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090B1 - 자동차의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090B1
KR100987090B1 KR1020087024572A KR20087024572A KR100987090B1 KR 100987090 B1 KR100987090 B1 KR 100987090B1 KR 1020087024572 A KR1020087024572 A KR 1020087024572A KR 20087024572 A KR20087024572 A KR 20087024572A KR 100987090 B1 KR100987090 B1 KR 100987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operating
plunger
display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047A (ko
Inventor
올라프 슈바르츠
뤼디거 볼케
죄르크 자이페르트
라이너 슈미트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111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6Lever; Roc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2)과, 이 디스플레이 패널(2)에 인접하게 배치된,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 요소(4-7)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작 요소(4-7)는 버튼의 단부 영역 내에서 또는 단부 영역 상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표면에 대해 평행한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버튼으로서 형성된다.
Figure R1020087024572
디스플레이 패널, 조작 요소, 버튼, 단부 영역, 회전 축선.

Description

자동차의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MULTIFUNCTIONAL DISPLAY AND OPERATING DEVICE IN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접하게 배치된,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 요소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신 자동차에서는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가 점점 더 많이 사용된다. 이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는 한편으로는 자동차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한편으로 이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는 자동차 시스템, 예컨대 네비게이션 시스템 또는 카 라디오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개별 조작 요소에는 고정 기능이 할당될 수 있다. 그러나, 선행 기술에 있어서는 개별 조작 요소에 대한 기능 할당을 나타내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표시되는 것과 같은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이는, 예컨대 각각의 개별 관련 기능이 조작 요소에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인접하게 표시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의 기능의 배치가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의 조작 요소의 배치에 상응한다. 이러한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는 예컨대 WO 00/21795에 공지되어 있다.
선행 기술에 공지되어 있는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에서는 조작 요소가 스트로크 버튼(stroke button)으로서 구현된다. 이러한 스트로크 버튼의 작동시, 스트로크 운동은 버튼의 조작면에 대해 수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트로크 버튼의 확실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스트로크 버튼과 이것을 둘러싸는 프레임 또는 안내 장치 사이에 비교적 큰 갭이 제공되어야 한다. 제1 버튼의 작동시 다른 버튼이 함께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접한 조작 요소들은 특정 갭 크기를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가급적 많은 개수의 조작 요소가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의 표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갭 간격이 가급적 작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갭 간격이 너무 작게 선택되면, 스트로크 운동을 실시할 때 버튼의 기울어짐 또는 끼임이 나타날 수 있다.
어둠 속에서도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작 요소는 조작면의 후면으로부터 조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조작면의 가능한 큰 면을 조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의 확실한 안내를 위해, 조작면과 반대측에 있는 버튼 면에 안내부가 제공되고, 상기 안내부는 특히 버튼이 작은 경우 조작면과 반대측 면의 대부분을 점유하므로, 약 2 ㎝ x 1.2 ㎝의 크기인 스트로크 버튼의 경우 조작면의 약 50%의 범위만이 조명될 수 있다.
특히 큰 면의 폭 또는(및) 작은 스트로크를 가진 스트로크 버튼의 경우, 확실한 스위칭 특성을 얻기 위해, 대개 다수의 스위칭 요소 또는 공간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다수의 스위칭 장치[예컨대 압력 감지 매트(pressure-sensitive mat) 내에 형성된 스위칭 돔]를 포함하는 하나의 스위칭 요소가 사용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그렇지 않은 경우 작동력이 스트로크 버튼 중심에 작용하지 않으면 스트로크 버튼이 기울어질 수 있고 스위칭 과정의 확실한 트리거가 매 작동시마다 확실히 보장될 수 없기 때문이다. 스위칭 신뢰도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스위칭 요소 또는 스위칭 장치를 생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 가능성이 개선되고, 특히 작은 갭 간격이 구현될 수 있으며, 조작면의 가급적 큰 부분이 조명될 수 있는, 개선된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다.
