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258B1 - 자성체 분말을 혼입하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성체 분말을 혼입하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258B1
KR101028258B1 KR1020080012598A KR20080012598A KR101028258B1 KR 101028258 B1 KR101028258 B1 KR 101028258B1 KR 1020080012598 A KR1020080012598 A KR 1020080012598A KR 20080012598 A KR20080012598 A KR 20080012598A KR 101028258 B1 KR101028258 B1 KR 101028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iring
delete delete
thin film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5790A (ko
Inventor
유타카 아오키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31757A external-priority patent/JP44926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4335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210828A/ja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5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8Structural electrical arrangem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 combination with batteries
    • H01L23/64Impedance arrangements
    • H01L23/645Inductiv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01L23/3107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 H01L23/3114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the device being a chip scale package, e.g. CS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27Inductive arrangements or effects of, or between, wir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52Protection against radiation, e.g. light or electromagnetic wa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3Redistribution layers [RDL] for bonding are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401Bonding areas specifically adapted for bump connectors, e.g. under bump metallisation [UB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93Batch processes
    • H01L2224/94Batch processes at wafer-level, i.e. with connecting carried out on a wafer comprising a plurality of undiced individua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with adaptable inter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3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93Batch processes
    • H01L24/94Batch processes at wafer-level, i.e. with connecting carried out on a wafer comprising a plurality of undiced individua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5Boron [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3Aluminum [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7Cobalt [C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9Copper [Cu]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3Zinc [Z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46Palladium [P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2Hafnium [H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3Tantalum [T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8Platinum [P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9Details of hybrid assemblie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901Structure
    • H01L2924/19015Structure including thin film passiv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Hall/Mr Elements (AREA)

Abstract

반도체기판의 상면측의 집적회로로부터 외부로의 혹은 그 반대로 외부로부터 반도체기판의 상면측의 집적회로로의 불필요한 전자복사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접속패드를 구비하는 반도체기판과, 반도체기판상에 설치된 집적회로와, 복수의 접속패드를 제외한 반도체기판상에 설치된 절연막과, 접속패드를 통해 집적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설치된 복수의 배선과, 배선의 접속패드부상에 설치된 돌기전극과, 집적회로의 상면을 덮고 또한 돌기전극의 주위에 설치된 밀봉막을 구비하고, 절연막 또는 밀봉막의 적어도 한쪽은 수지와, 수지 중에 혼입된 자성체 분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반도체기판의 상면측의 집적회로로부터 외부로의 혹은 그 반대로 외부로부터 반도체기판의 상면측의 집적회로로의 불필요한 전자복사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자성체 분말, 접속패드, 절연막, 밀봉막, 불요 전자복사 노이즈

Description

자성체 분말을 혼입하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SEMICONDUCTOR DEVICE MIXING MAGNETIC POW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342876호(도 6)에는 CSP(chip size package)라 불리는 것으로서, 반도체기판상에 복수의 배선이 설치되고, 배선의 접속패드부 상면에 주상(柱狀)전극이 설치되고, 배선을 포함한 반도체기판상에 에폭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밀봉막이 그의 상면이 주상전극의 상면과 면일치로 되도록 설치되고, 주상전극의 상면에 땜납볼이 설치된 것이 있다.
