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355B1 - 안과장치 - Google Patents

안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355B1
KR101002355B1 KR1020040021541A KR20040021541A KR101002355B1 KR 101002355 B1 KR101002355 B1 KR 101002355B1 KR 1020040021541 A KR1020040021541 A KR 1020040021541A KR 20040021541 A KR20040021541 A KR 20040021541A KR 101002355 B1 KR101002355 B1 KR 101002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moving
mode
intraocular pressur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5067A (ko
Inventor
요시아키 미무라
미키오 쿠라치
나오토 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Publication of KR20040085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5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93Fall arrest ree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6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measuring intraocular pressure, e.g. tonometers
    • A61B3/165Non-contacting ton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refraction, e.g. refractometers, skia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7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the shape or measuring the curvature of the corn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피검자안의 여러가지 안특성을 측정, 검사하는 안과장치, 더 자세하게는, 안압과 다른 안특성을 측정, 검사하는 안과장치. 안과장치는, 피검자안의 안압을 측정하기 위해 유체를 노즐(13)을 통해 각막(Ec)으로 뿜는 취부유닛(17)을 갖는 안압측정부(1a), 안특성을 검사하기 위해 눈에서 나오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검사광학계(51-54, 74-77)가 배치된 안특성 검사부(1b), 측정부(1a) 및 검사부(1b)가 배치된 본체부(1), 눈에 대해서 본체부(1)를 작동거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이동수단(130, 2, 4, 400, 404, 406, 410, 412, 414, 416, 418, 420), 본체부(1)에 대해서 측정부(1a)를 작동거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이동수단(100), 안특성을 검사하는 제 1 모드와, 안압을 측정하는 제 2 모드를 절환하는 절환신호를 발생시키는 모드절환수단(5, 110, 121), 및 절환신호를 기초로 제 2 이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수단(110)을 포함한다.
안과장치, 취부유닛, 이동수단, 모드절환수단, 이동제어수단

Description

안과장치{Ophthalmic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과장치의 개략적인 외관도,
도 2는 본체부 내부를 측방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체부 내부를 상방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체부 내부에 배치된 광학계, 안압측정부의 유체취부기구, 및 본 장치의 제어계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이동 베이스의 이동기구와 이동 베이스의 후방기준위치이동의 검지기구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이동 베이스가 후방기준방향으로 이동한 것이 검지 된 후에 안압측정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을 한 경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피검자안(眼)의 여러가지 안(眼)특성을 측정, 검사하는 안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압(眼壓) 및 그외 다른 안특성을 측정, 검사하는 안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과진찰은, 안굴절력(眼屈折力), 각막형상(角膜形狀), 안압 등 여러가지 안특성을 측정하고 검사하는 것을 말한다(안저(眼底)) 등의 촬영도 포함된다). 이러한 각각의 안특성을 개별적이고 타각(他覺)적으로 측정, 검사하는 전용형 안과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각각의 전용형 장치에 의해 개별적으로 측정 및 검사하는 것은, 피검자나 검사자가 장치 간을 이동하는데 걸리는 수고 또는 설치공간의 낭비와 같은 문제점을 야기한다. 따라서,다양한 안특성을 측정 및 검사 할 수 있는 복합형 안과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안압 및 안굴절력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로서 안압 측정계(系)를 수납한 안압 측정부와 안굴절력 측정계를 수납한 안굴절력 측정부를 상하로 배치하여 일체화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개평1-265937호 참조).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장치는, 각 측정부를 일체적으로 상하 이동시킴으로서 피검자안과 각 측정부와의 상하방향 얼라이먼트가 각각 수행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전용형 장치의 측정부 상하운동량에 비해 큰 상하운동량이 필요하는 등 이동구성의 대형화나 얼라이먼트에 필요한 시간이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다양한 안특성을 측정, 검사하는 기능을 갖는 복합형 안과장치에 있어서, 각 측정 및 검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안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안과장치는, 피검자안의 안압을 측정하기 위해 노즐을 통해 유체(流體)를 각막으로 뿜는 취부(吹付) 유닛을 갖는 안압 측정부, 안특성을 검사하기 위해 눈으로부터 나오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검사광학계가 배치된 안특성 검사부, 측정부 및 검사부가 배치된 본체부, 눈에 대해 본체부를 작동거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이동수단, 본체부에 대해 측정부를 작동거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이동수단, 안특성을 검사하는 제 1 모드와, 안압을 측정하는 제 2 모드를 절환하는 절환신호를 발생시키는 모드 절환수단, 절환신호를 기초로 제 2 이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압, 안굴절력 및 각막형상을 측정하는 복합형 장치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과측정장치의 개략적인 외관도이다.
본체부(1)를 상부에 구비하는 이동베이스(2)는, 좌우방향(이하, X 방향) 및 전후방향(작동거리방향, 이하, Z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기본베이스(3)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은, 조이스틱(4)의 조작에 의해 기계적으로(전동으로도 가능) 수행된다. 또한, 본체부(1)는, X 방향, Z 방향 및 상하방향(이하, Y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동베이스(2) 상에 배치된다. 각 방향으로의 이동은, 피검자안에 대한 본체부(1)의 얼라이먼트 상태의 검출결과를 기초로 전동으로 수행된다. 또한, Y 방향의 이동은, 조이스틱(4)의 회전노즐(4a)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도 전동으로 수행된다.
기본베이스(3)에는, 피검자의 얼굴을 지지하기 위한 얼굴지지 유닛(6)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얼굴지지 유닛(6)에는 피검자의 얼굴을 가볍게 눌러 고정하기 위한 얼굴지지부(7)가 설치되어 있다. 참조번호 5는 조이스틱(4)의 정수리 부분에 설치된 측정개시 스위치이다. 참조번호 8a는 후술할 전안부(前眼部) 조명용 광원(20)으로부터 나오는 광을 통과시키는 투광창이다. 참조번호 8b는 후술할 각막형상 측정용 광원(80)으로부터 나오는 광을 통과시키는 투광창이다. 참조번호 8c는 후술할 Z 방향의 얼라이먼트용 광원(85)으로부터 나오는 광을 통과시키는 투광창이다.
도 2(a)와 2(b)는 본체부(1) 내부를 측방에서(도 1의 화살표 A 방향) 본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a)와 3(b)는 본체부(1) 내부를 상방에서(도 1의 화살표 B 방향) 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체부(1) 내에는 비접촉방식으로 피검자안(E)의 안압을 측정하기 위한 안압 측정부(1a)가 Z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안(E)의 안굴절력 및 각막형상을 측정하기 위한 안굴절력ㆍ각막형상 측정부(1b)가 안압 측정부(1a)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고정배치되어 있다. 또한, 반사미러(9), 반사미러(10), 미러이동유닛(90) 및 안압 측정부 이동유닛(100)이 설치되어 있다.
