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679Y1 -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679Y1
KR200394679Y1 KR20-2005-0016195U KR20050016195U KR200394679Y1 KR 200394679 Y1 KR200394679 Y1 KR 200394679Y1 KR 20050016195 U KR20050016195 U KR 20050016195U KR 200394679 Y1 KR200394679 Y1 KR 2003946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flow
rope
fixed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1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아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아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아전기
Priority to KR20-2005-00161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6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6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6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카가 돌발상승,돌발하강, 또는 개문발차 등 비정상운행을 하는 경우 엘리베이터카를 비상제동하는 로프제동장치의 유동슈가 기계식으로 회전운동하여 메인로프를 쐐기작용으로 잡아 엘리베이터카를 정지할수 있도록 제동함으로써 메인로프의 제동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는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카가 돌발상승,돌발하강, 또는 개문발차 등 비정상운행하는 경우 엘리베이터카를 비상제동하기 위해 솔레노이드에 비정상운행에 대한 신호전원이 인가되어 솔레노이드가 스위칭하면 스토퍼가 걸림되어 있는 동작 대기상태에서 유동슈 바디를 해제하고 유동슈 바디에 연결된 텐션스프링이 동작하면서 메인 로프를 고정슈측으로 압착하는 쐐기작용으로 제동이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카(EC)가 비정상운행할 때 엘리베이터카의 과속 승하강을 감지하는 조속기(G)가 작동하고, 유동슈의 작동으로 메인로프(L)를 잡아 엘리베이터카(EC)를 비상정지시킬 수 있는 로프 제동장치로서, 이 로프 제동장치는 엘리베이터카(EC)의 비정상운행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되어 솔레노이드가 스위칭 작동하고 이 스위칭에 따라 스토퍼에 의하여 동작 대기상태에서 유동슈 바디를 해제하고, 유동슈 바디에 연결된 텐션스프링이 작용하여 엘리베이터카(EC)의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카(EC)의 돌발상승 또는 돌발하강시 비상 제동이 즉각적으로 안전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Apparatus for braking of elevator rope}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카가 돌발상승,돌발하강, 또는 개문발차 등 비정상운행을 하는 경우 엘리베이터카를 비상제동하는 로프제동장치의 유동슈가 기계식으로 회전운동하여 메인로프를 쐐기작용으로 잡아 엘리베이터카를 정지할수 있도록 제동함으로써 메인로프의 제동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는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카 장치에는 엘리베이터카가 정지상태에서 구동롤러의 마모로 인한 로프가 슬립현상을 나타내는 브레이크 고장 등으로 엘리베이터카가 돌발상승 및 돌발하강하는 경우 로프를 록킹 또는 홀딩하는 것에 의하여 엘리베이터카의 미끄럼이나 돌발상승, 하강 과속을 제지하도록 하는 안전장치로서 로프 제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엘리베이터카 구동계를 정지 또는 유지하는 브레이크 장치는 케이지의 승하강중에 상기 브레이크장치의 유지부에 회전력에 따라 동작하는 이상검출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브레이크 유지부가 고장 등에 의하여 정지유지(제동)능력의 저하 또는 상실하여 중대한 인사사고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카의 승하강 중에 브레이크장치에 안전하게 작용하는 수단을 가진 다양한 로프 제동장치가 강구되고 있다.
그 한 예로서 본 출원인인 (주)삼아전기에 의하여 발명의 명칭 "엘리베이터 로프제동장치(Apparatus for braking of elevator rope)"라는 제목으로 2003.12.31. 에 특허출원 제10-2003-0101782호로 되고, 2005.01.11. 에 특허결정된 공보(이하 문헌1)을 참조한다.