그런데,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342876호(도 6)에서는 에폭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밀봉막에 의해, 외부 분위기로부터의 오염이나 파손으로부터 반도체기판의 상면측을 보호할 수 있지만, 반도체기판의 상면측으로부터 외부로의 혹은 그 반대로 외부로부터 반도체기판의 상면측으로의 불요(不要) 전자복사 노이즈를 억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일본특허공보 제3540729호에는 CSP(chip size package)에 있어서, 소용돌이형상의 박막 유도소자를 구비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일본특허공보 제3540729호에서는 보호막의 상면에 소용돌이형상의 박막 유도소자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반도체기판에 발생하는 와전류에 의해 박막 유도소자에 와전류손실이 생기고, 박막 유도소자의 특성이 열화한다(Q값이 작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반도체기판의 상면측의 집적회로로부터 외부로의 혹은 그 반대로 외부로부터 반도체기판의 상면측의 집적회로로의 불필요한 전자복사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반도체기판상에 박막 유도소자를 갖는 반도체장치에 있어서는 반도체기판에 발생하는 와전류에 기인하는 박막 유도소자의 와전류 손실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복수의 접속패드 및 집적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기판과, 상기 복수의 접속패드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상기 반도체기판상에 설치된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의 위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패드를 통해 상기 집적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배선과, 상기 절연막의 위에 설치된 박막유도소자와, 상기 배선의 접속패드 위에 설치된 돌기전극과, 상기 절연막 및 상기 배선을 덮고 또한 상기 돌기전극의 주위에 설치된 밀봉막과, 상기 배선 아래, 상기 박막유도소자 아래, 및 상기 배선 아래와 상기 박막유도소자 아래 사이에서 상기 절연막 위에 설치된 수지 중에 자성체 분말이 혼입된 자성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반도체기판과, 해당 반도체기판상의 동일한 층상에 복수의 배선 및 소용돌이 형상의 박막 유도소자가 설치된 반도체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박막 유도소자 아래에 있어서의 상기 반도체기판상에 자성막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반도체기판과, 해당 반도체기판상의 동일한 층상에 복수의 배선 및 소용돌이 형상의 박막 유도소자가 설치된 반도체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박막 유도소자 아래에 있어서의 상기 반도체기판상에 설치된 자성막과, 상기 배선의 접속패드부상에 설치된 주상전극과, 상기 주상전극의 주위에 설치된 밀봉막을 갖고, 상기 자성막은 상기 반도체기판상의 전체면에 설치되고, 수지 중에 자성체 분말이 혼입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은, 주면에 복수의 접속패드와 복수의 집적회로가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 위의 상기 복수의 접속패드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영역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배선과 박막유도소자를 형성할 영역 아래 및 이 사이에서 상기 절연막 위에, 수지 중에 자성체 분말이 혼입된 자성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접속패드를 통해 상기 집적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상기 배선과 상기 박막유도소자를 상기 자성막 위에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의 접속패드 위에 돌기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자성막 및 상기 배선을 덮으며 또한 상기 돌기전극의 주위에 밀봉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 웨이퍼 및 상기 밀봉막을 다이싱하여 복수의 반도체장치를 얻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반도체기판상의 동일한 층상에 복수의 배선 및 소용돌이형상의 박막 유도소자가 설치된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박막 유도소자를 형성해야 할 영역 아래에 있어서의 상기 반도체기판상에 자성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봉막을 수지 중에 자성체 분말이 혼입된 재료에 의해서 형성하고 있으므로, 밀봉막 중의 자성체 분말에 의해, 반도체기판의 상면측의 집적회로로부터 외부로의 혹은 그 반대로 외부로부터 반도체기판의 상면측의 집적회로로의 불요 전자복사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소용돌이형상의 박막 유도소자를 구비한 CSP라 불리우는 반도체장치에 있어서는 반도체기판과 박막 유도소자의 사이의 수지 중에 자성체 분말을 혼입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자성막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반도체기판에 발생하는 와전류에 기인하는 박막 유도소자의 와전류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로서의 반도체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반도체장치는 일반적으로는 CSP라 불리우는 것으로서, 실리콘기판(반도체기판)(1)을 구비하고 있다. 실리콘기판(1)의 상면에는 소정 기능의 집적회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상면 주변부에는 알루미늄계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접속패드(2)가 집적회로에 접속되어 설치되어 있다.
접속패드(2)의 중앙부를 제외한 실리콘기판(1)의 상면에는 산화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막(3)이 설치되고, 접속패드(2)의 중앙부는 절연막(3)에 설치된 개구부(4)를 통해 노출되어 있다. 절연막(3)의 상면에는 폴리이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막(5)이 설치되어 있다. 절연막(3)의 개구부(4)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보호막(5)에는 개구부(6)가 설치되어 있다.
보호막(5)의 상면에는 동을 포함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하지(下地) 금속층(7)이 설치되어 있다. 하지 금속층(7)의 상면 전체에는 동으로 이루어지는 배선(8)이 설치되어 있다. 하지 금속층(7)을 포함한 배선(8)의 일단부는 절연막(3) 및 보호막(5)의 개구부(4, 6)를 통해 접속패드(2)에 접속되어 있다. 배선(8)의 접속패드부 상면에는 동으로 이루어지는 주상전극(돌기전극)(9)이 설치되어 있다.