상기 방식의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에 있어서, 조작 요소는 버튼의 단부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해 평행한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버튼으로서 형성된다. 회전 가능한 버튼으로서 조작 요소를 형성하면, 작동시 스트로크 버튼으로서 형성된 조작 요소에 비해 상기 조작 요소의 기계적 자유도가 감소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조작면이 동일한 크기일 때, 하나 이상의 갭이 선행 기술에 따른 스트로크 버튼에서 보다 더 작게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요소들은 서로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버튼과 이를 둘러싸는 프레임 또는 버튼 콤 사이의 공동부 내로 먼지 및 오염물의 유입이 어려워진다. 그 결과, 기능을 떨어뜨리는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의 오염이 감소한다. 여기서, 회전 축선은 그것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이 이루어지는 또는 이루어질 수 있는 가상 축선이다. 즉, 회전 축선은 실체가 있는 축을 나타내지 않는다. 조작 요소의 자유도의 제한에 의해, 매 작동시 단 하나의 스위칭 요소로 스위칭 과정의 확실한 트리거가 보장될 수 있다. 2개의 스위칭 요소 또는 2개의 스위칭 장치를 지닌 하나의 스위칭 요소를 포함하는 선행 기술에 따른 스트로크 버튼과는 달리, 전자 회로는 간단해지고 스위칭 요소 및/또는 스위칭 장치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의 저렴하고 간단한 구성이 이루어진다.
버튼들은 각각 개별 축 요소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버튼들 중 2개 이상의 버튼이 하나의 축 요소에 공통으로 지지되면, 특히 공간을 절약하고 갭 크기를 작게 유지하는 실시예가 주어진다. 이로 인해, 추가로 2개의 버튼이 하나의 공통 축선을 갖는 것이 간단히 보장된다. 여기에서 회전 축선이라고 하는 것은 그것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가상 축선이다. 축 요소는 원통형 축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축 요소가 개별 원통형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축 요소가 단 하나의 원통 섹터만을 포함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실시예가 바람직하다. 버튼이 회전되는 각이 일반적으로 작은 각도이기 때문에 이러한 축 요소만으로도 충분하다.
버튼의 조작면의 가능한 양호한 조명을 위해,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의 내부에서 버튼 하부에 공동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의 작동시 트리거되는 스위칭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버튼 하부의 조작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버튼이 조작면에 대향 배치된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런저(plunger)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의 일단부가 조작 요소의 작동시 압력 감지 매트의 스위칭 요소와 상호 작용하며, 상기 플런저는 버튼의 반대측 단부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단부 영역과 반대측 단부 영역 사이의 연결선이 종축선으로 나타나면, 조작면은 종축선을 따라 큰 범위로 조명되고, 이는 어둠 속에서 조작 가능성 및 조작 편리성을 현저히 증가시킨다. 버튼이 하나의 단부 영역에서 하나의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 조작면 반대측의 버튼면에서 다수의 안내부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면의 조명 가능한 면이 확대된다.
