotation clamp assembly for use with an angled optical fiber cleaver
EP2212730B1 (en) * 2007-10-19 2013-12-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ladeless optical fiber cleaver and method
JP5084466B2 (ja) * 2007-11-21 2012-11-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切断用カッター、光ファイバの切断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切断用カッターを備えた光ファイバ切断機
DE202008002887U1 (de) * 2008-02-29 2008-04-24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Vorrichtung zum Trennen mindestens eines Lichtwellenleiters
JP5624604B2 (ja) * 2009-04-17 2014-11-1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プロパティズカンパニー ブレードレス光ファイバ切断工具
JP5166391B2 (ja) * 2009-11-25 2013-03-2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被覆除去器
US9841562B2 (en) 2010-04-07 2017-12-12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Fiber devices with displaceable fiber guide
JP5341825B2 (ja) * 2010-06-17 2013-11-13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カッタ収納ケース
JP5403758B2 (ja) * 2010-09-28 2014-01-29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切断装置の屑回収装置
JP5639455B2 (ja) * 2010-12-13 2014-12-10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切断装置及び光ファイバ切断方法
JP2012168260A (ja) * 2011-02-10 2012-09-06 Star Micronics Co Ltd 光ファイバ切断装置
US8506178B2 (en) 2011-06-24 2013-08-13 Go!Foton Holdings, Inc. Mechanical splicer apparatus for fiber optic cables
US8494331B2 (en) * 2011-07-06 2013-07-23 Go!Foton Holding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ss producing optical fiber splice-on connector subunits
US8506179B2 (en) 2011-07-21 2013-08-13 Go!Foton Holdings, Inc. Deformable plastic radially symmetric mechanical splicers and connectors for optical fibers
JP5797972B2 (ja) * 2011-08-12 2015-10-21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カッタ
JP5820183B2 (ja) * 2011-08-12 2015-11-24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カッタ及び光ファイバカッタユニット
JP5205508B1 (ja) 2011-12-28 2013-06-05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カッタ内蔵ケース
WO2014168758A1 (en) * 2013-04-08 2014-10-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ow cost, disposable optical fiber cleaver and a method to cleave an optical fiber
JP5901666B2 (ja) * 2014-01-28 2016-04-1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切断装置および光ファイバ切断方法
EP2902823B1 (en) 2014-02-03 2020-04-01 Nyfors Teknologi AB An optical fiber cleaving device
US9690048B2 (en) 2015-07-07 2017-06-27 Domaille Engineering, Llc Optical fiber fixtures and methods for laser cleaving
JP6673712B2 (ja) 2016-02-12 2020-03-25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切断装置
JP2017207611A (ja) * 2016-05-18 2017-11-24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融着接続機用首下げ式作業トレイ
JP1563774S (ko) * 2016-05-27 2016-11-21
JP6244491B1 (ja) 2017-03-06 2017-12-06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切断装置
CN111033337B (zh) * 2017-12-12 2021-08-27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光纤切断机及光纤切断方法
GB201815406D0 (en) * 2018-09-21 2018-11-07 Oxford Fiber Ltd Optical fibre cleaving tool
EP3859414A4 (en) * 2018-09-27 2022-07-06 Sumitomo Electric Optifrontier Co., Ltd. FIBER OPTIC CUTTING DEVICE AND FIBER OPTIC CUTTING METHOD
US20220258211A1 (en) * 2019-08-01 2022-08-18 Waldemar Manko Apparatus for treating optical fib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5740A (ja) * 2001-11-29 2003-06-10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カッ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46242A (en) 1979-03-08 1980-11-12 Secr Defence Fibre optic cleaving tool
JP2607622B2 (ja) 1988-05-20 1997-05-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切断方法及び装置
JPH099013A (ja) 1995-06-15 1997-01-10 Nikon Corp 画像読取装置
JPH0990136A (ja) 1995-09-20 1997-04-04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の切断装置
GB2308361B (en) * 1995-12-19 1999-07-14 Tritec Developments Ltd Improved optical fibre cleaver
SE513049C2 (sv) 1997-12-19 2000-06-26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för att fixera fibrer
JP3485797B2 (ja) 1998-05-12 2004-01-13 株式会社フジクラ ファイバホルダ用治具
US6695191B1 (en) * 1999-10-08 2004-02-24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Optical fiber cleaver
TW545365U (en) * 2001-12-13 2003-08-01 Ind Tech Res Inst Handheld optical fiber cutting apparatus
JP2004073028A (ja) 2002-08-12 2004-03-11 M & E Trust:Kk 焙煎装置における排気機構
AU2003261613A1 (en) * 2002-08-26 2004-09-17 Ilsin Precision Co., Ltd. Automatic optical-fiber cutter
KR100564245B1 (ko) 2002-08-26 2006-03-29 일신정밀공업(주) 광섬유 절단기
JP4304954B2 (ja) 2002-10-15 2009-07-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薄膜形成装置、薄膜形成方法および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US7025239B2 (en) * 2002-11-25 2006-04-11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Optical fiber cleaver
JP5096706B2 (ja) 2006-07-26 2012-12-12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シャッターカーテンの静音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5740A (ja) * 2001-11-29 2003-06-10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カッ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34387A1 (en) 2006-12-20
WO2005088370A1 (ja) 2005-09-22
EP1734387B1 (en) 2011-11-16
US7305169B2 (en) 2007-12-04
JPWO2005088370A1 (ja) 2007-08-09
EP1734387A4 (en) 2009-12-09
CA2521794C (en) 2013-04-09
EP2383591A1 (en) 2011-11-02
CA2521794A1 (en) 2005-09-22
JP3877005B2 (ja) 2007-02-07
EP2383591B1 (en) 2016-07-20
US20060263028A1 (en) 2006-11-23
KR20060125461A (ko)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208B1 (ko) 광파이버 절단 장치
KR0144307B1 (ko)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
CN100403072C (zh) 纤维切割器
US5530782A (en) Intermediate branching method for optical path
JP6244491B1 (ja) 光ファイバ切断装置
JP4214417B2 (ja) 光ファイバ切断装置
JPH0854522A (ja) 単心光ファイバの集合方法及びテープ化装置
JP4403478B2 (ja) 光ファイバカッタ
JP2003165740A (ja) 光ファイバカッタ
JP2005301142A (ja) 光ファイバ切断装置及び光ファイバの切断方法
TW201825941A (zh) 光纖端接工具及端接光纖之方法
KR100864704B1 (ko) 광섬유 절단기
JP4851418B2 (ja) 光ファイバ切断装置
KR100605119B1 (ko) 텐션과 토션기능을 갖는 광섬유 절단기
EP2772777A1 (en) Stripp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optical fibers
JP4048688B2 (ja) 光ファイバカッタ
JP3406805B2 (ja) 光ファイバ心線の切断機
JP4676475B2 (ja) 光ファイバ切断装置
JPH1096819A (ja) 光ファイバ心線屑回収装置
JPH0710321Y2 (ja) 光フアイバの切断装置
KR20140005332U (ko) 개선된 광케이블 커팅 장치
CN112255737A (zh) 一种设有尾部连接组件的光纤适配器
JPH1078525A (ja) 光ファイバ接続器
JPH08292327A (ja) 光ファイバ端末処理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