배선(8)을 포함한 보호막(5)의 상면에는 밀봉막(10)이 그의 상면이 주상전극(9)의 상면과 면일치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밀봉막(10)은 폴리이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열경화성 수지(10a) 중에 NiCuZn, FeCoBN, CoHfTaPd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자성체 분말(10b)이 혼입된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주상전극(9)의 상면에는 땜납볼(11)이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이 반도체장치에서는 밀봉막(10)을, 폴리이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열경화성 수지(10a) 중에 NiCuZn, FeCoBN, CoHfTaPd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자성체 분말(10b)이 혼입된 재료에 의해서 형성하고 있으므로, 밀봉막(10) 중의 연자성체 분말(10b)에 의해, 실리콘기판(1)의 상면측(집적회로)으로부터 외부로의 혹은 그 반대로 외부로부터 실리콘기판(1)의 상면측(집적회로)으로의 불요 전자복사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이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의 일예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퍼상태의 실리콘기판(이하, 반도체 웨이퍼(21)라 함)의 상면에 알루미늄계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접속패드(2), 산화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막(3) 및 폴리이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막(5)이 형성되고, 접속패드(2)의 중앙부가 절연막(3) 및 보호막(5)에 형성된 개구부(4, 6)를 통해 노출된 것을 준비한다.
이 경우, 반도체 웨이퍼(21)의 상면에 있어서 각 반도체장치가 형성되는 영역에는 소정 기능의 집적회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접속패드(2)는 각각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집적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부호 '22'로 나타내는 영역은 다이싱라인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다음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막(3) 및 보호막(5)의 개구부(4, 6)를 통해 노출된 접속패드(2)의 상면을 포함한 보호막(5)의 상면 전체에 하지 금 속층(7)을 형성한다. 이 경우, 하지 금속층(7)은 무전해도금에 의해 형성된 동층만이어도 좋고, 또 스퍼터에 의해 형성된 동층만이어도 좋으며, 또한 스퍼터에 의해 형성된 티탄 등의 박막층상에 스퍼터에 의해 동층을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다음에, 하지 금속층(7)의 상면에 도금 레지스트막(23)을 패턴 형성한다. 이 경우, 배선(8) 형성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도금 레지스트막(23)에는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하지 금속층(7)을 도금 전류로로 한 동의 전해도금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도금 레지스트막(23)의 개구부(24) 내의 하지 금속층(7)의 상면에 배선(8)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금 레지스트막(23)을 박리한다.
다음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8)을 포함한 하지 금속층(7)의 상면에 도금 레지스트막(25)를 패턴 형성한다. 이 경우, 배선(8)의 접속패드부 즉 주상전극(9) 형성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레지스트막(25)에는 개구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하지 금속층(7)을 도금 전류로로 한 동의 전해 도금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도금 레지스트막(25)의 개구부(26) 내의 배선(8)의 접속패드부 상면에 주상전극(9)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금 레지스트막(25)을 박리하고, 다음에, 배선(8)을 마스크로 하여 하지 금속층(7)의 불필요한 부분을 에칭하여 제거하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8) 아래에만 하지 금속층(7)이 잔존된다.
다음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8) 및 주상전극(9)을 포함한 보호막(5)의 상면에, 스크린 인쇄법이나 스핀 코트법 등에 의해, 폴리이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열경화성 수지(10a) 중에 NiCuZn, FeCoBN, CoHfTaPd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자성체 분말(10b)이 혼입된 재료로 이루어지는 밀봉 막(10)을 그의 두께가 주상전극(9)의 높이보다 약간 두꺼워지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주상전극(9)의 상면은 밀봉막(10)에 의해서 덮여 있다. 이 경우, 열경화성 수지(10a) 중에 연자성체 분말(10b)이 혼입된 재료를 스크린 인쇄법이나 스핀 코트법 등에 의해 도포하면 좋으므로, 제조 공정수가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음에, 밀봉막(10)의 상면측을 적절히 연마하여 제거하는 것에 의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상전극(9)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동시에, 이 노출된 주상전극(9)의 상면을 포함한 밀봉막(10)의 상면을 평탄화한다. 다음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상전극(9)의 상면에 땜납볼(11)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싱라인(22)을 따라, 밀봉막(10), 보호막(5), 절연막(3) 및 반도체 웨이퍼(21)를 다이싱하면, 도 1에 나타내는 반도체장치가 복수개 얻어진다.
<제 2 실시형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로서의 반도체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반도체장치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반도체장치와 다른 점은 보호막(절연막)(5)을 폴리이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열경화성 수지(5a) 중에 연자성체 분말(5b)이 혼입된 재료에 의해서 형성한 점이다.