또한, 버튼들이 각각 투명한 기본 재료로 이루어진 버튼 캡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 캡은 적어도 조작면에서 코팅되고, 상기 코팅은 픽토그램, 심볼 및/또는 문자를 형성하기 위해 중단되는 것인 실시예에서는, 조작 편리성이 개선된다. 버튼 캡의 라벨에 의해, 조작 요소들에 대한 고정 기능 할당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 하나의 유리한 할당만을 명확하게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에서 종래의 스트로크 버튼에 비해 확대된 조명 가능한 영역은 더 많은 또는 더 복잡한 문자, 심볼 및/또는 픽토그램 또는 더 큰 문자 및 더 큰 심볼 또는 더 복잡한 픽토그램을 조작면 상에 조명할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완전한 단어가 판독 가능한 크기로 조작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약어만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런저는 플런저 요소와 일체로 형성된다. 플런저 요소는 버튼을 축 요소에 고정하기 위해 버튼 캡과 연결, 바람직하게는 로킹된다. 이 실시예에서, 버튼의 조립은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축 요소는 플런저 요소와 버튼 캡 사이에 고정된다.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의 편리한 조작을 위해, 조작 요소의 작동시에 사용자가 촉각 피드백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선행 기술에는 압력 감지 매트 내에 배치된 스위칭 요소를 포함하는 조작 요소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조작 요소는 선행 기술에서는 소정의 압점 초과시에 버튼에 대한 스위칭 요소의 반작용력이 비교적 급감하고, 이와 동시에 클릭 소음이 발생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클릭 소음은 많은 사용자들에게 불쾌감을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스위칭 돔으로서 형성된 스위칭 요소에 의해, 버튼의 작동시 작동에 반작용하는 힘이 플런저를 통해 버튼에 가해지고, 상기 힘은 먼저 버튼의 비작동 위치로부터의 변위의 증가에 따라 커지며, 하나의 촉각점에서 국부적 최대값이 얻어지고, 변위가 더 증가하면 감소하고, 이후에 스위칭 요소의 스위칭 과정이 트리거되는 변위에 상응하는 정지점에서, 국부적 최소값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런저를 통해 촉각점에 전달되는 힘은 1 내지 6N,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N,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2.8N, 가장 바람직하게는 2.7N이고, 플런저를 통해 정지점에 작용하는 힘은 0.5 내지 2.5N이다. 상기 제시된 힘의 값의 경우, 촉각점에서 국부적 힘의 최대값에 의해, 사용자가 조작 요소를 성공적으로 조작했다는 것이 사용자에게 확실하게 전달된다. 이로 인해, 확실한 스위칭 과정이 트리거되는 것이 보장된다. 조작 요소의 작동시 소음은 발생하지 않는다. 측정 방법의 규정을 위해 하기 실시예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조작 장치의 조작 가능성은 표시된 정보를 통해 기능에 대한 조작 요소의 할당이 제시됨으로써 매우 높아진다. 이로 인해, 버튼의 라벨과 관계없이, 문자 또는 심볼 또는 픽토그램에 의해 상이한 기능이 할당될 수 있다.
순수하게 촉각 압입에 기초하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 요소 선택은, 반대측 단부 영역에 있는 조작면이 비작동 상태에서, 조작면으로부터 볼 때, 프레임 또는 버튼 콤으로부터 돌출함으로써 가능해진다. 반대측 단부 영역에 있는 조작면이, 스위칭 과정이 트리거되는 변위일 때 버튼을 둘러싸는 프레임 또는 버튼 콤에 대해 같은 높이에 있거나 조작면으로부터 볼 때 프레임 또는 버튼 콤 내로 들어가고, 변위되지 않은 상태에서 프레임 또는 버튼 콤으로부터 돌출하는 실시예에서는, 스위칭 요소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과도한 힘 작용이 방지된다. 스위칭 요소가 작동되는 정지 점에서 버튼이 변위되면, 버튼을 작동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조작면의 적절한 치수 설계 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레임 또는 버튼 콤에 접촉한다. 이로 인해, 힘의 일부가 프레임 또는 버튼 콤으로 방출됨으로써, 과도한 힘 작용이 방지된다. 이는 특히 사용자가 우연히 물체를 조작 요소에 부딪힐 수 있는 영역에, 조작 요소가 배치된 경우에 적용된다. 이러한 경우, 매우 큰 힘이 프레임 또는 버튼 콤에 의해 흡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 부분의 평면도.
도 2는 비작동 상태의, 도 1에 따른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의 조작 요소의 단면도.
도 3은 작동 상태의, 도 1 및 도 2에 따른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의 조작 요소의 단면도.
도 4는 스위칭 요소로부터 플런저를 통해 조작 요소로 전달되는 힘을 조작 요소의 변위에 대해 도시한 그래프.