이 특허결정된 문헌 1에 개시된 종래기술로서 엘리베이터 로프제동장치는 그 설치상태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권상기(20)가 구비된 기계실의 권상풀리에 걸린 메인로프(3)를 제동하도록 설치되고 메인로프(3)의 돌발상승 및 하강이동시 전원을 차단하여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2)를 구비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로프제동장치는 고정슈(11)가 브라켓(13)에 고정되고 상기 유동 브레이크슈(12)는 유압실린더(14)의 피스톤 로드(14a)에 결합되어 피스톤 로드가 전진하여 로프(3)를 고정슈(11) 측으로 밀어붙이며 압착하고, 결국 로프(3)가 고정슈(11)와 유동브레이크슈(12) 사이에 잡힘으로 하강과 상승 양방향 모두 제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로프제동장치에 관한 문헌 1의 종래 기술은, 엘리베이터카가 비정상운행을 초과하여 돌발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경우 로프(3)가 고정슈(11)와 유동브레이크슈(12) 사이에 잡히도록 하기 위해서, 고정슈(11)가 브라켓(13)에 고정되고 한편 유동 브레이크슈(12)는 유압실린더(14)의 피스톤 로드(14a)에 결합되어 피스톤 로드가 전진하여 로프(3)를 고정슈(11) 측으로 밀어붙이며 압착하는 유압식 제동이 이루어지므로 부품의 구성요소가 다수개 필요하며 더구나 이들 유압식 제동장치는 오일의 누유가능성으로 인해 수시로 누유 확인의 점검이 필요하고 수동식으로 조작된 경우 펌핑작용이 요구될 뿐 만 아니라 고가에 매매되고 있어 원가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카가 돌발상승,돌발하강, 또는 개문발차 등 비정상운행을 하는 경우 엘리베이터카를 비상제동하기 위해 솔레노이드에 비정상운행에 대한 신호전원이 인가되어 솔레노이드가 스위칭하면 스토퍼가 걸림되어 있는 동작 대기상태에서 유동슈 바디를 해제하고 유동슈 바디에 연결된 텐션스프링이 동작하면서 메인 로프를 고정슈측으로 압착하는 쐐기작용으로 제동이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는, 엘리베이터카(EC)의 운행속도를 제어하는 운전제어부(200)와, 엘리베이터카(EC)의 과속 승하강을 감지하는 조속기(G)와, 상기 엘리베이터카(EC)의 메인로프(L)가 비정상운행하는 경우 메인로프(L)를 잡아 엘리베이터카(EC)를 비상정지시킬 수 있는 하우징(100)을 포함하는 로프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프레임에 형성된 브레이크지지판(110)상에 연결되는 제1유동슈바디(130)와, 상기 제1유동슈바디(130)와 동일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하향대칭되게 설치되는 제2유동슈바디(140)와;
상기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가 메인로프(L)를 잡을 경우 메인로프(L)에 대한 제동력을 조절하는 제1및 제2디스크 스프링(135,145)과;
상기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를 고정지지판(120)에 고정된 제1,2 고정슈(121a,121b)로 각각 이동시키기 위하여 압축가능하고 상기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의 피봇 운동력을 제공하는 텐션스프링(150)과,
상기 엘리베이터카(EC)가 비정상운행하면 전원 온상태로 스위칭하는 솔레노이드(3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브레이크지지판(110)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유동슈바디(130)와 제2유동슈바디(140)가 대기상태인 경우 통전상태로 유지하는 리미트스위치(160)와,
상기 솔레노이드(300)의 통전상태에 따라 상기 유동슈(131,141)의 회전운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162a,162b)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300)가 비정상운행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고정지지판(120)에 고정된 제1,2고정슈(121a,121b)를 향하여 상기 브레이크지지판(110)을 기준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회전운동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EC)의 메인로프(L)를 압착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카(EC)의 메인로프(L)를 압착제동 및 해제하기위하여, 상기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는 엘리베이터카의 이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되어 솔레노이드가 작동하고 이 작동에 따라 링크(163)가 끌어 당겨지게 되면, 걸림판(161)에 결합된 스토퍼(162a,162b) 선단부는 회전운동하며 걸림판(161)에서 해제하고, 상기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에 연결된 텐션스프링(150)의 복원력이 동작함으로써, 메인로프(L)를 고정슈 측으로 밀어붙이며 압착하는 기계식 제동이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기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는 브레이크지지판(110)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대향방향 및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기계식으로 회전운동하므로, 부품의 구성요소를 최소화하여 제동장치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4 는 도 3에 도시한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의 적용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도, 그리고 도 5 및 도 6는 도 3의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의 브레이크 록킹, 해제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에서 부호 EC 는 엘리베이터카, G 는 조속기(governor), L 은 엘리베이터카의 메인로프(main rope), 100은 하우징, 110는 브레이크 지지판, 120 은 고정슈 지지판, 130, 140은 상기 브레이크지지판(110)상에 유동가능하게 고정된 제1유동슈 바디 및 제2유동슈 바디, 150은 탄성의 텐션 스프링, 200은 상기 엘리베이터카(EC)의 기계실내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운전제어부, 300은 솔레노이드, 및 160 은 리미트 스위치를 나타낸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일측에 형성된 브레이크지지판(110)상에 설치되는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와, 엘리베이터카(EC)가 비정상운행으로 이동할 때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의 이동을 명령하는 운전 제어부(200)와, 브레이크지지판(110)에서 회전운동가능하도록 전기작동식의 솔레노이드(3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비정상운행이란 상기 메인로프(L)가 상승방향(up)의 이상신호와 하강방향(down)의 이상신호와 어떤 층의 센서에서 감지하여 운전제어부로 송신하는 상승,하강방향의 개문발차를 의미한다.