이 반도체장치에서는 밀봉막(10) 및 보호막(5) 중의 연자성체 분말(10b, 5b)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반도체장치의 경우보다, 실리콘기판(1)의 상면측(집적회로)으로부터 외부로의 혹은 그 반대로 외부로부터 실리콘기판(1)의 상면측(집적회로)으로의 불요 전자복사 노이즈를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 보호막(5)의 형성시 에는 열경화성 수지(5a) 중에 연자성체 분말(5b)이 혼입된 재료를 스크린 인쇄법이나 스핀 코트법 등에 의해 도포하면 좋으므로, 제조 공정수가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1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로서의 반도체장치의 주요부의 투과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11b는 그 B-B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반도체장치는 일반적으로는 CSP라 불리는 것으로서, 평면 방형상의 실리콘기판(반도체기판)(1)을 구비하고 있다. 실리콘기판(1)의 상면에는 소정 기능의 집적회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상면 주변부에는 알루미늄계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접속패드(2a, 2b, 2c)가 집적회로에 접속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부호 '2b, 2c'로 나타내는 접속패드는 후술하는 소용돌이형상의 박막 유도소자(13)의 양단부에 접속되는 것이며, 도 11a에서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접속패드(2a, 2b, 2c)의 중앙부를 제외한 실리콘기판(1)의 상면에는 산화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막(3)이 설치되고, 접속패드(2a, 2b, 2c)의 중앙부는 절연막(3)에 설치된 개구부(4a, 4b, 4c)를 통해 노출되어 있다. 절연막(3)의 상면에는 알루미늄계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박막 유도소자용 배선(18)이 설치되어 있다. 박막 유도소자용 배선(18)의 일단부는 절연막(3)의 개구부(4b)를 통해 접속패드(2b)에 접속되어 있다.
박막 유도소자용 배선(18)을 포함한 절연막(3)의 상면에는 자성막(19)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자성막(19)은 폴리이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으로 이 루어지는 열경화성 수지(19a) 중에 NiCuZn, FeCoBN, CoHfTaPd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자성체 분말(19b)이 혼입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절연막(3)의 개구부(4a, 4c) 및 박막 유도소자용 배선(18)의 접속패드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자성막(5)에는 개구부(20a, 20c, 29)가 설치되어 있다.
자성막(19)의 상면에는 동 등으로 이루어지는 하지 금속층(30), 소용돌이형상의 박막 유도소자용 하지 금속층(10) 및 박막 유도소자용 배선용 하지 금속층(11)(도 11b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하지 금속층(30), 박막 유도소자용 하지 금속층(10) 및 박막 유도소자용 배선용 하지 금속층(11)의 각 상면 전체에는 동으로 이루어지는 배선(12), 소용돌이형상의 박막 유도소자(13) 및 박막 유도소자용 배선(14)이 설치되어 있다.
하지 금속층(30)을 포함한 배선(12)의 일단부는 절연막(3) 및 자성막(19)의 개구부(4a, 7a)를 통해 접속패드(2a)에 접속되어 있다. 박막 유도소자용 배선용 하지 금속층(11)을 포함한 박막 유도소자용 배선(14)의 일단부는 절연막(3) 및 자성막(19)의 개구부(4c, 20c)를 통해 접속패드(2c)에 접속되어 있다. 박막 유도소자용 하지 금속층(10)을 포함한 박막 유도소자(13)의 내단부는 자성막(19)의 개구부(29)를 통해 박막 유도소자용 배선(18)의 접속패드부에 접속되고, 외단부는 박막 유도소자용 배선용 하지 금속층(11)을 포함한 박막 유도소자용 배선(14)의 타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배선(12)의 접속패드부 상면에는 동으로 이루어지는 주상전극(15)이 설치되어 있다. 배선(12) 및 박막 유도소자(13)를 포함한 자성막(19)의 상면에는 에폭시 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밀봉막(16)이 그의 상면이 주상전극(15)의 상면과 면일치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주상전극(15)의 상면에는 땜납볼(17)이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이 반도체장치에서는 박막 유도소자(13) 아래에 있어서의 실리콘기판(1)상의 절연막(3)의 상면에, 열경화성 수지(19a) 중에 연자성체 분말(19b)을 혼입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자성막(19)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실리콘기판(1)에 발생하는 와전류에 기인하는 박막 유도소자(13)의 와전류손실을 저감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박막 유도소자(13)의 특성열화(Q값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이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의 일예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퍼상태의 실리콘기판(이하, 반도체 웨이퍼(21)라 함)의 상면에 알루미늄계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접속패드(2a, 2b) 및 산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막(3)이 형성되고, 접속패드(2a, 2b)의 중앙부가 절연막(3)에 형성된 개구부(4a, 4b)를 통해 노출된 것을 준비한다.
