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4307B1 -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 - Google Patents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4307B1
KR0144307B1 KR1019940026706A KR19940026706A KR0144307B1 KR 0144307 B1 KR0144307 B1 KR 0144307B1 KR 1019940026706 A KR1019940026706 A KR 1019940026706A KR 19940026706 A KR19940026706 A KR 19940026706A KR 0144307 B1 KR0144307 B1 KR 0144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fiber tape
tape core
multicore optical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6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092A (ko
Inventor
케이지 오사카
테쯔아키 와타나베
켄 카시마
Original Assignee
쿠라우찌 노리타카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라우찌 노리타카,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쿠라우찌 노리타카
Publication of KR950012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6Processes for repairing optical cables
    • G02B6/566Devices for opening or removing the mant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3Optical cables with ribbon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6Processes for repairing optical cables
    • G02B6/566Devices for opening or removing the mantle
    • G02B6/567Devices for opening or removing the mantle for ribbon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형상의 복수의 광파이버(1a)를 가지며, 공통피복으로 일체화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단심광파이버로 분리하는 분리용공구로서, 상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을 수납영역(2)에 수납하는 파이버수납수단과, 상기 수납영역(2)내에 상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을 유지하는 파이버유지수단과, 상기 파이버유지수단에 의해 유지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공통피복(1b)면에 홈을 형성하는 가상수단(3)과, 상기 가상수단(3)의 피치위치를 변경하는 배치규정수단(4)과, 상기 가상수단(3)에 의해 형성된 홈을 따라서 상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에 전단력을 가하는 전단력부가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
제1a도 내지 제1c도는 본 발명의 분리원리를 표시한 개략도.
제2a도 내지 제2c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한 도면.
제3a도 내지 제3c도는 제1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에서 사용가능한 부품을 표시한 도면.
제4a도 내지 제4c도는 제1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의 작용을 표시한 공정도.
제5a도 내지 제5c도는 제1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가상용핀과 함께 핀배치규정부재를 표시한 도면.
제6a도 내지 제6c도는 제1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가상용핀과 함께 핀배치규정부재를 표시한 도면.
제7a도 내지 제7g도는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가상용핀의 일례를 표시한 사시도.
제8a도 내지 제8b도는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가상용핀의 작용을 표시한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전단부재의 일례를 표시한 사시도.
제10a도 및 제10b도는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전단부제의 작용을 표시한 도면.
제11a도 및 제11b도는 12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에 적용가능한 전단부재를 표시한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표시한 도면.
제13도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위치결정할 수 있는 위치결정부재를 표시한 도면.
제14도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위치결정할 수 있는 다른 위치결정부재를 유지부재와 함께 표시한 도면.
제15a도 및 제15b도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위치결정할 수 있는 다른 위치결정부재를 유지부재와 함께 표시한 도면.
제16도는 제2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를 표시한 도면.
제17a도 및 제17b도는 제2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의 내부구조를 표시한 설명도.
제18a도 내지 제18c도는 제2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의 변형예를 표시한 도면.
제19도는 제3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의 외관을 표시한 사시도.
제20a도 및 제20b도는 제3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를 표시한 도면.
제21도는 제3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의 내부구조를 표시한 일부단면도.
제22a도 내지 제22c도는 제3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에 적용할 수 있는 전단기구의 일례를 표시한 공정도.
제23a도 내지 제23c도는 제22a-22c도의 전단기구에 사용되는 전단부재의 장착구조 및 타이밍챠트를 표시한 도면.
제24a도 및 제24b도는 제3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단기구를 표시한 공정도.
제25a도 및 제25b도는 제24a도 및 제24b도의 전단기구에 사용되는 전단부재를 표시한 도면.
제26도는 제4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의 외관을 표시한 측면도.
제27a도 및 제27b도는 제4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의 가상용핀선택기구의 개요를 표시한 도면.
제28a도 및 내지 제28g도는 제4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의 가상용핀 및 전단부재에 의해 분할가능한 형태를 모식적으로 표시한 도면.
제29도는 제4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전단부재선택기구의 개요를 표시한 도면.
제30a도 내지 제30c도는 가상용핀선택기구에 사용되는 판캠 및 전단부재선택기구로서 사용하는 판캠식전단부재의 윤곽례를 표시한 도면.
제31a도 내지 제31d도는 제5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를 모식적으로 표시한 일부 단면도.
제32a도 내지 제32d도는 제6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를 모식적으로 표시한 일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 2 : 수납영역
3 : 가상수단 4 : 배치규정수단
5 : 전단력부가수단 11 : 베이스부재
12 : 가동부재 13 : 측판
14 : 축 15 : L자형부재
16 : 오목형부재 17 : 판스프링
18 : 가상용핀 19 : 핀배치규정부재
20 : 전단부재 31 : 제1부재
32 : 제2부재 33 : 결합부재
34 : 제1직사각형부재 35 : 제2직사각형부재
36 : 가상용핀 37 : 핀배열부재
38 : 전단부재 28A : 하형
38B : 상형 39 : 제1연결부재
40 : 제1노브부재 41 : 제2연결부재
42 : 제2노브부재 51 : 상부부재
52 : 하부부재 53 : 결합부재
54 : 코일스프링 55 : 가상용핀
56 : 파이버위치결정부재 60 : 전단부재
61 : 가압수단 62 : 가상수단
71 : 제1부재 72 : 제2부재
73 : 측판 74,75,76,77 : 다이얼식노브부재
78 : 회전축 79,80,81 : 판캠
82,83,84 : 가상용핀 85,86,87 : 가이드구멍
88 : 회전각도유지수단 90,91,92 : 판캠
93 : 제1부재 94 : 제2부재
95 : 레일부재 96 : 전단부재
97,98 : 레버 100 : 클램퍼
101 : 위치결정부재 102 : 유지부재
103 : 위치결정부재 104 : 축
110 : 고무롤러 111 : 쐐기형부재
112 : 이동축 113 : 전단부재
114 : 고무롤러누름부 115 : 압축코일스프링
116 : 가이드벽
본 발명은, 복수의 광파이버를 평면형상으로 배열하고 공통피복으로 일체화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분리하는 분리용공구에 관한 것이다.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분리할 수 있는 분리구로서, 2개의 기판을 상호 개폐가능하게 연결시킨 분리구가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3-213804호).
