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035B1 - 산화 안정성이 향상된 이중결합을 가진 유기물을 함유하는조성물 - Google Patents

산화 안정성이 향상된 이중결합을 가진 유기물을 함유하는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035B1
KR101045035B1 KR1020057008827A KR20057008827A KR101045035B1 KR 101045035 B1 KR101045035 B1 KR 101045035B1 KR 1020057008827 A KR1020057008827 A KR 1020057008827A KR 20057008827 A KR20057008827 A KR 20057008827A KR 101045035 B1 KR101045035 B1 KR 101045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nsaturated fatty
antioxidant
unsaturated
acid
fatty ac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2144A (ko
Inventor
노부시게 도이사키
쓰요시 고리야마
준 오카노
슈지 진노
Original Assignee
니폰스이산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스이산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스이산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2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23D9/013Other fatty acid esters, e.g. phospha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5/00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 C09K15/04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09K15/06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61K31/23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etretin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e.g. ranitidine, furosemide, bufetolol, musca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5/00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 C09K15/34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plant or animal materials of unknown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5/00Preserving by using additives, e.g. anti-oxidants
    • C11B5/0021Preserving by using additives, e.g. anti-oxidants containing oxygen
    • C11B5/0028Carboxylic acids; Their deriv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Immu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 Cosmetic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Anti-Oxidant Or Stabilizer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고도 불포화 지방산과 같은 산화되기 쉬운 이중결합을 가진 유기물에 대해 항산화제로서 참깨의 항산화 성분 및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지방산 에스테르를 첨가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산화 안정성이 향상된 이중결합을 가진 유기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특히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유지의 산화 안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식품, 의약품, 사료 등에 첨가할 때, 취급이 용이하고, 조작성, 범용성이 우수하며 산화에 대해 안정한 정제 어유를 얻을 수 있다.
산화 안정성, 고도 불포화 지방산, 세사몰, 아스코르브산, 참깨, 어유, 항산화 성분

Description

산화 안정성이 향상된 이중결합을 가진 유기물을 함유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SUBSTANCE HAVING DOUBLE BOND WITH IMPROVED OXIDATION STABILITY}
본 발명은 산화 안정성이 향상된 이중결합을 가진 유기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과 같은 산화되기 쉬운 이중결합을 가진 유기물에 대하여 항산화제로서 참깨의 항산화 성분 및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지방산 에스테르가 첨가된, 산화 안정성이 향상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란, 이중결합을 3개 이상 가진 지방산이다.
근래, 유지류, 특히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유지류에 생리적 작용이 있는 것이 알려지게 되어, 건강을 지향하는 측면에서, 식품이나 사료에 대한 첨가용 등으로 널리 이용되게 되었다. 에이코사펜타엔산 및 도코사헥사엔산은 주로 어유(魚油)에 포함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지만, 이들은 고지혈증, 고혈압의 예방, 피부의 노화방지 등의 여러 가지 작용을 가진 것이 발견되어, 건강 증진을 위한 식품소재, 의약품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유 지류는 산화 안정성이 낮기 때문에, 첨가할 수 있는 식품에 제한이 있을 뿐 아니라, 식품 등에 첨가할 때, 그 제조 과정에서 약간의 산화에 의해서도 냄새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사용 후에 남은 정제 어유의 캔에는 질소 가스를 봉입한 후 밀폐해야 하는 등, 유지의 취급 자체에도 배려가 필요하며, 그것의 사용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제품의 종류, 유통 온도, 첨가량 등에는 자연히 제한이 있었다.
예를 들면, 도코사헥사엔산이나 에이코사펜타엔산은, 유아의 뇌나 망막의 발달이나 기억 학습능력에 중요한 작용을 하고, 모유 중에 이들 지방산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육아용 조제유에는 도코사헥사엔산, 에이코사펜타엔산을 함유하는 어유가 첨가되어 시판되고 있다. 또, 아라키돈산은 발육에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어, 모유 중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육아용 조제유에 아라키돈산을 첨가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육아용 조제유에 배합하는 경우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산화에 주의하지 않으면, 산화에 의해 산화냄새가 발생하기 때문에, 섭취하기 어려움은 물론이고 조제유 자체도 변질되어, 유독화되는 경우까지 생긴다.
에이코사펜타엔산 에틸에스테르는 캡슐제가 경구투여의 의약품으로서 판매되고 있다. 또, 에이코사펜타엔산, 도코사헥사엔산을 함유하는 정제 어유는 역시 캡슐제가 건강 식품으로서 판매되고 있다. 산화되기 쉽기 때문에 캡슐제 이외의 이용은 한정되어 있다.
이들 유지에서의 산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태양의 하나로 분말화가 있고, 안정된 유지 분말을 얻기 위해서 유지를 마이크로캡슐 중에 봉입하여 분말화하거나,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의해서 유지를 포장하여 분말화하는 방법 등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제조 작업이 번잡하여 생산성이 나쁘고, 또한 보존 과정에서 캡슐의 파괴사고가 발생하거나, 식품, 사료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캡슐의 종류가 한정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종래, 유지의 산화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항산화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 경우, 복수의 항산화제를 조합하거나, 항산화제와 인산, 구연산,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상승제를 첨가함으로써 항산화성이 향상되는 것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어유와 같이 산화 안정성이 매우 낮은 유지의 경우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고려되는 항산화제와 상승제의 조합만으로는 산화 안정성의 향상에 한계가 있었다.
유지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HT),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BHA), 몰식자산, 몰식자산프로필, 토코페롤류 등이 산화 방지제로서 유지류 및 유지를 포함하는 식품용으로 인지되어 있다. 의약품 등으로는 합성 항산화제로서 BHT, BHA, TBHQ, 에톡시킨 등이 사용되고 있다
참기름은 산화에 대하여 비교적 안정하기 때문에, 참깨에는 항산화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은 예전부터 알려져 있고, 세사몰을 비롯하여 각종 리그난류 등을 함유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 특개소58-132076호 공보, 식의과학, 225(11) p.40-48(1996), 동 문헌 225(11) p.32-36(1996)).
세사몰은 식품첨가물로서 인지되어 있는 유지류 및 유지를 포함하는 식품용 산화 방지제이지만, 어유와 같이 대단히 산화 안정성이 나쁜 유지로서는 효과가 없 다고 보고되어 있고(日本油脂株式會社, DHA 고도 정제추출 기술개발 사업 평성 4∼8년도 결과 개요(DHA 고도 정제 추출기술 연구조합) P74-79(2002)), 어유의 산화 안정성 향상을 위해서는 사용되고 있지 않다.
또,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식품첨가물로서 인지되어 있는 유지류 및 유지를 포함하는 식품용 산화 방지제이지만, 어유와 같이 대단히 산화 안정성이 나쁜 유지에서는 단독으로 효과가 없고, 토코페롤과의 조합에 있어서도 그 효과는 충분하지 않다.
유지의 산화 방지를 위해, 여러 가지 항산화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개2002-142673호 공보에는 몰식자산, 수용성 항산화제 및 유용성 항산화제를 친유성 유화제로 유중수(water-in-oil)형으로 유화되어 이루어지는 친유성 산화 방지제가 기재되어 있다. 수용성 항산화제로서 비타민 C, 구연산, 클로로겐산 및 그 유도체, 당(糖) 아미노 반응물, 프로안토시아니딘, 후라본 유도체, 차 추출물, 포도 종자 추출물 및 루틴, 또한, 유용성 항산화제로서 토코페롤,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 세사몰, γ-오리자놀이 예시되어 있다.