도 1에는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1)의 일부가 도시된다.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1)는 멀티미디어 및 네비게이션 장치로서 형성된다. 이 장치는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을 포함한다. 상부 영역에는 슬롯(3)이 나타나고, 상기 슬롯에 메모리 매체, 특히 광 메모리 매체, 예컨대 CD, DVD 등이 삽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에 인접하게, 조작 요소(4-7)가 배치된다. 조작 요소(4-7)는 버튼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버튼은 도면 평면에 대해 평행한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조작 요소(4-7)는 버튼 콤(button comb; 8)에 의해 둘러싸인다. 조작 요소(4-7)와 버튼 콤(8) 사이의 갭 크기는 조작 요소가 스트로크 버튼으로서 형성되는 실시예에서 보다 작게 선택될 수 있다. 버튼 콤(8)은 바람직하게는 로킹 결합에 의해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1)의 하우징 패널(9) 내로 압입된다. 조작 요소(4-7)의 용이한 식별 가능성을 위해, 버튼 콤(8)은 조작 요소(4-7)의 조작면과는 다른 파장의 가시광선을 흡수하거나/반사하는 표면 특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조작면의 표면 디자인은 검게 그리고 버튼 콤의 표면 디자인은 희게 유지된다. 시각적 인상이 피아노와 비슷하기 때문에, 이러한 버튼은 피아노 버튼이라고 한다.
도 2에는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1)의 조작 요소(4) 또는 일부를, 선 A-B를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된다. 동일한 기술적 특징부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비작동 상태의 조작 요소(4)가 도시된다. 조작 요소(4)는 버튼 캡(10)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 캡의 상부면은 조작면(11)으로서 형성된다. 버튼 캡(10)은 투명한 기본 재료로 제조된다. 조작면(11) 상에서 버튼 캡(10)은 코팅된다. 상기 코팅은 코팅 후에 몇몇 지점에서 레이저에 의해 제거됨으로써, 문자 또는 심볼이 상기 코팅에 기록되거나 또는 표시된다. 도 1에 따른 조작 요소(4)의 경우, 문자 "NAV"가 상기 방식으로 조작면(11) 상에 제공된다. 따라서, 문자의 영역 내에서 조작면은 투명하다.
버튼으로서 형성된 조작 요소(4)는 버튼 캡(10)에 추가해서, 바람직하게는 로킹 결합 또는 클립 결합에 의해 버튼 캡과 견고하게 결합된 플런저 요소(12)를 포함한다. 조작 요소(4)의 단부 영역(13)은 도면 평면에 대해 수직인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 요소(14)에 지지된다. 플런저 요소(12)는 조작 요소(4) 또는 버튼의 반대측 단부 영역(15)에 플런저(16)를 포함한다. 플런저(16)는 조작면(11)에 대향 배치된 면(17)으로부터 돌출한다. 플런저(16)의 일단부(18)는 스위칭 요소(20)의 스위칭 돔(19)에 접촉한다. 스위칭 돔(19)은 바람직하게는 압력 감지 매트의 구성부이다. 스위칭 요소(20)는 스위칭 돔(19)의 접촉면(22)과 인쇄 회로 기판(21) 상의 스트립 도체와의 접촉시에 접촉되는 스위칭 돔(19) 및 인쇄 회로 기판(21) 상의 스트립 도체를 포함한다. 스위칭 돔(19)은 탄성 재료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재료는 비작동 상태에서 플런저(16)의 단부(18)의 접촉시 약간의 예응력을 받을 수 있다. 이로 인해, 플런저(16)의 돌출부(23)가 버튼 콤(8)의 레그(25)의 하단부(24)에 대해 가압된다. 따라서, 버튼이 비작동 상태에서 정해진 변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즉,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가 조립된 자동차가 진동할 때, 버튼의 진동 또는 덜컹거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플런저 요소(12)는 바람직하게는 버튼 캡(10)과 마찬가지로 투명한 기본 재료로 제조된다. 인쇄 회로 기판(21)과, 조작 요소(4)와 대향 배치된 면(17) 사이의 공동부(26) 내에 발광체(27)가 배치된다. 상기 발광체는 바람직하게는 인쇄 회로 기판(21) 상에 고정된다. 발광체(27)는 발광 다이오드(LED) 또는 글로우 램프 또는 임의의 다른 발광체일 수 있다. 또한, 섬유에 의해 광이 상기 공동부(26) 내로 안내될 수도 있다. 발광체(27)에 추가해서, 조작면 또는 조작면(11)의 코팅되지 않은 부분의 조명을 개선하기 위해, 다른 광학 요소(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될 수 있다. 버튼 콤(8)은 하우징 패널(9) 내로 압입되고, 바람직하게는 로킹 결합에 의해 상기 하우징 패널(9)과 결합된다. 하우징 패널(9) 및 인쇄 회로 기판(21)은 금속으로 제조된 하우징(29)에 고정된다.
