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274Y1 -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274Y1
KR900005274Y1 KR2019820002106U KR820002106U KR900005274Y1 KR 900005274 Y1 KR900005274 Y1 KR 900005274Y1 KR 2019820002106 U KR2019820002106 U KR 2019820002106U KR 820002106 U KR820002106 U KR 820002106U KR 900005274 Y1 KR900005274 Y1 KR 9000052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ching
plate
stainless
stainless plat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2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400U (ko
Inventor
하지메 시쯔죠우
마사미쯔 즈까다니
다께시 가도우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34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4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2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2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6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rod or lever linkage, e.g. toggle
    • H01H2003/466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rod or lever linkage, e.g. toggle using a living hinge to connect the le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68Properties of the membrane
    • H01H2209/07Properties of the membrane metall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28Prin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56Diffuser; Uneven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6Lever; Roc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24Transmission element
    • H01H2221/03Stoppers for on or off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36Return force
    • H01H2221/044Elastic part on actuator or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Force concentrator; Actuating dimp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8Actuators composed of different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34Bezel
    • H01H2223/0345Bezel with keys positioned directly next to each other without an intermediate bezel or fr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16Selective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3/00Key modules
    • H01H2233/002Key modules joined to form button r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tails Of Measuring And Other Instruments (AREA)
  • Structure Of Recei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작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적용한 튜너의 정면도.
제2도는 조작 패널의 부분확대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 단면도.
제4도는 이동부를 압압한 상태를 나타내는 제3도와 같은 단면도.
제5a도 내지 제5d도는 스텐레스판의 에칭 방법을 공정순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조작부 4 : 스텐레스판
9 : 육박부 10 : 고정부
11 : 이동부 15 : 돌기부
16 : 푸쉬 스윗치
본 고안은 조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들면 튜너나 앰프등의 음향기기 기타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조작 장치에 적응하면 적합하고도 좋은 것이다.
튜너나 앰프등의 조작 패널에 다수의 스윗치류가 배설되어 있으나, 근년에 이들 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스윗치류를 될수 있으면 서로 근접시켜 배치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각 스윗치마다 독립된 조작 손잡이를 가지게하는 구조로하고 있었으므로 1개 1개를 정확하게 위치를 내어 병렬하는 것은 매우 번잡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실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이며 한장의 금속판에 복수의 조작부가 설치되고, 에칭에 의하여 상기 각 조작부에 표시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각 조작부를 고정부와 이동부로 각각 분할하는 육박부가 에칭에 의하여 형성되고, 또한 돌기부를 가지는 조작 부재가 상기 각 이동부의 이면쪽에 각각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각 돌기부에 대향하여 푸쉬 스위치가 배치되어 상기 조작부의 상기 이동부를 압압 조작함으로써 상기 이동부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상기 얇은 부분에 의하여 이동되고 상기 조작부재의 상기 돌기부를 거쳐 상기 푸쉬 스윗치가 압압 조작되도록 구성된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다수의 스윗치 조작부를 서로 근접시켜 비교적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또한, 이 조작부가 금속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가 배설되어 있는 기기가 고급감을 주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튜너에 적용한 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튜너의 전면 패널(1)에 조작 패널(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 패널(2)은 가로 한줄로 나란이 선 각 스윗치(예를들면, FM선택스윗치, AM선택스윗치등)의 조작부(3)가 각각 한장의 스텐레스판(4)으로 부터 하나로 형성되어 구성되고 있으며, 각 조작부(3)는 슬릿(5)에 의하여 서로 분할되어 있다. 즉 슬릿(5)은 스텐레스판(4)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전너비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슬릿(5)내에 각 조작부(3)를 연결하기 위한 비교적 얇은 연결부(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텐레스판(4)에는 각 조작부(3)를 앞쪽에 "FM","AM"등의 문자나 숫자, 기호등의 표시부(6) 및 표시창(7)이 각각 에칭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스텐레스판(4)의 각 조작부(3)에는 그 이면쪽에 스텐레스판(4)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육박부(9)가 만들어져 있다.