일본영양ㆍ식량학회지, 44(6) p.493-498(1991), 동 문헌 45(3) p.291-295(1992), 동 문헌 45(3) p.285-290(l992)에는 식물 유지 중의 토코페롤의 열분해에 대한 각종 항산화제의 효과가 비교 검토되어 있다. 그 각종 항산화제 중에, 세사몰과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를 병용한 것도 포함되어 있지만, 다른 항산화제와 비교하여 특히 우수한 효과가 인지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고도 불포화 지방산(불포화 결합이 3개 이상)을 실온 등에 저장했을 때에 발생하는 산화와는 달리, 본 문 헌에서는 식물유(불포화 결합이 3개 이하)의 고온 가열 시 유지의 산화에서의 효과를 대상으로 삼고 있고, 대상물 또는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세사몰과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의 병용에 의한 우수한 효과를 발견할 수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항산화제 자체의 열안정성의 영향도 생각할 수 있다.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유지류의 수요는 계속 높아지고, 그 취급을 포함한 산화 안정성의 문제는 엄밀한 의미에서 해결할 것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산화 안정성이 현저하게 향상된 이중결합을 가진 유기물, 특히 고도 불포화 지방산 또는 그 에스테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유지(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많이 포함하는 유지, 예를 들면, 어유 등의 수산 동물유)의 산화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여러 가지 검토를 거듭한 결과, 세사몰과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지방산 에스테르를 조합하여 첨가함으로써, 유지의 산화 안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했다. 또한, 세사몰 이외의 참깨의 항산화 성분도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지방산 에스테르를 조합함으로써 항산화 작용이 현저하게 상승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은, 이하의 (1)∼(13)에 기재된 조성물을 요지로 한다.
(1) 항산화제로서 참깨의 항산화 성분 및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지방산 에스테르를 첨가한, 산화 안정성을 가지며 이중결합을 가진 유기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2) 이중결합이 활성 메틸렌을 가진 이중결합, 또는 말단의 이중결합인 (1)의 이중결합을 가진 유기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3) 이중결합을 가진 유기물이 고도 불포화 지방산, 그 염, 또는 그 에스테르인 (1)의 조성물.
(4)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 에이코사펜타엔산, 도코사헥사엔산 중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지방산인 (3)의 조성물.
(5)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에스테르가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저급 알코올 에스테르인 (3) 또는 (4)의 조성물.
(6)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에스테르가 정제 어유로서 함유되는 (3) 또는 (4)의 조성물.
(7) 참깨의 항산화 성분이 전기화학 검출기를 이용한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로 검출되는, 용출 시간이 2.66, 3.40, 3.84, 4.57, 4.98, 5.82, 7.00, 8.67, 9.84, 11.24, 12.29, 12.49, 13.36, 14.04, 14.32, 14.74, 15.22, 15.60, 15.82, 16.34, 16.98, 18.10, 18.43, 34.91분 부근에서 피크를 나타내는 성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
(8) 참깨의 항산화 성분이 참깨, 참기름 또는 참깻묵의 용매, 지질, 또는, 유화제 중 어느 하나의 단독 또는 혼합 용매에 의한 추출물인 (l)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
(9) 참깨의 항산화 성분이, 세사몰, 세사미놀, 에피세사미놀, 피노레지놀, 에피피노레지놀, 시링가레지놀, 사민, 세사몰리놀, 2,3-디(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질)-2-부텐-4-올라이드[2,3-di(4'-hydroxy-3'-methoxybenzyl)-2-buten-4-olide]로부터 선택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
(10) 아스코르브산 지방산 에스테르가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 또는 아스코르브산 스테아레이트 중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인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
(11)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지방산 에스테르를 고도 불포화 지방산, 그 염, 또는 그 에스테르에 대한 가용량(可溶量) 이상의 과잉량을 첨가한 것인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
(12) 과잉량의 아스코르브산을 분말 또는 고형물로서 첨가한 (11)의 외용(外用) 조성물.
(13) 토코페롤을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
(14)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
(15)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분말 유지.
(16)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유아용 분유.
(17)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건강 식품.
[발명의 효과]
산화 안정성이 낮은 활성 메틸렌을 가진 이중결합, 또는 말단의 이중결합을 가진 유기물, 특히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산화 안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 제한되어 있던 의약품, 화장품, 식품 등에 고도 불포화 지방산 함유 조성물의 첨가를 용이하게 하고, 또한 첨가량을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참깨 항산화 성분,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지방산 에스테르는 모두 오랜 기간 식경험이 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식품에 이용하는 경우에도 안전한 항산화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유지의 산소 흡수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2의 유지의 산소 흡수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3의 유지의 산소 흡수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 4의 유지의 산소 흡수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5의 유지의 산소 흡수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6의 참깻묵 추출물 1의 전기화학 검출기를 이용한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의 차트이다.
도 7은 실시예 6의 샘플의 산소 흡수량의 추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 7의 샘플의 말론디알데히드 농도의 추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 7의 샘플의 알케날류 농도의 추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 11의 샘플(세사몰 0.5%)의 산소 흡수량과 항산화제의 잔존량의 추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 11의 샘플(세사몰 1.0%)의 산소 흡수량과 항산화제의 잔존량의 추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11의 4일 후에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를 추가한 경우의 샘플의 산소 흡수량과 항산화제의 잔존량의 추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 12의 샘플의 PV의 추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BHT 및 본 발명의 항산화 처방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이중결합을 가진 유기물이란, 실온에서 저장되어 있더라도 자동적으로 산화되는 산화가 쉬운 유기물이다. 예를 들면, 활성 메틸렌을 가진 이중결합, 또는 말단의 이중결합을 가진 유기물이며, 불포화 지질, 고분자 원료(모노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불포화 지질 중에서도 특히 이중결합을 4개 이상 가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은 대단히 산화되기 쉽고, 종래의 항산화제로는 충분히 산화를 억제하도록 대응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 또는 그 에스테르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저급 알킬의 에스테르,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등이다. 구체적으로는, 에이코사펜타엔산, 도코사헥사엔산 등을 많이 함유하는 어유 등의 수산 동물유나, 그것을 에스테르화한 에이코사펜타엔산 에틸에스테르, 도코사헥사엔산 에틸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란 불포화도 3 이상의 지방산을 의미한다. 특히, 불포화도 4 이상의 지방산에 있어서 효과가 현저하다. 불포화도 3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으로는, α-리놀렌산, 아라키돈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도 코사헥사엔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류는, 이들 지방산의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트리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모노글리세라이드 등의 에스테르형 유도체를 포함한다.