그러나, 종래의 분리구에 의하면,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단순히 2분할했을뿐이므로, 임의의 본수(本數)로 3분할 또는 다심광파이버로 분리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다종다양의 분할상태로 임의의 본수로 분리할 수 있는 분리용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복수의 광파이버를 평면형상으로 배열하고 공통피복으로 일체화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단심광파이버로 분리하는 분리용 공구로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수납영역내에 수납하는 파이버수납수단등의 파이버용기와 이 수납영역내에 상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유지하는 파이버유지수단 등의 파이버호울더와, 이 파이버호울더에 의해 유지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공통피복표면에 홈을 형성하는 가상수단 등의 커터와, 이 커터를 착탈가능하게 유지하고 커터의 배치상태를 규정하는 배치규정수단 등의 배치호울더와 상기 커터에 의해 형성된 홈을 따라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에 전단력을 가하는 전단력부가수단 등의 전단력부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 파이버용기에 의해 확실하게 수납영역에 수납되고, 이 수납영역에서 파이버호울더에 의해 정밀도좋게 위치결정된다. 위치결정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은, 커터에 의해 광파이버의 공통피복에 홈이 형성되고, 그 홈을 따라서 전단력부가부재가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분할한다. 이 분할상태는, 배치규정호울더에 의해 커터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그 분할로부터 다심광파이버까지의 분할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하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과, 단지 예로서만 주어지고, 따라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는 고려될 수 없는 첨부도면으로부터 좀더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더 넓은 적용범위는 이하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내에 드는 여러 가지 변경예 및 변형예가 상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므로, 이 상세한 설명 및 특정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표시하긴 하지만, 단지 예로써만 주어진 것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를 첨부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요소에는 동일부호를 사용해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제1a-1c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다. 제1a-1c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표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가상(加傷)수단(3), 배치변경수단(4), 전단력부가수단(5)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은, 거의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광파이버(1a)를 공통피복(1b)으로 일체적으로 고정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이 본 발명의 분리용공구에 삽입되면, 우선 파이버수납영역(2)에 배치된다. 제1a도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이 수납영역(2)에 배치된 상태를 표시한다. 파이버수납영역(2)의 위쪽에는, 적어도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두께이상의 간격을 두고 가상수단(3)이 배치되어 있다. 이 가상수단(3)은 착탈가능하게 또는 고정적으로 배치규정수단(4)에 장착되어 있다. 이 배치규정수단(4)은 파이버수납영역(2)의 상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종다양의 가상형태(균등본수분리용가상, 불균등본수분리용가상등)를 실현한다.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은, 수납영역(2)내에서, 수납영역(2)내에 돌출설치된 위치결정핀(6)과 파이버유지수단(도시생략)에 의해, 적어도 광파이버의 배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가상수단(3)은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에 하강하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공통피복(16)의 표면, 엄밀하게 말하면, 광파이버간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C)에 돌출홈을 형성한다(제1b도참조).
이 돌출홈은 광파이버(1a)에 도달하지 않을 정도의 깊이이지만,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전단강도를 약화시키기에는 충분한 홈이 된다. 이 돌출홈은, 가상수단을 광파이버(1a)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광파이버(1a)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상수단을 이동 또는 광파이버를 이동)시킴으로써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그후 이 확대된 홈을 따라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을 사이에 두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한쌍의 전단력부가수단(5)에 의해 전단력이 부가된다.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은, 이미 가상수단에 의해 확대된 홈에 의해 전단강도가 약화되어 있으므로, 간단히 소망의 분단위치에서 분리된다(제1c도참조).
[실시예 1]
다음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를 제2a-2c도 내지 제6a-6c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2a-2c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를 표시하는 도면이며, 여기서 제2a도는 평면도, 제2b도는 정면도, 제2c도는 우측면도이다. 제3a-3c도는 제1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에 사용가능한 부품(전단부재, 가상용핀, 핀배치규정부재, 판스프링등)을 표시하는 사시도, 제4a-4c도는 제1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의 작용을 표시하는 공정도, 제5a-5c도 및 제6a-6c도는 제1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가상용핀과함게 핀배치규정부재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이 분리용공구는, 베이스부재(11), 가동부재(12), 축판(13)을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부재(11)는, 대부분의 표면영역이 파이버수납영역으로 되어 있으며, 그 양쪽에 대략 u형부재(16)(파이버유지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대략 u형부재(16)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서, 파이버수납영역(2)을 사이에 두고, 한쪽(제2b도에 있어서 오른쪽)에 한쌍의 가상수단(3) 및 배치규정수단(4)이 배치되고, 다른쪽(제2b도에 있어서 왼쪽)에 한쌍의 전단력부가수단(5)이 배치된다. 그러므로, 가상수단(3) 및 배치규정수단(4)을 구성하는 상스크라이버블록(3a)은 가동부재(12)의 하면에 한쪽에 매설되고, 가상수단(3)을 구성하는 하스크라이버블록(3b)은 베이스부재(11)의 상면의 한쪽에 매설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전단력부가수단(5)을 구성하는 상커터블록(5a)은 가동부재(12)의 하면의 다른쪽에 매설되고, 전단력부가수단(5)을 구성하는 하커터블록(5b)은 베이스부재(11)의 상면의 다른쪽에 매설되어 있다.
베이스부재(11)의 후측부에는 축판(13)이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고, 이 축판(13)에는 가동부재(12)가 축(14)을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재(11)의 양측단부에는 상술한 대략 u형부재(16)가 각각 나사등으로 고정되어 있다(제2c도참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은, 베이스부재(11)와 가동부재(12)와의 간격으로 부터 앞쪽으로부터 삽입되고, 대략 u형부재(16)의 열린곳안에 배치된다.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이 대략 u형부재(16)에 배치되면, 적어도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은 2개소에서 위치결정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이 클램퍼(도시생략)에 의해 인장된 상태에서 적용되기 때문에, 통상은 2개소의 위치결정에 위해 적어도 파이버수납영역(2)내의 위치결정은 실현된다. 이 2개소의 위치결정을 완전화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위치결정용핀(21)이 파이버수납영역(2)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제2b도참조).
이들 위치결정용핀(21)에 의해, 한쌍의 대략 u형부재(16)의 사이에서 위치결정되지 않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한쪽이 유지된다.
가동부재(12)는 단면이 5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제2b도참조). 판스프링(17)은, 베이스부재(11)의 파이버수납영역(2)의 후방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어있다. 판스프링(17)의 양단부는, 가동부재(12)를 구성하는 한쌍의 경사면을 균등한 힘으로 가압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동부재(12)는 가동부재(12)의 양단부와 베이스부재(11)의 양단부와의 간격(가동부재(12)의 일단부와 베이스부재(11)의 일단부와의 간격, 가동부재(12)의 타단부와 베이스부재(11)의 타단부와의 간격)이 같은 상태로 유지되고, 최장변(12a)은 베이스부재(11)의 상면에 대하여 거의 평행한 상태로 된다(제2b도참조).