미러이동유닛(90)은, 본체부(1)내에 고정되며 X 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두개의 가이드봉(91, 92), 가이드 봉(91, 92)가 관통하는 이동부재(93), 이동부재(93)에 부착고정되어 미러(9)를 지지하는 미러지지부재(94), 이동부재(93)의 측면에 형성된 경사면(93a)에 당접하는 롤러(95), 롤러(95)가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됨과 동시에 타단에는 안압 측정부(1a)가 부착고정된 X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접속부재(96), 및 이동부재(93)를 안압 측정부(1a)측으로 힘을 가하는(바이어스 하는) 스프링 등의 힘을 가하는 부재(바이어스 부재)(97)를 포함한다. 또한, 안압측정부 이동유닛(100)은, 모터(101), 및 모터(101)와 안압 측정부(1a)를 접속시키는 크랭크기구(102)를 포함한다.
안압 측정부(1a)는, 모터(101)의 구동에 의해 크랭크 기구(102)를 통해 Z 방향으로 평행이동한다. 이 때, 접속부재(96) 및 이동부재(93)의 경사면(93a)이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경사면(93a)은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Z 방향으로 경사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안압 측정부(1a)가 도 2(a)의 후퇴위치로부터 도 2(b)의 측정기준위치로 이동하면, 이동부재(93)는 롤러(95)(접속부재(96))에 눌려 가이드 봉(91, 92)을 따라 도 3(a)의 상태에서 도 3(b)의 상태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93)에 미러지지부재(94)를 통해 부착고정된 미러(9)도, 안압 측정부(1a)가 가지고 있는 노즐(13)의 앞측(눈(E)과 노즐(13)과의 사이)으로 압입된 도 3(a)의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도 3(b)의 상태로 이동된다.
한편, 안압 측정부(1a)가 모터(101)의 구동에 의해 도 2(b)의 측정기준위치에서 도 2(a)의 후퇴위치로 이동되면, 이동부재(93)는 바이어스 부재(97)의 탄성력에 의해 도 3(b)의 상태에서 도 3(a)의 상태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미러(9)도 도 3(b)의 상태에서 도 3(a)의 상태로 이동된다.
또한, 미러(9)를 상방향으로 튀어올리는 이동기구에 의해, 노즐(13)의 앞측에 미러(9)를 삽탈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그러나, 이 경우, 미러(9)를 노즐(13) 앞측으로 다시 삽입했을 때 위치 어긋남(측정광축(L1)에 대한 미러(9)의 반사면의 각 도 어긋남)이 발생하면, 미러(9)에서 반사되어 안굴절력ㆍ각막형상 측정부(1b)로 유도되는 눈(E)에서 나오는 반사광에 광축어긋남이 발생하고, 측정 정밀도에 영향을 준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와 같이, 미러(9)를 그 반사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의 경우에는, 미러(9)를 노즐(13)의 앞측에 다시 삽입했을 때 다소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여도, 광축(L1)에 대한 미러(9)의 반사면의 각도는 유지되기 때문에, 안굴절력ㆍ각막형상 측정부(1b)측의 측정 정밀도에 대한 영향이 억제된다.
또한, 미러(9) 및 미러(10)를 대신하여 프리즘을 이용하고, 미러 유지부재(94)을 대신하여 프리즘 유지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미러이동유닛(90)과 같은 구성으로 프리즘을 안압 측정부(1a)의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안압 측정부(1a)와 미러(9)는 모터(101)의 구동력에 의해 연동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각각 다른 구동력에 의해 이동시켜도 무방하다.
도 4는 본체부(1)내에 배치된 광학계, 안압 측정부(1a)의 유체취부기구 및 본 장치의 제어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먼저 안압 측정부(1a)의 공기(유체)취부기구(17)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조번호 11은 공기압축용의 실린더이다. 참조번호 12는 피스톤으로 미도시된 회전솔레노이드의 구동력에 의해 실린더(11)내를 이동한다. 피스톤(12)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11)내에서 압축된 공기는, 노즐(13)로부터 눈(E)의 각막(Ec)을 향해 뿜어진 다. 참조번호 14는 노즐(13)을 지지하는 투명한 유리기판이며, 15는 노즐(13)의 배후에 설치된 투명한 유리기판이다. 유리기판(15)의 배후에는, 후술할 관찰 및 얼라이먼트를 위한 광학계가 배치되어 있다. 부재번호 16은 실린더(11)내에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이다.
다음으로, 안압 측정부(1a)의 광학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안압 측정부(1a)를 사용할 시(안압측정시), 앞서 설명한 미러 이동유닛(90) 및 안압측정부 이동유닛(100)에 의해 미러(9)는 안압측정에 영향을 주지않는 후퇴위치(도3(b)의 상태)로 이동된다.
참조번호 20은 전안부 조명용의 적외선 광원이며, 노즐(13)의 축선과 일치하는 광축(L1)을 중심으로 4개 배치되어 있다. 광원(20)에 의한 눈(E)의 전안부 이미지는, 광축(L1)상에 각각 배치된 유리기판(15), 하프미러(21), 대물렌즈(22), 다이크로익 미러(23) 및 필터(24)를 통해, 촬상소자인 CCD 카메라(25)에 의해 촬상된다. 또한, 다이크로익 미러(23)는, 적외선광을 투과시켜 가시광선을 반사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필터(24)는 광원(20) 및 후술할 광원(30)의 광을 투과하며 후술할 광원(40)의 광을 투과하지 않는 특성을 갖고 있다. 카메라(25)에 의해 촬상된 전안부 이미지는 모니터(26) 상에 표시된다.
참조번호 30은, X, Y 방향의 얼라이먼트용의 적외선 광원이며, 그 광은 투영렌즈(31), 하프미러(21) 및 유리기판(15)을 통해서, 각막(Ec)에 정면으로부터 투영된다. 광원(30)의 각막반사 이미지는, 유리기판(15)에서 필터(24)까지를 통해 카메라(25)로 촬상되어, X, Y 방향의 얼라이먼트에 이용된다. 또한, 광원(20)의 각막반 사 이미지는 X, Y 방향의 얼라이먼트에도 이용될 수 있다(자세하게는, US 6,022,108(특개평10-71122호)를 참조). 참조번호 35는 고시표(固視標) 투영용의 가시광선 광원이며, 광원(35)에 의해 조명된 고시표(36)의 광은, 투영렌즈(37), 다이크로익 미러(23), 대물렌즈(22), 하프미러(21) 및 유리기판(15)을 통해 눈(E)을 향한다.
