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965B1 -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 Google Patents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965B1
KR100962965B1 KR1020047018184A KR20047018184A KR100962965B1 KR 100962965 B1 KR100962965 B1 KR 100962965B1 KR 1020047018184 A KR1020047018184 A KR 1020047018184A KR 20047018184 A KR20047018184 A KR 20047018184A KR 100962965 B1 KR100962965 B1 KR 100962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belt
sensor
movement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0568A (ko
Inventor
리차드 파르고
헬무트 마이어
프랭크 산세베로
마르쿠스 하메
헤르만 비제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50120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5Applications of security mon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66B23/024Chai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66B23/028Driving gear with separate drive chain or belt that engages directly the carrying surface ch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에스컬레이터 구동 조립체(30)는 브레이크가 작동되도록 정상적인 구동 조립체 작동이 중단된 때의 검출을 용이하게 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일례에 있어서, 플랜지(42) 형태의 센서 부재(40)는 구동 풀리(34)와 연관되며 정상 상태에서는 구동 풀리와 일치하여 회전한다. 그러나, 구동 기구의 정상 작동 상에 고장이 있으면, 센서 부재(40)와 구동 풀리(34) 사이에 상대적인 이동이 초래된다. 이와 같은 상대적인 이동은 양호하게는 구동 기구(30)의 정상적인 작업의 고장을 표시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치(80)를 작동시킨다. 다른 예의 센서는 구동 벨트(35)와 맞물리는 센서 부재(202, 212)를 포함한다. 벨트(35)가 파손되면, 센서 부재(202, 212)는 파손된 벨트 조건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이동한다. 본 발명을 사용하여 다양한 제동 장치 모드들이 가능하다.
에스컬레이터, 구동 시스템, 브레이크, 센서, 벨트

Description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PASSENGER CONVEYOR DRIVE ASSEMBLY}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 구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구동 기구에 사용되는 고장 감지 및 브레이크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는 통상적으로 승객을 예를 들어 건물 내 상이한 층에 있는 하차점들 사이로 수송하는 승객 컨베이어이다. 계단들로 이루어진 체인은 통상적으로 모터 구동식 조립체를 사용하여 구동된다. 다양한 모터 구동식 조립체들이 제안되었거나 현재 사용되고 있다. 새로운 구동 기구의 도입은 제어 장치의 새로운 개발을 필요로 한다.
에스컬레이터 계단 체인의 추가적인 이동을 자동적으로 정지 또는 막기 위해 브레이크가 작동되어야 하는 다양한 상황들이 있다. 예를 들어, 모터와 계단 체인 사이에 구동 변속기 고장이 있으면, 에스컬레이터 계단의 위치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모터의 동력 없이는, 예를 들어 수직방향 중력이 에스컬레이터 계단의 바람직하지 못한 이동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정상 구동 작업을 실패했을 때의 표시를 제공하며 브레이크 작동 을 용이하게 하는 센서 및 브레이크 작동 기구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가 의도한 바대로 작동하는지 여부에 대한 표시를 제공하며 컨베이어의 추가적인 이동을 방지하도록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도록 된 센서이다.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조립체의 일례는 모터의 동력에 응답하여 움직이는 모터 및 구동 부재를 포함한다. 피동 부재는 피동 부재가 구동 부재의 운동에 응답하여 움직이도록 구동 부재에 맞물린다. 피동 부재가 움직이면, 승객 컨베이어의 운동을 초래한다. 센서 부재는 구동 조립체에 고장이 있을 때 구동 조립체의 소정 부분에 대하여 이동한다. 센서 부재의 이와 같은 운동은 예를 들어 브레이크가 작동되어야 한다는 표시를 제공한다.
센서 부재의 일례는 정상적인 작동 조건하에서 구동 부재와 일치하여 회전한다. 센서 부재는 피동 부재와 맞물려 제동이 구동 부재와 피동 부재 사이의 상대 운동에 응답하여 필요하다는 표시를 제공하도록 이동한다.
일례에 있어서, 구동 부재는 구동 풀리와 구동 벨트를 포함한다. 피동 부재는 복수개의 링크를 갖는 계단 체인을 포함한다. 구동 벨트 상의 톱니는 정상 작동 중에는 계단 체인 상의 대응하는 톱니와 맞물린다. 구동 부재로부터 피동 부재로의 구동력 전달에 고장이 있는 경우에, 계단 체인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센서 부재와 맞물린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일례에서 구동 풀리와 결합되는 플랜지인 센서 부재는 소정량만큼 구동 풀리에 대하여 이동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 킬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일례에 있어서, 구동 부재에 대한 센서 부재의 이동은 에스컬레이터 구동 조립체의 정상적인 예상되는 작동에서의 문제를 표시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스위치는 에스컬레이터 시스템을 정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센서 부재는 구동 벨트와 맞물리도록 편향된다. 구동 벨트가 파손되면, 벨트가 더 이상 그 예상 위치에 있지 않기 때문에 센서 부재가 이동한다. 센서 부재의 이와 같은 이동은 브레이크가 적용되어야 한다는 표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이점 및 특징들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라면 일반적으로 양호한 구성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과 함께 수반되는 도면들은 다음과 같이 간략히 설명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에스컬레이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2a와 도2b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일례의 센서를 포함하는 일례의 에스컬레이터 구동 조립체의 선택된 구성 요소들을 다소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3은 도2a의 실시예의 선택된 부분들을 도시한다.