이 육박부(9)는 에칭에 의하여 스텐레스판(4)의 뒤면쪽으로부터 오목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육박부(9)에 의하여 각 조작부(3)가 고정부(10)와 이동부(11)로 분할되어 있다. 각 조작부(3)의 고정부(10)는 연결부(8)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술한 표시부(6) 및 표시창(7)은 이 고정부(10)에 만들어져 있다. 한편 이동부(11)는 육박부(9)를 거쳐 상기 고정부에 힌지 결합이 되어 있으며 각 조작부(3)의 이동부(11)는 슬릿(5)(제2도참조)에 의하여 서로 완전히 분단되어 있다. 스텐레스판(4)의 고정부(10)는 ABS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샤시(12)에 고착되어 있으며 이 샤시(12)의 다른쪽에는 인쇄기판(13)이 고착되어 있다. 스텐레스판(4)의 이동부(11)의 뒷면쪽에는 스티롤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조작 부재(14)가 접착 고정되어 있으며 이 조작부재(14)의 뒷쪽으로 돌출한 돌기부(15)가 한몸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 인쇄기판(13)에는 이 돌기부(15)에 대향하는 위치에 푸쉬 스윗치, 예를들면 터치스윗치(16)가 부착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터치 스윗치(16)는 그앞쪽에 금속판(17)을 구비하고 있고 이 금속판(17)에는 통상 바깥쪽에는 돌출한 중앙 만곡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손가락등으로 스텐레스판(4)의 이동부(11)를 누르면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텐레스판(4)의 조작부(3)이 육박부(7)부근에서 굽어, 이동부(11)가 도시한 것과같이 회동한다. 그리고, 이 이동부(11)에 고착된 조작부재(14)의 돌기부(15)가 금속판(17)의 중만곡부(17')를 안쪽으로 누른다. 이에 의하여 이 중앙만곡부(17')는 그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도시한 바와같이 안쪽으로 돌출하여 한쌍의 단자(18)(19)에 각각 접촉하여 이 단자(18)(19)간을 단락 합선시킨다. 이로써 터치스윗치(16)가 온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스텐레스판(4)로부터 손가락등을 떼면 금속판(17)의 중앙만곡부(17')는 그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제3도의 상태로 복원한다. 또, 스텐레스판(4)의 이동부(11)은 조작부재(14)의 돌기부(15)가 금속판(17)의 중앙만곡부(17')에 압압됨으로써, 혹은, 스텐레스판(4)의 육박부(9)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제3도의 상태로 복원한다.
스텐레스판(4)의 이동부(11)에 고착된 조작부재(11)에 고착된 조작부재(14)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단면 L자형의 계지부(20)가 한몸이 되도록되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샤시(12)에는 이 조작부재(14)의 계지부(20)에 대응하여 피계지부(2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부재(14)의 계지부(20)가 피계지부(21)에 접함으로써, 예를들면 금속판(17)의 중앙만곡부(17')에 의하여 돌기부(15)가 압압되어 스텐레스판(4)의 이동부(11)이 필요 이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함이 없도록 조작 패널(2)의 체재가 나쁘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인쇄기판(13)에는 스텐레스판(4)의 표시창(7)에 대응하여 LED등의 발광체(22)가 부착되어 있다. 이 발광체(22)는, 예를들면 대응하는 터치스윗치(16)가 온 상태일때 발광 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발광체(22)에서 나오는 광은 샤시(12)에 설치된 관통구멍(23)을 통하여 표시창(7)을 비추어 준다. 샤시(12)의 관통구멍(23)과 표시창(7)과의 사이에는 조작부재(14)가 연장되어 형성된 광 확산판부(24)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확산판부(24)에 의하여 발광체(22)로 부터의 빛을 확산하여 표시창(7)에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로 한줄로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스윗치(예를들면, 상단에는 8개, 하단에는 5개)의 조작부(3)를 한장의 스텐레스판(4)으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 스위치들의 서로의 조작부(3)는 고정부(10)로 연결되고 있으므로 그 부착도 한꺼번에 할수 있다. 또한, 각 조작부(3) 즉 조작 패널(2)의 전체가 스텐레스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면 패널(1)과 잘 정합하고 기기 전체에 고급감을 줄수 있다.
스텐레스판(14)에 조작부(3)를 형성하는 공정은 이 스텐레스판(4)에 표시부(6)와 표시창(7)을 형성하는 공정과 동시에 할수 있으며, 따라서, 금속 도금이 필요한 종래의 합성수지제의 조작부와 비교하여 그 제조코스트면에 있어서 매우 유리하다.