참조번호 40은 각막(Ec)의 변형상태 검출용의 적외선 광원이며, 이 광은 콜리메이터 렌즈(41)에 의해 대략 평행광이 되어 각막(Ec)에 투영된다. 광원(40)의 각막반사 이미지는, 수광렌즈(42), 필터(43), 하프미러(44) 및 핀홀 플레이트(45)를 통해, 광검출기(46)에 의해 수광된다. 필터(43)는 광원(40)의 광을 투과하며 광원(20) 및 광원(30)의 광을 투과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광학계는 각막(Ec)이 소정의 변형상태(편평상태)인 경우, 광검출기(46)의 수광량이 최대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광원(40) 및 콜리메이터 렌즈(41)은 Z 방향의 얼라이먼트에도 이용된며, 광원(40)의 각막반사 이미지는, 수광렌즈(42)에서 하프미러(44)를 통해 PSD나 얼라이먼트 등의 일차원 위치검출소자(47)에 입사된다. 눈(E)(각막(Ec)이 Z 방향으로 이동하면, 광원(40)의 각막반사 이미지의 입사위치도 위치검출소자(47) 상을 이동하기 때문에, 위치검출소자(47)로부터 나오는 출력신호를 기초로 눈(E)에 대한 Z방향의 얼라이먼트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각막(Ec)의 변형상태 검출 및 Z 방향의 얼라이먼트 상태 검출광학계를 상하로 배치하도록 도시하였지만, 본래는 피검자 안에 대해 좌우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안굴절력ㆍ각막형상 측정부(1b)의 광학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안굴절력ㆍ각막형상 측정부(1b)를 사용하는 경우(안굴절력 및 각막상태의 측정시), 앞서 서술한 미러 이동유닛(90) 안압측정부 이동유닛(100)에 의해 미러(9)는 노즐(13)의 앞측인 측정기준위치(도 3(a)의 상태)로 이동된다.
광원(20)에 의한 눈(E)의 전안부 이미지는 미러(9)에 의해 반사되어, 미러(9)로부터 광축(L1)과 동축(同軸)적인 측정광축(L2) 상에 각각 배치된 미러(10), 하프미러(51), 하프미러(52) 및 결상렌즈(53)를 통해, 촬상소자인 CCD 카메라(54)에 의해 촬상된다. 카메라(54)에 의해 촬상된 전안부 이미지는 모니터(26) 상에 표시된다.
참조번호 60은, X, Y 방향의 얼라이먼트용의 적외선 광원이며, 그 광은, 투영렌즈(61), 다이크로익 미러(62), 하프미러(52), 하프미러 51, 미러 10, 및 미러 9를 통해 각막 Ec에 정면으로부터 투영된다. 또한, 다이크로익 미러(62)는 가시광선을 투영하며 적외선을 반사하는 특성을 갖는다. 광원(60)의 각막반사 이미지는 미러(9)로부터 결상렌즈(53)까지를 통해 카메라(54)로 촬상되어, X, Y 방향의 얼라이먼트에 이용된다. 또한 광원(20)의 각막반사 이미지는 X, Y 방향의 얼라이먼트에도 이용가능하다. 참조번호 65는 고시표 투영용의 가시광선 광원으로, 광원(65)에 의해 조명된 고시표(66)의 광은, 투영렌즈(67), 다이크로익 미러(62), 하프미러(52), 하프미러(51), 미러(10) 및 미러(9)를 통해서 눈(E)로 향한다. 또한, 투영렌즈(67)가 광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눈(E)의 운무(雲霧)가 수행된다.
참조번호 70은 안굴절력 측정용의 적외선 광원이며, 그 광은 회전섹터(71)에 설치된 슬릿을 통과하여, 투영렌즈(72), 조리개(73), 하프미러(74), 하프미러(51), 미러(10) 및 미러(9)를 통해서, 눈(E)의 안저(眼底)에 주사되면서 투영된다. 안저로부터의 반사광은, 미러(9), 미러(10), 하프미러(51), 하프미러(74), 수광렌즈(75), 및 조리개(76)를 통해서 복수개의 쌍인 수광소자를 구비하는 수광부(77)에 의해 수광된다. 또한, 안굴절력 측정을 위한 광학계에 관해서는, US 5,907,388(특개평10-108836)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광원(70)의 각막반사 이미지를 X, Y 방향의 얼라이먼트에도 이용가능하다. 이 경우, 광원(60), 투영렌즈(61) 및 다이크로익 미러(62)는 생략가능하다.
참조번호 80은 각막형상 측정용 및 Z 방향의 얼라이먼트용의 적외선 광원이며, 광축(L1)을 중심으로 4개 배치되어 있다. 이 중 2개는 장치의 수평방향으로, 다른 2개는 장치의 수직방향으로, 각각 투영광축이 광축(L1)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광원(80)으로부터 나오는 광은 스폿조리개(81) 및 콜리메이팅 렌즈(82)를 통해서 각막(Ec)에 투영된다. 광원(80)의 각막반사 이미지는 미러(9), 미러(10), 하프미러(51), 하프미러(52) 및 결상렌즈(53)을 통해서 카메라 54에 촬상된다. 또한, 각막형상 측정을 위한 광학계에 관해서는, 특공평1-19896(특개소61-85920호)에 자세하게 나와있다.
참조번호 85는 Z 방향의 얼라이먼트 용의 적외선 광원이며, 광축(L1)을 중심으로 2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광원(85)은, 장치의 수평방향으로 각각 투영광축이 광축(L1)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광원(85)에서 나오는 광은, 스폿조리개(86)을 통해 각막(Ec)에 투영된다. 광원(85)의 각막반사 이미지는, 미러(9), 미러(10), 하프미러(51), 하프미러(52) 및 결상렌즈(53)를 통해서 카메라(54)에 촬상된다.
광원(80)에서 나오는 광은 콜리메이팅 렌즈(82)에 의해 평행광이 되기 때문에, 눈(E)에 대한 본체부(1)의 작동거리(Z 방향의 거리)가 변화하여도 각막반사 이미지의 위치는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한편, 광원(85)에서 나오는 광은 발산광이기 때문에, 작동거리가 변화하면 각막반사 이미지의 위치가 변화한다. 그리고, 이들 각막반사 이미지의 위치를 기초로 Z 방향의 얼라이먼트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자세하게는, US 5,463,430(특개평6-46999)참조).
참조번호 110은 제어부로, 본체부(1)를 X, Y, Z의 3차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130)의 구동회로(111), 모터(101)용의 구동회로(112), 피스톤(12)를 이동시키는 미도시된 회전솔레노이드용의 구동회로(113), 압력센서(16)용의 압력검출처리회로(114), 카메라(25)용의 화상처리회로(115), 광검출기(46)용의 신호검출처리회로(116), 위치검출소자(47)용의 신호검출처리회로(117), 카메라(54)용의 화상처리회로(118), 수광부(77)용의 신호검출처리회로(119)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10)에는 측정 데이터등을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120), 측정개시 스위치(5), 및 측정모드 선택 스위치(121), 등이 접속되어 있다.