이 경우, 반도체 웨이퍼(21)의 상면에 있어서 각 반도체장치가 형성되는 영역에는 소정 기능의 집적회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접속패드(2a, 2b)는 각각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집적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1a에 나타내는 접속패드(2c) 및 그것에 부수하는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 12에 있어서, 부호 '22'로 나타내는 영역은 다이싱라인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다음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막(3)의 상면에, 스퍼터법 등에 의해 성막된 알루미늄계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막을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패터닝하는 것에 의해, 박막 유도소자용 배선(18)을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는 박막 유도소자용 배선(18)의 일단부는 절연막(3)의 개구부(4b)를 통해 접속패드(2b)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막 유도소자용 배선(18)을 포함한 절연막(3)의 상면에, 스크린 인쇄법이나 스핀 코트법 등에 의해, 폴리이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열경화성 수지(19a) 중에 NiCuZn, FeCoBN, CoHfTaPd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자성체 분말(19b)이 혼입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자성막(19)을 형성한다. 다음에, 절연막(3)의 개구부(4a) 및 박막 유도소자용 배선(18)의 접속패드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자성막(19)에,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가공 혹은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개구부(20a, 29)를 형성한다.
다음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막(3) 및 자성막(19)의 개구부(4a, 7a)를 통해 노출된 접속패드(2a)의 상면 및 자성막(19)의 개구부(29)를 통해 노출된 박막 유도소자용 배선(18)의 접속패드부 상면을 포함한 자성막(19)의 상면 전체에 하지 금속층(23)을 형성한다. 이 경우, 하지 금속층(23)은 무전해도금에 의해 형성된 동층만이어도 좋고, 또 스퍼터법에 의해 형성된 동층만이어도 좋으며, 또한 스퍼터법에 의해 형성된 티탄 등의 박막층상에 스퍼터법에 의해 동층을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다음에, 하지 금속층(23)의 상면에 도금 레지스트막(44)을 패턴 형성한다. 이 경우, 배선(12) 형성영역 및 박막 유도소자(13) 형성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 어서의 도금 레지스트막(44)에는 개구부(45, 26)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하지 금속층(23)을 도금 전류로로 한 동의 전해도금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도금 레지스트막(44)의 개구부(45, 26) 내의 하지 금속층(23)의 상면에 배선(12) 및 박막 유도소자(13)를 형성한다. 다음에, 도금 레지스트막(44)을 박리한다.
다음에,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12) 및 박막 유도소자(13)를 포함한 하지 금속층(23)의 상면에 도금 레지스트막(27)을 패턴 형성한다. 이 경우, 배선(12)의 접속패드부 즉 주상전극(15) 형성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도금 레지스트막(27)에는 개구부(28)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하지 금속층(23)을 도금 전류로로 한 동의 전해도금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도금 레지스트막(27)의 개구부(28) 내의 배선(12)의 접속패드부 상면에 주상전극(15)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금 레지스트막(27)을 박리하고, 다음에, 배선(12) 및 박막 유도소자(13)를 마스크로 하여 하지 금속층(23)의 불필요한 부분을 에칭하여 제거하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12) 및 박막 유도소자(13) 아래에만 하지 금속층(30) 및 박막 유도소자용 하지 금속층(10)이 잔존된다.
다음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12), 박막 유도소자(13) 및 주상전극(15)을 포함한 자성막(19)의 상면에, 스크린 인쇄법이나 스핀 코트법 등에 의해, 에폭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밀봉막(16)을 그의 두께가 주상전극(15)의 높이보다 두꺼워지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주상전극(15)의 상면은 밀봉막(16)에 의해서 덮여 있다.
다음에, 밀봉막(16)의 상면측을 적절히 연삭하고,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 이, 주상전극(15)의 상면을 노출시키고 또한 이 노출된 주상전극(15)의 상면을 포함한 밀봉막(16)의 상면을 평탄화한다. 다음에,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상전극(15)의 상면에 땜납볼(17)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싱라인(22)을 따라, 밀봉막(16), 자성막(19), 절연막(3) 및 반도체 웨이퍼(21)를 절단하면, 도 11에 나타내는 반도체장치가 복수개 얻어진다.
