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103Y1 -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용 이중 브레이크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용 이중 브레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103Y1
KR200338103Y1 KR20-2003-0033233U KR20030033233U KR200338103Y1 KR 200338103 Y1 KR200338103 Y1 KR 200338103Y1 KR 20030033233 U KR20030033233 U KR 20030033233U KR 200338103 Y1 KR200338103 Y1 KR 200338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drive
elevator
brake device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석
Original Assignee
김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석 filed Critical 김동석
Priority to KR20-2003-0033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1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1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에 구동장치에서 모터의 동력을 감속기에 전달하는 구동축에 이중의 브레이크장치를 구비하여 모터의 효율적 제어, 상승방향으로 고속운전시 개문상태에서의 작동을 방지하게 한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용 이중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용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구동축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기와, 감속기에 연결 설치되어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는 다수의 로프가 걸쳐지는 풀리와, 구동모터의 일측에 회전수를 감지하게 설치된 엔코더와, 엔코더의 전기적인 신호를 감지 판단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제동 작동하게 구동모터와 감속기사이 구동축에 브레이크 드럼, 브레이크 라이닝이 구비된 브레이크 슈우, 솔레노이드 브레이크 코일로 구성 설치된 제1브레이크장치와, 제1브레이크장치의 일측에 병렬자세로 구동축에 브레이크 드럼, 브레이크 라이닝이 구비된 브레이크 슈우, 솔레노이드 브레이크 코일로 구성 설치된 제2브레이크장치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용 이중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용 이중 브레이크장치{double brake device for elevat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용 이중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에서 모터의 동력을 감속기에 전달하는 구동축에 이중의 브레이크장치를 구비하여 모터의 효율적 제어, 상승방향으로 고속운전시 개문상태에서의 작동을 방지하게 한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용 이중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에 제동장치가 적용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제동장치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구동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제동장치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구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4는 종래기술에 따른 제동장치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구동장치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의 제동장치(2)는 정,역 회전하는 구동모터(4)와, 이 구동모터(4)의 구동축(6)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기(8)와, 이 감속기(8)에 연결 설치되어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는 다수의 로프가 걸쳐지는 풀리(10)와, 구동모터(4)의 일측에 회전수를 감지하게 설치된 엔코더(12)와, 이 엔코더(12)의 전기적인 신호를 감지 판단하는 제어부(도시생략)에 의해 제어되어 제동 작동하게 구동모터(4)와 감속기(8) 사이 구동축(6)에 브레이크 드럼(14), 브레이크 라이닝(16)이 구비된 브레이크 슈우(18), 솔레노이드 구동장치(20)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의 제동장치(2)는 브레이크 드럼(14) 양면을 감싸는 형태의 브레이크라이닝(16)을 브레이크슈우(18)에 대칭 설치하고 이 브레이크 슈우(18) 하단은 힌지(22)로 조립하며, 그 상단은 스프링을 개재한 축(24)으로 탄지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 구동장치(20)를 조정볼트(26)로 브레이크슈우(18)사이에 설치한 것으로서 솔레노이드 구동장치(20)에 전원이 차단되면 솔레노이드 구동장치(20)와 함께 조정볼트(26)가 당겨져 제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솔레노이드구동장치(20)에 인가되던 전원이 차단되면 축(24)의 스프링에 의한 반발력을 극복하고 제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브레이크라이닝(16)이 브레이크 드럼(14) 외주면에 밀착되어 엘리베이터의 승강을 정지시키는 제동작동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엘리베이터 