이동부(130)는, Y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Y 테이블 상에 X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X 테이블을 설치하며, 상기 X 테이블 상에 Z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Z 테이블을 설치하고, 상기 Z 테이블 상에 본체부(1)를 탑재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각 테이블 의 이동은 X, Y, Z 각 방향 이동용의 모터를 구동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류의 3차원 이동기구는 주지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안과측정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장치는, 안굴절력ㆍ각막형상 측정모드만을 실행시키는 제 1 모드, 안압측정모드만을 실행시키는 제 2 모드, 안굴절력ㆍ각막형상 측정모드와 안압측정모드를 연속하여 실행시키는 제 3 모드를 갖는다. 제 3 모드에서는, 먼저 안굴절력ㆍ각막형상 측정모드가 실행된 후, 안압측정 모드로 자동적으로 절환되어 실행된다. 이것은 먼저 안압을 측정하면, 압축공기의 뿜어짐등에 의한 영향이 남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하, 제 3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위치(121)에 의해 제 3 모드를 선택하고, 눈(E)에 대한 본체부(1)의 X, Y, Z의 각 방향의 얼라이먼트를 수행한다. 카메라(54)에 촬상된 전안부 이미지가 모니터(26)에 표시되기 때문에, 검사자는, 모니터(26)을 관찰하면서 조이스틱(4) 및 회전노브(4a)을 조작하여, 대충의 얼라이먼트를 수행한다. 광원(60), 광원(80), 및 광원(85)에 의한 각막반사 이미지가 카메라(54)에 의해 촬상되는 상태가 되면, 제어부(110)는, 구동회로(111)을 통해서 이동부(130)을 구동제어하여, 눈(E)에 대한 본체부(1)의 X, Y, Z의 각 방향의 상세한 얼라이먼트를 수행한다.
X, Y, Z의 각 방향의 얼라이먼트 상태가 미리 설정된 허용범위내게 각각 속하면, 제어부(110)는, 자동적으로 트리거 신호를 발생하여(또는 모니터(26)에 표시되는 얼라이먼트 완료의 표시에 따라서 검사자가 스위치(5)를 눌러 트리거 신호를 입력하여), 수광부(77)의 각 수광소자로터 발생되는 출력신호의 위상차를 기초로 안굴절력을 구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카메라(54)로부터 발생되는 출력신호를 기초로 광원(80)의 각막반사 이미지의 위치를 얻어 각막형상을 구한다.
안굴절력 및 각막형상의 측정에 의해, 각각 미리 설정된 개수의 측정결과가 얻어지는 등 소정의 측정완료조건이 만족되면, 제 3 모드에서는, 제어부(110)가 안압측정 모드로의 절환신호를 자동적으로 발생시켜, 안굴절력ㆍ각막형상 측정모드로부터 안압측정 모드로 절환한다. 안압측정 모드로의 절환신호를 기초로, 제어부(110)는 구동회로(112)를 통해서 모터(101)를 구동제어하여 안압측정부(1a)를 전방(눈(E)에 다가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노즐(13)의 선단을 본체부(1)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한다. 이 때, 안압측정부(1a)의 이동에 연동하여 미러(9)는 노즐(13)의 전방으로부터 탈출됨으로써 광원(40) 및 광원(30)의 각 각막반사 이미지가 검출가능한 상태가 된다. 제어부(110)는, 광원(40)의 각막반사 이미지가 위치검출소자(47)에 입사하는 상태가 되면, 그 검출결과를 기초로 이동부(130)(또는 모터(101), 혹은 이동부(130) 및 모터(101)의 방향)을 구동제어하고, Z 방향의 상세한 얼라이먼트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안압측정 모드로의 절환신호를 기초로, 모니터(26)에 표시되는 화상을 카메라(54)에 의한 화상에서 카메라(25)에 의한 화상으로 절환한다. 또한, 카메라(25)의 광원(30)의 각막반사 이미지의 검출결과를 기초로 이동부(130)를 구동제어하여, X, Y 방향의 상세한 얼라이먼트를 수행한다.
또한, 안굴절력 및 각막형상의 측정시의 작동거리(각막정점에서 본체부(1)의 피검자안측 선단부까지의 Z 방향거리)에 비해, 안압측정 시의 작동거리(각막정점에서 노즐(13)의 피검자안측 선단부 까지의 Z 방향 거리)는 짧게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장치에서, 안굴절력 및 각막형상의 측정 시의 작동거리 WD1은 약 35mm이고, 안압측정 시의 작동거리 WD2는 약 11mm이다. 안압측정부(1a)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노즐(13)의 선단이 눈(E)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이동부(130)를 구동제어하여 본체부(1)를 후방(눈(E)에서 멀어지는 방향)의 기준위치(예를 들면, 가장 후방으로 설정되어 있는)까지 일단 이동시킨 후, 노즐(13)의 선단을 본체부(1)의 전면에서 일정량 만큼 돌출시킨다. 이 때 돌출량은 예를 들면, WD1과 WD2와의 차이로서 설정되어 있다(WD1=약 35mmm, WD2=약 1mm인 경우, 돌출량은 약 24mm이다). 그 후, 위치검출소자(47)에 의한 Z 방향의 얼라이먼트 상태의 검출결과를 기초로 본체부(1)을 Z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본체부(1)의 Z 방향의 이동가능 범위가 짧은 경우, 안압 측정부(1a)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수반되는 눈(E)과의 접촉을 보다 확실하게 회피하기 위해서는, 검사자가 조이스틱(4)의 조작에 의해 이동 베이스(2)를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본체부(1)를 충분하게 후방으로 이동시켜, 그 후에 안압측정부(1a)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면 좋다. 이 경우에는, 안압측정 모드로의 절환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이동 베이스(2)의 후방이동 지시메세지를 모니터(26)에 표시한다. 그리고, 검사자의 조이스틱(4)의 조작에 의해, 이동 베이스(2)가 후방의 기준위치(예를 들면, 가장 후방측으로 설정되어 있는 위치)까지 이동한 것을 검지한 후(별도로 이동 베이스(2)가 후방기준위치까지 이동된 것을 검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등을 기판(3) 에 설치해 둔다), 제어부(110)가 안압측정부(1a)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눈(E)에 대한 안압측정부(1a)의 X, Y, Z 각 방향에 대한 얼라이먼트가 각각 허용범위에 들어가면, 제어부(110)는 자동적으로 트리거 신호를 발생하고(또는 모니터(26)에 표시되는 얼라이먼트 완료 표시에 따라 검사자가 스위치(5)를 눌러 트리거 신호를 입력한다), 구동회로(113)을 통해 미도시된 회전솔레이드를 구동시킨다. 회전솔레이드의 구동에 의해 피스톤(12)이 구동되면, 실린더(11)내의 공기가 압축되고, 압축공기가 노즐(13)로부터 각막(Ec)를 향해 뿜어진다. 각막(Ec)는, 압축공기의 뿜어짐에 의해 서서히 변형하고, 편평상태에 도달할 때 광검출기(46)에 최대광량이 입사된다. 제어부(110)는 압력센서(16)로부터 나오는 출력신호와 광검출기(46)에서 발생되는 출력신호를 기초로 안압을 구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Z 방향의 얼라이먼트 상태 검출계를 안굴절력ㆍ각막형상 측정부(1b)용과 안압측정부(1a)용별로 따로 설치하였지만, 양자로 공용하는 형태라면 구성부재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원(80, 85)에 의한 지표(指標)투영계를 공용으로 하여, 지표(指標)검출계를 각각 카메라(54, 25)로 구성하여도 좋으며, 굴절력 측정에 비해 안압측정이 작동거리의 검출정밀도를 요구하기 때문에, 안압측정부(1a)가 갖는 작동거리 검출계(광원(40), 콜리메이터 렌즈(41)로 이루어지는 지표투영계와 수광렌즈(42), 필터(43), 위치검출소자(47)로 이루어지는 지표검출계)를 공용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작동거리 검출계는, 안압측정부(1a)로부터 분리되어, 광원(85)을 대신하여 본체부(1)의 광체(筐體)에 배치된다. 또한, 각막변형 검출용의 하프미러(44), 피스톤 플레이트(45), 광검출기(46) 도 작동거리 검출계에 조합되어 배치되어도 좋다.