상스크라이버블록(3a) 및 하스크라이버블록(3b)은, 복수의 가상용핀(18) 및 핀배치규정부재(19)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가상용핀(18)은,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할상태에 맞추어서 핀배치규정부재(19)에 장착되고, 파이버수납영역(2)내에서 노출되어 있다(제3c도참조). 또한, 상커터블록 및 하커터블록에는 전단력을 부가하는 전단부재 상형, 하형이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이들 상형, 하형이 상호기능하게 되어 전단력이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에 부가된다. 전단부재 상형, 하형(제3b도참조)으로서는,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빗형날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제1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의 작용을 제4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우선,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을 클램퍼등으로 세트하고, 분리용공구를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일단에 장착한다. 장착된 상태에서는, 가동부재(12)는 수평상태(분리용공구의 초기상태)가 유지되도록 판스프링(17)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분리용공구를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을 따라서 슬라이드시켜도 공통피복(1b)에 홈은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가동부재(12)를 회전해서 일단을 하강시켜서 가동부재(12)를 베이스부재(11)에 장착된 핀배치규정부재(19)에 접근시키면,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에 가상용핀(18)이 가압되어, 공통피복(1b)에 돌출홈이 생기게된다(제4a도참조). 공통피복(1b)에 가상용핀(18)이 밀어넣어진 상태에서 분리용공구를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시킨다. 이 슬라이드조작에 의해, 부가된 돌출홈은 확대되고,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공통피복(1b)에 직선형상의 긁힌 홈이 형성된다(제4b도참조). 다음에, 분리용공구를 수평상태로 되돌리고, 가동부재(12)를 반대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타단을 하강시켜서 가동부재(12)를 베이스부재(11)에 장착된 전단부재(20)에 접근시킨다(제4c도참조). 그러면, 스크래치를 따라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에 전단력이 부가되고, 공통피복(1b)이 분리된다(제4c도참조). 이 상태에서, 분리용공구를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전단이 종료되면, 분리용공구를 초기상태로 되돌리고(분리완료), 분리용공구를 분리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으로부터 꺼낸다.
또한, 스크래치를 형성한후의 다른 공정으로서, 전단을 행하지 않고 분리용공구를 일단 가상개시점으로 복귀시켜도 되며, 그리고 홈이 형성된 것과 같은 방향으로 전단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핀배치규정부재의 변형예를 제5a-5c도 및 제6a-6c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복수의 핀(18)은, 핀배치규정부재(19)의 장착부(19)에 장착되어 있다.(제5a 및 제6a도). 모든 장착부(19a)에는 11본의 핀(18)이 장착가능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12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은 단심광파이버로 분리된다(제5b 및 6b도 참조).
그 외에도, 12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을, 2본마다 6분할, 3본마다 4분할, 4본마다 3분할(제5c 및 6c도 참조), 6본마다 2분할 등의 균등본수에의 균등분할, 3본+9본, 3본+4본+5본의 불균등본수에의 불균등분할을 간단히 실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한 분리용공구에 의하면, 핀배치규정수단(19)의 교환 및 간단한 구동부재(12)의 가동에 의해,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을 다종다양의 분할상태로 분리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사용할 수 있는 가상수단의 변형예를 제7a-7g도 및 제8a-8b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7a-7g도는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가상용핀의 일례를 표시한 사시도, 제8a-8b도는 가상용핀의 작용을 표시한 단면도이다.
가상수단은, 일반적으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공통피복(1b)에 돌출홈을 형성하는 기능, 돌출홈이 생긴 상태에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선단이 원추형상의 핀(제7a도), 선단이 마이너스(-)형상으로 형성된 핀(제7b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선단을 뾰족하게 한 원반형상전단부재를 사용해도 된다(제7d도). 또한, 상하 방향으로는 예를 들면 6매의 전단날(36a)을 일정한 원호영역에 형성하고, 좌우방향으로는 3매의 전단날(36a)을 일정한 원호영역에 형성한 복합형전단부재를 사용해도 된다(제7e,7f 및 7g도참조). 이 복합형전단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6매의 전단날(36a)을 파이버수납영역에 노출시키든가, 3매의 전단날(36a)을 파이버수납영역에 노출시키든가해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할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 선택은 복합형전단부재의 일부를 이루는 축(36C)을 회전함으로써 간단히 행해진다. 이들 핀(36)은,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공통피복(1b)의 두꺼운 부분, 즉, 광파이버간에 형성되는 오목부(1C)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이 12심의 광파이버(1a)를 수납하고, 두께 T=275㎛, 광파이버(1a)의 피치간격 P=250㎛, 폭 L=3.0mm인 경우(제8a-8b도 참조). 최대깊이 DM을 78㎛까지 허용하기 위해서는, 광파이버(1a)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하는 오차허용범위 VM은 약 30 ㎛가 된다. 이것은, 통상의 기계부품의 가공정도에 의해 달성가능하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사용할 수 있는 전단력부가수단의 변형예를 제9도 내지 제11a-11b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9도는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전단부재의 일례를 표시한 사시도, 제10a-10b도는 전단부재의 작용을 표시한 공정도, 제11a-11b도는 12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에 적용가능한 전단부제를 표시한 도면이다.
전단력부가수단의 유형으로서는, 블록날 대 블록날, 블록날대 오목부재의 2종류가 있다. 예를 들면, 전단부재(38)는 블록날 대 블록날의 일례를 표시하며, 3본의 빗형날(38a)을 동간격으로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제9도 참조). 이 전단부재(38)를 파이버수납영역을 게재해서 배치하여 6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전단하면, 단심광파이버로 분리할 수 있다(제10b도 참조).
제11a-11b도는 블록날대 오목부재의 일례를 표시하고, 12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을 단심광파이버로 분리할 수 있는 전단부재를 표시한다. 제11a도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이 배열된 상태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제11b도는 제11a의 측면도이다. 이 전단부재(38)는, 상형(38B)과 하형(38A)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하형(38A)은 동간격으로 배치된 6본의 빗형날(38a)을 가지며, 상형(38B)은 이들 빗형날(38a)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홈(38b)을 가진다. 이들이 상호 맞물림으로써,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에 전단력을 부가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이용할 수 있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종류, 이들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유지하는 파이버유지수단에 대해서, 제12도 내지 제15a-15b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2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표시한 도면, 제13도는 이들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위치결정할 수 있는 위치결정부재를 표시하는 도면, 제14도는 이들 3종의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위치결정하는 가변의 위치결정부재를 유지부재와 함께 표시한 도면, 제15a-15b도는 다른 위치결정부재 및 유지부재를 표시한 도면이다.
제13도 및 제14도에 표시한 위치결정부재(101)는, 대상이 되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종류의 수만큼, 유지부(101a),(101b),(101c)를 가진 점에 특징이 있다. 또, 제15a-15b도에 표시한 위치결정부재(103)는, 회전가능하게 축(105)에 고정되어, 그 회전각도에 의해 유지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회전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여러 가지 심수(心數)의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에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리, 사용하는 심수에 맞추어서 각도를 설정하여 두면, 가동부재(12)가 회전해서 가상수단 또는 전단수단이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에 접촉하기 직전에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위치결정이 완료된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를 제16도 내지 제18a-18c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6도는 제2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를 표시한 사시도 제17a-17b도는 제2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의 내부구조를 표시한 설명도, 제18a-18c도는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 분리용공구는, 제1부재(31), 제2부재(32), 결합부재(33)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재(31)의 일단부(31a)에는 결합부재(33)가 배치되고, 이 결합부재(33)를 게재해서 제2부재(32)가 회전가능하게 축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제1부재(31)의 내면 타단부(31b)에는 제2부재(32)를 향해서 한쌍의 제1직사각형부재(34)가 배치되고, 이 제1직사각형부재(34)와 대응하는 제2부재(32)의 내면에 한쌍의 제 2직사각형부재(34)가 배치되어 있다. 제1직사각형부재(34) 및 제2직사각형부재(35)에 의해,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이 수납되는 수납영역(2)이 형성된다. 한쌍의 제1직사각형부재의 간격 및 한쌍의 제2직사각형부재의 간격은, 분리되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폭 L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제17a도 참조).