디스플레이 패널(2)의 에지(31) 및 축 요소(14)의 일부는 커버 플레이트(32)에 의해 커버된다. 축 요소(14)는 원통 섹터 부분(33)을 포함한다. 버튼 캡(10) 내에 형성된 피벗 베어링은 축 요소(14)의 상기 실린더 섹터 부분(33)에 접한다. 전체적으로, 축 요소(14)는 플런저 요소(12)와 버튼 캡(10) 사이에 고정된다. 디스플레이 패널(2)의 면에 대해 평행한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버튼 또는 조작 요소(4)의 회전 운동이 가능하다면, 축 요소(14)는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2개 이상의 인접한 조작 요소들은 하나의 공통 축 요소(14)를 사용한다. 이로 인해, 조작 요소들 사이의 매우 작은 갭 크기가 얻어질 수 있다. 조작 요소가 도 1에 따른 조작 요소(4-7)와 마찬가지로, 상기 회전 축선이 통과하는 단부 영역(13)에서 나머지 영역에서보다 약간 더 넓게 형성되면, 인접한 조작 요소들(4-7)이 직접 서로 나란히 하나의 공통 축 요소(14) 상에 배치되는 경우 이 조작 요소들은 단지 작은 접촉면을 갖는다. 조작 요소들(4-7)의 표면은 인접한 조작 요소들(4-7) 사이의 정지 마찰이 상기 조작 요소들(4-7) 중 하나의 작동시 인접한 조작 요소들(4-7)도 작동시키기에 충분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작 요소들 사이의 매우 작은 갭 크기가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는 작동 상태의, 도 1 및 도 2에 따른 조작 요소(4)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스위칭 요소(20)의 스위칭 돔(19)은 접촉면(22)이 인쇄 회로 기판(21)의 스트립 도체(도시되지 않음)와 접촉하도록 변형된다. 버튼 또는 조작 요소(4)는 비작동 상태에서, 즉 플런저(16) 또는 스위칭 돔(19)이 정지점에 있는 경우, 반대측 단부 영역(15)에 있는 조작면(11)이 버튼 콤(8) 또는 하우징 패널(9)과 같은 높이에 있거나 버튼 콤(12) 또는 하우징 패널(9) 내로 약간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비작동 상태에서, 조작면(11)은 반대측 단부 영역(15)에서 버튼 콤(8) 또는 하우징 패널(9)에 대해 돌출한다(도 2 참고).