작동거리 검출계의 공통사용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안굴절력ㆍ각막형상의 측정시와 안압측정시, 각각 작동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안굴절력ㆍ각막형상 측정모드와 안압측정모드의 절환신호에 따라, 제어부(110)가 판단하는 얼라이먼트 상태의 적당/부적당 작동거리도 절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안굴절력 및 각막형상 측정모드시의 작동거리 WD1=약 35mm, 안압측정모드 시의 작동거리 WD2=약 11mm, 노즐(13)의 선단 돌출량=약 24mm로 했을 경우, 양 모드에서 각각 적정 작동거리를 판단할 때의 위치검출소자(47)의 검출결과는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노즐(13)의 선단 돌출량이 약 24mm가 아닌 경우, 그 차 만큼 각각의 모드에 있어서 적정작동거리를 판단할 때의 위치검출소자(47)의 검출결과가 다르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안압측정이 안굴절력ㆍ각막형상의 측정보다 얼라이먼트 정밀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안압측정 모드시에 있어서 Z 방향 (X, Y 방향도 마찬가지)의 얼라이먼트 상태의 허용범위는, 안굴절력ㆍ각막형상 측정 모드시에 비해서 좁게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Z 방향의 허용범위는, 안굴절력ㆍ각막형상측정 모드에 있어서는 적정 작동거리에 대해서 ±0.5mm이지만, 안압측정 모드에 있어서는±0.15mm 이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측정모드의 절환신호에 따라서 얼라이먼트 완료를 판단하는 허용범위도 절환한다.
도 5는, 이동베이스(2)의 이동기구와, 이동베이스(2)가 후방기준위치까지 이동한 것을 검지하는 기구의 대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조이스틱(4)의 조작에 의해 이동베이스(2)가 후방기준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지한 후에 안압측정부(1a)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조이스틱(4)의 중심축(400)의 하단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404)가 설치되어 있다. 기본베이스(3)의 상면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404)가 접하는 마찰플레이트(406)가 고정되어 있고, 슬라이딩 플레이트(404)가 마찰 플레이트(406) 상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동베이스(2)에 고정된 이동지지 기판(410)이 기본 베이스(3)의 내부까지 연장된 위치에는, 안내관(412)이 고정되어 있다. 안내관(412)은 강철공(414)을 통해 샤프트(416)를 그 축방향(X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샤프트(416)의 양단에는 차륜(418)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륜(418)은 기본 베이스(3)의 바닥부에 설치된 안내 플레이트(420) 상부를 Z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검사자는 조이스틱(4)을 조작하면, 이동 베이스(2)는 X, Z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이동베이스(2)가 후방기준위치까지 이동한 것을 검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300)이 이동 베이스(2)에 설치되어 있다. 참조번호 301은 기본 베이스(3)에 고정된 가이드 플레이트이다. 이동 베이스(2)가 조이스틱(4)의 조작에 의해 후방기준위치까지 이동될 때, 마이크로 스위치(300)의 접촉자가 가이드 플레이트(301) 측으로 밀어올려져 검지하도록 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측정모드에 있어서, 미리 실행한 안굴절력 및 각막형상의 측정에 의해, 양안의 측정결과가 얻어지고, 소정의 측정완료조건이 만 족되면, 이동 베이스(2)의 후방이동 지시메세지가 모니터(26)에 표시된다 (단계S-1, S-2). 이 표시에 따라서 검사자는 조이스틱(4)를 조작하여 이동 베이스(2)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베이스(2)가 후방기준위치로 이동되면, 마이크로 스위치(300)의 검지신호(단계 S-3)에 의해, 안굴절력ㆍ각막형상측정 모드로부터 안압측정 모드로의 절환이 허가되어, 안압측정부(1a)가 전방으로 이동된다(단계 S-6~S-9).
마이크로 스위치(300)의 검지신호는, 제 3 모드의 안굴절력ㆍ각막형상 측정모드 도중에 안압측정 모드로 절환될 때, 혹은,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 절환될 때에도 이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안압측정 모드로 절환하고 싶을 경우에는, 검사자의 조이스틱(4)의 조작에 의해 이동 베이스(2)를 후방기준위치로 이동시킨다. 마이크로 스위치(300)의 검지신호(단계 S-4)에 의해, 모니터(26)에는 측정모드 절환허가 메세지가 표시됨과 동시에, 안압측정 모드로 절환하도록 하는 허가신호가 입력된다. 이러한 경우에, 검사자가 조이스틱(4)에 설치된 스위치(5)를 누르면(단계 S-5), 이것은 측정모드의 절환신호가 되어, 안압측정부(1a)가 눈(E)측으로 이동된다(단계 S-6~S-9). 마이크로 스위치(300)에 의해 이동 베이스(2)는 후방기준위치로 이동된 것이 검지되었을 때에는, 스위치(5)의 입력신호는 측정개시의 트리거 신호로서가 아니고, 안압측정모드(제3모드에 있어서, 안압측정으로 일단 절환하는 경우도 포함)로의 절환신호로서 이용된다. 안압측정 모드로의 절환신호는 조작패널 등에 설치된 스위치(121)에 의해서도 입력가능하지만, 이러한 조이스틱(4)에 설치된 스위치(5)를 병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이동 베이스(2)를 이동할 때, 검사 자는 조이스틱(4)를 손으로 잡고 조작하기 때문에, 조이스틱(4)를 쥔채 스위치(5)를 누름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하게 측정모드를 절환할 수 있다. 또한, 조이스틱(4)를 꽉 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모드 절환시에 이동 베이스(2)를 실수로 움직이게 할 가능성이 저감된다.