도4는 참조 번호 4로 표시된 원으로 에워싸인 도3의 부분을 다소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5는 도3의 예에 사용된 계단 체인 링크들의 선택된 특징부를 도시한다.
도6은 다른 예의 센서 실시예의 선택된 특징부를 도시한다.
도7은 제1 위치에 있는 다른 스위치 작동 실시예의 선택된 구성 요소들을 도시한다.
도8은 제2 위치에 있는 도7의 구성 요소들을 도시한다.
도9는 도6 및 도7에 예시된 센서 장치의 선택된 특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다른 예의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다른 예의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복수개의 계단(24)을 지지하기 위한 종래의 에스컬레이터 지지 구조물(22) 및 예를 들어 건물 내 승객의 층간 이동을 위한 핸드 레일(26)을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시스템(20)이 도1에 도시되어 있다. 구동 기구(30)는 계단(24)들을 정상 작동 조건 하에서 소정 속도로 선택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한다.
도2a와 도2b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구동 기구(30)는 양호하게는 모터와 브레이크를 갖는 모터 조립체(32)를 포함한다. 모터(32)는 구동 풀리(34)에 동력을 제공한다. 톱니 벨트(cogged belt, 35)는 양호하게는 모터(32)와 구동 풀리(34)에 의해 구동된다. 본 예에서, 벨트는 폴리우레탄 재료 내에 감싸진 강화 코드(cord)를 갖는다. 벨트 상의 내부 톱니는 구동 풀리(34) 상의 외부 톱니와 상호작용한다.
벨트(35) 상의 동력은 양호하게는 벨트(35)가 구동 풀리(34)와 아이들러 풀 리(37)에 의해 설치되는 루프 둘레를 주행할 때 복수개의 계단 체인 링크(36)로 전달된다. 일례에 있어서, 벨트(35)는 계단 체인 링크(36) 상의 복수개의 상호작용 형태의 톱니(38)와 맞물리는 외부 톱니를 갖는다. 정상 작업 조건 하에서, 벨트(35)와 계단 체인 링크(36)는 구동 풀리(34)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일치하여 이동한다.
구동 벨트(35) 상의 톱니와 계단 체인 링크(36) 상의 해당 톱니 사이의 맞물림은 계단 체인 링크(36)들이 이동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방식으로 계단들과 연결됨에 따라 에스컬레이터 계단들의 이동을 제공한다. 따라서, 계단 체인 링크(36)는 양호하게는 구동 벨트(35)가 보다 짧은 루프 둘레로 주행하는 동안에 계단들의 전체 경로를 따른다.
계단의 에지와 연결된 계단 체인 링크(36)의 세트 및 구동 벨트(35)가 각각 동기적으로 이동하여 컨베이어의 매끄럽고 신뢰성 있는 작동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동기화 바아(synchronizer bar, 50)가 대략 계단들의 폭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구동 기구(30)의 바람직하지 못한 조건의 표시를 제공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본 예에서, 센서는 구동 풀리(34)와 연결된 센서 부재(40)를 포함한다. 센서 부재(40)는 양호하게는 복수개의 방사상 연장부(44)를 갖춘 플랜지 본체부(42)를 포함한다. 도2a의 도시된 예에서, 센서 부재(40)는 일반적으로 별 모양이다. 도2b의 도시에서는 센서 부재(40)가 제거되어 있다.
정상 작동 조건하에서, 센서 부재(40)는 구동 풀리(34)와 일치하여 회전하며 계단 체인 이동에 아무런 효과를 갖지 못한다. 그러나, 벨트(35)가 파손 또는 손 상된 경우와 같이 구동 기구의 정상 작업에 실패한 때에, 구동 풀리(34)와 계단 체인 링크(36) 사이에 상대적인 이동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적어도 하나의 계단 체인 링크(36)의 일부는 센서 부재(40) 상의 방사상 연장부(44)들 중 적어도 하나와 맞물려서 센서 부재(40)가 구동 풀리(34)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한다. 구동 풀리(34)와 센서 부재(40) 사이의 이와 같은 상대적인 이동은 구동 조립체가 정상적으로 원하는 바대로 작동하는 데에 실패하였다는 표시를 유발시킨다.
센서 부재(40)와 구동 풀리(34) 사이의 제한된 상대 이동을 활용하는 일례의 장치가 도3 및 도4에 도시되었다. 본 예에 있어서, 센서 부재(40)는 정상 상태에서는 구동 풀리(34)와 함께 회전한다. 동기화 장치(60)는 이들 2개가 정상적인 작업 조건 하에서 함께 회전하도록 유지한다.
센서 부재(40)는 양호하게는 도시된 예에서 구동 풀리(34)에 볼트 고정된 정지 부재(62)가 센서 부재(40) 상에 형성된 일반적으로 아치형인 슬롯(66) 내에서 지지면(64)에 대하여 위치되도록, 구동 풀리(34)에 대하여 초기에 배향된다. 지지면(64)은 양호하게는 볼트(62)가 지지면(64)에 대하여 안정되도록 부분적으로 둥근 곡선부를 포함한다. 볼트(62)는 슬롯(66)의 일 단부(68) 내에 도시되었다.