에이코사펜타엔산은, 탄소수 20이고 이중결합 5개를 가진 불포화 지방산의 총칭이지만, 천연물로는 이중결합의 위치가 5, 8, 11, 14, 17이고, 전부 시스형의 직쇄 5가 불포화 n-3계 지방산을 지칭한다. 도코사헥사엔산은, 4, 7, 10, 13, 16, 19 위치에 시스 이중결합을 갖는 탄소수 22의 직쇄 헥사엔산이다. 이들 천연물 유래의 EPA, DHA는, 천연 유지, 특히 다랑어, 가다랭이, 고등어, 정어리, 대구 등의 수산물 유지 중에 그 자체로서, 또는 그 글리세라이드 등의 유도체로서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불포화도 3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지의 원료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지의 원료란, 정어리, 고등어, 꽁치, 다랑어, 가다랭이 등의 바다 어류, 미생물 유래의 지질, 크릴새우, 새우 등의 갑각류, 어유, 동식물유, 유전자 재조합체 식물유 등을 원료로 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도 3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지를, 윈터링 처리, 효소 처리 등으로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농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불포화도 3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지를 지방산 또는 알코올과의 에스테르체로 만들어, 증류 처리, 요소(尿素) 부가 처리, 컬럼 처리, 효소 처리, 초임계 이산화탄소 처리 등을 행하여,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농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제는 이미 산화한 것을 환원하는 것이 아니고, 항산화제를 첨가하기 전에, 이중결합을 가진 유기물로는 산화물이 제거된 상태의 것을 사용해야 한다. 고도 불포화 지방산, 그 염, 또는 그 에스테르의 경우는, 탈고무, 탈산, 탈색, 탈취 등의 처리를 하여 산화물이 제거된 상태로 해야 하고, 정제의 정도는 PV가 3.0meq/kg 이하, AV가 1.0 이하며, 또한 관능적으로 무취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항산화제는, 산화된 것을 환원하는 작용은 없기 때문에, 첨가되는 유기물은 될 수 있는 한 산화물을 제거한 정제도가 높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에 의한 냄새는 약간의 산화에 의해 발생되기 때문에, 항산화제를 첨가하기 전에 충분히 정제한 것을 사용해야 한다. 정제 어유의 경우에는, PV 3.0meq/kg 이하, AV 1.0 이하이고, 또한 관능적으로 무취가 되도록 정제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대상의 하나인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성분으로 하는 유지의 산패(酸敗)에는 그의 가수분해에 의한 것과 산화에 의한 것이 있다. 산화에 따른 풍미의 열화(劣化)는 산화에 의해서 생긴 하이드로퍼옥사이드의 분해생성물에 의한 것으로, 예를 들면 대두유의 산화로부터 프로피온알데히드, 2-펜테날, 카프론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크로톤알데히드 등이 얻어진다. 어유가 불쾌한 냄새를 갖는 것은 그 중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산화에 의한 것으로, 산화에 의해서 특유한 비린내를 발한다.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어유, 대두유, 아마씨 기름, 유채씨 기름 등의 정제유에서는, 산화의 극히 초기에도 불쾌한 냄새를 발생하거나, 색의 열화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현상은 복귀라 지칭된다. 탈색 식 물 정제유의 색상의 복귀는 비타민 E의 산화생성물, 크로만-5,6-퀴논에 의한 것이라고 일컬어진다. 본 발명은 불포화 지방산의 이러한 산화를 억제하는 것이며, 산화 안정성이 낮은 동물유에 있어서 특히 현저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이중결합을 가진 유기물의 기타 예로서, 이중결합을 가진 고분자가 기재(基材) 성분으로 이용되고 있는, 의약품을 함유하는 테이프제나 팝제, 상처 반창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부틸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아크릴 고무,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등의 고무계 고분자에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고무계 고분자에 통상 사용되는 항산화제와 병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참깨의 항산화 성분으로는, 참깨에 포함되는 페놀형의 각종 항산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세사몰, 세사미놀, 에피세사미놀, 피노레지놀, 에피피노레지놀, 시링가레지놀, 사민, 세사몰리놀, 2,3-디(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질)-2-부텐-4-올라이드[2,3-di(4'-hydroxy-3'-methoxybenzyl)-2-buten-4-olide]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도 6의 HPLC의 차트의 피크는 전기화학 검출기를 이용하여 검출된 피크이기 때문에 각각 이 항산화 성분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참깨에는 많은 항산화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세사몰 등은 단독으로 사용하여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이들을 혼합물로서 이용하면 더욱 강한 항산화 작용이 인지된다. 이들 참깨의 항산화 성분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여러 개를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참깨의 항산화 성분은 참깨로부터 고도로 정 제한 것일 수도 있고, 가벼운 정도로 정제한 세사몰을 비롯한 항산화 성분과 함께 참깨 유래 물질, 참깨 리그난류, 토코페롤류 등을 함유한 것일 수도 있다.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일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참기름 자체일 수도 있고, 참기름 특유의 냄새가 나는 것에 문제가 없으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참깨 종자, 참기름 또는 참기름을 짠 후의 참깨 탈지 찌꺼기로부터 상기 항산화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참기름의 탈취 시 증류된 성분인 찌꺼기로부터 얻을 수도 있다. 항산화 성분이 증가되어 있으므로, 볶은 참깨가 바람직하지만, 볶지 않은 참깨에도 일정한 항산화 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다. 참깨 종자로부터 추출하는 경우는, 주성분인 중성 지질을 압착, 또는 헥산 등의 비극성 용매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기름 그대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중성 지질의 절대량이 많고, 항산화 성분의 비율이 적어지기 때문에 용도가 제한된다.
본 발명의 참깨의 추출물로는, 도 6의 HPLC의 피크로 나타낸 바와 같은 항산화 성분을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떠한 용매, 지질, 유화제에 의해서 추출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참깨, 참기름 또는 참깻묵을 아산화질소, 아세톤, 에탄올, 에틸메틸케톤, 글리세린,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메틸, 디에틸에테르, 시클로헥산, 디클로로메탄,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1,1,2-트리클로로에텐, 이산화탄소, 1-부탄올, 2-부탄올, 부탄, 1-프로판올, 2-프로판올, 프로판, 프로필렌글리콜, 헥산, 메탄올 등의 유기 용매나 트리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모노글리세라이드, 식용 유지 등의 지질,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유화제에 의해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용매 제거 후, 다시 유기 용매 등에 용해하여, 물과의 분배에 의해 수용성 성분을 제거하고, 여과에 의해 불용성 성분을 제거하는 등의 조작을 함으로써 항산화 성분을 농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산화제의 첨가량은, 보존 조건, 보존 기간에 따라 증감할 수 있다. 참깨의 항산화제의 첨가량은, 세사몰의 경우, 고도 불포화 지방산에 대하여 0.5% 이상 첨가하면 효과가 있고, 1%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스코르브산 지방산 에스테르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에 대한 가용량은 O.1% 정도가 한도이지만, 지나치게 첨가함으로써 항산화 작용의 지속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제 어유에 세사몰을 1.0%,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를 0.1% 첨가한 경우, 상온에서 개방한 조건이라도 2∼3개월간의 보존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지방산 에스테르는,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 아스코르브산 스테아르산 에스테르 등의 아스코르브산 지방산 에스테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이외에, 아스코르브산의 염도 사용할 수 있지만, 지질에 대한 용해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항산화제 중,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지방산 에스테르는 가용량보다 많은 과잉량을 사용함으로써 더욱 항산화 작용의 지속성을 높일 수 있다. 유지에 항산화제를 첨가할 때는 용해되어 있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고 생각되므로, 포화 농도 이상 첨가하는 것은 되지 않지만, 실시예 11∼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산화제에서는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지방산 에스테르를 과잉량 첨가함으로써, 포화 농도 첨가한 경우보다 항산화 작용을 지속할 수 있게 했다. 참깨의 항산화 성분의 첨가량은 동일하게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지방산 에스테르만을 과잉량 첨가하는 것만으로 효과가 있다. 과잉량의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지방산 에스테르는 분말상이거나 고형이거나 모두 유효하다. 자연 확산되기 어려운 조건에서 사용할 때는, 미세분말형으로 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참깨의 항산화 성분과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지방산 에스테르에 가하고 토코페롤을 병용할 수도 있다. 토코페롤은 α, β, γ, 6-토코페롤, 또는 믹스(mix) 토코페롤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6-토코페롤이 바람직하다. 정제 어유를 비롯한 고도 불포화 지방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에스테르 등은 제조 단계에서 토코페롤을 첨가한 것이 많이 시판되고 있다. 이들을 원료로 하면 당연히 토코페롤을 함유하는 것이 된다. 토코페롤의 유무는 참깨의 항산화 성분과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지방산 에스테르의 상승효과(相乘效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참깨의 항산화 성분 및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지방산 에스테르를 첨가함으로써 산화 안정성을 향상시킨 유지는 단독으로도 충분히 산화 안정성이 우수하지만, 다른 항산화제를 병용하더라도 무방하다. 또, 산화 안정성이 우수한 유지(식물 유지 등)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항산화제로는, 에리소르브산, 에리소르브산나트륨, 구연산, 이소프로필,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HT), 부 틸하이드록시아니솔(BHA) 등을 들 수 있다. 식품에 이용하는 경우에 병용할 수 있는 항산화제로는, 식품첨가물에 기재되어 있는 토코페롤류, 아욱꽃 추출물, 아즈키 전초(全草) 추출물, 아스페르길루스 테레우스(Aspergillus terreus) 추출물, 에틸렌디아민 4아세트산칼슘 2나트륨, 에틸렌디아민 4아세트산 2나트륨, 엘라그산, 에리소르브산, 에리소르브산나트륨, 괴화(槐花) 추출물, γ-오리자놀, 카테킨, 감초 유성 추출물, 구아야크 수지, 케르세틴, 구연산, 이소프로필, 클로브 추출물, 효소 처리 이소케르시트린, 효소 처리 루틴(추출물), 효소 분해 사과 추출물, 참기름 불비누화물, 쌀겨유 추출물, 쌀겨 효소 분해물, L-시스테인염산염,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식용 칸나 추출물, 정유 제거 회향(fennel) 추출물, 서양고추냉이 추출물, 세사몰린, 세이지 추출물, 미나리 추출물, 메밀 전초 추출물, 단당ㆍ아미노산 복합물, 차 추출물, 템페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유채씨유 추출물, 커피 원두 추출물,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틴산, 해바라기 종자 추출물, 피멘타 추출물, 페룰린산,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포도 종자 추출물, 블루베리 잎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목생ㆍ은행나무 추출물, 헤스페레틴, 페퍼 추출물, 봉선화 추출물, 몰식자산, 몰식자산프로필, 멜라로이카 정유, 몰린, 양매(楊梅) 추출물, 유칼리 잎 추출물, 용담뿌리 추출물, 루틴 효소 분해물, 루틴(추출물), 로즈메리 추출물, 및 해외에서 사용이 인지되어 있는, 티오디프로피온산, 티오디프로피온산 디스테아릴, 몰식자산 옥틸, 몰식자산 도데실, 제3 부틸하이드로퀴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화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탈지유, 우유 카제인, 우유 단백질, 유당, 올리고 등, 자당, 덱 스트린을 온탕에 용해 혼합 후, 비타민ㆍ미네랄류를 용해하여 수상(水相)으로 만들고, 여기에 본 발명의 유지를 첨가하고, 호모믹서 등으로 혼합하고, 호모지나이저로 균질화한다. 얻어진 유화액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살균, 농축, 분무건조하여 조제 분유가 얻어진다. 동일하게 각종 분말화 기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분말 유지로 만들 수도 있다. 식품에 첨가하는 경우는, 식품의 성질에 따라 유지 그대로 첨가할 것인지, 분말 유지로서 첨가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통상의 식품에 첨가하더라도, 건강 식품, 이른바 서플리먼트로서 캡슐, 정제로 만들 수도 있다.