또한, 안압측정부(1a)의 전방으로 이동중인 경우, 검사자의 조이스틱(4)의 조작에 대한 실수 등에 의해 이동 베이스(2)가 후방기준위치에서 앞쪽으로 이동하고, 마이크로 스위치(300)에 의한 검지신호가 없어진 경우(단계 S-11에서 "NO"의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모터(101)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안압 측정부(1a)의 측정기준위치로의 이동을 정지시킨다(단계 S-12). 보다 확실하게는, 안압 측정부(1a)를 후방으로 되돌린다. 이에 따라, 노즐(13)과의 접촉을 회피 할 수 있고, 피검자의 공포심도 경감된다.
또한, 안압 측정부(1a)의 Z 방향(특히 전방)으로의 이동중에, 그 이동을 알려주는 메세지를 모니터(26)에 표시함과 동시에 알림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하면, 노즐(13)이 이동중인 것을 검사자 및 피검자 모두에거 인식 시킬 수 있다. 알림음은 음발생기(132)에 의해 발생된다. 이 경우, 눈(E)과 노즐(13)과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단속적으로 발생하는 음의 간격을 짧게 하거나, 알림음을 크게하거나 함으로써, 노즐(13)의 이동을 정량적으로 알리는 것이 가능하며, 피검자에게 부담되는 공포감을 저감할 수 있다. 측정부(1a)의 이동이 완료되면, 알림음이 정지됨과 동시에 이동완료 메세지가 모니터(26)에 표시된다.
또한, 위치검출소자(47)에서 발생되는 출력신호 또는 따로 설치된 거리센서 의 신호를 기초로, 눈(E)과 노즐(13)과의 작동거리 검출을 수행하며, 접촉의 가능성이 있는 거리이하(예: 100mm 이하)가 된 경우에는, 안압 측정부(1a)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정지한다. 또한, 접촉의 가능성이 있는 거리이상이 될 때까지 후방으로 이동시켜도 좋다. 동시에 이런 상태를 모니터(26)에 표시하거나 소리로 알려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노즐(13)과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압측정 모드로 절환될 때, 본체부(1)를 이동부(130)에 의해 후방기준위치로 이동(복귀)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X 방향에 대해서도 본체부(1)를 그 기준위치로 이동(복귀)시켜도 좋다. 이것은, 안굴절력 및 각막형상의 측정모드에서 안압측정 모드로의 절환시, 또는, 그 역의 모드절환을 수행할 시, 측정모드의 절환신호에 의해 실시된다. 그러면, 자동얼라이먼트 중에 본체부(1)가 이동한계가 될 가능성이 저감되고, 측정모드절환 후의 자동얼라이먼트를 부드럽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참조번호 134는 XYZ 각 방향의 이동한계 및 기준위치를 검출하는 검출계이며, 이러한 검출계(134)는, 이동부(130)가 갖고 있는 X 테이블, Y 테이블, 및 Z 테이블의 각 이동위치를 각각 검출하는 포토센서나 마이크로 스위치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체부(1)의 X 방향의 기준위치는, 이동가능 범위의 중앙이다. Z 방향의 기준위치는 앞선 설명에서는 다시 후단으로 하였지만, 이것도 이동가능범위의 중앙으로 하여도 좋다. Y 방향에 대해서는, 일단 맞추어진 아이레벨이 어긋나 버리기 때문에, 반드시 기준위치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좋다.
또한, 안굴절력 및 각막형상의 측정모드와 안압측정 모드로의 절환에 있어 서, 안압 측정부(1a)가 후퇴위치 및 측정기준위치로 위치한 것을 검지하는 구성을 설치함과 동시에, 미러(9)의 광로에 대한 삽입 및 탈출을 검지하는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안압 측정부(1a)에는 차단광 플레이트(305)가 부착되어, 포토센서(306)에 의해 측정부(1a)가 도 3(a)의 후퇴 위치로 이동한 것이 검출되며, 포토센서(307)에 의해 안압 측정부(1a)가 도 3(b)의 측정기준위치로 이동한 것이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안압 측정부(1a)가 후퇴위치 및 측정기준위치로 옳게 위치되어 있는지가 체크된다. 또한, 이동유닛(90)에는 차단광 플레이트(308)가 부착되어 있고, 포토센서(309, 310)에 의해 미러(9)는 광축(L1)상의 측정기준위치로 옳게 위치되어 있느지, 광축(L1) 외측의 후퇴위치로 옳게 위치되어 있는지 체크된다.
안굴절력, 각막형상의 측정모드에서 안압측정모드로 절환되는 경우에 있어서, 포토센서(310)에 의해 미러(9)가 후퇴되어 있는지가 검지됨과 동시에, 안압 측정부(1a)가 측정기준위치로 정상적으로 이동완료한 것이 검지되면(단계 S-9), 안압측정이 가능하게 된다(단계 S-10).
한편, 측정모드의 절환신호가 입력되어, 그 전환에 필요한 일정시간이 경과하여도, 미러(9) 및 안압 측정부(1a)가 정상적인 위치에 위치한 것이 포토센서(306, 307, 309, 310)의 출력에서 검지되지 않을 때(단계 S-13에서 "YES"인 경우), 안압 측정부(1a)의 이동이 정지되고 동시에 음발생기(132)에 의해 경고음이 발생되며, 에러메세지가 모니터(26)에 표시된다(단계 S-14, S-15).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는, 그 이전의 측정모드의 위치로 미러(9) 및 안압 측정부(1a)가 복 귀된다(자동적으로 복귀신호가 출력된다). 예를 들면, 안굴절력 및 각막형상의 측정모드에서 안압측정모드로의 절환에 있어서, 미러(9) 또는 안압 측정부(1a) 양측 모두가 정상적인 위치에 위치하지 않을 때, 안압측정부(1a)는 후퇴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미러(9)는 광축(L1)상에 삽입되어, 안굴절력 및 각막형상의 측정모드로 복귀된다(단계 S-16). 안압측정 모드에서 안굴절력 및 각막형태의 측정모드로 전환될 경우에는, 그 역으로 진행된다. 이에 의해, 안굴절력 및 각막형상의 측정과 안압측정의 절환에서 어느 쪽이 에러가 발생했다고 해도, 적어도 하나의 측정은 가능하게 되며, 전부가 사용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도 6의 순서도에서는, 안굴절력 및 각막형상의 측정에서 안압측정으로의 절환을 설명하였지만, 그 역으로 제 3 측정 모드 도중 등 안압측정에서 안굴절력 및 각막형상의 측정으로 절환하는 경우 및 제 2 모드에서 제 1 모드로 절환하는 경우에도, 마이크로 스위치(300)의 검지신호가 이용된다. 즉, 앞의 단계 S-4, S-5와 같이 검사자의 조이스틱(4)의 조작에 의해 이동 베이스(2)를 후방기준위치로 이동시키면, 모니터(26)에는 측정모드 절환 허가메세지가 표시됨과 동시에, 안굴절력 및 각막형상의 측정모드로의 절환의 허가신호가 입력된다.이러한 상태에서 스위치(5)를 누르면, 이 스위치 신호가 측정모드의 절환신호로서 입력되어, 안압 측정부(1a)가 후퇴위치로 복귀된다. 안압 측정부(1a)가 후퇴위치로 정상적으로 이동완료한 것및 미러(9)가 광축(L1)상의 측정기준위치로 정상적으로 위치된 것이, 포토센서(306, 309)에 의해 검지되면, 안굴절력, 안압형상의 측정이 실행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절환에도 조작패널 등에 설치된 스위치(121)에 의해 가능하지 만, 조이스틱(4)에 설치된 스위치(5)를 사용함으로써 신속 또는 용이하게 절환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121)에 의해 안압측정에서 안굴절력, 각막형상의 측정으로 절환할 경우, 안압 측정부(1a)는 후퇴위치로 후퇴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피검자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마이크로 스위치(300)의 검지신호가 없어도, 안굴절력, 각막형상의 측정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측정모드를 절환 할 시, 카메라(25, 54)에 촬상되는 눈(E)의 관찰 이미지의 모니터(26)로의 전환표시는 다음과 같다. 안굴절력 및 각막형상측정모드에서 안압측정 모드로 절환에 있어서, 그 모드 절환신호에 의해 모터(101)가 구동되는 단계에서 카메라(54)에 의한 화상에서 카메라(25)에 의한 화상으로 모니터(26)의 표시화상이 절환된다. 즉, 모터(101)의 구동에 의해, 미러(9)는 노즐(13)의 전방에서 탈출되며, 안압 측정부(1a)가 눈(E) 측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단계에서 모니터(26)의 표시화상이 절환된다. 이에 따라 검사자는 노즐(13)이 노출되는 중에도 눈(E)의 상태를 모니터(26)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안압측정 모드에서 안굴절력 및 각막형상 측정모드로의 전환에 있어서, 그 모드전환신호에 의해 모터(101)가 구동되어, 안압 측정부(1a)가 미러(9)의 후방으로 이동한 단계에서(미러(9)가 노즐(13)의 전방으로 삽입된 단계), 카메라 25에 의한 화상에서 카메라 54에 의한 화상으로 모니터(26)의 표시가 절환된다. 