스프링(70)은 정상 상태에서는 구동 풀리의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구동 풀리(34)로부터 멀어지게 센서 부재(40)를 편향시킨다. 초기, 정상 작동 위치에서, 스프링(70)은 볼트(62)를 지지면(64) 상에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작동한다. 지지면(64)의 곡선부와 스프링(70)의 편향은 양호하게는 요구되는 최소량의 힘이 볼트(62)의 슬롯(66) 내에서의 이동을 일으키는 데에 필요하도록 설정된다.
도3 및 도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동기화 장치(60)들은 양호하게는 구동 풀리(34)와 센서 부재(40) 상에서 이격되어 제공된다.
계단 체인 링크(36)와 구동 풀리(34) 사이에 상대적인 이동이 있으면, 센서 부재(40)와 계단 체인 링크(36) 사이의 연결은 구동 풀리(34)와 센서 부재(40) 사이에 상대적인 이동을 일으킨다. 이와 같은 상대 이동의 방향에 따라, 볼트(62)는 지지면(64)을 떠나 대체로 아치형인 슬롯(66)의 단부(68)들 중 하나 내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슬롯(66) 내에서의 볼트(62)의 이와 같은 이동은 구동 풀리(34)와 센서 부재(40)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이동의 결과이다.
도3 내지 도5의 예에 있어서, 센서 부재(40) 상의 방사상 돌기(44)들은 양호하게는 계단 체인 링크(36) 상에 형성된 기준면(72)과 상호작용한다. 정상적인 작업 조건 하에서, 방사상 돌기(44)들은 기준면(72)을 따르지만, 이들과 맞물리지는 않는다. 구동 풀리(34)와 계단 체인 링크(36) 사이에 상대 이동이 있으면, 기준면(72)과 방사상 돌기(44) 사이의 상호작용은 구동 풀리(34)와 센서 부재(40) 사이에 상대 이동을 일으킨다. 일례에 있어서, 계단 체인 링크(36) 상의 톱니는 주조 과정 중에 형성되는 반면에 기준면(72)은 개별적으로 기계 가공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계단 체인 링크(36)와 센서 부재(40) 간에 상호작용된 이동을 일으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들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스프링(70)은 볼트(62)가 슬롯(66)의 단부(68) 내로 이동할 때 구동 풀리(34)로부터 더욱 멀어지도록 센서 부재(40)의 상대적인 외향 이동을 일으킨다. 이 와 같은 이동은 양호하게는 스위치(80)를 작동시킨다. 스위치(80)는 양호하게는 계단 체인 링크(36)와 구동 풀리(34) 사이에 상대적인 이동이 있는 시점에 스위치가 작동되도록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센서 부재(40)에 대하여 위치된다. 그러므로, 스위치(80)의 작동은 구동 풀리(34)와 계단 체인 링크(36) 사이의 구동 연결 상의 고장 표시를 제공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스위치(80)에 의해 발생된 전기 신호는 모터 및 브레이크 조립체(32)의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기(82)에 의해 수신된다. 일례에 있어서, 제어기(82)는 모터 조립체의 일체형 부분이다. 제어기(82)는 양호하게는 모터 조립체의 작업을 제어하며 구동 조립체의 정상 작업이 중단된 후에 에스컬레이터 계단들이 바람직하지 못한 방식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제동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82)는 스위치(80)로부터의 신호를 해석하고 모터와 브레이크 조립체(32)를 그에 따라 제어하도록 적당하게 프로그래밍된 종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일례에 있어서, 제어기(82)는 에스컬레이터 시스템과 이미 연결된 제어기의 일부이다. 다른 예에 있어서, 제어기(82)는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본 명세서로부터, 당해 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결과를 실현하는 데에 요구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용 가능한 구성 요소들 중에서 선택하여 컴퓨터 또는 제어기를 적당히 프로그램할 수 있을 것이다.
구동 기구(30)의 일부 고장(즉, 벨트(35)의 파손)은 구동 풀리(34)가 계단 체인 링크(36) 상에 임의의 구동력 또는 제동력을 가하도록 허용하지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의 경우,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이상에 기재된 센서 기능과는 별도로 작동하는 백업 요소를 포함한다. 도2b를 다시 참조하면, 구동 풀리(34)는 백업 플랜지(100)를 포함한다. 도2b의 도시에서는, 예를 들어, 도2a와 도3의 도면에서는 가려져 있는 백업 플랜지(100)를 드러내도록, 도2a 또는 도3의 도시와 비교할 때 센서 부재(40)가 제거되어 있다.
본 예에서의 백업 플랜지(100)는 양호하게는 본 출원과 공동으로 소유된 국제 공개 공보 W0 02062694호의 지시에 따라 설계된다. 본 예에서의 백업 플랜지(100)는 구동 풀리(34)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백업 플랜지(100)는, 구동 풀리(34), 구동 벨트(35) 및 계단 체인 링크(36)들 사이의 정상적인 맞물림을 실패한 경우에 계단 체인 링크(36) 상의 기준면(72)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된 복수개의 톱니(10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톱니(102)는 구동 기구(30)의 모터 및 브레이크 조립체의 작동에 기초하여 계단 체인 링크(36)에 구동력 또는 제동력을 전달한다. 본 예에서, 톱니(102)는 정상 상태에서는 기준면(72)들과 맞물리지 않고 구동 풀리(34)와 구동 벨트(35)가 회전할 때 그들을 따른다.