본원 발명의 상세를 실시예로 설명한다. 본원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제 어유, 세사몰,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 아스코르브산, 6-토코페롤은 이하의 것을 사용했다.
정제 어유(6-토코페롤 0.5중량% 함유): 日本水産株式會社제 DD 오일 타입 3(다랑어유를 원료로 하여, 탈고무, 탈산, 탈취 등의 정제를 행하고, 과산화물가 5meq/Kg 이하, 산가 1 이하, 색상 가드너 3 이하까지 정제한 정제 어유).
정제 어유 (δ-토코페롤을 함유하지 않음): 日本水産株式會社제 DD 오일 타입 3의 제조 공정 중, δ-토코페롤을 첨가하기 전에 샘플링한 것.
정제 어유(정어리유): 日本水産株式會社제 DD 오일 타입 2(정어리유를 원료로 하여, 탈고무, 탈산, 탈취 등의 정제를 행하고, 과산화물가 5meq/Kg 이하, 산가 1 이하, 색상 가드너 3 이하까지 정제한 정제 어유. EPA 28중량%, DHA 12중량% 함 유. δ-토코페롤 0.5중량% 함유).
세사몰: 나카라이테스크 가부시키가이샤제 세사몰(순도 98%)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 산쿄푸드 가부시키가이샤제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순도 95% 이상)
아스코르브산: 나카라이테스크 가부시키가이샤제 L(+)-아스코르브산(순도 99.5%)
δ-토코페롤: 와코준야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D-δ-토코페롤(순도 90%)
에이코사펜타엔산 에틸에스테르: 정어리유를 원료로 하여, 금속 나트륨을 촉매로 한 에탄올과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의해 정어리유 에틸에스테르로 만들고, 그 후, 정밀 증류, HPLC를 이용하여 순도 99%로 정제했다.
α-토코페롤: 와코준야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α-토코페롤(순도 98%)
실시예 1
〈세사몰 +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 + δ-토코페롤의 효과의 확인〉
정제 어유(δ-토코페롤 0.5중량% 함유)에 각각 이하의 항산화제를 첨가한 샘플을 조제했다.
ㆍ 세사몰(1.0중량%) +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0.01중량%)
ㆍ 세사몰(1.0중량%) 단독
ㆍ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0.01중량%) 단독
이들 샘플 3mL를 30mL 갈색 병에 넣고 격막(septum)으로 밀봉 후, 60℃에서 보존하고, 2일 후 헤드 공간의 산소 농도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여, 유지가 흡수한(유지와 반응한) 산소량을 산출했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정제 어유에 세사몰과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를 병용함으로써 산소의 흡수량이 억제되어 있고, 세사몰, 또는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를 단독으로 첨가한 것에 비해, 정제 어유의 산화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세사몰 + 아스코르브산 + δ-토코페롤의 효과의 확인〉
정제 어유(δ-토코페롤 0.5중량% 함유)에 각각 이하의 항산화제를 첨가한 샘플을 조제했다.
ㆍ 세사몰(1.0중량%) + 아스코르브산(0.01중량%)
ㆍ 아스코르브산(0.01중량%) 단독
이들 샘플 4mL을 30mL 갈색 병에 넣고, 실시예 l과 동일한 보존 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정제 어유에 세사몰과 아스코르브산을 병용함으로써 산소의 흡수량이 억제되어 있고, 아스코르브산을 단독으로 첨가한 것에 비해, 정제 어유의 산화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세사몰,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의 용량 의존성〉
정제 어유(δ-토코페롤 O.5중량% 함유)에 항산화제로서 δ-토코페롤:세사몰: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를 각각 이하의 비율로 첨가한 샘플을 조제했다.
ㆍ 0.5%:0.5%:0.05%
ㆍ 0.5%:0.5%:0.1%
ㆍ 0.5%:l.0%:0.05%
ㆍ 0.5%:1.0%:0.1%
이들 샘플에 대해 실시예 2와 동일한 보존 시험을 11일간 행했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로부터, 정제 어유에 첨가하는 세사몰,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의 양을 증가함으로써 산소의 흡수량이 억제되어 있고, 용량 의존적으로 정제 어유의 산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세사몰 +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의 효과의 확인〉
정제 어유(δ-토코페롤을 함유하지 않음)에 항산화제로서 세사몰(1.0중량%) +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0.01중량%)를 첨가하고 샘플을 조제했다. 이 샘플에 대해 실시예 l과 동일한 보존 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토코페롤이 없어도, 세사몰 및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의 병용에 의해 산소의 흡수가 억제되어, 정제 어유의 산화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참기름 추출물 +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0.1중량%) + δ-토코페롤의 효과의 확인〉
짙은 참기름 8.23g에 메탄올 100mL를 첨가하고, 격렬히 교반 후, 메탄올층으로부터 메탄올을 증류 제거하여 0.28g의 메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이 메탄올 추출물에는 세사몰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프로써 확인했다(박층; Merck사 Kiesolgel 60F F254 0.25mm, 전개 용매; 헥산:디에틸에테르:아세트산 = 70:30:1, 발색 시약;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유리 라디칼).
정제 어유(δ-토코페롤 O.5중량% 함유)에 각각 이하의 항산화제를 첨가한 샘플을 조제했다.
ㆍ 상기 참기름 메탄올 추출물(2.0중량%) +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0.1중량%)
ㆍ 상기 참기름 메탄올 추출물(2.0중량%) 단독
ㆍ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0.1중량%) 단독
이들 샘플에 대해 실시예 2와 동일한 보존 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참기름 메탄올 추출물도 세사몰과 같이 단독으로 첨가하고도 효과는 없고,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와 병용함으로써 산소의 흡수량을 억제하여, 정제 어유의 산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볶은 참깻묵 추출물 +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 + δ-토코페롤의 효과의 확인〉
(1) 볶은 참깻묵 추출물 1
볶은 참깻묵 1.0kg에 95% 에탄올 2.0kg을 첨가하고 40℃에서 2시간 동안 격렬히 교반한 후, 볶은 참깻묵을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여과한 볶은 참깻묵에 다시 95% 에탄올 1.5kg을 첨가하고 40℃에서 1시간 동안 격렬히 교반,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얻어진 2회분의 추출액을 농축 후, 아세트산에틸 240g, 물 80g 을 가하여 45℃에서 1시간 동안 격렬히 교반했다. 교반 후, 수층을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층에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올레이트 40g를 가하고, 아세트산에틸을 증류 제거하여, 볶은 참깻묵 추출물 1을 58g(프로필렌글리콜 모노올레이트 40g를 포함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볶은 참깻묵 추출물은 18g) 얻었다.