제1부재(31) 및 제2부재(32)의 내부에는, 제17a-17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상용핀(36)을 구비한 핀배열부재(37), 전단부재(38)가 내장되어 있다. 제1부재(31)에 장착된 핀배열부재(37)는, 제1연결부재(39)를 게재해서 제1부재(31)의 표면에 노출된 제1노브(Knob)부재(40)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2부재(32)에 장착된 전단부재(38)는, 제2연결부재(41)를 게재해서 제2부재(32)의 표면에 노출된 제2부재(42)에 접속되어 있다. 제1부재(31)에 장착되어 있는 핀배열부재(37)는 제2부재(32)에 장착되어 있는 핀배열부재(37)는 제2부재(32)에 고정되어 있다. 또, 제2부재(32)에 장착되어 있는 전단부재(38)는 인장코일스프링에 의해 제1노브부재(40)를 향해서 가압되어 있으며, 제1부재(31)에 장착되어 있는 전단부재(38)는 제1부재(31)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노브부재(40)를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을 향해서 누르면, 제1부재(31)에 장착된 가상용핀(36)이 하강하여,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공통피복에 돌출홈을 형성한다(제17a도 참조). 이 상태에서, 분리용공구를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을 따라서 슬라이드시키면, 가상용핀(36)에 의해 형성된 돌출홈이 확대되어,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직선형상이 긁힌홈이 형성된다.
계속해서, 제2노브부재(42)를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을 향해서 누르면, 제2부재(32)에 장착된 전단부재(38)가 상승해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공통피복에 형성된 홈을 따라서 전단력이 부가된다(제17b도 참조). 이 상태에서, 분리용공구를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을 따라서 슬라이드시키면,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에 있어서의 전단영역이 확대되어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분리된다.
다음에, 제18a-18c도를 참조해서 본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제18a는 변형예에 관한 분리용공구의 평면도, 제18b도는 이 변형예에 관한 분리용공구의 측면도, 제18c도는 상부재와 하부재를 맞춘상태에서, 스프링(46)을 통하는 면(C-C)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이 분리용공구는, 스크라이버본체(가상수단)(43), 핸들(44), 커터본체(전단력부가수단)(45), 스프링(46)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스크라이버본체(43)의 상부재(43a)에는 상술한 상스크라이버블록(3a)이 매설되어 있으며, 스크라이버본체(43)의 하부재(43b)에 있어서 상스크라이버블록(3a)의 대응위치에는 하스크라이버블록(3b)이 매설되어 있다. 또, 커터본체(45)의 상부재(45a)에는 상술한 상커터블록(5a)가 매설되어 있으며, 커터본체(45)의 하부재(45b)에 있어서 상커터블록(5a)의 대응위치에는 하커터블록(5b)이 매설되어 있다. 핸들(44)은, 스크라이버본체(43) 및 커터본체(45)를 나사등으로 각각 고정하고 있다. 또, 스프링(46)은 상부재(43a),(45a)와 하부재(43b),(45b)를 일정한 각도에서 열린 상태로 유지한다. 스크라이버본체(43)의 하부재(43b)의 일측면에는 대략 u형부재(16)가 나사등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또, 커터본체(45)의 하부재(45b)의 타측면에는 대략 u형부재(16)가 나사등으로 고정되어 있다(제18a 및 제 18b도 참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을 대략 u형부재(16)의 열린곳에 삽입하면,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은 파이버수납영역(도시생략)내에 위치결정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의 엄지등으로 스크라이버본체(43)의 상부재(43a)를 누르면,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이 가상된다.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 분리용공구를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면, 스크라이버선이 형성된다. 다음에, 이 스크라이버선을 따라 분리용공구를 배치하고, 커터본체(45)의 상부재(45a)를 누르면, 스크라이버선을 따라서 전단력이 부가된다. 스크라이버본체(43) 및 커터본체(45)의 기능동작은 상술한 대로이기 때문에(제17a-제17b도 참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3]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를 제19도 내지 제25a-25b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9도는 제3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의 외관을 표시한 사시도 제20a-20b도는 이 분리용공구의 내부구조를 표시한 도면, 제22A-22C도는 제3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의 내부구조를 표시한 일부단면도, 제23a-23c도는 롤러형전단부재의 장착구조의 상세 및 타이밍챠트를 표시한 도면, 제24a-24b도 및 제25a-25b도는 나선형전단부재를 사용한 다른 장착구조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 분리용공구는 상부부재(51), 하부부재(52), 결합부재(53), 파이버위치결정부재(56)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부부재(51)의 양단부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하는 구멍(51a)이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하부부재(52)의 양단부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2종류의 내경을 가지는 계단이 있는 구멍(5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멍(51a),(52a)에는 압축코일스프링(54)을 게재해서 결합부재(53)가 삽입되어 있다. 그 결과, 상부부재(51)는 하부부재(52)에 대해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가 되고, 상부부재(51)를 누름으로써 탄성력에 대항해서 간격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부부재(51)의 하면에는 가상용핀(55)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이 상부부재(51)와 하부부재(52)사이에 삽입되고, 수납영역에 위치결정된 후, 상부부재(51)를 하부부재(52)를 향해서 누르면, 이 가상용핀(55)이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공통피복(1b)에 돌출홈을 부가한다. 이 상태에서, 이 분리용공구를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면, 돌출홈이 확대된다.