다음에 이 스텐레스판(4)에 조작부(3)등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5a도 내지 제5d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5a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두께 약 0.2 내지 0.4㎜정도의 스텐레스판(4)를 준비하고 제5b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텐레스판(4)의 양쪽에 소정의 패턴의 엣칭마스크(25)를 배치한다. 이때 슬릿(5)이나 표시창(7)과 같이 스텐레스판(4)를 관통하여 엣칭 해야할 곳에 있어서는 스텐레스판(4)의 양면의 엣칭 마스크(25)에 개구부(26)을 각각 형성하고, 한편, 표시부(6), 연결부(8) 및 육박부(9)와 같이 스텐레스판(4)에, 오목부로 형성될 곳에는 스텐레스판(4)의 한쪽면 엣칭마스크(25)에만 개구부를 형성한다.
다음에 이 스텐레스판(4)를 엣칭액에 담그고 제5c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엣칭마스크(25)의 개구부(25)를 통하여 엣칭되도록 엣칭처리 시간을 조절한다.
이와같이 하면, 양쪽에 형성된 개구부 부분에 있어서는 스텐레스판(4)이 그 양쪽으로부터 엣칭되기 때문에 도면과 같이 그 두께 전체에 걸쳐 엣칭되며 개구부(26) 부분에서는 개구부(26)가 설치된 쪽만 엣칭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텐레스판(4)에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다음에 제5d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엣칭 마스크(25)를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 표시부(6)에 도료(27)를 채운다. 이와같이 표시부(6)를 엣칭에 의하여 형성하면 표시가 벗겨지기 어렵다는 잇점이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1회의 엣칭 처리에 의하여 스텐레스판에 슬릿(5), 표시부(6), 표시창(7), 연결부(8) 및 육박부(9)를 한꺼번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적으로는 표시부 엣칭으로 형성하는 종래의 경우와 대체로 같다. 그리고 조작부(3)의 너비의 대소에 따른 이동부(11) 작동력의 변동은, 예를들면, 육박부(9)의 너비 또는 깊이를 변경시킴으로써 균일화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실시예 1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사이 실시예는 결코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부를 구성하는 금속판으로서 스텐레스판(4)를 사용하였으나 다른 금속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금속판은 그 자체가 충분한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스프링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푸쉬 스윗치로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터치 스윗치(16) 이외에 여러가지 푸쉬 스윗치의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와 같은 튜너와 앰프등으 음향기기외에 각종 전자기기의 조작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는 복수의 스윗치 조작부를 한장의 금속판으로 일체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단, 각각의 조작부가 흐뜨러지는 일이 없다. 또 조작부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기에 고급감을 줄수 있다. 이 경우 종래의 합성 수지제의 조작부와 금속 도금을 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표시부를 형성하기 위한 엣칭 공정과 동시에 각각 조작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가 매우 간단하며 제조 코스트가 낮아진다. 또 다수의 스윗치 조작부를 서로의 조작부가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부착이 간단하다. 그리고 표시부가 엣칭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가 벗겨지기 어렵다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한장의 금속판에 복수의 조작부가 설치되고, 엣칭에 의하여 상기 각 조작부에 표시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각 조작부를 고정부와 이동부로 각각 분할하는 육박부가 엣칭에 의하여 형성되고, 또 돌기부를 가지는 조작부재가 상기 각 이동부의 뒷면쪽에 각각 부착되고 또 상기 각 돌기부에 대향하여 푸쉬 스위치가 배설되어, 상기 조작부의 상기 이동부를 압압 조작함으로써 상기 이동부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상기 육박부에 의하여 이동되고, 상기 조작부재의 상기 돌기부를 통하여 상기 푸쉬 스윗치가 압압조작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KR2019820002106U 1981-03-20 1982-03-19 조작장치 KR90000527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1039986U JPS57152725U (ko) 1981-03-20 1981-03-20
JP39986 1981-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400U KR830003400U (ko) 1983-12-12
KR900005274Y1 true KR900005274Y1 (ko) 1990-06-15

Family

ID=12568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2106U KR900005274Y1 (ko) 1981-03-20 1982-03-19 조작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613736A (ko)
JP (1) JPS57152725U (ko)
KR (1) KR900005274Y1 (ko)
CA (1) CA1179758A (ko)
DE (1) DE3210044C2 (ko)
FR (1) FR2502378B1 (ko)
GB (1) GB2096395B (ko)