(2) 볶은 참깻묵 추출물 2
볶은 참깻묵 1.0kg에 95% 에탄올 2.0kg을 첨가하고 40℃에서 2시간 동안 격렬히 교반한 후, 볶은 참깻묵을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여과한 볶은 참깻묵에 다시 95% 에탄올 1.5kg을 첨가하고 40℃에서 1시간 동안 격렬히 교반,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얻어진 2회분의 추출액에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올레이트 40g를 가하고, 95% 에탄올을 증류 제거하여, 볶은 참깻묵 추출물을 50g(프로필렌글리콜 모노올레이트 40g를 포함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볶은 참깻묵 추출물은 10g) 얻었다.
(3) 볶은 참깻묵 추출물 3
볶은 참깻묵 200g에 95% 에탄올 300mL를 첨가하고 40℃에서 2시간 동안 격렬히 교반한 후, 볶은 참깻묵을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여과한 볶은 참깻묵에 다시 95% 에탄올 300mL를 첨가하고 40℃에서 2시간 동안 격렬히 교반,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얻어진 2회분의 추출액을 농축 후, 아세트산에틸 150m1, 물 50m1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격렬히 교반했다. 교반 후 수층을 제거하고 추가로 아세트산에틸을 제거하여, 볶은 참깻묵 추출물을 9.0g 얻었다.
볶은 참깻묵 추출물 1에 대해 전기화학 검출기를 이용한 고속 액체 크로마토 그래프로 측정했다.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차트를 도 6에 나타낸다. 전기화학 검출기의 피크이기 때문에, 모든 피크가 항산화 작용을 가진 것이다. 세사몰, 피노레시놀을 비롯하여 다수의 항산화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 조건
컬럼: TSK-gel ODS-80Ts 4.6×150mm
용리액:
O∼5분 메탄올:물(2% 1M 아세트산암모늄 완충액, pH 4.4 포함)= 40:60
10∼17분 메탄올:물(2% 1M 아세트산암모늄 완충액, pH 4.4 포함) = 70:30.
22∼40분 메탄올:물(2% 1M 아세트산암모늄 완충액, pH 4.4 포함) = 100:0
유속: 1.OmL/분
컬럼 온도: 35℃
샘플 농도: 10∼12mg/mL
샘플 용해액: 메탄올:에탄올:헥산 = 5:4:1
주입량: 10μL
전극 1(환원 전위): -1V
전극 2(산화 전위): 500mV
레인지: 20μA
정제 어유(δ-토코페롤 0.5중량% 함유)에 각각 이하의 항산화제를 첨가한 샘플을 조제했다.
ㆍ 상기 볶은 참깻묵 추출물 1(1.0중량%) +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 (0.05중량%)
ㆍ 상기 볶은 참깻묵 추출물 1(1.0중량%) +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0.1중량%)
ㆍ 상기 볶은 참깻묵 추출물 1(1.0중량%) 단독
ㆍ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0.l중량%) 단독
ㆍ 상기 볶은 참깻묵 추출물 2(1.0중량%) +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0.1중량%)
ㆍ 상기 볶은 참깻묵 추출물 3(1.0중량%),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0.1중량%)
이들 샘플에 대해 실시예 2와 동일한 보존 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이들 볶은 참깻묵 추출물도 세사몰과 같이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와 병용함으로써 산소의 흡수량을 억제하여, 정제 어유의 산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볶은 참깻묵 추출물 +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 + δ-토코페롤의 효과의 확인〉
실시예 6의 볶은 참깻묵 추출물 1(1.0중량%) +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0.1중량%)를 첨가한 샘플, 및 볶은 참깻묵 추출물 2(1.O중량%) +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0.1중량%)를 첨가한 샘플에 대해, 각 10m1를 20ml 갈색 병에 넣고 60℃에서 개방 보존을 행하고, 보존중의 말론디알데히드, 알케날류 농도의 변 화를 Saftest, Inc.사의 SafTest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결과를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정제 어유에 볶은 참깻묵 추출물 및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에스테르를 첨가함으로써, 어유의 산화 분해물이며, 또한 열화 어유의 취기 물질인 말론디알데히드, 알케날류의 생성이 고도로 억제되어 있고, 어유가 안정화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실시예 1의 세사몰 대신 볶은 참깻묵 추출물 3으로부터 실리카겔 오픈 컬럼, ODS-HPLC로 얻어진 세사미놀을 이용한 결과, 동일한 효과를 얻었다.
실시예 9
실시예 1의 세사몰 대신 볶은 참깻묵 추출물 3으로부터 실리카겔 오픈 컬럼, ODS-HPLC로 얻어진 피노레지놀을 이용한 결과, 동일한 효과를 얻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1의 세사몰 대신 볶은 참깻묵 추출물 3으로부터 실리카겔 오픈 컬럼, ODS-HPLC로 얻어진 2,3-디(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질)-2-부텐-4-올라이드를 이용한 결과, 동일한 효과를 얻었다.
실시예 11
〈과잉량의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의 효과의 확인〉
정제 어유(δ-토코페롤 O.5중량% 함유)에 각각 이하의 항산화제를 첨가한 샘플을 조제했다.
ㆍ 세사몰(0.5%) +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0.1%))
ㆍ 세사몰(1.0%) +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0.1%))
각 샘플 4mL를 30mL 갈색 병에 넣고, 격막으로 밀봉 후, 60℃에서 보존을 행하고, 보존중의 산소 농도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여, 유지와 반응한(흡수한) 산소량을 산출했다. 또, 각 항산화제의 잔존량을 전기화학 검출기를 이용한 HPLC로 분석했다.
각각의 결과를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었다. 어느 경우에나, 먼저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가 소비(산화)되어,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가 없어지면 정제 어유, δ-토코페롤, 세사몰이 동시에 산화되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항산화제로서 δ-토코페롤 + 세사몰 +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가 잔존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었다. 이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도 11과 동일한 계에서, 4일째에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를 다시 O.1% 추가한 경우의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1에서는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가 없어지면 유지의 산화가 시작(10일째)되지만, 동일한 계에서 4일째에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를 추가한 도 12에서는 유지의 산화가 10일째 이후에도 억제되었다.
따라서, 이들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항산화의 계에서는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가 잔존하고 있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에이코사펜타엔산 에틸에스테르에 대한 효과, 및 과잉량의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의 효과의 확인〉
순도 99%의 에이코사펜타엔산 에틸에스테르(α-토코페롤 0.2% 함유)에 각각 이하의 항산화제를 첨가한 샘플을 조제했다.
ㆍ 세사몰(1.0%) +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O.1%)
ㆍ 세사몰(1.0%) +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0.5%)
이들 샘플을 60℃에서 저장하여, 과산화물 값(PV)을 측정했다.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용해량의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0.1%)를 첨가한 경우에 비하여, 과잉량의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0.5%)를 첨가한 경우에 항산화 작용이 지속되었다.
실시예 13
〈외용제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t-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HT))와의 비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의 하나인 t-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HT)과 본 발명의 항산화 처방을 비교했다. 정제 어유(정어리유)(δ-토코페롤 0.5% 함유)에 대하여 BHT O.5%, 1.5%, 10.0%, 또는 세사몰 1.0%,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 0.5%를 첨가했다. 각 샘플의 유지 4mL를 30mL 갈색 병에 넣고 격막으로 밀봉 후, 60℃에서 저장하고, 경시적으로 헤드 공간의 산소 농도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여, 유지와 반응한(흡수한) 산소량을 산출했다.