이 분리용공구에는 파이버삽입부에 파이버위치결정부재(56)가 장착되어 있다. 이 파이버위치결정부재(56)는, 선단이 경사한 뚜껑부재(56a), 이 뚜껑부재(56a)를 회전가능하게 축방향으로 장착하는 축(56b), 뚜껑부재(56a)가 파이버삽입부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수단(56c)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부부재(51)에는, 뚜껑부재(56a)의 경사부에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된 받침부(5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받침부(51c)는, 상부부재(51)가 압축코일스프링(54)에 대항해서 하강할 때, 뚜껑부재(56a)의 경사부에 걸어맞춰진다. 그 결과, 뚜껑부재(56a)를 상부부재(51) 및 하부부재(52)에 대해서 정밀도좋게 위치결정할 수 있다. 이 위치결정은, 가상용핀(55)이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공통피복(1b)과 접촉하기 직전에 실행되기 때문에,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공통피복(1b)은 소망위치에 정밀도좋게 홈이 형성되는 동시에, 가상 또는 전단작업중에 광파이버가 불의에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에에 적용할 수 있는 전단부재의 장착구조의 일례를 제22a-22c도 및 제23a-23c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장착구조는, 전단력부가수단으로서 롤러형전단부재를 사용하고, 가이드홈, 가이드벽 및 인장코일스프링을 병용함으로써, 가상수단에 의해 형성된 스크라이버선을 따라서 전단력을 부가한다.따라서, 이 장착구조는, 롤러형전단부재(60), 가이드홈(51d),(52d), 가이드벽(51f),(51f) 및 인장코일스프링(61)을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부부재(51) 및 하부부재(52)에는, 롤러형전단부재(60)를 사용해서 전단력을 부가하는 부가기구가 기구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다. 이 기구수납부는, 파이버수납영역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부부재(51)의 기구수납부는, 상한이 수평벽(51e), 경사벽(51f), 수직벽(51g)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부재(52)는 기수납부의 하한이 수평벽(51e), 경사벽(51f), 수직벽(51g)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롤러형전단부재(60)는 롤러축(60a)을 게재해서 캡(63)의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제23b도 참조).
롤러축(60a)의 일단은 상부부재(51)의 측벽에 형성된 길고가는 가이드홈(51)에 걸어맞춰지고, 롤러축(60a)의 타단은 캡(63)에 걸어맞춰지고 있다. 이 캡은 연장코일스프링(61)에 의해 가상수단(62)을 향해서 인장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홈(51d)은 가상수단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파이버수납영역에 접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홈(51d)은, 롤러형전단부재(60)가 가상수단(62)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을 때, 파이버수납영역에 배치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공통피복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전단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롤러축(60a)을 안내하도록 한 경사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 롤러형전단부재(60)를 사용해서 전단기구의 작용을 제22a-22c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롤러형전단부재(60)는, 통상의 상태이면, 인장코일스프링(61)에 의해 가장 가상수단(62)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제22a도 참조). 한쌍의 롤러형전단부재(60)의 사이에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이 삽입되고, 상부부재(51)가 하부부재(52)에 가압되면, 가상수단(62)은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공통피복에 흠이 형성된다. 또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이 더 송출되면, 상부부재(51)의 롤러형전단부재(60)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 가이드벽(51e) 및 경사벽(51f)과의 마찰접촉에의해 회전한다. 마찬가지로, 하부부재(52)의 롤러형전단부재(60)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 가이드벽(51e) 및 경사벽(51f)과의 마찰접촉에 의해 회전하고 인장코일스프링(61)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가상수단(62)으로부터 멀어져 간다. 이 경우, 가상수단(62)에 의해 형성된 돌출홈은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확대된다. 어느정도,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이 송출되고, 롤러형전단부재(60)에 가상부분이 맞닿는 시점에서 한쌍의 롤러형전단부재(60)는 겹쳐지고, 그 결과,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공통피복은 롤러형전단부재(60)에 의해 전단된다(제22b도 참조). 상부부재(51)를 하부부재(52)에 가압하는 힘을 해제하면, 압축코일스프링(54)의 작용에 의해, 상부부재(51)는 하부부재(52)로부터 멀어진다. 그 결과, 롤러형전단부재(60)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으로부터 떨어지고, 인장코일스프링(61)의 작용에 의해, 롤러형전단부재(60)는 가상수단(62)에 접근하도록, 가이드홈(51d)내를 이동한다(제22c도 참조).
이 실시예에 의하면, 가상수단(62)이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공통피복을 가상한후, 일정시간경과후에 한쌍의 롤러형전단부재(60)가 접촉하며, 그 결과, 전단력이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에 부가된다. 예를 들면,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이송속도를 Vf라 하고, 가상수단(62)과 롤러형전단부재(60)의 배치간격을 Lf라 하면, 전단력부가의 지연시간Tf는 (Lf/Vf)가 된다(제23c도 참조).
다음에, 제3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전단기구를 제24도 및 제2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전단기구는, 나선형전단부재(65), 나선형 스프링(64)을 병용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나선형전단부재(65)는 스토퍼(5)를 가지며, 이 스토퍼(5)의 직전의 일정회전각도(90도)에서 반경이 증가하는 윤곽을 가지는 판캠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상부부재(51)에 장착된 나선형전단부재(65)는, 기구수납부의 상부부재(51)의 측판에 지지된 축(63)을 게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유지되고, 나선형 스프링(64)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하부부재(52)에 장착된 나선형전단부재(65)는, 기구수납부의 하부부재(52)의 측판에 지지된 축(6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되고, 나선형 스프링(64)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가상수단(62)은 나선형전단부재(65)로부터 간격 Lf를 두고 배치되어 가상수단(62)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스크라이버선을 따라서 전단력이 부가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 때문에, 나선형전단부재(65)의 반원의 길이는 간격 Lf와 동일하게 되어 있으며(제25b도 참조), 개개의 판캠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이 전단기구의 동작을 설명한다. 변형나선형전단부재(65)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양측에 접촉해서 배치된다(제24a도 참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이 송출되면, 상부부재(51)에 장착된 나선형전단부재(65)는 마찰접촉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하부부재(52)에 장착된 나선형전단부재(65)는 마찰접촉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어느 정도 회전이 진행하면, 나선형전단부재(65)의 선단부는 다른쪽의 나선형전단부재와 서로 겹쳐져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공통피복에 대하여 전단력을 부가한다(제24b도 및 제25a도 참조).
[실시예 4]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를 제26도 내지 제30a-30c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26도는 제4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를 표시한 외관도, 제27a-27b도는 본 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의 가상용핀선택기구의 개요를 표시하는 도면, 제28A-28G도는 본 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의 가상용핀 및 전단부재에 의해 분할가능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표시한 도면, 제27도는 본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전단부재선택기구의 개요를 표시한 도면, 제30a-30c도는 가상용핀선택기구에 사용되는 판캠 및 전단부재선택기구로서 사용하는 판캠식전단부재의 윤곽의 일례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 분리용공구는 ,제1부재(71), 제2부재(72), 측판(73)을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제26도 참조). 제1부재(71) 및 제2부재(72)의 전면에는 다이얼식노브부재(74),(75),(76),(77)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다이얼식노브부재(74),(75),(76),(77)을 회전시킴으로써, 소망의 핀이나 전단부재를 돌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상용핀의 조작을 위해서 다이얼식노브부재(75),(77), 전단부재의 조작을 위해서 다이얼식노브부재(74),(76)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다이얼식노브부재(77)는 회전축(78), 판캠(79),(80),(81) 이들의 판캠(79)∼(81)의 종동절로서, 가상용핀(82),(83),(84)이 접속되어 있다. 이들 가상용핀(82)∼(84)은 수납영역을 향해서 형성된 가이드구멍(85),(86),(87)내에 수납되고, 스프링으로 판캠에 대해서 가압되어 있어 판캠(79)∼(81)의 회전에 따라서 상하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판캠(79)∼(81)이 상승하면, 수납영역상에 핀이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미리 핀의 배치패턴을 다이얼식노브부재(74)∼(77)에 표시하여 두면, 소망의 핀배치를 간단히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회전각도유지수단(88)을 가지고, 회전축(78)을 일정단위각도(예를 들면, 60도간격)로 고정할 수 있다. 이 회전각도유지수단(88)은, 회전축(78)의 중간부에 6각형상으로 형성된 제1걸어맞춤부(88a)와, 이 제1걸어맞춤부(88a)에 걸어맞춰지는 제2걸이맞춤부(88b)가 제2걸이맞춤부(88b)를 제1걸어맞춤부(88a)를 향해서 가압하는 가압수단(88c)을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7패턴의 분할형태(제28a도 내지 제28g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제30a도에 표시한 윤곽을 가진 판캠(79), 제30b도에 표시한 윤곽을 가진 판캠(80), 제30c도에 표시한 윤곽을 가진 판캠(81)을 각각 사용하면 된다.