운전제어부(200)는 상기 조속기(G)와 분리되어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EC)가 비정상운행 할 경우 메인로프(L)를 잡아 엘리베이터카(EC)를 비상정지시킬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고정지지판(120)에 고정된 제1및 제2고정슈(121,121b)와, 서로 쌍을 이루어 대향하여 경사각을 가지고 형성되는 상기 브레이크지지판(110)과, 상기 브레이크지지판(110)에 설치된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에서 연장하는 제1및 제2유동슈(131,14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는 텐션압력의 크기를 조절할수 있는 제동력(Braking force)을 가지고 쌍을 이루어 구성되는 제1디스크 스프링(135) 및 제2디스크 스프링(145)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 사이에는 탄발력을 가지고 피봇 운동력을 제공하여 주는 텐션스프링(150)이 설치된다.
상기 브레이크지지판(110)은 그 양단에 제1및 제2브라켓(132,142)이 돌출형성되고,제1및 제2고정축(133,143)을 기준으로 회전운동가능한 제1및 제2커넥터(134,144)가 개재되어 상기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를 연결한다. 즉 상기 브레이크지지판(110)은 제1고정축(133)을 중심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브라켓(132)을 통하여 상기 제1유동슈바디(130)의 제1커넥터(134)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유동슈바디(130)와 제2유동슈바디(140)는 각각이 고정적으로 부착된 걸림판(161a,161b)을 포함하여 상기 스토퍼(162a,162b)의 한쪽 끝과 함께 걸림작용을 유지한다.
상기 걸림판(161a,161b)은 상기 스토퍼(162a,162b)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솔레노이드(300)의 전기적인 힘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스토퍼(162a,162b)에서 작동가능하다.
상기 링크(163)는 상기 솔레노이드(300)와 연결한 형태로 스위칭하는 스토퍼(162a,162b)에 연동하여 기계적으로 작동된다. 상기 링크(163)는 와이어 형태 또는 밴드 형태의 내구성이 있는 강철재 재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및 제2디스크 스프링(135,145)은 각각 제1및 제2유동슈(131,141)와 상기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 스프링(135,145)의 텐션압력이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의 피봇운동으로 인해 작용할 때 탄성운동을 하게 되므로 메인로프(L)가 상호간에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돌발적으로 이상운행하는 경우에 높은 텐션압력의 제동력을 제공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텐션스프링(150)은 상기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상부와 하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텐션압력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리미트스위치(160)는 상기 하우징(100)의 브레이크지지판(110)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유동슈바디(130)와 제2유동슈바디(140)가 대기상태인 경우 상기 걸림판(161a,161b)과의 접점을 유지하는 통전상태인 대기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상기 리미트스위치(160)는 상기 솔레노이드(300)의 전원을 통전가능한 상태로 하여 엘리베이터카(EC)의 비정상운행이 발생한다면, 상기 운전제어부(200)에 메인로프를 제동하는 장치가 동작중임을 통지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EC)의 비정상운행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킬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리미트스위치(160)는 상기 제1유동슈바디(130)와 제2유동슈바디(140)가 쐐기작용으로 제동하는 경우 상기 걸림판(161a,161b)에서 접점이 분리되어 전원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솔레노이드(300)의 전원을 차단시켜 그 과열을 방지하고, 상기 운전제어부(200)에 메인로프를 제동하는 장치가 동작중임을 통지한다.
또한 상기 운전제어부(200)는 상기 엘리베이터카(EC)가 비정상운행으로 돌발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운행하는 경우 솔레노이드(300)가 스위칭 작동하도록 하여 솔레노이드(300)로 하여금 상기 링크(163)를 끌어 당기게 한다. 상기 운전제어부(200)는 엘리베이터카(EC)의 기계실내에 별도로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EC)의 운행속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300)는 그의 전원인가에 따라 링크(163)에 연결된 스토퍼(162a,162b)의 걸림동작을 해제하게 한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300)는 상기 엘리베이터카(EC)가 비정상운행하면 전원 온상태로 스위칭하여, 상기 링크(163)를 잡아당긴다.