결과
BHT 및 본 발명의 항산화 처방의 항산화 효과의 비교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항산화 처방에 포함되는 항산화제량의 총계와 동량(1.5%)의 BHT 첨가 샘 플보다, 또한 압도적 다량(10.O%)의 BHT 첨가 시료보다도 본 항산화 처방의 항산화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의해, 종래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유지보다 현저하게 산화 안정성이 뛰어난 유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건강 목적으로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식품, 의약품 등에 첨가 시, 용이하게 제조하고 보존할 수 있으며, 또한 첨가하는 식품의 종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첨가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EPA, DHA를 함유하는 정제 어유를 건강 식품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 범용성이 높은 정제 어유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탈지된 참깨 종자, 참깨 탈지박, 또는 참기름의 탈취시에 증류된 성분인 찌꺼기로부터 추출된 참깨의 항산화 성분,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참깨의 항산화 성분, 및 아스코르빈산 또는 아스코르빈산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용 항산화제.
  2. 제1항에 있어서,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첨가하여 산화 안정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용 항산화제.
  3. 제2항에 있어서,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 그의 염, 또는 그의 에스테르인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용 항산화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에스테르가,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또는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저급 알코올 에스테르인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용 항산화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 에이코사펜타엔산, 도코사헥사엔산, 및 아라키돈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지방산인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용 항산화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에스테르가 정제 어유로서 함유되는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용 항산화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깨의 항산화 성분이 전기화학 검출기를 이용한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로 검출되는, 용출 시간이 2.66, 3.40, 3.84, 4.57, 4.98, 5.82, 7.00, 8.67, 9.84, 11.24, 12.29, 12.49, 13.36, 14.04, 14.32, 14.74, 15.22, 15.60, 15.82, 16.34, 16.98, 18.10, 18.43, 34.91분 부근에서 피크를 나타내는 성분의 2 이상을 포함하는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용 항산화제
    (단, 이 때, 상기 용출 시간의 측정 조건은 하기와 같다:
    컬럼:TSK-gel ODS-80 Ts4.6×150 mm
    용리액:
    0-5 분. 메탄올:물 (2% 1M 초산 암모늄 완충액, pH 4.4 함유)
    = 40:60
    10-17 분. 메탄올:물 (2% 1M 초산 암모늄 완충액, pH 4.4 함유)
    = 70:30
    22-40 분. 메탄올:물 (2% 1M 초산 암모늄 완충액, pH 4.4 함유)
    = 100:0
    유속:1.0 mIL/분
    컬럼 온도:35℃
    샘플 농도:10-12 mg/mL
    샘플 용해액:메탄올:에탄올:헥산 = 5:4:1
    주입량:10μL
    전극 1(환원 전위):-1 V
    전극 2(산화 전위):500 mV
    범위:20 μA).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깨의 항산화 성분이 탈지된 참깨 종자, 참깨 탈지박, 또는 참기름의 탈취시에 증류된 성분인 찌꺼기 중 어느 하나를, 용매, 지방질, 또는 유화제 중 어느 하나의 단독 또는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인,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용 항산화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깨의 항산화 성분이 세사몰, 세사미놀, 에피세사미놀, 피노레지놀, 에피피노레지놀, 시링가레지놀, 사민, 세사몰리놀, 및 2,3-디(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질)-2-부텐-4-올라이드[2,3-di(4'-hydroxy-3'-methoxybenzyl)-2-buten-4-olide]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인,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용 항산화제.
  10. 제1항에 있어서,
    아스코르빈산 지방산 에스테르가 아스코르빈산 팔미테이트, 및 아스코르빈산 스테아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인,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용 항산화제.
  11. 제2항에 있어서,
    아스코르빈산 또는 아스코르빈산 지방산 에스테르를,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대한 보존 온도에서의 가용량 이상의 과잉량을 첨가하는 것인, 불포화도 4 이상의고도 불포화 지방산용 항산화제.
  12. 제11항에 있어서,
    과잉량을 첨가하는 아스코르빈산이 분말 또는 고형물로서 첨가되는,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용 항산화제.
  13. 제1항에 있어서,
    토코페롤을 더 포함하는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용 항산화제.
  14. 제1항의 항산화제 및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식품.
  15. 제1항의 항산화제 및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분말 오일 지방.
  16. 제1항의 항산화제 및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유아용 분유.
  17. 제1항의 항산화제 및 불포화도 4 이상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건강 식품.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57008827A 2002-11-22 2003-11-21 산화 안정성이 향상된 이중결합을 가진 유기물을 함유하는조성물 KR101045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39906 2002-11-22
JP2002339906 2002-11-2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013A Division KR20110053281A (ko) 2002-11-22 2003-11-21 산화 안정성이 향상된 이중결합을 가진 유기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144A KR20050072144A (ko) 2005-07-08
KR101045035B1 true KR101045035B1 (ko) 2011-06-30

Family

ID=3237578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827A KR101045035B1 (ko) 2002-11-22 2003-11-21 산화 안정성이 향상된 이중결합을 가진 유기물을 함유하는조성물
KR1020057009245A KR20050083960A (ko) 2002-11-22 2003-11-21 고도 불포화 지방산, 그 염, 또는 그 에스테르를 함유하는외용 조성물
KR1020117009013A KR20110053281A (ko) 2002-11-22 2003-11-21 산화 안정성이 향상된 이중결합을 가진 유기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245A KR20050083960A (ko) 2002-11-22 2003-11-21 고도 불포화 지방산, 그 염, 또는 그 에스테르를 함유하는외용 조성물
KR1020117009013A KR20110053281A (ko) 2002-11-22 2003-11-21 산화 안정성이 향상된 이중결합을 가진 유기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20060289834A1 (ko)
EP (2) EP1571195A4 (ko)
JP (2) JPWO2004048497A1 (ko)
KR (3) KR101045035B1 (ko)
CN (2) CN100352889C (ko)
AU (2) AU2003284617A1 (ko)
CA (1) CA2506611A1 (ko)
NZ (1) NZ540154A (ko)
TW (2) TW200417595A (ko)
WO (2) WO2004048497A1 (ko)
ZA (1) ZA2005040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01809D0 (en) * 1999-01-27 1999-03-17 Scarista Limited Highly purified ethgyl epa and other epa derivatives for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disorderes
JP2006282650A (ja) * 2005-03-31 2006-10-19 Sunstar Inc 皮膚化粧料
EP1904611A1 (en) * 2005-07-18 2008-04-02 DSMIP Assets B.V. Method for rejuvenating aged food oils
ITMI20051718A1 (it) * 2005-09-16 2007-03-17 Betafarma S P A Composizioni igieniche e cosmetiche per il trattamento delle dermatiti atopiche
BRPI0504797B1 (pt) * 2005-10-27 2020-02-04 Pele Nova Biotecnologia S A formulação tópica, método de tratamento cosmético para rejuvenescimento da pele, método de tratamento cosmético e uso de uma formulação
WO2007132688A1 (ja) * 2006-05-15 2007-11-22 Nippon Suisan Kaisha, Ltd. 酸化が抑制された魚粉及びその製造方法
US9107396B2 (en) * 2006-09-07 2015-08-18 Oms Investments, Inc. Stabilized synthetic brood pheromone and race-specific ratios of components for manipulating the behavior and physiology of honey bees
US7727517B2 (en) * 2006-09-07 2010-06-01 Contech Enterprises Inc. Stabilized brood pheromone for manipulating the behavior and physiology of honey bees
US20080069942A1 (en) * 2006-09-15 2008-03-20 Glenn Roy Pizzey Flax-stabilized fatty acid compositions and methods
ES2316275B1 (es) * 2007-03-16 2010-03-22 Universidad Politecnica De Madrid Proceso de sustitucion de las grasas saturadas de la leche por aceites vegetales no hidrogenados.