다음에, 전단부재선택기구를 제29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이 전단부재선택기구도 가상용핀선택기구와 마찬가지의 기구를 가진다. 예를 들면, 다이얼식노브부재(76)는, 판캠(91),(91),(92)를 구비한 회전축(89)에 접속되어 있다. 판캠(90),(91),(92)은 외주가 전단날이 되어 있으며, 회전각도에 따라서, 그 일부가 수납영역으로부터 노출하도록 되어 있다. 제28a-28g도에 표시한 분할상태를 실현하려면, 판캠(90)으로서 제30a도에 표시한 윤곽을 가진 판캠식전단날, 판캠(91)으로서 제30b도에 표시한 윤곽을 가진 판캠식전단날, 판캠(92)으로서 제30c도에 표시한 윤곽을 가진 판캠식전단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부재(71)에 장착되는 판캠식전단날로서는,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전단부재(제9도, 제11a-11b도참조)가 되도록, 대응하는 판캠을 형성하면 된다.
[실시예 5]
다음에,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를 제31a-31d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31a-31d도는, 제5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를 모식적으로 표시한 일부단면도이다.
이 분리용공구는, 가이드레일을 사용해서 전단처리를 자동화시킨 점에 특징이 있으며 제1부재(93), 제2부재(94), 레일부재(95)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가상용핀(18)은 상술의 구조와 마찬가지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제1부재(93) 및 제2부재(94)에는 전단부재(94)가 각각 장착되고, 이들 전단부재(96)는자형상의 제1레버(97), u자형상의 제2레버(98)에 접촉되어 있다. 이들 레버(97),(98)는 인장코일스프링(99)에 의해 그 일단부를 레일부재(95)에 가압한 상태로 유지되고, 레버(97),(98)의 타단부에는 전단부재(96)가 지지되어 있다(제31a도), 레버(97),(98)의 일단부가 레일부재(95)의 일부에 형성된 홈(95a)에 떨어져 들어가면, 레버(97),(98)의 타단부에 의해 전단부재(96)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에 가압된다(제31b도참조). 그 결과,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에는 전단력이 발생한다. 또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양측에는 클램퍼(100)가 배치되고,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은 일정한 힘으로 클램퍼(100)에 의해 파지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레버(97),(98)가 홈(95a)에 떨어져 들어가는 동작에 연동시켜서 전단부재(96)를 이동시키고 있지만, 역으로 홈으로부터 이탈할 때에 이 동작을 실현할 수도 있다. 이들은 내부기구를 변경함으로써 간단히 실현할 수 있으며, 이런 형의 기구는 이미 공지된 것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의 분리수순을 설명한다. 최초로, 분리용공구를 원점으로 이동시키고,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을 클램퍼(100)로 클램프하고, 분리용공구를 폐쇄한다(제31a도참조). 다음에, 분리용공구를 가이드용의 레일부재(95)를 따라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분리용공구를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분리용공구의 캠레버(97)는 레일부재(95)에 접촉하고 있으며, 도중에서 캠레버(97)는 홈(95a)에 떨어져 들어가기 때문에, 분리용공구를 레일부재(95)를 따라서 이동시킬 뿐으로 소망의 위치에서 전단분리가 자동적으로 개시된다(제31b도). 분리가 완료되면, 분리용공구를 열고, 분리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을 클램퍼(100)로부터 꺼낸다.
[실시예 6]
다음에,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를 제32a-32d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32a-32d도는 제6실시예에 관한 분리용공구의 작용을 표시한 공정도이다.
이 실시예는, 고무롤러(110), 쐐기형부재(111), 이동축(112), 전단부재(113), 고무롤러누름부(114), 압축코일스프링(115)을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쐐기형부재(111)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을 따라서, 배치된 가이드벽(116)을 따라서 가이드되고, 그 말단에 장착된 압축코일스프링(115)에 의해 고무롤러누름부(114)로 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고무롤러(110)는 쐐기형부재(111)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고무롤러누름부(114)에 의해 수평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구속되어 있다. 이 고무롤러(110)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과 고무롤러누름부(114)와 접촉하고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이동량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고무롤러누름부(114)를 따라서 연동한다. 쐐기형부재(111)의 중간부에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배열면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한 이동축(11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전단부재(11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전단부재(113)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부는 전단날로 되어 있다. 이 전단부재(113)는, 쐐기형부재(111)에 대해서 일종의 종동절로서 기능하고, 쐐기형부재(111)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이송방향에 대해, 전단부재(113)의 상류측(제32a-32d도)에 있어서는 좌측에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에 스크라이버선을 형성하는 가상수단(62)이 배치되어 있다.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이 송출되고, 가상수단(62)의 스크라이브개시점이 전단부재(113)의 바로 밑에 도달했을때(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이 Lf만큼 이동했을 때), 쐐기부재(111)의 경사부는 전단부재(113)를 아래쪽으로 누르기시작한다(제32b도참조). 이 지점으로부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공통피복의 전단이 개시된다. 또한, 고무롤러(110)가 다 전진하면, 전단부재(113)는 더 아래쪽으로 눌려진다(제32c도참조). 고무롤러(110)가 고무롤러누름부(114)의 말단까지 도달하면, 고무롤러(110)는 공전하기 시작하고, 전단부재(113)는 정위치에서 회전을 계속한다(제32d참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은 계속전진하기 때문에, 고무롤러(110)는 스프링력에 의해 왼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에도 공전을 계속하고, 원점(K'점)에는 복귀하지 않는다.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을 꺼내면, 고무롤러(110), 쐐기형부재(111)는 원점에 복귀한다.