도 4에는, 조작 요소(4)의 조작시 스위칭 요소(20) 또는 스위칭 돔(19)으로부터 플런저(16)를 통해 조작 요소(4)에, 인쇄 회로 기판(21)에 대해 수직으로 가해지는 힘(40)과 조작 요소(4)의 변위(41)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정점(42)에서 힘이 측정된다. 회전 축선에 대해 횡으로 종방향(43)으로 약 21 mm 연장된 버튼의 경우, 측정점(42)은 도 3에 2중 화살표(4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평행하게 측정할 때 회전 축선으로부터 13 mm 떨어져 조작면(11) 상에 배치된다. 측정점(42)의 변위(41)는 도 3에 방향 화살표(4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해 수직으로 측정된다[여기서는 인쇄 회로 기판(21)이 편평하거나 또는 평면에 가까운 디스플레이 패널(2)의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조립된다고 전제한다]. 따라서, 비작동 상태에서, 즉 제로점(52)에서(도 3 참고) 변위는 0 mm이다. 조작 요소(4)가 조작되면, 스위칭 요소(20)가 플런저(16)를 통해 조작 요소로 전달하는 힘(40)은 처음에는 지속적으로 상승한다. 촉각점(46)이라 하는 0.8 mm의 변위시 힘(40)은 국부적인 최대값(47)을 갖는다. 변위가 커지면, 가해지는 힘(40)은 정지점(48)에서 국부적인 최소값(49)이 얻어질 때까지 다시 감소한다. 상기 변위시 스위칭 요소(10)의 스위칭 과정이 트리거된다. 조작 요소가 정지 점(48)을 지나 변위되면, 힘이 급상승한다(완전히 도시되지 않고 대략적으로만 도시됨). 이러한 도시된 힘의 특성은 스위칭 돔(19)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스위칭 요소(20)가, 예컨대 스위칭 돔으로서 형성된 다수의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시된 값들은 바람직한 값들이다. 하부 곡선(50)은 비작동 위치로 후진 운동시 플런저(16)를 통해 조작 요소(4)에 작용하는 힘의 특성을 나타낸다. 파선(51)은 힘(40)의 바람직한 공차값을 제시한다. 도시된 값들은 바람직한 최적 값들이다. 촉각점(46)에서의 힘은 1 내지 6N,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N, 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2.8N, 가장 바람직하게는 2.7N이다. 정지점에서의 힘은 0.5 내지 2.5N, 바람직하게는 1.3N이다. 도 4에 제시된 힘 및 변위에 대한 절대값들은 약 21 mm 의 회전 축선에 대해 횡으로 길이 방향 치수를 가진 하나의 버튼에 대해 얻어진 최적 값들이며, 상기 최적 값들은 예컨대 회전 축선으로부터 13 mm의 간격[도 3에 2중 화살표(44)로 도시함]을 두고 측정된다. 측정된 값들은 정적 측정시에 얻어진다. 즉, 변위는 예컨대 스위칭 돔의 벽들의 갑작스런 스냅시에 나타나는 동적 효과가 고려되지 않을 정도로 서서히 이루어진다.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1)는 피아노 버튼으로서 형성된 조작 요소(4-7) 외에, 스트로크 버튼으로서 형성된 다른 조작 요소(5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다른 조작 요소는, 예컨대 슬릿(3) 내로 삽입되는 메모리 매체의 배출을 제어한다. 다른 조작 요소(55)는 슬릿(3)과 다수의 고정 아이(eye)(56) 중 하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아이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29)의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고(도 2 참고), 디스플레이 패널(2)에 대해 평행한 평면을 형성한다.