WO2009070859A1 (en) * 2007-12-04 2009-06-11 Glanbia Nutritionals (Canada) Inc. Flax-stabilized fatty acid compositions and methods
EP2334295B1 (en) 2008-09-02 2017-06-28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eicosapentaenoic acid and nicotinic acid and methods of using same
AU2010213899B2 (en) 2009-02-10 2014-02-06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Use of eicosapentaenoic acid ethyl ester for treating hypertriglyceridemia
EP3278665B1 (en) 2009-04-29 2020-09-09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ing same
AU2014203034B2 (en) * 2009-04-29 2016-09-15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ing same
AU2010241567B2 (en) 2009-04-29 2013-10-31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EPA and a cardiovascular agen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8096209A (zh) * 2009-06-15 2018-06-01 阿马里纳制药公司 在相伴他汀类疗法的对象中降低甘油三酯、没有增加ldl-c水平的组合物和方法
US8614244B2 (en) 2009-09-22 2013-12-24 Segeant's Pet Care Products, Inc. Spot-on pesticide composition
USRE45874E1 (en) 2009-09-22 2016-02-02 Sergeant's Pet Care Products, Inc. Spot-on pesticide composition
PE20120913A1 (es) 2009-09-22 2012-07-23 Sergeants Pet Care Prod Inc Composicion pesticida de uncion dorsal puntual
KR101798670B1 (ko) 2009-09-23 2017-11-16 아마린 코포레이션 피엘씨 오메가-3 지방산 및 스타틴의 히드록시-유도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및 그의 사용 방법
AU2011222544A1 (en) * 2010-03-04 2012-09-27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nd/or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
ES2618069T3 (es) 2010-03-09 2017-06-20 Stepan Specialty Products, Llc Método para tratar un aceite comestible y el aceite obtenido de esta manera
WO2011115349A1 (ko) 2010-03-17 2011-09-22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튜브형 구조의 생체 삽입 전지
ES2610907T3 (es) 2010-09-07 2017-05-04 Dsm Nutritional Products Ag Emulsiones comestibles
US11712429B2 (en) 2010-11-29 2023-08-01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Low eructation composition and methods for treating and/or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 in a subject with fish allergy/hypersensitivity
NZ611606A (en) 2010-11-29 2015-10-30 Amarin Pharmaceuticals Ie Ltd Low eructation composition and methods for treating and/or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 in a subject with fish allergy/hypersensitivity
JP2013001666A (ja) * 2011-06-14 2013-01-07 Yasuharu Omura 栄養剤組成物
WO2013044294A1 (en) * 2011-09-29 2013-04-04 P.Guinane Pty Ltd Animal feed composition
CN103781464B (zh) * 2011-09-29 2016-03-16 日清奥利友集团株式会社 化妆品用组合物及化妆品
CA2854178C (en) * 2011-11-01 2021-11-02 Dsm Ip Assets B.V. Oxidatively stable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ntaining oil
EP2775837A4 (en) 2011-11-07 2015-10-28 Amarin Pharmaceuticals Ie Ltd METHODS OF TREATING HYPERTRIGLYCERIDEMIA
US11291643B2 (en) 2011-11-07 2022-04-05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Methods of treating hypertriglyceridemia
AU2013207368A1 (en) 2012-01-06 2014-07-24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lowering levels of high-sensitivity (hs-CRP) in a subject
AP2014007818A0 (en) * 2012-01-23 2014-07-31 Restorsea Llc Cosmetic
CN103987267B (zh) * 2012-02-15 2017-06-13 株式会社明治 乳饮料及其制造方法
JP6370775B2 (ja) 2012-05-10 2018-08-08 ソルテックス エヌエー エルエルシー 天然の特異的炎症収束性メディエータおよびその前駆物質を含有する、抗炎症活性を有する油
KR20150036252A (ko) 2012-06-29 2015-04-07 애머린 파마슈티칼스 아일랜드 리미티드 스타틴 요법 중인 대상체에서 심혈관 사건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방법
US8673325B1 (en) * 2012-09-06 2014-03-18 Dignity Sciences Limited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EPA and salicylic acid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20150265566A1 (en) 2012-11-06 2015-09-24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Lowering Triglycerides without Raising LDL-C Levels in a Subject on Concomitant Statin Therapy
US9814733B2 (en) 2012-12-31 2017-11-14 A,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Compositions comprising EPA and obeticholic acid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40187633A1 (en) 2012-12-31 2014-07-03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Methods of treating or prevent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nd/or primary biliary cirrhosis
CN103149311B (zh) * 2013-01-30 2015-01-21 福建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烟用香精香料中芝麻酚含量的测定方法
US9452151B2 (en) 2013-02-06 2016-09-27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Methods of reducing apolipoprotein C-III
US9624492B2 (en) 2013-02-13 2017-04-18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Compositions comprising eicosapentaenoic acid and mipomersen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9662307B2 (en) 2013-02-19 2017-05-3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Compositions comprising eicosapentaenoic acid and a hydroxyl compound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9283201B2 (en) 2013-03-14 2016-03-15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in a subject in need thereof
US20140271841A1 (en) 2013-03-15 2014-09-18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eicosapentaeno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and a statin
US10966968B2 (en) 2013-06-06 2021-04-06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Co-administration of rosiglitazone and eicosapentaeno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CN104222319B (zh) * 2013-06-21 2020-09-18 丰益(上海)生物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含芝麻素的油脂组合物
JP6238190B2 (ja) * 2013-07-04 2017-11-29 公立大学法人大阪市立大学 コラーゲン産生促進用、エラスチン産生促進用および/またはケラチノサイト遊走促進用組成物
US20150065572A1 (en) 2013-09-04 2015-03-05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Methods of treating or preventing prostate cancer
US9585859B2 (en) 2013-10-10 2017-03-07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lowering triglycerides without raising LDL-C levels in a subject on concomitant statin therapy
CN103627522A (zh) * 2013-11-14 2014-03-12 浙江大学城市学院 灵芝孢子油纯天然复合抗氧化剂及提高其稳定性的方法
MX2016007617A (es) 2013-12-13 2016-10-04 Restorsea Llc Formulacion exfoliante para promover la retencion del cabello.
CN104739763B (zh) * 2013-12-31 2018-12-11 健康元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抗炎和抗血栓形成作用的静脉注射用脂肪乳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US20160338374A1 (en) * 2014-01-08 2016-11-24 Cj Cheiljedang Corporation Sesame oil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AU2015259509A1 (en) 2014-05-16 2016-11-24 Restorsea, Llc Biphasic cosmetic
KR102391827B1 (ko) 2014-06-04 2022-04-27 디에스 바이오파마 리미티드 Dgla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의 용도
US10561631B2 (en) 2014-06-11 2020-02-18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Methods of reducing RLP-C
US10172818B2 (en) 2014-06-16 2019-01-08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Methods of reducing or preventing oxidation of small dense LDL or membran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CN104450809B (zh) * 2014-11-20 2017-09-29 武汉华士特工业生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促进裂殖壶菌油脂中dha合成的方法
US20170367394A1 (en) * 2014-12-23 2017-12-28 Evonik Degussa Gmbh Process for increasing the stability of a composition comprising polyunsaturated omega-6 fatty acids
CN104593149A (zh) * 2015-01-23 2015-05-06 河北科技师范学院 含有芝麻酚和芝麻酚酯的油脂抗氧剂组合