상기 솔레노이드(300)는 또 엘리베이터카(EC)의 메인로프(L)의 동작대기시 전원 오프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EC)가 비정상운행, 예컨대 돌발 상승하거나 또는 하강함에 따라 이상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솔레노이드(300)에 전원이 온상태로 되어, 상기 스토퍼(162a,162b)를 향하여 작용하는 힘이 전달하여 상기 걸림판(161a,161b)과 분리된다.
또 상기 링크(163)는 그에 걸림가능하게 연결된 스토퍼(162a,162b)를 해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300)는 동작대기시 전원 오프상태이며, 동시에 상기 리미트스위치(160)는 전원 온(통전)상태가 된다. 또, 상기 솔레노이드(300)는 비정상운행을 나타내는 이상신호가 수신되어 전원이 온상태로 통전하고, 동시에 상기 리미트스위치(160)는 상기 걸림판(161a,161b)이 이동함에 따라 접점이 분리되어 걸림 해제상태를 나타내는 전원오프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기계식 로프 제동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카(EC)의 메인로프(L)가 상승 또는 하강방향으로 비정상운행하는 경우, 상기 제1유동슈바디(130)와 제2유동슈바디(140)가 동시동작으로 상기 브레이크지지판(110)의 중심을 향햐여 이동할 때 링크(163)에 연결된 스토퍼(162a,162b)와 상기 걸림판(161a,161b)과 해제되면서 엘리베이터카(EC)의 메인로프(L)를 쐐기작용으로 압착하게 되므로 엘리베이터카(EC)는 그 운행이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의 작동상태에 대한 메카니즘을 설명한다.
상기 엘리베이터카(EC)에 연결된 메인로프(L)가 돌발상승(up) 또는 하강방향(down)으로 비정상운행하는 경우 도 5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전제어부(200)는 솔레노이드(300)로부터 송신하는 이상신호인 비정상운행의 속도가 송신되면, 솔레노이드(300)에는 그 구동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300)가 작동된다.
다음 상기 솔레노이드(300)의 작동은 비정상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그에 연결된 링크(163)를 끌어당기고, 상기 링크(163)는 스토퍼(162a,162b)를 이동시켜 상기 유동슈바디(130,140)에 연결된 유동슈(131,141)를 동시에 이동시킨다.
이때 링크(163)과 연결된 스토퍼(162a,162b)가 동시에 벌어진다면, 텐션 스프링(150)의 텐션력에 의하여 제1유동슈(131)와 제2유동슈(141)가 각각의 커넥팅 고정축(133,143)을 중심으로 하여 제1유동슈(131)와 제2유동슈(141)가 동시에 로프 제동장치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측의 제1유동슈(131)와 하측의 제2유동슈(141)는 브레이크지지판(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회전운동한다. 이러한 회전운동이동에 따라 상기 상측의 제1유동슈(131)와 하측의 제2유동슈(141)중 어느 하나가 쐐기결합하여 엘리베이터카(EC)의 메인로프(L)를 쐐기작용으로 견고하게 압착제동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기계식 로프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카(EC)의 메인로프(L)에 대한 제동상태를 원래의 대기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쐐기작용의 해제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비정상운행으로 상기 엘리베이터카(EC)에 연결된 메인로프(L)를 상기 제1,2유동슈(131,141)가 압착하고 있는 동안에 엘리베이터를 수리하는 기술자는 상기 엘리베이터카(EC)의 운행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카(EC)와 메인로프(L)의 압착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일단 운전제어부(200)에서 도시 안된 권상기를 구동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EC)와 메인로프(L)의 압착력을 작게 한 다음, 상기 제1,2유동슈(131,141)에 대한 쐐기작용을 수동으로 해제한다.
즉, 상기 엘리베이터카(EC)의 메인로프(L)제동에 있어서 제1유동슈바디(130)와 제2유동슈바디(140)는 브레이크지지판(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대향방향 및 또는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회전 운동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카(EC)의 메인로프(L)를 압착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카(EC)에 대한 원상복구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기술자는 상기 제1,2유동슈(131,141)를 제동작용상태에서 제동대기상태로 수동으로 복귀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유동슈(131)와 제2유동슈(141)가 원래의 대기위치로 이동하면, 그에 따라 상기 리미트스위치(160)는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온상태로 접점을 형성한다. 이 접점은 운전 제어부(200)에 동작대기상태로 됨을 통보하여 상기 솔레노이드(300)의 전원이 차단되어 제동대기상태로 유지하게 한다.