NL (1) NL82011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090B1 (ko) * 2006-03-23 2010-10-1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자동차의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4978U (ja) * 1982-10-04 1984-04-10 三洋電機株式会社 前面パネル取付装置
GB2134715A (en) * 1983-01-20 1984-08-15 Automated Security A control box or panel
DE3305556C1 (de) * 1983-02-18 1984-09-13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Tastenschalterfeld für ein elektrisches Gerät
JPS60831U (ja) * 1983-06-16 1985-01-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押釦スイツチ装置
JPS60830U (ja) * 1983-06-16 1985-01-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操作釦装置
DE3418509A1 (de) * 1984-05-18 1985-11-21 Blaupunkt-Werke Gmbh, 3200 Hildesheim Elektronisches geraet mit bedienelementen
KR900002951B1 (ko) * 1985-01-25 1990-05-03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푸시버튼장치
US4771139A (en) * 1986-06-27 1988-09-13 Desmet Gregory L Keyboard with metal cover and improved switches
US4877925A (en) * 1987-10-23 1989-10-31 Clarion Co., Ltd. Multi-stage push button switch device
JP2517932Y2 (ja) * 1988-05-31 1996-11-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イツチ作動用押しボタン装置
DE3905130A1 (de) * 1989-02-20 1990-08-30 Sartorius Gmbh Schalt- und/oder anzeigeeinheit fuer messgeraete, insbesondere waagen
US5130506A (en) * 1990-02-28 1992-07-14 Eaton Corporation Low current switching apparatus having detent structure providing tactile feedback
US5012054A (en) * 1990-05-14 1991-04-30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Closely spaced back-lit push button array
DE4109138A1 (de) * 1991-03-20 1992-09-24 Thomson Brandt Gmbh Eingabetastatur
JPH066052A (ja) * 1992-04-20 1994-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キャビネット装置
US5703625A (en) * 1995-01-06 1997-12-30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Illuminated push button display
US5822690A (en) * 1996-04-12 1998-10-13 Motorola, Inc. Multi-pole switch assembly providing display cover and virtual pivot action
DE19616917A1 (de) * 1996-04-27 1997-10-30 Rohde & Schwarz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lektrische Drucktastenschalter
DE19641934C2 (de) * 1996-10-11 1999-06-24 Hermann Schwelling Schaltklappe für die Antriebsstillsetzung der Schneidwerke von Aktenvernichtern u. ä. Geräten
TW376173U (en) * 1998-05-07 1999-12-01 Quanta Comp Inc Structure of the modular touch control panel
FI20011304A (fi) * 2001-06-19 2002-12-20 Nokia Corp Tiivis integroitu näppäimistö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DE10140337B4 (de) * 2001-08-16 2005-02-24 Siemens Ag Elektronisches Endgerät
DE10142503A1 (de) * 2001-08-30 2003-03-20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Elektrisches Küchengerät
US7312785B2 (en) 2001-10-22 2007-12-25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ed scrolling
US7333092B2 (en) 2002-02-25 2008-02-19 Apple Computer, Inc. Touch pad for handheld device
JP2004006168A (ja) * 2002-06-03 2004-01-08 Pioneer Electronic Corp 押しボタン構造
JP4086564B2 (ja) * 2002-07-04 2008-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イッチボタン及び記録装置
AU2003227020A1 (en) * 2003-02-27 2004-09-17 Bang And Olufsen A/S Metal structure with translucent region
US7499040B2 (en) 2003-08-18 2009-03-03 Apple Inc. Movable touch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US20070152977A1 (en) 2005-12-30 2007-07-05 Apple Computer, Inc. Illuminated touchpad
US8059099B2 (en) 2006-06-02 2011-11-15 Apple Inc. Techniques for interactive input t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7495659B2 (en) 2003-11-25 2009-02-24 Apple Inc. Touch pad for handheld device