이 실시예에 관한 분리용장치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을 이동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의 공통피복에 스크라이버선을 형성하고, 이 스크라이버선을 따라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1)을 소망의 분할상태로 분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분리용공구의 실시예, 변형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실시예에 사용할 수 있는 부품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가상수단으로서는 배치규정수단(4)에 대해 착탈가능한 타입을 일례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미리 다종다양한 패턴을 준비하여 두고, 이들을 배치규정수단(4)에 고정한 일체형구조로 해도 된다. 또한, 가상수단, 배치규정수단은 가상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파이버수납영역(2)을 사이에 두고 상하방향으로 배치해도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여러 가지 분할상태로 임의의 본수로 분리할 수 있다.
이와같이 설명된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여러 가지로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와같은 변화는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며,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변형에는 다음 특허청구의 범위내에 포함되어야 한 것이다.
1993년 10월 20일에 출원된 기본일본출원서 제262537/1993호는 참고로서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Claims (17)

  1. 복수의 광파이버를 평면형상으로 배열하고 공통피복으로 일체화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분리하는 분리용공구로서, 상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수납영역에 수납하는 파이버용기와, 상기 수납영역내에 상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유지하는 파이버호울더와, 상기 파이버호울더에 의해 유지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공통피복표면에 홈을 형성하는 커터와, 상기 커터를 유지하고 상기 커터의 피치위치를 규정하는 배치호울더와, 상기 커터에 의해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공통피복면에 홈을 형성한 후에 이 홈을 따라서 상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에 전단력을 가하는 전단력부가 부재를 구비하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광파이버의 배열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안쪽을 위치결정하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파이버호울더는 상기 광파이버의 배열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다른쪽을 유지하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호울더는, 분리작업전에는 파이버테이프심선을 상기 수납영역내에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고, 상기 커터가 상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공통피복을 가상하기 직전에 상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소정위치에 유지하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호울더는, 광파이버의 심수에 따라서 상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다른쪽에 대응하는 다른 유지위치에 유지부를 가지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공통피복에 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형성된 홈을 확대하기 위해서 적합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호울더는 상기 커터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복수의 장착부를 가지며, 상기 커터를 상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할상태에 맞추어서 소정의 장착부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가상위치를 변경하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호울더는, 상기 커터를 종동절로 하고 상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할상태에 맞추어서 윤곽이 규정된 판캠, 상기 판캠을 유지하는 축, 상기 축을 소정회전위치에 유지하는 호울더, 및 상기 축을 회전하는 노브부재를 가지며, 상기 노브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가상위치를 변경하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력부가부재는, 빗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전단날 및 상기 전단날과 맞물리는 복수의 홈부재를 포함해서 구성되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 공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단날은, 적어도 상기 복수의 광파이버가 배열된 상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할상태에 맞추어서 배치되어 있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력부가부재는, 상기 복수의 전단날을 상기 광파이버배열면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가지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커터에 의한 가상전의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에 대해서는 손상을 주지않고, 상기 커터에 의한 가상후의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에 대해서는 유효한 전단력을 주는 가압력을 가지는 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 및 상기 전단력부가부재를 동일평면상에 배열한 베이스부재와, 상기 커터 및 상기전단력부가수단을 연결하는 선과 교차하는 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가동부재와, 상기 커터 및 상기 전단력부가수단에 대한 상기 가동부재의 간격이 거의 같게 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동부재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더 구비하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를 상기 수납영역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수단과, 상기 커터를 상기 제1가압수단의 가압력에 대항해서 상기 수납영역에 돌출시키는 제1압출부재와, 상기 전단력부가부재를 상기 수납영역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수단과, 상기 전단력부가수단을 상기 제2가압수단의 가압력에 대항해서 상기 수납영역에 돌출시키는 제2압출부재를 더 구비하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따라서 배치되고, 그의 상면 및 하면의 일부에 홈을 가지는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의 홈에 걸어맞추는 레버를 가지며, 이 레버가 홈에 걸어맞춤 또는 걸어맞춤 이탈할때의 동작에 연동시켜서 상기 전단력부가부재를 상기 수납영역에 압출하는 전단용압출기구를 더 구비하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따라서 배치되고, 그의 상면 및 하면의 일부에 홈을 가지는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의 홈에 걸어맞추는 레버를 가지며, 이 레버가 홈에 걸어맞춤 또는 걸이맞춤이탈할때의 동작에 연동시켜서 상기 전단력부가부재를 상기 수납영역에 압출하는 압출기구를 더 구비하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가 상기 파이버수납영역내에 상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가상한 후, 일정한 시간 지연되어 상기 전단력부가부재를 상기 파이버수납영역내에 압출하는 기구를 더 구비하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
  17. 복수의 광파이버를 평면형상으로 배열하고 공통피복으로 일체화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분리하는 분리용공구로서, 상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수납영역내에 수납하는 파이버수납수단과, 상기 수납영역내에 상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을 유지하는 파이버유지수단과 상기 파이버유지수단에 의해 유지된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공통피복면에 홈을 형성하는 가상수단과, 상기 가상수단을 유지하고 상기 가상수단의 배치상태를 규정하는 배치규정수단과, 상기 가상수단에 의해 파이버테이프심선의 공통피복표면에 홈을 형성한후에 이 홈을 따라서 상기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에 전단력을 가하는 전단력부가수단을 구비하는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
KR1019940026706A 1993-10-20 1994-10-19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 KR0144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262537A JPH07113915A (ja) 1993-10-20 1993-10-20 多心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分離用工具
JP93-262537 1993-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092A KR950012092A (ko) 1995-05-16
KR0144307B1 true KR0144307B1 (ko) 1998-10-01

Family

ID=17377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6706A KR0144307B1 (ko) 1993-10-20 1994-10-19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524166A (ko)
EP (1) EP0650237B1 (ko)
JP (1) JPH07113915A (ko)
KR (1) KR0144307B1 (ko)
CN (1) CN1080889C (ko)
AU (1) AU672131B2 (ko)
CA (1) CA2133494A1 (ko)
DE (1) DE69407729T2 (ko)
SG (1) SG46316A1 (ko)