<제 4 실시형태>
도 22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로서의 반도체장치의 주요부의 투과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22b는 그 B-B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반도체장치에 있어서, 도 11a, 도 11b에 나타내는 반도체장치와 다른 점은 박막 유도소자(13) 아래에 있어서의 박막 유도소자용 배선(18)을 포함한 절연막(3)의 상면에 자성막(31)을 설치하고, 자성막(31)의 배치영역을 제외한 박막 유도소자용 배선(18)을 포함한 절연막(3)의 상면에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막(절연막)(32)을 설치한 점이다.
이 경우, 자성막(31)은 자성시트(자성체 시트 혹은 자성체 분말을 포함한 수지시트)를 점착하는 것에 의해, 혹은 스퍼터 등에 의해 마스크를 이용하여 자성체막을 성막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박막 유도소자용 하지 금속층(10)을 포함한 박막 유도소자(13)의 내단부는 자성막(31)에 레이저가공 등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33)를 통해 박막 유도소자용 배선(18)의 접속패드부에 접속되어 있다. 하지 금속층(30)을 포함한 배선(12)의 일단부는 절연막(3) 및 보호막(32)에 레이저가공 등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4a, 34)를 통해 접속패드(2a)에 접속되어 있 다.
이 반도체장치에서는 박막 유도소자(13) 아래에 있어서의 실리콘기판(1)상의 절연막(3)의 상면에, 자성시트 혹은 자성체막으로 이루어지는 자성막(31)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실리콘기판(1)에 발생하는 와전류에 기인하는 박막 유도소자(13)의 와전류손실을 저감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박막 유도소자(13)의 특성열화(Q값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반도체장치에서는 박막 유도소자(13) 아래에 자성막(31)을 설치하고, 배선(12) 아래에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막(32)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박막 유도소자(13)의 특성열화(Q값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면, 저저항의 실리콘기판(1)을 가상 그라운드로서 그 위에 보호막(32)을 통해 배선(12)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박막 유도소자(13) 및 배선(12)에 대해 최선의 고주파특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5 실시형태>
도 2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로서의 반도체장치의 주요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반도체장치에 있어서, 도 22b에 나타내는 반도체장치와 다른 점은 자성막(31) 및 보호막(32)의 상면에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층 보호막(상층 절연막)(35)을 설치한 점이다. 이 경우, 박막 유도소자용 하지 금속층(10)을 포함한 박막 유도소자(13)의 내단부는 자성막(31) 및 상층 보호막(35)에 레이저가공 등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33, 36)를 통해 박막 유도소자용 배선(18)의 접속패드부에 접속되어 있다. 하지 금속층(30)을 포함한 배선(12)의 일단부는 절연막(3), 보호막(32) 및 상층 보호막(35)에 레이저가공 등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4a, 34, 37)를 통해 접속패드(2a)에 접속되어 있다.
이 반도체장치에서는 박막 유도소자용 하지 금속층(10)의 자성막(31)에 대한 밀착성이 나쁜 경우에는 그 사이에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층 보호막(35)을 개재시키는 것에 의해, 그러한 불합리를 해소할 수 있다. 또, 상층 보호막(35)의 막두께의 분만큼, 박막 유도소자(13)를 실리콘기판(1)으로부터 이간시킬 수 있으므로, 박막 유도소자(13)의 특성열화가 한층 저감되고, Q값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도 2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로서의 반도체장치의 주요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반도체장치에 있어서, 도 23에 나타내는 반도체장치와 다른 점은 보호막(32) 및 상층 보호막(35)을 개별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의 동일한 수지재료를 이용하여 1회의 스크린 인쇄나 스핀 코트법 등에 의해 동시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조 공정수를 저감한 점이다.