일례에 있어서, 백업 플랜지(100)의 톱니(102)는 소량으로 센서(40)의 방사상 연장부(44)들을 이끈다. 일례에 있어서, 양호하게는 백업 플랜지(100) 상의 톱니(102)의 위치와 센서 부재(40) 상의 방사상 연장부(44) 사이에 1mm의 차이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예에서, 구동 풀리(34)와 계단 체인 링크(36)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 때문에 일단 백업 플랜지(100)에 하중이 가해지면, 센서 부재 돌기(44)들은 백업 플랜지(100) 상의 톱니(102)와 정렬된다. 이와 같이 정렬되도록 이동하면, 센서 부재(40)는 스위치(80)를 작동시키고 제어기(82)는 적당한 작용을 취한다.
예시된 플랜지(100)와 같은 백업 플랜지는 양호하게는 선택된 센서 실시예와는 무관하게 구동 조립체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센서를 사용하여 백업 및 감지 기능들을 분리시킴으로써, 센서 장치의 바람직하지 못한 고장을 피하면서 백업 브레이크 적용 중에 구동력 전달의 필수적인 양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다른 예시적인 센서(40')가 도6에 도시되었다. 본 예의 작동은 양호하게는 센서 플랜지(42')와 계단 체인 링크(36') 사이의 맞물림을 제외하고는 도3 및 도4와 많이 유사하다. 본 예에 있어서, 계단 체인 링크(36')는 양호하게는 기준면(72)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에, 플랜지 돌기(44')는, 정상 상태에서 구동 벨트(35) 상의 톱니와 맞물려 있는 계단 체인 링크(36') 상의 톱니(38')와 직접 맞물려서, 구동 시스템의 정상적인 작업에 고장이 있음을 표시한다. 다르게는, 플랜지(42')의 이동 및 지지는 도3 및 도4의 플랜지(42)와 기능적으로 동일하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 벨트(35) 상의 톱니(120)는, 정상 상태에서는 벨트 톱니(120)가 계단 체인 링크(36') 상의 톱니(38')와 맞물리지만 돌기(44')는 그렇지 않도록, 방사상 돌기(44')의 전방 에지(122)를 안내한다. 구동 벨트(35)가 파손되거나 마모되어 구동 풀리(34)의 구동력이 더 이상 계단 체인에 전달되지 않으면, 돌기(44')는 계단 체인 링크 톱니(38')와 맞물린다. 플랜지부(42')가 구동 풀리(34)에 대하여 이동함에 따라, 센서(40')는 이상에 설명된 플랜지(42)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동 조립체의 검지된 조건을 표시한다.
센서 실시예의 다른 예가 도7 및 도8에 도시되었다. 본 예에서는, 센서가, 이상에서 논의한 예에서와 같이 센서 부재(40)의 플랜지부(44)와 스위치(80)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기보다는, 스위치(80)와 상호작용하는 핀(160)을 포함한다.
본 예에서의 구동 풀리(34)는 양호하게는 예를 들어 구동 풀리 내의 보어일 수 있는 수용부(162) 내에서 핀(160)을 지지한다. 스프링과 같은 편향 부재(164)는 핀(160)을 수용부(162) 밖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도시된 예의 핀(160)은 기부(166)와 연장 아암(168)을 포함한다.
도7은 수용부(162) 내의 제1 위치 내에 있는 핀(160)을 도시한다. 센서 부재(40)의 중실부(170)는 수용부(162) 내의 함몰된 위치에서 핀(160)을 유지한다. 개구부(172)가 중실부(170)의 일 측면 상에 구비되는 한편 제2 개구부(174)가 대향한 측면 상에 구비된다. 센서 부재(40)와 구동 풀리(34)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이 있으면, 핀 아암(168)은 수용부(162) 밖을 향해 해당 개구부(172 또는 174)를 통해 편향된다. 이는 예를 들어 도8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핀(160)은 핀이 센서 부재(40) 내의 개구부들 중 하나를 통해 연장된 후에 구동 풀리(34) 내의 슬롯 내에서 미끄럼 이동되도록 허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구동 풀리(34)의 일부가 도시된 도9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수용부(162)는 구동 풀리(34) 내로 제1 깊이로 연장된다. 아치형 홈(190)은 수용부(162)와 일치하지만 구동 풀리(34)의 본체 내로 깊이 연장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핀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에 있으면, 이는 수용부(162) 내에 유지된다. 그러나, 핀(160)이 센서 부재(40) 내의 개구부를 통해 연장된 후에, 기부(166)는 홈(190) 내에서 미끄럼 이동하도록 자유로워서 구동 풀리(34)와 센서 부재(40) 사이에는 요구되는 상대 회전량이 있을 수 있게 된다. 홈(190) 내에서의 핀(160)의 이와 같은 상대 회전은 센서 부재(40)와 구동 풀리(34)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과 관련한 임의의 힘의 결과로서 핀이 파손되거나 전단되는 것을 막는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다른 예의 센서 구성을 도시한다. 