안압측정 모드에서 안굴절력 및 각막형상 측정모드로 절환되는 경우에는, 그 모드 절환신호의 입력 단계에서 카메라(54)에 의한 화상이 절환되면, 즉, 노즐(13)이 미러(9)의 후방으로 이동하기 전에 안굴절력 및 각막형상 측정부(1b) 측의 카메라(54)에 의한 화상으로 절환되면, 본체부(1)의 광체내부가 모니터(26)에 표시되게 되고, 검사자는 눈(E)의 상태를 모니터(26)상에서 확인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모니터(26)의 표시절환의 타이밍은, 안압 측정부(1a)를 이동시키는 모터(101)의 구동개시/구동정지의 제어신호를 이용가능한 것 외에, 본 실시예에서는 미러(9)의 삽탈을 검지하는 포토센서(309, 310)의 출력신호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표시화상의 절환제어에 의해, 안압 측정부(1a)가 이동 도중이어도 눈(E)의 상태를 확인 할수 있고, 피검자의 얼굴에 장치(노즐13)가 접촉하는 것도 회피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안압측정과 안굴절력, 각막형상의 측정의 복합형 장치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안굴절력과 각막형상중 어느 한쪽의 측정이나 다른 눈특성을 측정, 검사(안저촬영이나 전안부의 절면촬영등을 포함하여)하는 복합형 장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복합형 안과장치에 따르면 다양한 안특성의 측정 및 검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안과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피검자눈(眼)의 안압을 측정하기 위해 노즐을 통해 각막으로 유체를 뿜는 취부유닛을 갖는 안압측정부;
    피검자눈의 안특성을 검사하기 위해 피검자눈(眼)에서 나오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검사광학계가 배치된 안특성 검사부;
    측정부 및 검사부가 배치된 본체부;
    피검자눈에 대해서 본체부를 작동거리 방향으로 수동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이동수단;
    본체부에 대해서 측정부를 작동거리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이동수단;
    안특성을 검사하는 제 1 모드와 안압을 측정하는 제 2 모드를 절환하는 절환신호를 발생시키는 모드절환수단;
    제 1 모드에서의 검사시의 본체부 위치에 대해서 피검자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정된 후방기준위치로 본체부가 이동한 것을 검지하는 검지수단; 및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의 절환신호에 기초하여, 본체부를 후방기준위치를 행해 수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지시를 표시시키고, 또는, 본체부를 후방기준위치를 향해 전기적으로 이동시키고, 검지수단의 검지신호를 기초로, 제 2 이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여 본체부에 대해서 측정부를 소정의 거리분 피검자눈에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는 이동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안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반사면을 가지며, 눈과 노즐과의 사이에 삽탈가능하게 배치되는 반사부재; 및
    반사부재를 눈과 노즐과의 사이에 삽탈시키는 제 3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이동제어수단은,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의 절환신호를 기초로, 제 3 이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여 반사부재를 피검자눈과 노즐과의 사이로부터 출탈시키는 것인 안과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검사부에 배치되어, 반사부재를 통해서 눈을 촬상하는 제 1 촬상수단;
    측정부에 배치되어, 노즐을 통해 눈을 촬상하는 제 2 촬상수단;
    제 1 촬상수단에 의한 제 1 화상과, 제 2 촬상수단에 의한 제 2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 및
    측정부 및 반사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을 기초로, 제 1 화상과 제 2 화상의 표시가 절환되도록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표시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안과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부에 배치되어, 눈에 대한 검사부 및 측정부의 작동거리 방향의 각 얼라이먼트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광학계;
    검출광학계의 검출결과를 기초로, 제 1 모드에 있어서 검사부의 얼라이먼트 상태의 적합과 부적합, 제 2 모드에 있어서 측정부의 얼라이먼트 상태의 적합과 부적합을 다른 기준작동거리로 판단하는 판단수단;을 더 포함하는 안과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이동수단은, 본체부가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이동 베이스, 이동조작부재,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해 피검자 눈에 대해서 이동 베이스를 작동거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동이동수단, 이동 베이스에 대해서 본체부를 작동거리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이동시키는 자동이동수단을 포함하며,
    검지수단은, 제 1 모드에서의 검사시의 이동 베이스 위치에 대해서 후방기준위치로 이동 베이스가 이동한 것을 검지하고,
    이동제어수단은,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의 절환신호를 기초로, 이동 베이스를 후방기준위치를 향해 수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지시를 표시시키는 것인 안과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040021541A 2003-03-31 2004-03-30 안과장치 KR101002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95822 2003-03-31
JP2003095822 2003-03-31
JP2004055424A JP4349934B2 (ja) 2003-03-31 2004-02-27 眼科装置
JPJP-P-2004-00055424 2004-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5067A KR20040085067A (ko) 2004-10-07
KR101002355B1 true KR101002355B1 (ko) 2010-12-17

Family

ID=32852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541A KR101002355B1 (ko) 2003-03-31 2004-03-30 안과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399081B2 (ko)
EP (1) EP1464272B1 (ko)
JP (1) JP4349934B2 (ko)
KR (1) KR101002355B1 (ko)
DE (1) DE60200401841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1259B2 (ja) 2004-02-03 2009-12-24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
JP4330463B2 (ja) * 2004-02-10 2009-09-16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
JP4570485B2 (ja) 2005-03-04 2010-10-27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
JP5028057B2 (ja) 2005-11-01 2012-09-19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
JP4824400B2 (ja) * 2005-12-28 2011-11-30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装置
JP5201852B2 (ja) * 2006-03-31 2013-06-05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
JP4907214B2 (ja) * 2006-04-12 2012-03-28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
KR101374829B1 (ko) 2006-03-31 2014-03-17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안과장치
DE102006017389A1 (de) * 2006-04-11 2007-10-18 Oculus Optikgeräte GmbH Refraktionsmessvorrichtung zur Bestimmung der Refraktionseigenschaften eines Auges