<제 7 실시형태>
도 25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로서의 반도체장치의 주요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반도체장치에 있어서, 도 11b에 나타내는 반도체장치와 다른 점은 자성막(19)의 상면에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막(절연막)(41)을 설치한 점이다. 이 경우, 박막 유도소자용 하지 금속층(10)을 포함한 박막 유도소자(13)의 내단부는 자성막(19) 및 보호막(41)에 레이저가공 등에 의해 형성된 개구 부(29, 42)를 통해 박막 유도소자용 배선(18)의 접속패드부에 접속되어 있다. 하지 금속층(30)을 포함한 배선(12)의 일단부는 절연막(3), 자성막(19) 및 보호막(41)에 레이저가공 등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4a, 7a, 43)를 통해 접속패드(2a)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보호막(41)의 막두께의 분만큼, 박막 유도소자(13)를 실리콘기판(1)으로부터 이간시킬 수 있으므로, 박막 유도소자(13)의 특성열화가 한층 저감되고, Q값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전부에 있어서, 열경화성 수지(10a, 19a), 밀봉막(16), 보호막(5)의 어느 것에도, 연자성체 분말(10b,19b)을 혼입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로서의 반도체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반도체장치의 제조시에, 당초 준비한 것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계속되는 공정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계속되는 공정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계속되는 공정의 단면도.
도 6은 도 5에 계속되는 공정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 계속되는 공정의 단면도.
도 8은 도 7에 계속되는 공정의 단면도.
도 9는 도 8에 계속 되는 공정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로서의 반도체장치의 단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로서의 반도체장치의 주요부의 투과 평면도, 도 11b는 그 B-B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의 일예에 있어서, 당초 준비한 것의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계속되는 공정의 단면도.
도 14는 도 13에 계속되는 공정의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계속되는 공정의 단면도.
도 16은 도 15에 계속되는 공정의 단면도.
도 17은 도 16에 계속되는 공정의 단면도.
도 18은 도 17에 계속되는 공정의 단면도.
도 19는 도 18에 계속되는 공정의 단면도.
도 20은 도 19에 계속되는 공정의 단면도.
도 21은 도 20에 계속되는 공정의 단면도.
도 22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로서의 반도체장치의 주요부의 투과 평면도, 도 22b는 그 B-B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로서의 반도체장치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로서의 반도체장치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로서의 반도체장치의 주요부의 단면도.

Claims (27)

  1. 복수의 접속패드 및 집적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기판과,
    상기 복수의 접속패드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상기 반도체기판상에 설치된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의 위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패드를 통해 상기 집적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배선과,
    상기 절연막의 위에 설치된 박막유도소자와,
    상기 배선의 접속패드 위에 설치된 돌기전극과,
    상기 절연막 및 상기 배선을 덮고 또한 상기 돌기전극의 주위에 설치된 밀봉막과,
    상기 배선 아래, 상기 박막유도소자 아래, 및 상기 배선 아래와 상기 박막유도소자 아래 사이에서 상기 절연막 위에 설치된 수지 중에 자성체 분말이 혼입된 자성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분말은 NiCuZn, FeCoBN, CoHfTaPd 중의 어느 하나의 연자성체 분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전극 상에 땜납볼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전극은 주상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5. 주면에 복수의 접속패드와 복수의 집적회로가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 위의 상기 복수의 접속패드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영역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배선과 박막유도소자를 형성할 영역 아래 및 이 사이에서 상기 절연막 위에, 수지 중에 자성체 분말이 혼입된 자성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접속패드를 통해 상기 집적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상기 배선과 상기 박막유도소자를 상기 자성막 위에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의 접속패드 위에 돌기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자성막 및 상기 배선을 덮으며 또한 상기 돌기전극의 주위에 밀봉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 웨이퍼 및 상기 밀봉막을 다이싱하여 복수의 반도체장치를 얻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분말은 NiCuZn, FeCoBN, CoHfTaPd 중의 어느 하나의 연자성체 분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막을 형성한 후에, 상기 돌기전극 상에 땜납볼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080012598A 2007-02-13 2008-02-12 자성체 분말을 혼입하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282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31757 2007-02-13
JP2007031757A JP4492621B2 (ja) 2007-02-13 2007-02-13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43355A JP2008210828A (ja) 2007-02-23 2007-02-23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7-00043355 2007-02-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714A Division KR101030153B1 (ko) 2007-02-13 2010-01-28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790A KR20080075790A (ko) 2008-08-19
KR101028258B1 true KR101028258B1 (ko) 2011-04-11

Family

ID=396851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598A KR101028258B1 (ko) 2007-02-13 2008-02-12 자성체 분말을 혼입하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100007714A KR101030153B1 (ko) 2007-02-13 2010-01-28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714A KR101030153B1 (ko) 2007-02-13 2010-01-28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10882B2 (ko)
KR (2) KR101028258B1 (ko)
TW (1) TWI3971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2170A (ja) * 2008-09-01 2010-03-18 Casio Comput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222739B2 (en) * 2009-12-19 2012-07-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to improve coreless package connections