Claims (10)

  1.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2)과, 이 디스플레이 패널(2)에 인접하게 배치된,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 요소(4-7)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요소(4-7)는 버튼의 단부 영역(13)에서 또는 이 단부 영역 상의 디스플레이 패널(2)의 표면에 대해 평행한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버튼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버튼 중 2개 이상의 버튼은 하나의 축 요소(14) 상에 공통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조작면에 대향 배치된 면(17)으로부터 돌출한 플런저(plunger)(16)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의 일단부(18)는 조작 요소(4-7)의 작동시에 압력 감지 매트의 스위칭 요소(20)와 상호 작용하고, 상기 플런저(16)는 버튼의 반대측 단부 영역(15)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각각 투명한 기본 재료로 이루어진 버튼 캡(10)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 캡은 적어도 조작면(11)에서 코팅되며, 이러한 코팅은 심볼, 픽토그램 및 문자 중 하나 이상을 형성하기 위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16)는 플런저 요소(12)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 요소는 버튼을 축 요소(14)에 고정하도록 버튼 캡(10)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조작시에 이러한 조작에 반작용하는 힘이 스위칭 돔(19)을 포함하는 스위칭 요소(20)에 의해 플런저(16)를 통해 버튼에 가해지고, 상기 힘은 우선 비작동 위치로부터의 변위 증가에 따라 커지고, 촉각점(46)에서 국부적 최대값(47)이 얻어지며, 변위가 더 커지면 상기 스위칭 요소(20)의 스위칭 과정이 트리거되는 변위에 상응하는 정지점(48)에서 국부적 최소값(49)이 얻어질 때까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16)를 통해 촉각점(46)에 전달되는 힘은 1 내지 6N이고, 상기 플런저(16)를 통해 정지점(48)에 전달되는 힘은 0.5 내지 2.5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표시된 정보에 의해, 각 기능에 대한 상기 조작 요소(4-7)의 대응 관계가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반대측 단부 영역(15)에 있는 상기 조작면(11)은 스위칭 과정이 트리거되는 변위에서 버튼을 둘러싸는 프레임 또는 버튼 콤(8)에 대해 같은 높이에 있거나 조작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프레임 또는 버튼 콤(8) 내로 삽입되고, 변위되지 않은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 또는 버튼 콤(8)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
KR1020087024572A 2006-03-23 2007-02-05 자동차의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 KR100987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13859 2006-03-23
DE102006013859.7 2006-03-23
DE102006042645A DE102006042645B4 (de) 2006-03-23 2006-09-12 Multifunktionale Anzeige- und Bedienein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06042645.2 2006-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047A KR20080111047A (ko) 2008-12-22
KR100987090B1 true KR100987090B1 (ko) 2010-10-11

Family

ID=3796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572A KR100987090B1 (ko) 2006-03-23 2007-02-05 자동차의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154517B2 (ko)
EP (1) EP2001699B1 (ko)
JP (1) JP2009531213A (ko)
KR (1) KR100987090B1 (ko)
CN (1) CN101410270B (ko)
DE (2) DE102006042645B4 (ko)
ES (1) ES2397968T3 (ko)
MX (1) MX2008012063A (ko)
RU (1) RU2411141C2 (ko)
WO (1) WO20071101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8499A1 (fr) * 2007-06-12 2009-01-09 Johnson Controis Technology Co Dispositif d'actionnement et d'affichage
DE102009048834A1 (de) * 2009-10-09 2011-04-14 Volkswagen Ag Verfahren und Anzeigeeinrichtung zum Anzeigen von Informationen
DE112010005381B4 (de) * 2010-06-25 2019-01-31 Mitsubishi Electric Corp. Drucktastenstruktur
FR2973528B1 (fr) * 2011-03-31 2013-04-26 Valeo Systemes Thermiques Module de commande et d'affichage pour vehicule automobile
DE112012002398A5 (de) 2011-06-07 2014-03-27 Behr-Hella Thermocontrol Gmbh Bedieneinheit für eine Fahrzeugkomponente
CN103863121B (zh) * 2012-12-13 2016-08-24 华创车电技术中心股份有限公司 操作面板
DE102014219316A1 (de) 2014-09-24 2016-03-2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chalterbedienelement und Schalter
JP6344654B2 (ja) * 2015-01-16 2018-06-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ボタンスイッチ