본 예에서, 센서는 구동 벨트(35)의 조건을 직접적으로 감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벨트(35)가 원하는 대로 수행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브레이크 장치(32)를 조절하는 데에 특히 적합하다. 본 예에 있어서, 센서(200)는 벨트(35)의 내부 측면과 맞물리도록 편향되는 롤러(202)를 포함한다. 본 예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 편향 부재(204)는 벨트(35)의 내부면과 맞물리도록 롤러(202)를 가압한다. 벨트가 파손되면, 구동 도르래(34)와 아이들러 도르래(37)로 구성되는 루프 주위로 더 이상 주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롤러(202)는 외부(즉, 도면에 따르면 상방)로 이동하게 되며 롤러가 이러한 방향으로 이동한다는 표시를 제공한다. 롤러(202)가 벨트(35)의 부재에 응답하여 이동하면, 스위치(80)는 제어기(82)가 브레이크 기구(32)를 작동시켜서 제동력을 가할 필요성을 통신한다. 본 명세서로부터, 당해 분야의 숙련자라면 특정 형태 및 특정 시스템 설계의 필요성에 따라 이와 같은 브레이크 장치를 달성하기 위한 적당한 스위칭 요소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도11은 다른 예의 벨트 센서(210)를 도시한다. 본 예에 있어서, 롤러(212)는 지지 부재(214)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샤프트(215)는 지지부(214)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구동 조립체(30)를 지지하는 구조물의 적당한 부분에 고정되는 지지 브래킷(216) 내의 개구부를 통해 수용된다. 지지부(214)와 롤러(212)는 편향 부재(218)에 의해 벨트(35) 쪽으로 가압되는데, 편향 부재는 본 예에서는 2개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정상 작동 조건 하에서, 롤러(212)는 벨트(35)의 미끄럼면을 따라 주행한다. 벨트가 파손되거나 변위되면, 편향 부재(218)는 롤러(212)를 좌측(도면에 따르면)으로 가압한다. 롤러와 지지 브래킷(214)의 이와 같은 이동은 스위치를 작동시켜서 제어기(82)가 브레이크 장치(32)를 작동시켜야 함을 표시한다.
도9 및 도10의 예들은 벨트(35)의 존재 또는 조건을 직접적으로 감시하기 위해 가능한 센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다. 어떤 상황에서는, 벨트가 파손되었는지 여부뿐만 아니라 벨트 상의 톱니가 계단 체인 링크 내의 톱니와 적당하게 맞물렸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벨트(35)가 파손되지는 않았을지라도 벨트 톱니가 마모 또는 파손되는 일이 있을 수 있다. 도3 내지 도5의 예들은 이와 같은 감시 능력을 제공한다.
이상에 기재된 예들은 브레이크가 적용되어야 함을 표시하는 신호를 통신하는 데에 전력이 사용되는 스위치 작동을 포함한다. 일부 상황은 순수하게 기계적인 브레이크 작동 기구를 요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많은 부호(code)들은 보조 브레이크(즉, 구동 조립체의 모터 및 브레이크 기구와 연관된 브레이크에 대한 보조적인 브레이크)를 적용하기 위한 기계적인 브레이크 적용 기구를 요구한다. 이상에 설명한 예의 센서 장치들 중 어느 것도 전기 브레이크 작동 또는 순수하게 기계적인 브레이크 작동 장치에 유용하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의 센서 부재들의 이동은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데에 유용하다. 일부 예에서, 센서 부재의 이동은 브레이크를 기계적으로 작동시키는 연결 기구를 이동시키는 물리적인 힘을 인가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센서 부재의 이동은 케이블 또는 단단한 연결 부재를 당기고, 이는 이어서 기계적인 브레이크 작동 장치의 적당한 부분을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장치는 구동 조립체와 계단들 사이의 정상적인 힘 전달이 구동 기구 중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의 고장 또는 손상 때문에 중단된 때에 승객 컨베이어의 추가적인 바람직하지 못한 이동을 막기 위해 구동 기구 또는 보조 브레이크와 연관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데에 유용하다.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구동 기구를 위한 독특한 고장 표시기 및 브레이크 작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동 풀리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 벨트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구동 기구에 특히 유용하지만 반드시 이와 같은 장치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사실상 제한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예시적인 것이다. 본 발명의 본질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개시된 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부여되는 법적인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의 범위를 연구함으로써만 결정될 수 있다.