CN102034721B (zh) * 2010-11-05 2013-07-10 南通富士通微电子股份有限公司 芯片封装方法
CN102034720B (zh) 2010-11-05 2013-05-15 南通富士通微电子股份有限公司 芯片封装方法
JP2013232620A (ja) 2012-01-27 2013-11-14 Rohm Co Ltd チップ部品
KR101771732B1 (ko) 2012-08-29 2017-08-25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부품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051886B (zh) 2013-03-25 2018-06-08 瑞萨电子株式会社 半导体装置及其制造方法
US9245940B2 (en) * 2014-02-12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Inductor design on floating UBM balls for wafer level package (WL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2241A (en) 1987-08-28 1990-11-20 Kabushiki Kaisha Toshiba Magnetic force detecting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8255811A (ja) * 1995-03-16 1996-10-01 Toshiba Corp 電子部品の接続装置
JP2002184945A (ja) * 2000-12-11 2002-06-28 Fuji Electric Co Ltd 磁気素子一体型半導体デバイス
JP2004342876A (ja) * 2003-05-16 2004-12-02 Casio Comput Co Ltd ドライフィルムレジストのラミネー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9255B2 (ja) 1993-05-21 2004-02-2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複合集積回路部品の作製方法
JP2765547B2 (ja) * 1995-12-27 1998-06-18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311226A (ja) 1998-07-28 2000-11-07 Toshiba Corp 無線icカ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無線icカード読取り書込みシステム
US6303423B1 (en) * 1998-12-21 2001-10-16 Megic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high performance system-on-chip using post passivation process
US6835576B2 (en) * 2000-05-02 2004-12-28 Fuji Electric Co., Ltd. Magnetic thin film, a magnetic component that uses this magnetic thin film, manufacturing methods for the same, and a power conversion device
US6847066B2 (en) * 2000-08-11 2005-01-25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JP3540729B2 (ja) 2000-08-11 2004-07-0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914183B2 (en) * 2002-09-25 2005-07-05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Board for printed wiring
KR20050093808A (ko) * 2002-12-27 2005-09-23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수지조성물, 수지경화물, 시트형상 수지경화물, 적층체,프리프레그, 전자부품 및 다층기판
JP2004214561A (ja) 2003-01-08 2004-07-29 Oki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016340B2 (ja) * 2003-06-13 2007-12-05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実装構造、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5235944A (ja) 2004-02-18 2005-09-02 Tdk Corp 電子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615619B (zh) * 2004-03-12 2011-11-30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半导体器件
JP2006059839A (ja) 2004-08-17 2006-03-02 Oki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319094A (ja) 2005-05-12 2006-11-24 Fujikura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2241A (en) 1987-08-28 1990-11-20 Kabushiki Kaisha Toshiba Magnetic force detecting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8255811A (ja) * 1995-03-16 1996-10-01 Toshiba Corp 電子部品の接続装置
JP2002184945A (ja) * 2000-12-11 2002-06-28 Fuji Electric Co Ltd 磁気素子一体型半導体デバイス
JP2004342876A (ja) * 2003-05-16 2004-12-02 Casio Comput Co Ltd ドライフィルムレジストのラミネー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609A (ko) 2010-03-12
TWI397158B (zh) 2013-05-21
US20080191349A1 (en) 2008-08-14
KR20080075790A (ko) 2008-08-19
US8110882B2 (en) 2012-02-07
TW200845326A (en) 2008-11-16
KR101030153B1 (ko) 2011-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153B1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00010B1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I660477B (zh) 半導體封裝及其製造方法
US20060017161A1 (en)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protective layer for re-routing lin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249080B2 (ja) 半導体装置
JP2004158827A (ja) 半導体ウエハ、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回路基板並びに電子機器
JP4492621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278734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4349610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244383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210828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26919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00052165A1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columnar electrodes having planar size greater than that of connection pad portion of wiring l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159002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095991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686962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5001884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009306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rcuit board, together with electronic instrument
JP4987683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040817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2078279A (ja)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1091432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202247384A (zh) 半導體裝置和製造半導體裝置的方法
JP2013026367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60002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