DE102019100761A1 (de) * 2019-01-14 2020-07-16 Behr-Hella Thermocontrol Gmbh Bedien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DE102022109971B3 (de) * 2022-04-26 2023-06-2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edieninterface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274Y1 (ko) * 1981-03-20 1990-06-1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조작장치
KR20040005613A (ko) * 2002-07-08 2004-01-16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스위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5430U (ko) * 1980-10-28 1982-05-10
JPS58117615A (ja) * 1981-12-29 1983-07-13 信越ポリマ−株式会社 押釦スイツチ用押圧制御部材
JPH0392442A (ja) * 1989-09-04 1991-04-17 Mazda Motor Corp 車両用操作装置
JPH04184825A (ja) * 1990-11-19 1992-07-01 Kansei Corp 押ボタンスイッチ
JPH0650202U (ja) * 1992-12-07 1994-07-08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スイッチキ−の支持構造
JPH06267373A (ja) * 1993-03-11 1994-09-22 Kansei Corp 押ボタンスイッチの操作ノブ構造
JPH09167540A (ja) * 1995-12-19 1997-06-24 Shin Etsu Polymer Co Ltd 押釦スイッチ
EP1121274A1 (de) * 1998-10-15 2001-08-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r multifunktionalen anzeige- und bedienein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sowie multifunktionale anzeige- und bedieneinrichtung
JP3466955B2 (ja) * 1999-04-23 2003-11-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スイッチパネル
JP2000311554A (ja) * 1999-04-28 2000-11-07 Nippon Seiki Co Ltd スイッチ装置
JP2002025379A (ja) * 2000-07-07 2002-01-25 Toto Ltd 局部洗浄用操作装置
US6774330B2 (en) * 2001-03-27 2004-08-10 Trw Inc. Multi-stage push button switch apparatus
DE10205796C1 (de) * 2002-02-13 2003-10-30 Behr Hella Thermocontrol Gmbh Bedieneinheit für eine Fahrzeugkomponente
JP2004133655A (ja) * 2002-10-10 2004-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操作釦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US6867384B1 (en) * 2003-09-19 2005-03-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witching apparatus
US6933454B2 (en) * 2003-09-19 2005-08-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witching apparatus and vehicle-mounte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witching apparatus assembled therei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274Y1 (ko) * 1981-03-20 1990-06-1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조작장치
KR20040005613A (ko) * 2002-07-08 2004-01-16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스위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10121A1 (de) 2007-10-04
CN101410270B (zh) 2013-11-13
DE102006042645A1 (de) 2007-09-27
CN101410270A (zh) 2009-04-15
KR20080111047A (ko) 2008-12-22
EP2001699A1 (de) 2008-12-17
US20090322684A1 (en) 2009-12-31
DE102006042645B4 (de) 2012-09-13
US8154517B2 (en) 2012-04-10
RU2411141C2 (ru) 2011-02-10
DE202006020753U1 (de) 2009-11-26
RU2008141911A (ru) 2010-04-27
JP2009531213A (ja) 2009-09-03
EP2001699B1 (de) 2012-10-17
ES2397968T3 (es) 2013-03-12
MX2008012063A (es) 2009-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090B1 (ko) 자동차의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
JP4166477B2 (ja) 自動車用機能装置等のための容量性のコマンド装置、およびかかる装置を備えた装備部品
WO2012153587A1 (ja) 2段式スイッチ
CN108944661B (zh) 用于机动车辆的控制面板
JP5292221B2 (ja) 静電容量センサ付きプッシュ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用いた入力装置
KR100664275B1 (ko) 터치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4720435B2 (ja) キースイッチ
CN112038146A (zh) 按键结构
JP2017208185A (ja) 入力装置
JP5619570B2 (ja) 操作パネル
JP2008293673A (ja) シーソー操作型スイッチ装置
JPH0940308A (ja) エレベーター用押ボタン装置
JP2002053274A (ja) エレベーター用操作ボタン
KR100411552B1 (ko) 엘리베이터누름버튼
JP4162831B2 (ja) 釦の照明構造
JPH11345532A (ja) 照光式押釦スイッチ装置
JP5276484B2 (ja) 車両用の操作パネル
JP4853780B2 (ja) 電子機器
JP4992749B2 (ja) 押圧スイッチ用弾性材及びこれを備えた操作装置
JP2011065940A (ja) 押圧操作型入力装置
JP2014116166A (ja) 多方向入力装置
JP5212904B2 (ja) 操作スイッチ装置
JPH0935578A (ja) キースイッチ、特に細長いキー部材を有するキースイッチ
JP2020113473A (ja) スイッチ装置
JP2003162938A (ja) ゴム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