Claims (21)

  1.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이며,
    모터와,
    모터로부터의 동력에 응답하여 이동하는 구동 부재와,
    구동 부재의 이동에 응답하여 이동하도록 구동 부재와 체결되고, 그 이동이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을 초래하는 피동 부재와,
    구동 부재와 피동 부재의 체결 상태의 변화에 반응하여 이동하여, 구동 조립체의 정상 작동 실패의 표시를 제공하는 센서 부재를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센서 부재의 이동에 응답하여 작동되는 브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는 피동 부재의 추가적인 이동을 방지하는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스위치 및 브레이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센서 부재의 이동은 스위치가 제어기에 신호를 제공하게 하는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구동 부재는 모터로부터의 동력에 응답하여 회전하는 구동 도르래를 포함하며, 센서 부재는 정상 상태에서 구동 도르래와 함께 회전하는 플랜 지를 포함하고, 플랜지를 포함하는 센서 부재는 구동 부재와 피동 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응답하여 구동 도르래에 대하여 회전하는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구동 부재는 구동 도르래와 함께 이동하는 구동 벨트를 포함하며, 피동 부재는 체인을 포함하고, 센서 부재는 구동 부재와 피동 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 중에 피동 체인의 해당 부분과 맞물리는 복수개의 방사상 돌기를 갖는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피동 체인은 구동 벨트 상의 해당 표면과 맞물리는 제1 세트의 톱니 및 상대 이동 중에 방사상 돌기들과 맞물리는 복수개의 기준면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개의 링크를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7. 제4항에 있어서, 구동 도르래와 함께 이동하는 정지 부재를 포함하며, 센서 부재는 정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슬롯을 포함하고, 정지 부재는 센서 부재와 구동 부재가 동기하여 이동하는 제1 위치로부터 구동 부재와 피동 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응답하여 슬롯 내의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센서 부재를 구동 도르래로부터 멀어지도록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를 포함하며, 편향 부재는 슬롯 내에서의 정지 부재의 제2 위치로의 이동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구동 도르래와 센서 부재 사이에 상대 이동을 일으키는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9. 제4항에 있어서, 구동 부재와 연관되고 작동 위치로 편향되는 핀을 포함하고, 센서 부재는 센서 부재가 구동 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때는 핀을 작동 위치 밖에서 유지하지만 구동 부재와 센서 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응답하여서는 작동 위치로 이동하도록 핀을 해제시키는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구동 부재는 벨트를 포함하고, 센서 부재는 벨트와 맞물리도록 편향되며, 센서 부재는 벨트가 정상 작동에 실패할 때 편향에 응답하여 이동하는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센서 부재는 벨트 상의 측방향 표면에 대하여 편향되는 롤러를 포함하고, 롤러는 벨트의 이동에 응답하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롤러는 벨트의 정상 작동 실패에 응답하여 축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이동하며, 측방향 이동은 벨트의 정상 작동 실패의 표시를 제공하는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센서 부재는 벨트 상의 내부면에 대하여 편향된 롤러를 포함하고, 롤러는 벨트의 이동에 응답하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롤러는 벨트의 정상 작동 실패에 응답하여 축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이동하며, 측방향 이동은 벨트의 정상 작동 실패의 표시를 제공하는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구동 부재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풀리 부재를 포함하며, 피동 부재는 맞물림 부재와 맞물리는 복수개의 링크를 가져 구동 부재의 이동에 응답하여 이동하도록 된 계단 체인을 포함하고, 센서 부재는 풀리 부재와 일치하여 회전하며, 센서 부재는 계단 체인의 상호작용부와 맞물리며 계단 체인과 풀리 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응답하여 풀리 부재에 대하여 이동하는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구동 부재는 풀리 부재의 이동에 응답하여 이동하는 벨트를 포함하고, 벨트는 계단 체인 링크 상의 해당 톱니와 맞물리는 복수개의 톱니를 갖는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15. 제13항에 있어서, 모터와 연관된 브레이크를 포함하며, 브레이크는 풀리 부재와 센서 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응답하여 작동되는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16. 제13항에 있어서, 센서 부재를 풀리 부재의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풀리 부재로부터 멀리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를 포함하고, 편향 부재는 풀리 부재와 센서 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센서 부재를 풀리 부재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17. 제13항에 있어서, 계단 체인 링크는 기준면을 포함하고, 센서 부재는 복수개의 방사상 돌기를 갖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방사상 돌기는 계단 체인과 풀리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응답하여 기준면과 맞물리는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18. 제1항에 있어서, 구동 부재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풀리 부재 및 풀리 부재의 이동에 응답하여 이동하는 벨트를 포함하고, 피동 부재는 벨트와 맞물리는 복수개의 링크를 가져 구동 부재의 이동에 응답하여 이동하는 계단 체인을 포함하며, 센서 부재는 벨트 쪽으로 편향되어 벨트와 맞물리며, 센서 부재는 벨트의 정상 작동 실패에 응답하여 맞물림 위치를 지나 이동하며, 맞물림 위치를 지나는 센서 부재의 이동은 벨트의 정상 작동 실패의 표시를 제공하는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센서 부재는 벨트 상의 측방향 표면에 대하여 편향된 롤러를 포함하고, 롤러는 벨트의 이동에 응답하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롤러는 벨트의 정상 작동 실패에 응답하여 축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측방향 이동은 벨트의 정상 작동 실패의 표시를 제공하는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20. 제18항에 있어서, 센서 부재는 벨트 상의 내부면에 대하여 편향된 롤러를 포함하고, 롤러는 벨트의 이동에 응답하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롤러는 벨트의 정상 작동 실패에 응답하여 축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측방향 이동은 벨트의 정상 작동 실패의 표시를 제공하는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21. 제1항에 있어서, 센서는 구동 부재와 피동 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응답하여 이동하는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KR1020047018184A 2002-05-20 2003-02-07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KR100962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2/016172 WO2003099686A1 (en) 2002-05-20 2002-05-20 Escalator drive mechanism with failure detection and backup
USPCT/US02/16172 2002-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568A KR20050120568A (ko) 2005-12-22
KR100962965B1 true KR100962965B1 (ko) 2010-06-10

Family

ID=29581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184A KR100962965B1 (ko) 2002-05-20 2003-02-07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6997302B2 (ko)
EP (1) EP1513759B1 (ko)
JP (2) JP4115991B2 (ko)
KR (1) KR100962965B1 (ko)
CN (2) CN100413773C (ko)
AU (2) AU2002367989A1 (ko)
BR (1) BR0311139A (ko)
DE (1) DE10297741T5 (ko)
HK (2) HK1077048A1 (ko)
WO (2) WO20030996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9686A1 (en) * 2002-05-20 2003-12-04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drive mechanism with failure detection and backup
US20070137980A1 (en) * 2002-12-13 2007-06-21 Helmut Meyer Stepchain link for a passenger conveyor system
AU2002361668A1 (en) * 2002-12-13 2004-07-09 Otis Elevator Company Stepchain link for an escalator
US20070000753A1 (en) * 2003-10-29 2007-01-04 Markus Hame Passenger conveyor drive monitoring arrangement with brake actuation
ES2301440B1 (es) * 2007-11-12 2009-08-24 Thu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A. Sistema de accionamiento de pasillos y escaleras moviles.