ES2851525T3 (es) 2015-07-21 2021-09-07 Afimmune Ltd Composiciones que comprenden 15(S)-HEPE para su uso en la sensibilización de las células cancerosas a la radioterapia
US10653703B2 (en) 2015-09-03 2020-05-19 Solutex Na Llc Compositions comprising omega-3 fatty acids, 17-HDHA and 18-HEPE and methods of using same
US11957135B2 (en) 2016-03-02 2024-04-16 Fuji Oil Holdings Inc. Chocolate-like food containing polyunsaturated fatty acid
KR20180121940A (ko) * 2016-03-02 2018-11-09 후지세유 그룹 혼샤 가부시키가이샤 항산화 유지 조성물
US10406130B2 (en) 2016-03-15 2019-09-10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Methods of reducing or preventing oxidation of small dense LDL or membran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KR102036138B1 (ko) * 2016-12-06 2019-10-24 한국식품연구원 비가열 참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US10966951B2 (en) 2017-05-19 2021-04-06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lowering triglycerides in a subject having reduced kidney function
WO2019042685A1 (en) 2017-08-30 2019-03-07 Unilever N.V. COMPOSITION FOR PERSONAL CARE
CN107439899A (zh) * 2017-09-01 2017-12-08 苏州农业职业技术学院 一种含有芝麻素的食品用抗氧化剂组合物及具有其的食品
CN107603734A (zh) * 2017-09-01 2018-01-19 苏州农业职业技术学院 一种天然抗氧化剂增强食用油抗氧化效果的方法
CN107541340A (zh) * 2017-09-01 2018-01-05 苏州农业职业技术学院 一种食用油用天然抗氧化剂及其应用
US11058661B2 (en) 2018-03-02 2021-07-13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lowering triglycerides in a subject on concomitant statin therapy and having hsCRP levels of at least about 2 mg/L
KR102084415B1 (ko) * 2018-06-04 2020-03-04 코스맥스 주식회사 에피피노레시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1044B1 (ko) * 2018-07-03 2020-10-15 제이준코스메틱 주식회사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3750536A1 (en) 2018-09-24 2020-12-16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Methods of reducing the risk of cardiovascular events in a subject
JP2020150822A (ja) * 2019-03-19 2020-09-24 三菱ケミカルフーズ株式会社 油脂、油脂の製造方法、および油脂用酸化抑制剤
JP7473960B2 (ja) 2020-08-05 2024-04-24 横浜油脂工業株式会社 高度不飽和脂肪酸含有水溶性製剤
CN112574146B (zh) * 2020-12-17 2022-08-30 自然资源部第三海洋研究所 丁烯酸内酯类化合物复合纳米晶体的制备方法
CN113061487A (zh) * 2021-03-10 2021-07-02 烟台市万船口海洋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鱼油生产工艺
US11986452B2 (en) 2021-04-21 2024-05-21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Methods of reducing the risk of heart failure
CN115414269A (zh) * 2022-08-03 2022-12-02 陕西畅想制药有限公司 含芝麻酚的化妆品用超分子溶液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444033A (zh) * 2022-09-22 2022-12-09 黑龙江飞鹤乳业有限公司 复配抗氧化剂及乳粉中氧化风味物质的测定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8642A (ja) * 1993-04-14 1994-10-25 Japan Tobacco Inc 高度不飽和脂肪酸含有o/w型乳剤及びその酸化防止方法
KR20000025783A (ko) * 1998-10-14 2000-05-06 김성년 항산화제를 첨가하여 방사선 조사에 의한 고지방질 가공식품의산패를 억제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505A (ja) * 1982-07-07 1984-01-20 Nisshin Oil Mills Ltd:The 油状美白化粧料
JPS61500432A (ja) * 1982-12-09 1986-03-13 ビルトン,ジエラルド エル. 易吸収性脂肪酸エマルシヨン
IT1223290B (it) * 1987-07-27 1990-09-19 Indena Spa Acidi poliinsaturi ad azione vasocinetica e relative formulazioni farmaceutiche e cosmetiche
JPH01202278A (ja) * 1988-02-05 1989-08-15 Nisshin Oil Mills Ltd:The 食品用品質保持剤
JPH02189394A (ja) * 1989-01-19 1990-07-25 Tsukishima Shokuhin Kogyo Kk 油脂組成物
NL9201438A (nl) * 1992-08-11 1994-03-01 Prospa Bv Nieuwe farmaceutische samenstellingen die esters van omega-3 polyonverzadigde zuren omvatten en de toepassing ervan bij de plaatselijke behandeling van ziekelijke aandoeningen.
GB2280449B (en) * 1993-07-02 1996-10-02 Charleville Res A method for preparing an edible water-in-oil emulsion
GB9321479D0 (en) * 1993-10-18 1993-12-08 Scotia Holdings Plc Stabilisation of polyunsaturates
DE4341000A1 (de) * 1993-12-02 1995-06-08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L-Arginin, L-Ornithin oder L-Citrullin und topischen Zubereitungen mit diesen Stoffen
JP3689137B2 (ja) * 1994-08-19 2005-08-31 俊之 渡辺 アレルギー性皮膚疾患治療用外用剤
JP4062639B2 (ja) * 1996-12-23 2008-03-19 日本水産株式会社 皮膚外用剤
FR2758458B1 (fr) * 1997-01-21 2000-01-07 Jean Noel Thorel Produits cosmetiques ou dermo-pharmaceutiques respectant l'ecologie cutanee
US6426078B1 (en) * 1997-03-17 2002-07-30 Roche Vitamins Inc. Oil in water microemulsion
US20010031275A1 (en) * 1998-02-09 2001-10-18 Forse R Armour Sesamol inhibitor of delta-5-desaturase activity and uses therefor
JPH11269456A (ja) * 1998-03-19 1999-10-05 Suntory Ltd 高度不飽和脂肪酸組成物
KR100292828B1 (ko) * 1998-08-01 2001-06-15 장인순 위생적, 영양적으로 안전한 분쇄육 제품
US6048891A (en) * 1998-12-17 2000-04-11 Loma Linda University Medical Center Use of γ-tocopherol and its oxidative metabolite LLU-α in the treatment of natriuretic disease
EP1420026A3 (en) * 1999-06-23 2004-12-15 Forbes Medi-Tech Inc. Use of conjugates of phytosterol or phytostanol with ascorbic acid in treating or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 and compositions thereof
US6235331B1 (en) * 1999-07-29 2001-05-22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Modified fish oil type material containing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 and/or esters thereof, and a composition containing said material
US6384247B2 (en) * 2000-06-19 2002-05-07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Method of producing sesamol formic acid ester and sesamol
ITMI20010129A1 (it) * 2001-01-25 2002-07-25 Pharmacia & Upjohn Spa Acidi grassi essenziali nella terapia di insufficienza cardiaca e scompenso cardiac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8642A (ja) * 1993-04-14 1994-10-25 Japan Tobacco Inc 高度不飽和脂肪酸含有o/w型乳剤及びその酸化防止方法
KR20000025783A (ko) * 1998-10-14 2000-05-06 김성년 항산화제를 첨가하여 방사선 조사에 의한 고지방질 가공식품의산패를 억제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06611A1 (en) 2004-06-10
US20060134178A1 (en) 2006-06-22
EP1571195A4 (en) 2009-08-26
CN1714136A (zh) 2005-12-28
JP4424743B2 (ja) 2010-03-03
EP1564278B1 (en) 2018-01-10
EP1571195A1 (en) 2005-09-07
CN100352889C (zh) 2007-12-05
TW200418957A (en) 2004-10-01
KR20110053281A (ko) 2011-05-19
WO2004048497A1 (ja) 2004-06-10
AU2003284633B2 (en) 2008-07-10
US8722104B2 (en) 2014-05-13
ZA200504059B (en) 2007-12-27
US20060289834A1 (en) 2006-12-28
AU2003284617A1 (en) 2004-06-18
TW200417595A (en) 2004-09-16
CN100348184C (zh) 2007-11-14
EP1564278A1 (en) 2005-08-17
WO2004048496A1 (ja) 2004-06-10
NZ540154A (en) 2008-07-31
KR20050083960A (ko) 2005-08-26
JPWO2004048496A1 (ja) 2006-03-23
AU2003284633A1 (en) 2004-06-18
JPWO2004048497A1 (ja) 2006-03-30
EP1564278A4 (en) 2009-04-22
KR20050072144A (ko) 2005-07-08
CN1714135A (zh) 2005-12-28
TWI332978B (ko) 201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035B1 (ko) 산화 안정성이 향상된 이중결합을 가진 유기물을 함유하는조성물
US9301536B2 (en) Antioxidant composition for marine oils comprising tocopherol, rosemary extract, ascorbic acid and green tea extract
US20070141220A1 (en) Composition enriched in diglyceride with conjugated linoleic acid
US20120219647A1 (en) Antioxidant composition
JPH07305088A (ja) 粉末油脂組成物
US9145534B2 (en) Fat containing composition
JP5610187B2 (ja) 抗酸化剤
JP4209482B2 (ja) 安定化油脂の製造方法、得られた油脂並びにその油脂を含有する食品
JP5055540B2 (ja) チロシナーゼ阻害剤
WO1998003169A1 (en) Antioxidant activity of 3-dehydroshikimates
Mendoza Enrichment of vegetable oils with phenolic antioxidants for food applications
JP2009225724A (ja) アラキドン酸類含有組成物
JP2001098265A (ja) 抗酸化剤及び活性酸素消去剤
CN115768271A (zh) 通过来自生咖啡脱咖啡因的侧流产物稳定lc-puf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