ZA (1) ZA9472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2503A (en) * 1995-09-07 2000-04-18 Dsm N.V. Optical glass fiber ribbon assembly and radiation curable matrix forming composition
JP3218280B2 (ja) * 1996-03-06 2001-10-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多心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分離装置
JP3172084B2 (ja) * 1996-03-12 2001-06-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フラットケーブル
FR2759466B1 (fr) * 1997-02-13 2001-11-16 Pirelli Cables Sa Procede pour extraire mecaniquement le materiau d'encapsulation d'un ruban de fibres optiques et outil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US5926598A (en) * 1997-06-10 1999-07-20 Klein; Dennis Apparatus for breaking out ribbonized fiber optic cables
US6053085A (en) * 1997-11-12 2000-04-25 Siecor Corporation Ribbon separation tool and method for separating an optical fiber ribbon
FR2772933B1 (fr) * 1997-12-24 2002-01-25 France Telecom Outil de denudage de rubans de fibres optiques
KR100357177B1 (ko) * 1998-01-13 2002-12-1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마이크로컴퓨터의명령해석장치
US6007413A (en) * 1998-04-01 1999-12-28 Pirelli Cabl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idspan access of encapsulated optical fibers
SE514117C2 (sv) * 1999-03-12 2001-01-08 Ericsson Telefon Ab L M Sätt och anordning för att bilda en bandkabelliknande struktur av lösa optiska fibrer, samt adhesivt band
US6556760B1 (en) 1999-08-31 2003-04-29 Corning Cable Systems Llc Optical fiber ribbon separation tool
US6539151B2 (en) 2000-08-21 2003-03-25 Corning, Incorporated Method for making separable multiple core optical fibers, the resulting fiber structures, and uses thereof
US6594434B1 (en) * 2001-10-26 2003-07-15 Ciena Corporation Fiber optic cables management and measurement apparatus
KR100479662B1 (ko) * 2002-07-24 2005-03-30 이정길 착유기 유두컵용 백색 라이너 고무조성물
CN100516955C (zh) * 2002-11-06 2009-07-22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光纤带和使用光纤带的光缆
EP1558957B1 (en) * 2002-11-06 2010-04-2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fiber ribbon and optical fiber cable using the same
JP2005196058A (ja) 2004-01-09 2005-07-21 Fujikura Ltd テープ形光ファイバ分離装置
JP4115433B2 (ja) * 2004-07-16 2008-07-0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分離方法及び分離工具
US7693374B2 (en) * 2006-05-11 2010-04-06 Corning Cable Systems Llc Tool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fiber optic distribution cables
US7418180B2 (en) * 2006-12-21 2008-08-26 Corning Cable Systems Llc Optical fiber ribbon splitting tool
JP2009210930A (ja) * 2008-03-05 2009-09-1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ファイバテープ及びその単心分離工具
JP5469051B2 (ja) * 2010-12-20 2014-04-09 株式会社フジクラ テープ心線分割工具
CN102315088A (zh) * 2011-03-29 2012-01-11 上海华碧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倒装芯片封装产品染色方法
JP5617885B2 (ja) * 2012-09-18 2014-1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皮膜付平角線の皮膜剥離方法及び皮膜剥離装置
ITFI20120233A1 (it) * 2012-10-29 2014-04-30 Esanastri S R L Dispositivo di micro-sfridatura di film plastici o in carta a uno o più strati autoadesivi, biadesivizzati o elettrostatici accoppiati con un liner di supporto antiaderente
CN103076652A (zh) * 2013-02-07 2013-05-01 上海天信网络科技有限公司 拇指光纤剥线器
JP6130694B2 (ja) * 2013-03-21 2017-05-17 株式会社関電工 コード単心分離工具及びコード単心分離方法
JP6620626B2 (ja) * 2016-03-23 2019-12-1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07176347B (zh) * 2017-07-12 2022-07-12 上海节卡机器人科技有限公司 氨纶称重自动定位装置
CN111962171B (zh) * 2020-08-24 2021-09-03 桐乡市佑通新材料有限公司 一种聚酯短纤维制备加工工艺
US11886028B1 (en) * 2020-10-01 2024-01-30 Hubbell Power Systems, Inc. Rollable ribbon separator
US11780103B2 (en) 2021-02-11 2023-10-10 Prysmian S.P.A. Fiber ribbon separation tool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T900002I4 (en) * 1971-02-08 1972-07-18 Optical fiber ribbon and method op manufacture
US4046298A (en) * 1975-12-29 1977-09-06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tripping optical fiber ribbons
US4179964A (en) * 1976-01-27 1979-12-25 K-G Devices Corporation Ribbon cable splitting device
DE3245871A1 (de) * 1982-12-11 1984-06-14 kabelmetal electro GmbH, 3000 Hannov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aengstrennen oder spalten von flachbandleitungen
ZA844474B (en) * 1983-06-17 1985-02-27 Bicc Plc Optical fibre ribbon structure
US4720165A (en) * 1985-02-25 1988-01-19 Mitsubishi Rayon Company Ltd. Optical fiber shee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on thereof
KR880003203A (ko) * 1986-08-05 1988-05-14 나까하라 쯔네오 광파이버 심선
JPS63316804A (ja) * 1987-06-19 1988-12-26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テ−プの外部被覆剥離方法
US5076881A (en) * 1989-07-14 1991-12-31 At&T Bell Laboratories Apparatus for fabricating an optical fiber ribbon
JP2768783B2 (ja) * 1990-01-18 1998-06-2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テープ分離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46316A1 (en) 1998-02-20
EP0650237A2 (en) 1995-04-26
KR950012092A (ko) 1995-05-16
JPH07113915A (ja) 1995-05-02
ZA947261B (en) 1995-05-23
DE69407729T2 (de) 1998-05-20
CA2133494A1 (en) 1995-04-21
DE69407729D1 (de) 1998-02-12
EP0650237A3 (en) 1996-01-24
AU672131B2 (en) 1996-09-19
EP0650237B1 (en) 1998-01-07
CN1080889C (zh) 2002-03-13
AU7307394A (en) 1995-05-11
US5524166A (en) 1996-06-04
CN1113573A (zh) 1995-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4307B1 (ko) 다심광파이버테이프심선의 분리용공구
KR101056208B1 (ko) 광파이버 절단 장치
KR101300937B1 (ko) 광섬유 절단 장치
EP0568112B1 (en) Apparatus for cutting an optical fiber
US5530782A (en) Intermediate branching method for optical path
JPH0843666A (ja) 細長い素子を位置付け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5003846A (en) Optical fiber cable-stripping device
JP6244491B1 (ja) 光ファイバ切断装置
CN107085267B (zh) 光纤保持架及能够安装该光纤保持架的光纤切断装置
JP2007047812A (ja) 光ファイバ切断装置
JP7122326B2 (ja) 光ファイバ切断機、および光ファイバ切断方法
WO2009105770A1 (en) Optical fiber tool
EP3859414A1 (en) Optical fiber cutting device and optical fiber cutting method
JP3623100B2 (ja) 無切断ケーブル用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分割工具
JP2000354909A (ja) リード線切断装置
JP2930106B2 (ja) 被覆線材の中間被覆除去装置
JP2995191B2 (ja) 調理用スライサー
JP2003270450A (ja) 光ファイバ被覆剥取刃部材、光ファイバ挿入ガイド部材、光ファイバ被覆剥取装置、及び光ファイバ被覆剥装置の位置整合ピンの取付け方法
JP3844595B2 (ja) 光ファイバの被覆除去装置
US20230176285A1 (en) Optical fiber cutter and method of cutting optical fiber
JPH06258529A (ja) 多心光ファイバテープの端末被覆除去方法および装置
JP2003262738A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分離工具
JP2017009772A (ja) 光ファイバ切断装置及び光ファイバ切断方法
JPS59178968U (ja) 光フアイバ作業用工具
JPS6219499A (ja) プロツタのペン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