CN101456516B (zh) * 2007-12-13 2013-11-13 泰森克鲁普电梯(Es/Pbb)有限公司 运送乘客/货物的输送系统
US8534444B2 (en) 2009-06-16 2013-09-17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dual solenoid main drive shaft brake
DE112009005078T5 (de) * 2009-07-20 2012-09-13 Otis Elevator Co. Lösbares Stufenverriegelungssystem
WO2013052032A1 (en) * 2011-10-03 2013-04-11 Otis Elevator Company Drive assembly for a passenger conveyor
ES2378627B1 (es) * 2011-12-14 2013-01-23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A. Sistema de frenado para escaleras mecánicas y pasillos móviles.
CN102659013A (zh) * 2012-05-15 2012-09-12 大连连港电扶梯成套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扶梯/自动人行道的安全监测及控制系统
WO2014011157A1 (en) 2012-07-10 2014-01-16 Otis Elevator Company Drive system for passenger conveyor
CN107108180B (zh) 2014-10-31 2019-07-09 奥的斯电梯公司 自动扶梯驱动系统的结构健康监测
FI125862B (fi) * 2015-01-28 2016-03-15 Kone Corp Sähköinen turvallisuuslaite sekä kuljetinjärjestelmä
CN105984799B (zh) * 2015-02-16 2020-11-13 通力股份公司 监测模块和包括该监测模块的自动扶梯/自动人行道
EP3344571B1 (en) 2015-08-31 2021-03-17 Otis Elevator Company Conveyor drive unit with initialization of the adaptive power supply unit and identification of the motor
EP3257804B1 (en) 2016-06-15 2023-09-27 Otis Elevator Company Belt-driven people conveyor
WO2018108560A1 (de) * 2016-12-16 2018-06-21 Inventio Ag Personentransporteinrichtung mit einer geschwindigkeitsmessvorrichtung
CN111032560B (zh) * 2017-08-30 2021-09-21 通力电梯有限公司 乘客输送机
EP3473575B1 (en) 2017-10-19 2020-08-19 Otis Elevator Company Drive belt for people conveyors
EP3569558B1 (en) * 2018-05-16 2022-07-13 Otis Elevator Company Chain defect monitoring in a people conveyor
EP3569559B1 (en) * 2018-05-16 2021-03-24 Otis Elevator Company People coonveyor with a belt safety device
CN109533841A (zh) * 2018-12-18 2019-03-29 安徽双骏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立式输送设备
US10532913B1 (en) * 2019-03-06 2020-01-14 Otis Elevator Company Sprockets for people conveyors
EP3747821A1 (en) 2019-06-04 2020-12-09 Otis Elevator Company Belt-driven people conveyors
US11214448B1 (en) * 2019-09-19 2022-01-04 Masaba, Inc. Axle-integrated movement sensing apparatus for conveyors
US11772938B2 (en) * 2019-11-18 2023-10-03 Inventio Ag Speed monitoring device of a passenger transportation system
EP3854745B1 (en) * 2020-01-21 2023-12-20 Otis Elevator Company Drive belt montoring for passenger conveyo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6725A (en) 1972-07-26 1975-02-18 Inventio Ag Load-dependent braking device for conveying systems
JPH1121061A (ja) 1997-07-04 1999-01-26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コンベヤ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757A (ko) * 1973-06-04 1975-02-10
US4151381A (en) * 1977-05-25 1979-04-24 Montgomery Elevator Company Reversal stop device
US4232776A (en) * 1978-01-05 1980-11-11 Dean Research Corporation Accelerating walkway
US4231452A (en) * 1978-12-28 1980-11-04 Westinghouse Electric Corp. Spring applied, electric released drum brake
DE3245347C2 (de) * 1982-12-08 1984-07-26 Ringspann Albrecht Maurer Kg, 6380 Bad Homburg Rücklaufsperre für einen Stetigförderer
DE3732226A1 (de) * 1986-09-26 1988-04-28 Otis Elevator Co Doppelseitiger zahnriemen-fahrtreppenantrieb
JPH0742070B2 (ja) * 1987-06-16 1995-05-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スカレ−タの主軸ブレ−キ装置
DE3863999D1 (de) 1987-09-01 1991-09-05 Inventio Ag Abschaltvorrichtung fuer eine fahrtreppe.