상기 텐션스프링(150)은 하우징(100)의 브레이크지지판(110) 중앙에 고정되어 브레이크지지판(110)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텐션압력을 제공한다. 또 상기 텐션스프링(150)은 유동슈바디(130,140)가 메인로프(L)에 쐐기작용으로 가압되도록 연결 고정될 때 작동된다.
상기 엘리베이터카(EC)의 이상운행시 작동하는 상기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단부에 고정된 고정지지판(120)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지지판(120)에 고정된 고정슈(121)와 동일평면상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및 제2고정축(133,143)을 중심으로 향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1및 제2유동브레이크슈(131,141)는 고정슈(121)와 평행하는 하우징(100)의 제1및 제2고정축(133,143)에 고정설치되어 텐션스프링(150)에 의해 엘리베이터카(EC)의 메인로프(L)가 쐐기작용으로 가압되도록 작동된다. 또한, 상기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는 솔레노이드(300)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EC)의 비정상운행에 따라 소정의 텐션압력을 가진 텐션스프링(150)에 의해 회전운동하게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카(EC)의 메인로프(L)에 압착되는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는 엘리베이터카(EC)가 비정상 운행시 제1유동슈바디(130)와 제2유동슈바디(140)가 메인로프(L)에 압착되며 제동되는 작동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 비상 제동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한편, 상기 고정슈(121) 및 제1 및 제2유동슈(131,141)의 재질은 점착성, 변형성, 신축성, 오일흡수성이 낮은 알루미늄재로 구성함으로써, 로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형 압착됨으로써 제동력을 증대시킨다. 즉, 엘리베이터카(EC)의 로프는 다수의 열처리된 강철이 꼬여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 링크가 알루미늄재의 고정슈(121) 및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의 제1 및 제2유동슈(131,141)와 마찰되면서 밀착될 때, 상기 메인로프(L)가 고정슈(121) 및 제1및 제2유동슈 (131,141)의 면을 파고 들어가면서 밀착되어 압착이 이루어지는 바, 마찰력 증대에 따라 보다 확실한 제동효과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내마모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알루미늄재로서 고정슈(121)와 제1및 제2유동슈 (131,141)를 제작함으로써, 보다 확실한 제동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는 엘리베이터카가 비정상운행을 초과하여 돌발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경우 엘리베이터카의 비상제동용 제1,2유동슈바디가 회전운동하여 쐐기작용함으로써, 이상신호의 발생에 따라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되어 솔레노이드가 작동하고 이 작동이 있으면 스토퍼에 의하여 동작 대기상태에서 유동슈 바디를 해제하고 상기 유동슈 바디에 연결된 텐션스프링이 동작하면서 엘리베이터카(EC)의 로프를 고정슈측으로 압착하는 기계식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유압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부품을 감소시키는 한편 로프 제동장치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전력손실을 최소화한다.