JP4879633B2 (ja) * 2006-04-12 2012-02-22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
JP4879632B2 (ja) * 2006-04-12 2012-02-22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
JP4988301B2 (ja) * 2006-10-20 2012-08-01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
JP4916935B2 (ja) 2007-03-30 2012-04-18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
GB2451443B (en) * 2007-07-30 2012-12-26 Lein Applied Diagnostics Ltd Optical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4995065B2 (ja) * 2007-12-25 2012-08-08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装置
JP6007466B2 (ja) * 2010-12-27 2016-10-12 株式会社ニデック 角膜形状測定装置
US8613704B2 (en) * 2011-01-25 2013-12-24 Reichert, Inc. Subsystems and methods for non-contact corneal deformation
JP6116571B2 (ja) 2011-09-07 2017-04-19 ビジョニックス リミテッド 眼科測定システム
JP5810934B2 (ja) * 2012-01-20 2015-11-11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報知装置、報知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930757B2 (ja) * 2012-02-15 2016-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
JP2014079494A (ja) * 2012-10-18 2014-05-08 Canon Inc 眼科装置および眼科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600931B2 (ja) * 2014-07-08 2019-11-06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撮影装置
JP7073678B2 (ja) * 2017-11-01 2022-05-24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
JP6487993B2 (ja) * 2017-11-21 2019-03-20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装置
JP7281877B2 (ja) * 2018-07-12 2023-05-26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装置
US10786151B2 (en) 2018-08-10 2020-09-29 Reichert, Inc. Ophthalmic instrument having multiple measurement units
JP7434771B2 (ja) * 2019-09-13 2024-02-21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および眼科装置制御プログラム
EP4236754A1 (en) 2020-12-21 2023-09-06 Haag-Streit Ag Ophthalmic workstation
JPWO2023054612A1 (ko) * 2021-09-30 2023-04-06
EP4322107A4 (en) * 2022-06-30 2024-04-10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TONGUE IMA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8677A (ja) 1999-10-15 2001-07-03 Topcon Corp 眼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5920A (ja) 1984-10-03 1986-05-01 株式会社 ニデツク 角膜形状測定装置
JPS6419896A (en) 1987-07-15 1989-01-23 Toshiba Corp Feeding system for telephone set controller
EP0310045B1 (en) * 1987-09-30 1993-02-03 Canon Kabushiki Kaisha Ophthalmologic apparatus
JPH01265937A (ja) 1988-03-14 1989-10-24 Topcon Corp 眼科器械
JPH0647003A (ja) 1992-01-08 1994-02-22 Canon Inc 眼科装置
JPH05184546A (ja) * 1992-01-08 1993-07-27 Canon Inc 非接触眼圧計
JP3269665B2 (ja) 1992-07-31 2002-03-25 株式会社ニデック アライメント検出装置及び該アライメント検出装置を用いた眼科装置
US5463430A (en) 1992-07-31 1995-10-31 Nidek Co., Ltd. Examination apparatus for examining an object having a spheroidal reflective surface
JP3420342B2 (ja) * 1994-06-23 2003-06-23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機器の位置検出装置
JPH07194557A (ja) 1994-10-03 1995-08-01 Canon Inc 眼科装置
US5689325A (en) * 1995-04-19 1997-11-18 Nidek Co., Ltd. Ophthalmologic apparatus with ease of operation
JP3507204B2 (ja) * 1995-06-29 2004-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
US6022108A (en) * 1996-06-28 2000-02-08 Nidek Co., Ltd. Opthalmic apparatus for judging alignment conditions based on target images
JP3606706B2 (ja) 1996-06-28 2005-01-05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
US5907388A (en) 1996-10-03 1999-05-25 Nidek Co., Ltd. Ophthalmic measurement apparatus having plural pairs of photoreceiving elements
JP3560746B2 (ja) 1996-10-03 2004-09-02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屈折力測定装置
JP3664829B2 (ja) * 1996-11-29 2005-06-29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
JP3533308B2 (ja) * 1997-02-10 2004-05-31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
JP3862869B2 (ja) * 1998-06-05 2006-12-27 株式会社トプコン 非接触式眼圧計
JP4233439B2 (ja) * 2003-11-28 2009-03-04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8677A (ja) 1999-10-15 2001-07-03 Topcon Corp 眼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65321A1 (en) 2008-07-10
DE602004018414D1 (de) 2009-01-29
EP1464272A1 (en) 2004-10-06
US7515321B2 (en) 2009-04-07
JP4349934B2 (ja) 2009-10-21
US7399081B2 (en) 2008-07-15
JP2004313758A (ja) 2004-11-11
US20040189936A1 (en) 2004-09-30
KR20040085067A (ko) 2004-10-07
EP1464272B1 (en)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355B1 (ko) 안과장치
KR101307606B1 (ko) 안과 장치
KR101280163B1 (ko) 안굴절력 측정 장치
JP5201852B2 (ja) 眼科装置
EP1854400B1 (en) Ophthalmologic device
EP2113191A1 (en) Non-contact ultrasonic tonometer
JP3461957B2 (ja) 眼科装置
JP4988301B2 (ja) 眼科装置
KR20050052386A (ko) 안과장치
JP3346468B2 (ja) 非接触式眼圧計
JP3108261B2 (ja) 眼科器械
JP3489998B2 (ja) 眼科装置
JP4907214B2 (ja) 眼科装置
JPH11113846A (ja) 眼科装置
JPH0898808A (ja) 眼科装置
JP3441156B2 (ja) 眼科装置
JP4700785B2 (ja) 眼科装置
JP4436914B2 (ja) 眼屈折力測定装置
JPH0898809A (ja) 眼科装置
JPH11346997A (ja) 眼屈折力測定装置
JP2006334441A (ja) 非接触式眼圧計
JPH0191833A (ja) 眼科装置
JP2000316810A (ja) 眼科器械
JP2003210413A (ja) 眼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