KR920007805B1 (ko) * 1988-06-09 1992-09-17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휠체어 승용계단이 부가된 에스컬레이터
MY106142A (en) * 1990-02-20 1995-03-31 Toshiba Kk Man conveyor.
JP2523927B2 (ja) * 1990-04-11 1996-08-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US5223679A (en) * 1990-09-26 1993-06-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rive motor to encoder connection having a flexible rod and a bellows coupling
US5072820A (en) * 1991-05-14 1991-12-17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handrail stop device
US5236075A (en) 1992-04-06 1993-08-17 Bartmann Horst M Escalator broken roller detector
US5316121A (en) * 1992-11-25 1994-05-31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missing step detection
JPH07137976A (ja) * 1993-11-16 1995-05-30 Toshiba Corp チェーンの伸長度検出装置
US5361887A (en) 1994-03-14 1994-11-08 Otis Elevator Company Apparatus for detecting an irregularity in the frequency of steps passing a particular point within a passenger conveying device
US5785165A (en) 1996-10-30 1998-07-28 Otis Elevator Company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for passenger conveyors
AU737547B2 (en) * 1997-06-17 2001-08-23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Passenger Transportation conveyor apparatus
DE19803899C2 (de) * 1998-02-02 2000-04-13 O & K Rolltreppen Gmbh Verfahren zum Abbremsen von Rolltreppen bzw. Rollsteigen sowie Bremseinrichtung für Rolltreppen bzw. Rollsteige
JP4118520B2 (ja) 1999-04-15 2008-07-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コンベア装置
US6407523B1 (en) * 2000-10-25 2002-06-18 Jorgensen Conveyo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veyor
US6457573B1 (en) * 2001-02-02 2002-10-01 Otis Elevator Company Belt drive back up device for escalator drive
WO2003099686A1 (en) * 2002-05-20 2003-12-04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drive mechanism with failure detection and backu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6725A (en) 1972-07-26 1975-02-18 Inventio Ag Load-dependent braking device for conveying systems
JPH1121061A (ja) 1997-07-04 1999-01-26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コンベヤ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10919A1 (en) 2003-12-12
DE10297741T5 (de) 2005-09-29
EP1513759A4 (en) 2009-05-27
KR20050120568A (ko) 2005-12-22
HK1077048A1 (en) 2006-02-03
US7497315B2 (en) 2009-03-03
AU2003210919B2 (en) 2008-07-17
JP4115991B2 (ja) 2008-07-09
US6997302B2 (en) 2006-02-14
EP1513759A1 (en) 2005-03-16
JP2006508002A (ja) 2006-03-09
BR0311139A (pt) 2005-03-01
WO2003099686A1 (en) 2003-12-04
WO2003099698A1 (en) 2003-12-04
US20050258016A1 (en) 2005-11-24
JP4115992B2 (ja) 2008-07-09
CN100341767C (zh) 2007-10-10
AU2002367989A1 (en) 2003-12-12
US20050173223A1 (en) 2005-08-11
JP2006509695A (ja) 2006-03-23
HK1079171A1 (en) 2006-03-31
WO2003099698A8 (en) 2005-01-20
CN1628062A (zh) 2005-06-15
CN1652993A (zh) 2005-08-10
CN100413773C (zh) 2008-08-27
EP1513759B1 (en) 201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965B1 (ko)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JP5165693B2 (ja) 乗客コンベア手摺り駆動制御
AU649776B2 (en) Restraining elevator car motion while the doors are open.
US4977982A (en) Elevator sheave brake safety
KR100995059B1 (ko) 에스컬레이터의 비상정지 안전 브레이크 제어장치
JP2010208825A (ja) 乗客コンベアの補助ブレーキ装置
JP2011502911A (ja) 乗客コンベア用ブレーキ装置
JPWO2005115905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3147299A (ja) 乗客コンベヤの補助制動装置、及び乗客コンベヤ
US10974932B2 (en) Method and passenger conveyor
JPH01122893A (ja) マンコンベアの制動装置
JP4783148B2 (ja) ブレーキ作動を伴う乗用コンベヤの駆動監視機構
US7419033B2 (en) Emergency brake device for elevator
JPH1121061A (ja) 乗客コンベヤー装置
KR100490331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JP4292201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ブレーキ装置
JPH11255461A (ja) 乗客コンベアの非常制動装置
KR200338103Y1 (ko)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용 이중 브레이크장치
US20070000753A1 (en) Passenger conveyor drive monitoring arrangement with brake actuation
WO2004071860A1 (en) Auxiliary brake system for passenger conveyor systems
JP4340611B2 (ja)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り駆動装置
JP2024067446A (ja) ロープ式エレベータの速度監視システム
JPH07277656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H0439290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KR19990069614A (ko) 승객 수송장치의 핸드 레일 이상 속도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