구동장치는 브레이크라이닝(16)의 사용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마모되기 때문에 수시로 그 마모 상태를 일일이 점검하여 적정한 시기에 새것으로 교체해야 되므로 항시 점검에 따른 보수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에 단일의 브레이크장치만이 장착되므로서 정비시 장시간 멈춰야 하는 문제와 더블어 비상시 상호 보완적으로 작동하는 브레이크장치가 없어 제동실패시 바로 인명사고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에 구동장치에서 모터의 동력을 감속기에 전달하는 구동축에 이중의 브레이크장치를 구비하여 모터의 효율적 제어, 상승방향으로 고속운전시 개문상태에서의 작동을 방지하게 하면서 상호 보완적으로 유사시 제동력을 발휘하게 한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용 이중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에 제동장치가 적용됨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제동장치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구동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제동장치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구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4는 종래기술에 따른 제동장치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구동장치를 도시한 우측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에 이중 브레이크장치가 적용됨을 도시한 평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에 이중 브레이크장치가 적용됨을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이중 브레이크 장치 32:구동모터
34:구동축 36:감속기
38:풀리 40:엔코더
42:브레이크 드럼 44:브레이크 라이닝
46:브레이크 슈우 48:솔레노이드구동장치
50:제1브레이크장치 52:브레이크 드럼
54:브레이크 라이닝 56:브레이크 슈우
58:제2브레이크장치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용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구동축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기와, 이 감속기에 연결 설치되어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는 다수의 로프가 걸쳐지는 풀리와, 구동모터의 일측에 회전수를 감지하게 설치된 엔코더와, 이 엔코더의 전기적인 신호를 감지 판단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제동 작동하게 구동모터와 감속기사이 구동축에 브레이크 드럼, 브레이크 라이닝이 구비된 브레이크 슈우, 솔레노이드 브레이크 코일로 구성 설치된 제1브레이크장치와, 이 제1브레이크장치의 일측에 병렬자세로 구동축에 브레이크 드럼, 브레이크 라이닝이 구비된 브레이크 슈우, 솔레노이드 브레이크 코일로 구성 설치된 제2브레이크장치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용 이중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에 이중 브레이크장치가 적용됨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에 이중 브레이크장치가 적용됨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용 이중 브레이크 장치(30)는 구동모터(32)와, 이 구동모터(32)의 구동축(34)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기(36)와, 이 감속기(36)에 연결 설치되어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는 다수의 로프(도시생략)가 걸쳐지는 풀리(38)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32)의 일측에 회전수를 감지하게 설치된 엔코더(40)와, 이 엔코더(40)의 전기적인 신호를 감지 판단하는 제어부(도시생략)에 의해 제어되어 제동 작동하게 구동모터(32)와 감속기(36) 사이 구동축(34)에 브레이크 드럼(42), 브레이크 라이닝(44)이 구비된 브레이크 슈우(46), 솔레노이드구동자치(48)로 구성된 제1브레이크장치(50)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또, 제1브레이크장치(50)의 일측에 병렬자세로 구동축(34)에 브레이크 드럼(52), 브레이크 라이닝(54)이 구비된 브레이크 슈우(56), 솔레노이드 구동장치(48)로 구성된 제2브레이크장치(58)를 설치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제동력을 발휘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의 구동중 구동모터(32)의 회전력에 의한 구동축(34)의 회전력을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엔코더(40)의 전기적인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도시생략)가 솔레노이드구동장치(48)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솔레노이드 구동장치(48)에 인가되던 전원이 차단되면 조정볼트(60)를 당기게 되어 힌지축을 축으로 하여 브레이크슈우(48,56)가 조여지면서 구동축(34)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브레이크 드럼(42,52) 양면을 브레이크라이닝(44,54)이 감싸게 되면서 조이게 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슈우(46,56)의 브레이크 라이닝(44,56)과 브레이크 드럼(42,52)의 마찰 작용이 증대되어 구동축(34)의 회전을 정지시켜 엘리베이터의 승강을 제동하게 된다.