US7070349B2 (en) * 2004-06-18 2006-07-04 Motorola, Inc. Thin keyboard and components for electronics devices and methods
US6984793B1 (en) * 2004-07-27 2006-01-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directional switch actuator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ing the same
JP2008511045A (ja) 2004-08-16 2008-04-10 フィンガーワー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タッチセンス装置の空間分解能を向上させる方法
JP2006221845A (ja) * 2005-02-08 2006-08-24 Funai Electric Co Ltd 面押しボタン及び電子機器
DE102005010621B3 (de) * 2005-03-08 2006-10-12 Siemens Ag Österreich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in einem Gehäuse eines elektrischen Gerätes angeordneten Schalter
US7071434B1 (en) * 2005-10-05 2006-07-04 Lear Corporation Button and light pipe mechanism and assembly
US20070152983A1 (en) 2005-12-30 2007-07-05 Apple Computer, Inc. Touch pad with symbols based on mode
US7431487B2 (en) * 2006-03-31 2008-10-07 Lear Corporation Concatenated light pipe
US8022935B2 (en) 2006-07-06 2011-09-20 Apple Inc. Capacitance sensing electrode with integrated I/O mechanism
US9360967B2 (en) 2006-07-06 2016-06-07 Apple Inc. Mutual capacitance touch sensing device
US8743060B2 (en) 2006-07-06 2014-06-03 Apple Inc. Mutual capacitance touch sensing device
US7795553B2 (en) * 2006-09-11 2010-09-14 Apple Inc. Hybrid button
US8274479B2 (en) 2006-10-11 2012-09-25 Apple Inc. Gimballed scroll wheel
US8482530B2 (en) 2006-11-13 2013-07-09 Apple Inc. Method of capacitively sensing finger position
US7357647B1 (en) 2007-02-22 2008-04-15 Lear Corporation Assembly for controlling a device
DE102007027445B4 (de) 2007-06-14 2018-11-22 BSH Hausgeräte GmbH Elektrogerät mit mechanischem Versorgungsspannungsschalter
US7910843B2 (en) 2007-09-04 2011-03-22 Apple Inc. Compact input device
US8683378B2 (en) 2007-09-04 2014-03-25 Apple Inc. Scrolling techniques for user interfaces
US8416198B2 (en) 2007-12-03 2013-04-09 Apple Inc. Multi-dimensional scroll wheel
US8125461B2 (en) 2008-01-11 2012-02-28 Apple Inc. Dynamic input graphic display
US8820133B2 (en) 2008-02-01 2014-09-02 Apple Inc. Co-extruded materials and methods
JP5072659B2 (ja) * 2008-03-06 2012-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US9454256B2 (en) 2008-03-14 2016-09-27 Apple Inc. Sensor configurations of an input device that are switchable based on mode
KR100955133B1 (ko) * 2008-03-27 2010-04-28 엘지노텔 주식회사 하우징 일체의 키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EP2291853B1 (en) * 2008-04-01 2015-09-09 Robert Bosch GmbH Hinge for a button assembly
US8816967B2 (en) 2008-09-25 2014-08-26 Apple Inc. Capacitive sensor having electrodes arranged on the substrate and the flex circuit
US8395590B2 (en) 2008-12-17 2013-03-12 Apple Inc. Integrated contact switch and touch sensor elements
US9354751B2 (en) 2009-05-15 2016-05-31 Apple Inc. Input device with optimized capacitive sensing
US8872771B2 (en) 2009-07-07 2014-10-28 Apple Inc. Touch sensing device having conductive nodes
IT1402478B1 (it) * 2010-11-17 2013-09-13 Fraccaroli Apparecchio elettrico e relativo dispositivo di comando
TWM416134U (en) * 2011-03-28 2011-11-11 Wistron Corp Press button and portable computer
WO2012168326A1 (de) * 2011-06-07 2012-12-13 Behr-Hella Thermocontrol Gmbh Bedieneinheit für eine fahrzeugkomponente
FR2979747B1 (fr) * 2011-09-07 2014-05-23 Schneider Electric Ind Sas Dispositif d'arret d'urgence adaptable sur un systeme de dialogue homme-machine
RU2485652C1 (ru) * 2011-12-07 2013-06-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Завод им. В.А. Дегтярева" Пульт 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JP6441730B2 (ja) * 2015-04-01 2018-12-1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トグルスイッチ、スイッチ装置