도 1 은 종래 기술의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2 는 종래 기술의 가변 제동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4 는 도 3에 도시한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의 적용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의 브레이크의 록킹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는 도 4의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의 브레이크의 해제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110: 브레이크 지지판 120: 고정지지판
121a : 제1고정슈 121b: 제2 고정슈
130: 제1유동슈 바디 131: 제1유동슈
134: 제1커넥터 144: 제2커넥터
135: 제1디스크 스프링 145: 제2디스크 스프링
140: 제2유동슈 바디 141: 제2유동슈
160: 리미트스위치 161a: 제1걸림판
161b: 제2걸림판 162: 스토퍼
163: 링크 300: 솔레노이드

Claims (4)

  1. 엘리베이터카(EC)의 운행속도를 제어하는 운전제어부(200)와, 엘리베이터카(EC)의 과속 승하강을 감지하는 조속기(G)와, 상기 엘리베이터카(EC)의 메인로프(L)가 비정상운행하는 경우 메인로프(L)를 잡아 엘리베이터카(EC)를 비상정지시킬 수 있는 하우징(100)을 포함하는 로프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프레임에 형성된 브레이크지지판(110)상에 연결되는 제1유동슈바디(130)와, 상기 제1유동슈바디(130)와 동일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하향대칭되게 설치되는 제2유동슈바디(140)와;
    상기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가 메인로프(L)를 잡을 경우 메인로프(L)에 대한 제동력을 조절하는 제1및 제2디스크 스프링(135,145)과;
    상기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를 고정지지판(120)에 고정된 제1,2 고정슈(121a,121b)로 각각 이동시키기 위하여 압축가능하고 상기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의 피봇 운동력을 제공하는 텐션스프링(150)과,
    상기 엘리베이터카(EC)가 비정상운행하면 전원 온상태로 스위칭하는 솔레노이드(3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브레이크지지판(110)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유동슈바디(130)와 제2유동슈바디(140)가 대기상태인 경우 통전상태로 유지하는 리미트스위치(160)와,
    상기 솔레노이드(300)의 통전상태에 따라 상기 유동슈(131,141)의 회전운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162a,162b)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300)가 비정상운행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고정지지판(120)에 고정된 제1,2고정슈(121a,121b)를 향하여 상기 브레이크지지판(110)을 기준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회전운동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EC)의 메인로프(L)를 압착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동슈바디(130)는 브레이크지지판(110)상에 제1고정축(133)을 중심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131)의 제1브라켓(132)을 통하여 장착 고정되고, 상기 제2유동슈(140)는 상기 브레이크지지판(110)상에 제2고정축(143)을 중심으로 제1유동슈바디(130)와 대칭되게 제2링크(141)의 제2브라켓(142)을 통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판(120)에 고정된 고정슈(121)와 브레이크지지판(110)에 설치된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는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며 제1및 제2브라켓(132,142)에 연결된 텐션스프링(150)의 탄발력에 의하여 텐션압력이 제공되고, 엘리베이터카(EC)의 메인로프(L)를 압착제동하기 위한 솔레노이드(300)를 포함하여 하나의 유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유동슈바디(130,140)는 텐션스프링(150)의 탄발력에 의하여 회전운동되고, 상기 브레이크지지판(110)의 상부와 하부에 일체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
KR20-2005-0016195U 2005-03-31 2005-06-07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 KR2003946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195U KR200394679Y1 (ko) 2005-03-31 2005-06-07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889 2005-03-31
KR20-2005-0016195U KR200394679Y1 (ko) 2005-03-31 2005-06-07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679Y1 true KR200394679Y1 (ko) 2005-09-05

Family

ID=43695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195U KR200394679Y1 (ko) 2005-03-31 2005-06-07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6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981B1 (ko) 2007-01-15 2008-02-1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개문발차 방지를 위한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CN109648906A (zh) * 2019-02-01 2019-04-19 宁波长荣酿造设备有限公司 一种压榨机及电气保护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981B1 (ko) 2007-01-15 2008-02-1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개문발차 방지를 위한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CN109648906A (zh) * 2019-02-01 2019-04-19 宁波长荣酿造设备有限公司 一种压榨机及电气保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38630B2 (en) Elevator car brake with shoes actuated by springs coupled to gear drive
KR102128638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 보디의 잠금 디바이스
JP4709650B2 (ja) エレベータ用の遠隔リセット可能なロープ無し非常停止装置
JP4904012B2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ブレーキ装置
JP4802787B2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CN103459290A (zh) 电梯制动系统
AU2011344431A1 (en) Actuation of an intercepting apparatus
KR20110074993A (ko) 승강기용 속도 제한장치
CN104781175A (zh) 具有安全制动器的电梯
CN105819302B (zh) 夹绳器
US11078045B2 (en) Electronic safety actuator for lifting a safety wedge of an elevator
CN105293247B (zh) 一种限速器及其使用方法
JP5345041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
JPS6017753B2 (ja) 動力駆動昇降機用の落下自動防止装置
CN1789102B (zh) 电梯超速保护装置
KR200394679Y1 (ko) 엘리베이터카의 로프 제동장치
CN111032555B (zh) 具有制动蹄的电梯紧急制动器
CN111302194A (zh) 一种梯级防抬制动装置及自动扶梯类设备
CN108455403B (zh) 轿厢随动电梯限速器
JP7229358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204873325U (zh) 限速器
JP5017944B2 (ja) エレベータの駆動装置
CN114599599B (zh) 电梯装置
KR200338103Y1 (ko)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용 이중 브레이크장치
KR101291582B1 (ko) 상시동작형 엘리베이터용 안전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