이를 제어부(도시생략)가 엔코더(40)를 통해 구동축(34)이 정지됨을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인지한 후 솔레노이드 구동장치(48)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이에 브레이크슈우(46,56)는 축(62)에 개재된 스프링(도시생략)의 탄성력에 의해 후퇴하여 브레이크 라이닝(44,56)을 브레이크 드럼(42,52)으로 부터 이격시켜 구동축(34)의 회전을 원할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동력이 발휘되기까지는 작동순서는 통상의 제동작동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제1,2브레이크장치(50,58)의 작동 또한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한 구동축(34)에 설치된 제1,2브레이크장치(50,58)는 기 설정된 통상의 정보에 따라 상호교대로 또는 동시에 작동하게 제어되는데, 운영의 기술은 현장의 상황에 알맞게 조정하여 세팅하므로서 제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에 브레이크장치를 복수개 장착하므로서 엘리베이터의 승강 작동에 따른 안정성을 배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에 브레이크장치를 복수개 구비하므로서 보조적으로 하나더 제동장치를 갖추게 되므로서 제품에 신뢰성을 높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용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연결 설치되어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는 다수의 로프가 걸쳐지는 풀리와,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 회전수를 감지하게 설치된 엔코더와,
    상기 엔코더의 전기적인 신호를 감지 판단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제동 작동하게 구동모터와 감속기사이 구동축에 브레이크 드럼, 브레이크 라이닝이 구비된 브레이크 슈우, 솔레노이드 브레이크 코일로 구성 설치된 제1브레이크장치와,
    상기 제1브레이크장치의 일측에 병렬자세로 구동축에 브레이크 드럼, 브레이크 라이닝이 구비된 브레이크 슈우, 솔레노이드 브레이크 코일로 구성설치된 제2브레이크장치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용 이중 브레이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는 설계에 변경에 따라 적어도 2이상의 브레이크장치가 설치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용 이중 브레이크장치.
KR20-2003-0033233U 2003-10-23 2003-10-23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용 이중 브레이크장치 KR200338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233U KR200338103Y1 (ko) 2003-10-23 2003-10-23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용 이중 브레이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233U KR200338103Y1 (ko) 2003-10-23 2003-10-23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용 이중 브레이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103Y1 true KR200338103Y1 (ko) 2004-01-13

Family

ID=49422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233U KR200338103Y1 (ko) 2003-10-23 2003-10-23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용 이중 브레이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1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229B1 (ko) * 2007-05-17 2009-06-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KR101833910B1 (ko) * 2017-06-01 2018-03-02 (주)신한엘리베이터 높이 6m 이상의 중·대형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스마트 트윈 SE형 보조브레이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229B1 (ko) * 2007-05-17 2009-06-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KR101833910B1 (ko) * 2017-06-01 2018-03-02 (주)신한엘리베이터 높이 6m 이상의 중·대형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스마트 트윈 SE형 보조브레이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10514B (zh) 自推進電梯和電梯制動系統
KR100962965B1 (ko)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US8602170B2 (en) Multiple brake device for elevator with monitoring
KR200466157Y1 (ko) 고하중용 에스컬레이터의 디스크 유압캘리퍼식 비상정지 안전 브레이크 제어장치
EP2774886B1 (en) Traction sheave elevator
JP4722855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0125689A1 (ja) エレベータ装置
TWI382954B (zh) 電梯及電梯煞車裝置
US9463956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newing the braking force of a brake of a hoisting machine
WO2010050434A1 (ja) エレベーター
KR100995059B1 (ko) 에스컬레이터의 비상정지 안전 브레이크 제어장치
RU2400419C2 (ru) Тормоз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скважин или буровых лебедок
JPWO2006092967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279363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장치
JP2000344449A5 (ko)
KR200338103Y1 (ko)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용 이중 브레이크장치
US5201821A (en) Disc brake elevator drive sheave
KR100738941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승강장치
WO2006098166A1 (ja)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補助装置
US20100018810A1 (en) Elevator apparatus
AU2008323024B2 (en) Lift drive and method for driving and detaining a lift car, a corresponding method and a braking device, and method for decelerating and detaining a lift car, and an associated method
KR200338102Y1 (ko)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용 내장형 보조브레이크장치
KR100490331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JP4701946B2 (ja) エレベーターのブレーキ装置
KR200394679Y1 (ko)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