US10300545B2 (en) * 2017-10-12 2019-05-28 Snap Inc. Low-profile mechanical retention
CN108538664B (zh) * 2018-04-27 2019-08-20 立烽电子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面板开关金属面板的制造方法
DE102022130653A1 (de) 2022-11-21 2024-05-23 Embex Gmbh Sensorbaugrupp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97723B (de) * 1961-03-04 1965-07-29 Intermetall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asken fuer die Massenherstellung von Halbleiter-bauelementen
US3627935A (en) * 1970-02-19 1971-12-14 Louis A Spievak Multiple-switch bank and keyboard
US3800104A (en) * 1972-11-13 1974-03-26 Becton Dickinson Co Low profile keyboard switch assembly with snap action cantilever contact
AR204336A1 (es) * 1973-12-17 1975-12-22 Texas Instruments Inc Pieza de teclado
US4032729A (en) * 1973-12-21 1977-06-28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Low profile keyboard switch having panel hinged actuators and cantilevered beam snap acting contacts
DE2403983B2 (de) * 1974-01-29 1976-06-10 Schoeller & Co, Elektrotechnische Fabrik, 6000 Frankfurt Drucktastenaggregat
FR2280963A1 (fr) * 1974-08-02 1976-02-27 Oceanic Touche de commande pour appareil electrique
GB1496640A (en) * 1976-10-12 1977-12-30 Pye Ltd Actuator for an electric switch
US4190748A (en) * 1977-01-31 1980-02-26 Rogers Corporation Keyboard switch assembly
US4136270A (en) * 1977-03-24 1979-01-23 Gte Automatic Electric Laboratories Incorporated Actuator for pushbutton switch
US4338502A (en) * 1978-04-27 1982-07-06 Sharp Kabushiki Kaisha Metallic housing for an electronic apparatus with a flat keyboard
GB2084802B (en) * 1980-09-30 1984-03-28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Keypad buttons
US4387282A (en) * 1981-03-06 1983-06-07 Motorola Inc. Electrical switch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090B1 (ko) * 2006-03-23 2010-10-1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자동차의 다기능식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96395A (en) 1982-10-13
FR2502378B1 (fr) 1986-02-07
FR2502378A1 (fr) 1982-09-24
JPS57152725U (ko) 1982-09-25
US4613736A (en) 1986-09-23
DE3210044C2 (de) 1991-03-07
NL8201130A (nl) 1982-10-18
CA1179758A (en) 1984-12-18
KR830003400U (ko) 1983-12-12
DE3210044A1 (de) 1982-09-30
GB2096395B (en) 1984-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5274Y1 (ko) 조작장치
EP0203068B1 (en) Improvements in switches and keyboards
US4489227A (en) Back lighted, full travel push button membrane keyboard
JP2937409B2 (ja) フロントパネル・アセンブリ
CA1160271A (en) Designation cap actuator assembly
EP0685860A1 (en) Full travel, sealed, fully backlighted keyboard
GB1523099A (en) Lighted push button switch
US4760217A (en) Keyboard having lower casing with integral upraised portion for supporting PC board, and key switch having air vent in PC board
US4334134A (en) Identification cap actuator assembly
FR2368363A1 (fr) Ensemble de clavier plat
US5739486A (en) Push-button system for control panels
JP2768030B2 (ja) フラットキーボードスイッチ
US4243846A (en) Pushbutton switch assembly for telecommunications and other input apparatus
JP2876570B2 (ja) キーボードスイッチ
JPS6255253B2 (ko)
JPH06283077A (ja) 照光式ツマミ
JP2892247B2 (ja) 車載用電子機器
JPS6020219A (ja) 操作釦装置
KR0126438Y1 (ko) 접점스위치 작동용 노브 스테이션
GB2043352A (en) Pushbutton switch assembly for telecommunications and other input apparatus
JP2519702Y2 (ja) 制御機器のフロント構造
KR200172463Y1 (ko) 전자제품의 스위치장치
KR0126437Y1 (ko) 접점스위치 작동용 노브 스테이션
JPH0160884B2 (ko)
GB2142080A (en) Attachment construction for electric compon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